[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88579B1 - Detachable and foldable electrical wheelchair - Google Patents

Detachable and foldable electrical wheel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579B1
KR101788579B1 KR1020160033195A KR20160033195A KR101788579B1 KR 101788579 B1 KR101788579 B1 KR 101788579B1 KR 1020160033195 A KR1020160033195 A KR 1020160033195A KR 20160033195 A KR20160033195 A KR 20160033195A KR 101788579 B1 KR101788579 B1 KR 101788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fixing
coupled
whe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1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09286A (en
Inventor
김용철
김종권
장대진
김신기
김규석
문무성
Original Assignee
근로복지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근로복지공단 filed Critical 근로복지공단
Priority to KR1020160033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579B1/en
Publication of KR2017010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2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57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5Rear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는 후방 하부 양측에 결합편이 설치되며, 전방 하부 양측에 결합봉이 마련된 프레임과, 상기 결합편을 통해 상기 프레임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휠과, 상기 결합봉을 통해 상기 프레임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휠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며 일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한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가 제공된다.Disclosed is an electric wheelchair which can be separated and fol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ble and foldable electric wheelchair includes a frame having a coupling piece on both sides of a rear lower portion, a frame having a coupling rod on both front and lower sides thereof, a rear wheel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through the coupling piece, A front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via the coupling rod, a link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and capable of being folded in one direction, and a seat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ink portion, Separable and foldable electric wheelchairs are provided.

Description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Detachable and foldable electrical wheelchair}[0001] Detachable and foldable electrical wheelchair [0002]

본 발명은 하반신 마비 장애인 또는 고령자들의 이동을 위해 사용되는 휠체어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휠체어의 전방휠과 후방휠 및 시트부가 경우에 따라 분리 및 절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used for moving a lower limb paralysis disabled person or an elderly person. More specifically, the front wheel, the rear wheel and the seat portion of the electric wheelchair can be separated and folded in some cas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wheelchair which is easy to store and transport and which can be separated and folded.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장애인, 노약자 그리고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상태에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를 말한다.Generally, a wheelchair is a wheelchair that allows people with disabilities, elderly people, and people with limited legs to move from a sitting position to a desired location.

이러한, 휠체어는 그 구동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으로 바퀴를 구동시키는 수동휠체어와, 전동기를 통해 바퀴를 구동시키는 전동휠체어로 구분된다.The wheelchair is divided into a manual wheelchair in which the user manually drives the wheel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and an electric wheelchair in which the wheel is driven through the electric motor.

통상 수동휠체어는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한 시트의 측면 양측에 바퀴가 마련되고, 상기 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링부재가 마련된 구조로서, 별도의 레버를 이용하여 시트를 절첩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휠체어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켜 차량에 탑재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A conventional manual wheelchair has a structure in which a wheel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a side of a seat on which a user can ride and a ring member for rotating the wheel is provided. In a simple operation of folding the seat using a separate lever, So that the vehicle can be mounted on the vehicle.

반면, 전동휠체어는 시트 및 프레임 그리고 구동장치가 복잡한 구조로 결합되어 있어 분리가 어려우며, 따라서 차량의 탑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wheelchair is disadvantageously difficult to separate because the seat, the frame, and the driving devic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a complicated structure.

즉, 수동 및 전동휠체어는 사용자의 차량 탑승시 운송이 가능해야 하며, 특히 보관장소가 협소한 승용차 또는 기타 운송수단에 쉽게 적재될 수 있어야 한다.In other words, passive and electric wheelchairs must be transportable on board the user's vehicle, and should be easily loadable, especially on narrow passenger cars or other vehicles.

이러한 측면에서 전동휠체어는 용이하게 분리 및 접이가 가능해야 하는 데 통상의 전동휠체어는 시트와 프레임, 바퀴, 모터 및 배터리(축전지)와 바퀴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 등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분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this respect, an electric wheelchair should be able to be easily separated and folded. In a typical electric wheelchair, a seat and a frame, a wheel, a motor, a battery (a battery) and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wheel are integrally Which is difficult to separate.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를 강구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n electric wheelchair which can be separated and folded so a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분리 또는 조립할 수 있고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동시에 보관장소가 협소한 승용차 또는 기타 운송수단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한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easily separate or assemble a user and to fold it so that it is easy to store, and at the same time, a separable and foldable electric motor which can be stacked on a narrow passenger car or other transportation means I would like to offer a wheelchair.

본 발명은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는 후방 하부 양측에 결합편이 설치되며, 전방 하부 양측에 결합봉이 마련된 프레임과, 상기 결합편을 통해 상기 프레임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휠과, 상기 결합봉을 통해 상기 프레임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휠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며 일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한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가 제공된다.Disclosed is an electric wheelchair which can be separated and fol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ble and foldable electric wheelchair includes a frame having a coupling piece on both sides of a rear lower portion, a frame having a coupling rod on both front and lower sides thereof, a rear wheel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through the coupling piece, A front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via the coupling rod, a link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and capable of being folded in one direction, and a seat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ink portion, Separable and foldable electric wheelchairs ar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에서 후방휠과, 전방휠 및 시트부를 분리또는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전방휠을 절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동휠체어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보관장소가 협소한 승용차 또는 운송수단에 적재될 수 있으며 보관이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wheel, the front wheel and the seat portion can be separated or collapsed in the frame, and the front wheel can be folded, so that the overall size of the electric wheelchair can be reduced, It can be loaded on passenger cars or vehicles and is easy to store.

또한,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구성요소들을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everyone can easily and easily separate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를 분리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후방휠을 분리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에 사용된 결합편과 후방휠을 분리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에 사용된 후방휠의 결합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의 측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에 사용된 전방휠이 절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의 전방휠이 접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에 사용된 링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에 사용된 링크부가 절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확대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에 사용된 링크부가 절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에 사용된 시트부가 분리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측면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도 15의 A-A선 단면도로서 시트부가 분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separate and collapsible powered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eparated and foldable electric wheel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eparated and foldable rear wheel of an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upling part and a rear wheel used in an electric wheelchair which can be separated and fol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IGS. 5A and 5B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combination of a rear wheel used in a separate and collapsible electric wheel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of a separate and collapsible powered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ont wheel used in a separate and collapsible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FIG.
FIG. 8 is a view showing a front wheel of a separate and collapsible electric wheel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nk portion used in a separate and collapsible electric wheel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olded link portion used in a separable and foldable electric wheel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Fig.
12A to 12C are operation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nk portion used in a separate and collapsible electric wheel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FIG. 1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at portion used in a separate and collapsible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nlarged view of Fig. 13
15 is a side view of Fig.
Figs. 16A to 16C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of Fig. 15 and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portion is separated. Fig.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lectric wheelchair which can be separated and folde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가 적용된 휠체어 바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를 분리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wheelchair wheel to which an electric wheelchair capable of separating and fo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eparated and collapsible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100)는 프레임(110)의 후방 하부측에 위치된 후방휠(120)과,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한 시트부(150)를 분리 또는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전방휠(130)을 절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동휠체어(100)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협소한 장소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동시에 승용차 또는 기타 운송수단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1 and 2, a separable and foldable electric wheelchai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wheel 120 positioned on a rear lower side of a frame 110, The front wheel 130 can be folded so that the overall size of the electric wheel chair 100 can be reduced to facilitate storage in a narrow space And can be loaded on a passenger car or other transportation means.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100)는 후방 하부 양측에 결합편(112)이 설치되며, 전방 하부 양측에 결합봉(114)이 마련된 프레임(110)과, 상기 결합편(112)을 통해 상기 프레임(11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휠(120)과, 상기 결합봉(114)을 통해 상기 프레임(110)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휠(130)과, 상기 프레임(110)의 상측에 위치되며 일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한 링크부(140)와, 상기 링크부(140)의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부(150)로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parable and foldable electric wheel chai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10 provided with engaging pieces 112 on both lower and lower sides thereof, A rear wheel 120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110 through the coupling piece 112 and a front wheel 130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110 through the coupling rod 114. [ A link unit 140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10 and foldable in one direction and a seat unit 150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ink unit 140 .

프레임(110)은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후방 하부 양측에는 각각 후방휠(12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결합편(112)이 설치되며 전방 하부 양측에는 전방휠(1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결합봉(114)이 마련될 수 있다.The frame 11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tiffness. On both sides of the rear lower portion, a coupling piece 112 for detachably coupling the rear wheel 120 is provided, and a front wheel 13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lower portion. A coupling rod 114 may be provided.

도 3 내지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프레임(110)의 양측에 마련되는 결합편(112)은 차축(116)에 의해 상호 연결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축(116) 상에는 후방휠(120)의 분리시 지면에 상기 프레임(110)이 닫지 않도록 프레임(11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스텐드업휠(118)이 설치된다.3 to 5B, the engaging pieces 11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axle 116. On the axle 116, A stand up wheel 118 is installed to keep the frame 110 horizontal so that the frame 110 does not close on the ground when the frame 110 is separated.

즉, 상기 차축(116)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평상시에는 상기 스텐드업휠(118)이 지면과 이격되도록 차축을 회전시키고, 후방휠(120)의 분리시엔 차축(116)을 회전시켜 스텐드업휠(118)이 지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In other words, the axle 116 can be manually rotated by a user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3. In the normal state, the axle is rotated so that the stand-up wheel 118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And the stand up wheel 118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by rotating the axle 116.

또한, 상기 결합편(112)은 후방휠(120)의 체결편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편(112)에는 회전공(112a)과, 상기 회전공(112a)을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끼움공(112b)과, 상기 회전공(112a)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위치구속공(112c)이 형성될 수 있다.4, the coupling piece 112 is formed with a rotation hole 112a and a rotation hole 112a,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112b formed radially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on shaft 112a and a position fixing hole 112c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rotation hole 112a may be formed.

상기 결합편(112)을 통해 상기 프레임(110)과 결합되는 후방휠(120)은 체결편(122)과, 상기 체결편(122)과 고정결합되는 디스크(124)와, 상기 디스크(1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126) 및 상기 바퀴(126)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28)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ar wheel 120 coupled with the frame 110 through the coupling piece 112 includes a coupling piece 122, a disk 124 fixedly coupled to the coupling piece 122, A wheel 126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126 and a drive motor 128 for providing power to rotate the wheel 126. [

체결편(122)은 결합편(112)과 대응되게 상기 회전공(112a)에 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한 회전축(122a)과, 상기 복수개의 끼움공(112b)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122a)을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끼움돌기(122b) 및 상기 위치구속공(112c)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위치구속돌기(122c)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The fastening piece 122 includes a rotation shaft 122a rotatably fitted in the rotation hole 112a so as to correspond to the fastening hole 112,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122b formed around the rotation shaft 122a around the rotation axis 122a and a position restraining protrusion 122b which is inserted to the position fixing hole 112c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122c).

이때, 상기 체결편(122)은 분리 또는 조립시 상기 결합편(112)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복수개의 끼움공(112b)에는 각각 측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움홈(112d)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체결편(122)이 결합편(112)의 회전공(112b)을 중심으로 회전시 상기 끼움돌기(122b)가 상기 끼움홈(112d)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piece 122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astening piece 112 when it is separated or assembled. In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2b, fitting grooves 112d extending in one side direction are formed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122b can be positioned in the fitting groove 112d when the coupling piece 122 rotates about the rotation hole 112b of the coupling piece 112. [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편(112)의 회전공(112a)과 끼움공(112b)에 각각 체결편(122)의 회전축(122a)과 끼움돌기(122b)가 삽입되도록 한 다음,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휠(120), 즉 체결편(122)을 회전공(112a)을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끼움돌기(122b)가 결합편(112)에 형성된 끼움홈(112d)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위치구속공(112c)에 위치구속돌기(122c)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면서 위치구속공(112c) 내로 위치구속돌기(122c)가 삽입되어 결합편(112)과 체결편(122)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5A, the rotation shaft 122a and the fitting protrusion 122b of the coupling piece 122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rotation hole 112a and the fitting hole 112b of the coupling piece 112 The rear wheel 120 or the coupling piece 122 is rotated about the turn hole 112a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122b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2 formed in the coupling piece 112 112d. The position restricting protrusion 122c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restricting hole 112c while being 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so that the position restricting protrusion 122c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restricting hole 112c and the assembling of the engaging piece 112 and the fastening piece 122 Can be achieved.

이때, 상기 끼움홈(112d)에 위치되는 끼움돌기(122b)는 끝단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112d) 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므로 상기 끼움홈(112d)에서 이격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fitting protrusion 122b located in the fitting groove 112d is formed so as to be wider than the fitting groove 112d,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122b is not separated from the fitting groove 112d.

한편, 결합편(112)에서 체결편(122)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있는 위치구속돌기(122c)를 가압하여 위치구속공(112c)에서 이격되도록 한 후 체결편(122)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끼움돌기(122b)가 끼움공(112b)에 위치되도록 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후방휠(120)을 분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sired to separate the fastening piece 122 from the fastening piece 112, the position restraining protrusion 122c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is urged to be separated from the position restraining hole 112c, Can b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fitting protrusion 122b is positioned in the fitting hole 112b.

전방휠(130)은 상기 프레임(110)에 마련되는 결합봉(11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바퀴(132)와, 상기 바퀴(13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지지봉(134)과, 상기 지지봉(134)의 타단에 고정결합되는 제1연결구(136)와, 일측이 상기 제1연결구(136)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봉(114)에 고정결합되는 제2연결구(138) 및 상기 제2연결구(138)에 대해 상기 제1연결구(136)가 회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회동제한부재(139)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wheel 130 is rotatably installed on a coupling rod 114 provided on the frame 110. Referring to Figures 6 to 8, the front wheel 130 includes a wheel 132, And a first connection port 136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rod 134. The first connection port 136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first connection port 136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with the first connection port 136. [ A second connection port 138 fixedly coupled to the rod 114 and a pivot limiting member 139 configured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136 relative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 138. [ have.

이때, 상기 제1연결구(136)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지지봉(134)과 고정결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하부에 결합돌기(136a)가 돌출되게 형성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figure,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136 is fixed to the support rod 134,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136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136a protruding therebelow.

또한, 상기 제1연결구(136)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구(138)는 상기 제1연결구(136)에 형성된 결합돌기(136a)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136a)를 관통하도록 힌지핀(137)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타측면은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된 결합봉(114)과 고정결합된다.The second coupling hole 138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hole 136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136a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hole 136 is positioned to be inserted inward, And the other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coupling rod 114 provided on the frame 110. The hinge pin 137 is inserted through the hinge pin 137,

또한, 회동제한부재(139)는 상기 제1연결구(136) 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일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가 탄성부재(135)에 의해 탄성지지 되도록 설치된다.The rotation restricting member 139 is installed such that a part of the rotation restricting member 139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accommodation space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ort 136. The rotation restricting member 139 is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

이때, 상기 회동제한부재(139)는 측면 일측에 고정구(139a)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구(139a)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구(136)의 측면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돌기(136a)가 돌출되게 형성된 방향으로 관통공(136b)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pivot limiting member 139 is formed with a fastener 139a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136, And a through hole 136b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136a protrudes.

또한, 상기 고정구(139a)의 끝단에는 원주방향으로 확장되는 고정돌기(139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136b)은 상기 탄성부재(135)에 의해 탄성지되도록 한 회동제한부재(139)가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 상기 고정구(139a)가 상기 관통공(136b)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도록 상기 고정구(139a)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한다.A fixing protrusion 139b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xture 139a. The through hole 136b is formed with a rotation limiting member 139,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135, The fastener 139a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fastener 139a so as not to be interfered with by the through-hole 136b.

또한, 상기 제2연결구(138)에는 상기 고정구(139a)의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고정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홈은 상기 고정구(139a)가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되, 걸림턱(138a)을 구비하여 상기 제1연결구(136)와의 결합시 상기 걸림턱(138a)에 상기 고정구(139a)의 원주방향으로 확장된 고정돌기 일부가 걸릴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hole 138 so that the end of the fixing hole 139a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is case, the fixing groove is formed such that the fixing hole 139a can be inserted. When the fixing groove 139a is engaged with the first connection hole 136, the fixing jaw 138a is provided with the fixing hole 139a So that a part of the fixing projection exten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an be caught.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100)에 사용된 전방휠(130)의 절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olding process of the front wheel 130 used in the electric wheelchair 100 that can be separated and fol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now be described.

초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구(136)가 상기 제2연결구(138)와 회동제한부재(13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A, the first connection port 136 is fixed by the second connection port 138 and the rotation limiting member 139.

이 상태에서 회동제한부재(139)를 하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35)가 압축되면서 회동제한부재(139)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2연결구(138)의 걸림턱(138a)에 걸려 고정되어 있던 고정구(139a)가 이격되면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구(136)를 제2연결구(138)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rotation limiting member 139 is pressed downward in this state, the elastic member 135 is compressed and the rotation limiting member 139 moves downward as shown in FIG. 7B, The fixture 139a which has been fixed by the engagement protrusion 138a of the first connector 138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or 136 as shown in FIG. 7C, so that the first connector 136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or 138 as shown in FIG.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휠(130) 회동시켜 전동휠체어(100)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8, the size of the electric wheelchair 100 can be reduced by rotating the front wheel 130.

도 9를 참고하면, 링크부(140)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110)과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축(142)과, 상기 지지축(142)의 타단을 회전가능하도록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144)와, 상기 한 쌍의 지지축(142)을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며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한 가스실린더(146) 및 상기 연결부재(144)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판넬(148)로 이루어질 수 있다.9, the link unit 14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10 and can be folded in one direction. The link unit 140 includes a pair of support shafts (not shown) A connecting member 144 which rotatably connects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shaft 142 to the supporting shaft 142 and a gas cylinder 142 which connects the pair of supporting shafts 142 in a diagonal direction, (146), and a support panel (148) installed above the connecting member (144).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링크부(1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휠체어(100)의 후방으로 지지축(142)이 회전하면서 프레임(110)의 상측에 절첩될 수 있다.10, the link portion 14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fol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10 while the support shaft 142 rotates to the rear of the electric wheel chair 100. [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140)가 펴진 상태에서 하중에 의해 상기 지지축(142)이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링크부(140)가 절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정수단(149)을 더 포함할 수 있다.11, the rotation of the support shaft 142 by the load in the extended state of the link unit 140 is restricted, so that the link unit 140 And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ans 149 for preventing folding.

도 11을 참고하면, 고정수단(149)은 상기 연결부재(144)의 일측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키부재(149a)와, 상기 연결부재(144)에 대해 상기 키부재(149a)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게 설치되는 노브(149b)와, 상기 키부재(149a)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탄성부재(149c)를 포함할 수 있다.11, the fixing means 149 includes a key member 149a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44, and a key member 149b that rotates about the rotation of the key member 149a relative to the connecting member 144. [ A knob 149b install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so as to limit the elasticity of the key member 149a and an elastic member 149c capable of provid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key member 149a.

이때, 상기 키부재(149a)는 일단이 상기 복수개의 지지축(14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지축(142)이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키부재(149a)의 일단이 지지축(142)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축(142)에는 키홈(142a)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key member 149a is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shafts 142 so as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support shaft 142, and the key member 149a A key groove 142a is formed in the support shaft 142 so that one end of the support shaft 142 can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shaft 142. [

또한, 상기 키부재(149a)를 탄성지지하고 있는 탄성부재는 도 11의 우측 확대도(도 11의 우측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는 상기 키부재(149a) 내에 위치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는 연결부재(144) 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도록 한다.As shown in the right-side enlarged view of Fig. 11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ight side view of Fig. 11), the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key member 149a is partly provided within the key member 149a And the other part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in the connecting member 144.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링크부(140)의 절첩모습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a folded state of the link portion 14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우선, 초기 링크부(140)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142)이 회동되어 링크부(140)가 펴진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지지축(142)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해 일측은 고정수단(149)을 이용하여 회전을 제한하고 타측은 프레임(110)에 마련되는 스토퍼(119)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어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2A, the initial link portion 140 rotates the support shaft 142 to keep the link portion 140 in a spread state. At this time, in order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support shaft 142, the rotation of one side is restricted by the fixing means 149 and the rotation of the other side is restricted by the stopper 119 provided on the frame 110. [

이 상태에서, 고정수단(149)의 노브(149b)를 잡아당겨 연결부재(144)에 대해 키부재(149a)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도 12의 우측 확대도 참고).In this state, the knob 149b of the fixing means 149 is pulled so that the key member 149a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member 144 (see an enlarged view on the right side of Fig. 12).

이후.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부재(149a)를 도면상 좌측에 위치된 확대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축(142)의 키홈(142a)에 삽입된 키부재(149a)의 일단이 이격되도록 한다.after. The one end of the key member 149a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142a of the support shaft 142 is rotated so that the one end of the key member 149a is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key shaft 149a by rotating the key member 149a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the left- .

이때, 키부재(149a)를 탄성지지하고 있는 탄성부재(149c)는 일부분은 키부재(149a) 내에 위치되어 있고 다른 일부는 연결부재(144) 내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elastic member 149c elastically supporting the key member 149a is located in the key member 149a and the other is located in the connecting member 144, the elastic member 149c is compressed do.

이후,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142)을 회전시켜 프레임(110) 상측에 링크부(140)가 절첩되도록 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2C, the support shaft 142 is rotated so that the link portion 140 is folded over the frame 110.

따라서, 상기 링크부(140)의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overall size of the link unit 140 can be reduced.

한편, 시트부(1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140)의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위치된다. Meanwhile, the seat portion 150 is detachably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link portion 140,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부(15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140)의 지지판넬(148) 상측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한 시트(152)와, 상기 시트(152)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넬(148)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한 지지부재(154)와, 상기 지지부재(154)의 후방측 하면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링크부(140)와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체결수단(156)과, 상기 지지부재(154)의 전방측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스토퍼(158)를 포함할 수 있다.14, the seat part 150 is mounted on the support panel 148 of the link part 140 and includes a seat 152 for the user to sit on, A support member 154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at 152 and adapted to be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nel 148 and a support member 154 fixedl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54, And a stopper 158 fixedl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member 154. The stopper 158 may be formed of a metal plate.

시트(152)는 사용자가 앉아 있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탑승하더라도 피로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The seat 152 is designed to allow the user to sit, and has elasticity so that fatigue can be reduced even if the user is aboard for a long time.

또한 지지부재(154)는 상기 시트(152)의 하부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하방향 돌출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54)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시트(152) 하부의 측면 양측에 위치되도록 한다.Further, the support member 154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152 and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protruding downward. At this time, the support members 154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seat 152 so as to be a pair.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54)와 접촉되는 지지판넬(148)은 중앙부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154)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넬(148)의 돌출된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양 측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15, the support panel 148,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154, has a central portion protruding in a trapezoidal shape, and the support member 154 is fixed to the support panel 148 And is disposed so as to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ded central portion.

즉, 상기 지지판넬(148)의 돌출된 중앙부가 시트(152)의 안착시 안내 역할을 할 수 있다.That is, the protruding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panel 148 can serve as a guide when the seat 152 is seated.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고하면, 체결수단(156)은 상기 지지부재(154)의 후방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154)와 고정결합되는 고정부재(156a)와, 상기 고정부재(156a)의 타단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넬(148)에 대해 상기 지지부재(154)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고정핀(156b)을 포함할 수 있다. 16A to 16C, the fastening means 156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member 154 and include a fixing member 156a having one end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154, And a fixing pin 156b which is install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at the other end of the fixing member 156a so that the supporting member 154 can be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panel 148. [

이때, 상기 고정부재(156a)는 중앙부분이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140)의 연결부재(144)를 연결하는 연결봉(144a)을 감쌀 수 있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재(156a)의 타단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고정핀(156b)은 상기 고정부재(156a)의 중앙부에 감싸지도록 위치되는 연결봉(144a)이 상기 고정부재(156a)의 함몰되게 형성된 중앙부분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In this case, the fixing member 156a is formed so as to be depressed at its center portion so as to cover the connecting rod 144a connecting the connecting member 144 of the link portion 140, The fixing pin 156b install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at the other end prevents the connecting rod 144a, which is positioned so as to be wrapped around the center of the fixing member 156a,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156a.

또한, 상기 지지부재(154)의 전방측 하부에 설치되는 스토퍼(158)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지지부재(154)와 고정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판넬(148)의 상측에 마련되는 고정나사(148a)와 접촉되어 지지부재(154)의 전방측이 상기 지지판넬(148)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topper 158 provided at the front low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154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protruding upward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154 at one side and the support panel 148 So that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member 154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panel 148. In addition,

이때, 상기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나사(148a)와 접촉되는 스토퍼(158)는 상기 고정나사(148a)와 접촉되는 면에 안착홈(158a)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나사(148a)의 머리부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topper 158 formed in the triangle shape and contacting with the fixing screw 148a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158a on the surface contacting with the fixing screw 148a, .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트부(150)의 분리 모습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eparation of the seat portion 15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as follows.

도 16a를 참고하면, 시트부(150)는 초기 링크부(140)의 지지판넬(148) 상부에 결합되어 있다. 즉, 시트부(150)에 마련된 체결수단(156) 및 지지부재(154)가 상기 링크부(140)에 마련된 연결봉(144a)과 결합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6A, the seat portion 15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anel 148 of the initial link portion 140. That is, the fastening means 156 and the support member 154 provided on the seat portion 150 are engaged with the connecting rod 144a provided on the link portion 140. [

이 상태에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수단(156)의 고정핀(156b)을 하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에 따라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지지부재(154)와 연결봉(144a)과의 구속을 해제한다.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6B, the fixing pin 156b of the fastening means 156 is pulled downward. As a result, the spring is compressed to release the restraint between the support member 154 and the connecting rod 144a.

이후, 도 16c의 화살표 방향으로 시트부(150)를 이동시키면 링크부(140)와 시트부(150)를 분리할 수 있다.Thereafter, the link portion 140 and the seat portion 150 can be separated by moving the seat portion 15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16C.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100)는 프레임(110)에서 후방휠(120) 및 시트부(150)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전방휠(130)을 절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동휠체어(100)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보관장소가 협소한 승용차 또는 운송수단에 적재될 수 있으며 보관이 용이하다.Therefore, the separable and foldable electric wheel chai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the rear wheel 120 and the seat part 150 from the frame 110, So that the overall size of the electric wheelchair 100 can be reduced, so that the storage place can be loaded on a narrow passenger car or transportation means and is easy to stor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전동휠체어 110 : 프레임
112 : 결합편 112a : 회전공
112b : 끼움공 112c : 위치구속공
112d : 끼움홈 114 : 결합봉
116 : 차축 118 : 스텐드업휠
120 : 후방휠 122 : 체결편
122a : 회전축 122b : 끼움돌기
122c : 위치구속돌기 124 : 디스크
126 : 바퀴 128 : 구동모터
130 : 전방휠 132 : 바퀴
134 : 지지봉 136 : 제1연결구
136a : 결합돌기 136b : 관통공
137 : 힌지핀 138 : 제2연결구
139 : 회동제한부재 139a : 고정구
140 : 링크부 142 : 지지축
142a : 키홈 144 : 연결부재
146 : 가스실린더 148 : 지지판넬
148a : 고정나사 149 : 고정수단
149a : 키부재 149b : 노브
149c : 탄성부재 150 : 시트부
152 : 시트 154 : 지지부재
156 : 체결수단 156a : 고정부재
156b : 고정핀 158 : 스토퍼
158a : 안착홈
100: electric wheelchair 110: frame
112: Coupling piece 112a:
112b: Insertion ball 112c: Positioning ball
112d: fitting groove 114:
116: Axle 118: Standup wheel
120: rear wheel 122:
122a: rotation axis 122b: fitting projection
122c: position restricting projection 124: disk
126: wheel 128: drive motor
130: front wheel 132: wheel
134: support rod 136: first connection
136a: coupling projection 136b: through hole
137: Hinge pin 138: Second connector
139: rotation restricting member 139a: fastener
140: link portion 142: support shaft
142a: key groove 144: connecting member
146: gas cylinder 148: support panel
148a: Fixing screw 149: Fixing means
149a: key member 149b: knob
149c: elastic member 150: seat portion
152: sheet 154: support member
156: fastening means 156a: fastening member
156b: Fixing pin 158: Stopper
158a: seat groove

Claims (14)

후방 하부 양측에 차축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결합편이 설치되며, 전방 하부 양측에 결합봉이 마련된 프레임과,
상기 결합편을 통해 상기 프레임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휠과,
상기 결합봉을 통해 상기 프레임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휠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며 일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한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축 상에는 상기 후방휠의 분리시 지면에 대해 상기 프레임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할 수 있는 스텐드업휠이 마련되고,
상기 후방휠은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는 결합편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체결편과, 상기 체결편과 고정결합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 및 상기 바퀴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편은 회전공과, 상기 회전공을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끼움공과, 상기 회전공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위치구속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과 결합되는 체결편은 상기 결합편과 대응되게 회전공에 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복수개의 끼움공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끼움돌기 및 상기 위치구속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위치구속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프레임과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타단을 회전가능하도록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을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며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한 가스실린더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부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한 시트와, 상기 시트의 하부 측면 양측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판넬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양 측면에 상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후방측 하면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링크부와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체결수단과, 상기 지지부재의 전방측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는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A frame provided with engaging pieces which are mutually coupled by axles on both sides of the rear lower portion,
A rear wheel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through the engagement piece,
A front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through the coupling rod,
A link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and foldable in one direction,
And a seat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ink portion,
A stand-up wheel capable of supporting the frame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when the rear wheel is separated is provided on the axle,
Wherein the rear wheel comprises a fastening piece to be detachably coupled to a coupling piece provided on the frame, a disk fixedly coupled to the fastening piece, a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disk, And a drive motor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Wherein the engaging piece includes a rotating hole,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radially formed around the rotating hole, and a position restrain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rotating hole,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formed around the rotating shaft so as to be fitted into the plurality of fitting holes, and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And is composed of a position restraining projection which is install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The link portion includes a pair of support shafts,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frame, a connecting member that interconnects the other ends of the support shafts so as to be rotatable, and a pair of support shafts which extend in the diagonal direction, And a support panel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having a central portion projecting upward in a trapezoidal shape,
The seat portion includes a seat for the user to sit on, a pair of support member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protruding downwar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seat and positioned on both sides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panel therebetween, A fastening means fixedly coupled to a rear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ink portion, and a stopper fixedl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member, Possible electric wheelchai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휠은
바퀴와,
상기 바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타단에 고정결합되는 제1연결구와,
일측이 상기 제1연결구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봉에 고정결합되는 제2연결구 및
상기 제1연결구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연결구에 대해 상기 제1연결구가 회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회동제한부재를 포함하는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Th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els,
A support bar rotatably supporting the wheel,
A first connector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rod,
A second connector having one sid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and the other side fixedly coupled to the connector rod;
And a rotation restricting member which is installed on the first connection port so as to be slid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relative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구는 일측이 상기 지지봉과 고정결합된 타측에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된 결합돌기가 상기 제2연결구의 내측에 힌지핀을 통해 상기 제2연결구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6]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5,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ort is formed such that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is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rod, and a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An electric wheelchair which is rotatably mounted and detachable and foldabl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한부재는 측면 일측에 고정구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된 상기 고정구의 끝단은 원주방향으로 확장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기 제2연결구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되, 걸림턱을 구비하여 상기 제1연결구와의 결합시 상기 걸림턱에 상기 고정구의 고정돌기가 걸릴 수 있도록 한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rotation limiting member has a fixing protrusion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the end of the protruding fixing member has a fixing protrusion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econd coupling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The coupling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and when the locking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first coupling hol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하중에 의해 상기 지지축이 회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는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The link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nk unit further comprises fixing means fo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support shaft by a loa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축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키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 상기 키부재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게 설치되는 노브 및
상기 키부재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Claim 1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A key member rotatab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to restrict rotation of the supporting shaft,
A knob provided to be resiliently supported by a spring so as to restrict rotation of the key member relative to the connection member, and
And an elastic member capable of providing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key memb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부는 상기 키부재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The separable and foldable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resilient member is installed such that a part thereof is located inside the key member and the other part is installed to be located at the connecting memb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후방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와 고정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링크부에 대해 상기 지지부재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고정핀으로 이루어진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means is a fastening member which is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member and has one end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nd a fixing pin for allowing the support member to be engaged or disengaged with respect to the link portion.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중앙부분이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의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봉을 감쌀 수 있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고정핀은 상기 고정부재의 중앙부에 감싸지도록 위치되는 연결봉이 상기 고정부재의 함몰되게 형성된 중앙부분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14] 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formed so that a central portion thereof is recessed so as to surround a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linking member of the link portion, and a fixing pin install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at the other end of the fixing member, So that the connecting ro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which is formed in a recessed manner.
KR1020160033195A 2016-03-21 2016-03-21 Detachable and foldable electrical wheelchair Active KR1017885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195A KR101788579B1 (en) 2016-03-21 2016-03-21 Detachable and foldable electrical wheel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195A KR101788579B1 (en) 2016-03-21 2016-03-21 Detachable and foldable electrical wheel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286A KR20170109286A (en) 2017-09-29
KR101788579B1 true KR101788579B1 (en) 2017-10-20

Family

ID=6003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195A Active KR101788579B1 (en) 2016-03-21 2016-03-21 Detachable and foldable electrical wheel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57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620A (en) 2021-06-16 2022-12-26 경간란 Foldable medical wheelchair
KR20250046655A (en) 2023-09-27 2025-04-03 (주)다우테크놀로지 Beach wheelchai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02575B2 (en) * 2017-10-12 2024-10-01 Sunrise Medical (Us) Llc Wheelchair having an adjustable base
KR102277566B1 (en) 2019-01-29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wheelchair
KR102278036B1 (en) 2019-01-29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wheelchair
KR102153883B1 (en) 2019-11-20 2020-09-09 최경영 Assembly combinded with wheel-chair and electric-board
KR102513222B1 (en) 2020-12-30 2023-03-30 고어헤드(주) Motorized device of a manual wheelchair and Wheelchair therewith
KR102553998B1 (en) * 2023-03-09 2023-07-11 (주)다우테크놀로지 Wheelchai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342B1 (en) * 2011-03-04 2011-07-07 미키코리아(주) Electric wheelchair
KR101545158B1 (en) * 2014-04-16 2015-08-19 오봉석 foldable electric wheelchai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342B1 (en) * 2011-03-04 2011-07-07 미키코리아(주) Electric wheelchair
KR101545158B1 (en) * 2014-04-16 2015-08-19 오봉석 foldable electric wheelchai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620A (en) 2021-06-16 2022-12-26 경간란 Foldable medical wheelchair
KR20250046655A (en) 2023-09-27 2025-04-03 (주)다우테크놀로지 Beach wheel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286A (en) 2017-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579B1 (en) Detachable and foldable electrical wheelchair
US8328208B2 (en) Stroller connectable with a car seat
US6176337B1 (en) Personal mobility vehicle
US9174661B2 (en) Armrest folding device for a foldable stroller
KR101171141B1 (en) Mounting structure for manual wheelchair power assistive device
EP3957557A1 (en) Foldable structure, foldable device and foldable vehicle
JP2017140916A (en) Small electric vehicle
JP4599907B2 (en) Traveling device
WO2007049071A2 (en) Transporter
CN106999329B (en) Wheelchair and main wheel unit
US9657770B2 (en) Articulated joint and a device for supporting a person
US6050593A (en) Personal mobility vehicle
KR20160122456A (en) combination structure of wheelchair and drive unit
KR101689710B1 (en) Rotable and removable baby car-seat
WO2008044541A1 (en) Simple movement device
CN212290158U (en) Folding structures, folding equipment and folding carts
JPH0724025A (en) Walking frame
KR101994187B1 (en) Riding apparatus having drive motor
US20130149032A1 (en) Fixing member for vehicle frame joint of scooter
JP4203891B2 (en) Seat device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JP3129587U (en) Simple moving device
KR100572378B1 (en) Fitness equipment
US12145482B2 (en) Seating device
JP2524370Y2 (en) Handrail mounting device for baby carriage
CN223248431U (en) Quick-release structure and wheel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