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71060B1 - Repeater oper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Repeater oper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060B1
KR101771060B1 KR1020110005146A KR20110005146A KR101771060B1 KR 101771060 B1 KR101771060 B1 KR 101771060B1 KR 1020110005146 A KR1020110005146 A KR 1020110005146A KR 20110005146 A KR20110005146 A KR 20110005146A KR 101771060 B1 KR101771060 B1 KR 101771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monitoring
output
unit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1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83805A (en
Inventor
김종민
유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주)티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주)티엘씨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05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060B1/en
Publication of KR20120083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8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06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계기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지하철, 터널, 지하 구조물에 구비되는 중계기; 상기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과 케이블로 연결되며, 결합기를 통해 상기 중계기의 마스터 모뎀 신호를 전달받는 안테나를 구비하여 상기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다수개의 출력 감시장치; 및 상기 감시장치로부터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 운용상태 감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중계기를 관리하는 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합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a repeater, comprising: a repeater installed in a subway, a tunnel, and an underground structure; A plurality of output monitoring devices connected to a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of the repeater and having an antenna for receiving a master modem signal of the repeater through a coupler to monitor a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operation state of the repeater; And an integration server for receiving the last service output stage operation status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repeater from the monitoring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tatus monitoring information to the operator terminal managing the repeater.

Figure R1020110005146
Figure R1020110005146

Description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Repeater oper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Repeater oper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중계기의 출력단과 케이블로 연결되며, 결합기를 통해 중계기의 마스터 모뎀 신호를 전달받고 안테나를 구비하여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다수개의 출력 감시장치를 구비하는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eater oper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which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a repeater, and receives a master modem signal of a repeater through a combiner and receives an output of the repe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peater operation state monitoring system having an apparatus.

무선통신에서의 중계기는 음영지역(Shadow Area)해소 및 셀 크기(Coverage)를 효과적으로 확대하기 위하여 경제적으로 기지국 신호를 원격에 위치한 장소에 전달함으로써 고객의 무선통신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A repeat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is a device that enables a customer's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by economically transmitting a base station signal to a remote loc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resolve a shadow area and to expand a cell coverage.

즉,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도 커버가 되지 않는 건물이나 지하실 및 댁내 등과 같은 음영지역에 설치되어 인근 기지국으로부터 무선통신 신호를 중계함으로써 고객의 요구에 만족하는 고품질의 무선통신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In other words, a repeater is installed in a building which is not covered by a base station, a shade area such as a basement and a house, and relay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from a neighboring base st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effectively providing a high quality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satisfying a customer's demand do.

이러한 중계기의 종류에는 무선통신 신호를 중계해야 하는 면적이 넓거나 고객의 통화량이 많은 지역에 시설되는 중/대형 중계기나 광중계기가 있으며,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빌딩의 승강기, 비상 계단, 화장실 등과 같은 소규모 공간에 시설되는 초소형 중계기가 있다. 여기서 초소형 중계기는 댁내형 중계기 혹은 옥내형 중계기라고도 불리 우며, 이하 설명의 편의상 댁내형 중계기로 통칭하기로 한다.These types of repeaters include large / medium repeaters or optical repeaters, which are widely used in areas w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are relayed or where the customer has a large volume of calls.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types of repeaters such as general households, offices, buildings, elevators, emergency stairs, There is a miniature repeater installed in a small space. Herein, the micro-type repeater is also referred to as a home-type repeater or an indoor-type repeater, and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home-type repea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댁내형 중계기는 크기가 작고 가격이 저렴하여 설치가 간편한 대신에 이득이 비교적 작고 출력 전력이 낮으므로 소규모 공간의 음영지역 해소를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 되어 있다. 그러므로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에서는 수많은 소규모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방대한량의 댁내형 중계기를 운용하고 있다.Instead of being easy to install because of its small size and low cost, the domestic repeater is optimized to be used for the shading area of small space because the gain is relatively small and the output power is low. Therefore, telecommunication companies that provid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are operating massive domestic repeaters to solve many small shadow areas.

한편, 중/대형 중계기의 경우에는 무선모뎀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의 운용감시 및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댁내형 중계기의 경우 소형제작 및 제작원가 등의 경제성을 고려하여 무선모뎀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능동적인 운용감시 및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일정주기 또는 댁내형 중계기 설치 고객의 통신품질불만을 접수시 출장 또는 아웃바운드 콜(OutBound Call)을 통해서 운용상태를 확인하는 수동적인 운용감시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edium / large-sized repeaters, monitoring and management are performed at a remote location using a wireless modem. However, in the case of a home-type repeater, a wireless modem is not used considering economical efficiency of small- Opera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are not being performed. In other words, passive operation monitoring is performed in order to confirm the operation state through a business trip or an outbound call when receiving a communication quality complaint of a customer installing a fixed period or home type repeater.

따라서, 댁내형 중계기의 장애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여 고객불만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댁내형 중계기는 고객의 댁내에 시설됨으로 불특정고객이 임의로 설치장소를 옮기거나 이사 및 철거하는 경우 댁내형 중계기의 분실에 따른 자산손실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actively cope with a failure of a domestic type repeater, causing a customer complaint. In addition, since the domestic type repeater is installed at the customer's premises, there is a problem that if an unspecified customer moves the installation place or moves and removes it arbitrarily, it causes asset loss due to the loss of the domestic type repeater.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계기의 출력단과 케이블로 연결되며, 결합기를 통해 중계기의 마스터 모뎀 신호를 전달받는 안테나를 구비하여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다수개의 출력 감시장치 및 상기 출력 감시장치로부터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 운용상태 감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중계기를 관리하는 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합 서버를 구비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되고 있는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 운용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enna for receiving a master modem signal of a repeater through a coupler and an output terminal of a repeater, And an integration server for receiving the last service output terminal operation state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repeater from the output monitor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operator terminal managing the repeater. Thus, the final service output of the repeater, And to provide a repeater operation state monitoring system which can confirm the operation state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 운용상태를 확인함으로써, 긴급 상황에 대한 위기 대처가 가능하여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peater operation state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high quality service by identifying a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operation state of a repeater in real time, and being able to cope with a crisis in an emergency situa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계기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지하철, 터널, 지하 구조물 등 음역 지역에 설치되는 중계기; 상기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과 케이블로 연결되며, 결합기를 통해 상기 중계기의 마스터 모뎀 신호를 전달받는 안테나를 구비하여 상기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다수개의 출력 감시장치; 및 상기 감시장치로부터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 운용상태 감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중계기를 관리하는 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합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monitoring a repeater operation state, comprising: a repeater installed in a transliteration area such as a subway, a tunnel, and an underground structure; A plurality of output monitoring devices connected to a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of the repeater and having an antenna for receiving a master modem signal of the repeater through a coupler to monitor a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operation state of the repeater; And an integration server for receiving the last service output stage operation status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repeater from the monitoring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tatus monitoring information to the operator terminal managing the repeater.

또한, 상기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은, 상기 마스터 모뎀을 원격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 유닛부; 기지국과의 통신 RF 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증폭시키는 앰프부; RF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 수신부; 상기 앰프부와 저잡음 증폭기 수신부로부터 상향 신호전송을 담당하는 신호 전송부; 및 상기 중계기 최종 서비스 출력단에 외부에서 들어오는 교류 전압를 직류로 변환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of the repeater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unit unit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master modem; An amplifier unit for amplifying a communication RF signal to a predetermined level; A low noise amplifier receiving unit for amplifying an RF signal; A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s from the amplifier unit and the low noise amplifier receiving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converting AC voltage input from the outside into DC power and supplying power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peater final service.

또한, 상기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은 출력을 2개 이상의 분기점에 분배하거나 2개 이상의 동축 선로에서 전송된 신호를 하나의 접속점에 모으는 제 1 결합기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of the repeater may include a first coupler that distributes the output to two or more branch points or collects signals transmitted from two or more coaxial lines at one connection point.

그리고 상기 출력 감시장치는, 상기 마스터 모뎀과 접속되는 슬래이브 모뎀; 상기 중계기의 제어 및 상태 감시를 하는 리모트 컨트롤 제어 유닛부;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 제어 유닛부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값을 전송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monitoring device includes: a slave modem connected to the master modem; A remote control unit unit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repeater; And an output unit for transmitting an output value output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unit.

또한, 상기 슬래이브 모뎀에는 상기 출력 감시장치간의 데이터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별 ID가 설정될 수 있다.Also, an individual ID may be set in the slave modem so as to prevent data collision between the output monitoring devices.

그리고 상기 출력 감시장치는 출력을 2개 이상의 분기점에 분배하거나 2개 이상의 동축 선로에서 전송된 신호를 하나의 접속점에 모으는 제 2 결합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 output monitoring apparatus may include a second coupler for distributing the output to two or more branch points or collect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wo or more coaxial lines at a single connection point.

이때, 상기 케이블은 전원을 급전하기 위해 바이어스 티가 내장된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ble may be formed of a circuit having a built-in bias to supply pow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계기의 출력단과 케이블로 연결되며, 결합기를 통해 중계기의 마스터 모뎀 신호를 전달받는 안테나를 구비하여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다수개의 출력 감시장치 및 상기 출력 감시장치로부터 중계기의 운용상태 감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중계기를 관리하는 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합 서버를 구비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되고 있는 중계기의 운용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provided a plurality of output monitoring apparatuses, each of which has an antenna for receiving a master modem signal of a repeater through a coupler and a cable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repeater, And an integrated server for receiving operational status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repeater from the output monitoring device and transmitting the monitoring information to the operator terminal managing the repeater, thereby realiz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repeater being serviced anytime and anywhere.

따라서, 본 발명은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 운용상태에 따른 통신 서비스의 품질정보를 능동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통신 서비스에 대한 고객 불만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customer complaints about the communication service by actively managing the quality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operation state of the repeater.

따라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 운용상태를 확인함으로써, 긴급 상황에 대한 위기 대처가 가능하여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quality service by confirm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of the repeater in real time, and being able to cope with an emergency crisi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에 채용되는 중계기와 출력 감시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에 채용되는 중계기와 출력 감시장치에 대한 세부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peater operation sta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peater and an output monitoring apparatus employed in a repeater operation sta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peater and an output monitoring apparatus employed in a repeater operation sta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중계기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시스템(100)에 있어서, 지하철, 터널, 지하 구조물 등 음영 지역에 설치되는 중계기(110), 상기 중계기(110)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111)과 케이블(119)로 연결되며, 결합기를 통해 상기 중계기(110)의 마스터 모뎀 신호를 전달받는 안테나(125)를 구비하여 상기 중계기(110)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111)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다수개의 출력 감시장치(120) 및 상기 출력 감시장치(120)로부터 중계기(110)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111) 운용상태 감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중계기(110)를 관리하는 운용자 단말기(140)로 전송하는 통합 서버(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은 전원을 급전하기 위해 바이어스 티가 내장된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1 to 3, a system 100 for monitoring a repeater operation state includes a repeater 110 installed in a shadow area such as a subway, a tunnel, and an underground structure, a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110 of the repeater 110, And an antenna 125 connected to the repeater 110 through a cable 119 and receiving a master modem signal of the repeater 110 through a coupler to monitor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111 of the repeater 110 And an operator terminal 140 that receives the operation status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111 of the relay 110 from the output monitoring apparatus 120 and manages the relay terminal 110, And an integration server 130 for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server. At this time, the cable may be formed of a circuit having a built-in bias to supply power.

상기 중계기(110)는 지하철 역사나 지하 상가 등 지하 공간에서도 무선 호출 서비스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하는 중계기(110)로, 고품질의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 모델 및 규격에 따라 정상적인 출력범위가 입력되고, 최종 서비스 출력단(111)으로부터 출력되는 순방향 및 역방향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상기 중계기(110)의 대략적인 구성과 설명은 통상의 지식을 갖는 사업자가 실시하기에 일반적으로 생략한다.The repeater 110 is a repeater 110 that installs a wireless paging service in an underground space such as a subway station or an underground shopping center so that a wireless paging service can be smoothly performed. In order to provide a high quality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And outputs the forward and reverse signals output from 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111. [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and description of the relay device 110 are generally omitted in order to be performed by a carrier having ordinary knowledge.

상기 중계기(110)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111)은 마스터 모뎀(112), 리모트 콘트롤 유닛부(113), 앰프부(114), 저잡음 증폭기 수신부(115), 데이터 전송부(116), 전원공급부(117), 제 1 결합기(118)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111 of the repeater 110 includes a master modem 112, a remote control unit 113, an amplifier 114, a low noise amplifier 115, a data transmission unit 116, a power supply unit 117, and a first coupler 118.

상기 마스터 모뎀(112)은 FSK 통신모뎀을 말한다. 상기 리모트 콘트롤 유닛부(113)는 상기 마스터 모뎀(112)을 제어한다. 상기 앰프부(114)는 기지국과의 통신 RF 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증폭시킨다. 상기 저잡음 증폭기 수신부(115)는 RF 신호를 증폭한다. 상기 데이타 전송부(116)는 상기 앰프부(114)와 상기 저잡음 증폭기 수신부(115)를 결합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117)는 중계기(110) 최종 서비스 출력단(111)의 외부에서 들어오는 교류 전압을 직류로 변환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 1 결합기(118)는 출력을 2개 이상의 분기점에 분배하거나 2개 이상의 동축 선로에서 전송된 신호를 하나의 접속점에 모으는 역할을 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 1 결합기는 하나의 단자에 입사한 출력을 2개 이상의 단자로 출사하는 기능을 가진 전력 분기기라고 한다. 반대로 2개 이상의 단자로 입사한 출력을 하나의 단자로 출사하는 기능을 가진 전력결합기라고 한다. 이와 같이 분기 또는 결합 중 적어도 한쪽 기능을 가진 것을 분기 결합기라고 하며, 분기만의 기능을 가진 분기기, 결합만의 기능을 가진 결합기, 분기와 결합 양쪽의 기능을 가진 전력 분기 결합기를 포함하는 넓은 기능의 개념이다. The master modem 112 refers to an FSK communication modem. The remote control unit 113 controls the master modem 112. The amplifier 114 amplifies the communication RF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to a predetermined level. The low noise amplifier receiving unit 115 amplifies the RF signal. The data transfer unit 116 functions to combine the amplifier unit 114 and the low noise amplifier receiving unit 115. The power supply unit 117 converts an AC voltage received from the outside of 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111 of the repeater 110 into DC to supply power. The first coupler 118 distributes the output to two or more branch points or collects signals transmitted from two or more coaxial lines at one connection point.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mbiner is referred to as a power splitter having a function of outputting an output signal input to one terminal to two or more terminals. On the contrary, it is called a power combiner having a function of outputting an output from two or more terminals to one terminal. Such a branching or coupling having at least one function is called a branching combiner and includes a branching function, a coupler having a function of only coupling, and a wide function including a power branching combiner having both branching and coupling functions .

상기 출력 감시장치(120)는 상기 중계기(110)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111)과 케이블(119)로 연결된다. The output monitoring device 120 is connected to 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111 of the repeater 110 by a cable 119.

상기 출력 감시장치(120)는 제 2 결합기를 통해 상기 중계기(110)의 마스터 모뎀 신호를 전달받는 안테나(125)를 구비하여 상기 중계기(110)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111) 운용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The output monitoring apparatus 120 may include an antenna 125 for receiving a master modem signal of the repeater 110 through a second coupler to monitor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111 of the repeater 110 have.

상기 감시장치(120)는 리모트 컨트롤 제어 유닛부(121), 슬래이브 모뎀(122). 출력부(123), 제 2 결합기(1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nitoring device 120 includes a remote control unit unit 121, a slave modem 122, An output unit 123, and a second combiner 124. [

상기 슬래이브 모뎀(122)은 FSK 모뎀을 말하며, 상기 마스터 모뎀(112)과 접속된다. 이때, 상기 슬래이브 모뎀(122)에는 개별 ID가 설정되어, 상기 출력 감시장치(120)간의 데이터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 제어 유닛부(121)는 상기 중계기(110)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중계기(110)를 제어한다. 상기 출력 감시부(123)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 제어 유닛부(121)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값을 상기 슬래이브 모뎀(122)에 전송하며 이때, 상기 슬래이브 모뎀(122)은 이를 상기 마스터 모뎀(112)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기(124)는 출력을 2개 이상의 분기점에 분배하거나 2개 이상의 동축 선로에서 전송된 신호를 하나의 접속점에 모으는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제 1 결합기(118)와 같은 구성과 기능을 갖는다.The slave modem 122 refers to an FSK modem and is connected to the master modem 112. At this time, an individual ID is set in the slave modem 122 to prevent data collision between the output monitoring devices 120. The remote control control unit 121 monitors the status of 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of the repeater 110 and controls the repeater 110. The output monitoring unit 123 transmits the output value output from the remote control control unit 121 to the slave modem 122. At this time, the slave modem 122 transmits the output value to the master modem 112 Lt; / RTI > The second coupler 124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the first coupler 118 by distributing the output to two or more branch points or collect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wo or more coaxial lines at a single connection point .

상기 통합 서버(130)는 상기 출력 감시장치(120)로부터 중계기(110)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111) 운용상태 감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중계기(110)를 관리하는 운용자 단말기(140)로 전송할 수 있다.The integration server 130 receives the operation status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111 of the repeater 110 from the output monitoring apparatus 120 and transmits it to the operator terminal 140 managing the repeater 110 have.

이때, 상기 운용상태 감시 정보는 문자(SMS), 장문메시지(LMS)에 한하며, 컬러메일(MMS) 중 어느 한 형태로 메시지 처리 서버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자의 단말기(140)는 휴대폰, 태블릿 PC, 스마트폰, PDA 중 어느 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status monitoring information is limited to a text message (SMS) and a long message (LMS), and can be transmitted through a message processing server in any form of color mail (MMS). The remote terminal 140 may be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smart phone, or a PDA.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중계기(110)의 출력단(111)과 케이블(119)로 연결되며, 결합기를 통해 중계기(110)의 마스터 모뎀(112) 신호를 전달받는 안테나(125)를 구비하여 중계기(110)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111)의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다수개의 출력 감시장치(120) 및 상기 출력 감시장치(120)로부터 중계기(110)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111) 운용상태 감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중계기(110)를 관리하는 운용자 단말기(140)로 전송하는 통합 서버(130)를 구비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되고 있는 중계기(110)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111) 운용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계기(110)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111) 운용상태에 따른 통신 서비스의 품질정보를 능동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통신 서비스에 대한 고객 불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상기 중계기(110)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111) 운용상태를 확인함으로써, 긴급 상황에 대한 위기 대처가 가능하여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125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111 of the repeater 110 through a cable 119 and receiving a master modem 112 signal of the repeater 110 through a coupler, A plurality of output monitoring devices 120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111 of the repeater 110 and a status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111 of the repeater 110 from the output monitoring device 120 It is possible to check the operating status of 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111 of the repeater 110 which is being serviced anytime and anywhere in real time by providing the integration server 130 which transmits the relay server 110 to the operator terminal 140 managing the repeater 110. The quality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111 of the repeater 110 is actively managed, thereby minimizing the customer complaints about the communication service. Also, by confirm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111 of the relay device 110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n emergency crisis and provide a high quality servi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경 및 개량 형태 또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

100 :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
110 : 중계기
111 : 최종 서비스 출력단
120 : 출력 감시장치
130 : 통합 서버
100: Repeater oper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110: repeater
111: Final service output
120: Output monitoring device
130: Integration Server

Claims (7)

중계기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음영 지역에 설치되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기;
상기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과 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중계기의 마스터 모뎀의 신호를 전달받는 안테나를 구비하여 상기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다수개의 출력 감시장치; 및
상기 다수개의 감시장치로부터 상기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 운용상태 감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중계기를 관리하는 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합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감시장치는, 상기 마스터 모뎀과 접속된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 모뎀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중계기의 제어 및 상기 최종 서비스 출력단의 감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
A system for monitoring a repeater operational state,
A repeater installed in the shaded area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A plurality of output monitoring devices connected to a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of the repeater and having an antenna for receiving a signal of a master modem of the repeater to monitor a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operation state of the repeater; And
And an integration server for receiving the last service output terminal operation status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repeater from the plurality of monitoring devices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operator terminal managing the repeater,
Wherein the plurality of monitoring devices transmit a signal to the master modem using a modem connected to the master modem to perform the control of the relay device and the monitoring of 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은,
상기 마스터 모뎀을 원격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 유닛부;
기지국과의 통신 RF 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증폭시키는 앰프부;
RF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 수신부;
상기 앰프부와 저잡음 증폭기 수신부로부터 상향 신호전송을 담당하는 신호 전송부; 및
상기 중계기 최종 서비스 출력단에 외부에서 들어오는 교류 전압를 직류로 변환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nal service output of the repeater may comprise:
A remote control unit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master modem;
An amplifier unit for amplifying a communication RF signal to a predetermined level;
A low noise amplifier receiving unit for amplifying an RF signal;
A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s from the amplifier unit and the low noise amplifier receiving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converting an alternating-current voltage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 direct current and supplying power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peater final service;
And 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repeat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의 최종 서비스 출력단은 출력을 2개 이상의 분기점에 분배하거나 2개 이상의 동축 선로에서 전송된 신호를 하나의 접속점에 모으는 제 1 결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nal service output terminal of the repeater comprises a first coupler for distributing an output to two or more branch points or collect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wo or more coaxial lines at a single connection poi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감시장치는,
상기 마스터 모뎀과 접속되는 슬레이브 모뎀;
상기 중계기의 제어 및 상태 감시를 하는 리모트 컨트롤 제어 유닛부;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 제어 유닛부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값을 상기 슬레이브 모뎀을 통해 상기 마스터 모뎀으로 전송하기 위한 출력 감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put monitoring device includes:
A slave modem connected to the master modem;
A remote control unit unit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repeater; And
An output monitoring unit for transmitting an output value output from the remote control control unit to the master modem via the slave modem;
And 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repeat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이브 모뎀에는 상기 출력 감시장치간의 데이터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별 ID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 individual ID is set in the slave modem so as to prevent data collision between the output monitoring devic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감시장치는 출력을 2개 이상의 분기점에 분배하거나 2개 이상의 동축 선로에서 전송된 신호를 하나의 접속점에 모으는 제 2 결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monitoring apparatus includes a second coupler for distributing an output to two or more branch points or collect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wo or more coaxial lines at a single connection poi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전원을 급전하기 위해 바이어스 티가 내장된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ble comprises a circuit having a built-in bias to supply power.
KR1020110005146A 2011-01-18 2011-01-18 Repeater oper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Active KR1017710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146A KR101771060B1 (en) 2011-01-18 2011-01-18 Repeater oper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146A KR101771060B1 (en) 2011-01-18 2011-01-18 Repeater oper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805A KR20120083805A (en) 2012-07-26
KR101771060B1 true KR101771060B1 (en) 2017-08-25

Family

ID=46714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146A Active KR101771060B1 (en) 2011-01-18 2011-01-18 Repeater oper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06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476B1 (en) * 1996-03-13 1999-05-15 임재봉 Outdoor reception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KR100755245B1 (en) * 1999-04-26 2007-09-06 앤드류 코포레이션 Antenna structure and install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476B1 (en) * 1996-03-13 1999-05-15 임재봉 Outdoor reception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KR100755245B1 (en) * 1999-04-26 2007-09-06 앤드류 코포레이션 Antenna structure and instal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805A (en)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7896B2 (en) Relay system
KR101403978B1 (en) Apparatus for relaying communication signal to protecting building
KR20140092401A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same, and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apparatus
WO1999067901A1 (en) Repeating installation using telephone line
CN102355296A (en) Interference counteraction system used for co-frequency repeater and method thereof
KR101468547B1 (en) In-building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using TV cable network and terminal device for the same
EP2044704B1 (en) Radio frequency signal distribution using data cable system
JP4620295B2 (en) Optical transmission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KR20100111547A (en) Method for providi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building repeater therefor
KR101771060B1 (en) Repeater oper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KR101771598B1 (en) Repeater system and repeater equipment supporting broadband communication and local area communication
KR102070947B1 (en) Switch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0932399B1 (en) In-build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with multiple interfaces
KR100432300B1 (en) Method and device that radio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cloud buster
KR100731380B1 (en) Repeater control device using GPS signal
AU2020101259A4 (en) The lift car cellular repeater coverage solution. I was designed to to provide cellular mobile coverage into the lift car system. The solution is based on employing an active bi-directional repeater modules to receive off-air cellular signals, amplify them and transmit the signal/s into the lift car. The system provides an innovative step by employing approved cellular repeaters designed to operate in a mobile environment to re-relay signals from a server antenna in the lift shaft into the lift car.
KR101036628B1 (en) Home-use repeater with surveillance device and surveillance method
CN210016464U (en) Trunk amplifier and signal coverage system
CN211267028U (en) Omnidirectional voice calling device
KR100629141B1 (en) Optical signal connection radio frequency relay service method and system
KR101037734B1 (en) Method, relay device and relay system for relayi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passive optical network
JP4550550B2 (en) Integrated relay system
KR20100009701U (en) Communication service apparatus using impedance conversion amplifier module in building or apartment
KR101469884B1 (en) Wireless repeater
CN110689711A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wireless public network signals by using low-voltage power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2-X000 Request for substantive examination rejec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2-exm-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