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261B1 -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zone-based 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zone-based ser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0261B1 KR101770261B1 KR1020110043635A KR20110043635A KR101770261B1 KR 101770261 B1 KR101770261 B1 KR 101770261B1 KR 1020110043635 A KR1020110043635 A KR 1020110043635A KR 20110043635 A KR20110043635 A KR 20110043635A KR 101770261 B1 KR101770261 B1 KR 1017702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zone
- information
- terminal
- access
- u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와 태깅을 통해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존에 대한 출입이 감지된 경우, 외부기기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and a system and a server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comprising the steps of: detecting access to a zone through tagging with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when an access to the zone is detected; And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and a server and a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편리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자동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특정 존(zone)에 진입하면 자동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존 기반 서비스(ZSB: zone-based service)가 점점 각광받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automation technology for convenient life, zone-based service (ZSB), which automatically provides various services when entering a specific zone, is getting more and more popular.
이러한 존 기반 서비스에서는 고객의 니즈(needs)를 파악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데, 최근에는 일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신 개개인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this zone-based service,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needs of customers and provide appropriate services. In recent years, research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according to individuals instead of providing uniform services.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존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여 그에 따라 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zone-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detecting a user's access to a specific zone by using a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of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accordingly, .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특정 존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여, 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외부기기를 제어하고, 그 외부기기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zone-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to detect a user's access to a specific zone to provide a zone-based service and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ternal device,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특정 존에 대한 출입 시 그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해당 존에 출입할 수 있는지에 관한 인증을 수행하는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zone-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regarding access to a zone through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ccessing a specific zone, and a server and a system for performing the zone-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will be.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특정 사용자가 존에 출입하는 경우에, 이를 해당 사용자와 관계된 자에게 알리는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zone-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notifying a user related to a user when a specific user accesses the zone, and a server and a system for performing the servic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와 태깅을 통해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존에 대한 출입이 감지된 경우, 외부기기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comprising the steps of: detecting access to a zone through tagging with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when an access to the zone is detected; And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와 태깅을 통해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존에 대한 출입이 감지된 경우, 외부기기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기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외부기기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외부기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comprising: detecting access to a zone through tagging with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when an access to the zone is detected; And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xternal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와 태깅을 통해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존에 대한 출입이 감지된 경우, 상기 태깅된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외부기기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존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동작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외부기기가 상기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comprising: detecting access to a zone through tagging with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quiring user information from the tagged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ccess to the zone is detected; Determining an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Obt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zone and determining a specific opera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to perform the specific operation; And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와 태깅을 통해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태깅된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존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존에 대한 출입이 감지된 경우, 외부기기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comprising: detecting access to a zone through tagging with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btain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agged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ing access to the zone based o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a warning message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invalid;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when an access to the zone is detected; And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와 태깅을 통해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존에 대한 출입이 감지된 경우, 외부기기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외부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존에 대한 출입이 감지된 경우, 제2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기 존에 대한 출입을 반영하는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comprising the steps of: detecting access to a zone through tagging with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when an access to the zone is detected;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 notification message reflecting the access to the zone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access to the zone is detected.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는, 통신부; 및 존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와 태깅을 통해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한 경우, 통신부를 통해 외부기기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rver for performing a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mobile terminal detects entrance and exit with respect to the zone through tagging with the first mobile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는, 통신부; 및 존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와 태깅을 통해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한 경우, 통신부를 통해 외부기기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기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외부기기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외부기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rver for performing a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mobile terminal detects entrance and exit with respect to the zone through tagging with the first mobile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Her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xternal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는, 통신부; 및 존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와 태깅을 통해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한 경우, 통신부를 통해 외부기기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존 단말기는, 상기 태깅된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존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외부기기를 판단한다. 또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존 단말기로부터 상기 존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동작을 판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rver for performing a method for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the server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mobile terminal detects entrance and exit with respect to the zone through tagging with the first mobile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Here, the terminal may receive user information from the tagged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 Here,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zone from the zon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determines the specific opera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는, 통신부; 및 존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와 태깅을 통해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한 경우, 통신부를 통해 외부기기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존 단말기가 상기 태깅된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인증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제2이동 통신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rver for performing a method for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the server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mobile terminal detects entrance and exit with respect to the zone through tagging with the first mobile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Here, the zone terminal receiv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agged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warning message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not vali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는, 통신부; 및 존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와 태깅을 통해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한 경우, 통신부를 통해 외부기기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존에 대한 출입이 감지된 경우, 상기 존에 대한 출입을 반영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2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존 단말기로부터 상기 존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존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이동 통신 단말기를 판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rver for performing a method for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the server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mobile terminal detects entrance and exit with respect to the zone through tagging with the first mobile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Here, when the access to the zone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notification message reflecting the access to the zone, and transmits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Here, the control unit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for the zone from the zone terminal, generates the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zone and the user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와 태깅을 통해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감지부 및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존 단말기; 및 상기 존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 외부기기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 및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상기 존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존에 대한 출입을 판단하고, 상기 존에 대한 출입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가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기기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performing a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the system including: an entrance sensing unit for sensing access to a zone through tagg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A zone terminal including;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o determine access to the zone And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to perform a preset operation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when the access to the zone is detected,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external device,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존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여 그에 따라 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detecting a user's access to a specific zone by using a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accordingly.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존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된 경우, 외부기기를 제어하여 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외부기기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by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when a user's access to a specific zone is detected,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the external device.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존에 대한 출입 시 그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해당 존에 출입할 수 있는지에 관한 인증을 수행하여 존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ccess to a zone is controlled by performing authentication as to whether or not access to the zone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ccessing a specific zone.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사용자가 존에 출입하는 경우에, 이를 해당 사용자와 관계된 자에게 알리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user enters or exits a zone, it is effective to notify a person concerned with the user.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효과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존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외부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2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2실시예에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zone based service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zon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providing a zone 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for displaying the status of an external device in a zone-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message in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iagram for providing a warning message in a zone-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8 is a diagram for providing a warning message in a zone-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for easily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접속”이나 “연결”은 반드시 직접적인 접속 또는 연결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매개체를 통한 간접적인 접속 또는 연결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모듈” 또는 “부”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사용하는 용어이므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기능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term " connection " or " connection " does not necessarily refer to a direct connection or connection, but rather to an indirect connection or connection through an intermediary. Also, " module " or " part " is a term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refore does not have a meaning or function that is different from itself.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고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 또는 변형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할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or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o.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can be omitted.
존 기반 서비스에서 존이란 댁내나 건물 내와 같이 미리 설정된 임의의 지역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존 기반 서비스는 이러한 존에 있거나 그 존에 진입 또는 진출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을 것이다.In a zone-based service, a zone refers to any area that is preset, such as within a building or a building. Thus, a zone-based service may refer to various services that are present in, or provided to, users entering or advancing into such zones.
예를 들어, 존이 댁내인 경우에는, 존 기반 서비스는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건물 내인 경우, 인 빌딩 오토메이션(in-building automation)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f the zone is in-house, the zone-based service may be implemented through home automation and, if it is within a building, it may be implemented through in-building automation.
이하에서는 이러한 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시스템(100)에 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Hereinafter, a zone-based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시스템(100)은, 특정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하여 그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zone based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존 단말기(200)와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zone-based
존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하거나 존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는 등 존에 대한 출입을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존 단말기(200)는 존 단말기(200)가 관리하는 존의 출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시스템(100)은 복수의 존(Z1, Z2, Z3)에 대하여 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때는 각 존(Z1, Z2, Z3)마다 그 존(Z1, Z2, Z3)을 관리하는 존 단말기(200)가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zone-based
서버(300)는 존에 대한 출입이 감지된 경우, 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존 기반 서비스를 제공되도록 외부기기(D)를 제어하거나 사용자에게 존에 대한 출입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전자기기(E)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기기(D)란, 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로서, 예를 들어, 건물의 엘리베이터나 건물의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 등과 같은 이동 수단일 수 있다. 이외에도 외부기기(D)에는, 댁내의 있는 다양한 가전제품이 포함될 수가 있다. 또, 전자기기(E)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기기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개인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존 단말기(200)에 관하여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존 단말기(200)의 구성도이다.Hereinafter, the
존 단말기(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존에 대한 출입을 관리할 수 있다. 존 단말기(200)는 존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존에 진입하거나 존으로부터 진출하는 것을 감지하거나 출입을 통제할 수 있을 것이다.The
이러한 존 단말기(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감지부(210),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20), 출입 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230) 및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통제부(2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출입감지부(210)는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존 단말기(200)의 출입감지부(2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ntrance /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 무선으로 수행되는 통신을 지칭하는 넓은 의미로써, 좁은 의미의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field communication)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직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와이브리(Wibree),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NFC를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a broad sense which refers to a communication performed wirelessly over a relatively short distance and is not limited to a near-field communication (NFC) in a narrow sense, and includes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Zigbee), Bluetooth, Wi-fi, Wibree, ultra wideband (UWB), an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Howev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NFC.
NFC는 RFID에 관련된 초단거리 비접촉식 데이터 전송 기술(very short-range contactless data transfer technology)로서, 약 10cm 이내의 거리에 위치한 장치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 규격으로서, 13.56MHz의 중심 주파수를 사용하며, 106, 212, 424k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NFC is a very short-range contactless data transfer technology related to RFID. It is a communication standard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located within a distance of about 10 cm. It uses a center frequency of 13.56 MHz, and 106 , 212, and 424 kbps, respectively.
이러한 NFC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출입감지부(210)는, NFC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기기(E)와 태깅(tagging)을 통하여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NFC 모듈을 포함하는 출입감지부(210)는 역시 NFC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E), 예를 들어 NFC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NFC 통신이 가능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는데, 존의 출입구에 설치된 출입감지부(210)는 이를 통해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Specifically, the
출입감지부(210)는 이와 같이 존에 대한 출입이 감지된 경우 이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켜 통신부(220)를 통해 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이때, NFC 통신 링크는 존 단말기(200)를 기준으로, 리더 모드(reader mode),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card emulation mode) 및 피어 투 피어 모드(peer-to-peer mode)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형성될 수 있다. 리더 모드에서는 존 단말기(200)는 NFC 리더(reader)로 작동하고, 전자기기(E)는 NFC 태그(tag)로 작동하여, 존 단말기(200) 측에서 링크를 개설하고, 전자기기(E)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에서는 존 단말기(200)가 NFC 태그로 작동하고, 전자기기(E)가 NFC 리더로 작동하게 되며, 피어 투 피어 모드에서는 양 방향 통신을 통해 존 단말기(200)와 전자기기(E)가 서로 데이터를 교환(exchange)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FC communication link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a reader mode, a card emulation mode, and a peer-to-peer mode on the basis of the
한편, 출입감지부(210)는 이처럼 전자기기(E)와 통신 링크를 형성하여 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감지부(210)는 전자기기(E)로부터 사용자의 출입을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인증 정보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entrance /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인데, 전자기기(E)가 주로 한 명의 사용자에 의해서 사용되는 휴대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경우에는 그 전자기기(E)의 식별 정보를 사용자 정보로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Here, the us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user. When the electronic device 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cellular phone used mainly by on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E is used as user information It might be.
한편, 출입감지부(210)는 존에 진입하는지, 존으로부터 진출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예를 들어, 출입감지부(210)는 존의 외측에 설치된 제1근거리 통신 모듈과 존의 내측에 설치된 제2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근거리 통신 모듈과 전자기기(E)가 태깅되면, 출입감지부(210)는 존에 대한 진입을 감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2근거리 통신 모듈과 전자기기(E)가 태깅되면, 존으로부터의 진출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통신부(220)는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2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서버(300)에 존에 대한 출입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The
예를 들어, 통신부(220)는 출입감지부(210)가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하면 이를 따라 발생한 신호 내지는 이를 반영하는 정보를 서버(300)에 제공하거나 전자기기(E)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정보나 존 단말기(200)의 존 식별 정보를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the
여기서, 존 식별 정보는 존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는데, 존 식별 정보는 존 기반 서비스 시스템(100)이 복수의 존을 각각 관리하는 복수의 존 단말기(200)와 서버(300)로 구성된 경우, 각각의 존 또는 존 단말기(200)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Herein, the z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refer to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zone. The z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인증부(230)는 존에 대한 출입 권한을 인증할 수 있다. 존 단말기(200)는 존에 대한 출입에 대하여 특정 권한이 있는 자의 출입만을 허가할 수 있는데, 인증부(230)는 출입이 허가되는지 여부에 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
출입감지부(210)는 전자기기(E)와 NFC 통신을 통해 전자기기(E)로부터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인증부(230)는 이때 획득된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인증부(230)는 유효한 인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어, 출입감지부(210)가 획득한 인증 정보를 인증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인증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출입통제부(240)는 존에 대한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출입통제부(240)는 인증부(230)의 인증 결과에 따라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통제부(240)는 인증이 유효한 경우에는 출입을 허가하고 인증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출입을 불허할 수 있다.The
이러한 출입통제부(240)는 도어락 장치와 같은 존의 출입구에 설치된 외부의 보안 장치를 제어하여 존에 대한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이때 존 단말기(200) 자체가 보안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이하에서는 서버(300)에 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300)의 구성도이다.Hereinafter, the
본 발명에 따른 서버(300)는 존에 대한 출입이 감지된 경우, 그에 따라 다양한 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이러한 서버(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존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310), 외부기기(D)나 전자기기(E)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320), 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30) 및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제1통신부(310)는 상술한 존 단말기(200)의 통신부(220)에 대응하여 상기 존 단말기(2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통신부(310)는 유선이나 무선으로 존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통신부(310)는 존 단말기(200)로부터 출입이 감지된 것에 따라 발생한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 정보, 존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The
제2통신부(320)는 외부기기(D)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제2통신부(320)를 통해 외부기기(D)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And the
제2통신부(320)는 또 전자기기(E)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제2통신부(320)를 통해 특정 사용자가 특정 존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그 특정 사용자에 연계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에 이를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제2통신부(320)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The
데이터베이스(330)는 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 별 외부기기(D) 목록, 사용자 별 전자기기(E), 존 별 전자기기(E) 목록, 존 별 미리 정해진 동작 또는 서비스 동작 등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이러한 데이터베이스(330)는 하드디스크, 메모리 등의 다양한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스토리지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제어부(340)는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존 기반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부(340)는 다양한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로써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340)의 동작에 관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후술하기로 한다.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a zone-based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것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이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시스템(100)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zone-bas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시스템(100) 이외에도 이와 동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using another system that performs similar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zone-bas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providing a zone 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1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존 단말기(200)가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하는 단계(S110), 존 단말기(200)가 존에 대한 출입에 관한 정보를 서버(300)에 송신하는 단계(S120), 서버(300)가 존에 대한 출입에 관한 정보에 따라 외부기기(D)를 제어하는 단계(S130) 및 서버(300)가 외부기기(D)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s shown in FIG. 4, when the
존 단말기(200)는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할 수 있다(S110). The
존 단말기(200)의 출입감지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E)가 미리 정해진 범위 이내로 접근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자기기(E)와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존 단말기(200)는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할 수 있다. 존 단말기(200)는 출입이 감지된 경우, 이에 따라 신호를 생성하거나 존에 대한 출입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한편, 존 단말기(200)와 전자기기(E) 간의 통신 링크가 개설되면, 출입감지부(2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자기기(E)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a communication link is established between the
존 단말기(200)는 존에 대한 출입에 관한 정보를 서버(300)에 송신할 수 있다(S120),The
존 단말기(200)가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하면, 존 단말기(200)의 통신부(220)가 존에 대한 출입에 관한 정보를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존에 대한 출입에 관한 정보란, 존에 대해 출입이 감지된 것에 따라 발생한 신호, 즉 존에 대한 출입여부를 반영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 정보와 존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존 단말기(200)는 존에 출입하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와 존 단말기(200)가 관리하는 존을 식별하기 위한 존 식별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서버(300)는 존에 대한 출입에 관한 정보에 따라 외부기기(D)를 제어할 수 있다(S130). The
우선, 서버(300)는 제1통신부(310)를 통해 존 단말기(200)로부터 존에 대해 출입여부를 반영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340)가 이에 따라 존에 대한 출입을 판단할 수 있다.First, the
이에 따라 존에 대한 출입이 있는 경우에, 제어부(340)는 외부기기(D)를 제어하여 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40)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2통신부(320)를 통해 외부기기(D)로 제어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외부기기(D)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re is access to the zone, the
이때, 제어부(340)는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제어할 외부기기(D)를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30)에는 사용자 별 외부기기(D) 목록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는데, 제어부(340)는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사용자 별 외부기기(D) 목록을 참고하여 존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기기(D)를 선택하여 제어할 외부기기(D)를 정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예를 들어, 제1사용자가 존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340)는 데이터베이스(330)를 검색하여 제1사용자에게 할당된 외부기기(D)인 제1차량과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외부기기(D)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40)는 제1차량의 시동을 걸고, 엘리베이터를 제1사용자가 있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제2사용자가 존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어부(340)는 역시 데이터베이스(330)를 제2사용자에게 할당된 외부기기(D)인 제2차량과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외부기기(D)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user is detected to be out of the zone, the
또한, 제어부(340)는 존 식별 정보에 따라 외부기기(D)가 수행할 존 기반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30)에는 존 별 서비스 동작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는데, 제어부(340)는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존 별 서비스 동작을 참고하여 존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존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 동작을 선택하여 외부기기(D)가 수행할 존 기반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존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340)는 데이터베이스(330)를 검색하여, 엘리베이터가 제1존의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서비스 동작으로 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가 제2존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340)는 엘리베이터를 제2존의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서비스 동작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user is detected to be out of the first zone, the
또한, 제어부(340)는 인터넷 등으로부터 획득된 날씨 정보나 사용자의 전자기기(E)로부터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 등을 획득하여, 이를 더 고려하여 수행할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가 추운 경우에는 차량이 외부기기(D)로 선택된 경우에는, 차량의 히터를 틀거나 날씨가 더운 경우에는 차량의 에어컨을 켤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이처럼, 서버(300)가 제어할 외부기기(D) 및 외부기기(D)가 수행할 존 기반 서비스를 결정하면, 제어부(340)는 이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2통신부(320)를 통해 외부기기(D)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기기(D)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존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서버(300)는 외부기기(D)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140). 본 단계에 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외부기기(D)의 상태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에 관한 도면이다.The
여기서 외부기기(D)의 상태 정보란, 외부기기(D)의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외부기기(D)가 수행하는 동작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D)가 엘리베이터인 경우, 엘리베이터의 현재 위치 및 이동하고 있는 층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외부기기(D)가 차량인 경우에는,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위치 및 차량이 시동이 켜져 있는지, 차량의 히터나 에어컨 등이 작동하고 있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device D and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external device D.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device D is an elevator, it may be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elevator and the number of moving floors.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device D is a vehicle, i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where the vehicle is parked, whether the vehicle is turned on, whether the heater or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is operating, and the like.
서버(300)는 이러한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2통신부(320)를 통해 외부기기(D)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엘리베이터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위치, 이동하고 있는 방향, 향하고 있는 층수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또는 서버(300)는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기기(D)를 모니터링 하는 장치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주차장에는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있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는데, 서버(300)는 이러한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서버(300)가 이처럼 외부기기(D)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면, 제어부(340)는 제2통신부(320)를 통해 사용자의 전자기기(E)로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40)는 존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전자기기(E)를 결정할 수 있다. When the
예를 들어, 제1사용자가 제1존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서버(300)는 존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제1차량과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외부기기(D)로 결정하여, 제1차량의 시동을 걸고, 히터를 켜고, 엘리베이터가 사용자가 있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이때, 서버(300)는 제2통신부(320)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참고하여 사용자의 전자기기(E)로 제1차량이 주차장의 제1위치에 주차되어 있으며, 시동이 걸리고, 히터가 켜졌으며, 엘리베이터가 제4층으로부터 위로 이동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user is out of the first zone, the
전자기기(E)는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E can receive this information and provide such information to the user as shown in Fig.
더 나아가, 전자기기(E)는 사용자로부터 외부기기(D)를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받고, 이러한 신호에 따라 외부기기(D)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E)는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히터를 끄는 신호를 입력되면, 이를 서버(300)로 송신하고, 서버(300)는 이를 다시 외부기기(D)로 송신하여 차량의 히터가 꺼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전자기기(E)에서 직접적으로 차량으로 히터를 끄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more, the electronic device E may receive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D from a user, and may control the external device D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when a signal for turning off the heater of the vehicle is inputted from the user, the electronic appliance E transmits the signal to the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존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여 그에 따라 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enter and leave a specific zone by using the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vide the zone-based service accordingly.
또한, 특정 존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된 경우, 외부기기(D)를 제어하여 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외부기기(D)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s access to a specific zone is detected, the external device D is controlled to provide a zone-based service, and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external device D can be provid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2실시예에 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2실시예의 순서도이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is a flowch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2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존 단말기(200)가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하는 단계(S210), 존 단말기(200)가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20), 존 단말기(200)가 존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는 단계(S230), 존 단말기(200)가 서버(300)로 존에 대한 출입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240) 및 서버(300)가 다른 전자기기(E)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2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존 단말기(200)가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할 수 있다(S210).The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존 단말기(200)는 전자기기(E)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전자기기(E)와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개설함으로써,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E approaches within a distance enabl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y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link, the access to the zone can be detected.
존 단말기(200)가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20). The
여기서, 인증 정보는 존을 출입하기 위한 암호 내지는 식별 코드 같은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정보는 복수의 존이 있는 경우, 존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 사용자 정보 자체가 인증 정보의 기능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Her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or an identification code for accessing the zon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zon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zone, and the user may arbitrarily se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some cases, the user information itself may function a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사용자의 전자기기(E)에는 이러한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존 단말기(200)로 이를 전송할 수 있다. 존 단말기(200)는 출입감지부(210)를 통해 근접한 전자기기(E)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is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user's electronic device E 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존 단말기(200)가 존에 대한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S230).The
존 단말기(200)는 수신한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존에 대한 출입을 허용하거나 불허할 수 있다. 존 단말기(200)의 인증부(230)는, 유효한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인증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있는데, 인증부(230)는 이러한 인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전자기기(E)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를 인증할 수 있다.The
출입통제부(240)는 인증부(230)로부터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를 판단할 결과에 따라 존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인증부(230)의 인증 결과에 따라 인증 정보가 유효한 경우에는 출입통제부(240)는 존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존의 출입구에 도어락과 같은 보안 장치가 설치된 경우, 출입통제부(240)는 이러한 보안 장치가 오픈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 예로, 인증 정보가 정당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출입통제부(240)는 존의 출입을 불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입통제부(240)는 존의 보안 장치를 잠글 수 있을 것이다.The
한편, 이러한 출입통제부(240)는 알람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증부(230)에서 정당치 않은 인증 정보가 미리 정해진 회수 이상 입력된 경우에는, 출입통제부(240)는 알람장치를 이용하여 경고 메시지 내지 알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The
존 단말기(200)가 서버(300)로 존에 대한 출입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240).The
여기서, 존에 대한 출입에 관한 정보는, 존의 출입 여부를 반영하는 정보, 사용자 정보, 존 식별 정보 및 인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nformation on access to the zon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reflecting whether the zone is in or out, user information, z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authentication result.
존 단말기(200)는 전자기기(E)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인증 결과는 전자기기(E)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부(230)에서 판단할 수 있으며, 존 식별 정보는 존 단말기(200) 고유의 정보로 존 단말기(200)가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The
존 단말기(200)는 통신부(220)를 통해 이러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하고, 서버(300)의 제1통신부(310)는 이러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서버(300)가 다른 전자기기(E)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250). 본 단계에 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2실시예에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The
서버(300)는 제1통신부(310)를 통해 존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존에 대한 출입에 관한 정보를 제2통신부(320)를 통해 다른 전자기기(E)로 송신할 수 있다.The
먼저, 서버(300)는 존 식별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다른 전자기기(E)를 결정할 수 있다. First, the
예를 들어,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30)에는 존 별 사용자 목록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해당 존에 대한 출입을 할 수 있는 자 또는 해당 존에 거주하는 자에 대한 목록일 수 있다. 서버(300)는 존 단말기(200)로부터 존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제어부(340)는 이러한 존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그 존에 연계된 사용자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결정되면, 서버(300)는 그 사용자의 전자기기(E)로 존에 대한 출입에 관한 정보를 제2통신부(32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다른 예를 들어,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30)에는 사용자 별 다른 사용자 목록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사용자란 특정 사용자에 대하여 가족 관계나 동거인 등과 같이 특정 관계를 가진 자를 의미할 수 있다. 서버(300)는 존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제어부(340)는 이러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베이스(330)를 참조하여 다른 사용자를 결정할 수 있다. 역시 다른 사용자가 결정되면, 서버(300)는 그 다른 사용자의 전자기기(E)로 존에 대한 출입에 관한 정보를 제2통신부(32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another user list may be stored in the
여기서, 다른 전자기기(E)로 송신되는 존에 대한 출입에 관한 정보는 존 단말기(200)가 서버(300)로 송신한 존에 대한 출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서버(300)가 다른 전자기기(E)로 송신하는 존에 대한 출입에 관한 정보는, 존에 출입여부, 인증결과, 존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formation on access to the zone transmitted to the other electronic device E may include information on access to the zone transmitted from the
이처럼 존에 대한 출입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다른 전자기기(E)는 이러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다른 전자기기(E)의 사용자는 존에 대한 출입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As such, the other electronic device E that has received information on access to the zone can display such information. Thereby, the user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E can receive information on access to the zone in real time.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용자가 제1존(Z1)에 출입하는 경우, 즉, 제1사용자의 전자기기(E1)이 존 단말기에 태깅되는 경우, 제1사용자에 관련된 제2, 제3, 제4사용자는 각각의 전자기기(E2, E3, E4)를 통해 제1사용자가 제1존(Z1)으로부터 벗어났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사용자는 아이나 노인과 같은 피보호자이고, 제2, 제3, 제4 사용자는 부모와 같은 피보호자의 보호자일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when the first user enters and exits the first zone Z1, that is, when the electronic appliance E1 of the first user is tagged to the zone terminal, The associated second, third, and fourth users may provide a notification message informing that the first user is out of the first zone Z1 through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E2, E3, and E4. Here, the first user may be a protected person such as a child or an elderly person, and the second, third, and fourth users may be a guardian of a protected person such as a parent.
다른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존(Z2)에 대해 출입권한이 없는 특정 사용자가 제2존(Z2)에 출입하려는 중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 제2존(Z2)에 관련된 제6, 제7사용자는 각각 전자기기(E)를 통해 제2존(Z2)에 무단으로 침입하려는 시도가 있었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8, in the case where a specific user who has no access right to the second zone Z2 fails authentication while attempting to enter the second zone Z2, the second zone Z2, The sixth and seventh users associated with the second zone Z2 may be provided with warning messages indicating that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infiltrate the second zone Z2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E,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존에 대한 출입 시 그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해당 존에 출입할 수 있는지에 관한 인증을 수행하여 존에 대한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ccessing a specific zone,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s to whether or not the user can access the zon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can do.
또한, 특정 사용자가 존에 출입하는 경우에, 이를 해당 사용자와 관계된 자에게 알릴 수 있다.Further, when a specific user enters or exits the zone, it can notify the person concerned with the user.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따라서 각 실시예는 상술한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 단계는 반드시 설명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나중에 설명된 단계가 먼저 설명된 단계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In the zone-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steps constituting each embodiment are not essential, and therefore, each embodiment may selectively include the above-described steps. Moreover, each step constituting each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order described, and the step described later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tep described earlier.
또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각 실시예들은 서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은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In the zone-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may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Further, the steps constituting each embodiment can be used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with the steps constituting the other embodimen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를 수행하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a zone-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the form of a code or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존 기반 서비스 시스템
200: 존 단말기
210: 출입감지부 220: 통신부 230: 인증부 240: 출입통제부
300: 서버
310: 제1통신부 320: 제2통신부 330: 데이터베이스 340: 제어부
Z: 존 E: 전자기기 D: 외부기기 100: Zone-based service system
200: Zone terminal
210: access detection part 220: communication part 230: authentication part 240: access control part
300: server
310: first communication unit 320: second communication unit 330: database 340:
Z: Zone E: Electronic device D: External device
Claims (16)
사용자별 외부기기 목록을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존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와 태깅을 통해 존에 대한 출입을 감지한 경우, 상기 존 단말기는 상기 태깅된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존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외부기기 목록을 수신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외부기기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외부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A communication unit;
A database including an external device list per user;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detects access to the zone through tagging with the first mobile terminal 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tagged first mobile terminal, Receiving an external device list corresponding to the user from the database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al terminal,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user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server.
상기 외부기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외부기기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외부기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an operating state of the external devic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serv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존 단말기로부터 상기 존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동작을 판단하는
서버.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zone from the zon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determines the specific opera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상기 존 단말기가 상기 태깅된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인증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제2이동 통신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서버.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agged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not vali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warning message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rv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존에 대한 출입이 감지된 경우, 상기 존에 대한 출입을 반영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2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서버.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access to the zone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notification message reflecting the access to the zone, and transmits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serv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존 단말기로부터 상기 존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존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이동 통신 단말기를 판단하는
서버.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for the zone from the zone terminal and generates the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zone and the user information,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rver.
상기 존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 외부기기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 사용자별 외부기기 목록을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상기 존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존에 대한 출입을 판단하고, 상기 존에 대한 출입이 감지된 경우, 상기 존 단말기는 상기 태깅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존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외부기기 목록을 수신하여,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외부기기가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외부기기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A zone terminal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access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ccess to the zone through tagging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server; And
A database including a list of external devices for each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user information from the tagg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access to the zone is detected, and when the access to the zone is detected,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a list of external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user from the database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user to perform predetermined operations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cquire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external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3635A KR101770261B1 (en) | 2011-05-09 | 2011-05-09 |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zone-based ser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3635A KR101770261B1 (en) | 2011-05-09 | 2011-05-09 |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zone-based ser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5899A KR20120125899A (en) | 2012-11-19 |
KR101770261B1 true KR101770261B1 (en) | 2017-08-22 |
Family
ID=4751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3635A Expired - Fee Related KR101770261B1 (en) | 2011-05-09 | 2011-05-09 |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zone-based ser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026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1190B1 (en) * | 2017-11-30 | 2020-05-14 | 이종화 | Security module, security managing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media that records security programs |
KR20190114930A (en) | 2019-09-19 | 2019-10-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robot and security system using the s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4540B1 (en) | 2005-10-17 | 2007-07-04 | 티에스씨시스템 주식회사 | Zone personaliz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
KR100965428B1 (en) | 2009-12-22 | 2010-06-24 | (주)코스텍시스템 | Th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using two different positioned intelligent cameras for automatic verification of authenticated person's entrance |
-
2011
- 2011-05-09 KR KR1020110043635A patent/KR10177026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4540B1 (en) | 2005-10-17 | 2007-07-04 | 티에스씨시스템 주식회사 | Zone personaliz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
KR100965428B1 (en) | 2009-12-22 | 2010-06-24 | (주)코스텍시스템 | Th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using two different positioned intelligent cameras for automatic verification of authenticated person's entran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5899A (en) | 2012-1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67887B2 (en) | Systems and methods of integrating sensor output of a mobile device with a security system | |
US11949683B2 (en) | Guest access to control devices | |
US10223896B2 (en) | Operating a security system | |
US10008054B2 (en) | Smart door lock | |
US10083596B2 (en) |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ed arming and disarming of a security system | |
US10102507B2 (en) |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ate replacement of depleted batteries | |
US11062590B2 (en) |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allowances for a security system | |
US10593190B2 (en) |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in a smart home security detection system | |
KR102347668B1 (en) |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mobi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0789370B1 (en) | Visitor guidance method using sensor network and system for it | |
KR20240169137A (en) | Determination of user presence and absence using wifi | |
US10303137B2 (en) | Structure modes for controlling various systems in closed environments | |
KR101770261B1 (en) |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zone-based service | |
US11355004B2 (en) | Systems and methods of security system access and sharing temporal event-based notifications and access to devices of designated persons | |
JP4402135B2 (en) | Device control system, portable terminal and control device | |
JP6776167B2 (en) | Security systems, mobile terminals, security devices, security methods and programs | |
JPWO2017026157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81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817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