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254B1 - System for managing supporting information of wish contents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naging supporting information of wish conte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5254B1 KR101755254B1 KR1020160000245A KR20160000245A KR101755254B1 KR 101755254 B1 KR101755254 B1 KR 101755254B1 KR 1020160000245 A KR1020160000245 A KR 1020160000245A KR 20160000245 A KR20160000245 A KR 20160000245A KR 101755254 B1 KR101755254 B1 KR 1017552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support
- information
- user
- affili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 G06Q50/30—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4—Marketing, i.e.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surveying, promotions, advertising, buyer profiling, customer management or rew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위시 콘텐츠에 대해서 사용자들이 실질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내용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콘텐츠로서, 사용자가 달성하기 원하는 내용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하여 게시하기 위해 작성된 콘텐츠인 위시 콘텐츠를 관리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제휴 업체 단말로부터 입력된 콘텐츠로서, 위시 콘텐츠의 내용에 포함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작성된 콘텐츠인 지원 콘텐츠를 관리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에 따라서 일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위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출력 시, 일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위시 콘텐츠와, 복수의 지원 콘텐츠들 중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원 콘텐츠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 화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ovides a technology that systematically manages a system that supports users to achieve contents that they want to achieve. A wish content suppor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ent managing apparatus for managing a wish content which is a content created for posting contents desired by a user through a social network service Database; The content input from the affiliate terminal includes contents supporting the goods or services included in the content of the wish content and management of the support content which is a content created so as to receive the goods or services according to the selection input of the user terminal A second database; And outputting a request content corresponding to an account of one user to a user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us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the request content corresponding to a user's account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contents sele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a content outpu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upported content on the use screen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사용자가 달성하기 원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게시글인 위시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위시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 및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보 및 및 판매하는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ial network service technology for sharing wish content, which is a post including a content desired by a user, among a plurality of users, and specifically, Information to be supported, and techniques for managing the selling system.
최근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플랫폼이 제공되면서, 사용자들은 PC 및 스마트 휴대 단말 등 다양한 단말기를 활용하여 온라인 상에서의 인맥관계를 형성하고, 인맥관계에 있는 사용자들끼리 감정 및 정보 등을 공유하는 형태의 온라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Recently, various social network service (SNS) platforms have been provided, so that users can utilize various terminals such as PCs and smart portable terminals to form a personal relationship on-line, Of the online network.
그러나 기존의 일반적인 SNS 서비스는 콘텐츠의 내용에 따른 구분 없이 다양한 정보가 업로드되기 때문에, 특정 주제 또는 특정 내용의 콘텐츠가 포함된 게시글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정보의 범람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내용의 정보를 얻고자 하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general SNS service uploads various information without discrimin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the user's demand for the article including the specific topic or the contents having the specific contents is increasing, and the information is flooded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that users want to obtain information of their own contents.
한편, 사용자들은 자신이 좋아하거나 원하는 희망 사항, 즉 위시(Wish)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들과의 공유를 원하는 형태가 늘어나고 있다. 즉, 위시 콘텐츠로 지칭되는 게시글에, 자신이 희망하거나 원하는 내용의 콘텐츠를 입력하고, 이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기를 원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신의 희망 및 달성하고자 하는 내용을 공유 시 심리학적 측면에서 ?공개선언효과?와 같은 내용처럼 타인에게 자신의 희망 사항을 노출 시 이를 달성하기 위해 더 노력하고 자주 상기시키며 관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위시 콘텐츠의 노출에 의한 해당 내용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더 수월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자신이 원하는 상품, 서비스, 또는 기타 내용 등을 게시글에 기재한 위시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SNS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users are increasingly seeking to share their wishes with other users about desired wishes, that is, Wishes. In other words, a user may want to input content desired by himself or herself into a post, referred to as a wish content, and share the content with other users. In order to share his / In the sense that it is more effortful and often reminded and managed to accomplish this by exposing the wishes of others to others, such as the disclosure declaration effect,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SNS services for sharing desired contents in which a desired product, service, or other content is described in a post.
이에 한국공개특허 2011-0011226호 등에서는, 위시 콘텐츠를 편집 및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들과의 인맥관계를 형성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여, 사용자들끼리 위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SNS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0011226 discloses a technique for editing and registering desired contents to form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other users and sharing a platform for sharing the contents. SNS technology is being proposed.
또한, 한국 공개특허 2014-0019940호 등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선물 등을 받기 위하여 위시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받기 원하는 기념일 등의 날짜 정보를 입력 시 이를 사용자의 컨택 정보에 해당하는 다수의 제2 단말기들에 제공하며, 제2 단말기 등의 선물 정보에 따라서 이를 갱신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In addition,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0019940, when a user creates a wish list to receive a desired gift or the like and inputs date information such as an anniversary to receive the wish list, a plurality of second And provides a technique for updating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ift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or the like.
한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는 다양한 업체가 제휴를 맺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운영 비용을 지불하는 한편 이에 대응하여 업체의 광고 콘텐츠 등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 화면 상에 노출된다. 이때, 무분별한 광고 노출로 인한 사용자의 피로도가 상승됨에 따라서, 최근에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 노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a variety of companies establish an alliance, pay the operation cost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d correspondingly, the advertisement contents of the company are exposed on the use screen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t this time, since the user's fatigue is increased due to indiscreet ad exposure, recently, user-tailored advertisement exposure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그러나 위시 콘텐츠는 그 성격 상 해당 콘텐츠의 내용이 달성되었을 때 비로소 위시 콘텐츠로서의 역할을 실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의 종래의 기술은 위시 콘텐츠의 공유에만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어, 위시 콘텐츠의 공유에 의한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wish content can actually perform its role as a wish content only when the content of the wish content is achieved,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technical feature limited to sharing the wish content, It is difficult to expect a substantial effect by sharing.
또한, 위시 콘텐츠를 공유 시, 위시 콘텐츠의 성격 상 선호도에 따라서 호불호가 갈린다는 점에서, 위시 콘텐츠의 단순 공유는 또 다른 정보의 과제공의 문제점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sharing the desired content, the desired content is disadvantageous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ence of the desired content. Therefore, simple sharing of the desired content may cause another problem of the information.
그리고 선물 등에 대한 위시리스트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송하여 이를 관리하는 상기의 선행기술은, 단순히 사용자가 기념일 등에 받고 싶은 선물 등에 대해서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선물을 받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서, 사용자가 위시 콘텐츠를 통하여 이를 달성하고 이에 대해서 관리하도록 하지는 못하는 단순 선물 제공 및 관리 기술에 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The above prior art for transmitting a wish list for gifts and the like to other users and managing them is a technology for simply receiving a gift from other users for a gift or the like that a user wants to receive on an anniversary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merely a simple gift providing and management technology which can not achieve and manage it.
또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제공 방식은, 결국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 시 지속적으로 사용자에게 광고가 노출이 될 수 밖에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비록 기존의 방식에 비하여 사용자에게 가중되는 피로도의 정도는 다르지만, 결국 지속적인 광고 노출에 의한 사용자의 피로도 가중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In addition, since the method of providing a user-customized advertisement has a limitation that the user is exposed to the advertisement continuously when the user uses the service, the degree of fatigue weighted by the user differs from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problem of the user's fatigue weighting due to advertisement exposure can not be fundamentally solved.
이에 본 발명은, 위시 콘텐츠에 대해서 사용자들이 실질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내용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위시 콘텐츠 공유의 효과를 실질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서 위시 콘텐츠 공유 서비스의 이용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systematically manages a system that supports users to achieve contents to be achieved with respect to desired contents, thereby realizing the effect of sharing desired contents with users And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maximizes the utilization rate of the content sharing service.
또한, 본 발명은 위시 콘텐츠 공유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서 제휴 업체의 광고를 노출 시, 사용자에게 부가되는 광고 노출에 의한 피로도를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인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광고 콘텐츠 노출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advertisement content exposure technique that can obtain an efficient advertisement effect while minimizing fatigue due to advertisement exposure to a user when an advertisement of an affiliate company is exposed to a social network service for sharing a wish content There is another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콘텐츠로서, 사용자가 달성하기 원하는 내용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하여 게시하기 위해 작성된 콘텐츠인 위시 콘텐츠를 관리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제휴 업체 단말로부터 입력된 콘텐츠로서, 상기 위시 콘텐츠의 내용에 포함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작성된 콘텐츠인 지원 콘텐츠를 관리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에 따라서 일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위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출력 시, 상기 일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위시 콘텐츠와, 복수의 지원 콘텐츠들 중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원 콘텐츠를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 화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ish content suppor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ent supported by a user terminal, which is a content created to post content desired by a user through a social network service A first database for managing wish content; The content input from the affiliate company terminal includes contents supporting the goods or services included in the content of the wish content, and the contents supported by the selection of the user terminal, A second database to manage;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desir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ccount of the one user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upported contents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criterion when outputting the desir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ccount of the one user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d a content outpu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ent to be output on the use screen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은, 제휴 업체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달성하기 원하는 내용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하여 게시하기 위해 작성된 콘텐츠인 위시 콘텐츠의 내용에 포함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지원, 광고 또는 판매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제휴 콘텐츠를 수신하는 제휴 콘텐츠 수신부; 기설정된 매칭 기준에 따라서 상기 위시 콘텐츠를 사용자들 사이에서 공유하기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관리 서버에 저장된 위시 콘텐츠들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휴 콘텐츠를 매칭하는 콘텐츠 매칭부; 및 상기 콘텐츠 매칭부에 의하여 매칭된 결과에 따라서, 위시 콘텐츠에 상기 제휴 콘텐츠를 링크시킴으로써, 위시 콘텐츠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에 따라서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영역에 위시 콘텐츠에 링크된 제휴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sh content suppor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providing a wish content suppor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providing a desired content to be achieved by a user through a social network service, An affiliate content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ffiliate contents including support, advertisement, or sales contents; A content matching unit for matching at least a part of desired contents stored in a management server of a social network service for sharing the desired content among users according to a preset matching criterion and the affiliated contents; And linking the affiliate content to the desired content according to a result matched by the content matching unit, thereby outputting the affiliate content linked to the desired content in one area of the screen on which the desired content is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us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d a content outpu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ent output control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달성하고자 하는 내용이 담긴 위시 콘텐츠를 공유 시,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해당 위시 콘텐츠에 포함된 내용을 달성할 수 있도록 다른 사용자 및 제휴 업체가 지원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가 수락하여 실질적인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서 지원을 받아 위시 콘텐츠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위시 콘텐츠의 공유에 따른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이용률을 높여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wish content containing contents to be achieved by a user is shared, another user and an affiliate company can support the contents actually included in the desired content, and the user accepts It is possible to achieve desired content by receiving support for a substantial commodity or service,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experience the effect of sharing the desired content,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rate and increasing the profit.
또한, 일률적인 광고 콘텐츠 노출이 아니라, 사용자의 위시 콘텐츠에 광고 콘텐츠 등의 제휴 업체의 콘텐츠를 매칭하여 노출시키도록 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광고 노출에 의한 사용자의 피로도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위시 콘텐츠에 관련된 업체 콘텐츠를 노출시켜, 광고 등의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ent of the affiliate company such as advertisement contents is matched to the user's wish content rather than the uniform advertisement content exposure, the user's fatigue due to the continuous advertisement exposure is minimize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marketing effect of advertisement by exposing the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화면의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1 데이터베이스에 의하여 관리되는 위시 콘텐츠의 데이터 테이블의 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2 데이터베이스에 의하여 관리되는 지원 콘텐츠의 데이터 테이블의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휴 업체 단말에 표시되는 제휴 콘텐츠 제어 화면의 예.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sh content suppor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examples of a screen for using a social network servic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ample of a data table of wish content managed by a first datab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of a data table of the support content managed by the second datab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sh content suppor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ample of an affiliate content control screen displayed on an affiliate company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content suppor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an equivalent invention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communication ", " communication network ", and " network " The three terms refer to wired and wireless local area and wide are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network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ile between a user terminal, a terminal of another user, and a download server.
이하의 설명에서 “서버”란, 관리자가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구현된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작은 경우 하나의 서버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수가 많은 경우, 그 기능에 따라서 운영을 위한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 " server " refers to a server computer accessed by an administrator to access a wish content suppor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apacity is small or the number of users is small, a large number of programs can be operated on one server. Also, if the capacity is very large or the number of real-time connections is large, there may be one or more servers for operation depending on the function.
또한 서버에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미들웨어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iddleware for the database and servers performing settlement processing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but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시스템"이란, 적어도 하나의 서버로 구성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구현되는 위시 콘텐츠 공유 및 지원 정보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하의 제1 내지 제2 실시예는 서로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시스템에서 각 기능에 따라서 구성이 구분되도록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2 실시예에 의한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은 하나의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구분하기 위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ystem" will be understood as a concept comprising at least one server and all configurations for carrying out a wish content sharing and support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b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or may exist so as to divide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each function in one system. That is, the wish content suppor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for distinguishing functions performed in on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sh content suppor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10, 이하 시스템이라 함)은, 제1 데이터베이스(11), 제2 데이터베이스(12) 및 콘텐츠 출력 제어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스템(10)은 기능 수행을 위하여,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위시 콘텐츠의 다수의 계정 간의 공유를 위하여 사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관리 서버(미도시)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1, a wish content suppor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atabase 11, a
제1 데이터베이스(11)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입력된 콘텐츠로서, 사용자가 달성하기 원하는 내용을 다른 사용자들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공유하거나 자신 스스로 관리하기 위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등록 및 게시하기 위하여 작성된 콘텐츠인 위시 콘텐츠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관리 서버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10)과 연결되도록 별도의 시스템으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시스템 상에 존재할 수 있다.The first database 11 is a content input from the
본 발명에서 위시 콘텐츠라 함은, 사용자가 가고 싶은 장소, 이루고 싶은 꿈 또는 희망 사항, 구매하고 싶은 상품 또는 서비스, 먹고 싶은 음식, 입고 싶은 옷 등 자신의 위시(Wish)가 반영된 내용을 포함하는 게시글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위시 콘텐츠는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온라인 상에서 링크 등록 등을 통하여 가져온 모든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sh content refers to a content including a content reflecting the wishes of the user, such as a place the user wants to go to, a desired dream or hope, a product or service desired to be purchased, a food to be eaten, And multimedia content. Basically, the wish content can mean all the content that the user inputs or is brought online via link registration or the like.
한편 본 발명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란, 위시 콘텐츠의 내용에 포함되는 상기의 사용자의 위시가 반영된 내용에 대응하는 유무형의 객체로서, 유형의 물품, 업체에서 판매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위시가 반영된 내용을 달성하기 위하여 참조될 수 있는 정보 등의 콘텐츠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goods or a service is an item-typ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f the wish of the user included in the content of the wish content, and the content of the type, the various services sold by the company, Information that can be referred to, and the like.
위시 콘텐츠는 상기와 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콘텐츠이기 때문에, 각 위시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위시 콘텐츠에는 특정 카테고리 정보가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데이터베이스(11)는 사용자 및 카테고리 중 어느 한 항목별로 위시 콘텐츠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Since the wish content is a content including the above content, each wish content can be divided into at least one category. As described above, specific category information can be set for each desired content, and the first database 11 can store and manage desired content for either a user or a category.
이를 위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11)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시 콘텐츠 저장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위시 콘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를 설정하는 카테고리 설정 입력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함께 수신하고, 위시 콘텐츠를 관리할 때, 설정 입력된 카테고리에 따라서 위시 콘텐츠를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To this end, when the first database 11 receives the wish content storage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the first database 11 receives the category setting input for setting the category information for the wish content together from the user terminal, The desired content can be manag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input category.
상기의 실시예에서 카테고리 정보는 시스템에서 정해진 카테고리 중 사용자가 어느 한 카테고리를 해당 위시 콘텐츠에 설정하는 방식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 명칭을 입력하고, 위시 콘텐츠를 사용자가 설정한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설정하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카테고리를 위시 콘텐츠에 설정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 정보는 위시 콘텐츠를 분류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원하는 것", "달성하기 원하는 희망", "가고 싶은 곳" 등 사용자가 원하는 것 또는 희망을 나타낼 수 있는 키워드를 포함하여, 위시 콘텐츠를 분류하기 위한 정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할 것이다. 또한, 카테고리를 사용자가 직접 위시 콘텐츠에 설정하는 방식 이외에, 다른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tegory information is input by the user in such a manner that the user sets a category in the desired content or a category name of the user, and sets the desired content in any of the categories set by the user A method of setting a category to a desired content according to an input from a user terminal may be used. Further, the category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classifying the desired content, and includes keywords that can indicate what the user wants or hopes for, such as "what they want "," hope to achieve & Any information can be used for classifying contents. In addition to the manner in which the user directly sets the category to the wish content, another method can be used.
즉, 제1 데이터베이스(11)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시 콘텐츠 저장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위시 콘텐츠에 포함된 내용 정보 중 카테고리 설정에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가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위시 콘텐츠가 속하도록 저장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database 11 receives the wish content storage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the first database 11 extracts keywords related to the category setting among 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sired content, The content can be stored so that it belongs.
예를 들어 위시 콘텐츠의 내용에 "유럽, 와인"이라는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고, 해당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선택한 카테고리가 "여행, 술, 스포츠, 자기 계발"이 설정된 상태로 관리되고 있다면, 제1 데이터베이스(11)는 상기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해당 위시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여행" 및 "술"로 자동으로 설정할 것이다. For example, if the content of the wish content includes the keyword "Europe, wine ", and the user is being managed in a state where the user has set or selected the category" travel, alcohol, sports, self-development " The database 11 will automatically set the category of the desired content as "travel" and "sake" using the above keywords.
즉, 제1 데이터베이스(11) 내에 관리되는 위시 콘텐츠는 사용자 또는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분류되어 관리될 수 있고, 이를 기준으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 시 공유하고자 하는 위시 콘텐츠를 화면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wish content managed in the first database 11 can be classified and managed based on the user or category, and based on this, the wish content to be shared when a plurality of users access the social network service is confirmed on the screen .
제1 데이터베이스(11)에는 상기의 정보 이외에, 위시 콘텐츠에 대해서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자동으로 설정되는 카테고리 정보와, 사용자 단말(30)에 대응하는 사용자들의 계정 정보 등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함께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information, the first database 11 includes category information set or automatically set by the user for the desired content, account information of users corresponding to the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을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고, 이때 제1 데이터베이스(11)는 후술할 콘텐츠 출력 제어부(13)의 기능 수행에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 및 다른 사용자의 계정에 포함된 위시 콘텐츠를 공유, 열람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 형태에 따라서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30)의 서비스 이용 화면에 위시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The user can access the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the
제1 데이터베이스(11)에 의해서 관리되는 위시 콘텐츠의 데이터 구조에 대한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1 데이터베이스(11)에 의하여 관리되는 위시 콘텐츠의 데이터 테이블의 예이다.An example of the data structure of wish content managed by the first database 11 is shown in Fig. 5 is an example of a data table of wish content managed by the first database 1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1 데이터베이스(11)는, 위시 콘텐츠에 위시 콘텐츠의 관리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운영에 따라서 포함될 수 있는 정보를 결합하여 관리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database 11 combines and manages information that can be included in the desired content according to the management of the desired content and the operation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도 5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각 일련 번호가 위시 콘텐츠에 부여될 것이며, 상태 정보에는 위시 콘텐츠가 정상적으로 관리되고 있거나 불량 콘텐츠 등에 속하여 신고가 된 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Referring to FIG. 5, each serial number will be assigned to the desired content, and the status information manages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desired content is normally managed or belonged to a defective content or not.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시 콘텐츠의 제목 및 내용이 관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시 콘텐츠의 내용에는, 사용자가 달성하고자 하는 위시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어떤 위시를 어디서, 누구와 함께, 언제까지 달성하고자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the title and content of the desired content can be managed. Specifically, the content of the desired content includes specific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wish to be achieved by the user, and may include specific contents such as, for example, a desired wish, where, with whom, and when .
한편 위시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설정된 카테고리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위시 콘텐츠가 연결된 계정을 의미하는 위시 콘텐츠를 입력한 사용자 정보, 위시 콘텐츠를 최초 제작한 원작자 정보, 위시 콘텐츠의 등록일 또는 위시 콘텐츠를 수정한 수정일에 대한 정보, 위시 콘텐츠에 포함된 내용을 사용자가 달성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위싱상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에 따라서 위시 콘텐츠의 공개 범위를 설정하는 공개 정보, 위시 콘텐츠의 내용을 함께 달성하기 원함을 나타내는 제1 태그정보로서 "나도 할래"를 선택한 다른 사용자들의 수 정보, 위시 콘텐츠의 내용을 이미 달성했음을 나타내는 제2 태그정보로서 "나는 했어"를 선택한 다른 사용자들의 수 정보, 위시 콘텐츠에 대해서 다른 사용자 또는 제휴 업체로부터 입력된 정보로서 위시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지원 제안 정보가 입력된 수에 대한 정보로서 "들어줄게"의 정보가 업체 또는 일반(다른 사용자)의 수 정보, 위시 콘텐츠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 중 다른 사용자가 입력한 "좋아요" 정보 및 댓글 정보가 함께 관리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ategory information set as described above may be includ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wish content, and the user information for inputting the wish content indicating the account to which the wish content is linked, the original author information for making the wish content for the first time, A wishing status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content included in the wish content has been achieved by the user, public information for setting the disclosure scope of the desired content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other users who have selected "I do, " as second ta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tent of the wish content has already been accomplished, For content, contact another user or affiliat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the support proposal information for the goods or services included in the wish content as the inputted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the business or general (other users), the social network service for the wish content Quot; favorite "information and comment information input by other users during the use of the " favorite "
제2 데이터베이스(12)는 제휴 업체 단말(40)로부터 입력된 콘텐츠로서, 위시 콘텐츠의 내용에 포함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30)의 선택 입력에 따라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작성된 콘텐츠인 지원 콘텐츠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본 발명에서 지원 콘텐츠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휴 업체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내용이 포함된 콘텐츠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서, 지원 콘텐츠에는 지원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식별정보 및 수량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가 지원 콘텐츠에 대한 지원을 받고자 할 수 있는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제안 내용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지원 콘텐츠는 위시 콘텐츠와 그 형식이 서로 같거나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데이터베이스(12)에서 관리되는 지원 콘텐츠의 데이터 테이블에 대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able content means a content including content intended to be provided by an affiliate company. Accordingly, the support content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quantity of the supported goods or services, and information on the proposal content that allows the user to make a decision to receive support for the support content. Supported content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or different format as the desired content. An example of the data table of the support contents managed in the
도 6을 참조하면, 제2 데이터베이스(12)에서 관리되는 지원 콘텐츠는 일련 번호와 함께, 지원 콘텐츠의 제목으로서 "들어줄게"탭, 지원 콘텐츠를 작성한 작성자(제휴 업체)의 식별 정보, 지원 콘텐츠의 생성일에 관한 정보, 지원 콘텐츠의 진행 일정에 대한 정보, 지원 콘텐츠를 통하여 지원하는 인원에 대한 한도에 관한 정보, 지원 콘텐츠의 내용 등을 제휴 업체 단말(40)에서 수신한 정보에 따라서 구분하여 관리한다. 또한, 도 6의 "사용 여부" 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원 콘텐츠에 대해서 본 시스템(10)의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승인 여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미리보기"탭에서는, 상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지원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30)에 표시될 때의 화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6, the support content managed in the
한편 지원 콘텐츠에는, 사용자에게 지원될 수 있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이외에, 제휴 업체에서 위시 콘텐츠와 관련하여 노출하고자 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광고 콘텐츠와,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구매 기능이 포함된 콘텐츠로서, 예를 들어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 화면에 대한 링크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content includes,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on the goods or services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user, advertisement contents for the goods or services that the affiliate company wants to expose in connection with the desired contents, and purchase functions for purchasing the goods or services The content may be, for example, link information about a purchase screen of a product or a service.
콘텐츠 출력 제어부(13)는, 위시 콘텐츠의 공유 및 열람을 위하여 사용자들 사이에서 이용이 가능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30)에 일 사용자(예를 들어 사용자 자신,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 및 사용자가 열람하기 원하는 사용자 등)의 계정에 대응하는, 즉 계정에 등록된 위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30)에 출력 시, 일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위시 콘텐츠와, 복수의 지원 콘텐츠들 중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원 콘텐츠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 화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ent
구체적으로, 콘텐츠 출력 제어부(13)는, 위시 콘텐츠가 출력되는 화면 상에, 다른 사용자 또는 제휴 업체로부터 입력된 정보로서, 위시 콘텐츠의 내용을 달성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지원 여부 정보 및 지원 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서 지원 제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지원 확인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ent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작성하여 등록함으로써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위시 콘텐츠는, 다른 사용자들이 해당 사용자의 계정을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출력 시 출력될 것이다. 이때 사용자의 계정을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정보 및 사용자가 작성한 위시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서, 웹페이지 측면에서 사용자의 홈페이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에서 사용되는 사용자의 마이페이지 등의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For example, a desired content set to correspond to a user's account by being created and registered by the user will be output upon outputting an interface through which other users can confirm the account of the user. At this time, the interface for checking the user's account is an interface for checking user information and desired contents created by the user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The interface is used to display the user's homepage, As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때, 위시 콘텐츠가 출력되면, 해당 위시 콘텐츠에 대해서 다른 사용자 또는 제휴 업체 등으로부터 위시 콘텐츠에 포함될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하는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어떤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지원 내용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즉, 지원 확인 메뉴를 통하여, 사용자들은 해당 위시 콘텐츠에 대해서 어떤 업체 또는 사용자가 어떤 내용으로 지원을 하고자 등록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desired content is output,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o support a product or service to be included in the desired content from another user or an affiliated company or the like with respect to the desired content can be checked, You will be able to see information about what you can do. That is, through the support confirmation menu, the users can confirm that a certain company or user has registered for the desired content in order to support the content.
이때, 콘텐츠 출력 제어부(13)는, 다른 사용자의 지원과 제휴 업체의 지원을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어떤 내용의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 출력 제어부(13)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원 제안 정보를 지원 제안 정보가 출력되는 영역 중 일 영역인 제1 영역에 출력하도록 하고, 제휴 업체로부터 입력된 지원 제안 정보 및 해당 지원 제안 정보에 대응하여 제휴 업체에서 작성된 지원 콘텐츠를 제1 영역과 구분되는 제2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ent
즉, 지원 제안 정보를 지원에 대한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출력 제어부는, 제2 영역에 포함된 지원 제안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단말(30)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지원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30)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support proposal information can be understood as the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support list. At this time, the content output control unit may output the support content to the
즉,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지원 콘텐츠에 포함된 지원 콘텐츠의 제목, 지원 콘텐츠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해당 지원을 받고자 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원 콘텐츠에 포함된 내용에 대응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 가능한 지원 받기 메뉴를 사용자 단말(30)에 출력할 수 있다. 지원 받기 메뉴가 출력되는 사용자 단말(30)은 해당 위시 콘텐츠가 등록된 계정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단말임이 바람직할 것이다.That is, upon receiving the selection input, it is possible to output together the title of the support content included in the support content, and information on the content of the support content.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be able to receive input from the user to receive the support, a support reception menu selectable by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제2 영역에는 상기 지원 콘텐츠의 성격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원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광고 콘텐츠 및 지원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구매 인터페이스에 대한 접속이 가능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nature of the support contents, in the second area, the advertisement contents of the goods or services included in the support contents and the links enabling access to the purchase interface capable of purchasing goods or services included in the support contents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may be output togeth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원 콘텐츠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된 정보로서, 지원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지원받기 위하여 입력하는 정보인 지원 결과 정보를 수집하고, 지원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지원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마케팅 정보를 제휴 업체 단말(40)에 전송하는 마케팅 정보 제공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formation input from a plurality of users for supporting content, support resul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input for receiving a product or service included in the support content, is collected, (Not shown) for transmitting marketing information on goods or services included in the support content generated on the basis of the marketing information to the
지원 결과 정보는, 사용자들이 상기 언급한 지원 받기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서 생성되는 정보로서, 실질적으로 지원 콘텐츠가 노출됨에 따라서 사용자들이 지원 받기 메뉴를 선택하여, 지원이 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The support result information is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ng the above-mentioned support receiving menu. As the support contents are substantially exposed, the users select the support receiving menu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supported goods or services do.
제휴 업체 단말(40)에 전송되는 마케팅 정보는 어떤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지원이 많이 이루어졌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여, 제휴 업체에 광고, 지원 등에 대한 결과 보고 내용이 포함된 정보를 의미한다. 이를 통하여 제휴 업체는 어떤 상품 또는 서비스를 앞으로 지원하거나 광고할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The marke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화면의 예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2 to 4 are examples of a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ortions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FIG. 1 will be omitted.
도 2를 참조하면, 일 사용자(P1)의 위시 콘텐츠가 표시되는 화면(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화면(100)을 참조하면, 위시 콘텐츠의 내용(101)을 확인하고, 작성자(102) 및 원작자(103)를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한편, 들어줄게 영역(104)에서는 해당 위시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하여 등록한 다른 사용자 또는 제휴 업체를 확인할 수 있다. 위시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105)에서는,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위시 콘텐츠에 포함된 내용을 같이 달성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수, 이미 달성했음을 알리는 사용자들의 수 및 추천 수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이때 들어줄게 영역(104)을 선택 시, 들어줄게 영역(10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리스트에 포함된 지원자, 제휴 업체 등의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도 3의 화면(110)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들어줄게 영역(104)은 리스트 확인 화면 이외에,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의 기능을 수행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the
한편, 들어줄게 메뉴(106)는 다른 사용자 또는 업체에서 선택할 수 있는 메뉴로서,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위시 콘텐츠에 대해서 다양한 혜택(지원)을 제공하고자 할 때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 시 위시 콘텐츠에 대해서 혜택을 제공하는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서 들어줄게 영역(104)를 선택 시 출력되는 화면(110)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제1 영역에는 다른 사용자들이 지원한 지원 제안 정보(112)를 확인하고, "메시지"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감사 인사 등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한편, 제2 영역에서는 제휴 업체로부터 입력된 지원 제안 정보(111)를 확인할 수 있다. 상세보기 메뉴(113)를 통해, 지원 제안 정보(111)에 포함된 지원 콘텐츠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지원 콘텐츠의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area, the
도 4의 화면(120)을 참조하면, 도 3에서의 상세보기 메뉴(113)를 선택 시 해당 지원 제안 정보에 포함된 지원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화면(120)을 통하여, 사용자들은 제휴 업체가 지원하는 지원 콘텐츠의 제목(121), 내용(122, 123)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지원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지원받고자 할 시 지원받기 메뉴(124)를 선택하여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다.
Referring to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는 동시에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명칭의 구성일지라도, 식별 번호가 다른 경우 다른 구성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다.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sh content suppor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t the same time. Als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is understood to have a different configuration when the identification numbers are different.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20, 이하 시스템이라 함)은, 제휴 콘텐츠 수신부(21), 콘텐츠 매칭부(22) 및 콘텐츠 출력 제어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7, a wish content suppor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ffiliate
제휴 콘텐츠 수신부(21)는 제휴 업체 단말(40)로부터 상기 언급한 위시 콘텐츠의 내용에 포함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지원, 광고 또는 판매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제휴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affiliat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휴 콘텐츠는 제1 실시예에서의 지원 콘텐츠의 내용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제휴 콘텐츠는 제1 실시예에서의 지원 콘텐츠의 내용 이외에,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광고 및 판매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다.The affiliate content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including the content of the support conten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affiliate content is a content including advertisement and sales information for a product or service in addition to the contents of the support contents in the first embodiment.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휴 콘텐츠를 수신한 후, 시스템(20)의 관리자는 해당 제휴 콘텐츠를 실질적으로 위시 콘텐츠에 링크하여 노출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원 콘텐츠 수신부(21)는 제휴 업체 단말(40)로부터 제휴 콘텐츠를 수신하게 되면, 기설정된 제휴 업체의 등급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제휴 콘텐츠가 유효한 제휴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after receiving the affiliate content, the administrator of the
제휴 업체의 등급이란, 예를 들어 지원 콘텐츠의 등록에 의하여 지원한 사용자들의 수, 지원 콘텐츠의 등록 수, 지원 콘텐츠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지불한 금액 등에 따라서 결정되는 등급으로서, 상기의 예에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The rating of an affiliate company is a grad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rs supported by registration of support contents, the number of registered support contents, the amount paid for using the support content service, and the like, I will not.
유효한 제휴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것은, 예를 들어 일 제휴 업체가 등록한 제휴 콘텐츠의 경우 제한 없이 유효하게 등록하거나, 제휴 콘텐츠의 내용을 검토하여 유효성을 판단하는 등 제휴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위시 콘텐츠에 링크하여 노출할지 여부의 승인에 서로 다른 기준을 설정함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도 6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사용 여부”” 탭의 데이터에 등록될 수 있다.The different ways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tent is valid is that the affiliate content registered by the one affiliated company can be effectively registered without limitation, or the content of the affiliated content can be judged to be valid, To set different criteria for the approval of whether or not to be exposed. Information on this can be registered in the data of the " usable " tab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FIG.
콘텐츠 매칭부(22)는 기설정된 매칭 기준에 따라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관리 서버(50)에 저장된 위시 콘텐츠들 중 적어도 일부와 제휴 콘텐츠를 매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관리 서버(5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제휴 콘텐츠는 둘 이상의 위시 콘텐츠와 매칭될 수 있다. 즉, 제휴 콘텐츠와 위시 콘텐츠의 매칭 형태는 다대다 형태일 수 있다.The
기설정된 매칭 기준은, 콘텐츠 매칭부(22)에서 위시 콘텐츠와 제휴 콘텐츠를 매칭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매칭부(22)는, 제휴 업체 단말(40)에 관리 서버(50)에 저장된 위시 콘텐츠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제휴 업체 단말(40)로부터 위시 콘텐츠의 리스트에 포함된 위시 콘텐츠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제휴 콘텐츠에 매칭하고자 하기 위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위시 콘텐츠와 제휴 콘텐츠를 매칭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The predetermined matching criterion is a method in which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휴 업체 단말에 표시되는 제휴 콘텐츠 제어 화면의 예이다.8 is an example of an affiliate content control screen displayed on an affiliate company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휴 업체는 단말에 표시되는 도 8의 화면(130)을 통하여, 지원 여부에 대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의 화면(130) 이전에, 도 8의 화면(130)에 도시된 선택된 위싱 수 정보(131)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위시 콘텐츠의 리스트를 확인하고, 확인된 리스트에 포함된 위시 콘텐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별도의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The affiliate company can perform an input on support through the screen 130 of FIG. 8 displayed on the terminal. Prior to the screen 130 of FIG. 8, in order to generate the selected number of pieces of winking
이후, 제휴 콘텐츠 선택 메뉴(132)를 통하여 해당 업체가 등록한 제휴 콘텐츠들을 확인하고, 이들 중 선택한 위시 콘텐츠에 대해서 지원하고자 하는, 즉 매칭하고자 하는 제휴 콘텐츠를 들어줄게 메뉴(133)를 통하여 선택함으로써, 제휴 업체가 직접 위시 콘텐츠와 제휴 콘텐츠를 매칭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selects the affiliate contents registered by the company through the affiliate
이와 같은 기능 수행에 의하면, 제휴 업체는 제휴 콘텐츠를 일반적인 사용자의 계정이 아니라 사용자가 게시한 위시 콘텐츠에 직접 매칭함으로써, 위시 콘텐츠라는 관심사를 가장 상세하게 표현하는 콘텐츠에 제휴 콘텐츠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시 콘텐츠를 확인하는 사용자들은 해당 관심사에 관심이 높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활용하여, 제휴 콘텐츠의 노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위시 콘텐츠의 확인 시 제휴 콘텐츠가 노출됨에 따라서,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내용의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받게 되고 반복적이고 불필요한 광고 노출에 의한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performing this function, the affiliate company can directly match the affiliate content to the desired content posted by the user, rather than the general user's account, so that the affiliate content is exposed to the content that expresses the most detailed interest of the desired content . This allows users who identify wish content to maximize the exposure of affiliate content by taking advantage of the high likelihood of interest in that interest. In addition, when the affiliate content is exposed at the time of confirming the desired content,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s required by the users is accurately provided, and the fatigue due to repetitive and unnecessary advertisement exposure is minimized.
다시 도 7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콘텐츠 매칭부(22)는 상기의 수동적인 매칭 이외에, 자동으로 위시 콘텐츠와 제휴 콘텐츠를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제휴 콘텐츠의 키워드를 기준으로, 이에 연관된 위시 콘텐츠와 매칭할 수 있다. 물론 키워드 기준 매칭 시 업체가 수동으로 위시 콘텐츠와 매칭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위시 콘텐츠가 등록된 시점 및 위시 콘텐츠에 포함된 해당 위시 콘텐츠를 달성하고자 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설정된 달성 기한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즉 예를 들어 위시 콘텐츠의 작성 시점 순 또는 달성 기한이 임박한 순으로 해당 위시 콘텐츠에 제휴 콘텐츠를 매칭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7, the
한편, 사용자의 계정에 등록된 정보로서, 사용자의 관심사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이에 대응하는 제휴 콘텐츠를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위시 콘텐츠와 매칭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위시 콘텐츠에 매칭된 제휴 콘텐츠의 개수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하나의 위시 콘텐츠에 매칭된 제휴 콘텐츠가 많거나 적은 순서에 따라서 위시 콘텐츠와 제휴 콘텐츠를 매칭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은 서로 별도로 적용될 수 있으나,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user's account, a method of matching the corresponding affiliated content with the desir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s account may be us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user's interest. In addition, for example, a method of matching the desired content with the affiliated content may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he affiliated contents matched to one wish content, for example, in the order of more or less affiliated contents matched to one wish content. The above methods may be applied separately, but they may be used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휴 업체의 계정으로 제휴 콘텐츠가 상기 언급한 위시 콘텐츠와 같이 등록될 수 있다. 즉, 제휴 업체가 하나의 사용자와 동일한 주체로서 위시 콘텐츠를 등록 및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ffiliate content may be registered with the account of the affiliate company as the above-mentioned wish content. That is, the affiliate company can register and manage the wish content as the same subject as the one user.
이때,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 위시 콘텐츠를 동일하게 자신의 계정에 등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휴 업체로부터 작성된 위시 콘텐츠를 자신의 위시 콘텐츠로서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매칭부(22)는, 위시 콘텐츠와 제휴 콘텐츠를 매칭 시, 제휴 업체에 의하여 작성 및 등록된, 즉 원작자가 제휴 업체인 위시 콘텐츠를 등록한 사용자의 계정에 해당 위시 콘텐츠에 대해서 제휴 업체의 위시 콘텐츠와 관련된 제휴 콘텐츠를 자동으로 매칭하는 방법 역시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register the desired content created by another user in his / her account in the same manner, and register the desired content created by the affiliated company as his / her desired content in this manner. At this time, the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위시 콘텐츠를 관리 시 관리되는 정보로서 ““나도 할래””의 정보 역시 매칭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제휴 업체의 위시 콘텐츠를 일 사용자가 자신의 위시 콘텐츠로 등록하고, 해당 위시 콘텐츠에 대해서 ““나도 할래””를 입력한 사용자들의 위시 콘텐츠에 해당 제휴 콘텐츠를 자동으로 매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of " I will also " That is, one user can register his wish content with his / her desired content and automatically match the corresponding content with the wish content of users who input " I will do " .
이러한 기능 수행에 의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위시 콘텐츠와 제휴 콘텐츠를 매칭할 수 있다.By performing these function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tch the wish content with the affiliate content in various ways.
콘텐츠 출력 제어부(23)는 콘텐츠 매칭부(22)에 의하여 매칭된 결과에 따라서 위시 콘텐츠에 제휴 콘텐츠를 링크시키도록 관리 서버(50)에 해당 정보를 전송하거나 관리 서버(50)를 제어하여, 위시 콘텐츠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에 따라서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영역에 위시 콘텐츠에 링크된 제휴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ent
이때 각 제휴 콘텐츠는 위시 콘텐츠에 매칭되는 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어떤 위시 콘텐츠에 일 제휴 콘텐츠가 매칭되면, 그 제휴 콘텐츠는 매칭 기간만큼 유효하게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어 위시 콘텐츠에 링크되어 노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affiliated content may be set to match a desired content. That is, if a certain affiliate content is matched to a desired content, the affiliate content is determined to be matched effectively as a matching period, and can be linked to the desired content and exposed.
이때 콘텐츠 출력 제어부(23)는, 각 제휴 콘텐츠의 매칭 기간이 경과된 경우, 사용자 단말(30)로부터의 연장 등록 승인에 관한 입력에 따라서, 위시 콘텐츠에 제휴 콘텐츠가 링크되어 출력될 시, 제휴 콘텐츠가 출력되는 크기, 영역 및 기간의 매칭 기간 내의 기준과 달리하여 제휴 콘텐츠가 위시 콘텐츠가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영역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matching period of each affiliated content has elapsed, when the affiliated content is linked to the desired content and outputted according to the input regarding the extension registration approval from the
또한, 다른 기준으로서, 콘텐츠 출력 제어부(23)는 제휴 콘텐츠의 매칭 기간이 경과됨에 관계없이, 사용자 계정이 위시 콘텐츠에 대해서 제휴 콘텐츠에 관련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지원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지원을 받았을 경우에 해당 위시 콘텐츠 또는 해당 사용자의 계정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위시 콘텐츠에 제휴 콘텐츠를 상기와 같이 매칭 기간 내의 기준과 다르게 노출하도록 할 수 있다.As another criterion, the content
매칭 기간이 지난 후에도 지속적으로 위시 콘텐츠에 제휴 콘텐츠가 링크되어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피로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때 콘텐츠 출력 제어부(23)는 사용자의 계정에 해당 제휴 콘텐츠의 출력이 지속되기를 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연장하여 제휴 콘텐츠를 출력해도 됨을 알리는 정보인 연락 등록 승인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content
이때, 매칭 기간 내의 제휴 콘텐츠와의 출력을 구분하기 위하여, 매칭 기간이 지난 제휴 콘텐츠가 출력되는 크기, 영역 및 기간을 매칭 기난 내의 기준과 달리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in order to distinguish the output from the affiliated contents in the matching period, the size, area, and period of outputting the affiliated contents past the matching period may be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in the matching term.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의 기능은, 사용자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 및 ㅕ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은 사용자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사용자 단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The functions of the wish content suppor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n application installed basically in the user terminal (which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an operating system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And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and a user installed directly on a user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service. In this sense, all the functions of the wish content suppor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interface outputted therefrom are basically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or an application directly installed by the user ) And can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user terminal.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Such a program may be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and executed by a computer so that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can be execu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xecute all the functions of the wish content suppor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interface corresponding thereto, the above-mentioned program may be stored in a C , C ++, JAVA, machine language, and the like.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code may include a function code related to a function or the like that defines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an execution procedure related control code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such code may further include memory reference related code as to what additional information or media needed to cause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aforementioned functions should be referenced at any location (address) of the internal or external memory of the computer .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a processor of a computer needs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etc.,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the code may be stored in a computer's communication module (e.g., a wired and / ) May be used to further include communication related codes such as how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in the remote, and what information or media should be transmitted or received during communication.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functional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 code and a code segment associated with the functional program, and the like are provided to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a system environment of a computer that reads a recording medium and executes a program Lt; RTI ID = 0.0 > and / or < / RTI >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above-described program is recorded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media storage, and the lik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above-described program is recorded may be distributed to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this case,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istributed computers may execute some of the functions presented above and send the results of the execution to one or more of the other distributed computers, The computer may also perform some of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and provide the results to other distributed computers as well.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In particular,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n application, which is a program for executing all the functions of the wish content suppor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interface outputted therefrom, (For example, a hard disk) included in an application provider server (application provider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erver or an application serve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service, or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itself.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computer capable of reading all the functions of the wish content suppor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n application which i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interface is recorded,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well as a general PC such as a personal compu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computer capable of reading all the functions of the wish content suppor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n application, which i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interface, is recorded is a smart phone, a tablet PC ,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application may be downloaded from the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to the general PC and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synchronization program.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 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 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a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As shown in FIG. The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readable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realiz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or the like can be included.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 comprising, " or "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제휴 업체 단말로부터 입력된 콘텐츠로서, 상기 위시 콘텐츠의 내용에 포함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작성된 콘텐츠인 지원 콘텐츠를 관리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에 따라서 일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위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출력 시, 상기 일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위시 콘텐츠와, 복수의 지원 콘텐츠들 중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원 콘텐츠를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 화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출력 제어부는,
상기 위시 콘텐츠가 출력되는 화면에, 다른 사용자 및 제휴 업체로부터 입력된 정보로서, 상기 위시 콘텐츠의 내용을 달성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지원 여부 정보 및 지원 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지원 제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지원 확인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지원 확인 메뉴에 대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원 콘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지원 제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고,
상기 콘텐츠 출력 제어부는,
상기 다른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원 제안 정보가 출력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휴 업체로부터 입력된 지원 제안 정보 및 상기 제휴 업체로부터 입력된 지원 제안 정보에 대응하는 지원 콘텐츠가 출력되는 제2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1. A content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first database configured to manage desired content, which is a content created from a user terminal, to be posted by a user through a social network service;
The content input from the affiliate company terminal includes contents supporting the goods or services included in the content of the wish content, and the contents supported by the selection of the user terminal, A second database to manage; And
When a desired content corresponding to an account of a user is outputted to a user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use of a social network service, a request content corresponding to an account of the user,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supported content And a content outpu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ent to be output on the use screen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The content output control unit,
As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other user and the affiliated company on the screen on which the desired content is output, the user is informed of the support proposal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on the support content and the support information for supporting the contents of the desired content And outputs the support offer information including the at least one support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for the support confirmation menu,
The content output control unit,
A first area for outputting the support proposal information input from the other user, a second area for outputting the support proposal information input from the affiliate company and the suppor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roposal information input from the affiliate company, And outputs the generated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콘텐츠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지원 제안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지원 콘텐츠에 포함된 지원 콘텐츠의 제목 및 지원 콘텐츠의 내용에 관한 정보와, 상기 지원 콘텐츠에 포함된 내용에 대응하는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 가능한 지원 받기 메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output control unit,
Upo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any one of the support propos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area, information on the title of the support content included in the support content and the content of the support content, And outputs a menu for receiving a support, which is selectable by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cluded in the desired content.
상기 콘텐츠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지원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광고 콘텐츠 및 상기 지원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구매 인터페이스에 대한 접속이 가능한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output control unit,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f advertisement contents of the goods or services included in the support content and link information enabling connection to the purchase interface capable of purchasing the goods or services included in the support contents in the second area. A content suppor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위시 콘텐츠를 관리 시, 위시 콘텐츠의 제목, 위시 콘텐츠의 내용, 위시 콘텐츠 내용에 따라서 설정된 카테고리, 위시 콘텐츠를 입력한 사용자, 위시 콘텐츠를 제작한 원작자, 위시 콘텐츠의 달성 상태, 위시 콘텐츠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들이 입력한 정보로서 위시 콘텐츠의 내용을 함께 달성하기 원함을 나타내는 제1 태그정보, 위시 콘텐츠의 내용을 이미 달성했음을 나타내는 제2 태그정보, 및 위시 콘텐츠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 또는 제휴 업체로부터 입력된 정보로서 위시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지원 제안 정보를 상기 위시 콘텐츠의 정보에 포함시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atabase comprises:
When the wish content is managed, the content of the wish content, the content of the wish content, the category set according to the wish content, the user who entered the wish content, the original author who produced the wish content, First ta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tent of the wish content is desired to be achieved together with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s, second ta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tent of the wish content has already been achieved, and information input from another user or partner company Wherein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includes support offer information for a product or service included in the wish content as the information of the wish content.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는,
지원 콘텐츠의 제목, 지원 콘텐츠의 진행 일정, 지원 콘텐츠의 내용, 및 지원 콘텐츠의 지원 한도 인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휴 업체 단말로부터 입력받아 지원 콘텐츠의 정보로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database comprises:
Wherein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manages the title of the support content, the schedule of the support content, the content of the support content, and the information on the support limit number of the support content from the affiliate vendor terminal as the information of the support content. system.
상기 지원 콘텐츠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된 정보로서, 상기 지원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지원받기 위하여 입력하는 정보인 지원 결과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지원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상기 지원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마케팅 정보를 상기 제휴 업체 단말에 전송하는 마케팅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collecting support resul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input from a plurality of users for the support content, input information for receiving a product or service included in the support content, And a market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marketing information on the goods or services included in the contents to the affiliate company terminal.
기설정된 매칭 기준에 따라서 상기 위시 콘텐츠를 사용자들 사이에서 공유하기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관리 서버에 저장된 위시 콘텐츠들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휴 콘텐츠를 매칭하는 콘텐츠 매칭부; 및
상기 콘텐츠 매칭부에 의하여 매칭된 결과에 따라서, 위시 콘텐츠에 상기 제휴 콘텐츠를 링크시킴으로써, 위시 콘텐츠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에 따라서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영역에 위시 콘텐츠에 링크된 제휴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매칭부는,
하나의 위시 콘텐츠에 매칭되는 각 제휴 콘텐츠의 매칭 기간을 미리 설정하며,
상기 콘텐츠 출력 제어부는,
제휴 콘텐츠의 매칭 기간이 경과된 경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연장 등록 승인에 관한 입력 또는 제휴 콘텐츠에 대응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졌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위시 콘텐츠에 상기 제휴 콘텐츠가 출력될 시, 상기 제휴 콘텐츠가 출력되는 크기, 영역 및 기간을 매칭 기간 내의 기준과 달리하여 상기 제휴 콘텐츠가 상기 위시 콘텐츠가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영역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An affiliate that receives affiliate content including contents to support, advertise, or sell a product or service included in the content of the wish content, which is a content created to post the content desired by the user through the social network service, from the affiliate terminal A content receiving unit;
A content matching unit for matching at least a part of desired contents stored in a management server of a social network service for sharing the desired content among users according to a preset matching criterion and the affiliated contents; And
Linking the affiliate content to the desired content according to the result matched by the content matching unit, thereby outputting the affiliate content linked to the desired content in one area of the screen on which the desired content is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us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d a content outpu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ent,
The content-
A matching period of each affiliated content matched to one wish content is set in advance,
The content output control unit,
When the matching period of the affiliate content has elapsed, depending on whether an input regarding approval of extension registration from the user terminal or support for a user account for a product or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affiliate content has been made, And outputs the affiliated content to one area of the screen on which the desired content is output, when the size, area, and period of outputting the affiliated content are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within the matching period. Management system.
상기 콘텐츠 매칭부는,
상기 제휴 업체 단말에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된 위시 콘텐츠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휴 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위시 콘텐츠의 리스트에 포함된 위시 콘텐츠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제휴 콘텐츠에 매칭하고자 하기 위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위시 콘텐츠와 상기 제휴 콘텐츠를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ent-
Providing a list of desired contents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to the affiliated company terminal and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matching at least one of the desired contents included in the list of desired contents from the affiliated company terminal to the affiliated contents And matches the wish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put with the affiliated content.
상기 콘텐츠 매칭부는,
각 제휴 콘텐츠의 키워드를 기준으로 위시 콘텐츠와 제휴 콘텐츠를 매칭하는 방법, 위시 콘텐츠가 등록된 시점 또는 위시 콘텐츠의 내용을 달성하고자 사용자 단말로부터 설정된 달성 기한을 기준으로 위시 콘텐츠와 제휴 콘텐츠를 매칭하는 방법, 사용자의 계정에 등록된 정보로서 사용자의 관심사에 관한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위시 콘텐츠와 제휴 콘텐츠를 매칭하는 방법 및 하나의 위시 콘텐츠에 매칭된 제휴 콘텐츠의 개수를 기준으로 위시 콘텐츠와 제휴 콘텐츠를 매칭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위시 콘텐츠와 상기 제휴 콘텐츠를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ent-
A method of matching wish content with an affiliate content based on the keyword of each affiliated content, a method of matching the wish content with the affiliate content based on a time limit set from the user terminal to achieve the content of the wish content at the time when the wish content is registered A method of matching the affiliat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s account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interest as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user's account and a method of matching the affiliate content matched with one wish content to the wish content And matching the affiliate content with the desired content using at least one method of matching the affiliate content with the desired content.
상기 제휴 콘텐츠 수신부는,
상기 제휴 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제휴 콘텐츠를 수신 시, 기설정된 제휴 업체의 등급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상기 제휴 콘텐츠가 유효한 제휴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ffiliate content receiving unit,
And when the affiliate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partner company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affiliate content is valid affiliate content in a different manner according to a rating of a predetermined affiliate company.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상기 제휴 업체 단말로부터의 상기 위시 콘텐츠의 작성 및 게시가 가능하며,
상기 콘텐츠 매칭부는,
상기 제휴 업체 단말로부터 작성된 위시 콘텐츠가 일 사용자의 계정에 위시 콘텐츠로 등록된 경우, 상기 일 사용자의 계정에 등록된 위시 콘텐츠에 상기 위시 콘텐츠에 관련된 제휴 콘텐츠를 자동으로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시 콘텐츠 지원 정보 관리 시스템.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is capable of creating and publishing the desired content from the affiliate company terminal,
The content-
And automatically matches the affiliate content related to the desired content to the desired content registered in the account of the one user if the desired content created from the affiliate company terminal is registered as the desired content in the account of one user. Suppor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0245A KR101755254B1 (en) | 2016-01-04 | 2016-01-04 | System for managing supporting information of wish conte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0245A KR101755254B1 (en) | 2016-01-04 | 2016-01-04 | System for managing supporting information of wish content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5254B1 true KR101755254B1 (en) | 2017-07-07 |
Family
ID=5935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0245A Expired - Fee Related KR101755254B1 (en) | 2016-01-04 | 2016-01-04 | System for managing supporting information of wish conten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525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53035A (en) * | 2021-10-13 | 2023-04-21 | 주식회사 엔블리스컴즈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that matches content corresponding to wish list |
US12254052B2 (en) | 2022-12-30 | 2025-03-18 | Chang Soo CHO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sh list- to-content matching service |
-
2016
- 2016-01-04 KR KR1020160000245A patent/KR10175525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53035A (en) * | 2021-10-13 | 2023-04-21 | 주식회사 엔블리스컴즈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that matches content corresponding to wish list |
KR102831307B1 (en) * | 2021-10-13 | 2025-07-08 | 조창수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that matches content corresponding to wish list |
US12254052B2 (en) | 2022-12-30 | 2025-03-18 | Chang Soo CHO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sh list- to-content matching ser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43551B1 (en) | Customizable data management system | |
US10311505B2 (en) | Method, system, and graphic user interface for enabling a customer to access an unpublished media file | |
CN107025539B (en) |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 social networking online community | |
US20170323335A1 (en) | Method for advertising or selling products on basis of user's social network service activity | |
US20170255981A1 (en) |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redistribution of data and rewards | |
WO2022090841A1 (en) | A platform for enabling users for short video creation, publication and advertisement | |
US20140074615A1 (en) | Commer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ommerce System Using Triggered Advertisements | |
US20190035008A1 (en) | Internet vending machine/mobile vend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 |
CN102542410A (en) | Interactions with contextual and task-based computing environments | |
WO2013098830A1 (en) | A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portable, customize, contextual, unified and integrated network(s). | |
JP2017162377A (en) | Advertisement animation management device, advertisement animation management system, advertisement animation management program, and advertisement animation management method | |
JP6727640B1 (en) | Video streaming playback system and method | |
US20170337601A1 (en) | Monetization of interactive network-based information objects | |
KR2024008442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ing cost-based matching service for marketing | |
TW201237793A (en) | Automated information update system | |
US20140074571A1 (en) | Commer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ommerce System by Layering Contextual Advertisements Over a Graphical Interface | |
KR101755254B1 (en) | System for managing supporting information of wish contents | |
US20150134461A1 (en) | Referral management methods and apparatus | |
JP2022133148A (en) | Joint proposal device, joint propos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KR100857858B1 (en) | How to provide personal market building agency service | |
KR20010108689A (en) | Method of messenger service using the environment of client-server and electronic commercing method thereby | |
Sanjay | E-Commerce Strategy: Text and Cases | |
US11250460B1 (en) | System and method of collecting and using user data gathered by use of a rewards-based, universal, integrated code base | |
KR101687245B1 (en) | System for sharing and managing and supporting wish contents | |
KR101325009B1 (en) | Method, server,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music producing ser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7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