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052B1 -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system applying sliding window model in mobile environment - Google Patents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system applying sliding window model in mobile environ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0052B1 KR101690052B1 KR1020160018890A KR20160018890A KR101690052B1 KR 101690052 B1 KR101690052 B1 KR 101690052B1 KR 1020160018890 A KR1020160018890 A KR 1020160018890A KR 20160018890 A KR20160018890 A KR 20160018890A KR 101690052 B1 KR101690052 B1 KR 1016900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ynamic interface
- context
- user
- aware
- ti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04L67/36—
-
- H04L67/18—
-
- H04L67/22—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 H04W4/0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환경에서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적용한 상황인지 기반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위치와 시간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고 사용자가 꼭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되, 사용자가 모바일을 실행할 경우에 상황을 고려하여 해당 장소와 시간에 가장 적합한 어플의 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환경에서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적용한 상황인지 기반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providing system using a sliding window model in a mobile environmen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ex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providing system using a sliding window model in a mobile environment to provide a list of applications best suited to a place and a time when a user executes a mobile.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바일 환경에서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적용한 상황인지 기반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위치와 시간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고 사용자가 꼭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되, 사용자가 모바일을 실행할 경우에 상황을 고려하여 해당 장소와 시간에 가장 적합한 어플의 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환경에서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적용한 상황인지 기반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providing system using a sliding window model in a mobile environmen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ex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providing system using a sliding window model in a mobile environment to provide a list of applications best suited to a place and a time when a user executes a mobile.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With the popularity of smartphones, many applications that can be used in smartphon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이에 따라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복잡하게 하며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을 유발하고 있다. As a result, the number of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smartphone is increasing, complicating the interface of the smartphone and inconveniencing the user to manage the interface.
스마트폰은 데스크톱 환경과 다르게 한정된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있어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직접 정리하거나 재정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Unlike desktop environments, smartphones have limited-size displays, which means that if you have a lot of applications installed, users will have to manually rearrange or rearrange their interfaces.
사용자 맞춤 정보 제공 서비스(개인화 서비스)는 고객이 원하거나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해 주고, 손쉽게 접근하도록 고객 선호도에 따라 동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Customized information service (personalization service) is a service that provides information that the customer wants or needs, saves time and cost for finding it, and dynamically provides information according to customer preference so that it can be easily accessed.
이러한 개인화 서비스의 성능을 높여 사용자에게 좀 더 양질의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기술을 접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personalized services and provide users with better quality of personalized services, they are moving toward combining technologies of various fields.
그 중에서 고성능 센서가 보급되면서 센서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의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Among them, researches are actively carried out to improve the accuracy of recommendation by using information of sensors as high performance sensors are spreading.
특히 센서에서 발생하는 Low level 데이터를 가공하여 사용자의 상황(Contrxt)을 인지(aware)하는 기술이 발전 됨에 따라 상황 기반 서비스의 응용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Especially, the application of context - based service has been studied as the technique of recognizing the user 's context by processing the low level data generated by the sensor has been developed.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패턴과 상황인지 정보를 활용하여 동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Therefore, a system that provides a dynamic interface using the application usage pattern and context awareness information of the user is needed.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Such a system can provide the user with a list of desired applications in real time.
기존의 동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시간별 사용 패턴을 분석하거나 센서 정보를 활용한 상황을 인지하여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였다. The existing dynamic interface providing system analyzed application of users' usage patterns over time or recognized the situation using sensor information and provided a list of applications.
그러나, 기존의 기술들은 시간에 한정된 상황인지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떤 장소에 있든 항상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할 수밖에 없다. However, since existing technologies provide a list of applications through a time-sensitive situation, the user always has to provide the same list of applications at any place.
또한, 센서 정보에 한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경우 부정확한 센서 정보를 가지고 상황을 인지해 내야 하기 때문에 신뢰할 수 없는 데이터를 통해 상황인지를 해야 한다. In addition, when an application limited to the sensor information is provide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situation through unreliable data becaus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situation with inaccurate sensor information.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해 내기 어렵기 때문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기 어렵다.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list of suitable applications becaus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identify the situation.
따라서, 사용자의 상황이 인지된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 사용 패턴을 분석하면 만족도 높은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analyzing the application usage pattern in a state where the user's situation is recognized requires a system for providing a highly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사용자의 상황이 인지된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 사용 패턴을 분석하면 만족도 높은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 prim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having a high degree of satisfaction by analyzing an application usage pattern in a state where a user's situation is recognized .
즉, 사용자의 위치와 시간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고 사용자가 꼭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되, 사용자가 모바일을 실행할 경우에 상황을 고려하여 해당 장소와 시간에 가장 적합한 어플의 목록을 제공하는데 있다.In other words, by analyzing the location and time of the user, the user is aware of the situation and provides a list of necessary applications. When the user executes the mobile, the list of the application best suited to the place and time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모바일 환경에서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적용한 상황인지 기반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providing system using a sliding window model in a mobile environment,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장소를 자동 인지하기 위한 장소자동인지부와;A location auto-recognition unit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user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상기 장소자동인지부에 의해 인지된 장소에 대한 어플 사용 패턴을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해당 장소에 맞는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황인지동적인터페이스제공부;를 포함한다.And a context-aware dynamic interface unit for analyzing an application usage pattern for a place recognized by the place automatic recognition unit using a sliding window model and providing a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suitable for the plac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환경에서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적용한 상황인지 기반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와 시간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고 사용자가 꼭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되, 사용자가 모바일을 실행할 경우에 상황을 고려하여 해당 장소와 시간에 가장 적합한 어플의 목록을 제공하게 된다.The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liding window model in the mobil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system analyzes the user's location and time to recognize the user's situation, Provide a list of applications, but when the user runs the mobile, it will provide a list of applications that are best suited to the place and time,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환경에서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적용한 상황인지 기반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환경에서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적용한 상황인지 기반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어플리케이션 사용량 그래프이며, 도 4는 가공하지 않은 Raw 로그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Lat, Lon에 따른 주소값 오류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Poi Tiling 기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가공된 로그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8은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Sliding Window model)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9는 어플의 실행 확률을 구할 수 있는 수식을 나타낸 것이며, 도 10은 잠금 화면 형태로 배치한 상태에서 생성되는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providing system applying a sliding window model in a mobile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vement path of a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providing system applying a sliding window model in a mobile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application usage graph,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ddress value error according to Lat and L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Poi tiling technique, and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processed log data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liding window model, FIG. 9 is a formula for obtaining an execution probability of an applica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generated in a state of being arranged in a lock screen form Fig.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The following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vise various apparatuses which,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illustrated herei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more, all of the conditional terms and embodiments listed herein are, in principle, only intended for the purpose of enabling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such specifically recited embodiments and conditions do.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환경에서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적용한 상황인지 기반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providing system using a sliding window model in a mobil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환경에서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적용한 상황인지 기반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providing system applying a sliding window model in a mobile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은 크게, As shown in FIG. 1, th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comprises: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장소를 자동 인지하기 위한 장소자동인지부(100), 상기 장소자동인지부에 의해 인지된 장소에 대한 어플 사용 패턴을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해당 장소와 시간에 맞는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황인지동적인터페이스제공부(20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A location auto-
즉,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마다 사용자의 시간에 따른 GPS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경로 패턴을 분석해 사용자의 집, 회사, 야외와 같은 상황 정보를 인지하고, 인지된 상황 정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적절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는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every time the smartphone is used, the GPS information is col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time, and the user's travel path pattern is analyzed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recognize the situ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home, company, and outdoor, To provide a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that analyzes application usage patterns and provides a list of appropriate applications.
사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취향과 요구를 알아내야 한다.In order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to the users, it is necessary to find individual preferences and demands.
최근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를 보면 사용자의 상황 정보(Context Information)을 활용하는 사례가 많다. Recently, there are many cases where context information of a user is utilized by referring to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늘 지니고 다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처해 있는 상황 데이터를 수집하기 가장 좋으며, 상황은 항상 동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면 사용자의 상황을 유추할 수 있다.Since smartphones are always around, it is best to collect the situation data that users are in, and because the situation is always changing dynamically, the data is constantly generated, and when the data is collected and analyzed, the user's situation can be inferred.
상황을 인지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변수는 장소, 시간, 거리, 사용자의 상황, 네트워크 상태 등이 있다. Variabl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recognize the situation are location, time, distance, user's situation, network status, and so on.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정보는 장소와 시간이므로 이를 활용하여 상황 인지를 수행하게 된다.The most common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n a mobile environment is location and time, so it is used for context awareness.
현재 모바일에서 폴더를 통한 인터페이스 제공이 일반적이며, 폴더는 사용자가 임의로 생성하고, 그 이름을 정하고, 거기에 알맞은 어플을 찾아 일일히 집어 넣어야 한다.Currently, it is common to provide an interface through a folder on a mobile, and a folder must be randomly generated by a user, set its name, and find a suitable application there.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장소자동인지부(100)는,In the meantime, the place
스마트폰의 GPS Sensor와 Time log에서 발생하는 Raw Log 데이터를 가공하여 로그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기 위한 로그처리엔진모듈(110)과,A log
상기 로그처리엔진모듈에 의해 가공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로그데이터베이스(120)와,A
상황인지를 위하여 Gyroscope Sensor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판별하고, 판별된 행동을 기반으로 Moving path Pattern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장소를 인지하기 위한 상황인지엔진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ituation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어플(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함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GPS Sensor와 Time log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Raw Log Data가 발생한다. More specifically, as a user uses an application (application), raw log data is generated based on data generated from the GPS sensor and the time log on the smartphone.
상기 발생된 Raw Log Data는 로그처리엔진모듈(110)에서 가공을 거쳐 로그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다. The generated raw log data is processed in the log
상황인지를 위해 Gyroscope Sensor를 상황인지엔진모듈(130)을 통해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판별한다. In order to recognize the situation, the gyroscope sensor is analyzed through the context
상기 판별된 행동을 기반으로 Moving path Pattern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장소를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And the location of the user is recognized by analyzing the moving path pattern based on the discriminated action.
이때, 상기 상황인지동적인터페이스제공부(200)는 상기 장소자동인지부에 의해 인지된 장소에 대한 어플 사용 패턴을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해당 장소에 맞는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text-aware dynamic
예를 들어, 최종적으로 인지된 장소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로그데이터베이스에 조회를 요청하게 되면, 조회된 정보를 어플 사용 패턴(Application Using Pattern) 분석을 통해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For example, when a request is made to a log database based on information about a finally recognized place, a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is provided through analysis of the application using pattern of the inquired information.
즉, 사용자의 장소와 시간에 바뀜에 따라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어플 목록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a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is created by changing the location and time of the user, thereby providing a list of applications.
상기 로그처리엔진모듈(1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GPS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경로 패턴을 분석하고 이에 의해 장소를 인지할 수가 있다.As shown in FIG. 2, the log
즉, GPS 데이터는 위도와 경도 그리고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하루 동안 수집된 GPS 데이터를 시간 순으로 연결하면 도 2와 같이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얻을 수 있다. That is, the GPS data includes latitude, longitude, and time information. When the GPS data collected in one day are connected in chronological order, the user's travel path can be obtained as shown in FIG.
이러한 이동경로의 패턴을 분석하면 사용자의 위치를 집, 회사, 야외와 같은 장소로 인지해낼 수 있는 것이다.By analyzing the pattern of this route, users can recognize their location as a house, a company, or an outdoor place.
GPS를 통해 수집된 위도, 경도 데이터는 같은 위치에 있더라도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GPS 데이터는 항상 같을 수 없다. Even if the latitude and longitude data collected by GPS are in the same position, slight differences may occur, and GPS data can not always be the sam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GPS 데이터를 일정 범위 영역으로 변환해야 한다. To solve this problem, GPS data must be converted into a certain range.
주소는 일정 범위 값에 해당하기 때문에 GPS데이터의 위도 경도를 주소 데이터로 변환하고, 주소 데이터는 GPS 데이터 값에 일정 오차가 생기더라도 어느 정도 일정한 위치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Since the address corresponds to a certain range value, the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GPS data is converted into the address data, and the address data can receive the certain position data even if a certain error occurs in the GPS data value.
이렇게 수집된 GPS 데이터는 매일 조금씩 다르지만 주 중에는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GPS 데이터의 이동 패턴을 분석하면 사용자의 위치를 집과 회사와 같은 상황 정보로 인지할 수 있다.The collected GPS data is slightly different every day, but it has a certain pattern in the week, and if the analysis of the movement pattern of the GPS data is analyzed, the user's position can be recognized as situation information such as home and company.
상기와 같은 상황을 인지하기 위하여 모든 경로의 시작과 끝은 집이다, 회사는 집이라고 판단된 장소가 아닌 가장 오랜 시간 같은 장소에 머물고 어플 사용량이 많다, 집과 회사로부터 일정 거리 멀어진 장소는 야외이다, 라는 상황인지를 가정이 필요하게 된다.In order to recognize the above situation, the beginning and end of all the paths are the house. The company is staying in the same place for the longest time, not the place judged as the house, and the application is used a lot. , It is necessary to assume that the situation is.
위와 같은 가정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가 집이라는 것을 판단하기 위해 하루의 시작과 끝을 알기 위해 시간별 애플리케이션 사용량을 분석해보면 도 3와 같은 Interval Time이 존재한다. Based on the above assumptions, in order to determine the pl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it is time to analyze the usage amount of the application in order to know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day.
상기 Interval Time에는 애플리케이션 사용량이 없는 긴 시간 지속된다. The Interval Time lasts for a long time without application usage.
이 시간은 사용자가 잠을 자고 있는 상황이고 Interval Time이 시작되는 시점과 끝나는 장소를 비교하여 집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시점은 Gyroscope의 Y값의 심한 변화량을 측정하여 결정된다. This time can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s of the Interval Time with the user's sleeping state. This time i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gyroscope's significant change in Y value.
사용자가 폰을 집어드는 행위를 인지하고 인지된 시점을 기반으로 폰을 사용하지 않은 시간을 상황인지엔진모듈(130)을 통해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The user recognizes an operation of picking up a phone and measures a time when the phone is not used based on the recognized point of time through the context
따라서, 상황인지엔진모듈은 이러한 하루의 시작과 끝을 인지하게 되면 해당 장소를 집으로 판단할 수가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context awareness engine module recognizes the start and end of the day, it can judge the place as home.
한편, Interval Time이 끝나고 나면 일반적으로 오랜 시간 GPS 위치 변화도 적으며 애플리케이션 사용량이 증가하는 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Interval Time is over, there is usually a long time change of the GPS position and application usage is increasing.
집을 제외하고 가장 오랜 시간 사람이 활동하는 영역은 보통 회사 혹은 학교이다. Except for the house, the area in which the person works the longest is usually a company or a school.
애플리케이션 사용량과 하루 중 오랜 시간 머무는 장소를 분석하면 회사를 인지할 수 있다.You can identify your company by analyzing application usage and where you spend a lot of time during the day.
집과 회사가 인지된 후 이외의 모든 장소는 야외로 인지하게 되며, 야외는 집과 회사로부터 일정 거리 벗어난 장소라고 가정한다.After the house and the company are recognized, all other places are recognized as outdoor, and the outdoor is assumed to be a place away from home and company.
한편, 본 발명의 로그처리엔진모듈은, Raw Log 데이터가 발생하면 실시간으로 temporal 도메인 밸류와 Poi Tiling 기법을 이용하여 주소값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log processing engin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ddress value conversion by using a temporal domain value and a poi tiling method in real time when raw log data is generated.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사용자의 성향은 시간적 주기를 가지고 반복되는 성향이 있다. Specifically, user tendencies tend to be repeated with a temporal cycle.
즉, 사용자의 성향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성향이 있는데, 예를 들면, 아침에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가 저녁에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과는 다르고 애플리케이션 실행 빈도도 시간 변화에 따라 변한다. That is, the tendency of the user to change with time changes. For example, the type of application used in the morning differs from that used in the evening, and the frequency of application execution also changes with time.
따라서, temporal 도메인 밸류(Temporal Domain Values)를 적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Therefore, temporal domain values are applied to store the data.
이때, 누적된 데이터의 사용 일시에 도메인을 적용하게 되면, 동적 인터페이스에 적용할 애플리케이션을 유도해 내기가 쉽다.In this case, applying the domain to the accumulated date and time of use of the data makes it easy to derive the application to be applied to the dynamic interface.
적용된 도메인 값은 { "morning", "afternoon", "evening", "night" }로 각 타임 정보는 하루 24시간을 기준으로 "morning"은 06시~11시까지, "afternoon"은 11~17시, "evening"은 17시~20시, "night"는 20시~06시로 적용한다. The applied domain values are {"morning", "afternoon", "evening", "night"}. Each time information is based on 24 hours a day. "Morning" is 06:00 to 11:00. "Afternoon" City, "evening" is from 17:00 to 20:00, and "night" is from 20:00 to 06:00.
사용 일시는 시간 도메인에 따라 분류되고, 해당 시간에 사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패턴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동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use date and time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ime domain, and the usage pattern data of the application used at the relevant time is analyzed to provide a dynamic interface to the user.
한편, 상기 로그처리엔진모듈은, 카운트 정보를 적용하여 로그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체 데이터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Raw Log 데이터는 어플 이름, 사용 일시, 위도, 경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log processing engine module reduces the number of all data stored in the log database by applying the count information, and the raw log data includes application name, use date and time, latitude and longitude data .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도 4와 같이 가공하지 않은 Raw 로그 데이터가 발생하게 되며, 발생한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이름, 사용 일시, 위도, 경로를 가지게 된다.Specifically, when a user uses an application, unprocessed raw log data is generated as shown in FIG. 4, and the generated data has an application name, a date and time of use, a latitude and a path.
이때, 상기 로그처리엔진모듈은, Raw Log 데이터가 발생하면 실시간으로 temporal 도메인 밸류와 주소 변환 과정을 거쳐 로그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raw log data is generated, the log processing engine module stores the temporal domain value and the address conversion process in real time in the log database.
상기 주소변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GPS data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주소값 보정이 필요하며, 같은 장소에서 발생한 GPS data도 다른 주소값으로 변환될 수 있다.The address value correction is required due to the uncertainty of the GPS data generated in the address conversion process, and the GPS data generated at the same place may be converted to another address value.
도 5와 같이, 주소 데이터의 오류를 찾아볼 수 있는데, 사용자는 같은 위치에서 측정했지만 서로 다른 주소값으로 표현되므로 이는 장소기반 추천을 수행할 시 정확한 추천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된다.As shown in FIG. 5, an error of the address data can be found. Since the user is measured at the same position but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address valu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commend the location based recommendation.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Poi Tiling 기법을 이용하여 주소값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address value conversion is performed by using the poi tiling method.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로 발생한 Log데이터를 기반으로 위도, 경도 값에 보정값 ±0.001을 주어 지도를 Tile 형태로 나눈다. As shown in FIG. 6, the map is divided into tiles by giving a correction value +/- 0.001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values based on the log data generated for the first time.
Tile된 지도를 기반으로 Lat, Lon값을 보정한 형태로 주소값 변환을 하면 주소값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ddress value error can be minimized by converting the address value in the form of corrected Lat and Lon values based on the tiled map.
상기 로그처리엔진모듈에서 가공을 거친 데이터는 도 7과 같다.The processed data in the log processing engine module is shown in FIG.
가공된 데이터는 Temporal Domain Values와 주소변환을 적용한 것 이외에 카운트 정보를 적용하여 데이터의 전체적인 개수를 대폭 감소시키게 된다.In addition to applying Temporal Domain Values and address translation, the processed data is greatly reduced in the overall number of data by applying count information.
즉, 스마트폰의 특성상 저장되는 데이터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스마트폰에서 사용하기 부적합해지므로 데이터 최적화가 중요하게 되므로 각 애플리케이션마다 사용한 일시를 측정하고 해당 일시에 위치한 GPS데이터를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사용 로그를 생성하게 되며, 로그 데이터를 가공하여 시간대 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패턴을 유추하기 쉽도록 로그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In other words, as the number of stored data increases as the number of stored data increases, optimization of data becomes important because it becomes inapplicable to use in smartphone. Therefore, by measuring the date and time used for each application, The log data is processed and stored in the log database so that it is easy to guess the application usage pattern by time zone.
한편, 상기 상황인지동적인터페이스제공부(200)는 장소자동인지부에 의해 인지된 장소에 대한 어플 사용 패턴을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해당 장소에 맞는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Meanwhile, the context-aware
즉, 사용자의 장소와 시간에 바뀜에 따라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어플 목록을 제공하는 것이다.That is, a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is crea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user's place and time, and a list of the applications is provided.
특히, 상기 상황인지동적인터페이스제공부(200)는 최근에 사용한 30일간의 데이터만을 고려하여 추천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articularly, the context-aware dynamic
즉,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최근 애플리케이션 사용 패턴을 반영하기 위해 최근에 사용한 30일간의 데이터만을 고려하여 추천에 사용된다.That is, the stored data is used for the recommendation considering only the data of 30 days recently used to reflect the application usage pattern to the user recently.
그리고, 상황인지동적인터페이스제공부(200)는 사용자가 폰을 실행했을 때 위치해 있는 장소와 시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로그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제공한다.The context aware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어플이 결정되어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 생성에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Specifically, based on the analyzed data, the applic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is determined and used to generate a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로그데이터베이스에 지속적으로 쌓이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패턴 데이터는 시간이 지날수록 누적된 실행횟수로 인하여 사용자가 새롭게 자주 이용하게 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The application usage pattern data accumulated continuously in the log database takes a lot of time to be provided by the user because of the cumulative number of executions over time.
때문에 상기 상황인지동적인터페이스제공부에서 추천하는 어플은 새롭게 자주 사용하는 어플이어야 한다.Therefore, the application recommended in the context aware dynamic interface offering should be a new and frequently used application.
이를 위하여 Fresh- based Recommendation 기법을 적용하게 된다.To this end, the Fresh-based Recommendation technique is applied.
상기 Fresh-based 기법에는 두 가지 모델이 있다. There are two models of the fresh-based technique.
Damped Window model은 지난 데이터와 최근 데이터를 비교하여 중요도를 계산하는 방식이고, Sliding Window model은 최근 일정 기간에 주어진 사용 기록만 적용하는 모델이다.The Damped Window model calculates the importance by comparing past data with recent data. Sliding Window model is a model that applies only the usage history given in recent period.
모바일 기기의 특성상 큰 데이터를 처리하기는 부적합하기 때문에 과거 일정 기간 이전의 데이터는 고려하지 않고 최근 데이터만을 고려하는 Sling Window model이 적합하다. Because it is not appropriate to process large data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devices, Sling Window model considering only recent data is suitable without consideration of data before a certain period in the past.
따라서, 상기 상황인지동적인터페이스제공부에서 Sliding Window Model을 적용하면 사용 패턴이 시간에 따라 자주 변하는 경향을 가진 사용자의 최근 사용 패턴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된다. Therefore, applying the Sliding Window Model in the context-aware dynamic interface interface helps us to predict the recent usage patterns of users who tend to change their usage patterns over time.
즉, 너무 오래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 패턴을 분석하지 않고 최근 30일간의 데이터만을 사용하여 사용 패턴을 분석한다. That is, the usage pattern is analyzed using only the data of the last 30 days without using the old pattern data and analyzing the usage pattern.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최근 사용 패턴 변화를 반영함으로써 사용자 성향 변화를 애플리케이션 목록 예측 결과에 반영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It can play a large role in reflecting the change in the user tendency in the application list prediction result by reflecting the change in the user's recent usage pattern with time.
도 8은 Sliding Window model을 적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Temporal Domain Values에 따라 하루를 { "morning", "afternoon", "evening", "night" }으로 나눈다.FIG. 8 shows the data of the users divided into {"morning", "afternoon", "evening", "night"} according to Temporal Domain Values in order to apply sliding window model.
현재 예측해야 할 "night" 시점에 3가지 애플리케이션을 알기 위해 최근 30일간의 데이터를 이용하게 되는데, 최근 30일 동안에 "night"에 사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상위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예측하여 제공하게 된다.We use the last 30 days of data to know the three applications at the current "night" time to predict, and during the last 30 days we analyze the usage pattern of the application used for "night" .
또한, 상기 상황인지동적인터페이스제공부는 도 9에 도시한 수식을 사용하여 어플의 실행 확률을 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xt-aware dynamic interface providing unit can obtain the execution probability of the application using the formula shown in FIG.
현재 위치한 장소와 템프럴 도메인에 해당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와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횟수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 사용 확률을 얻을 수 있다. You can get application usage probabilities by using the number of executions of specific applications and the number of executions of all applications for the current location and temp domain.
구해진 확률은 최근 30일간의 기록을 합산하여 현재 실행될 가장 높은 확률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예측한다.The obtained probability sums up the records of the last 30 days to predict the list of the applications with the highest probability to be executed currently.
상기 상황인지동적인터페이스제공부는 사용자의 장소가 인지되고 장소에 따른 어플 사용 패턴이 분석되면 개인화된 어플 목록을 표시하게 된다.The context-aware dynamic interface provider displays a list of personalized applications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is recognized and the application usage pattern according to the location is analyzed.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목록은 바람직하게는 왼쪽부터 사용자가 현재 사용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순으로 배치된다. The displayed application list is preferably arranged from the left in the order in which the user is most likely to use the current one.
장소의 이동(집, 회사, 야외)이나 시간의 변경("morning", "afternoon", "evening", "night") 상황에 따라서 업데이트가 이뤄지게 되며, LockScreen의 형태로 제공된다. Updates are mad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move (house, company, outdoor) or change of time ("morning", "afternoon", "evening", "night") and are provided in the form of LockScreen.
본 발명의 장치는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를 생성해준다.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iodically recognizes the user's situation in the background state and generates a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based on the perceived information.
때문에 사용자의 장소와 시간이 바뀜에 따라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As a result, a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is provided as the user's location and time change.
특히, 상황인지동적인터페이스제공부는 사용자의 위치나 시간의 변화에 따라 동적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 목록 3가지를 제공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context aware dynamic interface providing unit generates a dynamic interface according to a change of a user's location and time, and provides the user with three application lists.
도 10은 잠금 화면 형태로 배치한 상태에서 생성되는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실시예에서는 총 10개의 추천 애플리케이션을 보여주고 또한 각 장소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표시되어 인지된 장소가 어디인지 보여준다.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atus of an interface generated in a state of being arranged in the form of a lock screen. In the embodiment, a total of ten recommended applications are displayed and ic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laces are displayed to show where the recognized locations .
같은 장소라도 다른 시간대라면 추천되는 애플리케이션 또한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ommended applications are also different if they are in the same time zone.
이때, 상위 애플리케이션의 변화율을 적지만 장소와 시간의 변화에 따라 추천되는 애플리케이션 변화를 볼 수 있다. At this time, although the change rate of the upper application is small, it is possible to see the recommended application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lace and time.
상위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변화율은 적지만 하단으로 갈수록 각 시간대와 장소의 특성에 따라 추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볼 수 있다.While the top-ranked applications show little change, you can see the recommended applications at the botto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ime zone and location.
스마트폰은 작은 디스플레이와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인터페이스를 재정렬하는 불편함과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해 앱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 기반 상황 정보와 시간대별 애플리케이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동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Although the smartphone ha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manually rearrange the interface with the small display and the inconvenience of searching for the app to execute the desired appl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analyze the location- To provide a dynamic interface.
따라서, 현재 스마트폰이 가지는 수동적인 인터페이스에서 나타난 복잡성 문제와 원하는 앱을 찾아서 실행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complexity problem in the passive interface of the current smartphone and the inconvenience of finding and executing the desired app.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장소자동인지부
200 : 상황인지동적인터페이스제공부100: Place Auto Tear
200: Context-aware dynamic interface offering
Claims (8)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장소를 자동 인지하기 위한 장소자동인지부(100)와;
상기 장소자동인지부에 의해 인지된 장소에 대한 어플 사용 패턴을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해당 장소와 시간에 맞는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황인지동적인터페이스제공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장소자동인지부(100)는,
스마트폰의 GPS Sensor와 Time log에서 발생하는 Raw Log 데이터를 가공하여 로그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기 위한 로그처리엔진모듈(110)과,
상기 로그처리엔진모듈에 의해 가공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로그데이터베이스(120)와,
상황인지를 위하여 Gyroscope Sensor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판별하고, 판별된 행동을 기반으로 Moving path Pattern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장소를 인지하기 위한 상황인지엔진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로그처리엔진모듈(110)은,
Raw Log 데이터가 발생하면 실시간으로 temporal 도메인 밸류와 Poi Tiling 기법을 이용하여 주소값 변환을 수행하고, 카운트 정보를 적용하여 로그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체 데이터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적용한 상황인지 기반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
A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providing system,
A location auto-recognition unit 100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a location of a user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 context-aware dynamic interface providing unit 200 for analyzing an application usage pattern for a place recognized by the place automatic book keeping unit by using a sliding window model and providing a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place and time Respectively,
The place auto hold unit (100)
A log processing engine module 110 for processing the raw sensor log data generated by the GPS sensor of the smart phone and the time log and storing the processed raw log data in the log database,
A log database 120 storing data processed by the log processing engine module,
And a situation recognition engine module 130 for recognizing a user's location by analyzing a gyroscope sensor to determine a user's behavior and analyzing a moving path pattern based on the discriminated behavior, In addition,
The log processing engine module 110,
When raw log data is generated, address value conversion is performed using a temporal domain value and a Poi tiling technique in real time, and count information is applied to reduce the total number of data stored in the log database. A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Providing System Based on Situational Cognition Applying Model.
상기 Raw Log 데이터는,
어플 이름, 사용 일시, 위도, 경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적용한 상황인지 기반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w log data includes:
And the application name, the date and time of use, the latitude and the longitude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sliding window model in the mobile environment.
상기 상황인지동적인터페이스제공부(200)는,
사용자의 장소와 시간에 바뀜에 따라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어플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적용한 상황인지 기반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xt-aware dynamic interface component 200,
Wherein th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user's location and time, and the list of the applications is provided, and the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providing system applying the sliding window model in the mobile environment.
상기 상황인지동적인터페이스제공부(200)는,
LockScreen의 형태로 어플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적용한 상황인지 기반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xt-aware dynamic interface component 200,
And provides a list of applications in the form of LockScreen. A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providing system applying a sliding window model in a mobile environment.
상기 장소자동인지부(100)는,
이동 경로의 패턴을 분석하여 집, 학교 혹은 회사, 야외 중 어느 하나의 장소를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 슬라이딩 윈도우 모델을 적용한 상황인지 기반 개인화된 동적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ace auto hold unit (100)
Wherein the mobile terminal recognizes at least one of a home, a school, a company, and an outdoor location by analyzing a pattern of a moving route. The system provides a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based on a context-aware application using a sliding window model in a mobile environm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8890A KR101690052B1 (en) | 2016-02-18 | 2016-02-18 |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system applying sliding window model in mobile environ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8890A KR101690052B1 (en) | 2016-02-18 | 2016-02-18 |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system applying sliding window model in mobile environ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0052B1 true KR101690052B1 (en) | 2016-12-28 |
Family
ID=57724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8890A Active KR101690052B1 (en) | 2016-02-18 | 2016-02-18 |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system applying sliding window model in mobile environ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005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31912A1 (en) * | 2017-01-12 | 2018-07-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method therewith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08628A1 (en) * | 2010-07-13 | 2012-0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figuration method for standby screen thereof |
US8145561B1 (en) * | 2009-01-05 | 2012-03-27 |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 Phone usage pattern as credit card fraud detection trigger |
KR101233955B1 (en) * | 2012-05-17 | 2013-02-15 | 권오형 | Device and method for user-centric configuration of icon in main screen |
KR20130089333A (en) | 2012-02-02 | 2013-08-12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2016
- 2016-02-18 KR KR1020160018890A patent/KR10169005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145561B1 (en) * | 2009-01-05 | 2012-03-27 |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 Phone usage pattern as credit card fraud detection trigger |
WO2012008628A1 (en) * | 2010-07-13 | 2012-0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figuration method for standby screen thereof |
KR20130089333A (en) | 2012-02-02 | 2013-08-12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KR101233955B1 (en) * | 2012-05-17 | 2013-02-15 | 권오형 | Device and method for user-centric configuration of icon in main scre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31912A1 (en) * | 2017-01-12 | 2018-07-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method therewith |
US10637983B2 (en) | 2017-01-12 | 2020-04-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method therewith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348931A1 (en) | Providing Light Navigation Guidance | |
US10567568B2 (en) | User event pattern prediction and presentation | |
EP3278291B1 (en) | Inferring user sleep patterns | |
US7617308B2 (en) | Context conflict resolution and automatic context source maintenance | |
US9200921B2 (en) | Parking information based on destination | |
US20160358065A1 (en) | Personally Impactful Changes To Events of Users | |
US20160321616A1 (en) | Unusualness of Events Based On User Routine Models | |
CN107851243B (en) | Inferring physical meeting location | |
US20130132330A1 (en) | Management of privacy settings for a user device | |
KR10217236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entric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
CN104994125B (en) | Method for sending informatio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 |
US10394921B2 (en) | Career path navigation | |
KR101690052B1 (en) |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system applying sliding window model in mobile environment | |
US20140032743A1 (en) | Selecting equipment associated with provider entities for a client request | |
JP6389301B1 (en) | Determination device, determination method, and determination program | |
JP2018190468A (en) | Calculation device, calculation method, and calculation program | |
JP6698720B2 (en) |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management server,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program | |
JP6698716B2 (en) | Judgment program, judgment device and judgment method | |
KR2013003703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user preference about domain using multi-dimensional and multi-layer context structure | |
KR10255229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entric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
KR10230735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entric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
KR2024003347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entric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
Yasuoka et al. | AI, Making Software for Humans | |
Ryong et al. | A Context-Aware Personalized Dynamic Interface System in Mobile Environ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