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8739B1 - Video editing systems and a driving method using video project templates - Google Patents

Video editing systems and a driving method using video project templat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739B1
KR101698739B1 KR1020150092653A KR20150092653A KR101698739B1 KR 101698739 B1 KR101698739 B1 KR 101698739B1 KR 1020150092653 A KR1020150092653 A KR 1020150092653A KR 20150092653 A KR20150092653 A KR 20150092653A KR 101698739 B1 KR101698739 B1 KR 101698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window
template
project
rende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6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2831A (en
Inventor
강종규
임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벽우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벽우,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벽우
Priority to KR1020150092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739B1/en
Publication of KR20170002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8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73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편집 관련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도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며, 비디오 프로젝트 파일을 압축하여 네트워크상의 렌더링서버(20)로 전송이 가능한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편집 시스템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디오 소스 파일과 시나리오를 타임라인 상에 배치하고 하나 이상의 영상 및 음향 효과들을 배치하며, 이펙트효과를 추가하여 비디오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템플릿 기반 저작도구(10)와, 상기 템플릿 기반 저작도구(10)를 통해 생성된 비디오 프로젝터 파일을 업로드하여 콘텐츠를 렌더링하며, 렌더링 작업을 통해 콘텐츠를 생성하는 렌더링서버(20)와, 상기 렌더링서버(20)를 통해 생성된 콘텐츠를 등록하며 각각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연동되어 정보전송 및 제어하는 CMS서버(30) 및 CMS서버(30)를 통해 콘텐츠 정보를 전송받아 재생시키는 네트워크 단말장치(4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편집 시스템을 이용하면 새로운 비디오 프로젝트 툴을 제공함으로써 영상편집 관련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으며, 편집과 렌더링 작업을 분리시켜 렌더링 작업과정에도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editing system and a driving method using a project template that can be easily used by ordinary people who do not have expertise in image editing and can transmit a video project file to a rendering server 20 on the network. A template-based authoring tool 10 for placing a video source file and a scenario on a timeline, arranging one or more video and sound effects, and adding a effect effect to create a video project; A rendering server 20 for uploading a video projector file created through the rendering server 20 to render the content and rendering the content through a rendering operation, a content server 20 for registering the content generated through the rendering server 20, And receives and transmits the content information through the CMS server 30 and the CMS server 30, And a network terminal unit 40 for reproduction.
Accordingly, by using the video editing system using the video project tem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ew video project tool can be provided, so that a general person who does not have expertise in image editing can easily perform an operation.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perform other tasks.

Description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편집 시스템 및 구동방법{Video editing systems and a driving method using video project template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editing system and a driving method using video project templates,

본 발명은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편집 시스템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편집 관련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도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며, 비디오 프로젝트 파일을 압축하여 네트워크상의 렌더링서버(20)로 전송이 가능한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편집 시스템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editing system and a driving method using a video project templat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use public users who do not have expertise in image editing, compresses a video project fi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editing system and a driving method using a video project template capable of transmitting a video project template.

일반적으로 Adobe사의 비디오 편집도구인 After Effects는 비디오 프로젝트 파일(*.prj)을 사용한다. 새로운 비디오를 생성하려면 반드시 이 편집툴이 있어야 비디오의 수정과 수정된 영상의 렌더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general, Adobe's video editing tool After Effects uses a video project file (* .prj). In order to create a new video, you must have this editing tool to be able to modify the video and render the modified image.

이 과정의 경우 영상편집에 관련된 전문지식을 가진 전문가만이 작업이 가능하며, 만약 한번 만들어진 비디오 프로젝트 파일을 가져와서 비디오 안의 주인공 사진만 다른 사람의 사진으로 교체하고 싶을 경우 After Effects를 실행하여 프로젝트 파일을 오픈하고, 타임라인 상에 이미 배치한 미디어 소스, 이펙터들이 올라오며 그 중에서 바꾸고 싶은 특정 프레임 위치의 사진들을 새로운 사진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In this process, only an expert with expertise in image editing can work. If you want to import a video project file that you created and replace only the main image in the video with another person's photo, you can run After Effects to create a project file , The media source and effectors that have already been placed on the timeline should be uploaded and replaced with a new photo of the specific frame location that you want to change.

그리고 렌더링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렌더링 작업을 종료하기까지 오랜시간을 기다려야 하므로 다른 작업을 진행할 수 없게된다.And, if you perform a rendering operation, you will have to wait a long time until the rendering operation is finished, so you will not be able to do anything else.

이에 따른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5564호(협업적 영상 제작 관리 장치,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이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ology, there is Korean Patent No. 10-1155564 (cooperativ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상기 선행기술은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노드들과 연결시키며, 상기 다수의 노드들 중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노드를 호출하는 호출 연결 인터페이스와, 상기 호출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출된 노드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다수의 노드들에서 처리된 각 데이터들을 상기 다수의 노드들로 공유시키는 데이터 저장 및 처리부와,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해주는 자원 호출부와, 상기 자원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종 결과물을 생성하는 최종 결과물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노드들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어를 탑재한 멀티코어 중앙 처리 장치와, 프로그래머블 쉐이더 프로세서를 탑재한 그래픽 처리 장치와, 상기 멀티코어 중앙 처리 장치와 그래픽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용 단일 명령 복수 데이터 방식 하드웨어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호출 연결 인터페이스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적 영상 제작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ior art includes a call connection interface for connecting to a plurality of node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for calling a node selected by an administrator among the plurality of nodes and receiving data processed at a node called through the call connection interface A data storage and processing unit for storing the data stored in the resource database and for sharing the data processed by the plurality of nodes with the plurality of nodes; And a final product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final products using the data stored in the resource database, wherein each of the nodes includes a multicore central processing unit having at least one core mounted on one processor, a programmable shader processor Built-in graphics processor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interworking with the call connection interfac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terminal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aborative image 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구성 및 작용은 개발 툴 자체가 전문가만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복잡한 프로그램 구동으로 형성되어 영상편집 관련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인은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ior art have been problematic in that the development tool itself is formed by a complex program drive so that only an expert can use it, and a general person who does not have expertise related to image editing has difficulty in using it.

또한, 렌더링을하는 시간 동안 컴퓨터를 사용하지 못하고 전문가는 다른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mputer can not be used during the rendering time and the specialist must perform another task,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is lower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5564호(협업적 영상 제작 관리 장치, 등록일자 2012년06월05일)Korean Patent No. 10-1155564 (Collaborative image production management device, registered on June 5, 201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영상편집 관련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작업이 가능하며, 비디오 프로젝트에 있는 사진이나 소스를 교체할 수 있는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편집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editing system using a video project template capable of replacing a photograph or a source in a video project, It has its purpose.

또한, 비디오 편집과 렌더링을 분리시킴으로써 렌더링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에 작업자가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편집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deo editing system using a video project template that allows an operator to perform other tasks while performing a rendering operation by separating video editing and render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비디오 소스 파일과 시나리오를 타임라인 상에 배치하고 하나 이상의 영상 및 음향 효과들을 배치하며, 이펙트효과를 추가하여 비디오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템플릿 기반 저작도구(10)와, 상기 템플릿 기반 저작도구(10)를 통해 생성된 비디오 프로젝터 파일을 업로드하여 콘텐츠를 렌더링하며, 렌더링 작업을 통해 콘텐츠를 생성하는 렌더링서버(20)와, 상기 렌더링서버(20)를 통해 생성된 콘텐츠를 등록하며 각각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연동되어 정보전송 및 제어하는 CMS서버(30) 및 CMS서버(30)를 통해 콘텐츠 정보를 전송받아 재생시키는 네트워크 단말장치(40)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late-based authoring tool for arranging a video source file and a scenario on a timeline, arranging one or more images and sound effects, and adding a effect effect to generate a video project A rendering server 20 for uploading a video projector file generated through the template-based authoring tool 10 to render a content and generating content through a rendering operation; And a network terminal device 40 for registering the generated content and interworking with each user terminal device to transmit and control the content information through the CMS server 30 and the CMS server 30 for transmitting and controlling information.

이 때, 상기 템플릿 기반 저작도구(10)는 반복적인 형태의 새로운 비디오 영상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11)과, 상기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11)을 통해 생성된 비디오 영상에 영상 및 음향효과를 추가하는 비디오 이펙트(12) 및 영상 및 음향효과에 대한 이펙터 정보가 저장되는 A/V소스(13)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template-based authoring tool 10 includes a video project template 11 used for generating a new video image in a repetitive form, a video project template 11 used for generating a video image and sound effects And an A / V source 13 for storing effect information on the video and sound effects.

또한, 상기 템플릿 기반 저작도구(10)는 렌더링서버(20)로 비디오 영상을 전송하는 무선네트워크 통신수단으로 FTP(File Transfer Protocol)방식으로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mplate-based authoring tool 10 may be uploaded to the rendering server 20 via a FTP (File Transfer Protocol) method as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video images.

또한, 본 발명의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요한 영상편집 시스템 구동방법은 템플릿 기반의 저작도구를 이용한 신규 툴을 실행하는 단계(S10)와, 상기 실행된 툴의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11)을 오픈하는 단계(S20)와, 오픈된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창에 기존의 프레임과 교체할 프레임을 선정하며, 교체작업을 실행하는 단계(S30)와, 상기 작업된 프레임에 영상 및 음향 효과를 추가하는 단계(S40)와, 상기 효과가 추가된 콘텐츠를 프로젝트 저장하는 단계(S50)와, 상기 저장된 프로젝트 정보를 렌더링서버(20)로 전송하는 단계(S60) 및 네트워크 단말장치(40)를 통해 렌더링서버(20)로부터 프로젝트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프로젝트의 미디어 플레이어를 재생하는 단계(S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ethod of driving an image editing system using the video project tem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executing a new tool using a template-based authoring tool (S10), opening a video project template (11) of the executed tool (S30) of selecting a frame to be replaced with an existing frame in one or more windows of the opened template, performing a replacement operation (S30), and adding a video and a sound effect to the frame (S50) of transmitting the stored project information to the rendering server 20 (S60), and transmitting the saved project information to the rendering server 20 through the network terminal device 40 And reproducing the media player of the project (S70).

또한 본 발명은 상기 S70단계에서, 렌더링서버(20)로부터 프로젝트 정보를 단말장치를 제어하는 CMS서버(30)를 통해 네트워크 단말장치(4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편집방법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70, the project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rendering server 20 to the network terminal device 40 through the CMS server 30 that controls the terminal device. ≪ / RTI >

이와 같은 구성으로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편집 시스템 및 구동방법이 완성되는 것이다. With this configuration, an image editing system and a driving method using a video project template are completed.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편집 시스템을 이용하면 새로운 비디오 프로젝트 툴을 제공함으로써 영상편집 관련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으며, 편집과 렌더링 작업을 분리시켜 렌더링 작업과정에도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by using the video editing system using the video project tem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ew video project tool can be provided, so that a general person who does not have expertise in image editing can easily perform an operation.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perform other tasks.

또한, 본 발명은 초기에 비디오 프로젝트 파일을 생성할 때 한 번만 After Effects를 사용하면 되므로 저작권 문제가 발생하므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비디오 프로젝트 툴을 제공함으로써 After Effects 툴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 저작권 관련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After Effects only once when generating the video project file in the beginning, a copyright problem occurs. Accordingly,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After Effects tool by providing the new video project tool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problem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도 1은 종래의 일반 비디오 편집툴의 제작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편집 시스템을 이용한 구동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100)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송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작업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1 is a flowchart of a conventional general video editing tool.
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using an image editing system using a video project tem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creen of the user interfa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network transmiss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render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편집시스템 및 구동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image editing system and a driving method using a video project tem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이다.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비디어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편집 시스템은 비디오 소스 파일과 시나리오를 타임라인 상에 배치하고 하나 이상의 영상 및 음향 효과들을 배치하며, 이펙트효과를 추가하여 비디오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템플릿 기반 저작도구(10)와, 상기 템플릿 기반 저작도구(10)를 통해 생성된 비디오 프로젝터 파일을 업로드하여 콘텐츠를 렌더링하며, 렌더링 작업을 통해 콘텐츠를 생성하는 렌더링서버(20)와, 상기 렌더링서버(20)를 통해 생성된 콘텐츠를 등록하며 각각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연동되어 정보전송 및 제어하는 CMS서버(30) 및 CMS서버(30)를 통해 콘텐츠 정보를 전송받아 재생시키는 네트워크 단말장치(40)를 포함한다.2, an image editing system using a video project tem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laces a video source file and a scenario on a timeline, arranges one or more video and sound effects, adds an effect effect, A rendering server 20 for uploading a video projector file generated through the template-based authoring tool 10 to render the content, and generating content through a rendering operation; A CMS server 30 for registering contents created through the rendering server 20 and interworking with and controlling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device, and a network terminal device 3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ents information through the CMS server 30, (40).

이 때, 상기 템플릿 기반 저작도구(10)는 반복적인 형태의 새로운 비디오 영상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11)과, 상기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11)을 통해 생성된 비디오 영상에 영상 및 음향효과를 추가하는 비디오 이펙트(12) 및 영상 및 음향효과에 대한 이펙터 정보가 저장되는 A/V소스(13)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template-based authoring tool 10 includes a video project template 11 used for generating a new video image in a repetitive form, a video project template 11 used for generating a video image and sound effects And an A / V source 13 for storing effect information on the video and sound effects.

또한, 상기 템플릿 기반 저작도구(10)는 렌더링서버(20)로 비디오 영상을 전송하는 무선네트워크 통신수단으로 FTP(File Transfer Protocol)방식으로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mplate-based authoring tool 10 may be uploaded to the rendering server 20 via a FTP (File Transfer Protocol) method as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video images.

After Effects의 비디오 프로젝트는 멀티미디어 소스를 저장하는 폴더와 타임라인 상의 스토리를 표현하는 스크립트로 구성되며, 이 구조를 *.prj 파일형식으로 저장한다. 이때, 프로젝트 파일을 읽어들여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로 화면에 나타나게 하며, 대부분 편집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를 보고 편집작업을 한다.A video project in After Effects consists of a folder that stores the multimedia source and a script that represents the story on the timeline, and stores the structure in the * .prj file format. At this time, the project file is rea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by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100, and most of the editors view the user interface 100 to perform editing work.

여기서 본 발명은 After Effects에서 저장한 비디오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해석할수 있는 Interpreter를 만들어 상기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를 단순화 시킨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user interface 100 by creating an interpreter that can interpret video project scripts stored in After Effects.

도 3은 본 발명의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편집 시스템을 이용한 구동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using an image editing system using a video project tem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편집방법은 템플릿 기반의 저작도구를 이용한 신규 툴을 실행하는 단계(S10)와, 상기 실행된 툴의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11)을 오픈하는 단계(S20)와, 오픈된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창에 기존의 프레임과 교체할 프레임을 선정하며, 교체작업을 실행하는 단계(S30)와, 상기 작업된 프레임에 영상 및 음향 효과를 추가하는 단계(S40)와, 효과가 추가된 콘텐츠를 *.prj형식으로 프로젝트 저장하는 단계(S50)와, 상기 저장된 프로젝트 정보를 렌더링서버(20)로 전송하는 단계(S60), 및 네트워크 단말장치(40)를 통해 렌더링서버(20)로부터 프로젝트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프로젝트의 미디어 플레이어를 재생하는 단계(S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video project tem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xecuting a new tool using a template-based authoring tool (S10), inputting a video project template 11 of the executed tool (S30) of selecting a frame to be replaced with an existing frame in one or more windows of the opened template, performing a replacement operation (S30), adding a video and a sound effect to the frame A step S50 of storing the project with the added effect in the form of * .prj, a step S60 of transmitting the stored project information to the rendering server 20, And receiving the project information from the rendering server 20 through the media player and reproducing the media player of the project (S70).

이때, 상기 S70단계에서, 렌더링서버(20)로부터 프로젝트 정보를 단말장치를 제어하는 CMS서버(30)를 통해 네트워크 단말장치(40)로 전송한다.At this time, in step S70, the rendering server 20 transmits the project information to the network terminal device 40 through the CMS server 30 that controls the terminal devic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100)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송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작업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user interfa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network transmission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render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11)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 화면은 기존에 작성된 프로젝트 템플릿 중에서 선택한 프로젝트가 화면에 나타나며, 큰 창은 배경이 같이 보이고 작은 창은 현재 위치 프레임에 교체 가능한 사진을 보여주는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11) 및 교체대상 프레임창(S101)을 제공한다.4, a user interface 100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video project template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project selected from existing project templates on the screen, and a large window is displayed with a background and a small window Provides a video project template 11 and a replacement target frame window S101 that show replaceable pictures in the current position frame.

또한,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11) 및 교체대상 프레임창 하단에는 관리메뉴 창(S102)이 형성되며, 상기 관리메뉴 창(S102)은 프로젝트 템플릿 선택버튼, 새로 적용할 고객사진 가져오기 버튼, 템플릿에 교체가 모두 잘되었는지 확인버튼, 렌더링을 위해 압축 및 전송 창 호출호튼을 포함하여 형성된다.In addition, a management menu window S102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video project template 11 and the replacement object frame window. The management menu window S102 includes a project template selection button, a customer picture import button to be newly applied, Lt; / RTI > button, a compression and transfer window calling horton for rendering, and so on.

또한, 상기 관리메뉴 창 하단에는 미디어의 형태가 가로 중심의 사진으로 분류되며, 특정 사진을 클릭하면 후술될 사용자 미디어 소스 적용 윈도우창(S105)으로 해당 사진이 나타나는 가로 크기의 미디어 선택창(S103)이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lower part of the management menu window, the form of the media is classified as a picture of the center of the width, and when a specific picture is clicked, a media selection window S103 of a horizontal size in which the corresponding picture is displayed in a user media source application window (S105) .

또한, 상기 가로 크기의 미디어 선택창(S103) 하단에는 세로 크기의 미디어 선택창(S104)이 구비되며, 상기 세로 크기의 미디어 선택창(S104)은 미디어의 형태가 세로 중심의 사진으로 분류하고 특정 사진을 후술될 사용자 미디어 소스 적용 윈도우창(S105)으로 해당 사진이 나타나게 된다.In addition, a media selection window S104 of a vertical siz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edia selection window S103 of the horizontal size, a media selection window S104 of the vertical size is classified as a vertical center picture, The picture is displayed on the user media source application window (S10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전술된 상기 사용자 미디어 소스 적용 윈도우창(S105)는 상기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11) 및 교체대상 프레임창의 작은창에 있는 사진이 사용자 미디어 소스 적용 윈도우창의 작은 창에 있는 사진으로 교체된다. 이때, 사용자 미디어 소스 적용 윈도우창의 큰창에는 크기 및 비율을 마우스 드래그로 처리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user media source application window S105 described above is replaced with a picture in a small window of the user media source application window, the picture in the small window of the video project template 11 and the replacement target frame window. At this time, the size and the ratio of the user media source application window can be handled by mouse dragging in the large window.

여기서, 상기 사용자 미디어 소스 적용 윈도우창은 상기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11) 및 교체대상 프레임창의 우측편에 형성된다.Here, the user media source application window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video project template 11 and the replacement target frame window.

또한, 상기 사용자 미디어 소스 적용 윈도우창(S105)의 하단에는 사용자 미디어 소스 적용 윈도우창에 형성된 사진에 비디오 효과를 적용할 수 있는 효과 추가메뉴창(S106)이 형성된다.In addition, an effect adding menu window S106 for applying a video effect to a picture formed in a user media source application window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ser media source application window S105.

또한, 상기 효과 추가 메뉴창의 하단에는 오디오 파일 변경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존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11)의 배경 오디오를 다른 오디오로 대체 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창이 형성된다.An audio file change window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effect addition menu window and a window including a function of replacing the background audio of the existing video project template 11 with another audio is formed.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관리메뉴창에서 체크를 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 렌더링을 위해 압축 및 전송 창 호출버튼을 클릭하여 압축 팝업 창이 디스플레이시킨다. 그 후, 대용량 파일이므로 압축을 해야 네트워크 전송이 수월해지며, 프로젝트 관련 메타 정보(단말기 ID, 제작자정보등)와 서버 IP주소를 입력하고 업로드버튼을 클릭하여 자동으로 프로젝트에 대한 압축을 수행하고 F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렌더링서버(20)로 비디오 파일을 전송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a check is made in the management menu window, and if there is no abnormality, a compression pop-up window is displayed by clicking a compression and transmission window calling button for rendering. After that, since it is a large-capacity file, it is necessary to compress it to facilitate network transmission. After inputting project related meta information (terminal ID, producer information) and server IP address, click the upload button to automatically perform compression on the project, To the rendering server (20).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압축된 파일이 네트워크 상의 렌더링서버(20)로 오면 렌더 프로세서가 자동으로 감지하여 대기 행렬에 넣게 된다. 그 후, 대기 행렬에 렌더링 할 아이템(효과)이 없으면 바로 렌더링을 수행하며, 렌더링을 마친 프로젝트는 완료리스트에 영상을 저장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compressed file comes to the rendering server 20 on the network, the render processor automatically detects it and places it in a queue. Then, if there is no item to be rendered (effect) in the queue, the rendering is done immediately, and the finished project stores the image in the completion list.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편집시스템 및 구동방법이 완성되는 것이다.With this configuration, an image editing system and a driving method using the video project tem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leted.

본 발명의 일부 단계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 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CD-RW,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HDD, 광 디스크, 광자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Some of the step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CD-RW, magnetic tape, floppy disk, HDD, optical disk, magneto optical storage, ,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networked and distributed to computer systems and stored and executed in computer 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템플릿 기반 저작도구 11 :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
12 : 비디오 이펙트 13 : A/V소스
20 : 렌더링서버
30 : CMS서버
40 : 네트워크 단말장치
10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0: Template-based authoring tool 11: Video project template
12: Video effect 13: A / V source
20: Rendering Server
30: CMS server
40: Network terminal device
100: User interface

Claims (4)

비디오 영상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비디오 소스 파일과 시나리오를 타임라인 상에 배치하고 하나 이상의 영상 및 음향 효과들을 배치하며, 이펙트효과를 추가하여 비디오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템플릿 기반 저작도구(10)와;
상기 템플릿 기반 저작도구(10)를 통해 생성된 비디오 프로젝터 파일을 업로드하여 콘텐츠를 렌더링하며, 렌더링 작업을 통해 콘텐츠를 생성하는 렌더링서버(20)와;
상기 렌더링서버(20)를 통해 생성된 콘텐츠를 등록하며 각각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연동되어 정보전송 및 제어하는 CMS서버(30); 및 CMS서버(30)를 통해 콘텐츠 정보를 전송받아 재생시키는 네트워크 단말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템플릿 기반 저작도구(10)는 반복적인 형태의 새로운 비디오 영상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11)과;
상기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11)을 통해 생성된 비디오 영상에 영상 및 음향효과를 추가하는 비디오 이펙트(12); 및 영상 및 음향효과에 대한 이펙터 정보가 저장되는 A/V소스(13)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 화면은 기존에 작성된 프로젝트 템플릿 중에서 선택한 프로젝트가 화면에 나타나며, 큰 창은 배경이 같이 보이고 작은 창은 현재 위치 프레임에 교체 가능한 사진을 보여주는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11) 및 교체대상 프레임창(S101)을 제공하고,
상기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11) 및 교체대상 프레임창 하단에는 관리메뉴 창(S102)이 형성되며, 상기 관리메뉴 창(S102)은 프로젝트 템플릿 선택버튼, 새로 적용할 고객사진 가져오기 버튼, 템플릿에 교체가 모두 잘되었는지 확인버튼, 렌더링을 위해 압축 및 전송 창 호출호튼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관리메뉴 창 하단에는 특정 사진을 클릭하면 사용자 미디어 소스 적용 윈도우창(S105)으로 해당 사진이 나타나는 가로 크기의 미디어 선택창(S103)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 크기의 미디어 선택창(S103) 하단에는 세로 크기의 미디어 선택창(S104)이 구비되며, 상기 세로 크기의 미디어 선택창(S104)은 미디어의 형태가 세로 중심의 사진으로 분류하고 특정 사진을 사용자 미디어 소스 적용 윈도우창(S105)으로 해당 사진이 나타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편집시스템.
A video image editing system comprising:
A template-based authoring tool 10 for placing a video source file and a scenario on a timeline, arranging one or more video and sound effects, and adding a effect effect to generate a video project;
A rendering server 20 for uploading a video projector file generated through the template-based authoring tool 10 to render the content, and generating content through a rendering operation;
A CMS server 30 for registering contents generated through the rendering server 20 and interworking with the respective user terminal devices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control; And a network terminal device 40 for receiving and reproducing contents information through the CMS server 30,
The template-based authoring tool 10 includes a video project template 11 used to generate a new video image in a repetitive form;
A video effect (12) for adding video and sound effects to the video image generated through the video project template (11); And an A / V source 13 for storing effect information on an image and a sound effect,
The displayed user interface 100 screen includes a video project template 11 showing a project selected from existing project templates, a large window having a background and a small window showing a photograph that can be replaced with a current position frame, Provides a frame window S101,
A management menu window S10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video project template 11 and the replacement object frame window. The management menu window S102 includes a project template selection button, a customer picture import button to be newly applied, All of which are well formed, including a confirmation button, a compression and transfer window calling horton for rendering,
When a specific picture is clicked on the lower part of the management menu window, a media selection window (S103) of a horizontal size in which the corresponding picture is displayed in the user media source application window (S105)
A medium selection window S104 having a vertical siz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edia selection window S103 of the horizontal size, and a media selection window S104 of the vertical size is classified into a vertical center picture, And a corresponding photo is displayed in the user media source application window (S105).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기반 저작도구(10)는 렌더링서버(20)로 비디오 영상을 전송하는 무선네트워크 통신수단으로 FTP(File Transfer Protocol)방식으로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로젝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편집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late-based authoring tool (10) uploads the image data to the rendering server (20) in a FTP (File Transfer Protocol) manner as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video image.
삭제delete
KR1020150092653A 2015-06-30 2015-06-30 Video editing systems and a driving method using video project templates Active KR1016987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653A KR101698739B1 (en) 2015-06-30 2015-06-30 Video editing systems and a driving method using video project templa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653A KR101698739B1 (en) 2015-06-30 2015-06-30 Video editing systems and a driving method using video project templa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31A KR20170002831A (en) 2017-01-09
KR101698739B1 true KR101698739B1 (en) 2017-02-13

Family

ID=5781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653A Active KR101698739B1 (en) 2015-06-30 2015-06-30 Video editing systems and a driving method using video project templat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73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369B1 (en) 2020-12-18 2021-10-06 주식회사 스파크엑스 (SPARKX Co.,Ltd.) Automatic video editing system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sound source analysis
KR102308372B1 (en) 2020-12-18 2021-10-06 주식회사 스파크엑스 (SPARKX Co.,Ltd.) Hybrid Cloud Systems with VFX Service Delivery and Collaboration
WO2022203422A1 (en) * 2021-03-24 2022-09-29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Content editing method and device using shared cont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093B1 (en) * 2018-01-31 2020-04-09 타임시스템(주) Customized Motion Graphic Video Production System
CN111163323A (en) * 2019-09-30 2020-05-15 广州市伟为科技有限公司 Online video creation system and method
CN110971840B (en) * 2019-12-06 2022-07-26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Video mapp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775504B1 (en) * 2021-04-29 2025-03-05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sharing contents based on dummy medi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564B1 (en) 2008-12-02 2012-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for cooperative digital image production
KR101097592B1 (en) * 2009-09-30 2011-12-22 이성도 Method of providing video message making ser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369B1 (en) 2020-12-18 2021-10-06 주식회사 스파크엑스 (SPARKX Co.,Ltd.) Automatic video editing system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sound source analysis
KR102308372B1 (en) 2020-12-18 2021-10-06 주식회사 스파크엑스 (SPARKX Co.,Ltd.) Hybrid Cloud Systems with VFX Service Delivery and Collaboration
WO2022203422A1 (en) * 2021-03-24 2022-09-29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Content editing method and device using shared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31A (en)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739B1 (en) Video editing systems and a driving method using video project templates
EP3335170B1 (en) Method for archiving a collaboration session with a multimedia data stream and view parameters
CN110633436B (en) Visual and user-defined panoramic editing method, system, storage medium and equipment
US8266119B2 (en) Contents management system, image processing device in contents management system, and link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of image processing device
CN107534704A (en) Message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essage handling program
US20220210342A1 (en) Real-time video production collaboration platform
JP2010146115A (en) Presentation system, data management device, and program
JP2013097808A (en) Meeting summary creation device,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16543074A (en) Image processing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120034153A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JP2007180828A (en) Network conference system, network conference method, and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JP3948264B2 (en) Network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250020387A (en) Cloud-based remote video production platform
US20230028495A1 (en) Content appearance conversion for remote application sharing
US20220377126A1 (en) Distributed network recording system with multi-user audio manipulation and editing
CN103325404B (en) Management Storyboard
KR101876134B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ssisting real-time collaboration
KR20200137931A (en) Contents merg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US20210272601A1 (en) Systems, methods and interactive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utomated video production
CN116055670B (en) Method for collaborative checking three-dimensional model based on network conference and network conference system
KR102389532B1 (en) Device and method for video edit supporting collaborative editing video
JP6640601B2 (en) Business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506423B1 (en) projector for Storytelling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CN116136785A (en) Directional screen capturing method and device for multi-user screen projection,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TW202339511A (en) Multi-resource editing system and multi-resource edi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1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118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