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6479B1 - Smart terminal for providing memo based on call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mart terminal for providing memo based on call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479B1
KR101686479B1 KR1020140165521A KR20140165521A KR101686479B1 KR 101686479 B1 KR101686479 B1 KR 101686479B1 KR 1020140165521 A KR1020140165521 A KR 1020140165521A KR 20140165521 A KR20140165521 A KR 20140165521A KR 101686479 B1 KR101686479 B1 KR 101686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call
user
voice
address boo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55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2577A (en
Inventor
차원형
임덕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후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후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후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40165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479B1/en
Publication of KR20160062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5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47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정보에 기반되는 메모를 등록받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 및 메모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마트 단말은, 통화(음성 통화 및 메시지)의 발생 기록을 포함하는 통화 기록 및 주소록을 이용하여 메모를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에 있어서, 통화 기록의 통화 또는 주소록의 사용자에 대해 음성 또는 텍스트 메모를 입력받는 메모 입력부; 통화 또는 사용자를 키로 하여 입력된 메모를 저장하는 메모 저장부; 및 통화의 발신 및 수신 이벤트가 발생되면, 통화의 메모를 조회하고, 조회된 메모를 화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통화 메모 알림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통화 정보를 기반으로 메모를 등록하고, 통화 이벤트시 메모를 알림받고, 통화 기록 및 주소록을 통해 관련 메모를 조회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mart terminal and a memo providing method in which a memo based on call information is registered and provided to a user.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terminal that provides a memo using a call log and an address book including a record of occurrence of a call (voice call and a message) A memo input unit for inputting a memo; A memo storage unit for memorizing a memo inputted using a call or a user as a key; And a call memo notification unit for inquiring a memo of a call when a call origination and reception event occurs, and displaying the memo on the screen and informing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registers a note on the basis of call information, receives a note in a call event, and inquires related notes through a call log and an address book.

Description

통화 기반의 메모를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 및 메모 제공 방법{Smart terminal for providing memo based on call and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erminal and a memo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의 메모 제공 기술로서, 문자 또는 통화와 관련하여 음성 또는 텍스트 메모를 생성하고, 문자 또는 통화의 수발신시에 관련된 메모를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 및 메모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memo of a smart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terminal and a memo providing method for generating a voice or text memo in relation to a character or a call and providing memos related to the receipt of a character or a call.

스마트 단말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모 기능을 제공한다. 주소록 어플리케이션 또는 메모 어플리케이션 등은 메모 기능을 제공한다. 메모 어플리케이션은 제목, 내용의 포맷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메모할 수 기능을 제공한다. 반면에, 주소록 어플리케이션은 주소록의 사용자별로 주소록 정보와 연계되어 사용자가 메모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smart terminal provides the memo function through the application. The address book application or memo application provides a memo function. The memo application provides the format of the title and contents so that the user can memorize freely. On the other hand, the address book application provides a function that the user can memorize by associating with the address book information for each user of the address book.

한편, 메모의 경우 상대방의 통화 또는 문자와 관련하여 메모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상대방과의 통화 내용 또는 문자 내용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메모를 하는 경우이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통화 기록의 정보(예 : 상대방 번호/이름, 통화 일시, 위치, 통화 내용 등)를 입력한 후 메모 내용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또한, 사용자가 A와의 통화 또는 메시지와 관련해서 메모를 등록할 경우, 주소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하면 상대방 정보가 이미 입력된 바 있으므로 메모 어플리케이션보다 입력이 용이하다. 사용자 A에 대해 복수개 메모를 입력하는 경우, 상대방 정보의 입력이 생략되어 더욱 편리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memo, there may be a case where a memo is made with respect to the currency or character of the other party. For example, a user makes a note in relation to a call content or text content with the other party. In such a case, the user inconveniences the user by executing the memo application and inputting the memo contents after inputting the information of the call log (e.g., the other party's number / name, call date / time, location, In addition, when the user registers a memo with respect to a call or message with A, inputting through the address book application is easier than inputting with the memo application since the opponent information has already been input. When a plurality of memos are input for the user A, the inputting of the counterpart information is omitted, which is more convenient.

하지만, 메모는 사용자가 참조하기 위해 기록하는데, 사용자가 매번 메모를 찾아 액세스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즉, 사용자는 메모 어플리케이션 또는 주소록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해서 실행하고, 메모를 검색해서 조회한다. 사용자는 처음에는 필요할 때 참조하기 위해 메모를 기록하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메모의 기록 사실을 잊게 되고, 잊혀진 메모는 삭제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그냥 방치된다. 방치가 계속되면, 사용자는 메모의 기록 사실을 잊어버리는 것은 물론이며 자신이 기록한 메모를 확인하여도 무슨 내용인지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However, the memo is recorded for the user to refer to, inconveniences the user has to find and access the memo each time. That is, the user selects and executes the memo application or the address book application, and retrieves and inquires the memo. The user initially records the memo for reference when necessary, but the memo is forgotten as time elapses, and the memo is forgotten even though the memo is to be deleted. If neglect continues, the user may forget the fact that the memo is recorded, and even if the memo is recorded, the user may not understand what the contents are.

한국등록특허 10-1414857(2014.06.26.)Korean Patent No. 10-1414857 (June 26, 20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인식 하에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문자 또는 통화의 호를 이용하는 도중 또는 이용 후에 호와 연계되어 음성 또는 텍스트의 메모를 기록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 및 메모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a smart terminal and a memo capable of recording a voice or text memo in association with a call while a user is using or using a call of a character or a call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와 연계되어 기록된 메모에 대해, 메모에 기록된 전화 번호의 호 이벤트가 발생될 경우, 기록된 메모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a recorded memo on a screen and notify a user of a memo recorded in association with a call when a call event of a phone number recorded in the memo is generated.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기반의 메모를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은, 통화(음성 통화 및 메시지)의 발생 기록을 포함하는 통화 기록 및 주소록을 이용하여 메모를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에 있어서, 상기 통화 기록의 통화 또는 주소록의 사용자에 대해 음성 또는 텍스트 메모를 입력받는 메모 입력부; 상기 통화 또는 상기 사용자를 키로 하여 입력된 메모를 저장하는 메모 저장부; 및 상기 통화의 발신 및 수신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통화의 메모를 조회하고, 조회된 메모를 화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통화 메모 알림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terminal for providing a memo based on a call record including a record of occurrence of a call (voice call and message) and an address book, A memo input unit for inputting a voice or text memo to a user of the call log or the address book of the call log; A memo storage unit for memorizing the memo inputted by using the call or the user as a key; And a call memo notification unit for inquiring a memo of the call when the call origination and reception event of the call is generated, and displaying the memo on the screen and informing the us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모 입력부는, 음성 통화 중에 사용자의 통화 내용을 음성 메모로서 입력받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 input unit receives the user's call content as a voice memo during a voice call.

여기서, 저장된 상기 음성 메모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음성 통화 중에 재생되어 음성 통화 내용으로 전송된다.Here, the stored voice memo is reproduced during voice communication at the request of the user and transmitted as voice communication contents.

또한, 상기 메모 입력부는, 주소록의 사용자를 선택받고, 선택된 사용자에 대해 음성 메모를 입력받는다.Also, the memo input unit selects a user of the address book and receives a voice memo for the selected us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모 저장부는, 상기 통화 정보가 키일 경우, 전화 번호 및 통화 일시를 포함하는 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가 키일 경우, 사용자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키 정보를 저장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 storing unit stores key information including a phone number and a call date and time when the call information is a key, and stores key information including a phone number of the user when the user information is a key, / RTI >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저장된 메모를 타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한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registers the memo in association with another application in another applic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통화 기록에서 선택된 통화 또는 주소록에서 선택된 사용자에 대해 조회를 요청받고, 대응하는 메모를 조회하여 화면 출력하는 메모 조회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application further includes a memo inquiry unit for inquiring about a user selected in the call log or the address book, inquiring the corresponding memo, and displaying the memo on the screen.

여기서, 상기 메모 조회부는, 통화 기록에서 조회를 요청받으면, 선택된 통화에 기반된 통화 메모를 조회하여 화면 출력하고, 주소록에서 조회를 요청받으면, 통화 메모 및 선택된 사용자에 기반된 주소록 메모를 조회하여 화면 출력한다.Here, when the request for inquiry is received from the call log, the note inquiry unit inquires the call memo based on the selected call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When the inquiry is requested from the address book, the memo inquiry unit inquires the call memo and the address book memo based on the selected user, Output.

또한, 화면 출력되는 메모가 통화 기록에 기반된 통화 메모인지 또는 주소록에 기반된 주소록 메모인지 구분되어 출력된다.In addition, the memo displayed on the screen is divided into whether it is a call memo based on the call log or an address book memo based on the address book.

나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저장된 메모를 통화 기록 또는 주소록의 상대방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여 저장을 요청하는 메모 전송부; 및 상대방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로부터 상기 저장을 요청받고 사용자의 동의에 의해 수신된 메모를 저장하여 공유하는 메모 공유부를 더 포함한다.Furthermore, the application may include a memo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stored memo to the smart terminal of the user of the counterpart of the call log or the address book, and requesting the smart terminal to store the memo; And a memo sharing unit for storing the memo received by the consent of the user and sharing the memo requested from the smart terminal of the opponent user.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통화를 수신할 때마다, 발신 전화 번호를 서버로 전송하여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발신자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발신자 정보 제공의 어플리케이션이다.Here, the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caller information by transmitting an outgoing phone number to a server, receiving caller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received caller information on a screen every time the call is received.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기반의 메모를 제공하는 메모 제공 방법은, 스마트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통화(음성 통화 및 메시지)의 발생 기록을 포함하는 통화 기록 및 주소록을 이용하여 메모를 제공하는 메모 제공 방법에 있어서, (a)상기 통화 기록의 통화 또는 주소록의 사용자에 대해 음성 또는 텍스트 메모를 입력받는 메모 입력 단계; (b)상기 통화 또는 상기 사용자를 키로 하여 입력된 메모를 저장하는 메모 저장 단계; 및 (c)상기 통화의 발신 및 수신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통화의 메모를 조회하고, 조회된 메모를 화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통화 메모 알림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 memo-based mem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 memo using a call log including an occurrence record of a call (voice call and message) A method for providing a memo, the method comprising: (a) inputting a voice or text memo to a user of a call or address book of the call log; (b) a memo storing step of storing the memo inputted with the call or the user as a key; And (c) a call memo notifying step of inquiring a note of the call when a call origination and reception event of the call is generated, and displaying the memo on the screen and notifying the user of the call memo.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화 기록의 건 또는 통화 주소록의 상대방에 대해 메모를 등록받고, 통화의 발신 및 수신 화면에서 상대방에 대해 등록된 메모를 알림 정보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별도의 알람 설정없이도 상대방과의 메모를 사용자에게 환기시킨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te is registered for a person in a call log or a call address book, and a memo registered for a caller on a call origination and reception screen of a call is displayed on a screen as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reminds the user of the memo with the other party.

메모의 관리가 통화에 기반되어 통화 기록 및 주소록을 통해서 메모의 접근 및 검색이 용이하고, 통화에 기반된 전화, 문자 및 상대방을 키로 하여 메모 관리가 용이하고, 사용자가 메모 기록과 관련하여 쉽게 연상하고 기억할 수 있다.The management of the memo is based on the call, and the memo can be easily accessed and retrieved through the call log and the address book, and the memo can be easily managed by using the call based on the call, the character and the other key, And can remember.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기반의 메모를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의 개략적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단말이 통화와 관련된 메모를 등록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마트 단말이 주소록과 관련된 메모를 등록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마트 단말이 전화 수신 화면에서 등록된 메모를 알리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스마트 단말이 통화 중에 음성 메모를 녹음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스마트 단말이 전화 수신 화면에서 등록된 음성 메모를 알리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스마트 단말이 등록된 메모를 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기반의 메모 제공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below,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rpretation.
1 is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mart terminal that provides a call-based mem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 smart terminal of FIG. 1 registers a memo related to a call.
FIG.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the smart terminal of FIG. 2 registers a memo associated with an address book.
FIG. 4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in which the smart terminal of FIG. 3 notifies a memo registered on the phone reception screen.
FIG. 5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in which the smart terminal of FIG. 4 records a voice memo during a call.
6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in which the smart terminal of FIG. 5 informs the registered voice memo on the phone reception screen.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in which the smart terminal of FIG. 6 displays a registered memo in conjunction with another application.
8 and 9 are schematic flowcharts of a method of providing a call-based mem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기반의 메모를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1)의 개략적 내부 구성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mart terminal 1 providing a call-based mem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1)은 메모 제공을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100)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100)은 통화 기반의 메모를 입력받는 메모 입력부(11), 입력된 메모를 저장하는 메모 저장부(12), 통화 이벤트가 발생되면 저장된 메모를 알리는 통화 메모 알림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mart terminal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an application 100 for processing a memo providing, the application 100 includes a memo input unit 11 for inputting memo-based memo, A note memorizing unit 12 for memorizing the memo memo, and a memo memo notification unit 13 for memoing a memo when a call event is generated.

상기 어플리케이션(100)은 통화 기반의 메모를 등록받고,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요청시 등록된 메모를 제공한다. 여기서, 통화 기반은 사용자의 전화 및 문자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전화 및 문자의 인스턴스, 주소록의 사용자가 키가 되어 대응되는 메모가 등록된다.The application 100 registers a memo based on a call, and provides a memo registered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or a user requests. Here, the call base uses a telephone and a character of a user, and a memo corresponding to an instance of a user's telephone and a character or a user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book is registered.

따라서, 어플리케이션(100)은 스마트 단말(1)에 기본으로 제공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게 발신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예 : 후후, 뭐야 이번호 등)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00)에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으며 스마트 단말(1)에서 실행될 수 있기만 하면 충분하다. 만약, 어플리케이션(100)이 상기 발신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라 가정하면, 스마트 단말(1)은 통화 발신 및 착신 화면에서 발신자 정보(예 : 스팸 정보)와 함께 등록된 메모 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pplication 100 may be a communication application provided in the smart terminal 1 as a base. Or an application installed to provide a calling information service to a user (e.g., a room, a room, etc.). It is sufficient that the application 100 can be executed in the smart terminal 1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If the application 100 is an application providing the calling information service, the smart terminal 1 can simultaneously display the memo information registered together with the caller information (e.g., spam information) on the call origination and incoming call screen have.

상기 메모 입력부(11)는 전화 및 문자를 포함하는 통화 또는 주소록의 사용자에 대해 음성 또는 텍스트 메모를 입력받는다. 메모의 입력 시점은 제한을 두지 않으며 통화 중에도 메모의 입력이 가능하다. 다만, 통화 중에 음성 메모의 입력은 사용자가 통화하는 통화 내용이 입력 데이터가 되어 녹음된다. 그리고 비통화 중의 음성 메모의 입력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이 녹음된다.The memorandum input unit 11 receives a voice or text memo for a user of a call or an address book including a telephone and a character.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input time of the memo, and it is possible to input the memo even during the call. However, the input of the voice memo during the call is recorded as the input data of the call content the user is talking to. The input of the voice memo during the non-conversation is recorded as the voice input of the user.

여기서, 메모 입력부(11)는 통화 기록에서 사용자로부터 각각의 통화 인스턴스를 선택받고 메모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전화 통화 중에는 당해 통화 인스턴스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메모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메모 입력부(11)는 주소록에서 사용자로부터 상대방을 선택받고 메모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메모의 입력을 통해 메모가 저장되면, 사용자는 저장된 텍스트 메모를 조회하거나 또는 저장된 음성 메모를 재생할 수 있다.Here, the note input unit 11 may select each call instance from the user in the call log and receive a note input. During the telephone conversation, the instance of the call is automatically selected and the memo can be input. In addition, the note input unit 11 can select the other party from the user in the address book and receive a memo input. When the memo is stored through the input of the memo, the user can inquire the stored memo memo or play the stored memo memo.

바람직하게, 저장된 음성 메모는 음성 통화 중에도 재생이 가능하고, 재생되는 음성 메모는 통화 내용으로 상대방에게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음성 메모의 재생과 사용자와 상대방의 음성 통화가 동시에 수반된다.Preferably, the stored voice memo can be reproduced even during a voice call, and the voice memo to be reproduced can be delivered to the other party with the call content. Then, reproduction of the voice memo and voice communication of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상기 메모 저장부(12)는 통화 인스턴스 또는 상대방 사용자의 정보를 키로 하여 입력된 메모를 저장한다. 통화 인스턴스의 키 정보는 전화 번호, 통화 일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키 정보는 전화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note storage unit 12 stores the memo inputted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call instance or the user of the other party as a key. The key information of the call instance may include a telephone number, a call date and time, and the like. The user's key information may include a telephone number.

상기 통화 메모 알림부(13)는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저장된 메모를 조회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화 및 문자의 수발신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대방 전화 번호와 관련되어 저장된 메모가 화면에 출력된다. 또한, 사용자가 예약한 이벤트(예 : 알람 등록)가 발생되면, 메모가 알람 방식으로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set event is generated, the call memo notification unit 13 inquires the stored memo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For example, when an event of telephone call or text reception is generated, a memo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tele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is displayed on the screen. Also, when an event (e.g., alarm registration) scheduled by the user occurs, the memo can be output in an alarm manner.

여기서, 화면 표시되는 메모 정보는 다양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장 최근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메모가 화면에 표시되어도 무방하다. Here, the memo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various,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For example, the most recently stored at least one memo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r, a specific note set by the user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나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100)은 메모 조회부(14), 메모 전송부(15) 및 메모 공유부(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application 100 may further include a memo inquiry unit 14, a memo transfer unit 15, and a memo sharing unit 16.

상기 메모 조회부(14)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선택된 메모를 화면에 출력한다. 메모 조회부(14)는 통화 기록에서 선택된 통화 또는 주소록에서 선택된 사용자에 대해 메모의 조회를 요청받는다. 반면에, 상기 통화 메모 알림부(13)는 사용자의 요청과 무관하게 이벤트 발생시마다 메모가 화면에 출력된다.The note inquiry unit 14 outputs a note selected by a user's request to the screen. The note inquiry unit 14 is requested to inquire a note selected from the call log or the address book. On the other hand, the note memo notification unit 13 outputs a memo to the screen whenever an event occurs, regardless of the user's request.

여기서, 통화 기록에서 요청을 받는 경우, 메모 조회부(14)는 선택된 통화 인스턴스의 정보를 키로 하여 대응되는 메모를 조회한다. 그리고 주소록에서 요청을 받는 경우, 메모 조회부(14)는 선택된 사용자의 정보를 키로 하여 대응되는 메모를 조회한다. 바람직하게, 주소록에서 메모를 조회하는 경우, 메모 조회부(14)는 통화 인스턴스 정보를 키로 하는 메모 및 사용자의 정보를 키로 하는 메모를 모두 조회하여 화면에 출력한다.Here, when receiving a request from the call log, the note inquiry unit 14 queries the corresponding memo with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all instance as a key. When receiving a request from the address book, the note inquiry unit 14 inquires the corresponding memo with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user as a key. Preferably, when retrieving a memo from the address book, the memo inquiry unit 14 inquires of both the memo with the key instance information as the key and the memo with the key of the user as the key, and outputs it to the screen.

상기 메모 전송부(15)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저장된 메모를 상대방의 단말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 1사용자가 제 2사용자에 대해 메모를 등록한 경우, 제 1사용자가 등록된 메모를 제 2사용자의 단말에도 등록하기를 요청하는 것이다. 그러면, 약속, 행사, 미팅, 중요 정보 등의 메모는 제 1사용자 및 제 2사용자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The note transferring unit 15 transfers the memo stor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to the other party's terminal. For example, when a first user registers a note with respect to a second user, the first user requests to register the memo with the terminal of the second user. Then, notes such as appointments, events, meetings, important information, etc. can be shared by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상기 메모 공유부(16)는 상대방 단말의 메모 전송부(14)로부터 수신된 메모를 등록받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장한다. 그러면, 제 1사용자와 제 2사용자는 전화 또는 문자로 통신을 하는 과정에서, 제 1사용자가 통화 기반의 메모를 저장하고 제 2사용자에게 공유를 요청하면, 제 2사용자의 메모 공유부(16)가 수신된 메모를 저장한다. 따라서, 발신자와 수신자는 각자의 스마트 단말(1)을 이용하여 전화 및 문자 서비스를 제공받음과 동시에 통화 기반된 메모의 공유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다.The memo sharing unit 16 registers the memo received from the memo transfer unit 14 of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stores i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f the first user stores the note based on the call and requests the second user to share the same,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 memo sharing unit 16 of the second user, Stores the received memo. Accordingly, the caller and the recipient can receive the telephone and text service using the respective smart terminals 1 and receive the call-based memo sharing service.

도 2는 도 1의 스마트 단말(1)이 통화와 관련된 메모를 등록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어플리케이션(100)은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라 가정한다.FIG. 2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in which the smart terminal 1 of FIG. 1 registers a memo associated with a call.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application 100 is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caller information.

어플리케이션(100)은 스마트 단말(1)의 전화 또는 문자의 통화 화면에서 메모 입력 버튼(201)을 표시한다. 물론, 통화 화면은 발신 화면 및 수신 화면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통화 중 또는 통화 종료 후에 메모 입력 버튼(201)을 누를 수 있다. 한편, 메모 입력 버튼(201)은 통화 종료 후의 화면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사라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application 100 displays the memo input button 201 on the phone or text call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1. [ Of course, the calling screen includes a calling screen and a receiving screen. The user can press the note input button 201 during a call or after the call is terminated. On the other hand, the memo input button 201 can disappear when the set time elapses on the screen after the end of the call.

메모 입력 버튼(20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100)은 메모 화면(202)을 표시한다. 설명의 편의상 문자 메모의 입력 화면을 예시하였으며 음성 메모의 입력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로부터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고 메모로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일정 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일정 정보가 등록되면, 어플리케이션(100)과 연동되는 별도의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일정 정보에 대응하여 메모 정보가 등록될 수 있다. When the memo input button 201 is selected by the user, the application 100 displays the memo screen 202.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nput screen of the text memo is exemplified and the voice memo can be inputted. The application 100 receives the memo data from the user and stores it as a memo. Here, the user can register the schedule information. When the schedule information is registered, the memo information can be registered in accordance with the schedule information in a separate memo application linked to the application 100.

메모 등록이 완료되면, 등록된 메모 정보가 메모 화면(202)의 기록 정보(203)로서 등록된다. 상기 일정 정보가 등록된 경우, 사용자가 일정이 등록된 메모로 구분할 수 있도록 별도의 아이콘(예 : 알람 종)으로 표시되어도 무방하다.When the memo registration is completed, the memo information registered is registered as the record information 203 of the memo screen 202. [ When the schedule information is registered, the user may be displayed as a separate icon (e.g., alarm type) so that the user can distinguish the schedule as a registered memo.

이후,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메모 화면(202)을 출력하고, 기록 정보(203)에서 원하는 메모를 선택받고, 선택된 메모를 조회하여 화면에 출력한다.Thereafter, the application 100 outputs a memo screen 202 at the request of the user, selects a desired memo from the memo information 203, inquires the selected memo, and outputs it to the screen.

도 3은 도 2의 스마트 단말(1)이 주소록과 관련된 메모를 등록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FIG. 3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in which the smart terminal 1 of FIG. 2 registers a memo associated with an address book.

어플리케이션(100)은 주소록 화면을 표시하고, 표시된 주소록에서 사용자를 선택받고, 선택된 사용자에 대해 메모 등록(301)을 요청받을 수 있다. 그러면, 어플리케이션(100)은 도 2의 메모 화면(202)을 출력하여 메모를 등록받을 수 있다.The application 100 displays an address book screen, selects a user from the displayed address book, and receives a memo registration request 301 for the selected user. Then, the application 100 outputs the memo screen 202 of FIG. 2 to register the memo.

여기서, 어플리케이션(100)은 주소록을 통해 사용자를 키로 하는 메모 및 도 2의 통화 기록을 통해 통화 정보를 키로 하는 메모에 대해 사용자가 각각의 메모를 식별할 수 있도록 아이콘, 색상 등을 달리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pplication 100 displays icons, colors, and the like differently so that the user can identify the memo with respect to the memo using the user as a key through the address book and the memo using the call information as the key through the call log of Fig. 2 .

도 4는 도 3의 스마트 단말(1)이 전화 수신 화면에서 등록된 메모를 알리는 화면의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in which the smart terminal 1 of FIG. 3 notifies the memo registered on the phone reception screen.

스마트 단말(1)이 발신 단말 또는 수신 단말이 되고, 통화 또는 문자의 발신 또는 수신 이벤트가 발생되면, 어플리케이션(100)은 화면을 통해 상대방 전화 번호에 대해 등록된 메모를 조회하여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When the smart terminal 1 becomes a calling terminal or a receiving terminal and an event of calling or receiving a call or a character is generated, the application 100 inquires the registered memo about the other party's phone number through the screen and outputs it through the screen .

예를 들어, 전화 착신 화면이라 가정하면, 어플리케이션(100)은 발신 번호를 서버로 전송하여 발신자 정보를 제공받고, 발신자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화면에서 발신 번호에 대응하는 메모를 검색한 후, 검색된 메모의 정보(401)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화면을 통해 발신자가 누구이며, 발신자의 스팸 정보를 확인하고, 발신자와 관련된 메모의 유무 및 내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통화 연결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는 통화 연결 버튼을 선택하여 상대방과 통화한다.For example, assuming a call incoming screen, the application 100 transmits the calling number to the server, receives the calling party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calling party information on the screen. Also, after searching for the memo corresponding to the calling number on the screen, information 401 of the retrieved memo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n, the user can identify who is the sender, confirm the spam information of the sender, and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emo associated with the sender and the cont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connection is safe, the user selects the call connection button and speaks with the other party.

도 5는 도 4의 스마트 단말(1)이 통화 중에 음성 메모를 녹음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in which the smart terminal 1 of FIG. 4 records a voice memo during a call.

어플리케이션(100)은 통화 중의 화면에서 음성 메모의 녹음 버튼(501)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음성 통화 내용을 메모로서 녹음하고 싶으면, 녹음 버튼(501)을 누른다. 어플리케이션(100)은 음성 통화 내용을 음성 메모로서 녹음하고, 녹음 버튼(501)을 녹음 종료 버튼(502)으로 표시한다. 사용자는 녹음 종료 버튼(502)을 선택하여 녹음을 종료한다.The application 100 displays the voice memo recording button 501 on the screen during the call. If the user wishes to record the contents of the voice call as a memo, press the record button 501. The application 100 records the contents of the voice call as a voice memo and displays the record button 501 as a record end button 502. The user selects the recording end button 502 to end the recording.

통화 중의 음성 녹음이 완료되면, 어플리케이션(100)은 메모 화면(202)의 메모 기록에 음성 녹음의 정보(503)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음성 녹음 정보(503)를 선택하여 재생을 요청하면, 어플리케이션(100)은 대응되는 음성 메모를 재생하여 출력한다. 사용자는 필요시마다 주소록 또는 통화 기록에서 해당 인스턴스를 선택하고 메모 화면(202)을 불러와서 등록된 메모를 조회할 수 있다.When the voice recording in the conversation is completed, the application 100 displays the voice recording information 503 in the memo record on the memo screen 202. [ When the user selects the voice recording information 503 and requests reproduction, the application 100 reproduces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voice memo. The user can select the corresponding instance from the address book or call log whenever necessary and retrieve the memo by invoking the memo screen 202.

여기서, 주소록에서 상대방을 선택하여 불러온 메모 화면(202)은 상대방에 대해 등록된 문자 메모 및 음성 메모가 표시된다. 이때, 통화 기록을 기반으로 등록된 메모도 함께 조회될 수 있다. 반면에, 통화 기록에서 통화 인스턴스를 선택하여 불러온 메모 화면(202)은 통화 인스턴스에 대해 등록된 문자 및 텍스트의 메모만 표시된다.Here, the memo screen 202, which is selected by selecting the other party in the address book, displays the registered character memo and voice memo for the other party. At this time, the registered memo based on the call log can be also displayed. On the other hand, the memo screen 202, which is selected by selecting a call instance from the call history, displays only memos of text and text registered for the call instance.

바람직하게, 음성 및 문자의 메모 입력과 관련하여 어플리케이션(100)은 환경 설정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메모 기능(504)에 대해서 각각의 항목을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Preferably, the application 100 provides an environment setting screen for voice and text memo input, and may set each item in advance for the memo function 504 from the user.

도 6은 도 5의 스마트 단말(1)이 전화 수신 화면에서 등록된 음성 메모를 알리는 화면의 예시도이다.Fig. 6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for notifying the voice memo registered in the phone reception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1 of Fig. 5;

전화 및 문자를 포함하는 통화의 발신 및 착신 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100)은 기 등록된 메모 정보(601)를 사용자의 표시 설정 방식에 의해 표시한다. 그리고 메모 정보(601)가 표시된 화면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통화 연결이 발생되면, 메모 정보(601)의 표시는 메모 입력의 표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수신이라 가정하면, 문자의 도착 화면에서 발신자 정보와 함께 기 등록된 메모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문자의 내용 화면에서는 메모 입력의 버튼이 표시된다.The application 100 displays the already registered memo information 601 by the display setting method of the user on the calling and incoming screen of the call including the telephone and the character.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or a call connection occurs on the screen displaying the memo information 601, the display of the memo information 601 may be switched to the display of memo input.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character is received, the memo information previously registered together with the sender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character arrival screen. In the character content screen, a button for memo input is displayed.

메모 정보(601)가 알림 정보로서 표시되는 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100)은 기 등록된 메모가 알림 설정되어있는지를 아이콘 또는 색상을 통해 구분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알림 설정되어 있으면, 종(bell)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된 메모가 음성 메모이면, 보이스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On the screen in which the memo information 601 is displayed as notification information, the application 100 displays whether or not the previously registered memo is notified by using icons or colors. For example, if a notification is set, a bell icon can be displayed. If the displayed memo is a voice memo, a voice icon can be displayed.

한편, 사용자가 통화 기록을 조회하면, 각각의 통화 인스턴스에 대해 메모의 등록 유무, 등록된 메모의 텍스트 및 음성 구분 등의 정보가 고유한 아이콘(602)으로 표시된다. 서비스 정책에 따라 개별 통화 인스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를 등록받을 수 있고, 등록된 메모의 편집이 가능하다. 표시된 아이콘(602)이 선택되면, 해당 메모는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nquires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such as whether or not the memo is registered, text of the registered memo, and voice classification is displayed for each call instance by a unique icon 602. According to the service policy, the individual call instance can receive at least one memo, and the registered memo can be edited. When the displayed icon 602 is selected, the corresponding memo is output.

도 7은 도 6의 스마트 단말(1)이 등록된 메모를 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in which the memo registered by the smart terminal 1 of Fig. 6 is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another application.

설명의 편의상 타 어플리케이션을 메모 어플리케이션이라 가정한다. 어플리케이션(100)은 메모를 등록받는다. 메모 등록 과정에서 사용자가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연동을 설정한 경우(예 : 일정 등록), 어플리케이션(100)은 메모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등록된 메모를 일정 정보(701)로서 등록한다. 일정 정보(701)가 등록되면, 메모 어플리케이션은 당해 메모의 일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화면을 통해 등록된 메모를 출력한다. 메모 어플리케이션에서 메모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100)은 메모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메모 실행 요청을 수신하여 메모 화면 또는 메모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other application is a memo application. The application 100 receives a memo registration. When the user sets the interlocking operation for the memo application in the memo registration process (e.g., schedule registration), the application 100 registers the memo registered in association with the memo application as the schedule information 701. [ When the schedule information 701 is registered, the memo application outputs a memo registered through a screen when a certain event of the memo is generated. When a memo is selected in the memo application, the application 100 can receive a memo execution request from the memo application and output a memo screen or memo contents.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기반의 메모 제공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8 and 9 are schematic flowcharts of a method of providing a call-based mem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전화 또는 메시지의 통화 메모와 관련하여, 스마트 단말(1)은 수신 단말로서 발신자의 전화를 수신한다(S101). 어플리케이션(100)은 수신된 전화의 통화 중 또는 통화 종료 후에 메모 입력의 버튼(201, 601)을 표시한다(102). 메모 입력이 선택되면(S103), 어플리케이션(100)은 텍스트 또는 음성의 메모 입력 데이터를 저장한다(S104). 한편, 어플리케이션(100)은 통화 기록의 조회 화면에서 통화 인스턴스를 선택받고 통화와 관련된 메모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connection with a call memo of a telephone or a message, the smart terminal 1 receives a call of a caller as a receiving terminal (S101). The application 100 displays the memo input buttons 201 and 601 during a call of the received call or after the end of the call (102). When the memo input is selected (S103), the application 100 stores memo input data of text or voice (S104). 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100 can select a call instance on the inquiry screen of the call log and receive and store memos related to the call.

주소록의 메모와 관련하여,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의 조회 요청에 따라 주소록 화면을 표시한다(S201). 주소록에서 사용자가 선택되고(S202), 선택된 사용자에 대해 메모 입력이 선택되고(S203). 입력된 메모 입력 데이터가 저장된다(S204).Regarding the memo of the address book, the application 100 displays the address book screen according to the inquiry request of the user (S201). A user is selected in the address book (S202), and a memo input is selected for the selected user (S203). The inputted memo input data is stored (S204).

메모 알림과 관련하여, 스마트 단말(1)에서 통화 발신 또는 수신의 이벤트가 발생한다(S301). 상기 단계(S301)는 상기 단계(S101)의 전화 수신 단계에 대응된다. 어플리케이션(100)은 통화의 상대방 번호로 대응되는 메모를 검색한다(S302).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최근 등록된 메모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메모가 검색될 수 있다. 메모가 검색되면, 어플리케이션(100)은 검색된 메모를 화면에 표시한다(S303). 만약, 메모가 없는 경우, 화면은 메모 정보 없이 발신자 정보가 표시될 것이다(S304).In connection with the memo notification, an event of origination or reception of a call is generated in the smart terminal 1 (S301). The step S301 corresponds to the telephone receiving step of the step S101. The application 100 searches for a memo corresponding to the other party number of the call (S302). A recently registered memo or a memo set by the user can be search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When the memo is retrieved, the application 100 displays the retrieved memo on the screen (S303). If there is no memo, the screen will display caller information without memo information (S304).

도 9를 참조하면, 통화 중의 음성 메모와 관련하여, 스마트 단말(1)은 통화를 발신 또는 수신한다(S401). 전화 통화일 경우, 상대방의 발신자 정보가 표시되어 통화의 연결을 사용자가 선택할 때까지 또는 상대방의 수신 단말이 사용자의 발신 통화를 연결할 때까지 상대방과 관련된 메모 정보가 표시된다. 통화 연결되면, 어플리케이션(100)은 메모 입력의 버튼(201, 601)을 표시한다(402). 메모 입력이 선택되지 않으면, 메모 입력없이 통화가 종료된다(S403). 메모 입력이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100)은 텍스트 또는 음성의 메모를 입력받고 저장한다(S404).Referring to FIG. 9, regarding the voice memo during the call, the smart terminal 1 originates or receives a call (S401). In the case of a telephone call, the caller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is displayed and the memo information related to the other party is displayed until the user selects the connection of the call or until the receiving terminal of the other party connects the outgoing call of the user. When the call is connected, the application 100 displays buttons 201 and 601 for inputting memos (402). If the memo input is not selected, the call is ended without inputting the memo (S403). When the memo input is selected, the application 100 receives and stores a text or voice memo (S404).

상술한 실시예에서, "~부"라는 용어는 스마트 단말(1)의 하드웨어적 구분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복수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통합될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의 구성부로 분할될 수도 있다. 또한, 구성부는 하드웨어의 구성부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의 구성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라는 용어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erm "part" is not used as a term meaning a hardware division of the smart terminal 1. [ Accordingly, a plurality of constituent parts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nstituent part, and one constituent part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nstituent parts. The constituent unit may mean a constituent part of hardware, but may also mean a constituent part of softwar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y the term "part ".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scope.

1 : 스마트 단말 100 : 어플리케이션
11 : 메모 입력부 12 : 통화 메모 알림부
13 : 통화 메모 알림부
1: smart terminal 100: application
11: memo input unit 12:
13:

Claims (21)

통화(음성 통화 및 메시지)의 발생 기록을 포함하는 통화 기록 및 주소록을 이용하여 메모를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에 있어서,
상기 통화 기록의 통화 또는 주소록의 사용자에 대해 음성 또는 텍스트 메모를 입력받고, 상기 음성의 메모 입력은 통화 중에 사용자가 통화하는 통화 내용으로 입력받고 비통화 중에 사용자의 음성 입력으로 입력받는 메모 입력부;
상기 통화 또는 상기 사용자를 키로 하여 입력된 메모를 저장하는 메모 저장부; 및
상기 통화의 발신 및 수신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통화의 메모를 조회하고, 조회된 메모를 화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통화 메모 알림부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저장된 상기 음성 메모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음성 통화 중에 재생하여, 음성 메모의 재생과 사용자와 상대방의 음성 통화가 동시에 수반될 수 있게, 음성 통화 내용으로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1. A smart terminal for providing a memo using a call log including an occurrence record of a call (voice call and message) and an address book,
A memo input unit for inputting a voice or text memo to a user of the call log or address book of the call log, a memo input unit for inputting memo input of the voice during a call,
A memo storage unit for memorizing the memo inputted by using the call or the user as a key; And
When a call origination and reception event of the call is generated, a call memo notification unit for inquiring a memo of the call,
Lt; RTI ID = 0.0 > application,
Wherein the application reproduces the stored voice memo at the request of the user during a voice call and transmits the voice memo to the other party in order to reproduce the voice memo and concurrently perform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입력부는,
음성 통화 중에 사용자의 통화 내용을 음성 메모로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mo input unit comprises:
And receives the user's call content as a voice memo during a voice call.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입력부는,
주소록의 사용자를 선택받고, 선택된 사용자에 대해 음성 메모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mo input unit comprises:
A user of the address book is selected, and a voice memo is received for the selected us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저장부는
상기 통화 정보가 키일 경우, 전화 번호 및 통화 일시를 포함하는 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가 키일 경우, 사용자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키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te storage unit
Stores key information including a phone number and a call date and time when the call information is a key, and stores key information including a phone number of the user when the user information is a ke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저장된 메모를 타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comprises:
And registers the memo in association with another application in another appl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통화 기록에서 선택된 통화 또는 주소록에서 선택된 사용자에 대해 조회를 요청받고, 대응하는 메모를 조회하여 화면 출력하는 메모 조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memo inquiry unit for requesting inquiry for a user selected in the call log or the address book, inquiring the corresponding memo, and displaying the memo on the scree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조회부는,
통화 기록에서 조회를 요청받으면, 선택된 통화에 기반된 통화 메모를 조회하여 화면 출력하고, 주소록에서 조회를 요청받으면, 통화 메모 및 선택된 사용자에 기반된 주소록 메모를 조회하여 화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emo-
And when the inquiry is requested from the address book, inquires the address memo based on the selected memo and the address book memo based on the selected user and displays the memo on the screen. Terminal.
제 1항 또는 7항에 있어서,
화면 출력되는 메모가 통화 기록에 기반된 통화 메모인지 또는 주소록에 기반된 주소록 메모인지 구분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7,
Wherein the memo displayed on the screen is classified into a call memo based on the call log or an address book memo based on the address boo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저장된 메모를 통화 기록 또는 주소록의 상대방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여 저장을 요청하는 메모 전송부; 및
상대방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로부터 상기 저장을 요청받고 사용자의 동의에 의해 수신된 메모를 저장하여 공유하는 메모 공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comprises:
A memo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stored memo to the smart terminal of the user of the counterpart of the call log or the address book to request storage; And
A memo sharing unit for storing the memo received by the consent of the user and sharing the request,
The smart terminal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통화를 수신할 때마다, 발신 전화 번호를 서버로 전송하여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발신자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발신자 정보 제공의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comprises:
Wherein the call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caller information by transmitting an outgoing telephone number to a server every time the call is received, receiving caller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received caller information on a screen.
스마트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통화(음성 통화 및 메시지)의 발생 기록을 포함하는 통화 기록 및 주소록을 이용하여 메모를 제공하는 메모 제공 방법에 있어서,
(a)상기 통화 기록의 통화 또는 주소록의 사용자에 대해 음성 또는 텍스트 메모를 입력받고, 상기 음성의 메모 입력은 통화 중에 사용자가 통화하는 통화 내용으로 입력받고 비통화 중에 사용자의 음성 입력으로 입력받는 메모 입력 단계;
(b)상기 통화 또는 상기 사용자를 키로 하여 입력된 메모를 저장하는 메모 저장 단계; 및
(c)상기 통화의 발신 및 수신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통화의 메모를 조회하고, 조회된 메모를 화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통화 메모 알림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단계(b)에서 저장된 상기 음성 메모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음성 통화 중에 재생하여, 음성 메모의 재생과 사용자와 상대방의 음성 통화가 동시에 수반될 수 있게, 음성 통화 내용으로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제공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 memo using a call log including an occurrence record of a call (voice call and message) and an address book, the method comprising:
(a) a voice or text memo is input to the user of the call log or the address book of the call log, and the memo input of the voice is a memo received as a call content to be called by the user during a call and a memo An input step;
(b) a memo storing step of storing the memo inputted with the call or the user as a key; And
(c) a call memo notification step of inquiring a note of the call when the call origination and reception event of the call is generated,
Lt; / RTI >
The application comprises:
Reproducing the voice memo stored in the step (b) at the request of the user during the voice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the voice memo to the other party in the voice communication so that the voice memo can be played simultaneously with the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Wherein the memorizing means executes a memo.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음성 통화 중에 사용자의 통화 내용을 음성 메모로서 입력받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제공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a)
Wherein the step of receiving the voice memo includes receiving the voice memo as a voice memo during voice communication.
삭제delet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주소록의 사용자를 선택받고, 선택된 사용자에 대해 음성 메모를 입력받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제공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a)
Selecting a user of the address book, and receiving a voice memo for the selected user.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상기 통화 정보가 키일 경우, 전화 번호 및 통화 일시를 포함하는 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가 키일 경우, 사용자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제공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b)
Storing key information including a phone number and a call date and time when the call information is a key and storing key information including a phone number of the user when the user information is a key.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 이후로,
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저장된 메모를 타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제공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fter step (b) above,
And registering the memo in association with the other application in the other application.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 이후로,
통화 기록에서 선택된 통화 또는 주소록에서 선택된 사용자에 대해 조회를 요청받고, 대응하는 메모를 조회하여 화면 출력하는 메모 조회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제공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fter step (b) above,
Further comprising a memo inquiry step of requesting inquiry for the user selected in the call log or the address book, inquiring the corresponding memo, and displaying the memo on the screen.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조회 단계는,
통화 기록에서 조회를 요청받으면, 선택된 통화에 기반된 통화 메모를 조회하여 화면 출력하고, 주소록에서 조회를 요청받으면, 통화 메모 및 선택된 사용자에 기반된 주소록 메모를 조회하여 화면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제공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method of claim 1,
And displaying the call memo based on the selected call on the screen and displaying the call memo on the basis of the call memo and the selected user when the inquiry is requested from the address book. How to Provide a Memo.
제 12항 또는 18항에 있어서,
화면 출력되는 메모가 통화 기록에 기반된 통화 메모인지 또는 주소록에 기반된 주소록 메모인지 구분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claim 18,
Wherein the memo output is divided into whether the memo is a call memo based on a call log or an address memo based on an address book.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 이후로,
저장된 메모를 통화 기록 또는 주소록의 상대방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여 저장을 요청하는 메모 전송 단계; 및
상대방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로부터 상기 저장을 요청받고 사용자의 동의에 의해 수신된 메모를 저장하여 공유하는 메모 공유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제공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fter step (b) above,
A memo transfer step of transferring the stored memo to the smart terminal of the counterpart user of the call log or the address book and requesting the storage; And
A memo sharing step of storing the memo received by the consent of the user and sharing the request,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KR1020140165521A 2014-11-25 2014-11-25 Smart terminal for providing memo based on call and method thereof Active KR1016864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521A KR101686479B1 (en) 2014-11-25 2014-11-25 Smart terminal for providing memo based on call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521A KR101686479B1 (en) 2014-11-25 2014-11-25 Smart terminal for providing memo based on call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577A KR20160062577A (en) 2016-06-02
KR101686479B1 true KR101686479B1 (en) 2016-12-14

Family

ID=5613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521A Active KR101686479B1 (en) 2014-11-25 2014-11-25 Smart terminal for providing memo based on call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4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233B1 (en) * 2020-04-07 2022-02-15 주식회사 아티웰스 Mobile terminal for licensed real estate agent for customer consultation manag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243B1 (en) * 2005-12-09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tegrated storage and management of basic and extend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corresponding name information
KR101177721B1 (en) * 2011-12-22 2012-09-13 (주)유씨알엠 Customer management system execution method using smart phone mobile browser and system thereof
KR101270434B1 (en) * 2012-10-15 2013-06-04 (주)유씨알엠 Caller information supply system of smartphone
KR101414857B1 (en) * 2012-06-29 2014-07-03 서영준 Smart phone performing/managing memo writing function by the opposite party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243B1 (en) * 2005-12-09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tegrated storage and management of basic and extend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corresponding name information
KR101177721B1 (en) * 2011-12-22 2012-09-13 (주)유씨알엠 Customer management system execution method using smart phone mobile browser and system thereof
KR101414857B1 (en) * 2012-06-29 2014-07-03 서영준 Smart phone performing/managing memo writing function by the opposite party and method thereof
KR101270434B1 (en) * 2012-10-15 2013-06-04 (주)유씨알엠 Caller information supply system of smart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577A (en)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68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ontent presentation objects
US87508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leaving an outgoing caller message
US9203957B2 (en) Method and system for telephone message management
US20140274002A1 (en) Enhanced caller identification
CN102685316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which are based on calendar mode
KR20120085752A (en) User-selectable environments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US201103063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onymous reception of telephone calls
US8958775B2 (en) Aggregating voicemail messages from multiple sources
US20120128138A1 (en) Telephone call handling system
CN101808153A (e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a caller
JP2013110600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2010007442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JP2011176390A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and providing sender information, and program
KR101686479B1 (en) Smart terminal for providing memo based on call and method thereof
JP5715897B2 (en) Incoming cal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JP5169063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program
JP2010079887A (en) Crm system cooperating with telephone call recording system
KR101715064B1 (en) Mobile terminal for mangeing multimedia fi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message server for helping multimedia file mengement of mobile terminal
EP2507983B1 (en) Using callee's status to enhance caller notification
KR100645765B1 (en) How to automatically update call list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JP5996356B2 (en)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11021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hort message using phone book
JP4962866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100640425B1 (en) How to manage the sending and receiving of short messages on a task basis
KR100614747B1 (en) Text message storage and retrieval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opting this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06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