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731B1 - Vehicle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ehicle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7731B1 KR101667731B1 KR1020150008866A KR20150008866A KR101667731B1 KR 101667731 B1 KR101667731 B1 KR 101667731B1 KR 1020150008866 A KR1020150008866 A KR 1020150008866A KR 20150008866 A KR20150008866 A KR 20150008866A KR 101667731 B1 KR101667731 B1 KR 1016677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occupant
- status information
- passenger
- im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 B60K37/0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 B60R2016/02—
-
- B60R2021/015—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는, 차량 내 위치하고 있는 단말기로부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객체가,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n a passenger from a terminal located in the vehicl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on the occupant is output in a predetermined manner corresponding to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로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니터, 프로젝터, 태블릿 등이 포함된다. The video display device includes both a devic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 broadcast,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and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Such a video display device includes, for example, a television, a monitor, a projector, a tablet, and the like.
영상표시장치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방송의 출력이나 영상의 재생 기능 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s the function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re diversified, the video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video shooting, game, and broadcast reception in addition to the output of the broadcast and the playback of the video .
또한, 영상표시장치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Further, the video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can be improved. 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 of the in-vehicle image display device,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ortion of the in-vehicle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차량 내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되는 객체를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기 설정된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vehicl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receive status information on a passenger in a vehicle and output an object corresponding thereto in a predetermined manner according to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내 위치하고 있는 단말기로부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객체가,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n a passenger from a terminal located in a vehic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such that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is output in a predetermined manner corresponding to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may receive status information on the passeng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과 상기 촬영한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탑승자의 상황을 분석한 정보를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로 수신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may receive, as status information on the passenger,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a situation of the occupant based on the image of the occupant and the captured imag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이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주행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such that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occupant is outputted in a predetermined manner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traveling speed and a driving place of the vehicl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기 설정된 위급상황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기와 상이한 외부 서버로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transmit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passenger to an external server different from the terminal when a predetermined emergency situation is detected from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차량 내 위치하고 있는 단말기로부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객체가,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ing: (a)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n a passenger from a terminal located in the vehicle; And (b)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status information is output in a predetermined manner corresponding to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a) may include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n the occupan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과 상기 촬영한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탑승자의 상황을 분석한 정보를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step (a) may include receiving, as state information for the occupant,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a situation of the occupant based on the image of the occupant and the captured image hav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이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주행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step (b) may include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such that an image of the occupant is output in a predetermined manner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traveling speed and a driving place of the vehicle hav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기 설정된 위급상황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기와 상이한 외부 서버로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b) may include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n the occupant to an external server different from the terminal when a predetermined emergency situation is detected from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특히 차량 뒷좌석에 아이가 탑승한 경우, 아이의 상태를 살펴보기 위해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iver's line of sight from being dispersed in order to observe the state of the child, especially when the child is riding in the back seat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고 발생시 운전자가 의식을 잃어 아이의 탑승 여부를 알지 못해 구조되지 못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driver may lose consciousness in case of an accident, thereby preventing a case in which the child can not be rescued because he or she does not know whether or not the child is boarded.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eCall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나 이동 단말기에서 보조적으로 차량 eCall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vehicle eCall does not operate, the function of the vehicle eCall can be supplementarily performed in the in-vehicle image display apparatus or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가 구현된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차량 내 위치하고 있는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은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객체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고속 주행중인 경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객체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기 설정된 매우 위급한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객체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vehicle video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n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and a terminal located in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5, and 6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object corresponding to status information of a passenger is output according to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7 and 8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t a speed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on the passenger is outputted.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object corresponding to status information on a passenger is output when a predetermined very urgent situation is detec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가 구현된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는 차량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 영상정보(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in-vehicle
일 실시 예로서, 차량 대시보드(dashboard) 중앙에 위치하며,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있는 컨트롤 패널 보드인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배치될 수 있다. As an example, it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a vehicle dashboard and in a center fascia, which is a control panel board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s seat.
또한, 길 안내 화면, 주차 중 차량의 위치, 운행 중 차량의 속도, 시간이나 날씨 등의 정보, 일정 정보, 재생 중인 음악에 관한 정보, 음악재생 제어화면, 에어컨이나 히터 등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화면(공조제어화면) 등과 같은 시각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ontrol screen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the heater,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such as a route guidance scree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during parking, the speed of the vehicle, time and weather information, schedule information, (Air conditioning control screen) and the like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는 차량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시각정보(객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vehicl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통신부는, 차량 내 위치하고 있는 단말기로부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in-vehicle
이때, 상기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이거나,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일 수 있다. The terminal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 slate PC, a mobile terminal such as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e.g., a smartwatch, a glass glass, a head mounted display (HMD) A fixed terminal such as a TV, a desktop computer, a digital signage, and the lik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객체가,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of the in-vehicle
이하 도면에서는,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specific details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vehicle video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차량 내 위치하고 있는 단말기로부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10)가 진행된다. Referring to FIG. 2, a step S210 of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n a passenger from a terminal located in the vehicle is performed.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는 차량 내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앞좌석의 헤드나 등받이의 뒷부분, 백미러, 센터페시아 등에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erminal may be disposed at any position in the vehicle. For example, it can be placed on the head of the seat in front of the vehicle, the rear part of the back, the rearview mirror, the center fascia, and the like.
또한, 상기 탑승자는 차량 내 운전자를 제외한 동승자를 의미하며,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상기 동승자의 현재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ssenger refers to passengers other than drivers in the vehicle, and the status information on the passengers may be defined as the current status of the passenger to inform the driver of the vehicle.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통신부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in-vehicle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통신부는, 상기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과 상기 촬영한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탑승자의 상황을 분석한 정보를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로 수신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in-vehicle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는 운전석 등받이의 뒷부분에 배치되어 뒷좌석 탑승자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도출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얼굴 표정이나 움직임 등을 기초로, 뒷좌석 탑승자가 위급한 상황에 처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erminal may be disposed at a rear portion of the back of the driver's seat so as to photograph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Further,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occupant of the rear seat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facial expression or movement of the rear seat passenger derived from the photographed imag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통신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뒷좌석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과 함께 뒷좌석 탑승자가 현재 위급한 상황에 처했음을 알려주는 제어신호(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in-vehicle
그 다음으로,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객체가,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S220)가 진행된다. Next, control proceeds to step S220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ccupant is output in a predetermined manner corresponding to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객체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동승자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이모티콘, 텍스트, 아이콘, 영상 이미지 등의 시각정보를 의미한다.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means time information such as emoticons, texts, icons, and video images for informing the driver of the vehicle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passenger.
또한,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는, 차량의 주행과 관련하여 정의될 수 있는 상황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차량이 정차 또는 주차중인지 여부, 차량 운행시 주행속도나 주행장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means a situation that can be defined in relation to the running of the vehicle. For example, it may include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or parked, a traveling speed at the time of vehicle operation, a driving location, and the like.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은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객체가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출력되는 방식으로, 예를 들면, 출력되는 객체의 크기나 모양, 객체의 출력 지속 시간 등을 의미한다. The predetermined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is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traveling state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size and shape of the output object, the output duration of the object, and the like.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이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주행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of the in-vehicl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통신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뒷좌석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과 함께 뒷좌석 탑승자가 현재 위급한 상황에 처했음을 알려주는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in-vehicle
이에 대응하여, 뒷좌석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 뒷좌석 탑승자가 현재 위급한 상황에 처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텍스트)나 아이콘 등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경고음이 함께 출력될 수 있으며, 핸들이나 운전자의 좌석에 기 설정된 정도의 진동이 출력될 수도 있다. In response to this, a message (text) or an icon indicating that the occupant of the rear seat is currently in an emergency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t this time, a warning sound may be output together, and a predetermined degree of vibration may be output to the seat of the driver or the driver.
이때, 차량이 정차 중이거나 기 설정된 속도 이하로 저속 운행 중인 경우, 뒷좌석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 전체에 출력될 수 있다. 만약,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고속 운행 중인 경우, 뒷좌석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이 빠르게 운행 중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or traveling at a speed low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an image of the occupant of the rear seat can be output to the entire display unit. If the vehicle is traveling at a speed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the image of the occupant of the rear seat can be output to one area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void the driver's line of sight being dispersed during the vehicle's quick operation.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기 설정된 위급상황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기와 상이한 외부 서버로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of the in-vehicle
구체적으로, 상기 위급상황은, 차량이 심하게 파손된 경우, 추돌사고나 전복사고 등의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와 상이한 외부 서버는, 교통관리센터, 의료기관이나 응급구조 센터, eCall 센터 등의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뒷좌석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가 응급구조 센터의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mergency situation may include a case where a vehicle is severely damaged, a traffic accident such as a collision or an overturning accident occurs, and the like. Also, the external server different from the terminal may be a server such as a traffic management center, a medical institution, an emergency rescue center, an eCall center, or the like. For example, in the event of a traffic accident,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occupant of the rear seat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of the emergency rescue center.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에 의하면, 특히 차량 뒷좌석에 아이가 탑승한 경우, 아이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사고 발생시 운전자가 의식을 잃어 아이의 탑승 여부를 알지 못해 구조되지 못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차량 eCall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나 이동 단말기에서 보조적으로 차량 eCall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hicle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a control method that can be implemented in an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construct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또한, 이하 도면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가 센터페시아에 배치되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로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가 앞좌석 등받이의 뒷부분에 배치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drawings, an in-vehicl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차량 내 위치하고 있는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n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and a terminal located in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앞좌석 등받이의 뒷부분에 배치되어, 차량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Wi-Fi, Bluetooth, 3G, LTE 등의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거나, USB 연결을 통해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도 있다. 3, the
실시 예로서, 이동 단말기(200)가 차량 AP에 접속이 되면,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뒷좌석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는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또는, USB 연결 시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가 상기 모드의 활성화 가능 여부를 파악한 후, 상기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when the
상기 모드가 활성화 되면 무선 또는 유선의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가 이동 단말기(200)로 뒷좌석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When the mode is activated, the in-vehicle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20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10)로 뒷좌석 탑승자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화면)에 상기 촬영한 영상(110)이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request, the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이동 단말기(200)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카메라(210)로 뒷좌석 탑승자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화면)에 상기 촬영한 영상(110)이 기 설정된 주기마다 출력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이동 단말기(200)는 뒷좌석 탑승자를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위급상황 등 기 설정된 상황발생 시 영상표시장치(100)로 이를 알려줄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200)는 최초로 뒷좌석 탑승자를 촬영한 정상상태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하며,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정상상태 영상은 뒷좌석 탑승자의 상태정보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될 수 있는 영상을 의미한다. Specifically, the
즉, 정상상태 영상은 뒷좌석 탑승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일반적인 상태를 보여주는 영상으로, 정상상태 영상으로부터 기준이 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얼굴 위치와 표정이 산출될 수 있다. That is, the steady state image is an image showing a general state in which an emergency situation does not occur in the rear seat occupant, and the face position and expression of the rear seat passenger as a reference from the steady state image can be calculated.
이어서, 이동 단말기(200)는 연속적으로 뒷좌석 탑승자의 얼굴을 촬영하게 된다. 이와 같이 촬영한 영상에 다양한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뒷좌석 탑승자의 얼굴 위치가 상기 기준이 되는 위치로부터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예를 들어, 현재 뒷좌석 탑승자의 얼굴이 상기 기준이 되는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거나, 촬영 범위를 벗어나 얼굴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등의 상황이 발생하면, 이를 알려주는 제어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a situation occurs in which the face of the occupant of the rear seat is out of the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or when the face is not detected outside the photographing range, a control signal for notify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또한, 이동 단말기(200)는 연속적으로 뒷좌석 탑승자의 얼굴을 촬영한 영상에 얼굴 표정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기 설정된 상태의 표정변화가 감지되면 이를 알려주는 제어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차량 뒷좌석에 아이가 탑승한 경우, 아이가 울거나 배고파 하는 등의 표정변화가 감지되면 이를 알려주는 제어신호가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하 도면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에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객체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which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on the passenger is outputted to the in-vehicl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통신부는, 상기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과 상기 촬영한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탑승자의 상황을 분석한 정보를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로 수신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in-vehic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이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주행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f the in-vehicle
즉, 차량이 정차 또는 주차 중인지 여부, 차량의 주행속도, 주행장소, 도로상황, 주변 차량과의 간격 등에 따라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객체가 출력될 수 있다. That is,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can be output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or parked,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the driving location, the road condition, the distance from the nearby vehicle, and the like.
도 4, 도 5 및 도 6은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객체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FIGS. 4, 5, and 6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object corresponding to status information of a passenger is output according to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화면)에 길 안내 화면(400)이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촬영 영상 및 위급상황임을 알려주는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 4, when a
이에 대응하여, 현재 차량이 정차 중이거나 기 설정된 속도 이하로 저속 주행중인 경우, 주변 차량과 적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 등에 해당하면, 뒷좌석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410)이 길 안내 화면(400) 전체 또는 대부분을 가리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is, if the current vehicle is in a stop, a low speed running at a speed low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or a proper interval with a nearby vehicle, And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그 결과, 뒷좌석 탑승자의 상태를 큰 영상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위급상황임을 알려주는 메시지(420)도 함께 출력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condition of the occupant in the rear seat can be accurately confirmed by a large image. At this time, a
또 다른 실시 예로서, 길 안내 화면(400)이 뒷좌석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410)으로 전환되며 출력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화면)에 길 안내 화면(400)이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촬영 영상 및 위급상황임을 알려주는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 5, in a state in which the
이에 대응하여, 현재 차량이 기 설정된 안전속도 범위로 주행중인 경우, 주변 차량과 적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 등에 해당하면, 뒷좌석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510)이 길 안내 화면(400)의 일부분을 가리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팝업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is, if the present vehicle is in the middle of running at a predetermined safe speed range, or if the appropriate interval with the surrounding vehicle is maintained, the
이때, 상기 촬영 영상(510)은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출력될 수 있으며, 위급상황임을 알려주는 메시지(520)도 함께 출력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hotographed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화면)에 길 안내 화면(400)이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촬영 영상 및 위급상황임을 알려주는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 6, in a state in which the
이에 대응하여, 현재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고속 주행중인 경우, 고속도도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 등에 해당하면, 뒷좌석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610)이 매우 작은 크기로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위급상황임을 알려주는 메시지도 함께 출력될 수 있다. Corresponding to this, when the current vehicle is traveling at a high speed over a predetermined speed, traveling on a high speed road, etc., the
한편, 차량이 매우 빠른 속도로 주행중인 경우,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에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 등이 출력되면 운전자의 시선을 빼앗아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이 매우 빠른 속도로 주행중인 경우, 음성 알림을 출력하거나 작은 아이콘을 출력시켜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t a very high speed, if a video image of a passenger is displayed on the in-vehicle
도 7 및 도 8은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고속 주행중인 경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객체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7 and 8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t a speed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on the passenger is outputted.
도 7을 참조하면, 현재 위급상황임을 나타내주는 아이콘(700)이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8을 참조하면, 현재 위급상황임을 알려주는 알람 소리와 함께 색상이 변화된 화면(800)이 출력될 수 있다. 이어서, 차량의 속도가 줄어들거나 갓길로 이동한 경우, 뒷좌석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n
도 9는 기 설정된 매우 위급한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객체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object corresponding to status information on a passenger is output when a predetermined very urgent situation is detected.
도 9를 참조하면,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화면)에 길 안내 화면(400)이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촬영 영상 및 매우 위급상황임을 알려주는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 9, in a state in which the
이에 대응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속도나 주행장소 등에 상관없이, 위급한 상황임을 알려주는 메시지 팝업 창(900)이 출력될 수도 있다. In response to this, a message pop-up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기 설정된 위급상황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기(200)와 상이한 외부 서버로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of the in-vehicl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위급상황은, 차량이 심하게 파손된 경우, 추돌사고나 전복사고 등의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와 상이한 외부 서버는, 교통관리센터, 의료기관이나 응급구조 센터, eCall 센터 등의 서버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mergency situation may include a case where a vehicle is severely damaged, a traffic accident such as a collision or a rollover occurs. Also, the external server different from the terminal may be a server such as a traffic management center, a medical institution, an emergency rescue center, an eCall center, or the like.
예를 들어,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뒷좌석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가 응급구조 센터나 eCall 센터의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그 결과, 사고 발생시 운전자가 의식을 잃어 아이의 탑승 여부를 알지 못해 구조되지 못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event of a traffic accident,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occupant of the rear seat can be sent to the emergency rescue center or eCall center serve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cases where the driver loses consciousness in case of an accident and can not be rescued because he does not know whether or not the child is boarded.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차량 eCall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나 이동 단말기(200)에서 보조적으로 차량 eCall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vehicle eCall does not operate, the functions of the vehicle eCall can be supplementarily executed in the in-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특히 차량 뒷좌석에 아이가 탑승한 경우, 아이의 상태를 살펴보기 위해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iver's line of sight from being dispersed in order to observe the state of the child, especially when the child is riding in the back seat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고 발생시 운전자가 의식을 잃어 아이의 탑승 여부를 알지 못해 구조되지 못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driver may lose consciousness in case of an accident, thereby preventing a case in which the child can not be rescued because he or she does not know whether or not the child is boarded.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eCall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나 이동 단말기에서 보조적으로 차량 eCall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vehicle eCall does not operate, the function of the vehicle eCall can be supplementarily performed in the in-vehicle image display apparatus or the mobile terminal.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Also, the computer may include a control unit 180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객체가, 상기 차량이 정차 또는 주차 중인지 여부,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주행장소, 도로상황, 주변 차량과의 간격, 기 설정된 위급 상황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n a passenger from a terminal located in the vehicle; And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on the occupant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or parked,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the driving location, the road condition, the distance from the surrounding vehicle,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output the video signal in a preset manner.
상기 통신부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receives status information on the passenger at every predetermined period.
상기 통신부는,
상기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과 상기 촬영한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탑승자의 상황을 분석한 정보를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condition of the occupant is received as status information on the occupant based on the image of the occupant and the captured im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이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주행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occupant is outputted in a preset manner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traveling speed and the driving position of the vehic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기 설정된 위급상황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기와 상이한 외부 서버로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transmits status information on the occupant to an external server different from the terminal when a predetermined emergency situation is detected from the vehicle.
(b)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객체가, 상기 차량이 정차 또는 주차 중인지 여부,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주행장소, 도로상황, 주변 차량과의 간격, 기 설정된 위급 상황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a)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n a passenger from a terminal located in the vehicle; And
(b)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ccupant is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of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or parked, a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a driving location, a road condition,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so tha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signals is output in a predetermined manner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상기 (a) 단계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a)
And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n the passenger at every predetermined period. ≪ Desc / Clms Page number 19 >
상기 (a) 단계는,
상기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과 상기 촬영한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탑승자의 상황을 분석한 정보를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a)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the passenger based on the captured image of the passenger and the captured image as status information on the passenger.
상기 (b) 단계는,
상기 탑승자를 촬영한 영상이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주행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b)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such that an image of the occupant is output in a predetermined manner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running speed and a driving position of the vehicle.
상기 (b) 단계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기 설정된 위급상황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기와 상이한 외부 서버로 상기 탑승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b)
And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n the occupant to an external server different from the terminal when a predetermined emergency situation is detected from the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8866A KR101667731B1 (en) | 2015-01-19 | 2015-01-19 | Vehicle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8866A KR101667731B1 (en) | 2015-01-19 | 2015-01-19 | Vehicle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9200A KR20160089200A (en) | 2016-07-27 |
KR101667731B1 true KR101667731B1 (en) | 2016-10-19 |
Family
ID=5661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8866A Active KR101667731B1 (en) | 2015-01-19 | 2015-01-19 | Vehicle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773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5179078A1 (en) * | 2024-02-21 | 2025-08-28 | Magna Electronics, Llc | Automated vehicle child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30339366A1 (en) * | 2022-04-20 | 2023-10-26 | Aptiv Technologies Limited | In-Vehicle Occupant Monitoring and Calming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1861B1 (en) * | 2011-04-21 | 2013-03-11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monitoring using proximity sensor and in vehicle camera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7108B1 (en) * | 2002-12-06 | 2005-08-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ethod for passenger save a life on vehicle |
-
2015
- 2015-01-19 KR KR1020150008866A patent/KR10166773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1861B1 (en) * | 2011-04-21 | 2013-03-11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monitoring using proximity sensor and in vehicle camera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5179078A1 (en) * | 2024-02-21 | 2025-08-28 | Magna Electronics, Llc | Automated vehicle child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9200A (en) | 2016-07-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4412852B1 (en) | Head-mounted display for use in vehicle and method | |
US11562550B1 (en) | Vehicle and mobile device interface for vehicle occupant assistance | |
CN103116399B (en) | The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user interface experience based on the vehicle status inferred | |
EP3159867B1 (en) | A method and apparatus for alerting a target vehicle of another vehicle | |
JP6825743B2 (en) | Drive recorder,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CN107250729B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vehicle device, and terminal device | |
US9266473B1 (en) | Remote hands-free backseat driver | |
KR101748273B1 (en) | Vehicle head unit, user terminal, and method of notificating emergency of vehicle | |
JP5884478B2 (en) | In-vehicle device, vehicle notification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 |
JP2007094618A (en) | Notification controller and notification control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 |
US20170015242A1 (en) | Method and system to warn of a vehicle moving in the wrong direction of travel | |
JPWO2017149655A1 (en) | Reverse running suppression device, reverse running suppression method, and reverse running suppression system | |
US11554666B2 (en) | Display control device | |
JP2009258878A (en) | On-road communication machine and accident monitoring system | |
US11858526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vehicle | |
JP2013120409A (en) | In-service vehicle monitoring system | |
US9412250B2 (en) | Alert method and alert system thereof | |
JP2015128915A (en) | Rear seat occupant monitor system, and rear seat occupant monitor method | |
JP2010205123A (en) |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driving support | |
KR101667731B1 (en) | Vehicle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6463057B (en) | Periphery monitoring device, periphery monitoring system, and periphery monitoring method | |
KR20200033346A (en) | Camera control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 |
JP6667059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 |
JP6584285B2 (en) | Electronic device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 |
US11921915B2 (en) | Head-mounted display system and manned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