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043B1 - Automatic vending machine with spiral driv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utomatic vending machine with spiral driv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7043B1 KR101647043B1 KR1020140194484A KR20140194484A KR101647043B1 KR 101647043 B1 KR101647043 B1 KR 101647043B1 KR 1020140194484 A KR1020140194484 A KR 1020140194484A KR 20140194484 A KR20140194484 A KR 20140194484A KR 101647043 B1 KR101647043 B1 KR 1016470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iral
- driving
- unit
- drive
- produ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helical or spiral form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스파이럴 구동장치 및 그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상품 수납실에 다단으로 장착된 각 반출장치의 스파이럴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 각 스파이럴에 대응되도록 각 반출장치의 하우징 저면에 설치되는 전달유닛 및 상기 전달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해서 해당 스파이럴을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와 구동기어는 투출하고자 하는 상품이 보관된 스파이럴에서 투출되는 상품을 수납해서 상품 투출구로 이송하는 투출함에 설치되는 구성을 마련하여, 상품을 추출하고자 하는 위치로 투출함을 이동시켜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해서 다수의 반출장치에 마련된 다수의 스파이럴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 spiral drive device and a vending machine to which the spiral drive device and a vending machine to which the spiral drive device is applied are provided. The spiral drive device includes a drive motor for generating a drive force for rotating a spiral of each of the take- A transmission unit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of each of the take-out units so as to correspond to each spiral, and a rotary gear rotated by a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to rotate the spiral, The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in which a product to be dispensed from a spiral stored product is stored and transferred to a product dispensing port,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drive a plurality of spirals provided in the apparatus It is obtain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파이럴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된 상품을 투출하도록 상품 반출장치에 적용되는 스파이럴을 회전 구동하는 스파이럴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ding machine to which a spiral driving device is appli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ding machine to which a spiral driving device for rotating a spiral applied to a product delivery device for delivering stored goods is applied.
자동판매기는 커피, 캔이나 팩에 저장된 음료, 과자, 도서류 등의 각종 상품을 무인 판매 방식으로 판매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장치이다.Vending machines are devices designed to sell various kinds of products such as coffee, cans, beverages stored in packs, confectionery, books, etc. in unmanned manner.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판매시간의 제약과 설치장소에 큰 제약을 받지 않고, 신속하게 원하는 상품을 획득할 수 있어, 그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다.Such a vending machine can acquire a desired commodity quickly,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restriction of the selling time and the installation place, and the use thereof is generalized.
자동판매기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의 내부에는 다양한 상품을 종류별로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의 랙크조립체가 설치되며, 캐비닛의 외면에는 동전 및 지폐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다양한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버튼 및 캐비닛 외부로 상품을 인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인출구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rack assemblies ar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for accommodating various kinds of commodities. The cabinet is provided with an inlet for inputting coins and banknotes, and a selection box for selecting various commodities. A button, and an outlet provided to draw the goods out of the cabinet.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은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 다수에 자동판매기 및 그에 적용되는 상품투출장치 구성을 개시하여 특허 출원한 바 있다. For example, the present applicant has filed a patent application for a vending machine and a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configuration applied thereto in many of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1 and 2.
특허문헌 1에는 다종의 상품을 하나의 자동판매기에서 무인 판매 방식으로 판매하는 멀티 자동판매기에서 전원 투입 또는 도어가 열린 후 다시 닫히면, 자동으로 선반 수 및 선반 위치를 자동으로 확인하는 멀티 자동판매기의 선반정보 관리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multi-automatic vending machine in which a plurality of products are sold in a single automatic vending machine by unattended sales method, and a multi-vending machine shelf for automatically confirming the number of shelves and the position of the shelf automatically when the power is turned on or the door is closed again. A configuration of a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is disclosed.
특허문헌 2에는 반출장치의 하우징에 마련된 다수의 수납레일에 각각 철재 강선으로 제조된 스파이럴을 설치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품이 보관된 위치의 스파이럴을 회전시켜 보관된 해당 상품을 상품투출구를 향해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반출하는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In Patent Document 2, a spiral made of a steel wire is provided on each of a plurality of storage rails provided in a housing of a take-out device, a spiral at a position where a product selected by a user is stored is rotated and the stored product is sequentially To a delivery device for a vending machine.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를 포함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파이럴 타입의 자동판매기는 각 반출장치에 마련된 각각의 스파이럴 후단에 구동모터를 포함한 스파이럴 구동장치를 개별적으로 설치한다. However, in the spiral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ing Patent Documents 1 and 2, a spiral driving device including a driving motor is separately provided at the rear end of each spiral provided in each of the delivery devices.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스파이럴 타입의 자동판매기는 부품의 수가 증가하여 자동판매기 제조에 소요되는 인적, 경제적, 시간적 비용이 불필요하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result, the spiral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and the human, economic and time costs required for manufacturing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are unnecessarily increased.
또한, 특허문헌 2과 같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스파이럴을 이용해서 상품을 수납하고 스파이럴을 회전운동시켜 상품을 투출하는 경우, 투출함을 이동시키지 않고, 스파이럴에서 배출된 상품을 하방으로 자유낙하시켜 투출한다. In addition, when a product is housed by using a spiral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s in Patent Document 2 and the product is to be rotated by rotating the spiral, the product discharged from the spiral is freely dropped downward without being moved, do.
이에 따라, 종래기술에 따른 스파이럴 타입의 자동판매기는 상품 투출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고, 낙하되는 상품에 충격이 가해져 상품이 손상이나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Accordingly, in the spiral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re is a fear that noise is generated in the course of product dispensing and a product is dropped or damaged due to an impact on the dropped product.
따라서, 스파이럴 타입의 자동판매기에 수직 및 수평 방향 이동 가능하게 투출함을 장착하고, 투출함에 스파이럴 구동장치를 설치해서 전체 스파이럴을 구동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ique of mounting a spiral-type vending machine so as to be able to mov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 a vending machine, and driving a spiral by installing a spiral drive device in the projecting.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투출함을 이용해서 스파이럴 타입의 반출장치에서 투출되는 상품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파이럴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iral drive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breakage or damage of a product, which is output from a spiral- Vending machi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파이럴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투출함에 마련하여 전체 스파이럴을 구동할 수 있는 스파이럴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nding machine to which a spiral drive device capable of driving an entire spiral is applied when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a spiral is projec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품 반출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스파이럴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nding machine to which a spiral drive device capable of simplifying a configuration of a goods take-out device and reducing a manufacturing cost is appli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구동장치는 상품 수납실에 다단으로 장착된 각 반출장치의 스파이럴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 각 스파이럴에 대응되도록 각 반출장치의 하우징 저면에 설치되는 전달유닛 및 상기 전달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해서 해당 스파이럴을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와 구동기어는 투출하고자 하는 상품이 보관된 스파이럴에서 투출되는 상품을 수납해서 상품 투출구로 이송하는 투출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piral drive apparatus including a drive motor for generating a drive force for rotating a spiral of each of a plurality of take-out devices mounted in a multi-stage in a product storage chamber, And a rotating gear rotatable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tting unit to rotate the spiral. The driving motor rotates the spiral, And the drive gear is installed in a drawer for receiving a product to be withdrawn from a spiral in which a product to be withdrawn is housed and for transferring the product to a product dispensing opening.
본 발명은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 및 상기 회전기어의 출력축에 결합되고 스파이럴의 후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peed reducer coupled to an output shaft of the driving motor to reduce a rotational speed, and a rotation plate coupled to an output shaft of the rotary gear and detachably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spiral.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 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출함의 이동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동축 상에 설치되는 제1 풀리, 상기 하우징의 저면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풀리 및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어는 상기 제2 풀리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베벨기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driven gear provided at a front end of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engaged with the drive gear by movement of the drawer, a first pulley coaxially installed with the driven gear, And a belt connecting the first pulley and the second pulley, wherein the rotary gear is provided as a bevel gear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pulley.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는 상품 수납실에 다수의 단으로 장착되고 스파이럴의 각 피치 사이 공간에 상품이 적재되는 반출장치, 상기 반출장치에서 투출되는 상품을 상품 투출구로 이송하는 투출함, 상기 투출함과 함께 이동해서 상품을 투출하도록 해당 스파이럴을 구동하는 스파이럴 구동장치 및 상기 투출함을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nding machine to which a spiral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take-out device which is mounted at a plurality of stages in a product storage room and in which goods are loaded in spaces between spirals, A spiral drive device for driving the spiral so as to move the product along with the discharge tray, and a drive unit for moving the discharge tray in the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d back and forth directions,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은 상기 스파이럴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회전감지부, 상기 투출함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 및 상기 회전감지부와 위치감지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스파이럴의 회전위치 및 투출함의 이동위치를 판단해서 상기 스파이럴 구동장치 및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otation sensing part for sensing a rotation position of the spiral, a position sensing part for sensing a movement position of the projecting compartment, a rotation position sensing part for sensing a rotation position of the spir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spiral drive unit and the driving unit.
상기 구동부는 상품 수납실의 일측 또는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레일, 상기 수직 레일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 레일, 상기 수평 레일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레일,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수평 레일을 승강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 모터, 상기 수평 레일에 설치된 이동 레일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2 모터 및 상기 이동 레일에 설치된 투출함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3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unit includes a vertical rail installed vertically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merchandise storage compartment, a horizontal rail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vertical rail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up and down, a movable rail movably installed in the horizontal rail, A first motor drive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raise and lower the horizontal rail, a second mot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move the moving rails provided on the horizontal rai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third motor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move the installed projection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에 의하면, 투출함에 스파이럴을 회전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를 설치하고, 상품을 추출하고자 하는 위치로 투출함을 이동시켜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해서 다수의 반출장치에 마련된 다수의 스파이럴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to which the spiral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drive motor for generating the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spiral is installed in the projecting box, and the projection box is moved to the position where the product is to be extracte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drive a plurality of spirals provided in a plurality of delivery devices by using one drive motor.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 반출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부품 수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제품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성을 향상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goods take-out apparatus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parts,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duct, and improving the workability by improving the work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파이럴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출장치의 사시도,
도 3과 도 4는 각각 투출함과 스파이럴 구동장치 및 반출장치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동판매기의 블록 구성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nding machine to which a spiral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ake-out apparatus shown in Fig. 1,
Figs. 3 and 4 are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discharge box, the spiral drive device, and the take-
Fig. 5 is a block diagram of the vending machine shown in Fig. 1.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파이럴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vending machine to which a spiral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파이럴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First, a configuration of a vending machine to which a spiral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파이럴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출장치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nding machine to which a spiral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livery device shown in F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검지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10)의 캐비닛(11)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12)과 기계실(12)의 상부에 상품이 수납되는 상품 수납실(13)이 마련되고, 캐비닛(11)의 전면에는 기계실(12)과 상품 수납실(13)을 개폐하는 도어(14)가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1, the
도어(14)의 하단부에는 상품 투출구(15)가 마련될 수 있다. A
상품 수납실(13)에는 스파이럴의 각 피치 사이 공간에 상품이 적재되는 스파이럴 타입의 반출장치(20)가 다수의 단으로 장착될 수 있다. A spiral-type take-out
본 실시 예에서 각 반출장치(20)는 다수의 수납레일(22)을 구비하는 하우징(21), 하우징(21)의 각 수납레일(21)에 설치되어 각 피치 사이의 공간에 상품을 보관하는 다수의 스파이럴(23) 및 스파이럴(23)에서 투출되는 상품을 상품 투출구(15)로 이송하는 투출함(24)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하우징(21)의 후단에는 후면판(25)이 설치되고, 하우징(21)의 양측단 및 각 수납레일(22) 사이에는 상품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좌측 또는 후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레일(26)이 설치될 수 있다.A
투출함(24)에는 스파이럴(23)에 보관된 상품을 해당 스파이럴(23)의 선단으로 이동된 투출함(24)을 향해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스파이럴(23)을 회전운동시키는 스파이럴 구동장치(30)의 구동모터(31)가 설치될 수 있다. The
도 3과 도 4는 각각 투출함과 스파이럴 구동장치 및 반출장치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3 and 4 are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discharge box, the spiral drive device and the take-out device, respectively.
투출함(24)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23)에서 투출되는 상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되고 중앙에 상품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대략 사각통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스파이럴 구동장치(30)는 투출함(24)에 설치되고 스파이럴(23)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31), 구동모터(31)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32), 각 스파이럴(23)에 대응되도록 반출장치(20)의 하우징(21) 저면에 설치되는 전달유닛(33) 및 전달유닛(33)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해서 스파이럴(23)을 회전시키는 회전기어(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그리고 스파이럴 구동장치(30)는 구동모터(31)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35) 및 회전기어(34)의 출력축에 결합되고 스파이럴(23)의 후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구동모터(31)는 출력축이 상방을 향하도록 투출함(24)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구동모터(31)의 출력축에는 감속기(35)가 설치되며, 감속기(35)의 출력축에는 구동기어(32)가 설치될 수 있다. The output shaft of the
이와 함께, 스파이럴 구동장치(30)는 감속기(35)와 구동기어(32)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 모듈(도면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투출함(24)에 설치된 구동모터(31)는 아래에서 설명할 구동부(50)에 의해 투출함(24)과 함께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전달유닛(33)은 하우징(21)의 저면 선단부에 설치되고 구동기어(32)와 치합되는 종동기어(331), 종동기어(331)와 동축 상에 설치되는 제1 풀리(332), 하우징(21)의 저면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풀리(333) 및 제1 풀리(332)와 제2 풀리(333)를 연결하는 벨트(3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종동기어(331)와 제1 풀리(3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23)의 선단보다 후측에 설치되고, 제2 풀리(333)와 회전기어(34)는 스파이럴(23)의 후단보다 후측에 설치될 수 있다. 4, the
회전기어(34)는 제2 풀리(334)의 회전력을 스파이럴(23)에 전달할 수 있도록 제2 풀리(334)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베벨기어로 마련될 수 있다. The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동판매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of the vending machine shown in FIG.
자동판매기(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판매기(10) 내부에 마련된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투출함(24)을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50), 스파이럴(23)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회전감지부(60) 및 투출함(24)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5, the
제어부(40)는 회전감지부(60)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각 스파이럴(23)의 회전위치를 판별하고, 판별된 회전위치에 따라 스파이럴(23)이 정확한 위치까지 회전하도록 회전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해서 구동모터(3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제어부(40)는 위치감지부(70)에서 투출함(24) 위치를 검지한 검지신호에 따라 투출함(24)의 위치를 판별하고, 판별된 위치에 기초해서 투출함(24)을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부(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이를 위해, 회전감지부(60)와 위치감지부(70)는 각각 광센서를 이용해서 스파이럴(23)의 회전위치 및 투출함(24)의 이동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구동부(5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수납실(13)의 일측 또는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레일(51), 수직 레일(51)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 레일(52), 수평 레일(52)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레일(53), 수평 레일(52)을 승강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 모터(54), 수평 레일(52)에 설치된 이동 레일(53)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2 모터(55) 및 이동 레일(53)에 설치된 투출함(24)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3 모터(56)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5, the
수평 레일(52)은 수직 레일(5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모터(53)와 기어유닛이나 벨트로 연결되어 제1 모터(53)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하 방향으로 승강 동작할 수 있다. The
이동 레일(53)은 수평 레일(5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모터(54)와 기어유닛이나 벨트로 연결되어 제2 모터(54)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좌우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The
투출함(24)은 이동 레일(53)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 모터(53)와 기어유닛이나 벨트로 연결되어 제3 모터(53)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The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파이럴 구동장치 및 그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의 결합관계 및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piral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bin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vending machine to which the spiral drive device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하우징(21)에 마련된 상품 수납실(13)에 다수의 단으로 반출장치(20)를 장착하고, 상품 수납실(13) 좌측에 설치된 수직 레일(51)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수평 레일(52)을 설치한다. First, the carry-out
그리고 수평 레일(52)에 좌우 방향 이동 가능하게 이동 레일(53)을 설치하고, 이동 레일(53)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투출함(24)을 설치한다. A
그러면, 수평 레일(52)은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1 모터(54)에서 발생한 구동력에 의해 승강 동작하고, 이동 레일(53)은 제2 모터(55)에서 발생한 구동력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The
이때, 제어부(40)는 위치감지부(70)의 감지신호를 이용해서 투출함(23)의 위치를 판단하고, 투출함(24)이 상품을 투출하고자 하는 스파이럴(23)의 선단으로 정확하게 배치되면, 투출함(24)을 후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부(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투출함(24)이 후측으로 이동되면, 투출함(24)에 설치되는 구동기어(32)가 하우징(21)의 저면에 설치된 종동기어(331)와 치합된다. The
그러면, 제어부(40)는 스파이럴(23)을 회전운동시켜 상품을 투출하도록 스파이럴 구동장치(30)의 구동을 제어한다. Then, the
즉, 구동모터(31)는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구동모터(31)의 구동력은 구동기어(32), 전달유닛(33)의 종동기어(331), 제1 풀리(332), 벨트(334) 및 제2 풀리(333)를 거쳐 회전기어(34)로 전달된다. That is, the driving
이에 따라, 회전기어(34)에 후단부가 결합된 스파이럴(23)이 회전운동해서 수납된 상품을 투출함(24)을 향해 이동시켜 투출한다. Accordingly, the spiral 23 coupled with the rear end of the
이때, 제어부(40)는 회전감지부(60)의 감지신호를 이용해서 스파이럴(23)의 회전위치를 판단하고, 스파이럴(23)이 1회전을 완료하면 구동모터(31)의 구동을 중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이어서, 제어부(40)는 다른 상품을 투출하는 경우, 먼저 투출함의 이동과정에서 투출함과 전달유닛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투출함(24)을 전진 이동시킨 후, 해당 상품이 보관된 스파이럴(23)을 향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부(50)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투출함에 스파이럴을 회전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를 설치하고, 상품을 추출하고자 하는 위치로 투출함을 이동시켜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해서 다수의 반출장치에 마련된 다수의 스파이럴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riving motor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spiral is installed in the discharging chamber, and the discharging chamber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product is to be extracted, A plurality of spirals provided in the carry-out apparatus can be selectively driven.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concretely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스파이럴 타입의 반출장치에 마련된 각 스파이럴을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해서 회전운동시켜 상품을 투출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echnique of rotating a spiral provided in a spiral-type take-out device using one drive motor to deliver a product.
10: 자동판매기 11: 캐비닛
12: 기계실 13: 상품 수납실
14: 도어 15: 상품 투출구
20: 반출장치 21: 하우징
22: 수납레일 23: 스파이럴
24: 투출함 25: 후면판
26: 가이드레일 30: 스파이럴 구동장치
31: 구동모터 32: 구동기어
33: 전달유닛 331: 종동기어
332: 제1 풀리 333: 제2 풀리
334: 벨트 34: 회전기어
35: 감속기 36: 회전 플레이트
40: 제어부 50: 구동부
51: 수직 레일 52: 수평 레일
53: 이동 레일 54 내지 56: 제1 내지 제3 모터
60: 회전감지부 70: 위치감지부10: Vending machine 11: Cabinet
12: Machine room 13: Commodity compartment
14: door 15:
20: Dispensing device 21: Housing
22: storage rail 23: spiral
24: Projection 25: Rear panel
26: Guide rail 30: Spiral drive device
31: drive motor 32: drive gear
33: transmission unit 331: driven gear
332: first pulley 333: second pulley
334: belt 34: rotary gear
35: Reduction gear 36: Rotating plate
40: control unit 50:
51: vertical rail 52: horizontal rail
53: moving
60: rotation sensing unit 70: position sensing unit
Claims (6)
상품 수납실에 다수의 단으로 장착되고 스파이럴의 각 피치 사이 공간에 상품이 적재되는 반출장치,
상기 반출장치에서 투출되는 상품을 상품 투출구로 이송하는 투출함,
상기 투출함과 함께 이동해서 상품을 투출하도록 해당 스파이럴을 구동하는 스파이럴 구동장치,
상기 투출함을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스파이럴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회전감지부,
상기 투출함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 및
상기 회전감지부와 위치감지부의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스파이럴의 회전위치 및 투출함의 이동위치를 판단해서 상기 스파이럴 구동장치 및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럴 구동장치는 상품 수납실에 다단으로 장착된 각 반출장치의 스파이럴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
각 스파이럴에 대응되도록 각 반출장치의 하우징 저면에 설치되는 전달유닛,
상기 전달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해서 해당 스파이럴을 회전시키는 회전기어,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 및
상기 회전기어의 출력축에 결합되고 스파이럴의 후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와 구동기어는 상기 스파이럴에서 투출되는 상품을 수납해서 상품 투출구로 이송하는 투출함에 설치되며,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 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출함의 이동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동축 상에 설치되는 제1 풀리,
상기 하우징의 저면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풀리 및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어는 상기 제2 풀리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베벨기어로 마련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품 수납실의 일측 또는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레일,
상기 수직 레일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 레일,
상기 수평 레일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레일,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수평 레일을 승강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 모터,
상기 수평 레일에 설치된 이동 레일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2 모터 및
상기 이동 레일에 설치된 투출함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3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 A vending machine to which a spiral drive device is applied,
A take-out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stages are mounted on the product storage room and products are loaded in spaces between the pitches of the spiral,
A delivery box for delivering a product, which is discharged from the delivery device,
A spiral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spiral so as to move along with the discharge tray to discharge the product,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ejection tray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 rota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rotation position of the spiral,
A posi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movement position of the draw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piral drive unit and the driving unit by determining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spiral and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projection unit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rotation sensing unit and the position sensing unit,
The spiral drive device includes a drive motor that generates a drive force to rotate a spira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ake-out devices mounted in a multi-
A driving gear that rotates by a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motor,
A delivery unit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of each of the delivery devices so as to correspond to each spiral,
A rotary gear rotated by a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to rotate the spiral,
A speed reducer coupled to an output shaft of the drive motor to reduce a rotation speed thereof,
And a rotation plate coupled to an output shaft of the rotary gear and detachably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spiral,
Wherein the drive motor and the drive gear are installed in an outfit for receiving a product discharged from the spiral and transferring the product to a product discharge port,
Wherein the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driven gear which is provided at a front end of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engages with the drive gear by movement of the drawer,
A first pulley coaxially installed with the driven gear,
A second pulley rotatably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d a belt connecting the first pulley and the second pulley,
Wherein the rotary gear is provided with a bevel gear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pulley,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vertical rail vertically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merchandise storage compartment,
A horizontal rail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vertical rail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A movable rail mounted to the horizontal rail so as to be mov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A first motor drive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raise and lower the horizontal rail,
A second motor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move the moving rails provided on the horizontal rai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third motor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move the discharge tray installed on the movable rail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4484A KR101647043B1 (en) | 2014-12-30 | 2014-12-30 | Automatic vending machine with spiral driv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4484A KR101647043B1 (en) | 2014-12-30 | 2014-12-30 | Automatic vending machine with spiral driv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1149A KR20160081149A (en) | 2016-07-08 |
KR101647043B1 true KR101647043B1 (en) | 2016-08-10 |
Family
ID=56503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4484A Active KR101647043B1 (en) | 2014-12-30 | 2014-12-30 | Automatic vending machine with spiral driv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704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93903B (en) * | 2017-12-29 | 2024-01-30 |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 Driving device, goods bucket and vending machine |
CN108169238A (en) * | 2018-01-29 | 2018-06-15 | 周大银 | Six face detection devices |
CN109448245A (en) * | 2018-12-19 | 2019-03-08 | 重庆婴淘淘网络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light-duty intelligence launches terminal and put-on method automatically |
KR200491279Y1 (en) * | 2019-11-27 | 2020-03-12 | 석천정보통신(주) | Vending machine for coffee capsule |
CN111710099B (en) * | 2020-07-08 | 2021-12-03 | 舒城点为云智能科技有限公司 | Unmanned vending machine extracting device of being convenient for |
KR102448134B1 (en) * | 2020-10-06 | 2022-09-29 | (주) 웨이브링크 | Article storing module, and article storing assembly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
KR102335249B1 (en) * | 2021-09-08 | 2021-12-06 | (주)플레토로보틱스 | Beverage dispensing device of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
KR102554009B1 (en) * | 2023-05-26 | 2023-07-11 | (주) 스마트시스템즈 | Compact Vending Machine |
KR102640823B1 (en) * | 2023-12-15 | 2024-02-28 | (주)대성하이텍 | Bottle supply and cap disassembling/assembling device for customized liquid product manufacturing apparatu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72937A (en) | 1998-12-09 | 2000-06-23 | Sanyo Electric Co Ltd | Commodity carrying-out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
KR101416011B1 (en) | 2012-10-08 | 2014-07-08 |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 Carrying-out apparatus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45083A (en) | 2012-10-08 | 2014-04-16 |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 Carrying-out apparatus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
KR101416023B1 (en) | 2012-12-04 | 2014-07-08 |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 Apparatus for shelf information management in multi vending machine and method thereof |
-
2014
- 2014-12-30 KR KR1020140194484A patent/KR10164704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72937A (en) | 1998-12-09 | 2000-06-23 | Sanyo Electric Co Ltd | Commodity carrying-out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
KR101416011B1 (en) | 2012-10-08 | 2014-07-08 |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 Carrying-out apparatus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1149A (en) | 2016-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7043B1 (en) | Automatic vending machine with spiral driving apparatus | |
US6328180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vending products | |
US6520604B1 (en) | Product housing apparatus and product housing method for vending machine | |
KR102128770B1 (en) | Automatic selling machine for packed beef | |
JP2020502670A (en) | Lean vending machines | |
KR101918601B1 (en) | Vending machine and goods vending method thereof | |
EP3842364B1 (en) | Conveyance mechanism of item vending machine | |
KR101569208B1 (en) | Vending machine to sell various products | |
JP4835619B2 (en) | vending machine | |
JP4186829B2 (en) | vending machine | |
KR101647042B1 (en) | Goods injection box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 |
KR20180042611A (en) | Goods transfer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 |
KR20140045083A (en) | Carrying-out apparatus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 |
KR101416011B1 (en) | Carrying-out apparatus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 |
KR101360006B1 (en) | Compact automatic vending maschin | |
KR20040006928A (en) | Auto store system | |
EP3843055B1 (en) | Article dispensing mechanism for article vending machine | |
JP5630079B2 (en) | Cup vending machine for cup vending machines | |
JP4968181B2 (en) | Product carrying device | |
KR20090001088A (en) | Sale method of vending machine that can sell a plurality of goods at once and its device | |
JP4888205B2 (en) | vending machine | |
CN111833523B (en) | Automatic vending machine and goods channel goods delivery method thereof | |
JP5494043B2 (en) | vending machine | |
JP2003132416A (en) | Automatic vending machine | |
KR100853302B1 (en) | vend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