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736B1 - Power saving method of anchor device in indoor positioning system - Google Patents
Power saving method of anchor device in indoor position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1736B1 KR101571736B1 KR1020140168897A KR20140168897A KR101571736B1 KR 101571736 B1 KR101571736 B1 KR 101571736B1 KR 1020140168897 A KR1020140168897 A KR 1020140168897A KR 20140168897 A KR20140168897 A KR 20140168897A KR 101571736 B1 KR101571736 B1 KR 1015717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wake
- anchor device
- received
- exter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leader and terminal is follow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으로, 활성화 모드 상태가 된 후, 다른 앵커 디바이스에게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할 때, 다른 앵커 디바이스와 제2웨이크 업 신호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송 시점을 다르게 하여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고, 자신이 제1웨이크 업 신호 및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는 주체임을 나타내는 특정 패킷을 다른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특정 패킷을 수신한 다른 앵커 디바이스는 소정 시간 동안 제1 및 제2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할 수 없어 앵커 디바이스 간 웨이크 업 신호 전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전력 절감 효과가 인정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aving method of an anchor device in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saving method of an anchor device in which, when an active mode is set and a second wakeup signal is transmitted to another anchor device, The second wake-up signal is transmitted at a different time point, and a specific packet indicating that the first wake-up signal and the second wake-up signal are transmitted is transmitted to another anchor device, and the other anchor device The first and second wake-up signals can not be transmitted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wake-up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anchor devices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nd the power saving effect can be recogniz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aving method of an ancho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reducing power of an anchor device in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실내 측위 시스템(IPS, 'Indoor Positioning System)은 디바이스 구성으로 보았을 때 측위를 위한 기준점이 되는 IPS 앵커 디바이스와 측위되는 대상이 되는 IPS 모바일 디바이스로 구성된다. 종래의 IPS의 앵커 디바이스는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상황으로 발전하여 소모 전력에 대해 대비가 되어 있지 않아 배터리로 동작시키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The Indoor Positioning System (IPS) consists of an IPS anchor device, which is a reference point for positioning when viewed from the device configuration, and an IPS mobile device, which is the target to be positioned. The conventional anchor device of IPS has developed into a situation where the power is always supplied and is not prepared for the consumed electric power, which is inadequate to operate as a battery.
블루투스 저전력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한 IPS 방식과 같이 수신 신호 강도를 이용하는 방식에 있어서 측위 기준점이 되는 비콘 디바이스는 복수의 장소로 동일한 정보를 동시에 보냄으로써 소모전력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으나, 백화점, 상점 등과 같은 상업 지구 사용에 있어, 폐점한 상황에서도 주기적으로 복수의 장소로 동일한 정보를 동시에 보내고 있어 배터리가 낭비되어 배터리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beacon device serving as the positioning reference point in the method us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such as the IPS method using Bluetooth low energy (BLE), can reduce the consumed power considerably by simultaneously transmitting the same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places, In a commercial district such as a department store, a shop, etc., the same information is sent at a plurality of places at the same time periodically even in a closed state, and the battery is wasted, shortening the battery service life.
초광대역통신 (UWB, 'Ultrawide band)를 이용한 IPS 방식은 전파 시간을 이용하는데, 초광대역통신 기술 특성상 수신 대기 상태에서 전력 소모가 크다. 이는 전파 시간을 측정하는데 있어 단방향으로 복수의 장소로 동일한 정보를 동시에 보내더라도 앵커들의 시계 동기화를 위해서는 송수신해야 하기 때문에 수신 대기 상태가 존재하여 소모 전력에 영향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IPS method using UWB (Ultrawide band) uses the propagation tim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WB communication technology, power consumption is high in the standby state. In order to measure the propagation time, even if the same information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places in a unidirectional mann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receiving standby state because the anchors need to transmit and receive for clock synchronization.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앵커 디바이스의 소모 전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기 소모 전력의 크기가 작은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앵커 디바이스를 활성화시키고 비활성화시킬 수 있는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ower consumption problem of the anchor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nchor device which can activate and deactivate an anchor device using ultrasonic waves or infrared rays having a small standby power level, And to provide a reduction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제1임계시간 이내에 새로운 슬립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때, 타이머를 조절하여 슬립 신호 재수신 여부를 체크하고, 외부 장치로부터의 다른 초음파에 의하여 앵커 디바이스가 실수로 활성화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new sleep signal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within a first threshold time, it is checked whether a sleep signal is re-received by adjusting a timer, and an anchor device is mistakenly activated And an electric power saving method of an ancho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n electric pow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anchor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는 제1웨이크 업 신호와 제1웨이크 업 신호를 코딩한 제2웨이크업 신호를 한 쌍으로, 주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다른 초음파에 의하여 주변 앵커 디바이스가 실수로 활성화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wake-up signal and a second wake-up signal, which is a second wake-up signal, are transmitted as a pair to a peripheral anchor device so that the peripheral anchor device inadvertently activates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power consumption of the anchor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는 앵커 디바이스 간에 신호 전송 시작 시점을 다르게 하여 제1웨이크 업 신호와 제2웨이크업 신호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saving method of an anchor device that can prevent a collision between a first wake-up signal and a second wake-up signal by changing a signal transmission start time between anchor devices,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활성화 모드 상태 확정을 체크하기 위한 제2임계시간 동안, 자신이 제1 및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는 주체임을 나타내는 특정 패킷 수신 여부를 체크하여 불필요한 웨이크 업 신호 전송을 방지할 수 있는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a second threshold time for checking the activation mode state determination, it is checked whether a specific packet is received indicating that it is the subject of transmission of the first and second wakeup signals to transmit an unnecessary wakeup signal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saving method of an ancho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n anchor device.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웨이크 업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웨이크 업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전송 후, 새로운 웨이크 업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수신한 상기 웨이크 업 신호와 독립적으로 정상 작동을 하는 단계; 활성화 모드 상태에서 슬립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슬립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슬립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제1임계시간 동안 슬립 신호 재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chor device power saving method includes: receiving a wake up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in a sleep mode; Entering the active mod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ake-up signal; Transmitting the received wake-up signal to at least one external anchor device; After receiving a new wake-up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performing a normal operation independent of the received wake-up signal; Receiving a sleep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in an active mode; Transmitting the received sleep signal to at least one external anchor device; And checking whether the sleep signal is re-received during a first threshold time for entering the sleep state.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은,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으로서, 슬립 모드 상태에서 웨이크 업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웨이크 업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전송 후,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수신한 상기 웨이크 업 신호와 독립적으로 정상 작동을 하는 단계; 활성화 모드 상태에서 슬립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슬립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재수신한 슬립 신호가 없으면 다시 슬립 모드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power saving method of an anchor device is a power saving method of an anchor device in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comprising: receiving a wake up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in a sleep mode; Entering the active mod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ake-up signal; Transmitting the wake-up signal to at least one external anchor device; After receiving the wake-up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performing a normal operation independent of the received wake-up signal; Receiving a sleep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in an active mode; Transmitting the received sleep signal to at least one external anchor device; And if there is no sleep signal that has been re-entered, entering the sleep mode again.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제1웨이크 업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제1웨이크 업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제1웨이크 업 신호와 한 쌍의 관계인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활성화 모드 상태 확정을 체크하기 위한 제2임계시간 동안, 자신이 제1 및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는 주체임을 나타내는 특정 패킷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제2임계시간 동안 상기 특정 패킷을 수신하지 않으면, 새로운 특정 패킷을 상기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웨이크 업 신호를 상기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상기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 후, 제1웨이크 업 신호 및 제2웨이크 업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이와 독립적으로 정상 작동을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power saving method of an ancho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first wake-up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in a sleep mode; Entering the active mod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first wake-up signal; When receiving from the external apparatus a second wake-up signal that is a pair of the first wake-up signal, transmits itself the first and second wake-up signals during a second threshold time for checking the activation mode state confirmation Checking whether a specific packet is received or not; Transmitting a new specific packet to the external anchor device if the specific packet is not received during the second threshold time; Transmitting the first wake-up signal to the external anchor device; Transmitting the second wake-up signal to the external anchor device; And after the transmission,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wake-up signal and the second wake-up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performing the normal operation independently of this.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앵커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앵커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제1웨이크 업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1웨이크 업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 모드에 진입하며, 상기 제1웨이크 업 신호와 한 쌍의 관계인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활성화 모드 상태 확정을 체크하기 위한 제2임계시간 동안, 자신이 제1 및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는 주체임을 나타내는 특정 패킷 수신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제2임계시간 동안 상기 특정 패킷을 수신하지 않으면, 새로운 특정 패킷을 상기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설정된 상기 제1웨이크 업 신호를 상기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설정된 상기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상기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전송 후, 제1웨이크 업 신호 및 제2웨이크 업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이와 독립적으로 정상 작동을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an anchor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external anchor device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nd a second wake-up signal, which is a pair of the first wake-up signal and a second wake-up signal, in a sleep mode, and receives a first wake-up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first wake- The control unit checks whether or not a specific packet indicating that it is a subject to transmit the first and second wake-up signals is checked for a second threshold time for checking the activation mode state determination, Transmits the set first wake-up signal to the external anchor device, and transmits the set second wake-up signal to the external anchor device And transmits, after the transmiss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wake-up signal and the second wake-up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When a controller for the normal operation in this independ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대기 소모 전력의 크기가 작은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앵커 디바이스의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umed electric power of the anchor device can be reduced by using ultrasonic waves or infrared rays having a small standby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임계시간 이내에 새로운 슬립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때, 타이머를 조절하여 슬립 신호 재수신 여부를 체크하고, 외부 장치로부터의 다른 초음파에 의하여 앵커 디바이스가 실수로 활성화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new sleep signal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within a first threshold time, a timer is adjusted to check whether a sleep signal is re-received, and an anchor device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ctiva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웨이크 업 신호와 제1웨이크 업 신호를 코딩한 제2웨이크업 신호를 한 쌍으로 주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므로, 다른 초음파에 의하여 주변 앵커 디바이스가 실수로 활성화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wake-up signal and the second wake-up signal coding the first wake-up signal are transmitted to the peripheral anchor device in pairs, the peripheral anchor device is inadvertently activated State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앵커 디바이스 간에 신호 전송 시작 시점을 다르게 하여 제1웨이크 업 신호와 제2웨이크업 신호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ollision between the first wake-up signal and the second wake-up signal by changing the starting point of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anchor device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활성화 모드 상태 확정을 체크하기 위한 제2임계시간 동안, 자신이 제1 및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는 주체임을 나타내는 특정 패킷 수신 여부를 체크하여 불필요한 웨이크 업 신호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a second threshold time for checking the activation mode state determination,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a specific packet is received indicating that it is the subject of transmitting the first and second wakeup signals, Transmission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앵커 디바이스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정집과 같은 환경의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 power saving method of an anchor device in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saving method of an anchor device in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nchor device in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saving method of a mobile device and an anchor device in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a hom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0), 복수개의 레퍼런스 기기들(30),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는 레퍼런스 기기들(30)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고, 전자기기(50)를 향해 있는 이동 단말기(10)의 방향을 감지하며, 이동 단말기(10)와 전자기기(5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는 자신의 위치와 방향 그리고 전자기기(50)와의 거리를 이용하여 해당 전자기기(50)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는 측량된 위치를 기반으로 전자기기(50)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맵(map)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전자기기(50)를 선택 및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원격 제어장치(remote control)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레퍼런스 기기들(30)은 이동 단말기(10) 또는 전자기기(50)의 위치를 측량하는 데에 사용되는 기기로써, 삼각 측량방식으로 위치를 측량하기 위해 적어도 세 개 이상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 또는 전자기기(50)의 평면상(2D)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서 적어도 3개의 레퍼런스 기기들(30)이 필요하고, 이동 단말기(10) 또는 전자기기(50)의 공간상(3D)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서 적어도 4개의 레퍼런스 기기들(30)이 필요하다. 또한, 레퍼런스 기기들(30)이 실내에서의 이동 단말기(10)의 위치측량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실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레퍼런스 기기들(3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외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전자기기(50)는 TV, 컴퓨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조명 등과 같은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이동 및 통신이 가능한 다른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특히, 전자기기(50)가 실내위치추적(Indoor Positioning System: IPS) 기능이 있는 경우, 레퍼런스 기기들(30)과의 통신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측정할 수도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0), 복수개의 레퍼런스 기기들(30),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50), 서버(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는 레퍼런스 기기들(30)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고, 전자기기(50)를 향한 이동 단말기(10)의 방향을 감지하며, 전자기기(50)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는 자신의 위치와 방향 그리고 전자기기(50)와의 거리를 이용하여 해당 전자기기(50)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는 측량된 위치를 기반으로 전자기기(50)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맵(map)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전자기기(50)를 선택 및 제어할 수 있다.2, th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레퍼런스 기기들(30)은 이동 단말기(10) 또는 전자기기(50)의 위치를 측량하는 데에 사용되는 기기로써, 삼각 측량방식으로 위치를 측량하기 위해 적어도 세 개 이상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퍼런스 기기들(30)이 실내에서의 이동 단말기(10)의 위치측량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실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레퍼런스 기기들(3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외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전자기기(50)는 TV, 컴퓨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조명 등과 같은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이동 및 통신이 가능한 다른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특히, 전자기기(50)가 실내위치추적(Indoor Positioning System: IPS) 기능이 있는 경우, 레퍼런스 기기들(30)과의 통신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측정할 수도 있다.The
서버(70)는 이동 단말기(10)의 위치와 방향 그리고 이동 단말기(10)와 전자기기(50)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해당 전자기기(50)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다. 또한, 서버(70)는 측량된 위치를 기반으로 전자기기(50)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맵(map)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의 명령에 따라 맵을 이용하여 원하는 전자기기(50)를 선택 및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70)는 홈 게이트웨이(Home gateway)나 클라우드(CLOUD)를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 가능한 연산/저장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The server 70 can measure the position of the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는 통신부(11), 입력부(12), 센싱부(14), 디스플레이부(15), 메모리(17) 및 제어부(18)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1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3, the
통신부(11)는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여기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Here,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xternally attached to the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와 레퍼런스 기기들(30) 사이, 이동 단말기(10)와 전자기기기(5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와 서버(7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1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한 레퍼런스 기기들(30)과의 통신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registered trademark),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위치정보 모듈은 이동 단말기(1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는 GPS 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1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1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통신부(11)의 다른 모듈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입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센싱부(14)는 이동 단말기(10)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중력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모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 단말기(10)의 방향(방위, 기울기, 고저),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의 상단이 향하는 방향을 판단하는 데에 사용되고,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 단말기(10)와 전자기기(5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는 전자기기(50)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감지하고, 제어부(18)는 감지된 초음파를 통해 파동 발생원(전자기기)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거리는 출력된 초음파와 반사된 초음파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디스플레이부(15)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는 이동 단말기(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는 이동 단말기(1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메모리(17)는 이동 단말기(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및 명령어들, 전자기기(50)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와 전자기기의 식별정보(ID),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50)의 위치정보 및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맵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제어부(18)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는 메모리(17)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또한, 제어부(18)는 세 가지의 값, 즉 통신부(11)와 레퍼런스 기기들(30) 사이의 통신을 통해 측정된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센싱부(14)에 의해 감지되는 전자기기를 향한 이동 단말기(10)의 방향, 이동 단말기(10)와 전자기기(50)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전자기기(50)의 실제 위치를 측량한다. 여기서, 제어부(18)는 전자기기(50)의 위치를 측량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 단말기(10)와 전자기기(50) 간 거리의 최대허용치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그리고, 제어부(18)는 측량된 전자기기(50)의 위치정보를 전자기기의 식별정보와 함께 메모리(17)나 서버(70)에 전송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50)의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맵을 생성하고 메모리(17)에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 can transmit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measured
이처럼, 맵이 생성된 이후에 사용자가 위치추적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동 단말기(10)의 방향을 조절하면, 제어부(18)는 조절되는 이동 단말기(10)의 방향이 전자기기(50)의 측량된 위치를 향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8)는 이동 단말기(10)의 현재위치 및 현재방향을 고려해서 이동 단말기(10)가 맵에 등록된 전자기기(50)의 위치를 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이동 단말기(10)의 방향이 전자기기(50)의 위치를 향한다면, 제어부(18)는 해당 전자기기(50)를 선택 및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executes the position tracking application and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한편, 사용자가 전자기기(50)의 측량된 위치를 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에 터치입력(예를 들어, 드래그)을 입력하는 경우에도, 제어부(18)는 위와 같이 이동 단말기(10)의 현재위치 및 터치입력의 방향을 고려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기기(50)를 선택 및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s a touch input (e.g., a drag) to the
또한, 제어부(18)는 이동 단말기(10)의 방향이나 터치입력의 방향과 일치하는 가상의 직선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50)의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는 이동 단말기(10)와 해당 전자기기(50) 간의 거리에 따라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 상에 순서대로 배열할 수 있다. 이처럼 표시된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사용자는 원하는 전자기기(50)를 쉽게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는 가상의 직선의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5)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18 may display on the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된 도 3의 이동 단말기(10)의 구성요소들은 도 4의 이동 단말기(100)에도 포함하며, 그 구성요소들의 기능도 동일하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of the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다른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The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4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to implement a method of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list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before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implemented through the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the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for example, wireless LAN (WLAN), wireless 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and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113 transmit and receive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Th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이용한 레퍼런스 기기들(30)과의 통신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The short-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other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다음으로, 입력부(12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The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Meanwhile, the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First, the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Examples of the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recognizing that the object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n proximity with no object touching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an object on the screen is called a "contact touch. &Quot; The position at which the object is clos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object corresponds to the touch screen vertically when the object is touched. The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The touch sensor senses a touch (or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r the display unit 151) by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touch methods such as a resistance film type, a capacitive type, an infrared type, an ultrasonic type, do.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touch screen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an area, a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a capacitance at the time of touch, and the like where a touch object touching the touch screen is touched on the touch sensor. Here, the touch object may be a finger, a touch pen, a stylus pen, a pointer, or the like as an object to which a touch is applied to the touch sensor.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Thus, 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 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uch sensors and the proximity sensors discussed above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o provide a short touch (touch), a long touch, a multi touch, a drag touch ), Flick touch, pinch-in touch, pinch-out touch, swipe touch, hovering touch, and the like. Touch can be sensed.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The ultrasonic sensor can recogniz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be sensed by using ultrasonic waves. Meanwhile, the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택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세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The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The signal output from the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The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The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The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an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in a wireless manner without using the connection port.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use at least one of an inductive coupling method based on a 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from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a magnetic resonance coupling method based on an electromagnetic resonance phenomenon Power can be deliver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showing a power saving method of an anchor device in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1앵커 디바이스(500)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웨이크 업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다(S510). 여기서, 웨이크 업 신호와 슬립 신호는 연속파 또는 변조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웨이크 업 신호와 슬립 신호는 초음파 신호 및 적외선 신호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first, the
제2앵커 디바이스(600)는 슬립 모드 상태에 있다. The
다음으로, 수신한 웨이크 업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 모드에 진입한다(S520).Next, the mobile terminal enters the activation mod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ake-up signal (S520).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성화 모드에 진입한 후, 복수의 앵커 디바이스 간의 웨이크 업 신호 전송 시점을 다르게 하기 위하여 소정 시간 동안 대기할 수 있다. 활성화 모드에 진입한 후, 웨이크 업 전송 시점을 다르게 하면 복수의 앵커 디바이스가 전송한 웨이크 업 신호끼리 물리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wait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entering the active mode to make the wakeup signal transmission time point between the plurality of anchor devices differ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physical collision between wake-up signals transmitted by a plurality of anchor devices when the wake-up transmission time is different after entering the activation mode.
웨이크 업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530). 여기서, 복수의 앵커 디바이스 간의 웨이크 업 신호 전송 시점을 다르게 설정하여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2앵커 디바이스(600)는 제1앵커 디바이스와 전송 시점이 다르게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한다.The wake-up signal is transmitted to at least one external anchor device (S530). In this case, the wakeup signal transmission time is set differently between the plurality of anchor devices, and the wakeup signal is transmitted. For example, the
전송 후, 웨이크 업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수신한 웨이크 업 신호와 독립적으로 정상 작동을 한다(S540). 이 경우 외부 장치로부터 웨이크 업 신호를 다시 수신하면, 제1앵커 디바이스(500)는 이를 무시한다. Upon receiving the wake-up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after transmission, the wake-up signal is normally operated independently of the received wake-up signal (S540). In this case, if the wakeup signal is received again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활성화 모드 상태에서 슬립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다(S550).In the active mode, the sleep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S550).
제1앵커 디바이스(500)와 제2앵커 디바이스(600)는 슬립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The
여기서, 슬립 신호는 연속파 또는 변조 신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슬립 시퀀스 동안에 웨이크 업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웨이크 업 시퀀스를 따른다. 또한, 슬립 신호는 초음파, 적외선이 될 수 있다. Here, the sleep signal may be a continuous wave or a modulated signal. When the wake-up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during the sleep sequence, the wake-up sequence is followed. Further, the sleep signal may be an ultrasonic wave or an infrared ra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활성화 모드 상태에서 슬립 신호를 수신한 후에, 소정 시간 동안 대기할 수 있다. 슬립 신호를 수신한 후, 소정 시간 동안 대기하면 웨이크 업 신호끼리 물리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receiving the sleep signal in the active mode state, it can wait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keup signals from physically colliding with each other after wai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receiving the sleep signal.
수신한 슬립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560).The received sleep signal is transmitted to at least one external anchor device (S560).
구체적으로, 복수의 앵커 디바이스 간의 슬립 신호 전송 시점을 다르게 설정하여 슬립 신호를 전송한다.Specifically, the sleep signal transmission time is set differently between a plurality of anchor devices, and the sleep signal is transmitted.
슬립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제1임계시간 동안 슬립 신호 재수신 여부를 체크한다(S570).It is checked whether the sleep signal is re-received during the first threshold time for entering the sleep state (S570).
구체적으로, 제1임계시간 이내에 새로운 슬립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타이머를 리셋하고, 리셋한 시점을 시작점으로 다시 제1임계시간 동안 슬립 신호 재수신 여부를 체크한다. 따라서, 타이머를 리셋하므로 슬립 신호 재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Specifically, when a new sleep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within the first threshold time, the timer is reset, and the sleep time is checked again for the first threshold time with the starting point as the starting point. Therefore, since the timer is reset, it takes a long tim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sleep signal is re-received.
제1임계시간 이내에 슬립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한다(S580). 또한, 슬립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슬립 모드에 진입한다. 이때, 슬립 신호를 실내 측위 시스템 연결(IPS connectivity)을 통해 수신한 경우에는 슬립 신호 재수신 여부를 하는 것이 생략 가능하다. If the sleep signal is not received within the first threshold time, the sleep mode is entered (S580). If the sleep threshold time is exceeded, the sleep mode is entered. At this time, when the sleep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IPS connection, it may be omitted to resume the sleep signal.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앵커 디바이스(5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슬립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슬립 신호를 제2앵커 디바이스(600)으로 전송한다. 슬립 신호를 전송한 후, 바로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하면, 외부 장치로부터 다른 슬립 신호를 수신하면 활성화 모드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슬립 신호는 에너지 만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임계시간을 두어 슬립 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다른 장치로부터 슬립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타이머를 일시 정지 시키고, 타이머를 리셋한 후, 새로운 제1임계시간 동안 슬립 신호를 수신해도 슬립 모드 상태에 바로 진입하지 않는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a situation, even if a sleep signal is received from another device before entering the sleep mode with the first threshold time, the timer is paused, the timer is reset, and a sleep signal It does not directly enter the sleep mode state
즉, 제1임계 시간의 시작점에서 타이머가 리셋된 시점의 구간과 새로운 제1임계시간 구간의 합인 보호 구간이 존재함으로써, 제1앵커 디바이스(500)는 보호 구간 동안에 슬립 신호를 수신해도 활성화 모드 상태로 되지 않는다.That is, since there is a guard interval which is a sum of a time interval at which the timer is reset at the start point of the first threshold time period and a new first threshold time interval, the
또한, 보호 구간은 각 앵커 디바이스가 활성화 상태가 된 후 슬립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보다 길게 설정한다. 따라서, 수신 시점이 보호 구간에 있을 때, 앵커 디바이스는 슬립 신호를 수신한다. In addition, the guard interval is set longer than the time for transmitting the sleep signal after each anchor device becomes active. Therefore, when the reception time is in the guard interval, the anchor device receives the sleep signa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saving method of an anchor device in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발명은 도 5의 경우와 달리 실내 측위 시스템의 앵커 디바이스가 많아 앵커 디바이스의 on/off 상태를 일일이 체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보다 확실하게 앵커 디바이스를 활성화 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6 is a method for reliably activating an anchor device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individually check the on / off state of the anchor device due to a large number of anchor devices of the indoor positioning system, unlike the case of FIG.
여기서, 제1 및 제2웨이크 업 신호는 연속파 또는 변조 신호가 될 수 있다. 제1 및 제2웨이크 업 신호는 초음파 신호 및 적외선 신호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and second wake-up signals may be continuous wave or modulated signals. The first and second wake-up signals may be any one of an ultrasonic signal and an infrared signal.
또한, 제1웨이크 업 신호는 코딩되지 않은 초음파 신호, 코딩되지 않은 적외선 신호가 될 수 있고, 제2웨이크 업 신호는 제1웨이크 업 신호를 코딩한 신호가 될 수 있다. Further, the first wake-up signal may be an uncoded ultrasonic signal, the uncoded infrared signal, and the second wake-up signal may be a signal coding the first wake-up signal.
제1웨이크 업 신호는 에너지 전달만 하여 앵커 디바이스를 깨우는 역할을 하고, 제2웨이크 업 신호는 앵커 디바이스가 수신한 것이 웨이크 업 신호라는 것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웨이크 업 신호는 코딩이 되지 않아도 관계가 없으나, 제2웨이크 업 신호는 전송 신호가 웨이크 업 신호라는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므로 코딩이 되는 것이 필요하다. The first wake-up signal serves only to wake up the anchor device by energy transfer, and the second wake-up signal serves to inform that the anchor device receives the wake-up signal. Therefore, although the first wake-up signal is not coded, the second wake-up signal needs to be coded because the transmission signal must transmit a message that it is a wake-up signal.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제1웨이크 업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다(S610).As shown in FIG. 6, the first wakeup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 the sleep mode (S610).
수신한 제1웨이크 업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 모드 상태에 진입한다(S620).And enters the active mode stat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irst wake-up signal (S62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는 제3임계시간 동안 대기할 수 있다. 대기 시간 동안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슬립 모드 상태로 진입한다. 즉, 대기 시간 동안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앵커 디바이스의 웨이크 업 신호와 관계없는 다른 초음파 신호를 수신한 것이기 때문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wait for a third threshold time to receive a second wake-up signal. If it does not receive the second wake-up signal during the waiting time, it enters the sleep mode. That is, if the second wake-up signal is not received during the waiting time, the ultrasonic signal irrespective of the wake-up signal of the anchor device is received.
따라서, 제1앵커 디바이스(500)는 제1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고 활성화 상태가 되었는데, 제3임계시간 시간 이내에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다른 앵커 디바이스가 전송한 웨이크 업 신호가 아닌 것이다. 제1앵커 디바이스(500)는 잘못 활성화 상태가 된 것이므로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하여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if the
제1웨이크 업 신호와 한 쌍의 관계인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활성화 모드 상태 확정을 체크하기 위한 제2임계시간 동안, 자신이 제1 및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는 주체임을 나타내는 특정 패킷 수신 여부를 체크한다(S630).When receiving from the external device a second wake-up signal that is a pair of the first wake-up signal and a second wakeup signal that is a pair of the first wake-up signal and the second wakeup signal, (Step S630).
여기서, 특정 패킷은 제1앵커 디바이스(500)만이 제1웨이크 업 신호와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므로, 다른 앵커 다바이스는 제1웨이크 업 신호 및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Here, since only the
또한, 특정 패킷을 적어도 하나의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경로는 상기 제1 및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는 경로와 상이하다. In addition, a path for transmitting a specific packet to at least one external anchor device is different from a path for transmitting the first and second wake-up signals.
예컨대, 제1 및 제2웨이커 업 신호 전송 경로는 초음파인 경우, 특정 패킷을 전송하는 경로는 와이파이, 초광대역 통신 대역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and second wake-up signal transmission paths are ultrasonic waves, a path for transmitting a specific packet may be a Wi-Fi or ultra-wideband communication band.
구체적으로, 제2앵커 디바이스(600)는 제2임계시간 동안 다른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특정 패킷을 수신하면 타이머를 일시 정지한다. Specifically, when the
제2앵커 디바이스(600)는 다른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새로운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면, 일시 정지된 타이머의 남은 시간을 작동한다. When the
제2앵커 디바이스(600)는 타이머의 남은 시간이 지나면, 새로운 특정 패킷을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즉, 타이머의 남은 시간이 지나면, 제1 및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는 주체는 제2앵커 디바이스가 되는 것이다. The
제2임계시간 동안 특정 패킷을 수신하지 않으면, 제1앵커 디바이스(500)는 새로운 특정 패킷을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640).If a specific packet is not received during the second threshold time, the
제1앵커 디바이스(500)는 제1웨이크 업 신호를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650). 제1앵커 디바이스(500)는 제1웨이크 업 신호를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제1 및 제2웨이크 업 신호를 매회 전송하는 전송 주기 동안 대기한다. The
따라서, 제1 및 제2웨이크 업 신호 사이에 일정한 간격의 전송 주기가 존재하므로, 제1 및 제2웨이크 업 신호를 구별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re is a constant interval transmission perio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ake-up signals,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first and second wake-up signals.
제1앵커 디바이스(500)는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660).The
전송 후, 제1앵커 디바이스(500)는 제1웨이크 업 신호 및 제2웨이크 업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이와 독립적으로 정상 작동을 한다(S670). After the transmission, when the
본 발명에서는, 제1앵커 디바이스(500)와 제2앵커 디바이스(600) 사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제1앵커 디바이스(500)와 제2앵커 디바이스(600)는 제1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슬립 모드 상태에서 깨어나 활성화 모드 상태가 된다. 이 때, 제1 앵커 디바이스(500)및 제2 앵커 디바이스(600)는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제1웨이크 업 신호를 코딩한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여야 올바른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한 것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 장치가 전송한 초음파를 수신하여 활성화 모드 상태에 진입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제1앵커 디바이스(500)는 특정 패킷을 전송하고, 소정 시간 경과한 후,제1웨이크 업 신호와 제2웨이크 업 신호를 다른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제2앵커 디바이스(600)는 제1앵커 디바이스(500)로부터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면, 타이머의 남은 시간이 작동하고, 제2앵커 디바이스가 특정 패킷을 다른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When the
따라서, 각각의 앵커 디바이스는 특정 패킷을 전송한 후, 제1및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제1앵커 디바이스 -> 제2앵커 디바이스 -> 제3앵커 디바이스 -> 제4앵커 디바이스 -> … -> n번째 앵커 디바이스를 모두 활성화 상태가 될 수 있다. Therefore, each anchor device transmits a specific packet and then transmits first and second wake-up signals, so that the first anchor device -> the second anchor device -> the third anchor device -> the fourth anchor device - > ... -> The nth anchor device can be activat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앵커 디바이스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nchor device in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앵커 디바이스는 통신 모듈(510), 컨트롤러(5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anchor device in the indoor positioning system includes the
통신 모듈(510)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앵커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The
컨트롤러(520)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제1웨이크 업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제1웨이크 업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 모드에 진입하며, 제1웨이크 업 신호와 한 쌍의 관계인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활성화 모드 상태 확정을 체크하기 위한 제2임계시간 동안, 자신이 제1 및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는 주체임을 나타내는 특정 패킷 수신 여부를 체크하고, 제2임계시간 동안 특정 패킷을 수신하지 않으면, 새로운 특정 패킷을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설정된 제1웨이크 업 신호를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설정된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전송 후, 제1웨이크 업 신호 및 제2웨이크 업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이와 독립적으로 정상 작동을 한다.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정집과 같은 환경의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saving method of a mobile device and an anchor device in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a hom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정집의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구성 요소로 모바일 디바이스(700)와 앵커 디바이스(8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8, the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스마트폰, 스마트 리모컨이 될 수 있다.Here, the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슬립 모드 상태에 있다(S810). 앵커 디바이스(700)는 슬립 모드 상태에 있다. First, the
이어,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웨이크 업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고(S815), 활성화 모드 상태에 진입한다(S820).Next, the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 디바이스를 검색한다(S825).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실내 측위 연결로 이용된 와이파이, 초고주파 대역을 이용하여 앵커 디바이스를 검색한다. The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검색된 앵커 디바이스에게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한다(S830).The
앵커 디바이스(800)는 수신한 웨이크 업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 모드 상태에 진입한다(S835). The anchor device 800 enters the active mode stat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ake-up signal (S835).
앵커 디바이스(800)는 와이파이, 초고주파 대역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검색한다(S840).The anchor device 800 searches for a mobile device using Wi-Fi and a very high frequency band (S840).
앵커 디바이스(800)과 모바일 디바이스(700) 사이의 실내 측위 시스템이 정상 동작한다(S845).The indoor positioning system between the anchor device 800 and the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움직임 센서값이 임계값의 관계를 확인한다(S850).The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움직임 센서값이 임계값 미만이면, 슬립 신호를 앵커 디바이스(500)로 전송한다(S855).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움직임 센서값이 임계값 미만이면 정지 상태에서 미세하게 동작하거나 정지 상태로 보고 슬립 신호를 앵커 디바이스(500)로 전송하고, 실내 측위 시스템 부분을 슬립 상태로 진입시킨다.If the motion sensor value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움직임 센서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실내 측위 시스템의 정상 동작을 진행한다(S845).If the motion sensor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앵커 디바이스(800)는 수신한 슬립 신호에 대응하여, 애크(Ack)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700)로 전송한다. 앵커 디바이스(800)는 슬립 신호를 수신하고,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한다(S865). The anchor device 800 transmits an Ack signal to the
여기서, 앵커 디바이스(800)는 애크 신호를 와이파이, 초고주파 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Here, the anchor device 800 transmits the ACK signal using the Wi-Fi and the high-frequency band.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앵커 디바이스(800)로부터 애크 신호를 수신하고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한다(S870).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대기 소모 전력의 크기가 작은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앵커 디바이스의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umed electric power of the anchor device can be reduced by using ultrasonic waves or infrared rays having a small standby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임계시간 이내에 새로운 슬립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때, 타이머를 조절하여 슬립 신호 재수신 여부를 체크하고, 외부 장치로부터의 다른 초음파에 의하여 앵커 디바이스가 실수로 활성화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new sleep signal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within a first threshold time, a timer is adjusted to check whether a sleep signal is re-received, and an anchor device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ctiva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웨이크 업 신호와 제1워이크 업 신호를 코딩한 제2웨이크업 신호를 한 쌍으로 주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므로, 다른 초음파에 의하여 주변 앵커 디바이스가 실수로 활성화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akeup signal and the second wakeup signal coding the first wakeup signal are transmitted as a pair to the peripheral anchor device, so that the peripheral anchor device is mistakenly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ctivat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앵커 디바이스 간에 신호 전송 시작 시점을 다르게 하여 제1웨이크 업 신호와 제2웨이크업 신호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ollision between the first wake-up signal and the second wake-up signal by changing the starting point of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anchor device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활성화 모드 상태 확정을 체크하기 위한 제2임계시간 동안, 자신이 제1 및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는 주체임을 나타내는 특정 패킷을 수신 여부를 체크하여 불필요한 웨이크 업 신호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a second threshold time for checking the activation mode state determination, it is checked whether a specific packet indicating that it is a subject of transmitting the first and second wakeup signals is received and unnecessary wakeup Signal transmission can be prevented.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include a
10, 100: 이동 단말기 11: 통신부
12: 입력부 14: 센싱부
15: 디스플레이부 17: 메모리
18: 제어부 30: 레퍼런스 기기
50: 전자기기 70: 서버
500 : 제1앵커 디바이스
510 : 통신 모듈 520 : 컨트롤러
600 : 제2앵커 디바이스
700 : 모바일 디바이스10, 100: mobile terminal 11:
12: input unit 14: sensing unit
15: display unit 17: memory
18: control unit 30: reference device
50: electronic device 70: server
500: first anchor device
510: communication module 520: controller
600: second anchor device
700: Mobile device
Claims (11)
슬립 모드 상태에서 웨이크 업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웨이크 업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전송 후, 새로운 웨이크 업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수신한 상기 웨이크 업 신호와 독립적으로 정상 작동을 하는 단계;
활성화 모드 상태에서 슬립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슬립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슬립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제1임계시간 동안 슬립 신호 재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As an electric power saving method of an anchor device in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Receiving a wake-up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in a sleep mode;
Entering the active mod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ake-up signal;
Transmitting the received wake-up signal to at least one external anchor device;
After receiving a new wake-up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performing a normal operation independent of the received wake-up signal;
Receiving a sleep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in an active mode;
Transmitting the received sleep signal to at least one external anchor device; And
Checking whether a sleep signal is re-received during a first threshold time for entering a sleep state
Wherein the anchor device comprises:
상기 제1임계시간 이내에 새로운 슬립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타이머를 리셋하고, 리셋한 시점을 시작점으로 다시 상기 제1임계시간 동안 슬립 신호 재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임계시간 이내에 슬립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hecking for the first threshold time
Resetting the timer when the new sleep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within the first threshold time and checking whether the sleep signal is re-received for the first threshold time again with the starting point as the starting point; And
And entering the sleep mode if the sleep signal is not received within the first threshold time
A method of power saving in an anchor device.
상기 웨이크 업 신호와 상기 슬립 신호는 초음파 신호 또는 적외선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
인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ke-up signal and the sleep signal are either an ultrasonic signal or an infrared signal
A method of power saving in an anchor device.
복수의 앵커 디바이스 간의 웨이크 업 신호 전송 시작 시점을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ransmitting the received wake-up signal to at least one external anchor device comprises:
And transmitting the wake-up signal by setting a start point of wake-up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plurality of anchor devices differently
A method of power saving in an anchor device.
복수의 앵커 디바이스 간의 슬립 신호 전송 시작 시점을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슬립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sleep signal to at least one external anchor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leep signal by setting a different starting point of the sleep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plurality of anchor devices
A method of power saving in an anchor device.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제1웨이크 업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제1웨이크 업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제1웨이크 업 신호와 한 쌍의 관계인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활성화 모드 상태 확정을 체크하기 위한 제2임계시간 동안, 자신이 제1 및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는 주체임을 나타내는 특정 패킷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제2임계시간 동안 상기 특정 패킷을 수신하지 않으면, 새로운 특정 패킷을 상기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웨이크 업 신호를 상기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상기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 후, 제1웨이크 업 신호 및 제2웨이크 업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이와 독립적으로 정상 작동을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As an electric power saving method of an anchor device in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Receiving a first wake-up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in a sleep mode;
Entering the active mod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first wake-up signal;
When receiving from the external apparatus a second wake-up signal that is a pair of the first wake-up signal, transmits itself the first and second wake-up signals during a second threshold time for checking the activation mode state confirmation Checking whether a specific packet is received or not;
Transmitting a new specific packet to the external anchor device if the specific packet is not received during the second threshold time;
Transmitting the first wake-up signal to the external anchor device;
Transmitting the second wake-up signal to the external anchor device; And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wake-up signal and the second wake-up signal from the external apparatus after transmission,
Wherein the anchor device comprises:
상기 제2임계시간 동안 다른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특정 패킷을 수신하면 타이머를 일시 정지하는 단계;
상기 다른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새로운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면, 일시 정지된 상기 타이머의 남은 시간을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의 남은 시간이 지나면, 새로운 특정 패킷을 상기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specific packet is received
Pausing a timer when receiving a specific packet from another anchor device during the second threshold time;
Operating a remaining time of the paused timer upon receipt of a new second wake up signal from the another anchor device; And
And transmitting a new specific packet to the external anchor device after the remaining time of the timer expires
A method of power saving in an anchor device.
인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 path for transmitting the specific packet to at least one external anchor device is different from a path for transmitting the first and second wake-
A method of power saving in an anchor device.
상기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는 제3임계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 및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fter entering the active mod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irst wake-
Waiting for a third threshold time to receive the second wake-up signal, and
And entering the sleep mode if the second wake-up signal is not received during the waiting time
A method of power saving in an anchor device.
제1웨이크 업 신호와 제2웨이크 업 신호를 매회 전송하는 전송 주기 동안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앵커 디바이스의 전력 절감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fter transmitting the first wake-up signal to at least one anchor device in the vicinity,
Waiting for a transmission period of transmitting the first wake-up signal and the second wake-up signal each time
A method of power saving in an anchor device.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제1웨이크 업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1웨이크 업 신호에 대응하여 활성화 모드에 진입하며, 상기 제1웨이크 업 신호와 한 쌍의 관계인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활성화 모드 상태 확정을 체크하기 위한 제2임계시간 동안, 자신이 제1 및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는 주체임을 나타내는 특정 패킷 수신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제2임계시간 동안 상기 특정 패킷을 수신하지 않으면, 새로운 특정 패킷을 상기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설정된 상기 제1웨이크 업 신호를 상기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설정된 상기 제2웨이크 업 신호를 상기 외부 앵커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전송 후, 제1웨이크 업 신호 및 제2웨이크 업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이와 독립적으로 정상 작동을 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 앵커 디바이스.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external anchor device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nd
A first wake-up signal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in a sleep mode, and enters an active mod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first wake-up signal, and a second wake-up signal in a pair relationship with the first wake- And a control unit for checking whether or not a specific packet is received indicating that it is a subject of transmitting the first and second wake-up signals during a second threshold time for checking the activation mode state determination, Transmits the set first wake-up signal to the external anchor device, and transmits the set second wake-up signal to the external anchor device At least one of the first wake-up signal and the second wake-up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A controller that operates normally and independently
And an anchor device in the indoor positioning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8897A KR101571736B1 (en) | 2014-11-28 | 2014-11-28 | Power saving method of anchor device in indoor position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8897A KR101571736B1 (en) | 2014-11-28 | 2014-11-28 | Power saving method of anchor device in indoor positioning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1736B1 true KR101571736B1 (en) | 2015-11-25 |
Family
ID=5484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8897A Expired - Fee Related KR101571736B1 (en) | 2014-11-28 | 2014-11-28 | Power saving method of anchor device in indoor position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173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2467A (en) * | 2019-08-20 | 2021-03-03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Smart key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elay station attack using the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7984B1 (en) | 2011-02-01 | 2012-06-26 | 주식회사 여의시스템 |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mform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2014
- 2014-11-28 KR KR1020140168897A patent/KR10157173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7984B1 (en) | 2011-02-01 | 2012-06-26 | 주식회사 여의시스템 |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mform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2467A (en) * | 2019-08-20 | 2021-03-03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Smart key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elay station attack using the system |
KR102757986B1 (en) * | 2019-08-20 | 2025-01-2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Smart key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elay station attack using the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8783B1 (en) | A mobile devic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device, and a control system having the mobile device | |
KR101632220B1 (en) | A mobile devic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device, and a control system having the mobile device | |
KR101549027B1 (en) |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device | |
KR20210040759A (en) | Mobile terminal | |
KR20150106535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190132114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401641B1 (en) |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device | |
KR20160016397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60011518A (en) | Apparatus for detecting wrist step and method thereof | |
KR20160018146A (en) | Home gatewa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20150114826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571736B1 (en) | Power saving method of anchor device in indoor positioning system | |
KR20170027190A (en) | Mobile terminal coupled travell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50145550A (en) | Mobile terminal | |
KR20160020763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20160076263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632015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261141B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20160067393A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push service | |
KR101556179B1 (en) |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device | |
KR20160061155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70081896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70025563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170014608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160143229A (en) | Wearabl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11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