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760B1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quiz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quiz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3760B1 KR101533760B1 KR1020140103961A KR20140103961A KR101533760B1 KR 101533760 B1 KR101533760 B1 KR 101533760B1 KR 1020140103961 A KR1020140103961 A KR 1020140103961A KR 20140103961 A KR20140103961 A KR 20140103961A KR 101533760 B1 KR101533760 B1 KR 1015337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
- file
- user terminal
- generating
- data fi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퀴즈생성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교재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교재를 이용하여 교육을 수행하는 퀴즈생성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z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quiz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learning teaching material and performing education using the generated learning teaching material.
최근 교육에 관한 학부모 및 학생의 관심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교육 상황은 1명의 강사와 다수의 학생에 의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강사가 각각의 학생에 대한 출석 점검을 위해 소모하는 시간이 많았으며, 강의 도중에 어느 학생이 개인적으로 질문할 사항이 있거나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 재설명을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강의의 흐름을 해치고 다른 학생의 학습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그러한 사정을 무시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The interest of parents and students in recent education is steadily increasing. However, since the general education situation is done by one lecturer and a large number of students, the instructor spent a lot of time to check attendance for each student, and during the lecture, If you want to ask for a reexamination of something that is difficult or difficult, you may have to ignore the situation because it can hinder the flow of lectures and interfere with the learning of other students.
또한, 강사가 강의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거나 완벽한 학습 내용 전달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고자 할 때에, 일일이 문제를 출제하고 그에 대한 대답을 거수로서 확인하거나 시험지를 통한 측정에 의해 확인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강사의 노력 및 시험을 위한 비용의 소모가 요구되고, 정확한 채점 및 통계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a lecturer is trying to find out whether a student participates in lecture contents or whether a perfect learning content has been delivered, a question is answered one by one and the answer is confirmed by a mocker or by a test sheet,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cost for the effort and the test of the instructor is required to be consumed, and the accurate scoring and statisticalization are difficult.
선행기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6589호에는 게임을 이용한 실시간 온라인 교육시스템으로서, 교육자가 게임의 내용을 교육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쌍방향 소통 내지는 교육자 또는 학습자에 의한 컨텐츠의 변경 정도에 그치고 있으며, 학습 효과를 실질적으로 높이고, 필수적인 사전 학습을 이끌어내는 데 까지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Prior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66589 discloses a real-time online education system using a game, and relates to an online education system in which an educator can arbitrarily set contents to be trained on game contents. However, such a system is limited in the degree of change of content by interactive communication or by an educator or a learner, and is practically insufficient to substantially enhance the learning effect and lead to necessary prior learning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a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required.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is technic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ventor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obtained in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not necessarily be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학습교재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교재를 이용하여 교육을 수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automatically generate a learning material and to carry out training using the generated learning 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선생님의 자료파일을 이용하여 학습교재를 자동생성함에 따라, 선생님입장에서는 적은 시간과 노력으로 학생들에게 수업자료를 제공하는데 용이하고, 학생들입장에서는 교재파일의 슬라이드가 다양한 3D 게임방식으로 구현됨으로써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데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arning material is automatically generated using the teacher's data file, it is easy for the teacher to provide the teaching material to the students with less time and effort, The goal is to be able to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 by being implemented with various 3D game methods.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학습수행과정에서 복수의 학생의 학습수행 결과를 캐릭터를 이용한 다양한 3D 게임방식의 시뮬레이션 화면으로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of providing a simulation result of a plurality of students in a 3D game method using a character in a learning process.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학습교재를 자동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단말에 의해 수행되고, 새로운 학습교재 파일 생성이 요청되면, 새로운 교재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자료파일을 선택받고, 선택된 자료파일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슬라이드 생성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자료파일이 실행된 화면위에 투명레이어를 오버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투명레이어 위에 일부영역을 선택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교재파일에 상기 선택된 일부영역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새로운 슬라이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 learning teaching material,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 new teaching material file when a new learning teaching material file is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Selecting a data fil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from a user and executing and displaying the selected data file; and if the slide creation item is selected, overlaying a transparent layer on the screen on which the data file is executed Selecting a part of the area on the transparent layer from the user, and creating a new slide including the image of the selected part of the area in the text file.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학습교재를 자동생성하는 사용자단말에 있어서, 새로운 학습교재 파일 생성이 요청되면, 새로운 교재파일을 생성하는 교재파일 생성부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자료파일을 선택받고, 선택된 자료파일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자료파일실행부와, 슬라이드 생성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자료파일이 실행된 화면위에 투명레이어를 오버레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투명레이어 위에 일부영역을 선택받는 영역선택부 그리고 상기 교재파일에 상기 선택된 일부영역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를 생성하는 슬라이드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user terminal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learning teaching material, comprising: a teaching material fil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new teaching material file when a new learning teaching material file is requested; A data file execution unit for executing a selected data file and displaying the selected data file, and a control unit for overlaying a transparent layer on a screen on which the data file is executed when a slide creation item is selected, And a slide creation unit for creating a slide including an image of the selected partial area in the text file.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르면, 학습교재를 자동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교재를 이용하여 교육을 수행하는 퀴즈생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학습교재를 생성하기 위한 자료파일을 실행하고, 상기 자료파일이 실행된 화면위에 투명레이어를 오버레이하여 투명레이어 위에 일부영역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일부영역의 이미지로 각각의 슬라이드를 생성함으로써 작성된 교재파일을 이용하여 교육을 수행하되, 3D가상공간에 각각의 제2사용자단말에 대응하는 캐릭터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2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캐릭터가 이동되도록 하며, 3D가상공간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상기 교재파일의 슬라이드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또는 비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특정 슬라이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2사용자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답안정보를 수신하여 정답 및 오답을 판단하는 제1사용자단말과, 상기 제1사용자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며, 상기 3D가상공간에 표시되는 각각의 캐릭터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교재파일 슬라이드가 표시되면, 사용자로부터 답안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제2사용자단말 그리고 상기 제1사용자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3D가상공간과 캐릭터를 표시하며, 상기 제1사용자단말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교재파일의 슬라이드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또는 비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수신된 답안정보에 대한, 상기 제1사용자단말의 판단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quiz generating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learning teaching material and performing education using the generated learning teaching material, the quiz generating system comprising: a data file for generating the learning teaching material, A training material is created by overlaying a transparency layer on a screen and selected from a user on a transparent layer and each slide is created with an image of the selected partial area, 2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are displayed, the character is moved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slides of the text file are sequentially or non-sequentially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3D virtual space In a state in which a specific slide is displayed, A first user terminal for receiving answer information inputted from a verb to determine right and wrong answers; and an input signal for communicating through the network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and for controlling each character displayed in the 3D virtual space One or more second user terminals receiving answer information from a user and transmitting the answer information to the first user terminal when the slide of the text file is displayed, and a second user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And displays the slides of the text file one by one sequentially or nonsequentially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displays the answ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first user terminal.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학습교재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교재를 이용하여 교육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material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and the edu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generated learning 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선생님의 자료파일을 이용하여 학습교재를 자동생성함에 따라, 선생님입장에서는 적은 시간과 노력으로 학생들에게 수업자료를 제공하는데 용이하고, 학생들입장에서는 학습교재의 슬라이드가 다양한 3D 게임방식으로 구현됨으로써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arning material is automatically generated using the teacher's data file, it is easy for the teacher to provide the teaching material to the students with less time and effort, The slides of the textbook are implemented in various 3D game methods, so that they can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
그리고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학습수행과정에서 복수의 학생의 학습수행 결과를 캐릭터를 이용한 다양한 3D 게임방식의 시뮬레이션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task solu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sult of learning of a plurality of students as simulation screens of various 3D game methods using characters in the course of learning.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퀴즈생성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사용자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퀴즈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오버레이된 투명레이어 위에 일부영역이 선택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퀴즈생성방법을 통해 정답슬라이드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마지막 슬라이드에, 정답테이블을 포함하는 정답슬라이드가 생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퀴즈생성방법을 통해 생성된 슬라이드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한 도면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quiz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quiz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at some regions are selected on the overlaid transparent layer.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correct answer slide through a quiz gen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at a correct answer slide including a correct answer table is generated in the last slide. FIG.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slide generated through a quiz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display devic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퀴즈생성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quiz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퀴즈생성시스템은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N),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제1사용자단말(10), 제1사용자단말(10)과 네트워크로 통신하는 복수의 제2사용자단말(20) 그리고 제1사용자단말(10)과 네트워크로 통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40)를 포함한다.The quiz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twork N including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The network N may be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 value added network (VAN), a personal area network (PAN)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or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제1사용자단말(10) 및 제2사용자단말(2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The
그리고 제1사용자단말(10)에는 사용자의 자료파일을 이용하여 교재파일의 각 슬라이드를 자동생성할 수 있는 퀴즈생성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퀴즈생성프로그램은 제1사용자단말(10)에 패키지형태로 다운로드 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관련하여 자료파일은 교재파일을 생성할 때 기초가 되는 정보들을 집합한 파일로서, 문서형식의 파일, 이미지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료파일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파일이거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만든 파일 등, 교재로 활용 가능한 데이터를 화면에 가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파일이면 어떠한 파일이든 무방하다. In relation to the data file, the data file is a file that collects information on which the text file is generated,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ocument format file and an image file. Such a data file may be any file as long as the data can be visually displayed on the screen, such as a pre-stored file or a file created by the user directly.
이러한 자료파일은 예를 들어 아래 한글(hwp), ms계열 파일들(xls, doc 등), 아크로배트(pdf), 훈민정음, 윈도우즈 레지스트리 파일, 이메일(dbx, eml), 인터넷 문서(html)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일 수 있다.These data files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hwp, ms series files (xls, doc, etc.), Acrobat (pdf), Hunminjeongeum, Windows registry file, email (dbx, eml) It can be one piece of data.
한편 교재파일은 자료파일과는 별개의 파일로, 제1사용자단말(10)이 생성하여 제2사용자단말(20)로 제공하기 위한 목적파일일 수 있다. 이러한 교재파일은 예를 들어 ppt파일을 포함할 수 있으나, 하나의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또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처럼 단위데이터로 서로 구분되는 형식의 파일이면 어떠한 형태로도 무관하다. Meanwhile, the teaching material file may be a file separate from the data file, and may be an object file generated by the
관련하여 제1사용자단말(10)은 교재파일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선생님 단말로, 교재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자료파일을 실행하고, 자료파일이 실행된 화면위에 투명레이어를 오버레이하여 투명레이어 위에 일부영역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1사용자단말(10)은 선택된 일부영역의 이미지로 각각의 슬라이드를 생성함으로써 작성된 교재파일을 이용하여 교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사용자단말(10)은 3D가상공간에 각각의 제2사용자단말(20)에 대응하는 캐릭터가 표시되도록 하고, 제2사용자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캐릭터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사용자단말(10)은 3D가상공간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교재파일의 슬라이드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또는 비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특정 슬라이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2사용자단말(20)로부터 입력되는 답안정보를 수신하여 정답 및 오답을 판단할 수 있다.The
그리고 제1사용자단말(10)은 학생들이 입력한 질문을 바탕으로, 교사가 중요시되는 부분만 선택하여 비순차적으로 설명하거나 토론을 유도할 수 있다. 관련하여 제1사용자단말(10)은 학생들이 직접 만든 퀴즈문제를 풀어보는 수업을 진행하여 학생들의 참여를 적극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고 짧은 시간에 모든 학생들이 교사에게 질문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학생 스스로 퀴즈문제를 만들게 함으로써, 학습한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제2사용자단말(20)은 제1사용자단말(10)에서 생성된 교재파일의 슬라이드를 제공받아 학습하는 복수의 학생단말일 수 있다. Meanwhile, the
이러한 제2사용자단말(20)은 3D가상공간에 표시되는 각각의 캐릭터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제1사용자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사용자단말(20)은 교재파일 슬라이드가 표시되면, 사용자로부터 답안정보를 입력받아 제1사용자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The
한편 디스플레이장치(40)는 제1사용자단말(10)의 제어에 따라 3D가상공간과 캐릭터를 표시하며, 교재파일의 슬라이드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또는 비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40)는 제2사용자단말(20)로부터 제1사용자단말(10)로 수신된 답안정보에 대한, 제1사용자단말(10)의 판단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사용자단말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first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사용자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용자단말(10)은 교재파일생성부(11)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교재파일생성부(11)는 제1사용자단말(10)의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학습교재 파일생성이 요청되면, 새로운 교재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교재파일생성부(11)는 제1사용자단말(10)에 미리 설치된 퀴즈생성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이를 감지하여 퀴즈생성프로그램의 교재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한다. The teaching material
이때 메뉴항목에는 교재파일 생성항목, 자료파일 선택항목, 영역설정 항목, 문제입력 항목 및 슬라이드 생성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nu items may include a text file creation item, a data file selection item, a region setting item, a problem input item, and a slide creation item.
이후 제1사용자단말(10)의 사용자가 메뉴항목 중 교재파일 생성항목을 선택하면, 새로운 빈 교재파일을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새로운 빈 교재파일은 빈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파일을 의미한다. 이러한 새로운 빈 교재파일에는 사용자가 직접 내용을 입력할 수도 있고, 기존의 자료파일에서 특정 내용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Then, when the user of the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용자단말(10)은 자료파일실행부(1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자료파일실행부(12)는 사용자로부터 제1사용자단말(10)에 저장된 자료파일을 선택받고, 선택된 자료파일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자료파일실행부(12)는 메뉴항목 중 자료파일 선택항목을 선택하여, 자료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자료파일실행부(12)는 사용자로부터 자료파일 선택항목이 선택되면, 자료파일을 탐색하는 UI(User Interface)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U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자료파일을 선택받으면, 선택된 파일은 OS(Operating System)에 자동 설정된 연결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The data file
이때 자료파일은 제1사용자단말(10)에 설치된 퀴즈생성프로그램에 미리 저장된 자료파일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자료파일일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data file may be a data file stored in advance in the quiz generating program installed in th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용자단말(10)은 영역선택부(13)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the
영역선택부(13)는 사용자로부터 슬라이드 생성항목이 선택되면, 자료파일이 실행된 화면위에 투명레이어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 즉 영역선택부(13)는 메뉴항목 중 슬라이드 생성항목이 선택되면, 자료파일이 실행된 화면위에 투명레이어를 겹쳐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역선택부(13)는 투명레이어가 자료파일이 실행된 화면위에 겹쳐서 디스플레이되기 전에 자료파일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료파일의 내용을 수정하거나, 내용을 추가할 수 있다.The
또한 영역선택부(13)는 사용자로부터 투명레이어 위에 일부영역을 선택받을 수 있다. 즉 영역선택부(13)는 사용자가 터치입력 또는 드래그입력으로 일부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일부영역을 이미지로 캡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용자단말(10)은 슬라이드생성부(14)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the
슬라이드생성부(14)는 교재파일에 선택된 일부영역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새로운 슬라이드를 생성한다. 즉 슬라이드생성부(14)는 영역선택부(13)에서 이미지의 캡쳐가 완료되면, 새로운 교재파일에 캡쳐된 이미지를 삽입하여 새로운 슬라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The
이때 슬라이드생성부(14)는 하나의 이미지에 대하여, 이미지와 대응하는 하나의 슬라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생성부(14)는 복수의 이미지에 대하여, 복수의 슬라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한편 생성된 교재파일의 슬라이드를 구동하는 교재파일 구동프로그램은 퀴즈생성프로그램과는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관련하여 교재파일의 슬라이드는 교재파일 구동프로그램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aching material file driving program for driving the slide of the generated teaching material file can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quiz generating program. In association with this, a slide of the text file may be generated in the text file drive program.
한편 슬라이드생성부(14)는 생성된 새로운 슬라이드에 대응하는 정답테이블을 포함하는 정답슬라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슬라이드생성부(14)는 생성된 슬라이드에 대응하는 정답을 입력받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생성부(14)는 제공된 유저인터페이스에 입력된 값이, 해당 슬라이드에 대응하는 필드에 기입된 정답테이블을 포함하는 별개의 슬라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유저인터페이스에 특정 슬라이드의 정답을 ‘3’이라고 입력하면, 그 슬라이드에 대응하는 해당 셀에 ’3’을 표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관련하여 정답슬라이드는 하나의 슬라이드로 생성될 수도 있고, 문제슬라이드의 수와 대응하는 수로 생성될 수도 있다. 즉 정답슬라이드는 하나 이상이고, 각각의 슬라이드에는 하나 이상의, 필드를 포함하는 정답테이블이 포함될 수 있다. In relation, the correct answer slide may be created as one slide or may be generated with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question slides. That is, there may be more than one correct answer slide, and each slide may include one or more correct answer tables including fields.
이에 따라 복수의 제2사용자단말(20)의 사용자는 제1사용자단말(10)을 통해 표시되는 문제 슬라이드를 보고 답안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사용자단말(10)은 제2사용자단말(20)이 입력한 답안과 현재 표시된 문제 슬라이드에 대응하는 정답슬라이드의 정답을 비교하여 제2사용자단말(20) 사용자의 학습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생성부(14)는 슬라이드가 생성되면, 투명레이어를 제거할 수 있다. 이후, 투명레이어가 제거되면 추가적으로 슬라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a plurality of users of the
한편 슬라이드생성부(14)는 제2 사용자단말(20)로부터 입력된 내용을 수신하여 교재파일의 슬라이드로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슬라이드생성부(14)는 학생들이 교사에게 질문할 내용을 포함하는 파일이나, 각 제2사용자단말(20)에서 학습한 내용에 기반한 퀴즈 문제를 입력하여 만든 파일로 교재파일의 슬라이드를 자동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학생들이 퀴즈 문제를 입력한 경우 정답을 입력할 수 있으며, 질문을 입력한 경우는 정답을 입력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사용자단말(10)은 학생들의 입력으로 자동 생성된 교재파일을 이용하여 기존 교재파일과 동일하게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즉, 슬라이드생성부(14)는 학습수행 중 제2사용자단말(20)로부터 학습한 내용에 기반한 퀴즈 문제를 입력받을 수 있고, 이때 사용자로부터 텍스트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UI를 제2사용자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생성부(14)는 각각의 제2사용자단말(2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각각의 슬라이드로 생성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슬라이드생성부(14)는 학습수행 중, 제1사용자단말(10)의 사용자로부터 문제입력 항목이 선택되면, 제2사용자단말(20)에서 퀴즈문제를 입력받기 위한 UI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2사용자단말(20)의 사용자가 UI를 통해 퀴즈문제를 입력하면, 제2사용자단말(20)은 입력된 퀴즈문제를 제1사용자단말(10)로 전달하고, 슬라이드생성부(14)는 각 제2사용자단말(20)로부터 전달된 퀴즈문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슬라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교재파일의 슬라이드는 학습수행 중, 실시간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2사용자단말(20)은 생성된 문제슬라이드에 대응하는 답안 데이터도 실시간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제1사용자단말(10)은 제2사용자단말(20)로부터 전달된 답안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정답 슬라이드도 생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용자단말(10)은 이벤트감지부(15)를 포함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이벤트감지부(15)는 생성된 교재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슬라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에 대하여 슬라이드의 배열순서가 변경되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슬라이드 변경에 의한 슬라이드의 배열 순서에 따라 정답테이블의 필드값을 변경할 수 있다. When an event in which the order of the slides is changed is detected for at least one slide among a plurality of slides included in the generated teaching material file, the
즉 슬라이드의 배열순서가 변경되는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교재파일 구동프로그램에서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이벤트감지부(15)로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이벤트감지부(15)는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한 정답필드 수정요청 메시지를 교재파일 구동프로그램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교재파일 구동프로그램은 이벤트감지부(15)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대응하도록 정답테이블의 해당 필드에 정답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교재파일 구동프로그램과 퀴즈생성프로그램은 이벤트 감지에 대한 메시지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That is, when an event in which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slides is changed occurs, the textbook file driving program can transmit an event occurrence message to the
예를 들어 생성된 슬라이드가 제1슬라이드에서 제7슬라이드까지 배열되어 있을 경우, 제1슬라이드가 제7슬라이드 앞으로 위치가 변경되면 그 사이의 슬라이드(제2슬라이드 내지 제6슬라이드)의 순서도 변경되므로, 제1슬라이드부터 제6슬라이드의 정답이 모두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generated slides are arranged from the first slide to the seventh slide, if the position of the first slide is changed to the position of the seventh slide, the sequence of the slides (the second slide to the sixth slide) All the correct answers of the first slide to the sixth slide can be changed.
또 다른 예로, 제1슬라이드에 대응하는 정답이 ‘3’이고, 제2슬라이드의 정답이 ’2’ 이고, 제3슬라이드에 대응하는 정답이 ‘1’일 경우, ‘제1 슬라이드’와 ‘제3슬라이드’의 배열순서가 변경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교재파일 구동프로그램은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이벤트감지부(15)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감지부(15)는 ‘제1슬라이드’와 ‘제3슬라이드’에 대응하는 정답인 ‘1’과 정답 ‘3’을 해당셀에 각각 반영하라는 메시지를 교재파일 구동프로그램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교재파일 구동프로그램은 ‘제3슬라이드’와 대응하는 정답테이블에 정답’1’을 반영하고, ‘제1슬라이드’와 대응하는 정답테이블에 정답’3’을 반영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correct answ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e is '3', the correct answer of the second slide is '2', and the correct answer corresponding to the third slide is '1' 3 slide 'is changed, the teaching material file driving program can transmit the event occurrence message to the
관련하여 정답슬라이드를 별도의 다른 파일로 저장하지 않고, 문제슬라이드와 하나의 파일로 구성함에 따라, 문제슬라이드를 보고 그에 대응하는 정답을 확인할 경우, 정답슬라이드 파일을 따로 불러와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학습수행에 있어 불필요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문제를 포함하는 파일과 정답을 포함하는 파일을 매칭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필요가 없다. The correct answer slide is not stored in a separate file but is composed of a question slide and a file so that when the correct answer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slide is found by viewing the question slide, the trouble of calling the correct answer slide file is omitted So that unnecessary time for performing the learning can be shortened.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match and store and manage the file containing the problem and the file containing the correct answer.
이와 관련하여 이벤트감지부(15)는 생성된 복수의 슬라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에 대하여 슬라이드가 삭제되는 이벤트가 감지될 경우, 슬라이드 삭제에 의한 슬라이드의 배열순서에 맞게 정답테이블의 필드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감지부(15)는 제1슬라이드, 제2슬라이드, 제3슬라이드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제2슬라이드’가 삭제될 경우, 슬라이드 순서를 ‘제1슬라이드’, ‘제3슬라이드’ 순으로 배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답테이블의 첫번째 셀에 제1슬라이드에 대응하는 정답을 표시되고, 정답테이블의 두번째 셀에 제3슬라이드에 대응하는 필드값을 정답테이블에 반영할 수 있다. In this regard, when the event that the slide is deleted is detected for at least one slide among the generated plurality of slides,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료파일을 이용하여 교재파일의 슬라이드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generating a slide of a teaching material file using a data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퀴즈생성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제1사용자단말(10)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1사용자단말(1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quiz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 to 7 includes steps that are processed in a time-series manner by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퀴즈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quiz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사용자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학습교재 파일 생성이 요청되면, 새로운 교재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301). 이때 일예로 교재파일은 ppt로 구현될 수 있는데, 새로운 교재파일은 빈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파일을 의미한다. The
이후 제1사용자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제1사용자단말(10)에 저장된 자료파일을 선택받고, 선택된 자료파일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302). 그리고 제1사용자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슬라이드 생성항목이 선택되면, 자료파일이 실행된 화면위에 투명레이어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S303). 이때 자료파일은, 자료파일이 실행된 화면위로 투명레이어가 오버레이되기 전에 편집할 수 있다.Thereafter, the
도 4는 오버레이된 투명레이어 위에 일부영역이 선택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용자단말(10)은S303단계에서 오버레이된 투명레이어 위에 사용자로부터 일부영역을 선택받을 수 있다(S304). 즉 도 4의 왼쪽에는 새로운 교재파일(B)을 나타낸 것이고, 오른쪽에는 자료파일(F)을 나타낸 것이다. 자료파일(F)위에 투명레이어가 오버레이되면, 사용자는 영역설정 항목을 선택하고, 터치입력 또는 드래그입력을 통해 사각영역(E)을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클릭입력 또는 터치입력을 통하여 지정된 사각영역(E)을 선택할 수 있다. FIG. 4 is a view showing that some regions are selected on the overlaid transparent layer. As shown in FIG. 4, the
이후, S304단계에서 일부영역이 선택되면, 교재파일에 선택된 일부영역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새로운 슬라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S305).Thereafter, when a certain area is selected in step S304, a new slide including an image of a selected area in the text file can be generated (S305).
그리고 S305단계에서는 새로운 슬라이드가 생성되면 투명레이어를 제거할 수 있다. If a new slide is created in step S305, the transparent layer can be removed.
관련하여 제1사용자단말(10)은 각 단계를 반복수행하여 복수의 슬라이드를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제1사용자단말(10)이 정답슬라이드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a method by which the
제1사용자단말(10)은 앞에서 설명한 각 단계를 반복수행하여 복수의 슬라이드를 생성하고, 마지막 슬라이드에 각각의 슬라이드와 대응되는 정답이 기록된 정답테이블을 포함하는 정답슬라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퀴즈생성방법을 통해 정답슬라이드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correct answer slide through a quiz gen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사용자단말(10)은 각각의 슬라이드에 대응하는 정답을 입력받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401). 그리고 제1사용자단말(10)은 제공된 유저인터페이스에 입력된 값이 해당 슬라이드에 대응하는 필드에 기입된 정답테이블을 포함하는 별개의 슬라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S402).The
도 6은 마지막 슬라이드에, 정답테이블을 포함하는 정답슬라이드가 생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드(S1)와, 제2슬라이드(S2)가 생성될 수 있고, 맨마지막 슬라이드에는 정답테이블(T)이 삽입된 정답슬라이드(A)가 생성될 수 있다.FIG. 6 is a diagram showing that a correct answer slide including a correct answer table is generated in the last slide. FIG. The first slide S1 and the second slide S2 can be generated as shown in Fig. 6, and the correct slide A in which the correct answer table T is inserted can be generated on the last slide.
한편 제1사용자단말(10)은 S305단계에서 생성된 복수의 슬라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에 대하여 슬라이드의 배열순서가 변경되거나 슬라이드가 삭제되는 이벤트가 감지되면(S403), 변경 또는 삭제에 의한 슬라이드의 배열순서에 따라 정답테이블의 필드값을 변경할 수 있다. 슬라이드의 순서에 따라 정답테이블에 정답을 반영할 수 있다(S404). 또한 제1사용자단말(10)은 기존 슬라이드의 정답에 오류가 있는 경우도 정답수정 메뉴를 통해 이벤트를 발생시켜 해당 정답을 수정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an event that the order of the slides is changed or the slide is deleted is detected for at least one slide among the plurality of slides generated in step S305 (S403), the
한편 제1사용자단말(10)에서 생성된 슬라이드는 제1사용자단말(10)과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4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lides generated in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퀴즈생성방법을 통해 생성된 슬라이드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사용자단말(20)은 가상공간에 자신의 캐릭터를 통해 제1사용자단말(10)이 생성한 교재파일을 학습할 수 있다. 즉 제2사용자단말(20)은 자신의 캐릭터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교재파일을 보고 답안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교재파일의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slide created through a quiz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 7, the
이와 관련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제1사용자단말(10)은 가상공간에 학습주제에 맞는 교재파일을 3D가상공간내의 특정영역에 배열하여 디스플레이장치(40)에 표시할 수 있는데, 가상공간의 특정영역에 교재파일을 슬라이드 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40)는 정답슬라이드를 표시하지 않는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40)는 제1사용자단말(10)의 제어에 따라 제1사용자단말(10)에서 생성한 슬라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사용자단말(20)부터 표시된 현재 슬라이드에 대한 답안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장치(40)는 정답을 맞춘 사용자와 정답을 못맞춘 사용자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또한 디스플레이장치(40)는 제1사용자단말(10)에서 제공하는 UI 즉 제2사용자단말(20)로부터 문제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하여 제공되는 UI를 표시할 수도 있다.Also, the
관련하여 생성된 슬라이드는 다양한 3D게임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3D게임방식으로는 복수의 제2사용자단말(20)의 정답입력시간, 정답여부를 이용하여 속도계산을 적용하는 레이싱 방식, 슈팅 방식, 활쏘기 방식이 포함될 수 있고, 복수의 제2사용자단말(20)의 정답여부에 따라 생존여부를 결정하는 공간이동 방식, 서바이벌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generated slid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3D game methods. In the 3D game method, a racing method in which speed calculation is applied using the correct answer input time of the plurality of
이러한 슬라이드를 통한 3D게임방식의 학습결과는 캡쳐 또는 녹화될 수 있으며, 이를 원격에 있는 서버(유튜브 등)에 업로드 시킴으로써, 학생 뿐만 아니라 부모님들도 평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Learning results of the 3D game method through these slides can be captured or recorded, and uploaded to a remote server (eg, YouTube), so that not only the students but also the parents can check the evaluation results.
도 3 내지 7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퀴즈생성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The quiz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cluding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퀴즈생성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Further, the quiz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or a computer program product)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A computer program includes programmable machine instructions that are processed by a processor and may be implemented in a 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an 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an assembly language, or a machine language . The computer program may also be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f a type (e.g., memory, hard disk, magnetic / optical medium or solid-state drive).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퀴즈생성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Therefore, the quiz gen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computer program as described above being executed by the computing device. The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a processor, a memory, a storage device, a high-speed interface connected to the memory and a high-speed expansion port, and a low-speed interface connected to the low-speed bus and the storage device. Each of these components is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 variety of buses and can be mounted on a common motherboard or mounted in any other suitable manner.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Where the processor may process instructions within the computing device, such as to display graphical information to provid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n an external input, output device, such as a display connected to a high speed interface And commands stored in memory or storage devices. As another example, multiple processors and / or multiple busses may be used with multiple memory and memory types as appropriate. The processor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chipset comprised of chips comprising multiple independent analog and / or digital processors.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The memory also stores information within the computing device. In one example, the memory may comprise volatile memory units or a collection thereof. In another example, the memory may be comprised of non-volatile memory units or a collection thereof. The memory may also be another type of computer readable medium such as, for example, a magnetic or optical disk.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And the storage device can provide a large amount of storage space to the computing device. The storage device may be a computer readable medium or a configuration including such a medium and may include, for example, devices in a SAN (Storage Area Network) or other configurations, and may be a floppy disk device, a hard disk device, Or a tape device, flash memory, or other simila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r device array.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제1사용자단말 20: 제2사용자단말
40: 디스플레이장치10: first user terminal 20: second user terminal
40: Display device
Claims (14)
새로운 학습교재 파일 생성이 요청되면, 새로운 교재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자료파일을 선택받고, 선택된 자료파일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슬라이드 생성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자료파일이 실행된 화면위에 투명레이어를 오버레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투명레이어 위에 일부영역을 선택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교재파일에 상기 선택된 일부영역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새로운 슬라이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새로운 슬라이드에 대응하는 정답을 입력받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공된 유저인터페이스에 입력된 값이, 해당 슬라이드에 대응하는 필드에 기입된 정답테이블을 포함하는 별개의 슬라이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퀴즈생성방법.A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learning material, the method comprising:
If a new learning material file is requested to be created, creating a new teaching material file;
Selecting a data fil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from a user and executing and displaying the selected data file;
When a slide creation item is selected, overlaying a transparent layer on a screen on which the data file is executed;
Selecting a region from the user on the transparent layer; And
And creating a new slide in the teaching material file, the new slide including an image of the selected partial area,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slide comprises: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correct answers corresponding to the new slide; And
Generating a separate slide containing a correct answer table in which the value entered in the provided user interface is written in a field corresponding to the slide.
상기 퀴즈생성방법은,
상기 각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복수의 슬라이드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퀴즈생성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quiz generating method includes:
And repeating the steps to sequentially generate a plurality of slides.
상기 슬라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슬라이드가 생성되면, 상기 투명레이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퀴즈생성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slide comprises:
And removing the transparent layer when the slide is created.
상기 투명레이어를 오버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투명레이어가 디스플레이 되기 전에 상기 자료파일을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퀴즈생성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verlaying of the transparent layer comprises:
And editing the data file before the transparent layer is displayed.
상기 퀴즈생성방법은,
생성된 복수의 슬라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에 대하여 슬라이드의 배열순서가 변경되거나 슬라이드가 삭제되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변경 또는 삭제에 의한 슬라이드의 배열순서에 따라 상기 정답테이블의 필드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용한 퀴즈생성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quiz generating method includes:
Changing a field value of the correct answer table according to an arrangement order of the slides by changing or deleting when an arrangement order of the slides is changed or at least one slide is deleted for at least one slide among the generated plurality of slides, The method comprising:
새로운 학습교재 파일 생성이 요청되면, 새로운 교재파일을 생성하는 교재파일 생성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자료파일을 선택받고, 선택된 자료파일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자료파일실행부;
슬라이드 생성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자료파일이 실행된 화면위에 투명레이어를 오버레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투명레이어 위에 일부영역을 선택받는 영역선택부; 그리고
상기 교재파일에 상기 선택된 일부영역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를 생성하는 슬라이드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생성부는,
상기 새로운 슬라이드에 대응하는 정답을 입력받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공된 유저인터페이스에 입력된 값이, 해당 슬라이드에 대응하는 필드에 기입된 정답테이블을 포함하는 별개의 슬라이드를 생성하는, 사용자단말.A user terminal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learning teaching material,
A text file creation unit for creating a new textbook file when a new textbook file is requested to be created;
A data file execution unit for selecting a data fil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from a user and executing and displaying the selected data file;
An area selection unit for overlaying a transparent layer on the screen on which the data file is executed when the slide creation item is selected and selecting a part of the area from the user on the transparent layer; And
And a slid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slide including an image of the selected partial area in the teaching material file,
Wherein the slide generating unit comprises: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correct answers corresponding to the new slide and generating a separate slide including a correct answer table in which a value entered in the provided user interface is written in a field corresponding to the slide.
상기 슬라이드생성부는,
하나의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이미지와 대응하는 하나의 슬라이드를 생성하는, 사용자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lide generating unit comprises:
And for one image, a slide corresponding to the image.
상기 슬라이드생성부는,
상기 슬라이드가 생성되면, 상기 투명레이어를 제거하는, 사용자단말.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lide generating unit comprises:
And removing the transparent layer when the slide is created.
상기 사용자단말은,
생성된 복수의 슬라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에 대하여 슬라이드의 배열순서가 변경되거나 슬라이드가 삭제되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변경 또는 삭제에 의한 슬라이드의 배열순서에 따라 상기 정답테이블의 필드값을 변경하는 이벤트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The user terminal comprises:
When an event in which a slide order is changed or a slide is deleted is detected for at least one slide among a plurality of generated slides, an event detection for changing a field value of the correct answer table according to the order of slides by change or deletion Further compris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3961A KR101533760B1 (en) | 2014-08-11 | 2014-08-11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quiz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3961A KR101533760B1 (en) | 2014-08-11 | 2014-08-11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quiz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33760B1 true KR101533760B1 (en) | 2015-07-03 |
Family
ID=53788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3961A Expired - Fee Related KR101533760B1 (en) | 2014-08-11 | 2014-08-11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quiz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376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8575A (en) | 2019-03-11 | 2020-09-21 |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Quiz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KR20250058495A (en) | 2023-10-23 | 2025-04-30 | 이희찬 | Server and method for analysing job status based on quiz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2546A (en) * | 2007-07-02 | 2009-01-09 | 변세정 | How to create lecture materials on the internet and online-offline lecture system |
KR20090105185A (en) * | 2008-04-01 | 2009-10-07 | 주식회사 온비즈시스템 | Online Le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Blank Generation |
KR20100074568A (en) * | 2008-12-24 | 2010-07-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Host apparatus connected to image forming apparatus and web page printing method thereof |
JP2013145265A (en) * | 2012-01-13 | 2013-07-25 | Sony Corp | Server, terminal device for learning, and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
-
2014
- 2014-08-11 KR KR1020140103961A patent/KR10153376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2546A (en) * | 2007-07-02 | 2009-01-09 | 변세정 | How to create lecture materials on the internet and online-offline lecture system |
KR20090105185A (en) * | 2008-04-01 | 2009-10-07 | 주식회사 온비즈시스템 | Online Le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Blank Generation |
KR20100074568A (en) * | 2008-12-24 | 2010-07-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Host apparatus connected to image forming apparatus and web page printing method thereof |
JP2013145265A (en) * | 2012-01-13 | 2013-07-25 | Sony Corp | Server, terminal device for learning, and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08575A (en) | 2019-03-11 | 2020-09-21 |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Quiz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KR20250058495A (en) | 2023-10-23 | 2025-04-30 | 이희찬 | Server and method for analysing job status based on quiz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195290A1 (en) | Method,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nd displaying of presentations | |
US12266273B2 (en) | Augmented reality platform for collaborative classrooms | |
US904948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computer-based educational content recording and video-based educational content recording | |
CN106303723A (en) | Method for processing video frequency and device | |
de Moraes Rossetto et al. | An analysis of the use of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s educational resources | |
Ebner | iMooX-a MOOC platform for all (universities) | |
US2020013426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proficiency-driven feedback and improvement platform | |
Verkhova et al. | Electronic educational complex for training specialists in the field of technical systems management | |
CN103794089A (en) | Online teaching method and device with photo taking function | |
Bähr | Prototyping of user interfaces for mobile applications | |
Huilcapi-Collantes et al. | Pedagogical and user interface usability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mobile app that promotes visual literacy | |
US20150294582A1 (en) |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 education | |
JP6686578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 |
KR10153376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quiz | |
CN108268520B (en) | Courseware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online course live broadcast system | |
KR20200078944A (en) | Method for providing game type coding education service based online | |
Sun et al. | An online education approach using web operation record and replay techniques | |
KR101505174B1 (en) | Methods and apparatuses of an learning simulation model using images | |
Gharbi | empirical research on Developing an educational Augmented reality Authoring tool | |
US20220343783A1 (en) | Content control system, content control method, and content control program | |
Van Borek et al. | The process of developing an augmented reality (AR) tool for knowledge translation on climate change-related experiences among youth in Kenya | |
KR101706137B1 (en) | Mission accomplishment type learning service system with quick mode for training creation based on snapshot using camera in smart device | |
Vafa et al. | Integrating technology and literacy: Creating an interactive storytelling experience with augmented reality | |
Nunes et al. | Building Mixed Reality Digital Versions of Cultural Visits/Exhibits | |
Le et al.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llaborative virtual reality system for tour guide train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1906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630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