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20907B1 - Bluetooth pairing system - Google Patents

Bluetooth pai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907B1
KR101520907B1 KR1020130150552A KR20130150552A KR101520907B1 KR 101520907 B1 KR101520907 B1 KR 101520907B1 KR 1020130150552 A KR1020130150552 A KR 1020130150552A KR 20130150552 A KR20130150552 A KR 20130150552A KR 101520907 B1 KR101520907 B1 KR 101520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bluetooth
communication
nf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5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4223A (en
Inventor
홍순철
홍용관
Original Assignee
홍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철 filed Critical 홍순철
Publication of KR20140074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2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90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정보를 리드하는 리더부와 리드된 정보를 식별하여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단말기를 도입함으로써,
제어부가 판단한 정보가 제1, 2단말기의 페어링을 요구하면, 제1 또는 제2통신부는 상기 정보에 의하여 직접 블루투스 연결할 수 있어 단말기간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불필요한 검색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와의 페어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탐색한 후 선택하는 목록을 줄이고 사용자가 원하는 단말기를 간편하게 가깝게 근접하거나 터치하면 신속하게 단말기 간에 페어링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보안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uetooth pairing system using NFC,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first terminal including a reader unit for reading inform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a control unit for identifying and determining the read information,
When th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requests pairing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he first or second communication unit can directly connect the Bluetooth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hereby directly connecting the Bluetooth pairing between the terminals,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search time. In addition, when performing a pairing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lists to be searched and selected, and the user can easily pair the terminals with each other or touch them easily so that the terminals can be quickly paired with each other. have.

Description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BLUETOOTH PAIRING SYSTEM}[0001] BLUETOOTH PAIRING SYSTEM [0002]

본 발명은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정보를 리드하는 리더부와 리드된 정보를 식별하여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단말기를 도입함으로써,[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uetooth pairing system using NFC,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st terminal including a reader unit for reading information using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a controller for discriminating and determining the read information by doing,

제어부가 판단한 정보가 제1, 2단말기의 페어링을 요구하면, 제1 또는 제2통신부는 상기 정보에 의하여 직접 블루투스 연결할 수 있어 단말기간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불필요한 검색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와의 페어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탐색한 후 선택하는 목록을 줄이고 사용자가 원하는 단말기를 간편하게 가깝게 근접하거나 터치하면 신속하게 단말기 간에 페어링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보안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When th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requests pairing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he first or second communication unit can directly connect the Bluetooth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hereby directly connecting the Bluetooth pairing between the terminals,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search time. In addition, when performing a pairing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lists to be searched and selected, and the user can easily pair the terminals with each other or touch them easily so that the terminals can be quickly paired with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uetooth pairing system using an NFC.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장치가 포함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다른 블루투스 장치와의 페어링시 우선, 주변의 장치를 검색(search)하고, PIN 코드를 주고 받은 후 연결이 된다. 그리고 현재 페어링된 블루투스 장치가 아닌 다른 블루투스 장치와 페어링 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PIN 코드가 입력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과정은 블루투스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하려는 경우, 매번 사용할 때마다 PIN 코드 또는 비밀 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이 있다.
Generally,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Bluetooth device is paired with another Bluetooth device, a peripheral device is searched, a PIN code is exchanged, and a connection is established. When pairing with a Bluetooth device other than the currently paired Bluetooth device,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PIN code by the user must be performed. In this case, when the Bluetooth device is to communicate with the Bluetooth device, Or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password must be manually entered by the user.

이러한 불편을 줄이고자 이동통신 단말기와 다른 블루투스 장치와의 페어링시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태그로부터 데이터를 리드하여, 그 리드한 데이터를 동시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In order to reduce such inconvenience, devices capable of automatically connecting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aired with another Bluetooth device are being developed. There has also been developed a technique of reading data from a tag using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transferring the read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e same time.

나아가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RFID 기술 중에서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NFC 서비스는 유럽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근거리 통신(10Km이내)에 주로 사용되는 서비스로서, 주로 전자결재 및 데이터통신에 사용되고, NFC 칩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태그(Tag)로부터 데이터를 리드하여 빠른 속도와 보안성이 우수한 연결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e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service among the RFID technologies. The NFC service is mainly used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in 10 km) in Europe. It is used for data communication, and data can be read from a ta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NFC chip, thereby achieving a connection with excellent speed and security.

그러나 상기 NFC 서비스는 상당히 가까운 거리에서 접촉 또는 비접촉이 이루어져야 하고, 계속적인 연결 또는 페어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까운 거리에서 근접하여야 하고 연결이 유지된 상태에서도 블루투스 통신보다 느린 전송속도를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NFC service needs to be contacted or non-contacted at a considerably short distance, and must be close to a short distance to maintain continuous connection or pairing, and has a slower transmission rate than Bluetooth communication even when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따라서 이러한 근거리 기술에 대한 많은 종래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는데,Thus, many prior art techniques for such near-field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먼저 종래기술 등록특허 제10-0827813호(등록일자 2008년04월29일)은 "태그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과 이를 위한 블루투스 장치"는 비접촉식 태그의 정보를 판독하는 태그 리더 및 슬레이브 블루투스 장치 정보와 페어링하는 블루투스 연결 제어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블루투스 장치가 슬레이브 블루투스 장치와 페어링(Pairing)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태그 리더가 비접촉식 태그로부터 수신된 태그 ID를 판독하는 제1단계와; 상기 태그 ID에 슬레이브 블루투스 장치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태그 리더가 해당 슬레이브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블루투스 연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2단계와; 상기 블루투스 연결 제어부가 상기 태그 리더로부터 전달된 슬레이브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슬레이브 블루투스 장치와 페어링하는 제3단계; 로 이루어져, 연결할 슬레이브 블루투스 장치의 정보를 직접 탐색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고, 연결할 블루투스 장치의 PIN 정보 노출 없이 블루투스 장치와의 페어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태그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과 이를 위한 블루투스 장치를 제시하고 있는데,
Prior Art No. 10-0827813 (registered on April 29, 2008) discloses a method for pairing Bluetooth devices using tags and a Bluetooth device for the same, including a tag reader for reading information of the contactless tag and a slave Bluetooth device A method of pairing a master Bluetooth device including a Bluetooth connection controller for pairing with a slave Bluetooth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the tag reader reading a tag ID received from a non-contact tag; A second step of the tag reader transmitting the slave Bluetooth device information to the Bluetooth connection controller when the tag ID includes information of the slave Bluetooth device; A third step of the Bluetooth connection controller paired with the slave Bluetooth device using the slave Bluetooth dev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ag reader; A pairing method of a Bluetooth device using a tag that allows a Bluetooth device to be connected to be directly paired with a Bluetooth device without exposing the PIN information of the Bluetooth device to be connected, Devic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태그리더와 블루투스 연결제어부가 상기 마스터 블루투스 장치 내에 구성되어 있어 비접촉식 태그 없이는 슬레이브 블루투스 장치와 직접 탐색하는 과정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또한 마스터 블루투스 장치의 태그리더가 비활성화 되면 슬레이브 블루투스 장치와 기존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탐색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tag reader and the Bluetooth connection controller are configured in the master Bluetooth device, so that a process of directly searching for the slave Bluetooth device without a contactless tag necessarily arises. In addition, if the tag reader of the master Bluetooth device is inactiv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lave Bluetooth device must go through a search process for an existing Bluetooth connection.

또 특허등록 제10-1081535호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방법 및 장치"는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을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사이의 무선 데이터 통신에 관한 것으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블루투스 데이터 통신을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에 RFID 리더기를 장착하고 블루투스 장치에 RFID 태그를 장착하여 RFID 태그의 정보를 통해 자동 페어링/연결이나 데이터 선택/전송을 구현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장치 간의 수동 등록과정 없이 자동으로 페어링과 연결이 이루어지고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장치로 무선인터넷으로부터 다운받은 데이터나 단말기에 내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작업이나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는 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고 있는데,
In addition, Patent Registration No. 10-1081535 entitled "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Bluetoo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RFID "relates to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Bluetoo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Bluetooth technology and a Bluetooth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Bluetooth data communication us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A basic technical idea is to mount an RFID reader in a Bluetoo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ttach an RFID tag to a Bluetooth device to implement automatic pairing / connection or data selection / transmission through the information of the RFID t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iring and connection are automatically performed between a Bluetoo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Bluetooth device without a manual registration process, and data transferred from a Bluetooth mobile device to a Bluetooth device or data embedded in the mobile device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Bluetoo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n FID, in which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data from the Bluetooth device to the Bluetoo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utomatically performed.

상기 종래기술은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RFID 리더기가 장착되어 있어 단말기의 전력이 단절되거나 배터리가 소비되면 RFID 리더기가 비활성화되어 단말기의 전원공급에 의존하는 한계가 있고, 태그의 정보가 이미 블루투스 장치의 정보를 내포하고 있어야 함으로 태그에 정보를 미리 저장해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when the RFID reader is installed in the Bluetoo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ower of the terminal is disconnected or the battery is consumed, the RFID reader is inactivated and there is a limit to depend on the power supply of th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store the information in advance in the tag.

또한 특허등록 제10-0917922호 "블루투스 동글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 인터넷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채널을 설정하는 블루투스 동글, 유선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며 블루투스 동글과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지의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유선 인터넷을 통해 단말기와 연결되며 블루투스 동글과의 사이에 생성되는 VPN(Virtual Private Network) 터널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사이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무선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블루투스 동글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유선 인터넷을 통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고품질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루투스 동글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atent registration No. 10-0917922 entitled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Internet service using Bluetooth dongle ", which discloses a method for setting a wireless channel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related to a wireless Internet ser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A Bluetooth dongle, a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d Internet and connected to the Bluetooth dongle to provide routing information of a destination for provid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to the mobile terminal, a VPN connecte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wired Internet, And a wired / wireless gateway for transmitting / receiving wireless Internet service related data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server using a virtual private network (VPN) tunnel.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using the Bluetooth dongl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through the wired Interne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ardless of the plac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high quality wireless Internet service at low cost And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Internet service using the Rutus dongle.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유선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에서 무선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는 연결재 역할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선 인터넷이 연결된 기기와의 접속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블루투스 동글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이 연결되면 원하지 않는 단말기가 접속을 하는 등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registered patent serves as a connection material for providing the wireless Internet while the wired Internet is connec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not be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ed to the wired Internet. In addition, when a wireless Internet is connected using a Bluetooth dongle, there is a problem that an unsolicited terminal is connected and is vulnerable to security.

나아가 특허공개 제10-2010-0053986호 "블루투스 장치와 단말 간의 자동 페어링 방법 및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블루투스 장치와 페어링(pairing)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단말의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되는 단계; (b) 단말로부터 블루투스 기능이 지원되는 거리 이내에 블루투스 장치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단계; (c) 블루투스 장치가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장치의 명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d) 단말의 블루투스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명칭 정보에 대하여, 블루투스 리스트에 저장된 명칭 정보와 수신된 블루투스 장치의 명칭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블루투스 리스트에 저장된 명칭 정보와 동일한 명칭 정보를 갖는 블루투스 장치와 단말이 자동으로 페어링 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리스트는 상기 단말과 페어링 되었던 블루투스 장치의 명칭 정보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장치와 단말 간의 자동 페어링 방법에 의하면, 간단한 과정을 통하여 자동으로 블루투스 장치와 단말을 페어링 할 수 있는 블루투스 장치와 단말 간의 자동 페어링 방법 및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을 제시하고 있다.
Furthe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0-0053986 discloses a method for pairing a Bluetooth device with a Bluetooth device, Activating a Bluetooth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b) searching for a Bluetooth device within the distance that the terminal supports the Bluetooth function; (c) receiving the name information of the Bluetooth device from the searched Bluetooth device when the Bluetooth device is searched, (d) comparing the name information stored in the bluetooth list with the name information stored in the bluetooth list Determining whether the name information of the Bluetooth device is the same; And (e) automatically pairing the terminal with the Bluetooth device having the same name information as the name information stored in the Bluetooth list, wherein the Bluetooth list includes name information of the Bluetooth device that has been paired with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automatic pairing method between a Bluetooth device and a terminal, a Bluetooth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pairing a Bluetooth device and a terminal through a simple process, an automatic pairing method between terminals, and a terminal including a Bluetooth module are presented.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블루투스 장치와 단말 간의 검색 단계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있어 검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미 검색된 단말기는 비교적 빠른 검색결과를 나타내지만 많은 블루투스 장치가 있는 도심지에서는 그 장치 간 페어링 연결을 하기 위하여 오래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patent discloses that a search step between a Bluetooth device and a terminal is essentially included, which takes a long time to search. The already searched terminals show a relatively quick search result,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wait for long time to make a pairing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s in a city where many bluetooth devices exis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NFC 통신이 가능한 제1필드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제2필드부를 포함하는 제2단말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2단말기에 의해서 리드된 정보가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의 페어링을 요구하면, 상기 제2통신부가 상기 제1통신부에 직접 블루투스 연결할 수 있어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2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별도의 탐색을 거치지 않고 직접 페어링 될 수 있는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terminal including a first field portion capable of NFC communication and a second field portion, the information being read by the second terminal,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can directly connect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via the Bluetooth, so that the NFC can be directly paired without a separate search for the Bluetooth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o provide a Bluetooth pairing system.

또한 상기 제1단말기의 제어부는 리더부에서 리드한 정보를 입력받아 리드된 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2단말기가 직접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1 통신부에 요청하여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별도의 페어링 되는 기기를 선택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페어링이 수행되어 사용자의 이용편의성을 높이는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terminal receives the information read by the reader unit and determines the read information to reques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the direct pairing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oviding a Bluetooth pairing system using NFC that can perform a pairing automatically without selecting a device to be paired, thereby enhancing the usability of the user.

아울러 상기 제1단말기의 제어부는 리드된 정보로부터 상기 제2단말기 외의 기기에서 중복되는 페어링이 요구되면 제1통신부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블루투스 장치와의 페어링을 차단할 수 있고, 상호 식별 ID주소를 검색하고 연결하기 위한 충돌을 방지하여 통신 오류를 줄이는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of the first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unit for block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when a pairing request is requested from the device other than the second terminal based on the read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block the pairing with the unwanted Bluetooth device And to provide a Bluetooth pairing system using NFC that reduces communication errors by preventing conflicts for searching and connecting mutual identification ID addresses.

또한 상기 제1 및 제2필드부는 상기 제1단말기 및 제2단말기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NFC 통신 또는 원하지 않는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하여 자동적으로 페어링 연결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보안성을 높이고 결합수단으로 인하여 제1 및 제2필드부의 교체가 수월하여 노후화된 태그나 칩의 교체를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field units may further include coupling means for coupling or separating from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so that the user is not automatically pair-connected due to NFC communication or unwanted direct contac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luetooth pairing system using NFC in order to increase the security and ease the replac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field units due to the coupling means, thereby facilitating the replacement of aged tags and chips.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은The Bluetooth pairing system using N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제1통신부,A first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가 가능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이 가능한 제1필드부,A first field unit capable of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in which data can be read or written,

정보를 리드하는 리더부,A leader unit for reading information,

상기 리더부에서 리드된 정보를 식별하여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단말기; 및
A first terminal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identifying and determining the information read by the reader unit; And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제2통신부,A second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가 가능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이 가능한 제2필드부를 포함하는 제2단말기;A second terminal including a second field portion capable of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apable of reading or writing data;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 ≪ / RTI >

상기 제어부는 판단된 정보가 페어링을 요구하면,When the determined information requests pairing,

상기 제1통신부에 식별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1통신부가 상기 제2통신부에 직접 블루투스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the identified information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can directly connec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via Bluetooth.

또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은The Bluetooth pairing system using the N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드된 정보를 판단하여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read information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2단말기가 자동으로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2 통신부에 요청하는 특징을 이루고 있다.
And request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the pairing automatically by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중복되는 페어링이 요구되면 제1통신부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고,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unit for block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when a duplicated pairing is requested,

상기 제1 및 제2필드부는 상기 제1 및 제2단말기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and second field units may further include combining means for coupling or separat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은 NFC 통신이 가능한 제1필드부를 포함하는 제1단말기 및 제2필드부를 포함하는 제2단말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1단말기의 리더부에 의해서 리드된 정보가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의 페어링을 요구하면, 상기 제1통신부가 상기 제2통신부에 직접 블루투스 연결됨으로서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2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별도의 탐색을 거치지 않고 직접 페어링 되도록 함에 따라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의 페어링을 위한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직접 연결되는 단말기의 기기ID를 선택하지 않아도 페어링 될 수 있으며,The Bluetooth pairing system using N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erminal including a first field unit capable of NFC communication and a second terminal including a second field uni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via Bluetooth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can be directly paired without a separate search for Bluetooth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for pair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s well as to be paired without selecting the device ID of the terminal to which the user is manually connected directly,

또한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가 자동으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부가 제1통신부에 요청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절차 없이 자동으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can reques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o allow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o automatically perform the pairing,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pairing automatically without a separate input procedure.

나아가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단말기외의 기기에서 중복되는 페어링이 요구되면 자동으로 제1통신부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사용편의성과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unit for automatically block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when a pairing is requested in the devices ot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and security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의 구조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이 적용된 사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하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의 결합수단의 실시예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의 실시예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의 회로도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Bluetooth pairing system using N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photographs showing a Bluetooth pairing system using N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combining means of a Bluetooth pairing system using N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views showing a Bluetooth pairing system using N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to 9 are circuit diagrams of a Bluetooth pairing system using N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S)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특정하면,In describing the Bluetooth pairing system S using the N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specifi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at an unambiguous approximate direction reference is made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The direction is specified in accordance with this standar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relating to the other drawings.

일반적으로 NFC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의 일종으로 각종 물품에 소형 칩을 부착해 사물의 정보와 주변 환경정보를 무선주파수로 전송 ?? 처리하는 비접촉식 인식 기술을 말한다.
In general, NFC is a kind of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It attaches a small chip to various goods and transmits information of object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by radio frequency. Non-contact recognition technology.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제1 및 제2필드부(120)(22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 및 제공하는 수단인 "칩(Chip)", "태그(Tag)", "스마트 카드(Smart Card)"등 13.56MHz 주파수를 사용하는 NFC 표준에 정의된 3가지(p2p모드, Reader/Writer모드, Card Emulation)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관련 부품에 관하여 이와 관련된 통상의 기술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제품을 의미한다.
The first and second field units 120 and 220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 a chip, a tag, and the like, which are means for acquir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for connecting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P2p mode, Reader / Writer mode, Card Emulation) function defined in NFC standard using 13.56MHz frequency such as "Smart Card", "Smart Card" Means a product that can be understood by people.

또한 상기 제1 및 제2필드부(120)(220)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기본적인 칩, 태그, 스마트 카드가 내장되어 있는 바, 일반적으로 칩과 칩은 p2p 연결을 하게 되고, 칩과 태그는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서로 교신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 및 제2필드부(120)(220)에는 하나의 칩, 태그, 스마트 카드 등이 꼭 하나만 구비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복수개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상호 연결을 위해 제1 및 제2필드부(120)(220) 중 어느 하나의 필드부에는 하나의 칩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한다.
In addition, a basic chip, a tag, and a smart card for connecting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re built in the first and second field units 120 and 220. Generally, And the chip and the tag communicat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tag with each other. Furthermore, it is not necessary that only one chip, tag, smart card or the like is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field units 120 and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chip must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second field units 120 and 220.

본 발명은 NFC 칩이 내장되어 있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제1단말기(100)에서 다른 제2단말기(200)의 필드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Tag or NFC 칩)를 읽어들이고, 그 읽어들인 정보에 따라 각 단말기 간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직접 연결할 수 있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ads information (Tag or NFC chip) stored in the field portion of another second terminal 200 in the first terminal 100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in which an NFC chip is embedded, Therefore, it is a basic technical idea that Bluetooth pairing between each terminal can be directly connected.

다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S)은 제1단말기(100)와 제2단말기(20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단말기(100)는 블루투스 통신을 하는 제1통신부(110)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하는 제1필드부(120), 태그를 이용하여 정보를 리드하는 리더부(150) 및 상기 리더부(150)에서 리드된 정보를 식별하여 판단하는 제어부(130)로 구성되어 블루투스 통신과 NFC 통신이 모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 the Bluetooth pairing system S using the N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irst terminal 100 and a second terminal 200, and the first terminal 100 performs Bluetooth communication A first field 120 for performing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 reader unit 150 for reading information using a tag, and a reader unit 150 for reading information read from the reader unit 150 And a control unit 130 for identifying and determining the Bluetooth communication and the NFC communication.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말기(100)와 제2단말기(200)가 1~10Cm내외로 비접촉 태그되면 이후 자동으로 블루투스 연결을 함에 따라 제1단말기(100)와 제2단말기(200)가 NFC 통신 가용거리를 벗어나도 상기 NFC 통신을 하는 제1필드부(120)를 통하여 NFC연결을 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제1통신부(110)를 통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함으로서, 상기 제1단말기(100)와 제2단말기(200)는 1~10m 내외로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될 수 있다.2, when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are contactlessly tagged within a range of 1 to 10 cm,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are automatically connected by Bluetooth connection, 200 may perform an NFC connection through the first field 120 for performing the NFC communication and automatically perform Bluetooth communicatio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even when the NFC communication distance is exceeded,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luetooth connection within about 1 to 10 meters.

나아가 상기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 가용범위는 제2단말기의 제2통신부의 블루투스 장치에 따라 10m~20m로 더욱 넓어질 수 있다.
Further, the available range of the Bluetooth pairing connection can be further extended to 10 m to 20 m according to the Bluetooth devi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of the second terminal.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S)의 제2단말기(200)는 NFC 칩이 내장된 제1단말기(예를 들면 스마트폰)와 블루투스 연결되며, 제2통신부와 NFC 태그를 갖는 제2필드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기기(프린터, 블루투스 헤드셋, 카메라, 복합기, 공유기 등)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전자기기에 권리범위가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3, the second terminal 200 of the Bluetooth pairing system S using the N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luetooth-connected to a first terminal (e.g., a smart phone) having an embedded NFC chip, (A printer, a Bluetooth headset, a camera, a multifunctional apparatus, a router, etc.) including a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a second field unit having an NFC tag,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to a specific electronic device.

다시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S)은 상기 제1단말기(100)와 제2단말기(200)의 제1필드부(120) 및 제2필드부(220)를 이용하여 NFC 통신을 하고, 상기 제1단말기의 제어부(130)가 직접 상기 제1통신부(110)와 제2통신부(210)를 제어하여 블루투스 페어링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하여 각종 NFC 태그와 블루투스 장비가 저장된 단말기들은 제1단말기(100)에 의하여 직접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되어 먼 거리에서도 사용자의 편의대로 동작시킬 수 있다.
The Bluetooth pairing system S using the N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NFC communication using the first field 120 and the second field 220 of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control unit 130 of the first terminal directly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to perform Bluetooth pairing. Accordingly, terminals having various NFC tags and Bluetooth devices stored therein through Bluetooth pairing can be directly paired with Bluetooth by the first terminal 100, so that they can operate at a user's convenience even at a long distance.

다시 상기 제1통신부(110)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블루투스 통신 칩(chip)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제1필드부(110)와 SPI 또는 I2C 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SPI 또는 I2C는 칩과 칩 사이의 연결을 위한 공지된 기술로서, 본 발명 또한 공지된 기술로서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a Bluetooth communication chip to enable Bluetooth communica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field unit 110 through SPI or I2C. The SPI or I2C is connected to a chip and a chip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used as a known technique.

또한 제1필드부(110)는 제2필드부(220)와 NFC 통신이 가능하도록 NFC 칩이 제1단말기(100)에 내장되어 있으며, 태그(Tag) 또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300)이 더 구비되어 있다. 또한 NFC 통신이 가능한 NFC 칩이 결합수단(300)에 내장되어 상기 제1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NFC칩은 USIM칩과 함께 결합되어 있는 NFC 통신이 가능한 통합된 칩(Chip)으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NFC chip is embedded in the first terminal 100 so that NFC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field unit 220 can be performed in the first field unit 110 and a Tag or a Smart Card is coupled to the first field unit 110. [ A coupling means 300 is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an NFC chip capable of performing NFC communication may be incorporated in the coupling means 300 and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100. The NFC chip may be an integrated chip which is coupled with a USIM chip and is capable of NFC communica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constituted.

아울러 태그를 이용하여 단말기 정보를 리드하는 상기 리더부(150)는 RSS리더기, 바코드리더기 등 바코드와 QR코드 등 일반적으로 읽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더부(150)는 상기 제1필드부(120)와 연결된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필드부(120) 내부에 NFC 칩과 연동하여 통신을 송 ??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는 상기 제1필드부(120) 내부에 함께 포함될 수 있지만 NFC 칩과 연계하여 증폭될 수 있는 안테나를 상기 제1필드부(120)에 위치할 수 있다.
The reader unit 150, which reads the terminal information by using the tag, may be configured by a camera using a generally readable application such as an RSS reader, a barcode reader, or the like, such as a barcode and a QR code. And an antenna connected to the first field unit 120. In addition, communication with the NFC chip is performed in the first field unit 120, An antenna that can be received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field unit 120, but an antenna that can be amplified in conjunction with the NFC chip may be located in the first field unit 120.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리더부(150)에서 리드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정보를 판단하는데, 상기 판단된 정보에 의해서 제1단말기(100)가 제2단말기(200)의 페어링을 요구하면,The controller 130 identifies the information read by the reader 150 and determines the identified information.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terminal 100 is paired with the second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nformation, Lt; / RTI >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통신부로 식별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1통신부가(110) 상기 제2통신부(210)에 직접 블루투스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로 제2단말기(200)의 블루투스ID를 검색하지 않고 상기 제1단말기가 직접 제2단말기와 페어링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the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o allow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o directly connec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1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so that the Bluetooth ID of the second terminal 200 is separately transmitted The first terminal can directly pair with the second terminal without searching.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중복되는 페어링이 요구되면 자동으로 제1통신부(110)를 차단하는 차단부(140)를 더 포함하여, 가까이 접근하는 복수의 단말기간의 페어링 요청에서 혼선을 방지할 수 있는데, 더욱 구체적으로는, NFC는 블루투스보다 사람들이 많은 곳, 지하철이나 버스 등 혼잡한 환경에서 다른 기기간의 혼선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다수의 사용자가 밀집된 곳에서는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이 되어 페어링을 시도하려 하기 때문에 중복 연결되어 보안상의 문제를 발생 시킬 수 있는 바, 상기 제어부에 구비되는 차단부(140)가 제2단말기의 정보를 기억하여, 제2단말기가 아닌 다른 단말기의 접근 및 접속시도를 미연에 막음으로서, 의도하지 않는 이중 접속을 하게 되어 피해를 보게 되는 점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further include a cutoff unit 140 that automatically cuts of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when a redundant pairing is requested, thereby preventing confusion in a pairing request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approaching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NFC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n a crowded environment such as a subway or a bus where there are more people than Bluetooth, without confusion between other devices, but in a place where a large number of users are concentrated, a plurality of users are simultaneously connected The blocking unit 140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may store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may not access and access other terminals other than the second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intentional double connection and the damage from being seen.

한편, 도 4는 상기 결합수단(300)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필드부(120)(220)는 상기 제1 및 제2단말기(100)(200)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수단(300)을 더 포함하고 있다.
4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the coupling means 300. The first and second field units 120 and 220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00 and 200, (300) so as to be able to be combined or separated.

상기 결합수단(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말기의 외부에 장착할 수 있는데, 상기 결합수단(300)은 각 필드부를 결합하여 하나의 일체형으로 이루고, 상기 제1 및 제2단말기(100)(200)와 결합 및 분리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4, the coupling means 300 may b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coupling means 300 may be formed as a single unit by combining the field units, (100) (200).

이에 따라 상기 결합수단(300)은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310)와, 상기 바디(310)에 구비되는 저장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320) 내부에 태그리더부(400)를 결합하고 있어 상기 제1단말기(100) 또는 제2단말기(200)와 결합 및 장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수단(300)은 상기 제1단말기(100) 또는 제2단말기(200)의 태그 정보를 저장하여 각각의 단말기와 NFC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편리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제2단말기(200)가 상기 제1단말기(100)와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태그리더부(400)는 상기 제2단말기(200)의 제2통신부(210)와 SPI 또는 I2C 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upling means 300 includes a body 310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storage portion 320 provided in the body 310 and includes a tag reader 400 in the storage portion 320 So that the first terminal 100 or the second terminal 200 can be coupled and mounted. More specifically, the combining unit 300 stores the tag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or the second terminal 200 and makes an NFC connection with each terminal, thereby enhancing the usability of the user The tag reader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second terminal 200 by SPI or I2C so that the second terminal 200 can be Bluetooth-paired with the first terminal 100 It is preferable to be connected.

다시 상기 바디(310) 앞면은 단말기의 외면과 상응하는 내부공간을 확보하고, 바디(310) 후면에는 저장부(320)가 구비되는 태그 리더(Tag Reader)와 같은 제2필드부(220)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단말기(100)와 Reader / Writer모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The body 310 has a second field portion 220 such as a tag reader having a storage portion 320 at the rear of the body 310. The body portion 310 is provided with a second field portion 220, So that the first terminal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terminal 100 in the Reader / Writer mode.

또한 상기 결합수단(300)의 저장부(320)에는 단말기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태그가 내장되어 태그리더(470)가 장착되지 않은 단말기를 NFC 통신이 가능하게 하며,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제2통신부(210)를 이용하여 상기 제1단말기(100)와 블루투스 페어링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전원부(330)의 남은 잔량 또는 통신 종류 여부를 알려주는 상태표시부(3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상태표시부(340)는 충전중, 블루투스, NFC 등 다양한 색깔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tag storing terminal information is embedded in the storage unit 320 of the combining unit 300, so that a terminal without the tag reader 470 can perform NFC communication,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so that the first terminal 100 can perform Bluetooth pairing. And a status display unit 340 for notifying the remaining power of the power unit 330 or the type of communic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tus display unit 340 can display a status in various colors such as during charging, Bluetooth, and NFC.

한편, 도 5 및 도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300)의 저장부(320)에는 패널부재(321)와 결합부재(322)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내부의 태그리더의 교체 또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쉽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개폐가능하게 구성하기 위함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태그리더부(400)는 각가의 측면부에 복수개의 결합홈(430)을 갖고, 상기 결합홈(430)과 대응되어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안착홈(410)이 구비되되, 상기 안착홈(410)에서 돌출되고,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부(420)가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420)와 결합홈(430)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태그리더부(400)는 자유로운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5 and 6, the storage unit 320 of the coupling means 300 is provided with a panel member 321 and a coupling member 322, So as to be easily detachable for maintenance. More specifically, the tag reader unit 400 has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430 on the respective side portions thereof a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s 430 in a corresponding manner, and the coupling member 410 is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410 And a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420 protruding from the seating groove 410 and bent inward are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tag reader 400. By engaging the engaging portion 420 with the engaging groove 430, Allows free detachment.

상기한 걸림부(420) 및 결합홈(430)은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S)의 한 실시예로서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예로 한정되어지지 않는다.The latching part 420 and the coupling groove 430 are not limited to the examples shown in FIGS. 5 and 6 as one embodiment of the Bluetooth pairing system S using the N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상기 태그리더부(400)는 복수개의 결합홈(430) 또는 걸림부(420)로 이루어진 결합장치를 더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태그리더부(400)는 태그리더(470)가 내장되어 있고,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전원공급로드부(480)가 전원부(330)와 함께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원부(330)는 충전포트(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전원부(33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ag reader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430 or a locking unit 420. The tag reader unit 400 includes a tag reader 470, And a power supply rod unit 480 to which power can be supplied is connected together with a power supply unit 330. The power supply unit 330 further includes a charging port It is preferable to be connected.

더 나아가 또 다른 변형례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단말기(200)에는 블루투스 페어링을 위한 제2통신부(21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제2통신부(210)는 다양한 종류로 구비될 수 있는 제2단말기(200)(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특정 장치를 도시하였다.)에 탈부착 가능하기 위한 연결부(29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290)는 다양한 제2단말기(200)에 모두 사용 가능하도록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USB단자 또는 Micro 5pin 등의 종래에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하나의 제2통신부(210)를 통하여 다양한 제2단말기(200)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구매 비용의 절감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7, the second terminal 200 is provided with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for Bluetooth pairing.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Bluetooth The connection unit 29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terminal 200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terminal 210 is composed of a universal terminal such as a USB terminal or a Micro 5 pin which is generally used to be used in both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210. Accordingly, 20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urchase cost and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나아가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S)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8 to 10 are circuit diagrams of a Bluetooth pairing system S using an NF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13.56-MHz의 RF 인터페이스에 관한 회로도이고, 도 9는 2.4-GHz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에 대한 회로도를 나타내었으며,Figure 8 is a circuit diagram for a 13.56-MHz RF interface, Figure 9 is a circuit diagram for a 2.4-GHz Bluetooth interface,

도 10[A]는 UART 인터페이스, 도 10[B]는 Power Supply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 10A shows a UART interface, and FIG. 10B shows a circuit diagram of an interface of the power supply.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S)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various modifications, alterations and substitu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odifications, alteration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
100: 제1단말기 110: 제1통신부
120: 제1필드부 130: 제어부
140: 차단부 150: 리더부
200: 제2단말기 210: 제2통신부
220: 제2필드부 300: 결합수단
310: 바디 320: 저장부
321: 패널부재 322: 결합부재
330: 전원부 340: 상태표시부
400: 태그리더부 410: 안착홈
420: 걸림부 430: 결합홈
450: 고리부 460: 손가락투입홈
470: 태그리더 480: 전원공급로드부
290 : 연결부
S: Bluetooth pairing system using NFC
100: first terminal 110: first communication section
120: first field unit 130:
140: interrupter 150: reader
200: second terminal 210: second communication section
220: second field portion 300: coupling means
310: body 320: storage unit
321: Panel member 322:
330: power supply unit 340: status display unit
400: tag reader unit 410:
420: engaging portion 430: engaging groove
450: hook portion 460: finger insertion groove
470: Tag reader 480: Power supply rod section
290:

Claims (4)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제1통신부,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가 가능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이 가능한 제1필드부,
정보를 리드하는 리더부,
상기 리더부에서 리드된 정보를 식별하여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단말기; 및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제2통신부,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가 가능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이 가능한 제2필드부를 포함하는 제2단말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리드된 정보가 페어링을 요구하면,
상기 제1통신부에 식별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1통신부가 상기 제2통신부에 직접 블루투스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중복되는 페어링이 요구되면 제1통신부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
A first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A first field unit capable of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in which data can be read or written,
A leader unit for reading information,
A first terminal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identifying and determining the information read by the reader unit;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A second terminal including a second field portion capable of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apable of reading or writing data;
, ≪ / RTI >

When the read information requests pairing,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can directly connect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with the Bluetooth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blocking unit for block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when the redundant pairing is reques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드된 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2단말기가 자동으로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2 통신부에 요청하는 특징을 가지는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read information
And request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the pairing automatically by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필드부는 상기 제1 및 제2단말기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ield units further comprise combining means for combining with or separat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300)은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310)와, 상기 바디(310)에 구비되는 저장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320) 내부에 태그리더부(400)를 결합하고 있어 상기 제1단말기(100) 또는 제2단말기(200)와 결합 및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를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oupling unit 300 includes a body 310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storage unit 320 provided in the body 310 and coupling the tag reader unit 400 to the storage unit 320 So that the first terminal (100) or the second terminal (200) can be coupled and mounted.
KR1020130150552A 2012-12-06 2013-12-05 Bluetooth pairing system Active KR10152090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1292 2012-12-06
KR1020120141292 2012-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223A KR20140074223A (en) 2014-06-17
KR101520907B1 true KR101520907B1 (en) 2015-05-19

Family

ID=51127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552A Active KR101520907B1 (en) 2012-12-06 2013-12-05 Bluetooth pai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9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947B1 (en) 2017-01-13 2018-06-19 나이스정보통신 주식회사 Payment system using an intermediating apparatus having serial communication and 2way wireless connection
CN115988465A (en) * 2022-12-05 2023-04-18 海信冰箱有限公司 Intelligent household equipment and Bluetooth pairing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733B1 (en) * 2006-02-08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Bluetooth system and Bluetooth bonding process method
KR20100075580A (en) * 2007-10-31 2010-07-02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Negotiation of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0n parameters using configuration data received through rfid
KR101081535B1 (en) * 2005-09-06 2011-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s Transmitting Data for Bluetooth Mobile Phone by RFI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535B1 (en) * 2005-09-06 2011-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s Transmitting Data for Bluetooth Mobile Phone by RFID
KR100800733B1 (en) * 2006-02-08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Bluetooth system and Bluetooth bonding process method
KR20100075580A (en) * 2007-10-31 2010-07-02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Negotiation of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0n parameters using configuration data received through rf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223A (en) 201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2739C2 (en) Optimised coordination of parametres dur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KR100862953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discovery for short range radio communication with reader device having transponder functionality
CN104253634B (en) Double frequency multi-protocols multifunctional near-field communication integrate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them
EP2296292B1 (en) A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EP2744296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managing rfid card
US9634727B2 (en) NFC architecture
US9661448B2 (en)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between a NFC controller and a secure element within an apparatus, and corresponding apparatus and NFC controller
KR20150114765A (en)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function of NFC(near field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setting NFC operation mode thereof
CN101916950B (en) Safety chip concentrator
JP40908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roximity transactions
US9405952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124312B2 (en) Communication device, reader/writer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583093B1 (en) Method for supporting different types of UICC cards and Terminal therefor
KR101520907B1 (en) Bluetooth pairing system
KR20110037110A (en) Short-rang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radio frequency recognition technology
JP2016139917A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7636982B (en) Data frame routing processing method, near field communication controller and terminal
CN103501192A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erminals
JP6447625B2 (en) COMMUNICATION CIRCUIT,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300921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for mobile device
CN214042329U (en) NFC-based read-write equipment
KR101377323B1 (en) Dongle, dongle module, dongle adapter and device interworking method thereof for commnication based on universal asy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KR101766759B1 (en) NFC-based Vehicle Status Alerts Service System for Phone-number Leakage Protection
CN106094207B (en) The right management method of virtual reality system and virtual reality glasses
CN104787443A (en) Preservation box with NFC identification function and NFC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