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082B1 - system and method for mode switching of electronic pen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ode switching of electronic pe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2082B1 KR101512082B1 KR20130103645A KR20130103645A KR101512082B1 KR 101512082 B1 KR101512082 B1 KR 101512082B1 KR 20130103645 A KR20130103645 A KR 20130103645A KR 20130103645 A KR20130103645 A KR 20130103645A KR 101512082 B1 KR101512082 B1 KR 1015120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pen
- mode
- pen
- smart device
- mou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4—Force feedback applied to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펜의 모드 전환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나 필름에 인쇄된 도트의 서로 다른 코드체계를 인식하여 그 코드체계 또는 스타일러스 인식에 따라 필기모드나 마우스모드로 구분하여 동작하는 전자펜의 모드 전환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모드 전환시스템서은 서로 다른 코드체계를 갖는 도트가 인쇄된 종이나 필름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종이 또는 필름을 인식하거나, 서로 다른 코드체계를 인식하여 그 인식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펜과, 상기 전자펜에서 전송한 인식 정보를 토대로 이후 전자펜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필기모드와 마우스모드로 구분하여 동작하도록 처리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modes of an electronic p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a mode of an electronic pen, which recognizes different code systems of dots printed on a paper or film and classifies them into a handwriting mode or a mouse mode To a mode switching system and method of an operating electronic pen.
The mode switching system of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a paper or film by capturing a paper or a film on which dots having different codes are printed by using a camera or recognize different code systems, And a smart device for processing data transmitted from a subsequent electronic pen on the basis of recogn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pen, into a writing mode and a mouse mode so as to operate the smart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펜의 모드 전환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나 필름에 인쇄된 도트의 서로 다른 코드체계를 인식하여 그 코드체계 또는 스타일러스 인식에 따라 필기모드나 마우스모드로 구분하여 동작하는 전자펜의 모드 전환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modes of an electronic p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a mode of an electronic pen, which recognizes different code systems of dots printed on a paper or film and classifies them into a handwriting mode or a mouse mode To a mode switching system and method of an operating electronic pen.
키보드, 마우스, 스타일러스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기기가 컴퓨터 등에 명령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Various input devices such as a keyboard, a mouse, a stylus, and the like are used for inputting command signals to computers and the like.
이중 컴퓨터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 결정 장치로서 마우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A mouse is generally used as a positioning device used to move a pointer displayed on a dual computer screen.
기계식 볼마우스는 마우스 패드와 같이 균일한 평면 위에서 이동할 때 감지되는 볼의 회전에 따른 회전량에 대응하여 마우스의 위치값을 결정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광마우스는 밑면으로 방출되어 반사된 광을 인식하여 마우스의 이동량을 계산하는 방식이 사용된다.The mechanical ball mouse use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position value of the mouse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ball when the ball moves on a uniform plane such as a mouse pad. The optical mouse is emitted to the bottom surface to recognize the reflected light And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mouse is calculated.
하지만, 종래의 입력 기기들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부족하다.However, conventional input devices are insufficient to meet various demands of users.
즉, 키보드는 소정의 버튼을 이용하여 문자 등의 부호를 입력하거나 좌우상하 방향으로 포인터를 이동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을 뿐이고, 마우스, 스타일러스는 동작을 위해 지정된 물체의 표면에서 이격되면 지정된 동작의 수행이 제한되는 한계를 가진다.
That is, the keyboard can be used to input a code such as a character using a predetermined button, or to move the pointer in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directions. When the mouse and the stylus ar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designated object for operation, Has a limited limit.
한편, 최근에는 전자펜으로 도트 코드가 인쇄된 종이 또는 필름에 입력하면 그 입력된 정보가 실시간으로 컴퓨터나 스마트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전송되어 디스플레이 및 저장되도록 하는 입력장치가 개발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n input device has been developed which inputs the input information to a paper or film on which a dot code is printed with an electronic pen, and transmits the inputted information to a computer or a smart device (for example, smart phone) Has been used in the field.
전자펜을 이용할 경우, 직접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나 숫자 또는 이미지를 전자펜을 이용하여 정해진 장치 또는 특수 패턴이 그려진(도트 코드가 인쇄된) 종이 또는 필름 위에 쓰면 되므로, 커다란 어려움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using the electronic pen, it is possible to write characters, numbers, or images that the user directly wants to input on a predetermined device or a paper or film on which a special pattern is drawn (a dot code is printed) using the electronic pe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sired data can be input.
이와 같은 전자펜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필기체를 전자펜에 구비된 소정의 센서 및 카메라를 통해 스트로크(stroke)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스트로크 정보를 이용하여 문자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Such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n electronic pen includes generating stroke information through a predetermined sensor and a camera provided in the electronic pen, and performing character recognition using the generated stroke information Step < / RTI >
이러한 전자펜은 문자 입력을 위해 필기 기능이라는 한가지 기능만을 수행하여, 발달된 현재의 모바일 스마트기기가 입력장치로서 마우스를 모두 사용할 수 있음에도, 이를 지원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Such an electronic pen performs only one function of a handwriting function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thus the developed mobile smart device is unable to support the mouse as an input device although it can use all of the mouse.
또한, 컴퓨터에서 전자펜의 필기 기능과 마우스 기능을 지원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전자펜으로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우스 모드로 수동 전환해야 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황에 따른 판단을 직접 해야 하며, 일일이 필기 모드와 마우스 모드를 전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a technology for supporting a handwriting function and a mouse function of an electronic pen is disclosed in a computer, a user must manually switch to a mouse mode in order to perform a mouse function with the electronic pen, ,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switch writing mode and mouse mode one by one.
또한, 전자펜을 마우스 모드로 전환하여 사용하다가 미처 전환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필기 모드로 사용하면 전자 종이에 기록된 필기 데이터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onic pen is used in a writing mode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pen is switched to the mouse mode and used, the writing data recorded on the electronic paper is los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펜의 필기 기능뿐만 아니라 마우스 기능으로의 전환을 통하여 컴퓨터나 스마트기기의 입력장치로서 전자펜을 마우스 기능으로 사용하여 위치 이동이나 선택 및 실행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전자펜의 모드 전환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not only a handwriting function of an electronic pen but also a mouse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a mode of an electronic pen.
본 발명이 제공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도트가 인쇄된 종이 또는 필름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전자펜에 장착되는 스타일러스팁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사용자가 각 모드에 따른 동작을 제어할 필요가 없어 편리함을 줄 수 있는 전자펜의 모드 전환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recognize a paper or film on which a dot is printed, automatically recognize a stylus tip mounted on the electronic pen, and switch the mode so that the user needs to control the operation according to each mod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a mode of an electronic pe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모드 전환시스템은 서로 다른 코드체계를 갖는 도트가 인쇄된 종이나 필름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종이 또는 필름을 인식하거나, 서로 다른 코드체계를 인식하여 그 인식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펜; 및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switching the mode of an electronic pen, comprising: a camera for capturing a paper or film on which dots having different codes are printed by using a camera, And transmits th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상기 전자펜에서 전송한 인식 정보를 토대로 이후 전자펜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필기모드와 마우스모드로 구분하여 동작하도록 처리하는 스마트기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smart device for dividing data transmitted from a subsequent electronic pen into a handwriting mode and a mouse mode on the basis of recogn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pen and processing the data;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모드 전환방법은 (a) 전자펜에서 서로 다른 코드체계를 갖는 도트가 인쇄된 종이나 필름을 촬영하여 코드체계를 인식하는 단계;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witching an electronic pe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capturing a paper or film on which a dot having a different code scheme is printed;
(b) 상기 전자펜에서 인식된 코드체계 또는 스타일러스 인식에 따라 필기인식 코드나 마우스인식 코드를 스마트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b) transmitt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code or a mouse recognition code to the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the code system or the stylus recognized by the electronic pen; And
(c)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필기인식 코드를 수신한 경우 이후 전자펜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필기모드로 동작하여 처리하도록 하고, 마우스인식 코드를 수신한 경우 이후 전자펜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마우스모드로 동작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c) if the handwriting recognition code is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handwriting pen is processed in a handwriting mode so as to be processed, and when the mouse recognition code is received, ; .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서로 다른 코드체계 또는 스타일러스 인식을 통하여 필기 모드나 마우스 모드로 자동 전환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없이 편하게 전환 사용할 수 있고 전환되지 못한 상황에서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전자펜을 마우스 기능으로 사용하여 스마트기기의 조작 및 입력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user can automatically switch between the handwriting mode and the mouse mode through different code systems or stylus recognition, , The electronic pen can be used as a mouse function to freely manipulate and input the smar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모드 전환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적외선 송수신부를 통해 펜팁을 스타일러스로 인식하는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모드 전환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마우스 동작 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마우스 동작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수동모드 전환에 따른 마우스 동작시의 스마트기기과의 연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de switching system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pen tip is recognized as a stylus through the infrared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shown in FIG. 1;
3 is a flowchart showing a mode switching method of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mouse operation step of FIG.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use operation steps of FIG. 4. FIG.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locking relationship with a smart device during a mouse operation according to the manual mode switching of FIG. 3.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f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Also,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모드 전환시스템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de switching system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펜(100)과 스마트기기(PC 포함 이하 동일)(200)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된다.As shown in FIG. 1, the
상기 전자펜(100)은 프로세서(110), 카메라(140), 압력센서(150), 적외선 송수신부(160), 모드선택부(130), 통신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스마트기기(200)는 통신부(220), 중앙처리장치(210), 동작부(260), 표시부(250), 저장부(240) 및 모드선택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전자펜(100)은 전자펜팁이나 스타일러스팁을 결합하여 도트가 인쇄된 종이나 필름에 입력 기능이나 스타일러스 기능을 수행한다.The
카메라(140)는 도트가 인쇄된 종이 또는 필름을 촬영하여 프로세서(110)에 출력한다.The
프로세서(110)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종이 또는 필름의 영상을 분석하여 코드체계 또는 종이나 필름을 인식한다.The
상기 종이 또는 필름에 인쇄된 도트의 코드체계는 서로 상이하다.The code schemes of the dots printed on the paper or film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종이에 인쇄된 도트의 코드체계는 가로 도트 6개와 세로 도트 6개 즉, 총 36(6X6)개의 도트가 하나의 좌표값을 이루는 코드체계(이하 조밀 코드체계)로서, 난반사나 굴곡이 없어서 안정된 인식을 할 수 있으며 많은 좌표값을 갖을 수 있어 필기에 적합하다.For example, the code system of dots printed on paper is a code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ense code system) in which a total of 36 (6 × 6) dots form one coordinate value, that is, six horizontal dots and six vertical dots, It is suitable for handwriting because it can have stable recognition and can have many coordinate values.
필름에 인쇄된 도트의 코드체계는 가로 도트 3개와 세로 도트 3개 즉, 9(3X3)개의 도트가 하나의 좌표값을 이루는 코드체계(이하 희소 코드체계)로서, 적은 수의 좌표값으로 인하여 필기에 적합하지 않으나 하나의 이미지에 여러 좌표값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으므로 난반사나 굴곡 현상에 의한 코드 인식 오류를 보정 할 수 있어 마우스 모드에 적합하다.The code system of the dots printed on the film is a code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are code system) in which three horizontal dots and three vertical dots, that is, 9 (3X3) dots form one coordinate value, It is possible to obtain multiple coordinate values at the same time in one image, which is suitable for the mouse mode because it can correct the code recognition error due to diffuse reflection or bending phenomenon.
프로세서(110)는 카메라(140)가 촬영한 영상에서 이러한 도트의 서로 다른 코드체계를 인식하여 필기인식 코드인지 또는 마우인식 코드인지를 판단한다.The
또한, 카메라(140)에서 도트가 인쇄된 종이를 촬영한 경우 그 영상은 백색 바탕화면에 흑색점이 나타나고, 필름을 촬영한 경우 그 영상은 흑색 바탕화면에 백색점이 나타난다.When the paper on which the dot is printed is photographed by the
프로세서(110)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의 출력화면으로 종이 또는 필름을 인식하여 필기인식 코드인지 또는 마우인식 코드인지를 판단한다.The
또한 종이에 조밀 코드 체계와 희소 코드 체계가 인쇄되어 있더라도 인식 알고리즘에 의하여 종이에서도 인쇄된 코드 체계에 따라 필기 또는 마우스 모드로 인식이 가능하다.Even if a dense code system and a rare code system are printed on paper, it can be recognized by handwriting or mouse mode according to the code system printed on paper by the recognition algorithm.
결국 종이와 조밀,희소 코드체계, 필름과 조밀,희소 코드체계는 서로 다른 인식 코드로써, 종이와 필름 인식 뿐만 아니라 인쇄된 조밀,희소 코드 체계에 따라 필기 인식 코드와 마우스 인식 코드로 인식된다.As a result, paper and dense, rare code systems, film and dense, and rare code systems are recognized as handwriting recognition codes and mouse recognition codes according to printed dense, rare code systems as well as paper and film recognition as different recognition codes.
프로세서(110)는 이와 같이 인식된 코드체계(조밀, 희소) 또는 종이나 필름이냐에 따라 통신부(120)를 통해 스마트기기(200)에 필기인식 코드를 전송하거나 마우스인식 코드를 전송한다.The
적외선 송수신부(160)는 전자펜(100)에 결합되는 펜팁에 적외선을 송신하고 그 수신 결과를 프로세서(110)에 출력하며, 프로세서(110)는 그 수신결과로 펜팁의 종류를 판별한다.The infrared transmission /
이를 도 2를 참고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팁(170)의 외주면에는 적외선 흡수영역(174)과 적외선 반사영역(172)이 구분되어 형성된다.2, an
본 실시예에서는 펜팁(170)의 외주면에 적외선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진 카본 잉크를 띠 형태로 인쇄하는 것에 의해 적외선 흡수영역(174)이 형성되고, 적외선 흡수영역(174)을 제외한 펜팁(170)의 나머지 외주면은 적외선 반사영역(172)이 된다.In this embodiment, an
하나의 펜팁(170)에 인쇄된 하나 이상의 적외선 흡수영역(174)은 그 배열의 유무에 따라 0 또는 1로 2진화되어, 적외선 흡수영역(174)이 n개인 경우 2n에 해당하는 펜팁(174)의 수만큼 펜팁(170)의 종류를 구분하여 판별할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 흡수영역(174)의 개수만큼 적외선 흡수영역(174) 각각의 적외선 인식을 위한 적외선 송신부(162) 및 적외선 수신부(164)가 쌍으로 구비된다.One or more
상기 다수의 적외선 송신부(162)는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의해 펜팁(170)에 동시에 적외선을 조사하고, 적외선 수신부(164)는 동시에 적외선을 수신하여 프로세서(110)는 수신 정보의 조합에 의해 펜팁(170)의 종류를 인식한다.The plurality of infrared
여기서 펜팁(170)의 종류는 그 기능상 전자펜팁과 스타일러스팁으로 구분할 수 있고, 전자펜팁의 경우에는 다시 색별로 구분할 수 있다.Here, the type of the
적외선 흡수영역(174)의 서로 다른 배열을 통해 정의된 색과 정의된 기능을 프로세서(110)에서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전자펜의 사용 도중 펜팁을 교체하더라도, 교체 즉시 교체된 펜팁(170)에 상응하는 펜팁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적외선 흡수영역(174)의 서로 다른 배열에 맞도록 각각의 고유의 2진화된 ID코드가 부여되되, 검은색 전자펜팁은 11 ID코드, 빨간색 전자펜팁은 10 ID코드, 파란색 전자펜팁은 01 ID코드, 스타일러스팁은 00 ID코드가 부여되어 있고 이 각각의 ID코드는 프로세서(110)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For example, each unique binarized ID code is assigned to fit different arrangements of the
또한, 적외선 수신부(164)에서 반사되는 적외선 빛을 검출하는 경우를 2진수 1이라고 하고,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를 2진수 0이라고 하면, 결국 적외선 흡수영역은 0과 1로 2진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When the infrared ray reflected by the
이와 같은 가정하에 도 2는 적외선 흡수영역(174)이 우측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2개의 적외선 수신부(164) 중 좌측의 적외선 수신부에서만 빛을 검출하므로 10(일영)으로 2진화되어 프로세서(110)는 빨간색 전자펜팁으로 인식한다.2, since the infrared
만약에 적외선 흡수영역(174)이 2개의 모두 형성되어 있으면 2개의 적외선 수신부(164)에서 모두 빛을 검출하지 못하므로 00(영영)으로 2진화되어 프로세서(110)는 스타일러스팁으로 인식한다.If both of the
계속하여 도 1에서 압력센서(150)는 도트가 인쇄된 종이나 필름을 누르는 전자펜(100)의 압력을 감지하여 프로세서(110)에 출력한다.1, the
프로세서(110)는 이 입력정보를 스마트기기(200)에 전송하여 스마트기기(200)에서 이 압력으로 필기모드에서 선의 굵기를 판단하고, 마우스모드에서 위치 이동을 위한 동작인지 선택이나 실행을 위한 동작인지 판단한다.The
모드선택부(130)는 필기모드에서 마우스모드로 또는 마우스모드에서 필기모드로 수동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전자펜(100)에 버튼을 구비하여 이를 구현할 수 있고, 상기 모드 전환시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20)를 통해 스마트기기(200)에 모드 전환 사실을 알린다.The
통신부(120)는 상기 스마트기기(200)와 유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The
전자펜(100)에서는 좌표정보, 시간정보, 압력정보, 코드체계(또는 종이나 필름)정보, 펜팁정보(종류, 색) 등을 획득하여, 상기 코드체계 또는 종이나 필름으로부터 인식 코드를 판단한 후 상기 스마트기기에 좌표정보, 시간정보, 압력정보, 펜팁정보(종류, 색) 등과 함께 전송한다.
The
한편, 스마트기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210)는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가공 처리하여 표시부(250)에 출력하면서 저장부(240)에 저장하되, 동작부(260)를 제어하여 필기인식 코드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필기모드로 동작하여 표시부(250)에 종이 또는 필름의 입력 내용이 똑같이 출력되도록 하고, 마우스인식 코드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마우스모드로 동작하여 위치 이동을 알 수 있도록 표시부(250)에 커서를 활성화한다.The
즉, 동작부(260)는 중앙처리장치(210)의 제어에 의해 필기모드나 마우스모드로 구분 동작하여 표시부(250)에 해당 내용을 출력한다.That is, the
모드선택부(230)는 상기 전자펜(100)의 모드선택부(130)처럼 필기모드에서 마우스모드로 또는 마우스모드에서 필기모드로 수동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그램에 의해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스마트기기(200)에서 모드를 수동 전환하는 경우에도 통신부(220)를 통해 전자펜(100)에 모드 전환 사실을 알린다.
Even whe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모드 전환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showing a mode switching method of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펜(100)의 프로세서(110)는 펜팁(170)이 결합한 상태에서 전원이 OFF되었다가 ON된 경우나, ON된 상태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도트가 인쇄된 종이나 필름에 입력하기 전에 적외선 송신부(162)를 제어하여 감지 대상인 펜팁(170)에 적외선을 동시에 조사한다.As shown in FIG. 3, the
이때 적외선 흡수영역(174) 근처의 적외선 수신부(164)는 적외선을 흡수하는 카본의 성질로 인해 적외선 빛을 검출하지 못하고, 적외선 흡수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적외선 수신부(164)는 적외선 빛을 검출하여 수신 정보(검출 유무)를 프로세서(110)에 출력한다(S302).At this time, the
프로세서(110)는 수신 정보를 토대로 그 검출 유무에 따라 2진 코드로 나타내고 이를 기저장된 ID코드와 비교하여 펜팁(170)의 색과 기능(전자펜팁 또는 스타일러스팁)을 포함하는 펜팁의 종류를 인식한다(S303).The
상기 프로세서(110)는 인식된 펜팁이 스타일러스팁인 경우(S304) 스타일러스 팁으로는 필기를 할 수 없으므로, 마우스인식 코드로 판단하여 마우스인식 코드를 통신부(120)를 통해 스마트기기(200)에 전송하고(S320), 상기 스마트기기(200)의 중앙처리장치(210)는 동작부(260)를 제어해서 마우스모드로 동작하게 하여 표시부(250)에 커서를 활성화하고 이후 전자펜(100)으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될 때 도 4와 같은 동작을 하게 된다(S322).If the recognized pen tip is a stylus tip (S304), the
상기 스타일러스팁의 인식에 의한 마우스모드 동작시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한 모드 전환이 불가능하다.It is impossible to switch the mode by manual operation of the user in the mouse mode operation by recognizing the stylus tip.
한편, 상기 S304단계에서 인식된 펜팁이 스타일러스팁이 아닌 경우 즉 전자펜팁인 경우, 카메라(140)는 전자펜(100)으로 필기할 대상(종이 또는 필름)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프로세서로 출력한다(S306).If the pen tip recognized in step S304 is not a stylus tip, that is, an electronic pen tip, the
프로세서(110)는 촬영한 종이 또는 필름에 인쇄된 도트의 코드체계를 인식하여(S308) 조밀 코드체계인 경우(S310) 이 조밀 코드체계는 필기에 적합하므로 필기인식 코드를 통신부(120)를 통해 스마트기기(200)에 전송하고(S312), 상기 스마트기기(200)의 중앙처리장치(210)는 동작부(260)를 제어해서 필기모드로 동작하게 하여 이후 전자펜(100)으로부터 필기 내용에 관련된 데이터가 전송될 때 그 필기 내용을 표시부(250)에 실시간으로 출력한다(S314).The
상기 필기인식 코드에 전자펜팁의 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 색으로 필기 내용을 표시부(250)에 출력한다.If the handwriting recognition cod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lor of the electronic pen tip, the
이와 같이 필기모드로 동작하다가 사용자가 전자펜(100)이나 스마트기기(220)의 모드선택부(130,230)를 통해 마우스모드로 수동 전환하는 경우(S316), 전환 사실을 상대방 스마트기기(200)나 전자펜(100)에 알리고 스마트기기(200)의 중앙처리장치(210)는 동작부(260)를 제어해서 마우스모드로 동작하게 하여 표시부(250)에 커서를 활성화하며 이후 전자펜(100)으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될 때 도 4와 같은 동작을 하게 된다(S318).When the user operates the handwriting mode and the user manually switches the mode to the mouse mode through the
상기 S310단계에서 인식된 도트의 코드체계가 조밀 코드체계가 아닌 경우 즉 희소 코드체계인 경우, 이 희소 코드체계는 필기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마우스인식 코드를 통신부(120)를 통해 스마트기기(200)에 전송하고(S330), 상기 스마트기기(200)의 중앙처리장치(210)는 동작부(260)를 제어해서 마우스모드로 동작하게 하여 표시부에 커서를 활성화하며 이후 전자펜(100)으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될 때 도 4와 같은 동작을 하게 된다(S332).If the dot code system recognized in step S310 is not a dense code system, that is, a rare code system, the rare code system is not suitable for handwriting. Therefore, the mouse recognition code is transmitted to the
이와 같이 마우스모드로 동작하다가 사용자가 전자펜(100)이나 스마트기기(200)의 모드선택부(130,230)를 통해 필기모드로 수동 전환하는 경우(S324) 전환 사실을 상대방 스마트기기(200)나 전자펜(100)에 알리고, 스마트기기(200)의 중앙처리장치(210)는 동작부(260)를 제어해서 활성화되어 있던 커서를 비활성화하며, 필기모드로 동작하여 이후 전자펜(100)으로부터 필기 내용에 관련된 데이터가 전송될 때 그 필기 내용을 표시부(250)에 실시간으로 출력한다(S336).When the user operates the mouse mode and the user manually switches to the writing mode through the
상기 필기인식 코드에 전자펜팁의 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 색으로 필기 내용을 표시부에 출력한다.If the handwriting recognition cod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lor of the electronic pen tip, the handwriting recognition unit outputs the handwriting content to the display unit with the corresponding colo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S308단계에서 필기할 대상이 종이 또는 필름인지를 인식하며, S310단계에서 인식된 필기 대상이 종이인 경우 S312단계의 필기인식 코드를 전송하고 S310단계에서 인식된 필기 대상이 필름인 경우 S330단계의 필기인식 코드를 전송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08 that the object to be handled is paper or film, if the handwriting recognized in step S310 is paper, the handwriting recognition code in step S312 is transmitted. In step S310, In the case of this film, the handwriting recognition code in step S330 may be transmitted to perform the subsequent steps.
도 4는 도 3의 마우스모드 동작 단계의 상세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마우스 동작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mouse mode operation step of FIG. 3, and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use operation steps of FIG.
스마트기기(100)에서 마우스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전자펜(100)으로부터 받은 데이터에 포함된 측정압력이 O인 경우(S402) 이때는 전자펜(100)으로 종이 또는 필름(300)을 누른 상태가 아니고 전자펜(100)을 이동 중인 상태이므로 이동모드로 동작하여 활성화되어 있는 커서를 일반 마우스(400)처럼 데이터에 포함된 좌표 정보를 따라 움직인다(S408).If the measurement pressure included in the data received from the
측정압력이 0이 아닌 경우 측정압력을 기준압력과 비교하여(S404) 기준압력보다 낮은 경우 전자펜(100)의 이동 중에 사용자의 실수로 전자펜(100)이 종이 또는 필름(300)을 잘못 누른 것으로 판단하고 이동모드로 동작하여 활성화되어 있는 커서를 일반 마우스(400)처럼 데이터에 포함된 좌표 정보를 따라 움직인다(S408).If the measured pressure is not 0, the measured pressure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pressure (S404). If the measured pressur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pressure, the
상기 측정압력이 기준압력보다 높은 경우 전자펜(100)으로 종이 또는 필름(300)을 누른 것으로 판단하여 일반적인 마우스(400)의 좌클릭과 같이 동작한다.If the measured pressur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pressur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pressed the paper or
즉, 상기 전자펜(100)으로 종이 또는 필름(300)를 누른 상태에서 좌표정보가 변하면 그 변한 좌표에 해당하는 부분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부분을 반전으로 표시하고, 전자펜(100)으로 종이 또는 필름(300)를 누른 부분에 실행을 위한 아이콘이 있으면 해당 아이콘을 실행하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paper or
도 6은 도 3의 수동모드 전환에 따른 마우스 동작시의 스마트기기와의 연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locking relationship with a smart device during a mouse operation according to the manual mode switching of FIG. 3. FI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모드로 동작시 도트(310)가 인쇄된 종이 또는 필름(300)에 전자펜(100)으로 필기를 하면 전자펜(100)과 스마트기기(200)의 페어링에 의해 실시간으로 동일한 필기 이미지가 스마트기기(200)의 표시부(250)에 출력된다.6, when writing is performed with the
이와 같은 필기모드 동작 중에 사용자가 모드선택부(130,230)를 통해 모드를 마우스모드로 수동 전환하면 이 전환 사실이 상대방 측에 전달되고 스마트기기(200)는 마우스모드로 동작하여 전자펜(100)의 좌표정보에 대응되는 표시부(250)의 위치에 커서(252)를 활성화하여 나타낸다.When the user manually switches the mode to the mouse mode through the
이 커서(252)를 보고 사용자는 마우스모드로 동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전자펜 200: 스마트기기(PC 포함)
300: 도트가 인쇄된 종이 또는 필름 400: 마우스100: Electronic pen 200: Smart device (including PC)
300: Paper or film on which dots are printed 400: Mouse
Claims (13)
상기 전자펜에서 전송한 인식 코드를 토대로 이후 전자펜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필기모드와 마우스모드로 구분하여 동작하도록 처리하는 스마트기기; 를 포함하는 전자펜의 모드 전환시스템.Depending on the degree of density, an output image of a video image of a dots printed with different code schemes or images of a film is recognized as paper or film or a different code system, Transmits the infrared code to the pen tip to be combined, determines the type of the pen tip including the function of the pen tip and the color of the received pen tip, An electronic pen for transferring the kind; And
A smart device for dividing data transmitted from a subsequent electronic pen into a handwriting mode and a mouse mode on the basis of a recognition code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pen; The mode switching system comprising:
상기 전자펜은 서로 다른 코드체계 중 상대적으로 더 조밀한 코드체계를 갖거나 상기 종이를 인식한 경우 상기 스마트기기에 상기 필기인식 코드를 전송하고, 상대적으로 덜 조밀한 코드체계를 갖거나 상기 필름을 인식한 경우 상기 스마트기기에 상기 마우스인식 코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의 모드 전환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nic pen has a relatively denser code system among the different code systems or transmits the handwriting recognition code to the smart device when the paper is recognized and has a relatively less dense code system, And transmits the mouse recognition code to the smart device if it is recognized.
상기 전자펜과 상기 스마트기기에는 필기모드에서 마우스모드로, 마우스모드에서 필기모드로 수동 전환할 수 있도록 모드선택부가 각각 구비되고, 모드 전환시 상대방측에 모드 전환 사실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의 모드 전환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nic pen and the smart device are each provided with a mode selection unit for manually switching from a handwriting mode to a mouse mode and from a mouse mode to a handwriting mode, Pen mode switching system.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마우스모드로 동작시 상기 스마트기기의 표시부에 커서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의 모드 전환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mart device activates a cursor on a display unit of the smart device when the smart device operates in the mouse mode.
상기 스마트기기는 이후 전자펜에서 전송한 데이터의 포함된 압력이 0인 경우 이동 모드로 동작하고, 0이 아닌 경우 일반 마우스의 좌클릭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의 모드 전환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mart device operates in a moving mode when the pressure of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pen is 0, and operates in a left-click mode of the general mouse when the pressure is not zero.
상기 스마트기기는 전자펜에 결합된 펜팁의 기능이 스타일러스팁인 경우 이후 전자펜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마우스모드로 동작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의 모드 전환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mart device process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pen to operate in a mouse mode when the function of the pen tip coupled to the electronic pen is a stylus tip.
상기 펜팁에 펜팁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도록 구분되게 적외선 흡수영역과 적외선 반사영역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펜팁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적외선 반사영역에서 반사된 빛만 검출하는 적외선 송수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적외선 송수신부에서 수신한 수신 정보를 토대로 펜팁의 종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의 모드 전환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n infrared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forming a large number of infrared absorption regions and infrared reflection regions so as to distinguish the type of pen tip from the pen tip and irradiating infrared rays to the pen tip to detect only light reflected from the infrared reflection region, And recognizes the type of the pen tip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received by the electronic pen.
상기 전자펜에는 펜팁의 종류별로 2진수의 ID코드가 저장되고, 상기 ID코드에 대응되도록 펜팁에 적외선 흡수영역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의 모드 전환시스템.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binary ID code is stored for each kind of pen tip in the electronic pen and an infrared absorption region is arranged in the pen tip so as to correspond to the ID code.
(a) 상기 전자펜에서 서로 다른 코드체계를 갖는 도트가 인쇄된 종이나 필름을 촬영하여 코드체계를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전자펜에서 인식된 코드체계의 상대적인 조밀도에 따라 필기인식 코드나 마우스인식 코드를 스마트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필기인식 코드를 수신한 경우 이후 전자펜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필기모드로 동작하여 처리하도록 하고, 마우스인식 코드를 수신한 경우 이후 전자펜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마우스모드로 동작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a-1) 단계에서 펜팁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도록 구분되게 적외선 흡수영역과 적외선 반사영역이 다수 형성된 상기 펜팁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적외선 반사영역에서 반사된 빛만 검출하는 적외선 송수신부에서 수신한 수신 정보를 토대로 상기 펜팁의 종류를 인식하는 전자펜의 모드 전환방법.(a-1) recognizing whether the pen tip coupled to the electronic pen in the electronic pen is an electronic pen tip or a stylus tip;
(a) capturing a paper or film printed with dots having different codes in the electronic pen to recognize a code system;
(b) transmitt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code or a mouse recognition code to the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ive density of the code system recognized by the electronic pen; And
(c) if the handwriting recognition code is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handwriting pen is processed in a handwriting mode so as to be processed, and when the mouse recognition code is received, ; , ≪ / RTI &
In the step (a-1), infrared light is irradiated to the pen tip having a plurality of infrared absorption regions and infrared reflection regions so as to be distinguished so as to distinguish the types of pen tips, and the infrared transmission / And recognizing the type of the pen tip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information.
(a') 상기 전자펜에서 서로 다른 코드체계를 갖는 도트가 인쇄된 종이나 필름을 촬영하여 필기 대상으로 종이나 필름을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전자펜에서 인식한 필기 대상이 종이냐 또는 필름이냐에 따라 필기인식 코드나 마우스인식 코드를 스마트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필기인식 코드를 수신한 경우 이후 전자펜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필기모드로 동작하여 처리하도록 하고, 마우스인식 코드를 수신한 경우 이후 전자펜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마우스모드로 동작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a-1') 단계에서 펜팁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도록 구분되게 적외선 흡수영역과 적외선 반사영역이 다수 형성된 상기 펜팁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적외선 반사영역에서 반사된 빛만 검출하는 적외선 송수신부에서 수신한 수신 정보를 토대로 상기 펜팁의 종류를 인식하는 전자펜의 모드 전환방법.(a-1 ') recognizing whether the pen tip coupled to the electronic pen in the electronic pen is an electronic pen tip or a stylus tip;
(a ') photographing a paper or film on which dots having different code schemes are printed on the electronic pen to recognize a paper or film as a writing target;
(b ') transmitting a handwriting recognition code or a mouse recognition code to the smart device according to whether the handwriting recognized by the stylus is a bell or a film; And
(c) if the handwriting recognition code is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handwriting pen is processed in a handwriting mode so as to be processed, and when the mouse recognition code is received, ; , ≪ / RTI &
An infrared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irradiating infrared rays to the pen tip having a plurality of infrared absorption regions and infrared reflection regions so as to distinguish the types of pen-tips in the step (a-1 ') so as to detect only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infrared reflection region And recognizing the type of the pen tip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information.
(a-1)단계 또는 (a-1')단계 각각에서는 상기 전자펜에 결합된 펜팁이 전자펜팁인지 스타일러스팁인지 인식하여 스타일러스팁인 경우 마우스인식 코드를 스마트기기에 전송하고,
(d)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이후 전자펜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마우스모드로 동작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의 모드 전환방법.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In the step (a-1) or (a-1 '), the pen tip coupled to the electronic pen recognizes whether it is an electronic pen tip or a stylus tip, transmits a mouse recognition code to the smart device if the tip is a stylus tip,
(d)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ausing the smart device to proc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pen in a mouse mode.
상기 마우스모드로 동작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c)단계 및 (d)단계에서 스마트기기에서 전자펜의 대응되는 위치에 커서를 활성화하여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의 모드 전환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C) and (d), wherein the smart device activates a cursor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and outputs the activated mode to the display unit.
상기 마우스모드로 동작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c)단계 및 (d)단계에서 스마트기기에서 이후 전자펜에서 전송한 데이터에 포함된 압력이 0인 경우 이동 모드로 동작하고, 0이 아닌 경우 일반 마우스의 좌클릭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의 모드 전환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C) and (d) are performed in the mouse mode, the smart device operates in a moving mode when the pressure included in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pen is 0, and when it is not 0, The mode is switched to the left-click mo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3645A KR101512082B1 (en) | 2013-08-30 | 2013-08-30 | system and method for mode switching of electronic pe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3645A KR101512082B1 (en) | 2013-08-30 | 2013-08-30 | system and method for mode switching of electronic pe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5696A KR20150025696A (en) | 2015-03-11 |
KR101512082B1 true KR101512082B1 (en) | 2015-04-14 |
Family
ID=5302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03645A Active KR101512082B1 (en) | 2013-08-30 | 2013-08-30 | system and method for mode switching of electronic pe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208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85692A1 (en) * | 2019-11-01 | 2021-05-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pen and electronic pen system hav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2117A (en) | 2015-06-29 | 2017-01-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KR20230023158A (en) | 2021-08-10 | 2023-02-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the method for electronic pen opera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96421A (en) * | 2006-03-24 | 2007-10-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of providing a function using a touch pen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a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
KR20100011809A (en) * | 2008-07-25 | 2010-02-03 | 한재준 | Color pen, terminal and method for color display using that |
KR100962511B1 (en) * | 2009-08-24 | 2010-06-14 | 김철우 | Electronic pen mous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20110088594A (en) * | 2008-11-25 | 2011-08-03 | 켄지 요시다 | Handwriting input / output system, handwriting input sheet, information input system, information input auxiliary sheet |
-
2013
- 2013-08-30 KR KR20130103645A patent/KR10151208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96421A (en) * | 2006-03-24 | 2007-10-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of providing a function using a touch pen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a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
KR20100011809A (en) * | 2008-07-25 | 2010-02-03 | 한재준 | Color pen, terminal and method for color display using that |
KR20110088594A (en) * | 2008-11-25 | 2011-08-03 | 켄지 요시다 | Handwriting input / output system, handwriting input sheet, information input system, information input auxiliary sheet |
KR100962511B1 (en) * | 2009-08-24 | 2010-06-14 | 김철우 | Electronic pen mous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85692A1 (en) * | 2019-11-01 | 2021-05-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pen and electronic pen system hav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5696A (en) | 2015-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36667C2 (en) | Handwritten input/output system, handwritten input sheet,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sheet facilitating information input | |
US20110304548A1 (en) | Mouse provided with a dot pattern reading function | |
US20110011925A1 (en) | Remote control device possible to read out dot pattern formed on medium or display | |
JP3151886U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
JP4544482B1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thereof | |
JP5353219B2 (en) | Board writing system, computer apparatus and program | |
JP4816808B1 (en) | Computer apparatus, input system, and program | |
JP5664303B2 (en) | Computer apparatus, input system, and program | |
KR10151208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mode switching of electronic pen | |
JP5655573B2 (en) | Computer apparatus, input system, and program | |
JP5440926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thereof | |
JP6079185B2 (en) | Pen-typ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information board system | |
JP2014199525A (en) | Computer device and program | |
JP5257486B2 (en) | Computer apparatus, input system, and program | |
JP3174897U (en) | Teaching material content display system, computer apparatus thereof, and sheet used therefor | |
JP2012014237A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display processing program | |
JP2017009664A (en) |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interactive input / output system | |
JP5157973B2 (en) | Projection input / output system and program thereof | |
JP5104904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display processing program | |
KR10145480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cognition of the pen tip using light source | |
JP2012022430A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thereof | |
JP2012256088A (en) | Electronic pen, terminal device, and program | |
JP5201020B2 (en) | Projection input / output system and program thereof | |
JP5664300B2 (en) | Computer apparatus, input system, and program | |
JP5267950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