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5858B1 - A templet-based online composing system for analyzing reports or views of big data by providing past templets of database tables and reference fields - Google Patents

A templet-based online composing system for analyzing reports or views of big data by providing past templets of database tables and reference fiel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858B1
KR101505858B1 KR1020140043032A KR20140043032A KR101505858B1 KR 101505858 B1 KR101505858 B1 KR 101505858B1 KR 1020140043032 A KR1020140043032 A KR 1020140043032A KR 20140043032 A KR20140043032 A KR 20140043032A KR 101505858 B1 KR101505858 B1 KR 101505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ate
data
item
query
item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0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영근
한진수
Original Assignee
(주)비아이매트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아이매트릭스 filed Critical (주)비아이매트릭스
Priority to KR1020140043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8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85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8Morphological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큐브 데이터의 테이블 관계 및 참조 항목 데이터를 템플릿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키워드에 의하여 상기 템플릿을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데이터 큐브의 데이터를 참조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테이블 관계도 및 참조 항목을 템플릿으로 구성하여 저장하는 템플릿 구성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에 의해 템플릿을 검색하여, 검색된 템플릿들을 표시하는 템플릿 검색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 관계도는 상기 데이터 큐브의 DB테이블과, DB테이블 간의 조인 관계로 구성되고, 상기 참조항목은 상기 DB테이블의 필드 항목과 상기 필드 항목들에 의해 정의되는 파생 항목으로 구성되고, 상기 템플릿 검색부는 상기 템플릿의 이름, 상기 DB테이블의 이름, 상기 참조항목의 이름, 상기 참조항목을 정의하는 필드 항목의 이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대상으로 상기 키워드에 의한 검색을 수행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과거에 생성된 테이블 관계 및 참조 항목 데이터를 템플릿으로 저장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듯이 입력하여 보고서 작성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여, 대용량 데이터를 손쉽고 빠르게 분석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for converting a table relation of cube data storing large amount of data and reference item data into a database as a template and supporting the search for the template by a keyword, A template constructing unit for constructing and storing a table relation diagram and a reference item created for referring to the data of the template; And a template search unit for searching for a template by a keyword input by the client and displaying the searched templates, wherein the table relationship diagram is configured by a join relationship between a DB table of the data cube and a DB table, The reference item is composed of a field item of the DB table and a derivation item defined by the field items, and the template search unit defines a name of the template, a name of the DB table, a name of the reference item, The search is performed by using the keyword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names of the field items.
By storing the table relation and the reference item data in the past as templates and reusing them by the above metho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environment in which a report can be generated by inputting desired information, .

Description

대용량 데이터를 용이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테이블 관계 및 참조의 템플릿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 { A templet-based online composing system for analyzing reports or views of big data by providing past templets of database tables and reference fields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for searching a table relationship and a reference template for easy analysis of a large amount of data, and reference fields}

본 발명은 대용량 데이터를 용이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과거에 사용자에 의해 분석보고서를 작성할 때 생성된 테이블 관계 및 참조 데이터를 템플릿으로 저장하고, 새로 분석보고서를 작성할 때 상기 템플릿을 검색하여 검색된 템플릿을 기초로 분석보고서를 작성하도록 지원하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n order to easily analyze a large amount of data,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able relation and reference data generated when an analysis report is created by a user in the past as a template, searches the template when creating a new analysis report, Based analysis report supporting system for supporting the analysis report creation.

일반적으로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 Business Intelligence)는 기업의 방대한 데이터를 통계분석과 같은 정형 또는 비정형적인 방법으로 다양하게 분석하여 주거나 분석된 정보를 이해하기 쉽고 보기 좋은 보고서 형태로 가공하여, 비즈니스를 보다 합리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련의 도구들을 말한다.Generally, business intelligence (BI) analyzes a company's vast amount of data in a formal or informal manner, such as statistical analysis, or processes the analyzed information into an easy-to-understand and easy-to-understand report, To a set of tools that allow you to proceed to

기업이 비즈니스를 하면서 쌓이는 데이터는 수없이 많다. 이러한 데이터는 비즈니스 현장의 생생한 내용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제대로 분석된다면 그 안에서 비즈니스에 필요한 정보를 뽑아낼 수 있다. 특히, 최근, SNS, 쇼셜 미디어 등의 데이터에 대한 분석의 중요성이 계속적으로 커지면서 기업체의 제품에 대한 고객관리나 제품 홍보 등을 위한 빅데이터(Big data)를 수집하여 분석을 필요로 하는 기업들이 많아지고 있다. 빅데이터라는 용어는, 어느 정도 경과한 시간 내에 속한 데이터를 수집, 관리, 저장, 검색, 공유, 분석, 및 시각화하기 위한 보통의 소프트웨어 툴 및 컴퓨터 시스템으로는 다루기 어려운 수준의 데이터양을 갖는 데이터 셋(data set)에 대하여 주로 적용된다. 빅데이터의 사이즈 테라바이트, 엑사바이트, 또는 제타바이트의 범위를 가질 수도 있다. 빅데이터는 다양한 분야에 존재할 수 있는데, 웹로그(web logs), RFID, 센서 네트워크, 소셜 네트워크, 소셜 데이터, 인터넷 텍스트와 문서, 인터넷 검색 인덱싱, POS(point of sales) 데이터, 판매 기록, 의료 기록, 사진 기록, 비디오 기록, 및 전자상거래 등이 그 예이다.There are a lot of data that companies accumulate as they do business. These data convey the vividness of the business scene, and if it is properly analyzed, it can extract the information needed for the business. Especially, as the importance of analysis of data such as SNS and social media continues to grow, there are many companies that need to analyze and collect big data for customer management and product promotion for products of companies ought. The term big data refers to data sets that have common software tools and computer systems to collect, manage, store, search, share, analyze, and visualize data belonging to a certain amount of time (data set). The size of the big data may have a range of terabytes, exabytes, or zeta bytes. Big data can exist in a variety of fields, including web logs, RFID, sensor networks, social networks, social data, Internet text and documents, Internet search indexing, POS (point of sale) data, , Photo recording, video recording, and electronic commerce.

이러한 빅데이터를 데이터 웨어하우스(DW, data warehouse) 또는 데이터 규브로 구성하여 축적하고, 축적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온라인 분석 프로세싱(OLAP;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시스템 등이 도입되고 사용되고 있다.An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OLAP) system and the like are introduced and used in order to accumulate such big data in a data warehouse (DW) or a data structure and analyze the accumulated data by using the accumulated big data have.

그러나 현장에서 축적된 상당량의 데이터로부터 의미가 있는 분석결과를 도출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작업이 아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많은 도구들이 개별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추출 및 변형(ETT) 도구, 다차원 데이터 분석을 위한 온라인 분석처리(OLAP) 도구, 보고서 작성을 위한 리포팅 도구, 데이터간의 숨겨진 연관성을 찾아주는 데이터 마이닝 도구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일련의 도구들을 하나의 소프트웨어 제품군으로 형성한 것이 일종의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이다.However, it is not so easy to draw meaningful analysis results from the large amount of data accumulated in the field. Many tools have been developed individually for this analysis. Examples include data extraction and transformation (ETT) tools,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OLAP) tools for multidimensional data analysis, reporting tools for generating reports, and data mining tools for finding hidden associations between data. It is a type of business intelligence (BI) that forms a suite of tools into a suite of software.

그러나 종래의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는 다양한 분석도구들을 모아 놓았으나, 사용자들은 다양한 분석도구들을 다루기 위해서 숙련된 지식을 갖추어야 했기 때문에 특정 분석이외에는 보편적으로 이용되기 어려웠다.However, conventional business intelligence (BI) has gathered a variety of analytical tools, but it was difficult to use universally, except for specific analysis, because users had to be skilled in dealing with various analytical tools.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웹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분석하는 레포팅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1]. 상기 선행기술은 보고서 개발자가 보고서의 틀을 설계하고 사용자는 설계된 보고서 틀에 따라 보고서의 출력을 요청하는 기술이다. 이때, 개발자는 보고서의 틀을 위지윅(WYSWYG) 및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보고서의 틀을 설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4GL(4세대 프로그래밍 언어) 방식이며, 비주얼 베이직, 델파이, 파워빌더 등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개발자가 보고서의 틀을 설계하기 위하여 보고서 작성도구 또는 언어를 배워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파워빌더 등 위지윅 방식의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개발도구는 다른 도구들에 비하여 배우기가 쉽기는 하나, 일반적인 사무업무 종사자에게는 낯선 도구이다. 이런 이유로 인하여,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를 위한 레포팅 도구들이 도입된다 하더라도, 기업 종사자들, 특히 소규모 기업 종사자들에 의해 잘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reporting technique for searching and analyzing a database in a web environment has been proposed [Patent Document 1]. The prior art is a technology in which a report developer designs a frame of a report and a user requests output of the report according to a designed report frame. At this time, the developer can design the frame of the report using WYSWYG and drag & drop method. Specifically, 4GL (4th Generation Programming Language) method, Visual Basic, Delphi, PowerBuilder is used. However, these techniques have the problem that developers must learn reporting tools or languages in order to design the framework of the report. Of course, WYSIWYG programming languages or development tools such as PowerBuilder are easy to learn compared to other tools, but they are an unfamiliar tool for general office worker. For this reason, even though reporting tools for business intelligence (BI) are introduced, they are not well used by business people, especially small business people.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초 데이터를 가공하여 온라인 상으로 분석 보고서 또는 화면을 작성하는 기술 등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2]. 상기 선행기술은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SQL문에 해당하는 DB객체를 생성하여 엑셀의 피벗테이블 캐시와 연동시키고, 이를 기초하여 엑셀 시트 상에서 피벗테이블 또는 차트 개체를 작성하여 온라인 상에서 분석보고서를 작성하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분석 보고서 작성 툴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은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로 분석 보고서를 온라인 상에서 쉽게 작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echniques for creating an analysis report or screen on-line by processing basic data stored in a database have been proposed [Patent Document 2]. In the prior art, a DB object corresponding to an SQL statement for querying a database is created and linked with a pivot table cache of Excel, and a pivot table or a chart object is created on an Excel sheet based on the created DB object, . Using these analytical report generation tools, users can easily create analytic reports online with data from the database.

그런데 이러한 온라인 상의 분석보고서 도구를 이용하여 쉽게 작성하더라도, 일반 사용자는 분석보고서를 작성할 때마다 매번 데이터베이스(또는 데이터 웨어하우스, 데이터 큐브)에서 DB테이블을 선택하고 DB테이블 간의 관계를 설정하고 SQL 등 데이터베이스 질의문을 만들어 분석보고서를 위한 표나 그래프를 작성한다. 즉, 일반 사용자는 이러한 유사한 분석보고서 작성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even if it is easy to create using the online analysis report tool, the general user selects the DB table from the database (or data warehouse, data cube) every time the analysis report is created, se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B tables, Create a query and create a table or graph for the analysis report. That is, the general user has to repeatedly perform such similar analysis report creation work.

만약 동일한 형태의 표나 그래프를 작성하는 경우, 과거에 작성하였던 분석 결과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분석 결과가 약간 차이가 있으면 사용자는 매번 작업을 처음부터 다시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부분의 일반 사용자가 작성하는 분석보고서는 과거에 작성된 분석보고서에 비하여 아주 다르지 않고, 약간씩 변형된 형태로 작성된다. 따라서 과거에 작성하였던 분석보고서의 결과물을 재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면, 분석보고서 작성 작업을 보다 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줄 수 있을 것이다.
If you create tables or graphs of the same type, you can use the analysis results you created in the past. However, if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analysis result, the user has to perform the operation again from the beginning. In particular, most analyst reports created by ordinary users are not very different from analytical reports created in the past, but are slightly modified. Therefore, if you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you can reus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port that you created in the past, you will be able to make the analysis report work easier.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0497811호(2005.06.18.공개)[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0497811 (published on June 18, 2005)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0969656호(2010.07.14.공개)[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No. 10-0969656 (published on July 14, 2010)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과거에 사용자에 의해 분석보고서를 작성할 때 생성된 테이블 관계 및 참조 항목 데이터를 템플릿으로 저장하고, 새로 분석보고서를 작성할 때 상기 템플릿을 검색하여 검색된 템플릿을 기초로 분석보고서를 작성하도록 지원하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system for storing a table relation and reference item data generated when an analysis report is created by a user in the past as a template, And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for supporting the analysis report creation based on the retrieved template.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분석보고서 작성시 만들어지는 큐브 데이터의 테이블 관계 및 참조 항목 데이터를 템플릿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키워드에 의하여 상기 템플릿을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which supports the template relation of the cube data and the reference item data, which are created at the time of creating the analysis report by the user, into a database as a template, And to provide a support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큐브 데이터를 참조하였던 템플릿에서 참조 항목들을 차원 형식의 항목과 측정값 형식의 항목으로 구분하고, 템플릿이 검색되었을 때 차원과 측정값에 해당하는 참조 항목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분석 결과를 생성시켜주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vide reference items into items of a dimension type and items of a measurement value type in a template to which the cube data has been referred, and when the template is searched, the reference items corresponding to the dimension and the measurement value are automatically And to provide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for generating analysis resul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큐브와 연결되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데이터 큐브의 데이터를 참조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테이블 관계도 및 참조 항목을 템플릿으로 구성하여 저장하는 템플릿 구성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에 의해 템플릿을 검색하여, 검색된 템플릿들을 표시하는 템플릿 검색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 관계도는 상기 데이터 큐브의 DB테이블과, DB테이블 간의 조인 관계로 구성되고, 상기 참조항목은 상기 DB테이블의 필드 항목과 상기 필드 항목들에 의해 정의되는 파생 항목으로 구성되고, 상기 템플릿 검색부는 상기 템플릿의 이름, 상기 DB테이블의 이름, 상기 참조항목의 이름, 상기 참조항목을 정의하는 필드 항목의 이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대상으로 상기 키워드에 의한 검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installed with a client and connected to a data cube storing data, A template constructing unit for constructing and storing a table relationship diagram and a reference item as templates; And a template search unit for searching for a template by a keyword input by the client and displaying the searched templates, wherein the table relationship diagram is configured by a join relationship between a DB table of the data cube and a DB table, The reference item is composed of a field item of the DB table and a derivation item defined by the field items, and the template search unit defines a name of the template, a name of the DB table, a name of the reference item, The search is performed by the keyword on at least one of the names of the field items.

또한, 본 발명은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구성부는 온라인 분석 프로세싱(OLAP)에서 만들어지는 테이블 관계도 및 참조 항목들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템플릿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wherein the template composition unit collects data of table relationships and reference items created by online analysis processing (OLAP) and forms the template.

또한, 본 발명은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구성부는 온라인 분석 프로세싱(OLAP)에서 만들어지는 쿼리문으로부터 상기 템플릿을 구성하되, 상기 쿼리문의 참조 항목으로부터 상기 템플릿의 참조항목을 추출하고, 상기 쿼리문에서 참조하는 DB테이블 및 그들 간의 필드 조건으로부터 상기 템플릿의 테이블 관계도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wherein the template composition unit forms the template from query statements generated by online analysis processing (OLAP) Extracts a table relationship table of the template from the DB table referenced in the query and the field condition therebetween.

또한, 본 발명은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검색부는 복수 개의 템플릿들을 검색한 경우, 템플릿들을 사전에 정해진 우선순위에 의하여 높은 우선순위 순서로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wherein when the template search unit searches a plurality of templates, the search result list is displayed in a high- .

또한, 본 발명은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검색부는 상기 키워드가 매칭되는 대상이 템플릿의 이름인 경우 다른 대상 보다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조회된 횟수가 많을수록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하거나, 다수의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매칭되는 키워드들이 많을수록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wherein the template search unit sets a priority level higher than the other candidates when the keyword matching target is a template name, The priority is set to a high priority or the priority is set to be higher as more keywords are matched when a plurality of keywords are input.

또한, 본 발명은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검색부는 키워드 대신 질의 문장을 입력받아 형태소 분석을 통해 상기 질의문장에서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directed to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wherein the template search unit receives a query sentence in place of a keyword, and extracts a keyword from the query sentence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또한, 본 발명은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참조항목은 차원 형식과 측정값 형식으로 분류되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wherein the reference items are classified into a dimension format and a measurement value format.

또한, 본 발명은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검색된 템플릿 중에서 최종적으로 하나의 템플릿이 선택되면, 선택된 템플릿의 참조항목만으로 쿼리를 구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이하 쿼리디자인 화면)을 표시하는 쿼리작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쿼리디자인 화면은 템플릿의 참조항목들을 표시하는 영역(이하 항목표시 영역)과, 선택된 참조항목들을 표시하는 영역(이하 선택표시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쿼리작성부는 상기 쿼리디자인 화면에서 선택표시 영역에 참조항목들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표시 영역의 참조항목들을 참조하는 쿼리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which displays an interface scr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query design screen) capable of configuring a query based on only reference items of a selected template, Wherein the query design screen comprises an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tem display area) for displaying reference items of a template and an area for displaying selected reference ite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lection display area)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a query statement that refers to the reference items of the selection display area when the reference items are selected in the selection display area on the query design screen.

또한, 본 발명은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쿼리작성부는 선택된 참조항목 중에서 차원 형식의 참조항목에 대하여 상기 쿼리문에서 그룹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supporting the creation of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wherein the query creating unit sets a reference item of a dimension type among the selected reference items as a group in the query statement.

또한, 본 발명은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검색된 템플릿 중에서 최종적으로 하나의 템플릿이 선택되면, 선택된 템플릿의 참조항목만으로 피벗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이하 피벗디자인 화면)을 표시하는 보고서 작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벗디자인 화면은 상기 템플릿의 참조항목들을 표시하는 영역(또는 항목표시 영역)과, 선택된 참조항목들을 표시하는 영역(이하 선택표시 영역)으로 구성되고, 선택된 참조항목 영역(또는 선택표시 영역)은 컬럼 영역, 행 영역,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보고서 작성부는 상기 피벗디자인 화면에서 선택표시 영역에 참조항목들이 선택되면, 자동으로 피벗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comprising: an interface scr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ivot design screen) capable of configuring a pivot table only by reference items of a selected template when one template is finally selected from the retrieved templates; Wherein the pivot design screen comprises an area (or item display area) for displaying reference items of the template and an area for displaying selected reference ite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lection display area), and the selected reference The item area (or the selection display area) is divided into a column area, a row area, and a data area, and the report creating part automatically generates a pivot table when reference items are selected in the selection display area on the pivot design screen do.

또한, 본 발명은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쿼리 작성부는 상기 템플릿 검색부에서 입력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참조항목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쿼리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generating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wherein the query generator automatically generates a query statement by automatically selecting a reference item using a keyword input from the template search unit.

또한, 본 발명은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참조항목의 선택은 드래그앤드롭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the selection of the reference item is performed by a drag-and-drop metho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에 의하면, 과거에 생성된 테이블 관계 및 참조 항목 데이터를 템플릿으로 저장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듯이 입력하여 보고서 작성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 또는, 키워드 입력만으로 분석보고서를 제작할 수 있는 아주 쉬운 분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relationship and the reference item data generated in the past can be saved as a template and reus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ry easy analysis environment in which an analysis report can be produced only by inputting a service environment or a keywor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에 의하면,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큐브 데이터의 테이블 구조 등이 복잡하더라도, 종래 자주 사용하는 템플릿을 활용함으로써, 대용량 데이터를 손쉽고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able structure of the cube data storing the large-volume data is complicated,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quickly analyze large- Effect is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의 테이블 관계도 및 참조항목의 일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템플릿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테이블로 구성한 일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의 실시간 템플릿 검색 화면의 일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의 템플릿 검색 결과를 표시한 화면의 일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의 쿼리 디자인 화면의 일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의 디지인 화면에서 참조항목을 계층적인 폴더로 구성하는 화면의 일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의 피벗 디자인 화면의 일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의 피벗 보고서 화면의 일례.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ntir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able diagram of a tem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ample of a reference item.
FIG. 4 is an example in which a template is formed into a databas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ample of a real-time template search screen of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a template search result of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ample of a query design screen of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reference items are organized into hierarchical folders on a digital screen of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ample of a pivot design screen of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ample of a pivot report screen of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titi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30)은 네트워크 상의 서버 시스템으로 실시될 수 있다.First, an example of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server system on a network.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클라이언트(20), 작성지원 서버(30), 및 데이터 큐브(60)로 구성된다. 또한, 작성지원 서버(30)는 메타 템플릿 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60)를 추가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overall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lient 20, a creation support server 30, and a data cube 60. In addition, the creation support server 30 may be configured by adding a database 60 for storing data such as meta templates.

클라이언트(20)는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되는 클라이언트용 프로그램 시스템으로서, 웹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즉, 사용자는 웹브라우저 또는 웹브라우저와 같은 화면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온라인상으로 데이터 분석 처리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클라이언트(10)는 사용자의 명령 등을 입력받아 해당 명령을 수행하고, 처리 결과를 화면 상 또는 웹브라우저 상에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10)은 개인용 컴퓨터(PC), PDA, 스마트폰 등 컴퓨팅 기능을 가지는 컴퓨터 단말이다.The client 20 is a client program system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 and has a user interface through a web browser. That is, the user performs a data analysis processing operation on-line via a screen interface such as a web browser or a web browser. At this time, the client 10 receives a command or the like of the user, executes the command, and displays the processing result on the screen or the web browser. On the other hand, the user terminal 10 is a computer terminal having a computing function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a PDA, and a smart phone.

또한, 클라이언트(20)는 메타 템플릿 검색, 데이터 요청, 데이터 분석 등 온라인 상으로 분석 처리하는 작업을 작성지원 서버(30)에 요청하고, 그 결과를 서버(30)로부터 가져와서 웹브라우저 상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웹브라우저 상에 키워드 입력창이 표시되고, 해당 입력창에 키워드가 입력되면 해당 키워드에 의한 검색결과 리스트가 입력창의 콤보 박스 리스트로 표시된다.In addition, the client 20 requests the creation support server 30 to perform an analysis processing on an online basis such as a meta template search, a data request, and a data analysis, and obtains the result from the server 30 and displays it on the web browser do. For example, when a keyword input window is displayed on a web browser and a keyword is input in the input window, a search result list based on the keyword is displayed as a combo box list in the input window.

사용자 단말(10)과 작성지원 서버(3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0) 상의 클라이언트(20)는 온라인 상으로 분석보고서 작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 and the creation support server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network so that the client 20 on the user terminal 10 can perform an analysis report creation operation on-line.

다음으로, 작성지원 서버(30)는 온라인 분석 프로세싱(OLAP)을 처리하는 서버로서, 클라이언트(20)로부터 템플릿 검색, 데이터 분석 등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검색 또는 분석 요청을 처리하여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20)로 전송하는 서버이다.Next, the creation support server 30 is a server that processes online analysis processing (OLAP), receives a request for template search, data analysis, and the like from the client 20, processes the search or analysis request, To the client (20).

특히, 작성지원 서버(30)는 데이터를 요청하는 쿼리(또는 데이터 참조 질의문)를 이용하여, 데이터 큐브(60)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져온다. 쿼리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검색 또는 갱신 시 발생하는 질문 또는 문의를 기술하는 데이터 조작언어를 의미하며, 데이터베이스에서 쿼리는 일종의 명령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관계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적 질의 언어(Structured Query Language : 이하 SQL)의 형식으로 표현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SQL 이외의 형식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authoring support server 30 fetches data stored in the data cube 60 using a query (or a data reference query statement) requesting the data. A query is a data manipulation language that describes a question or inquiry that occurs when retrieving or updating data stored in a database. In a database, a query acts as a kind of command. It is expressed in the form of a structured query language (SQL) of a relational database, but in some cases, it may be expressed in a format other than SQL.

또한, 작성지원 서버(30)는 데이터 참조 질의를 작성하기 위해, 데이터 큐브(60)의 테이블(또는 DB테이블)들 간의 관계를 설정하여 정의하고, DB테이블의 참조 항목(또는 컬럼명) 등을 선택한다.In order to create a data reference query, the creation support server 30 establishes and defines a relationship between tables (or DB tables) in the data cube 60, and stores reference items (or column names) Select.

또한, 바람직하게는, 작성지원 서버(30)는 서버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40)를 구비한다. 데이터베이스(40)는 데이터 큐브의 데이터를 참조하기 위한 테이블 관계 및 참조 항목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 템플릿을 저장하는 템플릿DB(41), 검색된 템플릿 등 검색결과를 저장하는 검색결과DB(42), 템플릿을 기초로 구성된 참조 질의에 따라 데이터 큐브(60)에서 가져온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참조데이터DB(43)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reation support server 30 includes a database 40 for storing data used by the server. The database 40 includes a template DB 41 for storing a meta template representing information on a table relationship and reference items for referring to data of the data cube, a search result DB 42 for storing search results such as a searched template, And a reference data DB 43 for storing data fetched from the data cube 60 according to a reference query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reference query.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base 40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device, the database 40 may have a different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ease of access and retrieval, efficiency, and the like.

다음으로, 데이터 큐브(60)는 기업 등이 비즈니스를 하면서 쌓이는 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통상의 데이터 웨어하우스 또는 데이터 큐브로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DBMS를 구비하고, 데이터의 저장, 삭제, 검색 등의 작업들을 쿼리를 통해 수행한다. 특히, 데이터 큐브(60)는 상용화된 데이터베이스로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일반적인 쿼리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 쿼리 서비스를 수행한다. 특히, 데이터 큐브(60)는 빅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큐브(60)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로 구성될 수 있다.
Next, the data cube 60 is a normal data warehouse or data cube for storing big data accumulated by a company or the like during business, and has a DBMS for managing data, and stores data, Of the tasks are performed through the query. In particular, the data cube 60 is a commercialized database, and performs a data query service using a general query function for processing data. In particular, the data cube 60 is a database for storing big data. Also, preferably, the data cube 60 may be comprised of a relational database (RDB).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configuration of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30)은 템플릿 구성부(31), 템플릿 검색부(32), 쿼리 작성부(33), 및, 보고서 작성부(34)로 구성된다.2, the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late configuration unit 31, a template search unit 32, a query creation unit 33, And a report creating unit 34. [

템플릿 구성부(31)는 데이터 큐브(60)의 데이터를 참조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테이블 관계도 및 참조 항목을 템플릿(또는 메타)으로 구성하여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템플릿을 키워드로 검색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구축한다.The template constructing unit 31 constructs and stores a table relationship diagram and a reference item, which are created to refer to the data of the data cube 60, as templates (or meta). Preferably, the template is constructed in a database for searching by a keyword.

일실시예로서, 템플릿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수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분석부(34)에서 검색된 템플릿을 수정하여 데이터 큐브(60)의 데이터를 참조하기 위한 새로운 테이블 관계도 및 참조 항목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저장된 템플릿과 다른 형태의 테이블 관계도 및 참조 항목이 구성된다면, 이들 테이블 관계도 및 참조 항목들을 새로운 템플릿 데이터로 추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mplate data may be collected in real time. For example, a new table relationship diagram and a reference item for referring to data of the data cube 60 may be generated by modifying the retrieved template in the data analysis unit 34. [ At this time, if table relationships other than the stored templates and reference items are configured, these table relationships and reference items can be added as new template data.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템플릿 데이터는 다른 온라인 분석 프로세싱(OLAP)에서 만들어지는 테이블 관계도 및 참조 항목들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템플릿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the template data may be constructed by collecting data of table relationships and reference items created in other online analysis processing (OLAP).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직접 템플릿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직접 DB테이블을 선택하고 DB테이블 간의 조인 관계를 설정하고 참조할 항목들을 직접 선정하여, 템플릿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 사용자는 도 3의 예와 같이 A,B,C,D 4개의 테이블 관계를 설정하고, 참조항목을 <직위명>, <성명>, <주민번호1>, <기본급>, <수장>, <우편번호>, <주소_시도>, <주소_시군구>로 정의하여 템플릿을 구성하여 <인사 및 급여 정보>라는 템플릿의 이름으로 정하고 저장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user can directly generate the template data. That is, the user can directly select a DB table, establish a join relationship between the DB tables, and directly select items to be referred to, thereby forming a template. For example, the end user sets the table relationships of A, B, C, and D as in the example of Fig. 3, and sets the reference items as <title name>, <name>, < , "Address", "Address", "Address", and "Address_ City / Town", and stores the template as a template named "Personnel and Payroll Informa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템플릿 데이터는 데이터 큐브(60)를 참조하는 DB 쿼리문(예를 들어, SQL 문 등)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참조항목은 쿼리문의 참조 항목(예를 들어, SELECT문에 기재된 참조 항목들)으로부터 추출하고, 테이블 관계도는 상기 쿼리문에서 참조하는 DB테이블 및 그들 간의 필드 조건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Also, preferably, the template data may be extracted from a DB query statement (e.g., an SQL statement, etc.) that references the data cube 60. The reference item may be extracted from a reference item of the query statement (e.g., the reference items described in the SELECT statement), and the table relationship diagram may be extracted from the DB table referenced in the query statement and the field conditions therebetween.

템플릿 데이터는 테이블 관계도 및 참조 항목으로 구성된다.Template data consists of table relationships and reference items.

또한, 테이블 관계도는 DB테이블 및 조인(join) 관계로 구성된다. 테이블 관계도는 보통의 ERD(Entity-Relationship Diagram)과 유사하다. 다만, 특정한 목적의 데이터(데이터 큐브의 데이터)를 참조하기 위하여, DB테이블의 조인 관계를 미리 정의하여 자동으로 SQL을 생성할 수 있는 조인 관계를 설정해둔다.The table relationship diagram is composed of a DB table and a join relationship. Table relationships are similar to normal ERD (Entity-Relationship Diagram). However, in order to refer to data of a specific purpose (data of a data cube), a join relation capable of automatically generating SQL by defining a join relation of a DB table is set in advance.

DB테이블은 데이터 큐브(60)에 구성되는 테이블을 말한다. DB테이블은 통상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로서, 다수의 컬럼(또는 필드)들로 구성되고, DB테이블의 각 데이터는 각 필드의 값을 갖는다.The DB table refers to a table configured in the data cube 60. The DB table is a normal database table, which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lumns (or fields), and each data of the DB table has a value of each field.

조인 관계는 적어도 2개의 DB테이블 간의 조인(join)을 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DB테이블들의 필드들 간의 조건으로 표시된다. 조인 관계는 통상의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조인 관계로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A join relationship is a condition for joining between at least two DB tables, and is expressed as a condition between fields of DB tables. The join relationship is a join relationship in a normal databas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테이블 관계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3에서, 4개의 DB테이블로 구성된다. 즉, <직원(Employee)>, <급여(Salary)>, <주소(Address)>, 및 <직위(Work position)>의 4개의 DB테이블로 구성된다. 그리고 조인 관계는 <직원-급여>, <직원-주소>, <직원-직위> 사이에 각각 관계를 갖는다. <직원-급여> 관계에서는 사번 필드가 동일한 것을 조건으로 하고, <직원-주소> 관계에서는 주소코드 필드가 동일한 것으로 조건으로 하고, <직원-직위>는 직위코드 필드가 동일한 것을 조건으로 한다.Figure 3 illustrates a table relationship diagram. In Fig. 3, it is composed of four DB tables. That is, it is composed of four DB tables of <Employee>, <Salary>, <Address>, and <Work position>. And the relationship of joins has relationship between <staff-salary>, <staff-address>, and <staff-position>, respectively. In the <employee-salary> relationship, the employee field is the same, the <employee-address> relationship is the same in the address code field, and the <employee-position> is the same in the position code field.

참조 항목은 데이터 큐브(60)의 데이터를 참조하기 위한 항목들로서, DB테이블의 필드 항목과, 상기 필드 항목들을 가공하여 획득하는 파생 항목들로 구성된다. 즉, 참조 항목은 사용자가 참조 항목으로 선택한 테이블들의 컬럼명, 또는 사용자가 컬럼명 등을 이용하여 정의한 참조 항목(파생 항목)으로 구성된다.Reference items are items for referring to data in the data cube 60, and are made up of field items of the DB table and derived items obtained by processing the field items. That is, the reference item is composed of a column name of a table selected by the user as a reference item, or a reference item (derived item) defined by a user using a column name or the like.

한편, 참조 항목은 차원(dimension) 형식과 측정값(measure) 형식으로 구분된다. 바람직하게는, 참조 항목(또는 컬럼)의 값이 문자인 경우 차원 형식으로 지정하고, 참조 항목의 값이 숫자인 경우 측정값 형식으로 지정한다.On the other hand, reference items are classified into a dimension type and a measure type. Preferably, if the value of the reference item (or column) is a character, it is designated as a dimension type, and if the value of the reference item is a number, it is designated as a measurement value type.

OLAP의 큐브(cub) 정의 혹은 DW(Datawarehouse)에서 테이블의 각 컬럼들은 차원(Dimension)과 측정값(Measure) 형식으로 사전에 분류되어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차원은 구조화 된 라벨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 큐브(60)에 DB테이블의 필드(또는 컬럼)에 대하여 사전에 차원 형식 또는 측정값 형식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설정에 따라 참조항목의 형식이 설정된다.Each column of a table in an OLAP cube definition or DW (Datawarehouse) can be pre-categorized in the form of dimension and measure. In particular, dimensions provide structured label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f the field (or column) of the DB table is set in the form of a dimension or measurement value in advance in the data cube 60, the format of the reference item is set according to the setting.

한편, 측정값은 정렬되지 않은 수치 값을 의미한다. 모든 경우에 문자열 값이 차원이 되거나, 숫자 값이 측정값이 되는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품번호라는 항목이 숫자 값이나, 차원 형식으로 분류된다. 또, 문자열 항목을 카운트(count)할 경우(예를 들어 등록 사용자수는 사용자명 count), 측정값 형식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자동으로 분류하는 기준이 문자열 또는 숫자이며,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해당 참조 항목의 형식이 보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asured value means an unaligned numerical value. In all cases, the string value is not a dimension, or a numeric value is not a measure. For example, an item called a product number is classified as a numerical value or a dimension type. In addition, when a string item is counted (for example, the number of registered users is a user name count), it should be classified in the measurement value format. The criterion to automatically classify is string or number, and the format of the reference item can be corrected by the user or the administrator.

도 3의 예를 참조하면, 컬럼명 <직위명>, <성명>, <주민번호1>, <년월>, <우편번호>, <주소_시도>, <주소_시군구>는 차원 형식의 항목이고, 컬럼명 <기본급>, <수당>은 측정값 형식의 항목이다.3, column names <title name>, <name>, <citizen number 1>, <date>, <postal code>, <address_try>, and <address_state> , Column name <base rate>, and <allowance> are items of the measurement value format.

참조항목을 차원(Dimension) 형식과 측정값(Measure) 형식으로 나누는 이유는 차원 별로 측정값이 그룹(aggregation)이 되기 때문이다. 참조항목의 정의에서 측정값 형식의 참조항목들은 그룹 함수(Aggregation function) 속성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그룹 함수란 sum, min, max, avg, count, distinct count 등을 말한다. 또한, 피벗테이블에서 데이터 영역은 그룹 함수에 의하여 계산된 값이 표시된다.The reason for dividing a reference item into a dimension type and a measure type is that the measurement value becomes an aggregation for each dimension. In the definition of the reference item, the reference items of the measure type have the attribute of the aggregation function. Here, the group function refers to sum, min, max, avg, count, distinct count, and so on. Also, the data area of the pivot table displays the value calculated by the group function.

예를 들어, 2개의 차원 형식의 참조항목이 1개의 측정값 형식의 참조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쿼리문(SQL)은 아래와 같이 생성된다.For example, if a reference item of two dimensional form selects a reference item of one measure type, the query statement (SQL) is generated as follows.

[쿼리문 2][Query statement 2]

Select dim1, dim2 sum(measure) from table Select dim1, dim2 sum (measure) from table

Group by dim1, dim2
Group by dim1, dim2

도 3의 예시에서, <인사및급여정보> 템플릿의 경우, <기본급> 측정값 참조항목 하나만 선택할 경우, 결과 데이터는 전직원의 기본급이 되고, 성명(차원), 기본급(측정값)을 선택할 경우, 성명별 기본급 합계가 된다. 또한, 성명(차원), 년월(차원), 기본급(측정값)을 선택할 경우, 성명별, 년월별의 기본급 데이터가 조회 될 수 있다.
In the example of FIG. 3, in the case of the <personnel and salary information> template, when only one <reference base> measurement reference item is selected, the result data becomes the base salary of all employees, and when the name (dimension) It becomes base sum sum by name. In addition, when the name (dimension), the year and month (dimension), and the basic level (measurement value) are selected, base rate data for each name and month can be retrieved.

한편, 데이터 큐브의 데이터를 참조하기 위한 쿼리에서 참조된 컬럼들만 참조 항목으로 선정된다. 즉, DB테이블의 모든 컬럼이 참조 항목으로 설정되지 않는다. 도 3의 예에서, 참조 항목은 DB테이블에서 체크 표시된 필드들, 즉, <직위명>, <성명>, <주민번호1>, <년월>, <우편번호>, <주소_시도>, <주소_시군구>, <기본급>, <수당> 등만으로 선정된다. <직원(Employee)> 테이블의 <주민번호2>, <입사일자>, <부서코드> 등은 참조 항목으로 선정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only the columns referenced in the query to refer to the data in the data cube are selected as reference items. That is, not all columns of the DB table are set as reference items. In the example of FIG. 3, the reference items include the checkmarked fields in the DB table, i.e., <name name>, <name>, <resident number 1>, <month>, <postal code>, < _ City / county, <base rate>, <allowance>. <Subscriber number 2>, <Incident date>, <Department code> in the <Employee> table are not selected as reference items.

다음으로, 파생 항목은 DB테이블의 컬럼(또는 필드)들에 대한 연산으로 테이블 내에 없는 항목을 파생으로 만들어 낸 것을 말한다. 파생 항목도 하나의 참조 항목으로서, 차원 형식과 측정값 형식으로 구분된다.Next, a derived item is an operation on a column (or fields) of a DB table to generate an item that is not in the table as a derived item. A derived item is also a reference item, which is divided into a dimension format and a measurement format.

차원값 형식으로 파생시킨 참조항목의 예로서, <기간> 테이블 내에 <년월> 이라는 컬럼이 존재 할 경우, 다음과 같이, <년도>, <월> 등을 파생 항목으로 만들 수 있다.As an example of a reference item derived from a dimension value type, if there is a column of <year month> in the <period> table, it is possible to make <year>, <month>, etc. as a derivative item as follows.

<년도> : substr(<년월>, 1,4)  <Year>: substr (<month>, 1,4)

<월> : substr(<년월>,5,2) <Month>: substr (<month>, 5,2)

또한, 측정값 형식으로 파생시킨 참조항목의 예로서, 계산식을 이용한 참조항목들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B테이블에 <생산량>, <처리량> 컬럼이 존재 할 경우, <실수율> 컬럼을 계산식을 통해 파생 항목으로 생성할 수 있다.Also, as an example of a reference item derived from a measurement value format, reference items using a calculation formula can be generated. For example, if there is a <volume> and <throughput> column in the DB table, you can create a <fault rate> column as a derived item through a formula.

<실수율> : <생산량> / <처리량> * 100
<Rate of error>: <Production> / <Throughput> * 100

바람직하게는, 템플릿 구성부(31)는 템플릿의 참조 항목들을 테이블로 구성하여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템플릿의 참조항목 테이블은 템플릿의 이름인 템플릿명, 참조항목의 이름인 참조항목명, DB테이블의 이름인 테이블명, 테이블 내의 참조 필드인 컬럼명, 차원/측정값 형식을 나타내는 형식, 계산식을 이용하는 파생항목인 경우 해당 계산식을 표시하는 수식 등으로 구성된다.Preferably, the template constructing unit 31 constructs and stores reference items of the template as a tabl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reference item table of the template includes a template name which is the name of the template, a reference item name which is the name of the reference item, a table name which is the name of the DB table, A form representing a value type, and a formula representing a corresponding calculation form in the case of a derivative item using a calculation formula.

바람직하게는, 파생 항목의 수식(Formula) 속성으로 저장한다. 저장된 수식은 추후 템플릿을 재활용할 때, 자동으로 쿼리문(SQL)을 생성할 때 그대로 이용된다. 한편, 수식은 SQL 문법 그대로의 수식을 사용 할 수도 있고, 표준화된 수식으로 관리하여 데이터 큐브(또는 데이터베이스)의 종류에 맞는 쿼리문(SQL)으로 자동 변경할 수도 있다. DB 종류별로 제공되는 함수(function)의 문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substring 함수가 오라클(상표 ORACLE)에서는 SUBSTR, MS-SQL에서는 MID로 서로 다를 수 있다.
Preferably, it is stored as a Formula attribute of the derived item. The stored formula is used as it is when you automatically generate the query (SQL) when you later recycle the template. On the other hand, formulas can be SQL grammatical formulas, or they can be managed with standardized formulas and automatically changed into SQL statements that match the type of data cube (or database). This is because the syntax of the functions provided for each type of DB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the substring function may be different for SUBSTR in Oracle (trademark ORACLE) and MID in MS-SQL.

다음으로, 템플릿 검색부(32)는 입력된 키워드에 의해 템플릿을 검색하여, 검색된 템플릿들을 표시한다.Next, the template search unit 32 searches the template by the inputted keyword, and displays the searched templates.

템플릿 검색부(32)는 템플릿의 템플릿의 이름, 참조항목의 이름, DB테이블의 이름, 파생항목이 참조하는 DB테이블의 컬럼의 이름 등을 대상으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한다. 각 이름들과 키워드의 매치 여부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한다. 매칭 방법은 통상의 키워드 검색 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키워드 매칭 시 유사어 매칭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template retrieving unit 32 performs keyword retrieval on the names of the template of the template, the name of the reference item, the name of the DB table, the name of the column of the DB table referenced by the derived item, and the like. Perform keyword search by matching each name and keyword. The matching method uses a normal keyword search method. For example, a similarity matching method may be applied in keyword matching.

또한, 템플릿 검색부(32)는 입력된 키워드에 의해 복수 개의 템플릿들을 검색한 경우, 템플릿들을 사전에 정해진 우선순위에 의하여 높은 우선순위 순서로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한다.When a plurality of templates are searched by the input keyword, the template searching unit 32 displays the search result list in a high priority order by using a predetermined priority order.

바람직하게는, 키워드가 매칭되는 대상이 템플릿의 이름인 경우 다른 대상(예를 들어, 참조항목의 이름 등) 보다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한다.Preferably, when the target to which the keyword is matched is the name of the template, the priority is set to be higher than other targets (e.g., names of reference items).

또한, 다수의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매칭되는 키워드들이 많을수록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년월>, <영업조직명> 이라고 2개 이상의 키워드로 검색할 경우에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참조 항목을 모두 포함하는 템플릿을 우선순위로 추천하여 표시한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keywords are input, priority is set higher as the number of matching keywords increases. For example, when searching for two or more keywords such as <year month> and <sales organization name>, a template including all the reference items corresponding to the keywords is recommended as a priority and displayed.

또한, 검색된 템플릿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회된 횟수(또는 조회수)가 많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진다. 키워드를 모두 포함하는 템플릿이 여러 개일 경우 사용자가 많이 조회한 템플릿을 우선순위로 정렬하여 표시한다.In addition, the higher the number of times (or the number of views) the user has viewed from the searched templates, the higher the priority. If there are multiple templates that contain all the keywords, the most frequently viewed templates are sorted in order of priority.

한편, 템플릿 검색부(32)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검색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즉, 템플릿의 이름, 참조항목의 이름, DB테이블의 이름, DB테이블의 컬럼의 이름 등의 검색 대상 중 일부에 대해서만 검색할 것을 선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mplate search unit 32 can select a search target by the input of the user. Namely, it is possible to select only a part of the objects to be searched, such as the name of the template, the name of the reference item, the name of the DB table, and the name of the column of the DB table.

이때, 키워드가 테이블의 컬럼명일 경우 해당 컬럼명을 파생하여 참조하는 참조항목명을 추천하여 준다. 테이블 명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해당 테이블 내의 컬럼을 참조하는 참조 항목명을 추천 리스트로 표시한다.At this time, if the keyword is a column name of the table, it derives the column name and recommends the reference item name to be referred to. When the table name is targeted, the reference item name referring to the column in the corresponding table is displayed as a recommendation list.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템플릿 검색부(32)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웹 상의 입력창에 키워드가 입력될 때, 입력창에 검색결과 리스트가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처음 <년>을 입력하면 다른 사용자들이 검색한 이력을 바탕으로 가장 많이 조회한 템플릿에 포함되는 템플릿명을 우선순위로 정렬하여 추천하여 준다.As shown in FIG. 5, the template search unit 32 may display a search result list in real time when a keyword is input to the input window on the web in the user terminal 10, in an input window. In the example of FIG. 5, when the first <year> is input, template names included in the template most searched based on the search history of other users are sorted and prioritized in order of priority.

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템플릿 검색부(32)는 키워드가 모두 입력되고 최종적으로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검색 결과로서 템플릿별로 구분하여, 템플릿명과 참조항목명을 표시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6, if all of the keywords are input and the search command is finally input, the template search unit 32 can display the template name and the reference item name by dividing the search result into the templates.

또한, 바람직하게는, 템플릿 검색부(32)는 키워드 대신 사용자가 원하는 질의 문장을 입력받고, 상기 질의 문장을 형태소 분석을 통해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템플릿 검색부(32)는 상기 질의 문장을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석인식을 통해 텍스트 문장으로 변환하여 분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late search unit 32 may receive the query sentence desired by the user instead of the keyword, and may extract the keyword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query sentence. More preferably, the template search unit 32 can receive the query sentence as a voice, convert it into a text sentence through parsing, and analyze the sentence.

예를 들어, “2013년도 지역별 제품별 판매실적 정보” 라는 질의문장이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때 질의문장은 텍스트 또는 음성으로도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질의문장을 형태소 분석으로 <2013>, <년도>, <2013년도>, <지역>, <제품>, <판매>, <판매실적> 등의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a case in which a query sentence of &quot; information on sales performance by region by region 2013 &quot; is input is described. At this time, the query sentence can be recognized as text or voice. Keywords such as <2013>, <year>, <2013>, <region>, <product>, <sale>, and <sales performance> can be extracted by the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query sentence.

다음으로, 쿼리 작성부(33)는 검색된 템플릿 중에서 최종적으로 하나의 템플릿이 선택되면, 선택된 템플릿의 참조항목만으로 쿼리를 구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이하 쿼리디자인 화면)을 표시한다. 특히, 쿼리디자인 화면은 드래그앤드롭(drag & drop) 방식에 의한 인터페이스를 갖는다.Next, when one template is finally selected from among the retrieved templates, the query creating unit 33 displays an interface scr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query design screen) capable of configuring a query based only on the reference items of the selected template. In particular, the query design screen has a drag-and-drop interface.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쿼리디자인 화면은 템플릿의 참조항목들을 표시하는 영역(이하 항목표시 영역)과, 선택된 참조항목들을 표시하는 영역(이하 선택표시 영역)으로 구성된다. 선택된 참조항목 영역(또는 선택표시 영역)은 차원 형식(차원 영역)과 측정값 형식(또는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선택된 참조항목의 영역에는 필터링으로 선택되는 참조항목을 표시하는 필터 영역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query design screen comprises an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tem display area) for displaying reference items of the template and an area for displaying selected reference ite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lection display area). The selected reference item area (or selection display area) is divided into a dimension type (dimension area) and a measurement value format (or data area). Preferably, the area of the selected reference item further comprises a filter area indicating a reference item selected by filtering.

쿼리디자인 화면에서, 드래그앤드롭 방식에 의하여 항목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참조항목들이 선택되어, 선택표시 영역에 선택된 참조항목들이 표시된다.In the query design screen, the reference items displayed in the item display area are selected by the drag and drop method, and the reference items selected in the selection display area are displayed.

쿼리 작성부(33)는 쿼리디자인 화면에서 선택표시 영역에 참조항목들이 선택되면, 자동으로 쿼리문을 생성한다.When the reference items are selected in the selection display area on the query design screen, the query creation unit 33 automatically generates a query statement.

특히, 쿼리 작성부(33)는 템플릿 검색부(32)에서 입력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쿼리문을 자동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입력된 키워드를 포함하거나 유사한 참조항목을 검색하고, 검색된 참조항목을 자동으로 선택한다.In particular, the query creation unit 33 can automatically generate a query statement using the keyword input by the template search unit 32. [ That is, it includes the input keyword, searches for similar reference items, and automatically selects the retrieved reference items.

예를 들어, 템플릿 검색부(32)에서 사용자가 <성명>, <년월>, <기본급>을 입력한 경우를 설명한다. 해당 키워드를 참조항목으로 가지고 있는 테이블 관계의 템플릿을 가지고, 자동으로 쿼리문(SQL)이 생성된다. 이때 참조항목의 속성으로 템플릿에 정의 된 차원, 측정값, 그룹함수를 기준으로 그룹핑 되어 데이터 건수를 차원의 고유 값으로 최소화 하여 데이터 큐브에 데이터를 조회하여 보고서를 작성한다. SQL문에 필요한 조인(join) 구문은 테이블 관계의 템플릿에 수백 개의 테이블이 정의 되어 있더라도, 선택한 참조항목들을 가지고 있는 테이블만 관계 템플릿의 관계도에서 최소 스패닝(Minimum spanning tree) 알고리즘으로 테이블 간 최소의 조인(join)으로 SQL이 생성된다.For example, the case where the user inputs <name>, <month month>, and <base rate> in the template search unit 32 will be described. A query (SQL) is automatically generated with a template of the table relation having the keyword as a reference item. At this time, attributes of the reference items are grouped based on the dimension, measurement value, and group function defined in the template, and the data is searched for in the data cube by minimizing the number of data to the unique value of the dimension. The join syntax required for an SQL statement requires that only the table with the selected reference items be indexed by the minimum spanning tree algorithm in the relationship diagram of the relation template even if several hundred tables are defined in the table relation template SQL is generated as a join.

도 7의 예에서, 템플릿의 테이블 관계도에 의해 아래와 같은 자동으로 쿼리문(SQL)이 자동 생성되어 데이터 큐브(60)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조회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 7, a query statement (SQL) is automatically generated automatically as shown below according to the table relationship diagram of the template, and the data of the data cube 60 can be automatically inquired.

[쿼리문][Query statement]

SELECT B.성명, C.년월, sum(C.기본급) from F_employee B, F_SALARY CSELECT B. Name, C. Year, sum (C. Basic) from F_employee B, F_SALARY C

Where b.사번 = c.사번Where b.

Group by B.성명, C.년월Group by B. Name, C. Year

또한, 앞서 템플릿 검색부(32)에서 "2013년도 지역별 제품별 판매실적 정보" 의 내용으로 키워드 검색 요청을 받은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상기 질의 문장을 형태소 분석으로 참조항목을 분류하여 <2013년도>는 <년월>을 필터 항목으로 선택한 후 필터 조건을 <2013년>으로 설정하고, <지역>, <제품>을 차원항목으로, <판매실적>을 측정값 항목을 가지고 있는 테이블관계의 템플릿을 검색하여 분석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It is assumed that the keyword search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template search unit 32 with the contents of "sales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by region 2013 &quot;. The reference item is classified by the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query sentence, and the year 2013 is selected as the filter item, the filter condition is set as the year 2013, the <region> and <product> You can create an analysis report by searching for a table-related template that has a measurement value item.

또한, 쿼리디자인 화면의 항목표시 화면에는 템플릿의 참조항목만 표시가 된다. 즉, 참조항목을 포함하는 DB테이블 내의 참조항목 외의 다른 컬럼명들은 표시되지 않는다. 이것은 DB테이블 내에서 최종 사용자에게 공개하지 말아야 하는 정보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해 데이터 보안이 강화될 수 있다.In addition, only the reference items of the template are displayed on the item display screen of the query design screen. That is, column names other than the reference items in the DB table including the reference item are not displayed. This is because there may be information in the DB table that should not be disclosed to the end user. That is, data security can be enhanced by the present invention.

템플릿의 참조항목은 실제 테이블에는 존재 하지 않는 논리적 묶음(폴더)으로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항목 선택을 하기 쉽도록 분리하여 표시해 주는 기능도 포함될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 <Dimension>, <조직>, <기간>, <상품>, <담보> 등의 논리적 그룹을 폴더형태로 나누어 참조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The reference items of the template may be hierarchically organized into a logical bundle (folder) that does not exist in the actual table, and may include a function of separating and displaying the item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items. In the example of FIG. 8, logical groups such as <Dimension>, <organization>, <period>, <product>, and <security> are divided into folders and provided to the user so that reference items can be selected.

다음으로, 보고서 작성부(34)는 검색된 템플릿 중에서 최종적으로 하나의 템플릿이 선택되면, 선택된 템플릿의 참조항목만으로 피벗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이하 피벗디자인 화면)을 표시한다. 특히, 피벗디자인 화면은 드래그앤드롭(drag & drop) 방식에 의한 인터페이스를 갖는다.Next, when one template is finally selected from among the searched templates, the report creating unit 34 displays an interface scr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ivot design screen) capable of configuring a pivot table based only on the reference items of the selected template. In particular, the pivot design screen has a drag-and-drop interface.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벗디자인 화면은 템플릿의 참조항목들을 표시하는 영역(또는 항목표시 영역)과, 선택된 참조항목들을 표시하는 영역(이하 선택표시 영역)으로 구성된다. 선택된 참조항목 영역(또는 선택표시 영역)은 컬럼 영역, 행 영역,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된다. 또는 추가적으로 페이지 영역으로 더 구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pivot design screen comprises an area (or item display area) for displaying reference items of the template and an area for displaying selected reference ite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lection display area). The selected reference item area (or selection display area) is divided into a column area, a row area, and a data area. Or further into page areas.

페이지 영역에 선택한 참조 항목의 값은, 현재 표시된 행, 열, 데이터 영역에 표시된 값을 필터링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년월” 참조 항목을 페이지 영역에 배치할 경우, 페이지 영역에서 “2013년12월”을 선택해서 해당 년월의 데이터만 확인 하는 기능을 하며, 이 기능은 엑셀 피벗테이블의 페이지 영역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이다.
The value of the selected reference item in the page area provides the ability to filter the values displayed in the currently displayed row, column, and data area. For example, if you place the "month" reference item in the page area, you can select "December 2013" in the page area to check only the data of the corresponding month. .

피벗디자인 화면에서, 드래그앤드롭 방식에 의하여 항목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참조항목들이 선택되어, 선택표시 영역에 선택된 참조항목들이 표시된다.In the pivot design screen, the reference items displayed in the item display area are selected by the drag and drop method, and the reference items selected in the selection display area are displayed.

컬럼 영역, 행 영역, 데이터 영역은 피벗테이블에서 각각 컬럼, 행, 데이터의 필드에 대응된다. 즉, 컬럼 영역, 행 영역, 데이터 영역으로 선택된 참조항목들이 각각 피벗테이블의 컬럼, 행, 데이터 필드로 정해진다. 피벗 테이블은 통상의 피벗 테이블(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엑셀에서의 피벗 테이블 등) 방법을 사용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The column area, the row area, and the data area correspond to columns, rows, and data fields, respectively, in the pivot table. That is, the reference items selected as the column area, the row area, and the data area are defined as columns, rows, and data fields of the pivot table, respectively. Since the pivot table uses a normal pivot table (for example, a pivot table in Microsoft's Excel) metho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때, 컬럼 영역 및 행 영역에는 차원 형식의 참조항목만 선택되어 표시될 수 있고, 데이터 영역에는 측정값 형식의 참조항목만 선택되어 표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only the reference items of the dimensional format can be selected and displayed in the column area and the row area, and only the reference items of the measurement value format can be selected and displayed in the data area.

보고서 작성부(34)는 피벗디자인 화면에서 선택표시 영역에 참조항목들이 선택되면, 자동으로 피벗테이블 또는 피벗보고서를 생성한다. 피벗 보고서의 예가 도 10에 도시되고 있다.The report creating unit 34 automatically generates a pivot table or a pivot report when reference items are selected in the selection display area on the pivot design screen. An example of a pivot report is shown in FIG.

사용자가 선택한 참조항목 중 측정값 형식의 참조항목은 데이터 영역에 자동 배치되고, 차원항목 값 중 2개는 행영역, 1개는 열영역, 나머지 차원은 페이지 영역으로 자동 배치한다. 그리고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피벗 보고서를 자동 생성한다.Among the reference items selected by the user, reference items of the measurement type are automatically arranged in the data area, and two of the dimension item values are automatically arranged in the row area, one in the column area and the remaining dimensions in the page area. With this arrangement, a pivot report is automatically generated.

자동생성 이후에는 기존에 다른 툴들이 제공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배치로 변경하여 OLAP 분석을 할 수 있다. 이후 신규 항목을 추가하여 분석 하고 싶을 경우, 편집 모드로 변경하면, 기존에 키워드로 검색하여 자동 배치된 참조항목 표시 영역(표시창)이 나타나 참조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After automatic generation, OLAP analysis can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layout to a desired layout by using a method provided by other tools. If you want to add a new item and analyze it later, you can change it to edit mode, and you can search for a keyword and add a reference item by automatically displaying a reference item display area (display window).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concretely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사용자 단말 20 : 클라이언트
30 : 작성지원 서버 31 : 템플릿 구성부
32 : 템플릿 검색부 33 : 데이터 구성부
34 : 데이터 분석부
40 : 데이터베이스 41 : 템플릿DB
42 : 검색결과DB 43 : 참조데이터DB
60 : 데이터 큐브
10: user terminal 20: client
30: creation support server 31:
32: template search unit 33: data construction unit
34: Data analysis section
40: Database 41: Template DB
42: Search result DB 43: Reference data DB
60: Data Cube

Claims (12)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큐브와 연결되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큐브의 데이터를 참조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테이블 관계도 및 참조 항목을 템플릿으로 구성하여 저장하는 템플릿 구성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에 의해 템플릿을 검색하여, 검색된 템플릿들을 표시하는 템플릿 검색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 관계도는 상기 데이터 큐브의 DB테이블과, DB테이블 간의 조인 관계로 구성되고, 상기 참조항목은 상기 DB테이블의 필드 항목과 상기 필드 항목들에 의해 정의되는 파생 항목으로 구성되고,
상기 템플릿 검색부는 상기 템플릿의 이름, 상기 DB테이블의 이름, 상기 참조항목의 이름, 상기 참조항목을 정의하는 필드 항목의 이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대상으로 상기 키워드에 의한 검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
A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installed with a client and connected to a data cube storing data, the system comprising:
A template constructing unit for constructing and storing a table relationship diagram and a reference item created for referring to data of a data cube as a template; And
And a template search unit for searching for a template by a keyword inputted by the client and displaying the searched templates,
Wherein the table relationship diagram is constituted by a join relationship between a DB table of the data cube and a DB table, the reference item is composed of a field item of the DB table and a derivation item defined by the field items,
Wherein the template search unit searches for the keyword based on at least one of a name of the template, a name of the DB table, a name of the reference item, and a name of a field item defining the reference item Template 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구성부는 온라인 분석 프로세싱(OLAP)에서 만들어지는 테이블 관계도 및 참조 항목들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템플릿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late constructing unit forms the template by collecting data of a table relationship diagram and reference items created in online analysis processing (OL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구성부는 온라인 분석 프로세싱(OLAP)에서 만들어지는 쿼리문으로부터 상기 템플릿을 구성하되, 상기 쿼리문의 참조 항목으로부터 상기 템플릿의 참조항목을 추출하고, 상기 쿼리문에서 참조하는 DB테이블 및 그들 간의 필드 조건으로부터 상기 템플릿의 테이블 관계도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late constructing unit is configured to construct the template from a query sentence generated in online analysis processing (OLAP), extract a reference item of the template from a reference item of the query query, and generate a DB table referenced in the query statement, Extracts a table relationship diagram of the template from the template-based online analysis report creation suppor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검색부는 복수 개의 템플릿들을 검색한 경우, 템플릿들을 사전에 정해진 우선순위에 의하여 높은 우선순위 순서로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late search unit displays a search result list in a high priority order by a predetermined priority order when the plurality of templates are search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검색부는 상기 키워드가 매칭되는 대상이 템플릿의 이름인 경우 다른 대상 보다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조회된 횟수가 많을수록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하거나, 다수의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매칭되는 키워드들이 많을수록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emplate search unit may set the priority of the template to be higher than the other candidates when the keyword matches the template, or may set the priority to be higher as the number of times viewed by the user increases, or may be matched when a plurality of keywords are input Wherein the priority level is set higher as the number of keywords increa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검색부는 키워드 대신 질의 문장을 입력받아 형태소 분석을 통해 상기 질의문장에서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late search unit receives a query sentence instead of a keyword and extracts a keyword from the query sentence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항목은 차원 형식과 측정값 형식으로 분류되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item is defined by being classified into a dimension format and a measurement value format.
제7항에 있어서,
검색된 템플릿 중에서 최종적으로 하나의 템플릿이 선택되면, 선택된 템플릿의 참조항목만으로 쿼리를 구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이하 쿼리디자인 화면)을 표시하는 쿼리작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쿼리디자인 화면은 템플릿의 참조항목들을 표시하는 영역(이하 항목표시 영역)과, 선택된 참조항목들을 표시하는 영역(이하 선택표시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쿼리작성부는 상기 쿼리디자인 화면에서 선택표시 영역에 참조항목들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표시 영역의 참조항목들을 참조하는 쿼리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query creating unit for displaying an interface scr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query design screen) in which a query can be composed only of the reference items of the selected template when one template is finally selected from the retrieved templates,
The query design screen is composed of an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tem display area) for displaying reference items of a template and an area for displaying selected reference ite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lection display area)
Wherein the query creating unit automatically generates a query statement that refers to the reference items in the selection display area when the reference items are selected in the selection display area on the query design scree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작성부는 선택된 참조항목 중에서 차원 형식의 참조항목에 대하여 상기 쿼리문에서 그룹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query creating unit sets a reference item of a dimension type among the selected reference items as a group in the query statement.
제9항에 있어서,
검색된 템플릿 중에서 최종적으로 하나의 템플릿이 선택되면, 선택된 템플릿의 참조항목만으로 피벗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이하 피벗디자인 화면)을 표시하는 보고서 작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벗디자인 화면은 상기 템플릿의 참조항목들을 표시하는 영역(또는 항목표시 영역)과, 선택된 참조항목들을 표시하는 영역(이하 선택표시 영역)으로 구성되고, 선택된 참조항목 영역(또는 선택표시 영역)은 컬럼 영역, 행 영역,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보고서 작성부는 상기 피벗디자인 화면에서 선택표시 영역에 참조항목들이 선택되면, 자동으로 피벗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report creator for displaying an interface scr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ivot design screen) capable of configuring a pivot table based on only the reference items of the selected template when one template is finally selected from the searched templates,
The pivot design screen comprises an area (or item display area) for displaying reference items of the template and an area for displaying selected reference ite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lection display area), and a selected reference item area A column region, a row region, and a data region,
Wherein the report creating unit automatically generates a pivot table when reference items are selected in the selection display area on the pivot design scree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 작성부는 상기 템플릿 검색부에서 입력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참조항목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쿼리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query creating unit automatically generates a query statement by automatically selecting a reference item using the keyword input from the template searching unit.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항목의 선택은 드래그앤드롭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 온라인 분석보고서 작성 지원 시스템.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10,
Wherein the selection of the reference item is performed by a drag-and-drop method.
KR1020140043032A 2014-04-10 2014-04-10 A templet-based online composing system for analyzing reports or views of big data by providing past templets of database tables and reference fields Active KR1015058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032A KR101505858B1 (en) 2014-04-10 2014-04-10 A templet-based online composing system for analyzing reports or views of big data by providing past templets of database tables and reference fiel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032A KR101505858B1 (en) 2014-04-10 2014-04-10 A templet-based online composing system for analyzing reports or views of big data by providing past templets of database tables and reference fiel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858B1 true KR101505858B1 (en) 2015-03-26

Family

ID=5302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032A Active KR101505858B1 (en) 2014-04-10 2014-04-10 A templet-based online composing system for analyzing reports or views of big data by providing past templets of database tables and reference fiel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858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324B1 (en) * 2015-03-05 2016-08-03 주식회사 세중에스앤씨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printing of printed document for a large number of printing
KR101829198B1 (en) * 2016-08-29 2018-02-19 (주)비아이매트릭스 A metadata-based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system for analyzing importance of reports
WO2018139778A1 (en) * 2017-01-24 2018-08-02 김훈 Numeric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enabling numerical information search
KR20200010645A (en) * 2018-06-27 2020-01-31 (주)이지서티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big data
CN110751998A (en) * 2019-10-23 2020-02-04 北京赛迈特锐医疗科技有限公司 Query system and query method based on structured report data
KR102271124B1 (en) * 2019-12-23 2021-06-30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results
KR102336813B1 (en) * 2020-09-18 2021-12-08 주식회사 아미크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separating organization data according to business division
CN116881311A (en) * 2023-04-20 2023-10-13 卡斯柯信号有限公司 A method for generating engineering drawings of fully electronic interlocking systems
CN117056343A (en) * 2023-10-11 2023-11-14 湖北华中电力科技开发有限责任公司 Multi-source data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in power grid fiel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7216327A (en) * 2023-10-10 2023-12-12 广州红海云计算股份有限公司 Data analysis system based on visual data relationship
KR102835032B1 (en) * 2024-09-11 2025-07-17 쿠팡 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4570A (en) 2005-09-27 2007-04-12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Database usage system
KR20110126824A (en) * 2010-05-18 2011-11-24 주식회사 온더아이티 Template-based knowledge repository for efficient search
KR20130107612A (en) * 2012-03-22 2013-10-0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Method for providing database management and the database management server there of
KR20140140154A (en) * 2013-05-28 2014-12-0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4570A (en) 2005-09-27 2007-04-12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Database usage system
KR20110126824A (en) * 2010-05-18 2011-11-24 주식회사 온더아이티 Template-based knowledge repository for efficient search
KR20130107612A (en) * 2012-03-22 2013-10-0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Method for providing database management and the database management server there of
KR20140140154A (en) * 2013-05-28 2014-12-0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324B1 (en) * 2015-03-05 2016-08-03 주식회사 세중에스앤씨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printing of printed document for a large number of printing
KR101829198B1 (en) * 2016-08-29 2018-02-19 (주)비아이매트릭스 A metadata-based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system for analyzing importance of reports
WO2018139778A1 (en) * 2017-01-24 2018-08-02 김훈 Numeric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enabling numerical information search
US11354519B2 (en) 2017-01-24 2022-06-07 Hoon Kim Numeric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enabling numerical information search
KR20200010645A (en) * 2018-06-27 2020-01-31 (주)이지서티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big data
KR102099157B1 (en) * 2018-06-27 2020-04-09 (주)이지서티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big data
CN110751998A (en) * 2019-10-23 2020-02-04 北京赛迈特锐医疗科技有限公司 Query system and query method based on structured report data
KR102271124B1 (en) * 2019-12-23 2021-06-30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results
WO2022059940A1 (en) * 2020-09-18 2022-03-24 주식회사 아미크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separating organizational data following demerger
KR102336813B1 (en) * 2020-09-18 2021-12-08 주식회사 아미크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separating organization data according to business division
US11500896B2 (en) 2020-09-18 2022-11-15 Armiq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separating organization data according to business division
CN116881311A (en) * 2023-04-20 2023-10-13 卡斯柯信号有限公司 A method for generating engineering drawings of fully electronic interlocking systems
CN117216327A (en) * 2023-10-10 2023-12-12 广州红海云计算股份有限公司 Data analysis system based on visual data relationship
CN117216327B (en) * 2023-10-10 2024-02-23 广州红海云计算股份有限公司 Data analysis system based on visual data relationship
CN117056343A (en) * 2023-10-11 2023-11-14 湖北华中电力科技开发有限责任公司 Multi-source data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in power grid fiel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7056343B (en) * 2023-10-11 2024-01-23 湖北华中电力科技开发有限责任公司 Multi-source data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in power grid field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835032B1 (en) * 2024-09-11 2025-07-17 쿠팡 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858B1 (en) A templet-based online composing system for analyzing reports or views of big data by providing past templets of database tables and reference fields
US80865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ociating unstructured text with structured data
US9519636B2 (en) Deduction of analytic context based on text and semantic layer
US9507848B1 (en) Indexing and querying semi-structured data
US8700658B2 (en) Relational meta model and associated domain context-based knowledge inference engine for knowledge discovery and organization
US9703833B2 (en) Unification of search and analytics
US981160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fining an extension taxonomy
JP3842573B2 (en) Structured document search method, structured document management apparatus and program
US81268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reports
CN109325078A (en) Data blood margin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structural data
US20110087708A1 (en) Business object based operational reporting and analysis
CN110291517A (en) Query language interoperability in chart database
US20100017395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forming relational queries into multi-dimensional queries
Park et al. Toward total business intelligence incorporating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CN101196900A (en) An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Based on Metadata
CN102640145A (en) Trusted query system and method
US20170116306A1 (en) Automated Definition of Data Warehouse Star Schemas
US82607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ocuments relevant to the content of a website
Hassanzadeh et al. Helix: Online enterprise data analytics
US82048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report
KR101829198B1 (en) A metadata-based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system for analyzing importance of reports
US8615733B2 (en) Building a component to display documents relevant to the content of a website
Kalampokis et al. ICT tools for creating, expanding and exploiting statistical linked Open Data
US10311049B2 (en) Pattern-based query result enhancement
CN113342844A (en) Industrial intelligent search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