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0196B1 - An information storage module having an antenna and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using the antenna of the module - Google Patents

An information storage module having an antenna and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using the antenna of the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196B1
KR101480196B1 KR20080117026A KR20080117026A KR101480196B1 KR 101480196 B1 KR101480196 B1 KR 101480196B1 KR 20080117026 A KR20080117026 A KR 20080117026A KR 20080117026 A KR20080117026 A KR 20080117026A KR 101480196 B1 KR101480196 B1 KR 101480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terface structure
terminal
mobile terminal
earph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80117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58276A (en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117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196B1/en
Publication of KR20100058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2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196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5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insert a coded card, e.g. a smart card carrying an integrated circuit ch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동평면상에 감긴 구조의 전파 송수신자원, 예를 들어 루프형태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정보저장장치, 예를 들어 외장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은,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루프형태의 안테나를 통해 외부와의 신호교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USIM 칩과, 이동 단말기와 물리적/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구조와, 상기 USIM 칩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의 특정 신호단에 상기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전기적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내부 스위칭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정보저장장치의 안테나가 수신하는 전파신호를, 상호 접속되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 portable information storage device, for example, an external 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USIM) having radio wa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resources of a structure of a plane-w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loop antenna, stores personal information A USIM chip configured to perform signal exchange with the outside via the loop antenna, an interface structure configured to physically / electrically connect with the mobile terminal to exchange signals, And a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electrically connect the antenna to the antenna.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internal switching device so that the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of the portable information storage device Selectively broadcast through the interface structure to be connected You can receive a call.

휴대폰, 안테나, 루프, 외장, 스위치, DMB, USIM Mobile phone, Antenna, Loop, Exterior, Switch, DMB, USIM

Description

안테나를 구비한 정보 저장모듈과 그 모듈의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Information storaging module with antenna and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using the antenna within the modul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storage module having an antenna and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using the antenna of the module,

본 발명은, 개인식별정보 및/또는 개인 인증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과 같은 정보 저장모듈과, 위성 또는 지상파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또는 그 구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information storage module such as a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toring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perso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satellite or terrestrial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이동통신기술 또는 방송기술의 발달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휴대폰 또는 이동용 DMB 단말기 등을 휴대하고 다니며, 장소 등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통화를 하거나 또는 컨텐츠를 즐기고 있다. BACKGROUND ART [0002]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or broadcasting technology, many people carry a mobile phone or a mobile DMB terminal, enjoy a desired call or enjoy contents regardless of a place or the like.

그런데, 이동 단말기의 이용자들은, 이동통신 또는 방송을 즐기기 위한 단말기를 휴대함에 있어서 소형이면서 그 무게가 가벼운 것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동 단말기의 설계나 생산에 있어서 그 크기나 무게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However, users of the mobile terminal prefer to use a compact and light-weight portable terminal for carrying a mobile communication or a terminal for enjoying broadcasting, so that the size and weight of the mobile terminal Efforts are being made.

이러한 이유로, 가능하면 단말기에 실장되는 부품이나 구조물 등을 배제시키게 되는 데, 이러한 부품이나 구조물의 배제가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제약시킬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에는 그 이동 단말기에 부착하여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 예를 들어 pole 형태의 안테나 모듈이 이동 단말기 장착용으로 제공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물도 이동 단말기와 함께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특정 기능의 이용, 예를 들어 이동 중 DMB 시청을 예상하지 않아서 그 별도의 구조물, 즉 pole형 안테나 모듈을 휴대하지 않았을 때는 방송시청을 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For this reason, parts and structures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are excluded if possible, and the exclusion of such components or structures can restrict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a pole type antenna module is also provided for mounting a mobile terminal. However,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such a structure must be carried along with a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re is a case where the user can not watch a broadcast when the user does not carry the special structure, for example, the pole type antenna module because he / she does not expect to watch the DMB while moving.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기능과는 다른 기능을 위해 개인적으로 휴대하고 다니는 기능적 모듈에 구비된 전파 송수신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와 그 이용방법을 제공함에 일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hat can use radio wave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provided in a functional module that is carried by a person for carrying out func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이용되어 자신의 자원(resource)을 이동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기능적 모듈을 제공함에 다른 일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functional module that can be selectively used in a mobile terminal to selectively provide its own resources to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 서술된 명시적인 목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하기의 설명에서 도출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그 목적에 당연히 포함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plicit objectives set forth above, nor is it intended to achieve the effect which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an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저장장치는, 동평면상에 감긴 구조를 갖는 전파 송수신 자원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정보저장장치는,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전파 송수신 자원을 통해 외부와의 신호교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정보모듈과, 이동 단말기와 물리적/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구조와, 상기 정보모듈에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의 특정 신호단에 상기 전파 송수신 자원을 선택적으로 전기적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 portable information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radio wave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having a structure wound on a flat plane. The portable information storag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information module that stores personal information and is configured to exchange signals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radio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 and an information module that is physically / And a switching means configured to selectively electrically connect the radio wave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to the information module or to a specific signal terminal of the interface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칭 수단은, 인위적 힘에 의해 상기 전파 송수신 자원과의 전기적 연결상태가 전환되도록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means is configured to switch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with the radio wave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 by an artificial force.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이동 단말기와 물리적으로 접속시 또는 탈착시에, 상기 전파 송수신 자원과의 전기적 연결상태가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자동 전환이 상기 접속시 또는 탈착시에 발생되는 압축력의 변화에 따른 기계적 작용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접속시 또는 탈착시의 전력공급의 여부에 따른 전기적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이동 단말기와 물리적으로 접속시에, 상기 전파 송수신 자원을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의 상기 특정 신호단과 자동으로 전기적 연결되도록 구성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means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witch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with the radio wave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 when physically connected to or detached from the mobile termina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tomatic switching is performed by a mechanical action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compressive force generated at the time of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r by an electrical actio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at the time of connection or disconnection. 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switching means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electrically connect the radio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with the specific signal terminal of the interface structure when phys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접속시,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의 전원공급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정보모듈이 필요로 하는 전압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압변환기를 상기 휴대용 정보저장장치가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necting to the mobile terminal, a voltage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end of the interface structure to the power of the voltage required by the information module, .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대응구조에 삽입됨으로써 물리적/전기적 결합되는 구조이며, 전기적 신호교환을 위한 핀 수는 20개이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structure is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terfac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number of pins for electrical signal exchange is twenty.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특정 신호단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대응구조에 이어폰이 물리적/전기적으로 결합되었을 때 그 이어폰에 구비된 통화용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의 경로로 지정된 상기 인터페이스 대응구조의 신호단자와 전기적 연결되는 신호단이다. 예를 들어, 20 핀의 MMI 인터페이스 접속사양의 핀 3을 상기 특정 신호단으로 사용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arphone is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to the interface correspondence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the specific signa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designated by the path of the signal generated from the communication microphone provided in the earphone, And a signal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structure. For example, pin 3 of the 20-pin MMI interface connection specification is used as the specific signal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휴대용 정보저장장치는, 다른 기기와 물리적/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와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인터페이스 대응구조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와 상기 인터페이스 대응구조간에, 이어폰을 위해 지정된 신호단들은 상호 결선되되, 이어폰의 마이크 신호를 위해 지정된 신호단은 상호 결선되지 않는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information storage device further comprises an interface correspondence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structure, configured to be physically /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devices to exchange signals, do. Also, in this embodiment, between the interface structure and the interface correspondence structure, the signal terminals designated for the earphone are mutually connected, and the signal terminals designated for the microphone signal of the earphone are not mutually connected.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휴대용 정보저장장치가, 자신을 식별케하는 신호 또는 신호상태를 접속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전기 적 회로를 가질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information storage device may have an electric circuit capable of providing a signal or signal state for identifying itself through the connected interface.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를 디코딩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는, 외부 기기에 대한 물리적/전기적 결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구조와, 제어신호에 따라,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RF 수신부에 또는 다른 기능의 신호처리부에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의 특정 신호단을 전기적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mobile terminal having a function to decode and output a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face structure configured to provide physical / electrical coupling to an external device, and an interface structure configured to receive and process the RF broadcast signal Switching means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a specific signal terminal of the interface structure to an RF receiving portion capable of performing a predetermined function or to a signal processing portion of another function, and a control portion configured to apply the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means.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하여 상기 특정 신호단을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상기 RF 수신부와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performs an initializ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performing the initializing operation,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to connect the specific signal terminal with the RF receiving unit capable of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RF broadcasting signal .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에 이어폰이 물리적/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하여 상기 특정 신호단을 이어폰 마이크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음성처리수단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earphone is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to the interface structure,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to receive the earphone-microphone signal To the voice processing means which can process the voice data.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에 이어폰이 물리적/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루프(loop) 형태의 전파 송수신 자원을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제공해 줄 수 있는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기 이어폰이 2단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지를 또한 확인하고, 2단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 칭 수단에 인가하여 상기 특정 신호단을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상기 RF 수신부와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어폰이 2단방식이 아닌 직접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하여 상기 특정 신호단을 이어폰 마이크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음성처리수단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시도한 후 그 시도에 따른 데이터 응답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이어폰이 2단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응답이 있으면 2단방식으로 이어폰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데이터 응답이 없으면 이어폰이 직접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earphone is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to the interface structure, the controller may provide a radio wave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 in the form of a loop through the interface structure It is also checked whether the earphones are coupled in a two-stage manner via the portable information storage devic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earphones are coupled in a two-stage manner, the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switching means, And is connected to the RF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nd processing RF broadcast signals. 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it is confirmed that the earphone is coupled by the direct coupling method instead of the two-stage method, the control signal may be applied to the switching means to receive the earphone- To the voice processing means.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attempts to transmit / receive data through the interface structure, and checks whether the earphone is coupled in a two-step manner according to whether a data response according to the attempt is received. For example, if there is a data response, it is determined that the earphone is coupled in a two-step manner. If there is no data response, it is determined that the earphone is directly coupled.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에 이어폰이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방송신호 처리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는, 상기 특정 신호단을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상기 RF 수신부와 연결시키거나 그와 같은 기 연결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broadcast signal processing fun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earphone is not coupled to the interface structure, the controller receives the RF broadcast signal and processes And to apply the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means so as to maintain the same connection state.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특정 신호단을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상기 RF 수신부와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할 때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물리적/전기적 결합될 수 있는 외부 기기의 전파 송수신자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이용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필요한 동작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출력되게 하는 동작을 또한 수행하도록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to connect the specific signal terminal to the RF receiver unit capable of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RF broadcast signal, So that a message requesting the user to perform an operation is output so that the radio wave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of an external device that can be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can be used by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특정 신호단을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상기 RF 수신부와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할 때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물리적/전기적 결합될 수 있는 외부 기기의 전파 송수신자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이용될 수 있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요청하는 신호는 상기 전파 송수신자원의 신호경로의 절환을 요구하는 신호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to connect the specific signal terminal to the RF receiver unit capable of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RF broadcast signal, Via the interface structure, a signal requesting that the radio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of the external device, which can be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through the interface, can be used by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request signal may be a signal requesting switching of the signal path of the radio wave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특정 신호단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에서, 이어폰의 통화용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의 경로로 지정된 신호단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signal terminal is a signal terminal designated by a path of a signal generated from a communication microphone of an earphone in the interface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개인식별 정보 및/또는 개인 인증정보를 이용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때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리세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 unit performs a function for using a service using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perso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outputs a reset signal through the interface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개인식별 정보 및/또는 개인 인증정보를 이용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시도한 후 그 시도에 따른 데이터 응답에 근거하여, 상기 개인식별 정보 및/또는 개인 인증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에 물리적/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지를 확인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attempt to transmit / receive data through the interface structure before performing a function for using the service using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the perso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confirms whether the portable information storage device storing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perso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to the interface structure based on the response.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를 디코딩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다른 이동 단말기는, 외부 기기에 대한 물리적/전기적 결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구조와, 제어신호에 따라,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RF 수신부에 또는 다른 기능의 신호처리부에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의 특정 신호단을 전기적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스위칭 수단과,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의 기기 검출 신호단으로부터, 루프 형태의 전파 송수신 자원을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제공해 줄 수 있는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가 물리적/전기적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특정 신호단을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상기 RF 수신부에 연결되도록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특정 신호단을 다른 기능의 상기 신호처리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적절히 인가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other mobile terminal having a function of decoding and outputting a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face structure configured to provide physical / electrical coupling to an external device, and an interface structure configured to receive an RF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Switching means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a specific signal terminal of the interface structure to an RF receiving unit that can process the signal or to a signal processing unit of another function, If it is detected that the portable information storage device provided through the structure is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the specific signa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RF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RF broadcast signal, and if not, If a particular signal stage is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section of another function , It comprises a controller configured to apply adequately the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means.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를 디코딩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또 다른 이동 단말기는, 여러 종류의 외부 기기들에 대한 물리적/전기적 결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구조와,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RF 수신부와, 상기 RF 수신부의 동작 제어와,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교환할 수 있는 신호의 일부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의 특정 신호단과 상기 RF 수신부의 RF 신호입력단과는 직접 결선되어 있다.Another mobile terminal having a function of decoding and outputting a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face structure configured to provide physical / electrical coupling to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output a part of a signal that can be exchanged through the interface structure, wherein the specific signal terminal of the interface structure and the RF And the RF signal input terminal of the receiver is directly connected.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과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가 방송신호 수신과 같은 특정 기능을 위해서 필요한 전파송수신 자원을 사용자가 보편적으로 휴대하고 다니는 별도의 정보저장장치, 예를 들어 외장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으로부터 이용할 수 있게 하므로, 이동 단말기에서 전파송수신 자원을 제거할 수 있어 그 크기나 무게를 줄일 수 있게 하며 또한 그 두께를 얇게할 수 있게 한다.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allow a user to universally carry the radio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necessary for a specific function, (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it is possible to remove radio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from the mobile terminal, thereby reducing the size and weight of the mobile terminal, I will.

본 발명이 가져다 주는 효과는 상기 언급된 것으로 국한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당연히 도출되는, 사용자 또는 그 외 다른 업자들에게 미치는 유리한 효과는 명세서상에서 언급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배제되어서는 안되며 당연히 본 발명의 효과로 보아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The advantageous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derived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described below, to the user or other vendors should not be excluded because they are not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y should be regarded as a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몇가지 실시예를 제시하고 그 실시예를 위주로 동작과 그 원리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발명의 범위 또는 주제는 제시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 실시예로써 유도되는 또는 설명하고자 하는 발명적 사상이나 그 원리가 적용되는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everal embodiments are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operation and principle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However, the scope or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개인들은 장소 등에 구애받지 않고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통화나 데이터 통신 등을 하는 것은 물론, 다른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교통수단 등을 이용하는 요금 등을 결제하 기 위해 또는 상품구입 또는 용역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른 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 칩을 휴대하고 다니며 필요시에 이에 저장된, 개인 식별정보 및/또는 개인 인증정보 등을 사용하고 있다.As communication develops, individuals use a variety of services as well as making calls, data communication, and the lik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rried by an individual regardless of a place or the like. In addition, as a means for payment of fees using transportation means and the like or as a means of paying for the use of goods purchase or service, the user carries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USIM) chip,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perso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IM 칩은 개인이 보편적으로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내장되어 제공되고 있기도 하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박단소화를 위해 외장형의 휴대용 정보저장장치로서 제공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USIM 칩이 내장된 외장형의 휴대용 정보저장장치를 '외장 USIM'이라고 한다.The USIM chip is provided as a built-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like which is commonly carried by an individual, but may also be provided as an external portable information storage device for light and simple miniaturiz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external portable information storage device having a built-in USIM chip is referred to as an " external USIM ".

상기와 같은 외장 USIM은, 개인에 의해 항상 또는 보편적으로 휴대되며, 버스나 전철 등의 요금을 결제하기 위해 외부 RF 신호에 의해 단독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뱅킹(banking) 서비스와 같이 원격의 서버를 통한 결제서비스를 이용할 때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 통신단말기에 접속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속하여 사용될 때는 외장 USIM(20)내의 USIM 칩에 저장된 개인 식별정보 및/또는 개인 인증정보 등이 MMI( Multi-Media Interface )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제공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뱅킹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Such an external USIM is always or universally carried by an individual, and may be used solely by an external RF signal to pay for a bus or a train, or may be used by a remote server, such as a banking service, When the payment service is used, it may be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s illustrated in FIG. 1,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perso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 USIM chip in the external USIM 20 are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via an MMI (Multi-Media Interfac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se a banking service or the lik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의 MMI 접속에 있어서는, 통상 20pin의 접속사양이 사용되는 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MMI 수용소켓(30a)이 구비되고, 외장 USIM(20)에는 MMI 헤더(header)(30b)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MMI 헤더(30b)가 상기 MMI 수용소켓(30a)에 삽입되어 또는 끼워져 물리적/전기적으로 결합(30)된다. 상기 20pin 접속사양은 도 2와 같은 핀-신호 할당을 가지며, 이 접속사양은 외장 USIM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기 들과의 접속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 별도의 A/V 장치 등이 접속될 수도 있다. 도 2의 핀-신호 할당에서 'device' 핀(201)의 신호가 이들 다양한 기기 들을 식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1, an MMI socket 30a i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 MMI header 30b is provided in the external USIM 20, So that the MMI header 30b is inserted into or inserted into the MMI accommodating socket 30a to be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30). The 20pin connection specification has a pin-signal assignment as shown in FIG. 2, and this connection specification can be used for connection to various devices as well as an external USIM. For example, an earphone, a separate A / V device, or the like may be connected. In the pin-signal assignment of FIG. 2, the signal of the 'device' pin 201 is used to identify these various devices.

상기 외장 USIM(2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것외에도 단독으로 근접된 장치에서 송출하는 외부 RF신호에 반응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므로 루프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이 루프 안테나를 통해 근접된 외부 장치와 RF 신호를 주고 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전파 송수신 자원인 루프 안테나를, 통상의 근접 RF신호 송수신을 위해서는 물론이고 필요한 경우 방송신호, 예를 들어 지상파 DMB (TDMB) 또는 위성 DMB (SDMB)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접속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장 USIM은 도 3에 예시된 구조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USIM 20 is provided with a loop antenna because it can be used in response to an external RF signal transmitted from a nearby apparatus in addition to being used in connec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oop antenna transmits and receives an RF signal to and from an adjacent external devi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op antenna, which is a radio wave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 receives a broadcast signal, for example, a terrestrial DMB (TDMB) or a satellite DMB (SDMB) signal, , And is also used for providing to the currently connected mobile terminal. The external USI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the structure exemplified in Fig.

도 3에 그 구조가 예시된 외장 USIM(300)은, RF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동평면상에서 감긴 구조를 갖는, 예를 들어 루프형태의 안테나(302)와, 상기 루프형태의 안테나(302)를 통해 유기되는 전력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개인 식별정보, 개인 인증정보 등의 개인정보를 내장하고 필요시에는 상기 루프형태의 안테나(302)를 통해 외부 RF 근접장치와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정보모듈인 USIM 칩(301)과, 상기 안테나(302)의 연결점을 절환시키는 전환스위치(310)와, 외부 공급되는 전원을 필요전압으로 조정(regulation)하여 상기 USIM 칩(301)에 인가하는 전압조정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USIM 칩(301)은 물론 상기 외장 USIM(300)으로부터의 탈착이 가능하며,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이나 상기 USIM 칩(301)의 사용전원 정격에 따라 상기 전압조정기(320)는 상기 외장 USIM(300)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external USIM 300, whose structure is illustrated in FIG. 3, includes an antenna 302,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loop, having a structure wound on the same plane for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an RF signal, 302, and ma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erso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may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RF proximity device through the loop-shaped antenna 302 when necessary. A changeover switch 310 for switching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antenna 302 and the USIM chip 301 which is an information module hav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USIM chip 301, And a voltage regulator 320 for generating a voltage. The voltage regulator 32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USIM 300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upplied power or the power supply rating of the USIM chip 301, 300).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장 USIM(300)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하기 위한 사양으로서 앞서 설명한 도 2의 핀-신호 할당체계에 따른 MMI 접속사양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전압조정기(320)는 도 2의 접속사양에 따라, 핀 9 및/또는 핀 10을 통해 제공되는 4.2~3.2[V]의 전력을 상기 USIM 칩(301)이 필요로 하는 3.0[V]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USIM 300 uses a MMI connection specification according to the pin-signal allocation scheme of FIG. 2 described above as a specification for connec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ly, the voltage regulator 320 can supply the power of 4.2 to 3.2 [V] provided through the pin 9 and / or the pin 10 to the voltage of 3.0 [V] required by the USIM chip 301 ] To provide power.

상기 전환스위치(3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루프 안테나(302)의 급전점(feeding point)을 상기 USIM 칩(301)의 RF 신호 입력단(RX_IN)과 연결시키거나 MMI 헤더(305)의 핀 3에 연결시킨다. 상기 전환스위치(310)의 상태를, 상기 루프 안테나(302)의 급전점이 상기 USIM 칩(301)에 연결된 상태로 두면 상기 외장 USIM(300)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The changeover switch 310 connects the feeding point of the loop antenna 302 to the RF signal input terminal RX_IN of the USIM chip 301 or the MMI header 305, To pin 3 of the connector. When the state of the changeover switch 310 is left connected to the USIM chip 301, the external USIM 300 can be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만약, 상기 전환스위치(310)의 상태를, 상기 루프 안테나(302)의 급전점이 도 2의 MMI 접속사양의 핀 3에 연결된 상태에 두면 상기 루프 안테나(302)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는 도 2의 MMI 접속사양의 핀 3을 통해, 현재 접속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로 유입된다. 그런데, 도 2의 MMI 접속사양에서 핀 3은 이어폰의 마이크 단자 신호로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핀 3을 통해 유입되는 신호를 이어폰 마이크신호 또는 안테나 유기신호로 선택적으로 이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 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는 도 4와 같은 회로구성을 갖는다.If the state of the changeover switch 310 is set such that the feed point of the loop antenna 302 is connected to the pin 3 of the MMI connection specification of FIG. 2, the radio wave received by the loop antenna 302 is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pin 3 of the MMI connection specification. Incidentally, in the MMI connection specification of Fig. 2, the pin 3 is assigned to the earphone's microphone terminal signal.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uses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pin 3 as an earphone microphone signal or an antenna organic signal. To this end, the mobile terminal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ircuit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도 4의 회로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외장 USIM(300)과의 접속을 위한 도 2의 접속사양을 갖는 MMI 수용소켓(401)과, 수신되는 RF신호, 예를 들어 지상파 DMB 또는 위성 DMB의 RF신호를 처리하는 DMB RF 수신부(402)와, 상기 MMI 수용소켓(402)의 핀 3의 신호를 이어폰 마이크 신호처리단( 미도시 )으로 또는 상기 DMB RF 수신부(402)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아날로그 스위치(411)와, 사용자 입력 또는 외부 입력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는 도 4에 예시된 구성이외에 많은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상기 DMB RF 수신부(402)에 의해 복조된 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디코딩 출력하는 DMB 디코더, 음성신호처리를 위한 보코더(Vocoder) 또는 이동통신 모뎀 등 )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설명에서는 그 기능이나 동작에 대한 설명이 불필요하거나 또는 언급만으로도 충분한 구성요소들은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며 또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MMI receiving socket 401 having the connection specification shown in FIG. 2 for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USIM 300 and the receiving RF signal, for example, a terrestrial DMB A DMB RF receiving unit 402 for processing an RF signal of the satellite DMB and a signal of a pin 3 of the MMI accommodating socket 402 to an earphone microphone signal processing unit (not shown) or the DMB RF receiving unit 402 An analog switch 411 for transmitting the user input, and a control unit 410 for controlling all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 input or an external input.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FIG. 4,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many components (for example, a DMB decoder for decoding and outputting broadcast program data from a signal demodulated by the DMB RF receiver 402) A vocoder or a mobile communication modem for processing, etc.). However, in the description fo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of functions and operations thereof is unnecessary, or sufficient components are not shown in the drawing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411)의 신호경로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신호(410a)를 출력하며, 외부 USIM 칩을 리세트하기 위한 신호(410c)를 상기 MMI 접속소켓(401)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MMI 접속소켓(401)을 통해 입력되는 핀 7의 'device' 단자 신호(410b)를 입력받고, 상기 MMI 접속소켓(401)을 통해 연결되는 외부 기기들과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신호단자인 핀 15 및 16의 신호(410d)를 입력받거나 또는 출력한다. 상기 한 쌍의 신호(410d)는 USIM 칩과의 통 신시에는 동기식 신호( 클럭신호와 그 클럭신호에 동기되는 직렬 데이터 신호 )가 되고, 비동기식의 직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들과의 통신시에는 비동기 수신(RX) 및 송신(TX) 신호가 된다. 도 4의 구성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신호선(UART_RX & USIM_CLK와 UART_TX & USIM_DATA)이 상기 제어부(410)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상기 한 쌍의 신호선(UART_RX & USIM_CLK와 UART_TX & USIM_DATA)은 그 신호의 연결을 필요로 하는 다른 구성요소가 있는 경우에는 당연히 그 구성요소와 연결되며, 이 때는, 상기 제어부(410)는 단지 그 한 쌍의 신호선의 연결을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410 outputs a switching control signal 410a for controlling the signal path of the analog switch 411 and outputs a signal 410c for resetting the external USIM chip to the MMI connection socket 401 Output. The MMI connection socket 401 receives the 'device' terminal signal 410b of the pin 7 input through the MMI connection socket 401 and receives a signal terminal 410 for data exchange with external devices connected through the MMI connection socket 401. [ And receives or outputs the signal 410d of the in-pin 15 and 16, respectively. The pair of signals 410d becomes a synchronous signal (a clock signal and a serial data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clock signal) when communicating with the USIM chip, and when communicating with devices performing asynchronous serial data communication Asynchronous receive (RX) and transmit (TX) signals. 4, the pair of signal lines UART_RX and USIM_CLK and UART_TX & USIM_DATA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10. However, the pair of signal lines UART_RX & USIM_CLK and UART_TX & USIM_DATA) are naturally connected to the component when there are other components requiring the connection of the signal.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410 controls connection of the pair of signal lines It is possible.

도 5는 도 4에 예시된 회로구성을 갖는 이동 단말기, 예를 들어 CDMA 이동통신 단말기, GSM 이동통신 단말기, DMB 수신기, 게임기 등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의 전파송수신 자원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의 회로구성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 5의 흐름도에 대한 설명과 병행하여 상세히 설명한다.5 illustrates a method for using external radio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erformed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circuit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FIG. 4, for example, a CDM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GS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MB receiver, / RTI > Hereinafter, the operation performed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flowchart of FIG.

도 5의 회로구성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ON되면, 상기 제어부(410)는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데에 필요한 부팅과정을 수행한다(S501). 이 과정에서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며, 부팅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411)에 스위칭 제어신호(410a)를 인가하여 상기 MMI 수용소켓(401)의 핀 3의 신호가 상기 DMB RF 수신부(402)에 입력되도록 한다(S5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되는 도 2의 MMI 접속사양에 의하면, 핀 7의 'device' 단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접속되는 기기가 이어폰인 경우에는 상기 'device' 단자의 신호상태에 의해 구분되어 식별되지 만, 상기 외장 USIM(300)의 경우에는 구분되어 식별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device' 단자에 인가할 수 있는 신호상태, 예를 들어 신호레벨에 대해 외장 USIM이 할당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411)의 연결상태를 항상(default) 외부 안테나의 유기신호를 이용하는 상태로 두고 이어폰의 접속이 검출될 때 이어폰의 통화용 마이크의 신호로 이용될 수 있도록 절환하게 된다.When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5 is turned on, the controller 410 performs a boot process necessary for the normal operation of the terminal (S501). When the booting process is completed, a switching control signal 410a is applied to the analog switch 411 so that a signal of pin 3 of the MMI socket 401 is supplied to the DMB RF receiver 402 (S502). According to the MMI connection specification of FIG. 2, which is u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vice connected by the input signal of the 'device' terminal of the pin 7 is an earphone, However, in the case of the external USIM 300, it is not distinguished. This is because an external USIM is not allocated to a signal state, for example, a signal level, which can be applied to the 'device' terminal. Therefore, the connection state of the analog switch 411 is set to be in a state of using the organic signal of the external antenna at all times, and switched to be used as a signal of the communication microphone of the earphone when the connection of the earphone is detected.

다음으로, 이어폰 검출여부를 확인한다(S503).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device' 단자의 신호상태로부터 확인하게 된다. 어떤 기기도 검출되지 않은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411)를 MMI 수용소켓(401)의 핀 3의 신호가 상기 DMB RF 수신부(402)에 입력되도록 설정하게 된다. 물론, 앞서 이 상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511). Next, whether the earphone is detected or not is checked (S503). This is confirmed from the signal state of the 'device' terminal as mentioned above. The controller 410 sets the analog switch 411 to input the signal of the pin 3 of the MMI socket 401 to the DMB RF receiver 402. [ Of course, if this state is set in advance, this state is maintained (S511).

사용자에게 적절히 제공되는 메뉴 등의 U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DMB 기능수행, 예를 들어 TDMB 또는 SDMB의 시청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DMB 이벤트가 발생하는 데, DMB 이벤트가 발생하면(S512) 상기 제어부(410)는 필요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상기 DMB RF 수신부(402), DMB 디코더 등을 적절히 제어하여 요청된 DMB 기능을 수행한다(S513).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요청된 DMB 기능의 수행전에, "외장 USIM의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는 상태인지 외장 USIM의 스위치 상태를 다시 한번 확인해 주세요!"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외장 USIM(300)의 전환스위치(310)가 적절히 선택되어 있는 상태이면, 상기 외장 USIM(300)의 루프 안테나(302)에 의해 유기된 RF 신호는 상기 MMI 수용소켓(401)과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411)를 통해 상기 DMB RF 수신부(402)로 인가된다. 상기 DMB RF 수신부(402)는 수신된 RF 신호를 i/F변환, 복조 등의 공지된 과정을 차례로 수행하고 그 후단의 DMB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됨으로써, 현재 방송되고 있는 DMB 프로그램을, 액정화면과 같은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제공하게 된다.When a DMB event occurs (S512), the controller 410 receives a DMB event from the user through a UI such as a menu provided to the user appropriately. For example, if the user requests a TDMB or SDMB viewing request, For example, the DMB RF receiving unit 402, the DMB decoder, and the like, and performs the requested DMB function (S513).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executing the requested DMB function, a guidance message such as "Please confirm the switch state of the external USIM or the state of being able to use the antenna of the external USIM!" . The RF signal induced by the loop antenna 302 of the external USIM 300 is transmitted to the MMI receiving socket 401 and the MMI receiving socket 401 when the changeover switch 310 of the external USIM 300 is properly selected by the user. And is applied to the DMB RF receiving unit 402 through the analog switch 411. The DMB RF receiver 402 sequentially performs a known process such as i / F conversion and demodulation on the received RF signal, and decodes the DMB program currently being broadcast by a DMB decoder And a display unit (not shown).

만약, 사용자가 도 5의 회로구성을 갖는 단말기를 통해, 예를 들어 뱅킹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USIM 이벤트가 발생하면(S514), 상기 제어부(410)는, 실행하는 S/W를 USIM 처리 프로그램으로 기능변경시키고 또는 구동시키고 양 통신라인(410d)을 동기 모드로 설정한다(S515). 즉, 외부 USIM 칩(301)과의 데이터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양 신호선중 하나는 클럭으로, 그리고 다른 신호선은 그 클럭에 동기된 직렬 데이터신호로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또 다르게는, 상기 MMI 수용소켓(401)의 핀 15와 16의 양 신호선(UART_RX & USIM_CLK, UART_TX & USIM_DATA)을 동기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듈로 인가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능변경되는 또는 구동되는 USIM 처리 프로그램은 필요한 경우 외부 USIM 칩을 초기화하기 위한 리세트 신호를 USIM_RESET 신호선(410c)을 통해 출력한다. 이 리세트 신호는 상기 MMI 수용소켓(401)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데, 상기 USIM_RESET 신호선(410c)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MMI 수용소켓(401)의 핀 2(RESERVED1), 12(RESERVED2) 및 14(TV_OUT) 중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신호전달경로로 사용된다. 도 3의 외부 USIM(300)이 상기 MMI 수용소켓(401)에 접속되어 있다면 상기 리세트 신호는 USIM 칩(301)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USIM 칩(301)은 초기화된다.If a user generates a USIM event by using, for example, a banking service through a terminal hav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5 (S514), the control unit 410 functions as a USIM processing program And sets both communication lines 410d to the synchronous mode (S515). That is, one of the signal lines is used as a clock and the other signal line is used as a serial data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clock so that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USIM chip 301 can be performed. Alternatively, a control signal may be output to allow the signal lines (UART_RX and USIM_CLK, UART_TX & USIM_DATA) of the pins 15 and 16 of the MMI accommodating socket 401 to be applied to a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ynchronization signal. On the other hand, the USIM processing program that is function-changed or driven outputs a reset signal for initializing an external USIM chip through a USIM_RESET signal line 410c, if necessary. The rese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via the MMI accommodating socket 401. The USIM_RESET signal line 410c is connected to pins 2 of the MMI accommodating socket 401, 12 (RESERVED2) and 14 (TV_OUT), and is used as a signal transmission path. If the external USIM 300 of FIG. 3 is connected to the MMI receptacle 401, the rese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IM chip 301 so that the USIM chip 301 is initialized.

다음으로, 상기 기능변경되는 또는 구동되는 USIM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상기 제어부(410)는, 비록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었지만 실질적으로 USIM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자원이 접속되어 있는 지를 확인한다(S516). 이러한 확인동작이 필요한 이유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된 도 2의 핀-신호 할당사양을 갖는 20핀의 MMI 접속사양의 핀 7의 'device' 신호선의 상태신호로써는 외장 USIM의 접속여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접속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양 통신라인(410d)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시도한다. 다르게는, USIM 칩과의 데이터 통신을 전담하는 모듈(미도시)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시도되고 그 시도결과를 상기 제어부(410)가 보고받을 수도 있다. 이 데이터 송수신 시도에 의해 데이터가 수신되면 외부 USIM 칩이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미접속 상태로 판단한다. USIM 칩의 접속이 확인된 경우에는 발생된 USIM 이벤트에 맞는 통상의 적절한 USIM 기능을 수행하고(S531)( 이 때, 상기 외장 USIM(300)내의 USIM 칩(301)과의 적절한 데이터 교환과정이 수반된다. ), 접속 미확인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USIM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상태입니다!"와 같은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532).Next, the control unit 410, which executes the function-changed or driven USIM processing program, confirms whether a resource that is requested by the user but substantially processes a USIM event is connected (S516). The reason for this confirmation operation is that, as described above, the state signal of the 'device' signal line of the pin 7 of the 20-pin MMI connection specification having the pin-signal allocation specification of FIG. 2 us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m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external USIM is connected. And tries to transmit / receive data through the both communication lines 410d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Alternatively,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ay be attempted through a module (not shown) dedicated to data communication with the USIM chip, and the result of the attempt may be reported to the control unit 410. If data is received by thi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ttempt,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USIM chip is connected, and otherwise,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connected. When the connection of the USIM chip is confirmed, a proper USIM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USIM event is performed (S531) (at this time, an appropriate data exchange process with the USIM chip 301 in the external USIM 300 is performed) If the connection is not confirmed, a warning message such as "USIM is not available" is provided to the user (S532).

이 후에는 계속적으로, 이어폰 검출확인(S503), DMB 이벤트 발생확인(S512), USIM 이벤트 발생확인(S514)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들이 수행된다.Thereafter, the earphone detection confirmation step (S503), the DMB event occurrence confirmation step (S512), and the USIM event occurrence confirmation step (S514) are repeatedly performed. When the event occur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are performed accordingly .

만약, 상기 이어폰 검출확인(S503)과정에서, 상기 MMI 접속소켓(401)의 device 신호선을 통해 이어폰 검출이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410a)를 인가하여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411)의 입력신호( 즉, 상기 MMI 수용소켓(401)의 핀 3(EAR_MIC+)의 신호 )가 이어폰 마이크 신호를 처리하는 통상의 모듈로 인가되도록 신호경로를 전환한다(S521).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MMI 수용소켓(401)에 접속한 이어폰( 및 그에 부착된 마이크 )을 통해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음악파일 등을 청취할 수 있다(S522). 물론, 이 단계(S52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외장 USIM의 전파송수신 자원을 사용하는 방식이 아닌 다른 알려져 있는 방식의 수단을 통해 전파를 수신하여 DMB 방송을 시청할 수도 있으므로 DMB 이벤트 발생확인과 그 발생에 따른 DMB 기능 수행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If the earphone detec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device signal line of the MMI connection socket 401 in the earphone detection acknowledgment step S503, the controller 410 applies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410a to the analog switch The signal of the pin 3 (EAR_MIC +) of the MMI socket 401) is applied to the normal module for processing the earphone microphone signal (S521). In this state, the user can make a call via the earphone (and a microphone attached thereto) connected to the MMI accommodating socket 401 or listen to a music file built in the mobile terminal (S522). Of course, in this step S522,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radio wave through a known means other than the method of using the radio wave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 of the external USI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watch the DMB broadcast, May perform the operation of performing the DMB function according to the DMB function.

이 후에는 계속적으로 이어폰 검출확인(S503)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고, 이어폰 검출과정에서 어떤 기기도 검출되지 않은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411)를 제어하여 안테나 신호 수신모드로 설정(S511)한 뒤, 앞서 언급한 바의 확인(S512,S514,S503) 및 확인에 따른 해당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10 controls the analog switch 411 so that the antenna signal reception mode is set to be the same as the antenna signal reception mode. (S511), the above-mentioned confirmation (S512, S514, S503), and the correspo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can be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외장 USIM에 구비된 루프 안테나를 이동 단말기의 DMB 전파수신 자원으로 쓸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DMB 프로그램의 오디오를 이어폰을 통해 들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도 2의 20pin 접속사양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장 USIM은 도 6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use a loop antenna provided in an external USIM as a DMB radio wave reception resource of a mobile terminal, and listen to audio of a DMB program viewed by a user through an earphone. Also in this embodiment, the interface of the 20-pin connection specification of Fig. 2 is used. The external USI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도 6의 외장 USIM(600)은, 별도의 MMI 수용소켓(610)을 구비하며, 이 수용소 켓(610)의 이어폰 좌우 신호선(EAR_L,EAR_R)(핀 5,6)과, device 검출신호선(DEVICE)(핀 8)과, 원격 키신호선(REMOTE_KEY)(핀 9)을 자신의 MMI 헤더(601)의 동일 신호선( 동일 번호의 단자 )들과 직접 연결된다. 도면상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것으로 구분식별되도록 한 것으로서 실제로는 신호전달되는 경로선이다. 또한, 이 연결신호선은 루프 안테나와는 기판상의 다른 층에 프린트됨으로써 당연히 루프 안테나와는 결선되지 않는다. 그리고, 접속되는 이어폰의 송수신 신호레벨의 안정화를 위해 접지선(핀 1,20)도 상기 MMI 수용소켓(610)과 MMI 헤더(601)간에 결선된다. 도면상에서는, 상기 MMI 수용소켓(610)이 상기 MMI 헤더(601)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구비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서로 이웃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면상에서 상기 외장 USIM(600)의 상단 또는 하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에 예시된 상기 외장 USIM(600)의 실시예에서, 다른 신호선들도 필요에 따라 상기 MMI 삽입소켓(610)과 상기 MMI 헤더(601)간에 직접 결선될 수도 있다. 하지만, 안테나의 유기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유입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단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핀 3의 EAR_MIC+ 신호단자( 통상 접지시켜 사용하는 EAR_MIC- 신호단자를 포함하여 )(611)는 상기 MMI 삽입소켓(610)과 상기 MMI 헤더(601)간에 결선되지 않는다.The external USIM 600 shown in FIG. 6 has a separate MMI receptacle 610 and has earphone left and right signal lines EAR_L and EAR_R (pins 5 and 6) of the receptacle jack 610 and a device detection signal line DEVICE (Pin 8) and the remote key signal line REMOTE_KEY (pin 9)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same signal line (the same number of terminals) of the MMI header 601 of the MMI header 601 itself. And is actually a signal line to which signals are transmitted. Further, this connection signal line is printed on the other layer on the substrate with the loop antenna, so that it is not connected to the loop antenna. Also, grounding lines (pins 1 and 20) are also connected between the MMI accommodating socket 610 and the MMI header 601 to stabiliz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 levels of the connected earphone. In the drawing, the MMI accommodating sockets 610 are provi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MI header 601, but may be provided so as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as needed. That is, at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external USIM 600 on the drawing. In the embodiment of the external USIM 600 illustrated in FIG. 6, other signal lines may also be directly connected between the MMI insertion socket 610 and the MMI header 601 as needed. However, the signal terminal used for introducing the organic signal of the antenna into the mobile terminal, the EAR_MIC + signal terminal of the pin 3 (including the EAR_MIC- signal terminal which is normally grounded) 611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connected between the insertion socket 610 and the MMI header 601.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전환스위치(620)에 의해 루프 안테나의 유기된 RF 신호가 상기 MMI 헤더(601)의 특정 신호단자(핀 3)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 유입되고 있는 상태에서 MMI 헤더를 구비하고 있는 이어폰을 상기 MMI 수용소켓(610)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6, the MMI header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RF signal induced in the loop antenna is introduced in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specific signal terminal (pin 3) of the MMI header 601 by the changeover switch 620 May be inserted into the MMI socket 610 and us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4의 제어부(410)는 도 5의 외부 전파송수신 자원을 이용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대신 도 7에 예시된 방법의 흐름도를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회로구성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 7의 흐름도에 대한 설명과 병행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410 of FIG. 4 performs a flowchart of the method illustrated in FIG. 7 instead of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using the external radio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of FIG. Hereinafter, the operation performed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flowchart of Fig. 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먼저, 도 7의 흐름도에서, 도 5의 흐름도의 설명에서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에 대해서는 도 5에서의 참조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단계들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생략하며 도 5의 흐름도와 상이하거나 보완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들을 위주로 하여 설명한다.First, in the flowchart of Fig. 7, the same steps as those in the flowchart of Fig. 5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 5, and the steps ar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The steps of performing operations different from or complementary to the flowchart of FIG. 5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4의 제어부(410)는, 이어폰 검출확인 단계(S503)에서 이어폰 검출이 확인되면, DMB 이벤트 발생을 확인한다(S722). 물론, 이 때는 도 6의 상기 외장 USIM(600)에 있는 전환스위치(620)를 사용자가 조정하여 루프 안테나에 유기되는 신호가 도 4의 MMI 수용소켓(401)으로 인가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4, when the earphone detection is confirmed in the earphone detection confirmation step S503, the control unit 410 confirms the occurrence of the DMB event (S722). Of course, at this time, the user can adjust the changeover switch 620 in the external USIM 600 shown in FIG. 6 so that a signal induced in the loop antenna is applied to the MMI accommodating socket 401 shown in FIG.

DMB 이벤트가 발생하면(S722) 상기 제어부(410)는, 이동 단말기와 접속결합되어 있는 도 6의 외장 USIM(600)을 매개로 하여 이어폰이 2단으로 접속된 것인지를 확인한다(S723). 이 확인을 위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10)는 양 통신라인(410d)을 동기모드로 설정하여 외부 USIM 칩과의 통신을 시도한다. 이 시도에 의해 데이터가 수신되면 도 6의 외장 USIM(600)을 매개로 하여 이어폰이 2단으로 접속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동 단말기의 상기 MMI 수용소켓(401)에 이어폰이 직접접속된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이어폰이 2단으로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2단 접속상태 값을 ON으로 설정시키고, 상기 아날로그 스위 치(411)를 다시 제어하여 안테나 수신모드로 전환시킨다(S724). 즉, 상기 MMI 수용소켓(401)을 통해 인가되는 루프 안테나 유기신호가 상기 DMB RF 수신부(402)에 인가되도록 한다. 그리고는, 필요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DMB 디코더 등을 적절히 제어하여 요청된 DMB 기능을 수행 시작한다(S725).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요청된 DMB 기능의 수행 시작전에, "외장 USIM의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는 상태인지 외장 USIM의 스위치 상태를 다시 한번 확인해 주세요!"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2단 접속상태는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411)의 정확한 전환을 위해 사용되는 변수로서, 안테나 수신모드로 설정되는 초기화 단계(S702)에서 그 값은 초기값인 OFF로 설정된다.When a DMB event occurs (S722), the controller 410 checks whether the earphone is connected in two steps via the external USIM 600 of FIG. 6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S723). For this confirmation, the controller 410 sets both communication lines 410d to the synchronous mode and attempt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USIM chip as described above. If the data is received by this attempt, it is determined that the earphone is connected in two stages via the external USIM 600 of FIG. 6, or the earphon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MI accommodating socket 401 of the mobile terminal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arphone is connected in two stages, the second stage connection state value is set to ON, and the analog switch 411 is controlled again to switch to the antenna reception mode (S724). That is, a loop antenna organic signal applied through the MMI receiving socket 401 is applied to the DMB RF receiving unit 402. Then, the required components, for example, the DMB decoder, and the like are appropriately controlled to start the requested DMB function (S725).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starting the execution of the requested DMB function, a guidance message such as "Please confirm the switch state of the external USIM or the state of being able to use the antenna of the external USIM! And output it to the user. The two-stage connection state is a variable used for precise switching of the analog switch 411, and its initial value is set to OFF in an initialization step S702 in which the antenna reception mode is set.

사용자에 의해 상기 외장 USIM(600)의 전환스위치(620)가 적절히 선택되어 있는 상태이면, 상기 외장 USIM(600)의 루프 안테나에 의해 유기된 RF 신호는 상기 DMB RF 수신부(402)로 인가되며, 상기 DMB RF 수신부(402)는 수신된 RF 신호를 i/F변환, 복조 등의 공지된 과정을 차례로 수행하고 후단의 DMB 디코더가 복조된 신호를 디코딩함으로써, 현재 방송되고 있는 DMB 프로그램을, 액정화면과 같은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제공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게 된다. 이 때는, DMB 방송 프로그램에 의한 오디오 신호는 상기 외장 USIM(600)의 이어폰 좌우 신호선( 핀 5와 6의 EAR_L과 EAR_R )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이어폰으로 출력된다. 물론, 이어폰 마이크신호(EAR_MIC+)는 이어폰을 접속한 상태에서도 이동 단말기로는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마이크에 의한 신호는 이동 단말기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2단접속 상태에서는 오디오 신호를 단방향으로만 이용하게 된다.The RF signal induced by the loop antenna of the external USIM 600 is applied to the DMB RF receiving unit 402 when the changeover switch 620 of the external USIM 600 is properly selected by the user, The DMB RF receiver 402 sequentially performs a known process such as i / F conversion and demodulation of the received RF signal, and decodes the demodulated signal by a subsequent DMB decoder, (Not shown) to meet the user's demand. At this time, the audio signal by the DMB program is outputted to the earphone connected through the earphone left and right signal lines (EAR_L and EAR_R of pins 5 and 6) of the external USIM 600. Of course, since the earphone microphone signal EAR_MIC + is not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even when the earphone is connected, the signal by the microphone is not introduced into the mobile terminal. That is, the user uses the audio signal only in one direction in the two-stage connection state.

만약, 상기 확인과정(S723)에서 이어폰이 직접 이동 단말기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외장 USIM(500)의 루프 안테나를 이용할 수 없어 발생된 DMB 이벤트에 좋은 품질의 영상 및 음질을 제공할 수 없으므로 DMB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S723a). 이 때는 물론, 요청된 DMB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는 안내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 USIM의 전파송수신 자원을 사용하는 방식이 아닌 다른 알려져 있는 방식의 수단을 통해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서 DMB 이벤트를 발생시킨 것일 수도 있으므로 정상적인 DMB 기능을 수행 시작할 수도 있다(S723b).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23 that the earphon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control unit 410 determines that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the loop antenna of the external USIM 500, Since the image and sound quality can not be provided, the DMB function is not performed (S723a). In this case, of course, a guidance messag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explaining the reason why the requested DMB function is not performed. Alternatively, it may be that the DMB event is gen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radio wave can be received through a known means other than the method of using the radio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of the external USI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723b).

다음으로, 현재 2단 접속상태의 값을 확인하고(S726) 그 값이 OFF이면, 앞서 2확인단계(S723)에서 직접 이어폰이 이동단말기에 접속된 것으로 확인된 것이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411)를 제어하여 이어폰 마이크 신호 수신모드로 설정한 뒤(S727) 다음 과정을 수행하게 되고, 그 값이 ON이면 바로 다음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어폰 마이크 신호 수신모드로 설정됨으로써, 사용자는 이어폰을 통해 통화를 하거나, 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파수신 수단을 통해 이루어지기 시작한 DMB 프로그램의 오디오를, 직접 연결된 이어폰을 통해 청취할 수가 있다.Next, if the current value of the second-stage connection state is confirmed (S726) and the value is OFF, it is confirmed that the earphone is connected directly to the mobile terminal in the previous 2 confirmation step (S723) (Step S727) to perform the next process. If the value is ON, the next step is performed. By setting the earphone microphone signal receiving mod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make a call through the earphone, or listen to the audio of the DMB program started through the conventional radio wave receiving means through the directly connected earphone There is a number.

이어폰이 겁출되는 상태에서는, 이벤트 확인과정(S722,S514)과 2단 접속상태 값 확인과정(S726)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데, 이 상태에서, 도 6의 외장 USIM(600)을 통해 2단으로 접속되어 있는 이어폰이 탈착되거나 또는 도 6의 외장 USIM(600)이 탈착되면 상기 이어폰 검출확인과정(S503)에 따라 안테나 수신모드로 재설정되는 단계(S711)에서 상기 2단 접속상태 값은 초기화(ON->OFF)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earphone is searched, the event confirmation process (S722, S514) and the second-stage connection state value checking process (S726) are repeatedly performed. In this state, the external USIM (600) If the connected earphone is detached or the external USIM 600 of FIG. 6 is detached, the second-stage connection state value is reset to the antenna reception mode according to the earphone detection confirmation step S503 (S711) -> OFF).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외장 USIM(300 또는 600)이 이동 단말기에 물리적/전기적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전환스위치(310 또는 620)를 '정상'모드 측으로 절환시키면 외장 USIM의 본래의 기능에 따라 루프 안테나를 통해 근접한 RF 장치와 RF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교통요금 등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even when the external USIM 300 or 600 is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if the changeover switch 310 or 620 is switched to the 'normal' mode side,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RF signals to and from nearby RF devices through the loop antenna, so that payment of traffic charges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외장 USIM(300 또는 600)에서 안테나 유기신호를 단말기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를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절환하는 방식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에 물리적/전기적 결합되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루프 안테나의 유기신호가 단말기로 인입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8은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전환스위치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user has artificially switched the switch for allowing the terminal to use the antenna organic signal in the external USIM 300 or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organic signal of the loop antenna is automatically inputted to the terminal. Fig. 8 shows an example of the changeover switch having such a structure.

도 8에 예시된 구조를 갖는 전환스위치(800)는, 외장 USIM이 이동 단말기와의 물리적/전기적 결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예를 들어 MMI 수용소켓을 통해 결합될 때 바(810)가 눌러짐으로써 안으로 슬라이드되어 루프안테나가 MMI 헤더의 특정 핀, 예를 들어 핀 3에 연결된다. 슬라이드되지 않은 때에는( 도 8에 도시된 상태 ), 루프 안테나의 급전패드(820)와 와이어(812)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접촉전극(811)이 내부 USIM 칩의 RF 수신단(RX_IN)과 연결된 접점에 접촉됨으로써 루프 안테나에 유기되는 신호는 USIM 칩에 인가되는 상태이다. 눌러져 슬라이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전극(811)이 MMI 헤더의 특정 핀에 연결되어 있는 접점(821)에 접촉됨으로써 안테나에 유기되는 신호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로 인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는 물론 상기 바(810)내에 형성된 긴 홈에 삽입되어 있 는 와이어(812)가 굴절되면서, 전환스위치가 이동된 만큼 길이가 짧아지며, 탄성체의 스프링(813)도 이동만큼 압축된다.The change-over switch 800 having the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8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external USIM is coupled through an interface for physical / electrical coupling with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via an MMI receptacle socket, the bar 810 is pushed So that the loop antenna is connected to a specific pin of the MMI header, for example, pin 3. 8), the contact electrode 811 connected to the feed pad 820 of the loop antenna through the wire 812 is connected to the contact connected to the RF receiving end RX_IN of the internal USIM chip And the signal induced to the loop antenna by the contact is applied to the USIM chip. The contact electrode 81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int 821 connected to the specific pin of the MMI header so that a signal induced to the antenna can be introduced into the currently connected mobile terminal. As a matter of course, the wire 812 inserted in the long groove formed in the bar 810 is deflected, and the length of the spring 813 of the elastic body is reduced by the movement as the switch is moved.

상기 전환스위치(800)를 구비한 외장 USIM이 이동 단말기로부터 탈착되면 상기 스프링(813)이 복원됨으로써 상기 바(810)를 밀어내어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따라서, 루프 안테나의 급전패드(820)가 내부 USIM 칩의 RF 수신단(RX_IN)과 연결된 접점에 재접촉됨으로써 외장 USIM의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When the external USIM having the changeover switch 800 is detach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spring 813 is restored to push the bar 810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Accordingly, the feeding pad 820 of the loop antenn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int connected to the RF receiving end RX_IN of the internal USIM chip, thereby being able to perform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external USIM.

도 8에 예시된 전환스위치의 구조는 여러 형태로써 구현될 수도 있고 설치되는 위치도 다양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설명에서 예시되지 않은 구조나 설치위치를 갖는다 할지라도, 이동 단말기와의 접속시에 루프 안테나와의 연결점을, 내부 USIM 칩에서, 현재 결합된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신호선으로 자동으로 절환하는 기능을 갖는 전환스위치를 구비한 외장 USIM은, 예시로써 설명하고자 한 본 발명의 원리와 사상, 또는 특징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므로 그러한 차이만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The structure of the changeover switch illustrated in Fig. 8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may be installed in various positions. However, even if the structure or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not illustra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oint to the loop antenna at the time of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is automatically switched from the internal USIM chip to the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currently- An external USIM having a changeover switch having a function of switching can not be interpreted as being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it uses the principle, idea, or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s an example.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루프 안테나의 유기신호의 경로를 전환하는 스위치로서 기계적인 스위치를 예로 들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그 접점이 전환되는 전기적 스위치를 사용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스위치가 외장 USIM에 구비된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In the embodiments described so far, a mechanical switch is taken as an example of a switch for switching the path of the organic signal of the loop antenna. 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ical switch whose contact is switched by an electrical signal is used. FIG. 9 shows an example in which an electrical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in an external USIM.

본 실시예의 전기적 스위치(900)에 인가하는 접점전환 제어신호(Ant_Func_Control)는 이동 단말기와 결합되는 인터페이스에 할당되어 있는 하나 의 신호선을 통해 이동 단말기로부터 인가된다. 도 2의 접속사양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예비되어 있는 신호선(핀 2,12) 중 하나를 상기 접점전환 제어신호의 전달경로로 이용한다. 만약, 이동 단말기가 결합할 수 있는 기기들중 어떤 기기도 사용하지 않는 신호선이 채택한 인터페이스에 있다면 그 신호선을 상기 접점전환 제어신호의 전달경로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 2의 접속사양이 아닌 다른 접속사양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채택한다면 상기 접점전환 제어신호의 전달경로를 위한 신호선을 별도로 할당할 수도 있다.The contact switching control signal (Ant_Func_Control) to be applied to the electric switch 9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one signal line allocated to the interface coupled with the mobile terminal. In the embodiment using the interface having the connection specification of Fig. 2, for example, one of the reserved signal lines (pins 2 and 12) is used as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contact switching control signal. If a signal line that does not use any of the devices that the mobile terminal can combine is present in the adopted interface, the signal line may be used as a transmission path of the contact switching control signal. The signal line for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contact switching control signal may be separately allocated.

도 9의 전기적 스위치(900)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또는 전원은 인가되어 있으나 상기 접점전환 제어신호가 비활성상태일 때는, 루프 안테나를 내부 USIM 칩의 RF 수신단(RX_IN)에 연결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을 갖는다. 도 9의 전기적 스위치(900)에 인가되는 전원(Vcc)은, 비접촉 RF 기기로부터 무선 수신되어 루프 안테나를 통해 유기되는 전력이 아닌, 이동 단말기와 결합되는 인퍼테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이다.9, when the power is not applied or the power is applied but the contact switching control signal is in an inactive state, the loop antenna is connected to the RF receiving terminal RX_IN of the internal USIM chip . ≪ / RTI > The power supply Vcc applied to the electrical switch 900 of FIG. 9 is a power supplied through the interface coupled with the mobile terminal, not by the power received from the non-contact RF device via the loop antenna.

도 9의 전기적 스위치(900)를 구비하고 있는 외장 USIM을 수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는 도 10과 같은 회로구성을 갖는다. 도 10의 제어부(1010)는, 필요한 경우 도 9의 외장 USIM의 전기적 스위치(900)에 접점전환 제어신호선(1010a)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접점을 전환시켜 접속되어 있는 그 외장 USIM의 루프 안테나의 유기신호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단말기 내부로 인입되도록 한다. 상기 접점전환 제어신호선(1010a)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010)가 도 5의 흐름도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안테나 수신모드를 설정하는 S502 및 S511 단계이 며, 이 단계들에서 상기 접점전환 제어신호선(1010a)를 활성화시키고, 도 7의 흐름도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안테나 수신모드를 설정하는 S702, S711, 그리고 S724 단계에서 상기 접점전환 제어신호선(1010a)를 활성화시킨다.A mobile terminal capable of accommodating an external USIM having the electrical switch 900 of FIG. 9 has a circuit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0 activates the contact switching control signal line 1010a to the electrical switch 900 of the external USIM of Fig. 9 to change the contact point so that the organic signal of the loop antenna of the external USIM Interface to the mobile terminal. When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contact switching control signal line 1010a, when the control unit 1010 performs the flow chart of FIG. 5, steps S502 and S511 for setting the antenna receiving mode are performed. When the contact switching control signal line 1010a is activated and the flowchart of FIG. 7 is performed, the contact switching control signal line 1010a is activated in steps S702, S711, and S724 in which the antenna reception mode is set.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제어신호없이 외장 USIM이 이동 단말기와 물리적/전기적 결합되면 자동으로 루프 안테나의 유기신호의 경로를 이동 단말기측으로 전환시키는 전기적 스위치를 구비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구비한 외장 USIM을 예시한 것이다. 도 11의 전기적 스위치(1110)는, 전원(1111)으로서 비접촉 RF 기기로부터 무선 수신되어 루프 안테나를 통해 유기되는 전력이 아닌, 이동 단말기와 결합되는 인퍼테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을 인가받으며, 또한 인가되는 전원을 접점전환 제어신호로 사용한다. 상기 전기적 스위치(1110)는,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접점전환 제어신호가 전원레벨과 동일레벨이면 루프 안테나를 이동 단말기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측으로 연결시키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루프 안테나를 내부 USIM 칩의 RF 수신단(RX_IN)으로 연결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 11의 전기적 스위치(1110)를 구비하고 있는 외장 USIM은, 이동 단말기와 결합시에는 자동으로 루프 안테나의 자원을 이동 단말기가 쓸 수 있도록 하고, 착탈되었을 때는 내부의 USIM 칩을 루프 안테나로서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al switch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path of the organic signal of the loop antenna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external USIM is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without a separate control signal. 11 illustrates an external USIM having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ctric switch 1110 of FIG. 11 receives power supplied via the interface coupled with the mobile terminal, not the power that is received wirelessly from the non-contact RF device as the power source 1111 and induced through the loop antenna, The applied power is used as the contact switching control signal. If the contact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t the same level as the power supply level, the loop antenna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power is not applied, the loop antenna is connected to the inner USIM To the RF receiving end (RX_IN) of the chip. Therefore, the external USIM having the electrical switch 1110 of FIG. 11 can automatically use the loop antenna resourc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upled with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external USIM is detached, the internal USIM chip is used as a loop antenna And to perform the original 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의 물리적 접속사양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되, 접속된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핀 7의 'device' 신호선에 대해 외장 USIM을 식별할 수 있는 특정 신호 또는 특정 신호상태를 더 할당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장 USIM(1200)이, 이동 단말기와 접속된 MMI 인터페이스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그 전원을 적절히 분압하여, 상기 특정 신호상태의 전압레벨을 출력하는 분압기(1210)를 구비하거나, 또는 MMI 인터페이스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그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특정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기 및 카운터 등으로 구성된 식별회로(121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외장 USIM(1200)은, 앞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여러 전환스위치들(310,620) 및 전기적 스위치(900,1110)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구비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전환스위치들이나 전기적 스위치없이 본래의 USIM 칩에 의한 기능만을 수행하는 외장 USIM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도 4 또는 도 10의 회로구성에서 제어부(410,1010)는 입력되는 'Device_Detection' 신호선으로부터 도 12의 외장 USIM(1200)이 접속된 것을 알 수 있으므로, 도 13에 예시된 과정을 통상의 프로그램 처리루틴상에서 추가로 수행하게 된다. 즉, 'Device_Detection' 신호선으로부터 외장 USIM임을 나타내는 상기 특정 신호 또는 특정 신호상태가 검출되는 지를 확인하고(S1301), 검출되면 안테나 수신모드로 설정하고( 도 4 또는 10의 아날로그 스위치를 입력신호가 DMB RF 수신기로 인가되도록 하고 )(S1311), 그렇지 않으면 이어폰 마이크 신호 수신모드로 설정한다( 도 4 또는 10의 아날로그 스위치를 입력신호가 마이크 신호 처리부로 인가되도록 한다 )(S1312). 상기 설정동작은 물론, 그 전에 같은 상태였다면 그 상태를 유지하는 동작이 된다.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face having the physical connection specification of FIG. 2 is used, but a specific signal or a specific signal capable of identifying the external USIM to the 'device' signal line of the pin 7 for identifying the connected device You can allocate more states and use them. In this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 12, when the external USIM 1200 appropriately divides the power of the power source from the MMI interfac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outputs a voltage level of the specific signal state, And an identification circuit 1210 configured by an oscillator and a counter for outputting the specific signal by the applied power when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MMI interface. The external USIM 1200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one of the plurality of changeover switches 310 and 620 and the electronic switches 900 and 1110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Alternatively, it may be an external USIM that performs only functions by the original USIM chip without the above-mentioned changeover switches or electrical switches.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ontrol units 410 and 1010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4 or 10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can recognize that the external USIM 1200 of FIG. 12 is connected from the input 'Device_Detection' signal line, 13 is further performed on a normal program processing routine. That is, it is checked whether the specific signal or the specific signal state indicating the external USIM is detected from the 'Device_Detection' signal line (S1301). If it is detected, the analog switch of FIG. (Step S1311). Otherwise, the earphone microphone signal receiving mode is set (step S1312) in which the input signal is applied to the microphone signal processing unit of the analog switch of FIG. 4 or 10). The setting operation is, of course, an operation of maintaining the same state before the setting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의 접속사양과는 다른 접속사양 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장 USIM의 루프 안테나가, 접속되는 이동 단말기의 전파수신자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른 기능과 혼용되지 않는 독립된 신호단자(1401)를 갖는, 여러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들과의 결합을 위한 핀-신호 할당사양을 갖는 인터페이스(1400)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1400)가 상기 외장 USIM내의 USIM 칩이 사용할 수 있는 전압의 전력을 공급하는 단자를 또한 접속사양으로 가질 수 있다. 이 때에는 외장 USIM내에 별도의 전압 변환을 위한 기기( 예를 들어, 도 3의 320 )를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와 10에 예시된, 이동 단말기의 내부 회로구성에서 아날로그 스위치는 제거되며,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독립된 신호단자(1401)와 DMB RF 수신기(1410)의 RF 입력단(RF_Rx)과 직결되는 회로선(1402)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7 그리고 13의 아날로그 스위치의 신호경로를 변경하는 모드 변경동작은 당연히 수행하지 않는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외장 USIM은 여전히 앞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한 전환스위치를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DMB 기능의 수행요청시에 그 전환스위치의 적절한 전환여부를 확인하라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내부 구성요소들, 특히 DMB RF 수신기(141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face having a connection specification different from the connection specification of Fig. 2 may be used. 14, the loop antenna of the external USIM is used as a radio wave receiving resource of the connected mobile terminal. In this embodiment, An interface 1400 having pin-signal allocation specifications for coupling with external devices of the same type is used. Preferably, the interface 1400 may also have a connection specification to provide a power supply for the voltage that the USIM chip in the external USIM can use. At this time, the apparatus for external voltage conversion (for example, 320 in FIG. 3) is not provided in the external USIM. In this embodiment, the analog switch is removed in the internal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S. 4 and 10, and the signal terminal 1401 and the DMB RF receiver 1410, as illustrated in FIG. 14, And a circuit line 1402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F input terminal RF_Rx. In this embodiment, the mode changing operation for changing the signal paths of the analog switches in Figs. 5, 7 and 13 is not performed naturally. However, the external USI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still use the changeover switch which requires the user's operation in the above-mentioned various embodiments. Therefore, when requesting the execution of the DMB function, a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the changeover switch is properly switched is outputted And also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components, particularly the DMB RF receiver 1410, if necessary.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개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외장 USIM이 접속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1 shows an example in which an external USIM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is stored is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도 1의 접속에 채택되어 사용되는 MMI 인터페이스의 핀할당 사양을 나타낸 것이고,Fig. 2 shows a pin assignment specification of the MMI interface adopted and used in the connection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USIM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고,FIG. 3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an external USI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등에 구현되는, 외장 USIM을 이용할 수 있는 회로구성을 예시한 것이고,FIG. 4 illustrates a circuit configuration using an external USIM, implemented in a mobile terminal or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외부 전파송수신 자원을 이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이고,5 is an embodiment of 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utilizing external radio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과 같은 다른 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외장 USIM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고,Figure 6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an external USIM having a separate interf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nother device such as an ear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외장 USIM의 전파송수신 자원을 이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이고,FIG. 7 is an embodiment of 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utilizing the radio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of the external USIM of FIG. 6,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파송수신 자원의 신호경로를 이동 단말기와의 결합시 자동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의 구조의 예를 나타낸 것이고,8 show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changeover switch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signal path of radio wave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upon coupling wit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파송수신 자원의 신호경로를 이동 단말기와의 결합시 자동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의 구조의 예를 나타낸 것이고,9 shows an example of a structure of a changeover switch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signal path of radio wave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upon coupling wit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등에 구현되는, 외장 USIM을 이용할 수 있는 회로구성을 예시한 것이고, Fig. 10 illustrates a circuit configuration using an external USIM, which is implemented in a mobile terminal or the lik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파송수신 자원의 신호경로를 이동 단말기와의 결합시 자동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의 구조의 예를 나타낸 것이고,11 shows an example of a structure of a changeover switch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signal path of radio wave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upon coupling wit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신의 식별케하는 신호 또는 신호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외장 USIM의 일부 구성을 예시한 것이고,12 illustrates a portion of an external USIM capable of providing its own identifying signal or signal condi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의 외장 USIM의 전파송수신 자원을 이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방법의 일 실시예이고,13 is an embodiment of anothe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utilizing the radio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of the external USIM of Fig. 12,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등에 구현되는, 외장 USIM을 이용할 수 있는 회로구성을 예시한 것이고, FIG. 14 illustrates a circuit configuration using an external USIM, which is implemented in a mobile terminal or the lik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2)

동평면상에 감긴 구조를 갖는 전파 송수신 자원을 구비한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에 있어서,1. A portable information storage device having radio wave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having a structure wound on a plane of a plane,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전파 송수신 자원을 통해 외부와의 신호교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정보모듈과,An information module that stores personal information and is configured to perform signal exchange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radio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이동 단말기와 물리적/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구조와,An interface structure configured to physically / electrically connect with the mobile terminal to exchange signals, 상기 정보모듈에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의 특정 신호단에 상기 전파 송수신 자원을 선택적으로 전기적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장치.And switching means configured to selectively electrically connect the radio wave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to the information module or a specific signal end of the interface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스위칭 수단은, 인위적 힘에 의해 상기 전파 송수신 자원과의 전기적 연결상태가 전환되도록 구성된 것인 장치.Wherein the switching means is configured to switch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with the radio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 by an artificial for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이동 단말기와 물리적으로 접속시 또는 탈착시에, 상기 전파 송수신 자원과의 전기적 연결상태가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된 것인 장치.Wherein the switching means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witch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with the radio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 when physically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이동 단말기와 물리적으로 접속시에, 상기 전파 송수신 자원을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의 상기 특정 신호단과 자동으로 전기적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인 장치.Wherein the switching means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electrically connect the radio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 with the specific signal stage of the interface structure when phys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접속시,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의 전원공급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정보모듈이 필요로 하는 전압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압변환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장치.And a voltage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interface structure to the power of the voltage required by the information modu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대응구조에 삽입됨으로써 물리적/전기적 결합되는 구조인 것인 장치.Wherein the interface structure is a structure that is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by being inserted into an interface corresponding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특정 신호단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대응구조에 이어폰이 물리적/전기적으로 결합되었을 때 그 이어폰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의 경로로 지정된 상기 인터페이스 대응구조의 신호단자와 전기적 연결되는 신호단인 것인 장치.The specific signal terminal includes a signal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ignal terminal of the interface corresponding structure designated by a path of a signal generated from a microphone provided in the earphone when the earphone is physically / Lt; / RTI >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다른 기기와 물리적/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와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인터페이스 대응구조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고,And an interface correspondence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structure, the interface correspondence structure being configured to be physically / electrically connected to another device and exchange signals,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와 상기 인터페이스 대응구조간에는, 이어폰을 위해 지정된 신호단들은 상호 결선되되, 이어폰의 마이크 신호를 위해 지정된 신호단은 상호 결선되지 않는 것인 장치.Between the interface structure and the interface correspondence structure, the signal terminals specified for the earphone are interconnected, and the signal terminals designated for the microphone signal of the earphone are not interconnected. 방송신호를 디코딩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A mobile terminal having a function of decoding and outputting a broadcast signal, 외부 기기에 대한 물리적/전기적 결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구조와,An interface structure configured to provide physical / electrical coupling to an external device, 제어신호에 따라,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RF 수신부에 또는 다른 기능의 신호처리부에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의 특정 신호단을 전기적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스위칭 수단과,Switching means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a specific signal terminal of the interface structure to an RF receiving section capable of receiving and processing an RF broadcasting signal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r to a signal processing section of another function;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apply the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means,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 수신부에 연동하는 전파 송수신 자원을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제공해 줄 수 있는 외부 기기를 매개로 하여, 상기 다른 기능의 신호 처리부와 연동하는 외부 기기가 2단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control unit controls whether or not an external device interlocked with the signal processing unit of the other function is coupled in a two-step manner via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providing radio wave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linked to the RF receiving unit through the interface structure And then applies the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means. 제 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며, 그 초기화 동작시에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하여 상기 특정 신호단을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상기 RF 수신부와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단말기.The control unit may perform an initializatio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n the initialization operation, the control unit may apply the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to connect the RF signal receiving unit, . 제 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에 이어폰이 물리적/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하여 상기 특정 신호단을 이어폰 마이크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음성처리수단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단말기.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voice processing unit that applies the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to receive the earphone-microphone signal and processes the earphone-microphone signal when the earphone is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to the interface structure To the terminal. 제 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에 이어폰이 물리적/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루프(loop) 형상의 전파 송수신 자원을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제공해 줄 수 있는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기 이어폰이 2단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지를 또한 확인하고, 2단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하여 상기 특정 신호단을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상기 RF 수신부와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단말기.If the earphone is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to the interface structure,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loop-shaped radio wave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 through the interface structure to the earphone /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y are coupled in a two-stage manner, it is possible to apply the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means so that the specific signal terminal can receive and process the RF broadcast signal And an RF receiver. 제 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에 이어폰이 물리적/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루프(loop) 형상의 전파 송수신 자원을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제공해 줄 수 있는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기 이어폰이 2단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지를 또한 확인하고, 2단 방식이 아닌 직접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하여 상기 특정 신호단을 이어폰 마이크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음성처리수단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단말기.If the earphone is confirmed to be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to the interface structure, the controller may transmit a loop-shaped radio wave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 through the interface structure, If it is confirmed that they are coupled by the direct coupling method instead of the two-stage method, the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switching means to receive the earphone microphone signal at the specific signal terminal Wherein the terminal is configured to connect to a voice processing means capable of processing.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시도한 후 그 시도에 따른 데이터 응답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이어폰이 2단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단말기.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heck whether the earphone is coupled in a two-step manne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data response according to the attempt is received after attempt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hrough the interface structure. 제 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에 이어폰이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방송신호 처리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는, 상기 특정 신호단을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상기 RF 수신부와 연결시키거나 그와 같은 기 연결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하도록 구성된 것인 단말기.The control unit may connect the specific signal terminal to the RF receiving unit capable of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RF broadcasting signal when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broadcasting signal processing function in a state where the earphone is not coupled to the interface structure Or to apply the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means to maintain such a base connection state. 제 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신호단을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상기 RF 수신부와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할 때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물리적/전기적 결합될 수 있는 외부 기기의 전파 송수신자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이용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필요한 동작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출력되게 하는 동작을 또한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인 단말기.The controller may be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through the interface structure when the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switching means to connect the specific signal terminal to the RF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nd processing RF broadcast signals And to cause a message requesting an operation to be output to the user to be output so that the radio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of the external device can be used by the mobile terminal. 제 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신호단을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상기 RF 수신부와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할 때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물리적/전기적 결합될 수 있는 외부 기기의 전파 송수신자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이용될 수 있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인 단말기.The controller may be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through the interface structure when the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switching means to connect the specific signal terminal to the RF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nd processing RF broadcast signals And outputting, through the interface structure, a signal requesting that the radio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of the external device can be used by the mobile terminal. 제 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특정 신호단은,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에서, 이어폰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의 경로로 지정된 신호단인 것인 단말기.Wherein the specific signal terminal is a signal terminal specified by a path of a signal generated from a microphone of an earphone in the interface structure. 제 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개인식별 정보 및/또는 개인 인증정보를 이용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때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리세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단말기.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output a reset signal through the interface structure when performing a function for using a service using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perso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제 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개인식별 정보 및/또는 개인 인증정보를 이용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시도한 후 그 시도에 따른 데이터 응답에 근거하여, 상기 개인식별 정보 및/또는 개인 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에 물리적/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것인 단말기.Wherein the control unit attempts to transmit / receive data through the interface structure before performing a function for using the service using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the perso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data response according to the attempt, And / or a portable information storage device storing perso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to the interface structure. 방송신호를 디코딩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A mobile terminal having a function of decoding and outputting a broadcast signal, 외부 기기에 대한 물리적/전기적 결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구조와,An interface structure configured to provide physical / electrical coupling to an external device, 제어신호에 따라,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RF 수신부에 또는 다른 기능의 신호처리부에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의 특정 신호단을 전기적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스위칭 수단과,Switching means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a specific signal terminal of the interface structure to an RF receiving section capable of receiving and processing an RF broadcasting signal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r to a signal processing section of another function;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의 기기 검출 신호단으로부터, 루프 형태의 전파 송수신 자원을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제공해 줄 수 있는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가 물리적/전기적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특정 신호단을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상기 RF 수신부에 연결되도록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특정 신호단을 다른 기능의 상기 신호처리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말기.If it is detected from the device detection signal terminal of the interface structure that the portable information storage device capable of providing the loop transmission / reception resources through the interface structure is physically / electrically couple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RF receiving unit which can receive and process the signal and to otherwise apply the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means so that the specific signa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of another function terminal. 삭제delete
KR20080117026A 2008-11-24 2008-11-24 An information storage module having an antenna and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using the antenna of the module Expired - Fee Related KR1014801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17026A KR101480196B1 (en) 2008-11-24 2008-11-24 An information storage module having an antenna and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using the antenna of the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17026A KR101480196B1 (en) 2008-11-24 2008-11-24 An information storage module having an antenna and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using the antenna of the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276A KR20100058276A (en) 2010-06-03
KR101480196B1 true KR101480196B1 (en) 2015-01-26

Family

ID=42359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1702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0196B1 (en) 2008-11-24 2008-11-24 An information storage module having an antenna and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using the antenna of the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19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3455A (en) * 2005-04-27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using multifunctional socket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3455A (en) * 2005-04-27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using multifunctional socket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276A (en)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471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CN101425647B (en)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with antenna capabilities
EP26457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earphone
EP1684211A1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70232233A1 (en) Wireless handset with bluetooth remote control and dialing functionality on voip software application, and corresponding web phone
WO200704652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US8554293B2 (en) Mobile terminal and antenna connection cable thereof
KR200416690Y1 (en) Gender Changer Unit for Mobile Phones
KR101480196B1 (en) An information storage module having an antenna and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using the antenna of the module
US8970792B2 (en)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ler set applied to display device
EP3890284B1 (en) Cell phone and host
KR101018262B1 (en) Portable telephone
KR100651204B1 (en) Interface device and method with external device in portable terminal
KR101512042B1 (en) Mobile terminal
KR20040036161A (en) Digital television capable of interfac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64252B1 (en) Supporting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0881137A (en) Television system and network set top box integrating sound and wireless routing functions
KR20150088403A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0983984B1 (en) Method for interfacing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uint and a external gender for mobile chip service
KR10069590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function module that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function modules
KR20110062491A (en) Gender for Mobile Devices
JP2005056753A (en) Battery pack and portable telephone device
KR20110062556A (en) Gender for Mobile Devices
KR100654638B1 (en) Device for recognizing peripheral device connected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80104462A (en)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1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1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