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804B1 - An outlet device having a standby power shutoff function of a computer or an electronic product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An outlet device having a standby power shutoff function of a computer or an electronic product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0804B1 KR101470804B1 KR1020130014778A KR20130014778A KR101470804B1 KR 101470804 B1 KR101470804 B1 KR 101470804B1 KR 1020130014778 A KR1020130014778 A KR 1020130014778A KR 20130014778 A KR20130014778 A KR 20130014778A KR 101470804 B1 KR101470804 B1 KR 1014708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computer
- power supply
- unit
- moni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VZBJIPJKJKKWPH-UHFFFAOYSA-N (2-thiophen-2-yl-1,3-thiazol-4-yl)methanamine Chemical compound NCC1=CSC(C=2SC=CC=2)=N1 VZBJIPJKJKKWP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 Source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의 전원이 '오프'되거나 절전모드시 주변 기기( 프린터 모니터, 스피커 등)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콘센트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device for shutting off the standby power of a peripheral device (printer monitor, speaker, etc.) in a power-off mode of a computer or a control method thereof.
종래의 컴퓨터주변기기는 컴퓨터가 절전모드가 되면 절전을 위해 모니터의 화면을 꺼서 소비전력을 줄여 약 15W 정도가 소비되고 컴퓨터가 전원 '오프' 되면 모니터의 기능을 정지하고 대기상태가 되는데 이때 소비되는 대기전력은 통상 4W정도 낭비된다.Conventional computer peripherals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turning off the monitor screen to conserve power when the computer is in the power saving mode. When the computer is powered off, about 15 W is consumed and the monitor stops functioning and becomes a standby state The power is usually wasted by about 4W.
또한 프린터는 항상 4W정도 전력이 소모되고 있다.In addition, the printer always consumes about 4 W of power.
본 발명은 컴퓨터의 절전모드시나 전원 '오프'시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낭비되는 소비전력과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플러그를 빼지 않고도 제로로 하고 콘세트 자체 소비전력도 완전히 차단하여 전기요금을 줄이고 불필요한 전력생산으로 발생되는 CO2의 과다 배출을 억제하여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power consumption and wasted standby power by shutting off the power of the computer peripheral device when the computer is in the power saving mode or power 'off' state without turning off the plug, It is possible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by suppressing excessive emission of CO2 generated by unnecessary power generation.
컴퓨터전류감지부, 모니터전류감지부, 제어부,전원부, 모드전환부, 전원공급/차단부 A computer current sensing unit, a monitor current sensing unit, a control unit, a power supply unit, a mode switching unit, a power supply /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제품 또는 컴퓨터가 전원'오프'시나 절전모드시 컴퓨터 주변기기(모니터 ,프런터,스피커등)에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소비전력과 대기전력을 완전하게 차단하고 콘센트 자체의 대기전력도 완전히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콘센트장치 및 그 제어방법 기술에 관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ly blocks power consumption and standby power that are unnecessarily wasted in computer peripherals (monitors, printers, speakers, etc.) when the electronic product or the computer is turned off or in a power saving mod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종래의 기술로는 컴퓨터가 절전모드가 되면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이기 위해 모니터의 화면을 꺼서 최소의 전력이 소비되도록 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하도록 하고 있으나 그래도 모니터는 대기모드 시에도 많은 소비전력이 낭비되고 있다. 또한 프린터와 스피커등 주변기기들도 절전모드와 대기모드에 관계 없이 전력을 낭비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when the computer enters the power saving mode,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by consuming a minimum amount of power by turning off the screen of the monitor in order to redu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u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is wasted even in the standby mode . Peripherals such as printers and speakers are wasting power regardless of power saving mode or standby mode.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인이 등록한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특허 공고 제10 - 1175674 에서 해결하였으나 모니터케이블을 콘센트와 연결하여 그래픽신호를 감지하기 때문에 모니터 케이블이 추가되어 원가가 상승되고 또 컴퓨터에서 지원하는 신호가 R.G.B 방식과 D.V.I 방식, HDMI방식등 다양하게 생산 되어 모든 컴퓨터에 적용이 가능하게 하기위해서는 그래픽신호방식에 따라 젠더를 별도로 추가하여야 하여야 하므로 제품가가 상승되고 사용자가 사용시 연결이 복잡하여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a monitor cable is connected to an outlet to detect a graphic signal, a monitor cable is added to increase the cost, and the signals that are supported by the computer are produced in various ways such as an RGB method, a DVI method, and an HDMI method, as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 - 1175674 In order to be able to apply to all computers, it is necessary to add gender separately according to the graphic signal system, so that the product price is increased and the user is difficult to install due to complicated connection when using.
또, 컴퓨터 전원이 꺼져도 주변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뽑지않으면, 주변기기에서는 계속 전력이 낭비되고 있다. 이때 컴퓨터도 대기전력으로 전력이 낭비된다.Also, if the power plug of the peripheral device is not unplugged even when the power of the computer is turned off, power is wasted continuously in the peripheral device. At this time, the computer also wastes power by standby power.
또한, 이렇게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을 생산하여야 함으로 이때 CO2가 발생되어 환경오염의 요인이 되는 등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unnecessary waste electric power must be produced, and CO2 is generated at this time, which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컴퓨터가 절전모드시 절전모드를 감지하기 위한 콘센트의 모니터 케이블을 없이도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제품원가를 줄이면서 컴퓨터 사용중 절전모드가 되면 컴퓨터를 제외한 모든 주변기기 등에서 낭비되는 소비전력을 완전하게 차단하고, 컴퓨터가 전원'오프' 상태가 되면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을 완전하게 차단할 뿐 아니라 콘센트 자체의 소비전력도 완전히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콘센트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saving mode detecting apparatus and a power saving method capable of detecting a power saving mode without a monitor cable, When the mode is turned off, the power consumption of all peripherals except the computer is completely blocked. When the computer is turned 'off', it completely blocks the standby power of the computer and peripheral device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장치에 있어서 컴퓨터로 전원 공급이 되는 전단에 컴퓨터전류감지부(21)를 구비하여 컴퓨터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절전모드 를 감지하기 위해 모니터전류감지부(20)을 구비하여 모니터 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절전모드의 전류가 감지되면 절전모드시로 판단하고 절전모드 상태에서 컴퓨터 사용모드로 전환하는 수단으로 전원 스타트스위치SW1(30) 과 전원공급 또는 사용모드의 신호로 전환하는 수단으로 모드전환부(23)을 구비한다.In the receptacle device having the stand-by power cut-off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er current sensing part (21)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omputer to monitor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mputer and to monitor the power saving mode 20) for detect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onitor and detecting a current in the power saving mode to determine that the power saving mode is selected and switching the power start switch SW1 (30) and the power supply or use mode The
또한 컴퓨터의 전원을 '오프'하면 컴퓨터전류감지부(21)로 부터 컴퓨터대기전류를 감지하여 전원차단/공급부(28)을 차단하여 컴퓨터 및 주변기기, 콘센트 자체의 대기전력도 100% 차단 할수 있게 한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of the computer is turned off, the computer
컴퓨터를 켜기 위한 수단으로 스위치SW1(30)을 구비하여 스위치SW1(30)을 누르고 컴퓨터의 전원 스위치를 컴퓨터및 주변기기들이 정상 동작 되도록 한다.As a means for turning on the computer, the switch SW1 (30) is provided so that the switch SW1 (30) is pressed and the power switch of the computer is operated normally.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컴퓨터가 절전모드나 전원 오프시 컴퓨터로 흐르는 전류와 모니터로 흐르는 전류를 센싱하여 컴퓨터나 주변기기가 연결된 전원공급/차단부를 제어하여 절전모드시 주변기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주변기기에서 낭비되는 전력을 "0W"로 차단하여 전력의 낭비를 줄이고 전원 '오프'시 컴퓨터의 대기전력뿐 아니라 콘센트 자체의 소비전력까지 "0"로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이고 낭비되는 전력 생산에서 발생되는 CO2 줄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puter senses the current flowing to the computer and the current flowing to the monitor when the power is off or the power is turned off, the power supply / cutoff unit connected to the computer or the peripheral device is controlled to shut off the power of the peripheral device in the power saving mode,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to "0W" to reduce the waste of electric power.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mputer is reduced to "0" as well as the stand-by power of the computer,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Thereby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전원차단/공급부,컴퓨터전류감지부,모니터전류감지부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ower cutoff / supply unit, the computer current sensing unit,
전원부, 마이콤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이다. 이러한 특정 사항들에 대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Power supply unit, microcomputer, and the like, which are provided only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ertain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및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콘센트 구성의 일 실시 예를 예시한 도면으로 그 구성은1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ceptacl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2)와 컴퓨터전류감지부(21),모니터전류감지부(20), 컴퓨터의 전원플러그를 삽입 할 수 있는 연결부(10), 모니터 전원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연결구(11), 프린터,스피커등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삽일 할 수 있는 연결구(12),(13)으로 구성한다.A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부 구성의 일 실시 예를 예시한 회로 도면으로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unit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그 구성을 설명하면 콘센트(1)은 제어부(2)와 컴퓨터 및 주변기기의 전원The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연결구(10),(11),(12),(13)으로 구성하고(10), (11), (12) and (13) in which the plug can be inserted
제어부(2)는 콘센트에 전원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에서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타트스위치SW1(30)을 콘넥터CN을 통해 연결하여 외부의 소정의 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콘센트(1)의 몸체에 일체가 되도록 구비한다.The
또한, 스타트스위치SW1(30)를 누르면 전원이 모드전환부(23)을 통해 전원부(24)에 공급되면 제어부(2))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4)를 구비하여 제어부(2)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게 한다.When the start switch SW1 is pressed to supply power to the
모드전환부(23)은 콘센트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원과 분리되도록 릴레이로 구성하여 절전모드시에서 정상모드로 변환 시에 신호전달 되도록 회로를 구성한다.The
컴퓨터가 절전모드가 되면 모니터 대기전류와 모니터의 전류를 감지하여 전류가 변화되는 것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모니터전류감지부(20)을 CT와 다이오드D, 캐패시터C로 구성하여 마이콤U1(22)에 입력되도록 구성한다.When the computer is in the power save mode, the monitor
또 컴퓨터의 전원이 '오프'된 것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컴퓨터전류감지부(21)을 CT와 다이오드D, 캐패시터C로 구성하여 마이콤U1(22)에 입력되도록 구성한다.Also, the computer
한편, 스타트스위치SW1(30)가 눌려 전원이 전원부(24)에 공급되면 마이콤U1(22)가 동작하여 스타트스위치SW1(30)가 떨어져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도 전원부(24)에 전원이 계속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마이콤U1(22)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수단으로 전원공급/차단부(28)을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start switch SW1 (30) is pressed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또한, 콘센트의 모든 상태를 감지,연산, 판단, 제어하는 수단으로 마이콤U1(22)을 구성한다.Also, the
마이콤U1(22)의 제어에 따라 연결구에 전원을 공급, 차단하는 수단으로 컴퓨터에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컴퓨터전원 공급/차단부(25)와 모니터에 공급,차단하는 모니터전원 공급/차단부(27),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주변기기전원 공급/차단부(26)으로 구성한다.A computer power supply / cut-off
한편, 컴퓨터가 절전모드에 들어가면 모니터 및 주변기기의 전원이 완전하게 차단된 상태에서 컴퓨터를 다시 사용하기 위해 스타트스위치SW1(30)를 누르면 마이콤U1(22)에 신호를 줄 수 있도록 모드전환부(23)를 릴레이와 저항R로 구성하여 신 호를 마이콤U1(22)의 입력I1에 전달 되도록 구성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mputer enters the power saving mode, when the start switch SW1 (30) is pressed to use the computer again while the power of the monitor and the peripheral devices are completely shut off, the mode switching unit 23 ) Is constituted by a relay and a resistor R so that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nput I1 of the microcomputer U1 (22).
본 발명의 동작 및 제어방법을 설명하면,Describing the operation and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콘센트(1)에 전원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에서When the power to the
먼저 전원 공급하는 과정은 스타트스위치SW1(30)를 누르면 모드전환부(23)의 접점d1,d2와 접점e1,e2가 접속되어 있어 스타트스위치SW1(30)를 통해 전원이 전원부(24)에 공급된다.First, when the start switch SW1 (30) is pressed, the contacts d1 and d2 of the
이때, 전원부(24)는 제어부(2)에 필요한 전원을 만들어 제어부(2)에 공급하고, 마이콤U1(22)에 전원이 공급되면, 마이콤U1(22)은 출력O4를 제어하여 전원공급/차단부(28)의 접점f1,f2가 접속되게 하여 스타트스위치SW1(30)가 오픈 되어도 전원부(24)에 계속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제어부(2)는 정상 동작을 한다. 여기서 전원공급/차단부(28)는 릴레이 또는 트라이액 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한편, 마이콤U1(22)는 전원이 공급되면, 출력O1을 제어하여 모드전환부(23)의 접점d1,d2와 접점e1,e2 를 오픈하고 접점d1,d3와 접점e1,e3가 접속되도록 제어하여 이후 스타트스위치SW1(30)를 누르면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전환하여 하나의 스타트스위치SW1(30)로 전원공급 스타트기능과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when power is supplied, the
또한, 마이콤U1(22)는 출력O5 을 제어하여 컴퓨터전원공급/차단부(25)의 접점a1,a2가 접속되게 하여 컴퓨터 플러그 연결구(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컴퓨터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microcomputer U1 22 controls the output O5 so that the contacts a1 and a2 of the computer power supply /
이때, 컴퓨터전류감지부(21)에서 마이콤U1(22)의 입력A1으로 전류값이 입력 되면, 이 전류값을 측정하여 컴퓨터 대기전류값(이하 ics라 함)으로 기억한다.At this time, when the current value is input to the input A1 of the
컴퓨터의 전원을 켜지 않으면 전류값이 증가하지 않으므로 일정시간(예를 들어 1분이라면)동안 대기전류값이 유지되면 마이콤U1(22)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마이콤U1(22)의 출력O4를 제어하여 전원공급/차단부(28)의 접점f1,f2를 '오픈' 시켜 제어부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여 컴퓨터전원공급/차단부(25)의 접점a1,a2가 오픈되게 하여 컴퓨터 플러그 연결구(10)에 전원을 차단하고 콘센트장치 자체으리 전원공급을 완전하게 차단한다.If the standby current valu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one minute), the
만일, 1분 안에 컴퓨터의 전원을 켜면 전류가 증가하는데 마이콤U1(22)은 이 전류가 증가한 값과 컴퓨터대기전류ics 를비교하여 컴퓨터대기전류ics 보다 크면 컴퓨터를 켠 것으로 판단하여 마이콤U1(22)의 출력O3를 제어하여 모니터전원공급/차단부(27)의 접점c1,c2를 접속하여 모니터연결구(11)에 전원을 공급한다.When the power of the computer is turned on within one minute, the current increases. The
이때, 마이콤U1(22)는 모니터전류감지부(20)의 전류값을 A2를 통해 측정하여At this time, the
모니터 대기전류값(이하 ims라 함)으로 기억한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 ims ").
그리고 주변기기에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이콤U1(22)은 출력O2를 제어하여 주변기기전원공급/차단부(26)의 접점b1,b2을 접속시켜 전원을 주변기기연결구(12),(13)에 공급한다.In order to supply power to the peripheral devices, the
컴퓨터가 부팅이 되면서 모니터에 영상신호가 전달되어 영상이 나오면서 모니터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는 것을 마이콤U1(22)는 모니터전류감지부(20)의 전류값을 A2에서 계속 받아 컴퓨터를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한다.The
컴퓨터 절전모드시 주변기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방법은 2가지 방법이 가 능한데,There are two ways to control the power off of the peripheral device in the computer power saving mode,
첫 번째 방법으로는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수동 제어방법으로 스타트스위치SW1(30)을 한번 누르면 , 이 신호가 마이콤U1(22)의 입력I1으로 마이콤U1(22)에 전달되면 마이콤U1(22)은 절전모드로 판단하여As a first method, when the start switch SW1 (30) is pressed once by the manual control method while the computer is being used and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icrocomputer U1 (22) through the input I1 of the microcomputer U1 (22), the microcomputer U1 Mode
출력 O3를 제어하여 모니터 전원공급차단부(27)의 접점c1,c2를 '오픈' 시켜 모니터연결구(11)에 공급되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여 모니터에 공급하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고,The output O3 is controlled to open the contacts c1 and c2 of the monitor power
또한, 마이콤U1(22)은 출력O2를 제어하여 주변기기전원공급/차단부(26)의 접점b1,b2을 '오픈'시켜 주변기기연결구(12),(13)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여In addition, the
주변기기에 공급되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한다.It completely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peripheral device.
두 번째 방법으로는 자동으로 하는 제어방법으로The second method is to use the automatic control method
모니터 화면보호기에서 전원 끄기에서 설정한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예를 들어 5분로 설정하였다면), 5분동안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컴퓨터는 절전모드가 되어 모니터에 영상신호를 보내지 않으므로 모니터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한다.If you do not use your computer for 5 minutes (for example, if you set it to 5 minutes) in the monitor screen saver, you can set the time you set in the power off mode. For example, if you do not use the computer for 5 minutes, The current decreases.
모니터전류감지부(20)로 부터 이 전류값을 마이콤U1(22)의 A2에 전달되면When the current value is transmitted from the monitor
마이콤U1(22)는 이 전류값을 모니터대기전류값 ims과 비교하여 전류값이 모니터 대기전류 ims 와 같거나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The
컴퓨터 절전모드로 판단하여 출력 O3를 제어하여 모니터 전원공급차단부(27)의 접점c1,c2를 '오픈' 시켜 모니터연결구(11)에 공급되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여 모니터에 공급하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고,It is determined that the computer is in the power saving mode and the output O3 is controlled to open the contacts c1 and c2 of the monitor power
또한 마이콤U1(22)은 출력O2를 제어하여 주변기기전원공급/차단부(26)의 접점b1,b2을 '오픈'시켜 주변기기연결구(12),(13)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여The
주변기기에 공급되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한다.It completely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peripheral device.
이렇게 제어하여 컴퓨터 사용중에도 절전모드시에는 주변기기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여 전력낭비를 최소화 한다.This control minimizes power wastage by completel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peripheral device during the power saving mode even when the computer is in use.
절전모드에서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한 정상 상용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방법은 컴퓨터 절전모드에서 컴퓨터를 다시 사용하기 위해 스타트스위치SW1(30)을 한번 누르면, 모드전환부(23)의 접점d1,d3와 접점e1,e3가 접속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마이콤U1(22)의 입력I1이 '하이'상태에서 '로우'가 되므로 이것을 컴퓨터를 사용하려는 것으로 판단하여 마이콤U1(22)는 출력O2를 제어하여 주변기기전원공급/차단부(26)의 접점b1,b2을 접속시켜 주변기기연결구(12),(13)에 전원을 공급하고The control method of switching from the power saving mode to the normal commercial mode for using the computer is as follows. When the start switch SW1 (30) is pressed once to use the computer again in the computer power saving mode, the contacts d1, the
출력 O3를 제어하여 모니터 전원공급차단부(27)의 접점c1,c2를 접속시켜 모니터연결구(11)에 전원을 공급하여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output O3 is controlled to connect the contacts c1 and c2 of the monitor power
전원 '오프' 동작 제어방법을 설명하면,Describing the power 'off' operation control method,
컴퓨터를 종료하면 컴퓨터에 흐르던 전류가 감소하여 컴퓨터전류감지부(21)에서 마이콤U1(22)의 A1으로 입력된 전류값이 컴퓨터 대기전류ics과 비교하여 컴퓨터 대기전류 ics 와 같거나 작으면 컴퓨터를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여 마이콤U1(22)는 출력O4를 제어하여 전원공급/차단부(28)의 접점f1,f2를 '오픈' 시켜 제어부에 공급되던 전원 공급을 차단되어 컴퓨터전원공급/차단부(25)와 모니터 전원공급차단 부(27),주변기기전원공급/차단부(26) 모두 차단되어 연결구(10),(11),(12),(13)에 전원공급도 차단되고 컴퓨터,모니터,주변기기의 대기전력을 완전히 차단된다.If the current flowing into the computer is reduced when the computer is shut down and the current input to A1 of the
또한, 콘센트(1)에 전원도 완전하게 차단하여 콘센트 자체 대기전력도 완전히 차단된다.In addition, power to the
위와 같이 모니터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모니터 케이블 없이도 컴퓨터가 절전모드 상태가 되면 모니터 및 주변기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컴퓨터 사용중에도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가 설치가 용이하고 모니터 케이블이 필요하지않아 제품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If the computer is in the power saving mode without the monitor cable to detect the monitor signal as mentioned above, the power of the monitor and the peripheral device can be cut off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while the computer is in u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lower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되도록 구성한 구비한 콘센트 구성으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컴퓨터 및 주변기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다른전자제품( 예, 홈씨어터등)등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a product (e.g., a home theater, etc.) can be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콘센트 구성의 일 실시 예를 예시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ceptacl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부 구성의 일 실시 예를 예시한 회로 도면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unit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4778A KR101470804B1 (en) | 2013-02-12 | 2013-02-12 | An outlet device having a standby power shutoff function of a computer or an electronic product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4778A KR101470804B1 (en) | 2013-02-12 | 2013-02-12 | An outlet device having a standby power shutoff function of a computer or an electronic product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1524A KR20140101524A (en) | 2014-08-20 |
KR101470804B1 true KR101470804B1 (en) | 2014-12-08 |
Family
ID=5174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4778A Active KR101470804B1 (en) | 2013-02-12 | 2013-02-12 | An outlet device having a standby power shutoff function of a computer or an electronic product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080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495503A (en) * | 2020-03-18 | 2021-10-12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Power-off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socket and socke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9239A (en) * | 2002-07-23 | 2004-01-31 | (주)에이엔티리빙프라자 | Intellectual multi tap for saving power |
KR20100034527A (en) * | 2008-09-24 | 2010-04-01 | 주식회사 두원 | Dual control multi socket outlet for power saving in using computer system and its method |
KR20110042654A (en) * | 2009-10-19 | 2011-04-27 | 송기오 | Multi-tap for controlling standby power of computer and peripheral electric devices and standby power control method using same |
KR20120055484A (en) * | 2010-11-23 | 2012-05-31 | 김창호 | Socket apparatus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of electronincs products |
-
2013
- 2013-02-12 KR KR1020130014778A patent/KR10147080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9239A (en) * | 2002-07-23 | 2004-01-31 | (주)에이엔티리빙프라자 | Intellectual multi tap for saving power |
KR20100034527A (en) * | 2008-09-24 | 2010-04-01 | 주식회사 두원 | Dual control multi socket outlet for power saving in using computer system and its method |
KR20110042654A (en) * | 2009-10-19 | 2011-04-27 | 송기오 | Multi-tap for controlling standby power of computer and peripheral electric devices and standby power control method using same |
KR20120055484A (en) * | 2010-11-23 | 2012-05-31 | 김창호 | Socket apparatus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of electronincs produc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1524A (en) | 2014-08-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6936B1 (en) | Standby power cut-off device for computer and computer peripherals | |
KR101744927B1 (en) | A method for controling a monitor having the most power saving function during the sleep mode | |
JP2010511367A (en) | Power supply control device | |
JP2011258173A (en) | Power saving device and power saving method of the same | |
US8935556B2 (en) | Apparatus for blocking standby power of computer peripheral devices during an absence of horizontal/vertical sync signals to a monitor | |
KR101512478B1 (en) | Standby power cut-off apparatus for electronic product using power adapter | |
KR101298185B1 (en) | Socket apparatus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of electronincs products | |
KR100975220B1 (en) | A computer had standby power circuit breaker function | |
KR101470804B1 (en) | An outlet device having a standby power shutoff function of a computer or an electronic product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1826184B1 (en) | Standby power control apparatus having a standby power saving | |
KR100981248B1 (en) | A computer had standby power circuit breaker function | |
KR100979259B1 (en) | A automatic breaking unit of waiting electric power and automatic breaking method thereof | |
KR101020511B1 (en) | Power automatic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blocking standby power | |
KR100902235B1 (en) | Multi-tap to prevent standby power consumption from your computer and peripherals | |
KR101926184B1 (en) | Stanby power decrease apparatus of the monitor | |
KR101011383B1 (en) | Standby power reduction device and method | |
KR101482497B1 (en) | Standby power disconnect device for computer peripherals | |
KR20140126934A (en) | Intelligent outlet for power sav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1273708B1 (en) | Intelligent outlet for power sav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1305232B1 (en) | System for power saving of PC | |
KR20130081368A (en) | Outlet having standby power blocking function of electronic products, computers and peripheral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723194B1 (en) | Powe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with a built-in power management features of the monitor | |
KR20160001407U (en) | A socket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 |
KR20150138612A (en) | Multi-tap | |
KR20150127364A (en) | Reducing standby power devices using latching relay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4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