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78562B1 - Mobile terminal and its file search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its file search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562B1
KR101478562B1 KR20080022538A KR20080022538A KR101478562B1 KR 101478562 B1 KR101478562 B1 KR 101478562B1 KR 20080022538 A KR20080022538 A KR 20080022538A KR 20080022538 A KR20080022538 A KR 20080022538A KR 101478562 B1 KR101478562 B1 KR 101478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string
input unit
focus
scroll in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80022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97417A (en
Inventor
라케쉬 고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22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562B1/en
Publication of KR20090097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4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56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 또는 디렉토리(이하 '파일'이라 한다)중 원하는 파일을 신속하게 찾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문자열로 명명된 파일들을 상기 문자열의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고,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포커스를 이동시킨 파일을 포커싱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검색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포커스를 이동할 때, 상기 제 1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이웃하는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켜 포커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의 다음 순위의 문자열의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켜 포커싱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searching for a file of the mobile terminal, and is for quickly searching for a desired one of files or director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le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les named by a character string ar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rank of the character string, a user's selection signal for searching the file is inpu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of searching for the file. In particular, when the focus is mov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when the first scroll input unit scrolls, the focus is shifted to a file neighboring the focused file. When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is scrolled, the focus is shifted from the focused file to a file of a next character string of the search string set in the focused file.

포커스, 이동, 파일, 검색, 인덱스 Focus, move, file, search, index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검색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earching file thereof}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searching for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 중 원하는 파일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searching a file of the portable terminal.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휴대 단말기의 제조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이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한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가 소개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이와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대용량의 메모리부를 채용하고 있다.A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that can perform various applications and are easy to carry have been introduced. The portable terminal employs a large-capacity memory unit so as to store various data including various applications.

한편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용이성 때문에 작게 제작되기 때문에, 화면의 크기가 작다. 이로 인해 휴대 단말기의 저장된 디렉토리나 파일(이하 '파일'이라 한다)을 검색할 때, 화면에 5 내지 6개의 파일의 이름이 표시된다.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the screen is small because the portable terminal is made small because of its ease of portability. Accordingly, when searching a directory or fi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le')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names of five or six file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그런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의 수가 많을수록 원하는 파일을 찾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방향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파일을 찾게 되는데, 통상 방향키를 누를 때마다 포커스는 하나의 파 일 단위로 이동하기 때문에, 원하는 파일이 리스트의 아래쪽에 위치할 경우 찾는 많이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However, the larger the number of files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more time it takes to find a desired file. That is, the user searches for a desired file by using the direction key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Normally, whenever the direction key is pressed, the focus moves in one file unit. Therefore, when the desired file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list, It can tak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파일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검색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of searching for a file thereof, in which a desired file can be quickly foun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인덱스 엔진, 입력부 및 데코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덱스 엔진은 문자열로 명명된 파일들을 상기 문자열의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포커스를 이동시켜 상기 파일을 포커싱한다. 특히 상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제 1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이웃하는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하여 포커싱한다. 상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의 다음 순위의 문자열의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켜 포커싱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ex engine, an input unit, and a decorator. The index engine sequentially displays the files named by the character string according to the rank of the character string. The input unit includes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receiving a user's selection signal for searching the file. The decorator moves the focus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to focus the file. Particularly, when the first scroll input unit is scrolled, the decorator moves the focus to a file adjacent to the focused file and focuses the focused file. When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is scrolled, the decorator moves the focused focus by moving the focus from the focused file to a file of a next character string of the search string set in the focused file.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은 표시 과정, 입력 과정 및 포커싱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시 과정은 문자열로 명명된 파일들을 상기 문자열의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입력 과정은 상기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는다. 그리고 상기 포커싱 과정은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포커스를 이동시킨 파일을 포커싱한다. 특히 상기 포커싱 과정은 상기 제 1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이웃하는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하여 포커싱한다. 상기 포커싱 과정은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의 다음 순위의 문자열의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켜 포커싱한다.A method for searching a fi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rocess, an input process, and a focusing process. The display process sequentially displays the files named by the character string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character string. The input process receives a user's selection signal for searching the fil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The focusing process focuses a file in which focus is shif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In particular, in the focusing process, when the first scroll input unit is scrolled, the focus is moved to a file adjacent to the focused file to focus. When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is scrolled, the focusing is performed by moving the focus from the focused file to a file of a next-ranked character string of the set search string in the focused file.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한 파일씩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 1 스크롤 입력부와, 현재 포커싱된 파일에서 포커성된 파일의 설정된 검색 문자열의 다음 순위의 문자열의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갖기 때문에 원하는 파일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다.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croll input unit for moving a focus by one file and a second scroll input unit for moving focus from a currently focused file to a file of a next character string of a set search string of a poker file, So you can quickly find the file you want.

특히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누를 때마다 포커스는 현재 포커싱된 파일의 설정된 검색 문자열의 다음 순위의 문자열의 파일로 건너뛰기 때문에, 원하는 파일의 문자열이 포함된 파일 그룹으로 포커스를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문자열 확장 버튼을 눌러 찾고자 하는 파일이 속하는 파일 그룹을 한정하고, 한정된 그룹 내에서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눌러 원하는 파일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파일 검색 중 원하는 파일을 놓치고 지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particular, each time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is pressed, the focus is quickly shifted to a file group including a character string of a desired file because the focus is skipped to a file of a character string of the next rank of the set search string of the currently focused file. Or a string expansion button to restrict a file group to which a file to be searched belongs and to quickly access a desired file by pressing the first or second scroll input unit within a limited group, can do.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 입력부(20), 메모리부(30), 표시부(40), 인덱스 엔진(50; index engine) 및 데코레이터(60; decorat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0, an input unit 20, a memory unit 30, a display unit 40, an index engine 50 And a decorator 60).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의 이동방송 수신기 등과 같이 개인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정보처리, 정보제공, 통신 등의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를 망라한다.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 MP3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 playe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having functions such as information processing, information provision, and communication.

제어부(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특히 제어부(10)는 파일 검색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0 is a microprocessor that performs an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0 controls file retrieval.

입력부(20)는 휴대 단말기(10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키선택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0)에 전달한다. 입력부(20)는 키패드, 터치패드와 같은 포인팅 장치, 휠키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The input unit 20 provides a plurality of keys for operat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generates a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f keys and transmits the sel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 [ The input unit 20 may be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pad, a pointing device such as a touch pad, a wheel key, or a touch screen.

메모리부(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의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다. 메모리부(30)는 파일 또는 디텍토리에 음악(music), 소리(sound), 영상(image), 텍스트(text) 등을 저장하는 파일 시스템을 저장한다. 메모리부(30)는 파일 리스트에서 신속한 파일 검색을 수행하는 파일 검색 프로그램을 저장한다.The memory unit 30 stores a program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data generated during execution of the program, and includes at least one volatile memory device and a nonvolatile memory device. The memory unit 30 stores a file system for storing music, sound, image, text, and the like in a file or directory. The memory unit 30 stores a file search program for performing a quick file search in the file list.

표시부(4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40)는 파일 검색 모드에서 파일들을 리스트 형태로 순차적으로 표시하며, 화면에 표시된 파일 중 하나에 포커스가 위치한다. 표시부(40)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표시장치와 입력장치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The display unit 40 display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30 as well as various function menus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display unit 40 sequentially displays files in a list form in the file search mode, and focuses on one of the files displayed on the screen. As the display unit 40,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 touch screen may be used. The touch screen serves both as a display device and as an input device.

인덱스 엔진(50)은 문자열로 명명된 파일들을 문자열의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인덱스 엔진(50)은 표시부(40)의 화면이 수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정수의 파일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한다. 즉 통상적으로 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 명명된 이름을 가지며, 인덱스 엔진(50)은 파일 이름의 문자열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한다.The index engine 50 sequentially displays the files named by the strings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the strings. The index engine 50 displays an appropriate number of files in the form of a list within a range that the display 40 can accept. That is, the file typically has a name named by at least one character, and the index engine 50 sequentially displays it on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 string of the file name.

그리고 데코레이터(60)는 입력부(2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포커스를 이동시켜 파일을 포커싱한다.The decorator 60 moves the focu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20 to focus the fil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인덱스 엔진(50)과 데코레이터(60)가 제어부(10)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각각의 소자로 구현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어부(10)가 인덱스 엔진(50) 또는 데코레이터(5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거나, 인덱스 엔진(50)과 데코레이터(60)가 하나의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dex engine 50 and the decorator 60 are separated from the control unit 10 to be independent of each o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0 may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index engine 50 or the decorator 50, or the index engine 50 and the decorator 60 may be implemented by one element.

인덱스 엔진(50)은 파일들을 아래와 같은 규칙에 따라 리스트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먼저 파일의 이름은 문자, 숫자 또는 특수기호를 조합하여 N개(N은 자연수)의 자릿수를 가질 수 있다.The index engine 50 can display the files on the screen in a list according to the following rules. First, the name of a file can have N (N is a natural number) digits by combining letters, numbers, or special symbols.

첫째, 동일 자리에 숫자, 문자, 특수기호가 위치하는 경우, 숫자, 문자 및 특수기호 순으로 파일을 표시한다.First, when numbers, letters, and special symbols are placed in the same place, the file is displayed in the order of numbers, letters, and special symbols.

둘째, 숫자, 문자 및 특수기호의 종류에 따라 순서가 정해져 있는 경우, 해당 순위가 높을수록 리스트의 앞쪽에 위치시킨다. 예컨대, 파일 이름의 동일 자리에 알파벳이 모두 포함된 경우, 파일 이름을 알파벳 순으로 표시한다.Second, in the case where the ord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s of numbers, letters, and special symbols, the higher the rank, the closer to the front of the list. For example, if all alphabets are included in the same place in the file name, the file names are displayed in alphabetical order.

셋째, 파일의 이름에 사용할 수 있는 문자의 종류가 복수개이고 순서가 정해져 있는 경우, 해당 순위가 높을수록 앞쪽에 위치시킨다. 예컨대, 파일 이름의 동일 자리에 알파벳과 한글이 위치한 경우, 알파벳을 갖는 파일 이름을 먼저 표시한다.Third, if there are a plurality of types of characters usable in the name of the file, and the order is determined, the higher the rank, the more forward the position is. For example, if the alphabet and Hangul are located at the same place in the file name, the alphabetical file name is displayed first.

넷째, 자릿수가 작을수록 리스트의 앞쪽에 위치시킨다. 예컨대, 파일 이름이 "ABC"와 "AB"가 있는 경우, "AB"를 "ABC"보다는 먼저 표시한다.Fourth, the smaller the number of digits, the closer to the front of the list. For example, if the file names are "ABC" and "AB", "AB" is displayed before "ABC".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 A2, AB, AZ, B21,B212, B22, B24, BA, C5, CD…"의 파일 이름을 갖는 파일들을 인덱스 엔진(50)이 리스트로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 "A1, A2, AB, AZ, B21, B212, B22, B24, BA, C5, CD…"의 순서를 갖는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파일의 이름은 영문자와 숫자로 구성된 예를 개시하였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index engine 50 lists the files having file names of "A1, A2, AB, AZ, B21, B212, B22, B24, The list having the order of "A1, A2, AB, AZ, B21, B212, B22, B24, BA, C5, CD ..." At this time, an example in which the name of the file is composed of letters and numbers is disclosed.

특히 입력부(20)는 신속한 파일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제 1 스크롤 입력부(21), 제 2 스크롤 입력부(23), 문자열 확장 버튼(25), 문자열 축소 버튼(27) 및 선택 버튼(2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양쪽의 방향성을 갖는 사용자의 스크롤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0)에 전 달한다. 양쪽의 방향성은 상하 스크롤, 좌우 스크롤, 시계/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스크롤 중에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문자열 확장 버튼(25), 문자열 축소 버튼(27) 및 선택 버튼(29)은 사용자의 누름이나 터치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0)에 전달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부(20)에 제 1 스크롤 입력부(21), 제 2 스크롤 입력부(23), 문자열 확장 버튼(25), 문자열 축소 버튼(27) 및 선택 버튼(29)을 포함하는 개시하였지만, 문자숫자키나 볼륨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input unit 20 includes a first scroll input unit 21, a second scroll input unit 23, a character string expansion button 25, a character reduction button 27, and a selection button 29 for performing a quick file search .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21 and 23 generate a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scroll of the user having both directionality and transmit the sel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 The directionality of both sides can be any one of up-and-down scroll, left-right scroll, and scroll clockwise / counterclockwise. The string expanding button 25, the string reducing button 27, and the selecting button 29 generate a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pressing or touch and transmit the generated sel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 In this embodiment, the input unit 20 includes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the character string expansion button 25, the character reduction button 27, and the selection button 29 , An alphanumeric key, a volume key, and the like.

이와 같은 제 1 스크롤 입력부(21), 제 2 스크롤 입력부(23), 문자열 확장 버튼(25), 문자열 축소 버튼(27) 및 선택 버튼(29)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휴대 단말기에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the character string expansion button 25, the character string reduction button 27, and the selection button 29 are formed as shown in FIGS. And can be implemented in a portable terminal.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a)는 앞면의 위쪽에 표시부(40a)가 배치되고, 표시부(40a) 아래에 입력부(20a)가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2, the portable terminal 100a has a structure in which a display unit 40a is disposed above the front side and an input unit 20a is disposed below the display unit 40a.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링 타입으로, 제 1 스크롤 입력부(21) 안쪽에 제 2 스크롤 입력부(23)가 위치한다.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터치 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시계/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스크롤을 입력받는다.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21 and 23 are ring-shaped, and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is located inside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21 and 23 may be implemented as touch pads.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21 and 23 receive the rotation scroll in the clockwise / counterclockwise direction.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중심에 선택 버튼(29)이 위치한다. 그리고 문자열 확장 버튼(25)과 문자열 축소 버튼(27)은 제 1 스크롤 입력부(21)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제 1 예에서는 제 1 스크롤 입력부(21) 아래의 양쪽에 배치된 예를 개시하였다.The selection button 29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 In the first example, the string expanding button 25 and the string reducing button 27 are disposed close to the first scroll inputting unit 21 and the examples are arranged on both sides below the first scroll inputting unit 2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바타입으 로, 일측의 장변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터치 패드로 구현된다. 본 예시도에서는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가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예를 개시하였다.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도 3에서는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된 예를 개시하였고, 도 4에서는 좌우로 평행하게 배치된 예를 개시하였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21 and 23 are disposed with their long sides facing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21 and 23 are implemented as touch pads. In this example,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and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are arranged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portions 21 and 23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arranged vertically parallel to each other in Fig. 3, and the example shown in Fig. 4 arranged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그리고 문자열 확장 버튼(25), 선택 버튼(29) 및 문자열 축소 버튼(27)은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 사이에 위치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문자열 확장 버튼(25), 선택 버튼(29) 및 문자열 축소 버튼(27)은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The character string expansion button 25, the selection button 29, and the character reduction button 27 are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21 and 23. That is, the string expansion button 25, the selection button 29, and the string reduction button 27 may be located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21 and 23.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d)는 앞면의 위쪽에 표시부(40d)가 배치되고, 표시부(40d) 아래에 입력부(20d)가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5, the portable terminal 100d has a structure in which a display portion 40d is disposed above the front side and an input portion 20d is disposed below the display portion 40d.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바타입으로, 일측의 단변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롤(roll) 형태의 휠키이다. 본 예시도에서는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가 동일선상에 배치된 예를 개시하였다.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portions 21 and 23 are bar-type, and the short sides of one side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21 and 23 are wheel-shaped wheel keys. In this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21 and 23 are arranged on the same line.

문자열 확장 버튼(25), 선택 버튼(29) 및 문자열 축소 버튼(27)은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 아래에 배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위쪽에 배치되거나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를 중심으로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Although the string expanding button 25, the selecting button 29 and the string reducing button 27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disposed below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21 and 23, And can be disposed vertically with the scroll input units 21 and 23 as the center.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e)는 슬라이딩 힌지를 매개로 연결된 제 1 본체(70)와 제 2 본체(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본체(70)는 앞면의 위쪽에 표시부(40e)가 배치되고, 표시부(40e) 아래에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2, 23)가 배치된다. 제 2 본체(80)는 앞면에 문자숫자키(22)가 배치된다. 문자숫자키(20)는 제 2 본체(80)에 대한 제 1 본체(7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다.Referring to FIG. 6, the portable terminal 100e includes a first body 70 and a second body 80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liding hinge. The first main body 70 is provided with a display portion 40e above the front 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portions 22 and 23 below the display portion 40e. The second main body 80 has a letter number key 22 disposed on its front face. The alphanumeric key 20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irst main body 70 with respect to the second main body 80.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링 타입으로, 제 1 스크롤 입력부(21) 안쪽에 제 2 스크롤 입력부(23)가 위치한다.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터치 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시계/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스크롤을 입력받는다.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중심에 선택 버튼(29)이 위치한다.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21 and 23 are ring-shaped, and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is located inside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21 and 23 may be implemented as touch pads.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21 and 23 receive the rotation scroll in the clockwise /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election button 29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

그리고 문자열 확장 버튼(25)과 문자열 축소 버튼(27)은 별도의 키로 구현되지 않고, 두 개의 문자숫자키(22)에 매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번"키에 문자열 확장 버튼(25)이 매핑되고, "3번"키에 문자열 축소 버튼(27)이 매핑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tring expanding button 25 and the string reducing button 27 are not implemented as separate keys but can be mapped to two alphanumeric keys 2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ring expansion button 25 is mapped to the "1" key, and the string reduction button 27 is mapped to the "3" ke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 도 5 및 도 6에서는 휴대 단말기(100a, 100d, 100e)로 바 타입 및 슬라이딩 타입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휴대 단말기는 플립, 폴더, 스윙 등 다양한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27) 및 선택 버튼(29)을 포함하는 개시하였지만, 문자숫자키나 볼륨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FIGS. 2, 5 and 6, the portable terminals 100a, 100d, and 100e are bar type and sliding ty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such as a flip, a folder, and a swing. Although the portable terminal has been described as including the select button 27 and the select button 29, it may further include an alphanumeric key or a volume key.

한편 제 1 스크롤 입력부(21), 제 2 스크롤 입력부(23), 문자열 확장 버튼(25), 문자열 축소 버튼(27) 또는 선택 버튼(29)의 조작에 따라 데코레이터(60)는 아래와 같이 포커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스크롤 입력부(2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포커스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the string expansion button 25, the string reduction button 27 or the selection button 29, the decorator 60 moves the focus . The focus can be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scroll direction of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and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

데코레이터(60)는 제 1 스크롤 입력부(21)의 스크롤에 따른 선택 신호를 제어부(10)로부터 수신하면, 현재 포커싱된 파일에 이웃하는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하여 포커싱한다. 이때 제 1 스크롤 입력부(21)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데코레이터(21)는 포커스를 현재 포커싱된 파일을 기준으로 바로 위 또는 아래의 파일로 이동시킨다.When the decorator 60 receives the scrolling selection signal from the controller 10, the decorator 60 moves the focus to a file neighboring the currently focused file and focuses the focused file.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scroll direction of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the decorator 21 moves the focus to a file immediately above or below the currently focused file.

데코레이터(60)는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스크롤에 따른 선택 신호를 제어부(10)로부터 수신하면, 현재 포커싱된 파일에서 포커싱된 파일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의 다음 순위의 문자열의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켜 포커싱한다.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스크롤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데코레이터(60)는 포커스를 현재 포커싱된 파일을 기준으로 위 또는 아래의 파일로 이동시킨다. 특히 제 1 스크롤 입력부(21)의 스크롤에 따라 포커스는 이웃하는 파일로 이동하는 데 반하며,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스크롤에 따라 포커스는 현재의 포커싱된 파일을 기준으로 복수의 파일을 건너뛴 위치의 파일로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decorator 60 receives the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scrolling of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from the control unit 10, the decorator 60 moves the focus to the file of the next ranked character string of the search string set in the file focused on the currently focused file . In accordance with the scroll direction of scrolling of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the decorator 60 moves the focus to the upper or lower file based on the currently focused file. In particular, as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scrolls, the focus moves to a neighboring file. As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scrolls, the focus moves across multiple files based on the current focused file You can move to the file at the jumped location.

데코레이터(60)는 문자열 확장 버튼(25)의 누름에 따른 선택 신호를 제어부(10)로부터 수신하면, 현재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의 길이를 확장한다. 데코레이터(60)는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을 하나, 일정 수 또는 문자열 전체 중에 하나로 확장할 수 있다. 이때 검색 문자열의 확장은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기준으로 다음자리부터 순차적으로 설정된 확장갯수 만큼 확장이 이루어진다. 문자열 확장 버튼의 누름에 따라 검색 문자열이 확장되면, 데코레이터(60)는 확장된 검색 문자열의 축소를 위한 입력 예컨대, 문자열 축소 버튼(27)을 누를 때까지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유지한다.The decorator 60 expands the length of the search string of the currently focused file when receiving the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of the string expansion button 25 from the control unit 10. [ The decorator 60 may extend the search string of the focused file to one, a certain number, or one of the whole strings. At this time, the extension of the search string is extended by the extension number set sequentially from the next place based on the extended search string. If the search string is expanded in accordance with the pushing of the string expanding button, the decorator 60 maintains the expanded search string until an input for shrinking the expanded search string, for example, a string shrink button 27 is pressed.

한편 도 2 내지 도 6에서는 휴대 단말기가 검색 문자열을 확장하고 축소하는 문자열 확장 버튼(25)과 문자열 축소 버튼(27)을 각각 하나씩 구비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아니다. 예컨대, 문자숫자키의 숫자와 검색 문자열 수를 매핑시켜 문자열 확장 및 축소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1번"키를 누르면 데코레이터는 첫 번째 자리의 문자열을 검색하고, "2번"키를 누르면 데코레이터는 두 번째 자리까지의 문자열을 확장하여 검색하고, "3번"키를 누르면 데코레이터는 세 번째 자리까지의 문자열을 확장하여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1번"키가 문자열 축소 버튼에 대응되고, "2번"키 및 "3번"키가 문자열 확장 버튼에 대응될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방식으로 문자숫자키에 문자열 확장 및 축소 버튼을 매핑시킬 수 있다.2 to 6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one string expanding button 25 and one string decrementing button 27 for expanding and narrowing the search str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alphanumeric key and the number of the search string can be mapped and used as a string expansion and reduction button. When the user presses the "1" key, the decorator searches for the string of the first digit. When the "2" key is pressed, the decorator searches for the string extending to the second digit. You can expand the string up to the first digit. In this case, the "1" key corresponds to the string reduction button, and the "2" key and the "3" key may correspond to the string expansion button. You can also map string expansion and reduction buttons to alphanumeric keys in a variety of other ways.

데코레이터(60)는 문자열 축소 버튼(27)의 누름에 따른 선택 신호를 제어부(10)로부터 수신하면, 현재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의 길이를 축소한다. 이때 데코레이터(60)는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을 하나, 일정 수 또는 기준 검색 문자열 중에 하나로 축소한다. 이때 검색 문자열의 축소는 축소전 검색 문자열을 기준으로 마지막자리부터 순차적으로 설정된 축소갯수 만큼 축소가 이루어진다. 기준 검색 문자열은 파일 이름의 첫 번째 자리의 문자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준 검색 문자열수는 하나이다. 검색 문자열의 길이 축소는 현재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이 두 개 이상인 경우에 수행되며, 하나인 경우에는 수행되지 않는다.The decorator 60 reduces the length of the search string of the currently focused file when receiving the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of the string reduction button 27 from the control unit 10. [ At this time, the decorator 60 reduces the search string of the focused file to one, a certain number, or one of the reference search strings. At this time, the reduction of the search string is performed by sequentially reducing the number of reduction from the last digit based on the pre-reduction search string. The reference search string may be a string of the first position of the file name, in which case the number of reference search strings is one. The length reduction of the search string is performed when there are two or more search strings of the currently focused file, and is not performed if the search string is one.

그리고 데코레이터(60)는 제 1 스크롤 입력부(21), 제 2 스크롤 입력부(23), 문자열 확장 버튼(25) 또는 문자열 축소 버튼(27)의 복합적인 조작에 따라서 파일 검색을 위한 포커스 이동을 수행한다. 이때 문자열 확장 버튼(25)과 문자열 축소 버튼(27)의 누름에 따라 검색 문자열의 수에 변동이 있다하더라도, 제 1 스크롤 입력부(21)의 기능은 검색 문자열의 수와 무관하게 수행된다.The decorator 60 performs focus movement for searching for a file in accordance with the combined operation of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the character string expansion button 25 or the character string reduction button 27 . At this time, the function of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is performed irrespective of the number of search strings, even if the number of search strings varies due to the depression of the string expand button 25 and the string shrink button 27.

먼저 데코레이터(60)는 문자열 확장 버튼(25)의 누름에 따른 선택 신호를 제어부(10)로부터 수신하면, 전술된 바와 같이 현재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의 길이를 확장한다. 이어서 제 1 스크롤 입력부(21)의 스크롤에 따른 선택 신호를 제어부(10)로부터 수신하면, 데코레이터(60)는 포커싱된 파일에 이웃하는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한다.First, the decorator 60 expands the length of the search string of the currently focused f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corator 60 receives the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of the string expansion button 25 from the control unit 10. Then, when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scrolling of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from the control unit 10, the decorator 60 moves the focus to a file adjacent to the focused file.

문자열 확장 버튼(25)을 누른 후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스크롤에 따른 선택 신호를 제어부(10)로부터 수신하면, 데코레이터(60)는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포함하는 파일들 중에서 현재 포커싱된 파일의 확장된 검색 문자열 다음의 문자열을 기준으로 다음 순위의 문자열을 갖는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킨다. 이때 데코레이터(60)는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스크롤에 따른 포커스의 이동을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포함하는 파일들 내에서 수행한다. 따라서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를 스크롤하여 포커스가 확장된 검색 문자열의 경계 순위의 파일(이하 '경계 파일'이라 함)을 포커싱한 상태에서, 포커싱된 경계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제 2 스크롤 입력부(23)를 다시 스크롤하면, 데코레이터(60)는 경계 파일에 위치한 포커스를 다른 파일로 이동시키지 않는다.After the string expanding button 25 is pressed and the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scrolling of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10, the decorator 60 extracts the currently focused file The focus is shifted to a file having a character string of the next rank based on the character string following the expanded search string of the search string. At this time, the decorator 60 performs the movement of the focus according to the scrolling of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in the files including the extended search string. Accordingly,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or second scroll input unit 21 or 23 is scrolled to focus the file of the boundary position of the search string whose focus is extend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oundary file'), focus is shifted to the focused boundary file The decorator 60 does not move the focus placed in the boundary file to another file.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데코레이터(60)는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스크롤 에 따른 포커스의 이동을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포함하는 파일들 내에서 수행한다. 하지만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를 스크롤하여 포커스가 경계 파일을 포커싱한 상태에서, 포커싱된 경계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제 1 스크롤 입력부(21)를 다시 스크롤하면, 데코레이터(60)는 경계 파일에 이웃하는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데코레이터(60)는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문자열 확장 버튼(25)의 선택 이전으로 축소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decorator 60 performs the movement of the focus according to the scrolling of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within the files including the extended search string. However, if the user scrolls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in the direction of moving the focus to the focused boundary file while the focus is focused on the boundary file by scrolling the first or second scroll input unit 21 or 23, (60) moves the focus to a file neighboring the boundary file. Then, the decorator 60 reduces the expanded search string to before the selection of the string expanding button 25.

그리고 제어부(10)는 선택 버튼(29)의 누름에 따른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포커싱된 파일을 실행한다. 예컨대 포커싱된 파일이 디렉토리인 경우, 제어부(10)는 디렉토리에 포함된 파일들을 리스트 형태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포커싱된 파일이 음악 파일인 경우, 음악 재생기를 통하여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포커싱된 파일이 영상 파일인 경우, 영상 뷰어를 통하여 영상 파일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포커싱된 파일이 텍스트 파일인 경우, 텍스트 뷰어를 통하여 텍스트 파일을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 receives the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of the selection button 29 and executes the focused file. For example, when the focused file is a directory, the control unit 10 can display the files included in the directory in a list form on the screen. If the focused file is a music file, the music file can be reproduced through the music player. If the focused file is an image file, the image file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image viewer. If the focused file is a text file, the text file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text viewer.

파일 검색 방법How to search for fil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을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file search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7. FIG.

S71과정에서 사용자가 입력부(20)를 통하여 파일 표시를 요청하면, S73과정에서 인덱스 엔진(50)은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30)에 저장된 파일들을 문자열 순서에 따라 리스트로 표시한다. 즉 인덱스 엔진(50)은 파일에 명명된 문자열의 순위에 따라 파일의 이름을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하며, 파일들은 리스 트로 표시한다. 인덱스 엔진(50)은 표시부(40)의 화면이 수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정수의 파일을 표시하며, 통상 최상위의 파일부터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반대로 인덱스 엔진(50)은 파일들을 최하위의 파일부터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화면에 처음 리스트가 표시될 때, 인덱스 엔진(50)은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파일에 포커스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후술되겠지만 입력부(2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데코레이터(60)는 포커스를 다른 파일로 이동시킨다.In step S71, when the user requests file display through the input unit 20, the index engine 50 displays the files stored in the memory unit 30 in a list in a string order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in step S73 do. That is, the index engine 50 sequentially displays the names of the files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rank of the string named in the file, and displays the files as a list. The index engine 50 displays an appropriate number of files within a range that can be accommodated by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40, and sequentially displays the files in the order from the topmost file. Conversely, the index engine 50 can sequentially display files from the lowest file. When the list is initially displayed on the screen, the index engine 50 places the focus on the file located at the top of the list.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ecorator 60 moves the focus to another fil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selection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20.

다음으로 S75과정에서 제어부(10)는 입력부(20)를 통하여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20)는 제 1 스크롤 입력부(21), 제 2 스크롤 입력부(23), 문자열 확장 버튼(25), 문자열 축소 버튼(27)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Next, in step S75, the control unit 10 determines whether a selectio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0 or not. At this time, the input unit 20 to which the selection signal is inpu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the character string expansion button 25, and the character string reduction button 27.

S75과정의 판단 결과 선택 신호의 입력이 있는 경우, S77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현재 포커싱된 파일에서 입력된 선택 신호에 따라 포커스를 이동시켜 다른 파일을 포커싱한다. 파일을 검색하기 위해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S77과정인 포커스 이동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겠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5 that there is an input of a selection signal, the decorator 60 moves the focus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input in the currently focused file in step S77 to focus another file. The focus moving process, which is the S77 process of moving focus to retrieve a file, will be described later.

S75과정의 판단 결과 선택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 또는 S77과정을 수행한 이후에, S78과정에서 제어부(10)는 선택 버튼(29)의 입력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선택 버튼(29)의 입력은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을 찾은 후, 찾은 파일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수행하는 행위이다. 따라서 S73과정에서 원하는 파일을 바로 찾을 수도 있고, S75과정 및 S77과정의 파일 검색 과정을 수행하여 원하는 파일을 찾을 수도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5 that there is no input of the selection signal or after step S77, the control unit 1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the selection button 29 in step S78. The input of the selection button 29 is an operation performed when the user finds a desired file and wants to execute the found file. Accordingly, a desired file can be found immediately in step S73, or a desired file can be searched by performing a file searching process in steps S75 and S77.

S78과정의 판단 결과 선택 버튼(29)의 입력이 없는 경우, 제어부(10)는 사용자의 입력부(20)를 통한 선택 신호에 따라 S75과정 내지 S78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즉 사용자는 원하는 파일을 찾기 위해서 입력부(20)를 통하여 선택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S75과정 내지 제78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8 that there is no input of the selection button 29, the control unit 10 repeatedly performs steps S75 through S78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20 of the user. That is, when the user inputs a selection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20 to search for a desired file, the control unit 10 repeatedly performs the processes of S75 to 78.

그리고 S78과정의 판단 결과 선택 버튼(29)의 입력이 있는 경우, S79과정에서 제어부(10)는 포커싱된 파일을 실행한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을 찾은 경우에 선택 버튼(29)을 눌러 포커싱된 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8 that there is an input of the selection button 29, the control unit 10 executes the focused file in step S79. That is, when the user finds a desired file, the user can press the select button 29 to execute the focused file.

한편 S77과정의 포커스 이동 과정을 도 1,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S81과정에서 제어부(10)는 어떤 입력부(20)로부터 선택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The focus shift process of step S7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8, and 9. FIG. First, in step S81, the control unit 10 determines whether a selection signal is input from which input unit 20.

S81과정의 판단 결과 제 1 스크롤 입력부(21)를 통하여 선택 신호가 입력된 경우, S83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현재 포커싱된 파일에서 다음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킨다. 이때 다음 파일은 현재 포커싱된 파일을 중심으로 상하에 위치하는 파일 중에 하나로서, 제 1 스크롤 입력부(21)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포커스는 위쪽 또는 아래쪽 중에 한곳으로 이동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1 that the selectio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the decorator 60 moves the focus from the currently focused file to the next file in step S83. At this time, the next file is one of the files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with respect to the currently focused file, and the focus moves to one of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ccording to the scroll direction of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

S81과정의 판단 결과 제 2 스크롤 입력부(23)를 통하여 선택 신호가 입력된 경우, S85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현재 포커싱된 파일에서 포커싱된 파일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의 다음 순위의 문자열의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킨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1 that the selection signal has been input through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in step S85, the decorator 60 focuses the focus of the currently focused file to a file of a character string of the next rank of the search string set in the focused file .

S81과정의 판단 결과 문자열 확장 버튼(25)을 통하여 선택 신호가 입력된 경우, 데코레이터(20)는 S87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S871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검색 문자열을 확장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1 that the selection signal is inputted through the string expansion button 25, the decorator 20 performs step S87. First, in step S871, the decorator 60 extends the search string.

이어서 S873과정에서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를 스크롤하면, S875과정에서 제어부(10)는 어떤 입력부(20)로부터 스크롤이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When the first or second scroll input unit 21 or 23 is scrolled in step S873, the control unit 10 determines whether a scroll has been input from the input unit 20 in step S875.

S875과정의 판단 결과 제 1 스크롤 입력부(21)를 통하여 스크롤이 입력되면, S877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다음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한다. 이어서 S879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포커싱된 파일이 경계 파일을 벗어난 파일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75 that the scroll is input through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the decorator 60 moves the focus to the next file in step S877. Then, in step S879, the decorator 60 determines whether the focused file is a file out of the boundary file.

S879과정의 판단 결과 경계 파일을 벗어난 파일이 아닌 경우, S887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문자열 축소 버튼(27)의 입력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79 that the file is not out of bounds, the decorator 6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the string reduction button 27 in step S887.

S879과정의 판단 결과 경계 파일을 벗어난 파일이거나 S887과정의 판단 결과 문자열 축소 버튼(27)이 입력된 경우, S889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설정된 문자열로 검색 문자열 축소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79 that the file is out of bounds, or if the character string reduction button 27 is inpu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887, the decorator 60 reduces the search string in step S889.

한편 S875과정의 판단 결과 제 2 스크롤 입력부(23)를 통하여 스크롤이 입력되면, S881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현재 포커싱된 파일이 경계 파일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75 that scrolling is input through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the decorator 6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ly focused file is a boundary file in step S881.

S881과정의 판단 결과 경계 파일이 아닌 경우, S883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현재 포커싱된 파일에서 다음 순위의 문자열을 갖는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킨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81 that the file is not a border file, the decorator 60 moves the focus from the currently focused file to a file having the next ranked character string in step S883.

S881과정의 판단 결과 경계 파일인 경우, S885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경 계 순위의 파일에 위치한 포커스를 이동시키지 않는다. 즉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를 스크롤하여 포커스가 확장된 검색 문자열의 경계 파일을 포커싱한 상태에서, 포커싱된 경계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제 2 스크롤 입력부(23)를 다시 스크롤하면, 데코레이터(60)는 경계 파일에 위치한 포커스를 이동시키지 않는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81 that the file is a border file, the decorator 60 does not move the focus located in the file of the ranking order in step S885. In other word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or second scroll input unit 21 or 23 is scrolled to focus the boundary file of the extended search string,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is moved in the direction to shift the focus to the focused boundary file When scrolling again, the decorator 60 does not move the focus located in the border file.

그리고 데코레이터(60)는 S887과정을 수행한다.Then, the decorator 60 performs step S887.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일 검색 방법을 도 1, 도 10 내지 도 13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메모리부(30)에는 "A1, A2, AB, AZ, B21,B212, B22, B24, BA, C5, CD…"의 이름으로 명명된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다. 제 1 스크롤 입력부(2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포커스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지만, 본 화면 예시도에서는 포커스가 아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스크롤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The file sear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screens shown in FIGS. 1, 10 to 13 as follows. At this time, files named by names of "A1, A2, AB, AZ, B21, B212, B22, B24, BA, C5, CD ..." 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30. The focus can be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scroll direction of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and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However, in the example of this screen, the case where the focus is scrolled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exemplified.

먼저 S73과정에서 인덱스 엔진(50)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 A2, AB, AZ, B21, B212, B22, B24, BA, C5, CD…"순으로 배열된 파일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파일의 이름은 영문자와 숫자로 구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실질적으로 화면에는 리스트 중 일부만이 표시된다. 화면에 리스트가 처음 표시될 때, 인덱스 엔진(50)은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파일인 "A1"에 포커스를 위치시킨다. 검색 문자열은 기준 검색 문자열인 첫 번째 자리이다.First, in step S73, the index engine 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ndex engine 50 is arranged in the order of "A1, A2, AB, AZ, B21, B212, B22, B24, BA, C5, A list of files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At this time, an example in which the name of the file is composed of letters and numbers is disclosed. Actually, only a part of the list is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list is first displayed on the screen, the index engine 50 places the focus on the file "A1" located at the top of the list. The search string is the first digit, which is the base search string.

S83과정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가 "A1"의 파일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 1 스크롤 입력부(21)가 스 크롤되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는 "A1"에 이웃하는 "A2"로 이동한다. 다시 제 1 스크롤 입력부(21)가 동일한 방향으로 스크롤되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는 "A2"에서 "B21"로 이동한다. 즉 제 1 스크롤 입력부(21)의 스크롤에 따라 포커스는 현재 포커싱된 파일에서 이웃하는 파일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S8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rst, as shown in Fig. 10 (A), when the first scroll input section 21 is scrolled while the focus is positioned on the file of "A1", the focus is shifted to "A1" Moves to the neighboring "A2". When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is again scrolled in the same direction, the focus shifts from "A2" to "B21" as shown in FIG. 10 (C). That is, as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scrolls, the focus moves sequentially from the currently focused file to the neighboring file.

S85과정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가 "AB"의 파일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 2 스크롤 입력부(23)가 스크롤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는 "AB"의 검색 문자열인 "A"의 다음 순위의 문자인 "B"가 처음 나타나는 "B21"로 이동한다. 다시 제 2 스크롤 입력부(23)가 스크롤되면,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는 "B21"의 검색 문자열인 "B"의 다음 순위의 문자인 "C"가 처음 나타나는 "C5"로 이동한다. 이때 검색 문자열은 파일 이름의 첫 번째 자리의 문자열이다.Step S8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rst, as shown in Fig. 11 (A), when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is scrolled while the focus is located in the file of "AB", focus is set to "AB" B "which is the character of the next rank of the character string" A "is first displayed. When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is again scrolled, as shown in Fig. 11C, the focus is changed to "C5" in which "C", which is the character of the next rank of "B" Move. The search string is a string in the first position of the file name.

S877과정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가 "B21"의 파일에 위치한 상태에서 문자열 확장 버튼(25)을 누른 후 제 1 스크롤 입력부(21)를 스크롤하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는 "B21"에 이웃하는 "B212"로 이동한다. 다시 제 1 스크롤 입력부(21)가 스크롤되면,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는 "B212"에서 "B22"로 이동한다. 즉 문자열 확장 버튼(25)의 입력에 따라 검색 문자열이 확장되더라도 제 1 스크롤 입력부(21)를 스크롤하면, 포커스는 현재 포커싱된 파일에서 이웃하는 파일로 이동한다.The process of S87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A), when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is scrolled after the character string expansion button 25 is pressed in a state in which the focus is located in the file of "B21", as shown in FIG. 12 The focus shifts to "B212 " adjacent to" B21 ". When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is again scrolled, the focus shifts from "B212" to "B22" as shown in FIG. 12 (C). That is, even if the search string is expand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string expanding button 25, the focus moves from the currently focused file to the neighboring file when the first scroll input unit 21 is scrolled.

S881과정 내지 S885과정을 도 13(A) 내지 도 13(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가 "B21"의 파일에 위치한 상태에서 문자열 확장 버튼(25)을 누른 후 제 2 스크롤 입력부(23)를 스크롤하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는 "B21"에서 "B22"로 이동한다. 즉 문자열 확장 버튼(25)을 누르면, 데코레이터(60)는 검색 문자열을 두 번째 문자열까지 확장한다. 데코레이터(60)는 확장된 검색 문자열인 "B2"를 포함하는 파일들인 "B21, B212, B22 및 B24" 중에서 현재 포커싱된 파일의 확장된 검색 문자열인 "B2" 다음의 문자열인 "1"을 기준으로 다음 순위의 문자열 "2"를 갖는 파일인 "B22"로 포커스를 이동시킨다. 이때 데코레이터(60)는 "B21" 다음의 "B212"를 건너뛰어 "B22"를 포커싱하게 되는데, 이유는 "B212"의 세 번째 문자가 "B21"과 동일하기 때문이다.The steps S881 to S88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A to 13D. 13 (A), when the character string expansion button 25 is pressed and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23 is scrolled in a state where the focus is located in the file of "B21", as shown in FIG. 13 (B) The focus shifts from "B21" to "B22 ". That is, when the string expand button 25 is pressed, the decorator 60 extends the search string to the second string. The decorator 60 searches for a character string "B2" next to the expanded search string of the currently focused file among the files "B21, B212, B22, and B24" To the file "B22" having the string "2 " in the next rank. At this time, the decorator 60 will focus on "B22" by skipping "B212" next to "B21" because the third character of "B212" is the same as "B21".

다시 제 2 스크롤 입력부(23)가 스크롤되면,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는 "B22"에서 "B24"로 이동한다.When the second scroll input section 23 is again scrolled, the focus shifts from "B22" to "B24" as shown in FIG. 13 (C).

그리고 제 2 스크롤 입력부(23)가 스크롤되면,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는 "B24"에서 이동하지 않는다. 즉 포커스가 경계 파일인 "B24"를 포커싱하고 있고, "B24" 아래에는 확장된 검색 문자열인 "B2"을 갖는 파일이 없기 때문에, 데코레이터(60)는 포커스를 "B24"에서 이동시키지 않는다. 이때 제어부(10)는 경고음이나 팝업창을 통하여 확장된 검색 문자열의 경계에 도달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When the second scroll input section 23 is scrolled, the focus does not move from "B24" as shown in Fig. 13 (D). The decorator 60 does not move the focus from "B24" because the focus focuses on the boundary file "B24 ", and there is no file with the extended search string" B2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0 can notify the user that the boundary of the extended search string has been reached through the warning sound or the pop-up window.

S879과정 및 S889과정을 도 13(C) 및 도 13(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3(C)의 "B24"에 포커스가 위치한 상태에서 제 1 스크롤 입력부(21)를 스크롤하면,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코레이터(60)는 포커스를 "B24"에서 "BA"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데코레이터(60)는 검색 문자열을 첫 번째 문자열로 축소한다.Steps S879 and S889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C) and 13 (E). 13 (E), the decorator 60 changes the focus from "B24" to "B24" as shown in FIG. 13 (E) BA " The decorator 60 reduces the search string to the first character string.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포커스가 위치하는 파일 이름 전체를 포커싱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가 현재 실행중인 검색 문자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파일 이름 전체를 포커싱하는 색상과 검색 문자열을 포커싱하는 색상을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파일 이름 중 검색 문자열만을 포커싱할 수 있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specific example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of focusing the entire file name in which the focus is located is disclo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color that focuses the entire file name and the color that focuses the search string can be distinguished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the currently executing search string. Alternatively, only the search string of the file name can be focused.

그리고 문자열 확장 버튼을 누르면,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갖는 파일들을 다른 파일 및 포커싱된 파일과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갖는 파일들을 포커싱된 파일보다는 흐리고 다른 파일보다는 밝게 표시할 수 있다.And, if you press the string expand button, files with extended search string can be displayed differently from other files and focused files. For example, files with an extended search string may be blurred rather than focused files and brighter than other fil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 1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exampl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입력부의 제 2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xample of an input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4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입력부의 제 3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showing a third example of an input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5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 4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xampl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6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 5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fth exampl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FIG.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arching a file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포커스 이동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8 is a flow chart showing the focus shift process of FIG.

도 9는 도 8의 문자열 확장 버튼의 누름에 따른 포커스 이동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ocus shift process according to the depression of the character string expansion button of FIG.

도 10 내지 도 13은 도 1의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른 포커스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FIGS. 10 to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focus movemen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of FIG. 1,

도 10은 제 1 스크롤 입력부의 선택에 따른 포커스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10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focu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scroll input unit,

도 11은 제 2 스크롤 입력부의 선택에 따른 포커스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11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focu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도 12는 문자열 확장 버튼과 제 1 스크롤 입력부의 선택에 따른 포커스의 이 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12 is a view showing movement of focus according to selection of a character string expansion button and a first scroll input unit,

도 13은 문자열 확장 버튼을 선택한 후,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의 선택에 따른 포커스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e movement of focu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or second scroll input unit after the character string extension button is select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 제어부 20 : 입력부10: control unit 20:

21 : 제 1 스크롤 입력부 23 : 제 2 스크롤 입력부21: first scroll input unit 23: second scroll input unit

25 : 문자열 확장 버튼 27 : 문자열 축소 버튼25: Expand string button 27: Decrease string button

29 : 선택 버튼 30 : 메모리부29: Select button 30: Memory section

40 : 표시부 50 : 인덱스 엔진40: Display unit 50: Index engine

60 : 데코레이터 100 : 휴대 단말기60: decorator 100: portable terminal

Claims (27)

문자열로 명명된 파일들을 상기 문자열의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인덱스 엔진과;An index engine for sequentially displaying files named by strings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the strings; 상기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포함하는 입력부와;An input unit including a first scroll input unit and a second scroll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selection signal for searching for the file;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포커스를 이동시켜 상기 파일을 포커싱하는 데코레이터;를 포함하며,And a decorator for focusing the file by moving focus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상기 데코레이터는,The decorator 상기 제 1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배열상 이웃하는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하여 포커싱하고,When the first scroll input unit is scrolled, focusing is performed by moving the focus to an adjacent file in the focused file,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의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에 대응하는 문자열의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켜 포커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when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is scrolled, focusing is performed by moving the focus from the focused file to a file of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a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of the search string set in the focused fi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문자열 확장 버튼과 문자열 축소 버튼을 더 포함하며,[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further comprises a character string expanding button and a character string collapse button located close to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상기 데코레이터는,The decorator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이 눌리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의 길이를 확장하고,Expanding the length of the search string of the focused file when the string expand button is pressed, 상기 문자열 축소 버튼이 눌리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의 길이를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when the character string reduction button is pressed, the length of the search string of the focused file is reduc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이 눌리면, 삼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을 하나, 일정 수 또는 문자열 전체 중에 어느 하나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3. The mobile terminal of claim 2, wherein when the string expanding button is pressed, the adder decorator extends the search string of the focused file to one of a certain number or a whole string.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 축소 버튼이 눌리면, 상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을 하나, 일정 수 또는 기준 검색 문자열 중에 어느 하나로 축소하는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of claim 3, wherein, when the string reduction button is pressed, the decorator reduces the search string of the focused file to one of a predetermined number or a reference search string.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5. The apparatus of claim 4, 상기 포커싱된 파일을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선택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and executing the focused fil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을 누른 후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스크롤하면, 상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을 확장하고, 상기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포함하는 파일들 중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의 확장된 검색 문자열 다음의 문자열을 기준으로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갖는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5, wherein, when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is scrolled after the string expanding button is pressed, the decorator expands the search string set in the focused file, and among the files including the expanded search string, And moves the focus to a file having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an ascending order or a descending order based on the character string following the expanded search string of the fil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의 스크롤에 따른 상기 포커스의 이동을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포함하는 파일들 내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of claim 6, wherein the decorator performs the movement of the focus according to scrolling of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in files including an extended search string.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스크롤하여 상기 포커스가 확장된 검색 문자열의 경계 순위의 파일을 포커싱한 상태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다시 스크롤하면, 상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scrolling the first or second scroll input unit to focus the file of the boundary ranking of the extended search string, And when the scroll input unit is scrolled again, the decorator does not move the focu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스크롤하여 상기 포커스가 확장된 검색 문자열의 경계 순위의 파일을 포커싱한 상태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스크롤 입력부를 다시 스크롤하면, 상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배열상 이웃하는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고, 상기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의 선택 이전으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8, further comprising: scrolling the first or second scroll input unit to focus the file of the boundary ranking of the extended search string, When the scroll input unit is scrolled again, the decorator shifts the focus to a file adjacent to the focused file, and reduces the expanded search string to before the selection of the string extension butt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는 각각 터치 패드 또는 휠키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are any one of a touch pad and a wheel key.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는 링 타입으로, 상기 제 1 스크롤 입력부 안쪽에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are ring-shaped, and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is located inside the first scroll input unit.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버튼은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의 중심에 위치하며,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lection button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과 상기 문자열 축소 버튼은 상기 제 1 스크롤 입력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character string expanding button and the character string reducing button are disposed in proximity to the first scroll input uni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는 바타입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는 일측의 장변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are bar-type, and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are disposed such that long sides of one side are opposite to each other.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 상기 선택 버튼 및 상기 문자열 축소 버튼은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14. 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3, wherein the string expanding button, the selection button, and the string reducing button are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ting portion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는 바타입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는 일측의 단변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are bar-type, and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are disposed such that short sides of one side are adjacent to each other.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 상기 선택 버튼 및 상기 문자열 축소 버튼은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16] 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5, wherein the string expanding button, the selecting button, and the string reducing button are located above or below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ting unit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복수의 문자숫자키를 더 포함하며,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input un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alphanumeric keys,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과 상기 문자열 축소 버튼은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문자숫자키에 매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character string expansion button and the character reduction button are mapped to at least two character keys.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숫자키의 숫자에 상기 검색 문자열 수가 매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18. 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7, wherein the number of the character strings is mapped to the number of the alphanumeric keys. 제 1항 내지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검색 문자열은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8, wherein the set search string is at least one. 문자열로 명명된 파일들을 상기 문자열의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과정과;Displaying the files named by the character string sequentially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character string; 상기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는 입력 과정과;An input step of receiving a user selection signal for searching for the fil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croll input units;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포커스를 이동시킨 파일을 포커싱하는 포커싱 과정;를 포함하며,And a focusing step of focusing a file in which focus is mov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상기 포커싱 과정은,The focusing process includes: 상기 제 1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배열상 이웃하는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하여 포커싱하고,When the first scroll input unit is scrolled, focusing is performed by moving the focus to an adjacent file in the focused file,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의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에 대응하는 문자열의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켜 포커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When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is scrolled, focusing is performed by moving the focus from the focused file to a file of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an ascending order or a descending order of the search string set in the focused file, .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과정은,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20, 상기 입력 과정에서 문자열 확장 버튼을 누르면, 검색 문자열을 하나, 일정 수 또는 문자열 전체 중에 하나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And expanding the search string to one of a certain number or a whole string when the string expanding button is pressed in the input process.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과정은,22. 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입력 과정에서 문자열 축소 버튼을 누러면, 검색 문자열을 하나, 일정 수 또는 기준 검색 문자열 중에 하나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reducing the number of search strings comprises the step of reducing the search string to one of a predetermined number or a reference search string.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과정은,23. 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입력 과정에서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을 누른 후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스크롤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을 확장하고, 이전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을 포함하는 파일들 중에서 상기 확장된 검색 문자열의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에 대응하는 문자열의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Wherein when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is scrolled after the string expanding button is pressed in the input step, the search string set in the focused file is expanded, and in the ascending order of the extended search string among the files including the previously set search string Or moves the focus to a file of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a descending order.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과정은,24. The method of claim 23, 상기 입력 과정에서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을 누른 후,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의 스크롤에 따른 상기 포커스의 이동을 상기 파일 그룹 내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Wherein the input of the character string is performed in the file group by moving the focus according to scrolling of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after pressing the string expanding button.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과정은,25. 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스크롤하여 상기 포커스가 확장된 검색 문자열의 경계 순위의 파일을 포커싱한 상태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다시 스크롤하면,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Scrolling the first or second scroll input unit and scrolling the second scroll input unit in the direction of moving the focus to the focused file while focusing the file of the boundary rank of the extended search string , And the focus is not moved.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과정은,26. 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스크롤하여 상기 포커스가 확장된 검색 문자열의 경계 순위의 파일을 포커싱한 상태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스크롤 입력부를 다시 스크롤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배열상 이웃하는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고, 상기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Scrolling the first or second scroll input unit and scrolling the first scroll input unit in a direction that moves the focus to the focused file while focusing the file of the boundary ranking of the extended search string Moving the focus to a file adjacent to the focused file, and reducing the expanded search string. 제 26항에 있어서,27. 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포커싱 과정 이후에 선택 버튼으로 상기 포커싱된 파일을 선택하여 실행하는 실행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And selecting and executing the focused file with a selection button after the focusing process.
KR20080022538A 2008-03-11 2008-03-11 Mobile terminal and its file search method Expired - Fee Related KR1014785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2538A KR101478562B1 (en) 2008-03-11 2008-03-11 Mobile terminal and its file search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2538A KR101478562B1 (en) 2008-03-11 2008-03-11 Mobile terminal and its file search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417A KR20090097417A (en) 2009-09-16
KR101478562B1 true KR101478562B1 (en) 2015-01-02

Family

ID=41356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225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8562B1 (en) 2008-03-11 2008-03-11 Mobile terminal and its file search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56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734B1 (en) 2015-03-27 2016-12-29 하이플러스카드 주식회사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aying a charge in tollgate of a vehicle using high-pass
CN118364161B (en) * 2024-04-16 2025-02-25 佛山众陶联供应链服务有限公司 A method and system for restoring query conditions after front-end page refres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3467A (en) * 1996-06-11 1998-03-06 Xerox Corp Method and device for one button system list retrieval
KR20070097960A (en) * 2006-03-30 200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with touch wheel and command input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3467A (en) * 1996-06-11 1998-03-06 Xerox Corp Method and device for one button system list retrieval
KR20070097960A (en) * 2006-03-30 200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with touch wheel and command input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417A (en)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027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to organize and manipulate information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via multi-touch gestures
JP6245788B2 (en) Information input device
US8799806B2 (en) Tabbed content view on a touch-screen device
US9189500B2 (en) Graphical flash view of documents for data navigation on a touch-screen device
US20060187212A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KR20070085631A (en) Portable electronics with user interactive visual interface
KR2005004636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of hierarchy structures in mobile terminal equipment
CN101174190A (en) Method for realizing composite button software keyboard input on screen of electronic equipment
WO2009127168A1 (en) System capable of accomplishing flexible keyboard layout
KR20080011326A (en) Enhanced Pocket Computer and Associated Methods
JP5910502B2 (en) Data processing terminal, data search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5587875B2 (en) How to browse electronic media
KR20110045292A (en) List search support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ing same
CN103197765B (en) Keyboard layout adjusting method
CN103135786B (en) For the method to electronic equipment input text
JP2011114515A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telephone directory data retrieving method in mobile terminal apparatus
KR101478562B1 (en) Mobile terminal and its file search method
KR100774158B1 (en) How to scroll data, how to change pages, how to change data display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CN103135787B (en) Method and keyboard system for inputting text into electronic device
US20070264980A1 (en) Methods and interfaces for telephone book indexing
KR10074758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input screen switching function and input screen switching method using same
JP5254892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JP2007164505A (en) Portable terminal
KR100570793B1 (en) Alphanumeric input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29499Y1 (e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12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