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1080B1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080B1
KR101391080B1 KR1020070084999A KR20070084999A KR101391080B1 KR 101391080 B1 KR101391080 B1 KR 101391080B1 KR 1020070084999 A KR1020070084999 A KR 1020070084999A KR 20070084999 A KR20070084999 A KR 20070084999A KR 101391080 B1 KR101391080 B1 KR 101391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characters
displayed
event occurs
ev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9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97114A (en
Inventor
신근호
원영민
한영섭
김기덕
이광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08153772.2A priority Critical patent/EP1988444A3/en
Priority to US12/150,954 priority patent/US20080291171A1/en
Publication of KR20080097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1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080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을 터치 스크린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고,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하는 경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각각 확대시켜 표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문자들이 확대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해제(Release) 이벤트 및 드래그(Drag) 이벤트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지 판단하여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을 지시하고, 지시된 문자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그 지시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를 터치 스크린에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하는 문자를 쉽게 찾아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키 입력이 좀 더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 character group including two or more characters is allocated and displayed in a character area generated by dividing an area on a touch screen into two or more areas,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areas, 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are enlar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any one of a release event and a dragging event occurs in one of the character areas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in an enlarged manner, and when a drag event occurs,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 And when a release event occurs in the designated character area, the character belonging to the designated character area is output to the touch scree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nience of enabling a key input to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by allowing a user to easily find and input a desired character with ease.

문자 입력, 키패드 Character input, keypad

Description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0002]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종래의 단말기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대신에 터치 스크린에 쿼티(QWERTY) 자판이나 키패드 모양을 그대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단말기의 예로는 전자수첩, 이동통신 단말기 및 PDA 등을 들 수 있다. Conventionally, instead of having a keypad, a conventional terminal outputs a QWERTY keypad or a keypad as it is to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nput characters to be input. Examples of such terminals include an electronic organiz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DA.

한편, 최근에는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로 인하여 터치 스크린의 크기 또한 그만큼 소형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터치 스크린에는 전체 자판이 모두 출력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각 자판이 터치 스크린에 작은 크기로 출력되더라도 사용자는 너무 작은 자판으로 인해 원하는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즉, 사용자는 작게 출력된 자판들로 인해 원하는 자판 대신에 간혹 옆의 자판을 잘못 입력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자판을 다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갖게 된다. Meanwhile, in recent years, due to the miniaturization trend of handsets, the size of the touch screen is also becoming smaller. In such a case, the entire keyboard can not be outputted to the touch screen. Moreover, even though each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t a small siz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input the desired character due to a too small keyboard. In other words, the user may occasionally erroneously input a side keyboard instead of a desired keyboard due to small-sized keyboards. Therefore, the user has the inconvenience of re-entering the keyboard.

이러한 문제점들은 작은 크기의 터치 스크린에서 전체 자판을 모두 표시하면 서 사용자로부터 정확한 입력을 받는 것이 어려운 이유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를 만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입력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되고 있다.These problems arise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ceive accurate input from the user by displaying the entire keyboard on a small sized touch screen. Therefore, a new input method user interface is required to satisfy the above-mentioned requirements.

종래의 단말기는 제한된 크기의 터치 스크린에 키패드 자판을 모두 출력하는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에 자판들이 작게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문자 입력을 정확하게 할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된다.The conventional terminal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utput the keypad keyboard to a touch screen having a limited size. In addition, when the keyboards are printed with a small size on the touch screen, the user can not correctly input characters.

따라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터치 입력의 오류를 최소화하면서 빠른 동작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a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a quick operation while minimizing a touch input error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 자판 기능을 위한 문자들을 효과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enabling a user to input characters more effectively and quickly by effectively displaying characters for a keyboard function on a touch screen.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을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할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각각 확대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들이 확대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해제(Release) 이벤트 및 드래그(Drag) 이벤트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드래그 이벤트 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을 지시하는 과정과, 상기 지시된 문자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지시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 character group including two or more characters by dividing an area on the touch screen into two or more areas; A step of enlarging and displaying each character belonging to a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character areas; Determining whether any one of a release event and a dragging event occurs in one of the character areas of the characters in the enlarged display area; and if the drag event occurs, Indicating one of the character regions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instructed door If the area event has occurred is releas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the output to the touch screen, 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region of the instruction.

그리고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을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제 1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 1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제 2 문자 영역들에 각각 확대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 해제(Release)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 2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 2 문자 영역에 표시된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ividing a group of characters including two or more characters into two or more areas on the touch screen; And displaying each of 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first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when each of the first character areas has a press event in the second character areas, Determining whether a release event occurs in the first character area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second character areas in a state where a press event is generated in the first character area; And a second character area, when a release event occurs in the first character area, Determining whether a release event occurs in the character area, and outputting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second character area to the touch screen when a release event occurs in the second character area.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각 문자 영역에 표시되는 적어도 2개의 문자들을 포함하고 있는 문자 그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문자 그룹들을 상기 각 문자 영역마다 표시하고, 상기 각 문자 영역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 해제 이벤트(Release) 및 드래그(Drag) 이벤트를 발생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문자 그룹들을 상기 문자 영역에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고, 상기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각각 확대시켜 표시하여, 상기 문자들이 확대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상기 해제 이벤트 및 드래그 이벤트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을 지시하여, 상기 지시된 문자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지시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memory for storing character groups including at least two characters displayed in each character area generated by dividing an area on the touch screen into two or more areas,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each character area on a touch screen and generating a press event, a release event, and a drag event according to a user's input in each of the character areas; And when the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character areas, enlarges and displays each of 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red, so that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in any one of the character areas Determines whether any one of the release event and the dragging event occurs, If a drag event occurs, designates any one character area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 and if a release event occurs in the designated character area, the character belonging to the designated character area is output to the touch scree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제 1 및 제 2 문자 영역에 표시되는 적어도 2개의 문자들이 포함된 문자 그룹들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제 1 및 제 2 문자 영역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 및 해제(Release)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문자 그룹들을 상기 제 1 문자 영역마다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 1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 1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제 2 문자 영역들에 각각 확대시켜 표시하고,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 1 문자 영 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1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 2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 2 문자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 2 문자 영역에 표시된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device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wherein at least two characters displayed on the first and second character areas generated by dividing the area on the touch screen into two or more A touch screen for generating a press event and a release event according to a user's input to the first and second character areas; Each of the first character areas is assigned to each of the first character areas, and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f the first character areas, characters belonging to the first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are enlarged And in a state in which a press event is generated in the first character area, Determines whether or not a release event occurs in the second character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s 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in the first character area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outputs a character displayed in the second character area to the touch screen when a release event occurs in the second character area.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통한 키 입력이 좀 더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문자를 쉽게 찾아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한 PDA 등의 여러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key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Accordingly, the user has the convenience of easily finding and inputting the desired character with ease.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tilized in input devices of various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DA.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을 터치 스크린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들에 각각 할당하여 표시하고,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하는 경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각각 확대시켜 표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문자들이 확대 표시된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에 해제(Release) 이벤트 및 드래그(Drag) 이벤트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지 판단하여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을 지시하고, 지시된 문자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그 지시된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를 터치 스크린에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하는 문자를 쉽게 찾아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키 입력이 좀 더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 character group including two or more characters is allocated and displayed in a character area generated by dividing an area on a touch screen into two or more areas,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areas, 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are enlar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any one of a release event and a dragging event occurs in one of the character areas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in an enlarged manner, and when a drag event occurs,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drag event And when a release event occurs in the designated character area, the character belonging to the designated character area is output to the touch scree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nience of enabling a key input to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by allowing a user to easily find and input a desired character with ease.

이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을 참조하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는 무선부(100), 메모리(110), 터치 스크린(Touch Screen)(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무선부(100)는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110)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 및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120)상의 영역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문자 영역(이하 '키 영역'이라 칭함)에 표시되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 영어 알파벳의 대문자와 소문자, 숫자 및 특수 문자들(이하 '문자'라 칭함)을 저장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1, a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includes a wireless unit 100, a memory 110, a touch screen 120, and a control unit 130. First, the wireless unit 100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The memory 110 includes a ROM (Read Only Memory) and a RAM (Random Access Memory)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ograms and data.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Korean alphabet displayed in a character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key area") generated by dividing an area on the character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haracter area") into two or more areas,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

터치 스크린(120)은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화면을 말한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아 제어 부(130)의 제어에 따라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Icon) 및 문자로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 스크린(120)은 제어부(130)의 제어하에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영역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 해제(Release) 이벤트 및 드래그(Drag) 이벤트를 발생한다. The touch screen 120 is a screen that allows the user to identify a character or a specific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120 when a human hand or an object touches the screen, and to perform specific processing by the stored software. The touch screen 120 receives touch input from a user and displays display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or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with icons and characters. In particular, the touch screen 12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displays a key area for receiving a charact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and displays a press event, a release event, and a drag Drag) event.

제어부(13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을 터치 스크린(120)상에 출력된 키 영역에 각각 할당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에서 발생된 프레스 이벤트, 해제 이벤트 및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선택된 키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를 터치 스크린(120)에 출력한다. 여기서 프레스 이벤트는 키 영역 중 어느 하나가 눌려질 경우 발생하며, 해제 이벤트는 키 영역의 눌림이 해제되었을 경우 발생한다. 그리고 드래그 이벤트는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된 키 영역들 상에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이 있을 경우에 발생한다.The control unit 130 allocates and displays character groups including two or more characters stored in the memory 110 in the key areas output on the touch screen 120, respectively. The control unit 130 outputs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region to the touch screen 120 according to the press event, the release event, and the drag event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120. Here, a press event occurs when any one of the key areas is pressed, and a release event occurs when the key area is released. And a drag event occurs when there is a user's drag input on the key area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20. [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크게 3가지 방법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을 받는다. 즉, 제어부(130)는 하나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 및 두 개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를 고려하여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고, 두 번의 터치 입력을 통한 방법으로 문자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 receives character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ree methods. That is, the control unit 130 may receive a character in consideration of a user who inputs a character with one finger and a user who inputs a character using two fingers, and may receive a character in a method through two touch inputs .

이와 같은 3가지 방법 중 먼저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는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mong these three methods, a method of receiving a character from a user who inputs a character using one finger will be described first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200 단계에서 터치 스크린에 출력된 키 영역마다 문자 그룹을 할당하여 표시한다. 키 영역은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는 터치 스크린(120)의 화면 크기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개수로 조정되어질 수 있다. 문자 그룹은 키 영역의 총 개수에 종속적으로 나누어진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문자 그룹의 개수는 키 영역의 개수와 동일하게 생성이 되며, 키 영역의 개수가 많을수록 하나의 문자 그룹을 구성하는 문자의 개수는 적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키 영역이 8개로 나누어지고 하나의 문자 그룹이 4개의 문자들로 구성되는 경우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2 is a control flowchart for inputting a character from a user who inputs a character with one fi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in operation 200, the controller 130 allocates and displays a character group for each key region output from the touch screen. The number of key areas may be two or more, and the number of key areas may be adjusted to the most effective number for receiving characters from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screen size of the touch screen 120. A character group is subdivided into a total number of key regions. Specifically, the number of character groups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key areas, and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one character group becomes smaller as the number of key areas becomes larg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key area is divided into 8 and one character group is composed of 4 character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키 영역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20)에는 영어 알파벳으로 구성된 문자 그룹들이 순서대로 각 키 영역마다 할당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키 영역(300)의 상단에는 키 영역을 통해 선택된 문자들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310)이 출력된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 area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character groups composed of English alphabets are sequentially allocated and displayed for each key region on the touch screen 120. At the top of the key area 300, a display area 310 in which selected characters are displayed is output.

도 3에서 키 영역(300)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하나의 키 영역에 표시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는 기준 문자로 설정이 되어 키 영역에 표시된 다른 문자들과는 다른 색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준 문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른 색으로 표시되는 법 이외에도 문자의 폰트(Font) 및 굵기 등이 기준 문자 이외의 문자들과는 다른 형태로 표시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when the key region 300 is viewed as a center, one of the characters displayed in one key region is set as a reference character, and is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from other characters displayed in the key reg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character may be display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characters other than the reference character, such as the font and thickness of the character,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reference character as described above.

기준 문자는 문자 그룹의 문자들이 확대되어 표시될 때에 기준점의 역할을 한다. 즉, 기준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을 중심으로 기준 문자 이외의 문자들은 프 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키 영역에 표시된 문자 그룹의 배열 형태로 확대되어 표시 된다. 여기서 기준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은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문자 그룹의 키 영역에 대응된다.The reference character serves as a reference point when characters of the character group are displayed in an enlarged manner. That is, characters other than the reference character centered on the key area to which the reference character is allocated are enlarged and displayed in an array form of the character group displayed in the key area where the preset event occurs. Here, the key area to which the reference character is assigned corresponds to the key area of the character group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r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키 영역은 크게 전체 입력 모드와 개별 입력 모드로 나누어진다. 먼저 전체 입력 모드에서는 전술한 도 3과 같이 문자 그룹들이 키 영역마다 각각 할당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전체 입력 모드에서 표시된 키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202 단계에서 2개 이상의 키 영역 중에서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area is largely divided into a full input mode and an individual input mode. First, in the full input mode, character groups are allocated and displayed for each key area as shown in FIG. The control unit 130 switches to the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f the displayed key areas in the entire input mode. Accordingly,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in step 202 whether a press event occurs in one of the two or more key areas.

제어부(130)는 어느 하나의 키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204 단계에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키 영역 내의 문자들을 각각의 키 영역에 확대 표시한다. 이때 문자들이 확대 표시되는 키 영역들은 전체 입력 모드의 키 영역들과 동일한 키 영역들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전체 입력 모드에서 개별 입력 모드로 전환이 되면, 전체 입력 모드에서 표시되었던 문자 그룹들은 모두 사라지게 된다. 한편, 문자들은 팝업(Pop up) 형태의 2개 이상의 키 영역에 확대 표시가 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130 enlarges and displays the characters in the key region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red in each key region in order to switch to the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key regions. At this time, the key areas in which the characters are enlarged and displayed may be the same key areas as the key areas in the entire input mode. Therefore, in this case, when the entire input mode is switched to the individual input mode, the character groups which were displayed in the entire input mode disappear.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s may be enlarged to two or more key regions in the form of a pop up, which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문자들이 확대 표시가 되면 206 단계로 진행하여 기준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에 표시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자는 선택된 키 영역을 시각적인 효과로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해당 키 영역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시자(Indicator)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해당 키 영역의 테두리의 색을 변화시키거나 키 영역을 음영으로 표시하는 표시자를 이용하여 해당 키 영역이 선택되었음을 보인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When the characters are enlarg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06 and displays the indicator in the key area to which the reference character is assigned. Here, the indicator may be an indicator for displaying the selected key region with a visual effec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 changes the color of the border of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or shows that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is selected using an indicator for displaying the key region as a shade. The details of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which shows a process of inputting a character using a single finger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영어 알파벳 'F'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도 4(a)에서와 같이 문자 그룹의 키 영역이 표시된 전체 입력 모드에서 'F'가 포함되어 있는 키 영역인 'EFGH'를 선택하여 누른다. 그러면 눌려진 키 영역에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면서 해당 키 영역의 테두리 색을 변화시키는 표시자가 표시된다. 표시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로 발생한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위치가 변경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자를 통해 선택된 키 영역을 한눈에 알아볼 수가 있다.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nputting the English alphabet 'F'. First, the user selects and presses 'EFGH' which is a key region including 'F' in the entire input mode in which the key region of the character group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4 (a). Then, a press event is generated in the pressed key area, and an indicator for changing the color of the border of the key area is displayed. The indicator may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a drag event generated in the drag input of the use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recognize the selected key region through the marker at a glance.

도 4(a)와 같이 키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30)는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개별 문자 입력 모드에서 제어부(13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이벤트를 발생한 키 영역의 문자들을 확대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확대 표시되는 문자들은 기준 문자인 'E'를 중심으로 전체 입력 모드에서 키 영역에 표시된 배열대로 나타난다. 기준 문자 'E'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키 영역에 할당된 문자로 한 번의 터치로 출력이 가능한 문자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확대 출력되는 문자들을 드래그 입력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근접한 배열로 표시한다. 이렇 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좀 더 적은 노력으로 손쉽게 문자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4A,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the key area, the controller 130 switches to the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In the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the controller 130 enlarges and displays the characters of the key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red, as shown in FIG. 4 (b). Here, the characters to be enlarged are displayed in the arrangement shown in the key area in the entire input mode centered on the reference character 'E'. The reference character 'E' is a character assigned to a key area where a press event occurs, and is a character that can be output with one touch.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 displays enlarged characters in a close arrangement that minimizes the distance of the drag input, considering that the user uses one finger. This allows the user to easily select characters with less effort.

한편, 제어부(130)는 문자들이 확대 표시가 되면 208 단계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210 단계에서 기준 문자를 출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도 4(a)와 같이 표시된 문자 그룹의 키 영역을 한 번 터치할 경우 기준 문자인 'E'를 출력하게 된다. 이는 해제 이벤트를 발생한 키 영역에 기준 문자가 할당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체 입력 모드에서 한 번의 터치로 기준 문자를 입력할 수가 있다. In step 208,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a cancel event or a drag event has occurred. If a release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 unit 130 outputs a reference character in step 210. Referring to FIG. 4, when the user touches a key region of a character group displayed as shown in FIG. 4A once, the control unit 130 outputs 'E' as a reference character. This is because the reference character is assigned to the key region where the release event occurred. Therefore, the user can input the reference character with one touch in the entire input mode.

제어부(130)는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212 단계로 진행하여 드래그 된 위치에 따라 표시자를 표시한다. 도 4(b)에서처럼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키 영역이 눌려진 상태에서 드래그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눌려지는 키 영역에 대응되도록 표시자의 위치를 변경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E'에서 'F'의 키 영역으로 드래그 이벤트를 발생시킴에 따라 표시자의 위치도 그에 대응하여 변경된다. If a drag event occurs,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12 and displays an indicator according to the dragged position. As shown in FIG. 4 (b), the controller 130 can receive a drag input when the key region is pushed from the user. The control unit 130 changes the position of the indicator so as to correspond to the key region to be pressed in accordance with the drag event.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user generates a drag event from the 'E' to the 'F' key region, the position of the indicator is also changed accordingly.

그러면 제어부(130)는 214 단계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216 단계로 진행하여 표시자가 표시된 키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으로 선택된 'F'가 표시된 키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비로소 도 4(c)에서처럼 디스플레이 영역에 'F'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다시 전체 입력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추가로 문자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If the cancel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216 and output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key area indicated by the marke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in the key area indicated by 'F' selected as the drag input of the user, the control unit 130 outputs 'F' to the display area as shown in FIG. 4 (c)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provides a convenience to enable the user to further input characters by switching to the full input mode.

이처럼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으로 프레스 이벤트 및 해제 이벤트를 발생시켜 문자를 입력하기 때문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그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키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가 출력된다. 또한 확대 표시되는 문자들은 서로 최대한 근접하게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소한의 드래그 입력으로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보다 적은 노력으로 편리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inputs a character by generating a press event and a cancellation event with one finger, when the cancellation event occurs,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key area in which the cancellation event occurred is output. In addition, the enlarged characters are displayed as close to each other as possible, so that a user can select a desired character with a minimum drag input. Therefore, a user who uses such a method has the convenience of conveniently and quickly inputting characters with less effort.

한편,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두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Meanwhile, the user may input characters using two finger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which is a control flowchart for receiving characters from a user who inputs characters with two finger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500 단계에서 키 영역마다 문자 그룹을 할당하여 표시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전체 입력 모드로 진입을 한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120)에 키 영역이 표시되는 방식은 전술한 도 4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5, in step 500, the controller 130 allocates and displays a character group for each key area. Then, the control unit 130 enters the full input mode. Here, the manner in which the key region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20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FIG. 4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어부(130)는 502 단계에서 키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키 영역이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의 전환을 위하여 504 단계에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키 영역 내의 문자들을 각각의 키 영역에 확대 표시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step 502,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ich of the key areas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 unit 130 enlarges and displays the characters in the key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red in each key area in step 504 for switch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when the key area has generated the press event. Specific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두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6(a)와 같이 표시된 전체 입력 모드에서 사용자는 'R'을 입력하기 위하여, R'이 포함된 키 영역인 'QRST'를 누른다. 그러면 'QTRS'의 키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됨과 동시에 터치 스크린(120)에는 도 6(b)와 같이 문자들이 키 영역에 확대되어 표시된다. 이때 키 영역에 문자가 표시되는 방식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경우와는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서로 다른 두 손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사용자의 양손의 위치를 고려하여 문자들을 배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는 드래그 입력으로 문자를 선택받지 않으므로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할 때와 같이 문자들이 근접하게 배열될 필요가 없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user inputs characters using two finger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ntire input mode shown in FIG. 6 (a), the user presses' QRST 'which is a key region including R' in order to input 'R'. Then, a press event is generated in the key region of 'QTRS', and at the same time,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20 in an enlarged manner in the key region as shown in FIG. 6 (b). The manner in which characters are displayed in the key area is different from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at i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 regards that the user inputs a character using the fingers of two different hands, and arranges the characters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s of both hands of the use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s are not selected by a drag input, so that characters do not need to be arranged close to each other as when using one finger.

이처럼 문자들이 확대 표시되어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을 한 제어부(130)는 506 단계에서 기준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에 표시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기준 문자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즉, 기준 문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처럼 한 번의 터치로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508 단계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510 단계에서 기준 문자를 출력한다. In step 506,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characters in the key area to which the reference character is allocated. Here, the reference character has the same meaning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at is, the reference character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area with a single touch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a release event has occurred or a press event has occurred in step 508, and if a release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 unit 130 outputs a reference character in step 510.

한편,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즉, 하나의 키 영역 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추가로 발생한 프레스 이벤트가 있을 경우에 512 단계로 진행하여 기준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이를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기준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을 어느 하나의 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또 다른 손가락으로 원하는 문자 'R'이 표시된 키 영역을 누른다. 이때 표시자는 기준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에 그대로 표시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press event occurs, that is, when there is a press event that is additionally generated in a state where a press event occurs in one key region, the control unit 130 proceeds to step 512, Has occurred. Referring to FIG. 6 (c), the user presses the key area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R' is displayed with another finger while pressing the key area assigned with the reference character with one finger. At this time, the indicator is displayed as it is in the key area to which the reference character is assigned.

제어부(130)는 기준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514 단계로 진행하여 추가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된 키 영역에 표시자를 표시한다. 즉, 도 6(d)에서처럼 사용자가 기준 문자인 'S'가 표시된 키 영역에서 손가락을 뗄 경우, 표시자는 또 다른 손가락으로 눌려진 'R'이 표시된 키 영역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If a release event occurs in the key area to which the reference character is allocated,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514 and displays the indicator in the key area where the press event is generated. That is, as shown in FIG. 6 (d), when the user removes the finger from the key area indicated by the reference character 'S', the marker moves to the key area indicated by 'R' pressed by another finger.

그러면 제어부(130)는 516 단계에서 표시자가 표시된 키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518 단계로 진행하여 표시자가 표시된 키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를 출력한다. 도 6(d)를 살펴보면 'R'이 표시된 키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도 6(e)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R'이 출력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기준 문자가 표시된 키 영역에 해제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또 다른 손가락으로 원하는 문자가 표시된 키 영역에 해제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그 원하는 문자가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다시 전체 입력 모드로 전환을 하여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추가로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 In step 516,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a cancel event has occurred in the key area indicated by the marker. If the cancel event occurs,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518 and outputs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key area indicated by the marker. Referring to FIG. 6 (d), when a release event occurs in the key region indicated by 'R', 'R' is displayed in the display region as shown in FIG. 6 (e). In other words, the user generates a release event in a key area in which a reference character is displayed, and generates a release event in a key area in which a desired character is displayed with another finger, thereby outputting the desired character. Then, the control unit 130 switches to the full input mode again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additional characters from the user.

이처럼 두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문자의 입력이 좀 더 빠르게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키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들이 전체 입력 모드와 개별 입력 모드에 따라 다르게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하는 문자를 보다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Such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using two fingers provides an advantage that the inputting of characters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lso,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key area are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ntire input mode and the individual input mode,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the convenience of selecting the desired character more accurately.

한편 전술한 두 가지 실시 예와는 달리 사용자는 두 번의 터치 입력만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터치 입력은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후 바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described two embodiments, the user can input characters by only two touch input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input refers to a case where a release event occurs immediately after a press event occurs. Hereinafter, a control flow for inputting characters through a touch input of a us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을 참조하면, 70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키 영역마다 문자 그룹을 할당하여 표시한다. 이와 같은 전체 입력 모드에서 제어부(130)는 702 단계에서 표시된 키 영역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판단 결과 터치가 되었을 경우 704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된 키 영역 내의 문자들을 각각의 키 영역에 확대 표시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이전 단계로 되돌아간다. Referring to FIG. 7, in step 700, the controller 130 allocates and displays a character group for each key area. In this overall input mode,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ich one of the key areas displayed in step 702 has been touched. If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s affirmative,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704 to enlarge and display the characters in the touched key area in the respective key areas. Otherwise, the controller 130 returns to the previous step.

전술한 두 가지 실시 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서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후 바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즉, 터치 입력에 따라 전체 문자 입력 모드에서 개별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을 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706 단계에서 확대 표시된 문자에 대응되는 키 영역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터치된 키 영역이 있을 경우 708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된 키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이전 단계로 되돌아간 다. 이와 같은 과정은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Unlike the above-described two embodiments,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oon as a release event occurs immediately after a press event occurs, that is, the mode is switched from the full character input mode to the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In step 706,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ich one of the key areas corresponding to the enlarged character is touched. If there is a touched key area,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708 and output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key area. If not, the control unit 130 returns to the previous step. This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터치 입력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체 입력 모드에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된 키 영역들 중 원하는 문자 'R'이 포함되어 있는 키 영역을 터치한다. 그러면 터치된 키 영역에 표시된 문자들인 'QTRS'가 도 8(b)와 같이 확대되어 표시가 된다. 이때 확대 표시되는 문자들은 전체 입력 모드의 키 영역에 표시된 바와 같은 배열로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개별 입력 모드에서 제어부(130)는 확대 표시된 문자들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키 영역이 터치되는지를 판단한다. 키 영역의 터치가 있을 경우 제어부(130)는 터치된 키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하고 다시 전체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제어부(130)는 키 영역이 터치될 때마다 터치된 키 영역에 표시자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된 키 영역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user inputs a character using a touch inpu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user touches a key area including a desired character 'R' among the key areas outputted as shown in FIG. 8 (a) in the full input mode. Then, the characters 'QTRS' displayed in the touched key area are enlarged and displayed as shown in FIG. 8 (b). At this time, the enlarged characters are displayed in an array as shown in the key area of the entire input mode. In the individual input mode,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ich of the key areas corresponding to the enlarged characters is touched. When there is a touch of the key area, the controller 130 outputs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key area to the display area and then switches to the full input mode. In this process, the controller 130 displays an indicator in the touched key area whenever the key area is touched,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identify the selected key area.

이처럼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서는 두 번의 터치 입력을 통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좀 더 직관적으로 키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r with convenience of inputting characters through two touch inputs. Accordingly, the user has an advantage that the key input can be performed more intuitively.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3가지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3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문자 입력 방법은 기존의 문자 입력 방법과 비교하여 볼 때 입력 속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키고, 키 입력에 대한 오류를 감소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키 영역에 문자 대신 메뉴 항목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여 사 용자로부터 전술한 3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메뉴 아이콘을 선택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비단 문자 입력을 할 때뿐만 아니라 메뉴 선택 및 모드의 전환 등과 같이 키 입력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ree methods for inputting characters. Therefore, the user can select any one of the three methods and input characters. Such a character input method provides an advantage of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input spee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and reducing errors in the key inpu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an icon representing a menu item instead of a character in a key area, so that the user may select a menu icon through any one of the above three methods from the user.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performs a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menu ic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not only when inputting non-silent characters but also in various fields requiring key input such as menu selection and mode switching.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키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의 종류를 선택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인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lect the type of characters displayed in the key area. Hereinafter, a process of selecting a character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9(a)에 표시자가 표시되어 있는 키 영역(이하, '컨트롤 키'라 칭함)은 일종의 옵션(Option) 키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될 경우, 문자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키 영역이 도 9(b)와 같이 표시가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전술한 3가지 문자 입력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키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A key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rol key') in which a marker is displayed in FIG. 9 (a) is a kind of option key, and when a user selects the key area, 9 (b). Here, the user can select a key area using any one of the three character input methods described above.

도 9(b)에 도시된 키 영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단의 키 영역에는 한글 및 영어 대소문자가 표시된 키 영역이 출력되고, 하단의 키 영역에는 특수 문자 확장형, 특수 문자 및 숫자가 표시된 키 영역이 출력된다. 도 9(b)에 도시된 엔터(Enter)키와 스페이스(Space)키는 확인 및 띄어쓰기 등을 할 때 사용이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도 9(a)에 도시된 컨트롤 키를 한번 터치함으로써 스페이스 키를 터치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가질 수 있다.9 (b), a key area in which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are displayed is displayed in the upper key area and a key area in which a special character extension type, a special character, and a numeral are displayed in the key area at the lower end . The enter key and the space key shown in FIG. 9 (b) are used for confirmation and spac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sult as touching the space key can be obtained.

사용자는 이와 같이 도시된 키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키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자의 종류에 따라 표시되는 키 영 역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The user can select any one of the key areas and change the type of characters displayed in the key area. Here, the key area displayed according to the type of characters is as shown in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의 종류별 키 영역을 보인 도면이다. 도 9(b)에 도시된 키 영역들 중 'Hangul' 키 영역이 선택되면, 키 영역에는 도 10(a)와 같이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이 표시된다. 또한 'Num' 키 영역이 선택이 되면 도 10(b)와 같이 숫자들이 키 영역에 표시되고, '@' 키 영역이 선택되면 도 10(c)에서처럼 특수 문자들이 키 영역에 표시된다. 10 is a diagram showing key areas according to the type of character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angul' key area is selected from the key areas shown in FIG. 9 (b), the consonant and vowel of Hangul are displayed in the key area as shown in FIG. 10 (a). When the 'Num' key area is selected, the numbers are displayed in the key area as shown in FIG. 10 (b). When the '@' key area is selected, special characters are displayed in the key area as shown in FIG. 10 (c).

전체 입력 모드에서 키 영역에 표시된 문자들은 전술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그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영어 알파벳의 경우 하나의 키 영역당 4개의 문자들로 구성이 되지만 한글의 경우에는 그 구성이 달라진다. 즉,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의 개수가 영어 알파벳의 개수보다 많으므로, 한글의 경우 하나의 키 영역당 표시되는 문자의 개수는 더 많아진다.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key area in the full input mode are arranged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ir types as shown in Fig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English alphabet, it consists of 4 characters per key area, but in case of Hangul, its composition is different. That is, since the number of consonants and vowels in Hangul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English alphabets, the number of characters displayed per key area in Hangul is greater.

한편, 개별 문자 입력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는지 또는 두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키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들의 배열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문자 배열을 보인 도면인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individual character input mode, the arrangement of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key area is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uses one finger or two fingers.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1 which is a drawing showing a character arrangement for receiving a character from a user who inputs a character with one fi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키 영역에는 자음과 모음이 각각 키 영역의 좌우에 할당되어 표시가 된다.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개수는 영어 알파벳의 개수보다 많기 때문에 하나의 키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의 개수는 증가될 수 있다. 이 와 같이 표시된 키 영역에서 사용자는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키 영역을 드래그함으로써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문자들을 도 11(b)와 같이 모두 최소한의 거리를 갖도록 근접하게 배열시킴으로써, 드래그를 통한 사용자의 문자 선택이 좀 더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11 (a), consonants and vowels are assign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key area in the Hangul key area, respectively. Since the number of consonants and vowels in Hangul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English alphabets, the number of characters displayed in one key area can be increased. In the key area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input a character using one finger. Therefore,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character by dragging the key area using one finger. For this, the controller 130 arranges the characters so as to have a minimum distance as shown in FIG. 11 (b), thereby making it easier for the user to select characters through dragging.

한편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두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the user can input characters using two finger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s of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문자 배열을 보인 도면이다. 도 12(a)와 같이 초기에 표시되는 키 영역은 도 11(a)에 표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표시된 키 영역에서 사용자는 먼저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어느 하나의 키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 12(b)에서와 같이 문자들은 확대되어 표시된다. 여기서 기준 문자인 'ㄱ'은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키 영역의 위치에 그대로 표시되며, 그 외의 문자들은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의 반대편에 정렬되어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기준 문자 이외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또 다른 손가락을 사용하여 추가로 키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반대편 손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추가로 프레스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120)에는 기준 문자와 그 외의 문자들이 서로 반대쪽 위치에 정렬되어 표시된다. 이러한 정렬 방식은 사용자에게 좀 더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12 is a diagram showing a character arrangement for receiving characters from a user who inputs characters with two finger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a), the key region initially displayed is displayed in a manner as shown in Fig. 11 (a). In the key area thus displayed, the user first generates a press event in one of the key areas using one finger. Then, as shown in FIG. 12 (b), the characters are enlarged and displayed. Here, the reference character '?' Is displayed as it is at the position of the key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is generated, and other characters are display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sition where the press event occurs. Here, the user can further generate a press event in the key area using another finger to input a character other than the reference character. Then, the control unit 130 regards that the user further generates a press event using the finger of the opposite hand. Accordingly, the reference character and other characters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20 in a position opposite to each other. Such an arrangement provides a convenience for users to input characters more conveniently.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터치 스크린(120)에는 2x4의 블록 형태로 배열된 키 영역이 표시된다. 키 영역의 구성은 터치 스크린(12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사항이며, 이에 따라 문자들이 키 영역에 배열되는 방식도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화면 크기가 큰 경우 문자 배열을 보인 도면인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120 displays a key region arranged in a 2x4 block form. The configuration of the key area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ouch screen 120, and thus the manner in which the characters are arranged in the key area may be changed. 13, which is a diagram showing a character arrangement when the screen size of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

도 13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20)의 화면이 클 경우에는 표시되는 키 영역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다. 도 13(a)에서 키 영역은 터치 스크린(120)의 크기에 대응하여 2x5의 형태로 표시된다. 여기서 왼쪽에 표시된 자음 키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에 표시된 모음 키 영역들이 사라지면서 자음들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즉, 왼쪽에는 자음 그룹들이 표시된 키 영역들이 나타나게 되고, 오른쪽에는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키 영역에 대응하는 자음들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이때 기준 문자에 대응하는 키 영역은 표시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키 영역이 기준 문자가 할당된 키 영역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준 문자는 한 번의 터치로 간단하게 출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when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120 is large, the number of displayed key regions may be increased. In FIG. 13 (a), the key area is displayed in the form of 2x5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touch screen 120. FIG.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one of the consonant key regions displayed on the left side, the consonants are enlarged and displayed as the vowel key regions displayed on the right disappear as shown in FIG. 13 (b). That is, the key areas having the consonant groups are displayed on the left side, and the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key area where the press event is generated are displayed on the right side. At this time, the key area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character is not displayed. This is because the key region where the press event occurs is regarded as the key region to which the reference character is assigned. Therefore, the reference character can be simply output with a single touch.

이처럼 키 영역의 개수는 터치 스크린(120)의 화면 크기에 따라 조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화면 크기별 키 영역을 보인 도면인 도 14를 참조하면, 2.2 인치(Inch)의 화면으로 구성된 세로형 터치 스크린(120)은 도 14(a)와 같이 8개의 키 영역에 4개의 문자를 할당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정확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1.8 인치의 화면으로 구성된 세 로형 터치 스크린(120)의 경우에는 도 14(b)에서처럼 6개의 키 영역에 6개의 문자들이 할당됨으로써 화면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정확하게 키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키 영역의 개수를 터치 스크린(120)의 크기에 따라 유연하게 변경시킴으로써 좀 더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가지 문자 입력 방법은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120)에 3x4로 구성된 키 영역에도 적용이 될 수가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us, the number of key region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of the touch screen 120. Referring to FIG. 14 illustrating a key area according to screen size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rtical touch screen 120 having a screen of 2.2 inch (inches) 4 characters are assigned to the key area so that the input from the user can be correctly received. In the case of the touch screen 120 having a screen of 1.8 inches, six characters are allocated to six key areas as shown in FIG. 14 (b), so that the user can accurately input a key regardless of the screen size .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key regions can be flexib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ouch screen 120, thereby being advantageously used more widely. Therefore, the thre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the key area composed of 3x4 on the touch screen 120. FIG. Details of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x4로 구성된 키 영역에서 중간 행에 위치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의 예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문자 그룹이 표시된 키 영역에서 원하는 문자가 표시된 키 영역을 선택한다.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은 전술한 3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FIG. 1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inputting characters located in a middle row in a 3 × 4 ke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5, a user selects a key region in which a desired character is displayed in a key region in which a character group is displayed. The method of selecting a character may be any one of the above three method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행에 위치한 'J'를 입력할 경우를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J'가 포함된 키 영역인 'JKL'을 선택한다. 그러면 화면이 전환되어 'JKL'이 위치한 행의 문자 그룹들이 사라지고 'J','K','L'이 각각 키 영역에 할당이 되어, 도 15(b)와 같이 확대 표시된다. 이때 표시자는 디폴트로 기준 문자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선택한 키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표시자에 대응하는 문자가 도 15(c)와 같이 출력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J' located in the middle row is input as shown in FIG. 15A, the user first selects 'JKL' which is a key region including 'J'. Then, the screen is switched so that the character groups of the row where the 'JKL' is located disappear, and 'J', 'K', and 'L' are assigned to the key area, respectively, and are enlarged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indicator is displayed on the reference character by default and moves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region selected by the user. Therefore, 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dicator is output as shown in FIG. 15 (c).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x4로 구성된 키 영역에서 마지막 행에 위치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과정의 예시도인 도 16을 참조하면, 마지막 행에 위치 한 'S'를 입력하는 경우를 보인 도 16에서도 전술한 도 15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16, which i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inputting characters located in the last row in a 3 × 4 ke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characters can be selected using the method shown in FIG. 15 described above.

사용자는 16(a)에서 'S'가 포함된 'PRS'의 키 영역을 선택한다. 그러면 'PRS'가 포함된 행의 문자 그룹 키 영역이 사라지면서 도 16(b)와 같이 'P','R','S'가 각각 키 영역에 할당이 되어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가 'S'가 표시된 키 영역을 선택하게 되면 도 16(c)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S'가 출력된다. The user selects a key region of 'PRS' including 'S' in 16 (a). Then, the character group key area of the row including 'PRS' disappears and 'P', 'R', and 'S' are assigned to the key area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if the user selects a key area indicated by 'S', 'S'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as shown in FIG. 16 (c).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문자들이 키 영역들에 쿼티(QWERTY) 형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또 다른 문자 입력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쿼티 형식의 키 영역들을 보인 도면인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haracters are displayed in QWERTY format in key areas, another character input method can be used. Specific detail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7, which is a diagram illustrating key areas in a QWERTY for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키 영역에는 문자들이 컴퓨터 키보드의 자판 배열 방식인 쿼티 형식에 따라 표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18(a)에서와 같이 원하는 문자가 표시된 키 영역(180)에 프레스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만약 'D'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키(180)의 가운데 표시된 문자인 'S'로부터 'D'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도 18(c)와 같은 팝업창(182)에 그 체크된 방향에 대응되는 문자인 'D'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팝업창을 통해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지시되는 문자를 식별한 후 해제 이벤트를 발생시켜 해당 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해당 문자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 이벤트를 발생시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문자 입력을 더욱 간편하게 하여 문자 입력 시간을 절약시 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shown in FIG. 17, characters are displayed in each key region in accordance with a QWERTY format, which is a keyboard arrangement method of a computer keyboard. The user may then generate a press event in the key area 180 where the desired character is displayed, as in FIG. 18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if the user desires to input 'D', the user generates a drag ev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D' is indicated from 'S', which is the middle displayed character of the corresponding key 180. Then, a character 'D' corresponding to the checked direction is displayed in the pop-up window 182 as shown in FIG. 18 (c). Accordingly, the user can identify the character to be instructed according to the drag event through the pop-up window, and then generate a release event to conveniently input the character. The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by generating a drag ev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inputting of characters and to save time for inputting character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쿼티 형식의 키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키 영역(170,172,174)에는 각각 서로 다른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된다. 여기서 서로 다른 특정 문자 모드는 숫자 입력 모드, 영문자 입력 모드, 한글 입력 모드, 특수 문자 입력 모드 및 입력된 문자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항목을 제공하는 모드(이하 '편집 모드'라 칭함) 중 2개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key areas 170, 172, and 174 of the QWERTY type key areas shown in FIG. 17 are assigned functions for entering different specific character modes. Herein, the specific character mode which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s one of a numeric input mode, an alphabet letter input mode, a Hangul input mode, a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and a m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dit mode' May be included. Hereinafter, a control flow for entering a specific character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9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191 단계에서 키 영역에 특정 문자 모드를 위한 기능을 할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P'가 표시된 키 영역(170)에 숫자 입력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되고, 문자 'M'이 표시된 키 영역(172)에는 특수 문자 입력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된다. 그리고 띄어쓰기 기능이 할당된 키 영역(174)에는 편집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된다. Referring to FIG. 19, in step 191, the controller 130 assigns a function for a specific character mode to a key area.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7, a function for entering a numeric input mode is assigned to a key area 170 in which a character 'P' is displayed, and a key area 172 in which a character 'M' A function for entering the character input mode is assigned. The key area 174 to which the spacing function is assigned is assigned a function for entering the edit mode.

그러면 제어부(130)는 192 단계에서 특정 문자 모드로의 진입 요구가 있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진입 요구를 판단하기 위해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된 어느 하나의 키 영역에 프레스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과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을 비교하여 진입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진입 요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193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194 단계에서 진입한 모드에 대응되는 항목들을 각각의 키 영역에 할당하여 표시한다. 이와는 달리 제어부(130)는 진입 요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195 단계로 진행하여 키 영역에 대응되는 문자를 출력한다. In step 192,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request to enter a specific character mod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 measures the duration of a press event in a key area to which a function for entering a specific character mode is assigned in order to determine an entry request. The controller 130 compares the duration of the press event with a preset threshold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entry reques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entry request,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193 and enters the specific character mode. In step 194, the controller 130 assigns items corresponding to the entered mode to each key area and displays the items. Otherwise, if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there is no entry request, the control unit 130 proceeds to step 195 and output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key area.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전술한 도 17에 도시된 키 영역들 중 문자 'P'와 숫자 입력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된 키 영역(170)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프레스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이 임계 시간보다 짧을 경우에는 숫자 입력 모드로의 진입 요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문자 'P'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이 임계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진입 요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숫자 입력 모드로 진입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키 영역에 숫자들을 할당하여 표시한다. For example, when a press event occurs in the key region 170 to which the function for entering the character 'P' and the numeric input mode among the key regions shown in FIG. 17 is assigned, Measure the duration of the event. If the duration of the press event is shorter than the threshold time,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re is no request to enter the numeric input mode and outputs the character 'P'. If the duration of the press event is longer than the threshold time,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re is an entry request and enters the number input mode. Therefore, the controller 130 allocates and displays numbers in the respective key areas as shown in FIG. 20A.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130)는 문자 'M'과 특수 문자 입력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된 키 영역(172)에서 프레스 이벤트의 지속 시간을 측정하여 문자 'M'을 출력하거나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수 문자 입력 모드로 진입한다. In this manner, the control unit 130 measures the duration of the press event in the key area 172 to which the function for entering the letter 'M' and the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is assigned to output the letter 'M' And enters the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as shown in FIG.

한편, 제어부(130)는 띄어쓰기 기능과 편집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이 할당된 키 영역(174)에서 프레스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이 임계 시간보다 짧을 경우에는 띄어쓰기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프레스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이 임계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편집 모드의 진입 요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 여, 복수개의 편집 항목을 도 20c와 같이 키 영역들 각각에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표시된 편집 항목 중 어느 하나를 드래그 이벤트 및 해제 이벤트를 통해 선택할 수가 있다.The controller 130 performs a spacing function when the duration of the press event is shorter than the threshold time in the key area 174 to which the spacing function and the function for entering the edit mode are allocated. If the duration of the press event is longer than the threshold time,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re is an entry request for the edit mode, and displays a plurality of edit items in the key areas as shown in FIG. 20C. Then,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displayed editing items through the drag event and the release event.

이처럼 제어부(130)는 특정 문자 모드로의 진입 요구를 판단하기 위하여 프레스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진입 요구를 판단하는 기준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 특정 문자 모드에 대응되는 문자들 또는 편집 항목들이 각각 문자들이 표시된 키 영역들에 해당 문자들을 대신하여 표시되지만, 이는 팝업창에 표시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30 measures the duration of the press event to determine the entry into the specific character mode. However,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entry reques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Also,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s or edit items corresponding to each specific character mode are displayed in the key areas in which characters are displayed instead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but they can be displayed in various ways such as being displayed on a pop-up window .

전술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하여 해당 특정 문자 모드가 할당된 키 영역을 각각 선택한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드 선택 키(176) 영역을 선택하여 좀 더 다양한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하여 도 17에 도시된 모드 선택 키 영역(176)에 프레스 이벤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항목(이하 '모드 항목'으로 칭함)들은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들이 표시된 키 영역들에 문자들을 대신하여 각각 표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도 21b에 도시된 것처럼 드래그 이벤트를 발생시켜 원하는 모드 항목(213)을 지시하고, 그 지시된 모드 항목(213)의 키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특정 문자 모드에서 제공되는 문자들을 사용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user selects a key area to which the specific character mode is assigned to enter a specific character mode. Alternatively, the user may select a mode selection key 176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ter a more specific character mode. To be more specific, the user generates a press event in the mode selection key region 176 shown in FIG. 17 to enter a specific character mode. Accordingly, items for entering a specific character m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de items') are displayed in place of characters in key areas in which characters are displayed as shown in FIG. 21A. The user then generates a drag event to indicate the desired mode item 213 and generates a release event in the key area of the indicated mode item 213 to use the characters provided in the specific character mode .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드 항목은 숫자 입력 모드, 영문자 입력 모드, 한글 입력 모드 및 특수 문자 입력 모드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모드 항목은 대문자 입력 모드, 소문자 입력 모드, 대소문자 입력 모드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입력된 문자에 따라 예측되는 단어가 출력되는 방식인 T9 입력 모드도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문자 또는 편집 항목들을 제공받아 좀 더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item may be a numeric input mode, an alphabet letter input mode, a Hangul input mode, or a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Also, the mode item may be an upper-case letter input mode, a lower-case letter entry mode, or an upper-case letter input mode, and may include a T9 input mode, which is a method of outputting a word predicted according to an input character. Accordingly, the user is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characters or editing items, and has the convenience of being able to input characters more easily.

한편, 모드 항목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각 키 영역에 토글(Toggle)되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모드 항목들을 그룹별로 나누어서, 해당 그룹에 포함되는 모드 항목들을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모드 항목들에 대한 각 그룹들은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입력 모드, 숫자 입력 모드, 특수 문자 입력 모드를 포함하는 그룹, 도 22(b)와 같은 대문자 입력 모드(Q-AB), 소문자 입력 모드(Q-ab), 대소문자 입력 모드(Q-Ab), 특수 문자 입력 모드를 포함하는 그룹 및 도 23(c)와 같은 T9 방식에 따른 대문자 입력 모드(T9-AB), 소문자 입력 모드(T9-ab), 대소문자 입력 모드(T9-Ab), 특수 문자 입력 모드를 포함하는 그룹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모드 항목들이 포함된 각 그룹들은 팝업창이나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키 영역들에 각 그룹별로 표시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mode items may be displayed in a toggle manner in each key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30 divides the mode items into groups, and selectively displays the mode items included in the group. Each group of mode items includes a group including a Hangul input mode, a numeral input mode, a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an upper-case input mode (Q-AB) as shown in Fig. 22 (T-AB) according to the T9 scheme as shown in FIG. 23 (c), and a group including a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and a group including a lowercase letter input mode (Q-ab) A lower case letter input mode (T9-ab), a case letter input mode (T9-Ab), a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and the like. Each of the groups including the plurality of mode items may be displayed in a pop-up window or in key areas as shown in FIG. 21A for each group.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통한 키 입력이 좀 더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한 PDA 등의 여러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nience of allowing a key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to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tilized in input devices of various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DA.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제어 흐름도,FIG. 2 is a control flowchart for receiving a character from a user who inputs a character with one fi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키 영역을 보인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 area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 use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one fi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제어 흐름도,FIG. 5 is a control flowchart for inputting characters from a user who inputs characters using two finger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두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FIG. 6 illustrates a process of a use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two finger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제어 흐름도,FIG. 7 is a control flowchart for inputting a character through touch input by a us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터치 입력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user inputs a character using a touch inpu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lecting a character typ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의 종류별 키 영역을 보인 도면,FIG. 10 is a view showing a key area according to a character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문자 배열을 보인 도면,11 is a view showing a character arrangement for receiving a character from a user who inputs a character with one fi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문자 배열을 보인 도면,12 is a view showing a character arrangement for receiving characters from a user who inputs characters with two finger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화면 크기가 큰 경우 문자 배열을 보인 도면, 13 is a view showing a character array when a screen size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화면 크기별 키 영역을 보인 도면,FIG. 14 is a view showing a key area according to screen sizes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x4로 구성된 키 영역에서 중간 행에 위치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의 예시도,FIG. 1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inputting characters located in a middle row in a 3 × 4 ke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x4로 구성된 키 영역에서 마지막 행에 위치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과정의 예시도,16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for inputting characters located in the last row in a 3x4 key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쿼티 형식의 키 영역들을 보인 도면,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key areas in a QWERTY for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쿼티 형식의 키 영역들 상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inputting characters on key areas of a QWERTY for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FIG. 19 is a control flow chart for entering a specific character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0a, 도 20b 및 도 20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문자 모드에서의 화면을 보인 도면,20A, 20B and 20C are views showing a screen in a specific character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문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항목들이 표시된 키 영역들을 보인 도면,FIG. 21A is a diagram illustrating key areas in which items for entering a specific character mode are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선택 항목을 선택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FIG. 21B illustrates a process of selecting a mode selection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토글되는 모드 항목들의 그룹을 보인 도면.Figure 22 shows a group of mode items being toggl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2)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각각 2개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 그룹이 할당된 제 1 문자 영역들을 상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에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first character regions assigned with a character group including two or more characters on the touch screen, 상기 제 1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할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 1 문자 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을 제 2 문자 영역들에 각각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each of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first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when the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first character areas in the second character areas; 상기 문자들이 각각 표시된 제 2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해제(Release) 이벤트 또는 드래그(Drag)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a release event or a drag event occurs for any one of the second character areas in which the characters are respectively displayed;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시각 효과를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a visual effect on any one of the second character areas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of the drag event when the drag event occurs; 상기 시각 효과가 표시된 제 2 문자 영역에 대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시각 효과가 표시된 제 2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는 과정과,Outputting a character belonging to a second character region displayed with the visual effect to the touch screen when a release event for the second character region displayed with the visual effect is generated; 상기 프레스 이벤트 발생 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제 2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displaying a character belonging to a second character area in which the release event has occurred on the touch screen when the release event has occurred after the occurrence of the press even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자 영역들에 각각 표시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each of the second character regions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1 문자 영역에 표시된 문자들을 팝업(Pop up)창 형태의 2개 이상의 상기 제2 문자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displaying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first character area where the press event occurs in two or more of the second character areas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영역들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haracter areas 블록 형태의 문자 영역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Wherein the character regions are block-shaped character region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형태는 5. The method of claim 4, 2x4, 4x2, 3x4 및 4x3 중 어느 하나의 배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2x4, 4x2, 3x4, and 4x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그룹은The method of claim 1, 메뉴 항목을 나타내는 아이콘(Icon)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icons (Icons) representing menu item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이벤트 발생 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문자는,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character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fter the press event occurs, 상기 문자 그룹이 할당된 제 1 문자 영역에서 상기 프레스 이벤트 발생 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문자 이외의 문자들과 다른 색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Wherein the first character region is displayed in a color different from the characters other than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en the cancel event is generated after the occurrence of the press event in the first character region to which the character group is alloca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시각 효과를 표시하는 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isplaying the visual effect in one of the second character areas comprises: 상기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상기 시각 효과를 상기 제 2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moving the visual effect to one of the second character areas in accordance with the drag ev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자 영역들에 각각 표시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each of the second character regions comprises: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a release event occurs in a state where the press event occurs;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1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들을 상기 제2 문자 영역들에 각각 표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displaying 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first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in the second character areas when the press event is generated. 제 10항에 있어서, 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2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f the second character areas; 상기 제2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된 제2 문자 영역의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displaying a character of a second character area where a release event is generated in a state where the press event occurs when a release event occurs in a state where a press event occurs in any one of the second character areas, on the touch screen The 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A character input device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적어도 2개의 문자들을 포함하고 있는 문자 그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groups of characters containing at least two characters;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 그룹들이 할당된 제 1 문자 영역들과 상기 제1 문자 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 해제 이벤트(Release) 및 드래그(Drag) 이벤트가 발생되는 터치 스크린과,A press event, a release event, and a drag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a user's input, and displays the first character areas assigned the character groups stored in the memory and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first character area, A touch screen on which an event is generated, 상기 제 1 문자 영역들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 1 문자 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을 제 2 문자 영역들에 각각 표시하고, 상기 문자들이 각각 표시된 제 2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해제 이벤트 또는 상기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시각 효과를 표시하고, 상기 시각 효과가 표시된 제 2 문자 영역에 대한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시각 효과가 표시된 제 2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고,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했을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 2 문자 영역에 속한 문자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The first character regions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when any one of the first character regions generates the press event,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first character region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are assigned to the second character regions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nlock event or the drag event occurs for any one of the second character areas in which the characters are respectively displayed and if the drag event occurs, The visual effect is displayed on any one of the two character regions, and when the cancel event for the second character region displayed with the visual effect occurs, the character belonging to the second character region in which the visual effect is displayed is output to the touch screen , When the release event has occurred in the state where the press event has occurred Case, the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the press event is the output to the touch screen, 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region 2 occurs. 삭제delete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25. The apparatus of claim 24,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제1 문자 영역을 2x4, 4x2, 3x4 및 4x3 중 어느 하나의 블록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And the first character area is displayed in a block form of any one of 2x4, 4x2, 3x4, and 4x3.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25. The apparatus of claim 24,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제1 문자 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을 각각 제2 문자 영역들에 표시하고, 상기 문자들이 각각 표시되는 제2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된 어느 하나의 제2 문자 영역의 문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Wherein 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in a state where the press event occurs, characters assigned to the first character area in which the press event occurs are displayed in the second character areas, respectively, and any of the second character areas Wherein when a release event occurs in a state where a press event is generated in one of the first character area and the second character area, a character of a second character area in which a release event is generated in a state where the press event is generate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된 문자는,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24, wherein when the release event occurs in a state where the press event occurs, 상기 문자 그룹이 할당된 제 1 문자 영역에서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된 문자 이외의 문자들과 다른 색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Wherein the second character region is displayed in a color different from the characters other than character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en the cancel event occurs in a state where the press event is generated in the first character region to which the character group is allocated.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시각 효과를 표시하는 것은,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displaying the visual effect in any one of the second character areas comprises: 상기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상기 시각 효과를 상기 제 2 문자 영역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And the visual effect is moved to any one of the second character areas in accordance with the drag event.
KR1020070084999A 2007-04-30 2007-08-23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Expired - Fee Related KR1013910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53772.2A EP1988444A3 (en) 2007-04-30 2008-03-31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12/150,954 US20080291171A1 (en) 2007-04-30 2008-04-30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970 2007-04-30
KR20070041970 2007-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114A KR20080097114A (en) 2008-11-04
KR101391080B1 true KR101391080B1 (en) 2014-04-30

Family

ID=40079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99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91080B1 (en) 2007-04-30 2007-08-23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1080B1 (en)
CN (1) CN101299177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34935B (en) * 2009-08-18 2013-04-24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by touch screen
JP5567685B2 (en) * 2009-12-23 2014-08-06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ext editing and associate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20120274573A1 (en) * 2010-01-04 2012-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Korean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touch screen,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key input apparatus
KR101632750B1 (en) * 2010-01-13 2016-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CN102279698A (en) * 2010-01-29 2011-12-14 诺基亚公司 Virtual keyboard, input method and relevant storage medium
KR101771259B1 (en) * 2011-07-06 2017-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on a touch screen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thereof
KR101340677B1 (en) 2011-09-09 2013-12-12 주식회사 팬택 Terminal apparatus for supporting smart touch and method for operating terminal apparatus
CN103631489B (en) * 2012-08-30 2017-0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Touch screen character display method and device
CN103197890A (en) * 2013-04-03 2013-07-10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Input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1639342B1 (en) * 2014-11-03 2016-07-22 유성영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ext, and smart device utilizing the same
KR101646688B1 (en) * 2015-02-27 2016-08-0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Inputting system and method of keyboard for small smar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CN105988704B (en) * 2015-03-03 2020-10-02 上海触乐信息科技有限公司 Efficient touch screen text input system and method
CN104714739B (en) * 2015-03-06 2019-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6201292A (en) * 2015-04-29 2016-12-0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Terminal false-touch preven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503422B1 (en) * 2015-12-17 2023-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 character input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9538B1 (en) 1998-08-13 2001-01-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keyboard and a text buffer on electronic devices
US6271835B1 (en) 1998-09-03 2001-08-07 Nortel Networks Limited Touch-screen input device
US20040135818A1 (en) 2003-01-14 2004-07-15 Thomson Michael J. Animating images to reflect user selection
KR20060023978A (en) * 2005-11-30 2006-03-15 캬츄야수 오노 Inpu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9538B1 (en) 1998-08-13 2001-01-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keyboard and a text buffer on electronic devices
US6271835B1 (en) 1998-09-03 2001-08-07 Nortel Networks Limited Touch-screen input device
US20040135818A1 (en) 2003-01-14 2004-07-15 Thomson Michael J. Animating images to reflect user selection
KR20060023978A (en) * 2005-11-30 2006-03-15 캬츄야수 오노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114A (en) 2008-11-04
CN101299177A (en) 200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0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RE49670E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EP1988444A2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100478020B1 (en) On-screen key input device
US68477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numeric data entry using a keypad
JP4863211B2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EP1785825B1 (en) Terminal and control program of terminal
KR1016367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 in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N101427202B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inputting speed of characters
KR100933398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s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US201002255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JP5755219B2 (en) Mobile terminal with touch panel function and input method thereof
GB2380583A (en) Touch pad/screen for electronic equipment
EP2404230A1 (en) Improved text input
JP55563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09001532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haracter deletion function
WO2010089918A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program
JP2009205303A (en) Input method and input device
KR10128477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portable terminal
KR20080095811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1624255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WO2011085553A1 (en) Virtual keyboard
KR101399150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JP2014140236A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JP2013033553A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4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42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