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940B1 - Rectifier and input control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Rectifier and input control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1940B1 KR101381940B1 KR1020110111936A KR20110111936A KR101381940B1 KR 101381940 B1 KR101381940 B1 KR 101381940B1 KR 1020110111936 A KR1020110111936 A KR 1020110111936A KR 20110111936 A KR20110111936 A KR 20110111936A KR 101381940 B1 KR101381940 B1 KR 1013819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tifier
- power
- input
- channel transistor
- lo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19—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류기와 정류기의 입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류기의 입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류기 및 정류기의 입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정류기는 입력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부하부; 상기 정류부에 입력되는 교류전력이 높아지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정류부에 입력되는 교류전력을 조절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비교부에서 정류부로 입력되는 교류전력을 직접 입력시키기 때문에 부하가 작아짐에 따라 정류기의 출력이 커지더라도 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정류기와 연결된 응용회로를 설계할 때, 낮은 내압 특성을 가지는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the rectifier and the input of the rectifi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tifier capable of preventing the input of the rectifier from increasing,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input of the rectifier. The rect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tifier for converting input AC power into DC power and outputting the rectifier; A load unit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ier unit; And a comparator configured to detect an increase in the AC power input to the rectifier and to adjust the AC power input to the rectifier.
When designing an application circuit connected to the rectifier, since the com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directly inputs the AC power input to the rectifier, even if the output of the rectifier increases as the load decreases. There is an effect that an element having a low breakdown voltage characteristic can be u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전력 전송을 위한 정류기와 정류기의 입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류기의 입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을 위한 정류기 및 정류기의 입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put of the rectifier and the rectifier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tifier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input of the rectifier for preventing the input of the rectifier from increasing.
정류기는 교류전력에서 직류전력을 얻기 위해 정류작용에 중점을 두고 만들어진 전기적인 회로소자 또는 장치이며 한 방향으로만 전류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가졌다. 대부분의 전원장치에서는 실리콘 다이오드가 사용되며 제어 정류기 응용 부분에서는 사이리스터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Rectifiers are electrical circuits or devices designed to focus on rectification to obtain direct current from ac power, and have the ability to pass current in only one direction. Most power supplies use silicon diodes and thyristors are widely used in controlled rectifier applications.
이러한 정류기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정류기는 부하에 따라 정류기에 입력되는 교류전력이 커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는 정류기에 능동소자를 단순히 스위치로 적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정류기와 연결되는 응용회로에는 내압 특성이 높은 소자를 사용하여야 한다. 내압 특성이 높으면 높을수록 가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응용회로의 크기도 커지게 된다.Such rectifiers are used in various fields, and the rectifiers used to transmit wireless power may increase the AC power input to the rectifier according to the load. Since the active device is simply applied as a switch to the rectifier, the device having high breakdown voltage characteristics should be used in the application circuit connected to the rectifier. The higher the breakdown voltage, the higher the price and the larger the size of the application circuit.
그래서 이렇게 내압 특성이 높은 소자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 정류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정류기의 출력전압의 역률을 보상하여 정류기의 출력이 낮은 전압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전원공급회로에 대한 기술도 개시되었다. 이러한 전원공급회로는 상용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정류부의 출력전압의 역률을 보상하여 출력하는 역률보상부, 역률보상부의 출력을 서로 다른 두 경로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부, 출력부의 출력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주 트랜스미션, 주 트랜스미션의 동작상태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상태검출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제어되어 부하에 주 트랜스미션의 출력전압을 인가하는 파워 트랜지스터, 동작상태 검출부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출력부의 출력전압을 분압하여 출력하는 검출부 및 검출부의 출력전압을 인가받아 최초 1차 설정된 전압을 출력하도록 역률보상부를 제어함과 아울러 검출부의 검출전압에 변화가 있는 경우 2차 설정된 전압인 정상동작 전압을 출력하도록 역률보상부를 제어하는 역률보상 제어부를 포함한다.Therefore, in order to avoid using a device having high breakdown voltage characteristics, a technology for a power supply circuit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ier to compensate the power factor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rectifier to output the rectifier at a low voltage has also been disclosed. The power supply circuit converts the output voltage of the rectifier for rectifying commercial AC power, the power factor compensator for compensating the power factor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rectifier, and the output part for outputting the power factor compensator through two different paths. Operation state detection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main transmission, power transistor for apply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main transmission to the load to be controlled on /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On the basis of the control signal, the detector outputs the output voltage by divid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output part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detection part is controlled, and the power factor compensator is controlled to output the first set voltage. Power factor correc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ower factor correction unit to output a normal operating voltage that is a voltage It includes.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역률보상부에서의 출력전압이 정상전압보다 낮거나 같게 유지하여 내압 특성이 낮은 소자를 사용할 수는 있지만,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by us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lthough the output voltage at the power factor correction unit may be lower than or equal to the normal voltage, a device having a low breakdown voltage characteristic can be used,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복잡하지 않으면서 정류기에서의 출력이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which does not increase the output of the rectifier without being complicat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류기는 입력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부하부; 상기 정류부에 입력되는 교류전력이 높아지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정류부에 입력되는 교류전력을 조절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rect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tifying unit converting an input AC power into DC power and outputting the rectified power; A load unit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ier unit; And a comparator configured to detect an increase in the AC power input to the rectifier and to adjust the AC power input to the rectifier.
이때, 상기 비교부는 상기 부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부하부의 부하 크기를 감지하여 상기 정류부의 입력 교류전력이 높아지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comparing unit is connected to the load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AC power of the rectifier is increased by sensing the load size of the load unit.
그리고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되는 교류전력을 상기 정류부에 입력하기 위해 구비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witch provided to input the AC power output from the comparator to the rectifier.
또한, 상기 정류부는 수동소자를 이용하여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정류기는 능동소자 및 수동소자를 같이 사용하여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tifier may convert AC power into DC power using a passive element, and the rectifier converts AC power into DC power using an active element and a passive element.
그리고 상기 능동소자는 N채널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수동소자는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tive device is an N-channel transistor, and the passive device is a diode.
이때, 상기 능동소자는 크로스 커플드된 N채널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수동소자는 다이오드일 수 있고, 상기 능동소자는 N채널 트랜지스터 및 P채널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수동소자는 다이오드이며, N채널 트랜지스터는 다이오드에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능동소자는 N채널 트랜지스터 및 크로스 커플드된 P채널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수동소자는 다이오드이며, N채널 트랜지스터는 다이오드에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active element is a cross-coupled N-channel transistor, the passive element may be a diode, the active element is an N-channel transistor and a P-channel transistor, the passive element is a diode, the N-channel transistor is a diode It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he active element may be an N-channel transistor and a cross-coupled P-channel transistor, the passive element may be a diode, and the N-channel transistor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diode.
그리고 상기 정류기는 능동소자를 이용하여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rectifier is characterized by converting AC power to DC power using an active element.
이때, 상기 능동소자는 N채널 트랜지스터 및 P채널 트랜지스터일 수 있고, 상기 능동소자는 N채널 트랜지스터 및 크로스커플드된 P채널 트린지스터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능동소자는 P채널 트랜지스터 및 크로스커플드된 N채널 트랜지스터일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active device may be an N-channel transistor and a P-channel transistor, and the active device may be an N-channel transistor and a cross-coupled P-channel transistor. The active element may be a P-channel transistor and a cross-coupled N-channel transistor.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류기 입력 제어 방법은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기에 연결된 부하의 크기를 감지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부하의 크기를 기준 값과 비교하는 2단계; 및 상기 2단계에서 부하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정류기로 설정된 크기의 교류전력을 입력시키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rectifier input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cting the size of the load connected to the rectifier for converting AC power into DC power;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load with a reference value in the first step; And in step 2, when the magnitude of the load is smaller than a reference value, inputting an AC power having a magnitude set as a rectifier.
이때, 상기 3단계는 정류기의 입력단에 구비된 스위치를 제어하여 정류기에 설정된 크기의 교류전력을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third step is characterized by inputting the AC power of the size set in the rectifier by controlling a switch provided in the input terminal of the rectifi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비교부에서 정류부로 입력되는 교류전력을 직접 입력시키기 때문에 부하가 작아짐에 따라 정류기의 출력이 커지더라도 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정류기와 연결된 응용회로를 설계할 때, 낮은 내압 특성을 가지는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로써, 낮은 내압 특성을 가지는 응용회로를 설계할 수 있어, 정류기 및 응용회로의 칩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pplication circuit connected to the rectifier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ecause the com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directly inputs the AC power input to the rectifier, even if the output of the rectifier increases as the load decreases. When design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evice having a low breakdown voltage characteristic can be us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esign an application circuit having a low breakdown voltage characteristic, thereby reducing the chip size of the rectifier and the application circuit.
또한, 고출력이 요구되는 응용분야에서 쉽게 발생하는 과전압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고, 기존에 사용하던 스위치로 사용되던 트랜지스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칩 사이즈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solve the overvoltage easily generated in applications requiring high power, and can improve the chip size because the transistor used as a conventional switch can be used as it is.
도 1은 본 발명의 정류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정류기에 수동소자가 사용된 것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정류기에 수동소자 및 능동소자가 사용된 것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8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정류기에 능동소자가 사용된 것을 도시한 회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rect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circuit diagrams showing a passive element used in the rect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7 are circuit diagrams showing that passive elements and active elements are used in the rect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circuit diagrams showing the use of an active element in the rect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 technical part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정류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부(110), 부하부(120) 및 비교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s shown in FIG. 1, the rectifier 100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정류부(110)는 교류전력이 입력되어 이를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정류작용을 하기 위해 전기적인 회로 소자나 장치이다. 이런 정류부(110)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210) 등의 수동소자가 이용된 것도 있고, 트랜지스터 등의 능동소자가 이용된 것도 있다.The
부하부(120)는 정류기의 출력단에 배치되어, 정류기에서 출력되는 직류전력이 입력된다.The
비교부(130)는 정류부(110)에 입력되는 교류전력이 높아지는 것을 감지하고, 정류부(110)에 입력되는 교류전력을 조절한다. 그래서 비교부(130)는 부하부(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부하부(120)의 크기를 감지함으로써, 정류부(110)에 입력되는 교류전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정류부(110)의 교류전력은 출력단에 위치한 부하부(120)가 작아지면 입력되는 교류전력이 높아질 수 있다. 이때, 정류부(110)에 입력되는 교류전력은 LC 공진에 의해 발생된 것이다. 즉, 부하부(120)의 크기에 따라서 정류된 전압의 크기와 정류부(110)에 입력되는 교류전력의 크기가 결정된다.The AC power of the
이를 정리하면, 부하부(120)가 크면 정류부(110)의 출력은 작아지고, 부하부(120)가 작으면 정류부(110)의 출력은 커지게 된다. 그리고 정류부(110)의 출력이 커지면 그에 따라 정류부(110)의 입력도 커지게 된다. 즉, 부하부(120)가 커지면 정류부(110)의 입력은 작아지고, 부하부(120)가 작아지면 정류부(110)의 입력은 커지는 관계가 있다.In summary, if the
그래서 비교부(130)는 부하부(120)와 연결되어, 부하부(120)의 크기를 감지함으로써, 정류부(110)의 입력이 큰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Thus, the
이렇게 비교부(130)에서 확인한 결과, 정류부(110)의 입력이 높아질 경우에 비교부(130)는 정류부(11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정류부(110)에 입력되는 교류전력을 설정된 값으로 입력시킨다. 물론, 비교부(130)에서 설정된 값은 정류부(110)에 낮은 교류전력이 입력되도록 하기 위해 설정된 값이다. 그래서 정류부(110)의 출력 값이 낮아질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check by the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정류기(100)를 이용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소자인 다이오드(210)가 사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정류부(110)에 수동소자인 다이오드(210)를 사용하면 부하부(120)가 작아지게 된다. 그에 따라 정류부(110)의 출력전압과 입력전압이 상승하게 되기 때문에 비교부(130)에서는 부하부(120)의 크기를 확인해서 부하부(120)가 작아지면 직접 정류부(110)에 설정된 전압을 가지는 교류전력을 입력시킨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using the rectifier 100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 case in which the
그리고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능동소자인 스위치와 수동소자인 다이오드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정류부(110)가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부(110)의 상측에는 수동소자인 다이오드(210)가 배치되고, 정류부(110)의 하측에는 N채널 트랜지스터(220)이 배치된다.4 to 7, the
여기서, N채널 트랜지스터(220)는 정류작용을 위한 스위치가 그대로 이용된다. 그리고 부하부(120)가 작아지면 출력이 상승하기 때문에 비교부(130)는 이를 감지하여 하측의 N채널 트랜지스터(220)을 모두 턴온 시켜 입력되는 교류전력을 낮춘다. 그러므로 입력 전력인 낮아짐에 따라 출력 전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 전압 범위를 가지도록 제한할 수 있다.Here, the N-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배치된 능동소자인 N채널 트랜지스터(220)은 크로스커플드된 상태이다. 여기서, N채널 트랜지스터(220)는 정류작용을 위한 스위치가 그대로 이용된다. 이때, 부하가 작아지면 부하부(120)의 출력이 상승하고, 비교부(130)는 이를 감지하여 정류부(110)의 하측에 배치된 N채널 트랜지스터(220)과 연결된 스위치를 모두 턴오프시킨다. 그리고 N채널 트랜지스터(220)은 모두 턴온시킴으로써, 정류부(110)에 입력되는 교류전력을 낮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N-
도 6에는 하측에 수동소자인 다이오드(210)가 배치되고, 다이오드(210)와 병렬로 연결된 N채널 트랜지스터(220)이 배치되며, 상측에 P채널 트랜지스터(230)가 배치된 정류부(11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N채널 트랜지스터(220)는 과전압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스위치가 그대로 이용된다. 이때, 부하부(120)가 작아지면 정류부(110)의 출력이 상승하고, 비교부(130)는 이를 감지한다. 비교부(130)는 상측의 P채널 트랜지스터(230)를 모두 턴온시키고, 하측의 다이오드(210)와 병렬로 연결된 N채널 트랜지스터(220)을 모두 턴온 시켜 정류부(110)의 입력 전력을 낮춘다.In FIG. 6, a
도 7에는 하측에 다이오드(210)와 다이오드(210)에 병렬로 연결된 N채널 트랜지스터(220) 및 상측에 P채널 트랜지스터(230)가 크로스커플드된 상태로 배치된 것을 도시했다. 이 경우, 비교부(130)에서 부하가 작아지는 것을 감지하면, 상측의 P채널 트랜지스터(230)를 턴오프시키고, 하측의 다이오드(210)와 병렬로 연결된 N채널 트랜지스터(220)을 모두 턴온시킨다. 그러므로 정류부(110)의 입력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여기서, P채널 트랜지스터(230)은 정류작용을 위한 스위치가 이용되고, N채널 트래지스터(220)은 과전압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스위치가 그대로 이용된다.In FIG. 7, the N-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는 능동소자만이 이용된 정류부(110)에 대해 도시하였으며,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부(110)의 상측에 P채널 트랜지스터(230)와 하측에 N채널 트랜지스터(220)이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P채널 트랜지스터(230)와 N채널 트랜지스터(220)는 정류작용을 위한 스위치가 그대로 이용된다. 비교부(130)는 부하부(120)가 작아짐을 감지하면 상측의 P채널 트랜지스터(230)를 모두 턴오프시키고, 하측의 N채널 트랜지스터(220)을 턴온시켜 정류부(110)의 입력 전력을 낮춘다.8 to 10 illustrate the
그리고 도 9에는 정류부(110)의 상측에 크로스커플드된 P채널 트랜지스터(230)가, 하측에는 N채널 트랜지스터(220)이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이때, 비교부(130)는 부하부(120)가 작아지는 것을 감지하면 상측의 P채널 트랜지스터(230)와 스위치를 모두 턴오프시키고, 하측의 N채널 트랜지스터(220)을 턴온시켜 정류부(110)의 입력전력을 낮춘다. 여기서, N채널 트랜지스터(220)는 정류작용을 위한 스위치가 그대로 이용된다.In FIG. 9, the P-
도 10에는 정류부(110)의 상측에 P채널 트랜지스터(230)와 하측에 크로스커플드된 N채널 트랜지스터(220)이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비교부(130)는 부하부(120)가 작아지는 것을 감지하면 상측의 P채널 트랜지스터(230)와 하측의 스위치를 모두 턴오프시키고, N채널 트랜지스터(220)을 턴온시켜 정류부(110)의 입력전력을 낮춘다. 여기서, P채널 트랜지스터(230)와 N채널 트랜지스터(220)은 정류작용을 위한 스위치가 그대로 이용된다.FIG. 10 illustrates that the P-
또한, 도 2 내지 도 10에서 부하부(120)의 왼쪽에 배치된 커패시터가 연결된 형태에서도 적용하는 것이 무방하고, 커패시터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무방하게 적용 가능하다.
2 to 10 may be applied even in a form in which a capacitor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정류기 110: 정류부
120: 부하부 130: 비교부
210: 다이오드 220: N채널 트랜지스터
230: P채널 트랜지스터100: rectifier 110: rectifier
120: load portion 130: comparison portion
210: diode 220: N-channel transistor
230: P-channel transistor
Claims (15)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부하부;
상기 정류부에 입력되는 교류전력이 높아지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정류부에 입력되는 교류전력을 조절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류부는 능동소자를 이용하여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정류기.A rectifier for converting AC power input by an active element including an N-channel transistor and a cross-coupled P-channel transistor into direct current power;
A load unit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ier unit;
It includes a comparison unit for detecting that the AC power input to the rectifier is increased, and adjusts the AC power input to the rectifier,
The rectifier is a rectifier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verting AC power to DC power using an active element.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부하부;
상기 정류부에 입력되는 교류전력이 높아지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정류부에 입력되는 교류전력을 조절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류부는 능동소자를 이용하여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정류기.A rectifier for converting AC power input by an active element including a P-channel transistor and a cross-coupled N-channel transistor into direct current power;
A load unit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ier unit;
It includes a comparison unit for detecting that the AC power input to the rectifier is increased, and adjusts the AC power input to the rectifier,
The rectifier is a rectifier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verting AC power to DC power using an active element.
상기 1단계에서 부하의 크기를 기준 값과 비교하는 2단계; 및
상기 2단계에서 부하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정류기로 설정된 크기의 교류전력을 입력시키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정류기 입력 제어 방법.Detecting a magnitude of a load connected to a rectifier for converting AC power into DC power by a bridge circuit comprising an active element including a P-channel transistor and a cross-coupled N-channel transistor;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load with a reference value in the first step; And
Rectifier input control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inputting the AC power of the size set to the rectifier, if the size of the load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in step 2.
상기 1단계에서 부하의 크기를 기준 값과 비교하는 2단계; 및
상기 2단계에서 부하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정류기로 설정된 크기의 교류전력을 입력시키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정류기 입력 제어 방법.Sensing a magnitude of a load connected to a rectifier for converting AC power into DC power by a bridge circuit comprising an active element including an N-channel transistor and a cross-coupled P-channel transistor;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load with a reference value in the first step; And
Rectifier input control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inputting the AC power of the size set to the rectifier, if the size of the load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in step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1936A KR101381940B1 (en) | 2011-10-31 | 2011-10-31 | Rectifier and input controling method of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1936A KR101381940B1 (en) | 2011-10-31 | 2011-10-31 | Rectifier and input controling method of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7114A KR20130047114A (en) | 2013-05-08 |
KR101381940B1 true KR101381940B1 (en) | 2014-04-18 |
Family
ID=4865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1936A Active KR101381940B1 (en) | 2011-10-31 | 2011-10-31 | Rectifier and input controling method of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194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0172B1 (en) | 2015-05-28 | 2016-10-28 | 삼성전기주식회사 | Rectifi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513135B (en) | 2013-11-18 | 2015-12-11 | Richtek Technology Corp | Power management unit and wireless power system thereof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88999A (en) | 1976-05-21 | 1978-05-09 | Nasa | RF beam center 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transmission system |
US4412277A (en) * | 1982-09-03 | 1983-10-25 |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 AC-DC Converter having an improved power factor |
US7323964B1 (en) | 2006-11-23 | 2008-01-29 | National Central University | Non-contact power system with load and gap detection |
-
2011
- 2011-10-31 KR KR1020110111936A patent/KR10138194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88999A (en) | 1976-05-21 | 1978-05-09 | Nasa | RF beam center 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transmission system |
US4412277A (en) * | 1982-09-03 | 1983-10-25 |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 AC-DC Converter having an improved power factor |
US7323964B1 (en) | 2006-11-23 | 2008-01-29 | National Central University | Non-contact power system with load and gap detection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IEEE 논문(제목: A Single-Phase Controlled-Current PWM Rectifier), 논문발표 1988년 10월 * |
IEEE 논문(제목: A Single-Phase Controlled-Current PWM Rectifier), 논문발표 1988년 10월*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0172B1 (en) | 2015-05-28 | 2016-10-28 | 삼성전기주식회사 | Rectifier |
US9929672B2 (en) | 2015-05-28 | 2018-03-27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Rectifier having reduced switching los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7114A (en) | 2013-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34826B2 (en) | Power supply including bi-directional DC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0291133B2 (en) |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 |
US8031496B2 (en) | Driving circuit for power switching device, driving method thereof, and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 |
KR101889108B1 (en) | Apparatus for power converter reducing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 |
US8274802B2 (en) | Energy transmission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for energy transmission control | |
JP2017175753A (en) | Insulation synchronous rectification type dc/dc converter, synchronous rectification circuit, power supply adapter,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 |
US10008949B2 (en) | Switching power supply with an auxiliary supply voltage | |
US20100033992A1 (en) | Switching power supply controller and semiconductor device used for the same | |
CN1906835B (en) | Power factor improving circuit and switching power supply | |
TW201926877A (en) | Switching power supply control system | |
CN104158141A (en) | Self-power circuit for protecting relay | |
US10542592B2 (en) | LED driver and LED driving method | |
KR101381940B1 (en) | Rectifier and input controling method of the same | |
KR20120081015A (en) | Electric shock protection device | |
TWI513165B (en) | Flyback converter with over current protection and control circuit thereof | |
JP6148551B2 (en) | Rectifier | |
KR101422947B1 (en) |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and power supply having the same | |
KR102059204B1 (en) | Apparatus for Switching Mode Power Supply detecting the AC-off status | |
JP2012239292A (en) | Snubber circuit of rectifier | |
US20150117069A1 (en) |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US20190214901A1 (en) | Auxiliary converter circuit and its method of operation | |
CN105099194B (en) | Flyback converter with improved over-current protection and control circuit thereof | |
JP6326947B2 (en) | Isolated DC power supply | |
KR101210460B1 (en) | Over voltage protection circuit in power supply unit | |
JP4466346B2 (en) | Ground fault detection circuit for semiconductor power conver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3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0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0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