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065B1 - Home-automation system using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Home-automation system using mobil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7065B1 KR101377065B1 KR1020120090626A KR20120090626A KR101377065B1 KR 101377065 B1 KR101377065 B1 KR 101377065B1 KR 1020120090626 A KR1020120090626 A KR 1020120090626A KR 20120090626 A KR20120090626 A KR 20120090626A KR 101377065 B1 KR101377065 B1 KR 1013770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me
- infrared
- control signal
- controller
- high frequenc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가 홈 컨트롤러와 연계하여 가전기기의 동작을 통합적으로 원격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조명 감지신호 및 영상 감지신호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입력되는 인터넷망 제어명령 또는 이더넷망을 통해 입력되는 이더넷망 제어명령 또는 와이파이망을 통해 입력되는 와이파이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가정 내에 설치된 각종 가전기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구동제어신호, 고주파 구동제어신호 및 와이파이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와이파이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 적외선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 송신기; 이기종의 가전기기들을 통합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 블라스터; 및 고주파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고주파 송신기;를 구비하는 홈 컨트롤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in which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is integrated with a home controller to remotely control the operation of a home applianc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detection signal and an image detection signal input from a sensor unit, an internet network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n Ethernet network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an Ethernet network, or a Wi-Fi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a Wi-Fi network.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n infrared drive control signal, a high frequency drive control signal, and a Wi-Fi driv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various home appliances installed in the hom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unit; An access point for transmitting a Wi-Fi driving control signal; An infrared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infrared drive control signal; An infrared blaster transmitting an infrared drive control signal for integrating and controlling heterogeneous home appliances; And a high frequency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high frequency driving control sig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정 내에 설치된 가전기기의 구동을 원격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가 홈컨트롤러와 연계하여 가전기기의 동작을 통합적으로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home appliances installed in a home, and in particular,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such as a home device using a mobile device for integrated remote control of the operation of a home appliance in connection with a home controller. It's about an automation system.
일반적으로, 가정에 티브이,영상 프로젝터 및 디브이디 등의 비디오기기, 냉난방 시스템 및 조명기기 등의 가전기기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전기기들은 사용자가 해당 가전기기의 패널에 구비되 조작 키이(key)를 조작하여 구동을 제어하거나 리모컨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general, home appliances such as TVs, video projectors and video devices such as DVDs, air-conditioning systems, and lighting devices are provided. Such home appliances are provided on the panel of the home appliance,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operation keys (key) to control the driving or remotely using the remote control.
근래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가정 내의 가전기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홈오토메이션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In recent years, home automation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home appliances in homes using remot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그러나, 종래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기술은 사용자 측면에서 볼 때 여러 가전기기들의 구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절차가 복잡하여 사용상의 어려움이 있고,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home automation technology using a conventional mobile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procedure of controlling the driving of various home appliances is complicated from a user's point of view, and thus, there is a difficulty in using it and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가 게이트웨이컨트롤러와 같은 홈컨트롤러와 연계하여 이기종의 가전기기들의 동작을 통합적으로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o remotely control operations of heterogeneous home appliances in association with a home controller such as a gateway controll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조명 감지신호 및 영상 감지신호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입력되는 인터넷망 제어명령 또는 이더넷망을 통해 입력되는 이더넷망 제어명령 또는 와이파이망을 통해 입력되는 와이파이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가정 내에 설치된 각종 가전기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구동제어신호, 고주파 구동제어신호 및 와이파이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인터넷망 제어명령, 이더넷망 제어명령 및 와이파이망 제어명령을 수신처리하고, 와이파이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적외선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 송신기; 상기 적외선 송신기에서 전송되는 적외선 구동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이기종의 가전기기들을 통합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 블라스터; 및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고주파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고주파 송신기;를 구비하는 홈 컨트롤러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light detection signal and the image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unit or the Internet network control command or Ethernet network input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n infrared drive control signal, a high frequency drive control signal and a Wi-Fi driv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various home appliances installed in the home in response to an Ethernet network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Wi-Fi network or a Wi-Fi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Wi-Fi network ; An access poin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Internet network control command, the Ethernet network control command, and the Wi-Fi network control command and transmitting a Wi-Fi driving control signal; An infrared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infrared drive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An infrared blaster transmitting an infrared drive control signal for integrated control of heterogeneous home appliances in response to the infrared driv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frared transmitter; And a high frequency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high frequency driving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가 게이트웨이컨트롤러와 같은 홈컨트롤러와 연계하여 이기종의 가전기기들의 동작을 통합적으로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by allow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o remotely control operations of heterogeneous home appliances in association with a home controller such as a gateway controll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장치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장치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홈 컨트롤러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적외신호 학습과정에 대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는 데이터 패킷의 생성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의 (a),(b)는 적외선 블라스터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홈 컨트롤러의 페어링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페어링을 위한 비밀키이 공유 과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홈 컨트롤러의 메인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의 (b)는 개별설정 모드에서 홈시어터가 선택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1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홈 컨트롤러의 화면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본 패킷의 포맷도이다.
도 12의 (b)는 외부 단말기와 홈 콘트롤러와의 ModBus 통신 예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home automation apparatus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home automation apparatus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ontroller provided in the home controller of FIGS. 1 and 2.
4 is a signal flow diagram for an infrared signal learning process.
5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data packet.
6 (a) and 6 (b) are schematic diagrams of the infrared blaster.
7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automation apparatus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pairing a hom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gnal flowchart of a secret key sharing process for pai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A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ain screen of a hom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where a home theater is selected in the individual setting mode.
11 (a) and 11 (b) are exemplary views of screen operations of a hom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A is a format diagram of a basic packe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12B illustrates ModBus communication between an external terminal and a home controll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장치의 개략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부(110), 홈 컨트롤러(120), 고주파 익스텐더(RF Extender)(131), 와이파이 익스텐더(WIFI Extender)(132)를 구비한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home automation apparatus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상기 홈오토메이션 장치는 홈(home)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무실, 전시장 및 빌딩 등에 적용될 수 있다.The home automation apparatus is not limited to being applied to a home, but may be applied to an office, an exhibition hall, and a building.
센서부(110)는 조명센서 및 이미지 센서 등을 구비하여 조명 감지신호 및 영상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홈 컨트롤러(Home GWC)(120)는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조명 감지신호 및 영상 감지신호 또는, 인터넷망(Internet)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인터넷망 제어명령, 와이파이망을 통해 스마트 폰(161)이나 스마트 패드(162)로부터 입력되는 와이파이망 제어명령에 따라 가정내 설치된 각종 가전기기들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홈 컨트롤러(120)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구동제어신호가 해당 가전기기에 잘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천장에 설치하는 것을 예로 하였다. 상기 가전기기는 단순히 가정에서 사용되는 기기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티브이,영상 프로젝터 및 디브이디 등의 비디오기기, 냉난방 시스템 및 조명기기 등을 포함한다. The
이를 위해 상기 홈 컨트롤러(120)는 제어부(120A), 적외선 블라스터(IR Blaster)(121), 고주파 송신기(122) 및 액세스 포인트(123)를 구비한다. To this end, the home controller 120 includes a
제어부(120A)는 상기 각종 감지신호 및 각종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각종 가전기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구동제어신호, 고주파 구동제어신호 및 와이파이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 The
적외선 블라스터(IR Blaster)(121)는 상기 적외선 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적외선 구동제어신호를 티브이(131), 디브이디(DVD Player)(132) 및 냉난방 시스템(133) 등의 가전기기에 전송한다. The IR Blaster 121 receives the infrared signal and transmits the infrared driving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R signal to a home appliance such as a
고주파 송신기(122)는 가전기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고주파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123)는 인터넷망(Internet)과 가전기기들 간의 중계역할을 수행한다. The high frequency transmitter 122 transmits a high frequency driv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home appliances. The
고주파 익스텐더(RF Extender)(151)는 상기 홈 컨트롤러(120)의 고주파 송신기(122)에서 전송되는 고주파 구동제어신호의 전송 범위를 확장시켜 가전기기부(140)의 조명기기(141), 영상스크린(142) 및 영상프로젝터(143)가 상기 고주파 구동제어신호를 일정 세기 이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와이파이 익스텐더(WIFI Extender)(152)는 상기 홈 컨트롤러(120)의 액세스 포인트(123)에서 전송되는 와이파이 구동제어신호의 전송 범위를 확장시켜 가전기기부(140)의 가전기기들이 상기 와이파이 구동제어신호를 일정 세기 이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 가전기기부(140)의 가전기기들은 상기와 같은 무선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홈 컨트롤러(120)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때, RS232, RS485와 같은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 표준 규격에 따라 무선통신을 수행한다.When the home appliances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장치의 상세 블록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홈 컨트롤러의 원격 제어기능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home automation apparatus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the remote control function of the home controll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홈 컨트롤러(220)는 적외선 송신기(221A) 및 적외선 블라스터(IR Blaster)(221B), 고주파 송신기(222),액세스포인트(223),직렬통신부(224A), 릴레이신호 송신부(224B), 감지신호 입력부(224C) 및 적외선신호입력부(224D)를 구비한다. 상기 액세스포인트(223)는 WAN(Wide Area Network) 통신부(223A), 이더넷 통신부(223B) 및 액세스포인트 펑션부(223C)를 구비한다. The
WAN 통신부(223A)는 인터넷망(Internet)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인터넷망 제어명령을 수신처리한다. 이더넷 통신부(223B)는 이더넷망을 통해 사용자의 피씨(261)로부터 입력되는 이더넷망 제어명령을 수신처리한다. 액세스포인트 펑션부(223C)는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폰(281)이나 스마트 패드(282)로부터 입력되는 와이파이망 제어명령을 수신처리하고, 그에 따른 와이파이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감지신호 입력부(224C)는 센서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조명 감지신호 및 영상 감지신호를 수신처리한다. 적외선신호입력부(224D)는 리모컨(254)으로부터 입력되는 적외선신호를 수신처리한다. The WAN
홈 컨트롤러(220)의 각 내부 구성요소는 상기 각부를 통해 수신처리된 제어명령이나 감지신호에 따라 가정 내의 각종 가전기기의 구동을 다음과 같이 원격제어한다. Each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적외선 송신기(221A)는 가전기기들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적외선 블라스터(221B)는 상기 적외선 송신기(221A)에서 전송되는 적외선 구동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각기 다른 이기종의 가전기기인 티브이(231), 디브이디(DVD Player)(232) 및 냉난방 시스템(233)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고주파 송신기(222)는 가전기기부(240)의 가전기기들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고주파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액세스포인트 펑션부(223C)는 상기 가전기기부(240)의 가전기기들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와이파이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직렬통신부(224A)는 RS232, RS485 및 DMX512와 같은 직렬통신을 이용하여, 조명기기(251) 및 영상프로젝터(252)에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릴레이신호 송신부(224B)는 전동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전동기로 구동되는 기기의 예로써, 영상스크린(253)을 들 수 있으며, 이밖에 전동 커튼이나 블라인드,전동 엘리베이션 및 파워 디스크리뷰터(Power Distributor) 등이 있다. The
고주파 익스텐더(RF Extender)(271)는 상기 고주파 송신기(222)에서 전송되는 고주파 구동제어신호의 전송 범위를 확장시켜 가전기기부(240)의 가전기기들이 상기 고주파 구동제어신호를 일정 세기 이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와이파이 익스텐더(WIFI Extender)(272)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223)의 액세스포인트 펑션부(223C)에서 전송되는 와이파이 구동제어신호의 전송 범위를 확장시켜 상기 가전기기부(240)의 가전기기들이 상기 와이파이 구동제어신호를 일정 세기 이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참고로,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각종 가전기기들은 특별한 가전기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For reference, in FIG. 1 and FIG. 2, various home appliances are not limited to special home appliances, but are shown by way of example.
도 3은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홈 컨트롤러(120),(220)에 구비되는 제어부(120A),(220A)의 상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310), 메모리(320), 이더넷 컨트롤러(331),액세스포인트 모듈(332) 및 다수의 입출력 경로를 구비한다.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중앙처리장치(31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구동프로그램에 따라 다수의 입출력경로를 통해 각 가전기기들의 구동을 상기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원격 제어한다. 여기서 주목할 사항은 액세스포인트 모듈(332)이 제어부(120A),(220A) 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이더넷 컨트롤러(331) 및 상기 액세스포인트 모듈(332)을 통해 가전기기들에 대한 원격의 구동제어신호를 무선, WAN 및 이더넷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The
상기 홈 컨트롤러(220)의 제어부(220A)는 리모컨(254)으로부터 입력되는 적외신호를 학습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상기 적외신호 학습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먼저, 적외선 코드에 대한 학습모드가 시작되면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 후 사용자로부터 학습명령을 입력받아 적외신호 학습을 시작한다(S401-S403). First, when the learning mode for the infrared code is started, after performing an initialization operation, receiving a learning command from the user and starting infrared signal learning (S401-S403).
상기 리모컨(254)으로부터 수신되는 적외선신호의 IR 데이터를 수집하고 반송주파수를 검출한다(S404-S408).Collecting IR data of the infrared signal received from the
이후, 상기 수집된 IR 데이터를 분석하여 적외선 코드를 추출한다(S409-S413).Thereafter, the IR code is extracted by analyzing the collected IR data (S409-S413).
상기 적외선 코드 추출에 성공하면 다음의 적외선신호에 대해 상기와 같은 학습을 시작한다(S414,S415).If the infrared code extraction is successful, the above learning is started on the next infrared signal (S414, S415).
상기와 같은 적외선신호 학습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원하는 만큼의 적외선신호에 대해 학습이 종료되면 결과를 보고하고 종료 처리한다(S416).B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infrared signal learning process, if the learning is completed for the desired infrared signal, the result is reported and terminated (S416).
상기와 같은 일련의 적외선신호 학습과정이 종료되면, 피씨(261)나 스마트폰(281)또는 스마트 패드(282)의 단말기를 통해 홈 컨트롤러(220)에 접속한 후 애플리케이션이나 HMI(Human Machine Interface)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IR 데이터에 대응되게 해당 구동제어신호(예: 파워 온, 파워 오프, 볼륨 업, 볼륨 다운 등)를 설정(링크)한다. When the above-described infrared signal learning process is completed,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가전기기들 예를 들어, 가전기기부(240)의 가전기기들에 무선의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하거나,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무선의 구동신호를 전송할 때 서로 상이한 데이터 패킷(예: WIFI, RF)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구동제어신호 간에 간섭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ransmitting the wireless drive control signal to the home appliances, for example, the home appliances of the
상기와 같은 데이터 패킷의 생성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generation process of the data packet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먼저,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 후 커맨드(CMD) 대기모드에서 데이터가 입력되기를 기다린다(S501-S504). First, after performing an initialization operation, it waits for data to be input in a command (CMD) standby mode (S501-S504).
이와 같은 상태에서,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해당 가전기기에 전송한다(S505,S506).
In this state, when data is input, different data packets ar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s (S505 and S506).
한편, 도 6의 (a)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적외선 블라스터(IR Blaster)의 단품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의 (b)는 상기 적외선 블라스터의 결합도를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a) shows a single unit diagram of the infrared blaster (IR Blaster) shown in Figures 1 and 2, Figure 6 (b) shows a coupling degree of the infrared blaster.
도 6a를 참조하면, 사각형 형상의 홈 컨트롤러(611)의 하부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와이파이 안테나(612)와 고주파 안테나(613)가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 6A, a Wi-
상기 홈 컨트롤러(611)의 하부에 둥근 원판(621)이 나사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와이파이 안테나(612)와 고주파 안테나(613)의 대응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와이파이 안테나(612)와 고주파 안테나(613)가 상기 둥근 원판(621)의 외부로 노출된다. A
상기 둥근 원판(621)의 상기 와이파이 안테나(612)와 고주파 안테나(613)의 사이에 적외선 블라스터용 피씨비(PCB)(631)가 고정 결합된다. An
상기와 같이 결합된 홈 컨트롤러(611), 둥근 원판(621) 및 적외선 블라스터용 피씨비(631)가 천장(661)에 매립되고, 그 상부에 반구 형상의 커버(641)가 상기 천장(661)에 노출되게 나사(662)로 결합된다.The combined
상기 반구 형상의 커버(641)에는 적외선 송신소자(651)가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The
따라서, 상기 적외선 블라스터용 피씨비(631)에서 출력되는 적외선 신호가 상기 와이파이 안테나(612) 및 적외선 송신소자(651)들을 순차적으로 통해 실내의 곳곳에 방사되므로 실내의 어느 곳에 위치한 가전기기도 충분한 강도의 상기 적외선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since the infrared signal output from the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장치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에 설치된 홈 컨트롤러(720) 및 실외에 설치된 웹서버(710)를 구비한다. 상기 웹서버(710)에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automation device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rein, includes a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폰(741)으로 직접 상기 웹서버(710)에 접속하거나, 피씨(742)에서 인터넷망(Internet)을 통해 상기 웹서버(710)에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일련의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상기 홈 컨트롤러(720)에 접속하여 가전기기(731-735) 중에서 임의의 가전기기에 구동제어명령을 하달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user may directly access the
또한, 외부에서 상기와 같이 스마트 폰(741)이나 피씨(742)를 이용하여 상기 웹서버(710)를 통해 상기 홈 컨트롤러(720)에 접속하여 상기 가전기기(731-735)의 원격제어를 위한 스케쥴을 설정하거나 모니터링을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using the
그리고, 상기 홈 컨트롤러(720)는 상기 인터넷망(Internet)을 통해 외부의 FTP 서버(도면에 미표시)에 접속하여 상위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받아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홈 컨트롤러(720)가 상기 FTP 서버로부터 상위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원할한 다운로드를 원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들의 접속이 드문 새벽시간대에 상기 FTP 서버에 접속하여 상위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한편, 도 8은 임의의 가정에 설치된 홈 컨트롤러가 동일 가정 내에서 설치된 와이파이 익스텐더 또는 고주파 익스텐더와 페어링(Pairing)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Meanwhile, FIG. 8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home controller installed in a certain household is paired with a Wi-Fi extender or a high frequency extender installed in the same home.
한 가정 내에 설치된 홈 컨트롤러(810)는 동일한 공간상에 설치된 와이파이 익스텐더(811-814)와 비밀키이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페어링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가정 내에 설치된 홈 컨트롤러(820)는 동일한 공간상에 설치된 와이파이 익스텐더(821-824)와 또 다른 비밀키이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페어링된다. 상기 와이파이 익스텐더(811-814),(821-824)는 와이파이 익스텐더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고주파 익스텐더나 다른 익스텐더로 대체될 수 있다. The
이렇게 함으로써, 임의의 가정에 설치된 와이파이 익스텐더나 고주파 익스텐더에 의해 인접된 다른 가정에 설치된 가전기기들에 혼선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Wi-Fi extender or the high-frequency extender installed in any home and the home appliances installed in other adjacent homes.
도 9는 상기 홈 컨트롤러의 페어링(Pairing) 처리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9 illustrates a pairing process of the home controller.
도 9를 참조하면, 홈 컨트롤러(901)는 와이파이(또는 고주파) 모듈(902)에 비밀키이를 전송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와이파이 모듈(902)은 비밀키이 설정을 위한 일련의 비밀 데이터를 와이파이(또는 고주파) 익스텐더(903)에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9, the
이어서, 상기 와이파이 익스텐더(903)는 상기 와이파이 모듈(902)로부터 전송된 상기 비밀 데이터를 저장한 후 상기 와이파이 모듈(902)에 인지신호(ACK)를 전송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와이파이 모듈(902)은 상기 홈 컨트롤러(901)에 인지신호(ACK)를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페어링 처리과정이 종료된다.Subsequently, the Wi-
본 발명에 따른 홈 컨트롤러는 다양한 그래픽 이미지를 제공하고, 타이머 알람을 통한 스케쥴 설정기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장면(scene)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홈 컨트롤러는 서버와의 연동을 통한 데이터 등록, 상태 저장 및 백업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홈 컨트롤러는 ModBus TCP, ModBus Serial을 통한 통신프로토콜을 구축하고, 사용자 인증을 위한 컨트롤러 액세스 기능을 제공한다. The hom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various graphic images, provides a schedule setting function through a timer alarm, and provides various scenes. In addition, the home controller provides data registration, state storage, and backup functions through interworking with a server. The home controller establishes a communication protocol via ModBus TCP and ModBus Serial, and provides a controller access function for user authentication.
도 10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홈 컨트롤러의 메인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의 (b)는 상기 메인화면 상에서 선택된 개별설정 모드가 선택되고, 그 개별설정 모드에서 홈시어터가 선택된 화면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도 10의 (b)에서와 같이 홈 시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향키이 및 각종 제어키이가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10A illustrates a main screen of a hom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B illustrates a screen in which an individual setting mode selected on the main screen is selected and a home theater is selected in the individual setting mode. An example is show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0B, it can be seen that a direction key and various control keys for controlling the home theater are provided.
도 11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홈 컨트롤러의 화면 동작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a)와 같이 메인 화면상에 각종 가전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아이콘)을 표시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임의의 가전기기 예를 들어 LCD TV를 선택하면 LCD TV를 제어하기 위한 첫 번째 페이지를 도 10의 (b)와 같이 표시한다. 11 (a) and 11 (b) show examples of screen operations of a hom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 of FIG. 10, a menu (icon) for selecting various home appliances is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and in such a state, when an arbitrary home appliance, for example, an LCD TV is selected, the first screen for controlling the LCD TV is shown. The first page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10B.
본 발명에 따른 홈 컨트롤러(GWC)는 산업장비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인 ModBus TCP, ModBus Serial 방식으로 가전기기들을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한다. 이를 위해 상기 홈 컨트롤러(GWC)는 도 12의 (a)와 같이 기본 패킷의 포맷도로서 ModBus ID, Function Code, Address(High), Address(Low), Value(High) 및 Value(Low)를 포함한다. 도 12의 (b)는 외부 단말기와 홈 콘트롤러(GWC)와의 ModBus 통신을 위한 기기 제어, 모니터링 연동 시나리오를 나타낸 것이다. The home controller (GW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or monitors home appliances using ModBus TCP, ModBus Serial, which is a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 used in industrial equipment. To this end, the home controller (GWC) includes a ModBus ID, Function Code, Address (High), Address (Low), Value (High) and Value (Low) as a format diagram of a basic packet as shown in FIG. do. 12 (b) shows a scenario of device control and monitoring for ModBus communication between an external terminal and a home controller (GWC).
110,210 : 센서부 120,220 : 홈 컨트롤러
121,221B : 적외선 블라스터 121,221A : 고주파 송신기
123,223 : 액세스 포인트 131,231 : 티브이
132,232 : 디브이디 133,233 : 냉난방 시스템
140,240 : 가전기기부 151 : 고주파 익스텐더
152 : 와이파이 익스텐더 161,281 : 스마트폰
162,282 : 스마트 패드 110,210: sensor unit 120,220: home controller
121221B: Infrared Blaster 121221A: High Frequency Transmitter
123,223: access point 131,231: TV
132,232: DVD 133,233: Heating and cooling system
140,240: home appliance section 151: high frequency extender
152: Wifi Extender 161,281: Smartphone
162,282: Smart Pad
Claims (9)
상기 홈 컨트롤러는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조명 감지신호 및 영상 감지신호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입력되는 인터넷망 제어명령 또는 이더넷망을 통해 입력되는 이더넷망 제어명령 또는 와이파이망을 통해 입력되는 와이파이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가정 내에 설치된 각종 가전기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구동제어신호, 고주파 구동제어신호 및 와이파이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인터넷망 제어명령, 이더넷망 제어명령 및 와이파이망 제어명령을 수신처리하고, 와이파이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적외선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 송신기;
상기 적외선 송신기에서 전송되는 적외선 구동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이기종의 가전기기들을 통합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 블라스터; 및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고주파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고주파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홈 컨트롤러는 상기 고주파 송신기에서 전송되는 고주파 구동제어신호의 전송 범위를 확장시켜 상기 이기종의 가전기기들이 상기 고주파 구동제어신호를 일정 세기 이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고주파 익스텐더와 연계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컨트롤러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In the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having a home controller for remote control of heterogeneous home appliances installed in the home,
The home controller
In the home in response to an illumination detection signal and an image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unit, an Internet network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n Ethernet network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Ethernet network, or a Wi-Fi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Wi-Fi network.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n infrared drive control signal, a high frequency drive control signal, and a Wi-Fi driv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driving of various installed home appliances;
An access poin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Internet network control command, the Ethernet network control command, and the Wi-Fi network control command and transmitting a Wi-Fi driving control signal;
An infrared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infrared drive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An infrared blaster transmitting an infrared drive control signal for integrated control of heterogeneous home appliances in response to the infrared driv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frared transmitter; And
And a high frequency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high frequency driving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The home controller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high frequency extender to extend the transmission range of the high frequency driv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igh frequency transmitter to allow the heterogeneous home appliances to receive the high frequency drive control signal by a predetermined intensity or more.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having a hom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Fi extender of claim 1, wherein the home controller extends a transmission range of the Wi-Fi driving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ccess point to allow the heterogeneous home appliances to receive the Wi-Fi driving control signal at a predetermined intensity or more.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having a hom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n conjunction.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collects infrared data by learning an infrared signal received from a remote controller, and then sets a corresponding driving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frared data by using an application or a human machine interface (HMI) authoring tool.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having a hom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천장에 매립되는 홈 컨트롤러;
상기 홈 컨트롤러의 하부에 결합되는 원판;
천장으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원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적외선 블라스터용 피씨비(PCB);
상기 적외선 블라스터용 피씨비의 하측에 결합되는 반구 형상의 커버; 및
상기 반구 형상의 커버에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 송신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컨트롤러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frared blaster
A home controller embedded in the ceiling;
A disc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home controller;
A PCB for infrared blaster (PCB) installed below the disc to protrude from the ceiling;
A hemispherical cover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frared blaster for the PCB; And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having a home controller, comprising: at least one infrared transmitting element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hemispherical cover.
The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having a home controll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Wi-Fi antenna and a high frequency antenna are installed below the home controller.
The home controller of claim 1, wherein the home controller is connected to a web server, and the web server performs authentication by using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en a user requests access to the home controller.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The mobil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home controller is paired with the heterogeneous home appliances installed in the same space as the home controller and does not cause confusion in home appliances of other spaces. Home automation system.
The home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home controller is paired with the heterogeneous home appliances using secret dat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0626A KR101377065B1 (en) | 2012-08-20 | 2012-08-20 | Home-automation system using mobil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0626A KR101377065B1 (en) | 2012-08-20 | 2012-08-20 | Home-automation system using mobil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4563A KR20140024563A (en) | 2014-03-03 |
KR101377065B1 true KR101377065B1 (en) | 2014-03-24 |
Family
ID=5064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0626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7065B1 (en) | 2012-08-20 | 2012-08-20 | Home-automation system using mobil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706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24513B1 (en) * | 2015-01-06 | 2023-04-20 | 어페로, 인크. |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Internet of Things (IoT) remote control applications |
KR101698565B1 (en) | 2016-05-12 | 2017-01-23 | 주식회사 엔쓰리디앤티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space devices |
KR102095285B1 (en) * | 2019-07-11 | 2020-03-31 | (주)유니룩스 | Power saving control system using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
KR102389710B1 (en) * | 2019-12-19 | 2022-04-22 | 주식회사 오성전자 | Legacy home appliance control method using context awareness and system supporting it |
KR102821940B1 (en) | 2024-07-24 | 2025-06-18 | 알리콘 주식회사 | AUTOMATION SYSTEM FOR INTEGRATEDLY CONTROLLING IoT DEVICE AND NON-IoT DEVICE |
-
2012
- 2012-08-20 KR KR1020120090626A patent/KR10137706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4563A (en) | 2014-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673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remotely in a home network system | |
US9437060B2 (en) | Initiating remote contro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 |
JP7073259B2 (en) |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 |
KR101786290B1 (en) | Integrated gateway devices for smart home implementation | |
US9762406B2 (en) | Modular wireless power, light and automation control with user verification | |
US20140070919A1 (en) | User Identification and Location Determination in Control Applications | |
CN108234238B (en) | Commissioning and personalization device in a local area network | |
KR101377065B1 (en) | Home-automation system using mobile device | |
KR101272653B1 (en) | Syst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household appliances | |
KR2015005908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group of home devices in a home network system | |
CN102945029A (en) | Intelligen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intelligent control method for home appliance equipment | |
US20160139574A1 (en) | Smart hom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
CN104122999A (en) | Intelligent device interaction method and system | |
US11483173B2 (en) | Smart adaptation of the functionalities of a remote control in a local area network | |
EP3175586B1 (en) | Residential automation system, equipment and process that is easy to install, configure and use | |
CN102929216A (en) | Method for wirelessly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with quick response code and product thereof | |
KR101725436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Equipment by Folder | |
Hasan et al. | Applications of Internet of Things (IoT) Towards Smart Home Automation | |
KR20130137490A (en) | Digital device control and home control system using smart terminal and touch repeater | |
CN106416221A (en) |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KR20130090182A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ple device using smart cloud | |
WO2021181703A1 (en) | Air conditioner,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for air condition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
KR20160120051A (en) | The total control system for digital device and the total control method thereof | |
TWM469687U (en) | Electronic device of remote control system | |
KR20060008772A (en) |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using power l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3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