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62537B1 - Method of processing an auto rendering information using OMA DRM 2.0 content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cessing an auto rendering information using OMA DRM 2.0 content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537B1
KR101362537B1 KR1020070004725A KR20070004725A KR101362537B1 KR 101362537 B1 KR101362537 B1 KR 101362537B1 KR 1020070004725 A KR1020070004725 A KR 1020070004725A KR 20070004725 A KR20070004725 A KR 20070004725A KR 101362537 B1 KR101362537 B1 KR 101362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rm
auto
drm content
render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7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67440A (en
Inventor
이환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4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537B1/en
Publication of KR20080067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4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53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OMA DRM 2.0 컨텐츠를 이용한 오토 렌더링 정보 처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와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MA DRM 2.0 컨텐츠를 이용한 오토 렌더링 정보 처리방법은 DRM 컨텐츠를 컨텐츠 공급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는 단계, DRM 컨텐츠 내의 특정 헤더 필드에 오토 렌더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확인결과, DRM 컨텐츠에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DRM 컨텐츠를 이용하여 오토 렌더링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음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Disclosed are a method for processing auto rendering information using OMA DRM 2.0 content,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Auto render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OMA DRM 2.0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tep of downloading the DRM content from the content supply server, checking whether the auto-rendering information is included in a specific header field in the DRM content, confirmation As a result, when there are auto rendering constraints in the DRM content, the method may include informing that the auto rendering function cannot be performed using the DRM content.

OMA, DRM, DCF, 이동통신단말기, 컨텐츠 OMA, DRM, DCF, Mobile Terminal, Contents

Description

OMA DRM 2.0 컨텐츠를 이용한 오토 렌더링 정보 처리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Method of processing an auto rendering information using OMA DRM 2.0 content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Method of processing an auto rendering information using OMA DRM 2.0 content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DRM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M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M 2.0 컨텐츠를 이용한 오토 렌더링 정보 처리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3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n auto render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DRM 2.0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DCF 포맷을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CF forma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텍스튜얼 헤더 필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textual header field shown in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M 2.0 컨텐츠를 이용한 오토 렌더링 정보 처리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6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n auto render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DRM 2.0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오디오 컨텐츠에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팝업창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pup window displayed on a display unit when auto rendering constraint exists in audio content. FIG.

도 8은 오디오 컨텐츠에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팝업창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llustrates a popup window displayed on a display unit when there are no auto rendering constraints on audio conten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컨텐츠 발행자 20: 컨텐츠 공급서버10: content publisher 20: content supply server

30: 권리객체 발행기관 200: 이동통신단말기30: rights object issuing agency 2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OMA DRM 2.0 컨텐츠를 이용한 오토 렌더링 정보 처리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cessing auto rendering information using OMA DRM 2.0 content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이하 'DRM'이라 함) 시스템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유통되는 텍스트, 음악, 이미지, 영상, 동영상 강의, 영화, 소프트웨어, 게임 등 각종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자, 사용권한(횟수, 기간) 등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업자와 체결한 컨텐츠 사용권리 내에서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allows users to use various digital contents such as text, music, images, video, video lectures, movies, software, and games distributed through various channels. By limiting the period of time, etc., the user can only use the content within the right to use the content.

DRM 시스템은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배포하고 정당한 권리객체(Right Object) 획득한 사용자에게만 해당 컨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불법복제 및 불법전송 등의 저작권 침해 행위를 방지한다. 여기서, 권리객체는 컨텐츠 객체에 대한 사용 권한을 갖는 일종의 라이센스이다.The DRM system encrypts and distributes the content and supports decryption of the content only to users who have obtained a right object, thereby preventing copyright infringement such as illegal copying and illegal transmission. Here, the rights object is a kind of license that has a right to use a content object.

종래에는 컨텐츠 공급 서버에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컨텐츠를 전송해 주는 시점에 컨텐츠와 별개로, 해당 컨텐츠의 오토 렌더링 정보를 명시적으로 전달하였다. 오토 렌더링 정보란 특정 이벤트의 발생시 해당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는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지 또는 설정할 수 없도록 제약사항이 명시되어 있 는지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Conventionally, auto-rendering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content is explicitly delivered separately from the content when the content supply server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uto-rendering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about whether a user can set a function to play a corresponding content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or a constraint is specified so that the content can not be set.

일 예로, 오토 렌더링 정보는 메시지의 송수신, 음성통화, 전원의 온/오프와 같은 특정 이벤트의 발생시 해당 컨텐츠를 벨소리나 대기화면으로 사용하도록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지 또는 설정할 수 없도록 제약사항이 명시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For example, the auto-rendering information may be set by the user to use the content as a ringtone or standby screen when a specific event such as sending or receiving a message, voice call, or power on / off occurs or a restriction is specified. Represents information about.

컨텐츠 공급 서버로부터 해당 컨텐츠와 별개로 오토 렌더링 정보를 다운로드받은 이동통신단말기는 오토 렌더링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오토 렌더링 정보를 암호화한 후, 특정 파일에 기록해서 관리하였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downloaded 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separately from the contents supply server from the content supply server stores 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in an internal database, or encrypts 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and records and manages 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in a specific file.

이 때, 오토 렌더링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경우, 컨텐츠를 직접 다운로드받은 이동통신단말기만이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을 준수할 수 있게 되며, 해당 컨텐츠가 다른 이동통신단말기로 전달되는 경우에 다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의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에 관계없이, 특정 이벤트 발생시 해당 컨텐츠가 벨소리나 대기화면 등에 사용되도록 설정할 수 있었다. In this case, when 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is stored in an internal database, only the mobile terminal which directly downloads the content can comply with the auto rendering constraint, and when the content is transferred to another mobile terminal,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he user of the terminal could set the content to be used as a ringtone or a standby screen when a specific event occurred, regardless of the auto rendering constraint of the content.

따라서, 이는 컨텐츠 공급자가 명시해 놓은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을 위반하여 불법적으로 컨텐츠가 사용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Therefore, this violates the auto-rendering constraints specified by the content provider, resulting in illegal use of the content.

또한, 오토 렌더링 정보를 암호화하여 특정 파일에 기록해서 관리하는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파일의 무결성을 신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encrypting and rendering auto rendering information in a specific fil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trust the integrity of the file.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컨텐츠의 자유로운 유포를 보장하면서 컨텐츠 공급자가 요구하는 컨텐츠의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OMA DRM 2.0 컨텐츠를 이용한 오토 렌더링 정보 처리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cessing auto rendering informa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OMA DRM 2.0 content that can satisfy the auto rendering constraints of content required by a content provider while ensuring free distribution of content. It is to provid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matter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MA DRM 2.0 컨텐츠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오토 렌더링 정보 처리방법은 DRM 컨텐츠를 컨텐츠 공급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는 단계; 상기 DRM 컨텐츠 내의 특정 헤더 필드에 오토 렌더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결과, 상기 DRM 컨텐츠에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DRM 컨텐츠를 이용하여 오토 렌더링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음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cessing auto rendering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OMA DRM 2.0 content, the method including: downloading DRM content from a content supply server; Checking whether auto rendering information is included in a specific header field in the DRM content; And confirming that, when there are auto rendering constraints on the DRM content, informing that the auto rendering function cannot be performed using the DRM content.

상기 DRM 컨텐츠는 OMA-TS-DRM-DCF-V2_0-20060303-A에 규정된 DCF(DRM Contents Format) 포맷으로 변환된 컨텐츠이며, 상기 특정 헤더 필드는, 상기 DCF 포맷의 커스텀(custom) 헤더이다.The DRM content is content converted into a DRM Contents Format (DCF) format defined in OMA-TS-DRM-DCF-V2_0-20060303-A, and the specific header field is a custom header of the DCF format.

상기 오토 렌더링 정보는, 상기 DRM 컨텐츠를 벨소리(Ringtone) 또는 대기화면(Wallpaper)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이며, 상기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은, 상기 DRM 컨텐츠를 벨소리 또는 대기화면으로 사용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whether the DRM content can be used as a ringtone or a wall paper, and the auto rendering constraint indicates that the DRM content cannot be used as a ringtone or a standby screen. Information to indicate.

상기 DRM 컨텐츠에 오토 렌더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나,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DRM 컨텐츠를 벨소리 또는 대기화면으로 사용가능함을 알려줄 수 있다.If the DRM content includes auto rendering information, but there are no auto rendering constraints, the DRM content may inform that the DRM content can be used as a ringtone or a standby screen.

상기 DRM 컨텐츠에 오토 렌더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DRM 컨텐츠는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없이 자유롭게 사용가능한 컨텐츠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DRM content, the DRM content may be determined to be freely available content without auto rendering constraints.

OMA-TS-DRM-REL-V2_0-20050825-C에 규정된 해쉬값 계산을 통해, 상기 DRM 컨텐츠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확인결과, 상기 DRM 컨텐츠의 손상이 없는 경우, 상기 오토 렌더링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Checking whether or not the DRM content is damaged by calculating the hash value specified in OMA-TS-DRM-REL-V2_0-20050825-C, further comprising, if the check result, there is no damage to the DRM content, 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memo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DRM 컨텐츠를 컨텐츠 공급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는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DRM 컨텐츠 내의 특정 헤더 필드에 오토 렌더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DRM 컨텐츠에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DRM 컨텐츠를 이용하여 오토 렌더링 기능을 수행할 수 없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transceiver for downloading DRM content from a content supply server; And a control unit which checks whether auto rendering information is included in a specific header field in the DRM content and controls that the auto rendering function cannot be performed using the DRM content when auto rendering constraint exists in the DRM content. It includes.

상기 DRM 컨텐츠는 OMA-TS-DRM-DCF-V2_0-20060303-A에 규정된 DCF(DRM Contents Format) 포맷으로 변환된 컨텐츠이며, 상기 특정 헤더 필드는, 상기 DCF 포맷의 커스텀(custom) 헤더이다.The DRM content is content converted into a DRM Contents Format (DCF) format defined in OMA-TS-DRM-DCF-V2_0-20060303-A, and the specific header field is a custom header of the DCF format.

상기 오토 렌더링 정보는, 상기 DRM 컨텐츠를 벨소리(Ringtone) 또는 대기화면(Wallpaper)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이며, 상기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은, 상기 DRM 컨텐츠를 벨소리 또는 대기화면으로 사용할 수 없음을 나타내 는 정보이다.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whether the DRM content can be used as a ringtone or a wall paper, and the auto rendering constraint indicates that the DRM content cannot be used as a ringtone or a standby screen. Information that is shown.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DRM 컨텐츠가 벨소리 또는 대기화면으로 사용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한다.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pop-up window indicating that the DRM content cannot be used as a ringtone or a standby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DRM 컨텐츠에 오토 렌더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나,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DRM 컨텐츠를 벨소리 또는 대기화면으로 사용가능함을 알리는 팝업창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If the DRM content includes auto rendering information, but there are no auto rendering constraints, the controller controls a pop-up window indicating that the DRM content can be used as a ringtone or a standby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DRM 컨텐츠에 오토 렌더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DRM 컨텐츠는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없이 자유롭게 사용가능한 컨텐츠로 판단할 수 있다.If the DRM content does not include auto rendering information,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DRM content is freely available content without auto rendering constraints.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다운로드받은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MA-TS-DRM-REL-V2_0-20050825-C에 규정된 해쉬값 계산을 통해, 상기 DRM 컨텐츠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DRM 컨텐츠의 손상이 없는 경우, 상기 오토 렌더링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for storing the content downloaded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ler, through the hash value calculation prescribed in the MA-TS-DRM-REL-V2_0-20050825-C, The auto-renderin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if the damage is determined, and if there is no damage to the DRM content.

이하에서는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DRM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RM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DRM 시스템은 컨텐츠 발행자(10), 컨텐츠 공급서버(20), 권리객체 발행기관(30), 및 이동통신단말기(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RM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content issuer 10, a content supply server 20, a rights object issuer 30,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컨텐츠 발행자(10)는 컨텐츠의 창작자를 의미하며, 컨텐츠 공급서버(20)는 컨텐츠 발행자(10)와의 계약을 통해 컨텐츠 발행자(10)에 의해 창작된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DRM 컨텐츠를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DRM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컨텐츠 공급서버(20)는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200)로 DRM 컨텐츠를 전송해준다.The content publisher 10 refers to the creator of the content, and the content supply server 20 encrypts the content created by the content publisher 10 through a contract with the content publisher 10 to generate DRM content. In addition, when there is a request for downloading DRM conten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f the user, the content supply server 20 transmits the DRM content to the us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권리객체 발행기관(30)은 컨텐츠를 실행시킬 수 있는 권한이 포함된 권리객체를 발행한다. 권리객체에 포함된 권한은 암호화되어 있는 DRM 컨텐츠를 복호화시킬 수 있는 컨텐츠 암호화 키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권리객체 발행기관(30)과 컨텐츠 공급서버(20), 컨텐츠 발행인(10)은 동일 주체일 수 있다.The rights object issuing agency 30 issues a rights object including a right to execute the content. The right included in the rights object may be a content encryption key capable of decrypting the encrypted DRM content. In some cases, the rights object issuer 30, the content supply server 20, and the content publisher 10 may be the same subject.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일정 대가를 지불하고 권리객체 발행기관(30)으로부터 컨텐츠 객체를 실행시킬 수 있는 권한이 포함된 권리객체를 얻을 수 있다.The us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may obtain a rights object including a right to execute a content object from the rights object issuer 30 by paying a predetermined pr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무선 송수신부(210), 제어부(220), 메모리부(230), 입력부(240), 디스플레이부(250), 및 오디오 처리부(2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cludes a wireless transceiver 210, a controller 220, a memory 230, an input 240, a display 250, and an audio processor 260. Include.

무선 송수신부(21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송수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The wireless transceiver 210 performs a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wireless transceiver 210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송수신부(210)는 컨텐츠 공급서버(20)로부터 DRM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어부(220)에 제공한다. 또한, 무선 송수신부(210)는 권리객체 발행기관(30)으로부터 제공되는 권리객체를 수신하여 제어부(220)에 제공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ransceiver 210 receives the DRM content from the content supply server 20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220. In addition, the wireless transceiver 210 receives the rights object provided from the rights object issuer 30 and provides them to the controller 220.

제어부(22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220 controls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20)는 컨텐츠 공급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받은 DRM 컨텐츠를 벨소리(ringtone)나 대기화면(wallpaper)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컨텐츠의 오토 렌더링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해쉬값 계산을 통해 컨텐츠 공급서버(20)로부터 수신한 DRM 컨텐츠의 손상 여부를 확인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20 uses the auto-rendering information of the content to determine whether the DRM content downloaded from the content supply server 20 can be used as a ringtone or a wallpaper. Check it. In addition, the controller 220 checks whether the DRM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supply server 20 is damaged by calculating a hash value.

메모리부(2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컨텐츠의 권리객체, 컨텐츠의 오토 렌더링 정보 등을 저장한다.The memory unit 230 includes a program memory and data memories. The program memory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a genera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unit 230 stores the rights object of the content, auto rendering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he lik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20.

입력부(24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각종 버튼 및 각종 기능 등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버튼들을 포함한다. 입력부(240)는 방향키를 구비하는 키패드, 조그 다이얼, 터치패드, 조이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240 includes various button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function button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The input unit 240 may be implemented as a keypad including a direction key, a jog dial, a touch pad, a joystick,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력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을 입력받아 제어부(220)에 제공한다. 또한, 입력부(240)는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를 벨소리나 대기화면으로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제어부(220) 에 제공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240 receives a content download request from the user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220. In addition, the input unit 240 receives a request for using the downloaded content as a ringtone or a standby screen from the user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220.

디스플레이부(25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 출력하는 각종 표시정보, 다양한 메뉴화면 등을 출력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0)는 외부 디스플레이부 및 내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50 outputs various display information, various menu screens, etc.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is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50 may include two or more display devices, including an external display unit and an internal display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50)는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를 벨소리나 대기화면으로 사용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팝업창과,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를 벨소리 또는 대기화면으로 사용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250 displays a popup window indicating that the downloaded content cannot be used as a ringtone or a standby screen, and a popup window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whether to use the downloaded content as a ringtone or a standby screen. Is displayed.

오디오 처리부(260)는 제어부(220)에서 복호화되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2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udio processor 260 reproduces the audio signal decoded by the controller 220 through the speaker SPK or transmits the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controller 22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MA DRM 2.0 컨텐츠를 이용한 오토 렌더링 정보 처리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n auto render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OMA DRM 2.0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컨텐츠 공급서버(20)로 특정 DRM 컨텐츠를 요청한다(S305). Referring to FIG. 3, the us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requests specific DRM content from the content supply server 20 (S305).

이에 응답하여 컨텐츠 공급서버(20)는 이동통신단말기(200)가 요청한 컨텐츠를 DCF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DRM 컨텐츠에 오토 렌더링 정보를 표시하 여(S310),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한다(S315). 이 때, DRM 컨텐츠는 기술 사양서인 OMA-TS-DRM-DCF-V2_0-20060303-A에 규정된 DCF(DRM Contents Format) 포맷으로 변형 및 암호화된 컨텐츠를 의미한다. In response, the content supply server 20 converts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o the DCF format, displays auto rendering information on the converted DRM content (S310),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S315). At this time, the DRM content refers to the content modified and encrypted in the DCRM (DRM Contents Format) format specified in the technical specification OMA-TS-DRM-DCF-V2_0-20060303-A.

본 실시예에서 오토 렌더링 정보란 특정 이벤트 발생시 해당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일 예로, 오토 렌더링 정보는 메시지의 송수신, 음성통화, 전원의 온/오프와 같은 특정 이벤트의 발생시 해당 컨텐츠가 벨소리나 대기화면으로 사용되도록 설정가능한지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user can set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be played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For example, the auto-rendering information indicat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rresponding content can be set to be used as a ringtone or a standby screen when a specific event such as transmission / reception of a message, voice call, or power on / off occurs.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DCF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CF forma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DCF 포맷(400)의 구조는 20 바이트의 고정된 길이를 갖는 DCF 헤더(410)와, OMA DRM 컨테이너 박스(420), 2nd OMA DRM 컨테이너 박스(450)와, 뮤터블(mutable) DRM 정보 박스(4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structure of the DCF format 400 includes a DCF header 410 having a fixed length of 20 bytes, an OMA DRM container box 420, a 2nd OMA DRM container box 450, and a mutable ( mutable) DRM information box 460.

여기서, DCF 헤더(410)와 OMA DRM 컨테이너 박스(420)는 DCF 포맷(400)의 필수적인 사항이며, 2nd OMA DRM 컨테이너 박스(450)와 뮤터블 DRM 정보 박스(460)는 선택적인 사항이다. 뮤터블 DRM 정보 박스(46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의해 편집가능한 정보를 포함시키기 위해 사용된다.Here, the DCF header 410 and the OMA DRM container box 420 are essential items of the DCF format 400, and the 2nd OMA DRM container box 450 and the mutable DRM information box 460 are optional items. The mutable DRM information box 460 is u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o include editable information.

OMA DRM 컨테이너 박스(420)는 DCF 헤더 박스(430)와 DRM 컨텐트 박스(440)를 포함한다. DCF 헤더 박스(430) 내에는 공통 헤더(Common headers) 필드(432)와 텍스츄얼 헤더(textual headers) 필드(434)와, 사용자 데이터 필드(436)가 포함된다.The OMA DRM container box 420 includes a DCF header box 430 and a DRM content box 440. The DCF header box 430 includes a common headers field 432, a textual headers field 434, and a user data field 436.

여기서, 텍스튜얼 헤더 필드(434)와, 사용자 데이터 필드(436)는 선택적인 사항이며, 공통 헤더 필드(432)는 필수사항이다. 이외에 DCF 헤더 박스(430) 내에 포함되어야 할 필수적인 필드로 컨텐트 타입 길이 필드(미도시)와, 컨텐트 타입 필드(미도시) 등이 있다.Here, the textual header field 434 and the user data field 436 are optional, and the common header field 432 is required. In addition, essential fields to be included in the DCF header box 430 include a content type length field (not shown) and a content type field (not show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텍스튜얼 헤더 필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textual header field shown in FIG. 4.

도 5를 참조하면, 텍스튜얼 헤더 필드(434)는 사일런트 헤더 필드(434a), 프리뷰 헤더 필드(434b), 컨텐트 URL 헤더 필드(434c), 컨텐트 버젼 헤더 필드(434d), 컨텐트 로케이션 헤더 필드(434e), 및 커스텀 헤더 필드(434f)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textual header field 434 includes a silent header field 434a, a preview header field 434b, a content URL header field 434c, a content version header field 434d, and a content location header field ( 434e), and a custom header field 434f.

이 중 커스텀 헤더 필드(434f)는 텍스튜얼 헤더 필드(434) 내에 부가적으로 삽입가능한 필드로서,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 공급 서버(20)는 상기 커스텀 헤더 필드(434f) 내에 해당 컨텐츠의 오토 렌더링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는 오토 렌더링 정보가 포함된 DRM 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The custom header field 434f is an additionally insertable field in the textual header field 434. In this embodiment, the content supply server 20 automatically renders the content in the custom header field 434f. Information will be displayed. In this manner, the us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DRM content including 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컨텐츠 공급서버(20)로부터 DRM 컨텐츠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커스텀 헤더(434f) 내의 오토 렌더링 정보를 체크한다(S320). 이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200)가 오토 렌더링 정보를 확인하는 이유는 컨텐츠 공급서버(20)로부터 수신한 DRM 컨텐츠를 벨소리나 대기화면으로 사용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커스텀 헤더(434f) 내의 포함되어 있는 오토 렌더링 정보의 일예는 다음과 같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receiving the DRM content from the content supply server 20 checks 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in the custom header 434f (S320). As such, the reason wh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hecks 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is whether the DRM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supply server 20 can be used as a ringtone or a standby screen. An example of auto render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ustom header 434f is as follows.

<Ringtone>: no<Ringtone>: no

<Wallpaper>: no<Wallpaper>: no

상기 오토 렌더링 정보의 예에서, 벨소리(Ringtone)나 대기화면(Wallpaper)의 사용가능여부를 나타내는 태그인 <Ringtone>과 <Wallpaper>가 'no'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컨텐츠 공급서버(2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시 벨소리(Ringtone)나 대기화면(Wallpaper)으로 설정될 수 없음을 나타는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을 의미한다.In the example of the auto-rendering information, when <Ringtone> and <Wallpaper>, which are tags indicating whether a ringtone or a standby paper is available, are set to 'no', from the content supply server 20 Received content refers to an auto rendering constraint indicating that a specific event cannot be set as a ringtone or a standby paper.

<Ringtone>: yes<Ringtone>: yes

<Wallpaper>: yes <Wallpaper>: yes

이와 달리, 벨소리(Ringtone)나 대기화면(Wallpaper)의 사용가능여부를 나타내는 태그인 <Ringtone>과 <Wallpaper>가 'yes'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특정 이벤트의 발생시 해당 컨텐츠가 벨소리나 대기화면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On the other hand, if the <Ringtone> and <Wallpaper> tags indicating whether to use the ringtone or the wall paper are set to 'yes',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set to the ringtone or the home screen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Indicates that the user can set the feature to be used.

또한, 커스텀 헤더(434f) 내에 벨소리나 대기화면과 관련된 오토 렌더링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20)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별다른 제약사항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컨텐츠를 벨소리나 대기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In addition, when the custom header 434f does not include auto rende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ringtone or the standby screen, the controller 220 determines that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uses the content as the ringtone or the standby screen. I judge it.

이어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해당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기 위해 권리객체 발행기관(30)에 권리객체 구매요청을 하고(S325), 이에 응답하여 권리객체 발행기관(30)은 해당 컨텐츠의 권리객체를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한다(S330). 또한, 권리객체 발행기관(30)은 권리객체 발행 내역을 컨텐츠 공급 서버(20)에 전송한다(S335).Subsequent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requests a rights object purchase request to the rights object issuing agency 30 in order to receive the right to use the corresponding content (S325), and in response, the rights object issuing authority 30 responds to the rights object issuing institution 30. The rights object of the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S330). In addition, the rights object issuing agency 30 transmits the rights object issuing details to the content supply server 20 (S335).

이동통신단말기(200)는 해쉬(hash) 값 계산을 통해 해당 컨텐츠의 손상 여부를 확인한다(S340). 보다 구체적으로, OMA DRM 2.0에서는 DRM 컨텐츠의 사용권한에 해당하는 권리객체 내에 DRM 컨텐츠의 생성시 계산된 해쉬 값이 저장되어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hecks whether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damaged by calculating a hash value (S340). More specifically, in OMA DRM 2.0, a hash value calculated when generating DRM content is stored in a rights object corresponding to a use right of DRM content.

기술사양서인 OMA-TS-DRM-REL-V2_0-20050825-C.pdf 문서의 5.7.2에는 권리객체 내에 저장되는 해쉬 값인 <digest value> element 값과, 해당 해쉬 값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ex: SHA-1)이 기술되어 있다.5.7.2 of OMA-TS-DRM-REL-V2_0-20050825-C.pdf, the technical specification, contains the <digest value> element value, which is a hash value stored in the rights object, and the algorithm used to obtain the hash value. : SHA-1) is described.

즉,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상기 기술사양서에 정의된 SHA-1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DRM 컨텐츠 부분의 해쉬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해쉬 값과 권리객체 내에 저장되어 있는 해쉬 값인 <digest value> element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컨텐츠의 손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양자가 다른 경우 컨텐츠가 손상된 것으로 판단한다.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alculates a hash value of the DRM content part by using the SHA-1 algorithm defined in the technical specification, and calculates the <digest value> element which is the hash value and the hash value stored in the rights object. If the two are the sam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damage to the content, and if they are different,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is damag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MA DRM 2.0 컨텐츠를 이용한 오토 렌더링 정보 처리방법에 의하면, OMA 스펙에 정의된 DRM 컨텐츠 포맷을 사용하므로, DRM 컨텐츠 포맷에서 제공하는 해쉬(hash) 알고리즘을 통해 컨텐츠 공급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컨텐츠의 무결성(integrity)을 검증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cessing auto rendering information using OMA DRM 2.0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M content format defined in the OMA specification is used, a hash algorithm provided by the DRM content format is provided. Integrity of the content downloaded from the content supply server 20 can be verified.

S340 단계에서 해쉬값 계산을 통해 컨텐츠의 손상 여부를 확인한 결과, 컨텐츠의 손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S345:Y), 이동통신단말기(200)는 해당 컨텐츠의 오토 렌더링 정보를 메모리부(230)에 저장한다(S350).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damage to the content as a result of checking the hash value in step S340 (S345: 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ransmits 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memory unit 230. Save (S350).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M 2.0 컨텐츠를 이용한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 처리방법에 대해 계속 설명한다.6, a method for processing auto rendering constraints using DRM 2.0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다운로드받은 컨텐츠가 벨소리 또는 대기화면으로 설정되도록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S610), 제어부(220)는 해당 컨텐츠의 권리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해당 컨텐츠의 오토 렌더링 정보를 확인한다(S620).If there is a request from the user to set the downloaded content as a ringtone or a standby screen (S610), the controller 220 checks whether a right objec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exists and auto render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S620).

오토 렌더링 정보 확인 결과,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존재하는 경우(S630), 제어부(220)는 해당 컨텐츠를 벨소리나 대기화면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팝업창이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640).As a result of checking the auto-rendering information, when there is an auto-rendering constraint (S630), the controller 220 controls the display unit 250 to display a pop-up window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content cannot be used as a ringtone or a standby screen (S640).

도 7은 오디오 컨텐츠에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팝업창을 도시한다. FIG. 7 illustrates a popup window displayed on a display unit when auto rendering constraints exist in audio content.

도 7을 참조하면, 해당 컨텐츠에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즉, <Ringtone>: no 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는 벨소리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라는 문구가 기재된 팝업창(700)이 디스플레이된다.Referring to FIG. 7, when an auto rendering constraint exists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that is, when <Ringtone>: no is set, the pop-up window 700 including the phrase "the content cannot be used as a ringtone" is displayed. Is displayed.

이와 달리, 오토 렌더링 정보 확인 결과,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S630:N), 제어부(220)는 해당 컨텐츠를 벨소리나 대기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팝업창이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650).On the contrary, when 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is confirmed, when there are no auto rendering constraints (S630: N), the controller 220 displays a pop-up window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content can be used as a ringtone or a standby screen on the display 250. Control to be displayed (S650).

도 8은 오디오 컨텐츠에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팝업창을 도시한다. 8 illustrates a pop-up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re are no auto rendering constraints on the audio content.

도 8을 참조하면, 해당 컨텐츠에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Ringtone>: yes 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벨소리로 설정할까요?"라는 문구와, 사용자가 벨소리 설정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메뉴(1. 예, 2. 아니오)가 포함된 팝업창(800)이 디스플레이된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re is no auto rendering constraint on the corresponding content, that is, when <Ringtone> is set to yes, the phrase "set the content as a ringtone?" A pop-up window 800 is displayed that includes a menu (1. Yes, 2. No) for selecting.

팝업창(800)에서, 사용자가 1번 "예"를 선택하여, 해당 컨텐츠가 벨소리로 설정되도록 요청하면(S660:Y), 제어부(220)는 해당 컨텐츠가 이동통신단말기(200)의 벨소리로 설정되도록 제어하고, 이러한 설정 정보를 메모리부(230)에 저장한다(S670).In the pop-up window 800, when the user selects the first "Yes" and requests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be set as the ringtone (S660: Y), the controller 220 sets the corresponding content as the ringt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 operation S670,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such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230.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공급서버(20)로부터 특정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은 후, 다운로드받은 컨텐츠를 사용 권한을 발급받기 위해 권리객체 발행기관(30)으로부터 권리객체를 구입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컨텐츠 공급서버(20)가 컨텐츠와, 컨텐츠의 권리객체를 결합하여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권리객체 구매 단계는 생략가능하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in which the specific object is downloaded from the content supply server 20 and then the rights object is purchased from the rights object issuing agency 30 in order to receive the right to use the downloaded content has been described. However, when the content supply server 20 combines the content and the rights object of the content and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rights object purchase step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또한, 이동통신단말기(200)가 해당 컨텐츠의 권리객체를 이미 구입한 상태인 경우, 즉, 이미 권리객체를 구입한 컨텐츠를 재사용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권리객체 구매 단계는 생략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has already purchased the rights objec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that is, reusing content which has already purchased the rights object, the above-described rights object purchase step may be omit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 it is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OMA DRM 2.0 컨 텐츠 내에 오토 렌더링 정보가 포함되어 컨텐츠 공급서버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달되므로,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있는 컨텐츠의 경우, 컨텐츠 공급서버로부터 직접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은 이동통신단말기가 해당 컨텐츠를 다른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경우에도, 다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따라서, 컨텐츠의 자유로운 배포가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OMA DRM 2.0 content and transferred from the content supply serv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case of content with auto rendering constraints, the content is supplied. Even if the mobile terminal which downloaded the content directly from the server transmits the content to another mobile terminal, the other mobile terminal must comply with the auto rendering constraint.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free distribution of content is guarante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술 사양서에 정의된 해쉬값 계산을 통해 컨텐츠 공급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컨텐츠의 손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손상되지 않은 컨텐츠에 대해서만 오토 렌더링 정보를 처리하여 저장하므로, 컨텐츠 및 오토 렌더링 정보의 무결성을 보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content downloaded from the content supply server is damaged by calculating the hash value defined in the technical specification, and process and store auto rendering information only for the undamaged content.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guarantee the integrity of content and auto rendering information.

Claims (13)

DRM 컨텐츠를 컨텐츠 공급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는 단계;Downloading DRM content from a content supply server; 상기 DRM 컨텐츠 내의 특정 헤더 필드에 상기 DRM 컨텐츠를 벨소리(Ringtone) 또는 대기화면(Wallpaper)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오토 렌더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Checking whether a specific header field in the DRM content includes auto rendering information regarding whether the DRM content can be used as a ringtone or a wall paper; 확인결과, 상기 DRM 컨텐츠에 상기 DRM 컨텐츠를 벨소리 또는 대기화면으로 사용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DRM 컨텐츠를 이용하여 오토 렌더링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음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오토 렌더링 정보 처리방법.Confirming that there is an auto-rendering constraint indicating that the DRM content cannot be used as a ringtone or a standby screen in the DRM content, informing that the auto-rendering function cannot be performed using the DRM content. Auto render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DRM 컨텐츠는 OMA-TS-DRM-DCF-V2_0-20060303-A에 규정된 DCF(DRM Contents Format) 포맷으로 변환된 컨텐츠이며,The DRM content is content converted into a DRM Contents Format (DCF) format defined in OMA-TS-DRM-DCF-V2_0-20060303-A, 상기 특정 헤더 필드는, 상기 DCF 포맷의 커스텀(custom) 헤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오토 렌더링 정보 처리방법.The specific header field is a method for processing auto rendering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tom (custom) header of the DCF forma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DRM 컨텐츠에 오토 렌더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나,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DRM 컨텐츠를 벨소리 또는 대기화면으로 사용가능함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오토 렌더링 정보 처리방법.If the DRM content includes auto rendering information, but there are no auto rendering constraints, 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DRM content is available as a ringtone or a standby scree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DRM 컨텐츠에 오토 렌더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DRM 컨텐츠는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없이 자유롭게 사용가능한 컨텐츠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오토 렌더링 정보 처리방법.And when 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DRM content, determining the DRM content as freely available content without auto rendering constraint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OMA-TS-DRM-REL-V2_0-20050825-C에 규정된 해쉬값 계산을 통해, 상기 DRM 컨텐츠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Checking whether the DRM content is damaged by calculating a hash value defined in OMA-TS-DRM-REL-V2_0-20050825-C. 확인결과, 상기 DRM 컨텐츠의 손상이 없는 경우, 상기 오토 렌더링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오토 렌더링 정보 처리방법.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DRM content is not damaged, 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is stored in a memory. DRM 컨텐츠를 컨텐츠 공급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는 무선 송수신부; 및A wireless transceiver for downloading DRM content from a content supply server; And 상기 DRM 컨텐츠 내의 특정 헤더 필드에 상기 DRM 컨텐츠를 벨소리(Ringtone) 또는 대기화면(Wallpaper)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오토 렌더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DRM 컨텐츠에 상기 DRM 컨텐츠를 벨소리 또는 대기화면으로 사용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DRM 컨텐츠를 이용하여 오토 렌더링 기능을 수행할 수 없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Check whether a specific header field in the DRM content includes auto rendering information regarding whether the DRM content can be used as a ringtone or a wall paper, and the DRM content is ringing or waiting for the DRM conten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auto-rendering function using the DRM content when there is an auto rendering constraint indicating that it cannot be used as a screen.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DRM 컨텐츠는 OMA-TS-DRM-DCF-V2_0-20060303-A에 규정된 DCF(DRM Contents Format) 포맷으로 변환된 컨텐츠이며,The DRM content is content converted into a DRM Contents Format (DCF) format defined in OMA-TS-DRM-DCF-V2_0-20060303-A, 상기 특정 헤더 필드는, 상기 DCF 포맷의 커스텀(custom) 헤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The specific header field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tom (custom) header of the DCF format.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And a display unit,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DRM 컨텐츠가 벨소리 또는 대기화면으로 사용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a pop-up window indicating that the DRM content cannot be used as a ringtone or a standby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1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상기 DRM 컨텐츠에 오토 렌더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나,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DRM 컨텐츠를 벨소리 또는 대기화면으로 사용가능함을 알리는 팝업창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When the DRM content includes auto rendering information, but there are no auto rendering constraints, the control may be performed such that a pop-up window indicating that the DRM content is available as a ringtone or a standby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Communication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8. The apparatus of claim 7, 상기 DRM 컨텐츠에 오토 렌더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DRM 컨텐츠는 오토 렌더링 제약사항이 없이 자유롭게 사용가능한 컨텐츠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And when the auto rendering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DRM content, the DRM content is determined to be freely available content without auto rendering constraints.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다운로드받은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Further comprising: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content downloaded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상기 제어부는, OMA-TS-DRM-REL-V2_0-20050825-C에 규정된 해쉬값 계산을 통해, 상기 DRM 컨텐츠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DRM 컨텐츠의 손상이 없는 경우, 상기 오토 렌더링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DRM content is damaged by calculating a hash value defined in OMA-TS-DRM-REL-V2_0-20050825-C. And storing the memory in the memory unit.
KR1020070004725A 2007-01-16 2007-01-16 Method of processing an auto rendering information using OMA DRM 2.0 content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Expired - Fee Related KR1013625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725A KR101362537B1 (en) 2007-01-16 2007-01-16 Method of processing an auto rendering information using OMA DRM 2.0 content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725A KR101362537B1 (en) 2007-01-16 2007-01-16 Method of processing an auto rendering information using OMA DRM 2.0 content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440A KR20080067440A (en) 2008-07-21
KR101362537B1 true KR101362537B1 (en) 2014-02-13

Family

ID=3982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72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2537B1 (en) 2007-01-16 2007-01-16 Method of processing an auto rendering information using OMA DRM 2.0 content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53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4517A (en) * 2004-06-11 2005-12-22 Canon Inc Communication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authentication server, image management method, image management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4517A (en) * 2004-06-11 2005-12-22 Canon Inc Communication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authentication server, image management method, image management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440A (en) 2008-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0033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program,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20060015720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US8255333B2 (en) Method of generating licens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the same
US9043242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program,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1014783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ncryption key based on a DRM type of a host device
JP2009545059A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usage rights for digital content based on digital content feature description information and related devices
CN100481099C (en) Distribution of media objects
CN101743540A (en) Method and system for download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content
US8850602B2 (en) Method for protecting application and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using the same
US20040158707A1 (en) Mobile terminal for use restriction and copyright protection for content, and content security system using the same
JP2004318448A (en) Terminal device with content protection function
KR101302127B1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thereof
JP2004303108A (en) Terminal device with license transfer function
KR1014130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CONTENT RIGHTS OBJECT OF MOBILE TERM
JP2005198043A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its method, server, user terminal, encryption apparatus, managing apparatus, and streaming apparatus
US20120072593A1 (en) Multimedia content file management system for and method of using genetic information
KR101362537B1 (en) Method of processing an auto rendering information using OMA DRM 2.0 content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JP2004303107A (en) Content protection system and content playback terminal
EP2065827A2 (en) Right objects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08042484A (en) Content receiving apparatus, portable terminal, content receiving system, and accounting management method
KR100739474B1 (en) DRM-based content present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KR101064221B1 (en) Content piracy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KR100829110B1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content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09753B1 (en) METHOD FOR DOWNLOADING PERSONAL CONT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635160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program,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2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20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