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083B1 - Multi output system and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Multi output system and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7083B1 KR101337083B1 KR1020070044289A KR20070044289A KR101337083B1 KR 101337083 B1 KR101337083 B1 KR 101337083B1 KR 1020070044289 A KR1020070044289 A KR 1020070044289A KR 20070044289 A KR20070044289 A KR 20070044289A KR 101337083 B1 KR101337083 B1 KR 1013370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 sub
- input
- output device
- comma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출력장치의 출력 상태를 하나의 출력장치에 표시하고 제어하는 다중출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력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서브출력장치(30, 32)와,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상태가 표시되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출력제어영역이 구비되는 메인출력장치(10)와,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메인입력장치(20), 그리고 상기 메인입력장치(20)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를 제어하고,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상태를 상기 출력제어영역에 출력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다수의 출력장치를 제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le output system for displaying and controlling the output state of each output device on one output device and an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output device (10) having at least one sub output device (30, 32), an output control area in which the state of the sub output device (30, 32) is displayed and receives a user's command; A main input device 20 that receives a control command of the sub output devices 30 and 32, and a control command of the main input device 20 to control the sub output devices 30 and 32, and the sub And a control unit 40 for outputting the states of the output devices 30 and 32 to the output control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controlling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more efficiently.
다중출력시스템, 출력제어, 터치패드, 드래그-드롭 Multiple Output System, Output Control, Touch Pad, Drag-Drop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와 도 2b 및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채용된 다중출력시스템의 출력화면을 도시한 예시도.2A, 2B and 3 are exemplary views showing output screens of a multiple output system employ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출력시스템의 출력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utput control method of a multipl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중출력시스템의 출력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utput control method of a multipl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중출력시스템의 출력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utput control method of a multipl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메인출력장치 20: 메인입력장치10: main output device 20: main input device
30: 서브출력장치#1 32: 서브출력장치#230: Sub
40: 제어부40: control unit
본 발명은 다중출력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출력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le output system and an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최근에는 효율적인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출력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특히 일방이 타방에게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경우 기존에는 문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다중출력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Recently, many output devices are connected to one computer for efficient display. In particular, one side often uses documents to convey specific information to the other, but recently, multiple output systems are often used.
그러나 다수의 출력장치의 출력화면이 각각 다르게 구성되면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일방이 이를 전달받는 타방측의 출력화면을 볼 수 없는 경우 효율적으로 다수의 출력장치를 제어할 수 없었다.However, if the output screens of the plurality of output devices are configured differently, if one side to convey information cannot see the output screen of the other side receiving the information, the output screens of the output devices cannot be efficiently controlled.
특히 최근 은행창구에서는 은행직원측에 모니터가 구비되고, 고객측에 별도의 모니터가 구비되어 은행직원이 제어하는 바에 따라 고객측 모니터에 각종 정보가 출력되어 업무를 수행하는데, 이때 은행직원은 고객측 모니터의 출력화면을 볼 수 없었다.In particular, in recent bank windows, a monitor is provided on the bank employee side, and a separate monitor is provided on the customer side, and various information is output on the monitor of the customer under the control of the bank employee. I could not see the output screen of the monitor.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다수의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측의 모니터에 각 출력장치의 출력내용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다수의 출력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지 못하여 업무처리가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utput contents of each output device are not displayed on the monitor of the control device for the plurality of output devic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 processing is delayed due to the inability to control the multiple output devices efficiently. .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출력장치에 다른 출력장치의 출력 상태가 표시되는 다중출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력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le output system in which the output state of another output device is displayed on one output device and an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다수의 출력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중출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력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le output system and an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control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more efficient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서브출력장치와, 상기 서브출력장치의 상태가 표시되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출력제어영역이 구비되는 메인출력장치와, 상기 서브출력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메인입력장치와, 상기 메인입력장치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서브출력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서브출력장치의 상태를 상기 출력제어영역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output device having at least one sub output device, and an output control area in which the state of the sub output device is displayed and receives a user's command And a main input device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the sub output device, a control command from the main input device to control the sub output device, and output a state of the sub output device to the output control area.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이때 상기 상태의 표시는 상기 출력제어영역에 상기 서브출력장치의 출력화면이 출력됨으로써 표시된다.At this time, the display of the state is displayed by outputting the output screen of the sub output device to the output control area.
또는 상기 상태의 표시는 상기 출력제어영역에 상기 서브출력장치의 출력화면에 대한 정보가 출력됨으로써 표시된다. Alternatively, the display of the state is displayed by outputting information on the output screen of the sub output device to the output control area.
그리고 상기 서브출력장치는 상기 서브출력장치의 출력화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서브입력부를 더 포함한다.The sub output device further includes a sub input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ccording to the output screen of the sub output device.
한편 상기 서브출력장치의 제어명령은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 및 종료명령, 각종 데이터 파일의 표시명령, 상기 서브출력장치의 환경설정 명령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command of the sub output device includes a command for executing and terminating various programs, a display command for various data files, and an environment setting command for the sub output device.
상기 각종 데이터 파일의 표시명령과 프로그램 실행명령은 상기 메인입력장치를 통하여 상기 메인출력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각종 데이터 파일 아이콘 또는 프로그램 아이콘을 상기 출력제어영역에 드래그-드롭(Drag-drop)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The display command and the program execution command of the various data files may be input by dragging and dropping the various data file icons or program icons displayed on the main output device through the main input device to the output control area. Can be.
그리고 상기 출력제어영역은 각 서브출력장치마다 별도로 구성된다. The output control area is configured separately for each sub output device.
한편 본 발명은 메인입력장치와 메인출력장치, 하나 이상의 서브출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중출력시스템에서, (A)상기 메인입력장치로부터 상기 서브출력장치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단계와, (B)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서브출력장치의 출력화면을 변경하는 단계와, (C)상기 서브출력장치의 변경된 상태를 상기 메인출력장치의 출력제어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output system including a main input device, a main output device, and one or more sub output devices, the method comprising: (A) receiving a control command of the sub output device from the main input device; And (C) displaying the changed state of the sub output device in the output control area of the main output device in response to the command.
이때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태의 표시는 상기 출력제어영역에 상기 서브출력장치의 출력화면이 출력됨으로써 표시된다.At this time, in the displaying step, the display of the state is displayed by outputting the output screen of the sub output device to the output control area.
또는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태의 표시는 상기 출력제어영역에 상기 서브출력장치의 출력화면에 대한 정보가 출력됨으로써 표시된다. Alternatively, in the displaying, the display of the state is displayed by outputting information on an output screen of the sub output device to the output control area.
그리고 서브입력부의 입력이 감지되는 단계와, 상기 서브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cting an input of the sub input unit and processing data input from the sub input unit.
또한 본 발명은 메인입력장치와 메인출력장치, 하나 이상의 서브출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중출력시스템에서, 상기 메인입력장치로부터 상기 서브출력장치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제어명령의 죵류를 판단하는 단계와,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서브출력장치의 출력화면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출력장치의 변경된 상태를 상기 메인출력장치의 출력제어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명령의 종류를 판단한 결과, 상기 제어명령이 입출력모드에 대한 명령인 경우, 서브입력부로부터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입력부로부터 입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서브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ultiple output system including a main input device, a main output device, and at least one sub output device, receiving a control command of the sub output device from the main input device; Determining an operation of the sub output device; changing the output screen of the sub output device in response to a command; displaying a changed state of the sub output device in an output control area of the main output device; When the control command is a command for the input / output mode, the controller detects an input from the sub-input unit, and if it detects an input from the sub-input unit, processes the data inputted from the sub-input unit to execute the command. Performing the steps.
이때, 상기 제어명령의 종류를 판단한 결과, 상기 제어명령이 출력모드에 대한 명령인 경우, 상기 서브입력부의 입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control command, when the control command is a command for the output mod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blocking the input of the sub-input unit.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중출력시스템의 하나의 출력장치에 다른 출력장치의 출력내용이 표시됨으로써 각 출력장치의 출력내용 및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다수의 출력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output content of the other output device is displayed on one output device of the multiple output system can easily grasp the output content and status of each output device and efficiently It can be controlled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다중출력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multiple out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a와 도 2b 및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채용된 다중출력시스템의 출력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2b and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utput screen of a multiple output system employ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다중출력시스템은 메인출력장치(10)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출력장치(10)는 CRT, LCD, PDP 모니터와 같은 통상의 디스플레이수단이다.As shown in FIG. 1, a multipl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메인출력장치(10)에는 출력제어영역이 구비된다. 상기 출력제어영역은 상기 메인출력장치(10)의 출력화면의 일측에 구비되어 후술할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내용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출력제어영역을 통하여 상기 서브출력장 치(30, 32)의 제어가 이루어진다.The
그리고 상기 다중출력시스템은 메인입력장치(20)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입력장치(2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태블릿 등 통상의 입력수단으로 이루어진다. The multiple output system includes a
상기 메인출력장치(10)는 상기 메인입력장치(20)의 입력 내용에 따라 출력화면이 변경되고, 또한 상기 메인출력장치(10)의 출력내용에 따라 상기 메인입력장치(20)에서 선택할 수 있는 기능과 입력가능한 정보가 제한된다.The
한편, 상기 다중출력시스템에는 하나 이상의 서브출력장치(30, 32)가 구비된다.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는 CRT, LCD, PDP 모니터와 같은 통상의 디스플레이수단이며, 터치스크린이나 그 밖의 입력수단 등 서브입력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ultiple output system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sub output devices (30, 32).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일반 PC의 CPU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출력장치(10)와 상기 메인입력장치(20), 그리고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입력과 출력을 제어한다.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출력제어영역에 대한 개별적인 컨트롤을 수행한다. 상기 출력제어영역은 상기 메인출력장치(10)의 출력화면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표시되고,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운영체제 기반에서의 윈도우 창의 형태와 같이 표시될 수 있고, 또는 고정된 영역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출력제어영역은 상기 메인출력장치(10)에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출력제어영역을 통하여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제어영역은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가 다수 구비된 경우, 각각의 서브출력장치마다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The output control area displays the output state of the
이때 상기 출력제어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상태는 다양하게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에 표시되고 있는 데이터의 명칭, 프로그램의 실행상태 등이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ates of the
그리고 상기 출력제어영역을 통하여 서브출력장치(30, 32)를 제어하는 방법 또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methods of controlling the
도 2a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출력시스템의 상기 메인출력장치(10)의 출력화면을 도시하는 것이다. 특히 은행창구에서 상기 메인출력장치(10)는 은행직원측에서,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는 고객측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은행직원이 상기 메인출력장치(10)의 출력내용을 통하여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를 제어하는 경우이다. FIG. 2A shows an output screen of the
예를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제어영역이 상기 메인출력장치(10)의 출력화면 우측 하단에 표시된다. 그리고 두 개의 출력제어영역이 도시되고 있는데 이는 상기 다중출력시스템의 두 개의 서브출력장치(30, 32)에 대하여 각각 상기 출력제어영역이 표시됨을 보여준다. For example, as shown, the output control area is displayed at the lower right of the output screen of the
상기 두 개의 출력제어영역 중 좌측에는 상기 서브출력장치#1(30)에 대한 제 어명령이 입력되고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업무안내' 폴더에 저장된 '대출안내' 파일 아이콘이 마우스에 의해 상기 출력제어영역 중 좌측의 출력제어영역으로 드래그(drag)되고 그 출력제어영역 내에 드롭(drop)된다.A control command for the sub
이러한 동작은 상기 제어부(40)에서 상기 서브출력장치#1(30)에 상기 '대출안내' 파일의 데이터 내용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서브출력장치#1(30)가 상기 '대출안내' 파일의 데이터 내용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This operation is recognized as a control command that causes the
그리고 프로그램실행 아이콘을 마우스로 드래그-드롭하면 상기 아이콘이 드롭된 상기 출력제어영역의 상기 서브출력장치(31, 32)에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 내용이 출력된다.When the program execution icon is dragged and dropped with a mouse, the execution contents of the program are output to the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출력제어영역 중 우측 출력제어영역에는 상기 서브출력장치#2(32)의 출력내용이 표시된다. 즉, 상기 서브출력장치#2(32)에 표시중인 화면이 상기 출력제어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로 조절되어 표시되고, 상기 서브출력장치#2(32)에 표시되는 파일명이 상기 출력제어영역 상단에 표시된다.Meanwhi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output contents of the sub
도 2b는 상기 서브출력장치#2(32)의 출력화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출력화면은 도 2a의 우측하단에 표시된 두 개의 출력제어영역 중 우측의 상기 출력제어영역에 표시되는 화면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FIG. 2B shows an output screen of the sub
한편 도 3에는 상기 메인출력장치(10)의 출력화면의 다른 예를 보이는데,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메인출력장치(10)의 출력화면 우측하단에 두 개의 상기 출력제어영역이 표시된다.Meanwhile, FIG. 3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output screen of the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출력제어영역 중 우측 출력제어영역에서 마우스를 우클릭한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명령을 선택할 수 있는 창이 표시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서브출력장치#2(32)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mouse is right-clicked in the right output control area among the two output control areas, a window for selecting various commands is displayed as shown. Through this, the sub
예를들어 '환경설정'을 선택하면, 상기 서브출력장치#2(32)의 밝기, 해상도, 표시화면의 크기나 위치 등을 조정할 수 있는 User Interface가 상기 메인출력장치(10)에 표시되고, 이를 통해 상기 서브출력장치#2(32)에 대한 각종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 selects 'environmental setting', a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resolution, display screen size or position of the sub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아이콘을 드래그-드롭하여 파일을 열거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외에도 '파일열기' 또는 '프로그램실행'을 선택하여 파일을 열고,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a method of opening a file or executing a program by dragging and dropping an icon, a file may be opened by selecting 'Open file' or 'Run program', and the program may be executed.
그리고 '파일닫기' 또는 '프로그램종료'를 선택하여 상기 서브출력장치#2(32)에 표시되고 있는 파일을 닫거나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출력장치#2(32)에는 '환전안내' 파일에 저장된 데이터가 표시되고 있으므로, 상기 '파일닫기'를 선택하여 '환전안내' 화면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e being displayed on the sub
그러나 상기 다중출력시스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 외에도 상기 출력제어영역을 통한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제어 및 상태표시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상술한 실시예는 그 일례에 불과하다. However, in the multi-output system,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control and status display of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출력시스템을 이용한 출력제어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detailed embodiment of an output control method using a multiple out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출력시스템의 출력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중출력시스템의 출력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중출력시스템의 출력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utput control method of a multipl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utput control method of a multipl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utput control method of a multipl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출력시스템의 출력제어방법은, 메인입력장치(20)로부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제어명령이 수신되는 단계(S100)부터 시작된다.As shown in FIG. 4, the output control method of the multipl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S100) of receiving a control command of the
이때,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에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거나,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도록 하는 명령, 그리고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환경설정을 변경하는 명령 등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를 제어하는 모든 명령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command may include a command for outputting data to the
상기 제어명령이 상기 메인입력장치(20)로 입력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외의 다양한 방법에 의할 수 있다.The method of inputting the control command to the
상기 제 100단계에서 제어부(40)로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화면을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변경하여 출력한다(S200).When the control command of the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상기 메인출력장치(10)의 출력제어영역에 표시하여준다(S300).Th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상기 메인출력장치(10)의 출력제어영역에 표시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고, 이 대신에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내용에 대한 각종 정보를 문자로 표시할 수도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same screen as the output screens of the
예를들어,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명칭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에서 프로그램 실행과정을 출력하고 있다면, 그 실행과정의 진행상태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the name of the data displayed on the
은행창구에서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를 통하여 고객으로부터 출금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고객은 계좌번호, 예금주 성명, 출금액수 등을 입력하여야 하는데 은행직원이 고객의 입력과정을 알 수 있도록 상기 메인출력장치(10)에 현재 입력 중인 정보의 명칭 또는 입력완료여부 등을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When receiving information for withdrawal from the customer through th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입력장치(20)로부터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제어명령이 수신되는 단계(S100)부터 시작된다.Meanwhil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from step S100 in which a control command of the
이때 상기 제어명령과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방법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다. 또한, 명령에 따라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화면을 변경하고(S200),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상기 메인출력장치(10)의 출력제어영역에 표시하여 주는 단계(S300)가 순차적으로 수행됨은 도 4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In this case, the control command and the method of inputting the control command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n addition, the output screen of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는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에 서브입력부(도면 미도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서브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제 100단계에서 수신 된 제어명령에 따라 변경된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화면의 내용에 대응하는 각종 정보 및 각종 기능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sub input unit (not shown) is included in the
그리고 상기 서브입력부가 변경된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 내용에 대응하는 각종 정보 및 각종 기능선택이 입력되기를 대기하는 단계(S400)가 진행된다.In operation S400, the sub-input unit waits for input of various information and various function selections corresponding to the output contents of the
이때, 상기 서브입력부로부터의 입력이 감지되면(S500),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서브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한다(S600). 그리고 데이터의 처리결과에 따라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화면을 변경하는 단계(S200)가 다시 수행되고, 상기 서브입력부로부터 입력이 이루어질 때마다 제 200단계 내지 제 600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In this case, when an input from the sub input unit is detected (S500), th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입력장치(20)로부터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제어명령이 수신되는 단계(S100)부터 시작된다.Meanwhil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from step S100 in which a control command of the
그리고 상기 제 100단계에서 수신된 제어명령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110)가 수행되는데, 이는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제어명령이 출력모드에 대한 제어명령인지, 입출력모드에 대한 제어명령인지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진다.In operation S110, a type of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in operation 100 may be determined. The
이때 상기 출력모드란, 상기 제어명령이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에 특정 데이터가 단순 디스플레이되는 동작의 실행명령인 경우를 말한다. 한편, 상기 입출력모드란, 상기 제어명령이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에 특정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뿐 아니라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에 구비되는 상기 서브입력부로부터의 입력이 요구되는 동작의 실행명령인 경우를 말한다.In this case, the output mode refers to a case where the control command is an execution command of an operation in which specific data is simply displayed on the
상기 제 110단계에서 판단된 결과 상기 제어명령이 상기 출력모드인 경우, 명령에 따라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화면을 변경하고(S200),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상기 메인출력장치(10)의 출력제어영역에 표시하여 주는 단계(S300)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When the control command is the output mode as a result determined in step 110, the output screen of the
그리고, 상기 제어명령이 상기 출력모드에 대한 제어명령인 경우, 상기 서브입력부로부터의 입력이 필요하지 않고, 오히려 불필요한 입력이 수신되어 상기 메인출력장치(10)의 출력내용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서브입력부의 입력을 차단하는 과정(S700)이 수행된다.When the control command is a control command for the output mode, an input from the sub-input unit is not necessary, but rather an unnecessary input may be received so that the output content of the
한편, 상기 제 110단계에서 상기 제어명령이 상기 입출력모드에 대한 명령으로 판단된 경우에도, 명령에 따라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화면을 변경하고(S200),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상기 메인출력장치(10)의 출력제어영역에 표시하여 주는 단계(S300)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Meanwhile, even when the control command is determined as the command for the input / output mode in step 110, the output screens of the
그리고, 정보의 입력을 받아야 하므로 상기 서브입력부가 정보의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S400)이 진행되고, 이때 상기 서브입력부로부터의 입력이 감지되면(S500) 상기 서브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40)가 처리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명령을 각 입출력부에 전달한다(S600).In addition, since the sub input unit waits for the input of the information (S400), the input from the sub input unit is detected (S500). 40 processes and transmits the appropriate command to each input and output unit (S600).
이에 따라 다시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화면이 변경되고(S200),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상기 메인출력장치(10)의 출력제어영역에 표시하여 주는 단계(S300)가 수행된다.Accordingly, the output screens of the
상기 서브입력부로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 200단계 내지 제 600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When the input is made to the sub input unit, steps 200 to 600 are repeatedly performed.
상술한 실시예는, 예를들어 은행창구에서 은행직원이 상기 메인출력장치(10)를 사용하고, 고객이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은행직원이 고객에게 단순히 금융상품을 소개하는 화면을 보여주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메인입력장치(20)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출력모드에 대한 제어명령으로 인식하여 순차적인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가 된다. The above embodiment can be used, for example, when a bank employee uses the
한편, 고객에게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경우와 같이 상기 서브입력부에서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입출력모드 제어명령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 200단계 내지 제 600단계를 순차적,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경우가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information is to be input from the sub-input unit, such as when a password is input to a customer, the
그러나 상기 제 300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상기 메인출력장치(10)의 출력제어영역에 표시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고, 이 대신에 상기 서브출력장치(30, 32)의 출력내용에 대한 각종 정보를 문자로 표시할 수도 있다.However, in step 300,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same screen as the output screens of the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다중출력시스템 및 이를 이 용한 출력제어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multiple output system and the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즉, 다중출력시스템의 하나의 출력장치에 다른 출력장치의 출력내용이 표시됨으로써 각 출력장치의 출력내용 및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at is, the output content of the other output device is displayed on one output device of the multiple output system, so that the output content and status of each output device can be easily grasped.
또한, 다중출력시스템의 하나의 출력장치를 통해서 다수의 출력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efficient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through one output device of the multiple output system.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4289A KR101337083B1 (en) | 2007-05-07 | 2007-05-07 | Multi output system and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4289A KR101337083B1 (en) | 2007-05-07 | 2007-05-07 | Multi output system and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8899A KR20080098899A (en) | 2008-11-12 |
KR101337083B1 true KR101337083B1 (en) | 2013-12-05 |
Family
ID=4028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4289A Active KR101337083B1 (en) | 2007-05-07 | 2007-05-07 | Multi output system and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7083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044723A1 (en) * | 2002-08-27 | 2004-03-04 | Bell Cynthia S. | User interface to facilitate exchanging files among processor-based devices |
-
2007
- 2007-05-07 KR KR1020070044289A patent/KR10133708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044723A1 (en) * | 2002-08-27 | 2004-03-04 | Bell Cynthia S. | User interface to facilitate exchanging files among processor-based devic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8899A (en) | 2008-1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64873A (en) | Lazy drag of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bjects | |
US5546527A (en) | Overriding action defaults in direct manipulation of objects on a user interface by hovering a source object | |
US5745718A (en) | Folder bar widget | |
US8381127B2 (en) |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isplaying windows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based on relative priorities associated with the windows | |
US8356258B2 (en) | Arranging display areas utilizing enhanced window states | |
US7546545B2 (en) | Emphasizing drop destinations for a selected entity based upon prior drop destinations | |
EP2284657B1 (en) | Method for dragging and dropping between multiple layered windows | |
US10223057B2 (en) |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anagement of virtual input device interactions | |
US20060161864A1 (en) | Menu entries for drop-down menus of graphic user interfaces | |
US20070265930A1 (en) | Usability by offering the possibility to change viewing order in a navigation panel | |
US5561758A (en) | Tunnel icon | |
CN101145098A (en) |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n application window of a computer system modulated with video data | |
US587495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scrolling functionality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tilizing a software tether | |
KR100381583B1 (en) | Method for transmitting a user data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 |
US619509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ttributes of a computer work station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
US9361012B2 (en) | Sticky functionality | |
KR101337083B1 (en) | Multi output system and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reof | |
US10228892B2 (en) |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anagement of virtual input device interactions | |
JPH08305538A (en) |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 of state of icon | |
JP3867459B2 (en) | Window display control device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thereof | |
EP0468911A2 (en) | A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irect manipulating of a source object in a computer system | |
JP2006085724A (en) | Window display control device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thereof | |
JP6439719B2 (en) | Display control device | |
KR20080098898A (en) | Multiple input / output system and input /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
JP2017182369A (en) | Display control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7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712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4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5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303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