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507B1 - Charcoal fire roasting apparatus capable of heat adjustment - Google Patents
Charcoal fire roasting apparatus capable of heat adjust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8507B1 KR101328507B1 KR1020120098574A KR20120098574A KR101328507B1 KR 101328507 B1 KR101328507 B1 KR 101328507B1 KR 1020120098574 A KR1020120098574 A KR 1020120098574A KR 20120098574 A KR20120098574 A KR 20120098574A KR 101328507 B1 KR101328507 B1 KR 1013285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coal
- lifting
- selectively
- inlet hole
- se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3/00—Heaters not covered by group F24B1/00, e.g. charcoal brazi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8—Draught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손쉽게 화력을 조절하여 조리시 다양한 조리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측면부에 제1공기유입홀이 형성되고, 상단부 테두리에는 걸림단이 연장 형성되며, 슬라이드면이 형성된 승강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외부케이스; 상기 걸림단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걸림홈이 상단에 형성되고, 하부에 중앙부가 개구된 중공부의 외측 테두리에 기름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 내측에 측부가 이격되어 배치되되, 외력에 의한 회전시 상기 슬라이드면을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되는 승강돌기부가 구비되는 기름받이; 상기 기름받이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중공부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외숯통; 및 상기 외숯통의 외부와의 사이로 송급유로를 형성하도록 상호 이격하여 배치되되, 내부에 연소용 숯이 수용되며 하면부에 복수개의 제2공기유입홀이 형성되고, 상단 내측 테두리에 상기 제1공기유입홀 및 송급유로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부로 토출하는 상부유입홀이 형성되는 내숯통을 포함하는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ir inlet hole is formed in the side portion, and the engaging end is formed in the upper edge thereof, and the lifting guide portion formed with the slide surface is provided so that various cooking methods can be applied when cooking by easily adjusting the thermal power. case; A locking groove selectively seated at the locking end is formed at an upper end, and an oil receiving part is formed at an outer edge of the hollow part of which the central part is opened at the lower end, and the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outer case, and rotated by external force. An oil sump provided with a lifting protrusion selectively lifting along the slide surface; The outer charcoal barrel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oupled to the rim of the hollow portion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p tra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orm a supply flow path between the outside of the outer shell, the combustion charcoal is accommodat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second air inlet holes are formed i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the first inner edge of the upper inner edge is formed. It provides a charcoal roasting device that is easy to control the fire power including an inner charcoal is formed with an upper inlet hole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and the supply passage to the top.
Description
본 발명은 숯불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쉽게 화력을 조절하여 조리시 다양한 조리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coal grill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coal grilling device capable of easily controlling a firepower and applying various cooking methods when cooking.
일반적으로 소고기나 돼지고기, 닭고기 등과 같은 육류는 구워 익힌 후 섭취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열원으로 숯의 연소열을 이용하는 숯불구이는 고기맛이 좋아 널리 선호되는 육류 조리방법 중 하나이다.Generally, meat such as beef, pork, chicken, etc. is often consumed after being cooked. In particular, charcoal grilling, which uses the heat of combustion of charcoal as a heat source, is one of popular meat cooking methods because of its good taste.
여기서 숯불구이에 사용되는 숯불구이장치는 내부에 숯을 수납하는 숯통과 상기 숯통을 수납하는 본체 및 석쇠 등으로 이루어지며, 숯이 연소되어 발생하는 화기나 열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삶거나, 끓이거나 굽는데 사용된다. 이때, 상기 숯이 연소되어 원활한 발화 및 적정한 화기나 열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산소가 공급되어야한다. The charcoal roasting apparatus used for charcoal roasting is composed of a charcoal container for storing charcoal inside and a body and grill for storing the charcoal container, and boil or boil food by using fire or heat generated by burning charcoal. Used to bake. At this time, a certain amount of oxygen must be supplied to the char to burn the char and to maintain a proper ignition and a proper fire or heat.
한편, 종래의 숯불구이장치로 조리하기 위해서는 연소되는 숯통에 부채질을 하거나 별도의 송풍장치를 설치하여 산소를 공급하여야 하는데, 부채질을 할 경우 산소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므로 숯이 불완전연소되어 다량의 연기가 발생되어 조리를 하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겪을 뿐만 아니라 불완전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등의 유독가스에 의해 암발생 위험에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ok with a conventional charcoal roasting device, the fan should be fanned to a burning charcoal barrel or a separate blower should be installed to supply oxygen. In case of fanning, oxygen is not supplied smoothly, so the charcoal is incompletely burned. There was a problem that smoke is generated and the user who cooks is not only inconvenient but also exposed to cancer risk by toxic gases such as carbon monoxide generated by incomplete combustion.
또한, 별도의 송풍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경우 별도의 구매비용을 지불해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송풍장치를 가동하기 위해 별도의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고, 야외와 같이 상기 송풍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상기 숯불구이장치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a separate air supply device is required, it is not only required to pay a separate purchase cost but also requires a separate power supply to operate the air supply device, resulting in low economical efficiency.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harcoal grilling apparatus can not be used.
한편, 상기의 문제점을 일부 개선하여 숯통 하부에 형성된 공기조절구멍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손잡이가 연결된 공기조절판이 결합된 숯불구이장치도 일부 개시되었다. Some of the above problems have been partially overcome, and a charcoal grilling apparatus having an air-conditioning plate coupled with a handl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air-conditioning hole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harcoal has been disclosed.
그러나, 이러한 숯불구이장치는 숯통 바닥에 상기 공기조절판이 직접연결되므로, 숯이 타고남은 재 등의 이물질이 쉽게 끼여 상기 공기조절판을 조절시 간섭을 받게 되고 회동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숯불구이장치 전체가 흔들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숯이나 가열된 음식물에 의해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공기조절판이 회동되지 않아 공기유입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므로 숯이 불완전연소되어 다량의 연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air control plat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charcoal grill, such a charcoal roasting device, foreign matters such as ashes left by charcoal are easily jammed and interfere with the adjustment of the air control plate, thereby causing problems. As a result, the entire charcoal roasting device is shaken, so that a user may experience a safety accident such as burning by charcoal or heated food. In addition, the air control plate is not rotat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air inflow is not smooth,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smoke is generated by incomplete combustion of charcoal.
등록실용신안 제20-0271446호(2002.03.28)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271446 (Mar. 28, 200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손쉽게 화력을 조절하여 조리시 다양한 조리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coal grilling apparatus which can easily control a firepower and can apply various cooking methods when cooking.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면부에 제1공기유입홀이 형성되고, 상단부 테두리에는 걸림단이 연장 형성되며, 슬라이드면이 형성된 승강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외부케이스; 상기 걸림단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걸림홈이 상단에 형성되고, 하부에 중앙부가 개구된 중공부의 외측 테두리에 기름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 내측에 측부가 이격되어 배치되되, 외력에 의한 회전시 상기 슬라이드면을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되는 승강돌기부가 구비되는 기름받이; 상기 기름받이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중공부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외숯통; 및 상기 외숯통의 외부와의 사이로 송급유로를 형성하도록 상호 이격하여 배치되되, 내부에 연소용 숯이 수용되며 하면부에 복수개의 제2공기유입홀이 형성되고, 상단 내측 테두리에 상기 제1공기유입홀 및 송급유로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부로 토출하는 상부유입홀이 형성되는 내숯통을 포함하는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air inlet hole is formed in the side portion, the outer edge is provided with a latching end is formed on the upper edge, the lifting guide portion formed with a slide surface; A locking groove selectively seated at the locking end is formed at an upper end, and an oil receiving part is formed at an outer edge of the hollow part of which the central part is opened at the lower end, and the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outer case, and rotated by external force. An oil sump provided with a lifting protrusion selectively lifting along the slide surface; The outer charcoal barrel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oupled to the rim of the hollow portion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p tra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orm a supply flow path between the outside of the outer shell, the combustion charcoal is accommodat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second air inlet holes are formed i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the first inner edge of the upper inner edge is formed. It provides a charcoal roasting device that is easy to control the fire power including an inner charcoal is formed with an upper inlet hole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and the supply passage to the top.
이때, 상기 승강가이드부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단에 연결되는 하부손잡이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돌기부는 상기 기름받이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손잡이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드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철이 형성된 요철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돌기부에는 슬라이드면에 대응되는 형합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elevating guide portion is provided on the lower handl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e, the elevat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upper handl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ip tray, the slide surface is inclined, the slide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unevenness catching part having unevenness formed therein is provided, and a lifting face corresponding to the slide face is formed on the lifting protrusion.
여기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안착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숯통의 하단부에는 승강됨에 따라 상기 안착돌출부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안착걸림턱이 절곡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출부의 중앙에는 균형유지돌기가 돌설되고, 상기 내숯통 바닥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균형유지돌기가 삽입되는 균형유지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a seat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a seating jaw is selectively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ating protrusion as the bottom portion of the outer shell is elevated, and the balance is maintained at the center of the seating protrusion. The projection is protrud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balance maintaining hole is inserted into the balance maintaining projection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harcoal.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 내주면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승강가이드부가 구비되어 연결되고, 상기 기름받이 외주면에는 상기 보조승강가이드부를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승강되는 보조승강돌기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auxiliary lifting guide portion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the auxiliary lif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p tray while being selectively slid along the auxiliary lifting guide portion.
한편, 냄비나 주전자 등이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안착걸이가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외숯통 상부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걸림 배치되는 삼발이와, 양단이 개구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되, 그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면이 상기 삼발이 상부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열상승관과, 상기 열상승관 상부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밀폐뚜껑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eating hooks for selectively placing pots or kettle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are formed in a trivet and a conical shape, both ends of which are selectively latch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of the charcoal, both of which are at the top or bottom thereof. At least one of the surfaces is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heat riser tube is sel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ivet, and a closed lid selectively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t riser tub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charcoal gril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acilitates the adjustment of the thermal power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승강가이드부와 상기 승강돌기부가 설정된 각도의 경사각을 가지는 슬라이드면을 따라 회전과 동시에 승강됨에 따라 상기 기름받이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외숯통 하단의 안착걸림턱이 승강되면서 상기 안착돌출부로부터 탈착되어 공기공급유로가 개방되며, 슬라이딩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안착걸림턱 끝단과 안착돌출부 일면 사이 간격의 폭을 증감시켜 공기유입량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First, as the lifting guide part and the lifting projection part are lifted and rotated simultaneously along the slide surface hav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t angle, the seat catching jaw of the lower end of the external charcoal barrel connected to the oil tray is lifted and detached from the seating protrusion. The air supply passage is opened, and by adjusting the sliding rotation angle, the air inflow amount can be easily and easily adjust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width of the gap between the end of the seating jaw and one side of the seating protrusion.
둘째, 상기 내숯통 하면부에 형성된 제2공기유입홀 뿐만 아니라 상기 내숯통과 외숯통이 이격 배치되면서 형성된 제2공기유입유로를 통하여 상기 내숯통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부유입홀을 통해 연소되는 숯의 상단부 측으로도 산소가 공급되므로 숯의 상단부에서의 불완전연소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연기나 일산화탄소 등 유독가스 배출량을 현저히 감소시켜 조리시 사용자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Second, of the char burned through the upper inlet hol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harcoal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flow path formed by separating the inner and outer charcoal barrel as well as the second air inlet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harcoal barrel Since oxygen is also supplied to the upper end side, it minimizes the occurrence of incomplete combustion at the upper end of the char,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amount of toxic gases such as smoke and carbon monoxide, thereby eliminating user inconvenience when cooking.
셋째, 상기 승강가이드부와 상기 승강돌기부가 슬라이딩 회전함에 있어 외부케이스 내측 일면과 기름받이의 외측 일면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보조승강가이드부와 상기 보조승강돌기부 및 상기 외부케이스 하면과 내숯통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균형유지돌기와 상기 균형유지홀의 결합구조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Third, the auxiliary lifting guide portion and the auxiliary lifting projection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cas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harcoal barrel respective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rip tray in sliding rotation of the elevating guide portion and the elevating protrusion A more stable rot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alance maintaining protrusion and the balance maintaining hole formed.
넷째, 상기 외부케이스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안착돌출부가 상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이루어 하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데, 이로 인해 숯불구이장치가 장착되는 면과의 표면적이 최소화되어 상기 숯불구이장치로부터 직접 전도되는 열이 현저히 줄어들어 상기 장착되는 면이 화기에 의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Fourth, the seating protrus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outer case forms a structure protruding upward, thereby forming a space portion at the bottom, thereby minimizing the surface area of the surface on which the charcoal roasting device is mounted, thereby conducting heat directly from the charcoal roasting device. This significantly reduces the problem that the mounting surface is damaged by fire,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를 나타낸 부분절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름받이부가 회전된 상태의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름받이부가 회전되어 승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븐용 부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그릴판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부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FIG. 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coal grilling apparatus which is easy to control thermal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artial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coal grilling apparatus which is easy to control a thermal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3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coal roasting device is easy to adjust the thermal power of the oil receiving part rot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p tray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for the ove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Figure 6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grill plate is mounte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componen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harcoal g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를 나타낸 부분절개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coal roasting device easy to adjust the thermal power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incision disassembly showing a charcoal roasting device easy to adjust the thermal power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spective view.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100)는 외부케이스(10), 기름받이(20), 외숯통(30) 및 내숯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1 to 2, the
여기서, 상기 외부케이스(10)는 측면부에 복수개의 제1공기유입홀(17)이 형성되는데 이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된다. 또한, 상단부 테두리(28)에는 걸림단(11)이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단(11)은 후술되어지는 기름받이(20)에 형성되는 걸림홈부(21)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Here, the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상부에는 승강가이드부(1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승강가이드부(14)는 상기 외부케이스(10) 상부의 상호 대칭되는 양측에 구비되는 하부손잡이(13)의 상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가이드부(14)는 그 상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면(15)이 설정된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는데 후술되어지는 승강돌기부(24)와 서로 슬라이딩 회전되면서 높낮이가 조절된다.And, the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안착돌출부(1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돌출부(12)의 중앙에 균형유지돌기(12a)가 돌설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주면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승강가이드부(16)가 구비되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때, 상기 보조승강가이드부(16)에는 상기 승강가이드부(14)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드면(15)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보조승강가이드부(16)는 별도의 승강가이드부재가 상기 외부케이스(10) 내벽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외부케이스(10)에 일체로 돌설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이러한 상기 외부케이스(1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거나 경우에 따라 목재, 대리석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시 야외 바닥이나 테이블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테이블 중앙에 홀을 형성하여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측면부가 걸림 고정되도록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한편,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에 상기 기름받이(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름받이(20)의 상단에는 걸림홈부(21)가 형성되는데 상기 외부케이스(10)에 형성된 상기 걸림단(11)에 선택적으로 안착된다. 이때, 상기 외부케이스(10)와 상기 기름받이(20)의 측부는 이격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된 공간부는 상기 제1공기유입홀(17)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소통되는 공기공급유로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리고, 상기 기름받이(20)의 하부에는 기름수용부(2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기름받이(20) 하부에는 중앙부가 개구된 중공부(27)가 형성되고 그 외측테두리(28)가 상측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외측테두리(28)로 인해 설정된 깊이의 홈을 이루는 상기 기름수용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기름받이(20)의 상부에는 승강돌기부(2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승강돌기부(24)는 상기 기름받이(20) 상부의 상호 대칭되는 양측에 구비되는 상부손잡이(23)의 하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승강돌기부(24)는 상기 승강가이드부(14)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외력에 의한 회전시 서로 슬라이딩 되면서 높낮이가 조절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기름받이(20)의 내주면의 일면에는 보조승강돌기부(26)가 돌설되되, 보조승강가이드부(16)의 상면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상기 기름받이(20) 내부에 상기 외숯통(3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숯통(30)의 일면이 상기 기름받이(20) 하부에 형성된 중공부(27)의 외측테두리(28)에 결합되는데, 이러한 결합구조로 인해 상기 승강가이드부(14)와 상기 승강돌기부(24)의 슬라이딩 회전시 상기 기름받이(20)가 회전함에 있어, 상기 기름받이(20)에 결합된 상기 외숯통(30)도 연동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를 위해, 상기 중공부(27)의 외측테두리(28) 끝단에는 결합돌기(28a)가 형성되고, 상기 외숯통(30)의 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28a)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32)이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기름받이(20)와 상기 외숯통(30)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되거나 키와 그에 대응되도록 키홈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To this end, a
또한, 상기 외숯통(30)의 하단부에는 안착걸림턱(3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착걸림턱(31)은 상기 외숯통(30)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외력에 의한 회전시 상기 기름받이(20)가 승감됨에 따라 그 끝단이 상기 안착돌출부(12)의 일면에 선택적으로 안착 또는 이탈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내숯통(40)의 하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공기유입홀(41) 중 중앙에 형성된 균형유지홀(41a)에 상기 안착돌출부(12) 중앙부에 형성된 균형유지돌기(12a)가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기 균형유지돌기(12a)와 상기 균형유지홀(41a)의 결합구조는 상기 승강가이드부(14)와 상기 승강돌기부(24)가 슬라이딩 회전됨에 있어 상기 숯불구이장치(100)가 보다 안정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상기 외숯통(30) 내부에 상기 내숯통(4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숯통(40)의 상단부가 상기 외숯통(30)의 상단부에 걸림 고정되는데, 상기 외숯통(30)과 상기 내숯통(40)은 이격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charger (40) is provided in the outer charger (30). Here, the upper end of the
또한, 상기 내숯통(40)의 하면부에는 복수개의 제2공기유입홀(41)이 형성되고, 상기 내숯통(40)의 상면부에는 복수개의 상부유입홀(4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케이스(10)에 형성된 상기 제1공기유입홀(17)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내숯통(40)에 수용되는 숯으로 전달되어 연소되는데 필요한 산소를 공급함에 있어, 상기 외숯통(30)과 상기 내숯통(40)이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형성된 공기유입유로를 통해 상기 제2공기유입홀(41)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유입홀(42)을 통하여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air inflow holes 41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즉, 상기 내숯통(40)의 하면부에 형성된 상기 제2공기유입홀(41) 뿐만 아니라 상기 내숯통(40)의 측면부 상단에 형성된 상기 상부유입홀(42)로 공기가 소통되므로 숯의 연소시 필요한 산소가 충분히 공급될 뿐만 아니라 숯의 상단부가 불완전연소시 발생되는 연기나 일산화탄소 등 유독가스 배출량이 현저히 감소하므로 조리시 사용자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air is communicated not only to the second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름받이가 회전된 상태의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름받이가 회전되어 승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3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coal roasting device easy to adjust the thermal power of the oil tray rot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and Figure 4b is an 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is rotated and lifted.
도 3 내지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100)는 상기 승강가이드부(14)와 상기 승강돌기부(24)가 슬라이딩 회전됨에 따라 상기 기름받이(20)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상기 외숯통(30) 하단의 안착걸림턱(31)이 상기 안착돌출부(12)에서 이탈되어 형성되는 공기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제1공기유입홀(17)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내숯통(40)으로 전달된다.As shown in Figure 3 to 4b, the
상세히, 상기 외부케이스(10) 상단부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단(11)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기름받이(20) 상단부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단(11)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도록 상기 걸림홈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10)와 상기 기름받이(20)의 상부에는 상기 승강가이드부(14)와 상기 승강돌기부(24)가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engaging
여기서, 상기 승강가이드부(14)는 상기 외부케이스(10) 상부의 상호 대칭되는 양측에 연결되는 하부손잡이(13)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돌기부(24)는 상기 기름받이(20) 상부의 상호 대칭되는 양측에 연결되되, 상기 하부손잡이(13)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상부손잡이(23)의 하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elevating
이때, 상기 승강가이드부(14)의 상면에는 설정된 각도의 경사각을 이루는 상기 슬라이드면(1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면(15)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철이 형성된 요철걸림부(15a)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돌기부(24)에는 슬라이드면(15)에 대응되는 형합면(25)이 형섬됨이 더욱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즉, 상기 상부손잡이(23)와 상기 하부손잡이(13)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경사진 슬라이드면(15)을 따라 상기 형합면(25)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슬라이드면(15)의 설정된 각도에 의해 상기 기름받이(20)는 좌우로 회전될 뿐만 아니라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That is, by rotating the
또한, 상기 슬라이드면(15)에 상기 요철걸림부(15a)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형합면(25)의 슬라이딩 이동시 미끄러지지 않고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요철걸림부(15a)는 도 3 내지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일면 전체에 연속적인 요철형상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고, 각 양단부 또는 중심부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요철부가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면(15)에는 요철돌기가 돌설되고 상기 형합면(25)에는 상기 돌설된 요철돌기가 형합되도록 요철형합홈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이와 더불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주면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승강가이드부(16)가 구비되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승강가이드부(16)에는 상기 승강가이드부(14)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드면(15)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보조승강가이드부(16)는 별도의 승강가이드부재가 상기 외부케이스(10) 내벽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외부케이스(10)에 일체로 돌설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auxiliary
또한, 기름받이(20)의 내주면의 일면에는 보조승강돌기부(26)가 돌설되되, 보조승강가이드부(16)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승강가이드부(14)와 상기 승강돌기부(24)가 슬라이딩 회전됨에 있어 상기 보조승강가이드부(16)와 상기 보조승강돌기부(26)가 형성되어 측면부를 따라 지탱되면서 함께 슬라이딩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이와 더불어, 상기 안착돌출부(12) 중앙에 돌설된 상기 균형유지돌기(12a)가 상기 내숯통(40) 하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공기유입홀(41) 중 중앙에 위치한 균형유지홀(41a)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가이드부(14)와 상기 승강돌기부(24)가 슬라이딩 회전됨에 있어 상기 숯불구이장치(100)가 보다 안정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슬라이드면(15)과 상기 형합면(25)이 좌우로 회전과 동시에 상승되면 상기 외숯통(30) 하면에 형성된 상기 안착걸림턱(31)이 상기 외부케이스(10)에 형성된 상기 안착돌출부(12)에서 선택적으로 이탈되어 상기 공기공급유로가 형성된다.When the
상세히, 상기 외부케이스(10)와 상기 기름받이(20)의 측부는 이격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제1공기유입홀(17)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내측으로 소통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안착걸림턱(31)이 상기 안착돌출부(12)로부터 선택적으로 이탈되어 형성된 상기 공기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내숯통(40)으로 유입되고, 상기 내숯통(40) 내부에 구비되는 숯으로 공급되어 상기 숯의 연소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한다.In detail, the side portions of the
즉, 상기 상부손잡이(23)와 상기 하부손잡이(13)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경사진 슬라이드면(15)을 따라 상기 형합면(25)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슬라이드면(15)의 설정된 각도에 의해 상기 기름받이(20)는 좌우로 회전될 뿐만 아니라 수직으로 상승되어 상기 기름받이(20)와 함께 회동되는 상기 외숯통(30)을 들어올린다. 이때, 상기 외숯통(30) 하부에 형성된 상기 안착걸림턱(31)이 상기 외부케이스(10) 하부에 형성된 상기 안착돌출부(12)에서 이탈되어 상기 내숯통(40)으로 통하는 공간이 개방된다. That is, when the
이와 같이 개방된 틈을 통하여 상기 제1공기유입홀(17)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내부로 공급되는데, 상기 내숯통(40) 하면부에 복수개 형성되는 제2공기유입홀(41)을 통해 상기 내숯통(4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제1공기공급유로와 상기 내숯통(40)과 상기 외숯통(30)의 측면부가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상기 내숯통(40) 상단부에 복수개 형성되는 상부유입홀(42)을 통해 상기 내숯통(4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제2공기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된다.The air introduced from the first
여기서, 상기 제1공기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내숯통(40)으로 전달되는 공기는 상기 숯이 연소될 때 필요로 하는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1공기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된 산소를 이용하여 상기 숯이 충분히 연소되어 발생하는 열기와 화기로 상기 상단부에 배치되어 조리되는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The air supplied to the
또한, 제2공기공급유로를 통하여 상기 내숯통(40)의 상단부로 공급되는 산소는 상측에 배치되는 숯의 일부가 불완전연소되어 연기나 일산화탄소 등의 유독가스를 배출하지 못하도록 숯의 상측에도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상기 숯이 완전히 연소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xygen suppli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barrel of the
다시 말해, 숯이 연소되어 조리에 필요한 열기와 화기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내숯통(40)으로 충분한 양의 공기가 소통되도록 상기 내숯통(40) 하면부에 형성된 제2공기유입홀(41) 뿐만 아니라 상기 내숯통(40)과 외숯통(30)이 이격 배치되면서 형성된 제2공기유입유로를 통하여 상기 내숯통(40)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부유입홀(42)로도 공기가 소통되므로 상기 숯이 연소되는데 충분한 공기가 공급되어 조리시 필요한 충분한 열기와 화기가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불완전연소시 발생되는 연기나 일산화탄소 등과 같은 유독가스 배출량이 현저히 감소하므로 사용자가 음식조리시 불편함이 없어진다.In other words, as well as the second
한편, 상기 승강가이드부(14)와 상기 승강돌기부(24)의 전면이 형합된 상태일 때 상기 기름받이(20)에 고정되어 회동되는 상기 외숯통(30)의 안착걸림턱(31)은 하강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0)에 형성된 상기 안착돌출부(12)의 일면에 안착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elevating
이렇게 안착된 상기 안착걸림턱(31)은 상기 내숯통(40)과 외부을 차단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므로 상기 내숯통(40) 내부에 구비되어 연소되는 숯이 신속하게 소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숯통(40) 상면을 밀폐뚜껑(52) 등을 사용하여 덮음으로써 상단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도 함께 차단하여 연소되는 숯을 보다 완벽하게 끌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목재 등을 연소시킨 후 위와 같이 소화하여 숯을 제조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The
또한, 상기 승강가이드부(14)와 상기 승강돌기부(24)의 회전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면서 상기 안착돌출부(12)와 상기 안착걸림턱(31)의 개방폭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가이드부(14)와 상기 승강돌기부(24)의 회전각도가 좁으면 상기 안착돌출부(12)와 상기 안착걸림턱(31)의 개방폭이 좁으므로 보다 적은 양의 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회전각도가 넓으면 상기 안착돌출부(12)와 상기 안착걸림턱(31)의 개방폭이 넓으므로 많은 양의 공기가 상기 내숯통(4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숯으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손쉽게 조절되므로 사용자가 각종 조리에 알맞은 화기를 손쉽게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width of the
물론, 상기 안착돌출부(12)에는 설정된 각도구간에서 돌출되되 그 사이로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조절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숯통(30)에는 상기 조절돌기에 안착되되 하면부에 상기 공기통로와 선택적으로 대응되는 형태의 조절홀이 형성되는 안착조절면이 형성되어 상기 기름받이(20)가 회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공기통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어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10)에는 다단의 멈춤턱이 형성된 수직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기름받이(20)에는 상기 수직가이드의 멈춤턱에 대응되도록 멈춤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선택적으로 승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더불어, 상기 외부케이스(10)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안착돌출부(12)가 상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이루어 하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숯불구이장치(100)가 장착되는 면과의 표면적이 최소화되어 상기 숯불구이장치(100)로부터 직접 전도되는 열이 현저히 줄어들어 상기 장착되는 면이 화기에 의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도 5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븐용 부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그릴판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밀폐용 부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ven compon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ll pla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ling componen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본 실시예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부품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component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세히, 상기 숯불구이장치(100)의 상기 기름받이(20) 상단부에는 다단의 걸림턱이 형성된 다단식안착프레임(29)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다단식안착프레임(29)에는 그릴팬(56), 오븐팬(55) 및 오븐뚜껑(53)이 안착되어 배치된다. In detail, a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단식안착프레임(29)에는 오븐팬(55)과 그 상단부에 상기 오븐뚜껑(53)이 안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븐뚜껑(53) 하단부에는 열기반사판(54)이 나사결합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숯통(30) 상측으로 삼발이(50)가 걸림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삼발이(50) 상측으로 열상승관(51)이 배치되되, 상측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내숯통(40)에서 연소된 숯에서 형성된 화기나 열기가 열상승관(51)의 측면부를 따라 중앙으로 집중되어 상기 오븐팬(55)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27)로 전달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5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위와 같이 상측으로 전달된 열기나 화기는 상기 오븐뚜껑(53) 하부에 고정된 열기반사판(54)에 반사되어 대류 순환되게 함으로써 열기가 음식물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 or fire delivered to the upper side as described above is reflected by the
한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단식안착프레임(29)에는 그릴팬(56)이 안착되어 구이요리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숯통(30) 상측에 걸림 고정되는 삼발이(50) 상측으로 열상승관(51)이 배치되되, 상측으로 넓어지는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내숯통(40)에서 연소된 숯에서 형성된 화기나 열기가 상기 그릴팬(56)의 어느 한면에 국소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한편,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숯통(40) 상측으로는 열상승관(51)이 구비되고 그 위에 밀폐뚜껑(52)이 안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the
조리가 완료된 후 연소에 사용된 숯을 끄거나 혹은, 숯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내숯통(40) 내부에 구비되었던 숯재료를 태운 후 소화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면(15)과 상기 형합면(25)의 전면을 형합되도록 상기 승강가이드부(14)와 상기 승강돌기부(24)를 회전하면 상기 외숯통(30) 하단부에 형성된 안착걸림턱(31)이 상기 외부케이스(10)에 형성된 안착돌출부(12)의 일면에 안착되어 공기공급유로가 폐쇄된다.After the cooking is completed, the
상기와 같이 공기공급유로가 폐쇄되면 상기 내숯통(40) 내부에 산소공급이 차단되어 내숯통(40)에서 연소되는 숯을 소화하는데, 일부 불씨가 남은 숯이 불완전연소되어 연기나 일산화탄소 등의 유독가스를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상승관(51)과 상기 밀폐뚜껑(52)이 결합된 구조의 밀폐도구를 안착하여 상기 외숯통(30) 상단부를 밀폐하게 되면 일부 형성되는 유독가스의 배출을 막을 뿐만 아니라 상부로부터 전해지는 공기 또한 차단되므로 연소되는 숯을 보다 완벽하게 끌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목재 등을 연소시킨 후 위와 같이 소화하여 숯을 제조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When the air supply passage is closed as described above, the oxygen supply is blocked inside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외부케이스 11 : 걸림단
12 : 안착돌출부 12a : 균형유지돌기
13 : 하부손잡이 14 : 승강가이드부
15 : 슬라이드면 15a : 요철걸림부
16 : 보조승강가이드부 17 : 제1공기유입홀
20 : 기름받이 21 : 걸림홈
22 : 기름수용부 23 : 상부손잡이
24 : 승강돌기부 25 : 형합면
26 : 보조승강돌기부 27 : 중공부
28 : 중공부 테두리 28a : 결합돌기
29 : 다단식안착프레임 30 : 외숯통
31 : 안착걸림턱 32 : 결합홈
40 : 내숯통 41 : 제2공기유입홀
41a : 균형유지홀 42 : 상부유입홀
50 : 삼발이 51 : 열상승관
52 : 밀폐뚜껑 53 : 오븐뚜껑
54 : 반사판 55 : 오븐팬
56 : 그릴팬
100 :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10: outer case 11:
12: seating
13: lower handle 14: lifting guide portion
15:
16: auxiliary lifting guide portion 17: the first air inlet hole
20: oil drip 21: hanging groove
22: oil holding unit 23: upper handle
24: lifting projection portion 25: the mating surface
26: auxiliary lifting projection part 27: hollow part
28:
29: multi-stage seating frame 30: shell
31: seating jaw 32: coupling groove
40: inner charcoal 41: second air inlet hole
41a: Balance maintaining hole 42: Upper inflow hole
50: trivet 51: heat riser
52: sealing lid 53: oven lid
54: reflector 55: oven pan
56: grill pan
100: easy charcoal roasting device
Claims (5)
상기 걸림단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걸림홈이 상단에 형성되고, 하부에 중앙부가 개구된 중공부의 외측 테두리에 기름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 내측에 측부가 이격되어 배치되되, 외력에 의한 회전시 상기 슬라이드면을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되는 승강돌기부가 구비되는 기름받이;
상기 기름받이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중공부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외숯통; 및
상기 외숯통의 외부와의 사이로 송급유로를 형성하도록 상호 이격하여 배치되되, 내부에 연소용 숯이 수용되며 하면부에 복수개의 제2공기유입홀이 형성되고, 상단 내측 테두리에 상기 제1공기유입홀 및 송급유로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부로 토출하는 상부유입홀이 형성되는 내숯통을 포함하는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An outer case having a first air inlet hole formed at a side surface thereof, an engaging end extending from an upper edge of the upper edge thereof, and a lifting guide part having a slide surface formed thereon;
A locking groove selectively seated at the locking end is formed at an upper end, and an oil receiving part is formed at an outer edge of the hollow part of which the central part is opened at the lower end, and the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outer case, and rotated by external force. An oil sump provided with a lifting protrusion selectively lifting along the slide surface;
The outer charcoal barrel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oupled to the rim of the hollow portion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p tra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supply flow path between the outside of the outer shell, the combustion charcoal is accommodated therein, a plurality of second air inlet hol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he first air in the upper inner edge Easily controlled charcoal roasting apparatus including an inner charcoal barrel formed with an upper inlet hole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and the supply passage to the top.
상기 승강가이드부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단에 연결되는 하부손잡이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돌기부는 상기 기름받이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손잡이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드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철이 형성된 요철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돌기부에는 슬라이드면에 대응되는 형합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lifting guide part is provided in the lower handl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e, the lifting projection is provided in the upper handle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ip tray,
The slide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slide surfac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concave-convex engaging portion is formed, and the lifting projection portion is easy to adjust the charcoal grill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lide surface is formed.
상기 외부케이스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안착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숯통의 하단부에는 승강됨에 따라 상기 안착돌출부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안착걸림턱이 절곡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출부의 중앙에는 균형유지돌기가 돌설되고, 상기 내숯통 바닥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균형유지돌기가 삽입되는 균형유지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eating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center of the outer case, and a seating jaw is selectively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ating protrusion as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shell is elevated.
Equipped with a balance maintenance projection in the center of the seating projec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harcoal charcoal roa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ance maintenance hole is inserted is formed.
상기 외부케이스 내주면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승강가이드부가 구비되어 연결되고, 상기 기름받이 외주면에는 상기 보조승강가이드부를 따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승강되는 보조승강돌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auxiliary lifting guide part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an auxiliary lif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p tray while being selectively slid along the auxiliary lifting guide part. Charcoal roasting device.
냄비나 주전자 등이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안착걸이가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외숯통 상부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걸림 배치되는 삼발이와,
양단이 개구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되, 그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면이 상기 삼발이 상부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열상승관과,
상기 열상승관 상부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밀폐뚜껑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trive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ating hooks for selectively placing pots or kettles, and are selectively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of the charcoal barrel,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with both ends open, At least any one of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heat riser tube is sel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It is easy to adjust the charcoal roas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aled lid selectively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t riser.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8574A KR101328507B1 (en) | 2012-09-06 | 2012-09-06 | Charcoal fire roasting apparatus capable of heat adjustment |
PCT/KR2013/007422 WO2014038800A1 (en) | 2012-09-06 | 2013-08-19 | Charcoal fire barbecue device capable of easily adjusting heat intens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8574A KR101328507B1 (en) | 2012-09-06 | 2012-09-06 | Charcoal fire roasting apparatus capable of heat adjust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28507B1 true KR101328507B1 (en) | 2013-11-13 |
Family
ID=4985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8574A Expired - Fee Related KR101328507B1 (en) | 2012-09-06 | 2012-09-06 | Charcoal fire roasting apparatus capable of heat adjustment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8507B1 (en) |
WO (1) | WO2014038800A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7415B1 (en) * | 2016-12-06 | 2017-02-17 | 주식회사 케이더블유프랜차이즈 | Oil receiver unit for roast plate |
KR101763867B1 (en) * | 2014-04-11 | 2017-08-01 | 정영진 | Charcoal gas generator |
KR102360867B1 (en) * | 2020-08-19 | 2022-02-08 | 김동규 | Detachable double-burning stove with adjustable firepower |
US20220133089A1 (en) * | 2018-12-04 | 2022-05-05 | Burch Barrel, Llc | Modular grill and burn barrel |
US20230366537A1 (en) * | 2022-05-13 | 2023-11-16 | Hangzhou Yixiang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 Secondary combustion structure of smokeless stove |
KR102636345B1 (en) | 2023-08-29 | 2024-02-14 | (주)드림레저 | Outdoor charcoal brazi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66501A (en) * | 2014-12-31 | 2015-04-29 | 佛山市友用热力设备有限公司 | Biomass combustion basin |
DE202017102649U1 (en) * | 2017-05-04 | 2017-06-02 | Enders Colsman Ag | grill |
CN106940038B (en) * | 2017-05-08 | 2023-04-25 | 崔仁海 | Charcoal hand stov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80002773U (en) * | 1986-07-24 | 1988-04-09 | 노한용 | Smokeless charcoal stove |
US5024208A (en) | 1990-10-29 | 1991-06-18 | Zz Corp. | Portable stove |
KR200207366Y1 (en) | 2000-08-01 | 2000-12-15 | 이상규 | Roast For Braxier |
JP2012143385A (en) | 2011-01-12 | 2012-08-02 | Mimugo:Kk | Containe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1092Y1 (en) * | 1990-03-15 | 1992-02-10 | 이문수 | Portable stove |
-
2012
- 2012-09-06 KR KR1020120098574A patent/KR10132850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
- 2013-08-19 WO PCT/KR2013/007422 patent/WO201403880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80002773U (en) * | 1986-07-24 | 1988-04-09 | 노한용 | Smokeless charcoal stove |
US5024208A (en) | 1990-10-29 | 1991-06-18 | Zz Corp. | Portable stove |
KR200207366Y1 (en) | 2000-08-01 | 2000-12-15 | 이상규 | Roast For Braxier |
JP2012143385A (en) | 2011-01-12 | 2012-08-02 | Mimugo:Kk | Container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3867B1 (en) * | 2014-04-11 | 2017-08-01 | 정영진 | Charcoal gas generator |
KR101707415B1 (en) * | 2016-12-06 | 2017-02-17 | 주식회사 케이더블유프랜차이즈 | Oil receiver unit for roast plate |
US20220133089A1 (en) * | 2018-12-04 | 2022-05-05 | Burch Barrel, Llc | Modular grill and burn barrel |
US12310533B2 (en) * | 2018-12-04 | 2025-05-27 | Burch Barrel, Llc | Modular grill and burn barrel |
KR102360867B1 (en) * | 2020-08-19 | 2022-02-08 | 김동규 | Detachable double-burning stove with adjustable firepower |
US20230366537A1 (en) * | 2022-05-13 | 2023-11-16 | Hangzhou Yixiang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 Secondary combustion structure of smokeless stove |
KR102636345B1 (en) | 2023-08-29 | 2024-02-14 | (주)드림레저 | Outdoor charcoal brazi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038800A1 (en) | 2014-03-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8507B1 (en) | Charcoal fire roasting apparatus capable of heat adjustment | |
US6314868B1 (en) | Direct and indirect outdoor cooker | |
EP1951057B1 (en) | Smoke enhancer | |
KR101220550B1 (en) | Gas range | |
US20140261379A1 (en) | Cooking grill | |
US7117866B2 (en) | Multi-faceted grill | |
KR101965359B1 (en) | Cooking container with fire throttle | |
WO2022037395A1 (en) | Multifunctional charcoal barbecue grill | |
KR20150000117A (en) | Portable gas charcoal barbucue roaster | |
KR101932451B1 (en) | combined roaster and heater | |
KR20170011040A (en) | A roast heater using indirect fever way | |
JP6896276B2 (en) | Cooker | |
KR101402953B1 (en) | charcoal fire roasting apparatus capable of heat adjustment | |
KR20110002207A (en) | Roasted meat which can use charcoal and gas as heat source | |
KR20110080059A (en) | Multipurpose Cooking Vessel | |
WO2015108425A1 (en) | Stove | |
JP6890325B2 (en) | Cradle and cooker | |
JP6935091B2 (en) | Cooker | |
KR200484169Y1 (en) | Food counter | |
KR200441569Y1 (en) | Electric roaster | |
JP6967771B2 (en) | Cooker | |
KR200384374Y1 (en) | Hot air type meat roaster | |
KR200179567Y1 (en) | A roaster using charcoal | |
KR200213347Y1 (en) | Charcoal Roasting Device | |
KR20190048426A (en) | Roster for Charcoal Fire with Gas Ignition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11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1107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