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824B1 - Terminal function control system and terminal function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Terminal function control system and terminal function control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1824B1 KR101311824B1 KR1020080078428A KR20080078428A KR101311824B1 KR 101311824 B1 KR101311824 B1 KR 101311824B1 KR 1020080078428 A KR1020080078428 A KR 1020080078428A KR 20080078428 A KR20080078428 A KR 20080078428A KR 101311824 B1 KR101311824 B1 KR 1013118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capability
- terminal
- control
- external device
-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Landscapes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컨텐츠를 통해 타 단말장치의 단말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능 제어 시스템 및 단말기능 제어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단말기능 제어 시스템은, 외부장치가 소정 웹컨텐츠를 구동하여 상기 웹컨텐츠를 통해 소정 단말기능 제어를 요청하면, 각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한 접속관리서버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요청된 해당 단말장치의 접속주소를 상기 외부장치로 회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을 포함하는 단말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에서 구동된 상기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요청된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하는 구성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erminal capability control system and a terminal capability control method capable of using terminal capabilities of another terminal apparatus through web content, and a terminal apparatus and a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thod supporting the same. In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xternal device requests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control through the web content by driving the predetermined web content, the connection management server which previously stored the connection address information of each terminal device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terminal device including the at least one terminal function module for returning the requested access address of the terminal 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and executing at least one terminal function is predetermined from the web content driven by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network. And requesting terminal capability control to control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when the access of the external device is permitted based on the access righ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terminal capability. .
웹컨텐츠, 단말기능, 네트워크, 원격제어 Web content, terminal function, network, remote control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말기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장치에서 웹컨텐츠를 구동하여 웹컨텐츠를 통해 타 단말장치의 고유한 단말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능 제어 시스템 및 단말기능 제어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apability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 terminal capability control system and a terminal capability control method capable of using unique terminal capabilities of another terminal apparatus through web content by driving web content in an external device and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ing termina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PDA, 핸드폰과 같은 각종 단말장치는 그 기능이 점점 다양해지고 지원하는 서비스 역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즉, 이동 통신 단말장치는, 기본적인 음성통화 기능 이외에도 사용의 편리성이나 효율성 및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부가적인 기능(사진 및 동영상 촬영, 멀티메일 송수신, DMB기능…)을 채용하고 있다. 이처럼, 단말장치의 단말기능이 다양해지면서 단말장치 마다 내장되는 단말기능이 상호 상이해지고, 사용자들은 타 단말장차의 단말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욕구 또는 필요성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In general, various terminal devices such as PDAs and mobile phones that are widely used are increasingly diversified in their functions and are supporting services. That is, in addition to the basic voice call fun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employs a variety of additional functions (photo and video recording, multi-mail transmission, DMB function, etc.) to satisfy user's convenience, efficiency, and user's desire. . As such, as the terminal capability of the terminal apparatus is diversified, the terminal capability built in for each terminal apparatu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users may have a desire or necessity to use the terminal capability of other terminal apparatuses.
한편, 최근 웹 환경의 적용범위가 매우 광범위해지고 있는 상황이지만, 여전히 일반적인 웹컨텐츠는 정보나, 웹 서버측에서 수행한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용 도로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웹 환경의 이점을 활용하는 범위가 여전히 충분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web environment has become very wide in recent years, general web content is still used only for outputting information or results performed on the web server. In other words, there is still not enough scope to take advantage of the Web environment.
이에, 일반적인 단말장치에서 쉽게 다운로드 또는 복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웹컨텐츠를 통해 타 단말장치의 고유한 단말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웹 환경의 이점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동시에 사용자들의 단말기능에 대한 욕구 또는 필요성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if a service that enables the use of the unique terminal capabilities of the other terminal device through the web content that can be easily downloaded or copied in the general terminal device, while full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the web environment to the terminal capabilities of the users It may be able to satisfy the desire or need for it.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소정 웹컨텐츠를 구동하여, 상기 웹컨텐츠를 통해 소정 단말기능 제어를 요청하는 외부장치와, 각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주소가 요청되면 요청된 접속주소를 상기 외부장치로 회신하는 접속관리서버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정보를 기 저장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에서 구동된 상기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요청된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기능 제어 시스템 및 이에 따르는 단말기능 제어 방법을 제공하여, 외부장치에서 웹컨텐츠를 구동하여 웹컨텐츠를 통해 타 단말장치의 고유한 단말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ternal device for requesting control of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ies through the web content by driving predetermined web content, and an access address of each terminal device. A connection management server which stores information in advance and returns a requested access address to the external device when a connection address of the terminal device is requested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module that executes at least one terminal function. And pre-store access righ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and when a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control is requested from the web content driven by the external device through a network, the access righ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terminal capability. When the access of the external device is allowed based on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capability control system including a terminal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erminal capability module, and a terminal capabilit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which drives web content in an external device to use unique terminal capabilities of another terminal apparatus through web content. To make it work.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정보를 기 저장하는 접근권한관리자와,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외부장치에서 구동된 소정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요청된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 확인을 상기 접근권한관리자에 요청하고, 상기 접근권한관리자로부터의 확인결과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하고 해당 단말기능의 실행결과를 상기 외부장치로 반환하는 내장형웹서버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및 이에 따르는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여, 외부장치에서 웹컨텐츠를 구동하여 웹컨텐츠를 통해 단말장치의 고유한 단말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module that executes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and access righ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An access right manager for storing the access authority and requesting the access right manager to confirm the access right of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terminal capability when a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control is requested from predetermined web content driven on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through a network. When the access result is confirmed by the access authority manager, the access of the external device is allowed, and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the corresponding terminal capability module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is controlled and the execution result of the terminal capability is returned to the external device. Terminal device including an embedded web serv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ovided, and to drive the web content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web content to be eligible for the terminal capabilities of a terminal equip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말기능 제어 시스템은, 소정 웹컨텐츠를 구동하여, 상기 웹컨텐츠를 통해 소정 단말기능 제어를 요청하는 외부장치; 각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주소가 요청되면 요청된 접속주소를 상기 외부장치로 회신하는 접속관리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정보를 기 저장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에서 구동된 상기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요청된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capability control system including: an external device for driving predetermined web contents to request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control through the web contents; A connection management server which stores the access address information of each terminal device in advance and returns the requested access address to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connection address of the terminal device is requested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module configured to execut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and pre-store access righ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and predetermined from the web content driven by the external device through a network. A terminal device for controlling a terminal capability module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when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is requested and the access of the external device is allowed based on the access righ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terminal capability. do.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웹컨텐츠를 구동하여 상기 웹컨텐츠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단말기능 제어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접속주소를 상기 접속관리서버에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상기 접속정보에 기 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external device drives the web content and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of the terminal device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web content, the external device requests and sends a connection address of the terminal device to the connection management server.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the terminal device can b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컨텐츠는,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각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제어 요청을 위한 제어파라미터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장치에서 구동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단말기능의 제어 입력에 따라 해당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해당 제어파라미터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능을 제어 요청할 수 있다.Preferably, the web content, each terminal capability module na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and control parameter information for the control request to control the terminal capabilities of the terminal device, in the external device When driven, the terminal may generat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name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control paramet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input of the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input from the user, and control the corresponding terminal capability using the request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컨텐츠는,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각 접속URL 및 각 구분자정보 및 각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제어 요청을 위한 제어파라미터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장치에서 구동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단말기능의 제어 입력에 따라 해당 접속URL 및 해당 구분자정보 및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해당 제어파라미터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능을 제어 요청할 수 있다.Preferably, the web content, each of the connection URL and each identifi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and each terminal capability module name information and control parameter information for the control request to control the terminal capability of the terminal device; And, when driven in the external device, generat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a corresponding access URL, corresponding delimiter information, terminal capability module name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control parameter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ntrol input of a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input from a user. The information can be used to control the terminal capability.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장치로부터 실행결과가 반환되면, 상기 웹컨텐츠를 통해 상기 실행결과를 처리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execution result is returned from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the external device may process the execution result through the web content and provide the result to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웹컨텐츠를 통해 단말기능 제어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서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할 때 제어 전 및 제어 후에 수행해야 하는 소정 보안정책을 상기 단말장치로 배포하는 보안정책관리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in response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module included in the terminal apparatus, when the external apparatus requests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through the web content, the terminal apparatus controls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urity policy management server for distributing a predetermined security policy to b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control to the terminal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정보를 기 저장하는 접근권한관리자; 및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외부장치에서 구동된 소정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요청된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 확인을 상기 접근권한관리자에 요청하고, 상기 접근권한관리자로부터의 확인결과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하고 해당 단말기능의 실행결과를 상기 외부장치로 반환하는 내장형웹서버를 포함한다.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module for executing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An access right manager for pre-store access righ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function; And requesting the access authority manager to check the access right of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terminal capability when the request for the control of the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is requested from the predetermined web content driven through the network. If it is confirmed that access to the external device is allowed,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includes a built-in web server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terminal capability module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and retur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terminal capability to the external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근권한관리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여 접근을 허용하는 외부장치에 대한 외부장치목록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여 접근을 허용하는 소정 패스워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 저장하고, 상기 내장형웹서버로부터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 확인이 요청되면 상기 외부장치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가 접근 허용되는 외부장치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상기 패스워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패스워드가 상기 패스워드정보와 동일한지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한 상기 확인결과를 상기 내장형웹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ccess right manager, at least any one of an external device list for the external device that allows access in response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and predetermined password information to allow access in response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If one is previously stored and the access authority of the external device is requested from the embedded web server, the external device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s to an external device to which the external device is allowed to access based on the external device list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The verification result of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the password from the device is the same as the passwor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embedded web serv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장치 가 상기 웹컨텐츠를 통해 소정 단말기능 제어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서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할 때 제어 전 및 제어 후에 수행해야 하는 소정 보안정책을 기 저장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의해 상기 내장형웹서버로부터 제어 전 설정동작이 요청되면 상기 보안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능모듈 제어 전에 수행 설정된 보안동작을 수행하여 결과를 회신하고, 상기 내장형웹서버로부터 해당 단말기능모듈의 제어 후 설정동작이 요청되면 상기 보안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능모듈 제어 후에 수행 설정된 보안동작을 수행하여 결과를 회신하는 보안관리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external device requests a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control through the web content in response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module, the terminal apparatus should perform before and after the control. And a predetermined security policy, and if a pre-control setting operation is requested from the embedded web server by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security operation performed before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control is performed based on the security policy. Returning a result by a control, and if a setting operation is requested afte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terminal capability module from the embedded web server, a security manager performing a set security operation performed after controlling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based on the security policy to return a result. It may further include.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장형웹서버는, 상기 접근권한관리자로부터의 확인결과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른 해당 단말기능모듈의 제어 전 설정동작을 상기 보안관리자로 요청하고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이 정상이라는 결과가 회신되면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제어하고, 상기 단말기능모듈로부터 상기 단말기능의 실행결과가 반환되면 해당 단말기능모듈의 제어 후 설정동작을 상기 보안관리자로 요청하고 이에 따라 상기 실행결과가 정상이라는 결과가 회신되면 상기 실행결과를 상기 외부장치로 반환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mbedded web server, if a result of the check from the access authority manager is allowed to access the external device, and requests the security manager before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capability module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Accordingly, when a result of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is returned is normal, the corresponding terminal capability modul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and whe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terminal capability is returned from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is performed. When a request for a setting operation is requested to the security manager, and a result of the response is returned to the security manager, the execution result may be returned to the external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장형웹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외부장치에서 구동된 소정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른 소정 요청정보에 포함되는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제어파라미터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mbedded web server, if the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control is requested from the predetermined web content driven from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through a network,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na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reque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The terminal function module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control parameter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은, 전화 송수신모듈, 메시지 착발신모듈,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 카메라제어모듈, 블루투스모듈, RFID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lephon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 message reception / reception module, a data read / write module, a camera control module, a Bluetooth module, and an RFID modu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정보를 기 저장하는 접근권한관리자; 및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외부장치에서 구동된 소정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요청된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 확인을 상기 접근권한관리자에 요청하고, 상기 접근권한관리자로부터의 확인결과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하고 해당 단말기능의 실행결과를 상기 외부장치로 반환하는 모듈관리자를 포함한다.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module for executing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An access right manager for pre-store access righ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function; And requesting the access authority manager to check the access right of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terminal capability when the request for the control of the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is requested from the predetermined web content driven through the network. If it is confirmed that access to the external device is allowed, the terminal manager includes a module manager that controls the corresponding terminal capability module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and returns the execution result of the terminal capability to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듈관리자는,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외부장치에서 구동된 소정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른 소정 요청정보에 포함되는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제어파라미터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Preferably, the module manager, when the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control is requested from the predetermined web content driven from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through a network,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name information and control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reque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It may be an application that controls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based on the parameter inform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정보를 기 저장하는 접근권한관리자;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외부장치에서 구동된 소정 웹컨텐츠로부터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요청된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 확인을 상기 접근권한관리자에 요청하고, 상기 접근권한관리자로부터의 확인결과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능을 실행하고 단말기능의 실행결과를 상기 외부장치로 반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을 포함한다.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access rights manager for pre-store access righ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When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is requested from the predetermined web content driven by the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through the network, the access authority manager is requested to confirm the access authority of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terminal capability, and the verification result from the access authority manager.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module that executes the terminal capability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and returns an execution result of the terminal capability to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access of the external device is allow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능모듈은, HTTP처리기능을 포함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외부장치에서 구동된 소정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른 소정 요청정보에 포함되는 접속URL 및 구분자정보 및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제어파라미터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including an HTTP processing function, i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reque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when a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control is requested from predetermined web content driven by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through a network. The terminal capability can be execu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connection URL, the identifier information,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name information, and the control parameter inform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단말기능 제어 방법은, 외부장치가 소정 웹컨텐츠를 구동하여, 각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하는 접속관리서버로 해당 단말장치의 접속정보를 요청하여 회신받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에서 구동되는 상기 웹컨텐츠가 회신되는 상기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단말기능의 제어 입력에 따라 단말기능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장치에서 구동된 상기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을 포함하는 단말장치가 요청된 상기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erminal func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n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to a connection management server that the external device is driving the predetermined web content, pre-store the connection address information of each terminal device Reques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Requesting terminal capability control according to a control input of a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input from a user by accessing the corresponding terminal apparatus via a network based on the connection information returned by the web content driven by the external device; And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module configured to execut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when the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control is requested from the web content driven by the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when the external device is allowed to access the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컨텐츠는,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각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제어 요청을 위한 제어파라미터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능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웹컨텐츠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단말기능의 제어 입력에 따라 해당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해당 제어파라미터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능을 제어 요청할 수 있다.Preferably, the web content, each terminal capability module na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and control parameter information for the control request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capability of the terminal device,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The requesting may include generating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name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control paramet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input of the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inputted from the user by the web content and using the request information. You can request control.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컨텐츠는,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각 접속URL 및 각 구분자정보 및 각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제어 요청을 위한 제어파라미터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능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웹컨텐츠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단말기능의 제어 입력에 따라 해당 접속URL 및 해당 구분자정보 및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해당 제어파라미터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능을 제어 요청할 수 있다.Preferably, the web content, each of the connection URL and each identifi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and each terminal capability module name information and control parameter information for the control request to control the terminal capability of the terminal device; The requesting of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may include a corresponding connection URL, corresponding identifier information, terminal capability module name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control parameter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ntrol input of a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inputted by the web content from a user. The reques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to control the terminal capability using the request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장치로부터 실행결과가 반환되면, 상기 웹컨텐츠를 통해 상기 실행결과를 처리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execution result is returned from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the external device may further include processing the execution result through the web content and providing the result to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웹컨텐츠를 통해 단말기능 제어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서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할 때 제어 전 및 제어 후에 수행해야 하는 소정 보안정책을 기 포함하는 보안정책관리서버가 상기 단말장치로 해당 보안정책을 배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in response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module included in the terminal apparatus, when the external apparatus requests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through the web content, the terminal apparatus controls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The security policy management server including a predetermined security policy to b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control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distributing the security policy to the terminal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외부장치에서 구동된 상기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요청된 상기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접근권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및 해당 단말기능모듈이 상기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기능을 실행한 실행결과를 상기 외부장치로 반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device. When a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control is requested from the web content driven in the external device, a previously stored access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terminal capability is performed. Confirming access authority of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authority information; If the access result is allowed to access the external device, controlling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And returning, by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the execution result of executing the terminal capability to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웹컨텐츠를 통해 소정 단말기능 제어를 요청함에 따라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할 때 제어 전 및 제어 후에 수행해야 하는 소정 보안정책을 기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보안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능모듈 제어 전에 수행 설정된 보안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이 정상이면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실행결과를 반환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능모듈로부터 상기 단말기능의 실행결과가 반환되면, 상기 보안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능모듈 제어 후에 수행 설정된 보안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실행결과가 정상이면 상기 실행결과를 상기 외부장치로 반환할 수 있다.Preferably, in response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module, when the external device requests the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control through the web content, a predetermined security policy to b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control is performed when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terminal capability module. Pre-storing; The controlling of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may include, if access to the external device is allowed, performs the security operation performed before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control based on the security policy, and if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is normal,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The controlling of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returning the execution result may include returning the execution result of the terminal capability from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based on the security policy. After executing the module control, if the execution result is normal by performing the set security operation, the execution result may be returned to the external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장치에서 구동된 상기 웹컨텐츠로부터의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른 소정 요청정보에 포함되는 접속URL 및 구분자정보 및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제어파라미터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ling of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may include access URL and delimiter information and terminal capability module name information and control included in predetermined request information according to a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from the web content driven by the external device.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may be controll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arameter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은, 전화 송수신모듈, 메시지 착발신모듈,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 카메라제어모듈, 블루투스모듈, RFID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lephon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 message reception / reception module, a data read / write module, a camera control module, a Bluetooth module, and an RFID module.
이에, 본 발명의 단말기능 제어 시스템 및 단말기능 제어 방법에 의하면,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능 제어 방법에 따르면, 외부장치에서 단말장치의 고유한 단말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해당 웹컨텐츠를 구동하고, 웹컨텐츠를 통해 단말장치의 고유한 소정 단말기능의 제어를 요청하면, 단말장치는 단말기능의 제어 요청에 따른 접근권한 확인 및 보안정책 수행 후 정당한 경우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단말기능을 실행함에 따른 실행결과를 외부장치로 반환함으로써, 외부장치에서는 웹컨텐츠가 반환된 실행결과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system and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esponding web content for controlling the unique terminal capability of the terminal device in the external device; And requesting control of a specific terminal capability unique to the terminal apparatus through the web content, the terminal apparatus controls / terminals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if it is justified after checking the access authority and executing a security policy according to the control request of the terminal capability. By returning the execution result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function to the external device, the external device can process the execution result returned by the web content and provide it to the user.
이에, 본 발명의 단말기능 제어 시스템 및 단말기능 제어 방법에 의하면, 외부장치가 웹컨텐츠를 구동하여 웹 환경을 통해 원거리에 있는 단말장치의 고유한 단말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신규 서비스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Thus,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system and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evice can drive the web content to use the unique terminal capabilities of the terminal device in the remote area through the web environment, through which a variety of new services Creation will be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 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능 제어 시스템 및 단말기능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capability control system and a terminal capabilit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능 제어 시스템 및 단말기능 제어 방법은, 소정 웹컨텐츠를 구동하여, 웹컨텐츠를 통해 소정 단말기능 제어를 요청하는 외부장치(10a...10n)와, 각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하고, 외부장치(예 : 10a)로부터 단말장치(100)의 접속주소가 요청되면 요청된 접속주소를 외부장치(10a)로 회신하는 접속관리서버(200)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정보를 기 저장하며, 네트워크(1)를 통해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된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요청된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정보에 기초하여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되면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하는 단말장치(1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system and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rive external web devices to request a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control through web content, and the
여기서, 외부장치(10a...10n)는, 네트워크(1)를 통해 단말장치(100) 내의 단말기능에 접근하고자 하는 장치로써,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부장치(10a)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단말장치(100)를 단일개로 도시하였지만, 단말장치(100) 역시 복수 개 일 수 있다.Here, the
물론, 도 1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본 발명의 단말기능 제어 시스템에서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되는 웹컨텐츠를 제공 또는 배포한 웹컨텐츠제공서버(미도시)가 존재할 것이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1, in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a web content providing server (not shown) that provides or distributes the web content running on the external device (10a).
접속관리서버(200)는, 각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하고, 외부장치(예 : 10a)로부터 단말장치(100)의 접속주소가 요청되면 요청된 접속주소를 외부장치(10a)로 회신하는 역학을 담당한다. 이러한 접속관리서버(200)가 저장하는 접속주소정보는 해당 단말장치(100)의 IP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단말장치(100)로부터 단말장치(100) 자신의 IP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함으로써 각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여기서, 접속관리서버(200)는, 외부장치(예 : 10a)로부터 단말장치(100)의 접속주소가 요청됨에 따라 해당 단말장치(100)의 접속주소정보를 회신할 때,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기 설정된 접속허용정보에 기초하여 요청한 외부장치(10a)가 접속허용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접속허용대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단말장치(100)의 접속주소정보를 회신할 수도 있다.Here, the
외부장치(10a)는, 해당 단말장치(100)의 단말기능을 제어 하기 위한 웹컨텐츠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는 전제 하에, 웹컨텐츠를 구동하여 웹컨텐츠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단말장치(100)의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입력되면, 해당 단말장치(100)의 접속주소를 접속관리서버(200)에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1)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접속한다. 그리고, 외부장치(10a)는,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되는 웹컨텐츠를 통해 소정 단말기능 제어를 단말장치(100)에 요청한다.On the premise that the
여기서, 웹컨텐츠는, 소정의 해당 단말장치(100) 내의 단말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제작된 컨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말장치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단말 장치의 단말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각 웹컨텐츠가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web content is preferably content produced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capability of the predetermined
이러한 웹컨텐츠는, 단말장치(10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각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제어 요청을 위한 필요 전달 인자 즉 제어파라미터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uch web content preferably includes each terminal capability module na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in the
따라서, 웹컨텐츠는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단말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입력에 따라 해당 단말기능의 해당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해당 제어파라미터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웹컨텐츠는 요청정보를 생성할 때 HTTP, XML, HTML, XHTML 과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해당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해당 제어파라미터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정보로 인코딩하여 생성한다. 이에, 웹컨텐츠는 요청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0)로 해당 단말기능을 제어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when the web content is driven by the
한편, 웹컨텐츠는, 단말장치(10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여 해당 단말기능모듈에 접속하기 위한 각 접속URL 및 각 구분자정보와, 각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제어 요청을 위한 필요 전달 인자 즉 제어파라미터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web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in the
따라서, 웹컨텐츠는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단말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입력에 따라 해당 단말기능의 해당 접속URL(Uniform Resource Locator ) 및 해당 구분자정보 및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해당 제어파라미터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웹컨텐츠는 요청정 보를 생성할 때 HTTP, XML, HTML, XHTML 과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해당 접속URL 및 해당 구분자정보 및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해당 제어파라미터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정보로 인코딩하여 생성한다. 이에, 웹컨텐츠는 요청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0)의 해당 단말기능모듈에 직접 접속하여 해당 단말기능을 제어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when the web content is driven by the
그리고, 단말장치(100)로 단말기능 제어를 요청함에 따라서 해당 단말장치(100)로부터 실행결과가 반환되면, 외부장치(10a)는 구동 중인 웹컨텐츠를 통해 상기 실행결과를 처리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When the execution result is returned from the corresponding
이에, 외부장치(10a)에서 단말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해당 웹컨텐츠를 구동하고, 웹컨텐츠를 통해 단말장치(100)의 고유한 소정 단말기능의 제어를 요청하고 이에 따른 실행결과를 반환받아 외부장치(10a)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원거리에서 웹 환경을 통해 단말장치(100)의 고유한 소정 단말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헌데, 이처럼 원거리의 외부장치(10a)에서 웹컨텐츠를 통해 타 단말장치(100)의 단말기능을 자유롭게 사용하게 되면, 단말장치(100)의 입장에서는 외부장치(10a)로부터의 단말기능 제어에 대한 보안이 체계적으로 요구된다.However, when the
이에, 본 발명의 단말기능 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정책관리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us,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urity
보안정책관리서버(300)는, 단말장치(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에 대응하여, 외부장치(10a)가 웹컨텐츠를 통해 단말기능 제어를 요청함에 따 라 단말장치(100)에서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할 때 제어 전 및 제어 후에 수행해야 하는 소정 보안정책을 배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The security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능 제어 시스템에서 단말장치의 구체적인 제어 블록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detailed control block of a terminal device in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단말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150)과,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정보를 기 저장하는 접근권한관리자(140)와, 네트워크(1)를 통해 소정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된 소정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요청된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 확인을 접근권한관리자(140)에 요청하고, 접근권한관리자(140)로부터의 확인결과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되면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기능모듈(150)을 제어하고 해당 단말기능의 실행결과를 외부장치(10a)로 반환하는 내장형웹서버(120)와, 웹브라우저(110)와 보안관리자(130)를 포함한다.The
즉, 단말장치(100)는, 웹 환경을 통해 외부(외부장치(10a)) 또는 내부(웹브라우저(110)로부터 소정 단말기능의 제어가 요청되면, 네트워크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어 요청된 해당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기능모듈(150)을 제어함으로써 해당 단말기능을 실행하고, 단말기능의 실행에 따른 실행결과를 외부(외부장치(10a)) 또는 내부(웹브라우저(110)로 회신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여기서, 단말장치(1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은, 영상/음성 전 화 송수신 기능과, 멀티미디어메시지/문자메시지 착발신 기능과, 동영상/사진/주소록/음악 등의 리소스 데이터 리드라이트 기능과, 카메라 제어기능과, 블루투스 기능과, RFID 기능과, 단말장치(100)의 설정상태를 조정 및 변경하는 시스템기능과, 멀티미디어 코덱기능과, SIM카드/금융칩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at least one terminal function included in the
이에,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150)은,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 각각에 대응하는 전화 송수신모듈과, 메시지 착발신모듈과,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과, 카메라제어모듈과, 블루투스모듈과, RFID모듈과, 시스템기능모듈과, 멀티미디어 코덱모듈과, SIM카드/금융칩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t least one
단말기능모듈(150)은, 단말장치(100) 내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을 실행하는 모듈로써, 단말기능을 단말장치(100) 외부 또는 내부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출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내장형웹서버(12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능모듈(150)은 자신이 담당하는 해당 단말기능을 실행하고 실행한 실행결과를 내장형웹서버(120)로 반환한다. 이때, 단말기능모듈(150)은 실행결과를 내장형웹서버(120)로 반환할 때 HTTP, XML, HTML, XHTML 과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자신의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실행결과를 표현하여 내장형웹서버(120)로 반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웹브라우저(110)는, 단말장치(100)가 웹 환경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웹 환경을 이용하여 단말장치(100)의 내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한 제어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The
즉, 후술할 내장형웹서버(12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소정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된 소정 웹컨텐츠로부터의 소정 단말기능 제어 요청 뿐 만이 아니라, 웹 환경을 이용하여 내부적으로 웹브라우저(100)로부터의 소정 단말기능 제어 요청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That is, the embedded
접근권한관리자(14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정보를 기 저장한다. 여기서, 접근권한관리자(140)가 기 저장하는 접근권한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여 접근을 허용하는 외부장치에 대한 외부장치목록과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여 접근을 허용하는 소정 패스워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ccess
이에, 접근권한관리자(140)는, 내장형웹서버(120)로부터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 확인이 요청되면, 접근권한정보의 외부장치목록에 기초하여 외부장치(10a)가 제어 요청한 해당 단말기능에 대하여 접근 허용되는 외부장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접근권한정보의 패스워드정보에 기초하여 외부장치(10a)의 패스워드가 제어 요청한 해당 단말기능의 패스워드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확인결과를 내장형웹서버(120)로 제공한다. 물론, 접근권한정보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when the access
보안관리자(130)는, 외부의 보안정책관리서버(300)로부터 배포된 보안정책을 저장한다. 즉, 보안관리자(13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에 대응하여 외부장치(10a)가 구동된 웹컨텐츠를 통해 소정 단말기능 제어를 요청함에 따라 단말장치(100)에서 해당 단말기능모듈(150)을 제어할 때 제어 전 및 제어 후에 수행해야 하는 소정 보안정책을 기 저장한다. 그리고, 보안관리자(130)는, 외부장치(10a)로부터의 단말기능(예 : 동영상 데이터 리드라이트 기능) 제어 요청에 의해 내장형웹서버(120)로부터 제어 전 설정동작이 요청되면 보안정책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 제어 전에 수행 설정된 보안동작을 수행하여 결과를 회신한다. 예를 들어, 보안관리자(130)는, 내장형웹서버(120)로부터 단말기능(예 : 동영상 데이터 리드라이트 기능) 제어 요청에 의한 제어 전 설정동작이 요청되면, 보안정책에 따라 외부장치(10a)가 구동된 웹컨텐츠가 인증된 웹컨텐츠인지 또는 웹컨텐츠가 정상적인 접근 경로에 따른 제어 요청을 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결과를 내장형웹서버(120)로 회신할 수 있다.The
그리고, 보안관리자(130)는, 내장형웹서버(120)로부터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의 제어 후 설정동작이 요청되면 보안정책에 기초하여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 제어 후에 수행 설정된 보안동작을 수행하여 결과를 회신한다. 예를 들어, 보안관리자(130)는, 내장형웹서버(120)로부터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의 제어 후 설정동작이 요청되면, 보안정책에 따라 웹컨텐츠에 따른 제어 요청에 의한 단말기능(예 : 동영상 데이터 리드라이트 기능) 실행결과가 악의적인 시스템 접근인지 또는 악의적인 사용이 있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체크결과를 내장형웹서버(120)로 회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내장형웹서버(120)는, 웹 환경을 통해 외부(외부장치(10a)) 또는 내부(웹브라우저(110)로부터 소정 단말기능의 제어가 요청되면, 이를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 한다.The embedded
즉, 내장형웹서버(12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소정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된 소정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포함되는 소정 요청정보의 정보 즉,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제어파라미터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한다. 여기서, 전술하였듯이 네트워크(1)를 통한 웹컨텐츠로부터의 단말기능 제어 요청은, 해당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해당 제어파라미터정보를 HTTP, XML, HTML, XHTML 과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인터페이스로 표현한 요청정보가 내장형웹서버(120)로 수신됨에 따라 이루어진다.That is, if the embedded
이에, 내장형웹서버(120)는,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웹컨텐츠를 구동중인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 확인을 접근권한관리자(140)에 요청하고, 접근권한관리자(140)로부터 회신되는 확인결과에 기초하여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refore, the embedded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된다고 판단되면, 내장형웹서버(120)는,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른 해당 단말기능모듈(150)의 제어 전 설정동작을 보안관리자(130)로 요청한다. 이에, 보안관리자(130)는 보안정책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 제어 전에 수행 설정된 보안동작을 수행하여 체크결과를 회신할 것이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access to the
이에 따라, 내장형웹서버(120)는, 보안관리자(130)로부터 회신되는 체크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이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을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제어한다. 즉, 내장형웹서버(120)는,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포함되는 요청정보를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에 전달하고 이에 따른 실행을 요청하여, 단말기능을 실행하도록 한다. Accordingly, when the embedded
그리고, 내장형웹서버(120)는,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로부터 단말기능의 실행결과가 반환되면,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의 제어 후 설정동작을 보안관리자(130)에 요청한다. 이에 보안관리자(130)는 보안정책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 제어 후에 실행결과에 대하여 수행 설정된 보안동작을 수행하여 결과를 회신할 것이다. When the embedded
이에 따라, 내장형웹서버(120)는, 보안관리자(130)로부터 회신되는 체크결과에 기초하여 실행결과가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로부터의 실행결과를 외부장치(10a)로 반환한다.Accordingly, when the embedded
이때, 단말기능모듈(150)로부터 반환되는 실행결과는, 전술하였듯이 해당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실행결과를 HTTP, XML, HTML, XHTML 과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인터페이스로 표현하여 내장형웹서버(120)로 반환된다. 이에, 내장형웹서버(120)는 이러한 네트워크 기반의 인터페이스로 표현된 실행결과를 외부장치(10a)로 반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ecution result returned from the
이에, 웹컨텐츠를 구동하여 이를 통해 단말기능 제어를 요청한 외부장치(10a)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른 실행결과를 반환받고, 외부장치(10a)의 웹컨텐츠가 이를 디코딩하여 외부장치(10a)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여기서, 웹브라우저(110)로부터 단말장치(100)내의 소정 단말기능 제어 요청을 입력되면, 내장형웹서버(120)는, 내부적 접근임을 감안하여 접근권한관리자(140)로의 접근권한 확인 요청은 생략하고, 보안관리자(130)로 해당 단말기능모듈(150)의 제어 전 및 제어 후 설정동작을 요청하고 이에 따른 제어 전 및 제어 후 체크결과라 정상이면 실행결과를 웹브라우저(110)로 반환한다. 이에, 단말장치(100)의 측면에서 내부적으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웹브라우저(110)를 이용한 웹 환경에서 단말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a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in the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3, a
단말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150')과,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정보를 기 저장하는 접근권한관리자(140')와, 네트워크(1)를 통해 소정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된 소정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요청된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 확인을 접근권한관리자(140')에 요청하고, 접근권한관리자(140')로부터의 확인결과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되면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기능모듈(150')을 제어하고 해당 단말기능의 실행결과를 외부장치(10a)로 반환하는 모듈관리자(160)와, 웹브라우저(110')와, 보안관리자(130')를 포함한다.The
즉, 단말장치(100')는, 웹 환경을 통해 외부(외부장치(10a)) 또는 내부(웹브 라우저(110')로부터 소정 단말기능의 제어가 요청되면, 네트워크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어 요청된 해당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기능모듈(150')을 제어함으로써 해당 단말기능을 실행하고, 단말기능의 실행에 따른 실행결과를 외부(외부장치(10a)) 또는 내부(웹브라우저(110')로 회신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is requested to control a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from an external (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150'), 웹브라우저(110'), 접근권한관리자(140'), 보안관리자(130')는 각각 전술한 도 2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150), 웹브라우저(110), 접근권한관리자(140), 보안관리자(13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at least one terminal capability module 150 ', the web browser 110', the access right manager 140 ', and the security manager 130' are each at least one terminal in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FIG. Since the
모듈관리자(16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소정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된 소정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포함되는 소정 요청정보의 정보 즉,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제어파라미터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When the
즉, 모듈관리자(16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150') 각각을 관리하는 관리자로서,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된 소정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포함되는 요청정보를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에 전달하고 이에 따른 실행을 요청하여, 단말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That is, the
모듈관리자(16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소정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된 소정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포함되는 소정 요청정보의 정보 즉,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제어파라미터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한다. 여기서, 전술하였듯이 네트워크(1)를 통한 웹컨텐츠로부터의 단말기능 제어 요청은, 해당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해당 제어파라미터정보를 HTTP, XML, HTML, XHTML 과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인터페이스로 표현한 요청정보가 모듈관리자(160)로 수신됨에 따라 이루어진다.When the
이에, 모듈관리자(160)는,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웹컨텐츠를 구동중인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 확인을 접근권한관리자(140')에 요청하고, 접근권한관리자(140')로부터 회신되는 확인결과에 기초하여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refore, when the terminal manager control is requested, the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된다고 판단되면, 모듈관리자(160)는,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른 해당 단말기능모듈(150')의 제어 전 설정동작을 보안관리자(130')로 요청한다. 이에, 보안관리자(130')는 보안정책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 제어 전에 수행 설정된 보안동작을 수행하여 체크결과를 회신할 것이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access to the
이에 따라, 모듈관리자(160)는, 보안관리자(130)로부터 회신되는 체크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이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을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제어한다. 즉, 모듈관리자(160)는,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포함되는 요청정보를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에 전달하고 이에 따른 실행을 요청하여, 단말기능을 실행하도록 한다. According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is normal based on the check result returned from the
그리고, 모듈관리자(160)는,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 트모듈)로부터 단말기능의 실행결과가 반환되면,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의 제어 후 설정동작을 보안관리자(130')에 요청한다. 이에 보안관리자(130')는 보안정책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 제어 후에 실행결과에 대하여 수행 설정된 보안동작을 수행하여 결과를 회신할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terminal capability is returned from the corresponding terminal capability module 150 '(eg, the data read write module), the
이에 따라, 모듈관리자(160)는, 보안관리자(130')로부터 회신되는 체크결과에 기초하여 실행결과가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로부터의 실행결과를 외부장치(10a)로 반환한다.According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ecution result is normal based on the check result returned from the security manager 130 ', the
이때, 단말기능모듈(150')로부터 반환되는 실행결과는, 전술하였듯이 해당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실행결과를 HTTP, XML, HTML, XHTML 과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인터페이스로 표현하여 모듈관리자(160)로 반환된다. 이에, 모듈관리자(160)는 이러한 네트워크 기반의 인터페이스로 표현된 실행결과를 외부장치(10a)로 반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ecution result returned from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150 ', as described above, expresses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name information and the execution result as a network-based interface such as HTTP, XML, HTML, and XHTML to the
이에, 웹컨텐츠를 구동하여 이를 통해 단말기능 제어를 요청한 외부장치(10a)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른 실행결과를 반환받고, 외부장치(10a)의 웹컨텐츠가 이를 디코딩하여 외부장치(10a)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여기서, 웹브라우저(110')로부터 단말장치(100')내의 소정 단말기능 제어 요청을 입력되면, 모듈관리자(160)는, 내부적 접근임을 감안하여 접근권한관리자(140')로의 접근권한 확인 요청은 생략하고, 보안관리자(130')로 해당 단말기능 모듈(150')의 제어 전 및 제어 후 설정동작을 요청하고 이에 따른 제어 전 및 제어 후 체크결과라 정상이면 실행결과를 웹브라우저(110')로 반환한다. 이에, 단말장치(100')의 측면에서 내부적으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웹브라우저(110')를 이용한 웹 환경에서 단말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다.Here, when a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in the terminal device 100 'is input from the web browser 110', the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제3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구성은,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되는 웹컨텐츠가 요청정보를 생성할 때, 단말장치(100")의 각 단말기능모듈(150a"...150b")의 제어 요청에 필요한 접속URL 및 구분자정보를 알고 있으며, HTTP, XML, HTML, XHTML 과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해당 접속URL 및 해당 구분자정보 및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해당 제어파라미터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정보로 인코딩하여 생성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4, a
단말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정보를 기 저장하는 접근권한관리자(140")와, 네트워크(1)를 통해 소정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된 소정 웹컨텐츠로부터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요청된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 확인을 접근권한관리자(140")에 요청하고, 접근권한관리자(140")로부터의 확인결과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되면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단말기능을 실행하고 단말기능의 실행결과를 외부장치(10a)로 반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150")와, 웹브라우저(110")와, 보안관리자(130")를 포함한다.The
즉, 단말장치(100')는, 웹 환경을 통해 외부(외부장치(10a)) 또는 내부(웹브 라우저(110")로부터 소정 단말기능의 제어가 요청되면, 네트워크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어 요청된 해당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기능모듈(150")이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해당 단말기능을 실행하고, 단말기능의 실행에 따른 실행결과를 외부(외부장치(10a)) 또는 내부(웹브라우저(110')로 회신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웹브라우저(110"), 접근권한관리자(140"), 보안관리자(130")는 각각 전술한 도 2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의 웹브라우저(110), 접근권한관리자(140), 보안관리자(13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150")은 전화 송수신모듈과, 메시지 착발신모듈과,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과, 카메라제어모듈과, 블루투스모듈과, RFID모듈과, 시스템기능모듈과, 멀티미디어 코덱모듈과, SIM카드/금융칩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복수개의 단말기능모듈(150a"...150b")을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이러한, 단말기능모듈(150a"...150b")들 각각은, HTTP처리기능을 포함한다. 이에, 네트워크(1)를 통해 소정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된 소정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포함되는 소정 요청정보의 정보 즉, 접속URL 및 구분자정보 및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제어파라미터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능의 제어 요청은 해당 단말기능모듈(예 : 150a")에 직접 전달된다. 이에, 해당 단말기능모듈(예 : 150a")은 HTTP처리기능을 통해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포함된 네트워크 기반 인터페이스(예 : XML) 형태의 요청정보의 정보 즉, 즉, 접속URL 및 구분자정보 및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제어파라미터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Each of these
이러한 단말기능모듈(예 : 150a")은, 네트워크(1)를 통해 소정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된 소정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 웹컨텐츠를 구동중인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 확인을 접근권한관리자(140')에 요청하고, 접근권한관리자(140')로부터 회신되는 확인결과에 기초하여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When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eg, 150a ") requests control of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from predetermined web content driven by the predetermined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된다고 판단되면, 단말기능모듈(150a")은,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른 단말기능 실행 전 설정동작을 보안관리자(130")로 요청한다. 이에, 보안관리자(130")는 보안정책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능모듈(150a")의 단말기능 실행 전에 수행 설정된 보안동작을 수행하여 체크결과를 회신할 것이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access to the
이에 따라, 단말기능모듈(150a")은, 보안관리자(130")로부터 회신되는 체크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이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단말기능모듈(150a")은,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포함되는 소정 요청정보의 정보 즉,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제어파라미터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능을 실행한다. Accordingly, when the
그리고, 단말기능모듈(150a")은, 단말기능 실행 후 설정동작을 보안관리자(130")에 요청한다. 이에 보안관리자(130")는 보안정책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능모듈(150a")의 단말기능 실행 후에 실행결과에 대하여 수행 설정된 보안동작을 수행하여 결과를 회신할 것이다. Then, the
이에 따라, 단말기능모듈(150a")은, 보안관리자(130")로부터 회신되는 체크결과에 기초하여 실행결과가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실행결과를 외부장치(10a)로 반 환한다.According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ecution result is normal based on the check result returned from the
이때, 단말기능모듈(150a")은, 전술하였듯이 해당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실행결과를 HTTP, XML, HTML, XHTML 과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인터페이스로 표현하여 외부장치(10a)로 반환된다.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이에, 웹컨텐츠를 구동하여 이를 통해 단말기능 제어를 요청한 외부장치(10a)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른 실행결과를 반환받고, 외부장치(10a)의 웹컨텐츠가 이를 디코딩하여 외부장치(10a)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능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외부장치(10a)에서 단말장치(100,100',100")의 고유한 단말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해당 웹컨텐츠를 구동하고, 웹컨텐츠를 통해 단말장치(100,100',100")의 고유한 소정 단말기능의 제어를 요청하면, 단말장치(100,100',100")는 단말기능의 제어 요청에 따른 접근권한 확인 및 보안정책 수행 후 정당한 경우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단말기능을 실행함에 따른 실행결과를 외부장치(10a)로 반환함으로써, 외부장치(10a)에서는 웹컨텐츠가 반환된 실행결과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에, 본 발명의 단말기능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외부장치(10a)가 웹컨텐츠를 구동하여 웹 환경을 통해 원거리에 있는 단말장치(100,100',100")의 고유한 단말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신규 서비스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Thus,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evice (10a) can drive the web content to use the unique terminal capabilities of the terminal device (100, 100 ', 100 "in the remote through the web environment, This will create a variety of new services.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능 제어 방법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실시예 설명 시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Hereinafter, the control flow of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Here,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1 to 4 described above when describing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단말기능 제어 방법의 제어 흐름을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rst, referring to FIG. 5, the overall control flow of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method is as follows.
각각의 단말장치(100)는 우선 자신의 단말장치 접속주소정보 즉, IP정보를 접속관리서버(200)에 제공하여 등록한다(S10). 그리고, 보안정책관리서버(300)는, 단말장치(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모듈에 대응하여, 외부장치(10a...10n)가 웹컨텐츠를 통해 단말기능 제어를 요청함에 따라 단말장치(100)에서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할 때 제어 전 및 제어 후에 수행해야 하는 소정 보안정책을 배포한다(S20). 이에, 단말장치(100)는 보안정책을 기 저장하게 된다(S30).Each
여기서, 외부장치(10a)에 단말장치(100)의 단말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웹컨텐츠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는 전제 하에, 사용자가 단말장치(100)의 단말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외부장치(10a)에서 웹컨텐츠를 구동하여(S40), 웹컨텐츠를 통해 단말장치(100)의 소정 단말기능 제어를 입력하면, 외부장치(10a)는 해당 단말장치(100)의 접속주소 즉, IP정보를 접속관리서버(200)에 요청한다(S50). 이에, 접속관리서버(200)는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기 설정된 접속허용정보에 기초하여 요청한 외부장치(10a)가 접속허용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60), 접속허용대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단말장치(100)의 IP정보를 회신한다(S70).Here,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capability of the
이에,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되는 웹컨텐츠는, 회신되는 IP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1)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접속한다. 그리고,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되는 웹컨텐츠는, 단말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입력에 따라 해당 단말기능의 해당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해당 제어파라미터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정보를 HTTP, XML, HTML, XHTML 과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인코딩/생성한다(S80). Accordingly, the web content driven by the
이때, 웹컨텐츠는 전술한 제3실시예에 따르면, S80단계에서는 단말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입력에 따라 해당 단말기능의 해당 접속URL(Uniform Resource Locator ) 및 해당 구분자정보 및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해당 제어파라미터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정보를 생성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web conten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in step S80 according to the control input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capability,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and the identifier information and terminal capability module nam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apability and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trol parameter information will be generated.
이에, 웹컨텐츠는 요청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0)로 해당 단말기능을 제어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90). 물론, 전술한 제3실시예에 따르면, S90단계에서 웹컨텐츠는 요청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0)의 해당 단말기능모듈에 직접 접속하여 해당 단말기능을 제어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web content preferably requests the
이에,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되는 웹컨텐츠로부터 단말기능의 제어가 요청되면, 단말장치(100)는 제어 요청된 해당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기능모듈(150)을 제어함으로써 해당 단말기능을 실행하고, 단말기능의 실행에 따른 실행결과를 외부장치(10a)로 반환한다(S200). 이에, 웹컨텐츠를 구동하여 이를 통해 단말기능 제어를 요청한 외부장치(10a)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른 실행결과를 반환받고, 외부장치(10a)의 웹컨텐츠가 이를 디코딩하여(S210), 외부장치(10a)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control of terminal capability is requested from the web content driven by the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6, a control method of the
먼저, 보안관리자(130)는, 외부의 보안정책관리서버(300)로부터 배포된 보안정책을 수신하여(S22), 저장하게 된다(S30).First, the
이때, 네트워크(1)를 통해 소정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된 소정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S92), 내장형웹서버(120)는, 웹컨텐츠를 구동중인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 확인을 접근권한관리자(140)에 요청한다(S95). 이에, 접근권한관리자(14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정보에 기초하여, 외부장치(10a)가 제어 요청한 해당 단말기능에 대하여 접근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확인결과를 내장형웹서버(120)로 회신한다(S100).At this time, if a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control is requested from the predetermined web content driven by the predetermined
접근권한관리자(140)로부터 회신되는 확인결과에 기초하여, 내장형웹서버(120)는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05),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권한없음을 외부장치(10a)로 통보하고(110), 허용된다고 판단되면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른 해당 단말기능모듈(150)의 제어 전 설정동작을 보안관리자(130)로 요청한다(S115). 이에, 보안관리자(130)는 기 저장된 보안정책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 제어 전에 수행 설정된 보안동작을 수행하여 결과를 회신한다(S120). Based on the confirmation result returned from the
내장형웹서버(120)는, 보안관리자(130)로부터 회신되는 체크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이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을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라 제어한다(S125). 이에,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은 제어 요청에 따라 단말기능을 실행하고(S130), 실행에 따른 실행결과를 내장형웹서버(120)로 반환한다(S135). 이때, 단말기능모듈(150)로부터 반환되는 실행결과는, 전술하였듯이 해당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실행결과를 HTTP, XML, HTML, XHTML 과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인터페이스로 표현하여 내장형웹서버(120)로 반환된다. If the embedded
이처럼 단말기능모듈(150)로부터 실행결과가 반환되면,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의 제어 후 설정동작을 보안관리자(130)에 요청한다(S140). 이에 보안관리자(130)는 보안정책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 제어 후에 실행결과에 대하여 수행 설정된 보안동작을 수행하여 결과를 회신할 것이다(S145). When the execution result is returned from the
이에, 장형웹서버(120)는, 보안관리자(130)로부터 회신되는 체크결과에 기초하여 실행결과가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단말기능모듈(150, 예 : 데이터 리드라이트모듈)로부터의 실행결과를 외부장치(10a)로 반환한다(S200).Thus, when the
여기서, 전술한 도 6에서 내장형웹서버(120)의 역할은 전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모듈관리자(160)에 대응하므로, 도 6의 제어 흐름 상 내장형웹서버(120)의 위치에 모듈관리자(160)가 위치한다면, 도 6의 제어 흐름과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제어 흐름은 상호 대응될 것이다.Here, in FIG. 6, the role of the embedded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ure 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trol method of the
보안관리자(130")는, 외부의 보안정책관리서버(300)로부터 배포된 보안정책을 수신하여(S22'), 저장하게 된다(S30').The
이때, 네트워크(1)를 통해 소정 외부장치(10a)에서 구동된 소정 웹컨텐츠로부터 소정 단말기능 제어가 요청되면(S92'),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포함되는 소정 요청정보의 정보 즉, 접속URL 및 구분자정보 및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제어파라미터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능의 제어 요청은 해당 단말기능모듈(예 : 150a")에 직접 전달된다. At this time, when the predetermined terminal capability control is requested from the predetermined web content driven by the predetermined
이에, 해당 단말기능모듈(예 : 150a")은 HTTP처리기능을 통해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포함된 네트워크 기반 인터페이스(예 : XML) 형태의 요청정보의 정보 즉, 즉, 접속URL 및 구분자정보 및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제어파라미터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eg, 150a ") may request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network-based interface (eg, XML) included in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through the HTTP processing function, that is, access URL and delimiter information and terminal. Function module name information and control parameter information can be analyzed.
이에, 단말기능모듈(예 : 150a")은 웹컨텐츠를 구동중인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 확인을 접근권한관리자(140")에 요청한다(S95'). 이에, 접근권한관리자(14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능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정보에 기초하여, 외부장치(10a)가 제어 요청한 해당 단말기능에 대하여 접근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확인결과를 단말기능모듈(예 : 150a")로 회신한다(S100').Accordingly, the terminal capability module (eg, 150a ") requests the access
접근권한관리자(140")로부터 회신되는 확인결과에 기초하여, 단말기능모듈(예 : 150a")은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05'), 허용 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권한없음을 외부장치(10a)로 통보하고(110'), 허용된다고 판단되면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른 단말기능 실행 전 설정동작을 보안관리자(130")로 요청한다(S115'). 이에, 보안관리자(130")는 기 저장된 보안정책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능모듈(예 : 150a")의 단말기능 실행 전에 수행 설정된 보안동작을 수행하여 결과를 회신한다(S120'). Based on the confirmation result returned from the
단말기능모듈(예 : 150a")은, 보안관리자(130")로부터 회신되는 체크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능 제어 요청이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단말기능 제어 요청에 따른 단말기능을 실행한다(S130'). 그리고, 단말기능모듈(150a")은, 단말기능을 실행한 후 설정동작을 보안관리자(130")에 요청한다(S140'). 이에 보안관리자(130")는 보안정책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능모듈(150a")의 단말기능 실행 후에 실행결과에 대하여 수행 설정된 보안동작을 수행하여 결과를 회신할 것이다(S145').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request is normal based on the check result returned from the
이에, 단말기능모듈(예 : 150a")은, 보안관리자(130")로부터 회신되는 체크결과에 기초하여 실행결과가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실행결과를 외부장치(10a)로 반환한다(S200'). 이때, 단말기능모듈(예 : 150a")로부터 반환되는 실행결과는, 전술하였듯이 해당 단말기능모듈이름정보 및 실행결과를 HTTP, XML, HTML, XHTML 과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인터페이스로 표현하여 외부장치(10a)로 반환된다. According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ecution result is normal based on the check result returned from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능 제어 방법에 따르면, 외부장치(10a)에서 단말장치(100,100',100")의 고유한 단말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해당 웹컨텐츠를 구동하고, 웹컨텐츠를 통해 단말장치(100,100',100")의 고유한 소정 단말기능의 제어를 요청하면, 단말장치(100,100',100")는 단말기능의 제어 요청에 따 른 접근권한 확인 및 보안정책 수행 후 정당한 경우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단말기능을 실행함에 따른 실행결과를 외부장치(10a)로 반환함으로써, 외부장치(10a)에서는 웹컨텐츠가 반환된 실행결과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에, 본 발명의 단말기능 제어 방법에 따르면, 외부장치(10a)가 웹컨텐츠를 구동하여 웹 환경을 통해 원거리에 있는 단말장치(100,100',100")의 고유한 단말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신규 서비스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Thus,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ility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evice (10a) can drive the web content to use the unique terminal capabilities of the terminal device (100, 100 ', 100 "in the remote through the web environment, This will create a variety of new services.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외부장치에서 단말장치의 고유한 단말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해당 웹컨텐츠를 구동하고, 웹컨텐츠를 통해 단말장치의 고유한 단말기능의 제어를 요청하면, 단말장치는 단말기능의 제어 요청에 따른 접근권한 확인 및 보안정책 수행 후 정당한 경우 해당 단말기능모듈을 제어/단말기능을 실행함에 따른 실행결과를 외부장치로 반환함으로써, 외부장치가 웹컨텐츠를 구동하여 웹 환경을 통해 원거리에 있는 단말장치의 고유한 단말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능 제어 시스템 및 단말기능 제어 방법을 적용할 경우, 단말기능의 활용도 및 사용자의 원거리 제어 및 만족도, 이를 통한 신구 서비스 창출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단말장치 및 웹컨텐츠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When the external device drives the corresponding web content for controlling the unique terminal capability of the terminal device, and requests control of the unique terminal capability of the terminal device through the web content, the terminal device has access authority according to the control request of the terminal capability. After verifying and executing security policy, the execution result of executing the control / terminal function of the terminal function module is returned to the external device, whereby the external device drives the web content, thereby intrinsic to the remote terminal device through the web environment. When applying terminal capability control system and terminal capability control method that can use terminal capability, it can bring great progress in terms of utilization of terminal capability, remote control and satisfaction of user, and new and old service creation through it. Not only is the potential for market or sales of devices and web content, but also realistically realistic. Since the degree to which can be an invention that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능 제어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terminal capabilit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능 제어 방법의 제어 흐름도이다.5 is a control flowchart of a terminal capabilit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6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7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단말장치 110 : 웹브라우저100: terminal device 110: web browser
120 : 내장형웹서버 130 : 보안관리자120: embedded web server 130: security manager
140 : 접근권한관리자 150 : 단말기능모듈140: access authority manager 150: terminal capability module
Claims (2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8428A KR101311824B1 (en) | 2008-08-11 | 2008-08-11 | Terminal function control system and terminal function control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8428A KR101311824B1 (en) | 2008-08-11 | 2008-08-11 | Terminal function control system and terminal function control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9730A KR20100019730A (en) | 2010-02-19 |
KR101311824B1 true KR101311824B1 (en) | 2013-09-25 |
Family
ID=4208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84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311824B1 (en) | 2008-08-11 | 2008-08-11 | Terminal function control system and terminal function control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1824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1438A (en) * | 2000-03-15 | 2001-10-23 | 강순주 | Internet vending machine for integrating web-based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functions and information kiosk terminal |
KR20030012520A (en) * | 2001-08-01 | 2003-02-12 | 주식회사 모빌탑 | A remote control method of long distant computer from mobile using mobile set and system thereof |
KR100494429B1 (en) | 2003-06-25 | 2005-06-10 | (주)닥터소프트 | Relay apparatus for pc remote driving and remote controlling method thereof |
KR20060051062A (en) * | 2004-09-15 | 2006-05-19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Terminal access control device, program and remote start method |
-
2008
- 2008-08-11 KR KR1020080078428A patent/KR10131182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1438A (en) * | 2000-03-15 | 2001-10-23 | 강순주 | Internet vending machine for integrating web-based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functions and information kiosk terminal |
KR20030012520A (en) * | 2001-08-01 | 2003-02-12 | 주식회사 모빌탑 | A remote control method of long distant computer from mobile using mobile set and system thereof |
KR100494429B1 (en) | 2003-06-25 | 2005-06-10 | (주)닥터소프트 | Relay apparatus for pc remote driving and remote controlling method thereof |
KR20060051062A (en) * | 2004-09-15 | 2006-05-19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Terminal access control device, program and remote start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9730A (en) | 2010-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89313B2 (en) | Protocol independent communication system for mobile devices | |
US8280986B2 (en) | Mobile terminal and associated storage devices having web server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100533440C (en) | Provide services based on access to shared data | |
CN1332301C (en) | Delivery method, delivery system and terminal equipment | |
EP3203709B1 (en) | Cloud service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loud service server | |
CA2681969C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livery of internet content | |
KR101087907B1 (en) | Terminal function test system, test server, application development device and method | |
US8478339B2 (en) | Method for accessing at least one service and corresponding system | |
CN112560006B (en) | Single sign-on method and system under multi-application system | |
CN109462600A (en) | Access method, user equipment, login service device and the storage medium of application | |
KR100494628B1 (en) | Web site auto log-in apparatus and method | |
KR101311824B1 (en) | Terminal function control system and terminal function control method | |
JP4336383B2 (en) | Terminal device and program | |
JP2008005042A (en) | Personal data utiliz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personal data utiliz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program | |
JP4872268B2 (en) |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 |
KR101068292B1 (en) |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Wi-Fi of the terminal device | |
KR101311239B1 (en) | Terminal-controling apparatu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of | |
CN112543194A (en) | Mobile terminal logi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JP2005250779A (en) | Attribute management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attribute providing method | |
CN117762601B (en) | Method, system, terminal and storage medium for invoking hydra service | |
CN109787812B (en) | Access method and system of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service based on cloud transmission | |
KR20090121435A (en) | Application execution control method and terminal | |
JP4629024B2 (en) | Authentication server and authentication method | |
KR101158239B1 (en) | Mobile terminal apparatus controlled by character message,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erminal using character message | |
KR101237054B1 (en) | Directory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directory service provid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AMND | Amendment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R19-X000 | Request for party data change rejec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9-oth-X000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
|
AMND | Amendment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PB0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N-3-6-B10-B17-rex-PB06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PJ1301 | Trial decis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5-crt-PJ1301 Decision date: 20130826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Ground Text : 2008 0078428 Appeal request date: 20120229 Appellate body name: Patent Examination Board Decision authority category: Office appeal board Decision identifier: 2012101002239 |
|
PS0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S0901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PS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S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L13-X000 |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
|
U15-X000 | Partial renewal or maintenance fee paid modifying the ip right scop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5-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L13-X000 |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
|
U15-X000 | Partial renewal or maintenance fee paid modifying the ip right scop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5-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91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