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01293B1 - Laser pointer for speaker socket connection, Point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presentation system including them - Google Patents

Laser pointer for speaker socket connection, Point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presentation system including th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293B1
KR101301293B1 KR1020120019240A KR20120019240A KR101301293B1 KR 101301293 B1 KR101301293 B1 KR 101301293B1 KR 1020120019240 A KR1020120019240 A KR 1020120019240A KR 20120019240 A KR20120019240 A KR 20120019240A KR 101301293 B1 KR101301293 B1 KR 101301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laser
terminal
audio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2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91226A (en
Inventor
최순필
Original Assignee
(주)초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초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초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PCT/KR2013/00094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19037A1/en
Publication of KR20130091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2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29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6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for light p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 포인터와 이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단자에 연결되어 동작되는 레이저 포인터와 이들을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출력신호의 전압이 레이저 포인터의 레이저방출소자를 구동하기에 부족한 점을 해결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레이저 포인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는 실용화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이동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전력을 이용하는 휴대단말기에서도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포인터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시스템 등의 분야에서, 실제 구현시 제품의 안정적인 동작성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해당 제품에 대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ser pointer for connecting a speaker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of a system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laser pointer connected to the speaker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in a system using the same I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using.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voltage of the audio output signal output through the speaker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sufficient to drive the laser emitting device of the laser pointer, it is possible to substantially drive the laser pointer using the portable terminal. .
Therefore, the laser po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ut to practical use.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mobility and portability of the portable terminal, it may be possible to operate in a portable terminal using low power.
Therefore, in the field of a laser pointer, a portable terminal, a system using the same, and the like,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ovide stabl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product in actual implementation, but also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Description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 포인터, 포인터 단말기, 및 이들을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Laser pointer for speaker socket connection, Point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presentation system including them}Laser pointer for speaker socket connection, Point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presentation system including them}

본 발명은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 포인터, 포인터 단말기, 및 이들을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단자에 연결되어 동작되는 레이저 포인터와 이들을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ser pointer for connecting a speaker terminal, a pointer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of a present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ser pointer connected to a speaker terminal of a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in a system using the same. I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using.

특히,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출력신호의 전압이 레이저 포인터의 레이저방출소자를 구동하기에 부족한 점을 해결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레이저 포인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 포인터, 포인터 단말기, 및 이들을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that the voltage of the audio output signal output through the speaker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sufficient to drive the laser emitting device of the laser pointer, so that the laser pointer can be substantially driven using the portab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ser pointer for connecting a speaker terminal, a pointer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of a present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레이저 포인터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전방에 렌즈가 구성되고, 후방에는 전원인 배터리 및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스위치를 작동하여 배터리의 전원이 레이저 다이오드에 공급되면, 레이저 다이오드가 턴온되면서 레이저 포인터의 전방으로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동작된다.In general, the laser pointer is composed of a lens in the front of the laser diode, the rear of the battery consists of a power supply and a switch for supplying and cutting off the battery,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to supply the power of the battery to the laser diode When the laser diode is turned on,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front of the laser pointer.

이와 같은 레이저 포인터는 회의, 건설현장 및 설명회 등에서 챠트 또는 프리젠테이션 화면을 지시하는 지시봉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Such a laser pointer serves as an indicator rod for indicating a chart or a presentation screen at a meeting, a construction site, and a briefing session.

따라서, 레이저 포인터는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하도록 소형화된 제품이 대부분이다.Therefore, laser pointers are mostly miniaturized to be portable and easy to use.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6806호 "레이져 포인터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휴대단말기에 레이저 포인터를 구성하여, 휴대성 및 사용의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킨 휴대단말기 일체형 레이저 포인터를 제공함으로써, 독립형 레이저 포인터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 교체와 같은 번거로움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Recently, a laser pointer is constructed in a portable terminal used by many people, such a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26806,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laser pointer." By providing an improved laser pointer integrated with a portab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assle, such as battery replacement that can occur in a stand-alone laser pointer.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6806호와 같은 휴대단말기 일체형 레이저 포인터의 경우, 사용자가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던 휴대단말기와 레이저 포인터가 구성된 휴대단말기를 교체하거나, 레이저 포인터가 구성된 휴대단말기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integrated laser pointer such a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26806, in order for a user to use the laser pointer,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with the laser pointer or the laser pointer are configur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bile terminal must be purchased separately.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4695호 "착탈식 레이져 포인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되는 착탈식 레이저 포인터도 제공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removable laser pointer connected to an input / output port of a mobile terminal is also provided, such a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1469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emovable laser pointer."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4695호의 경우, 휴대단말기와 별도로 제공되는 레이저 포인터를 휴대단말기에 탈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 일체형 레이저 포인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14695, it wa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ortable terminal integrated laser pointer by detaching and using the laser pointe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portable terminal.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4695호는 단순히 탈부착이 가능한 레이저 포인터가 휴대단말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나타낼 뿐, 실질적으로 발생되는 구체적인 문제점에 대해서는 그 해결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However,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14695 merely indicates that the detachable laser pointer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portable terminal, and does not provide a solution to a specific problem that is substantially generated.

특히, 레이저 포인터에 구성되는 레이저방출소자의 경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단자의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사용하여야만 해당 레이저 포인터가 그 기본기능(지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4695호의 경우에는 레이저 포인터의 레이저방출소자로 충분한 전압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laser emitting device configured in the laser pointer, the laser pointer can perform its basic function (instructing function) only by using a voltage higher than the voltage of the speaker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In case of 10-2004-0014695,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ufficient voltage is not supplied to the laser emitting device of the laser pointer.

더불어, 최근에는 휴대단말기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휴대단말기에 구성되는 2차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는 저전력 기능의 휴대단말기가 보급되고 있는 바,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경우에는 내부소자들이 저전력소자들로 구성되어 있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4695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데이터포트에 탈부착되도록 레이저 포인터를 구성한다 하더라도 충분한 전압을 제공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rec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portability of the portable terminal, a low power function portable terminal which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minimizes power consumption has been widely used. Since the internal devices are composed of low power devices, even when the laser pointer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data port as shown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14695, there is a problem that a sufficient voltage is not provid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6806호 "레이져 포인터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26806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laser pointer"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4695호 "착탈식 레이져 포인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1469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emovable laser point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레이저 포인터가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단자에 연결되어 동작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출력신호의 전압이 레이저 포인터의 레이저방출소자를 구동하기에 부족한 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 포인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laser pointer connected to the speaker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the voltage of the audio output signal output through the speaker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laser emission of the laser point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ser pointer for connecting speaker terminals that can solve the shortcomings of driving a device.

특히,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이동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전력 기반의 휴대단말기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 포인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ser pointer for connecting a speaker terminal to enable operation even in a low-power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improve the mobility and portability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해당 레이저 포인터의 동작을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는 포인터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inter terminal capable of check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pointer in a portable terminal using such a laser pointer for speaker terminal connection.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 포인터가 구성된 휴대단말기와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을 연동하여, 발표자가 보다 효율적인 레이저 포인터 이용 및 원활한 발표진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a presentation system that allows a presenter to perform a more efficient use of the laser pointer and smoothly present a presentation by interworking a presentation device with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laser pointer.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matter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 포인터는,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단자의 좌측음성출력핀 및 우측음성출력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핀 및 제2 연결핀을 포함하는 입력단자; 및 상기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레이저를 방출하는 몸체를 포함하며,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외부로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방출소자가 구성되고,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연결핀 및 제2 연결핀으로 입력되는 음성출력신호의 각 전압을 합하여 상기 레이저방출소자의 동작전압으로 공급하는 제어모듈이 포함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laser pointer for speaker termina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peaker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first audio output pin and the right audio output pin of the speaker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An input terminal including a connection pin and a second connection pin; And a body coupled to the input terminal to emit a laser, wherein one side of the body is configured to emit a laser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connection pin and the second connection pin are formed inside the body. And a control module for adding the voltages of the input voice output signals to the operating voltages of the laser emitting devic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이저방출소자의 동작 여부를 출력하는 동작확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t may include an operation check unit for outputt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emitting devi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성출력신호는 구형파 및 정현파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제어모듈은, 상기 제1 연결핀 및 제2 연결핀으로 입력되는 음성출력신호를 합한 후, 최소전압이 기준전압이 되도록 승압하여 상기 레이저방출소자의 동작전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연결핀 및 제2 연결핀으로 입력되는 음성출력신호는 180°의 위상차를 갖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oice output signal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square wave and a sine wave, the control module of the body, after adding the voice output signal input to the first connection pin and the second connection pin, the minimum voltage is reference The voltage may be boosted to provide an operating voltage of the laser emitting device. For example, the voice output signal input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ins may have a phase difference of 180 °.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성출력신호는 구형파 및 정현파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제어모듈은, 상기 제1 연결핀 및 제2 연결핀으로 입력되는 음성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위상을 180° 딜레이시키고, 상기 위상이 딜레이된 음성출력신호와 상기 제1 연결핀 및 제2 연결핀으로 입력되는 음성출력신호 중 다른 하나의 신호를 합하여 상기 레이저방출소자의 동작전압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voice output signal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square wave and a sine wave, the control module of the body, the phase of any one of the voice output signal input to the first connection pin and the second connection pin 180 It may be delayed and the sum of the delayed voice output signal and the other one of the voice output signal input to the first connection pin and the second connection pin may be provided as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laser emitting device.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포인터 단말기는, 스피커단자가 구성되며, 상기 스피커단자를 통해 180°의 위상차를 갖는 두 개의 구동신호를 각각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로 출력하는 휴대단말기; 및 상기 스피커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단자에서 출력되는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합한 후, 최소전압이 기준전압이 되도록 승압하여 레이저를 방출한다.In addition, the pointer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peaker terminal is configured, the portable terminal for outputting two driving signals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 through the speaker terminal as a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a right audio output signal, respectively terminal; And a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a right audio output signal which are output from the speaker terminal, are combined together, and then boosted so that the minimum voltage becomes a reference voltage to emit a las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180°의 위상차를 갖는 두 개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포인팅신호 생성부; 및 상기 포인팅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두 개의 구동신호를 각각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이저 포인터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로 수신된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합한 후, 최소전압이 기준전압이 되도록 승압하여 동작전압으로 공급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에서 공급되는 동작전압에 의해 외부로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방출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a pointing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two driving signals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the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to the two driving signals generated by the pointing signal generator,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laser pointer may include an input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a left voice output signal and a right voice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A control module for adding the left voice output signal and the right voice output signal received at the input terminal, and then boosting the voltage so that the minimum voltage becomes a reference voltage to supply the operating voltage; And it may include a laser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a laser to the outside by the operating voltage supplied from the control module.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포인터 단말기는, 스피커단자가 구성되며, 상기 스피커단자를 통해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출력하는 휴대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단자에서 출력되는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음성출력신호를 위상변환하고, 상기 위상변환된 음성출력신호와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 중 어느 다른 하나의 음성출력신호를 합하여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 포인터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pointer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figured with a speaker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for outputting a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a right audio output signal through the speaker terminal, and is connected to the speaker terminal, the speaker Phase-shift one of the left voice output signal and the right voice output signal outputted from the terminal, and the other voice output signal of the phase-shifted voice output signal, the left voice output signal and the right voice output signal. The combined laser pointer emitting the laser is combin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포인터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자;상기 입력단자로 수신된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음성출력신호를 위상변환하여 동작전압으로 공급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에서 공급되는 동작전압에 의해 외부로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방출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wherein the laser pointer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phase-shift one of the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received by the input terminal to supply an operating voltage; And it may include a laser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a laser to the outside by the operating voltage supplied from the control module.

예를 들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신호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압을 확인하여 상기 레이저방출소자의 동작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공급전원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포인터는, 상기 공급전원 확인부의 판단결과를 상기 스피커단자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4 연결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upply power checking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laser emitting device is operable by checking an operating voltage output from the signal converting unit, and the laser pointer includes the supply power checking uni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connection pin configured to transmit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controller through the speaker terminal.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스피커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음성출력신호를 위상변환하고 두 신호의 합을 동작전압으로 변환하여 동작하는 레이저 포인터;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스피커단자에 결합되는 휴대단말기;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서버용 컴퓨터; 및 상기 서버용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동작전압을 피드백하여,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확인결과,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활성화되면,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매칭된 설정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ation system to achieve the above object, phase-shifts any one of the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peaker terminal and operates the sum of the two signals A laser pointer operating by converting into a voltage;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laser pointer is coupled to a speaker terminal; A server computer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program in associ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d a projector for displaying an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in the server computer, the method comprising: a) the portable terminal feeding back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laser pointer to confirm whether the laser pointer is activated; And b) if the laser pointer is activate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pointer in response to the setting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executed application program.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a)는, a-1) 상기 스피커단자 중 음성출력단자를 통해 활성화확인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a-2) 상기 스피커단자 중 마이크입력단자를 통해 활성화확인 응답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과정; a-3)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활성화가 성공된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 및a-4)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활성화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tep a) may include: a-1) outputting an activ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through a voice output terminal among the speaker terminals; a-2) waiting for reception of an activation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put terminal among the speaker terminals; a-3) determining that the activation of the laser pointer is successful when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And a-4) displaying the activation state of the laser pointer.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출력신호의 전압을 간단한 회로구성만으로 증폭하여 레이저방출소자에 제공함으로써, 전원부족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By the above solv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solving the problem of power shortage by amplifying the voltage of the audio output signal output through the speaker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a simple circuit configuration to the laser emitting device.

따라서, 실질적으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레이저 포인터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탈부착이 가능한 레이저 포인터의 실용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since the laser pointer can be substantially driven using a portable terminal,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the practical use of the detachable laser pointer.

특히, 휴대단말기의 이동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전력을 이용하는 휴대단말기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휴대단말기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order to improve the mobility and portability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operate in a portable terminal using a low pow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various portable terminals.

이러한 장점 및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은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에서 해당 레이저 포인터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레이저 포인터를 구성하는 휴대단말기와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을 연동하여 원활한 발표진행을 수행할 수 있다.By the above advantages and effects,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aser pointer in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laser pointer, and performs a smooth presentation process by interworking the presentation device with the portable terminal constituting the laser pointer. can do.

따라서, 레이저 포인터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시스템 등의 분야에서, 실제 구현시 제품의 안정적인 동작성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해당 제품에 대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field of a laser pointer, a portable terminal, a system using the same, and the like,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ovide stabl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product in actual implementation, but also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 포인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 포인터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제어모듈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노드 'N1' 내지 'N3'에서의 신호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포인터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레이저 포인터와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레이저 포인터 및 휴대단말기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제어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계 'S10'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휴대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단계 'S100'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aser pointer for speaker termina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laser pointer for speaker termina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module of FIGS. 1 and 2.
FIG. 4 is a graph illustrating signals at nodes 'N1' to 'N3'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oint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aser pointer and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5 are coupled to each other.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aser pointer and the portable terminal of FIGS. 5 and 6.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executed by the controller of FIG. 7.
FIG.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step S10 of FIG. 8.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resen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executed in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0.
FIG. 12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step S100 of FIG. 11.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더불어,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 포인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 포인터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aser pointer for speaker termina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laser pointer for speaker termina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100)는 입력단자(110) 및 몸체(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laser poin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terminal 110 and a body 120.

입력단자(110)는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단자에 연결되며, 스피커단자의 좌측음성출력핀 및 우측음성출력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핀(111) 및 제2 연결핀(11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단자(110)는 스피커단자에서 "Signal Return"으로 사용되는 공통핀(그라운드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연결핀(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입력단자(110)는 스피커단자에서 마이크로폰입력으로 사용되는 마이크입력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연결핀(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terminal 110 is connected to the speaker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in 111 and a second connection pin 11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ft voice output pin and the right voice output pin of the speaker terminal. . In one embodiment, the input terminal 11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nnection pin 113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mmon pin (ground pin) used as a "Signal Return" in the speaker terminal. In another embodiment, the input terminal 11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connecting pin 114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phone input pin used as the microphone input in the speaker terminal.

한편, 좌측음성출력핀 및 우측음성출력핀은 휴대단말기의 스피커 단자에서 좌측음성신호와 우측음성신호가 각각 출력되는 핀을 의미하며, 좌측음성신호 및 우측음성신호는 스테레오 음향 중에서 좌측스피커로 출력되는 음향 및 우측스피커로 출력되는 음향을 의미한다. Meanwhile, the left voice output pin and the right voice output pin are pins for outputting the left voice signal and the right voice signal from the speaker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respectively, and the left voice signal and the right voice signal are output to the left speaker in stereo sound. Sound and sound output to the right speaker.

본 명세서 상에서 음성신호라 함은, 단순히 사람의 목소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 단자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는 모든 대역폭의 신호를 말한다. 즉, 음성신호는 스피커 단자에서 출력될 수 있는 신호라면 사람의 음성 뿐만 아니라, 각종 음향 및 사람의 가청 범위를 넘는 주파수를 갖는 신호일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voice signal does not simply mean a human voice, but refers to a signal of all bandwidths that can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voice signal may be a signal having a frequency exceeding various sounds and human audible range, as well as the voice of a person, as long as it is a signal that can be output from the speaker terminal.

몸체(120)는 입력단자(110)와 결합되도록 연결되며, 몸체(120)의 일측에 형성된 조사홀(121)에는 외부로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방출소자(121a)가 구성되고,몸체(120)의 내부에는 제1 연결핀(111) 및 제2 연결핀(112)으로 입력되는 음성출력신호의 각 전압을 합하여 레이저방출소자(121a)의 동작전압으로 공급하는 제어모듈(122)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122)은 PC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연결핀(111)과 제2 연결핀(112) 및 레이저방출소자(121a)와는 스트립라인 또는 마이크로스트립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body 120 is connected to be coupled to the input terminal 110, the irradiation hole 121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120 is configured with a laser emitting device 121a for emitting a laser to the outside, the body 120 Inside the control module 122 for supplying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laser emitting device 121a by adding the respective voltages of the voice output signal input to the first connection pin 111 and the second connection pin 112.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22 may be formed of a PCB,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n 111, the second connection pin 112, and the laser emitting device 121a by a strip line or a micro strip line. .

몸체(120)의 다른 일측(도 1에서는 외주면 상부)에는, 레이저방출소자(121a)의 동작 여부를 출력하는 동작확인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작확인부(123)는 LED(123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122)은 레이저방출소자(121a)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LED(123a)를 턴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모듈(122)은 레이저방출소자(121a)에 동작전압의 공급이 중단되면, LED(123a)를 턴오프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body 120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FIG. 1), may include an operation check unit 123 for outputt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emitting device 121a. In one embodiment, the operation check unit 123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LED (123a).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22 may turn on the LED 123a when the operating voltage is supplied to the laser emission device 121a.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22 may turn off the LED 123a when the supply of the operating voltage to the laser emitting device 121a is stopped.

다른 일 실시예에서, 몸체(120)의 일측에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출력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30)는 사용자가 레이저가 조사되는 방향을 보다 용이하게 지시할 수 있도록, 지시방향에 대한 가이드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output unit 13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120 as shown in FIG. The output unit 130 may perform a guide role with respect to the indicating direction so that the user may more easily indicate the direction in which the laser is irradiated.

일 실시예에서, 몸체(120)의 조사홀(121) 내부에는, 레이저방출소자(121a)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를 확산하는 확산렌즈(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확산렌즈는 레이저 포인트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a diffusion lens (not shown) for diffusing a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emitting device 121a may be further configured inside the irradiation hole 121 of the body 120. The diffuse lens performs a function of making it easy to visually check the laser point.

한편,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단자에서 연결단자(110)로 공급되는 음성출력신호는 구형파(펄스파) 및 정현파(사인파)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음성출력신호는 일반적으로 약 ±2.7V의 진폭을 갖는 신호로 구성되며, 레이저방출소자(121a)의 경우 약 4V 이상의 동작전압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요구되는 동작전압보다 낮은 전압의 음성출력신호를 해당 동작전압으로 변환해야할 필요가 있다.Meanwhile, the voice output signal supplied from the speaker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0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square wave (pulse wave) and a sine wave (sine wave). The voice output signal is generally composed of a signal having an amplitude of about ± 2.7V, and the laser emitting device 121a requires an operating voltage of about 4V or mo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voice output signal having a voltage lower than the required operating voltage to the corresponding operating voltage.

일 실시예에서, 몸체(120)의 제어모듈(122)은,제1 연결핀(111) 및 제2 연결핀(112)으로 입력되는 음성출력신호를 합한 후, 최소전압이 기준전압이 되도록 승압하여, 레이저방출소자(121a)의 동작전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단자(110)의 제1 연결핀(111) 및 제2 연결핀(112)으로 입력되는 음성출력신호는 구형파 및 정현파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핀(111) 및 제2 연결핀(112)으로 입력되는 음성출력신호는 180°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122 of the body 120, after the sum of the voice output signal input to the first connecting pin 111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112, the voltage boosted so that the minimum voltage becomes a reference voltage Thus,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laser emitting device 121a can be provided. For example, the voice output signal input to the first connection pin 111 and the second connection pin 112 of the connection terminal 110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square wave and a sine wave. Here, the voice output signal input to the first connection pin 111 and the second connection pin 112 may include a signal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

이와 같이, 180°의 위상차를 갖는 음성출력신호 레이저방출소자(121a)의 동작전압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3 및 도 4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providing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audio output signal laser emitting device 121a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다른 일 실시예에서, 몸체(120)의 제어모듈(122)은, 연결단자(110)의 제1 연결핀(111) 및 제2 연결핀(112)으로 입력되는 음성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위상을 180° 딜레이시키고, 위상이 딜레이된 음성출력신호와 제1 연결핀(111) 및 제2 연결핀(112)으로 입력되는 음성출력신호 중 다른 하나의 신호를 합하여 레이저방출소자(121a)의 동작전압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122 of the body 120, the phase of any one of the audio output signal input to the first connection pin 111 and the second connection pin 112 of the connection terminal 110. Delays 180 ° and adds one of the voice output signals delayed in phase and the other one of the voice output signals input to the first connection pin 111 and the second connection pin 112 to operate the laser emission device 121a. Can be provided as a voltage.

다시 말해, 연결단자(110)의 제1 연결핀(111) 및 제2 연결핀(112)으로 입력되는 음성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180°의 위상차를 갖도록 변환하는 것은, 휴대단말기(200) 및 레이저 포인터(100)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서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other words, converting any one of the audio output signals input to the first connecting pin 111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112 of the connecting terminal 110 to have a phase difference of 180 °,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laser pointer 100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예를 들어, 다양한 레이저 포인터(100)를 이용하기 위한 휴대단말기(200)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위상변환은 휴대단말기(2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ortable terminal 200 for using various laser pointers 100 is provided, a corresponding phase shift may be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200.

다른 예로, 다양한 휴대단말기(200)를 이용하기 위한 레이저 포인터(100)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위상변환은 레이저 포인터(1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laser pointer 100 for using the various mobile terminals 200 is provided, the phase shift may be performed by the laser pointer 100.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제어모듈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노드 'N1' 내지 'N3'에서의 신호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module of FIGS. 1 and 2, and FIG. 4 is a graph illustrating signals at nodes 'N1' to 'N3' of FIG. 3.

도 3을 참조하면, 레이저 포인터(100)의 입력단자(110)로 입력되는 두 개의 음성출력신호는 180°의 위상차를 가지고 승압회로블록(B1)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위상변화로 인해 'N1'노드에서는 도 4의 상부그래프와 같은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wo voice output signal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110 of the laser pointer 100 may be input to the boost circuit block B1 with a phase difference of 180 °. Due to this phase change, a signal such as the upper graph of FIG. 4 may be input from the 'N1' node.

승압회로블록(B1)은 입력신호의 최소전압을 기준전압(그라운드 전압)으로 상승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신호가 '+1' 내지 '-1'의 전압을 갖는 펄스파인 경우, 승압회로블록(B1)은 해당 입력신호를 '+2' 내지 '0'의 전압을 갖는 펄스파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압회로블록(B1)은 입력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 및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쇼트키다이오드(Schottky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oster circuit block B1 may increase the minimum voltage of the input signal to a reference voltage (ground voltage). For example, when the input signal is a pulse wave having a voltage of '+1' to '-1', the boost circuit block B1 converts the input signal into a pulse wave having a voltage of '+2' to '0'. can do. In one embodiment, the booster circuit block B1 may include a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to the input terminal and a Schottky diod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input terminal.

평활회로블록(B2)은 승압된 입력신호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활회로블록(B2)은 '+2' 내지 '0'의 전압을 갖는 펄스파의 입력신호는 '+2'의 전압을 갖는 직류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활회로블록(B2)은 입력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쇼트키다이오드 및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moothing circuit block B2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verting a boosted input signal into a direct current. For example, the smoothing circuit block B2 may convert an input signal of a pulse wave having a voltage of '+2' to '0' into a DC voltage having a voltage of '+2'. In one embodiment, the smoothing circuit block B2 may include a schottky diod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input terminal and a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input terminal.

안정화회로블록(B3)은 레이저방출소자(121a)의 출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활회로블록(B2)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은 소폭의 맥동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맥동전압은 레이저방출소자(121a)에서 출력되는 레이저의 출력변화(밝기변화)를 초래 또는 레이저방출소자(121a)의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정화회로블록(B3)은 맥동전압에 의하여 레이저의 출력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정화회로블록(B3)은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피드백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bilization circuit block B3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laser emitting device 121a to be stable. For example,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smoothing circuit block B2 may include a small pulsation voltage. This pulsation voltage may cause a change in output (brightness change) of the laser output from the laser emitting device 121a or damage of the laser emitting device 121a. Therefore, the stabilization circuit block B3 may perform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output change of the laser due to the pulsation voltage. In one embodiment, the stabilization circuit block B3 may include a feedback control circuit including two transistors.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포인터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레이저 포인터와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oint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aser pointer and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5 are coupled to each other.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포인터 단말기는 휴대단말기와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하고, 휴대단말기(200) 일측에 스피커단자(210)가 구성되며, 스피커단자(210)를 통해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출력하며, 레이저 포인터(100)는 휴대단말기(200)의 스피커단자(210)에 연결된다.5 and 6, the pointer terminal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and a laser pointer, and a speaker terminal 210 is configured at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the left voice output signal and the right side are connected through the speaker terminal 210. The audio output signal is output, and the laser pointer 100 is connected to the speaker terminal 210 of the mobile terminal 200.

레이저 포인터(100)는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음성출력신호 위상변환되어 스피커단자(210)에서 출력된 신호를 합하여 레이저를 생성 및 방출하는 동작전압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음성출력신호는 180°의 위상변환을 갖는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The laser pointer 100 is used as an operation voltage for generating and emitting a laser by combini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speaker terminal 210 by phase shifting of one of the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For example, any one audio output signal may be converted into a signal having a phase shift of 180 degrees.

일 실시예에서, 휴대단말기(200)는 측면에 스피커단자(210)를 구성할 수 있고, 상부면에 디스플레이(220)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200)는 PAD, 스마트폰 및 테블릿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2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00 may configure the speaker terminal 210 on the side, and may configure the display 220 on the upper surface.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a PAD, a smartphone, and a tablet computer. In addition, the display 220 may include a touch screen.

또한, 레이저 포인터(100)와 휴대단말기(200)의 연결은 데이터포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데이터포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스피커단자를 이용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이 적용됨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laser pointer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may use a data port, and in the case of using the data port, the same method as that of using the speak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도 7은 도 5 및 도 6의 레이저 포인터 및 휴대단말기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aser pointer and the portable terminal of FIGS. 5 and 6.

도 7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200)는 입력부(230), 제어부(240) 및 포인팅신호 생성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an input unit 230, a controller 240, and a pointing signal generator 250.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230)는 하기에 설명될 레이저 포인터(10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3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input unit 23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laser pointer 100 to be described below. For example, the input unit 230 may include a touch screen.

제어부(240)는 포인팅신호 생성부(250)에서 생성된 두 개의 구동신호(이하, 포인팅신호와 혼용함)를 각각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포인터(100)로 전송하기 위하여 생성된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의 진폭의 합이, 제어모듈(122)에서 공급되는 동작전압이 되도록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제어모듈(122)에서 공급되는 동작전압의 신호에 대하여 1/2의 진폭을 갖는 신호를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40 may output two driving signals generated by the pointing signal generator 250 (hereinafter, mixed with a pointing signal), respectively, to the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For example, the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are such that the sum of the amplitudes of the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generated for transmission to the laser pointer 100 becomes the operating voltage supplied from the control module 122. You can generate a signal. For example, the controller 240 may generate a signal having an amplitude of 1/2 with respect to the signal of the operating voltage supplied from the control module 122 as a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a right audio output signal.

포인팅신호 생성부(250)는 입력부(230)로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180°의 위상차를 갖는 두 개의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pointing signal generator 250 may generate two driving signals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 based on a user's manipulation input to the input unit 230.

일 실시예에서, 레이저 포인터(100)는, 제어부(240)에서 출력되는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자(110);입력단자(110)로 수신된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합한 후, 최소전압이 기준전압이 되도록 승압하여 동작전압으로 공급하는 제어모듈(122); 및 제어모듈(122)에서 공급되는 동작전압에 의해 외부로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방출소자(121a)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ser pointer 100, the input terminal 110 for receiving the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240; the left audio output signal received by the input terminal 110 and After the sum of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the control module 122 for boosting so that the minimum voltage becomes a reference voltage to supply the operating voltage; And a laser emitting device 121a for emitting a laser to the outside by an operating voltage supplied from the control module 122.

예를 들어, 제어모듈(122)은,수신된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합하여 승압한 후, 직류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122a', 도 3에서 B1 및 B2) 및 신호변환부(122a')에서 변환된 신호되어 레이저방출소자(121a, 도 3에서 B3)에 공급되는 동작전압이 일정전압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변환신호출력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22 may add and boost the received left voice output signal and the right voice output signal, and then convert the signal into a direct current signal 122a '(B1 and B2 in FIG. 3) and a signal converter. The conversion signal output unit 122b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signal converted by the signal 122a' and supplied to the laser emitting device 121a (B3 in FIG. 3) to be maintained at a constant voltage.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40)는 전압이 제어된 동위상의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제어모듈(122)은 수신된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음성출력신호를 위상변환하는 신호변환부(122a')와, 신호변환부(122a')에서 변환된 신호와 미변환된 신호를 합하여 레이저방출소자(121a)에 동작전압으로 공급하는 변환신호출력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40 may output a voltage-controlled in-phase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a right audio output signal, the control module 122 of the received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A signal converting unit 122a 'for converting a phase of one voice output signal, a signal converted from the signal converting unit 122a', and an unconverted signal are combined to supply the laser emission device 121a with an operating voltage. It may include a signal output unit 122b '.

한편, 사용자가 휴대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레이저 포인터(100)의 동작을 확인 및 제어하기 위해서는, 레이저방출소자(121a)에 충분한 진폭을 갖는 동작전압이 인가되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for a user to check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aser pointer 100 using the mobile terminal 200, it may be necessary to confirm whether an operating voltage having a sufficient amplitude is applied to the laser emitting device 121a.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22)은 신호변환부(122a')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압을 확인하여 레이저방출소자(121a)의 동작가능여부를 판단하는 공급전원확인부(12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전원확인부(122c')는 기준전압(동작전압)과 신호변환부(112a')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레이저방출소자(121a)의 동작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122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checking unit 122c 'that checks the operation voltage output from the signal converting unit 122a' and determines whether the laser emitting device 121a is operable. can do.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checking unit 122c 'may determine whether the laser emitting device 121a is operable by comparing the reference voltage (operation voltage) and the voltage output from the signal converting unit 112a'.

일 실시예에서, 레이저 포인터(100)는 휴대단말기(200)의 스피커단자와 연결되는 제4 연결핀(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연결핀(114)은 공급전원확인부(122c')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200)의 스피커단자는 마이크입력핀을 포함할 수 있고, 제4 연결핀(114)은 마이크입력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ser pointer 10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connecting pin 114 connected to the speaker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200. In addition, the fourth connection pin 114 may be connected to the supply power confirmation unit 122c ′. For example, the speaker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a microphone input pin, the fourth connection pin 11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phone input pin.

따라서, 레이저 포인터(100)는 공급전원확인부(122c')의 판단결과를 제4 연결핀(114) 및 스피커단자를 통해 제어부(240)로 전송할 수 있다.Therefore, the laser pointer 100 may transmit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ower supply checking unit 122c ′ to the controller 240 through the fourth connection pin 114 and the speaker terminal.

제어부(240)는 수신된 판단결과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판단결과를 확인하여 레이저 포인터(100)의 정상연결 및 활성화(예를 들어,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여부를 확인 한 후, 해당 레이저 포인터(1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레이저 포인터(100)의 동작을 제어(예를 들어, 레이저 방출 또는 전원공급 차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40 displays the received determination result and checks the displayed determination result by the user to check whether the laser pointer 100 is normally connected and activated (for example, a state in which power is being supplied). When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laser pointer 100 is input, an operation of the laser pointer 100 may be controlled (for example, laser emission or power supply cutoff)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도 8은 도 7의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제어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executed by the controller of FIG. 7.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240)는 제4 연결핀(114)을 통해 레이저 포인터(100)의 동작전압을 피드백하여, 레이저 포인터(100)의 활성화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10). 여기서, 단계 'S1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8, the control unit 240 may check whether the laser pointer 100 is activated by feeding back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laser pointer 100 through the fourth connection pin 114 (step S10). Here, a specific embodiment of step 'S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제어부(240)는 활성화여부의 확인결과, 해당 레이저 포인터(100)가 활성화되면, 레이저 포인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동작제어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단계 S20). 예를 들어, 사용자의 동작제어입력을 대기하는 상태는, 레이저 포인터(100)의 입력단자(110)에 음성출력신호를 전송하되, 레이저 포인터(100)의 레이저방출소자(121a)에는 동작전압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corresponding laser pointer 100 is activated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or not it is activated, the controller 240 may wait for a user's operation control inpu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pointer 100 (step S20). For example, in a state of waiting for a user's operation control input, the voice outpu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nput terminal 110 of the laser pointer 100, but the operating voltage is supplied to the laser emission device 121a of the laser pointer 100. It may include a state of not supplying.

제어부(240)는 사용자에 의한 동작제어입력이 발생하면, 180°의 위상차를 갖는 두 개의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30).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40)는 포인팅신호 생성부(250)와 연동하여 두 개의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팅신호 생성부(250)는 180°의 위상차를 갖는 두 개의 펄스파를 생성할 수 있고, 제어부(240)는 생성된 두 개의 펄스파에 대한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control input by the user occurs, the controller 240 may generate two driving signals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 (step S30). 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240 may generate two driving signals in cooperation with the pointing signal generator 250. For example, the pointing signal generator 250 may generate two pulse waves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 and the controller 240 may adjust voltages of the generated two pulse waves.

제어부(240)는 생성된 두 개의 구동신호를 해당 레이저 포인터(100)의 서로 다른 입력단자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40).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40)는 생성된 두 개의 구동신호를 각각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40 may transmit the generated two driving signals to different input terminals of the laser pointer 100 (step S40).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40 may transmit the two driving signals generated as a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a right audio output signal, respectively.

도 9는 도 8의 단계 'S10'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step S10 of FIG. 8.

도 9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200)의 제어부(240)는 레이저방출소자(121a)의 활성화여부를 확인하는 활성화확인 요청신호를 레이저 포인터(100)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S11).Referring to FIG. 9, the control unit 240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y transmit an activ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the laser emitting device 121a is activated (step S11).

레이저 포인터(100)는 공급전원확인부(122c')를 통해 해당 동작전압을 확인하여 정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단계 S12),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동작전압이 정상전압인 경우에는(단계 S13), 제4 연결핀(114)을 통해 활성화확인 응답신호를 제어부(24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14).The laser pointer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operation voltage is normal by checking the corresponding operating voltage through the power supply checking unit 122c '(step S12), and if the operating voltage is the normal voltag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step S12). S13), the activation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40 through the fourth connection pin 114 (step S14).

제어부(240)는 레이저 포인터(100)로부터 활성화확인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메시지(활성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 후(단계 S15), 레이저 포인터 활성화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단계 S16). 예를 들어, 레이저 포인터 활성화모드는 레이저 포인터(100)에 충분한 동작전압이 인가되고 레이저방출소자(121a)에는 동작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activation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laser pointer 100, the controller 240 may display a message (activ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step S15), and then switch to the laser pointer activation mode (step S15). Step S16). For example, the laser pointer activation mode may include a state in which a sufficient operat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laser pointer 100 and an operating voltage is not supplied to the laser emission device 121a.

레이저 포인터(100)는 단계 'S12'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동작전압이 정상전압이 아닌 경우에는(단계 S13), 제4 연결핀(114)을 통해 활성화미확인 응답신호를 제어부(24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14).The laser pointer 100 transmits an unacknowledged response signal to the controller 240 through the fourth connection pin 114 when the operating voltage is not the normal voltag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12'. It may be (step S14).

제어부(240)는 레이저 포인터(100)로부터 활성화미확인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메시지(에러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단계 S18).When the activation confirm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laser pointer 100, the controller 240 may display a message (error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step S18).

이와 같이, 휴대단말기(200)에 에러메시지가 디플레이된 경우, 사용자는 레이저 포인터(100)를 분리하여 재연결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error message is de-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200, the user may take measures such as disconnecting and reconnecting the laser pointer 100.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resen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은 레이저 포인터(100), 휴대단말기(200), 서버용 컴퓨터(300) 및 프로젝터(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presentation system may include a laser pointer 100, a portable terminal 200, a server computer 300, and a projector 400.

일 실시예에서, 휴대단말기(200), 서버용 컴퓨터(300) 및 프로젝터(400)는 각각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200)는 무선통신망에 의해 서버용 컴퓨터(300)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젝터(400)는 유선통신망에 의해 서버용 컴퓨터(300)와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00, the server computer 300 and the projector 4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computer 300 by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rojector 40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computer 300 by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레이저 포인터(100)는 휴대단말기(200)의 스피커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음성출력신호를 위상변환하고 두 신호의 합을 동작전압으로 변환하여 동작한다.The laser pointer 100 operates by phase converting any one of the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peaker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converts the sum of the two signals into an operating voltage. .

휴대단말기(200)는 레이저 포인터(100)가 스피커단자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하기에 설명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진행 및 레이저 포인터(100)의 동작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the portable terminal 200, the laser pointer 100 is coupled to the speaker terminal,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an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and operation control of the laser pointer 100 may be performed.

서버용 컴퓨터(300)는 휴대단말기(20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 및 진행하고, 그 결과를 프로젝터(4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rver computer 300 may interwork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to execute and proceed with the application program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and transmit the result to the projector 400.

프로젝터(400)는 서버용 컴퓨터(3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projector 400 may display an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in the server computer 300.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제어는 휴대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어하는 것이나, 하기에서는 휴대단말기(200)가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Looking at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ation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The control of the presentation system is controlled by the user using the mobile terminal 200, bu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as the mobile terminal 200 controls the presentation system.

도 11은 도 10의 휴대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FIG. 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executed in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0.

도 11을 참조하면,휴대단말기(200)는 레이저 포인터(100)의 동작전압을 피드백하여, 해당 레이저 포인터(100)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00). 일 실시예에서, 휴대단말기(200)는 레이저 포인터(100)에서 변환되어 동작전압으로 사용되는 신호를 피드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200)는 도 3에서 평활회로블록(B2)에서 안정화회로블록(B3)로 연결되는 라인에 제4 연결핀(114)을 공통노드로 연결하고, 연결된 제4 연결핀(114)을 통해 피드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mobile terminal 200 checks whether the corresponding laser pointer 100 is activated by feeding back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laser pointer 100 (step S100). In an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00 may feed back a signal that is converted by the laser pointer 100 and used as an operating voltage.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200 connects the fourth connection pin 114 to the line connected from the smoothing circuit block B2 to the stabilization circuit block B3 in FIG. 3 as a common node, and is connected to the fourth connection pin. Through 114, a feedback signal may be received.

확인결과, 해당 레이저 포인터(100)가 활성화되면, 휴대단말기(200)는 서버용 컴퓨터(3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매칭된 설정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레이저 포인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단계 S200). 일 실시예에서, 설정정보는 서버용 컴퓨터(300)에 저장될 수 있고, 휴대단말기(200)는 서버용 컴퓨터(300)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호출하여 해당 레이저 포인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정보는 레이저방출소자(121a)의 턴온을 유지하는 점등모드와, 레이저방출소자(121a)의 턴온 및 턴오프를 반복하는 점멸모드 및 레이저방출소자(121a)의 턴오프를 유지하는 동작중지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As a result of confirmation, when the laser pointer 100 is activated, the portable terminal 2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aser pointer 100 in response to the setting information match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in the server computer 300 (step S200). In one embodiment, the settin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server computer 3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may call the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computer 300 to control the laser pointer 100. For example,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a lighting mode for maintaining the turn-on of the laser emitting element 121a, a flashing mode for repeating the turning-on and turning-off of the laser emitting element 121a, and the turn-off of the laser emitting element 121a. It may include an operation stop mode.

여기서, 각 모드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발표하는 내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각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발표자)가 프로젝터(4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면서 설명하는 경우에는 점등모드로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발표자)가 발표대상자를 보면서 설명하는 경우에는 점멸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발표 중 휴식을 취하는 경우 동작중지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Here, each mode may be operat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and the user may selectively set each mode according to the contents announced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enter) explains while watching the screen displayed on the projector 400, the user may set to the lighting mode. When the user (presenter) explains while watching the presenter, the user may set the flashing mode. If you take a break during the presentation, you can set it to stop mode.

휴대단말기(2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설정정보에 우선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도록 레이저 포인터의 동작을 제어한다(단계 S300).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진행에 매칭하여 저장된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 포인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레이저 포인터(100)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포함할 수 있다.If a user input occurs while executing the application program, the portable terminal 2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aser point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user input in preference to the setting information (step S300). For example, the user input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to temporarily change the operation of the laser pointer 100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pointer 100 based on the stored setting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application program. It may include.

휴대단말기(2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휴대단말기가 상기 레이저 포인터로의 음성출력신호 전송을 중지한다(단계 S400).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terminated, the portable terminal 200 stops transmitting the audio output signal to the laser pointer (step S400).

이상에서 설명된 단계 'S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Looking at the step 'S100'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12는 도 11의 단계 'S100'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12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step S100 of FIG. 11.

도 12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200)는 스피커단자 중 음성출력단자를 통해 활성화확인 요청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과정 S101), 활성화확인 요청신호가 레이저 포인터(100)로 전송되면, 스피커단자 중 마이크입력단자를 통해 레이저 포인터(100)로부터 전송될 활성화확인 응답신호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과정 S102).Referring to FIG. 12, the portable terminal 200 may output an activ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through a voice output terminal among the speaker terminals (step S101). When the activ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laser pointer 100, the speaker terminal is output. The microphone input terminal may wait to receive the activation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to be transmitted from the laser pointer 100 (step S102).

이후, 휴대단말기(200)는 동작전압의 정상여부를 확인한 레이저 포인터(100)로부터 정상적인 동작전압이 생성됨을 알려주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면(단계 S103), 해당 레이저 포인터(100)의 활성화가 성공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과정 S104),해당 레이저 포인터가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음을 알려주는 활성화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과정 S105).Then,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receives a response signal indicating that the normal operating voltage is generated from the laser pointer 100 confirming whether the operating voltage is normal (step S103), the activation of the corresponding laser pointer 100 is successful. It may be determined (step S104), and an activation state indicating that the laser pointer can be operated normally may be displayed (step S105).

만약, 레이저 포인터(100)로부터 정상적인 동작전압이 생성되지 못함을 알려주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면(단계 S103), 휴대단말기(200)는 해당 레이저 포인터(100)의 활성화가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과정 S106), 해당 레이저 포인터가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없음을 알려주는 오류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과정 S107).If a response signal indicating that the normal operating voltage is not generated from the laser pointer 100 is received (step S103), the mobile terminal 200 may determine that activation of the corresponding laser pointer 100 has failed ( Step S106), an error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laser pointer cannot be operated normally may be displayed (step S107).

상기와 같이 오류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해당 레이저 포인트를 휴대단말기(200)로부터 분리하여 재연결하는 조치 등을 취할 수 있다.When the error message is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take the action of separating and reconnecting the corresponding laser point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여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It is to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not exhaustive in all respects.

100 : 레이저 포인터
110 : 입력단자
111 : 제1 연결핀 112 : 제2 연결핀
113 : 제3 연결핀 114 : 제4 연결핀
120 : 몸체
121 : 조사홀 121a : 레이저방출소자
122 : 제어모듈
123 : 동작확인부 123a : LED
200 : 휴대단말기
210 : 스피커단자
100: Laser Pointer
110: input terminal
111: first connecting pin 112: second connecting pin
113: third connecting pin 114: fourth connecting pin
120: body
121: irradiation hole 121a: laser emitting device
122: control module
123: operation check unit 123a: LED
200: mobile terminal
210: speaker terminal

Claims (23)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단자의 좌측음성출력핀 및 우측음성출력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핀 및 제2 연결핀을 포함하는 입력단자; 및
상기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레이저를 방출하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외부로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방출소자가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연결핀 및 제2 연결핀으로 입력되는 음성출력신호의 각 전압을 합하여 상기 레이저방출소자의 동작전압으로 공급하는 제어모듈이 포함되는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포인터.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 speaker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including a first connection pin and a second connection pin electrically connected to a left voice output pin and a right voice output pin of the speaker terminal; And
It includes a body coupled to the input terminal for emitting a laser,
On one side of the body is configured a laser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a laser to the outside,
The inside of the body laser pointer for speaker terminal connection comprising a control module for supplying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laser emitting device by adding the respective voltage of the audio output signal input to the first connection pin and the second connection p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레이저방출소자의 동작 여부를 출력하는 동작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 포인터,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Laser pointer for connecting a speak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ration check unit for outputt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emitting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확인부는 LED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레이저방출소자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상기 LED를 턴온하고,
상기 레이저방출소자에 동작전압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LED를 턴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 포인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ration check unit includes an LED,
The control module includes:
When the operating voltage is supplied to the laser emitting device turns on the LED,
The laser pointer for connecting the speak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turn off the LED when the supply of the operating voltage to the laser emitting device is stopped.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신호는 구형파 및 정현파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제어모듈은,
상기 제1 연결핀 및 제2 연결핀으로 입력되는 음성출력신호를 합한 후, 최소전압이 기준전압이 되도록 승압하여 상기 레이저방출소자의 동작전압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 포인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voice output signal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square wave and a sine wave,
The control module of the body,
After the sum of the audio output signal input to the first connection pin and the second connection pin, the laser pointer for connecting the speak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boost the minimum voltage to the reference voltage to provide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laser emitting devic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핀 및 제2 연결핀으로 입력되는 음성출력신호는 180°의 위상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 포인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udio output signal input to the first connection pin and the second connection pin is a laser pointer for speaker terminal conn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hase difference of 180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신호는 구형파 및 정현파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제어모듈은,
상기 제1 연결핀 및 제2 연결핀으로 입력되는 음성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위상을 180° 딜레이시키고,
상기 위상이 딜레이된 음성출력신호와 상기 제1 연결핀 및 제2 연결핀으로 입력되는 음성출력신호 중 다른 하나의 신호를 합하여 상기 레이저방출소자의 동작전압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 포인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voice output signal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square wave and a sine wave,
The control module of the body,
Delays the phase of any one of the voice output signals input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ins by 180 °;
For the speaker terminal conn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hase of the delayed voice output signal and the other one of the voice output signal input to the first connection pin and the second connection pin is added to provide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laser emitting device. Laser pointer.
스피커단자가 구성되며, 상기 스피커단자를 통해 180°의 위상차를 갖는 두 개의 구동신호를 각각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로 출력하는 휴대단말기; 및
상기 스피커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단자에서 출력되는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합한 후, 최소전압이 기준전압이 되도록 승압하여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 포인터가 결합된 포인터 단말기.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speaker terminal and outputting two driving signals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 through the speaker terminal as a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a right audio output signal, respectively; And
And a laser pointer coupled to the speaker terminal, the laser pointer emitting a laser by boosting the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terminal to increase the minimum voltage to a reference voltag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180°의 위상차를 갖는 두 개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포인팅신호 생성부; 및
상기 포인팅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두 개의 구동신호를 각각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pointing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two driving signals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 And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a right audio output signal to the two driving signals generated by the pointing signal generator, respectively.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로 수신된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합한 후, 최소전압이 기준전압이 되도록 승압하여 동작전압으로 공급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에서 공급되는 동작전압에 의해 외부로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방출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laser pointer includes:
An input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a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a right audio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A control module for adding the left voice output signal and the right voice output signal received at the input terminal, and then boosting the voltage so that the minimum voltage becomes a reference voltage to supply the operating voltage; And
Pointer terminal comprising a laser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a laser to the outside by the operating voltage supplied from the control modul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수신된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합하여 승압한 후, 직류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 및
상기 신호변환부에서 변환된 신호되어 상기 레이저방출소자에 공급되는 동작전압이 일정전압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변환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 signal converting unit for boosting the received left voice output signal and the right voice output signal together and converting them to direct current; And
And a conversion signal output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signal converted by the signal conversion unit and supplied to the laser emission device to maintain a constant voltage.
스피커단자가 구성되며, 상기 스피커단자를 통해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출력하는 휴대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단자에서 출력되는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음성출력신호를 위상변환하고, 상기 위상변환된 음성출력신호와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 중 어느 다른 하나의 음성출력신호를 합하여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 포인터가 결합된 포인터 단말기.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peaker terminal configured to output a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a right audio output signal through the speaker terminal;
Phase-converted one of the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outputted from the speak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peaker terminal, and the phase-converted voice output signal and the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Pointer terminal combined with a laser pointer for emitting a laser by combining the voice output signal of any one of the signal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포인터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로 수신된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음성출력신호를 위상변환하여 동작전압으로 공급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에서 공급되는 동작전압에 의해 외부로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방출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the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The laser pointer includes:
An input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a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a right audio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phase-shift one of the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terminal to supply an operating voltage; And
Pointer terminal comprising a laser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a laser to the outside by the operating voltage supplied from the control modul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수신된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음성출력신호를 위상변환하는 신호변환부; 및
상기 신호변환부에서 변환된 신호와 미변환된 신호를 합하여 상기 레이저방출소자에 동작전압으로 공급하는 변환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단말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 signal converter configured to phase-shift any one of the received left voice output signal and the right voice output signal; And
And a conversion signal output unit for adding the signal converted by the signal conversion unit and the unconverted signal and supplying the laser emission element as an operating voltag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신호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압을 확인하여 상기 레이저방출소자의 동작가능여부를 판단하는 공급전원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포인터는,
상기 공급전원확인부의 판단결과를 상기 스피커단자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4 연결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module includes: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checking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the laser emitting device is operable by checking an operating voltage output from the signal converting unit.
The laser pointer includes:
And a fourth connection pin configured to transmit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ower supply checking unit to the controller through the speaker terminal.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단자는 마이크입력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연결핀은 상기 마이크입력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4,
The speaker terminal includes a microphone input pin,
The fourth connecting pin is a point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microphone input pin.
제 12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모듈에서 레이저방출소자로 공급되는 동작전압에 대응하는 포인팅신호를 생성하는 포인팅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팅신호 생성부에 포인팅신호의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포인팅신호 생성부로부터 해당 포인팅신호가 전송되면, 전송된 포인팅신호에 기초하여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입력단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5,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n input unit to receive a user's operation; And
And a pointing signal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pointing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erating voltage supplied from the control module to the laser emission device based on a user's manipulation input to the input unit.
The control unit,
When the pointing signal generation unit requests generation of a pointing signal based on a user's manipulation input to the input unit, and a corresponding point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pointing signal generation unit, a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And generating a right audio output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to an input terminal of the laser pointer.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의 진폭의 합이, 상기 제어모듈에서 공급되는 동작전압이 되도록 상기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단말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rol unit,
And the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are generated such that the sum of the amplitudes of the generated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is an operating voltage supplied from the control module.
제 8항 내지 제 10항 및 제 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방출소자의 활성화여부를 확인하는 활성화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레이저 포인터에 전송하고, 상기 활성화확인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레이저 포인터는,
상기 공급전원확인부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전압이 정상전압인 경우에는 상기 제4 연결핀을 통해 활성화확인 응답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동작전압이 정상전압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4 연결핀을 통해 활성화미확인 응답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and 12 to 15,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s an activ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the laser emitting device is activated to the laser pointer and receives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ctiv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and displays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The laser pointer includes:
On the basis o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ower supply checking unit, when the operating voltage is a normal voltage, an activation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through the fourth connection pin, and when the operating voltage is not the normal voltage, Point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unacknowledged response signal to the control unit via a connection pin.
스피커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좌측음성출력신호 및 우측음성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음성출력신호를 위상변환하고 두 신호의 합을 동작전압으로 변환하여 동작하는 레이저 포인터;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스피커단자에 결합되는 휴대단말기;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서버용 컴퓨터; 및 상기 서버용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동작전압을 피드백하여,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확인결과,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활성화되면,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매칭된 설정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
A laser pointer operable to phase shift one of the lef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right audio out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peaker terminal and convert the sum of the two signals into an operating voltage;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laser pointer is coupled to a speaker terminal; A server computer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program in associ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d a projector for displaying an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on the server computer.
a) confirming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is activated by feeding back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laser pointer; And
b) if the laser pointer is activate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pointer in response to the setting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executed application program.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c)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설정정보에 우선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도록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ation system,
c) if the user input occurs during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th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pointer to correspond to the user input in preference to the setting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entation system Control method.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d)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레이저 포인터로의 음성출력신호 전송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0,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ation system,
and d) stopping the transmission of the audio output signal to the laser pointer by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terminated.
제 19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상기 스피커단자 중 음성출력단자를 통해 활성화확인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a-2) 상기 스피커단자 중 마이크입력단자를 통해 활성화확인 응답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과정;
a-3)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활성화가 성공된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 및
a-4)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활성화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
2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9 to 21,
The step a)
a-1) outputting an activ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through a voice output terminal among the speaker terminals;
a-2) waiting for reception of an activation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put terminal among the speaker terminals;
a-3) determining that the activation of the laser pointer is successful when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And
a-4) controlling the presentation system includ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activation state of the laser pointer.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는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방출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레이저방출소자의 턴온을 유지하는 점등모드;
상기 레이저방출소자의 턴온 및 턴오프를 반복하는 점멸모드; 및
상기 레이저방출소자의 턴오프를 유지하는 동작중지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laser pointer includes a laser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a laser,
The setting information,
A lighting mode for maintaining the turn-on of the laser emitting device;
A flashing mode for repeating turn-on and turn-off of the laser emitting device; And
And a stop mode for maintaining the turn-off of the laser emitting device.
KR1020120019240A 2012-02-07 2012-02-24 Laser pointer for speaker socket connection, Point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presentation system including them Active KR1013012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0949 WO2013119037A1 (en) 2012-02-07 2013-02-06 Laser pointer, power supply device, laser pointer manufacturing method, and power suppl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554 2012-02-07
KR20120012554 2012-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226A KR20130091226A (en) 2013-08-16
KR101301293B1 true KR101301293B1 (en) 2013-08-28

Family

ID=492165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240A Active KR101301293B1 (en) 2012-02-07 2012-02-24 Laser pointer for speaker socket connection, Point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presentation system including them
KR1020120033305A Active KR101301294B1 (en) 2012-02-07 2012-03-30 Laser pointe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305A Active KR101301294B1 (en) 2012-02-07 2012-03-30 Laser poi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3012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07578B2 (en) 2021-12-22 2024-06-11 Harry Piedra Laser pointer accesso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127A1 (en) * 2015-06-02 2016-12-08 맹용주 Mobile terminal case provided with infrared detection sensor
KR102313743B1 (en) * 2020-02-24 2021-10-18 원형석 Polygonal case for a laser present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1715A (en)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The Laser Pointer for Mobile Phone
US20060014564A1 (en) 2004-07-14 2006-01-19 Shao-Tsu Kung External illumina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KR20060027565A (en) * 2004-09-23 2006-03-28 브이케이 주식회사 Laser Pointer Using Earjac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5596B2 (en) * 2000-12-22 2003-06-10 Comcon, Inc. Combination stylus and laser pointer
KR100923494B1 (en) * 2008-04-14 2009-10-27 최순필 Laser poin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1715A (en)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The Laser Pointer for Mobile Phone
US20060014564A1 (en) 2004-07-14 2006-01-19 Shao-Tsu Kung External illumina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KR20060027565A (en) * 2004-09-23 2006-03-28 브이케이 주식회사 Laser Pointer Using Earja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07578B2 (en) 2021-12-22 2024-06-11 Harry Piedra Laser pointer access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226A (en) 2013-08-16
KR20130091228A (en) 2013-08-16
KR101301294B1 (en)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83284A1 (en) Wireless speaker system
KR101301293B1 (en) Laser pointer for speaker socket connection, Point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presentation system including them
KR101535437B1 (en) Power Saving Method of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2014209411A5 (en)
BRPI0507223A (en) ac led light and methods and ac led targeting apparatus
WO2006015151A3 (en) Dual pulse-width medical laser
TW200945860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flickering modulating method for light emitting element thereof
CN103068095A (en)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54809Y1 (en) Display devic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mobile terminal
JP2016511438A (en) Backlight drive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90117935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operational interface controlled by a proximity sensor
JP2016058323A (en) Lighting control system and lighting device
KR101509719B1 (en) Power supplier and Laser pointer
US12200834B2 (en) Circuit unit for lamp and lamp comprising the same
JP6965560B2 (en) Medical diagnostic imaging equipment
EP2026638A3 (en) Fluorescent tube power supply and backlight
KR101672639B1 (en) Pen apparatus of providing power for smart device
KR20060027565A (en) Laser Pointer Using Earjack
KR101301292B1 (en) Method of controlling laser pointer
US20110158051A1 (en) Present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21428778U (en) Power supply device and display panel testing system
WO2013129575A1 (en) Lighting system, infrared remote controller, operating method for light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to be executed by microcomputer for electronic device is recorded
KR20170133984A (en) Power supply device circuit having controlling function of stand-by power
KR101516611B1 (en) Lighting device which enable to increase study effciency and mobile terminal capable of managing study related to the same
TW202023321A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lighting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