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881B1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Portable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2881B1 KR101282881B1 KR1020060114138A KR20060114138A KR101282881B1 KR 101282881 B1 KR101282881 B1 KR 101282881B1 KR 1020060114138 A KR1020060114138 A KR 1020060114138A KR 20060114138 A KR20060114138 A KR 20060114138A KR 101282881 B1 KR101282881 B1 KR 1012828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device
- portable electronic
- axis
- unit
- manipul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일 모서리 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바디의 너비 방향을 따르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일 모서리 측에서 돌출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지지하는 제3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전자기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그 휴대성이 저해되지 않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first body; A second body rotatably connected to one edge side of the first body, the second body being rotated about a first axis of rotation along a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nd a third body that protrudes from the one corner side to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bodies,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electronic device while not impairing its portability.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단말기의 제2 바디가 회전하여 전개된 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of the terminal of FIG. 1 is rotated and deployed;
도 3은 도 1의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inge unit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of FIG. 1,
도 4는 도 3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이며,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도 5 및 도 6은 제2 바디를 제1 회전축(Ⅰ) 및 제2 회전축(Ⅱ)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일 상태들을 각각 도시한 사시도들이다.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one states in which the second body is rotated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I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II, respectively.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제1 바디 110: 제1 조작 유닛100: first body 110: first operating unit
170: 수용부 200: 제2 바디170: receiving portion 200: second body
210: 디스플레이 300: 제3 바디210: display 300: third body
310: 제2 조작 유닛 330: 스페이서310: second operation unit 330: spacer
400: 힌지 유닛 410: 힌지 하우징400: hinge unit 410: hinge housing
430: 캠 유닛430: cam unit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출력되는 시각 정보 등의 감상을 위한 거치가 용이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portable and easy to mount for viewing of output visual information.
일반적으로 전자기는 각종 전자부품을 이용하여 일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기이다. 전자기기들 중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MP3 플레이어, PDA, 전자사전 등은 소형으로 제작됨과 동시에 자체 전원을 확보하여(배터리) 휴대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general, electromagnetic is a device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function using a variety of electronic components. Among electronic device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P3 players, PDAs, electronic dictionaries, etc., ar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nd have an advantage of being portable by securing their own power supply (battery).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위의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이제 그 휴대성과 더불어 거치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최근 들어서 이들 휴대용 전자기기들을 통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수신이나 동영상의 재생이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The abov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now required to be portable as well as portable. This is because in recent years,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ption and playback of video through thes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widely used.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휴대성만이 고려되어, 그 전자기기들에 의해 출력되는 동영상 등을 감상하기에 적합한 상태로 지면(및 그에 놓인 대상물)에 거치 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difficult to be mounted on the ground (and the object placed thereon) in a state suitable for viewing a video output by the electronic devices only considering the portability.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들의 휴대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거치성을 확보해야 하는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 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 necessity of securing the mountability without compromising the portabilit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s constantly emerging.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휴대성 및 거치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portability and mounting ability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t the same ti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일 모서리 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바디의 너비 방향을 따르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일 모서리 측에서 돌출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지지하는 제3 바디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body; A second body rotatably connected to one edge side of the first body, the second body being rotated about a first axis of rotation along a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nd a third body extending from the one edge side to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bodie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에는 제2 바디(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다. 또한, 제3 바디(300)는 제1 바디(100)의 일 측면에서 돌출되게 연장된다.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
제1 바디(100)의 전면에는 복수의 키버튼(111)을 구비한 제1 조작 유닛(110)이 배열된다. 제1 조작 유닛(11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바디(100)에 내장된 제어회로인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에 특정한 신호를 입력시킨다. 트랜스시버(transceiver, 미도시) 역시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로 제1 바디(100)에 장착되어,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통신이 가능하 게 한다. The
마이크(130)는 제1 바디(100)의 일 모서리 측에 배치되며, 배터리(150)는 제1 바디(100)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된다. 제1 바디(100)의 상측 모서리 측 중앙에는 힌지 유닛(400)을 수용하는 수용부(170)가 절개되어 형성된다.The
제2 바디(200)의 전면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10)와 청각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230)가 구비된다. 제2 바디(200)는 그의 일 모서리 측에 형성된 힌지 유닛(400)에 의해 제1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다. The front surface of the
제3 바디(300)는 제1 바디(100)의 일 측 모서리에서 돌출되게 연장하여 형성된다. 제3 바디(300)는 제1 바디(100)의 배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면서, 제1 바디(100)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제3 바디(300)는 제2 바디(200)와 더하여도 그 두께가 제1 바디(100)와 동일한 수준으로 형성된다. The
도 2는 도 1의 단말기의 제2 바디가 회전하여 전개된 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body of the terminal of FIG. 1 is rotated and deployed.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3 바디(300)의 전면{제2 바디(200)와 마주하는 면}에는 제2 조작 유닛(310)이 형성된다. 제2 조작 유닛(310) 역시 제1 조작 유닛(110)과 같이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스페이서(330) 또한 제3 바디(300)의 전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스페이서(330)는 제3 바디(300)에 지지되는 제2 바디(200)가 제2 조작 유닛(310)에 힘을 가하여 제2 조작 유닛(310)을 오작동시키지 못하도록 제2 바디(200)를 제3 바디(300)로부터 이격시킨다. 스페이서(330)가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완충성 소재 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스페이서(330)가 제2 바디(200)가 회전하여 제3 바디(300)와 충돌함에 따라 충격도 완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도 3은 도 1의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inge unit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of FIG. 1,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of FIG. 3.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힌지 유닛(400)은 중공형의 힌지 하우징(410)과, 힌지 하우징(410)의 중공부의 일 측과 수용부(170)의 양쪽 대향하는 벽에 형성되는 수용홈(미도시)들 중 하나에 삽입되는 캠유닛(430)을 포함한다. 힌지 하우징(410)의 중공부의 다른 일 측에는 더미 힌지(미도시)가 삽입된다. 캠유닛(430) 및 더미힌지에 의해, 힌지 하우징(410)은 제1 회전축(Ⅰ)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캠유닛(430)은 산과 골이 형성된 가동캠 및 고정캠과 이들이 상호 결합 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등을 포함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2 개의 바디들이 특정 각도로 회전하도록 하는 유닛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고 있을 것인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힌지 유닛(400)은 힌지 하우징(410)에 결합 되는 제1 힌지부(450)와, 제2 바디(200)에 결합 되는 제2 힌지부(470)를 더 포함한다. 제1 및 제2 힌지부(450 및 470)는 그들 중 어느 하나와 결합 되는 힌지축(490)과, 다른 하나에 결합 되면서 힌지축(49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는 또 다른 힌지축(미도시)에 의해 제2 회전축(Ⅱ)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 및 6은 제2 바디를 제1 회전축(Ⅰ) 및 제2 회전축(Ⅱ)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일 상태들을 각각 도시한 사시도들이다.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one states in which the second body is rotated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I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II, respectively.
도 1을 참조하면, 제2 바디(200)는 힌지 유닛(400)의 캠유닛(430)의 탄성력에 의해 제3 바디(300)와 대면한 채로 그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바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2 바디(200)를 제1 회전축(Ⅰ)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예를 들어 50도 정도 범위로 회전시키게 된다. 힌지 유닛(400)은 캠 유닛(430, 도 3)에 의해 제2 바디(200)를 위와 같은 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2 바디(200)는 제1 바디(100)와 함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열림 상태와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user rotates the
제3 바디(300)가 지면에 대하여 지지 됨에 따라, 이와 같은 상태로 단말기를 지면에 놓아도 제2 바디(200)에 의해 발생된 토크 때문에 제2 바디(200)가 지면에 닿도록 단말기가 회전되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단말기를 지면에 거치하고서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210)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감상할 수 있게 된다.As the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2 회전축(Ⅱ)을 중심으로 제2 바디(200)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바디(100)의 정면에서뿐만 아니라, 측면 방향에서도 디스플레이(210)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 역시 제3 바디(300)에 의해 단말기 전체가 지면에 지지되기에, 안정적으로 시각 정보를 감상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6, the user rotates the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6의 상태에서 제2 회전축(Ⅱ)을 중심으로 제2 바디(200)를 더 회전시킨 후에 제1 회전축(Ⅰ)을 중심으로 제2 바디(200)가 제1 바디(100)를 향하도록 조금 회전시킨다. Referring to FIG. 2, the user further rotates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출력되는 시각 정보는 제3 바디(300)를 바라보는 측에서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시각 정보의 감상 중에 사용자는 제2 조작 유닛(310)을 조작하여,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간단하게 제어할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the visual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또한, 제2 바디(200)가 힌지 유닛(400)의 캠유닛(430) 뿐만 아니라 제1 바디(100)의 수용부(170)를 한정하는 부분에 의해서도 기구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제2 바디(200)는 가장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s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bu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예를 들어, 스페이서(330)는 제3 바디(300)에 형성하는 것으로 개시되었으나, 이를 제2 바디(200)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제3 바디를 구비함에 따라 전자기기를 거치한 상태에서의 기구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및 제2 바디들 사이의 배치 관계를 다양화하면서, 원하는 구 도에서 시각 정보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ird body to ensure mechanical stability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Accordingly, the user can view visual information in a desired structure while diversify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제2 조작 유닛을 구비함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가 원래 지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지향하는 경우에도 그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The provision of the second operation unit makes it possible to simply control the visual information output therefrom even when the display is dir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riginal direction.
또한, 제2 바디 및 제3 바디는 둘이 합쳐서 제1 바디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제3 바디는 제1 바디와 평행하게 연장됨에 따라, 전자기기의 전체적인 휴대성을 저해하지도 않는다.In addition, as the second body and the third body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body in combination with the second body and the third body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first body, it does not impair the overall portability of the electronic device.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4138A KR101282881B1 (en) | 2006-11-17 | 2006-11-17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4138A KR101282881B1 (en) | 2006-11-17 | 2006-11-17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4723A KR20080044723A (en) | 2008-05-21 |
KR101282881B1 true KR101282881B1 (en) | 2013-07-05 |
Family
ID=3966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141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282881B1 (en) | 2006-11-17 | 2006-11-17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2881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1255A (en) * | 2001-06-26 | 2003-01-0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Combination device with portable radiotelephone/personal digital assistant/digital camera assembly |
-
2006
- 2006-11-17 KR KR1020060114138A patent/KR10128288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1255A (en) * | 2001-06-26 | 2003-01-0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Combination device with portable radiotelephone/personal digital assistant/digital camera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4723A (en) | 2008-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499972C (en) | Biaxial rotation mechanism in electronic device | |
CN1901719B (en) | Portable terminal | |
KR100810314B1 (en) | Key input device of mobile terminal | |
US20110182047A1 (en) | Key button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 |
WO2007011556A3 (en) | A compact radio communications device | |
JP4777320B2 (en) | Electronics | |
US8162681B2 (en) | Electronic device using earphone jack assembly | |
KR101282881B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JP4771966B2 (en) | Mobile terminal device | |
JP5246735B2 (en) | Waterproof terminal structure | |
KR20180002172U (en) | a camera housing of hinge-type-rear-facing camera | |
US8503158B2 (en) | Key button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 |
JP5078730B2 (en) | Communication equipment | |
JP4154587B2 (en) | Electronics | |
JP4518878B2 (en) | Key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key structure | |
KR200411613Y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ounting means | |
KR20050075828A (en) | Built-in antenna device | |
KR100810245B1 (en) | PD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JP2002033805A (en) | Portable wireless devices | |
JP5335537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JP2004221911A (en) | Antenna system for small portable radio terminal | |
US7801578B2 (en) | Electronic device and rotating mechanism | |
JP2009159419A (en) | Electronics | |
JP2002051128A (en) | Foldable portable wireless device | |
JP2007324776A (en) | Mobile termina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07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702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