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927B1 - Beacon transmission method with mixed central beacon and distributed beacon - Google Patents
Beacon transmission method with mixed central beacon and distributed beac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3927B1 KR101243927B1 KR1020120105251A KR20120105251A KR101243927B1 KR 101243927 B1 KR101243927 B1 KR 101243927B1 KR 1020120105251 A KR1020120105251 A KR 1020120105251A KR 20120105251 A KR20120105251 A KR 20120105251A KR 101243927 B1 KR101243927 B1 KR 1012439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work
- beacon
- networks
- coordinator
- super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2—Hybrid acces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중앙비콘방식과 분산비콘방식을 혼합한 비콘전송 방법이 개시된다.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비콘전송방식을 변환하여 최적의 네트워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중앙비콘방식과 분산비콘방식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혼합 비콘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Disclosed is a beacon transmission method in which a central beacon method and a distributed beacon method are mix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xed beacon transmission method using a combination of a central beacon method and a distributed beacon method to maintain an optimal network state by converting a beacon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network conditions.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esh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에서의 혼합비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c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xed beacon method in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based on a mesh network.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원천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5-S-002-04, 과제명: 스펙트럼 사용효율 개선을 위한 Cognitive radio 기술 개발].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the research conducted as part of the IT sourc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and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number: 2005-S-002-04, Title: Cognitive radio for improving spectrum use efficiency Technology development].
일반적으로 WPAN에서는 네트워크 상태나 특정 디바이스 상태를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에게 전달할 목적으로 비콘(Beacon)이라 불리는 네트워크 상태정보가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전체 또는 일부에 전송된다. 이때 미리 정의된 특정 디바이스가 중점적으로 전체 네트워크를 관장하는 비콘을 전송하는 방식을 중앙비콘방식(Centralized Beaconing Scheme)이라 하고, 네트워크 내의 모든 디바이스가 비콘을 전송하는 방식을 분산비콘방식(Distributed Beaconing Scheme)이라 한다. 중앙비콘방식의 예로는 IEEE 802.15 계열의 WPAN 시스템이 있으며, 분산비콘방식의 예로는 ECMA-386 표준에 근거한 Wimedia 시스템 등이 있다. In general, WPAN periodically transmits network state information, which is called a beacon, to all or part of a network in order to transmit network state or specific device state to other devices in the network. In this case, a method of transmitting a beacon that manages the entire network mainly by a specific predefined device is called a centralized beaconing scheme,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beacons by all devices in a network is a distributed beaconing scheme. This is called. An example of the central beacon method is a WPAN system of the IEEE 802.15 series, and an example of a distributed beacon method is a Wimedia system based on the ECMA-386 standard.
도 1a는 종래 중앙비콘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종래 분산비콘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a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entral beacon method, Figure 1b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istributed beacon method.
도 1a를 참조하면, 중앙비콘방식은 미리 정의된 특정 한 개의 디바이스가 전체 네트워크를 관장하는 비콘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슈퍼프레임(superframe)(100)은 비콘주기(Beacon Period) 구간(110)과 데이터/제어신호 구간(120)으로 구분되며, 슈퍼프레임(100)의 맨 앞쪽에 한 개의 비콘(B)을 사전에 정의된 특정 디바이스, 즉 네트워크 코디네이터(Network Coordinater)가 전송하며, 나머지 디바이스들은 이 네트워크 코디네이터로부터 수신한 비콘의 명령에 따라 순종적으로 운용된다. Referring to FIG. 1A, the central beacon scheme transmits a beacon for a specific device that defines a whole network. The
도 1b를 참조하면, 분산비콘방식은 네트워크 내의 모든 디바이스가 비콘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슈퍼프레임(150) 앞 부분의 비콘주기(Beacon Period) 구간(160)을 통해 모든 디바이스가 비콘을 순차적으로 전송하여, 자신의 네트워크 상태를 다른 디바이스에게 알려 줄 뿐만 아니라 다른 디바이스 네트워크 상태정보를 수신한다. 도 1b의 예에서는 네트워크 내의 3 개의 디바이스가 각각 비콘(162,164,166)을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Referring to FIG. 1B, in the distributed beacon method, all devices in a network transmit beacons so that all devices sequentially transmit beacons through a
분산비콘방식은 모든 디바이스가 비콘을 한 번씩 돌아가며 전송한다. 그러나 디바이스의 개수가 증가하면 중복된 정보가 전송될 뿐만 아니라 비콘 주기 자체가 증가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시간이 감소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전송효율이 감소한다. 반면에 특정 디바이스만 비콘을 전송하는 중앙비콘방식은 디바이스의 수가 적을 경우에는 각 디바이스가 포함된 전송영역(coverage)에 Hidden Node들이 발생하여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the distributed beacon method, all devices transmit a beacon once. However, as the number of devices increases, not only redunda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but also the beacon period itself increases, which reduces the time to transmit data,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transmission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beacon method in which only a specific device transmits a beacon, when the number of devices is small, there is a problem that efficient network management is difficult because hidden nodes occur in a coverage area in which each device is includ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중앙비콘방식과 분산비콘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각각의 비콘방식의 효율이 저하되는 시기에 혼합비콘방식을 통하여 단점을 극복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비콘전송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through the mixed beacon method at the time when the efficiency of each beacon method is lowered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beacon method and the distributed beacon metho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network. To provide a beacon transmission method that can be mad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콘 전송 방법의 일 실시예는, 두 네트워크가 결합된 경우의 비콘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의 특정 디바이스가 상기 두 네트워크가 결합된 전체 네트워크의 코디네이터로 선정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코디네이터가 슈퍼프레임의 비콘주기구간을 통해 비콘을 상기 두 네트워크 전체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a beacon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acon transmission method when two networks are combined, a specific device of any one of the two networks of the two networks Being selected as the coordinator of the entire network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ransmitting, by the selected coordinator, the beacons to the entire two networks through the beacon main unit of the superfram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콘 전송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제1 네트워크에 제2 네트워크가 이웃 네트워크로 결합된 경우의 비콘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가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슈퍼프레임의 데이터/제어신호 구간의 일부를 할당받는 단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의 특정 디바이스는 상기 할당받은 구간을 통해 비콘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beacon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beacon transmission method when the second network is coupled to the neighboring network in the first network, the second network is the first network; Receiving a portion of a data / control signal interval of a superframe of a first network; And transmitting, by the specific device of the second network, the beacon through the assigned interval.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콘 전송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두 네트워크가 결합된 경우의 비콘전송방법에 있어서, 두 네트워크 중 하나의 네트워크는 슈퍼프레임의 비콘주기구간에서 다른 하나의 네트워크에게 할당된 구간에 연이은 비콘 전송을 위한 구간을 할당받는 단계; 및 상기 비콘 전송을 위한 구간을 할당받은 네트워크의 특정 디바이스는 상기 할당받은 구간을 통해 비콘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beacon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beacon transmission method when two networks are combined, one of the two networks is different between the beacon main body of the superframe Receiving a section for subsequent beacon transmission in a section allocated to one network; And transmitting a beacon through a specific device of the network assigned to the section for the beacon transmission.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콘 전송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중앙비콘방식으로 운용되는 제1 네트워크와 분산비콘방식으로 운용되는 제2 네트워크가 결합된 경우의 비콘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코디네이터로부터 슈퍼프레임의 비콘주기구간을 통해 비콘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슈퍼프레임의 데이터/제어신호구간의 일부 구간을 통해, 상기 비콘을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beacon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beacon transmission method when the first network operated by the central beacon method and the second network operated by the distributed beacon method is combined. The method of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특정 비콘방식에 국한된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여, 네트워크 상황에 가장 부합하는 네트워크 동작방식을 선택하여 WPAN의 네트워크 전송효율 및 제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종래 통신 시스템이 비콘전송방식을 고정함으로써 발생하는 네트워크 관리의 비효율성을 제거하고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비콘전송방식을 변환하여 최적의 네트워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system limited to the conventional specific beacon method, and to increase the network transmission efficiency and control efficiency of the WPAN by selecting a network operation method that best matches the network situation. That is,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system can remove the inefficiency of network management caused by fixing the beacon transmission method, and can maintain the optimal network state by converting the beacon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network situation.
도 1a는 종래 중앙비콘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종래 분산비콘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중앙비콘방식과 분산비콘방식의 결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새로운 비콘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CB 네트워크와 CB 네트워크가 혼합되어 CB 기반으로 동작하는 CC 네트워크의 슈퍼프레임 구조의 일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CB 네트워크와 DB 네트워크가 혼합되어 CB로 동작하는 경우(CD)의 슈퍼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a는 DB로 동작하는 네트워크의 슈퍼프레임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도 5a의 DB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디바이스를 네트워크 코디네이터로 선출하고 CB로 동작할 때의 슈퍼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비콘방식을 관장하는 혼합비콘관리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a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entral beacon method,
Figure 1b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istributed beacon method,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number of new beacons that can be generated by a combination of a central beacon method and a distributed beacon method,
3A to 3C illustrate examples of a superframe structure of a CC network in which a CB network and a CB network are mixed and operate based on a CB.
4A to 4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uperframe structure when a CB network and a DB network are mixed and operate as a CB (CD);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perframe structure of a network operating with a DB,
FIG. 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uperframe structure when a device is selected as a network coordinator and operated as a CB in the DB network of FIG. 5A;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ixed beacon manager that manages the mixed beac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앙비콘방식과 분산비콘방식을 혼합한 비콘전송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beacon transmission method mixed with a central beacon method and a distributed beac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중앙비콘방식과 분산비콘방식의 결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새로운 비콘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various new beacons that may be generated by a combination of a central beacon and a distributed beacon.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비콘방식을 통해 운영되고 있는 네트워크들이 서로 결합하여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새로운 세대의 네트워크 및 그에 따른 특성이 결정된다.Referring to FIG. 2, a new generation network and its characteristics are determined by combining networks operating through each beacon scheme to form a new network.
먼저 0세대 네트워크(2001-2004)는 분산비콘방식(이하, DB)과 중앙비콘방식(이하,CB)이 각각 운영되고 있는 네트워크이다. First, the 0th generation network (2001-2004) is a network in which the distributed beac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DB) and the central beac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CB) are operated.
1세대 네트워크(2011-2014)는 동일한 운용방식의 네트워크가 결합하여 생성되는 네트워크이다. 1세대 네트워크는 0세대 네트워크의 운용방식과 상관없이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네트워크 운용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B 네트워크와 CB 네트워크가 만나서 생기는 1세대 네트워크는 CB로 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DB로 운용될 수 있다. The first generation network (2011-2014) is a network created by combining networks of the same operation method. The first generation network can determine the network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network situation regardless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CB 네트워크와 CB 네트워크가 만나서 생기는 네트워크가 CB로 운용되는 경우는 "CC"로, DB 네트워크와 DB 네트워크가 만나서 생기는 네트워크가 DB로 운영되는 경우는 "DD"로, CB 네트워크와 CB 네트워크가 만나서 생기는 네트워크가 DB로 운용되는 경우는 "CCD"로, DB 네트워크와 DB 네트워크가 만나서 생기는 네트워크가 CB로 운영되는 경우는 "DDC"로, CB 네트워크와 DB 네트워크가 만나서 생기는 네트워크가 CB로 운용되는 경우는 "CD"로, CB 네트워크와 DB 네트워크가 만나서 생기는 네트워크가 DB로 운영되는 경우는 "DC"로 명기하였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hen the network generated by the CB network and the CB network is operated as the CB, it is "CC". When the network created by the DB network and the DB network is operated as the DB, it is "DD". If the network created by CB network and CB network is operated as DB, it is "CCD". If the network formed by DB network and DB network is operated as CB, it is "DDC". When the network created by meeting is operated by CB, it is designated as "CD", and when the network formed by meeting between CB network and DB network is operated by DB, it is designated as "DC".
2세대 네트워크(2021-2022)는 CB 네트워크와 DB 네트워크가 만나서 생기는 네트워크이다. 즉, 2세대 네트워크는 DC 또는 CD 네트워크이다. 3세대 네트워크는(2031-2038)은 2세대 네트워크와 0세대 네트워크가 만나서 생기는 네트워크이다. 즉, 3세대 네트워크는 DDC, CCD, DD, CC, CD, DC 네트워크이다. The second generation network (2021-2022) is a network formed by the meeting of the CB network and the DB network. That is, the second generation network is a DC or CD network. The 3rd generation network (2031-2038) is a network formed by the generation of the 2nd generation network and the 0th generation network. That is, the third generation network is a DDC, CCD, DD, CC, CD, DC network.
이와 같이, 도 2에서 CB 네트워크와 DB 네트워크를 결합하여 크게 6가지 네트워크 형태의 생성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six types of networks can be generated by combining the CB network and the DB network.
도 3a 내지 도 3c는 CB 네트워크와 CB 네트워크가 혼합되어 CB 기반으로 동작하는 CC 네트워크의 슈퍼프레임 구조의 일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3A to 3C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 superframe structure of a CC network in which a CB network and a CB network are mixed and operate on a CB basis.
도 3a를 참조하면, 슈퍼프레임은 두 개의 CB 슈퍼프레임이 만나서 하나의 디바이스(M1) 지휘 아래 완전한 CB 네트워크로 만들어지는 구조이다. 따라서, CC 네트워크는 하나의 디바이스(M1)가 슈퍼프레임의 앞 부분을 통해 비콘을 CC 네트워크 내에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3A, a superframe is a structure in which two CB superframes meet to form a complete CB network under one device M1 command. Accordingly, in the CC network, one device M1 transmits a beacon in the CC network through the front part of the superframe.
도 3b를 참조하면, 두 개의 CB 네트워크가 혼합될 때 그 중 하나의 CB 네트워크가 나머지 CB 네트워크의 이웃 네트워크(Neighbor network)로 설정되어 종속적인 네트워크로 동작하는 경우의 슈퍼프레임 구조이다. 두 개의 CB 네트워크 중 이웃 네트워크는 슈퍼프레임의 데이터/제어신호 전송 구간의 일부분을 통해 비콘과 데이터/제어신호를 네트워크 내에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3B, when two CB networks are mixed, one CB network is set as a neighbor network of the remaining CB networks and operates as a dependent network. The neighboring network of the two CB networks transmits beacons and data / control signals in the network through a portion of the data / control signal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superframe.
도 3c를 참조하면, 두 개의 CB 네트워크가 각각 CB로 동작하나, 하나의 슈퍼프레임에서 비콘 주기를 연달아 사용하는 것으로 슈퍼프레임 구조는 DB와 유사한 구조가 된다. 즉 제1 CB 네트워크의 특정 디바이스(M1)와 제2 CB 네트워크의 특정 디바이스(M4)가 각각 CB로 동작하나 두 특정 디바이스(M1,M4)가 하나의 슈퍼프레임의 BP를 통해 비콘을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3C, two CB networks operate as CBs, but the superframe structure is similar to that of a DB by using beacon periods consecutively in one superframe. That is, although the specific device M1 of the first CB network and the specific device M4 of the second CB network operate as CBs, the two specific devices M1 and M4 transmit beacons through the BP of one superframe.
도 4a 내지 도 4c는 CB 네트워크와 DB 네트워크가 혼합되어 CB로 동작하는 경우(CD)의 슈퍼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4A to 4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uperframe structure when a CB network and a DB network are mixed and operate as a CB (CD).
도 4a 내지 도 4c에서, 원 모양으로 도시된 각 디바이스들(412,414)은 DB 방식으로 동작하는 디바이스를 나타내고, 네모 모양으로 도시된 다바이스(406)는 CB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코디네이터를 나타내고, 세모 모양으로 도시된 디바이스들(402,404)은 네트워크 코디네이터(406)의 제어를 받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들을 나타낸다.4A to 4C, each of the
도 4a는 DB 네트워크(Network B, 410)가 CB 네트워크(400)의 이웃 네트워크로 합쳐진 경우의 일 예이다. 이때 네트워크 B(410)는 슈퍼프레임 구조상의 이웃 부분(420)에 시간을 할당받아 동작하며 네트워크 코디네이터(406)의 제어하에 동작한다. 4A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a DB network (Network B, 410) is combined into a neighbor network of the
도 4b를 참조하면, 두 개의 네트워크(430,440)가 합해져, DB로 동작하는 네트워크 B(440)의 두 디바이스(412,414)가 전제 네트워크의 코디네이터(406)의 지휘하에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합해진 경우의 슈퍼프레임 구조이다. 이 경우 네트워크 A(430)의 코디네이터(406)가 비콘을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4B, a superframe structure when two
도 4c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코디네이터(406)의 비콘이 인접 네트워크(460)에 도달하지 않을 때 슬레이브 디바이스(S2)(404)가 데이터 슬롯 중간에 비콘을 중계하여 주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4C, when the beacon of the
도 5a는 DB로 동작하는 네트워크의 슈퍼프레임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의 DB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디바이스를 네트워크 코디네이터로 선출하고 CB로 동작할 때의 슈퍼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A illustrates a superframe structure of a network operating as a DB, and FIG. 5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uperframe structure when selecting one device as a network coordinator and operating as a CB in the DB network of FIG. 5A. One drawing.
도 5a는 일반적인 DB 네트워크의 예로서, DB 네트워크의 각 디바이스가 BP를 통해 각 비콘을 전송한다. 이러한 DB 네트워크가 CB로 동작하는 경우, DB 네트워크에서 특정 디바이스(M1)가 네트워크 코디네이터로 선출되고, 그 특정 디바이스(M1)만이 슈퍼프레임의 BP를 통해 비콘을 전송하면, 나머지 디바이스들은 그 비콘을 수신하여 그 비콘에 따라 운용된다.Figure 5a is an example of a typical DB network, each device in the DB network transmits each beacon through the BP. When such a DB network operates as a CB, when a specific device M1 is elected as a network coordinator in the DB network and only the specific device M1 transmits a beacon through the BP of the superframe, the remaining devices receive the beacon. Is operated according to its beacon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비콘방식을 관장하는 혼합비콘관리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ixed beacon manager that manages the mixed beac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혼합비콘관리기는 환경 감시부(600), 동작모드 결정부(610) 및 동작실행부(6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mixed beacon manager includes an
환경 감시부(600)는 네트워크 환경을 추적하여 변수들을 수집한다. 환경 감시부(600)의 네트워크 환경 감시는 종래 다양한 방법을 통해 네트워크의 효율 등을 파악할 수 있다.The
동작모드 결정부(610)는 환경 감시부(600)에서 수집한 변수들을 기초로 효율적인 네트워크 동작모드를 결정한다. 즉, 동작모드 결정부(610)는 환경 감시부(600)에서 파악한 결과를 기초로 네트워크가 어떤 운용방식(즉, DDC, CCD, DD, CC, CD, DC 운용방식)으로 운용될 때가 최적인지 판단한다. The
동작 실행부(620)는 결정된 네트워크 동작모드에 따른 위에서 살핀 슈퍼프레임 구조로 네트워크를 동작시킨다. The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상기 두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의 특정 디바이스가 상기 두 네트워크가 결합된 전체 네트워크의 코디네이터로 선정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코디네이터가 슈퍼프레임의 비콘주기구간을 통해 비콘을 상기 두 네트워크의 전체 디바이스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두 네트워크는 각각 네트워크 코디네이터가 비콘을 전송하는 중앙비콘방식으로 운영되는 네트워크이고, 상기 특정 디바이스는 상기 특정 디바이스가 속한 네트워크를 중앙비콘방식으로 운용하는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전송방법.In the beacon transmission method when the two networks are combined,
Selecting a specific device of one of the two networks as a coordinator of the entire network to which the two networks are combined; And
And transmitting, by the selected coordinator, the beacon to all devices of the two networks through the beacon inter-frame of the superframe.
Each of the two networks is a network operated by a network coordinator in a central beacon manner in which a beacon is transmitted, and the specific device is a network coordinator in which the network to which the specific device belongs is operated in a central beacon manner.
상기 두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의 특정 디바이스가 상기 두 네트워크가 결합된 전체 네트워크의 코디네이터로 선정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코디네이터가 슈퍼프레임의 비콘주기구간을 통해 비콘을 상기 두 네트워크의 전체 디바이스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두 네트워크 중 하나는 중앙비콘방식으로 운용되고,
나머지 하나는 분산비콘방식으로 운용되고,
상기 코디네이터로 선정되는 단계는, 상기 중앙비콘방식으로 운용되는 네트워크의 코디네이터가 상기 전체 네트워크의 코디네이터로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전송방법.In the beacon transmission method when the two networks are combined,
Selecting a specific device of one of the two networks as a coordinator of the entire network to which the two networks are combined; And
And transmitting, by the selected coordinator, the beacon to all devices of the two networks through the beacon inter-frame of the superframe.
One of the two networks is operated by the central beacon method,
The other is operated in a distributed beacon manner,
In the selecting of the coordinator, the coordinator of the network operated by the central beacon method is selected as the coordinator of the entire network.
상기 제1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코디네이터로부터 슈퍼프레임의 비콘주기구간을 통해 비콘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슈퍼프레임의 데이터/제어신호구간의 일부 구간을 통해, 상기 비콘을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전송방법.
In the beacon transmission method when the first network operated by the central beacon method and the second network operated by the distributed beacon method are combined,
Receiving a beacon through a beacon main unit of a superframe from a network coordinator of the first network; And
Relaying the beacon to the second network through a partial section of the data / control signal section of the superfra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5251A KR101243927B1 (en) | 2012-09-21 | 2012-09-21 | Beacon transmission method with mixed central beacon and distributed beac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5251A KR101243927B1 (en) | 2012-09-21 | 2012-09-21 | Beacon transmission method with mixed central beacon and distributed beacon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8621A Division KR101202338B1 (en) | 2008-12-17 | 2008-12-17 | Hybrid Beaconing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9455A KR20120109455A (en) | 2012-10-08 |
KR101243927B1 true KR101243927B1 (en) | 2013-03-15 |
Family
ID=47280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5251A Expired - Fee Related KR101243927B1 (en) | 2012-09-21 | 2012-09-21 | Beacon transmission method with mixed central beacon and distributed beac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3927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012167A1 (en) * | 2001-07-05 | 2003-01-16 | At&T Corp. | Hybrid coordination function (HCF) access through tiered contention and overlapped wireless cell mitigation |
US20050030968A1 (en) * | 2003-08-07 | 2005-02-10 | Skypilot Network, Inc. | Communication protocol for a wireless mesh architecture |
-
2012
- 2012-09-21 KR KR1020120105251A patent/KR10124392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012167A1 (en) * | 2001-07-05 | 2003-01-16 | At&T Corp. | Hybrid coordination function (HCF) access through tiered contention and overlapped wireless cell mitigation |
US20050030968A1 (en) * | 2003-08-07 | 2005-02-10 | Skypilot Network, Inc. | Communication protocol for a wireless mesh archite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9455A (en) | 2012-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engiz et al. | Energy aware multi-hop routing protocol for WSNs | |
KR10209062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backscatter-based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wireless-powered heterogeneous network | |
Long et al. | Energy-aware real-time routing for large-scale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 |
Zhao et al. | Improve efficiency and reliability in single-hop WSNs with transmit-only nodes | |
KR10118242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operational lifetime of wireless sensor network operated in IEEE802.15.4-2006 Beacon-enabled mode | |
US1141840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clust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EP2853104A1 (en) |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the discovery of synchronized clusters of mobile st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
US20090161637A1 (en) |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sensor network | |
CN101765095A (en) | Tracking method for wireless sensor network moving target based on mixed cluster | |
Bhutani et al. |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s: research challenges for MAC layer | |
Chhabra et al. | Cluster-tree based data gather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 | |
CN101141388A (en) | A Method for Optimizing Energy Consumption in Ad hoc Network | |
Chehri et al. | Enhancing energy efficiency of wireless sensor network for mining industry applications | |
Hunkeler et al. | A case for centrally controlled wireless sensor networks | |
CN102802231A (en) | Efficient energy aware routing method applicable to sensor network electromagnetic spectrum monitoring system | |
KR101202338B1 (en) | Hybrid Beaconing method | |
KR20080050963A (en) | Multichannel Oper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
US20190200371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adio resources | |
KR101243927B1 (en) | Beacon transmission method with mixed central beacon and distributed beacon | |
Mitchell et al. | Use of aerial platforms for energy efficient medium access control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
Peng et al. | An energy-efficient mobility-supporting MAC protocol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
Rehmani | Opportunistic data dissemination in ad-hoc cognitive radio networks | |
Zubair et al. | Lightweight distributed geographical: A lightweight distributed protocol for virtual clustering in geographical forwarding cognitive radio sensor networks | |
Tran et al. | Reliable communication performance for energy harvesting wireless sensor networks | |
Lu et al. | Hierarchical ring-based data gathering for dense wireless sensor networ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403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309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