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736B1 - Port forwarding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rt forwarding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1736B1 KR101241736B1 KR1020110062825A KR20110062825A KR101241736B1 KR 101241736 B1 KR101241736 B1 KR 101241736B1 KR 1020110062825 A KR1020110062825 A KR 1020110062825A KR 20110062825 A KR20110062825 A KR 20110062825A KR 101241736 B1 KR101241736 B1 KR 1012417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device
- network terminal
- network
- data
- ma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은 사설 네트워크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를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상응하는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할당하여 포트 포워딩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포트 포워딩이 실행된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사설 네트워크상에 위치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의해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전송되는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Port forwarding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any one of the at least one network terminal device located on the private network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Executing port forwarding by allocating an IP and a communication port corresponding to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Requesting data of a sub-network terminal located on a private network from the main network terminal to which the port forwarding has been performed; And receiving data of the sub network terminal device transmitted to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by the request.
Description
본 발명은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의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camera and a method of setting port forwarding thereof.
최근 초고속 통신망과 인터넷 사용 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가정 내 전자식 기기나 설비의 제어와 감시에 인터넷을 이용하려는 움직임이 크게 일고 있다. 물론 인터넷이 보급되기 이전에도 외부에서 전화벨 소리의 개수에 의해 각종 기기들을 제어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으나, 홈 네트워크 기술의 한계로 인해 활발하게 전개되지 못했다. 그러나 전력선통신이나 무선통신 등 각종 유무선 통신 기술이 활발히 보급되면서 홈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rapid growth of the high-speed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population, the movement to use the Internet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electronic devices or facilities in the home has been greatly increased. Of course, even before the spread of the Internet, there have been efforts to control various devices by the number of ringing sounds from the outside, but due to the limitations of home network technology, they have not been actively deployed. However, with the proliferation of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terest and demand for home networks are increasing.
이와 같은 홈 네트워크는 가정이나 일반 사무실 내의 조명, 냉난방 및 가전기기의 제어 및 자동화를 위한 제어용 네트워크로 1Mbps 이하의 저속으로 동작되며, 서로 다른 장비들 간에 상호 동작성을 보장하여야 하는 동시에 저가로 구현될 수 있어야 한다.Such a home network is a control network for the control and automation of lighting, air conditioning, and home appliances in homes and offices. It operates at a low speed of less than 1 Mbps, and requires low interoperability between different equipments. It should be possible.
특히, 인터넷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웹 서버가 내장된 홈 게이트웨이 및 제어 대상 기기의 네트워크화가 요구된다. 가정용 조명기기, 난방기기, 가전 제품에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내장되어있는 것이 상례이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호In particular, in order to remotely control and monitor the Internet, networking of a home gateway and a controlled device with a web server is required. It is common for home lighting appliances, heating appliances and home appliances to have a microprocessor.
스트 컴퓨터용 RS-232C 직렬통신 포트를 대부분 지원하므로 이를 홈 게이트웨이에 연결하는 것은 쉽게 가능해 졌다.Most RS-232C serial communication ports for test computers are supported, making it easy to connect to a home gateway.
그러나, 현재 인터넷을 통해 무선랜 환경하에 있는 제어대상 기기들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가 직접제어대상 기기의 설정 프로그램에 접속해서 고정 IP와 사용할 포트(Port)를 설정한 후, 유무선 공유기(AP)의 설정 프로그램에 접속해서 제어대상 기기에서 설정한 고정 IP와 사용할 포트(Port)로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 설정을 수동으로 설정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remotely control the control target devices in the wireless LAN environment through the Internet, first, the user directly accesses the setting program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sets a fixed IP and a port to be used, and then uses a wired / wireless router (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port forwarding setting was manually set to the fixed IP set in the control target device and the port to be used by accessing the AP's configuration program.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최소의 포트 포워딩 실행을 통해 사설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접속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 단말장치에서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 apparatuses existing on a private network can be connected through a minimum port forwarding operation, and thus image data acquired by the connected network terminal apparatus can be provided.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propos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describ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은 사설 네트워크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를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상응하는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할당하여 포트 포워딩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포트 포워딩이 실행된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사설 네트워크상에 위치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의해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전송되는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Port forwarding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any one of the at least one network terminal device located on the private network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Executing port forwarding by allocating an IP and a communication port corresponding to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Requesting data of a sub-network terminal located on a private network from the main network terminal to which the port forwarding has been performed; And receiving data of the sub network terminal device transmitted to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by the request.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네트워크 카메라이며, 상기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network terminal device is a network camera, and the data includes image data.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사설 네트워크상에 위치한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복수 개이며,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네트워크 단말장치이다.More preferably, there are a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 apparatuses located on the private network, the main network terminal apparatus i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 apparatuses, and the sub network terminal apparatus is the main network among the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 apparatuses. Other network terminal devices except network terminal devices.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More preferably,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list of the sub network terminal devices transmitted from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된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목록에서 어느 하나의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선택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ore preferably, displaying the received list; And selecting one of the sub-network terminal devices from the displayed list, wherein the requesting data includes requesting data provided by the selected sub-network terminal devic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사설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저장한다.More preferably, the main network terminal apparatus searches for at least one sub network terminal apparatus existing on a private network and stores a list of the searched sub network terminal apparatuses.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주기적으로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재검색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저장한 목록을 갱신시킨다.More preferably, the main network terminal periodically re-searches the sub network terminal and updates the stored list according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해 아이피 어드레스 및 통신 포트를 할당하여 포트 포워딩을 수행하는 공유 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포트 포워딩이 수행된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공유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데이터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In addition,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 devices; A sharing device for performing port forwarding by allocating an IP address and a communication port to a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 devices; And a user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on which the port forwarding has been performed through a network, and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via the sharing device. In response to a data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device, data abou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 devices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네트워크 카메라이며, 상기 요청 및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network terminal device is a network camera, and the requested and transmitted data includes image data captured by the network camera.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네트워크 단말장치이다.More preferably,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i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 devices, and the sub network terminal device is a remaining network terminal device except for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 devices.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상기 사용 단말장치로 전송한다.More preferably,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transmits a list for the sub network terminal devic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목록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요청하고,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요청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More preferably, the user terminal device displays a list transmitted through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requests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for data on any one sub-network terminal device included in the list, and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The network terminal device transmits data on the sub-network terminal device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사설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검색하여 목록에 등록하고, 일정 주기마다 상기 목록을 갱신시킨다.More preferably, the main network terminal apparatus searches for and registers at least one network terminal apparatus existing on a private network, and updates the list at regular interval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공유장치를 통해 할당된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통신부; 주변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요청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network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through the IP and communication port assigned through the sharing devic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network terminal devices located around the periphery;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data of another network terminal device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to control the received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바람직하게, 상기 주변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주변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검색하여 목록에 등록하고, 상기 목록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킨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list of other network terminal devices located in the vicinity, and the controller searches for and registers another network terminal device located in the list, and stores the list in the storage unit. .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한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한 목록상에서 선택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More preferably,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stored lis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ransmits data of another network terminal device selected from the transmitted lis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주변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공유장치와 포트 포워딩이 미수행된 단말장치이다.More preferably, another network terminal device located in the periphery is a terminal device in which port forwarding is not performed with the sharing device.
더욱 바람직하게,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변환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이미지 인코더를 포함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한다.More preferably, the camera unit further comprises an image sensor for converting the input image data into digital image data, and an image encoder for compressing the digital image data converted by the image sensor.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메인이 되는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연결시켜 줌으로써, 상기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포트 포워딩을 실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여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forms a list of other network terminal devices, and connects the data obtained by the other network terminal device to view the data obtained by using the configured list.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ease of use by solving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erform port forwarding for accessing the other network termin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목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트 포워딩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st of network terminal device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step-by-step method of the port forwar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100), 공유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network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100)는 제 1 네트워크 단말장치(100#1), 제 2 네트워크 단말장치(100#2) 및 제 N 네트워크 단말장치(100#N)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 카메라, 인터넷 전화기, 웹하드, 카드 리더기 등 인터넷을 이용한 네트워크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며, 향후 개발될 네트워크와 접속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100)가 네트워크 카메라로 구성되어 있음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100)가 네트워크 카메라가 아닌 상기 기재된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다른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네트워크 단말장치(100)는 공유장치(200)로부터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할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할당받으며, 상기 할당받은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The
이때,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100)는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와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분류된다.In this case, the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공유장치(200)로부터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할당받은 단말장치이며,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공유장치(200)로부터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할당받지 못한 단말장치이다.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is a terminal device to which an IP and a communication port are allocated from the
다시 말해서,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공유장치(200)와 포트 포워딩을 실행한 장치이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공유장치(200)와 포트 포워딩을 미실행한 장치이다.In other words,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is a device that has performed port forwarding with the
이에 따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할당받은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사용하여 후술한 사용자 단말장치(300)와 직접적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지만,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데이터 통신에 사용할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할당받지 못하였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와 직접적인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하다.Accordingly,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만이 상기 공유장치(2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300)와 직접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나머지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공유장치(2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자신이 획득한 데이터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그에 따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할당받은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이요하여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재전송한다.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main network terminal apparatus performs direct data communication with the
공유장치(200)는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들이 1개의 아이피 주소를 공유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들을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즉, 공유장치(200)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네트워크 단말장치(100)의 외부 접속을 허용해주기 위해서, 아이피 공유기 설정 메뉴에 들어가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100)가 사용하는 통신 포트 번호를 포트 포워딩해주도록 설정한다.That is, the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100)가 사설 아이피 주소로 193.168.1.10을 사용하고, 통신 포트 번호가 7070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공유장치(200) 설정 메뉴의 포트 포워딩 기능에서 다음가 같이 포트 포워딩을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ort ForwardingPort forwarding
192.168.1.10 port: 7070
192.168.1.10 port: 7070
상기와 같이, 포트 포워딩을 실행하면, 상기 공유 장치(200)를 통해 사설 네트워크 내에 네트워크 단말장치(100)가 설치된 경우에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에서도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100)에 접속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rt forwarding is executed, even when the
이때, 일반적으로, 상기 포트 포워딩은 현재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모든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해서 실행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현재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모든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해서만 실행한다.In this case, in general, the port forwarding should be performed for all network terminal devices existing on the current network, but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only one network terminal device among all network terminal devices existing on the current network. .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현재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설정하고, 그에 따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설정된 장치에 대해서만 포트 포워딩을 실행한다.To this end,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network terminal devices existing in the network is set as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and accordingly port forwarding is performed only for the device configured as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Run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상기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단말장치(100)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볼 수 있는 장치로써,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장치라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일반 전화기, 다른 네트워크 장치, 영상 전화기 및 인터넷 전화기 등을 포함하는 전화 단말기뿐만 아니라, 컴퓨터, PDA, 휴대폰 등을 포함하는 전산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인터넷은 보통 가정에서 사용하는 ADSL, VDSL 등과 같은 인터넷 서비스 컴퓨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The Internet may refer to a service provided by an Internet service computer such as ADSL, VDSL, or the like, which is usually used at home.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상기 포트 포워딩이 실행된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접속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볼 수 있다.The
이때,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들은 포트 포워딩이 실행되지 않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직접적으로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들의 데이터를 볼 수 없다.In this case, since the port forwarding is not performed in the sub network terminal devices,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의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특정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그에 따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통해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이에 대한 설명한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100) 중 어느 하나의 장치일 수 있지만, 설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단말장치(100)는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임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Although FIG. 2 may b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단말장치(100)는 이미지 센서(101), 이미지 인코더(102), 저장부(103), 제 1 통신부(105), 제 2 통신부(105) 및 제어부(10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이미지 센서(101)는 영상 정보를 입력받으며, 그에 따라 상기 입력받은 영상 정보를 디지털 영상 정보로 변환한다.The
이미지 인코더(102)는 상기 이미지 센서(101)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 정보를 압축한다.The
저장부(103)는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동작중에 발생한 정보들을 저장한다.The
특히, 저장부(103)는 주위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들의 목록을 저장한다.In particular, the
제 1 통신부(104)는 포트 포워딩 실행 과정에서 상기 공유장치(200)로부터 할당받은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장치(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The
제 2 통신부(105)는 주위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The
제어부(106)는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특히, 제어부(106)는 상기 포트 포워딩 과정에서 할당받은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저장하고, 그에 따라 상기 할당받은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또한, 제어부(106)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포트 포워딩이 미실행된 다른 네트워크 장치의 데이터가 요청되면, 상기 다른 네트워크 장치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그에 따라 상기 획득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data of another network device on which port forwarding is not executed is requested from the
이를 위해, 제어부(106)는 주위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장치들을 검색하고, 그에 따라 상기 검색한 네트워크 장치들을 목록으로 구성하여 저장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데이터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구성한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한다.To this end, the
또한, 제어부(106)는 상기 전송한 목록상에서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단말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제 2 통신부(105)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제공받는다.In addition, when any one network terminal apparatus is selected from the transmitted list, the
또한, 제어부(106)는 상기 제 2 통신부(105)를 통해 제공받은 데이터를 상기 할당받은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재전송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단말장치(포트 포워딩이 실행된 메인 네트워트 단말장치)는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포트 포워딩이 미실행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해준다.As such, the network terminal devic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on which port forwarding has been execu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data of another network terminal device (another network terminal device on which port forwarding is not executed)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상에 제 1 내지 6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존재하고, 이 중 제 1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설정되어 포트 포워딩이 실행됐을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설정된 제 1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우선적으로 접속한다. 이후, 상기 제 1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접속에 따라 주위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 즉 제 2 내지 6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해준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to sixth network terminal device exists on the network as described above, and the first network terminal device is set as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and port forwarding is executed, the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이 중 자신이 확인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 1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선택된 특정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해준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메인이 되는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연결시켜 줌으로써, 상기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포트 포워딩을 실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여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forms a list of other network terminal devices, and connects the data obtained from the other network terminal devices using the configured list. By doing so,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erform port forwarding for accessing the other network terminal device can be improved.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트 포워딩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and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step-by-step method of the port forwar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공유장치(200)는 현재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단말장치(100)를 확인한다(410단계).First, referring to FIG. 4, the
이때,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에는 다양한 종류의 기기들이 포함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네트워크 카메라임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네트워크 카메라가 아닌 다른 기기일 수도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various types of devices may be included in the network terminal devi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network terminal device is a network camera. However, the network terminal device may be another device other than the network camera.
이후, 상기 공유장치(200)는 상기 현재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100) 중 어느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설정한다(420단계).Thereafter, the
이때,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상기 공유장치(200) 자체에서 임의로 지정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may be arbitrarily designated by the
상기에서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지정되면, 상기 공유장치(200)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포트 포워딩 동작을 수행한다.When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is designated in the above, the
이를 위해, 먼저 상기 공유장치(200)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아이피 어드레스를 할당한다(430단계).To this end, the
이후, 상기 공유장치(200)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포트를 설정한다(440단계).Thereafter, the
즉,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할 아이피 어드레스 및 통신 포트를 설정하여,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상응하는 포트 포워딩을 실행한다.That is, the IP address and communication port used by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for data communication are set, and port forwarding corresponding to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is executed.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상기와 같이 포트 포워딩이 실행된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특정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한다(510단계).Next, as illustrated in FIG. 5, the
즉,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다른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상기 제공받은 목록상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단말장치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할 수도 있을 것이다.That is, the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특정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면,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요청 신호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선택된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기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specific network terminal device is selected in the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수신된 요청 신호가 자신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인지를 확인한다(520단계).The main network terminal checks whether the received request signal is a signal for requesting its own data (step 520).
상기 판단결과(520단계), 상기 요청신호가 자신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이면,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자신이 획득한 데이터, 다시 말해서 자신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할당받은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한다(530단계).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tep 520), if the request signal is a signal for requesting its own data,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determines the allocated IP and communication port for data acquired by itself, that is, image data photographed by itself. In step 530, the
또한, 상기 판단결과(520단계), 상기 요청신호가 자신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가 아니면,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현재 자신의 주위에 위치한 다른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들을 확인한다(540단계).In operation 520, if the request signal is not a signal for requesting its own data,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identifies other sub-network terminal devices currently located around it (step 540).
이후,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확인한 서브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550단계).Thereafter,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ub-network terminal device providing data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among the checked sub-network terminal devices (step 550).
즉,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선택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상기 확인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중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at is,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sub network terminal device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exists in the checked sub network terminal device.
이후,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선택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상기 확인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오류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한다(560단계).Thereafter,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transmits an error message to the
또한,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선택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상기 확인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데이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570단계).In operation 570, the main network terminal apparatus transmits a data request signal to the corresponding sub network terminal apparatus when the sub network terminal apparatus selected by the
이후,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요청 신호에 의해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할당받은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통해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재전송한다(580,590단계).Thereafter,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receives data transmitted from the sub network terminal device by the request signal, and transmit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sub network terminal device through the allocated IP and communication port to th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hown in detai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00: 네트워크 단말장치
200: 공유 장치
300: 사용자 단말장치100: network terminal device
200: shared device
300: user terminal device
Claims (18)
상기 구분된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해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할당하여 포트 포워딩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의해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Dividing a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 devices located on a private network into a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and a sub network terminal device;
Executing port forwarding by allocating an IP and a communication port to the divided main network terminal devices;
Requesting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for data on a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 devices including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and the sub network terminal device; And
And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by the request.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네트워크 카메라이며,
상기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network terminal device is a network camera,
And the data comprises image data.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네트워크 단말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i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 devices,
The sub network terminal device is a port forwarding set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aining network terminal device other than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of the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 devices.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1,
And receiving a list of the sub network terminal device from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상기 수신된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목록에서 어느 하나의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선택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Displaying the received list; An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one of the sub network terminal devices from the displayed list.
Requesting the data
Requesting data provided by the selected sub-network terminal device.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사설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저장하는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searches for at least one sub network terminal device existing on a private network, and stores a list of the searched sub network terminal device.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주기적으로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재검색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저장한 목록을 갱신시키는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main network terminal periodically re-scans the sub network terminal and updates the stored list accordingly.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와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구분하고, 그에 따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해 아이피 어드레스 및 통신 포트를 할당하여 포트 포워딩을 수행하는 공유 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포트 포워딩이 수행된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공유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데이터 요청에 따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시스템.A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 devices;
A sharing device for classifying the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 apparatuses into a main network terminal apparatus and a sub network terminal apparatus, and performing port forwarding by allocating an IP address and a communication port to the main network terminal apparatus; And
A user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on which the port forwarding has been performed through a network, and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via the sharing device;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transmits data for at least one network terminal device among a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 devices including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and a sub network terminal devic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dat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Network system.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네트워크 카메라이며,
상기 요청 및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8,
The network terminal device is a network camera,
The request and the data to be transmitted includes a network data captured by the network camera.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네트워크 단말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8,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i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 devices,
The sub network terminal device is a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aining network terminal device other than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of the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 devices.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0,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transmits a list of the sub-network terminal devic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목록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요청하고,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요청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시스템.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user terminal device displays a list transmitted through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requests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for data on any one sub-network terminal device included in the list,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transmits data about the sub network terminal device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사설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검색하여 목록에 등록하고, 일정 주기마다 상기 목록을 갱신시키는 네트워크 시스템.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main network terminal device searches for and registers at least one network terminal device existing on a private network in a list, and updates the list at regular intervals.
주변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요청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공유장치와 포트 포워딩이 미수행된 단말장치인 네트워크 단말장치.A first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user terminal device through an IP and a communication port allocated through a sharing devic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which communicates with other network terminal devices located in the vicinity;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data of another network terminal device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to transmit the received data to the user terminal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e other network terminal device located in the periphery is a network device that has not performed port forwarding with the sharing device.
상기 주변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주변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검색하여 목록에 등록하고, 상기 목록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네트워크 단말장치.The method of claim 14,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list for the other network terminal devices located in the vicinity is further included.
The control unit searches for other network terminal devices located in the vicinity, registers the list, and stores the list in the storage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한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한 목록상에서 선택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단말장치.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stored lis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ransmits data of another network terminal device selected from the transmitted lis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변환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이미지 인코더를 포함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단말장치.The method of claim 14,
And a camera unit including an image sensor for converting input image data into digital image data, and an image encoder for compressing the digital image data converted by the image sens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2825A KR101241736B1 (en) | 2011-06-28 | 2011-06-28 | Port forwarding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2825A KR101241736B1 (en) | 2011-06-28 | 2011-06-28 | Port forwarding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1906A KR20130001906A (en) | 2013-01-07 |
KR101241736B1 true KR101241736B1 (en) | 2013-03-11 |
Family
ID=4783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2825A Expired - Fee Related KR101241736B1 (en) | 2011-06-28 | 2011-06-28 | Port forwarding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173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5222B1 (en) | 2015-05-22 | 2015-12-08 | 주식회사 비밥소프트웨어 | System, service provider device, service user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of IP camera and computer progra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5597Y1 (en) | 2016-04-26 | 2018-01-31 | 주식회사 라이브존 | System of automatically configurating port forwarding of rout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96910A (en) * | 2005-03-01 | 2006-09-13 |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 Communication relay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
-
2011
- 2011-06-28 KR KR1020110062825A patent/KR10124173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96910A (en) * | 2005-03-01 | 2006-09-13 |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 Communication relay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5222B1 (en) | 2015-05-22 | 2015-12-08 | 주식회사 비밥소프트웨어 | System, service provider device, service user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of IP camera and computer progra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1906A (en) | 2013-0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50192B2 (en) | Port forwarding configuration system and method for wire and wireless networks | |
KR10225225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group of home devices in a home network system | |
KR101056102B1 (en) | Network system | |
KR101363115B1 (en) | Smart home service system based cloud and method thereof | |
US20140204833A1 (en) |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relay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municaiton control program | |
JP2014068285A (en) | Sensor data collection system and gateway control method | |
US20040111496A1 (en) |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adding and/or deleting home appliances | |
JP5974931B2 (en) | Communication device | |
US20100240353A1 (en) | Remote control system and facility sid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of facilit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facility apparatus | |
KR101241736B1 (en) | Port forwarding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 |
JP6385254B2 (en) |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server, and control method of monitoring system | |
WO201804924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hvac system by determining occupied state of a structure via ip address | |
KR101904050B1 (en) | A proxy ap-camera and the surveillance system by using the same | |
CN105830398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rimary gateway | |
US7778200B2 (en) | Remot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IP address thereof | |
JP2006031097A (en) |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ed theref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 |
JP2006227825A (en) | Information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home appliance control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home appliance control management method, and information home appliance operation method | |
JP5907669B2 (en) |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 |
JP6602493B2 (en) |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 |
JP4912161B2 (en) | Coaxial line communication device automatic setting method, gateway, master coaxial lin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 |
JPWO2015145953A1 (en) |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 |
KR100984111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 image in home network system | |
JP2011004130A (en) |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 |
CN101375262B (en) | Network system | |
JP2003348110A (en) | Gateway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3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305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