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172B1 - Service system for service capability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ervice system for service capability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8172B1 KR101248172B1 KR1020070012661A KR20070012661A KR101248172B1 KR 101248172 B1 KR101248172 B1 KR 101248172B1 KR 1020070012661 A KR1020070012661 A KR 1020070012661A KR 20070012661 A KR20070012661 A KR 20070012661A KR 101248172 B1 KR101248172 B1 KR 1012481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vice information
- user
- available service
- caller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용 서비스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가용 서비스 정보 제공방법은, 사용자별 가용 서비스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와; 소정 발신자 단말로부터 상기 발신자가 선택한 수신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자에 대응되는 상기 가용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데이터 송신 시 수신자를 선택한 경우 해당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정보를 바로 제공함으로써, 송신 작업의 연속성을 보장하여 서비스 이용을 용이하게 하고, 수신자 단말의 서비스 지원 능력을 충분히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toring th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for each user in advance; Receiving receiver information selected by the caller from a predetermined caller terminal; And searching for th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r and providing th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to the caller terminal. Accordingly, when the receiver is selected when the user transmits the data, the service information immediately available to the user can be provided, thereby ensuring the continuity of the transmission operation, facilitating the use of the service, and fully utilizing the service support capability of the receiver terminal. Can b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용 서비스 정보 제공시스템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도,2 is a data structure diagram of user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용 서비스 정보 제공방법의 흐름도,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용 서비스 정보 제공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4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n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FERENCE SYMBOLS
1 : IMS 3 :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 1: IMS 3: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5 : 사용자데이터DB5: user data DB
10, 20, 30 : 사용자A, B, C 50 : 가용 서비스 정보10, 20, 30: User A, B, C 50: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용 서비스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망(Core Network)은 기존 회선 기반의 핵심망에서 패킷 기반의 핵심망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IP 기반의 핵심망으로 진화되고 있다. IP 기반의 핵심망을 통해 가입자에게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을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CoreNetwork Subsystem : 이하, "IMS"라 칭함)라 한다.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2에서는 IMS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 PTT 서비스,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The core network (mobile network) that provide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changing from the core network based on the existing circuit to the packet based core network, and further evolving into the core network based on IP. A communication system that provides IP multimedia services to subscribers through an IP-based core network is called an IP Multimedia Core Network Sub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IMS").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 3GPP2 can support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multimedia service, PTT service and instant messenger service through IMS.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 또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과 부가기능을 지원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지원하는 기능은 단말기 자체의 성능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그 제조회사나 모델에 따라 하드웨어 구성이나 소프트웨어 버전 등이 상이하여 지원 가능한 서비스가 각기 상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supports various functions by supporting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and additional functions. However, since the functions suppor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pend on the performance of the terminal itself, the services that can be supported may be different because hardware configurations or software version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or model.
이에, 송신자 측에서는 수신자 단말기의 서비스 지원 능력(capability)을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메뉴를 이용하여 수신자 측 단말기의 서비스 지원 능력을 확인한 후 데이터를 발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confirm the service support capability (capability) of the receiver terminal, the sender side has a problem of transmitting data after confirming the service support capability of the receiver terminal using a separate menu.
또한, 데이터 발신 시 수신자가 발신자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안내하는 기술이 개시된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송신자가 데이터를 발신한 시점에서 해당 사항을 확인할 수 있음으로 발신 데이터가 수신자 단말기에 적절치 않은 경우 데이터를 재발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In addition, there has been disclosed a technique for guiding whether the receiver can check the sender's data when the data is sent. 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allows the sender to check the corresponding data at the time when the sender sends the data. There is a hassle to resend the data if it is not appropriate.
뿐만 아니라, 종래의 기술의 경우 단순히 발신 데이터의 확인이 가능한지 여 부만을 안내하고 있어, 수신자 단말의 다른 서비스 지원 능력들을 충분히 이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simply guides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check outgoing data,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sufficiently utilize other service support capabilities of the receiver terminal.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데이터 송신 시 수신자를 선택한 경우 해당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정보를 IMS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송신 작업의 연속성을 보장하여 서비스 이용을 용이하게 하고, 수신자 단말의 서비스 지원 능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용 서비스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when the user selects the receiver when transmitting the data by providing the servic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by the user through the IMS, to ensure the continuity of the transmission operation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servic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so as to fully utilize the service support capability of a receiver terminal.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용 서비스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별 가용 서비스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와; 소정 발신자 단말로부터 상기 발신자가 선택한 수신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자에 대응되는 상기 가용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providing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including: storing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for each user in advance; Receiving receiver information selected by the caller from a predetermined caller terminal; And searching for th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r and providing th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to the caller terminal.
여기서, 상기 사용자별 가용 서비스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각 사용자가 등록한 가용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용 서비스 정보의 공개 여부를 설정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toring of th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for each user in advance may include: storing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registered by each user; It is possible to include receiving and setting whether or not to disclose th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from the user.
그리고, 소정 발신자 단말로부터 상기 발신자가 선택한 수신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자가 저장한 폰북정보를 상기 발신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폰북정보를 통한 수신자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eceiving of the receiver information selected by the caller from a predetermined caller terminal may include: transmitting phonebook information stored by the caller to the caller terminal according to the caller's request; It is possible to include the step of receiving a receiver selection signal through the phone book information from the caller.
그리고, 상기 가용 서비스 정보는, 상기 각 사용자의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 멀티미디어 서비스 기능, 장치 서비스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essage service function, a multimedia service function, and a device service function that the terminal of each user may support.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사용자별 가용 서비스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데이터DB와; 소정 발신자 단말로부터 상기 발신자가 선택한 수신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자에 대응되는 상기 가용 서비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데이터DB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상기 발신자 단말에 제공하는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용 서비스 정보 제공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ata DB for storing th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an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that receives the receiver information selected by the caller from a predetermined caller terminal, searches for th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r in the user data DB, and provides a search result to the caller terminal. It can also be achieved by th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여기서, 상기 사용자데이터DB에는 상기 사용자별 폰북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발신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자가 저장한 폰북정보를 상기 발신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발신자가 상기 폰북정보를 통해 선택한 수신자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user data DB stores phonebook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th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phonebook information stored by the caller to the caller terminal according to the caller's request, and the caller sends the phonebook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selected receiver selection signal via.
그리고, 상기 가용 서비스 정보는, 상기 각 사용자의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 멀티미디어 서비스 기능, 장치 서비스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essage service function, a multimedia service function, and a device service function that the terminal of each user may support.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 기의 가용 서비스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용 서비스 정보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CoreNetwork Subsystem : 이하, "IMS"라 칭함)(1)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 사용자(10, 20, 30)와, 각 사용자(10, 20, 30)의 가용 서비스 정보 등의 사용자데이터가 저장되는 사용자데이터DB(5)와, 각 사용자(10, 20, 30)가 등록한 가용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데이터DB(5)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한편 수신자가 선택된 경우 해당 수신자의 가용 서비스 정보를 발신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3)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system includes a
IMS(1)는 음성과 데이터를 하나의 구조로 통합하고 이를 IP 네트워크에 고정한 장치로 전달하는 표준기술이다. 이러한 IMS(1)는 IP(Internet Protocol)전송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다양한 타입의 패킷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을 기반으로 음성, 오디오, 비디오, 메시지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타입의 콘텐츠(contents)를 송수신할 수 있다.IMS (1) is a standard technology that integrates voice and data into one structure and delivers it to a device fixed to an IP network. The IMS 1 provides various types of packet data services based on an Internet Protocol (IP) transport protocol, and multimedia-type contents such as voice, audio, video, and message data based on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content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사용자(10, 20, 30)가 사용자데이터를 입력하는 단말은 IMS(1)를 통한 IP/SIP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휴대전화, PDA, 노트북, 컴퓨터, PMP 등 사용자 입력기능 및 IMS(1)를 통한 IP/SIP통신 기능의 지원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가 적용 될 수 있다.Terminals for user data input by the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3)는 사용자(10, 20, 30)가 IMS(1)를 통해 등록한 가용 서비스 정보와 폰북정보 등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사용자데이터DB(5)에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3)는 사용자(10, 20, 30)가 요청한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여, 소정 사용자가 데이터 발신을 위해 수신자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데이터DB(5)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자의 가용서비스 정보를 발신자 단말에 제공한다. The available service
여기서, 사용자데이터DB(5)에는 각 사용자(10, 20, 30)의 가용 서비스 정보, 폰북정보 등 사용자(10, 20, 30)가 입력한 데이터가 저장되며, 이에,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3)는 사용자(10, 20, 30)가 요청한 데이터를 사용자데이터DB(5)로부터 독출하여 해당 사용자(10, 20, 30) 측에 제공할 수 있다. Here, the
이러한,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3)로는 웹페이지 기술언어인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XDMS(XML-based Document Management System)서버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s the available service
한편, 사용자데이터DB(5)에 저장되는 가용 서비스 정보는 도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용 서비스 정보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Meanwhil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data DB 5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2. 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데이터DB(5)에 저장된 가용 서비스 정보(50)는 사용자A(10), 사용자B(20), 사용자C(30)가 저장한 가용 서비스 정보(50)가 해당 사용자(10, 20, 30)별로 관리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 20, 30)의 가용 서비스 정보는 각 사용자(10, 20, 30)의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 멀티미디어 서비스 기능, 장치 서비스 기능 등이 포함된다.The
메시지 서비스에 관한 가용 서비스 정보는, 각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메시지 수신 방식의 정보로서, 이메일(E-mail),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인스턴트 메시지(IM), 단문메시지(SMS), 보이스 메일(VSC) 등,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메시지 수신 서비스 방식의 정보를 포함한다.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about the message service is information of a message reception method available to each user, and includes e-mail, multimedia message (MMS), instant message (IM), short message (SMS), and voice mail (VSC). Information about a message receiving service method available to the user.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관한 가용 서비스 정보는, 각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식의 정보로서, 이미지(image), 동영상(video clip), 오디오(audio clip) 등,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식의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가용 서비스 정보는 사용 가능한 동영상 파일의 형식 및 오디오 파일 형식까지 함께 제공하여 avi, mp3, mp4, wmv, wma, 등으로 세분화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가용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ultimedia service is information of a multimedia service method available to each user, and includes information of a multimedia service method available to the user, such as an image, a video clip, and an audio clip. do. Here, the multimedia servic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the format of the available video file and the audio file format to provide the multimedia service available information divided into avi, mp3, mp4, wmv, wma, and the like.
또한, 가용 서비스 정보로서 장치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여 VoIP, IMS, PTT 등 해당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기능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device service information as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to provide functions that can be used in the corresponding device, such as VoIP, IMS, and PTT.
이러한, 가용 서비스 정보(50)는 각 사용자(10, 20, 30)가 직접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3)에 단말기 모델별 사양 정보가 구비된 경우 사용자가 소유한 단말기의 종류 및 모델명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해당 가용 서비스 정보(50)를 등록할 수 있다.The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3)는 소정 사용자(10, 20, 30)가 수신인의 연락처 등을 선택하는 경우 입력된 수신인 정보에 따라 해당 수신 자의 가용 서비스 정보(50)를 검색하여 발신자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available service
한편,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3)는 각 사용자(10, 20, 30)의 폰북정보도 사용자데이터DB(5)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3)는 사용자(10, 20, 30)의 요청에 따라 폰북기능을 제공하는 한편 폰북에서 소정 수신자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수신자의 가용 서비스 정보(50)를 검색하여 발신자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vailable servi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용 서비스 정보 제공방법의 흐름도로서, 가용 서비스 정보 제공 기능을 폰북기능과 연계하여 제공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n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is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 phone book function.
사용자B(20)는 단말기 상에서 IMS(1) 접속 메뉴를 선택하여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3) 측에 가용 서비스 정보를 등록하고(S10), 그에 대한 확인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2). 여기서, 사용자B(20)는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 신호를 이용하여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3)에 가용 서비스 정보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으며,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3)는 사용자B(20)의 요청을 처리한 후 확인(NOTIFY) 신호를 회신하여 처리결과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B(20)는 등록된 가용 서비스 정보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개할지 여부를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3)에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소정 사용자가 사용자B(20)를 발신자로 선택한 경우 가용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사용자B(20)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A(10)는 단말기 상에서 IMS(1) 접속 메뉴를 선택하여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3) 폰북보기를 요청할 수 있으며(S14), 이에,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3)는 사용자데이터DB(5)에 저장된 사용자A(10)의 폰북정보를 사용자A(10)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S16).On the other hand, user A (10) can select the IMS (1) connection menu on the terminal to request th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3) phonebook view (S14), so that th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3) is the user data Phonebook information of
사용자A(10)가 폰북상에서 사용자B(20)를 선택한 경우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3)는 사용자A(10)의 선택신호를 수신하여(S18), 사용자B(20)의 가용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A(10)의 단말 측에 표시한다(S20). When the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A(10)는 폰북 상에서 사용자B(20)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B(20)에게 송신 가능한 메시지 타입, 멀티미디어 타입 등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용 서비스 정보 제공화면의 표시 상태도로서, 폰북기능과 연계하여 수신자의 가용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4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n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of a receiver is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 phonebook function.
사용자가 단말기 상에서 IMS(1)를 이용한 폰북기능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저장해둔 사용자A, 사용자B, 사용자C 등의 이름 및 연락처 정보가 폰북화면(100)에 표시된다. 폰북화면(100) 상에서 사용자B를 선택하면, 사용자B에게 송신 가능한 메시지 서비스, 멀티미디어 서비스, 장치 가용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는 가용 서비스 정보 리스트화면(102)이 표시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phone book function using the
이에, 사용자가 "1. 메시지서비스"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B에게 발신할 수 있는 메시지서비스 목록화면(104)이 표시된다. 사용자B에게 발신할 수 있는 메시지서비스 수신 방식으로는, 이메일(E-mail),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인스턴트 메시지(IM), 단문메시지(SMS), 보이스 메일(VSC) 등, 사용자B 측에서 수신 가능한 메시 지 형태가 모두 표시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selects the item "1. Message service", the message
이에, 사용자가 소정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형태로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는 메시지 입력창(106)이 표시된다. 예컨대, 메시지서비스 목록화면(104)에서 "3. SMS" 항목을 선택한 경우, 수신자가 사용자B로 설정된 SMS 입력화면이 바로 표시된다. 이에, 사용자는 폰북을 통해 수신자의 가용 서비스 정보를 확인한 후 바로 메시지 혹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item, a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정보를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여 소정 발신자가 수신자를 선택한 경우 해당 수신자가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정보를 IMS를 통해 즉시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설명에서는 폰북과 연계하여 폰북 상에서 선택된 발신자에 대해 가용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발신자가 직접 수신자의 전화번호 등을 입력한 경우에도 가용 서비스 정보 관리서버가 수신자의 가용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여 IMS를 통해 발신자의 단말기로 바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servic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by each user through a database in a server, so that when a predetermined caller selects a receiver, servic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by the receiver is immediately provided through the IMS. 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exemplifies a case in which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is provided for the caller selected on the phone book in association with the phone book, th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s available to the receiver even when the caller directly inputs the recipient's phone numbe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service information directly to the caller's terminal through IMS.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용 서비스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각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정보를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여 소정 발신자가 수신자를 선택한 경우 해당 수신자가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정보를 IMS를 통해 즉시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vailable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the service information available to each user in a database in the server can be used by the receiver when a predetermined caller selected the recipient Service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IMS immediately.
이에 따라, 사용자의 데이터 송신 시 송신 작업의 연속성을 보장하면서 수신자가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을 용이하게 하고 수신자 단말의 서비스 지원 능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by providing the servic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by the receiver while ensuring the continuity of the transmission task when transmitting the user's data, it is easy to use the service and fully utilize the service support capability of the receiver terminal.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2661A KR101248172B1 (en) | 2007-02-07 | 2007-02-07 | Service system for service capability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2661A KR101248172B1 (en) | 2007-02-07 | 2007-02-07 | Service system for service capability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3881A KR20080073881A (en) | 2008-08-12 |
KR101248172B1 true KR101248172B1 (en) | 2013-03-27 |
Family
ID=3988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2661A Expired - Fee Related KR101248172B1 (en) | 2007-02-07 | 2007-02-07 | Service system for service capability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8172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1915B1 (en) | 2005-09-14 | 2006-1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ultimedia message management function, message management server, messa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
KR100717855B1 (en) | 2005-07-26 | 2007-05-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
-
2007
- 2007-02-07 KR KR1020070012661A patent/KR10124817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7855B1 (en) | 2005-07-26 | 2007-05-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
KR100651915B1 (en) | 2005-09-14 | 2006-1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ultimedia message management function, message management server, messa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3881A (en) | 2008-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164045B (en) | Web server,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of | |
KR101490266B1 (en) | Terminal and method for storing and retrieving messages in a converged ip messaging service | |
US7779077B2 (en) | File transmission method in instant messaging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supporting the same | |
US20140136623A1 (en) | Remote access to a customer home network | |
KR101192481B1 (en) | Differentiated message delivery notification | |
JP2012518309A (en) |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 |
WO2006067264A1 (en) | Content shar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 |
US20060209867A1 (en) |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an mms-based communication system | |
KR10197353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haring applications between multiple clients | |
CN1830197B (en)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network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US8843582B2 (en) |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and processing contacts | |
KR100793399B1 (en) | Customizing Electronic Devices | |
RU2596588C2 (en) |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on of mobile device for communication initiating | |
US20060136554A1 (en) | Information server in a communication system | |
US9882938B2 (en) | Composite ARS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 |
KR20140082395A (en) | Method for controlling file nam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 |
JP2007299273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248172B1 (en) | Service system for service capability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WO2011153772A1 (en) |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multiple instant information | |
JP4790483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346990B1 (en) | User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0656360B1 (en) | Internet fax service method using open API | |
JP5081997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120040625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act status based on converged address book service | |
JP2005094266A (en) | Information terminal uni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acquiring information, and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in compu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3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322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