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238B1 -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3238B1 KR101233238B1 KR1020110083398A KR20110083398A KR101233238B1 KR 101233238 B1 KR101233238 B1 KR 101233238B1 KR 1020110083398 A KR1020110083398 A KR 1020110083398A KR 20110083398 A KR20110083398 A KR 20110083398A KR 101233238 B1 KR101233238 B1 KR 1012332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partial data
- destination
- information
- divid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송신장치가 분할된 부분데이터에 해당 수신처/트래픽 세션 별로 순서정보를 할당/포함시켜 송신하고 이에 수신장치가 순서정보를 토대로 부분데이터를 결합함으로써 이기종 네트워크 간 상이한 latency에 따른 부분데이터의 disordering을 해결할 수 있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은, 송신장치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처정보 및 분할 순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순서정보를 할당하고, 할당된 각 순서정보를 해당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시켜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해당되는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면, 수신장치가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순서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수신처정보를 갖는 하나의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한 후 순서정보를 토대로 분할 순서에 따라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리오더링(Reordering)하여, 리오더링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ultaneous transmission service for dividing data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ransmitting / receiving using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networks, wherein the transmitting apparatus has sequence information for each destination / traffic session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partial data. A heterogeneous network-based data transmission service method is disclosed that can solve the disordering of partial data according to different latency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by allocating / integrating and transmitting partial data based on sequence information. In the heterogeneous network-based data transmission servi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tting apparatus divides transmission target data into two or more partial data, and the transmission apparatus corresponds to each partial data divided from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and thus destination information and partitioning are performed. If the sequ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sequences is allocated, and each of the sequenc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partial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corresponding specific network among two or more networks, the receiving device receives through the two or more networks. Based on the sequen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artial data to be divided, two or more partial data divided from one transmission target data having the same destination information is divided, and the divided two or more partial data according to the division order based on the order information The two or more portions that are reordered by reordering It combines the data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the transmission subject data.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송신장치가 분할된 부분데이터에 해당 수신처/트래픽 세션 별로 순서정보를 할당/포함시켜 송신하고 이에 수신장치가 순서정보를 토대로 부분데이터를 결합함으로써 이기종 네트워크 간 상이한 latency에 따른 부분데이터의 disordering을 해결할 수 있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과, 송신장치 및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과, 수신장치 및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terogeneous network-based data simultaneous transmission service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simultaneous transmission service for splitting data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ransmitting / receiving using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networks. The device allocates / includes the sequence information for each destination / traffic session to the divided partial data and transmits it, and the receiving device combines the partial data based on the sequence information to solve the disordering of the partial data according to different latency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 heterogeneous network-based data transmission service method, a method of operating a transmitter and a transmitter, and a method of operating a receiver and a receiver.
최근, 사업자는 다수의 무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의 경우 주요 사업자는 WCDMA, CDMA, WiBro 및 최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인 WLAN(WiFi) 기술까지 도입하여 네트워크를 구축, 서비스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LTE(Long Term Evolution) 망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Recently, operators often provide services based on multiple wireless technologies at the same time. In Korea, major operators are building and servicing networks by introducing WCDMA, CDMA, WiBro and WLAN (WiFi) technology, which is the nearest wireless network. In addition, LTE (Long Term Evolution) network is actively being introduced recently.
이처럼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이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현재 방식은, 단말장치 사용자의 직접적인 변경에 의한 접속 네트워크 선택 방식으로 사업자 측의 개입(controllability)이 배제된 방식이기 때문에 사업자 입장을 고려할 때 소극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The present method in which a terminal device uses a data service in a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a plurality of networks are mixed is a method in which a controllability of a provider is excluded by an access network selection method by directly changing a terminal device user It is a passive method when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business operator.
한편, 스마트폰, 태블렛 PC 등 다양한 무선 기기들이 증가하고 데이터 요금이 저렴해지며 동시에 다양한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사업자의 네트워크 부하율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망 투자비 과다 지출 및 서비스 안정성 측면에서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Meanwhile, as various wireless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are increasing, data rates are getting cheaper, and various large data services are increasing at the same time, as network load rate of operators is rapidly increasing, network investment is excessively expended and service stability. The situation is being threatened.
이에,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단말장치의 접속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new service method for efficiently selecting an access network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state of a network in a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where a plurality of networks are mixed and efficiently transmitting data using the selected network.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송신장치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처정보 및 분할 순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순서정보를 할당하고, 할당된 각 순서정보를 해당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시켜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해당되는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면, 수신장치가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순서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수신처정보를 갖는 하나의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한 후 순서정보를 토대로 분할 순서에 따라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리오더링(Reordering)하여, 리오더링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여, 이기종 네트워크 간 상이한 latency에 따른 부분데이터의 disordering을 해결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at the transmitting device divides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into two or more partial data, and the transmission apparatus divides each partial data from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In response to this, if the sequ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division order is allocated, each of the allocated sequenc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partial data and transmitted through the corresponding specific network among two or more networks, Based on the ord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artial data received through the two or more networks, the two or more partial data divided from one transmission target data having the same destination information is divided, and according to the division order based on the order information. Reorder two or more divided pieces of data The said two or more portions by combining the data provided by the heterogeneous network based on the data broadcast service method of generating the transmission subject data, and solving the disordering of the partial data according to the different latency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처정보 및 분할 순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순서정보를 할당하고, 할당된 각 순서정보를 해당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시키며, 상기 각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해당되는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부분데이터 송신단계 송신장치 및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이기종 네트워크 간 상이한 latency에 따른 부분데이터의 disordering을 해결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other object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vide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into two or more partial data, and to receive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partial data divided from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Partial data transmission step of allocating the sequ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division order, including each assigned sequence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partial data, and transmitting the respective partial data through a corresponding specific network of two or more network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mitt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transmitter to solve disordering of partial data according to different latency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수신처정보 및 분할 순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순서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수신처정보를 갖는 하나의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하며,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순서정보를 토대로, 분할 순서에 따라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리오더링(Reordering)하며, 리오더링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신장치 및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이기종 네트워크 간 상이한 latency에 따른 부분데이터의 disordering을 해결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eive partial data through two or more networks, and to at least one of destination information and division order included in the received partial data.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vided two or more partial data divided from one transmission target data having the sam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order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divided two or more partial data, the divided according to the division order Reordering at least two partial data and combining the reordered at least two partial data to generate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a receiving device and the receiving device to provide different latency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To solve the disordering of the partial dat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송신장치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한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멀티통신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제어부; 및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부분데이터 식별정보 및 분할순서를 포함하는 순서정보를 포함시키는 순서정보할당부를 포함한다.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ulti-communication unit for supporting two or more network interfaces through two or more networks; A data division controller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into two or more partial data; And an order information allocating unit including, for each of the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divided from the data to be transmitted, order information including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ivision ord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분데이터 식별정보는,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의 수신처에 해당하는 목적지 접속정보 및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수신처정보일 수 있다.Preferably, the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destination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of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and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indicating a traffic session typ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수신장치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한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멀티통신부; 상기 수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 식별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부분데이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분할순서를 토대로, 상기 분할 순서에 따라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리오더링(Reordering)하는 데이터리오더링부; 및 리오더링된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결합부를 포함한다.A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ulti-supporting two or more network interfaces via two or more networks and receiving two or more partial data divided from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through the two or more networks Communication unit; The two or more partial data including the same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classified based on the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wo or more partial data received, and the divis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division order included in the divided two or more partial data. A data reordering unit for reordering the separated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in order; And a data combiner configured to combine the reordered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to generate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분데이터 식별정보는,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의 수신처에 해당하는 목적지 접속정보 및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수신처정보이며, 상기 데이터리오더링부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포함된 상기 목적지 접속정보 및 상기 목적지 포트정보를 기초로 상기 목적지 접속정보 및 상기 목적지 포트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부분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destination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of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and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indicating a type of traffic sess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and the data The reordering unit may distinguish the same partial data from at least one of the destination access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based on the destination access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of the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리오더링부는,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분할 순서를 기초로,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상기 분할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리오더링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ata reordering unit may reorder the divided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according to the division order based on the division order included in the divided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은, 송신장치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부분데이터 식별정보 및 분할순서를 포함하는 순서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장치가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순서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부분데이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순서정보를 토대로, 분할 순서에 따라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리오더링(Reordering)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장치가 리오더링된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heterogeneous network-based data transmission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a transmission apparatus dividing transmission target data into two or more partial data; Including, by the transmitting apparatus, order information including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ivision order for each of the two or more partial data; Transmitting, by the transmitting device, the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to a receiving device through two or more networks; Discriminating, by the receiving apparatus, at least two partial data including the same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ord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t least two partial data received through the at least two networks; Reordering the divided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according to the division order based on the ord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ivided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And generating, by the receiving apparatus,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by combining the separated two or more partial dat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 분할단계;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부분데이터 식별정보 및 분할순서를 포함하는 순서정보를 포함시키는 순서정보 할당단계; 및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부분데이터 송신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transmitter, comprising: a data division step of dividing transmission target data into two or more partial data; A sequence information allocating step of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including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split sequence for each of the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divided from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And a partial dat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two or more partial data through two or more network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 식별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부분데이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분할순서를 토대로, 상기 분할 순서에 따라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리오더링(Reordering)하는 데이터 리오더링단계; 및 리오더링된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operating a receiver 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divided from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wo or more networks; Distinguishing at least two partial data including the same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at least two partial data; A data reordering step of reordering the divided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according to the division order based on the division order included in the divided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And combining the reordered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to generate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 분할단계;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부분데이터 식별정보 및 분할순서를 포함하는 순서정보를 포함시키는 순서정보 할당단계; 및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부분데이터 송신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data dividing step of dividing a transfer target data into two or more partial data; A sequence information allocating step of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including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split sequence for each of the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divided from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And instructions for executing a partial dat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two or more partial data through two or more networks.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분데이터 식별정보는,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의 수신처에 해당하는 목적지 접속정보 및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수신처정보일 수 있다.Preferably, the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destination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of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and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indicating a traffic session typ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 식별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부분데이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분할순서를 토대로, 상기 분할 순서에 따라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리오더링(Reordering)하는 데이터 리오더링단계; 및 리오더링된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t least two pieces of partial data divided from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wo or more networks; Distinguishing at least two partial data including the same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at least two partial data; A data reordering step of reordering the divided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according to the division order based on the division order included in the divided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And generating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by combining the divided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분데이터 식별정보는,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의 수신처에 해당하는 목적지 접속정보 및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수신처정보이며, 상기 부분데이터 구분단계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포함된 상기 목적지 접속정보 및 상기 목적지 포트정보를 기초로 상기 목적지 접속정보 및 상기 목적지 포트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부분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destination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of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and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indicating a type of traffic sess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 the data classification step, at least one of the destination access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may be distinguished based on the destination access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of the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리오더링단계는,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분할 순서를 기초로,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상기 분할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리오더링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ata reordering step may be arranged by reordering the divided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according to the division order based on the division order included in the divided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이에,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전송 대상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송신장치가 분할된 부분데이터에 해당 수신처/트래픽 세션 별로 순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분할 순서대로 부분데이터에 할당/포함시켜 송신하고 이에 수신장치가 순서정보를 토대로 부분데이터를 리오더링하여 결합함으로써, 이기종 네트워크 간 상이한 latency에 따른 부분데이터의 disordering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heterogeneous network-based data simultaneous transmission servi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nvironment for providing a simultaneous transmission service that allows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networks, the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Heterogeneous network by generating the order information for each destination / traffic session in the divided partial data and assigning / integrating it to the partial data in the split order, and receiving the device by reordering and combining the partial data based on the order information. It can effectively solve the disordering of partial data according to different latenc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로 동작하는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로 동작하는 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eterogeneous network-based simultaneous data transmiss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pparatus that operates as a transmitting apparatus and a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apparatus operating as a transmitting apparatus and a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 heterogeneous network-based data transmission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recei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terogeneous network-based simultaneous data transmiss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장치(400)와,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접속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heterogeneous network-based data simultaneous transmiss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업링크 데이터 트래픽을 고려하면 단말장치(100)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에 해당하고 관리장치(400)가 본 발명의 수신장치에 해당하며, 다운링크 데이터 트래픽을 고려하면 관리장치(400)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에 해당하고 단말장치(100)가 본 발명의 수신장치에 해당하게 된다.Here, in consideration of the uplink data traffic, the
그리고, 2 이상의 네트워크 즉 이기종의 네트워크는, WCDMA, CDMA, WiBro, WLAN(WiFi) 및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wo or more networks, that is, heterogeneous networks, may include WCDMA, CDMA, WiBro, WLAN (WiFi), Long Term Evolution (LTE), and the lik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WCDMA)를 지칭하는 제1네트워크(이하, "3G 네트워크"라 칭함)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iFi)를 지칭하는 제2네트워크(이하, "WiFi 네트워크"라 칭함)로 한정하여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3G 네트워크 즉,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장비를 지칭하게 되며, 아울러,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WiFi 네트워크 즉,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엑세스포인트(AP)를 지칭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first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3G network"), which refers to a wireless packet service network (WCDMA) of two or more networks, and a second wireless network (WiFi)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wo networks (hereinafter referred to as "WiFi networks"). Accordingly, the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관리장치(400)로부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라 결합/복원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장치(500) 및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제공하는 정책관리장치(6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Furthermore, the heterogeneous network-based data simultaneous transmiss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icy management for providing an
여기서, 외부장치(500)는 관리장치(400)를 통해 단말장치(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버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관리장치(40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예컨대, 포털서비스 및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또한, 정책관리장치(600)는 예컨대, 가입자 선호도, 가입자 유형, 가입 요금제, 서비스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등을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상태 변동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결정하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에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는, 단말장치(100) 및 외부장치(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에 하나의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및 WiFi)를 사용하여 송신하고, 수신된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다.Accordingly, the heterogeneous network-based data transmiss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one data between the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는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르면, 하나의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및 WiFi)를 사용하여 전송하는데, 상이한 네트워크 별로 서로 다른 latency(예 : 3G - 약 100msec, WiFi - 약 20msec)를 가지기 때문에 부분데이터를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및 WiFi)를 통해 동시에 전송하더라도 수신측에서는 망 간 latency 차이에 따른 disordering이 생길 수 밖에 없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imultaneous transmiss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 data divided from one data is transmitted using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networks (eg, 3G and WiFi), and different latency (eg, 3G-about each network) is different. 100msec, WiFi-about 20msec), even if partial data is transmitted through heterogeneous networks (eg 3G and WiFi) simultaneously, the receiving side will have disordering due to latency differences between network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과 같이 하나의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데 있어서 네트워크 별로 상이한 latency에 따라 발생되는 수신측의 부분데이터 disordering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성을 더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poses a configuration that can solve the partial data disordering problem of the receiving side caused by different latency for each network in transmitting partial data divided from one data through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networks as described above. do.
단말장치(100)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고자 하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The
이처럼 서비스 등록 절차를 정상적으로 수행 완료하면,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및 WiFi)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접속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When the service registration procedure is normally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우선, 업링크 데이터 트래픽을 고려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uplink data traffic is considered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는,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The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부분데이터 식별정보 즉 수신처정보 및 분할 순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순서정보를 할당하고, 할당된 각 순서정보를 해당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시킨다.In addition, the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는 내부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발생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송 대상 데이터의 수신처에 해당되는 목적지 접속정보(Destination IP) 즉 외부장치(600)의 IP 및 전송 대상 데이터의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Destination Port) 즉 외부장치(600)의 해당 Port 별로,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순서정보를 생성한다.In other words, the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생성한 순서정보를 할당하여 포함시킬 수 있다.The
이에, 단말장치(100)는 순서정보를 포함시킨 각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중 해당되는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게 된다.Accordingly, the
즉, 단말장치(100)가 전술의 순서정보를 포함시킨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거쳐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고, 전술의 순서정보를 포함시킨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거쳐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면, 관리장치(400)가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That is, the
이때,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각 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간 상이한 latency로 인해 분할 순서와는 달리 단순이 전송되는 순서에 따라 수신하게 될 것이다.At this time, th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는,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전술의 순서정보를 토대로, 특정 트래픽 세션에 따른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분할 순서에 따라 리오더링(Reordering)한다.Accordingly, the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리오더링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원래의 전송 대상 데이터를 복원할 것이다.The
그리고, 관리장치(400)가 복원한 전송 대상 데이터를 해당되는 외부장치(500)로 전송할 것이다.The
한편, 다운링크 데이터 트래픽을 고려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downlink data traffic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는,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The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처정보 및 분할 순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순서정보를 할당하고, 할당된 각 순서정보를 해당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시킨다.Then, the
다시 말해, 관리장치(400)는,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특정 단말장치(100)로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송 대상 데이터의 수신처에 해당되는 목적지 접속정보(Destination IP) 즉 단말장치(100)의 IP 및 전송 대상 데이터의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Destination Port) 즉 단말장치(100)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Port 별로,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순서정보를 생성한다.In other words, when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for requesting the transmission from the specific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생성한 순서정보를 할당하여 포함시킬 수 있다.The
이에, 관리장치(400)는, 순서정보를 포함시킨 각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중 해당되는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게 된다.Accordingly, the
즉, 관리장치(400)가 전술의 순서정보를 포함시킨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거쳐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고, 전술의 순서정보를 포함시킨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거쳐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면, 단말장치(100)가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That is, the
이때, 단말장치(10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송신되는 각 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간 상이한 latency로 인해 분할 순서와는 달리 단순이 전송되는 순서에 따라 수신하게 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전술의 순서정보를 토대로, 특정 트래픽 세션에 따른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분할 순서에 따라 리오더링(Reordering)한다.Accordingly, the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리오더링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원래의 전송 대상 데이터를 복원할 것이다.The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로서의 구성을 갖는 관리장치(4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로서 동작하는 관리장치(400)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한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멀티통신부(410)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제어부(420)와,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처정보 및 분할 순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순서정보를 할당하고, 할당된 각 순서정보를 해당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시키는 순서정보할당부(430)을 포함한다.The
멀티통신부(410)는, 각기 상이한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한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기능부이다. 예를 들어 2개의 네트워크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멀티통신부(410)는, 제1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1통신부(412) 및 제2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통신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여기서, 제1통신부(412)는 제1네트워크를 통한 제1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로서,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일 수 있다.Here, the
제2통신부(414)는, 제2네트워크를 통한 제2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로서, 예를 들면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일 수 있다.The
데이터분할제어부(420)는,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데이터분할제어부(420)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위해 각 가입자 별로 서비스 등록된 단말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하는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data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관리장치(400)는 전술과 같이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 예컨대, 각 가입자 별로 서비스 등록된 단말장치의 장치식별정보(예 : IMSI)를 기준으로 매핑된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및 WiFi IP), 별도의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 서비스분류정보(Initial, Update, Remove) 등의 접속정보와,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트래픽 분배를 위한 네트워크 선택 정책 예컨대, 트래픽 구분을 위한 Source IP, Source Port, Destination IP, Destination Port, Protocol(UDP, TCP 등) 정보,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 등을 포함하는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이에 데이터분할제어부(420)는,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특정 단말장치(100)로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Accordingly, the
즉, 데이터분할제어부(42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 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 또는 실시간 네트워크 상태 감지에 따라 변경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That is, the data
그리고, 데이터분할제어부(420)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전술과 같이 보유한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근거하여 인지되는 해당 단말장치(100)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삽입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분할제어부(420)는, 2 이상의 각 부분데이터에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소스 접속정보로서, 단말장치(100)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목적지 접속정보로서 포함하는 헤더를 삽입할 수 있다.The
순서정보할당부(430)는,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처정보 및 분할 순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순서정보를 할당하고, 할당된 각 순서정보를 해당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시킨다.The order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순서정보할당부(430)는, 전송 대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수신처에 해당하는 목적지 접속정보 및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수신처정보를 인지하고, 인지된 상기 수신처정보를 기준으로 분할된 순서에 따라 순서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순서정보를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순차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quence
즉, 순서정보할당부(430)는, 데이터분할제어부(420)에서 처리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송 대상 데이터의 수신처에 해당되는 목적지 접속정보(Destination IP) 즉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가상 IP) 및 전송 대상 데이터의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Destination Port) 즉 단말장치(100)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Por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지할 수 있다.That is, the order
이에, 순서정보할당부(430)는, 목적지 접속정보(Destination IP) 즉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가상 IP)와, 전송 대상 데이터의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Destination Port) 즉 단말장치(100)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Por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분할된 순서에 따라 순서정보를 생성한다.Accordingly, the order
즉, 순서정보할당부(430)는, 데이터분할제어부(420)에서 처리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처인 단말장치(100) 및 전송 대상 데이터의 트래픽 세션 별로,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순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at is, the sequence
이때, 생성되는 순서정보는, 해당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인지되는 수신처에 해당하는 목적지 접속정보를 의미하는 목적지식별자 및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를 의미하는 세션식별자 및 분할된 분할 순서를 의미하는 순서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enerated sequence information includes a destination identifier indicating destination acc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recogniz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and a session identifier and division indicating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indicating a type of traffic sess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t may include at least any one of the order identifier to indicate the divided order.
예를 들면, 순서정보는, 해당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인지되는 수신처에 해당하는 목적지 접속정보 즉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의미하는 목적지식별자(예 : xxxx),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 즉 단말장치(100)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Port를 의미하는 세션식별자(예 : yyyy), 분할된 분할 순서를 의미하는 순서식별자(예 : 0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quence information may include destination access information (eg, xxxx), which means destination acc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to be recognized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that is, access information (eg, virtual IP) of the
이처럼 순서정보할당부(430)는, 데이터분할제어부(420)에서 처리되는 특정 단말장치(100)로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트래픽 세션에 따른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xxxx-yyyy-001, xxxx-yyyy-002, xxxx-yyyy-003 ... 과 같은 순서정보를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As such, the sequence
그리고, 순서정보할당부(430)는, 전술과 같이 순차적으로 생성한 순서정보를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 각각에 순차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quence
이에, 순서정보할당부(430)는, 특정 단말장치(100)로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트래픽 세션에 따른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되는 부분데이터에, 특정 수신처 즉 단말장치(100) 별로, 또한 특정 트래픽 세션 즉 단말장치(100)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특정 트래픽 세션 별로,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순서정보를 분할 순서대로 포함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sequence
이때, 순서정보할당부(430)는,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해당되는 특정 네트워크로의 경유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터널링정보의 특정 필드에 상기 할당된 각 순서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order
예를 들면, 전술의 데이터분할제어부(420)는,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한 제1부분데이터에 3G 네트워크로의 경유를 유도하기 위한 터널링정보 즉 터널링헤더를 삽입할 수 있고,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한 제2부분데이터에 WiFi 네트워크로의 경유를 유도하기 위한 터널링정보 즉 터널링헤더를 삽입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ata
이에, 순서정보할당부(430)는, 전술과 같이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되는 부분데이터에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순서정보를 분할 순서대로 포함시키는데 있어서, 해당 부분데이터의 터널링정보 즉 터널링헤더의 특정 필드에 포함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order
이처럼 순서정보가 포함/삽입된 부분데이터는, 멀티통신부(410)를 통해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해당되는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될 것이다.As such, the partial data including / inserted the order information will be transmitted through the corresponding specific network among two or more networks through the
즉, 전술의 순서정보를 포함시킨 제1부분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거쳐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되고, 전술의 순서정보를 포함시킨 제2부분데이터가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거쳐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될 것이며, 이에 단말장치(100)가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That is, the first partial data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3G network interface via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로서 동작하는 관리장치(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리오더링부(440) 및 데이터결합부(45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데이터리오더링부(440)는,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수신처정보 및 분할 순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순서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수신처정보를 갖는 하나의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분할 순서에 따라 리오더링(Reordering)한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데이터리오더링부(440)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각 부분데이터의 상기 순서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수신처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식별자 및 세션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확인하여 하나의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부분데이터의 상기 순서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분할 순서에 대응하는 순서식별자를 확인하여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순서식별자에 따라 재 배열하여 리오더링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예를 들면, 데이터리오더링부(440)는, 업링크 데이터 트래픽을 고려하면, 특정 단말장치(100)로부터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를 통해 송신되는 각 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될것이다. 여기서, 예를 들면, 순서정보는, 목적지식별자(예 : xxxz), 세션식별자(예 : yyyz), 순서식별자(예 : 0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considering the uplink data traffic, the
이에, 데이터리오더링부(440)는, 수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포함되는 목적지식별자 및 세션식별자를 확인하여 동일한 목적지식별자 및 세션식별자를 갖는 부분데이터를 분류/구분함으로써,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들 중 하나의 특정 트래픽 세션에 따른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그리고, 데이터리오더링부(440)는,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의 순서식별자에 따라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재 배열함으로써, 하나의 특정 트래픽 세션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분할 순서에 따라 리오더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데이터결합부(450)는, 데이터리오더링부(440)에서 리오더링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원래의 전송 대상 데이터를 생성/복원할 수 있다.The
이에, 관리장치(400)는, 생성/복원된 전송 대상 데이터를 해당하는 외부장치(500)로 전송할 것이다.Accordingly, the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로서의 구성을 갖는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로서 동작하는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한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멀티통신부(110)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제어부(120)와,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처정보 및 분할 순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순서정보를 할당하고, 할당된 각 순서정보를 해당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시키는 순서정보할당부(130)을 포함한다.The
멀티통신부(110)는, 각기 상이한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한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기능부이다. 예를 들어 2개의 네트워크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멀티통신부(110)는, 제1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1통신부(112) 및 제2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통신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여기서, 제1통신부(112)는 제1네트워크를 통한 제1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로서,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일 수 있다.Here, the
제2통신부(114)는, 제2네트워크를 통한 제2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로서, 예를 들면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일 수 있다.The
데이터분할제어부(120)는,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데이터분할제어부(120)는, 내부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105)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App 1)로부터 특정 외부장치(500)로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In more detail, the
즉, 데이터분할제어부(12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 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 또는 실시간 네트워크 상태 감지에 따라 변경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That is, the
그리고, 데이터분할제어부(120)는, 단말장치(100)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삽입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분할제어부(120)는, 2 이상의 각 부분데이터에 단말장치(100)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소스 접속정보로서,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IP)를 목적지 접속정보로서 포함하는 헤더를 삽입할 수 있다.Then, the
순서정보할당부(130)는,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처정보 및 분할 순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순서정보를 할당하고, 할당된 각 순서정보를 해당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시킨다.The sequenc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순서정보할당부(130)는, 전송 대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수신처에 해당하는 목적지 접속정보 및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수신처정보를 인지하고, 인지된 상기 수신처정보를 기준으로 분할된 순서에 따라 순서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순서정보를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순차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equence
즉, 순서정보할당부(130)는, 데이터분할제어부(120)에서 처리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송 대상 데이터의 수신처에 해당되는 목적지 접속정보(Destination IP) 즉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IP) 및 전송 대상 데이터의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Destination Port) 즉 외부장치(500)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Por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지할 수 있다.That is, the sequence
이에, 순서정보할당부(130)는, 목적지 접속정보(Destination IP) 즉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IP)와, 전송 대상 데이터의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Destination Port) 즉 외부장치(500)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Por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분할된 순서에 따라 순서정보를 생성한다.Accordingly, the order
즉, 순서정보할당부(130)는, 데이터분할제어부(120)에서 처리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처인 외부장치(500) 및 전송 대상 데이터의 트래픽 세션 별로,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순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at is, the order
이때, 생성되는 순서정보는, 해당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인지되는 수신처에 해당하는 목적지 접속정보를 의미하는 목적지식별자 및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를 의미하는 세션식별자 및 분할된 분할 순서를 의미하는 순서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enerated sequence information includes a destination identifier indicating destination acc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recogniz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and a session identifier and division indicating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indicating a type of traffic sess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t may include at least any one of the order identifier to indicate the divided order.
예를 들면, 순서정보는, 해당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인지되는 수신처에 해당하는 목적지 접속정보 즉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IP)를 의미하는 목적지식별자(예 : xxxz),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 즉 외부장치(500)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Port를 의미하는 세션식별자(예 : yyyz), 분할된 분할 순서를 의미하는 순서식별자(예 : 0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quence information may include destination acc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recogniz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that is, a destination identifier (for example, xxxz) represent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IP) of the
순서정보할당부(130)는, 데이터분할제어부(120)에서 처리되는 특정 외부장치(500)로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트래픽 세션에 따른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xxxz-yyyz-001, xxxz-yyyz-002, xxxz-yyyz-003 ... 과 같은 순서정보를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The
그리고, 순서정보할당부(130)는, 전술과 같이 순차적으로 생성한 순서정보를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 각각에 순차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quence
이에, 순서정보할당부(130)는, 특정 외부장치(500)로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트래픽 세션에 따른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되는 부분데이터에, 특정 수신처 즉 외부장치(500) 별로, 또한 특정 트래픽 세션 즉 외부장치(500)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특정 트래픽 세션 별로,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순서정보를 분할 순서대로 포함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order
이때, 순서정보할당부(130)는,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해당되는 특정 네트워크로의 경유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터널링정보의 특정 필드에 상기 할당된 각 순서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order
예를 들면, 전술의 데이터분할제어부(120)는,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한 제1부분데이터에 3G 네트워크로의 경유를 유도하기 위한 터널링정보 즉 터널링헤더를 삽입할 수 있고,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한 제2부분데이터에 WiFi 네트워크로의 경유를 유도하기 위한 터널링정보 즉 터널링헤더를 삽입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이에, 순서정보할당부(130)는, 전술과 같이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되는 부분데이터에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순서정보를 분할 순서대로 포함시키는데 있어서, 해당 부분데이터의 터널링정보 즉 터널링헤더의 특정 필드에 포함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order
이처럼 순서정보가 포함/삽입된 부분데이터는, 멀티통신부(110)를 통해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해당되는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될 것이다.As such, the partial data including / inserted the order information will be transmitted through the corresponding specific network among two or more networks through the
즉, 전술의 순서정보를 포함시킨 제1부분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거쳐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되고, 전술의 순서정보를 포함시킨 제2부분데이터가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거쳐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될 것이며, 이에 관리장치(400)가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That is, the first partial data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3G network interface via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로서 동작하는 단말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리오더링부(140) 및 데이터결합부(15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데이터리오더링부(140)는,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수신처정보 및 분할 순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순서정보를 토대로, 하나의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분할 순서에 따라 리오더링(Reordering)한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데이터리오더링부(140)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각 부분데이터의 상기 순서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수신처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식별자 및 세션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확인하여 하나의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부분데이터의 상기 순서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분할 순서에 대응하는 순서식별자를 확인하여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순서식별자에 따라 재 배열하여 리오더링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예를 들면, 데이터리오더링부(140)는, 다운링크 데이터 트래픽을 고려하면,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어 관리장치(400)에 의해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를 통해 송신되는 각 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될것이다. 여기서, 예를 들면, 순서정보는, 목적지식별자(예 : xxxx), 세션식별자(예 : yyyy), 순서식별자(예 : 0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considering downlink data traffic, the
이에, 데이터리오더링부(140)는, 수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포함되는 목적지식별자 및 세션식별자를 확인하여 동일한 목적지식별자 및 세션식별자를 갖는 부분데이터를 분류/구분함으로써,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들 중 하나의 특정 트래픽 세션에 따른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그리고, 데이터리오더링부(140)는,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의 순서식별자에 따라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재 배열함으로써, 하나의 특정 트래픽 세션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분할 순서에 따라 리오더링할 수 있다.The
데이터결합부(150)는, 데이터리오더링부(140)에서 리오더링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원래의 전송 대상 데이터를 생성/복원할 수 있다.The
이에, 데이터결합부(150)에서 생성/복원된 전송 대상 데이터는 해당하는 내부의 특정 어플리케이션(App 1)로 제공될 것이다.Accordingly,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generated / restored by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를 포함한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전송 대상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송신장치가 분할된 부분데이터에 해당 수신처/트래픽 세션 별로 순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분할 순서대로 부분데이터에 할당/포함시켜 송신하고 이에 수신장치가 순서정보를 토대로 부분데이터를 리오더링하여 결합함으로써, 이기종 네트워크 간 상이한 latency에 따른 부분데이터의 disordering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heterogeneous network-based data transmission service system includ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data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to be transmitted and transmits / receives using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networks. In the environment of provid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service, the transmitting device generates sequence information for each destination / traffic session in the divided partial data and allocates / includes it to the partial data in the split order and transmits the partial information based on the sequence information. By reordering and combining data, we can effectively solve the disordering of partial data due to the different latency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Hereinafter, a heterogeneous network-based data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He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1 to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First, a heterogeneous network-based simultaneous data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우선, 다운링크 데이터 트래픽을 고려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downlink data traffic is considered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는,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특정 단말장치(100)로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가 수신되면(S10),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S20). When the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처정보 및 분할 순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순서정보를 할당하고, 할당된 각 순서정보를 해당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시킨다(S30).Then, the
다시 말해, 관리장치(400)는, 수신된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송 대상 데이터의 수신처에 해당되는 목적지 접속정보(Destination IP) 즉 단말장치(100)의 IP 및 전송 대상 데이터의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Destination Port) 즉 단말장치(100)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Port 별로,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순서정보를 생성한다.In other words, the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생성한 순서정보를 할당하여 포함시킬 수 있다.The
이에, 관리장치(400)는, 순서정보를 포함시킨 각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중 해당되는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게 된다(S40, S45).Accordingly, the
즉, 관리장치(400)가 전술의 순서정보를 포함시킨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거쳐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고, 전술의 순서정보를 포함시킨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거쳐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면, 단말장치(100)가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That is, the
이때, 단말장치(10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송신되는 각 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간 상이한 latency로 인해 분할 순서와는 달리 단순이 전송되는 순서에 따라 수신하게 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전술의 순서정보를 토대로, 특정 트래픽 세션에 따른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분할 순서에 따라 리오더링(Reordering)한다(S50).Accordingly, the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리오더링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원래의 전송 대상 데이터를 복원할 것이다(S60).The
한편, 업링크 데이터 트래픽을 고려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when considering the uplink data traffic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는,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S70). The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처정보 및 분할 순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순서정보를 할당하고, 할당된 각 순서정보를 해당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시킨다(S80).Then, the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는 내부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발생되는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송 대상 데이터의 수신처에 해당되는 목적지 접속정보(Destination IP) 즉 외부장치(600)의 IP 및 전송 대상 데이터의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Destination Port) 즉 외부장치(600)의 해당 Port 별로,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순서정보를 생성한다.In other words, the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생성한 순서정보를 할당하여 포함시킬 수 있다.The
이에, 단말장치(100)는 순서정보를 포함시킨 각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중 해당되는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게 된다(S90, S95).Accordingly, the
즉, 단말장치(100)가 전술의 순서정보를 포함시킨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거쳐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고, 전술의 순서정보를 포함시킨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거쳐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면, 관리장치(400)가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That is, the
이때,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각 부분데이터를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간 상이한 latency로 인해 분할 순서와는 달리 단순이 전송되는 순서에 따라 수신하게 될 것이다.At this time, th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는,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전술의 순서정보를 토대로, 특정 트래픽 세션에 따른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분할 순서에 따라 리오더링(Reordering)한다(S100).Accordingly, the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리오더링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원래의 전송 대상 데이터를 복원할 것이다(S110).The
그리고, 관리장치(400)가 복원한 전송 대상 데이터를 해당되는 외부장치(500)로 전송할 것이다(S120). Then, the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the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동시 전송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를 수신한다(S130).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simultaneous transmission service is received (S130).
예를 들면, 송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특정 단말장치(100)로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또는 송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내부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105)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App 1)로부터 특정 외부장치(500)로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operation method of the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동시 전송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전송 대상 데이터를 분할한다(S140).As described above, when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simultaneous transmission service is received, th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S14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 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 또는 실시간 네트워크 상태 감지에 따라 변경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method of operating a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using a 3G network and a WiFi network, data to be transmitted is divided into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so as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networks. This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network distribution policy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a network selection policy or a real-time network state detection transmitted from the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처정보 및 분할 순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순서정보를 할당하고(S145), 할당된 각 순서정보를 해당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시킨다(S150).At this tim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each partial data divided from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assigns the order informa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division order (S145), each assigned orde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partial data (S15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송 대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수신처에 해당하는 목적지 접속정보 및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수신처정보를 인지하고, 인지된 상기 수신처정보를 기준으로 분할된 순서에 따라 순서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순서정보를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순차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destination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and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indicating a type of traffic sess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Recogniz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generates the sequ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vided order on the basis of the recognized destination information, the generated sequence information can be sequentially assigned to each piece of data divided from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예를 들면, 송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송 대상 데이터의 수신처에 해당되는 목적지 접속정보(Destination IP) 즉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가상 IP) 및 전송 대상 데이터의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Destination Port) 즉 단말장치(100)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Por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이에,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목적지 접속정보(Destination IP) 즉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가상 IP)와, 전송 대상 데이터의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Destination Port) 즉 단말장치(100)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Por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분할된 순서에 따라 순서정보를 생성한다.Accordingly, the operation method of the
즉,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처인 단말장치(100) 및 전송 대상 데이터의 트래픽 세션 별로,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순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45).That i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이때, 생성되는 순서정보는, 해당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인지되는 수신처에 해당하는 목적지 접속정보를 의미하는 목적지식별자 및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를 의미하는 세션식별자 및 분할된 분할 순서를 의미하는 순서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enerated sequence information includes a destination identifier indicating destination acc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recogniz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and a session identifier and division indicating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indicating a type of traffic sess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t may include at least any one of the order identifier to indicate the divided order.
예를 들면, 순서정보는, 해당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인지되는 수신처에 해당하는 목적지 접속정보 즉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의미하는 목적지식별자(예 : xxxx),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 즉 단말장치(100)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Port를 의미하는 세션식별자(예 : yyyy), 분할된 분할 순서를 의미하는 순서식별자(예 : 0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quence information may include destination access information (eg, xxxx), which means destination acc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to be recognized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that is, access information (eg, virtual IP) of the
이처럼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단말장치(100)로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트래픽 세션에 따른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xxxx-yyyy-001, xxxx-yyyy-002, xxxx-yyyy-003 ... 과 같은 순서정보를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그리고,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순차적으로 생성한 순서정보를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 각각에 순차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S150).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이에,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단말장치(100)로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트래픽 세션에 따른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되는 부분데이터에, 특정 수신처 즉 단말장치(100) 별로, 또한 특정 트래픽 세션 즉 단말장치(100)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특정 트래픽 세션 별로,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순서정보를 분할 순서대로 포함시키게 된다.Thu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또는 송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송 대상 데이터의 수신처에 해당되는 목적지 접속정보(Destination IP) 즉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IP) 및 전송 대상 데이터의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Destination Port) 즉 외부장치(500)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Por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지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operation method of the
이에,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목적지 접속정보(Destination IP) 즉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IP)와, 전송 대상 데이터의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Destination Port) 즉 외부장치(500)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Por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분할된 순서에 따라 순서정보를 생성한다.Accordingly, the operation method of the
즉,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처인 외부장치(500) 및 전송 대상 데이터의 트래픽 세션 별로,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순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45).That i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이때, 생성되는 순서정보는, 해당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인지되는 수신처에 해당하는 목적지 접속정보를 의미하는 목적지식별자 및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를 의미하는 세션식별자 및 분할된 분할 순서를 의미하는 순서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enerated sequence information includes a destination identifier indicating destination acc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recogniz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and a session identifier and division indicating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indicating a type of traffic sess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t may include at least any one of the order identifier to indicate the divided order.
예를 들면, 순서정보는, 해당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인지되는 수신처에 해당하는 목적지 접속정보 즉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IP)를 의미하는 목적지식별자(예 : xxxz),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 즉 외부장치(500)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Port를 의미하는 세션식별자(예 : yyyz), 분할된 분할 순서를 의미하는 순서식별자(예 : 0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quence information may include destination acc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recogniz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that is, a destination identifier (for example, xxxz) represent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IP) of the
이처럼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외부장치(500)로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트래픽 세션에 따른 전송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xxxz-yyyz-001, xxxz-yyyz-002, xxxz-yyyz-003 ... 과 같은 순서정보를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그리고,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순차적으로 생성한 순서정보를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 각각에 순차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S150).In operation S150, the
이에,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외부장치(500)로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트래픽 세션에 따른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되는 부분데이터에, 특정 수신처 즉 외부장치(500) 별로, 또한 특정 트래픽 세션 즉 외부장치(500)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특정 트래픽 세션 별로,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순서정보를 분할 순서대로 포함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operation method of the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해당되는 특정 네트워크로의 경유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터널링정보의 특정 필드에 상기 할당된 각 순서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respective ord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pecific field of the tunneling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piece of data in order to induce a route to a corresponding specific network among two or more networks. It is preferable.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한 제1부분데이터에 3G 네트워크로의 경유를 유도하기 위한 터널링정보 즉 터널링헤더를 삽입할 수 있고,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한 제2부분데이터에 WiFi 네트워크로의 경유를 유도하기 위한 터널링정보 즉 터널링헤더를 삽입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unneling information, that is, a tunneling header for inducing a route to the 3G network,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partial data divided from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Tunneling information, that is, tunneling header, may be inserted into the divided second partial data to induce a route to the WiFi network.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되는 부분데이터에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순서정보를 분할 순서대로 포함시키는데 있어서, 해당 부분데이터의 터널링정보 즉 터널링헤더의 특정 필드에 포함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clude the sequence information to be sequentially generated in the partial data divided from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as described above, the tunnel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artial data, that is, specifying the tunneling header Can be included in the fiel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이처럼 순서정보를 포함/삽입한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해당되는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한다(S160).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partial data including / inserting the sequence information through the corresponding specific network among two or more networks (S160).
즉, 전술의 순서정보를 포함시킨 제1부분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거쳐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되고, 전술의 순서정보를 포함시킨 제2부분데이터가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거쳐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될 것이며, 이에 수신처인 단말장치(100) 또는 관리장치(400)가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That is, the first partial data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3G network interface via the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나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부분데이터를 수신한다(S200).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recep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 data is received through two or more networks (S20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수신처정보 및 분할 순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순서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수신처정보를 갖는 하나의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분할 순서에 따라 리오더링(Reordering)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or more divided from one transmission target data having the same destin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order informa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division order included in the received partial data. The partial data are separated and the two or more divided partial data are reordered according to the division order.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순서정보를 확인한다(S210).In more detail,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quence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piece of data received through two or more networks is checked (S21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수신된 각 부분데이터의 순서정보를 토대로 수신처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식별자 및 세션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확인하여 하나의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하고(S220),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순서정보의 순서식별자에 따라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재 배열하여 분할 순서에 따라 리오더링할 수 있다(S230).Accordingly, in the method of operating a recep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parts divided from one transmission target data by identifying at least one of a destination identifier and a sessio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equenc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partial data. The data may be divided (S220), and the two or more pieces of divided data may b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order of division according to the order identifier of the ord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wo or more pieces of divided data (S230).
예를 들면,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단말장치(100)로부터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를 통해 송신되는 각 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될것이다. 여기서, 예를 들면, 순서정보는, 목적지식별자(예 : xxxz), 세션식별자(예 : yyyz), 순서식별자(예 : 0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이에,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수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포함되는 목적지식별자 및 세션식별자를 확인하여 동일한 목적지식별자 및 세션식별자를 갖는 부분데이터를 분류함으로써,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들 중 하나의 특정 트래픽 세션에 따른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Thu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그리고,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의 순서식별자에 따라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재 배열함으로써, 하나의 특정 트래픽 세션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분할 순서에 따라 리오더링할 수 있다.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또는,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제공되어 관리장치(400)에 의해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를 통해 송신되는 각 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될것이다. 여기서, 예를 들면, 순서정보는, 목적지식별자(예 : xxxx), 세션식별자(예 : yyyy), 순서식별자(예 : 0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operation method of the
이에,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수신되는 각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에 포함되는 목적지식별자 및 세션식별자를 확인하여 동일한 목적지식별자 및 세션식별자를 갖는 부분데이터를 분류함으로써,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들 중 하나의 특정 트래픽 세션에 따른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Thu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그리고,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순서정보의 순서식별자에 따라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재 배열함으로써, 하나의 특정 트래픽 세션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분할 순서에 따라 리오더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리오더링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원래의 전송 대상 데이터를 생성/복원할 수 있다(S240).In operation S240, the method of operating th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 restore original transmission target data by combining data of two or more reordered partial data to generate data.
이에,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생성/복원된 전송 대상 데이터를 해당하는 외부장치(500)로 전송할 것이고,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생성/복원된 전송 대상 데이터를 내부의 특정 어플리케이션(App 1)로 제공할 것이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은, 전송 대상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송신장치가 분할된 부분데이터에 해당 수신처/트래픽 세션 별로 순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분할 순서대로 부분데이터에 할당/포함시켜 송신하고 이에 수신장치가 순서정보를 토대로 부분데이터를 리오더링하여 결합함으로써, 이기종 네트워크 간 상이한 latency에 따른 부분데이터의 disordering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terogeneous network-based data simultaneous transmission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vironment for providing a simultaneous transmission service that divides data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to be transmitted and uses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network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apparatus generates order information for each destination / traffic session in the divided partial data, assigns and includes them to the partial data in the split order, and transmits them by reordering and combining the partial data based on the order informa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olve the disordering of partial data due to different latency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embodied directly in hardware, in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a processor, or in a combination of both. A software module may reside in a RAM memory, a flash memory, a ROM memory, an EPROM memory, an EEPROM memory, registers, a hard disk, a removable disk, a CD-ROM, or any other form of storage medium known in the art. An exemplary storage medium is coupled to the processor such that the processor can read information from, and write information to, the storage medium. Alternatively, the storage medium may be integrated into the processor.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be included within an ASIC. The ASIC may b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In the alternative,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be included as separate components within the user terminal device.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전송 대상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송신장치가 분할된 부분데이터에 해당 수신처/트래픽 세션 별로 순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분할 순서대로 부분데이터에 할당/포함시켜 송신하고 이에 수신장치가 순서정보를 토대로 부분데이터를 리오더링하여 결합함으로써, 이기종 네트워크 간 상이한 latency에 따른 부분데이터의 disordering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heterogeneous network-based simultaneous data transmission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ssion apparatus in an environment for providing a simultaneous transmission service for splitting data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data transmission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networks, Generates sequence information for each destination / traffic session in the divided partial data and allocates / includes it to the partial data in the split order, and transmits them by reordering and combining the partial data based on the sequence information. Sinc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olve the disordering of partial data according to different latency, the possibility of marketing or sales of the applied device is not only sufficient for the use of the related technology but also practically obviously performed because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technology is overcome. Degree Since the invention in the industrial applicability.
400 : 관리장치
410 : 멀티통신부 420 : 데이터분할제어부
430 : 순서정보할당부 440 : 데이터리오더링부
450 : 데이터결합부400: management device
410: multi communication unit 420: data division controller
430: sequence information allocation unit 440: data reordering unit
450: data combining unit
Claims (11)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제어부; 및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부분데이터 식별정보 및 분할순서를 포함하는 순서정보를 포함시키는 순서정보할당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분데이터 식별정보는,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의 수신처에 해당하는 목적지 접속정보 및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수신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A multi communication unit supporting at least two network interfaces through at least two networks;
A data division controller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into two or more partial data; And
And an order information allocating unit including a part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rder information including a split order for each of the at least two pieces of partial data divided from the data to be transmitted.
The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destination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of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and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indicating a type of traffic sess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상기 수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 식별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부분데이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분할순서를 토대로, 상기 분할 순서에 따라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리오더링(Reordering)하는 데이터리오더링부; 및
리오더링된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분데이터 식별정보는,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의 수신처에 해당하는 목적지 접속정보 및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수신처정보이며,
상기 데이터리오더링부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포함된 상기 목적지 접속정보 및 상기 목적지 포트정보를 기초로 상기 목적지 접속정보 및 상기 목적지 포트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부분데이터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수신장치.A multi-communication unit supporting at least two network interfaces through at least two networks and receiving at least two partial data divided from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at least two networks;
The two or more partial data including the same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classified based on the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wo or more partial data received, and the divis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division order included in the divided two or more partial data. A data reordering unit for reordering the separated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in order; And
And a data combiner configured to combine the reordered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to generate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The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destination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of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and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indicating a type of traffic sess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The data reordering unit,
And at least one of the destination access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distinguishes the same partial data based on the destination access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of the at least two partial data.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로부터 분할되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부분데이터 식별정보 및 분할순서를 포함하는 순서정보를 포함시키는 순서정보 할당단계; 및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부분데이터 송신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분데이터 식별정보는,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의 수신처에 해당하는 목적지 접속정보 및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수신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A data division step of dividing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into two or more partial data;
A sequence information allocating step of including sequence information including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split sequence for each of the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divided from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And
A partial dat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two or more partial data through two or more networks,
The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destination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of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and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indicating a type of traffic sess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수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 식별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부분데이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분할순서를 토대로, 상기 분할 순서에 따라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리오더링(Reordering)하는 데이터 리오더링단계; 및
리오더링된 상기 구분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분데이터 식별정보는,
상기 전송 대상 데이터의 수신처에 해당하는 목적지 접속정보 및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트래픽 세션 종류를 나타내는 목적지 포트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수신처정보이며,
상기 부분데이터 구분단계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에 포함된 상기 목적지 접속정보 및 상기 목적지 포트정보를 기초로 상기 목적지 접속정보 및 상기 목적지 포트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부분데이터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Receiving at least two partial data divided from the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at least two networks;
Distinguishing at least two partial data including the same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at least two partial data;
A data reordering step of reordering the divided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according to the division order based on the division order included in the divided two or more pieces of partial data; And
Combining the reordered two or more partial data to generate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The partial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destination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of the transmission target data and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indicating a type of traffic sess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The partial data classification step,
And at least one of the destination access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distinguishes the same partial data based on the destination access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port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of the at least two partial dat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3398A KR101233238B1 (en) | 2011-08-22 | 2011-08-22 |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3398A KR101233238B1 (en) | 2011-08-22 | 2011-08-22 |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3238B1 true KR101233238B1 (en) | 2013-02-14 |
Family
ID=47899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3398A Active KR101233238B1 (en) | 2011-08-22 | 2011-08-22 |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3238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1623B1 (en) | 2002-10-15 | 2005-04-11 | 전자부품연구원 | Home gateway switch structure for guaranteeing quality of service between various kind of protocol |
KR20070041096A (en) * | 2005-10-14 | 2007-04-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 data service using multiple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
KR20070071668A (en) * | 2005-12-30 | 2007-07-04 | 주식회사 팬택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aralle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nd it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
KR100881371B1 (en) | 2007-05-04 | 2009-02-02 | 이동수 | Real-time video transmission device by wireless multiple access, Real-time video reception device by wireless multiple access, Real-time video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by wireless multiple access, and Real-time video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by wireless multiple access |
-
2011
- 2011-08-22 KR KR1020110083398A patent/KR10123323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1623B1 (en) | 2002-10-15 | 2005-04-11 | 전자부품연구원 | Home gateway switch structure for guaranteeing quality of service between various kind of protocol |
KR20070041096A (en) * | 2005-10-14 | 2007-04-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 data service using multiple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
KR20070071668A (en) * | 2005-12-30 | 2007-07-04 | 주식회사 팬택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aralle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nd it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
KR100881371B1 (en) | 2007-05-04 | 2009-02-02 | 이동수 | Real-time video transmission device by wireless multiple access, Real-time video reception device by wireless multiple access, Real-time video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by wireless multiple access, and Real-time video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by wireless multiple acces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380581B (en) | The operating method of R-T unit and R-T unit | |
KR101233238B1 (en) |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101667020B1 (en) | Management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1207030B1 (en) | Transmission/receiv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119364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101209926B1 (en) |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101471138B1 (en) |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101887115B1 (en) | Management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1629430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101293303B1 (en) |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101823040B1 (en) |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10130630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101667016B1 (en) |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101268601B1 (en) |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101580635B1 (en) |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101259767B1 (en) |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2013002433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20130016842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101799402B1 (en) |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101805811B1 (en) |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20130016604A (en) |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101371568B1 (en) |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10126045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2013001930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
KR101370602B1 (en) |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