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055B1 - Security method for screen and recording-medium recorded program thereof - Google Patents
Security method for screen and recording-medium recorded program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0055B1 KR101230055B1 KR1020120131553A KR20120131553A KR101230055B1 KR 101230055 B1 KR101230055 B1 KR 101230055B1 KR 1020120131553 A KR1020120131553 A KR 1020120131553A KR 20120131553 A KR20120131553 A KR 20120131553A KR 101230055 B1 KR101230055 B1 KR 1012300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urity
- screen
- window
- area
- security windo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화면 일부 보안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수행하는 화면 보안 방법은 보안창에 의해 화면이 가려지는 보안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설정된 보안영역에 보안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보안창에는 표시를 해제하는 해제조건이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정보 등이 표시되는 부분을 보안영역으로 설정하고 해당 영역을 보안창으로 가림으로써 개인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A partial security method of a scree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are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creen security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the method including: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curity area covered by a security window; And displaying the security window in the set security area, and a release condition for releasing the display may be given to the security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personal information from being exposed to others by setting a portion where pers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as a security area and covering the area with a security window.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면 보안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화면 중 개인정보 등이 표시되는 부분에 대한 보안을 제공하는 화면 보안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creen secur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reen security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for a portion of a screen on which pers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많은 회사 등의 기업뿐 아니라 작은 상점에서도 고객에 대한 이름, 주민번호, 카드번호, 핸드폰 번호, 패스워드 정보, 주소 등의 개인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고객하자대응, 통신판매, 교차판매 등의 마케팅 활동에 활용하고 있다.In many small companies as well as small store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dentify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card number, mobile phone number, password information, and address of customers, .
이같이, 회사는 업무를 위하여 이러한 개인정보를 정확히 파악하여 활용함으로써 회사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하여 정보 보안에 더욱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하기도 한다. In this way, the company can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y by accurately grasping and utilizing such personal information for business, but it is also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information security in order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이러한 개인 정보에 대한 보안 방식으로서 대부분은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통로인 네트워크에 대한 보안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해당 개인정보를 출력하는 스크린을 통해서도 유출될 수 있다.As a security method for such personal information, most of the security is for the database (DB)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is stored or the network,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However, it can also be leaked through the screen that outputs the personal information.
예를 들어, 병원의 경우 환자의 차트를 모니터를 통해 출력하여 확인할 때, 해당 환자의 개인정보가 모니터의 화면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유출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For example, in a hospital, when a patient's chart is printed and checked through a monitor, the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may be leaked to others through the screen of the monitor.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개인정보는 사용자가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기는 하나, 해당 사용자 외의 다른 사람들이 그 개인정보를 볼 수 없도록 하는 방식이 필요한 실정이다.
Alth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display means is necessary for the user to check,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preventing other people other than the user from viewing the personal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면의 일부를 가림으로써 개인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예방하는 화면 보안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reen security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which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events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to others by covering part of the screen.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를 분별하여 화면의 일부 가림 여부를 자동으로 결정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화면 보안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reen security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to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a part of the screen is covered by discriminating the us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가 수행하는 화면 보안 방법에 있어서, 보안창에 의해 화면이 가려지는 보안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설정된 보안영역에 상기 보안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안창에는 표시를 해제하는 해제조건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안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security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curity area covered by a security window; And displaying the security window in a set security area, wherein the security window is provided with a release condition for releasing the display. do.
여기서, 상기 보안영역의 화면이 일정비율로 축소된 축소영상이 상기 보안창에 표시될 수 있다.Here, the reduced image in which the screen of the security area is reduced by a certain ratio may be displayed on the security window.
또한, 상기 보안영역은 응용프로그램에 따른 실행화면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urity area may be set to correspond to an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an application program.
또한, 상기 실행화면 중 상기 보안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의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보안창에 분석된 내용에 따른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urity area of the execution screen,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analyzed content in the security window can be displayed.
또한, 상기 보안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따른 보안설정이력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security area as security setting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rogram.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보안영역이 설정되는 응용프로그램에 미리 설정된 보안설정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기본보안영역에 상기 보안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창의 삭제 또는 위치 변경, 또는 새로운 보안창의 생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viding of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displaying the security window on a basic security area corresponding to an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program based on security setting history information preset in an application program in which the security area is set. ; And providing an interface for deleting or repositioning the security window or generating a new security window.
또한, 상기 보안영역이 설정될 때,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인 권리자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해제조건은 상기 권리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urity area is set, it stores the rights holder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the user recognized by the captured image taken by the provided camera, the release condition is taken by the camera based on the rights holder information It may be whether or not the user exists in the real-time video.
또한, 상기 실시간 영상에 상기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사람이 존재하면, 상기 다른 사람의 얼굴을 분석하여 상기 보안창의 해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re is a person other than the user in the real-time imag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o release the security window by analyzing the face of the other person.
또한, 상기 해제조건은 설정된 비밀번호 또는 터치앤드래그(touch&drag)패턴에 대한 입력 여부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release condition may be whether an input password or a touch and drag pattern is input.
또한, 상기 보안창이 복수개인 경우, 각각의 해제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curity windows, respective release conditions may be set.
또한, 실행명령에 따른 응용프로그램에 화면보안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only when the screen security is set in 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execution command.
상기 보안영역이 사용자 입력 영역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 영역으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보안창의 위치 또는 사이즈는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When the security area is a user input area, the position or size of the security window may be variably changed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area.
또한, 상기 보안창에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urity window may display content received from a specific server connected through a network.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정보 등이 표시되는 부분을 보안영역으로 설정하고 해당 영역을 보안창으로 가림으로써 개인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personal information from being exposed to others by setting a portion where pers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as a security area and covering the area with a security window.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를 분별하여 화면의 일부 가림 여부를 자동으로 결정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by automatically determining whether the screen is partially covered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면 일부 보안을 위한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화면의 보안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이용하여 보안창의 해제 여부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창이 표시되는 UI화면을 도시한 예시도.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securing a portion of a screen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UI) screen for setting a security area of a screen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whether a security window is released using an image of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I screen displaying a security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면 일부 보안을 위한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화면의 보안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securing a portion of a screen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4 are diagrams illustrating setting a security area of a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UI) scree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화면 일부 보안을 처리하는 주체는 구비된 또는 연결된 디스플레이 수단에 영상을 처리하는 컴퓨팅 장치이다. 컴퓨팅 장치는 일반 데스크탑 컴퓨터뿐 아니라, 태블릿PC, 스마트폰 등 컴퓨팅 기능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될 영상을 처리하는 모든 장치일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자명하게 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컴퓨팅 장치는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을 구비한 데스크탑 컴퓨터인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A subject that processes some screen security,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a computing device that processes an image on an attached or connected display means. It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at the computing device may be any device that processes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by having a computing function such as a tablet PC or a smart phone, as well as a general desktop computer.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mputing device will be mainly described in the case of a desktop computer having an input means such as a mouse and a keyboard.
도 1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는 보안영역 설정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UI)로서 UI화면을 출력한다(S10). UI화면에 대해서는 차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mputing device outputs a UI screen as a user interface (UI) for setting a security area (S10). The UI scree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컴퓨팅 장치는 화면에 표시될 영상 중 보안영역이 설정되면, 해당 보안영역에 표시될 보안창에 대한 해제조건을 설정한다(S20). 그리고, 컴퓨팅 장치는 보안영역에 보안영역의 내용이 가려지도록 하는 보안창이 표시되는 화면을 출력한다.When the security area is set among the image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computing device sets a release condition for the security window to be displayed on the security area (S20). The computing device outputs a screen on which a security window is displayed to cover the contents of the security area.
쉽게 말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등의 개인정보는 보안이 필요하므로, 보안영역으로서 설정되어 각각의 보안창(100-2, 100-3)에 의해 가려지는 것이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3, sinc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telephone number, etc. is required for security, it is set as a security area and is covered by each security window 100-2, 100-3.
이러한 보안창이 표시되는 보안영역을 설정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It will be described how to set the security area that the security window is displayed.
일례에 따른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는 화면의 일측에 보안창(100)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보안창(100)을 마우스 장치를 이용한 클릭&드래그(click & drag) 입력으로 원하는 위치로 옮길 수 있는 사용자 인터레이스 화면(10)을 표시한다. 쉽게 말해, 보안창(100)을 이용하여 보안영역을 설정하는 것이다. 물론, 보안창(100)의 크기(size)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Referring to FIG. 2 according to an example, the
사용자는 보안창(100)을 가리고자 하는 내용이 표시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보안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행화면(20)과 같이 일부 즉 보안영역의 내용에 대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user can set the security area by moving the
일례에 따르면 보안창의 사이즈는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을 것이며, 다른 일례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가 보안창이 이동된 위치에 따른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내용이 모두 가려질 수 있도록 하는 크기를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참조번호 100-2와 같이 보안창이 이동된 위치에 박스(box)가 표시되어 있으면, 해당 박스 크기로 보안창의 사이즈가 결정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ize of the security window may be directly controlled by the use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computing device may analyze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ecurity window is moved, and set the size so that all the contents may be hidden. . For example, if a box is displayed at the position where the security window is moved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100-2 of FIG. 3, the size of the security window is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of the box.
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보안창이 위치되는 보안영역의 내용이 분석되어, 그에 대한 분석정보가 보안창에 표시될 수 있다(참조번호 100-2 참조).And, according to an example, the contents of the security area in which the security window is located may be analyzed, and analysis information thereof may be displayed on the security window (see reference numeral 100-2).
다른 일례에 따르면, 보안창에는 특정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서버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광고 콘텐츠가 보안창에 표시될 수 있다(참조번호 100-3 참조).According to another example, specific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security window. For example, advertisement content received through a network from a preset server device may be displayed on the security window (see reference numeral 100-3).
또 다른 일례에 따르면, 도 4의 참조번호 220과 같이 보안창에는 해당 보안영역의 원본 화면이 축소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쉽게 말해, 보안영역의 내용을 작게 표시함으로써, 컴퓨팅 장치 앞에 있는 사용자 외에 주변 다른 사람들은 확인하기 어렵도록 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s shown by
상술한 예와 같은 보안창에 표시되는 내용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보안영역을 설정할 때 해당 보안영역에 표시되는 보안창에 표시될 콘텐츠를 직접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Contents displayed on the security window as in the above example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s selection.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sets the security zone, the user directly selects the content to be displayed in the security window displayed in the security zone.
보안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다른 예시에 따른 도 4를 참조하면, 보안영역설정하기 버튼(200)이 화면 일측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해당 버튼(200)을 누른 후 보안영역을 클릭&드래그 입력으로서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4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a user interface screen for setting a security zone, a button for setting a security zone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screen, and the user presses the
지금까지 설명한 보안영역의 설정은 어떠한 프로그램에 따른 실행화면(20)에 상응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예로 들었다. 즉, 프로그램01이 실행되어 표시되는 실행창(즉, 실행화면(20))에 상응하도록 보안영역이 설정되는 것이며, 이는 곧 만일 실행화면(20)의 표시 위치가 변경되면 그에 따라 보안영역도 변경되며, 실행창이 닫혀져 실행화면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그에 따른 보안영역도 닫혀지는 것을 의미한다.The setting of the security area described so far has been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to correspond to the
이와 달리, 다른 일례에 따르면 화면 자체에 대한 보안영역이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어떠한 프로그램의 실행화면과 상관없이, 화면 자체의 일부에 보안영역이 설정되는 것이며 그에 따른 위치에 보안창이 표시되는 것이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 security area for the screen itself may be set. That is, regardless of the execution screen of any program, the security area is set on a part of the screen itself, and the security window is displayed at the location accordingly.
이하에서는 프로그램에 따른 실행화면에 보안영역이 설정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mainly given that the security area is set in the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the program.
일례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는 실행하고자 하는 응용프로그램 또는 그 응용프로그램의 현재 실행화면에 화면보안이 설정되어 있는지에 대해 인식하고, 화면보안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만 보안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UI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즉, 화면보안이 설정된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프로그램의 실행화면을 표시할 때 도 2 또는 도 4와 같은 UI화면이 표시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 computing device recognizes whether the screen security is set on the application to be executed or the current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and displays a UI screen for setting the security area only when the screen security is set. You may. That is, when an execution command for a screen security-set program is input, the UI screen shown in FIG. 2 or 4 is displayed whe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is displayed.
또한, 일례에 따르면, 응용프로그램별 또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화면에 따라 미리 기본적으로 보안영역이 설정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본보안영역에 기본보안창(21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하나의 예를 들자면, 사용자가 설정한 보안영역(100-2, 100-3)에 대해 보안설정이력정보로서 해당 보안영역의 위치값, 보안창 표시 방식 정보(즉, 어떠한 콘텐츠가 해당 보안창에 표시될지에 대한 정보), 보안창해제조건(차후 설명할 것임) 등이 해당 응용프로그램(또는 실행화면)에 대응되도록 저장되는 것이다. 즉, 차후 해당 응용프로그램에 따른 실행화면이 표시될 때, 보안설정이력정보에 기반하여 도 4에 따른 기본보안창(210)과 같이 기본보안영역에 보안창이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일한 실행화면을 확인함에 있어 매번 보안영역의 설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ecurity area may be basically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screen or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ly, th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S20에서 보안창에 대한 해제조건이 설정될 수 있는데, 해제조건이란 보안영역에 표시되는 보안창의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조건을 말하는 것이다.Referring back to FIG. 1, in S20, a release condition for the security window may be set. The release condition refers to a condition for releasing the display of the security window displayed in the security area.
해제조건에 대한 일례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안창 해제를 요청하면(예를 들어, 보안창을 클릭), 컴퓨팅 장치는 비밀번호를 문의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보안창 해제 여부를 결정한다.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release condition, when the user requests to release the security window (for example, clicks the security window), the computing device asks for a password and performs an authentication procedure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Determine.
인증 정보로서 단순히 숫자, 알파벳, 기호 등의 문자조합에 의한 비밀번호 외에도, 컴퓨팅 장치가 스마트폰과 같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 터치&드래그에 의한 패턴이 인증정보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는 보안창에 대한 해제조건으로서 사용자의 인증정보의 입력에 의한 인증방식이 이용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비밀번호 또는 패턴인식 등의 인증 방식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o a password based on a letter combination of numbers, alphabets, symbols, and the like as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en the computing device is a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such as a smartphone, a pattern by touch & drag may be used as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is means that the authentication method by inputt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used as the release condition for the security window, so the authentication method such as password or pattern recogni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는 다른 일례에 따르면, 카메라를 이용한 사용자 얼굴 인증 방식이 해제조건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쉽게 말해, 컴퓨팅 장치는 현재 출력되는 화면을 바라보는 사용자가 인증된 사람인지를 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이용하여 판단함으로써, 보안창에 대한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 user face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camera may be set as a release condition. In other words, the computing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security window is releas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who is currently viewing the screen being output is an authenticated person by using an image by the camera.
이하, 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이용하여 보안창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고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determining and processing whether or not to release the security window using the image of the camera will be described.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이용하여 보안창의 해제 여부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들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창이 표시되는 UI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5 and 6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whether a security window is released using an image by a camera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ecurity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UI screen.
일례에 따른 도 5를 먼저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S510),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한다(S520).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인식 기술은 현재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5 according to an example, the computing device analyzes an image photographed using a camera (S510) and recognizes a user's face (S520). Face recognition technology for recognizing human faces by analyzing images is still used in various field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컴퓨팅 장치는 인식된 사용자 얼굴에 대한 얼굴정보를 설정된 보안영역에 대한 해제조건에 따른 권리자 정보로서 저장한다(S530).The computing device stores face information on the recognized user's face as rights hold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lease condition for the set security area (S530).
컴퓨팅 장치는 보안영역에 보안창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카메라 기능을 유지하며,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촬영영상(이하 실시간 영상이라 칭함)을 수시로 분석하고(S540), 실시간 영상에 권리자 얼굴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50). 즉, 컴퓨팅 장치는 현재 화면을 바라보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권리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The computing device maintains the camera function even when the security window is displayed in the security area, and analyzes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n real ti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eal-time image) from time to time (S540), and recognizes the owner's face in the real-time imag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S550). In other words, the computing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user currently looking at the screen is a preset owner.
컴퓨팅 장치는 판단 결과 권리자가 인식되지 않으면 보안창의 표시를 유지하고, 실시간 영상에서 권리자가 인식되는 경우 보안창의 표시를 해제한다(S560).The computing device maintains the display of the security window if the owner is not recogniz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releases the display of the security window if the owner is recognized in the real-time image (S560).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정당한 권리자가 화면을 바라보고 있을 때는 보안영역에 대한 보안을 해제하고(즉, 보안창의 표시를 중단), 권리자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지 않는 다는 것은 권리자가 자리를 비운 것으로 판단하여 보안창의 표시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별도의 인증정보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보안에 대한 해제 및 설정이 수행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right holder is looking at the screen, the security of the security area is released (that is, the display of the security window is stopped),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right holder is not taken by the camera. By maintaining the display of the security window,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even if you do not input any additio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security is automatically released and set.
또한, 만일 권리자가 화면을 바라보고 있더라도, 즉 실시간 영상에 따른 사용자가 권리자로 인식되더라도, 다른 사람들이 해당 화면을 바라보고 있을 수도 있어 보안영역에 대한 보안이 유지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owner is looking at the screen, that is, even if the user according to the real-time video is recognized as the owner, other people may be looking at the screen may cause a situation that the security of the security area is difficult to maintain.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일례에 따른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는 실시간 영상에 권리자의 존재가 인식되면(S610), 해당 실시간 영상에 다른 사람도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620). 만일 실시간 영상에 다른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보안창은 해제될 것이다(S660).Referring to FIG. 6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for solving this problem, when the existence of the owner is recognized in the real-time image (S610), the computing device determines whether another person exists in the real-time image (S620). If no other person exists in the real-time video, the security window will be released (S660).
이와 달리 실시간 영상에 타인도 존재하는 경우, 컴퓨팅 장치는 타인의 얼굴을 분석하여 타인의 시선(視線)을 인식한다. 즉, 타인의 얼굴 중 눈 부위를 분석하여 눈동자가 어디를 바라보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시선을 인식하는 것이다.In contrast, when another person is present in the real-time image, the computing device recognizes another's gaze by analyzing another person's face. In other words, it analyzes the eye area of another person's face and recognizes the gaze by analyzing where the eyes are looking.
컴퓨팅 장치는 인식된 타인의 시선이 화면을 바라보고 있는지 여부에 따른 보안 위험성을 판단하고(S640), 보안 위험성이 존재하면 보안창을 보안영역에 표시하며, 반대로 보안 위험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S660으로 진행한다.The computing device determines the security risk according to whether the recognized other person's eyes are looking at the screen (S640), and if there is a security risk, displays the security window in the security area. Proceed.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창 해제조건이 설정된 스마트폰의 문자메시지 전송기능을 예로 들자면, 도 7에 도시된 예시화면(700)과 같이 실시간 영상의 분석에 따라 타인의 시선에 의한 보안 위험성이 존재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 내용이 보안창(710)으로 가려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현재 입력하고 있는 글자가 무엇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지금 입력되는 글자 및 그 이전 글자까지는 보안창(710)으로 가려지지 않을 수도 있다.For example, if the text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smartphone set the security window release con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the
다시 말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시들에서는 보안영역이 고정되어 해당 위치에서만 보안창이 표시되었다. 이와 달리 도 7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안영역이 사용자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입력 영역(예를 들어 문자입력창 등) 인 경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도록 보안영역에 표시되는 보안창(710)의 위치 및/또는 사이즈는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example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the security area is fixed so that the security window is displayed only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 contras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when the security area is a user input area (eg, a text input window) capable of user input, the position of the
다시 말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영역이 고정되도록 보안영역으로 설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표시되는 위치가 보안영역으로서 자동 설정되도록 하여 해당 위치에 보안창이 가변적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7, the security window is variably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by setting the location where the user input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et as the security area, rather than being set as the security area to fix the specific area. .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일부 보안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The partial screen secur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kinds of recording media having data stored thereon that can be decrypted by a computer system. For example, there may be a read 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magnetic tape, a magnetic disk, a flash memory,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and exec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computer network, and may be stored and executed as a code readable in a distributed manner.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10 : UI화면
20, 700 : 실행화면
100, 100-1, 100-2, 100-3, 210, 220, 710 : 보안창10: UI screen
20, 700: execution screen
100, 100-1, 100-2, 100-3, 210, 220, 710: security window
Claims (14)
실행명령에 따른 응용프로그램에 화면보안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보안창에 의해 화면이 가려지는 보안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설정된 보안영역에 상기 보안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안창에는 표시를 해제하는 해제조건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안 방법.
In the screen security method performed by the computing device,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curity area in which the screen is covered by the security window when the screen security is set in 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execution command; And
Includ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security window in the set security area,
And a release condition for releasing a display is given to the security window.
보안창에 의해 화면이 가려지는 보안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설정된 보안영역에 상기 보안창을 표시하며, 상기 보안창에는 상기 설정된 보안영역의 화면이 일정비율로 축속된 축소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안창에는 표시를 해제하는 해제조건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안 방법.
In the screen security method performed by the computing device,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curity area covered by the security window; And
And displaying the security window in a set security area, and displaying the reduced image in which the screen of the set security area is condensed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a release condition for releasing a display is given to the security window.
보안창에 의해 화면이 가려지는 보안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표시를 해제하는 해제조건이 부여된 보안창을 설정된 보안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안영역은 응용프로그램에 따른 실행화면에 대응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실행화면 중 상기 보안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의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보안창에 분석된 내용에 따른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안 방법.
In the screen security method performed by the computing device,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curity area covered by the security window; And
Displaying a security window given a release condition for releasing the display in the set security area,
The security area is set to correspond to an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an application program, and screen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analyzed content in the security window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urity area of the execution screen. Security method.
상기 보안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따른 보안설정이력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면 보안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nd storing the information on the security area as security setting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rogram.
보안영역이 설정되는 응용프로그램에 미리 설정된 보안설정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기본보안영역에 보안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보안창의 삭제 또는 위치 변경, 또는 새로운 보안창의 생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설정된 보안영역에 보안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안창에는 표시를 해제하는 해제조건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안 방법.
In the screen security method performed by the computing device,
Displaying a security window on a basic security area corresponding to an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program based on security setting history information preset in an application program in which a security area is set;
Providing an interface for deleting or repositioning the security window or creating a new security window; And
Including displaying a security window in a security area set by the interface;
And a release condition for releasing a display is given to the security window.
보안창에 의해 화면이 가려지는 보안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설정된 보안영역에 해제조건이 부여된 보안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안영역이 설정될 때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인 권리자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해제조건은 상기 권리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안 방법.
In the screen security method performed by the computing device,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curity area covered by the security window; And
And displaying a security window to which the release condition is granted in the set security area.
Owner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a user recognized by a photographed image taken by a camera provided when the security area is set, is stored, and the release condition is stored in a real-tim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based on the owner information. And whether the user exists.
상기 실시간 영상에 상기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사람이 존재하면, 상기 다른 사람의 얼굴을 분석하여 상기 보안창의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안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And determining whether to release the security window by analyzing a face of the other person if there is another person other than the user in the real-time image.
상기 보안창이 복수개인 경우, 각각의 해제조건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안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security windows, each release condition is set.
보안창에 의해 화면이 가려지는 보안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표시를 해제하는 해제조건이 부여된 보안창을 설정된 보안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안영역이 사용자 입력 영역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 영역으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보안창의 위치 또는 사이즈는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안 방법.
In the screen security method performed by the computing device,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curity area covered by the security window; And
Displaying a security window given a release condition for releasing the display in the set security area,
If the security area is a user input area, the position or size of the security window is variably changed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area.
보안창에 의해 화면이 가려지는 보안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표시를 해제하는 해제조건이 부여된 보안창을 설정된 보안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안창에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안 방법.
In the screen security method performed by the computing device,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curity area covered by the security window; And
Displaying a security window given a release condition for releasing the display in the set security area,
The security window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received from a specific server connected via a network is display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1553A KR101230055B1 (en) | 2012-11-20 | 2012-11-20 | Security method for screen and recording-medium recorded program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1553A KR101230055B1 (en) | 2012-11-20 | 2012-11-20 | Security method for screen and recording-medium recorded program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0055B1 true KR101230055B1 (en) | 2013-02-05 |
Family
ID=4789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1553A Active KR101230055B1 (en) | 2012-11-20 | 2012-11-20 | Security method for screen and recording-medium recorded program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005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9582B1 (en) | 2013-01-31 | 2014-08-13 | (주)카카오 |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security function on chat area |
KR20230034812A (en) | 2021-09-03 | 2023-03-10 | 주식회사 스텔스솔루션 | Apparatus and method to prevent camera shooting for messenger conversation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4139B1 (en) * | 2003-03-28 | 2006-06-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Security filters and security measures to prevent sensitive information from appearing on the video display |
-
2012
- 2012-11-20 KR KR1020120131553A patent/KR10123005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4139B1 (en) * | 2003-03-28 | 2006-06-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Security filters and security measures to prevent sensitive information from appearing on the video display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9582B1 (en) | 2013-01-31 | 2014-08-13 | (주)카카오 |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security function on chat area |
KR20230034812A (en) | 2021-09-03 | 2023-03-10 | 주식회사 스텔스솔루션 | Apparatus and method to prevent camera shooting for messenger conversation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22200493B2 (en) | Preserving privacy in surveillance | |
US10701066B2 (en) |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 |
US9613217B2 (en) | Confidential content display in flexible display devices | |
US10437549B2 (en) | Selective screen sharing | |
TWI684886B (en) |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security problems and identity verification | |
US10013153B1 (en) | Initiating communications based on interactions with images | |
US9740838B2 (en) |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to control access to a computer system | |
US10395022B2 (en) | Access control for a resource | |
KR20160099621A (en) | Access tracking and restriction | |
Liu et al. | Screenpass: Secure password entry on touchscreen devices | |
US11721116B2 (en) | Managing camera actions | |
Tang et al. | {Eye-Shield}:{Real-Time} Protection of Mobile Device Screen Information from Shoulder Surfing | |
KR101230055B1 (en) | Security method for screen and recording-medium recorded program thereof | |
KR20130093757A (en) | User authetication method based on mission gesture recogni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user authetication program based on mission gesture recognition | |
US10970548B1 (en) | Virtual assistant of safe locker | |
US1218973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adaptive illustrations | |
Cain et al. | A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method for graphical authentication | |
Cain et al. | RSVP a temporal method for graphical authentication | |
CN105320906B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information security of mobile terminal | |
JP2022178766A (en) | Face authentication system and program for browser of face authentication system | |
Ling et al. | A case study of usable security: Usability testing of android privacy enhancing keyboard | |
US12164617B1 (en) | Input-triggered inmate verification | |
CN110892677A (en) | System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human user from software robot | |
Nkwera et al. | The Potential Risks of Using Social Media: How Sharing Pictures with a Particular Pose Could Expose Biometric Data | |
Sedouram et al. | Context-Aware Dynamic Content Modification for Enhanced Privac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1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