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79467B1 - Method for calling out senten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calling out senten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467B1
KR101179467B1 KR1020050093798A KR20050093798A KR101179467B1 KR 101179467 B1 KR101179467 B1 KR 101179467B1 KR 1020050093798 A KR1020050093798 A KR 1020050093798A KR 20050093798 A KR20050093798 A KR 20050093798A KR 101179467 B1 KR101179467 B1 KR 101179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input
list
tex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38639A (en
Inventor
이효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3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467B1/en
Publication of KR20070038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6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467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장 호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텍스트 입력 영역에서 소정 키의 입력에 따라 기 저장된 문장 리스트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키워드에 해당하는 문자를 차례로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문장 리스트에서 상기 입력되는 문자의 순서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장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보다 빠르고 직관력 있는 검색을 실현하고, 퀵 텍스트(Quick Text)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문장의 데이터베이스를 대폭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alling a senten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previously stored sentence list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input of a predetermined key in a text input area; receiving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keyword in sequence; And extracting a sentence including a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order of the input characters from a list, to realize a faster and more intuitive search, and to input a sentence through Quick Text. There is an advantage to greatly enhance the database of.

단말, 메시지, 퀵 텍스트, Quick Text, 문장 Terminal, Message, Quick Text, Quick Text, Sentence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장 호출 방법{METHOD FOR CALLING OUT SENTEN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How to call a sentence on your mobile device {METHOD FOR CALLING OUT SENTEN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장 호출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tence call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장 호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및,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ntence call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장 호출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entence call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장 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ntence calling metho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 며,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편리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인터넷(internet),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퀵 텍스트(Quick Text) 문장 호출 기능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하고 있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rapidly spreading due to the convenience of portability, and thus service providers (terminal manufacturers) are competitively developing terminals having more convenient functions to secure a large number of users. E.g. The mobile terminal has a phone book, a game, a short message, an internet, an e-mail, a morning call, a quick text sentence call function. It provides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상기 퀵 텍스트(Quick Text) 문장 호출 기능이란, 텍스트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말에 기 저장된 퀵 텍스트 문장 리스트에서 원하는 문장을 호출 및 입력하는 기능이다. 앞으로 메시징 단말기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경쟁력은 용이한 텍스트 입력(Text input)이 될 것이고, 따라서, 이를 위한 퀵 텍스트 유저 인터페이스(Quick Text User Interface)의 변형이 요구되고 있다. The quick text sentence calling function is a function of calling and inputting a desired sentence from a quick text sentence list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in order to facilitate text input. In the future, the most important competitive edge in the messaging terminal market will be easy text input, and thus, a modification of the Quick Text User Interface is required.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퀵 텍스트 유저 인터페이스(Quick Text User Interface)를 통한 문장 호출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alling a sentence through a quick text user interfa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1을 참조하면, 특정 텍스트 입력 창(100)에서 퀵 텍스트의 활성화를 위한 키가 입력되면, 표시부에 퀵 텍스트 리스트(101)가 팝업(Pop up)된다. 여기서, 상기 퀵 텍스트 리스트(101)는 카테고리로 분류된 폴더 리스트로, 각각의 폴더 리스트에는 사용자가 기 입력한 문장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퀵 텍스트 리스트(101)에서 ‘My status' 폴더를 선택하면, 상기 퀵 텍스트(111)에는 상기 ‘My status'와 연관된 문장 리스트, 예를 들어, 'I am traveling', 'I am busy', 'I am outside'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문장 리스트에서 'I am traveling'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I', 'a', 'm', 't'까지를 차례로 입력해야 하고, 상기 문자들이 차례로 입력되었을 시, 최종 문자 필터링(121)이 완료된다. Referring to FIG. 1, when a key for activating quick text is input in a specific text input window 100, the quick text list 101 pops up on the display unit. Here, the quick text list 101 is a folder list classified into categories, and each folder list stores a sentence previously input by a user. 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the 'My status' folder in the quick text list 101, the quick text 111 includes a list of sentences associated with the' My status', for example, 'I am traveling', 'I am busy ',' I am outside 'is displayed. In this case, in order for the user to select 'I am traveling' from the sentence list, 'I', 'a', 'm', and 't' should be input in order. Filtering 121 is complete.

다시 말해, 상기 종래의 문장 호출 방법은 입력되는 문자키로 문장의 첫 번째 알파벳 단어를 필터링하여 원하는 문장을 호출/입력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상기 방식은 상기 퀵 텍스트로 저장 및 조회할 수 있는 문장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면, 문장 호출의 편의성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예와 같이, 'I am traveling' 문장의 키워드가 ‘traveling'임에도 불구하고, 't'가 아닌 ‘I'로 검색을 실행하는 경우에만 정확한 문장 조회가 가능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문장을 조회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sentence calling method is a method of calling / inputting a desired sentence by filtering the first alphabet word of the sentence with the input character key. However, in the above scheme, when the number of sentences that can be stored and retrieved as the quick text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the sentence call is drastically reduced. In addition, as shown in the above example, even though the keyword of the sentence 'I am traveling' is 'traveling', the exact sentence can be searched only when the search is executed by 'I' instead of 't', so the correct sentence is quickly obtain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query.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장 호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ntence call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장의 핵심이 되는 키워드를 통해 단말에 저장된 문장을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retrieving a sentence stored in a terminal through a keyword which is a core of a senten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장 호출 방법은, 텍스트 입력 영역에서 소정 키의 입력에 따라 기 저장된 문장 리스트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키워드에 해당하는 문자를 차례로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문장 리스트에서 상기 입력되는 문자의 순서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장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entence call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ocess of displaying a list of sentences stored in advance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a predetermined key in the text input area,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keyword; The step of receiving input sequentially,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extracting a sentence including a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order of the input character from the sentence lis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장 호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문장 호출 방법은 SMS(Short Message Service), 이메일(e-mail), MMS(Multimedia Message System), EMS(Enhanced Message Service),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 IM)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a method for calling a senten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On the other h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entence cal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MS (Short Message Service), email (e-mail), MMS (Multimedia Message System), EMS (Enhanced Message Service), Instant Messenger (IM), etc. Can be us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cellular phone,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terminal, or the like. It is meant to include all,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with a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above examples.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201)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키워드를 이용한 문장 호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1)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2, a controller (MPU: Micro-Processor Unit) 20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it performs processing and control for voice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and processes a function for providing a sentence call method using key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usual functions.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 regarding the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normal control unit 101 is omitted.

롬(ROM : Read Only Memory)(203)은 상기 제어부(20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키워드를 이용하여 문장을 호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램(RAM : Random Access Memory)(205)은 상기 제어부(201)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플래쉬롬(flash ROM)(207)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문장을 저장한다. The ROM (Read Only Memory) 203 stores microcode and various reference data of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201.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gram for calling a sentence using a keyword is stored. Random Access Memory (RAM) 205 is a working memory of the controller 201 and stores temporary data generated during various program executions. The flash ROM 207 stores various updatable storag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sentences for each category.

키패드(key pad)(209)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 접속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1)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211)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1)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Key pad 209 is a numeric key buttons of 0-9, menu button (menu), cancel button (clear), confirmation button, call button (TALK), end button (END), Internet access button,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such as navigation key (or direction key) buttons (▲ / ▼ / ◀ / ▶) are provided, and key input data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by the user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201. The display unit 211 displays status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limited number of characters, a large amount of moving images and still images, and the like. The display unit 211 may use a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LCD).

상기 제어부(201)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213)과, 상기 코덱(213)에 접속된 스피커(217) 및 마이크(215)는 전화 통신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213)은 상기 제어부(201)에서 제공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217)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25)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201)로 제공한다. The codec (Coder-Decoder) 213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1 and the speaker 217 and the microphone 215 connected to the codec 213 are voice input / output blocks used for telephony communication and voice recording. . The codec 213 converts the digital data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201 into an analog voice signal, transmits the same through the speaker 217, and converts the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25 into digital data. The control unit 201 is provided.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221)는 안테나(223)를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219)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19)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223)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19)는 상기 RF부(221)와 상기 제어부(201)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RF unit 221 lowers the frequency of the radio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223 to the baseband processor 219 and provides the baseband signal from the baseband processor 219. The frequency is rais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223. The baseband processor 219 processes a baseband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F unit 221 and the control unit 201. For example, in the case of transmission, the channel coding and spreading of data to be transmitted are performed, and in the case of reception, the function of de-spreading and channel decoding of the received signal is performed. To perform.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장 호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ntence call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01)는 3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이메일(E-mail),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 IM),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ystem : MMS),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 SMS) 등을 위한 텍스트 입력모드를 설정한다. Referring to FIG. 3, in step 301, the control unit 201 performs an e-mail, an instant messenger (IM), a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and a short message according to a user's key manipulation. Sets the text input mode for services (Short Message Service: SMS).

상기 텍스트 입력 영역에서 상기 제어부(201)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퀵 텍스트(Quick Text)의 활성화를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단말에 저장된 문장을 검색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 영역에 입력하기 위해 소정 키를 이용하여 상기 퀵 텍스트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퀵 텍스트의 활성화를 위한 키 입력이 감지될 시, 상기 제어부(201)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퀵 텍스트 리스트를 표시부에 팝업(Pop Up)시킨다. 여기서, 상기 퀵 텍스트 리스트는 카테고리(Category)로 분류된 문장 폴더 리스트로서, 사용자는 새로운 문장 폴더를 만들 수 있고, 상기 문장 폴더에 사용자가 원하는 문장을 입력시켜 저장할 수 있다. In the text input area, the control unit 201 proceeds to step 303 and checks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for activating Quick Text. Here, the user may activate the quick text using a predetermined key to search for a sentence stored in the terminal and input the text into the text input area. When a key input for activating the quick text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201 proceeds to step 305 to pop up the quick text list on the display unit. Here, the quick text list is a sentence folder list categorized into categories, and a user can create a new sentence folder, and input a sentence desired by the user in the sentence folder.

이후, 상기 제어부(201)는 307단계에서 상기 폴더 중 하나의 폴더를 선택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이때, 상기 폴더의 구분 없이 모든 문장들을 한꺼번에 조회하고 싶다면, 사용자는 ‘All' 폴더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폴더를 선택하기 위한 키 입력이 감지될 시, 상기 제어부(201)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문장 리스트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In step 307, the controller 201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folders. At this time, if you want to look up all the sentences at once without distinguishing the folder, the user can select the 'All' folder. When the key input for selecting the one folder is detected, the controller 201 proceeds to step 309 and displays a list of sentences stored in the corresponding folder on the display unit.

이후, 상기 제어부(201)는 311단계에서 입력되는 문자가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입력되는 문자가 감지될 시, 상기 제어부(201)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 문자를 포함하는 키워드를 검색하고,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장 리스트를 상위에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문장 리스트에서 원하는 문장을 검색하기 위해 상기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ontroller 201 checks whether there is a character input in step 311. When the input character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201 proceeds to step 313 to search for a keyword including the input character and displays a sentence list including the keyword on the upper side. Here, the user may input the keyword to search for a desired sentence in the sentence list.

이후, 상기 제어부(201)는 315단계에서 상기 문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문장이 검색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문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문장이 검색되지 않을 시, 상기 제어부(201)는 311단계로 돌아가 입력되는 문자를 계속 감지한다. In step 315, the controller 201 checks whether a single sentence including the character is searched for. If one sentence including the character is not found, the control unit 201 returns to step 311 to continuously detect the input character.

만약, 상기 문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문장이 검색될 시,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검색된 하나의 문장을 하이라이트 시키고, 3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검색된 문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키의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선택 키의 입력이 감지될 시, 상기 제어부(201)는 319단계에서 상기 텍스트 입력 영역에 해당 문자를 입력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If a sentence including the character is searched, the controller 201 highlights the searched sentence and proceeds to step 317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a selection key for selecting the searched sentence. . When the input of the selection key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201 input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n the text input area in step 319 and terminates the algorith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장 호출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entence call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특정 텍스트 입력 창(400)에서 퀵 텍스트(Quick Text)의 활성화를 위한 키의 입력이 있을 시, 상기 텍스트 입력 창(400)에는 상기 퀵 텍스트(401)가 팝업된다. 여기서, 상기 퀵 텍스트(401)는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폴더 리스트, 예를 들어, 'Greetings', 'Gratitude', 'My Status', 'Request', 'Arrangement'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각각의 폴더에는 사용자가 기 저장한 문장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My Status'가 선택되면, 상기 'My Status'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문장 리스트(411), 예를 들어, ‘I am traveling', 'I am busy', 'I am outside'가 검색되어 표시부에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문장들은 각각 ’traveling', 'busy', 'outside'라는 키워드로 검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I am traveling'이라는 문장을 검색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상기 ’traveling'의 't'를 입력함으로써, 문장 필터링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링된 문장은 하이라이트(421)된다. Referring to FIG. 4, when there is a key input for activating Quick Text in a specific text input window 400, the Quick Text 401 pops up in the text input window 400. Here, the quick text 401 includes a list of folders classified by category, for example, 'Greetings', 'Gratitude', 'My Status', 'Request', and 'Arrangement'. Pre-stored sentences are stored. At this time, when the 'My Status'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the sentence list 411 stored in the' My Status' folder, for example, 'I am traveling', 'I am busy', ' I am outside 'is search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In this case, the sentences may be searched by keywords 'traveling', 'busy' and 'outside', respectively. In other words, if the user wants to search for the sentence 'I am traveling', the user may complete the sentence filtering by inputting 't' of the 'traveling'. In this case, the filtered sentence is highlighted 421.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워드를 통한 문장 검색을 지원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직관력 있는 검색을 실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퀵 텍스트(Quick Text)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문장의 데이터베이스를 대폭 강화하고, 체계적인 검색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Messaging Application)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모바일 시장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직관력 있는 텍스트 입력 방법을 제공하여 단말기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ster and more intuitive search by supporting a sentence search through a keywor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by greatly strengthening the database of sentences that can be entered through Quick Text and applying a systematic search system, it is more efficient and efficient in the mobile market where the use of various types of messaging applications is rapidly increas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terminal by providing an intuitive text input method.

Claims (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장 호출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calling a senten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텍스트 입력 영역에서 소정 키의 입력에 따라 기 저장된 문장 리스트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a previously stored sentence list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input of a predetermined key in the text input area; 키워드에 해당하는 문자를 차례로 입력받는 과정과,Inputting characters corresponding to keywords in order, 상기 문장 리스트에서 상기 입력되는 문자의 순서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장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extracting a sentence including a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order of the input characters from the sentence lis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소정 키의 입력에 따라 카테고리별 폴더 리스트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a list of folders for each category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input of a predetermined key in the text input mode; 상기 폴더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키 입력이 감지될 시, 해당 폴더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문장 리스트를 표시부에 새로운 창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when a key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folder lists is detected, displaying a sentence list stored in the corresponding folder list by using a new window on the display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장이 추출될 시, 상기 문장을 하이라이트시켜 표 시하는 과정과, When the sentence including the keyword is extracted, highlighting the sentence and displaying the sentence; 사용자의 확인키가 입력될 시, 상기 문장을 텍스트 입력 영역에 입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n the confirmation key of the user is input, inputting the sentence into a text input are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장 호출 방법은 이메일(E-mail),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 IM),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ystem : MMS),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 SMS), EMS(Enhanced Message Service) 중 하나에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sentence call method may include an e-mail, an instant messenger (IM), a multimedia messaging system (MMS),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nd an enhanced message service (EMS). Used in one.
KR1020050093798A 2005-10-06 2005-10-06 Method for calling out senten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pired - Fee Related KR1011794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798A KR101179467B1 (en) 2005-10-06 2005-10-06 Method for calling out senten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798A KR101179467B1 (en) 2005-10-06 2005-10-06 Method for calling out senten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639A KR20070038639A (en) 2007-04-11
KR101179467B1 true KR101179467B1 (en) 2012-09-07

Family

ID=3815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79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79467B1 (en) 2005-10-06 2005-10-06 Method for calling out senten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46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639A (en) 200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1534B1 (en) Method of managing a language information for a text input and method of inputting a text and a mobile terminal
US7149550B2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or application with a word completion feature
KR101316988B1 (en) Portable telephone
US20150177959A1 (en) Method for creating short messag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EP1897385A1 (en) Terminal with messaging application
EP1603312B1 (en)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s using searched telephone number in mobile terminal
US11108905B2 (en) Method of processing input information while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602814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process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37858B1 (en) Method for saving message contents in phone book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84968B1 (en) How to display data by mobile terminal and its SIM card
KR100682331B1 (en) How to search phone book on mobile terminal
US201000994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receiver information of text message
US200800039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handling of message templates
KR101179467B1 (en) Method for calling out senten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07054764A2 (en)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KR20050027591A (en) Method for managing received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868064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assisted text entry using existing message thread, and associated method
KR100581827B1 (en) How to retrieve phone number of mobile terminal
JP4451641B2 (en) Mobile phone
KR101013819B1 (en) How to manage incoming messages on your mobile device
KR100684509B1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consonant combin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26716A (en) Searching method for phone numb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02711B1 (en) Screen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font zoom fun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JP2005080139A (en) Mobil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and program
JP5922812B2 (en) Mobile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8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