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343B1 - Diagnosing terminal of the access point in WLAN and diagnos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agnosing terminal of the access point in WLAN and diagnos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2343B1 KR101162343B1 KR1020050091083A KR20050091083A KR101162343B1 KR 101162343 B1 KR101162343 B1 KR 101162343B1 KR 1020050091083 A KR1020050091083 A KR 1020050091083A KR 20050091083 A KR20050091083 A KR 20050091083A KR 101162343 B1 KR101162343 B1 KR 1011623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cess point
- server
- ssid
- abnormality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 진단 단말기 및 그의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point diagnostic terminal of a wireless LAN system and a diagnostic method thereof.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상의 오류 발생 여부를 진단한다. 이러한 진단 수행에 따라 이상이 발생되면, SSID(service set identifier)의 값을 변경시켜 비콘 신호에 포함시켜 단말기로 전송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agnoses whether an erro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access point occurs. When an abnormality occur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diagnosis, the value of the SSID (service set identifier) is changed and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사용자 단말기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공되는 비콘 신호에 포함된 SSID를 스캔하는 과정만으로,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 오류, 유선네트워크의 이상을 감지하여 서버로 액세스 포인트의 고장 정보를 전송한다. The user terminal only scans the SSID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provided from the access point, and detects a configuration error of the access point and an abnormality in the wired network to transmit failure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to the server.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공되는 비콘 신호에 포함된 SSID를 스캔하는 과정만으로,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 오류, 유선네트워크의 이상 발생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고, 이를 서버에 알려주어 서버가 액세스 포인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by scanning the SSID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provided from the access point, the user terminal can easily know whether the configuration error of the access point, the abnormality of the wired network, and informs the server Allows the server to efficiently manage access points.
액세스포인트, 무선랜, SSID, 단말기 Access Point, Wireless LAN, SSID, Terminal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구조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WLA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구조도이다.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자체내의 제1 동작 상태 진단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operating state diagnosis process in the access point its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자체내의 제2 동작 상태 진단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operating state diagnosis process in the access point its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자체내의 제3 동작 상태 진단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hird operating state diagnosis process in the access point its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단말기의 무선랜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 진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agnosing an access point of a WLAN system of a diagnostic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상태를 진단하고 그 상태를 서버에 알려주는 단말기 및 그의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for diagnosing an operation state of an access point in a WLAN system and informing the server of the state and a diagnosis method thereof.
현재 이동 통신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 서비스는 그 요금이 너무 고가이고 제공하는 속도가 매우 늦기 때문에 크게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요즘 대안으로 떠오르는 것이 무선랜 모듈(IEEE 802.11 시리즈)을 노트북 PC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에 탑재하여,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가 있는 곳에서는 무선랜 모듈을 통해 저렴하면서도 고속(최대 11Mbps 혹은 그 이상)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Currently, the data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not activated very much because the fee is too expensive and the speed of providing is very slow. So the alternative is to install the wireless LAN module (IEEE 802.11 series) in notebook PCs o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inexpensive, high-speed (up to 11Mbps or more) through wireless LAN modules where wireless LAN access points exist. To provide data services.
무선랜은 컴퓨터와 컴퓨터간 또는 컴퓨터와 기타 통신 장치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전파(RF: radio frequence)나 빛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수행하는 랜을 의미한다. 이러한 무선랜은 최근 인터넷 서비스와 무선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이는 빌딩간의 네트워크 접속이나 대형 사무실, 물류 센터와 같이 유선 네트워크 구축이 용이하지 않은 장소에서 주로 설치되며, 유지 보수의 간편함으로 인하여 그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A wireless LAN refers to a wireless LAN that perform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a computer and a computer or between a computer and other communication devices by using radio frequency (RF) or light. These WLANs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servic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se WLANs are mainly installed in places where wired networks are not easily built, such as network access between buildings, large offices, and distribution centers. The use is soaring.
무선랜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는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서 유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허브(hub), 라우터(router) 등)에 연결된 다음에 인터넷을 통하여 망 사업자의 서버로 연결된다. 이후에 사용자 단말기는 망 사업자의 서버로부터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받게 된다.When accessing the Internet using a WLAN, a user's terminal is generally connected to a wired network (eg, a hub, a router, etc.) via a WLAN access point, and then a network operator through the Internet. Is connected to the server. After that, the user terminal receives various Internet services from the server of the network operator.
이러한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망 구성 방법에 따라서, 단말간에 1:1 통신을 통해 무선랜에 접속하게 하는 애드혹(add-hoc) 방식과 모든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 를 통해 무선랜에 접속하게 하는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방식을 사용한다. In such a WLAN system, an add-hoc method for accessing a WLAN through 1: 1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nd an infrastructure for allowing all terminals to access the WLAN through an access point according to a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 Method.
이러한 다수의 방식에 따라 무선랜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각각 노드(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각기 다른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에도 SSID를 설정하여, 동일한 SSID를 가진 사용자 단말과 무선랜 노드간에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a WLAN connection is made according to such a plurality of methods, a different service set identifier (SSID) is set at each node (terminal or access point), and SSID is also set at the user terminal, so that a user terminal having the same SSID and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LAN nodes.
따라서, 이러한 무선랜 접속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자신과 동일한 SSID를 가지는 무선랜 노드 즉, 액세스 포인트로 접속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WLAN access method, the user terminal connects to a WLAN node having the same SSID as that of the access point.
이러한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정상적인 망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도, 단말기가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단말기가 계속하여 무선랜 모듈을 통해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가 송출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동작함으로써, 불필요한 단말기의 접속 소비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현 상태를 파악하지 못함으로서, 사용자의 무선랜 사용에 대한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In the WLAN system, even when the access point is abnormal, even if the network is not normally connected, the terminal continues to receive the data service through the WLAN access point, so that the terminal continues to access the WLAN access point through the WLAN module. By operating to receive a signal that is sent out, th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f the connection of the terminal is increased. In addition, by not grasping the current state, it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using the WLAN.
그러므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상태를 진단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고, 단말기는 그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의 상태를 인지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서버에 이를 알려 서버가 효율적으로 액세스 포인트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diagnose the operating state of the access point in the WLAN system and display the result, the terminal recognizes the state of the access point therefrom If there is a problem, the server is notified so that the server can efficiently manage the access point.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상태를 단말기가 용이하게 알 수 있어서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지 않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terminal can easily know the operating state of the access point so as not to consume unnecessary power.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 진단 방법은,In order to achieve this technical problem, an access point diagnosis method of a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SSID(service set identifier)값이 포함된 비콘신호를 입력받아 이상 발생시에 서버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이상을 알리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진단 방법으로서,An access point diagnosis method for receiving a beacon signal including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value from an access point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informing the server of an error of the access point when an error occurs,
소정의 진단주기가 되면, 상기 SSID값을 스캔하는 단계;Scanning the SSID value when a predetermined diagnostic period is reached;
상기 SSID값으로부터 이상이 있는 액세스 포인트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 access point from the SSID value;
이상이 있는 액세스 포인트가 있으면, 해당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if there is an abnormal access point;
상기 과정에서 저장된 이상이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having the abnormality stored in the process to the server.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로부터 응답신호가 없으면, 재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transmitting if there is no response signal from the serv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 진단 단말기는,In addition, the access point diagnostic terminal of the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SSID(service set identifier) 값이 포함된 비콘신호를 입력받아 이상 발생시에 서버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이상을 알리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진단 단말기로서,An access point diagnostic terminal for receiving a beacon signal including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value from an access point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informing the server of an error of the access point when an error occurs,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부;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access point;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고장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fault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시간을 체크하기 위한 타이머;A timer for checking the time;
상기 타이머를 참조하여 소정의 진단주기가 되면, 상기 SSID값을 스캔하고, 상기 SSID값으로부터 이상이 있는 액세스 포인트가 감지되면, 해당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이상이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서버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When a predetermined diagnostic period is reached with reference to the timer, the SSID value is scanned, and when an access point having an abnormality is detected from the SSID value,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access point having an abnormality is detected.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상태를 진단하고, 그 결과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SSID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가 이를 수신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서버로 전송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access point is diagnosed and the result is displayed by using the SSID periodically broadcasting. Then, the terminal receives it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if there is an error.
일반적으로 IEEE 802.11b 표준을 따르는 무선LAN 시스템에서, 보안을 위하여 SSID를 사용하며, SSID는 무선랜에서 논리적인 분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명칭으로 초보적인 수준의 접속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액세스 포인트는 주기적으 로 전송하는 비콘(beacon) 신호에 SSID를 포함시켜서 비콘 신호를 전송하며, 이러한 비콘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는 포함되어 있는 SSID와 자신의 SSID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액세스 포인트로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SSID의 값을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상태에 따라 가변시켜, 사용자 단말기가 SSID를 스캔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한 액세스 포인트로의 불필요한 접속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이상시에 단말기가 서버에 이를 알림으로써, 서버가 액세스 포인트를 관리하는데 참조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가 불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다.In general, in a WLAN system conforming to the IEEE 802.11b standard, SSID is used for security, and SSID is a name of a network that performs logical partitioning in a WLAN, and provides a rudimentary level of access control. In particular, the access point transmits the beacon signal by including the SSID in the beacon signal that is periodically transmitted, and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beacon signal, if the SSID and its SSID is matched, the corresponding access point Connected to receive service.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value of the SSI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ng state of the access point, so that the user terminal can easily know the operating state of the access point only by scanning the SSID, so as to the access point Do not perform unnecessary connection operations. In addition, the terminal notifies the server of such an abnormality, so that the server can refer to the management of the access point.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quickly identify and manage non-serviceable access poi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WLA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접속 장치 즉, 사용자 단말기(100)가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200)에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200)는 연결 장치(300)를 통하여 유선랜 (400, 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서버(500)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RADIUS(Remote Access Dial-In User Service) 서버 등과 연결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ccess devices, that is,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20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0)들과 무선 랜 영역 상에서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 송수신부(210), 연결 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등의 유선랜에 연결된 각종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랜 송수신부(220), 무선랜 송수신부 및 유선랜 송수신부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무선 통신 전반을 제어하고, 특히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상태를 진단하는 제어부(230),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의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240),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된 정보(현재 설정값)가 저장되어 있고 기본적으로 설정되어야 하는 기준이 되는 기준값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250), 그리고 동작 상태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260)를 포함한다. 제어부(230)는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현재 설정값을 토대로 하여 무선랜 송수신부 및 유선랜 송수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처리하여, 무선랜 영역상의 무선 단말기인 사용자 단말기(100)와 유선랜 영역상의 이더넷 백본(Ethernet backborn) 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In a WLAN system having such a structure, an
이러한 제어부(23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패킷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패킷 데이터 처리부(231)를 포함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작 상태 진단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동작 상태 진단부는 설정 정보의 변경 여부를 진단하는 제1 진단부(232), 유선랜 상의 이상 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제2 진단부(233), 유선랜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다수 서버의 이상 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제3 진단부(234)를 포함하며, 특히 상태 표시부(260)는 제1 내지 제3 진단부(234)의 진단 결과를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 표시부(260)는 SSID를 통하여 진단 결과를 표시한 다.As shown in FIG. 2, the
이하, 단말기는 편의상 하나의 단말기(110)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rminal will be described as on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표시부(111), 무선랜 모듈(115), 제어부(112), 저장부(114), 타이머(116), 입력부(11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무선랜 모듈(115)은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랜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저장부(114)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고장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112)의 무선랜 접속을 위한 접속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서 정상 또는 고장일 경우의 SSID값도 저장할 수 있다. 타이머(116)는 시간을 체크한다. 입력부(113)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아 제어부(112)로 전달한다. 표시부(111)는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표시한다. 제어부(112)는 상기 타이머를 참조하여 소정의 진단주기가 되면, 상기 SSID값을 스캔하고, 상기 SSID값으로부터 이상이 있는 액세스 포인트가 감지되면, 해당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이상이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서버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다.The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상태 진단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method of diagnosing an operating state of an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is configur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동작 상태 진단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여기서는 제1 동작 상태 진단 과정은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 오류 여부를 진단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는 과정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operation state diagnosis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first operation state diagnosis process is a process of diagnosing a configuration error of an access point and displaying a result.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을 위한 각종 설정값들은 기본적으로 설정된 값을 유지 하여야 한다. 그러나 설치자의 오류 또는 자체 기능 이상으로 설정값들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Various setting values for the operation of the access point should basically maintain the set values. However, if the settings are changed due to an error or an error of the installer, normal service will not be performed.
그러므로 제어부(230)의 제1 진단부(232)는 액세스 포인트의 초기화가 이루어진 후, 메모리부(250)로부터 현재 액세스 포인트에 설정되어 있는 현재 설정값들과 설정 기준이 되는 기준 설정값들을 비교한다(S100~S120). 그리고 현재 설정값들이 기준 설정값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SSID 값을 원래 부여된 값(예를 들어 "NESPOT")으로 유지하지만, 현재 설정값들이 기준 설정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태 표시부(260)가 SSID 값을 소정 값으로 변경시켜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상에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한다(S130). Therefore, after initializing the access point, the
예를 들어, 인증 기능이 기본적으로 "on"으로 설정되어 있어야 하는데, 설치자가 인증 기능을 "disable" 시켜서 설정한 경우, 상태 표시부(260)는 SSID를 현재 인증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서 안정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내도록 "NESPOT_non1x"로 변경한다. 여기서 non1x는 "802.1x authentication is disabled"를 나타낸다. For example, if the authentication function should be set to "on" by default, but the installer has set the authentication function to "disable", the
이와 같이 변경되는 SSID는 비콘 신호에 포함되어 무선랜 송수신부(210)를 통하여 브로드캐스팅되며, 사용자 단말기(100)들은 비콘 신호에 포함된 SSID를 통하여 현재 해당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 설정에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용이하게 인지하게 된다. The SSID changed as described above is broadcasted through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동작 상태 진단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여기서는 제2 동작 상태 진단 과정은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유선랜의 하드웨어적 오류 발생 여부를 진단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과정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operation state diagnosis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econd operation state diagnosis process is a process of diagnosing whether a hardware error of the wired LAN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occurs and displaying the result.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무선랜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으나, 백본으로 연결되는 유선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서비스가 불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전파가 수신되는 모든 지역이 서비스 불가 지역이 된다. Although the wireless LAN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is operating normally, if the wired LAN connected to the backbone is not operating normally, not only the service is disabled, but all the areas where radio waves are received become an unserviceable area.
그러므로 제어부(230)의 제2 진단부(233)는 유선랜 상태를 진단하여 그 결과를 상태 표시부(260)로 전달하며(S200~S220), 상태 표시부(260)는 유선랜이 사용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는 SSID의 소정 값으로 변경시켜 현재 유선랜이 사용 불가능함을 표시한다(S230).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200)에 연결된 연결 장치(300)로부터 소정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전송되지 않거나, 연결 장치(300)를 통하여 예를 들어 인터넷 연결이 불가능함에 통보되면, 제2 진단부(233)는 유선랜 상에 하드웨어적으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이 경우, 상태 표시부(260)는 SSID를 "NESPOT_STU000"으로 표시하여 유선 네트워크 불량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낸다. 여기서 "STU0000"은 유선랜의 고장으로 일시적으로 서비스가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값이다. 여기서 유선랜의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수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그러므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비콘 신호에 포함된 SSID를 통하여 현재 유선랜을 통한 서비스가 불가능함을 용이하게 인지하게 된다. Therefore,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동작 상태 진단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여기서는 제3 동작 상태 진단 과정은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유선랜의 소프트웨어적 오류 발생 여부를 진단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과정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operating state diagnosis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third operation state diagnosis process is a process of diagnosing whether a software error of the wired LAN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occurs and displaying the result.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유선랜에 하드웨어적으로 이상이 발생한 경우와는 달리, 유선랜에 연결된 서버의 논리적인 동작 이상이 발생하거나 통신이 연결되지 않는 등과 같이 소프트웨어적 이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제3 진단부(234)는 각 서버(500)와의 신호 송수신을 통하여 해당 서버의 이상 발생 여부를 진단한다. As described above, unlike a case where a hardware error occurs in the wired LAN, a software error may occur such as a logical operation error of a server connected to the wired LAN or a communication failure. Therefore, the
구체적으로, 제3 진단부(234)는 주기적으로 서버(50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유선랜 상의 소프트웨어적 이상 발생 여부를 진단한다. In detail, the
이를 위하여,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3 진단부(234)는 진단을 위한 변수들의 초기값을 각각 설정한다(S300~S310). 여기서 진단을 위한 변수로는 진단 주기(timer_interval), 재시도 횟수(retry_count), 진단 결과에 따라 SSID를 변경한 변경 횟수(SSID-changed) 등이 있으며, 재시도 횟수, 변경 횟수 등의 초기값은 "0"으로 설정되고, 진단 주기는 소정값 예를 들어 "10초"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To this end, as shown in FIG. 6, the
이와 같이 초기값이 설정된 다음, 진단 주기가 경과되면 제3 진단부(234)는 서버(500)로 응답을 요청하는 신호(echo_request)를 전송한다(S320~S330). 이에 따라 서버(500)로부터 상기 신호에 대한 응답이 송신되면, 제3 진단부(234)는 해당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S340). 그리고 변경 횟수가 "1"로 되어 있는 경우 즉, 이전에 해당 서버에 이상이 발생하여 SSID 변경이 이루어져 있었던 경우에는 SSID를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값 예를 들어 "NESPOT"로 설정하고, 변경 횟수를 다시 "0"으로 설정하며(S350~S360), 그리고 진단 주기 및 재시도 횟수를 초기값으로 유지한 채(S370) 상기 단계(S320)로 복귀하여 진단 과정을 계속 수행한다. 그러나 응답 신호가 수신되고 변경 횟수가 "0"인 경우에는 위의 SSID 변경 단계(S360)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단계(S320)로 복귀하여 진단 과정을 계속 수행한다. After the initial value is se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agnostic period passes, the
한편, 단계(S340)에서 상기 신호(echo_request)에 대한 응답이 서버(500)로부터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진단 주기를 보다 짧게 설정하여(예를 들어 진단 주기를 10초에서 "1초"로 설정) 상기 신호를 송신하여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재시도한다. 이에 따라 재시도 횟수가 +1 증가된다(S380). On the other hand, if the response to the signal (echo_request) is not transmitted from the
그리고 제3 진단부(234)는 재시도 횟수가 설정횟수 이상이고 SSID 변경 횟수가 "0"인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상기 서버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그 결과를 상태 표시부(260)로 전달하고, 상태 표시부(260)는 SSID를 이상 발생을 나타내는 값 예를 들어 "NESPOT_STU0001"로 설정하고(S390~S400), 변경 횟수를 "1"로 설정한 다음(S410), 단계(S320)로 복귀하여 진단 과정을 계속 수행한다. 이와 같이 서버로부터 응답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바로 해당 서버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지 않고 상기 신호 전송을 소정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수행하여도 응답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만 최종적으로 해당 서버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함으로서, 진단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When the number of retri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number of times and the number of SSID changes is "0", the
그러므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비콘 신호에 포함된 SSID를 통하여 현재 유선랜에 연결된 소정 서버로부터의 서비스가 불가능함을 용이하게 인지하게 된다. Therefore, the
이하, 이렇게 비콘 신호에 포함된 SSID를 통하여 현재 액세스 포인트가 이상 상태임을 인지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도 7은 무선랙 액세스 포인트의 진단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7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diagnostic terminal of a wireless rack access point.
도 7을 참조하면, 단말기(1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112)는 저장부(114)의 접속 프로그램을 실행한다.Referring to FIG. 7,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terminal 110, the
그리고, 제어부(112)는 타이머(116)를 참조하여 진단주기 약 10초가 되었는지 판단한다(S710). 이때, 진단주기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나서, 진단 주기가 되면, 제어부(112)는 무선랜 모듈(115)를 통해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비콘 신호에 포함된 SSID를 스캔한다(S720).Then, when the diagnostic cycle, the
그리고 나서, 제어부(112)는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의 SSID가 변경된 것인지를 판단하여(S730) 변경이 되었으면, 현재 액세스 포인트가 이상이 있음을 인지하고,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 즉,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디스크립션(Description), SSID 등의 정보를 저장부(114)에 저장한다(S740).Then, the
그리고 나서, 제어부(112)는 즉시 혹은 소저의 주기로 저장부(114)에 저장된 해당 액세스 포인트의 이상정보를 다수의 서버(500) 또는 해당 서버로 송신한다(S750). Then, the
다음, 다수의 서버(500) 혹은 해당 서버로부터 이상 정보를 잘 받았음을 확인하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면(S760), 제어부(112)는 저장부(114)에 저장된 고장 정보를 삭제한다(S770).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일부분만 삭제하거나 삭제하지 않을 수도 있다.Next, when a response signal confirming that the abnormality information is well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한편, 응답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추후에 제어부(112)가 무선랜 모듈(115)을 통해 고장정보를 재전송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response signal, the
한편, 제어부(112)는 고장 정보가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에는 접속을 하지 않으며, 불필요한 접속을 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he
이상의 과정에서는 하나의 단말기에 대해 설명했지만 실제로는 다수의 단말기가 액세스 포인트의 이상을 감지하고 이를 서버로 알려줌으로써, 서버들은 효율적으로 액세스 포인트를 관리할 수 있다.In the above process, a single terminal has been described, but in practice, a plurality of terminals detect an abnormality of the access point and notify the server of the abnormality, so that the servers can efficiently manage the access point.
상기 실시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 자체내에 발생한 이상 또는 네트워크나 서버에 이상 발생시에 액세스 포인트가 자신의 이상을 단말기에게 통보하지만 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자신에게 이상이 있는 경우에만 비콘신호에 SSID를 변경하여 통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기도 SSID값 이외에도 별도의 이상신호를 입력받아 액세스 포인트의 이상을 감지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access point notifies the terminal of the abnormality occurring in the access point itself or the network or server, but this can be variously modified as necessary, and only if there is an abnormality if necessary. The beacon signal may be notified by changing the SSID. In addition to the SSID value, the terminal may also detect an abnormality of the access point by receiving a separate abnormal signal.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only implemented by the apparatus and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The embodiment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위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공되는 비콘 신호에 포함된 SSID를 스캔하는 과정만으로, 액세스 포인트의 이상 발생 여부를 단말기가 용이하게 알 수 있고, 이를 서버로 알려줌으로써, 액세스 포인트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access point is abnormal, by notifying the server only by scanning the SSID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provided from the access point by the user terminal, By doing so, the access point can be easily managed.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1083A KR101162343B1 (en) | 2005-09-29 | 2005-09-29 | Diagnosing terminal of the access point in WLAN and diagnos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1083A KR101162343B1 (en) | 2005-09-29 | 2005-09-29 | Diagnosing terminal of the access point in WLAN and diagnos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36263A KR20070036263A (en) | 2007-04-03 |
KR101162343B1 true KR101162343B1 (en) | 2012-07-04 |
Family
ID=3815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9108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62343B1 (en) | 2005-09-29 | 2005-09-29 | Diagnosing terminal of the access point in WLAN and diagnos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234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0044A (en) * | 2016-06-21 | 2018-01-02 | (주)이프라임 | Integrated optical communication for providing id hidden request signal to wireless access poi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US20240098528A1 (en) * | 2021-02-05 | 2024-03-21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or displaying network detection resul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38534A (en) * | 2012-06-11 | 2013-12-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testing connection state of wireless network and apparatus thereof |
KR101504665B1 (en) * | 2013-12-31 | 2015-03-20 | 주식회사 케이티 | Network management supporting method, apparatus thereof, and system thereof |
WO2015167061A1 (en) * | 2014-04-29 | 2015-11-05 | (주) 다보링크 |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KR102103242B1 (en) * | 2014-05-27 | 2020-04-23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Method for tighten security of beacon device,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
KR101597272B1 (en) * | 2014-06-02 | 2016-02-25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Quality Control of Beacon Device for Location-Based Service |
KR102213172B1 (en) * | 2014-08-08 | 2021-02-04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checking whether beacon device has error |
KR102775427B1 (en) * | 2024-07-09 | 2025-03-06 | 주식회사 위드네트웍스 | Wireless network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in high-speed trai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221006A1 (en) * | 2002-04-04 | 2003-11-27 | Chia-Chee Kuan | Detecting an unauthorized st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
US20050135236A1 (en) * | 2003-12-23 | 2005-06-2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mart access point |
-
2005
- 2005-09-29 KR KR1020050091083A patent/KR10116234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221006A1 (en) * | 2002-04-04 | 2003-11-27 | Chia-Chee Kuan | Detecting an unauthorized st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
US20050135236A1 (en) * | 2003-12-23 | 2005-06-2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mart access point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0044A (en) * | 2016-06-21 | 2018-01-02 | (주)이프라임 | Integrated optical communication for providing id hidden request signal to wireless access poi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KR101927117B1 (en) * | 2016-06-21 | 2018-12-12 | 주식회사 유니콤넷 | Integrated optical communication for providing id hidden request signal to wireless access poi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US20240098528A1 (en) * | 2021-02-05 | 2024-03-21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or displaying network detection resul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36263A (en) | 2007-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98783B2 (en) | Detecting malicious device | |
US7747740B2 (en) | Troubleshooting of Wireless Client Connectivity Problems in Wireless Networks | |
EP1641183B1 (en) | Collaboratively locating disconnected clients and rogue access points in a wireless network | |
KR100975163B1 (en) |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 |
KR101061963B1 (en)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ccess point startup and initial channel selection process | |
US9565085B2 (en) | Automatically diagnosing and resolving wireless network connectivity issues in electronic devices | |
TWI454091B (en) | Self-configuring wireless network positioning system | |
KR101450774B1 (en) | Duplicated ssid detecting method and system through self scan in wireless lan | |
US9351180B2 (en) |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ate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 |
US20080201109A1 (en) | Wireless Performance Analysis System | |
US20110191631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diagnosis method and program | |
CN107333260A (en) | A kind of method and device for the real MAC address for obtaining terminal | |
KR101162343B1 (en) | Diagnosing terminal of the access point in WLAN and diagnosing method thereof | |
KR101094258B1 (en) | Access point of wireless LA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its operating state | |
CN100505641C (en) |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point-to-point fast fault detection | |
US20080225856A1 (en) | Network connection apparatus | |
US9271252B2 (en) |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 |
US8126998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 |
KR100805820B1 (en) | Node failure management method of sensor network and failure reporting device therefor | |
JP2000224645A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JP7538508B2 (en) | Access point, investigation log acquisition method, and investigation log acquisition program | |
KR20050000115A (en) | Apparatus and method of AP defect management for wireless LAN system | |
CN117692938A (en) | Cloud fault diagnosis method, system and equipment | |
JP2003348247A (en)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urglary of vehicle | |
CN115706988A (en) | Network processing method, system and related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106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628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