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382B1 - Sess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ess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0382B1 KR101160382B1 KR1020090028993A KR20090028993A KR101160382B1 KR 101160382 B1 KR101160382 B1 KR 101160382B1 KR 1020090028993 A KR1020090028993 A KR 1020090028993A KR 20090028993 A KR20090028993 A KR 20090028993A KR 101160382 B1 KR101160382 B1 KR 1011603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ssion
- server
- client
- address
-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2—Managing session states for stateless protocols; Signalling session states; State transitions; Keeping-state mechanis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77—Multiple interfaces, e.g. multihomed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통신 어드레스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경우에 네트워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세션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복수의 어드레스를 갖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세션들을 관리한다. 클라이언트에 제공된 어플리케이션이 서버와 통신하도록 요구하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와 상이한 어드레스가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미 확립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세션이 이미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이미 확립된 세션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서버와 통신하게 하고, 세션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신규로 확립된 세션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서버와 통신하게 한다.A session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that enables efficient use of network resources when a communication address is assigned to a network interface. The system manages sessions between a server and a client having a plurality of addresses. When an application provided to a client requires communication with a server, it is determined whether an address different from the address specified by the application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between the client and the ser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ssion is already established, then the application uses the already established session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ssion is not established, then the application uses the newly established session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서버, 클라이언트, 세션,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Server, Client, Session, Applic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간의 통신에서의 논리적인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세션의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ssion management technique that represents a logical connection relationship in communication between applications.
종래, 네트워크(LAN 등의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에서 이용되는 통신 장치로서, PC(퍼스널 컴퓨터), 프린터, MFP(Multi-Function Peripherals)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vario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including PCs (personal computers), printers, and MFPs (Multi-Function Peripherals) are known as communication apparatuses used in a network (intranet such as a LAN or the Internet).
현재,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IP 프로토콜이 널리 이용되고 있고, 이 IP 프로토콜에서는, 각 정보 처리 장치에 고유한 IP 어드레스(통신 어드레스)을 할당함으로써, 접속 장치들이 서로 식별된다.Currently, IP protocols are widely used i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connected to a network. In this IP protocol, connection apparatuses are identified from each other by assigning an IP address (communication address) unique to each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종래의 IP 프로토콜(IPv4(IP 버전 4)) 하에서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정보 처리 장치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식별하기 위한 IP 어드레스로서 1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1개의 IP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었다.Under the conventional IP protocol (IPv4 (IP version 4)), generally, one IP address has been assigned to one network interface as an IP address for identifying on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rom anoth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한편, 최근 보급되고 있는 IPv6(IP 버전 6) 하에서는, 단말기 장치는, 라우터에 접속되었을 때에, 그 라우터와 통신을 행하여 자동적으로 IP 어드레스를 취득 하고 있다. 또한,라우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도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IP 어드레스 이외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마다 IPv6 어드레스를 할당한다.On the other hand, under IPv6 (IP version 6), which has been widespread in recent years, when connected to a router, the terminal device communicates with the router and automatically acquires an IP address. In addition, in order to enable communication even when no router exists, an IPv6 address is assigned to each network interface in addition to the IP address.
또한,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가 존재할 경우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IPv6을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복수의 IPv6 어드레스가 1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다. 그 결과, IPv6을 지원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1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IPv4 어드레스 및 복수의 IPv6 어드레스를 할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may be a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server. As described above, in an environment using IPv6, a plurality of IPv6 addresses are assigned to one network interface. As a result,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upporting IPv6, an IPv4 address and a plurality of IPv6 addresses can be assigned to one network interface.
또한,정보 처리 장치가 서로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송신원과 송신처의 네트워크 소켓, 즉 IP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의 조가 작성된다. 이 네트워크 소켓의 작성 처리는, 각 정보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리소스인 메모리 공간 및 CPU 처리 시간을 소비한다.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set of network sockets, that is, an IP address and a port number, of a sender and a sender is created. This network socket creation process consumes memory space and CPU processing time which are network resources of each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그 때문에,다수의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해서 통신을 행하는 서버는, 접속수의 양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리소스를 소비한다. 한편,프린터, MFP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리소스 양은, 서버에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리소스의 양보다 작기 때문에, 동시에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될 수 있는 통신 기기의 수도 작다.Therefore, the server which connects and communicates with many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consumes the network resource corresponding to the quantity of connection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amount of network resources available to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printer and an MFP is smaller than the amount of network resources available to a server, the number of communication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t the same time is small.
또한,데이터 사이즈의 여하를 막론하고, 네트워크 소켓을 개방할 때까지의 시간이, UDP 통신의 경우에 비해서 길게 설정되는 TCP 통신의 경우에는, 단위 시간당 확립가능한 동시 접속수가 UDP 통신의 경우에 비해 작아지도록 제한되기 때문에,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가 쇄도할 경우에 접속 에러가 발생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CP communication in which the time until the network socket is opened regardless of the data size is set longer than in the case of UDP communication, the number of concurrent connections that can be established per unit time is smaller than in the case of UDP communication. Because of this limitation, the server generates a connection error when a request from a client flood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에 제공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일 어드레스가 할당된 서버와 복수의 세션을 확립해서 그와 통신하는 경우에, 네트워크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게 하는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특개평 10-177548호 공보 참조).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a client / server system, there is a proposal to save network resources when a plurality of applications provided to a client establishes and communicates with multiple servers assigned to the same address. (Se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77548).
그러나, 상기 특개평 10-177548호 공보에서는, 1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복수의 IPv6 어드레스를 할당한 경우에는, 동일 서버와의 통신에서라도, 복수의 서버 어드레스에 대한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네트워크 리소스를 절약할 수 없다.However,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177548, when a plurality of IPv6 addresses are allocated to one network interface, even in communication with the same server, network resources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the plurality of server addresses are saved. Can not.
본 발명은 세션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ssion management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는,복수의 어드레스를 갖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세션들을 관리하는 세션 관리 시스템으로서,상기 클라이언트에 제공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버와 통신하도록 요구하는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와 상이한 어드레스를 이용하는 세션이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서버 사이에 이미 확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 및 상기 세션이 이미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확립된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와 통신하게 하고, 상기 세션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신규로 확립된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와 통신 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세션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In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ssion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sessions between a server having a plurality of addresses and a client, wherein the application provided to the client requests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A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 session using a different address is already established between the client and the server, and the server using the session in which the application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ssion is already establishe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ause the application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using the newly established sess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ssion is not established.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는, 복수의 어드레스를 갖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세션들을 관리하는 세션 관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에 제공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버와 통신하도록 요구하는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와 상이한 어드레스를 이용하는 세션이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서버 사이에 이미 확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세션이 이미 확립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확립된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와 통신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세션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신규로 확립된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와 통신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션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In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session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sessions between a server and a client having a plurality of addresses, wherein the application provided to the client requests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Determining whether a session using an address different from the address specified by the client is already established between the client and the serve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ssion is already established, the application uses the already established session. Communicating with a serve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ssion is not established, causing the application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using a newly established session.
본 발명에 따르면, 1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복수의 통신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경우에, 네트워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혹은 절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addresses are assigned to one network interface, network resources can be efficiently used or saved.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의 일부에 포함되고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상세한 설명과 함께 발명의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되는 제1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제1 내지 제7 실시예에 따른 특징 사항의 조합의 모두가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not all combinations of the feature items according to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are essential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3, 7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시스템을 적용한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의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software configuration of a client / server system to which the sess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and seve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PC(클라이언트 단말기)(100)와 서버 PC(105)는, 네트워크(106)를 통해서 상호 접속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및 제7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106)는, LAN이나 WAN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상정되지만, LAN 및 WAN과 상이한 유형의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클라이언트 PC(100)와 서버 PC(105)는, 네트워크(106)에 의해서가 아니라, IEEE 1394 또는 1284 등의 규격에 따른 인터페이스(케이블)에 의해 접속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lient PC (client terminal) 100 and the server PC 105 are interconnected via a
또한,제1~7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 PC(100)는, 통상의 PC(Personal Computer)로 구현되는 것으로 상정되지만, PC 대신에 프린터 또는 MFP(multifunction peripheral)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 스캐너, 팩시밀리 장치 등의 각종의 기기에도 제1~7 실시예에 따른 특징 사항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the client PC 100 is assumed to be implemented by a normal PC (Personal Computer), but a printer or a multifunction peripheral (MFP) may be used instead of the PC. That is, the feature items according to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such as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scanners, and facsimile devices having 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클라이언트 PC(100)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및 101a)을 포함한다. 단, 클라이언트 PC(100)가 1개 또는 3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제1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이것은 제2~7의 실시예에도 적용됨).The client PC 100 includes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및 101a)은, 각각 스터브 오브젝트(102, 102a)를 이용해서 통신을 행한다. 이 경우, 실제의 통신 처리는,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에 의해 행해진다.The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통신 라이브러리(104a)를 이용해서 서버 PC(105)와 통신한다. 통신 라이브러리(104a)를 이용해서 행해지는 통신은, 소켓(IP 어드레스+포트 번호) 통신 이외에, RPC(Remote Procedure call), LPC(Local Procedure Call) 및 Web 서비스 등에 의한 통신도 포함한다.The client interprocess
서버 PC(105)에서는, 서버 어플리케이션(108)이 동작하고 있다. 서버 어플리케이션(108)은,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를 이용해서 통신을 행한다.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통신 라이브러리(104b)를 이용하여, 네트워크(106)을 통해서 클라이언트 PC(100)와 통신을 행한다. 또한,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 어플리케이션(108)이 제공될 수도 있다.In the server PC 105, the
상기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과 서버 어플리케이션(108) 사이의 실제의 통신 처리는,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와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에 의해 행해진다. 이 실제의 통신 처리는, 일련의 요구 및 응답에 따른 세션 관리 처리도 포함한다. 바꾸어 말하면,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 및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에 의해, 본 발명에 특유한 세션 관리 처리가 행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actual communication processing between the
또한,도 1의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PC(Personal Computer)에 의해 각각 구현되지만,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통신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 주변 장치 등으로 구성된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에 제1~제3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의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PC(100) 또는 서버 PC(105)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의 동작을, 클라이언트 PC(100) 및 서버 PC(105) 이외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에 제공된 CPU, ROM 또는 RAM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기만 하면 된다.In addition, in the client / server system of FIG. 1, although the client and the server are each implemented by a personal computer (PC), the client / server system includes a first network device configured of another network device,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 peripheral device, and the like. The third embodiment can also be applied. In this case, a CPU provided to an operation of a program performed by the client PC 100 or the server PC 105 of the client / server system of FIG. 1 may be provided to a network device other than the client PC 100 and the server PC 105, or the like. You just need to configure your system to run using ROM or RAM.
클라이언트 PC(100) 및 서버 PC(105)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하드웨어를 갖는 컴퓨터(2000)에 의해 실현된다.The client PC 100 and the server PC 105 are realized by a
컴퓨터(2000)는, 본체 제어부(200), 주변기기로서의 키보드(209), 표시 장치(210), 외부 메모리(211)를 포함한다. 본체 제어부(200)는, CPU(201), RAM(202), ROM(203), 키보드 제어부(205), 표시 제어부(206), 디스크 제어부(207), 및 네트워크 제어부(208)를 포함한다.The
CPU(201)는, 시스템 버스(204)에 접속된 디바이스들의 총괄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CPU(201)는, ROM(203)의 프로그램용 ROM(203b), 혹은 외부 메모리(HD)(2101)에 기억된 어플리케이션(문서 처리 프로그램,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등)에 기초하여, 문서 처리 및 서비스 제공 처리를 포함하는 각종 처리를 수행한다.The
또한,문서 처리 프로그램은, 도형, 이미지, 문자 및 표(스프레드시트 포함)를 혼합하여 포함한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문서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외부 메모리(211)는, 문서 처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정지 화상이나 동화상에 서의 화상 정보 및 음악 정보, 음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취득?처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기억해도 된다.In addition, the document processing program performs document processing for processing a document including a mixture of figures, images, characters, and tables (including a spreadsheet). In addition, the
CPU(201)는, 예를 들면 RAM(202)에 설정된 표시 RAM에의 아우트라인 폰트(outline font)의 래스터라이즈 처리를 행하고, 표시 제어부(206)를 통해서 문자열을 표시 장치(210)에 표시한다. 또한,CPU(201)는, 표시 장치(210) 상의 마우스 커서(도시 생략) 등으로 지정된 커맨드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윈도우 중 관련된 것을 열어서 여러 가지 데이터 처리 또는 서비스 제공 처리 중 관련된 것을 실행한다. 유저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 또는 서버 어플리케이션(108)을 사용할 경우에, 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 윈도우를 열고, 이 윈도우 상에서 각종 설정을 행할 수 있다. 표시 장치(210)는, CRT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등 중 어느 것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The
RAM(202)은, CPU(201)의 주 메모리, 작업 영역 등으로서 이용된다. ROM(203)은, 폰트용 ROM(203a), 프로그램용 ROM(203b) 및 데이터용 ROM(203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e
폰트용 ROM(203a) 및 외부 메모리(211)는, 문서 처리 및 서비스 제공 처리 에서 사용하는 폰트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프로그램용 ROM(203b) 및 외부 메모리(211)는, CPU(201)의 제어 프로그램인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유사한 다른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데이터용 ROM(203c) 및 외부 메모리(211)는, 문서 처리 또는 서비스 제공 처리에 사용하는 각종 데이터(프로그램을 포함)를 기억하고 있다. 외부 메모리(211)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실행 시에는 RAM(202)에 각 각 로딩된다.The
키보드 제어부(205)는, 키보드(209) 및 포인팅 디바이스(도시 생략)로부터의 입력 데이터, 커맨드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206)는, 표시 장치(210)의 표시 동작을 제어한다. 디스크 제어부(207)는, 외부 메모리(211)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한다.The
네트워크 제어부(208)는, 쌍방향성 인터페이스(212)를 통해서 네트워크(106)에 접속되어 있다. 이 네트워크 제어부(208)는, 도 1에 각각 나타낸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 또는 107) 및 통신 라이브러리(104a 또는 104b)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및 세션의 접속 또는 절단 처리를 행한다.The
키보드(209)는, 각종 데이터 및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장치(210)는, 문서 처리, 서비스 제공 처리에 따른 각종의 정보 등을 표시한다. 외부 메모리(211)는, 하드 디스크(HD), 플렉시블 디스크(FD) 등에 의해 구현되어 있다. 이 외부 메모리(211)는, 부트 프로그램, 각종 어플리케이션, 폰트 데이터, 유저 파일, 편집 파일 등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외부 메모리(211)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도 6~도 9b, 도 10a~도 11b, 및 도 12a~도 13b에 도시된 플로우차트, 시퀀스도를 참조해서 후술하는 각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도 기억하고 있다.The
도 3은, 서버 PC(105)의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의 상세한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softwar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301) 및 서버 식별자 회신부(302)를 갖고,클라이언트 PC(100)로부터의 통신 요구에 응답한다. 즉,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301)는, 클라이언트 PC(100)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서버 식별자 회신부(302)에 의해 서버 식별자(504)(도 5 참조)를 회신하거나, 서버 어플리케이션(108)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PC(100)에 회신하거나 하도록 한다. 이 서버 식별자(504)의 회신 처리의 상세 내용은, 후술한다.The
도 4는, 클라이언트 PC(100)의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의 상세한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터브 오브젝트(102 및 102a)의 기재는 생략하고 있다(도 15 및 도 24도 동일하게 적용).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 서버 식별자 취득부(402), 세션 관리부(403), DB(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5), 세션 절단 관리부(407) 및 세션 재접속 관리부(409)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세션 판정부(404), 세션 관리 정보 DB(406) 및 접속 레퍼런스 카운트 기억부(408)를 더 포함한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software configuration of the client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의 제어 하에 세션의 관리를 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및 101a)와 서버 어플리케이션(108) 사이에서 행해지는 통신 동작을 제어한다. 서버 식별자 취득부(402)는, 서버 PC(105)의 서버 식별자 회신부(302)에 의해 회신된 서버 식별자(504)을 취득한다. 서버 식별자(504)는, 사용되는 세션을 선택하기 위해서 이용된다.The client
세션 관리부(403)는, 세션 정보의 작성 처리를 행하거나, 세션 관리 정보 DB(406) 내에 기억된 관리 정보의 일부를 삭제할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세션 판정부(404)는, 접속 요구시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와 상이한 수신처 어드레스에 대한 기존 세션이, 서버 식별자(504)(서버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동일한 서버를 수반하는 것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세션 판정부(404)는, 새로운 세션을 확립해서 통신을 행할지, 혹은 기존 세션을 이용해서 통신을 행할지를 판정한다.The
DB 관리부(405)는, 세션 관리 정보 DB(406)(도 5 참조)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한다. 세션 절단 관리부(407)는, 접속 레퍼런스 카운트에 기초하여 세션의 절단 관리를 행한다. 접속 레퍼런스 카운트 기억부(408)는, 접속 레퍼런스 카운트를 기억한다. 이 접속 레퍼런스 카운트는, 세션을 클로즈(close)하는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세션 재접속 관리부(409)는, 통신 에러가 발생한 세션에서 현재 행하고 있는 통신을, 다른 어드레스(소켓)에서 재접속해서 계속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The
도 5는, 세션 관리 정보 DB(406)에 등록되어 있는 세션 관리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어플리케이션 식별자(501)는, 접속 요구를 발생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을 식별하는 식별자(인스턴스 핸들)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session management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session
요구 어드레스 정보(502)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이 접속을 요구할 때에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이 지정한 수신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이 수신처 어드레스는, IP 어드레스(502a)와 포트 번호(502b)를 포함하고 있다. 통신 어드레스 정보(503)는,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기존 세션의 이용 가능성을 판단한 후, 실제 통신을 위해 선택된 세션의 접속처(서버 PC(105))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이 통신 어드레스는, IP 어드레스(503a)와 포트 번호(503b)을 포함하고 있다.The
또한,통신 어드레스 정보(503)는, IP 어드레스(503a) 및 포트 번호(503b) 이외에, 포트 번호(503b)의 대체 정보로서의 엔드 포인트, 혹은 IP 어드레스(503a) 및 포트 번호(503b)의 대체 정보로서의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서버 식별자(504)(인스턴스 핸들)는, 접속 요구원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이 수신처 어드레스(IP 어드레스, 포트 번호 등)에 기초하여 서버 PC(105)에 요구함으로써 취득된다. 세션 번호(505)는, 접속 요구원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과, 접속처인 서버 어플리케이션(108) 사이에서 교환되는 일련의 요구 및 응답(데이터 전송)에 기초하여 확립된 각 세션을 서로 다른 하나의 섹션으로부터 식별하기 위해서 부여되는 식별 번호이다.The server identifier 504 (instance handle) is obtained by requesting the
다음으로,서버 PC(105)의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가 행하는 세션 관리 처리를, 도 6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해서 설명한다.Next, session management processing performed by the server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의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301)는, 클라이언트 PC(100)로부터 접속 요구를 받으면,서버 식별자 회신부(302)에 의해, 서버 식별자(504)를 작성시킨다(단계 S601). 이 서버 식별자(504)로서, 일의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등이 사용된다. 이제부터, 서버 PC(105)의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패킷을 수신한 소켓의 IP 어드레스 및 포트 번호의 여하를 막론하고, 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을 회신한다.When the server interprocess
다음으로,서버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301)는, 클라이언트 PC(100)로부터의 패킷을 통신 라이브러리(104b)을 통해서 수신한다(단계 S602). 그리고,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301)는, 클라이언트 PC(100)로부터 수신한 패킷이, 서버 식별자(504)의 취득 요구에 따른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603).Next, the inter-server
패킷이 서버 식별자(504)의 취득 요구에 따른 것이면,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301)는, 단계 S601에서 서버 식별자 회신부(302)에 의해 생성된 서버 식별자(504)를, 서버 식별자(504)를 요구하는 클라이언트 PC에 회신한다. 이 처리는, 단계 S604에서 행해진다. 이 경우, 서버 식별자(504)는, 회신 패킷으로서, 통신 라이브러리(104b)를 이용해서 네트워크(106) 경유로 클라이언트 PC(100)에 회신된다.If the packet is in accordance with the acquisition request of the
다음으로,서버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301)는, 서비스 종료 지시의 수신 유무를 판별한다(단계 S608). 서비스 종료 지시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처리는 단계 S602로 되돌아가서, 서비스 제공을 속행한다.Next, the inter-server
한편,수신 패킷이 서버 식별자(504)의 취득 요구에 따른 것이 아닌 경우에는,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301)는, 수신 패킷이 신규 데이터의 송신 요구인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605).On the other hand, when the received packet does not comply with the acquisition request of the
수신 패킷이 신규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면,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301)는, 클라이언트 PC(100)에 데이터 전송을 행하기 위한 소켓을 작성한다(단계 S606). 이 소켓 작성 처리는, 통신 라이브러리(104b)을 이용하여, 통신 프로토콜로서의 TCP 프로토콜에 기초한 승인 처리를 통해 행해진다.If the received packet requests the transmission of new data, the server inter-process
단계 S606의 처리 후에, 처리는 단계 S607로 진행한다. 한편,수신 패킷이 신규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지 않으면, 처리는 단계 S606의 소켓 작성 처리를 스킵하고, 단계 S607로 진행한다.After the processing of step S606, the processing proceeds to step S607. On the other hand, if the received packet does not require transmission of new data, the process skips the socket creation process in step S606 and proceeds to step S607.
단계 S607에서는,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301)는, 단계 S602에서 수신한 패킷에 대한 서비스 처리를, 서버 어플리케이션(108)에 의해 실행시킨다. 즉,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301)는, 클라이언트 PC(100)로부터의 수신 데이터를 서버 어플리케이션(108)에 전송하고, 서버 어플리케이션(108)은, 클라이언트 PC(1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회신 데이터를 작성한다. 또한,서버 어플리케이션(108)은, 작성한 회신 데이터를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301)에 전송한다.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301)는, 통신 라이브러리(104b)를 이용하여, 네트워크(106)를 경유해서 클라이언트 PC(100)에 회신 데이터를 회신한다. 그리고,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301)는, 단계 S608을 행한다.In step S607, the inter-server
다음으로,클라이언트 PC(100)의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가 행하는 세션 관리 처리를, 도 7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또한,본 플로우차트의 처리는, 실제로 또는 직접적으로,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가 행한다 (도 10a, 도 10b, 도 12a, 도 12b, 도 18, 도 20, 도 21, 도 26a 및 도 26b에 동일하게 적용).Next, the session management processing performed by the client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의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서버 PC(105)의 서버 어플리케이션(108)에 대한 접속 요구를 접수한다(단계 S701). 이 접속 요구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 이루어진다.The interprocess
다음으로,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상기 수신처 어드레스에 송신된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서버 PC(105)로부터 회신된 서버 식별자(504)를, 서버 식별자 취득부(402)를 통해서 취득한다(단계 S702). 즉, 서버 식별자 취득부(402)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의 제어 하에, 통신 라이브러리(104a)를 이용하여, 네트워크(106) 경유로 서버 PC(105)에 서버 식별자(504)의 취득 요구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서버 식별자 취득부(402)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의 제어 하에, 서버 PC(105)로부터 송신된 서버 식별자(504)을 취득한다.Next, the inter-process
다음으로,세션 관리부(403)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의 제어 하에, 단계 S702에서 취득한 서버 식별자(504)와 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와 관련된 기존의 세션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단계 S703).Next, the
이 경우, 세션 관리부(403)는, DB 관리부(405)에 의해, 세션 관리 정보 DB(406)로부터 세션 관리 정보를 취득하게 한다. 그리고, 세션 관리부(403)는, 세션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현재 통신 중인 기존 세션 중에, 금회의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취득한 서버 식별자(504)와 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와 관련된 기존 세션이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 이 판정 처리는, 실제로는, 세션 판정부(404)가 행한다.In this case, the
도 5의 세션 관리 정보의 예를 참조하면, 관리 번호 1 및 2로 나타낸 통신에서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의 상이한 어드레스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 요구가 이루어진다. 어드레스들은 상이하지만, 이들 통신은 동일한 서버 PC(105)와 실행된다. 따라서, 동일한 서버 PC(105)와 통신을 행하기 위 해, 복수의 세션을 작성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1개의 세션을 이용해서 관리 번호 1 및 2로 나타낸 통신을 실행한다.Referring to the example of session management information in Fig. 5, in the communication indicated by
즉, 예를 들면 먼저 관리 번호 1로 나타낸 통신이 개시된 상태에서 관리 번호 2로 나타낸 통신을 개시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신규인 세션을 작성하지 않는다. 그 대신,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관리 번호 1로 나타낸 기존 세션을 관리 번호 2로 나타낸 통신의 데이터 전송용의 세션으로서 선택한다(단계 S707). 그리고, 처리는 후술하는 단계 S708로 진행한다.That is, for example, when attempting to start the communication indicated by the
또한,기존 세션을 선택한 경우에는, 세션이 UDP 프로토콜(비커넥션형 프로토콜) 통신에 기초하고 있으면 해당 세션을 절단할 필요는 없지만, 세션이 TCP 프로토콜(커넥션형 프로토콜) 통신에 기초하고 있으면 해당 세션을 절단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도 10a 내지 도 12b의 단계 S707에도 적용된다.If you select an existing session, you do not need to disconnect the session if the session is based on UDP protocol (non-connection protocol) communication, but if the session is based on TCP protocol (connection protocol)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o cut. This also applies to step S707 of Figs. 10A to 12B.
금회 취득한 서버 식별자(504)와 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와 관련된 기존 세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세션 관리부(403)는, 신규 세션을 확립하기 위해서 신규 소켓을 작성한다(단계 S704). 이 경우, 세션 관리부(403)는, 통신 라이브러리(104a)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에 의해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신규 소켓을 작성한다.If there is no existing session associated with the
다음으로,세션 관리부(403)는, 신규 소켓을 포함하는 신규 세션의 정보를, DB관리부(405)에 의해, 세션 관리 정보 DB(406)에 등록시킨다(단계 S705). 그리고,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에 의해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신규 세션을, 금회의 데이터 전송용의 세 션으로서 선택한다(단계 S706).Next, the
다음으로,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단계 S706 또는 단계 S707에서 선택된 세션에 의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서버 어플리케이션(108)에 전송한다(단계 S708).Next, the inter-process
또한,데이터 전송용의 세션으로서 신규 세션이 선택된 경우에는, 단계 S704 내지 S708에서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에 의해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와, 실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어드레스가 서로 동일해지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이렇게 신규 세션에 의한 통신 처리는, 종래의 프로세스간 통신 기술인 RPC(Remote Procedure Call)에서 행해진 것과 같다.In addition, when a new session is selected as the session for data transmiss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steps S704 to S708, the destination address specified by the
한편,기존 세션이 선택된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에 의해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와, 실제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어드레스가 서로 상이하다. 그러나,금회의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단계 S702에서 취득한 서버 식별자(504)와, 기존 세션의 서버 식별자(504)와는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클라이언트 PC(100)의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동일한 서버 PC(105)의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와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xisting session is selected, the destination address specified by the
이러한 이유로,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S707의 처리에서는, 금회의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취득한 서버 식별자(504)와 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와 관련된 기존 세션을 금회의 데이터 통신용의 세션으로서 선택하고 있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에 의해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소켓(세션)이 신규로 작성되지 않는다.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processing of step S707, an existing session associated with the
이렇게, 신규로 소켓을 작성하지 않고, 기존 세션에 의해 통신을 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 PC(100) 및 서버 PC(105)는, 통신 소켓수를 저감할 수 있어, 네트워크 리소스를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way, by communicating with an existing session without creating a new socket, the
다음으로,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의 클로즈 요구, 또는 통신 라이브러리(104a)로부터의 절단 요구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09). 상기 클로즈 요구 또는 절단 요구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701로 되돌아가서 단계S701~S709의 처리를 속행한다.Next, the inter-process
한편,클로즈 요구 또는 절단 요구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된 경우에는, 세션 관리부(403)는, 통신 라이브러리(104a)에 의해, 클로즈(절단) 요구와 관련된 어드레스의 세션 또는 소켓을 클로즈하기 위해 클로즈 처리를 행하게 한다(단계 S710). 그리고, 세션 관리부(403)는, 단계 S710에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DB 관리부(405)에 의해, 세션 관리 정보 DB(406) 내의 세션 관리 정보를 갱신하게 한다(단계 S711).On the other hand, when either a close request or a disconnect request is received, the
다음으로,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처리예를, 도 8a 내지 도 9b에 도시된 시퀀스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상기 기존 세션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의 처리 시퀀스를 나타내고 있다.Next, the processing example shown in FIG. 6 and FIG. 7 is demonstrated based on the sequence diagram shown in FIG. 8A-9B. 8A and 8B show a processing sequence when the existing session does not exist.
도 8a의 프로세스 P801에서는,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서버 어플리케이션(108)이 서비스를 개시하면,클라이언트 PC(100)로부터의 패킷 수신을 행하는 Listen 처리를 개시한다. 또한,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단계 S601에 있어서, 서버 식별자(504)로서 이용하는 UUID의 생성 처리를 행한다.In the process P801 of FIG. 8A, the server
또한,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프로세스 P801에 있어서, Listen 처리에서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에서의 수신을 행하기 위해 수신 소켓을 작성한다.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마찬가지로, IPv6 어드레스 [2001::10], 포트 번호 [1025]에 대한 수신 소켓도 작성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P801, the server
프로세스 P802에서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은,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에 대하여,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에의 접속을 요구한다. 프로세스 P803에서는,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이 접속 요구를 받고, 단계 S702의 서버 식별자(504)의 취득 처리를 행한다. 프로세스 P804에서는,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단계 S604의 서버 식별자(504)의 회신 처리를 행한다.In the process P802, the
또한,프로세스 P803 및 P804의 니고시에이션(negotiation)은,TCP 통신에 비교해서 신뢰성은 다소 뒤떨어지지만, 고속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UDP 통신을 이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TCP 통신을 이용해서 니고시에이션을 행해도 좋다. 이것은, 후술하는 도 9a, 도 9b, 도 11a, 도 11b, 도 13a 및 도 13b에 있어서의 니고시에이션에도 적용된다.Further, although the negotiations of the processes P803 and P804 are somewhat inferior to the TCP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UDP communication that enables high-speed communication. However, you may negotiate using TCP communication. This also applies to the negotiation in FIGS. 9A, 9B, 11A, 11B, 13A, and 13B described later.
프로세스 P805에서는,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단계 S703의 처리, 즉, 세션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와 관련된 기존 세션의 유무를 판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도 8a 및 도 8b의 시퀀스 예에서는, 이 처리에 있어서 기존 세션이 없다고 판정된다. 이 때문에, 프로세스 P806에서는, 단 계S704 내지 단계 S706의 신규 세션의 작성 처리가 행해진다.In process P805, the client
프로세스 P807에서는,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TCP 기반 accept 처리를 행하여 신규 세션용의 소켓을 작성한다. 프로세스 P808에서는,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에 대하여, 프로세스 P802에서의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행해진 접속 처리의 결과를 회신한다.In process P807, the server
프로세스 P809에서는, 단계 S708의 처리가 행해진다. 즉,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이 지정한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처리를 행한다.In process P809, the process of step S708 is performed. That is, the
이 송신 처리에 이어,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의 데이터량에 따라서, 프로세스 P810-1~프로세스 P810-n에서, 서버 PC(105)를 향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Following this transmission process, the
프로세스 P811에서는,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서버 어플리케이션(108)에 대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프로세스 P812에서는,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의 결과를 통지한다.In process P811, the server
또한,프로세스 P809~P810-n에 있어서의 실제의 데이터 통신은, UPD 통신에 비교해서 통신 속도는 저속이기는 하지만 신뢰성의 높은 TCP 통신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실제의 데이터 통신에 대해 UPD 통신을 이용할 수 도 있다. 이것은, 도 9a, 도 9b, 도 11a, 도 11b, 도 13a 및 도 13b에 있어서의 니고시에이션에도 적용된다.In addition, the actual data communication in the processes P809 to P810-n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highly reliable TCP communication, although the communication speed is lower than that of the UPD communication. However, UPD communication may be used for actual data communication. This also applies to the negotiation in FIGS. 9A, 9B, 11A, 11B, 13A, and 13B.
프로세스 P813에서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이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에 대하여,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의 절단(클로즈) 요구를 발행한다. 이 절단 요구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단계 S710의 절단 처리를 행한다.In process P813, the
프로세스 P814에서는,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로부터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의 접속 클로즈 지시를 받고, 세션의 절단 처리를 행한다. 프로세스 P815에서는,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단계 S711의 처리를 행하고,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에 대하여 해당 세션의 절단을 통지한다.In process P814, the server
도 9a 및 도 9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시스템이 실행하는, 기존 세션이 존재할 경우의 처리 시퀀스를 나타낸다. 도 9의 프로세스 P901에서는,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서버 어플리케이션(108)이 서비스를 개시하면,클라이언트로부터의 패킷을 수신하기 위해, Listen 처리를 개시하고, 단계 S601에서 서버 식별자(UUID)(504)를 생성한다.9A and 9B show a processing sequence when there is an existing session executed by the sess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process P901 of FIG. 9, when the
또한,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프로세스 P901에서는, Listen 처리에 의해,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에서의 수신 처리를 행하기 위해 수신 소켓을 작성한다.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마찬가지로, IPv6 어드레스 [2001::10], 포트 번호 [1025]에 대한 수신 소켓도 작성한다.In the process P901, the server
프로세스 P902에서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은,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에 대하여,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에의 접속 요구를 발행한다. 프로세스 P903에서는,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이 접속 요구를 받고, 단계 S702의 서버 식별자(504)의 취득 처리를 행한다. 프로세스 P904에서는,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단계 S604에서 응답으로서의 서버 식별자(504)의 회신 처리를 행한다.In process P902, the
프로세스 P905에서는,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단계 S703의 처리, 즉, 세션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시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와 관련된 기존 세션의 유무를 판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도 9a 및 도 9b의 시퀀스 예에서는, 프로세스 P905의 판정 처리에 있어서 기존 세션이 없다고 판정된다. 이 때문에, 프로세스 P906에서는, 단계 S704로부터 단계 S706의 신규 세션의 작성 처리가 행해진다.In process P905, the client
프로세스 P907에서는,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TCP 기반의 accept 처리에 의해 신규 세션용의 소켓을 작성한다. 프로세스 P908에서는,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프로세스 P802에서의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행해진 접속 처리의 결과를,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에 회신한다.In process P907, the server
프로세스 P909에서는, 단계 S708의 처리가 행해진다. 즉,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이 지정한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에 대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처리를 행한다. 이 송신 처리에 이어,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클라 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의 데이터량에 따라서, 프로세스 P910-1~프로세스 P910-n에서, 서버 PC(105)에 대해 데이터를 전송한다.In process P909, the process of step S708 is performed. That is, the
프로세스 P911에서는,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서버 어플리케이션(108)에 전송한다. 프로세스 P912에서는,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데이터 전송이 완료하면,데이터 전송의 완료를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에 통지한다.In process P911, the server
프로세스 P913에서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은,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에 대하여, IPv6 어드레스 [2001::10], 포트 번호 [1025]에의 접속을 위한 접속 요구를 발행한다. 프로세스 P914에서는,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이 접속 요구를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로부터 받고, 단계 S604에서 응답으로서의 서버 식별자(504)의 회신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은, IPv6 어드레스 [2001::10], 포트 번호 [1025]와 관련된 서버 식별자(504)을 취득한다.In step P913, the
프로세스 P915에서는,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단계 S703의 처리, 즉, 세션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시 획득된 것과 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와 관련된 기존 세션의 유무를 판정하는 처리를 행한다.In process P915, the client
도 9a 및 도 9b의 시퀀스 예에서는, IPv6 어드레스 [2001::10], 포트 번호 [1025]로 취득한 서버 식별자 "10"와 동일한 식별자가, 이미 세션을 확립하고 있는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로부터 회신된다. 따라서, 클라이언 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획득된 것과 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와 관련된 기존 세션이 존재한다고 판정하고, IPv6 어드레스 [2001::10], 포트 번호 [1025]에 대하여 세션을 확립하지 않는다.In the sequence example of Figs. 9A and 9B, the same identifier as the server identifier "10" obtained by the IPv6 address [2001 :: 10] and the port number [1025] is the IPv4 address [10.0.0.10], which has already established a session, Reply from port number [1025]. Accordingly, the client
이후,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초기의 IPv6 어드레스 [2001::10], 포트 번호 [1025]와 관련된 데이터를, IPv4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에 대하여 전송한다.Thereafter, the client
즉, 프로세스 P916에서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은,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에 대하여, IPv6 어드레스 [2001::10], 포트 번호 [1025]로 데이터 전송을 요구한다.That is, in process P916, the
이 데이터 전송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프로세스 P917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에 의해 지정된 IPv6 어드레스 [2001::10], 포트 번호 [1025]와 상이한 어드레스인,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에 대한 요구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한다.In response to this data transfer request, the client
프로세스 P918에서는,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의 데이터량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이 완료할 때까지 기존 세션을 이용하여 필요한 전송 처리를 반복한다.In the process P918, the client
프로세스 P919에서는,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서버 어플리케이션(108)에 전송한다. 프로세스 P920에서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은, 클라이언 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에 대하여,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에의 접속 절단(클로즈)을 지시한다. 이 절단 지시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단계 S710의 절단 처리를 행한다.In process P919, the server
프로세스 P921에서는,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로부터의 절단 지시를 받고,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에 대한 세션의 절단 처리를 행한다.In process P921, the server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 1a)에 의해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와 상이하지만 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와 관련된 어드레스에 대해 확립된 기존 세션을, 데이터 통신용의 세션으로서 이용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 existing session established for an address different from the destination address specified by the
이에 의해, 소켓 등의 네트워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거나, 저감할 수 있다. 후술되는 제2 및 제3 실시예도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network resources such as sockets can be efficiently used or reduced.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can also provide the same effects.
제1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이, 제1 세션을 절단했을 경우, 제1 세션을 기존 세션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a)은, 데이터 통신을 더 이상 행할 수 없다.In the first embodiment, for example, when the
그러나,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의 접속 요구 또는 클로즈 요구에 응답하여, 세션의 레퍼런스 카운터만을 증감하고, 레퍼런스 카운터가 0이 되었을 때에 실제로 세션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및 101a)이 세션을 공유한다고 하더라도, 세션의 절단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for example, in response to a connection request or a close request from the
따라서,제2 실시예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및 101a) 중 하나에 의해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와는 상이한 어드레스에서 확립된 기존 세션에서 데이터 송신을 행할 경우에도, 기존 세션에 의한 통신이 어플리케이션(101 및 101a) 중 다른 하나로부터의 절단 지시에 의해 무심코 절단되지 않도록 구성된다.Therefore, in the second embodiment, even when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in an existing session established at an address different from the destination address designated by one of the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세션 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가 행하는 세션 관리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시스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제3 실시예도 같음). 또한,도 10b에 있어서, 단계 S701~S711의 처리는, 도 7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의 단계S701~S711의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필요에 따라서만 주어질 것이다.10A and 10B are flowcharts showing session management processing performed by the client process
도 10b를 참고하면,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단계 S1001에서는, 단계S706 또는 단계S707에서 선택된 세션의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를 1만큼 증분시킨다. 이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는, 상기 레퍼런스 카운터 또는 도 4의 접속 레퍼런스 카운터에 상당하며, 절단 요구수를 카운트하는 것이다. 클라이언트 PC(100)의 세션 절단 관리부(407)는, 각 세션의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를 접속 레퍼런스 카운트 기억부(408)에 보존하고, 각 카운트에 기초하여 관련 세션을 절단할지를 판단한다.Referring to FIG. 10B, in step S1001, the inter-process
다음으로,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단계 S706 또는 단계 S707에서 선택된 세션에 의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및 101a)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서버 어플리케이션(108)에 전송한다(단계 708). 또한,단계 S707에서, 수신처 어드레스와 상이한 어드레스에서 확립된 기존 세션이 선택된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기존 세션의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를 1만큼 증분할 뿐, 신규 세션을 작성하지 않는다.Next, the inter-process
다음으로,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의 클로즈 요구 또는 통신 라이브러리(104a)로부터의 절단 요구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09). 클로즈 요구 또는 절단 요구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701로 되돌아가서, 단계 S701~S709의 처리를 속행한다.Next, the inter-process
한편,클로즈 요구 또는 절단 요구가 수신된 경우에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세션 관리부(403)로 하여금, 세션 절단 관리부(407)에게 클로즈 요구 또는 절단 요구와 관련된 어드레스에 대한 해당 세션을 클로즈하는 클로즈 처리를 행할 것을 요구하도록 시킨다(단계 S1002). 이 경우, 세션 절단 관리부(407)는, 접속 레퍼런스 카운트 기억부(408) 내의 해당 세션의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트를 1만큼 감소시킨다(단계 S1002).On the other hand, when a close request or a disconnect request is received, the inter-process
다음으로,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가 1만큼 감소된 후에 0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03). 카운트가 0이 되지 않았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S701로 되돌아간다.Next, the inter-process
한편,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가 0이 된 경우에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세션 관리부(403) 및 통신 라이브러리(104a)가 클로즈(절단) 요구와 관련된 세션 또는 소켓을 클로즈하는 클로즈 처리를 행하게 한다(단계 S710). 그리고, 세션 관리부(403)는, 단계 S710에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DB 관리부(405)가 세션 관리 정보 DB(406) 내의 세션 관리 정보를 갱신하게 한다(단계 S711).On the other hand, when the count of the close reference counter is 0, the inter-process
다음으로,도 10a 및 도 10b의 세션 관리 처리의 예를, 도 11a 및 도 11b의 시퀀스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도 11a 및 도 11b의 시퀀스는, 수신처 어드레스와 상이한 어드레스에서 확립된 기존의 세션에 의해 데이터 송신을 행할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하기와 같은 시퀀스에서, 기존 세션에 의한 통신이 무심코 불능이 되지 않도록, 기존 세션의 절단을 적절하게 행할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Next, an example of the session management processing of FIGS. 10A and 10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equence diagrams of FIGS. 11A and 11B. 11A and 11B show a case where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by an existing session established at an address different from the destination address. In the following sequence, a case where the existing session is appropriately disconnected is shown so that communication by the existing session is not inadvertently disabled.
즉, 프로세스 P1101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단계 S706에서 신규 세션이 확립되므로, 단계 S1001의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를 1만큼 증분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이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는, 접속 요구가 이루어지는 각 수신처 어드레스에 대해, 그 접속 요구수 및 절단 요구수를 계수하는 카운터로서 기능한다.That is, in the process P1101, the client
프로세스 P1102에서는, 단계 S707에서 수신처 어드레스와 상이한 어드레스에서 확립된 기존의 세션을 이용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신규 세션을 작성하지 않지만,단계S1001의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를 1만큼 증분시키는 처리를 행한다.In process P1102, an existing session established at an address different from the destination address is used in step S707. Accordingly, the client
이 시점에서, 접속 레퍼런스 카운트 기억부(408)에 기억되어 있는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는, 서버 식별자(504)가 "10"으로 할당된 서버 PC(105)에 대하여 "2"가 된다. 실제의 통신 어드레스는, IPv4 어드레스의 [10.0.0.10], 포트 번호 [1025]로 설정된다.At this time, the count of the close reference counter stored in the connection reference
수신처 어드레스로서는,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 이외에, IPv6 어드레스 [2001::10], 포트 번호 [1025]가 존재하고, 이들 어드레스는, 각각 접속 상태에서 존재하고 있다.As the destination address, in addition to the IPv4 address [10.0.0.10] and the port number [1025], an IPv6 address [2001 :: 10] and a port number [1025] exist, and these addresses exist in the connected state, respectively.
프로세스 P1103에서는,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에 대한 클로즈 처리를 행한다. 이때, 단계S1002의 처리가 행해져서, 해당 세션과 관련되어 접속 레퍼런스 카운트 기억부(408) 내에 기억된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가 1만큼 감소된다.In process P1103, the client
이 클로즈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 접속 레퍼런스 카운트 기억부(408) 내에 기억된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는, 서버 식별자가 "10"으로 할당된 서버 PC(105)에 대하여 1이 된다. 또한, 실제의 통신 어드레스는,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로 남아있다. 또한,수신처 어드레스로서는, IPv6 어드레스 [2001::10], 포트 번호 [1025]가 존재하고, 이 어드레스는 접속 상태에 있다.When this closing process is performed, the count of the close reference counter stored in the connection reference
프로세스 P1104에서는,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IPv6 어드레스 [2001::10], 포트 번호 [1025]에 대한 클로즈 처리를 행한다. 이때, 단계 S1002의 처리가 행해져서, 접속 레퍼런스 카운트 기억부(408) 내에 기억된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가 1만큼 감소된다.In process P1104, the client
이 클로즈 처리가 행해지면, 접속 레퍼런스 카운트 기억부(408) 내에 기억된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터는, 서버 식별자 "10"이 할당된 서버 PC(105)와 관련하여 0이 된다.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가 0이 되었기 때문에, 프로세스 P1105에 있어서, 단계 S710의 세션 클로즈 처리를 행한다. 본 예에서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은,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에 대하여, IPv6 어드레스 [2001::10], 포트 번호 [1025]에 대한 절단 지시를 행한다.When this closing process is performed, the counter of the close reference counter stored in the connection reference
그러나,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의 절단 지시를 받고, 실제의 통신 어드레스인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에 대하여 절단 처리를 행한다. 이 절단 처리는, 단계 S710 및 단계 S711에서 행해진다.However, the
다음으로,프로세스 P1106에 있어서,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는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로부터의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에 대한 절단 지시에 응답하여, 통신 라이브러리(104b)를 이용하여 관련 세션을 절단하는 절단 처리를 행한다.Next, in process P1106, the server
이것은, 다음을 의미한다: 즉,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와 상이한 어드레스에서 확립된 기존 세션에서 통신을 행하고 있을 때에, 해당 기존 세션을 절단하는 절단 지시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행되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에는, 해당 기존 세션이 절단되지는 않는다.This means the following: That is, when communicating in an existing session established at an address different from the destination address designated by one application, suppose that a disconnect instruction for disconnecting the existing session has been issued from another application. In this case, the existing session is not disconnected.
환언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처 어드레스와는 상이한 어드레스에서 확립된 기존 세션에서 데이터 송신을 행할 경우에도, 기존 세션에 의한 통신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절단 지시에 의해 무심코 절단되지 않는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even when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in an existing session established at an address different from the destination address, communication by the existing session is not inadvertently disconnected by a disconnect instruction from another application.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a)이 기존 세션으로서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고 있는 세션을 절단했을 경우,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a)은, 더이상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없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그러나,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의 동일한 서버에의 각 접속 요구 및 각 클로즈(절단) 요구에 응답하여, 해당 서버에의 기존의 세션에 제공된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를 증감시키고, 레퍼런스 카운터가 0이 되었을 때에만 실제로 세션을 절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에 의해 세션을 공유하더라도, 세션의 절단시에 상기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for example, the client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및 101a)이 각각 상이한 수신처 어드레스를 지정했을 경우라도, 동일한 세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실제로 통신에 이용하는 통신 어드레스는, 세션을 작성하기 위해 이용한 제1 수신처 어드레스로 설정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ven when the
그러나,세션을 작성하기 위해 이용된 제1 수신처 어드레스를 이용한 통신에서 통신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2 수신처 어드레스에서의 통신이 가능할 때라도, 원래 제2 수신처 어드레스를 지정했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제1 수신처 어드레스를 이용해 작성한 세션을 통해서는 더 이상 통신을 행할 수 없다.However, if a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in the communication using the first destination address used to create the session, even when communication at the second destination address is possible, the client application that originally specified the second destination address may select the first destination address. You can no longer communicate through the session you created.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세션에 그러한 통신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통신가능한 수신처 어드레스가 존재할 때는, 해당 세션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even when such a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in the session, when there is a destination address that can be communicated with, the communication in the session is enabled.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PC(100)의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401)가 행하는 세션 관리 처리의 플로우챠트이다. 또한,도 12a 및 도 12b에 있어서, 단계 S701~S711은, 도 7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의 단계 S701~S711과 동일하기 때문에, 모든 단계가 아니라 제3 실시예에 특유한 단계만을 설명한다.12A and 12B are flowcharts of session management processing performed by the
도 12b를 참조하면,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단계 S706 또는 단계 S707에서 선택된 세션에 의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서버 어플리케이션(108)에 전송한다(단계 S708).12B, the inter-process
다음으로,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데이터 전송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01). 데이터 전송에 성공하고 있는 경우에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의 클로즈 요구나, 통신 라이브러리(104a)로부터의 절단 요구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709).Next, the inter-process
한편,데이터 전송에 실패한 경우에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세션 관리부(403)에 의해, 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와 관련된 다른 수신처 어드레스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게 한다(단계 S1202).On the other hand, when the data transfer fails, the inter-process
그 결과, 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와 관련된 다른 수신처 어드레스가 존재하 지 않을 경우,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데이터 전송의 에러 처리를 행하고(단계 S1206), 처리가 단계 S709로 진행한다.As a result, when there is no other destination address associated with the
한편,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와 관련된 다른 수신처 어드레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세션 재접속 관리부(409)로 하여금, 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와 관련된 다른 수신처 어드레스에 재접속 세션을 확립하게 한다(S1203). 이 경우, 통신에 실패한 통신 어드레스와는 상이한 수신처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신규 소켓이 작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nother destination address associated with the
다음으로,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DB 관리부(405)에 의해, 재접속 세션을 세션 관리 정보 DB(406)에 등록한다(단계 S1204). 그리고,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재접속 세션을 데이터 전송용 세션으로서 선택한다(단계 S1205). 그 후, 처리는 단계 S708로 되돌아가고, 재접속 세션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한다.Next, the inter-process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 PC(105)과 클라이언트 PC 사이에서 행해지는 세션 관리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이 시퀀스에서는, 수신처 어드레스와 상이한 어드레스에서 확립된 기존의 세션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행할 경우에, 세션 재접속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도 13a 및 도 13b에 있어서 도 9a 및 도 9b의 처리 시퀀스와 마찬가지의 처리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13A and 13B are sequence diagrams showing session management processing performed between the
프로세스 P1301에서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단계 S1201의 데이터 전송 성공의 확인 처리를 행한다. 이 시점에서, 접속 레퍼런스 카운트 기억 부(408)가 기억하고 있는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는, 서버 식별자(504)가 "10"으로 할당된 서버 PC(105)에 대하여 2가 된다. 실제의 통신 어드레스는,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로 설정된다.In process P1301, the inter-process
또한,이 시점에서는,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 및 IPv6 어드레스 [2001::10], 포트 번호 [1025]의 2개의 수신처 어드레스가 각각 접속 상태로 존재한다.At this point, two destination addresses, an IPv4 address [10.0.0.10], a port number [1025], and an IPv6 address [2001 :: 10] and a port number [1025], respectively exist in the connected state.
본 시퀀스 예에서는, 프로세스 P1301에 있어서,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실제의 통신 어드레스인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이 실패라고 판단한다.In this sequence example, in process P1301, the inter-process
프로세스 P1302에서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세션 재접속 관리부(409)로 하여금, 단계 S1202의 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와 관련된 다른 수신처 어드레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한다.In process P1302, the inter-process
본 시퀀스 예에서는, 세션 재접속 관리부(409)는, 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와 관련된 다른 수신처 어드레스가 있다고 판정하고, 재접속 세션의 확립을 행한다.(프로세스P1303). 세션 재접속 관리부(409)는, DB 관리부(405)로 하여금, 재접속 세션을 세션 관리 정보 DB(406)에 등록하게 한다.In this sequence example, the
이 시점에서는, 접속 레퍼런스 카운트 기억부(408)가 기억하고 있는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는, 서버 식별자가 "10"으로 할당된 서버 PC(105)에 대하여 2로 유지된다.At this point in time, the count of the close reference counter stored in the connection reference
실제의 통신 어드레스는, IPv6 어드레스 [2001::10], 포트 번호 [1025]로 설 정된다. 또한,수신처 어드레스로서는, IPv4 어드레스 [10.0.0.10], 포트 번호 [1025], IPv6 어드레스의 [2001::10], 포트 번호 [1025]가 각각 접속 상태에서 존재한다.The actual communication address is set to an IPv6 address [2001 :: 10] and a port number [1025]. As the destination address, an IPv4 address [10.0.0.10], a port number [1025], [2001 :: 10] and a port number [1025] of the IPv6 address are present in the connected state, respectively.
프로세스 P1304에서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를, IPv6 어드레스 [2001::10], 포트 번호 [1025]를 이용하여 송신한다.In process P1304, the interprocess
따라서, 동일한 서버 식별자와 관련된 세션이 하나 이상의 접속 가능한 수신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및 101a)은, 통신 장애를 의식하지 않고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when a session associated with the same server identifier includes one or more connectable destination addresses, the
제1~3의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 PC(100)는, 서버 PC(105)로부터 취득한 서버 식별자, 즉, 서버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기존 세션의 유무를 판정한다.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그러나,이를 행하기 위해,서버 PC(105)에 서버 식별자(서버 식별 정보)를 회신하는 기능, 즉,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301)의 제어 하에 서버 식별자를 회신하는 서버 식별자 회신부(302)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다수의 클라이언트 PC와 통신하는 서버 PC(105)의 처리 부담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리소스의 유효 이용이 저해된다.However, in order to do this, a function of returning a server identifier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제4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PC(100)는, 서버 PC(105)로부터 취득한 서버 식별자에 기초하지 않고 기존 세션의 유무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클라이언트 PC(100)는 서버 PC(105)와 협동하지 않고 기존 세션의 유무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제4~6의 실시예에 따른 각 세션 관리 시스템을 적용한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의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4 is a diagram showing the software configuration of a client / server system to which each sess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to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4의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이 제1~3의 실시예에 따른 각 세션 관리 시스템을 적용한 도 1의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과 다른 점은, DNS(Domain Name System) 서버(1401)가 네트워크(106)에 접속되어 있는 점이다.The client / server system of FIG. 14 differs from the client / server system of FIG. 1 in which each sess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is applied to a
제4 실시예에서는, DNS 서버(1401) 등을 이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 PC(100)는, 서버 PC(105)와 협동하지 않고, 기존 세션의 유무를 판정한다. 또한,DNS 서버(1401)에서 동작하고 있는 DNS 서비스의 사양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기술 사양에 기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DNS 서버(1401)는, RFC(Request for comments) 1034나 RFC 1035 등으로 규정되어 있는 사양에 따라 어드레스 문제 해결 서비스를 제공한다.In the fourth embodiment, by using the
RFC 1034, RFC 1035 등에는, IPv4에 대응한 A 레코드의 사양 및 응답의 구현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 또한,RFC 1886 등에는, IPv6에 대응한 AAAA 레코드의 사양 및 응답의 구현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 이들 RFC는, http://www.ietf.org/rfc.htm1에서 참조될 수 있다.RFC 1034, RFC 1035, and the like describe the implementation of an A record specification and response corresponding to IPv4. Also, RFC 1886 and the like describe the implementation of the AAAA record specification and response corresponding to IPv6. These RFCs can be referenced at http://www.ietf.org/rfc.htm1.
도 1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시스템을 적용한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PC(100)의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의 상세한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FIG.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software configuration of the
클라이언트 PC(100)은,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스터브 오브젝트(도시 생략)을 통하여,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 및 통신 라이브러리(104a)를 이용하여 서버 PC(105)과 통신을 행한다.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제1~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 세션 관리부(403), 세션 관리 정보 DB(406) 및 세션 판정부(404)을 포함한다.The client
또한,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제1~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세션 절단 관리부(407) 및 세션 재접속 관리부(409)을 포함한다. 또한,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제4 실시예에 특유한 소프트웨어로서, 어드레스 리스트 취득부(1501) 및 어드레스 리스트 기억부(150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세션의 관리를 행하면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및 101a)과 서버 어플리케이션(108) 사이에서 행하는 통신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어드레스 리스트 취득부(1501)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및 101a)에 의해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와 관련된 1개 또는 복수의 어드레스를 DNS 서버(1401)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된 어드레스들을 어드레스 리스트 기억부(1502)에 순차적으로 기억한다. 이 어드레스 리스트 기억부(1502) 내에 기억된 어드레스 리스트 정보에 대해서는, 이후에 도 16 및 도 23에 기초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inter-process
세션 관리부(403)는, 세션 관리 정보 DB(406)에 등록되는 세션 관리 정보를 관리한다.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션 관리 정보에 대해서는, 이후에 도 17에 기초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세션 판정부(404)는, 어드레스 리스트 및 세션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신규 세션의 작성 처리나 기존 세션의 이용 가능성을 판단한다.The
세션 절단 관리부(407), 접속 레퍼런스 카운트 기억부(408) 및 세션 재접속 관리부(409)의 각각은, 제1~3 실시예와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Each of the session
다음으로,어드레스 리스트 기억부(1502)에 기억되어 있는 어드레스 리스트 정보를 도 16에 기초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어드레스 리스트 기억부(1502)에는, DNS 서버(1401)로부터 취득된 수신처(서버)에 관한 어드레스 리스트 정보가 순차 저장되어서, 데이터베이스로 형성된다.Next, the address list information stored in the address
서버 식별자(1601)는, 접속 요구원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이 지정한 수신처(접속처)와 관련된 서버(서버 PC(105))의 서버 식별자(서버 식별 정보)이다. 서버 식별자(1601)로서는, 예를 들면, 호스트명, NetBIOS명, 컴퓨터명,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 등이 있다.The
그러나,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서는, 어드레스 리스트 취득부(1501)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및 101a)이 상이한 형식의 서버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요구를 행한 경우에, 다른 형식의 서버 식별 정보를 호스트명으로 변환한다. 어드레스 리스트 취득부(1501)는, 호스트명의 어드레스 리스트를 DNS 서버(1401)로부터 취득한다.Howe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address
따라서, 도 16의 어드레스 리스트 정보에 있어서의 서버 식별자(1601) 각각은, 실제로는 호스트명으로 나태내어진다. 마찬가지로의 이유에서, 도 17의 세션 관리 정보에 있어서의 서버 식별자(504)도, 실제로는 호스트명으로 나타내어진다. 그러나,도 23의 어드레스 리스트 정보에 있어서의 각 서버 식별자(1601)는, 실제로는 호스트명의 형태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이 실제로 지정한 서버 식별자(서버 식별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Therefore, each
어드레스 취득 방법(1602)은, 관련 수신처(서버)의 어드레스를 DNS 서버(1401)로부터 취득할 때에 이용한 프로토콜이나 그 취득 방법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어드레스 종별(1603)은, DNS 서버(1401)로부터 실제로 취득한 어드레스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IP 어드레스(1604)는, DNS 서버(1401)로부터 실제로 취득한 어드레스(IP 어드레스) 자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The
도 16의 예에서는, 서버 식별자(1601)가 "AppServer: 호스트명"으로 나타내어지는 서버에 대해서는, 리스트 번호 1 및 4로 나타낸 통신을 위해 IPv4 어드레스 [10.0.0.10]을 취득하고 있다. 또한,서버 식별자(1601)가 "AppServer: 호스트명"으로 나타내어진 서버에 대해서는, 리스트 번호 2로 나타낸 통신을 위해 IPv6 어드레스 [2001::10]을 취득하고, 리스트 번호 3으로 나타낸 통신을 위해 IPv6 어드레스 [fe80::10]을 취득하고 있다.In the example of FIG. 16, for the server indicated by the
또한,서버 식별자(1601)가 "AppServer 2:호스트명"으로 나타내어지는 서버에 대해서는, 리스트 번호 5로 나타낸 통신을 위해 IPv4 어드레스 [10.0.0.20]을 취득하고, 리스트 번호 6으로 나타낸 통신을 위해 IPv6 어드레스 [2001::20]을 취득하고 있다.Further, for the server whose
도 17은, 세션 관리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어플리케이션 식별자(501)는, 접속 요구측에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을 식별하는 식별자(인스턴스 핸들)이다. 요구 어드레스 정보(502)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이 접속을 요구할 때에 접속처로서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이 수신처 어드레스(요구 어드레스 정보(502))는, 서버 식별 정보(호스트명, FQDN 등), IPv4 어드레스, IPv6 어드레스 등의 IP 어드레스(502a), 및 포트 번호(502b)를 포함하고 있다.17 is a diagram illustrating session management information. The
통신 어드레스 정보(503)는, 수신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기존 세션의 이용 가능성을 판단한 후에, 실제로 통신을 위해 선택된 세션의 접속처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이 통신 어드레스 정보(503)는, IP 어드레스(503a) 및 포트 번호(503b)를 포함하고 있다.The
서버 식별자(504)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이 DNS 서버(1401)에 대하여 접속처의 어드레스 리스트를 공급하도록 요청한 서버의 서버 식별자(본 예에서는, 호스트명)를 나타낸다. 세션 번호(505)는, 통신을 실제로 행하는 세션의 관리 번호(세션 식별 인스턴스 핸들)를 나타낸다.The
다음으로,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의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가 행하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처리를, 도 18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또한,도 18에서는, 도 7과 동일한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붙이고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도 20, 도 21, 도 22a, 도 22b, 도 26a, 도 26b 및 도 27에도 동일하게 적용).Next, the session management processing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performed by the inter-process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의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서버 PC(105)의 서버 어플리케이션(108)에 대한 접속 요구를 접수한다(단계 S701). 이 접속 요구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 발행된다.The interprocess
다음으로,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어드레스 리스트 취득부(1501)에게 수신처 어드레스에 관한 어드레스 리스트를 취득시킨다(단계 S1801).Next, the inter-process
이 경우, 어드레스 리스트 취득부(1501)는, 통신 라이브러리(104a)를 이용하여, 네트워크(106)을 경유하여 DNS 서버(1401)에 대하여, 어드레스 리스트 상의 A 레코드나 AAAA 레코드 등의 취득 요구를 발행한다. DNS 서버(1401)는, 어드레스 리스트 취득부(1501)로부터의 어드레스 리스트 취득 요구에 응답하여, 관련된 어드레스 리스트를 회신한다.In this case, the address
또한,어드레스 리스트 취득부(1501)는, 단계 S1801에서는, DNS 서버(1401) 이외에, 각종의 어드레스 문제 해결 서비스를 이용해서 어드레스 리스트 취득 처리를 행한다. 어드레스 문제 해결 서비스로서는, 예를 들면, LLMNR(Link Local Multocast Name Resolution) 및 NetBIOS에 의한 브로드 캐스트 탐색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1801, the address
어드레스 리스트 취득부(1501)는, 수신처 어드레스 중에서 서버 식별 정보로서 "Numeric host address"가 지정된 경우에는, 그 "Numeric host address"를 호스트명으로 변환해서 어드레스 리스트 취득 처리를 행한다.When "Numeric host address" is specified as the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destination address, the address
단계 S1801에서 행해진 어드레스 리스트 취득 처리의 상세를, 도 19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해서 설명한다.Details of the address list acquisition process performed in step S1801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lowchart of FIG. 19.
어드레스 리스트 취득부(1501)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의 수신처 정보 중에서, 호스트명 형식의 서버 식별 정보 및 어드레스 형식의 서버 식별 정보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 서버를 지정할 것인지를 판별한다(단계 S1901). 여기에서 "어드레스"란, "Numeric host address"를 가리킨다.The address
어드레스 형식의 서버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는, 어드레스 리스트 취득부(1501)는, 해당 어드레스와 관련된 호스트명을 DNS 서버(1401) 상에서 검색한다(단계 S1902). 이 경우, 어드레스 리스트 취득부(1501)는, 예를 들면, C/C++의 소켓 프로그래밍에서는,getnameinfo() 함수에 의해, 해당 지정 어드레스와 관련된 호스트명을 검색한다.When the server is designated using the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address format, the address
다음으로,어드레스 리스트 취득부(1501)는, 어드레스 취득 함수에 기초하여 검색된 호스트명을 지정함으로써, 해당 호스트명과 관련된 서버의 어드레스 리스트를 DNS 서버(1401)로부터 취득한다(단계 S1903). 이 경우, 예를 들면, C/C++의 소켓 프로그래밍에서는,getaddrinfo() 함수의 ai_family에 값 AF_UNSPEC를 설정해서 그 함수의 호출을 행함으로써, 호스트명과 관련된 어드레스 리스트를 취득한다.Next, the address
한편,호스트명의 형식의 서버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1902을 스킵해서 단계 S19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903의 처리가 종료하면, 어드레스 리스트 취득부(1501)는, 상기 호스트명 및 해당 호스트명과 관련된 어드레스 리스트를 어드레스 리스트 기억부(1502)에 등록하고(단계 S1904), 처리는 도 18의 주요 처리로 리턴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server is specified using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host name, the process skips step S1902 and proceeds to step S1903. When the process of step S1903 ends, the address
그 후, 세션 판정부(404)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의 제어 하에, 단계 S1801에서 취득된 어드레스 리스트와 세션 관리 정보 DB(406)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존 세션의 이용 가능성을 판정한다(단계 S1802).Then,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r-process
이 경우, 세션 판정부(404)는, 취득한 어드레스 리스트에 기재된 어드레스와 관련하여 세션 관리 정보 DB(406)에 등록되어 있는 기존 세션이, 동일 호스트명의 호스트(서버)와 관련된 기존 세션으로서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In this case, the
즉, 세션 판정부(404)는, 취득한 어드레스 리스트(1개의 어드레스만을 포함할 수도 있음)를 취득할 때 이용되는 어드레스와는 상이한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현재 통신을 행하고 있는 기존 세션 중에서, 어드레스 리스트가 취득된 서버와 동일한 서버와 관련된 세션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그 결과, 동일한 서버와 관련된 기존 세션이 존재할 경우에는, 세션 판정부(404)는, 기존 세션을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한다.In other words, the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어드레스 리스트는, 서버 식별 정보를 호스트명으로 통일 변환한 상태로 취득되어 있다. 따라서, 세션 판정부(404)는, 호스트명에 기초하여 서버를 식별한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address list is obtained in the state of uniformly converting the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o the host name. Therefore, the
이것은, 실질적으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및 101a)이 접속 요구시에 지정한 수신처 어드레스와 관련된 서버 식별 정보가 서로 상이해도, 동일한 서버에 관련된 서버 식별 정보이면, 동일한 식별 정보로서 취급하는 것을 의미한다.This substantially means that if the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destination address specified by the
이에 의해,상이한 서버 식별 정보에 의해 서버가 지정되더라도, 기존 세션의 이용 가능성을 적절하게 판정할 수 있어,네트워크 리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이점에 대해서는, 나중에, 도 2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s a result, even if a server is designated by different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availability of an existing session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which makes it possible to use network resources more efficiently. This advantage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그 후,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기존 세션이 이용 가능할 경우에는, 그 기존 세션을 금회에 행해지는 데이터 전송용의 세션으로서 선택한다(단계 S1803).Thereafter, when the existing session is available, the inter-process
예를 들면, 도 17의 세션 관리 정보예에서는, 관리 번호 1과 2로 표시한 세 션은,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으로부터 지정된 각각의 상이한 수신처 어드레스에 대한 세션이다. 그러나, 관리 번호 2의 경우, 이미 확립된 기존 세션으로서, 동일한 서버 식별자 "AppServer"와 관련된 기존 세션(관리 번호 1과 관련되고 세션 번호 1이 할당되어 있음)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경우,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신규인 세션을 작성하지 않고, 해당 기존 세션을 데이터 전송용의 세션으로서 선택한다.For example, in the example of session management information in Fig. 17, sessions indicated by
도 16의 어드레스 리스트의 예에서는, IP 어드레스 [10.0.0.10] 및 [2001::10] 은, 동일한 서버 식별자 "AppServer"와 관련되기 때문에,상기한 바와 같이, 동일한 서버 식별자와 관련된 기존 세션이 존재한다고 판정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the address list of Fig. 16, since the IP addresses [10.0.0.10] and [2001 :: 10] are associated with the same server identifier "AppServe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xisting session associated with the same server identifier. Can be determined.
도 16 및 도 17의 예에서는, 리스트/관리 번호 2와 관련된 어드레스 [2001::10]에의 접속 요구에 관한 통신에 대해서는, 어드레스 [2001::10]과 관련된 것과 동일한 서버 식별자 "AppServer" 및 관리 번호 1과 관련된 어드레스 [10.0.0.10]의 기존 세션을 이용해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진다.In the examples of Figs. 16 and 17, for the communication regarding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address [2001 :: 10] associated with the list /
따라서, 기존 세션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클라이언트 PC(100) 및 서버 PC(105)는, 수신처 어드레스에 대한 통신 소켓을 새롭게 작성할 필요가 없어지고, 해당 통신 소켓 등의 네트워크 리소스를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by using the existing session, the
도 18에 있어서의 단계 S704, S705, S708~S711은, 도 7의 동일 단계 번호로 표시된 단계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Steps S704, S705 and S708 to S711 in FIG. 18 are the same as the steps indicated by the same step numbers in FIG. 7, and therefor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으로,제1, 제2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이 상이한 서버 식별 정보(호스트명, FQDN 등)에 의해 서버를 각각 지정했을 경우 설명이 제공된다.Next, a description is provided when the first and second client applications respectively designate the server by different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host name, FQDN, etc.).
상술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서는, 수신처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버 식별 정보가 서로 다르더라도, 서버 식별 정보가 동일 서버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라면, 동일한 서버 식별 정보로서 취급함으로써, 기존 세션의 이용 가능성을 적절하게 판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ourth embodiment, even if the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d to designate a destination is different, if the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for identifying the same server, use of the existing session is handled as the same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possibility can be determined appropriately.
도 23은, 이와 같은 경우에 취득된 어드레스 리스트 정보를 예시한 것이다. 도 23의 정보 항목은, 도 16의 어드레스 리스트 정보의 정보 항목과 완전히 동일하므로, 동일한 정보 항목에 각각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도 23의 어드레스 리스트 정보에 있어서의 서버 식별자(1601)는, 상이한 형식으로 지정된 서버 식별 정보를 호스트명으로 통일 변환하여 얻어진 호스트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설명의 편의상, 그 변환 전의 지정을 위해 초기에 이용된 서버 식별 정보에 의해 표시된다.Fig. 23 illustrates the address list information obtained in such a case. Since the information items in FIG. 23 are exactly the same as the information items in the address list information in FIG. 16, the same information item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signs, an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owever, the
도 23의 예에서는, 서버 식별자 "AppServer.foo.test"로 식별된 서버 및 서버 식별자 "AppServer"로 식별된 서버가, 동일한 IP 어드레스 "fe80::10"과 관련된다(리스트 번호 2, 3 참조).In the example of FIG. 23, the server identified by the server identifier "AppServer.foo.test" and the server identified by the server identifier "AppServer" are associated with the same IP address "fe80 :: 10" (see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 식별자 "AppServer.foo.test"와 "AppServer"가 호스트명으로 통일 변환되어 이들 서버가 동일한 서버로 취급된다. 그리고, 세션 판정부(404)는, 실질적으로 단일인, 이들 양방의 서버 식별자 를 포함하는 어드레스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기존 세션의 이용 가능성을 판정 한다.In such a case, 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identifiers "AppServer.foo.test" and "AppServer" are uniformly converted into host names, and these servers are treated as the same server. And the
예를 들면, 접속 요구시의 수신처정보 중에서 서버 식별자 "AppServer.foo.test"가 지정되어 있지만, 해당 서버 식별자와 관련된 IP 어드레스에 대한 기존 세션이 없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서버 식별자 "AppServer.foo.test"와 동일한 서버를 식별하는 서버 식별자 "AppServer"와 관련된 기존 세션으로서, IP 어드레스 [2001::10]에 대한 세션이 존재하는 것으로도 가정한다.For example, suppose that the server identifier "AppServer.foo.test" is specified i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t the time of the connection request, but there is no existing session for the IP address associated with the server identifier. In this case, it is also assumed that there is a session for the IP address [2001 :: 10] as an existing session associated with the server identifier "AppServer" that identifies the same server as the server identifier "AppServer.foo.test".
이와 같은 경우, 세션 판정부(404)는, 서버 식별자 "AppServer.foo.test"를 이용한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서버 식별자 "AppServer"와 관련된 IP 어드레스 [2001::10]에 대한 기존 세션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한다.In such a case,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서버 식별자는 서로 상이하지만,동일 서버와 관련된 서버 식별자에 대해서는, 동일한 서버 식별자로서 취급함으로써, 상이한 서버 식별자에 의해 서버를 지정했을 경우에도, 서버에 기존 세션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소켓 등의 네트워크 리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identifie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However, by treating the server identifiers associated with the same server as the same server identifier, even if a server is designated by a different server identifier, an existing session can be used for the server. Network resources such as sockets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제1~4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과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a)이 각각 상이한 수신처 어드레스를 지정했을 경우에도, 양자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세션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최초에 확립된 세션(동일한 세션)에 대한 수신처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실제의 통신을 행한다.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even when the
그러나,최초에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를 가지고 행해진 통신에 있어서, 통신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다른 어드레스를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여도, 동일 세션으로 통신을 행하는 다른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도 통신 불능이 된다.However, in the communication performed with the initially designated destination address, when a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even if communication using a different address is possible, other client applications that communicate in the same session also become incapable of communicati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제5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애가 발생해도, 접속 가능한 다른 어드레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접속 가능한 다른 어드레스에 대해 세션을 확립해서 통신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fifth embodiment, even if a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when there is another address that can be connected, a session is established to communicate with another address that can be connected.
다음으로,제5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PC(100)의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가 행하는 세션 관리 처리를, 도 20 및 도 21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도 20 및 도 21의 플로우차트는, 도 18의 플로우차트와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도 20 및 도 21에서는, 도 18과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제4 실시예와의 상위점만을 설명할 것이다.Next, session management processing performed by the inter-process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도 21의 단계 S2001에 있어서, 단계 S708에서 선택된 세션을 이용하여 행한 데이터 전송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 결과, 데이터 전송에 성공한 경우에는, 단계 S709~S711의 처리를 행한다.In step S2001 of FIG. 21, the inter-process
한편,데이터 전송에 실패한 경우에는, 세션 판정부(404)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의 제어 하에, 세션 관리 정보 DB(406) 내의 동일한 서버 식별 정보(호스트명 등)와 관련된 다른 어드레스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2002). 그 결과, 동일한 서버 식별 정보와 관련된 다른 어드레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데이터 전송의 에러 처리를 행하고(단계 S2006), 단계S709로 진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data transmission fails, the
한편,동일한 서버 식별 정보와 관련된 다른 어드레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동일한 서버 식별 정보(호스트명)와 관련된 다른 어드레스에 다시 접속하기 위한 세션을 확립한다(단계 S2003). 이 경우,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동일한 서버 식별 정보(호스트명)와 관련된 다른 어드레스에 대한 신규 소켓을 작성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nother address associated with the same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inter-process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동일한 서버 식별 정보(호스트명)와 관련된 다른 어드레스가 복수개 존재할 때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이 지정한 어드레스에 대한 세션을 우선적으로 확립한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ifferent addresses associated with the same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host name), the inter-process
다음으로,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세션 관리부(403)에 의해, 재접속에 대한 세션의 정보를 세션 관리 정보 DB(406)에 등록하게 한다(단계 S2004). 그리고,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재접속에 대한 세션을 데이터 전송용의 세션으로서 선택하고(단계 S2005), 처리는 단계 S708로 되돌아간다.Next, the inter-process
상술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세션에서 데이터 전송을 행하고 있을 때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동안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은 통신을 속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5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애에 강해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이 높은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even when a failure occurs while communicating using one application when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in the same session, the other application (s) can continue the communication. . Therefore, in the fifth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communication system which is resistant to communication disturbance and has high reliability of data transmission.
제4 및 제5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01)이 제1 세션을 절단 하는 경우,제1 세션을 이용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a)은 통신을 행할 수 없게 된다.In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for example, when the
제6 실시예에서는, 이 문제를 다음과 같이 해결하고 있다. 즉,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세션의 클로즈 요구를 받을 때마다, 각 세션을 클로즈하지 않 고, 각 세션에 제공된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에 기초하여 각 세션을 클로즈하고 있다. 제6 실시예에서는, 접속 레퍼런스 카운트 기억부(408)에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를 기억시킨다.In the sixth embodiment, this problem is solved as follows. In other words, the inter-process
제6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션 관리 처리를, 도 22a 및 도 22b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도 22a 및 도 22b의 플로우차트는, 도 18의 플로우차트와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도 22a 및 도 22b에서는,도 7 및 도 18과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제4 실시예와의 상위점만을 설명한다.The session management processing in the six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lowcharts in FIGS. 22A and 22B. 22A and 22B partially coincide with the flowchart of FIG. 18. Therefore, in FIG. 22A and FIG. 22B, about the same step as FIG. 7 and FIG. 18, the same step number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Hereinafter, only differences from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세션 절단 관리부(407)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의 제어 하에, 도 22b의 단계 S2201에 있어서, 단계 S706 또는 S707에서 선택된 세션에 대한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를 1만큼 증분시킨다. 이때, 세션 절단 관리부(407)는, 1만큼 증분된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를 접속 레퍼런스 카운트 기억부(408)에 보존한다.Under the control of the inter-process
다음,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단계 S706 또는 S707에서 선택된 세션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행한다(단계 S708). 다음으로,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으로부터의 클로즈 요구 또는 통신 라이브러리(104a)로부터의 절단 요구를 받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09). 상기 클로즈 요구 또는 절단 요구를 받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701로 되돌아간다.Next, the inter-process
한편,상기 클로즈 요구 또는 절단 요구 중 어느 하나를 받은 경우에는, 세 션 절단 관리부(407)는, 그 요구와 관련된 어드레스에 대해 확립된 세션의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를 1만큼 감소시킨다(단계 S2202). 상술한 바와 같이, 세션 절단 관리부(407)는, 세션과 관련된 수신처 어드레스마다, 해당 수신처 어드레스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를 1만큼 증분시키고, 절단 요구에 응답하여 1만큼 감소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either of the close request or the disconnect request is received, the session cut
그 후,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가1만큼 감소되는 것에 의해,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가 0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203).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가 0이 아니면, 처리 단계 S701로 되돌아간다.Thereafter, the inter-process
한편,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의 카운트가 0이면, 처리가 단계 S710로 진행하고,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클로즈 요구 또는 절단 요구와 관련된 어드레스의 세션 및 소켓의 클로즈 처리를 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unt of the close reference counter is zero,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10, and the inter-process
상기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 따르면, 세션의 클로즈 요구를 받을 때마다 각 세션을 클로즈하지 않고, 세션에 제공되는 클로즈 레퍼런스 카운터에 기초하여 세션을 클로즈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the session is closed based on the close reference counter provided to the session, instead of closing each session each time a session close request is received.
따라서, 상이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세션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한쪽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절단 지시에 의해, 다른 쪽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이 데이터 전송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소켓 등의 네트워크 리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when different client applications transmit data using the same session, the disconnection instruction from one client application can prevent the other client application from being unable to transmit data. This makes it possible to use network resources such as sockets more efficiently.
제1~6 실시예에서는, 기존 세션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그 기존 세션을 이용해서 통신을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먼저 개시된 제1 통신에 대해 확립된 기존 세션에 비해, 나중에 개시되는 제2 통신에 대해 본래 확립되어야 할 신규 세션이, 통신 속도, 통신을 행할 때 경유하는 라우터의 수 등의 관점에서 통신 효율이 좋은 경우가 있다.In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when an existing session can be used, communication is always performed using the existing session. However, compared to the existing session established for the first communication that was first started,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in terms of the communication speed, the number of routers through which the new session, which should be originally established for the second communication that is started later, and the like are communicated. This is a good case.
이러한 이유로,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서는, 이용 가능한 세션이 있는 경우라도, 금회의 통신에서 확립되어야 할 신규 세션이 기존 세션보다도 통신 효율이 좋을 경우에는, 신규 세션을 확립해서 통신을 계속하도록 하고 있다.For this reason, in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re is a session available, if a new session to be established in this communication has a better communication efficiency than the existing session, a new session is established to continue communication. have.
상기 통신 효율을 판정하기 위해서, 제7 실시예에서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에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의 제어 하에 회선 정보를 취득하는 회선 정보 취득부(2401)를 설치하고 있다.In order to determine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in the seven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24, the lin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line information is controlled by the inter-process
클라이언트 PC(100)의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제1 실시예의 대응 부분과 거의 마찬가지이므로, 이하에서는 상위점만을 설명한다. 또한,도 24에서는 도 4의 세션 절단 관리부(407), 접속 레퍼런스 카운트 기억부(408), 및 세션 재접속 관리부(409)가 도시 생략되어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Since the other software configuration of the
회선 정보 취득부(2401)는, 네트워크(106) 상의 수신처 어드레스에 대한 통신 루트의 회선 정보를, 통신 라이브러리(104a)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회선 정보 취득부(2401)는, DB 관리부(405)를 통하여, 그 회선 정보를 세션 관리 정보로서 세션 관리 정보 DB(406)에 등록한다.The line
회선 정보 취득부(2401)가 취득하는 회선 정보는, IPv6 헤더의 Traffic Class, Flow Label, 및 Hop Limit, IPv4 헤더의 Service Type 및 Time To Live, 및 추가의 통신 대역을 포함한다.The lin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line
회선 정보 취득부(2401)는, IP 프로토콜의 Path MTU(Maximum Transmission Unit)Discovery를 이용한 Path MTU를 검출할 수 있다. Path MTU Discovery는 1회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전송가능한 데이터그램의 최대값을 자동적으로 검출한다. Path MTU Discovery에 관해서는, RFC(Request for Comments)에서 규정되어 있다.The line
회선 정보 취득부(2401)는, RFC 1981에 규정된 Path MTU Discovery for IP version 6, RFC 1191에 규정된 Path MTU Discovery 등을, 통신 라이브러리(104a)로부터 취득한다.The line
또한,회선 정보 취득부(2401)는, 통신 대역에 관해서는, 클라이언트 PC(100)에 장착된 네트워크 카드의 대역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회선 정보 취득부(2401)는, RFC 2205에 규정되어 있는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이 제어하는 대역의 대역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The line
도 25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세션 관리 정보를 제시한 도면이다. 이 세션 관리 정보는, 세션 관리 정보 DB(406)에 데이터베이스로서 등록되어 있다.25 is a diagram showing session management information used in the sess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This session management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session
도 25에 나타낸 제7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세션 관리 정보가, 도 5에 나타낸 제1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세션 관리 정보와 구별되는 점은, 도 5의 세션 관리 정보와 동일한 데이터 항목에 회선 정보(2501)가 부가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회선 정보(2501)는, 클라이언트 어플리 케이션(101 또는 101a)이 접속 요구를 행했을 때에 수신처로서 지정한 수신처 어드레스, 및 관련된 포트 번호에 대한 통신 루트의 회선 상태를 나타낸다.The session management information used in the sess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shown in FIG. 25 is distinguished from the session management information used in the sess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회선 정보(2501)는, 예를 들면, 대역 정보(2501a), 라우터 수(2501b), Path MTU(2501c)를 포함한다. 그러나,이들 정보 이외의 회선 정보를 이용해서 통신 효율을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다음으로,제7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시스템에 의한 세션 관리 정보를, 도 26a, 도 26b 및 도 27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본 플로우차트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플로우챠트와 동일한 다수의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단계에 대해서는, 동일 대응 단계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Next, session management information by the sess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lowcharts of FIGS. 26A, 26B, and 27. This flowchart includes the same number of processing steps as the flowchart of FIG. 7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se steps are denoted by the same corresponding step symbols and their description is omitted.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단계 S702에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에 의해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에 따라, 서버 PC(105)로부터 서버 식별자를 취득한다. 또한,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회선 정보 취득부(2401)에 의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에 의해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에 대한 통신 루트에 따른 회선 정보를 취득하게 한다(단계 S2601).The inter-process
이 경우, 회선 정보 취득부(2401)는, getsockopt 함수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PC(100)의 OS 상의 소켓 라이브러리로부터, 상기 통신 루트 상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회선 정보 취득부(2401)는, 상기 OS 상의 통신 라이브러리(104a)로부터 Path MTU Discovery를 취득하고, 이 Path MTU Discovery를 이용해서 상기 통신 루트에 관한 Path MTU(2501c)를 취득할 수도 있다. 또한,회선 정보 취득부(2401)는, IPv4 헤더의 TTL(Time To Live) 정보나, IPv6 헤더의 Hop Limit 정보 를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line
다음으로,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세션 관리부(403)에 의해, 단계S702에서 취득한 서버 식별자(504)와 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와 관련하여 확립된 기존 세션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단계 S703).Next, the inter-process
이 경우, 세션 관리부(403)는, DB 관리부(405)를 통해, 세션 관리 정보 DB(406)로부터 세션 관리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세션 관리부(403)는, 취득한 세션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현재 통신 중인 기존 세션 중에, 금회의 접속 요구시에 취득한 서버 식별자(504)와 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와 관련된 기존 세션이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 이 판정 처리는, 실제로는, 세션 판정부(404)가 행한다.In this case, the
단계 S702에서 취득한 서버 식별자(504)와 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와 관련된 기존의 세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처리가 단계 S2602로 진행한다.If there is an existing session associated with the
단계 S2602에서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세션 판정부(404)에 의해, 이미 접속된 기존 세션의 회선 상태와, 금회 접속 요구시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에 관한 회선 상태를 비교하여, 후자쪽이 양호한지를 판별한다.In step S2602, the interprocess
도 25의 세션 관리 정보의 예에서는, 각각 관리 번호 1 및 2로 할당된 통신은, 어드레스가 상이하지만 서버가 동일한 서버 식별자를 갖는 어드레스에 대하여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행된 접속 요구에 기초하고 있다. 이 양자의 통신을 Path MTU(2501c)의 관점에서 비교하면, 관리 번호 1의 Path MTU(2501c)는 1500이고, 관리 번호 2의 Path MTU(2501c)는 9000이다. 이로부터, Path MTU가 큰(즉, 통신 오버헤드가 작은) 관리 번호 2의 회선 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별된다.In the example of session management information in FIG. 25, the communication assigned to
또한,양자의 통신을 라우터 수(2501b)의 관점에서 비교하면, 관리 번호 1의 라우터 수는 3이고, 관리 번호 2의 라우터 수는 1이다. 이로부터, 통신을 행하기 위해 경유하는 라우터 수가 작은(즉, 통신 오버헤드가 작은) 관리 번호 2의 회선 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별된다. 또한,대역 정보(2501a)의 취득 방법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In addition, when the quantum communication is compared in terms of the number of
대역 정보(2501a), 라우터 수(2501b) 및 Path MTU(2501c)에 기초한 각각의 방법에 의한 회선 상태의 양호성의 판별 결과가 서로 모순되는 경우가 상정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는, 판별 결과를 종합해서 총 통신 오버헤드에 기초하여 판별을 행할 수 있다.It may be assumed that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goodness of the line state by each method based on the
또한,대역 정보(2501a), 라우터 수(2501b) 및 Path MTU(2501c) 이외의 통신 조건에 기초하여 회선 상태의 양호성을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통신 루트의 트래픽 등의 시시각각 변화하는 통신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유저의 지정에 의해, 대역 정보(2501a), 라우터 수(2501b) 및 Path MTU(2501c)를 포함하는 파라미터 각각에 대해서 가중치 부여를 하여 얻어진 총 통신 오버헤드에 기초하여 회선 상태의 양호성을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goodness of the line state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other than the
금회 접속 요구시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에 관한 회선 상태가, 이미 접속된 기존 세션에 관한 회선 상태보다도 양호한 경우에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세션 관리부(403)에 의해, 신규로 세션을 확립시킨다(단계 S2603). 이 경우, 세션 관리부(403)는, 통신 라이브러리(104a)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 션(101 또는 101a)에 의해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신규 소켓을 작성한다.If the line state for the destination address specified at the time of this connection request is better than the line state for the existing session already connected, the inter-process
다음으로,세션 관리부(403)는 신규 소켓을 포함하는 신규 세션의 정보를, DB 관리부(405)에 의해, 세션 관리 정보 DB(406)에 등록시킨다(단계 S2604). 그리고,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에 의해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에 대해 확립된 신규 세션을, 금회의 데이터 전송용의 세션으로서 선택한다(단계 S2605).Next, the
다음으로,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데이터 전송을 행하고 있는 통신의 동일 서버에 따른 기존 세션을 신규 세션으로 변경한다(단계 S2606). 그리고,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세션 관리 정보 DB(406)로부터 기존 세션을 삭제한다(단계 S2607).Next, the inter-process
도 25의 세션 관리 정보의 예에서는, 관리 번호 3과 관리 번호 2로 나타낸 통신에 대해서는, 관리 번호 2의 통신이 더 양호한 회선 상태에 있다. 이 회선 상태에 있어서, 관리 번호 3 및 관리 번호 2의 순서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이 접속 요구를 발행한다고 가정한다.In the example of the session management information of FIG. 25, for the communication indicated by the
이 경우, 우선,관리 번호 3으로 나타낸 세션이 신규로 작성된다. 이 세션에서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이 실제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통신 어드레스는, [2001::20], 포트 번호 1025가 된다.In this case, first, a session indicated by the
그 후, 관리 번호 2의 접속 요구가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a)로부터 발행되면,관리 번호 2의 회선 상태가 관리 번호 3의 회선 상태보다도 양호하므로, 관리 번호 2에 대한 세션이 신규로 작성된다.After that, when the connection request of the
그 후, 단계 S2605~S2607의 처리에 의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및 101a)에 따른 후속 데이터 전송은, 관리 번호 2의 신규 세션을 이용하여 통신 어드레스 [2001::10], 포트 번호 1025로 행해진다.Subsequently, by the processing of steps S2605 to S2607, subsequent data transfer in accordance with the
이미 접속된 기존 세션의 회선 상태가, 신규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에 관한 회선 상태보다도 양호한 경우에는, 처리가 단계 S707로 진행한다. 이 단계 S707에서는, 프로세스간 통신 제어부(401)는, 금회 루프의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취득된 서버 식별자(504)와 동일한 서버 식별자(504)와 관련된, 상기 미리 접속된 기존 세션을 금회의 데이터 통신용의 세션으로서 선택한다.If the line state of the existing session already connected is better than the line state for the newly designated destination addres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07. In this step S707, the inter-process
다음으로,회선 정보(2501)에 포함되는 대역 정보(2501a)의 취득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대역 정보(2501a)는, 도 26a의 단계 S2601에 있어서, 회선 정보 취득부(2401)가,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또는 101a)에 의해 지정된 수신처 어드레스에 따라서 취득한다.Next, the acquisition method of the
이 경우, 회선 정보 취득부(2401)는 LinkSpeed 취득 함수에 의해, 클라이언트 PC(100)의 네트워크 어댑터의, 송신원 어드레스로부터 수신처 어드레스에 링크할 때의 속도를 나타내는 LinkSpeed를, 클라이언트 PC(100)상의 OS 상의 소켓 라이브러리로부터 취득한다.In this case, the line
또한,회선 정보 취득부(2401)는, 네트워크 기기의 QoS(Quality of Service)를 실현하는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을 상기 OS 상의 소켓 라이브러리로부터 취득하여, 대역 정보(2501a)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선 정보 취득부(2401)는,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로부터 RSVP(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RFC 2205)의 설정값을 취득한다.In addition, the line
회선 정보 취득부(2401)는, 이들의 설정값을 확인하고, 클라이언트 PC(100)의 네트워크 어댑터의 LinkSpeed, 및 통신 경로 상의 네트워크 기기의 이용 대역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회선 상태의 양호성을 판정한다.The line
그 후,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대역 정보(2501a), 라우터 수(2501b), 및 Path MTU(2501c)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에 의해, 다른 어드레스에서 확립된 세션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행할 때 사용하는 어드레스를 선정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는, 선정한 어드레스에 상이한 세션을 실제의 데이터 전송에서 이용하는 세션으로서 선택한다.Thereafter, the client
또한,회선 상태의 양호성을 판정하는 경우, 반드시 대역 정보(2501a), 라우터 수(2501b) 및 Path MTU(2501c) 모두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를 임의로 조합해서 회선 상태의 양호성을 판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determining the goodness of the line state, it is not necessary to use all of the
본 발명은, 복수의 기기, 또는 1개의 기기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전술의 각실시예에서는, 주로 IPv6을 통신 프로토콜로서 이용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었지만, 1개의 노드 등에 복수의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각 실시예에 따른 기술 사상을 적용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evices or a device consisting of one device.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it is assumed that IPv6 is mainly used as a communication protocol. However, even when using any other communication protocol capable of assigning a plurality of addresses to one node or the like, a technical idea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is given. Is applicable.
또한,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예 중 어느 것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 어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기록 매체를,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CPU 또는 MPU)가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읽어내서 실행하게 함으로써도 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code of software for realizing the function of any of the above embodiments to a system or an apparatus, and the computer (CPU or MPU) of the system or apparatus is a recording mediu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can also be accomplished by having the program code stored in the program read and executed.
이 경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 내어진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전술한 각 실시예 중 어느 것의 기능을 실현하므로, 그 프로그램 코드 및 해당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program code itself read out from the recording medium realizes the functions of any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ogram code and the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program code constitute the present invention.
또한,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CD-ROM, CD-R, CD-RW, DVD-ROM, DVD-RAM, DVD-RW, DVE+RW 등의 광 디스크,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ROM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다운로드해도 된다.As a recording medium for supplying the program code, for example, a floppy disk, a hard disk, a magneto-optical disk, a CD-ROM, a CD-R, a CD-RW, a DVD-ROM, a DVD-RAM, Optical discs such as DVD-RW and DVE + RW, magnetic tapes, nonvolatile memory cards, ROMs, and the like. Alternatively, the program code may be downloaded via a network.
또한,컴퓨터가 읽어낸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각 실시예 중 어느 것의 기능이 실현될 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컴퓨터 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OS(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게 함으로써, 그 처리에 의해 전술한 각 실시예 중 어느 것의 기능이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n addition, by executing the program code read out by the computer, the functions of any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realized, and the OS (operating system) or the like running on the computer is actually processed based on the instruction of the program cod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y performing some or all of the above, the functions of any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realized by the processing.
또한,기록 매체로부터 읽어 내어진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확장 보드 상에 제공된 메모리나 컴퓨터에 접속된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기입된 후,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확장 보드나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게 함으로써 전술한 각 실시예 중 어느 것의 기능이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Furthermore, after the program code read out from the recording medium is written in the memory provided on the expansion board inserted into the computer or in the memory provided in the expansion unit connected to the computer, the expansion board o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unctions of any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realized by causing the CPU or the like provided in the expansion unit to perform part or all of the actual processing.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는 모든 변경, 등가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포괄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s to be accorded the broadest interpretation so as to encompas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 structures and functions.
본 출원은 2008년 4월 4일자로 제출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8-098363호 및 2009년 1월 8일자로 제출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9-002433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은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This application claims the priority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8-098363, filed April 4, 2008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9-002433, filed January 8, 2009,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in their entirety. Included for referen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제3, 및 제7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시스템을 적용한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의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software configuration of a client / server system to which the sess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and seve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도 1에 나타난 클라이언트 PC 또는 서버 PC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제1~3 실시예).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client PC or server PC shown in Fig. 1 (first to third embodiments).
도 3은 서버 PC의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의 상세한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제1~3 실시예).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softwar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inter-proc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server PC (first to third embodiments).
도 4는 클라이언트 PC의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의 상세한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제1~3 실시예).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software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the client processes of the client PC (first to third embodiments).
도 5는 세션 관리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제1~7(6) 실시예).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ession management information (Examples 1 to 7 (6)).
도 6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 PC의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가 행하는 세션 관리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Fig. 6 is a flowchart showing session management processing performed by a server-to-server communication unit of the server PC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7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PC의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가 행하는 세션 관리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Fig. 7 is a flowchart showing session management processing performed by a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client processes of the client PC in the first embodiment.
도 8a 및 도 8b는 도 6 및 도 7의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기존 세션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8A and 8B are sequenc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the processing of Figs. 6 and 7 (if no existing session exists).
도 9a 및 도 9b는 도 6 및 도 7의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기존 세션이 존재할 경우).9A and 9B are sequenc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the processing of FIGS. 6 and 7 (if an existing session exists).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PC의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가 행하는 세션 관리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10A and 10B are flowcharts showing session management processing performed by a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client processes of a client PC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 PC와 클라이언트 PC 사이에서 행해지는 세션 관리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도.11A and 11B are sequence diagrams showing session management processing performed between a server PC and a client PC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PC의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가 행하는 세션 관리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12A and 12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session management processing performed by a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client processes of a client PC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 PC와 클라이언트 PC 사이에서 행해지는 세션 관리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도.13A and 13B are sequence diagrams showing session management processing performed between a server PC and a client PC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제4~6의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시스템을 적용한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의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Fig. 14 is a diagram showing the software configuration of a client / server system to which the sess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to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PC의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의 상세한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Fig.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software configuration of the inter-proc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client P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1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어드레스 리스트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Fig. 16 is a diagram showing address li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1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Fig. 1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ession manag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18은 제4 실시예에서 행해지는 세션 관리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Fig. 18 is a flowchart showing session management processing performed in the fourth embodiment.
도 19는 도 18의 단계 S1801에서 행해지는 어드레스 리스트 취득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FIG. 19 is a flowchart showing details of an address list acquisition process performed in step S1801 of FIG. 18;
도 20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어드레스 리스트 취득 처리에서 행해지는 세션 관리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Fig. 20 is a flowchart showing session management processing performed in the address list acquisitio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도 21은 도 20의 플로우차트의 연속.FIG. 21 is a continuation of the flowchart of FIG. 20;
도 22a 및 도 22b는 제6 실시예에서 행해지는 세션 관리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22A and 22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session management processing performed in the sixth embodiment.
도 23은 동일한 서버가 상이한 서버 식별 정보로 지정되었을 경우의 어드레스 리스트 정보를 예시한 도면.Fig. 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ddress list information when the same server is designated with different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도 24는 제7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PC의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의 상세한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Fig. 2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software configuration of the inter-proc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client PC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도 25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정보를 예시한 도면.Fig. 25 is a diagram illustrating session manag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도 26a 및 도 26b는 제7 실시예에에서 행해지는 세션 관리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26A and 26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session management processing performed in the seventh embodiment.
도 27은 도 26a의 플로우차트의 연속.FIG. 27 is a continuation of the flowchart of FIG. 26A;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클라이언트 PC100: Client PC
101, 101a: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101, 101a: Client application
102, 102a: 스터브 오브젝트102, 102a: stub object
103: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간 통신부103: communication unit between client processes
104a, 104b: 통신 라이브러리104a, 104b: communication library
106: 네트워크106: network
107: 서버 프로세스간 통신부107: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server processes
108: 서버 어플리케이션108: server application
105: 서버 PC105: server PC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8993A KR101160382B1 (en) | 2008-04-04 | 2009-04-03 | Sess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098363 | 2008-04-04 | ||
JPJP-P-2009-002433 | 2009-01-08 | ||
KR1020090028993A KR101160382B1 (en) | 2008-04-04 | 2009-04-03 | Sess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6360A KR20090106360A (en) | 2009-10-08 |
KR101160382B1 true KR101160382B1 (en) | 2012-06-26 |
Family
ID=4153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8993A Active KR101160382B1 (en) | 2008-04-04 | 2009-04-03 | Sess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038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2161B1 (en) * | 2011-12-23 | 2014-11-03 | 주식회사 케이티 | Server and method for performing session connection between applications of devices, and the devcies |
JP6949578B2 (en) * | 2017-06-23 | 2021-10-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Image form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of image forming device |
CN112486699B (en) * | 2020-11-20 | 2023-10-24 | 湖南麒麟信安科技股份有限公司 | Session management middlewar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based on domestic databas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062372A1 (en) * | 2000-08-04 | 2002-05-23 | Jack Hong | High performance server farm with tagging and pipelining |
US20060069776A1 (en) * | 2004-09-15 | 2006-03-30 | Shim Choon B | System and method for load balancing a communications network |
US20060221977A1 (en) * | 2005-04-01 | 2006-10-05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network connection table |
US20070061434A1 (en) * | 2005-09-12 | 2007-03-15 | Microsoft Corporation | Sharing a port with multiple processes |
-
2009
- 2009-04-03 KR KR1020090028993A patent/KR10116038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062372A1 (en) * | 2000-08-04 | 2002-05-23 | Jack Hong | High performance server farm with tagging and pipelining |
US20060069776A1 (en) * | 2004-09-15 | 2006-03-30 | Shim Choon B | System and method for load balancing a communications network |
US20060221977A1 (en) * | 2005-04-01 | 2006-10-05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network connection table |
US20070061434A1 (en) * | 2005-09-12 | 2007-03-15 | Microsoft Corporation | Sharing a port with multiple process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6360A (en) | 2009-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107762B1 (en) | Sess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JP5425320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Bettstetter et al. | A comparison of service discovery protocols and implementation of the service location protocol | |
US7747779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edium storing therein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 |
KR100636186B1 (en) | Bidirectional tunnel establishment method and system | |
US20080080500A1 (en) | Apparatus and a system for remote control and a method thereof | |
JP6040711B2 (en) | Management server, virtual machine system, program, and connection method | |
JP5459983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US20090193133A1 (en) | Network device management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network system, and storage medium | |
RU2448422C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storage medium | |
US20060212554A1 (en) |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xecuted by the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controlling the control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system | |
KR101160382B1 (en) | Sess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US20100332681A1 (en) |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selecting a proper source address from a plurality of source addresses assigned thereto,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 |
JP5473248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CN110278558B (en) | Message interaction method and WLAN system | |
JP5638063B2 (en) |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 |
US8886701B1 (en) | Network based software agent to allow dynamic resource access | |
Cisco | Configuring the TN3270 Server | |
CN116931846A (en) | Method for finding and using local network printer by cloud desktop and storage medium | |
Cisco | Configuring IBM Channel Attach | |
Cisco | Configuring IBM Channel Attach | |
US20070058527A1 (en) | Peripheral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 |
JP2000022708A (en) | Mobile terminal for mobile ip system and storage medium | |
JP2004038550A (en) | Networ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4262016B2 (en) | Data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