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549B1 - System for interworking and controlling devices and user device used in the same - Google Patents
System for interworking and controlling devices and user device used in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1549B1 KR101151549B1 KR1020120023012A KR20120023012A KR101151549B1 KR 101151549 B1 KR101151549 B1 KR 101151549B1 KR 1020120023012 A KR1020120023012 A KR 1020120023012A KR 20120023012 A KR20120023012 A KR 20120023012A KR 101151549 B1 KR101151549 B1 KR 1011515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user terminal
- terminal
- receiving terminal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들을 연동시키고 제어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보다 큰 수신 단말기와 공유될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미지부 및 상기 이미지부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가지는 이미지 신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근접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시청하는 상기 수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제어되도록, 상기 수신 단말기에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ystem for interwor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The user terminal used in the system includes an image unit for outputting image data to be shared with a receiving terminal larger than the user terminal, an image signal having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unit, and position information of a touch means proximate to the user terminal. It includes a signal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Here, the image indi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means is displayed on the receiving terminal so that the user terminal is controlled through the receiving terminal viewed by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말기들을 연동시키고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interwor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최근, 사람들은 스마트폰 등의 전자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거나 이메일을 확인하거나 웹 서핑을 즐긴다. 상기 전자단말기는 가볍고 작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화면이 작아서 게임 등을 충분하게 즐길 수 없는 단점도 있다. 즉, 상기 전자단말기의 작은 사이즈로 인하여 게임, 웹 서핑 등의 즐거움이 반감되고 이메일 등을 확인하기가 불편하였다. Recently, people enjoy playing games, checking e-mails, or surfing the web using electronic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The electronic terminal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to carry because it is light and small, but there is also a disadvantage that the screen is not small enough to enjoy games. That is,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electronic terminal, the enjoyment of games, web surfing, etc. is halved and it is inconvenient to check e-mail.
본 발명은 큰 사이즈의 단말기와 작은 사이즈의 단말기를 연동시키고 큰 사이즈의 단말기를 보면서 작은 사이즈의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interlocking a large sized terminal with a small sized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small sized terminal while viewing the large sized terminal.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보다 큰 수신 단말기와 공유될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미지부; 및 상기 이미지부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가지는 이미지 신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근접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시청하는 상기 수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제어되도록, 상기 수신 단말기에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user terminal used in a terminal interwo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unit for outputting image data to be shared with a receiving terminal larger than the user terminal; And a signal unit for transmitting an image signal having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unit and a control signal hav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means close to the user termi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Here, the image indi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means is displayed on the receiving terminal so that the user terminal is controlled through the receiving terminal viewed by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보다 큰 수신 단말기와 공유될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 및 터치 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근접하였을 때의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 2 이미지에 해당하는 위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부; 및 상기 이미지부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 및 위치 표시 데이터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시청하는 상기 수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제어되도록, 상기 수신 단말기에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A user terminal used in a terminal interwork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touch means when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to be shared with the receiving terminal larger than the user terminal and the touch means are close to the user terminal. An image unit generating position display data corresponding to a second image indicating a position of the image; And a signal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data and the position indication data generated by the image unit to the receiving terminal. Here, the image indi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means is displayed on the receiving terminal so that the user terminal is controlled through the receiving terminal viewed by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보다 큰 수신 단말기와 공유될 제 1 이미지와 터치 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근접하였을 때의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 2 이미지를 합성한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미지부; 및 상기 이미지부로부터 출력된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합성 신호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시청하는 상기 수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제어되도록 하기 위한 이미지이다.A user terminal used in a terminal interwork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position of the touch means when the first image and the touch means to be shared with the receiving terminal larger than the user terminal are close to the user terminal. An image unit configured to output composit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composite image obtained by synthesizing the second image; And a signal unit which transmits the synthesized signal which has distributed the composite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unit to the receiving terminal. Here, the second image is an image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receiving terminal viewed by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와 연동되며 상기 수신 단말기보다 작은 사용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및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근접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시청하는 상기 수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제어되도록, 상기 수신 단말기에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A user terminal interworking with a receiving terminal and smaller than the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And a signal unit for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means in proximity to the user termi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Here, the image indi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means is displayed on the receiving terminal so that the user terminal is controlled through the receiving terminal viewed by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와 연동되며 상기 수신 단말기보다 작은 사용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및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합성 이미지 데이터는 제 1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근접한 터치 수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시청하는 상기 수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제어되도록 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이다.A user terminal interworking with a receiving terminal and smaller than the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And a signal unit for transmitting the composite image data to the receiving terminal. Here, the composite image data includes first image data and second image data indicating a position of a touch means proximate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image data indicates the receiving terminal viewed by a user of the user terminal. Image data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through.
삭제delete
본 발명에 단말기 연결 및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제 1 이미지를 단말기들에 공유시킨 상태에서 작은 사이즈의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동작과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큰 사이즈의 단말기의 제 1 이미지 위에 표시하므로, 사용자는 큰 사이즈의 단말기를 보면서 작은 사이즈의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작은 사이즈의 단말기를 통하여 게임, 웹 서핑 등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Since the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and controlling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are a first image with terminals, a second image related to a user's control of a small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first image of the large terminal.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mall size terminal while looking at the large size terminal. Therefore, the user can fully enjoy games, surfing the web, and the like through a small siz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유 화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수단 감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수단 감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수단 감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5의 이미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used in the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method of FIG. 2.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image sharing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uch means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touch means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uch means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interwork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interwork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interwork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the image unit of FIG. 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은 단말기들을 연동시키고 제어하는 시스템, 특히 이미지 공유 및 공유된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예를 들어 터치 방식으로 제어하는 작은 사이즈의 단말기와 큰 사이즈의 단말기를 연동시킨 후 사용자가 큰 사이즈의 단말기를 보면서 작은 사이즈의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안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작은 사이즈의 단말기를 사용자 단말기라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큰 사이즈의 단말기를 수신 단말기라 하겠다. 물론,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기가 수신 단말기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지만, 단말기들의 사이즈는 위의 사이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interlocking and controlling the terminals, in particular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image sharing and the shared image. In particular, the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interlocking a small size terminal directly controlled by the user, for example, a touch method and a large size terminal, while the user looks at the large size terminal of the small size Various methods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are proposed.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small sized terminal directly controlled by a user is called a user terminal, and a large sized terminal that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means from the user terminal is called a receiving terminal. Of course, the user terminal preferably has a smaller size than the receiving terminal, but the size of the terminals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ize.
본 발명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단말기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 및 유선/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나, 통신 기능은 필수적인 기능은 아니다. 다만, 실생활 적용을 고려하면, 각 단말기들은 이미지 디스플레이 기능 및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기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고 다른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한 특정 장치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 TV, PC, 태블릿 PC, 노트북, 터치 패드, 게임기, 클라우드 PC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들이 본 발명의 단말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단말기는 터치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erminal used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displaying an image and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but the communication function is not an essential function. However, considering the real life application, it is preferable that each terminal has an image display function and a communication function. The terminal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device as long as it can display an image and transmit or receive a signal with another terminal, for example, a smartphone, a smart TV, a PC, a tablet PC, a laptop, a touch pad, a game console, a cloud PC, or the like. Various devices can be used as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a terminal having a small size has a touch function.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말기들이 공유하는 이미지를 제 1 이미지라 하고,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제 2 이미지(위치 표시 이미지)라 하겠다. Hereinafter, a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image shared by the terminals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image, and an image represen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means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image (location display im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및 수신 단말기(10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가능한 단말기이며, 예를 들어 앵그리 버드 등과 같은 게임의 실행이 가능한 스마트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기능을 가지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단말기이다. The
수신 단말기(102)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지는 않으나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동하는 단말기이며, 이미지 디스플레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수신 단말기(102)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소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드라마 등의 방송 프로그램을 방영하는 TV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단말기(102)는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를 가지는 단말기이되, 필수적으로 터치 기능을 가질 필요는 없다. The receiving
단말기들(100 및 102)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기기를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채널들, 예를 들어 2개의 채널들을 통하여 연결된다. 하나의 채널은 공유되는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이미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다른 채널은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채널들은 모두 무선 채널들 또는 유선 채널들일 수도 있고, 하나는 무선 채널이고 다른 하나는 유선 채널일 수도 있다. 물론, 단말기들(100 및 102)은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채널의 전송 구간은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구간들 사이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간들 사이에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이 존재하므로, 상기 블랭크 구간을 제어 신호 전송 구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되, 이미지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데이터 구간들 사이에 존재하는 블랭크 구간 동안에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단말기들(100 및 102)의 실시간 연동이 중요한 경우에는,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채널과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이 별도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제어 하에 자신이 디스플레이하고 있거나 디스플레이할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이미지 신호로 하여 해당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동작, 터치 동작과 관련한 제어 신호를 해당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별도로 전송할 수 있다. 현재, 스마트폰, TV 등과 같은 단말기들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Mobile High definition Link), Displayport 등과 같은 유선 통신 표준 및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표준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들은 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채널뿐만 아니라 제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별도의 제어 채널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HDMI에서는 CEC(Consumer Electronic Control), DDC(Display Data Channel), Utility, SCL/SDA를 제어 채널로 사용하고 있고, MHL에서는 CBUS를 제어 채널로 사용하고 있으며, Displayport에서는 auxiliary channel을 제어 채널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단말기들(100 및 102)을 연동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채널들을 설정할 필요는 없으며, 단말기들(100 및 102)에 이미 존재하는 채널들을 본 발명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채널로 활용할 수 있다. The
위에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수신 단말기(102) 또한 이미지 신호 등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단말기(102)는 위의 데이터 채널/제어 채널 외의 다른 채널들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동일한 데이터 채널/제어 채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mentioned above, the receiving
사용자 단말기(100)가 자신이 디스플레이하는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신호에 배신하여 해당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면, 수신 단말기(102)는 이미지 신호를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 결과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동일한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며, 즉 제 1 이미지를 공유한다. 다만, 수신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수신 단말기(102)의 단말기 특성으로 인하여 색감이 다르거나 디스플레이 비율 등이 다를 수는 있다.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특별한 가공없이 그대로 해당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지만, 상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자신의 특성에 맞도록 가공하여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즉, 수신 단말기(102)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 1 이미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한 상기 송신된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When the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 1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수신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될 때, 수신 단말기(102)는 기존 실행 프로그램을 중지하고 상기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고 기존 실행 프로그램은 실행시키되 별도의 채널을 통하여 실행시킬 수도 있다. 또한,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제 1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기존 실행 프로그램을 함께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단말기(102)는 예를 들어 기존 실행 프로그램인 드라마를 중지하고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앵그리 버드 게임의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고, 드라마를 별도의 채널로 전환하여 방영하고 상기 제 1 이미지를 해당 채널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드라마를 현재 채널에서 계속적으로 방영하되 다른 채널에 상기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또한,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제 1 이미지를 현재 채널에서 디스플레이시키되 방영되고 있었던 드라마를 별도의 팝업창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 1 이미지를 수신 단말기(102)를 통하여 보는 것이 목적이므로, 수신 단말기(102)는 현재 채널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중지하거나 다른 채널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키고 현재 채널의 화면을 상기 제 1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same image as the first image of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단말기(102)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이미지 신호를 전송하여 제 1 이미지를 공유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의 동작(터치 동작)을 반영하는 제어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의 이미지 공유는 초기 한번만 수행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 1 이미지가 전환될 때마다 동일한 이미지가 수신 단말기(102)로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조작하면 상기 조작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가 수신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된다. 특히, 수신 단말기(102)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를 가지므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제어하되 시선은 수신 단말기(102)를 바라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수신 단말기(102)를 보면서 사용자 단말기(100)를 조작할 수 있다. Image sharing between the
다만, 사용자 단말기(100)를 보지 않으면 자신이 하는 동작을 파악하기 힘들고 수신 단말기(102)가 없으면 화면이 작으므로, 본 발명은 수신 단말기(102)를 보면서 사용자 단말기(100)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을 제안한다. However, i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터치 수단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터치 감지 영역, 예를 들어 화면에 근접하면 수신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에 상기 터치 수단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 예를 들어 그림자 이미지 등이 해당 위치에 표시될 수 있으며, 즉 터치 수단의 위치가 상기 제 1 이미지 위에 특정된다. 연동 시스템이 아닌 일반 PC 등일 경우 마우스를 움직이면 마우스의 위치가 정확한 위치에 특정되지 않고 스마트폰 등의 경우 터치하더라도 위치를 표시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반면에,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를 연동시키면서 사용자 단말기(100) 상의 터치 수단의 위치를 수신 단말기(102)에 그림자 이미지 등으로 특정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보지 않고 수신 단말기(102)만 보면서도 자신이 터치한 위치 및 동작을 확인할 수 있어서 수신 단말기(102)를 보지 않고 수신 단말기(10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을 터치하고 움직이면 상기 움직임에 상응하여 상기 제 2 이미지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이미지가 그림자 이미지로서 계속 유지될 수도 있고, 상기 제 2 이미지로서 그림자 이미지가 손가락 이미지로 변화된 후 상기 손가락 이미지가 상기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 이미지 상에서 움직일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 단말기(102)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서의 터치 수단의 조작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보지 않고 수신 단말기(102)만을 보면서도 사용자 단말기(100)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앵그리 버드 게임을 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큰 사이즈를 가지는 TV 화면만을 보면서 스마트폰을 조작하여 앵그리 버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른 제 1 이미지로 변경되면 수신 단말기(102)에도 동일한 제 1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며, 이 경우 상기 제 2 이미지는 새로운 제 1 이미지 상에서 해당 위치에 표시된다. 상기 제 2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의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수신 단말기(102)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에 따라 공유될 수도 있고 수신 단말기(102)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에 따라 공유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ouch means such as a user's finger is close to a touch sensing area of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노트북과 같이 디스플레이부와 별도로 터치 감지부, 예를 들어 터치 패드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터치 감지부로 근접하면 이를 감지하여 수신 단말기(102)의 제 1 이미지에 제 2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가 터치 수단을 감지할 수 있는 한 터치 수단을 감지하는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특정 부분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touch sensing unit from the
정리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제 1 이미지를 공유하며, 사용자는 큰 사이즈를 가지는 수신 단말기(102)를 보면서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 단말기(102)를 보면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이미지 상에서 손가락, 터치펜 등과 같은 터치 수단을 이동시킬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 1 이미지 상에 표시된 메뉴 아이콘을 클릭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실행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된 새로운 제 1 이미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가 수신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된다. In summary, the
위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제 2 이미지가 일단 수신 단말기(102) 상에 특정된 후에는 제 2 이미지가 터치 수단의 움직임을 반영할 수도 있지만, 물리적 키보드, 화면 상에 표시된 키보드 등을 조작함에 따라 움직일 수도 있다. Although not described above, once the second image is specified on the receiv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동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100)과 하나의 수신 단말기(1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일 게임을 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들(100)은 수신 단말기(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기들(100)이 각기 해당 터치 수단들의 위치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면, 수신 단말기(102)는 동일 제 1 이미지 상에 상기 터치 수단들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 2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들(100)과 수신 단말기(102)가 공유하는 제 1 이미지는 특정 사용자 단말기(100)가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nion system may include a plurality of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0)를 복수의 터치 수단들이 터치한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좌우 손가락 하나씩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하거나 복수의 사용자들이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수단들의 위치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제 1 이미지 위에 상기 위치 정보들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이미지들이 상호 구별되도록 모양, 색상 또는 사이즈가 다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는 각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복수의 제어 신호들을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touch means touches on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복수의 감지 방법들을 실현하여 터치 수단들을 다른 방법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손가락을 정전 용량 방식을 통하여 감지하고 터치 펜을 리시버를 활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과 터치 펜을 동시에 이용하여 멀티 터치를 구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복수의 터치 수단들을 이용하여 별개의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동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수신 단말기 및 연동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연동 서버는 제 1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에 모두 전송하여 동일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제 1 이미지 상에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nion system may include a user terminal, a receiver terminal, and a companion server. The companion server transmits the first image to both the user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to display the same first image, and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means to the receiving terminal to display the second image on the first image. May be displayed.
이하, 본 발명의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유 화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수신 단말기(102)로 이미지 데이터(이미지 신호)를 전송할 때의 연동 및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used in the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method of FIG. 2, and FIG. FIG. 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image sharing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is embodiment proposes a linkage and control method when the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수신 단말기(102)로 이미지의 연동을 요청한다(S200).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수신 단말기(102)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고 연동을 요청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0)가 수신 단말기(102)에 연결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수신 단말기(102)가 상대 단말기를 식별한 후 상대방 단말기로 연동할 것인지를 문의할 수도 있다. 단말기들(100 및 102)의 연동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고, 단말기들(100 및 102)이 상호 식별하면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2개의 채널들, 즉 데이터 채널 및 제어 채널로 연결될 수 있고, 연동 요청 또는 허락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어 채널을 통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신호에 배신하여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S202). 즉,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제 1 이미지를 공유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 1 이미지와 수신 단말기(102)의 제 1 이미지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유용하므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이미지부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ubsequently, the
계속하여,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과 같은 터치 수단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근접시키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한다(S204).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터치 수단이 감지 가능한 영역으로 진입하면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근접시키면 상기 손가락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감지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는 감지 레벨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레벨들, 예를 들어 2개의 레벨들로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 연동 과정을 수행할 때가 아니면, 즉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터치하였을 때에만 터치 위치가 감지되도록 사용자 단말기(100)의 감지 레벨을 높은 레벨(L2)로 설정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단말기 연동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즉 수신 단말기(102)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감지 레벨을 낮은 레벨(L1)로 변경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수단이 터치되지 않고 근접된 상태일 때에도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는 단말기 연동 과정을 사용하는지 아닌지에 따라 감지 레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정전용량 방식 이외에도 전자기 유도 방식, 저항막 방식, 광학방식, 초음파 방식 등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방식에 따라 설정 조건이 달라질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a user approaches a touch means such as a finger or a touch pen to the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감지 결과에 따른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에 따른 제 2 이미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림자 이미지(400)를 제 1 이미지 상에 표시한다(S206). 위에서는 데이터 채널과 제어 채널로 구분하여 신호들을 다르게 전송하였지만,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모두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구간들(110 및 114) 사이에 제어 구간(112)을 설정하여 제어 신호(C1)를 제어 구간(112) 동안 전송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계속하여, 사용자가 터치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하고 움직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이러한 움직임에 따른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1 이미지 상에 표시한다(S208). 결과적으로, 상기 제 2 이미지는 상기 터치 수단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수신 단말기(102)의 제 1 이미지에 표시된다. 물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 상의 제 1 이미지에서 특정 동작을 수행시키는 메뉴를 클릭한 경우에는 이미지 전환만 이루어지므로, 수신 단말기(102)는 제 2 이미지를 현재 위치에 유지시킨 상태로 제 1 이미지만을 사용자 단말기(100)의 새로운 이미지로 변경시킬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the user touches and moves the
정리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은 제 1 이미지를 공유시킨 상태에서 터치 수단 근접시 이를 감지하여 수신 단말기(102)의 제 1 이미지 상에 제 2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 상에서 터치하거나 터치 후 움직이는 경우 움직임을 반영한 제 2 이미지를 수신 단말기(102)의 제 1 이미지에 표시한다. In summary, the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roximity of the touch means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image is shared, displays a second image on the first image of the receiving
수신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는 별도의 이미지로서 오버랩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가 합성되어 생성된 합성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receiving
위에서는 제 2 이미지가 제 1 이미지 위에 표시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제 2 이미지가 제 1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한 표시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이미지 중 터치 수단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이 어둡게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어둡게 표현된 부분이 제 2 이미지일 수 있다. Although the second image is referred to as being displayed on the first image, the display method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long as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first image.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unit may be darkly expressed, and the darkly expressed portion may be the second image.
이하, 터치 수단을 감지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Hereinafter, various methods of sensing the touch mea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하는 기본적인 방법으로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를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로 구성하고, 손가락 등과 같은 전기가 통하는 터치 수단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감지부는 상기 터치 수단 접근시 및 터치시에 정전 용량의 변화를 통하여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를 감지한다. As a basic method of detecting the touch means, the display unit of the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하는 다른 방법들이 존재하며, 아래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re are other methods of sensing the touch means,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below.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수단 감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uch means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할 터치 수단으로서 터치 펜(500)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사용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터치 펜(500)은 몸체(510) 및 터치부(512)로 이루어진다. 몸체(51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터치부(512)는 전도체이다. 따라서, 터치부(512)로 인하여 터치 펜(500)이 사용자 단말기(100)로 근접시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했을 때 정전 용량의 변화가 발생되며, 그 결과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펜(500)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정전 용량 방식에서 사용될 수 없었던 일반적인 터치 펜과 달리, 본 발명의 터치 펜(500)은 정전 용량 방식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터치 펜(500) 전체를 전도체로 제조할 수도 있지만 비용을 고려하면 실제 터치가 이루어지는 터치부(512)만을 전도체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수단 감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touch means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의 일부에 리시버(Receiver, 600)를 장착하고, 터치 펜(602)을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a
리시버(600)는 하나의 적외선 센서와 2개의 초음파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펜(602)의 터치부(펜촉)로부터 발신된 적외선 및 초음파를 수신하여 터치 펜(602)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터치 펜(602)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한다.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펜(602)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위치에 제 2 이미지를 표시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2 이미지가 제 1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는 리시버(600)가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100)가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The
리시버(600)가 터치 펜(602)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3개의 센서들은 각기 적외선의 전송 시간 및 초음파의 전송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전송 시간들을 거리로 환산하고, 환산된 거리들을 삼각 측량과 유사한 방법을 통하여 터치 펜(602)의 위치를 검출한다. 따라서, 터치 펜(602)이 사용자 단말기(100)를 직접적으로 터치하지 않고 근접하더라도 터치 펜(602)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터치 펜(602)의 접촉 및 움직임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적외선 및 초음파 외의 다른 신호가 사용될 수도 있다. Looking at how the
터치 펜(602)의 위치를 반영한 제 2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되지 않고 수신 단말기(102)에만 표시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펜(602)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동작한다. The second image reflecting the position of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600)는 터치 펜(602)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시버(600)는 터치 제어부(610), 이미지 신호부(612), 제어 신호부(614) 및 송수신부(616)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610)는 수신된 적외선 및 초음파를 이용하여 터치 펜(602)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제공된 정보에 따라 터치 펜(602)의 위치를 표시하거나 관련 동작을 수행한다. 이미지 신호부(612)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된 이미지 데이터를 송수신부(616)를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한다. 제어 신호부(614)는 상기 감지된 터치 펜(602)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리시버(600)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 및 터치 펜(602)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시키므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 기능을 가지지 않아도 충분하다. 따라서, 통신 기능을 가지지 않은 단말기 또는 통신 기능을 가지나 관련 통신 시설을 이용할 수 없는 단말기도 리시버(600)를 이용하여 터치 펜(602)의 위치 및 동작을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지 공유, 제 2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본 발명의 연동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 내에 리시버가 포함되어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r may be included in th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수단 감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uch means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패널(700) 및 전자기 발생부(70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전자기 발생부(702)는 터치 패널(700)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얇은 금속제 막으로 이루어져서 전기가 흐르면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터치 펜(707)은 몸체(710) 및 터치부(712)를 포함하며, 터치부(712)는 바람직하게는 작은 금속 코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터치 펜(704)이 터치 패널(700)로 근접하면 터치부(712)에서 전자기 유도 현상이 일어나며, 그 결과 전자기 발생부(702)로부터 발생된 전자기장의 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이러한 전자기장의 변형을 감지하여 터치 펜(704)의 위치를 인식한다. 특히, 터치 펜(704)의 접근 위치, 터치 강도에 따라서 상기 전자기장의 변형이 다르므로, 이러한 터치 수단 감지 방법은 터치 펜(704)의 터치 패널(700)로의 접근 정도 및 터치 압력을 세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단말기(102)에 표시되는 제 2 이미지의 크기, 선으로 표현되는 경우 선의 굵기 등이 터치 펜(704)의 위치 또는 압력에 따라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이미지의 모양, 사이즈 또는 색상이 상기 터치 강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The touch pen 707 includes a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정리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다양한 방법들을 통하여 터치 펜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수신 단말기(102)에 반영시킬 수 있다. 5 to 7, the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감지 가능한 영역에서 근접한 터치 수단을 감지하고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는데, 여기서 감지 가능한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공간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근접한 터치 수단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거리는 전술된 감지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에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이 사용된 경우, 기설정된 거리는 도 3에서 설명된 낮은 레벨(L1)에 대응되는 거리일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거리는 터치 수단과 사용자 단말기(100) 사이의 최단거리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가 연결되어 연동을 시작한다(S800).Referring to FIG. 8, the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S802). 즉,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가 제 1 이미지를 공유한다. Subsequently, the
계속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는 손가락, 터치 펜 등과 같은 터치 수단을 다양한 방법들을 통하여 감지한다(S804).Subsequently, the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와 함께 상기 감지된 터치 수단의 위치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를 표시하는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 데이터(합성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합성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S806). 결과적으로, 수산 단말기(102)에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제 2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상기 제 1 이미지만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제 2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Subsequently, the
계속하여, 사용자가 상기 터치 수단을 터치하거나 터치한 상태로 움직이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 2 이미지를 해당 제 1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시킨다(S808). 즉, 상기 터치 수단의 움직임이 수신 단말기(102)의 화면에 반영된다. 다만, 수신 단말기(102) 상의 제 1 이미지는 직전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일 수도 있고 직전 이미지와 다른 이미지일 수도 있다. Subsequently, when the user touches or moves in the touched state, the
정리하면, 수신 단말기(102)에서 제 2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 1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합성한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그 결과 수신 단말기(102)에는 제 1 이미지와 함께 제 2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In summary, unlike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receiving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가 연결되어 연동을 시작한다(S900). 상기 연동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가 연결되면 자동으로 시작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 여부를 묻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작할 수도 있다. 9, the
이어서,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자동으로 손가락 또는 터치 펜 등과 같은 터치 수단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감지 레벨들을 설정한다(S902).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터치 수단이 근접하였을 때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할 수 있는 제 1 레벨 및 상기 터치 수단이 터치하였을 때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할 수 있는 제 2 레벨이 설정된다. 물론,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하기 위한 레벨들은 더 세밀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Subsequently, the user or the
계속하여, 사용자 단말기(100)가 터치 수단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 2 이미지를 수신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시킨다(S904).Subsequently, the
이어서, 사용자에 의한 연동 중지 요청이 있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906). 상기 연동 중지는 사용자가 메뉴 선택 등의 방법으로 요청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의 연결을 오프(Off)시킴에 의해 요청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수신 단말기(102)를 보면서 사용자 단말기(100)를 제어하다가 사용자 단말기(100)만 사용하고자 할 경우 또는 수신 단말기(102)만 보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연결된 상태에서 연동 중지를 요청할 수 있다. 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is a request for interlocking stop by the user (S906). The interworking stop may be requested by the user by selecting a menu or by turning 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사용자의 연동 중지 요청이 없는 경우 단계 S904가 다시 수행된다. If there is no user stop request for interworking, step S904 is performed again.
반면에, 사용자의 연동 중지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복수의 레벨들을 초기화시켜 하나의 레벨만이 존재하거나 터치된 경우만을 감지하는 감지 레벨들로 변화시킨다(S908). 즉,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수단이 터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하지 않고 상기 터치 수단이 터치되었을 때만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하도록 레벨을 변화시킨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tops the interlocking request of the user, the
정리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임의로 연동 요청, 연동 중지 요청, 감지 레벨을 자유롭게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다. In summary, in the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freely set and change an interworking request, an interlocking stop request, and a sensing leve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의 연동 시작시 1차 감지 레벨을 설정하고, 연동 중에 감지 레벨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연동 중에 터치 수단의 접근 거리 및 터치 강도에 따른 감지 레벨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고 터치 수단이 터치되었을 때만 감지하도록 감지 레벨 설정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tection level may be set when the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interwork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연동하며, 즉 제 1 이미지를 공유한 상태로 터치 수단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 2 이미지(1000)를 디스플레이시킨다. 다만, 제 1 이미지 공유시 수신 단말기(102)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여 제 1 이미지를 공유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수신 단말기(102)가 IPTV인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화, 드라마 등의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 1010)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UI(1010)들이 표시된 제 1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공유될 수 있다. 물론, 수신 단말기(102)에는 제 1 이미지와 함께 제 2 이미지(1000)가 디스플레이된다. When the receiving
수신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공유할 때의 장점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수신 단말기(102), 예를 들어 TV를 보면서 사용자 단말기(100),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102) 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102)를 통하여 특정 프로그램을 선택하거나 메일을 보내거나 전자 상거래 거래, 게임 등을 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advantages of sharing the first image displayed on the receiving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에 수신 단말기(102)와 동일한 제 1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는 수신 단말기(102)의 화면을 보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102)가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즐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방에서 거실에 있는 수신 단말기(102)를 제어하여 전자 상거래 등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ame first image as that of the receiving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가 연결되어 연동을 시작한다(S1100). Referring to FIG. 11, the
이어서, 수신 단말기(102)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 또는 디스플레이될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킨다(S1102). 즉,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가 제 1 이미지를 공유한다. Subsequently, the receiving
계속하여,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 펜 등과 같은 터치 수단을 근접시키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한다(S1104). 사용자 단말기(100)는 정전 용량 감지 방법, 전자기 감지 방법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a user approaches a touch means such as a finger or a touch pen, the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감지 결과에 따른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제 1 이미지와 함께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S1106).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제 2 이미지가 표시된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만, 기본적으로 수신 단말기(102)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는 전자의 방식이 바람직하다. Subsequently, the
계속하여, 사용자가 터치 수단을 터치하거나 움직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여 수신 단말기(102)에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S1108).Subsequently, when the user touches or moves the touch means, the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interwork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서는 리시버(1200)가 사용자 단말기(100)가 아닌 수신 단말기(102)에 설치되거나 내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A, in the terminal interwor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사용자 단말기(100)에 사용되는 터치 수단으로서 터치 펜(1202)이 초음파 및 적외선을 수신 단말기(102)에 설치된 리시버(1200)로 발신하면, 리시버(1200)는 상기 초음파 및 적외선을 수신하여 터치 펜(1202)의 위치를 감지한다. When the
리시버(1200)는 상기 감지된 터치 펜(1202)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터치 펜(1202)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 2 이미지를 제 1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시킨다. 물론,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는 제 1 이미지를 공유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1200)는 터치 펜(1202)의 위치 감지뿐만 아니라 통신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시버(1200)는 터치 수단 감지부(1210), 이미지 신호부(1212), 제어 신호부(1214) 및 송수신부(1216)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수단 감지부(1210)는 터치 펜(1202)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미지 신호부(1212)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이미지 신호를 송수신부(1216)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 신호의 이미지 데이터를 송수신부(1216)를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여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 물론, 이미지 신호부(1212)는 수신 단말기(102)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이미지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 신호부(1214)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연동 동작 등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터치 펜(1202)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리시버(1200)로 전송되지는 않는다. 결론적으로, 리시버(1200)는 터치 펜(1202)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통신 기능도 수행한다. 따라서, 수신 단말기(102)는 통신 기능을 가지지 않아도 본 발명의 연동 및 제어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및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rminal interworking a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리시버(1200)를 수신 단말기(102)에 설치한다(S13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수신 단말기(102)에 내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the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가 연결되어 연동을 시작한다(S1302).Subsequently, the
계속하여, 사용자 단말기(100)가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102)에 전송하여 상기 제 1 이미지를 공유하거나 수신 단말기(102)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제 1 이미지를 공유한다(S1304).Subsequently, the
이어서, 터치 수단, 예를 들어 터치 펜(1202)이 사용자 단말기(100)로 근접하면, 리시버(1200)는 터치 펜(1202)으로부터 발신된 적외선 및 초음파를 통하여 터치 펜(1202)의 위치를 감지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감지된 위치에 따른 그림자 등과 같은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시킨다(S1306).Subsequently, when the touch means, for example, the
계속하여, 사용자가 터치 펜(1202)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를 터치하거나 터치 후 움직이면, 리시버(1200)는 이러한 터치 펜(1202)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기(102)는 상기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해당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S1308).Subsequently, when the user touches or moves after touching the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연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interwork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단말기 연동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수신 단말기(102) 및 동글(14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4A, the terminal interwor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동글(1400)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을 보조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터치 수단으로서 터치 펜(1402)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동글(1400)은 통신부(1410) 및 터치 수단 감지부(14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통신부(1410)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위한 통신 수단으로서, 특정 통신 기능, 예를 들어 Wibro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고, 특정 통신 기능을 다른 통신 기능으로 변환시켜, 예를 들어 Wibro를 Wi-Fi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를 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The
터치 수단 감지부(1412)는 리시버와 유사하게 터치 펜(1402)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어 신호에 배신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The touch means detecting
정리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동글(1400)을 통하여 통신 기능을 가지며, 동글(1400)은 터치 펜(1402)의 위치를 감지하는 수단으로서도 사용된다. In summary, the
이하, 사용자 단말기(100)와 분리되어 구분되는 경우의 리시버 및 동글을 외부 장치로 통칭하겠다. Hereinafter, a receiver and a dongle in the cas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어부(1500), 연동부(1502), 이미지부(1504), 감지부(1506), 설정부(1508), 디스플레이부(1510), 신호부(1512), 송수신부(1514) 및 저장부(1516)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5, the
연동부(1502)는 수신 단말기(102)와의 연동과 관련된 모든 기능을 관리한다. The interlocking
이미지부(1504)는 수신 단말기(102)와 공유할 제 1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제 2 이미지와 제 1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미지부(1504)는 상기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The
감지부(1506)는 손가락 또는 터치 펜 등과 같은 터치 수단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감지부(1506)는 상기 터치 수단이 근접할 때와 터치하였을 때를 구별하여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를 감지한다. 감지 방법으로는 정전 용량 방식, 전자기 유도 방식 등 제한이 없다. 감지부(1506)에 의해 감지된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위치 정보 생성부(미도시)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The
설정부(1508)는 연동 기능 설정, 감지 레벨 설정 등 다양한 기능들을 설정을 관리한다. The
디스플레이부(1510)는 터치 패널이며,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전자기 유도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신호부(1512)는 상기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하는 이미지 신호 및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신호부(1512)는 상기 이미지 신호를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제어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The
송수신부(1514)는 수신 단말기(102)와의 통신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The
저장부(1516)는 제 1 이미지, 이미지 신호, 제어 신호, 응용 프로그램 등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제어부(15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The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5의 이미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 1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the image unit of FIG. 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미지부(1504)는 제 1 이미지 생성부(1600), 제 2 이미지 생성부(위치 정보 생성부, 1602) 및 이미지 합성부(160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6, the
제 1 이미지 생성부(1600)는 공유되는 제 1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 2 이미지 생성부(1602)는 터치 수단의 위치에 해당하는 그림자 이미지 등과 같은 제 2 이미지를 생성한다. The
이미지 합성부(1604)는 상기 생성된 제 1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제 2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다.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이미지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가 아닌 제 2 이미지에 해당하는 위치 표시 데이터를 배신한 제어 신호를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리시버가 설치된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조를 도시한다.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어부(1700), 연동부(1702), 이미지부(1704), 터치 수단부(1706), 설정부(1708), 디스플레이부(1710), 신호부(1712), 송수신부(1714) 및 저장부(171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이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이미지부(1704)는 수신 단말기(102)와 공유할 제 1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다. The
터치 관리부(1706)는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리시버로부터 수신하여 관리한다. 즉, 터치 수단의 위치는 리시버가 감지하고, 터치 관리부(1706)는 리시버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수단의 위치를 검출한다. The
신호부(1712)는 상기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하는 이미지 신호,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 또는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배신한 합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신호부(1712)는 상기 이미지 신호 또는 상기 합성 신호를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제어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The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8은 리시버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내장된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조를 도시한다. 1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어부(1800), 연동부(1802), 송수신부(1804), 이미지부(1806), 리시버부(1808), 설정부(1810), 디스플레이부(1812), 신호부(1814) 및 저장부(1816)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the
이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이미지부(1806)는 수신 단말기(102)와 공유할 제 1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다. The
리시버부(1808)는 터치 수단이 사용자 단말기(100)에 근접하거나 터치하는 경우 터치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적외선 및 초음파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적외선 및 초음파를 분석하여 터치 수단의 위치를 검출한다. The
신호부(1814)는 상기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하는 이미지 신호,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 또는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합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신호부(1814)는 상기 이미지 신호 또는 상기 합성 신호를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제어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The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는 전자기 유도 방식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조를 도시한다.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어부(1900), 연동부(1902), 이미지부(1904), 전자기 발생부(1906), 감지부(1908), 설정부(1910), 디스플레이부(1912), 신호부(1914), 송수신부(1916) 및 저장부(19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9, the
이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이미지부(1904)는 수신 단말기(102)와 공유할 제 1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다. The
전자기 발생부(1906)는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터치 수단을 감지하기 위하여 전자기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1912)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감지부(1908)는 터치 수단의 코일에 의해 변화되는 전자기를 감지하여 터치 수단의 위치를 감지한다. The
신호부(1914)는 상기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하는 이미지 신호,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 또는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합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신호부(1914)는 상기 이미지 신호 또는 이미지 신호를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제어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The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0은 수신 단말기(102)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조를 도시한다. 2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the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어부(2000), 연동부(2002), 송수신부(2004), 이미지 신호부(2006), 이미지부(2008), 감지부(2010), 신호부(2012), 디스플레이부(2014), 설정부(2016) 및 저장부(2018)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the
이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이미지 신호부(2006)는 수신 단말기(102)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신호를 송수신부(2004)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분석한다. The
이미지부(2008)는 이미지 신호부(2006)의 의해 분석된 이미지 신호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다. The
감지부(2010)는 터치 수단의 위치를 감지한다. The
신호부(2012)는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 또는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합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신호부(1914)는 상기 합성 신호를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제어 채널을 통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The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2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수신 단말기(102)는 제어부(2100), 연동부(2102), 송수신부(2104), 이미지 신호부(2106), 제어 신호부(2108), 이미지부(2110), 디스플레이부(2112) 및 저장부(21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eiving
연동부(2102)는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연동 기능을 관리한다. The
송수신부(2104)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The
이미지 신호부(2106)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분석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검출한다. The
제어 신호부(2108)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한다. The
이미지부(2110)는 상기 검출된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11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상기 검출된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해당하는 그림자 등과 같은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부(211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정보를 통하여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제 2 이미지가 표시되는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11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The
디스플레이부(2114)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한 제한이 없이 LCD, OLED, PDP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현될 수 있고, 터치 기능을 가질 필요도 없다. The
저장부(2114)는 제 1 이미지, 제 2 이미지, 합성 이미지, 응용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제어부(2100)는 수신 단말기(102)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The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2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합성 이미지가 수신 단말기(102)로 전송되는 경우의 수신 단말기(102)의 구조를 도시한다. 2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shows the structure of the receiving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수신 단말기(102)는 제어부(2200), 연동부(2202), 송수신부(2204), 신호부(2206), 이미지부(2208), 디스플레이부(2210) 및 저장부(221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2, the
이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신호부(2206)는 이미지 신호 및 합성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 신호 및 합성 신호를 분석한다. 신호부(2206)는 연동 시작시 상기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100)가 터치 수단을 감지하는 경우 합성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합성 신호는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부(2206)는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이미지 신호와 제 2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배신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The
이미지부(2208)는 상기 합성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2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결과적으로, 수신 단말기(102)에는 제 1 이미지와 함께 제 2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부(2208)는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2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The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3은 수신 단말기(102)에 리시버가 설치된 경우의 수신 단말기(102)의 구조를 도시한다. 2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shows the structure of the receiving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수신 단말기(102)는 제어부(2300), 연동부(2302), 송수신부(2304), 신호부(2306), 리시버부(2308), 이미지부(2310), 디스플레이부(2312) 및 저장부(2314)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3, the receiving
이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신호부(2306)는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이미지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분석한다. The
리시버부(2308)는 수신 단말기(102)에 설치된 리시버로부터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한다. The
이미지부(231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31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부(2310)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31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The
도 2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4는 수신 단말기(102)에 리시버가 내장된 경우의 수신 단말기(102)의 구조를 도시한다. 2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shows the structure of the receiving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수신 단말기(102)는 제어부(2400), 연동부(2402), 송수신부(2404), 신호부(2406), 리시버부(2408), 이미지부(2410), 디스플레이부(2412) 및 저장부(2414)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4, the
이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리시버부(2408)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근접하거나 터치하는 터치 수단으로부터 발신된 적외선 및 초음파를 감지하여 터치 수단의 위치를 검출한다. The
이미지부(241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41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리시버부(2408)에 의해 검출된 터치 수단의 위치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부(2410)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31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The
도 2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5는 수신 단말기(102)가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경우의 수신 단말기(102)의 구조를 도시한다. 2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shows the structure of the receiving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수신 단말기(102)는 제어부(2500), 연동부(2502), 신호부(2504), 이미지부(2506), 디스플레이부(2508), 송수신부(2510) 및 저장부(251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5, the
이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신호부(2504)는 수신 단말기(102)에 디스플레이된 또는 디스플레이될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 신호를 송수신부(25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또한, 신호부(2504)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터치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제 2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가지는 제어 신호 또는 합성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배신한 합성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한다. The
이미지부(2506)는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508)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부(2506)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508)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The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사용자 단말기 102 : 수신 단말기
400 : 제 2 이미지 500 : 터치 펜
600 : 리시버 602 : 터치 펜
700 : 터치 패널 702 : 전자기 발생부
704 : 터치 펜 1000 : 제 2 이미지
1010 : UI 1200 : 리시버
1202 : 터치 펜 1400 : 동글
1402 : 터치 펜100: user terminal 102: receiving terminal
400: second image 500: touch pen
600: receiver 602: touch pen
700: touch panel 702: electromagnetic generator
704: touch pen 1000: the second image
1010: UI 1200: Receiver
1202: Touch Pen 1400: Dongle
1402: touch pen
Claims (29)
상기 사용자 단말기보다 큰 수신 단말기와 공유될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미지부; 및
상기 이미지부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가지는 이미지 신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근접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시청하는 상기 수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제어되도록, 상기 수신 단말기에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In the user terminal,
An image unit for outputting image data to be shared with a receiving terminal larger than the user terminal; And
A signal unit for transmitting an image signal having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unit and a control signal hav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means close to the user termi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And an image indi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means is displayed on the receiving terminal such that the user terminal is controlled through the receiving terminal viewed by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상기 이미지부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터치 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근접하였을 때의 위치 및 상기 터치 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하였을 때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송된 이미지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수신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전송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이미지가 상기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terminal,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position when the touch means is close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position when the touch means touches the user terminal,
The same image as the first imag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image signal, and the second image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means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position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used in the terminal interwo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along with the first image.
상기 감지 레벨들은 상기 터치 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근접하였을 때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감지 레벨 및 상기 터치 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하였을 때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감지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감지 레벨이 상기 제 1 감지 레벨보다 높으며, 상기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가 연동할 때는 상기 제 1 감지 레벨과 상기 제 2 감지 레벨을 모두 활성화시키는 반면에 연동하지 않을 때는 상기 제 2 감지 레벨만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The display device of claim 2, wherein the display unit is a capacitive touch panel, and the user terminal further includes a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plurality of detection levels.
The sensing levels correspond to a first sensing level for sensing the touch means when the touch means approaches the user terminal and a second sensing level for sensing the touch means when the touch means touches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level is higher than the first sensing level, and the setting unit activates both the first sensing level and the second sensing level when the user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interoperate. Otherwise, activates only the second detection level.
상기 리시버는 상기 터치 수단으로부터 발신된 초음파 및 적외선을 감지하여 상기 터치 수단이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신호부는 상기 검출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리시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touch means, the user terminal is a receiver is installed,
The receiver detects the ultrasonic wave and infrared rays transmitted from the touch means, the touch means detects the position, and the signal unit controls the receiver to transmi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touch means to the receiving terminal. User terminal used in the terminal interworking system.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부착되며, 전자기를 발생시키는 전자기 발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터치 수단의 종단에 금속 코일이 감겨져 있고, 상기 발생된 전자기에 의해 상기 금속 코일에 전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하며, 상기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상기 전자기가 변형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변형된 전자기를 감지하여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further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electromagnetic,
A metal coil is wound around the end of the touch means,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occurs in the metal coil by the generated electromagnetic, the electromagnetic is deformed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and the sensing unit detects the modified electromagnetic. User terminal used in the terminal interwo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means.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이미지 신호를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제어 채널을 통하여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hannels,
And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image sig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through a data channel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through a control channel.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이미지 신호를 데이터 구간들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데이터 구간들 사이의 블랭크 구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image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through the same channel.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image signal in the data intervals, and the user terminal used in the terminal interwo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blank signal between the data intervals.
상기 터치 수단의 근접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제 2 이미지와 상기 터치 수단의 터치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제 2 이미지는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unit separately transmits a control signal having position information when the touch means is close to the control terminal having position information when the touch means touches the user terminal,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when the touch means is close to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when the touch means is touched. User terminal used in the interlocking system.
상기 사용자 단말기보다 큰 수신 단말기와 공유될 제 1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 및 터치 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근접하였을 때의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 2 이미지에 해당하는 위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부; 및
상기 이미지부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 및 위치 표시 데이터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시청하는 상기 수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제어되도록, 상기 수신 단말기에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In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first image to be shared with a receiving terminal larger than the user terminal and position ind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a second image indicating a position of the touch means when the touch means is close to the user terminal. An image unit; And
A signal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data and the position indication data generated by the image unit to the receiving terminal,
And an image indi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means is displayed on the receiving terminal such that the user terminal is controlled through the receiving terminal viewed by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상기 터치 수단의 근접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복수의 감지 레벨들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 레벨들은 상기 터치 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근접하였을 때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감지 레벨 및 상기 터치 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하였을 때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감지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감지 레벨은 상기 제 1 감지 레벨보다 높으며, 상기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가 연동할 때는 상기 제 1 감지 레벨과 상기 제 2 감지 레벨을 모두 활성화시키는 반면에 연동하지 않을 때는 상기 제 2 감지 레벨만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user terminal,
A detector for detecting proximity of the touch means; And
Further comprising a setting unit for setting a plurality of detection levels,
The sensing levels correspond to a first sensing level for sensing the touch means when the touch means approaches the user terminal and a second sensing level for sensing the touch means when the touch means touches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level is higher than the first sensing level, and the setting unit activates both the first sensing level and the second sensing level when the user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re interlocked. Otherwise, activates only the second detection level.
상기 사용자 단말기보다 큰 수신 단말기와 공유될 제 1 이미지와 터치 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근접하였을 때의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 2 이미지를 합성한 합성 이미지에 해당하는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미지부; 및
상기 이미지부로부터 출력된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배신한 합성 신호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시청하는 상기 수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제어되도록 하기 위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In the user terminal,
Outputting composit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composite image obtained by synthesizing a first image to be shared with a receiving terminal larger than the user terminal and a second image indicating a position of the touch means when the touch means is close to the user terminal; An image unit; And
A signal unit for transmitting a composite sig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to distribute the composite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unit,
And the second image is an image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receiving terminal viewed by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상기 제 1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 1 이미지 생성부;
상기 제 2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 2 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를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합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이미지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image unit,
A first image generator which generates the first image;
A second image generator which generates the second image; And
Including an image synthesizer for synthesiz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to generate a composite image,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first image.
상기 터치 수단의 근접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복수의 감지 레벨들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 레벨들은 상기 터치 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근접하였을 때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감지 레벨 및 상기 터치 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터치하였을 때 상기 터치 수단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감지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감지 레벨은 상기 제 1 감지 레벨보다 높으며, 상기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가 연동할 때는 상기 제 1 감지 레벨과 상기 제 2 감지 레벨을 모두 활성화시키는 반면에 연동하지 않을 때는 상기 제 2 감지 레벨만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user terminal,
A detector for detecting proximity of the touch means; And
Further comprising a setting unit for setting a plurality of detection levels,
The sensing levels correspond to a first sensing level for sensing the touch means when the touch means approaches the user terminal and a second sensing level for sensing the touch means when the touch means touches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level is higher than the first sensing level, and the setting unit activates both the first sensing level and the second sensing level when the user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re interlocked. Otherwise, activates only the second detection level.
디스플레이부; 및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근접한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시청하는 상기 수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제어되도록, 상기 수신 단말기에 상기 터치 수단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In a user terminal linked to the receiving terminal and smaller than the receiving terminal,
A display unit; And
A signal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means in close proximity to the user termi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And an image represen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ouch means is displayed on the receiving terminal such that the user terminal is controlled through the receiving terminal viewed by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26. The apparatus of claim 25,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sense a touch unit proximate to the display unit; And
And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unit.
디스플레이부; 및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부를 포함하되,
상기 합성 이미지 데이터는 제 1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근접한 터치 수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시청하는 상기 수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제어되도록 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In a user terminal linked to the receiving terminal and smaller than the receiving terminal,
A display unit; And
A signal unit for transmitting the composite image data to the receiving terminal,
The composite image data includes first image data and second image data indicating a position of a touch means proximate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image data is image data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receiving terminal viewed by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근접한 터치 수단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8,
A detector for detecting a touch means close to the user terminal; And
And an image unit configured to generate the composite image data us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3012A KR101151549B1 (en) | 2012-03-06 | 2012-03-06 | System for interworking and controlling devices and user device used in the same |
US13/785,266 US20130244730A1 (en) | 2012-03-06 | 2013-03-05 | User terminal capable of sharing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US13/785,600 US20130234984A1 (en) | 2012-03-06 | 2013-03-05 |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
US13/785,370 US20130234959A1 (en) | 2012-03-06 | 2013-03-05 |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
US13/785,498 US8913026B2 (en) | 2012-03-06 | 2013-03-05 |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
US13/785,302 US20130241854A1 (en) | 2012-03-06 | 2013-03-05 | Image sharing system and user terminal for the system |
US14/155,204 US20140125622A1 (en) | 2012-03-06 | 2014-01-14 |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
US15/052,803 US20160170703A1 (en) | 2012-03-06 | 2016-02-24 |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
US16/142,998 US10656895B2 (en) | 2012-03-06 | 2018-09-26 |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3012A KR101151549B1 (en) | 2012-03-06 | 2012-03-06 | System for interworking and controlling devices and user device used in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51549B1 true KR101151549B1 (en) | 2012-05-30 |
Family
ID=4627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30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1549B1 (en) | 2012-03-06 | 2012-03-06 | System for interworking and controlling devices and user device used in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154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677597A (en) * | 2012-09-10 | 2014-03-26 | 华为终端有限公司 | Terminal equipment and same-screen display method and system |
US20150169129A1 (en) * | 2013-12-13 | 2015-06-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displaying touch indicato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96793A (en) * | 2006-02-27 | 2008-11-03 |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 Image information sharing system |
KR20110037024A (en) * | 2009-10-05 | 2011-04-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pplication execution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10057930A (en) * | 2009-11-25 | 2011-06-0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Interlocking system between vehicle handset unit and external device |
JP2012043266A (en) | 2010-08-20 | 2012-03-01 | Sony Corp | Information processor, program and display control method |
-
2012
- 2012-03-06 KR KR1020120023012A patent/KR10115154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96793A (en) * | 2006-02-27 | 2008-11-03 |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 Image information sharing system |
KR20110037024A (en) * | 2009-10-05 | 2011-04-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pplication execution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10057930A (en) * | 2009-11-25 | 2011-06-0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Interlocking system between vehicle handset unit and external device |
JP2012043266A (en) | 2010-08-20 | 2012-03-01 | Sony Corp | Information processor, program and display control method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677597A (en) * | 2012-09-10 | 2014-03-26 | 华为终端有限公司 | Terminal equipment and same-screen display method and system |
EP2894556A4 (en) * | 2012-09-10 | 2015-11-11 | Huawei Device Co Ltd | Terminal device, and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 in one screen |
US9690536B2 (en) | 2012-09-10 | 2017-06-27 | Huawei Device Co., Ltd. | Terminal device, and screen-sharing display method and system |
US20150169129A1 (en) * | 2013-12-13 | 2015-06-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displaying touch indicato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56895B2 (en) |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 |
KR101910780B1 (en) | Radar-based gesture-recognition through a wearable device | |
US10338776B2 (en) | Optical head mounted display, television portal modul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graphical user interface | |
KR100980741B1 (en) | A remote controller and a method for remote contrlling a display | |
US20120274547A1 (en) | Techniques for content navigation using proximity sensing | |
US20120089940A1 (en) | Methods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on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applying the same | |
KR101384493B1 (en) | System for interworking and controlling devices and user device used in the same | |
CN111052063A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0386932B2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WO2022017421A1 (en) | Interaction method, display device, emission device, interac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 |
CN104137556A (en) |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using control device | |
KR20110134810A (en) |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 |
KR101212364B1 (en) | System for interworking and controlling devices and user device used in the same | |
US20130244730A1 (en) | User terminal capable of sharing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151549B1 (en) | System for interworking and controlling devices and user device used in the same | |
KR102101432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pointer and displaying the pointer, and apparatus thereof | |
KR101951484B1 (en) | System for interworking and controlling devices and reception device used in the same | |
KR20130101886A (en) | System for interworking and controlling devices and reception device used in the same | |
KR101515912B1 (en) | User Terminal Capable of Sharing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30129684A (en) | System for interworking and controlling devices and user device used in the same | |
KR20130129693A (en) | System for interworking and controlling devices and user device used in the same | |
US20130314318A1 (en) | Method of improving cursor operation of handheld pointer device in a display and handheld pointer device with improved cursor oper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5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