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24276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jog dial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jog d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276B1
KR101124276B1 KR1020050078470A KR20050078470A KR101124276B1 KR 101124276 B1 KR101124276 B1 KR 101124276B1 KR 1020050078470 A KR1020050078470 A KR 1020050078470A KR 20050078470 A KR20050078470 A KR 20050078470A KR 101124276 B1 KR101124276 B1 KR 101124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g di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ode
jo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4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24019A (en
Inventor
노용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8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276B1/en
Publication of KR20070024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0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276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4Delay circuits;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 조그셔틀 기능이 가능한 조그 다이얼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생동감을 줄 수 있는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capable of providing convenience and liveliness to a user by having a jog dial capable of a jog shuttle function on the outside thereof.

본 발명은 본체; 본체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조그 다이얼; 조그 다이얼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모션센서; 모션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그 다이얼의 회전 방향을 판단하는 기능 판단부; 및 기능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특정 모드의 실행 방향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body; A jog dial rotatab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 motion sensor detecting a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dial; A function determination unit to determine a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dial sensed by the motion senso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o determine an execution direction of a specific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function determination unit.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comprising a.

이동통신 단말기, 스피커, 조그 다이얼, 감지센서, 모션센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peaker, jog dial, sensor, motion sensor, multimedia contents

Description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JOG DIAL}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jog di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JOG DI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jog dial shown in FIG.

도 3a 내지 도 3f는 조그 다이얼의 제1 내지 제6 실시예의 측면도이다.3A to 3F are side views of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of the jog dia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본체 20: 조그 다이얼10: main body 20: jog dial

22: 돌기 30: 스피커22: turning 30: speaker

40: 감지센서 50: 타이머40: sensor 50: timer

60: 모션센서 70: 기능 판단부60: motion sensor 70: function determination unit

80: 제어부80: control unit

본 발명은 외부에 조그셔틀 기능이 가능한 조그 다이얼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생동감을 줄 수 있는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capable of providing convenience and liveliness to a user by having a jog dial capable of a jog shuttle function on the outside thereof.

최근 들어 통신 및 전자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technology, the u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s become common, and accordingly, various functions have been provid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o satisfy user's needs.

요즘 출시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카메라 기능이나 엠피쓰리(MP3) 기능 또는 TV수신 기능(동영상 재생 기능) 등이 추가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기능과 관련하여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adding a camera function, MP3 (MP3) function or TV reception function (video playback function), and the like, and the variety of multimedia contents provided in connection with such a function is also diversified.

하지만, 이러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감상하는 경우 특히, 어학이나 음악 콘텐츠가 재생되고 있던 중에 그 콘텐츠의 앞부분이나 뒷부분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주머니나 가방에 넣어둔 이동통신 단말기를 꺼내어 단말기 외면에 마련된 버튼을 이용하여 수차례 조작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when listening to such multimedia conten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in order to move to the front or the rear of the content while the language or music content is being played, take o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laced in the user's pocket or bag.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operate several times using the button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에 조그셔틀 기능이 가능한 조그 다이얼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생동감을 줄 수 있는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and liveliness to a user by having a jog dial capable of a jog shuttle func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회 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조그 다이얼; 상기 조그 다이얼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모션센서; 상기 모션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조그 다이얼의 회전 방향을 판단하는 기능 판단부; 및 상기 기능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특정 모드의 실행 방향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A jog dial rotatab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 motion sensor detecting a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dial; A function determination unit to determine a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dial sensed by the motion senso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n execution direction of a specific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function determination unit.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comprising a.

이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조그 다이얼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그 다이얼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물체의 감지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th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osed inside the jog dial, the sensor for detecting an object approaching the jog dial; And a timer for measuring a detection duration of the object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여기서, 상기 기능 판단부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감지 지속시간을 기 설정된 기준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모션센서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Here, the function determination unit is configured to drive the motion sensor when the reference time is exceeded by comparing the detection duration measured by the timer with a preset reference time.

한편, 상기 특정 모드는 메뉴 선택 모드, 음량 조절 모드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pecific mode is composed of any one of a menu selection mode, volume control mode or multimedia content playback mode.

이때 상기 특정 모드가 메뉴 선택 모드일 경우, 상기 기능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조그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상부 메뉴로 이동하거나 하부 메뉴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when the specific mode is a menu selection mode,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move to an upper menu or a lower menu by rotating the jog di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function determining unit.

또한 상기 특정 모드가 음량 조절 모드일 경우, 상기 기능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조그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음량이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specific mode is the volume control mode, the volume is increased or decreased by the rotation of the jog dial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of the function determining unit.

그리고 상기 특정 모드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모드일 경우, 상기 기능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조그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정지하고, 재생이 정지된 시점에서 재생 전의 일정 구간 또는 재생 후의 일정 구간으로 이동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구성된다.When the specific mode is a multimedia content playback mode, the multimedia unit stops playback of the multimedia content by rotating the jog di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function determination unit, and a predetermined section before playback or a predetermined section after playback is stopped at the time when playback is stopped. Move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그 다이얼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가 가변 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playback speed of the multimedia content to vary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jog dial.

여기서 상기 조그 다이얼의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구성된다.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jog dial is configured such that one or more protrusions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한편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돌기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detection sensor may be configured to be disposed in the protrusion.

이때, 상기 감지센서는 온도감지센서 또는 광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sensor is preferably a temperature sensor or an optical sensor.

그리고 상기 조그 다이얼의 내부에는 외부를 향해 음향을 발산시키도록 표면이 노출되는 스피커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된다.The jog dial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peaker whose surface is exposed to emit sound toward the outside.

또한 상기 조그 다이얼은, 상기 스피커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jog dial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blocking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speak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se drawing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10)와 조그 다이얼(20), 스피커(30), 감지센서(40), 타이머(50), 모션 센서(60), 기능 판단부(70) 및 제어부(80)로 구성된다.1 and 2,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jog dial 20, a speaker 30, a sensor 40, a timer 50, and a motion sensor. 60, the function determination unit 70 and the control unit 80.

본체(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구성하게 되며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동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치들과 표시부 등이 마련되게 된다.The main body 10 constitutes an appear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arious devices and a display unit for dri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ovided.

조그 다이얼(20)은 본체(10)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손 등을 이용하여 조그 다이얼(2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조그 다이얼(20)의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22)가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jog dial 20 is rotatab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Here, one or more protrusions 22 may be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jog dial 20 to b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a user may easily rotate the jog dial 20 using a hand or the like.

그리고 스피커(30)는 전술한 조그 다이얼(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를 향해 음향을 발산시키도록 표면이 노출되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소리를 내게 된다. 이와 같은 스피커(30)는 조그 다이얼(20)의 내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조그 다이얼(20)의 외부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aker 30 is provided inside the jog dial 20 and the surface of the speaker 30 is exposed to emit sound toward the outside, and like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peaker 30 emits various sounds stor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 The speaker 3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jog dial 20, and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toward the outer direction of the jog dial 20.

감지센서(40)는 조그 다이얼(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조그 다이얼(20)에 접근하는 물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과 같은 물체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감지센서(40)는 사용자의 손 등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감지센서나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감지센서(40)는 조그 다이얼(20)의 외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22)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sensor 40 is disposed inside the jog dial 20 and detects an object approaching the jog dial 20, for example, an object such as a user's hand. In this case, the detection sensor 40 may use a temperature sensor that can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user's hand or the like, or an optical sensor that can detect an object using infrared rays. In this case, the detection sensor 40 may be configured to be disposed in one or more protrusions 2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jog dial 20.

타이머(50)는 사용자의 손 등과 같은 물체가 감지센서(40)에 의해 감지되면 그 물체가 감지되고 난 후 지속되는 시간, 즉 감지 지속시간을 측정하게 된다.When the timer 50 detects an object such as a user's hand by the detection sensor 40, the timer 50 measures the time duration after the object is detected, that is, the detection duration.

또한, 모션센서(60)는 조그 다이얼(20)의 회전 방향,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모션센서(60)는 사용자의 손 등이 조그 다이얼(2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22)에 닿는 것을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ion sensor 60 detects whether the jog dial 20 rotates, for exampl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this case, the motion sensor 6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at the user's hand and the like touch the one or more protrusions 22 formed on the jog dial 20.

기능 판단부(70)는, 타이머(50)에 의해 측정된 감지 지속시간을 기 설정된 기준시간과 비교하여 기준시간에 미달하면 동작하지 않으나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조그셔틀 기능을 활성화하고, 모션센서(60)에 의해 감지된 조그 다이얼(20)의 회전 방향을 판단하게 된다.The function determining unit 70 compares the detection duration measured by the timer 50 with a preset reference time and does not operate when the reference time falls below the reference time, but activates the jog shuttle function when the reference time is exceeded.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jog dial 20 sensed by 60 is determined.

한편, 제어부(8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 설정되어 있는 조그 다이얼(20)의 기능모드가 메뉴 선택 모드인지, 음량 조절 모드인지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모드인지에 따라 그 동작이 달라지게 된다.Meanwhile,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function mode of the jog dial 20 pre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enu selection mode, a volume control mode or multimedia content. Its operation varies depending on whether it is in the playback mode.

본 명세서에서 주로 설명하는 조그 다이얼(20)의 기능모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모드이며, 이와 같은 조그 다이얼(20)의 기능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에 조그 다이얼(20) 기능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별도의 메뉴를 두어 조그 다이얼(20)의 기능모드, 즉 메뉴 선택 모드, 음량 조절 모드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unction mode of the jog dial 20 mainly described herein is a multimedia content playback mode, and the function mode of the jog dial 20 is a separate mode for setting the jog dial 20 function mode in a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 function of the jog dial 20 so as to select and operate any one of a function mode of the jog dial 20, that is, a menu selection mode, a volume control mode, or a multimedia content playback mode.

기 설정되어 있는 조그 다이얼(20)의 기능모드가 메뉴 선택 모드일 경우에는 조그 다이얼(20)의 회전시 기능 판단부(70)에 의해 판단된 방향에 따라 상부 메뉴 또는 하부 메뉴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게 되며, 기 설정되어 있는 조그 다이얼(20)의 기능모드가 음량 조절 모드일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조그 다이얼(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When the function mode of the preset jog dial 20 is the menu selection mode, the jog dial 20 is configured to move to the upper menu or the lower menu according to the direction determined by the function determining unit 70 when the jog dial 20 is rotated. When the function mode of the preset jog dial 20 is the volume control mode, the volume of the volume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dial 20 as described above. .

또한 기 설정되어 있는 조그 다이얼(20)의 기능모드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모드일 경우 조그 다이얼(20)의 회전에 따라 재생되고 있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정지하고, 재생이 정지된 시점에서 재생 전의 일정 구간 또는 재생 후의 일정 구간으로 이동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시 재생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reset function mode of the jog dial 20 is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mode, the playback of the multimedia content that is being played back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jog dial 20 is stopped, and a predetermined section before the playback is stopped at the time when the playback is stopped. Or, it moves to a certain section after the playback to control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again.

이때, 조그 다이얼(20)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일 경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된 부분으로부터 일정 구간 재생 전으로 이동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설정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jog dial 20 is clockwise, the jog dial 20 may be set to move from the portion where the reproduc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is stopped to before playing a predetermined section, or vice versa.

이하, 도 3a 내지 도 3f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더욱 상세히 살펴본다. 여기서, 도 3a 내지 도 3f 및 도 4에서는 조그 다이얼(20)의 기능모드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모드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감지센서는 온도감지센서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며, 스피커나 온도감지센서 및 모션센서에 연결되는 전선 등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F and 4. 3A to 3F and 4, the functional mode of the jog dial 20 will be described as a multimedia content reproduction mode. In addition, the sensor will be described as being limited to using a temperature sensor, and wires connected to the speaker or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motion sensor will be omitted.

도 3a는 조그 다이얼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3A shows a sid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jog dial.

도 3a를 참조하면, 조그 다이얼(20)은 중앙 부근의 내면에 스피커(30)가 배치되고 하단면에 각각 온도감지센서(40)와 모션센서(60)가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3A, the jog dial 20 has a speaker 30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near a center thereof, and a temperature sensor 40 and a motion sensor 60 dispos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respectively.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 등이 조그 다이얼(20)에 닿아 회전시키게 되면, 먼저 온도감지센서(40)가 사용자의 손이 조그 다이얼(20)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게 되며, 감지 지속시간을 타이머(50)가 측정하여 설정된 기준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기능 판단부(70)에서 조그 다이얼(20)의 회전 방향을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user's hand or the like touches and rotates the jog dial 20, first, the temperature sensor 40 detects that the user's hand approaches the jog dial 20, and the detection duration is determined by the timer 50. If the measurement exceeds the set reference time is to determin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dial 20 in the function determination unit 70.

그리고 제어부(80)는 기능 판단부(70)의 판단에 따라 재생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시키고, 기능 판단부(70)가 판단한 조그 다이얼(20)의 회전 방향, 예를 들어 조그 다이얼(2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경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이 중지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구간 재생 전으로 이동하여 다시 재생되도록 제어하게 된다.Then, the controller 80 stops the playback of the multimedia content that is being played back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function determination unit 70,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dial 20 determined by the function determination unit 70, for example, the jog dial ( If 2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control moves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multimedia content is stopped to play before playing a predetermined section and plays again.

도 3b는 조그 다이얼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3b shows a sid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jog dial.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그 다이얼(20)의 제2 실시예는 전술한 조그 다이얼(20)의 제1 실시예와 유사하나 조그 다이얼(20)의 외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기(22)가 형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As shown in FIG. 3B,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jog dial 20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jog dial 20 described above, but has projections 22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jog dial 20.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it is formed.

이러한 돌기(22)가 조그 다이얼(20)의 외면에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조그 다이얼(20)을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돌기(22)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좀 더 손쉽게 조그 다이얼(2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Since the protrusion 2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jog dial 20, when the user wants to rotate the jog dial 20, the protrusion 22 can be rotated using the protrusion 22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otate the jog dial 20. You can rotate the.

도 3c는 조그 다이얼의 제3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3C shows a sid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jog dial.

도 3c를 살펴보면, 조그 다이얼(20)의 제3 실시예는 스피커(30)가 조그 다이얼(20)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게 되며, 이러한 스피커(30)의 하부면에 온도감지센서(40)가 배치되고 조그 다이얼(20)의 하부면에 모션센서(60)가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3C, the third embodiment of the jog dial 20 is provided such that the speaker 30 protrudes outward from the jog dial 20, and the temperature sensor 4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peaker 30. ) Is disposed and the motion sensor 6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jog dial 20.

도 3d는 조그 다이얼의 제4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3d shows a sid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 jog dial.

도 3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그 다이얼(20)의 제4 실시예는 전술한 조그 다이얼(20)의 제3 실시예와 유사하나 조그 다이얼(20)의 외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기(22)가 형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As shown in FIG. 3D,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jog dial 20 is similar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jog dial 20 described above, but the projection 22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utside the jog dial 20.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ormation.

도 3e는 조그 다이얼의 제5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3E shows a sid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a jog dial.

도 3e를 참조하면, 조그 다이얼(20)의 제5 실시예는 스피커(30)가 조그 다이얼(20)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조그 다이얼(20)의 외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기(22)가 형성되게 되며, 돌기(22)의 하부면에 모션센서(60)가 배치된다. 그리고 온도감지센서(40)가 조그 다이얼(20)의 하부면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3E,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jog dial 20, the speaker 30 protrudes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jog dial 20, and the protrusions 2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jog dial 20. Is formed, the motion sensor 6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jection (22). And the temperature sensor 4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jog dial 20.

이와 같이 돌기(22)의 하부면에 모션센서(60)가 배치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손 등이 돌기(22)에 닿아 조그 다이얼(20)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조그 다이얼(20)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게 된다.As the motion sensor 6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22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s hand touches the protrusion 22 to rotate the jog dial 20, the motion of the jog dial 20 is detected. The direction is detected.

도 3f는 조그 다이얼의 제6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3f shows a side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a jog dial.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그 다이얼(20)의 제6 실시예는 스피커(30)가 조그 다이얼(20)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조그 다이얼(20)의 외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기(22)가 형성되게 되며, 돌기(22)의 하부면에 모션센서(60)가 배치된다. 또한, 스피커(30)의 하부면에 온도감지센서(40)가 배치된다.As shown in FIG. 3F, 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jog dial 20, the speaker 30 protrudes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jog dial 20 and protrud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jog dial 20. 22 is formed, the motion sensor 6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jection (22). 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or 4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peaker 3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순서도이다. 여기서, 도 4에서는 조그 다이얼(20)의 회전 방향에 따른 설정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 재생되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앞 부분으로 일정 구간 이동하 여 재생되는 것으로 설명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when the set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dial 2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t will be described as being played by moving a predetermined section to the front of the multimedia content that has been played.

도 4를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조그셔틀 기능을 설정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S10). 사용자가 조그셔틀 기능을 설정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 등이 조그 다이얼(20)에 접근하거나 조그 다이얼(20)을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조그셔틀 기능은 동작하지 않게 된다.Referring to FIG. 4, first, a user decides whether to set a jog shuttle function (S10). When the user does not set the jog shuttle function, even if the user's hand approaches the jog dial 20 or rotates the jog dial 20, the jog shuttle function does not operate.

사용자가 조그셔틀 기능을 설정했을 경우 조그셔틀 기능에 대한 세부적인 설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설정은 조그셔틀 기능을 설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메뉴를 통해 미리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When the user sets the jog shuttle function, detailed settings for the jog shuttle function can be made. Of course, such a setting may be configured to be set in advance through a menu without setting the jog shuttle function.

조그셔틀 기능에 대한 세부적인 설정은 조그 다이얼(20)의 회전 방향, 즉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에 따라 재생되던 음악이나 어학 콘텐츠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일정 구간만큼 앞으로 전진하여 재생할 것인지, 뒤로 후진하여 재생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조그 다이얼(20)의 회전 속도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가변시키는 것을 온/오프하거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기능 판단부(70)가 동작하게 하는 기준인 기준시간을 변동시킬 수도 있다.The detailed setting for the jog shuttle function is to forward or play backward by a certain section of multimedia content such as music or language content play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dial 20, that i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play, and to change the playback speed of the multimedia content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jog dial 20 can be configured to turn on / off or set the playback speed of the multimedia content. In addition, the reference time which is a reference for operating the function determination unit 70 may be varied.

조그셔틀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 등을 이용하여 조그 다이얼(20)에 근접하여 조그 다이얼(20)을 회전시키게 되면 온도감지센서(40)가 이를 감지하게 되며(S20), 감지된 순간부터 타이머(50)가 감지 지속시간을 카운트하게 된다(S30).When the jog shuttle function is activated and the user rotates the jog dial 20 in close proximity to the jog dial 20 using a hand or the like, the temperature sensor 40 detects this (S20). From the moment the timer 50 counts the detection duration (S30).

타이머(50)에 의해 카운트 된 감지 지속시간이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시간에 미달할 경우 기능 판단부(70)는 동작하지 않으며, 감지 지속시간이 기준시간을 넘게 될 경우에는 기능 판단부(70)가 조그셔틀 기능을 활성화하고, 조그 다이얼(20)의 회전 방향을 판단하게 된다(S40).If the detection duration counted by the timer 50 is less than the preset reference time, the function determination unit 70 does not operate. When the detection duration exceeds the reference time, the function determination unit 70 Activates the jog shuttle function, and determine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dial 20 (S40).

사용자가 조그 다이얼(20)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일 때 앞으로 일정 구간 이동하도록 설정한 경우 이 설정에 따라 기능 판단부(70)에서는 조그 다이얼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인지를 판단하여(S50) 조그 다이얼(20)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일 경우 제어부(80)에서는 재생되고 있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일단 정지시키게 되며, 정지된 부분으로부터 앞으로 일정 구간 이동하여 다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게 되는 것이다(S60).When the user set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jog dial 20 forward when the rotation direction is clockwise, the function determination unit 70 determines whether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dial is clockwise according to this setting (S50). Whe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ial 20 is clockwise, the controller 80 stops the playback of the multimedia content, which is being played once, and then plays the multimedia content again for a predetermined period from the stopped portion (S60). .

이와는 반대로 조그 다이얼(20)의 회전 방향이 반시계 방향일 경우 제어부(80)에서는 정지된 부분으로부터 일정 구간 뒤로 이동한 후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시 재생하게 된다(S70).On the contrary, whe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jog dial 20 is counterclockwise, the controller 80 moves back from the stationary portion to a certain section and plays back the multimedia content (S70).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외부에 조그셔틀 기능이 가능한 조그 다이얼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생동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jog dial capable of a jog shuttle function is provided on the outside to provide convenience and vitality to the user.

Claims (13)

본체;main body;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조그 다이얼;A jog dial rotatab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조그 다이얼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모션센서;A motion sensor detecting a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dial; 상기 모션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조그 다이얼의 회전 방향을 판단하는 기능 판단부; A function determination unit to determine a rotation direction of the jog dial sensed by the motion sensor; 상기 기능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특정 모드의 실행 방향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controlling to determine an execution direction of a specific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function determination unit; 상기 조그 다이얼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그 다이얼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A detection sensor disposed inside the jog dial and detecting an object approaching the jog dial; And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물체의 감지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timer for measuring a detection duration of the object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능 판단부는,The function determination unit, 상기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감지 지속시간을 기 설정된 기준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모션센서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motion jog dial, wherein the motion sensor is driven when the detection duration measured by the timer is compared with a preset reference time to exceed the reference tim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특정 모드는 The specific mode 메뉴 선택 모드, 음량 조절 모드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which is one of a menu selection mode, a volume control mode, and a multimedia content playback mod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특정 모드가 메뉴 선택 모드일 경우,If the specific mode is a menu selection mode, 상기 기능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조그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상부 메뉴로 이동하거나 하부 메뉴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to the upper menu or lower menu by the rotation of the jog dial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of the function determining uni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특정 모드가 음량 조절 모드일 경우,When the specific mode is the volume control mode, 상기 기능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조그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음량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ume is increased or decreased by the rotation of the jog dial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of the function determining uni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특정 모드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모드일 경우,If the specific mode is a multimedia content playback mode, 상기 기능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조그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정지하고, 재생이 정지된 시점에서 재생 전의 일정 구간 또는 재생 후의 일정 구간으로 이동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Stop playing the multimedia content by rotating the jog di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function determination unit, and play the multimedia content by moving to a predetermined section before or a predetermined section after the playback at the time when playback is stopp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조그 다이얼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속도가 가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jog dial for controlling the reproduction speed of the multimedia content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jog di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그 다이얼의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outer surface of the jog di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projections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감지센서는,The detection sensor, 상기 돌기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protrusion.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감지센서는 온도감지센서 또는 광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senso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temperature sensor or an optical sensor. 제 1 항 및 제3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11, 상기 조그 다이얼의 내부에는 외부를 향해 음향을 발산시키도록 표면이 노출되는 스피커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inside of the jog di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further comprising a speaker whose surface is exposed to radiate sound toward the outside. 제 12 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조그 다이얼은,The jog dial, 상기 스피커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jog di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lock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speaker.
KR1020050078470A 2005-08-25 2005-08-2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jog dial Expired - Fee Related KR1011242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470A KR101124276B1 (en) 2005-08-25 2005-08-2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jog d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470A KR101124276B1 (en) 2005-08-25 2005-08-2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jog d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019A KR20070024019A (en) 2007-03-02
KR101124276B1 true KR101124276B1 (en) 2012-03-27

Family

ID=3809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470A Expired - Fee Related KR101124276B1 (en) 2005-08-25 2005-08-2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jog d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27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059A (en) * 2001-02-05 2002-08-13 삼성전자 주식회사 Jog dial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40106552A (en) * 2002-05-16 2004-12-1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Inputting method and input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059A (en) * 2001-02-05 2002-08-13 삼성전자 주식회사 Jog dial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40106552A (en) * 2002-05-16 2004-12-1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Inputting method and input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019A (en)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67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haptically-enabled projected user interface
CN104685898B (en) A kind of method and terminal for playing media
US20090225026A1 (en) Electronic device for selecting an application based on sensed orienta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7925029B2 (en) Personal audio system with earpiece remote controller
US11172282B2 (en) Earphone and earphone wearing detection method
JP2007286812A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10030662A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lative gesture recognition mode
CA2897300C (en) Capacitive gesture recognition book
EP1943873A2 (en) System and method and for controlling a device using position and touch
JP2010250610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ination detection method, and inclination detection program
US20170039029A1 (en) Speaker
JP2012050769A (en) Game apparatus, gam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12427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jog dial
JP2001507839A (en) Data input device
US9413870B2 (en)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ttribute of application based on motion and method thereof
TWI451293B (en) Control method of multi - function controller
JP4352538B2 (en) Operating device
US9058087B2 (en) Smar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5018325A1 (en) Remote control and method for using remote control to control device
KR100936598B1 (en) Game method playing music using movement of mobileterminal
WO2018154975A1 (en) Controll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0959082B1 (en) Function control device and function control method in electronic dictionary
TW202107904A (en) Earphone and earphone wearing detection method
JP2007049259A (en) User operation interfac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TW200905708A (en) Media pla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3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