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578B1 - Dual polarized antenna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Dual polarized antenna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1578B1 KR101111578B1 KR1020100053736A KR20100053736A KR101111578B1 KR 101111578 B1 KR101111578 B1 KR 101111578B1 KR 1020100053736 A KR1020100053736 A KR 1020100053736A KR 20100053736 A KR20100053736 A KR 20100053736A KR 101111578 B1 KR101111578 B1 KR 1011115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ments
- dipole
- antenna
- feeding
- omni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2—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using dipole a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5/00—Antennas or antenna systems providing at least two radiating patterns
- H01Q25/001—Crossed polarisation dual antennas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 상에 2개가 마주보고 형성되며 서로 역위상이 되는 수평 편파 특성의 다이폴 소자 및 상기 다이폴 소자간의 직교 방향으로 상기 반사판 상에 2개가 마주보고 형성되며 서로 동위상이 되는 수직 편파 특성의 옴니 안테나 소자를 포함함으로써 수직 편파와 수평 편파를 양방향으로 방사할 수 있다.The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reflecting plate, the two facing each other on the reflecting plate and formed on the reflecting plat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between the dipole element and the dipole element of the horizontal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that are in antiphase with each other By including omni antenna elements having vertical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that are in phase with each other, vertical polarization and horizontal polarization can be radiated in both directions.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중 편파 양방향성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직 편파와 수평 편파 모두를 양방향으로 방사하는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enna that radiates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polarized waves in both directions.
안테나(antenna)는 무선통신에서 통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간에 효율적으로 전파를 방사하거나 또는 전파에 의해 효율적으로 기전력을 유기(誘起)시키기 위해 공중에 가설한 도선(導線)이다. 즉, 송수신을 위해 전자파를 공간으로 보내거나 받기 위한 장치로 영국에서는 에어리얼(aerial)이라고 한다. 안테나라는 것은 곤충의 촉각이라는 뜻으로서, 전파를 잡는 촉각과 같은 작용을 한다는데서 이 이름이 생겼다. 에어리얼이라는 것은 ‘공중의’라는 뜻이며, 안테나를 공중선이라고 하는 것은 여기에 기인한다.An antenna is a conductor laid in the air in order to efficiently radiate radio waves into a spa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or to efficiently dissipate electromotive force by radio waves. That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electromagnetic waves to a sp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s called an aerial in the UK. The term antenna means the tactile sense of insects, and this name comes from acting like a tactile sense of catching radio waves. Aerial means "public," and antennas are called aerials.
송신용 안테나나 수신용 안테나도 그 기본원리는 같으나, 사용하는 주파수(파장)에 따라 모양이 여러 가지로 달라진다. 안테나를 효율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안테나를 사용하는 주파수에 공진(共振)시킬 필요가 있다. 수직형 안테나는 동축안테나 또는 슬리브(sleeve) 안테나라고도 하는데 그 길이를 사용하는 파장의 1/4 또는 1/2로 하면 공진하지만, 실제로는 안테나가 너무 길어지므로 코일이나 콘덴서를 사용해서 공진시키고 있다. 단파나 초단파에서는 파장이 짧으므로 1/2파장의 안테나를 쓰고 있다. 동축안테나는 택시무선이나 기타 초단파를 사용하는 통신장치의 송수신 안테나로서 많이 사용된다.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have the same basic principle, but the shape varies in accordance with the frequency (wavelength) used. In order to operate the antenna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resonate at the frequency using the antenna. Vertical antennas, also referred to as coaxial antennas or sleeve antennas, resonate when their length is 1/4 or 1/2 of the wavelength used, but in practice, the antennas are too long and are resonated using coils or capacitors. In short and ultrashort waves, the wavelength is short, so half-wavelength antennas are used. Coaxial antennas are commonly used as transmit / receive antennas for communication devices using taxi radios or other microwaves.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전파는 전자기장(電磁氣場)의 에너지가 파동의 형태로 전파하고 있는 것이므로 편파적 특성을 갖는다. 편파란 빛이나 전파에서 파동의 진동방향이 어떤 특정한 성질을 가지는 일 또는 그와 같은 파동 자체를 지칭한다.The radio waves radiated from the antenna are polarized because the energy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propagates in the form of waves. Polarization refers to one or such wave itself having certain properties in the direction of its vibration in light or propagation.
일반적으로 전기장 벡터는 파동의 진행방향과는 직각인 평면 내에서 진동한다. 전기장 벡터와 파동의 진행방향이 만드는 면을 편파면(偏波面)이라고 한다. 편파면이 대지에 수직인 파동을 수직 편파, 대지와 평행인 파동을 수평 편파라고 한다. 또 전기장 벡터의 끝이 원(圓)인 파동을 원편파라고 한다.In general, the electric field vector oscillates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wave. The plane created by the electric field vector and the direction of wave propagation is called a polarization plane. Waves with a polarized plane perpendicular to the earth are called vertical polarizations and waves parallel to the earth are called horizontal polarizations. The wave whose end of the electric field vector is circular is called circular polarization.
수직 편파와 수평 편파의 경우 송수신측 안테나 모두에서 같은 편파를 방사하고 방사받을 수 있어야 정상적인 안테나 시스템이 구현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근래 다양해지고 있는 통신 환경에 발맞추어 수직 편파와 수평 편파를 모두 방사하는 안테나가 주목받고 있다.
In the case of vertical polarization and horizontal polarization, a normal antenna system is implemented only when both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can radiate and receive the same polarization. In such a situation, in order to keep pace with the diversified communication environment, antennas emitting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polarizations have attracted attention.
본 발명은 전파의 전기장이 반사 평면이나 대지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하는 직선 편파인 수직 편파와 전파의 전기장이 반사 평면이나 대지면에 대하여 수평이 되도록 하는 직선 편파인 수평 편파 모두를 양방향으로 방사시키는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al polarization that radiates both a vertical polarization that is a linear polarization such that the electric field of the radio wave is perpendicular to the reflection plane or the ground, and a horizontal polarization that is a linear polarization such that the electric field of the radio wave is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reflection plane or the ground. To provide a bidirectional antenna.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 상에 2개가 마주보고 형성되며 방사하는 전파가 서로 역위상이 되는 수평 편파 특성의 다이폴 소자 및 상기 다이폴 소자간의 직교 방향으로 상기 반사판 상에 2개가 마주보고 형성되며 방사하는 전파가 서로 동위상이 되는 수직 편파 특성의 옴니 안테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between a dipole element and a dipole element of a horizontal polarization characteristic in which two are formed facing each other on the reflecting plate and the radiating radio waves are reversed to each other. Two may be formed facing each other on the reflecting plate, and may include an omni antenna element having vertical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in which radiating radio waves are in phase with each other.
이때, 상기 옴니 안테나 소자 각각을 급전시키는 동일 길이의 옴니 피딩부 및 상기 다이폴 소자 각각을 급전시키는 동일 길이의 다이폴 피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폴 소자 각각은 마주보는 소자에서 바라본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의 2개의 엘리먼트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엘리먼트 중 동일 엘리먼트 측에 급전점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mni-feeding unit of the same length for feeding each of the omni antenna elements and a dipole feeding portion of the same length for feeding each of the dipole elements, each of the dipole elements and the left and the right relative to the direction viewed from the facing element Consists of two elements on the right side, a feed point may be formed on the same element side of the two elements.
또한, 상기 옴니 안테나 소자 각각을 급전시키는 동일 길이의 옴니 피딩부 및 상기 다이폴 소자 각각에 서로 역위상인 신호를 급전시키는 서로 다른 길이의 다이폴 피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폴 소자 각각은 분리된 2개의 엘리먼트 중 서로 다른 엘리먼트 측에 급전점이 형성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omni-feeding unit having a same length for feeding each of the omni antenna elements and a dipole feeding unit having different lengths for feeding signals that are out of phase with each other, respectively. Feed points may be formed on different elements of the elements.
또한, 상기 옴니 안테나 소자간의 중심은 상기 다이폴 소자간의 중심과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between the omni antenna elements may be the same as the center between the dipole elements.
또한, 상기 다이폴 소자는 상기 엘리먼트의 면이 상기 반사판에 평행하도록 벤딩처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pole element may be bent such that the surface of the element is parallel to the reflecting plate.
또한, 상기 다이폴 소자는, 상기 반사판 상에 체결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에서 2개로 분리된 상태로 상기 반사판 상면의 윗 방향으로 연장되는 발룬, 및 상기 각 발룬의 끝에서 상기 반사판의 수평 방향이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pole element may include a fixing member fastened on the reflecting plate, a balloon extending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ing plate in a state separated into two from the fixing member, and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eflecting plate at the ends of the respective baluns. It may comprise two element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이때, 상기 발룬은 상기 엘리먼트의 면이 상기 반사판에 평행하도록 벤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lloon may be bent such that the surface of the element is parallel to the reflecting plate.
또한, 상기 옴니 안테나 소자는 상기 반사판 상에 수직으로 체결되는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mni antenna element may include an element fastened vertically on the reflector.
또한, 상기 다이폴 소자간의 거리 및 상기 옴니 안테나 소자간의 거리는 각 주파수 파장의 0.8λ 범위 내에서 0.3λ이상일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dipole element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mni antenna elements may be 0.3 lambda or more within a 0.8 lambda range of each frequency wavelength.
또한, 상기 반사판은 상기 다이폴 소자의 방사 방향에 위치하는 끝 일부가 절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lecting plate may be cut a portion of the end loca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ipole element.
이때, 상기 반사판은 직선형의 벽, 천장, 바닥 중 하나에 밀착되어 설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flector may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one of the linear wall, ceiling, floor.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는 서로 마주보되 역위상을 갖는 2개의 수평 편파 특성의 다이폴 소자와 동위상을 갖는 2개의 수직 편파 특성의 옴니 안테나 소자를 반사판 상에 서로 직교하여 형성함으로써 수평 편파와 수직 편파가 모두 양방향으로 방사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of the present invention faces each other and has two horizontal polarized wave dipoles having an inverse phase and two vertically polarized omni antenna elements having an in-phase and orthogonal to each other on a reflector. By form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polarizations are radiated in both directions.
복도와 같이 직선 라인을 갖는 공간에 이와 같은 성질의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공간을 효율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By arranging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having such a property in a space having a straight line such as a corridor, the space can be efficiently covered.
또한, 다이폴 소자의 엘리먼트 면이 반사판에 평행하도록 벤딩 처리함으로써 격리도 특성과 방사 패턴을 개선할 수 있으며, 안테나 전체를 슬림화할 수 있다. 슬림화로 인해 보다 다양한 장소에 설비가 가능해지며, 특히 천장과 같이 외부로 드러난 장소에 설비될 경우 통행자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주변 장소와 조화되는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bending the element surface of the dipole element to be parallel to the reflector, the isolation characteristics and radiation pattern can be improved, and the entire antenna can be made slim. Due to the slimness, it is possible to equip more places, and especially when installed in a place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such as a ceiling, it can provide an appearance that is harmonious with surrounding places without disturbing the movement of passengers.
또한, 반사판에서 다이폴 소자의 방사 방향에 위치하는 끝 일부를 절단함으로써 방사 패턴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반사판이 벽면, 천정, 바닥에 밀착되어 설비되는 경우 벽면, 천정, 바닥을 향한 틸트가 감소하는 대신 유효 공간에 대한 틸트가 증가하므로 상대적으로 커버리지 영역이 확장된다.
In addition, the radiation pattern may be improv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tip loca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ipole element in the reflector. In particular, when the reflector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the ceiling and the floor, the tilt of the effective space is increased instead of the tilt toward the wall, the ceiling and the floor, so that the coverage area is relatively expanded.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의 다이폴 소자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에서 수평 편파의 수평 패턴과 수직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에서 수직 편파의 수평 패턴과 수직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에서 다이폴 소자를 벤딩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의 다이폴 소자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에서 엘리먼트 면이 반사판과 평행하도록 다이폴 소자를 벤딩처리하기 전과 벤딩처리한 후의 격리도 특성(isolation)을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에서 엘리먼트 면이 반사판과 평행하도록 다이폴 소자를 벤딩처리하기 전과 벤딩처리한 후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에서 다이폴 소자의 방사 방향에 위치하는 반사판의 끝 일부를 절단하기 전과 절단한 후의 수직 방사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pole element of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graph showing a horizontal pattern and a vertical pattern of horizontal polarization in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showing a horizontal pattern and a vertical pattern of vertical polarization in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pole element is not bent in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pole element of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graph showing isolation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bending a dipole element in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an element plane is parallel to a reflector. FIG.
9 is a graph showing a radiation pattern before and after bending a dipole element so that an element plane is parallel to a reflector in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graph showing a vertical radiation pattern before and after cutting a portion of the end of the reflector loca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ipole element in the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dual polarization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의 다이폴 소자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pole element of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는 반사판(110), 상기 반사판 상에 2개가 마주보고 형성되며 서로 역위상이 되는 수평 편파 특성의 다이폴 소자(130) 및 상기 다이폴 소자간의 직교 방향으로 상기 반사판 상에 2개가 마주보고 형성되며 서로 동위상이 되는 수직 편파 특성의 옴니 안테나 소자(150)를 포함하고 있다.The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shown in FIG. 1 is formed on the reflecting
반사판(11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정방형의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각 변의 중앙 부위에 다이폴 소자(130) 및 옴니 안테나 소자(150)가 설비된다.The
다이폴 소자(130)는 반사판 상에 마주보는 형태로 2개가 배치되며 이때 각 다이폴 소자는 180도의 위상차, 즉 역위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서로 마주보는 다이폴 소자를 역위상으로 하면 2개의 다이폴 소자에 의해 합성된 빔(수평 편파)은 2개의 다이폴 소자를 가로지르는 가상선 방향으로 방사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와 같이 다이폴 소자가 반사판 상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경우 합성된 빔 역시 좌우방향인 a방향(양방향)으로 방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수직 편파 또한 a방향으로 방사되면 수직 편파와 수평 편파 모두가 a방향(양방향)으로 방사되는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가 완성된다. 수직 편파의 방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wo
다이폴 소자 간의 위상차를 180도로 하기 위해 각 다이폴 소자의 급전 위치를 이용하거나 급전이 이루어지는 피딩부의 길이를 이용할 수 있다.In order to make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다이폴 소자간의 급전 위치를 이용하는 방안은 다이폴 소자의 구조를 이용한다. 다이폴 소자(13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엘리먼트(133)를 주소자로 한다. 엘리먼트를 반사판 상의 공중에 배치하기 위해 고정 부재(137), 발룬(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using the feeding positions between the dipole elements uses the structure of the dipole elements. The
고정 부재(137)는 반사판 상에 체결되며, 체결 방식에 따라 발룬의 일단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의 판 형태의 고정 부재를 제거하고 발룬을 반사판 상에 직접 세우는 형태로 체결할 수 있다. 이때 발룬과 반사판의 체결 부위(체결면)가 고정 부재가 된다.The fixing
발룬(135)은 엘리먼트 각각을 개별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적절한 형상으로 구성되며, 고정 부재에서 2개로 분리된 상태로 상기 반사판 상면의 윗 방향(공중 방향)으로 연장되어 엘리먼트를 지지한다. 대체로 도 1과 같이 반사판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비스듬하게 연장될 수 있다. 다이폴 소자의 구성에 따라 도 1과 같이 발룬에 급전점(131)이 형성될 수 있다.The
엘리먼트(133)는 수평 편파를 방사하고 수신하기 위해 각 발룬의 끝에서 반사판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이폴 소자마다 2개의 엘리먼트가 형성되는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발룬과 엘리먼트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적인 형상은 'T'형이 되는데 이때 머리부분의 길이, 즉 각 엘리먼트의 끝 사이의 거리는 0.5λ일 수 있다. 격리도 특성 개선과 방사 패턴의 개선을 위해 엘리먼트(133)는 그 면이 반사판에 평행하도록 벤딩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발룬(135)을 벤딩시킬 수 있다.
엘리먼트에서 수평 편파를 방사하고 수신하기 위해서는 급전점(131)을 통해 급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도 3에서와 같이 2개의 다이폴 소자에서 동일 엘리먼트측에 급전점을 형성한 후 서로 마주보게 형성하면 대각선 방향으로 급전점이 형성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급전을 수행하면 2개의 다이폴 소자는 180도의 위상차를 나타내게 된다. 이에 따라 각 다이폴 소자에서 방사되어 합성된 빔(수평 편파)은 각 다이폴 소자를 가로지르는 가상선 방향으로 방사된다. 참고로 엘리먼트에 대한 급전은 엘리먼트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2개의 엘리먼트를 커버하는 급전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구성과 구조가 매우 다양하므로 도시하지 않았다. 급전점은 발룬 또는 급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emit and receive horizontal polarization in the element, a power supply must be made through the
다이폴 소자간의 실질적인 거리 d1은 엘리먼트의 중앙간의 거리로 방사 범위의 최적화 조정과 옴니 안테나 소자와의 관계에 따라 주파수 파장의 0.8λ 범위 내에서 0.3λ이상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3λ미만인 경우 빔의 합성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아 송수신 이득 증가가 작고, 0.8λ초과인 경우 사이드로브(sidelobe)가 커져서 빔의 합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bstantial distance d1 between the dipole elements satisfies the range of 0.3 lambda or more within the 0.8 lambda range of the frequency wavelength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timization adjustment of the radiation range and the omni antenna element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elements. If less than 0.3λ, since the beam is not synthesized muc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gain increase is small, and if it exceeds 0.8λ, the sidelobe is increased and the beam is not properly synthesized.
이상에서는 각 다이폴 소자의 급전 위치를 이용하여 다이폴 소자가 서로 역위상이 되도록 하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그 전제로서 다이폴 소자에 대해 급전을 수행하는 피딩부의 길이가 동일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칭되는 피딩부는 외부 급전선과 연결하기 위해 반사판 등에 형성되는 외부 급전점(171)과 엘리먼트(133)를 연결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외부 급전점(171)과 발룬에 형성된 급전점(131)을 연결하는 급전선(170)과 발룬에 형성된 급전점(131)에서 엘리먼트까지의 발룬 부위가 피딩부가 된다. 따라서 피딩부의 길이는 급전선의 길이에 발룬에 형성된 급전점(131)에서 엘리먼트까지의 발룬 부위의 길이를 합한 것이 된다. 이와 같은 피딩부는 각각의 다이폴 소자에 대해 형성되며 그 길이가 서로 동일한 상태에서 동일 엘리먼트 측에 급전점을 형성하여야 각 다이폴 소자가 역위상이 된다. 피딩부의 길이가 다르면 신호의 지연에 차이를 보이게 되어 위상이 틀려지기 때문이다. 참고로, 다이폴 소자에 대한 피딩부를 다이폴 피딩부라 칭하고, 옴니 안테나 소자에 대한 피딩부를 옴니 피딩부라 칭하기로 한다. 급전선은 케이블선 뿐만 아니라 PCB 등에 형성된 배선 패턴일 수 있다.In the above, the method of making the dipole elements out of phase with each other by using the feed position of each dipole element has been described. As a premise, the length of the feeding part for feeding power to the dipole element should be the same. The feeding part referred to herein includes all means for connecting the
한편, 피딩부 길이에 따른 신호 지연을 이용하여 다이폴 소자 간의 위상을 180도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좌측 다이폴 피딩부의 길이를 우측 다이폴 피딩부의 길이보다 길게 한 경우 그 길이의 차이만큼 좌측 다이폴 소자로 급전되는 신호가 지연되어 우측 다이폴 소자와 다른 위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각 다이폴 피딩부의 길이가 적절하게 차이나도록 구성하면 다이폴 소자간의 위상을 역위상으로 할 수 있다. 물론 이때의 다이폴 소자 각각은 분리된 2개의 엘리먼트 중 서로 다른 엘리먼트 측에 급전점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급전점이 형성되면 도 1 및 2와 달리 마주보는 동일선 상에 급전점이 형성되어 급전점의 차이로 인한 위상 변화는 없게 되며 대신에 다이폴 피딩부의 길이 차이로 인한 위상차를 갖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hase between the dipole elements can be 180 degrees by using the signal delay according to the feeding part length. For example, in FIG. 1, when the length of the left dipole feeding por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right dipole feeding portion, the signal fed to the left dipole element is delayed by the difference in length, and thus has a phase different from that of the right dipole element. Therefore, if the lengths of the dipole feeding portions are appropriately different, the phase between the dipole elements can be reversed. Of course, each of the dipole elements at this time, the feed point should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different elements of the two separate elements. When the feed point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unlike FIG. 1 and 2, the feed point is formed on the same line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re is no phase chang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feed point, and instead, the feed point has a phase difference due to the difference in length of the dipole feeding part.
옴니 안테나 소자(150)는 반사판 상에 마주보는 형태로 2개가 배치된다. 옴니 안테나 소자는 2개의 다이폴 소자를 가로지르는 가상선의 직교 방향으로 2개가 배치된다. 옴니 안테나 소자간의 중심과 다이폴 소자간의 중심이 다른 경우 옴니 안테나 소자에서 방사되는 수직 편파와 다이폴 소자에서 방사되는 수평 편파의 간섭 현상이 가중되고 서로 커버하는 영역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옴니 안테나 소자간의 중심은 상기 다이폴 소자간의 중심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Two
옴니 안테나 소자는 수직 편파를 방사하기 위해 반사판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반사판 상에 수직으로 엘리먼트를 체결하는 것으로 옴니 안테나 소자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엘리먼트 자체만으로 옴니 안테나 소자(150)가 구성된다. 반사판 상에 2개가 마주보고 배치되는 옴니 안테나 소자가 동위상이 되도록 구성하면 합성된 빔(수직 편파)은 다이폴 소자에서 합성된 빔과 마찬가지로 2개의 다이폴 소자를 가로지르는 가상선 방향으로 방사된다. 그 방향은 도 2에서 a방향이 된다. 따라서, 역위상을 갖는 2개의 다이폴 소자를 마주보게 형성하고, 그 직교 방향으로 동위상을 갖는 2개의 옴니 안테나 소자를 마주보게 형성하면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가 완성된다.The omni antenna element includes an element formed perpendicular to the reflector to emit vertical polarization. For example, omni antenna elements can be constructed by fastening elements vertically on a reflector. In this case, the
옴니 안테나 소자의 경우 급전점의 위치를 이용해 위상 변경이 어려운 관계로 옴니 안테나 소자에 대한 피딩부, 즉 옴니 피딩부의 길이를 조정하여 위상차를 형성한다. 옴니 안테나 소자간의 위상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옴니 안테나 소자에 대한 옴니 피딩부의 길이는 동일해야 한다.In the case of the omni antenna elemen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phase by using the position of the feed point, so that the phase difference is form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eeding part, that is, the omni feeding part, of the omni antenna element. In order to equalize the phase between the omni antenna elements, the length of the omni-feeding portion for each omni antenna element must be the same.
옴니 안테나 소자간의 거리 d2는 일측에 형성된 옴니 안테나 소자의 중앙부터 다른 측에 형성된 옴니 안테나 소자의 중앙까지의 거리로 주파수 파장의 0.8λ 범위 내의 0.3λ이상에서 최적의 안테나 성능을 갖도록 변경이 가능하다. The distance d2 between the omni antenna elements i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omni antenna element formed on one side to the center of the omni antenna element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can be changed to have an optimal antenna performance at 0.3 lambda or more within the 0.8 lambda range of the frequency wavelength. .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는 수직 편파와 수평 편파가 동일한 양방향을 지향하도록 하기 위해 역위상을 갖는 수평 편파 특성의 다이폴 소자 2개와 동위상을 갖는 수직 편파 특성의 옴니 안테나 소자 2개를 반사판 상에 마주보게 형성한다. 위와 같은 위상을 갖도록 하기 위한 제1 방안으로 옴니 안테나 소자 각각을 급전시키는 동일 길이의 옴니 피딩부와 다이폴 소자 각각을 급전시키는 동일 길이의 다이폴 피딩부를 포함하는 경우 다이폴 소자 각각은 분리된 2개의 엘리먼트 중 동일 엘리먼트 측에 급전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안으로 옴니 안테나 소자 각각을 급전시키는 동일 길이의 옴니 피딩부와 다이폴 소자 각각을 서로 역위상이 되도록 급전시키는 서로 다른 길이의 다이폴 피딩부를 포함하고, 다이폴 소자 각각은 분리된 2개의 엘리먼트 중 서로 다른 엘리먼트 측에 급전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안은 다이폴 소자의 구조를 이용하여 급전점 위치에 따라 다이폴 소자 2개가 역위상이 되도록 하고 있으며, 제2 방안은 다이폴 피딩부의 길이를 이용하여 다이폴 소자 2개가 역위상이 되도록 하고 있다.In summary, the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mni antenna element having a vertical polarization characteristic having two phase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having an inverse phase and two polarized polarization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so that the vertical polarization and the horizontal polarization are directed in the same bidirectional direction. Two are formed facing each other on the reflecting plate. As a first method to have the pha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mni-feeding unit having the same length for feeding each of the omni antenna elements and the dipole feeding unit having the same length for feeding each of the dipole elements, each of the dipole elements is one of two separate elements. A feed point may be formed on the same element side. In a second scheme, an omni-feeding unit of equal length for feeding each of the omni antenna elements and a dipole-feeding unit of different lengths for feeding each of the dipole elements to be out of phase with each other, wherein each of the dipole elemen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wo separate elements Feed points may be formed on the other element side. The first scheme uses the structure of the dipole element so that the two dipole elements are out of phase according to the feed point position, and the second scheme uses the length of the dipole feeding portion to make the two dipole elements out of phase.
제1 방안에 따른 구성을 갖는 도 1은 다이폴 소자(130)간의 중심과 옴니 안테나 소자(150)간의 중심이 동일하고 다이폴 소자의 엘리먼트(133) 면이 반사판(110)과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더하여 도 3에서와 같이 반사판과 수평 상태의 엘리먼트 상면 방향으로 엘리먼트 및 발룬(135)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급전부(139)가 형성되고 급전부의 일단 부근에 급전점(131)이 형성된 상태에서의 이중편파 안테나 방사 패턴은 다음의 도 4 및 도 5와 같다. 다이폴 소자 간의 거리는 0.7λ이고 옴니 안테나 소자 간의 거리는 0.5λ인 상태이다. 엘리먼트 및 발룬과 평행하게 급전부를 형성하기 위해 비전도체인 합성 수지 재질 등의 체결 수단(138)을 이용한다.In FIG. 1 hav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scheme, the center between the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에서 수평 편파의 수평 패턴(좌측)과 수직 패턴(우측)을 나타낸다.4 shows a horizontal pattern (left) and a vertical pattern (right) of a horizontal polarization in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살펴보면 -90, +90에 해당하는 좌우 방향으로 방사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에서 수직 편파의 수평 패턴(좌측)과 수직 패턴(우측)을 나타낸다.Looking at the radiation can be see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orresponding to -90, +90. 5 shows a horizontal pattern (left) and a vertical pattern (right) of vertical polarization in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수평 편파에서와 마찬가지로 -90, +90에 해당하는 좌우 방향으로 방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수평 편파와 수직 편파 모두 동일한 양방향으로 방사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As in the horizontal polarization, radiation occur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orresponding to -90 and +90.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polarizations radiate in the same direction.
한편, 다이폴 소자에서 엘리먼트 면을 도 6에서와 같이 반사판과 평행하도록 벤딩처리하지 않아도 수평 편파는 양방향으로 방사된다. 이런 상태에서 엘리먼트 면을 반사판과 평행하게 하는 것은 격리도 특성과 방사 패턴을 개선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다이폴 소자를 벤딩처리하면 안테나 전체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 슬림화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dipole element, even if the element surface is not bent to be parallel to the reflector as shown in FIG. 6, the horizontal polarization is emitted in both directions. In this state, the element plane is parallel to the reflector to improve the isolation characteristics and radiation pattern. In addition, bending the dipole element can reduce the height of the entire antenna, thereby making it slimmer.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의 다이폴 소자를 나타낸 것으로 도 3과 다르게 급전부(139)가 엘리먼트(133) 하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급전점(131)은 발룬(135)에 형성된다. 그 밖의 구성을 도 3과 동일하게 하고 다이폴 소자를 도 6과 같이 벤딩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벤딩처리한 경우의 안테나 특성은 다음의 도 8 및 도 9와 같다.FIG. 7 illustrates a dipole element of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FIG. 3, the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에서 엘리먼트 면이 반사판과 평행하도록 다이폴 소자를 벤딩처리하기 전과 벤딩처리한 후의 격리도 특성(isolation)을 나타낸다.FIG. 8 illustrates isolation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bending a dipole element such that an element plane is parallel to a reflector in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래프에서 측정값이 낮을수록 좋은 격리도 특성을 나타내는데 벤딩처리 후의 격리도 특성이 벤딩 처리 전의 격리도 특성에 비하여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In the graph, the lower the measured value, the better the isolation property. The isolation property after the bending treatment is improved compared to the isolation property before the bending treatment.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에서 엘리먼트 면이 반사판과 평행하도록 다이폴 소자를 벤딩처리하기 전과 벤딩처리한 후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벤딩처리한 후의 방사 패턴이 벤딩처리하기 전의 방사 패턴과 비교하여 보다 넓은 커버리지를 가지며, 적을수록 유리한 교차 편파 패턴 또한 벤딩처리한 후에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고 있다.FIG. 9 is a graph illustrating a radiation pattern before and after bending a dipole element in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an element plane is parallel to a reflector. The radiation pattern after the bending treatment has wider coverage than the radiation pattern before the bending treatment, and the smaller the radiation crosslinking pattern, the less favorable the cross-polarization pattern is after the bending treatment.
이상에서 살펴본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는 합성된 빔을 양방향으로 방사하게 되므로 직선 라인을 갖는 공간의 중간에 설비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이와 같은 공간은 예를 들어 복도일 수 있다. 복도와 같은 경우 통행의 편의를 최우선으로 하여야 하므로 복도의 중앙 지점에 안테나를 설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벽이나 바닥, 바람직하게는 천장에 반사판이 밀착하도록 설비될 것이다. 이와 같이 배치될 경우 방사되는 빔의 상당부분이 벽, 바닥, 천장의 면에 의해 방해받게 되어 안테나 입장에서는 상당한 제한을 받는 셈이 된다. 따라서, 가능한 한 벽, 바닥, 천장의 면이 아닌 직선 라인의 공간으로 빔을 방사시키기 위해 다이폴 소자의 방사 방향에 위치하는 반사판의 끝 일부를 절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단되는 반사판의 끝 일부를 절단부(111)라 할 때, 절단부의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에서는 사각형 형태의 절단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렇게 절단부를 형성하기 전과 절단부를 형성한 후의 안테나 특성은 다음의 도 10과 같다.Since the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described above emits the synthesized beam in both directions, it is suitable for installation in the middle of a space having a straight line. Such a space can be, for example, a corridor. In the case of a corridor, it is not desirable to install an antenna at the center point of the corridor because the convenience of traffic should be a top priority. The reflector will thus be fitted to the wall or floor, preferably the ceiling. In this arrangement, a large portion of the emitted beam is obstructed by the surfaces of the walls, floors, and ceilings, which places a considerable limitation on the antenna sid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ut a part of the end of the reflector loca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ipole element in order to radiate the beam to the space of the straight line as far as possible, not the surface of the wall, floor or ceiling. When a part of the end of the reflecting plate to be cut in this manner is called the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에서 다이폴 소자의 방사 방향에 위치하는 반사판의 끝 일부를 절단하기 전과 절단한 후의 수직 방사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10 is a graph showing a vertical radiation pattern before and after cutting a part of an end of a reflecting plate located in a radial direction of a dipole element in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살펴보면 절단한 후의 빔의 틸트각이 절단 전의 빔의 틸트각에 비해 0도 기준에서 보다 커지고 커버 영역도 보다 넓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빔의 피크(Beam Peak) 또한 0도 기준으로 커짐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빔의 지향 방향이 다이폴 소자가 형성된 반사판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Looking at it, it can be seen that the tilt angle of the beam after cutting is larger than the tilt angle of the beam before cutting and is wider at the 0 degree reference, and the cover area is wider. It can be seen that the beam peak also increases with reference to 0 degrees. In other words, the beam directing direction moves in the upper surface direction of the reflecting plate on which the dipole element is formed.
그 결과로서 빔을 방사하고자 하는 공간에 대해 보다 넓은 커버 영역을 취할 수 있다.
As a result, a larger cover area can be taken for the space in which the beam is to be emitted.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as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예를 들어 반사판에서 옴니 안테나 소자 측의 끝에 절단부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a cutout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end of the omni antenna element side in the reflector.
수평 편파와 수직 편파를 양방향으로 방사하고자 하는 안테나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복도와 같은 공간의 중앙에 설비되는 안테나에 유용하다.It can be applied to the antenna to emi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larization in both directions. In particular, it is useful for an antenna installed in the center of a space such as a corridor.
또한, HSDPA(고속하향패킷접속)보다 12배 이상 빠른 고속 무선데이터 패킷통신 규격인 LTE(long term evolution)를 지원하는 안테나로서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tenna may be used as an antenna supporting LTE (long term evolution), which is a high-speed wireless data packet communication standard 12 times faster than HSDPA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110...반사판 111...절단부
130...다이폴 소자 131...급전점
133...엘리먼트 135...발룬
137...고정 부재 138...체결 부재
139...급전부 150...옴니 안테나 소자
170...급전선 171...외부 급전점110 ...
130
133
137 ... fixed
170
Claims (11)
상기 반사판 상에 2개가 마주보고 형성되며 방사하는 전파가 서로 역위상이 되는 수평 편파 특성의 다이폴 소자; 및
상기 다이폴 소자간의 직교 방향으로 상기 반사판 상에 2개가 마주보고 형성되며 방사하는 전파가 서로 동위상이 되는 수직 편파 특성의 옴니 안테나 소자;
를 포함하는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
Reflector;
Two dipole elements having a horizontal polarization characteristic formed on the reflecting plate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having radiated radio waves out of phase with each other; And
Omni antenna elements having a vertical polarization characteristic in which two are formed facing each other on the reflection plate in an orthogonal direction between the dipole elements, and radiating radio waves are in phase with each other;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comprising a.
상기 옴니 안테나 소자 각각을 급전시키는 동일 길이의 옴니 피딩부; 및
상기 다이폴 소자 각각을 급전시키는 동일 길이의 다이폴 피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폴 소자 각각은, 마주보는 소자에서 바라본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의 2개의 엘리먼트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엘리먼트 중 동일 엘리먼트 측에 급전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1,
An omni-feeding unit having a same length for feeding each of the omni antenna elements; And
Further comprising a dipole feeding portion of the same length for feeding each of the dipole elements,
Each of the dipole elements is composed of two element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viewed from the opposite element, and a feed point is formed on the same element side of the two elements.
상기 옴니 안테나 소자 각각을 급전시키는 동일 길이의 옴니 피딩부; 및
상기 다이폴 소자 각각에 서로 역위상인 신호를 급전시키는 서로 다른 길이의 다이폴 피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폴 소자 각각은, 마주보는 소자에서 바라본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의 2개의 엘리먼트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엘리먼트 중 서로 다른 엘리먼트 측에 급전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1,
An omni-feeding unit having a same length for feeding each of the omni antenna elements; And
Each of the dipole elements further includes a dipole feeding part having a different length for feeding signals that are out of phase with each other,
Each of the dipole elements is composed of two element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viewed from the opposite element, and a feed point is formed on a different element side of the two elements.
상기 옴니 안테나 소자간의 중심은 상기 다이폴 소자간의 중심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enter between the omni antenna elements is the same as a center between the dipole elements.
상기 다이폴 소자는 엘리먼트의 면이 상기 반사판에 평행하도록 벤딩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the dipole element is bent so that the surface of the element is parallel to the reflecting plate.
상기 다이폴 소자는,
상기 반사판 상에 체결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에서 2개로 분리된 상태로 상기 반사판 상면의 윗 방향으로 연장되는 발룬; 및
상기 각 발룬의 끝에서 상기 반사판의 수평 방향이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엘리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dipole element,
A fixing member fastened on the reflecting plate;
A balun extending in an upward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ing plate in a state separated into two from the fixing member; And
Two elements extending horizontally and opposite to each other at the end of each balun;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comprising a.
상기 발룬은 상기 엘리먼트의 면이 상기 반사판에 평행하도록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balun is bent such that the face of the element is parallel to the reflector.
상기 옴니 안테나 소자는 상기 반사판 상에 수직으로 체결되는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said omni antenna element comprises an element fastened vertically on said reflector.
상기 다이폴 소자간의 거리 및 상기 옴니 안테나 소자간의 거리는 각 주파수 파장의 0.8λ 범위 내에서 0.3λ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a distance between the dipole elements and a distance between the omni antenna elements is 0.3 lambda or more within a 0.8 lambda range of each frequency wavelength.
상기 반사판은 상기 다이폴 소자의 방사 방향에 위치하는 끝 일부가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reflecting plate is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portion is cut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ipole element.
상기 반사판은 직선형의 벽, 천장, 바닥 중 하나에 밀착되어 설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flector is a dual polarized bidirectional antenna,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of the straight wall, ceiling, flo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3736A KR101111578B1 (en) | 2010-06-08 | 2010-06-08 | Dual polarized antenna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3736A KR101111578B1 (en) | 2010-06-08 | 2010-06-08 | Dual polarized antenna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4005A KR20110134005A (en) | 2011-12-14 |
KR101111578B1 true KR101111578B1 (en) | 2012-02-24 |
Family
ID=4550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3736A Active KR101111578B1 (en) | 2010-06-08 | 2010-06-08 | Dual polarized antenna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157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04602A (en) * | 2013-02-20 | 2014-08-29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Dipole antenna |
WO2014178494A1 (en) * | 2013-04-28 | 2014-11-06 | 주식회사 굿텔 | Multi-band antenna |
KR101485427B1 (en) * | 2013-04-28 | 2015-01-30 | 주식회사 굿텔 | Multi band antenna |
KR101686903B1 (en) * | 2013-11-07 | 2016-12-16 | 주식회사 굿텔 | Dual Polarization Dipole Antenna System |
KR102172187B1 (en) * | 2014-08-22 | 2020-10-30 |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 Omni-directional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
KR102165727B1 (en) * | 2015-06-24 | 2020-11-04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Directional antenna |
CN107732412A (en) * | 2017-09-20 | 2018-02-23 | 广东盛路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 Built-in multifrequency dual polarization split indoor omnidirectional antenna |
CN112003005B (en) * | 2020-09-23 | 2024-12-24 | 卞国荣 | A variable polarization antenna unit |
CN118801083A (en) * | 2023-04-13 | 2024-10-18 | 华为技术有限公司 | Antenna and communication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40623A (en) * | 1998-12-23 | 2001-05-15 | 구스벤트너 죠셉 | Dual-polarized dipole antenna |
KR20030065609A (en) * | 2002-01-30 | 2003-08-09 |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 The asymmetrical flat type dipole antenna with broadband characteristics and dipole antenna array structure using the same elements |
KR20070016537A (en) * | 2005-08-04 | 2007-02-0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Dual polarized isolation antenna |
KR20080023605A (en) * | 2006-09-11 | 2008-03-14 |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 Dual Band Dual Polarization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
-
2010
- 2010-06-08 KR KR1020100053736A patent/KR10111157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40623A (en) * | 1998-12-23 | 2001-05-15 | 구스벤트너 죠셉 | Dual-polarized dipole antenna |
KR20030065609A (en) * | 2002-01-30 | 2003-08-09 |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 The asymmetrical flat type dipole antenna with broadband characteristics and dipole antenna array structure using the same elements |
KR20070016537A (en) * | 2005-08-04 | 2007-02-0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Dual polarized isolation antenna |
KR20080023605A (en) * | 2006-09-11 | 2008-03-14 |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 Dual Band Dual Polarization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4005A (en) | 2011-1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1578B1 (en) | Dual polarized antenna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 |
US5629713A (en) | Horizontally polarized antenna array having extended E-plane beam width and method for accomplishing beam width extension | |
KR100657705B1 (en) | Antenna system | |
KR102172187B1 (en) | Omni-directional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 |
KR100269584B1 (en) | Low sidelobe double polarization directional antenna with chalk reflector | |
KR101144528B1 (en) | A patch antenna synchronous generating linearly polarized wave and circularly polarized wave | |
JP6923490B2 (en) | Antenna device | |
KR20120086838A (en) | Broad-band dual polarization dipole antenna on PCB type | |
WO2015029946A1 (en) | Antenna and sector antenna | |
KR20130134793A (en) | Dual polarization dipole antenna for dual-band and antenna array using it | |
KR20120086841A (en) | Base station antenna structure having multi-band dipole element array improved in isolation-characteristics | |
KR101596922B1 (en) | Base Station Antenna For Installing around Road | |
JP5538022B2 (en) | Re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200125545A (en) | Omni-directional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 |
US11239544B2 (en) | Base station antenna and multiband base station antenna | |
CN104798253A (en) | Antenna provided with apparatus for extending beam width for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 |
KR101943514B1 (en) | Base Station Antenna | |
KR20160066290A (en) | Dual Pole Antenna and Dual Pole Antenna Module | |
KR101104371B1 (en) | Omni antenna | |
KR101608003B1 (en) | Inbuilding omni antenna and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ame | |
KR101988172B1 (en) | Dual Circular-Polarization Antenna Apparatus | |
JP5565319B2 (en) | Sector antenna | |
CN210692768U (en) | Base Station Antennas and Multiband Base Station Antennas | |
KR102020489B1 (en) | Antenna Apparatus | |
KR102016013B1 (en) | Antenna for Radiation of Omni Directio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