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952B1 -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between WLAN module and RFID module using common RF module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between WLAN module and RFID module using common RF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1952B1 KR101101952B1 KR1020110013770A KR20110013770A KR101101952B1 KR 101101952 B1 KR101101952 B1 KR 101101952B1 KR 1020110013770 A KR1020110013770 A KR 1020110013770A KR 20110013770 A KR20110013770 A KR 20110013770A KR 101101952 B1 KR101101952 B1 KR 1011019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wimax
- wlan
- request message
- arbit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WLAN(Wireless LAN)과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장치가 공통의 RF(Radio Frequency)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WLAN(Wireless LAN)과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장치가 공통의 RF(Radio Frequency)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은 중재 모듈(Arbitrator)이 WLAN 모듈 및 WiMAX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부터 송신된 RF 점유 요청 메시지 또는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재 모듈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 상기 RF 모듈을 사용할 모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RF 모듈이 상기 결정된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을 송신하거나, 수신된 패킷을 상기 결정된 모듈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disclosed technology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ncluding a wireless LAN (WLAN) and a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using a common radio frequency (RF) module. Among the embodiments, a method in which a device suppor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ncluding a wireless LAN (WLAN) and a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communicates using a common radio frequency (RF) module may include an arbitration module. Receiving an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or an RF de-occupancy request message sent from at least one of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Determining, by the arbitration module, a module to use the RF module of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And transmitting, by the RF module, a packet provided from the determined module, or providing the received packet to the determined module.
Description
개시된 기술은 복수의 무선 통신 규격을 따르는 장치가 공통의 RF(Radio Frequency)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지만 제한됨 없이는, WLAN(Wireless LAN)과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장치가 공통의 RF(Radio Frequency)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disclosed technology relates to a method in which a device conforming to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communicates using a common radio frequency (RF) module. More specifically, but not limited to, a wireless LAN (WLAN) and a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 device suppor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ncluding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common RF (Radio Frequency) module.
무선 통신 단말은 복수의 무선 통신 표준을 따르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복수의 무선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이 WiFi 네트워크와 WiMAX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서로 다른 상대방 단말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WiFi는 Wi-Fi 얼라이언스의 상표명으로 IEEE 802.11 기반의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근거리 통신망) 연결과 관련된 일련의 기술을 뜻한다. WiFi는 높은 전송 속도 및 낮은 비용으로 인하여 단거리 통신에서 많이 사용된다. WiMAX는 WMAN(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무선 도시 영역 통신망)에 대한 IEEE 802.16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 기술이다. WiMAX는 넓은 커버리지 및 높은 이동성을 제공하여 최근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WiFi와 WiMAX의 보완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양자의 통신 규격을 동시에 사용하는 통신 단말이 증가하고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designed to conform to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and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a plurality of wireless networks using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For example, it is possible for on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a different counterpart terminal by connecting to a WiFi network and a WiMAX network. WiFi is a trade name of the Wi-Fi Alliance, which refers to a set of technologies related to IEEE 802.11-bas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connectivity. WiFi is widely used in short-range communications because of its high transmission speed and low cost. WiMAX is a communication technology based on the IEEE 802.16 standard for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WMAN). WiMAX offers wide coverage and high mobility, which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Due to the complementary features of WiFi and WiMAX, communication terminals using both communication standards are increasing.
개시된 기술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between a WLAN module and a WiMAX module using a common RF modul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1 측면은 WLAN(Wireless LAN)과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장치가 공통의 RF(Radio Frequency)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으로, 중재 모듈(Arbitrator)이 WLAN 모듈 및 WiMAX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부터 송신된 RF 점유 요청 메시지 또는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재 모듈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 상기 RF 모듈을 사용할 모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RF 모듈이 상기 결정된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을 송신하거나, 수신된 패킷을 상기 결정된 모듈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first aspec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that a device suppor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ncluding a wireless LAN (WLAN) and a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uses a common radio frequency (RF) module. A method of communicating, comprising: an arbitration module receiving an RF occupation request message or an RF de-occupation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f a WLAN module and a WiMAX module; Determining, by the arbitration module, a module to use the RF module of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And the RF module transmitting a packet provided from the determined module or providing a received packet to the determined modul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2 측면은 WLAN(Wireless LAN) 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WLAN 모듈;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WiMAX 모듈; 상기 WLAN 모듈 또는 상기 WiMAX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을 송신하거나, 수신된 패킷을 상기 WLAN 모듈 또는 상기 WiMAX 모듈에게 저공하는 RF 모듈; 및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부터 송신되는 RF 점유 요청 메시지 또는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 상기 RF 모듈을 사용할 모듈을 결정하는 중재 모듈(Arbitrator)을 포함하는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A second aspec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WLAN module that supports a wireless LAN (WLA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 WiMAX module supporting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 RF module for transmitting a packet provided from the WLAN module or the WiMAX module or storing a received packet to the WLAN module or the WiMAX module; And receive an RF occupation request message or an RF release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f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and use the RF module of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 WLAN module including an arbitration module (Arbitrator) for determining a module and a WiMAX module communicate using a common RF module.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technique may have effects that include the following advantag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hereby, since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are not meant to include all such embodiments.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공통의 RF 모듈을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효율적으로 공유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각각의 독자적인 RF 모듈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크기, 소비 전력,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개시된 기술은 기존의 WiFi, WiMAX 통신 규격을 변경하지 않고도 특별한 어려움 없이 구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hare a common RF module between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Thus,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can reduce size, power consumption, and cost compared to using their own RF modules. In addition, the disclosed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implemented without particular difficulties without changing the existing WiFi, WiMAX communication specifications.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을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WiFi 와 WiMAX에서의 사용 구간(busy period: 이하, BPR)과 유휴 구간(IPR)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프레임 구조 및 WiMAX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RF 모듈의 액세스 제어를 위한 FSM(Finite State Machine)을 나타낸다.
도 6은 협력 모드에서의 RF 모듈 제어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WiFi 및 WiMAX의 패킷 종류에 따른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은 경쟁 모드에서의 RF 모듈 제어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액세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협력 모드에서 RF 액세스 시간에 따른 WiMAX와 WiFi의 쓰루풋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경쟁 모드에서의 전송 오버헤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busy peri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BPR) and an idle period (IPR) in WiFi and WiMAX as an example.
4 illustrates a WiFi frame structure and a WiMAX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llustrates a finite state machine (FSM) for access control of an RF module.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RF module control method in the cooperative mode by way of example.
7 is a table illustrating priorities according to packet types of WiFi and WiMAX.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for example, a method of controlling an RF module in a contention mode.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RF ac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10 is a graph comparing throughput of WiMAX and WiFi according to RF access time in cooperative mode.
11 is a graph illustrating transmission overhead in a contention mode.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technique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thus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 first ", " second ",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refer to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parts thereof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but not to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Each step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the specific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
무선 통신 단말은 복수의 무선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며, 최근 WiFi와 WiMAX의 통신 규격을 동시에 사용하는 통신 단말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무선 통신 단말은 단순히 하나의 단말 내부에 복수의 독자적인 통신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이러한 종래의 구현 방식은 비용, 소비전력 및 단말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통신 모듈간의 간섭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복수의 통신 규격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을 설계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can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wireless networks by using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and recently, communication terminals using the communication standards of WiFi and WiMAX are increasing. However, exist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connect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by simply mounting a plurality of unique communication modules inside one terminal. This conventional implementation ha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cost, power consumption and the size of the terminal, and may cause interference between communication modul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more efficiently design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tandards.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을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난 무선 통신 단말은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도 1의 단말과 같이, 하나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복수의 통신 규격(예컨대, WiFi, WiMAX 등)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면, 각각의 독자적인 RF 모듈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크기, 소비 전력,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무선 통신 단말이 공통의 RF 모듈을 제어하여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WiFi와 WiMAX 통신 규격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다른 통신 규격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이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이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a common RF module. As in the terminal of FIG. 1, when one RF module is used to perform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tandards (for example, WiFi, WiMAX, etc.), size, power consumption, and cost may be reduced as compared to using respective RF modules. Can be reduced. Hereinafter, a specific method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by controlling a common RF module by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iFi and WiMAX communication standards ar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similarly applicable to the cas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other communication standards can be sufficient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ave.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의 무선 통신 단말(200)은 WiFi 통신 모듈과 WiMAX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WiFi 와 WiMAX 네트워크에 모두 액세스 가능한 WiFi/WiMAX 듀얼 모드(dual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200)은 타임 인터리브드(time-interleaved) 접근 제어 방식을 통하여 WiFi 네트워크와 WiMAX 네트워크를 동시에, 끊김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무선 통신 단말(200)은 공통의 RF 모듈을 WiFi 모듈과 WiMAX 모듈이 시간 영역에서 번갈아 가며 사용하도록 하여 동시에 WiFi와 WiMAX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WiFi 와 WiMAX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사이에 중재 계층(Arbitrator)을 새로이 추가하여 공통의 RF 모듈을 제어하기 때문에, 기존의 WiFi, WiMAX 통신 규격을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WiFi와 WiMAX MAC 계층의 수정을 중재 모듈의 추가에 따른 것으로 제한함으로써 사용자와 인프라스트럭처에게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0 of FIG. 2 includes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MAX communication module, and can operate in a WiFi / WiMAX dual mode accessible to both WiFi and WiMAX network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0 can simultaneously and seamlessly use the WiFi network and the WiMAX network through a time-interleaved access control scheme. That 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0 enables the WiFi module and the WiMAX module to alternately use the common RF module in the time domain, thereby simultaneously connecting to the WiFi and WiMAX networks. Meanwhile,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since an arbitration layer is newly added between the WiFi and the WiMAX Media Access Control (MAC) layer to control a common RF module, the existing WiFi and WiMAX communication standards do not need to be changed. There is this. For example, the modification of the WiFi and WiMAX MAC layers can be limited to the addition of an arbitration module to make it appear to provide services to users and infrastructure simultaneously.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단말(200)은 WiFi 모듈(210), WiMAX 모듈(220), 중재 모듈(230), 공통의 RF 모듈(240)을 포함한다. WiFi 모듈(210)은 WiFi MAC(212) 및 WiFi 모뎀(214)을, WiMAX 모듈(220)은 WiMAX MAC(222) 및 WiMAX 모뎀(224)을 포함한다. 공통의 RF 모듈(240)은 WiFi 모뎀(214)과 WiMAX 모뎀(22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할 패킷을 제공받는 RF 다중화부(242)를 포함한다. WiFi 모듈(210) 및 WiMAX 모듈(220)은 WiFi AP(Access Point) 또는 WiMAX BS(Base Station) 등 각각의 통신 상대방과 통신하기 위한 공통의 RF 모듈(240)의 배타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중재 모듈(230)은 WiFi MAC(212)과 WiMAX MAC(222) 사이에 있는 모듈로서, 두 개의 MAC들이 각각 모뎀을 통하여 공통의 RF 모듈(240)에 액세스 하는 것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중재 모듈(230)이 공통의 RF 모듈(240)을 제어하는 방식은 협력 모드(Cooperative Mode) 방식과 경쟁 모드(Competitive Mode) 방식을 포함한다. 협력 모드의 제어 방식은, WiFi 모듈(210) 및 WiMAX 모듈(220) 중 어느 하나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유휴 구간(idle period: 이하, IPR)을 감지하여, 감지된 IPR을 다른 네트워크 모듈이 사용하도록 할당하는 방식이다. 경쟁 모드의 제어 방식은, 다른 규격의 네트워크 모듈이 유휴 상태인지와 무관하게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모듈에게 공통의 RF 모듈(24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당하는 방식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cludes a
도 3은 WiFi 와 WiMAX에서의 사용 구간(busy period: 이하, BPR)과 유휴 구간(IPR)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WiFi MAC(212) 또는 WiMAX MAC(222)이 통신을 위하여 RF 모듈(240)에 액세스하려고 하는지 여부에 따라, 시간 영역은 BPR과 IPR로 구분될 수 있다. 협력 모드에서는 WiFi 모듈(210) 및 WiMAX 모듈(220) 중 어느 하나의 BPR이 다른 모듈의 IPR에 포함된다. 협력 모드는 두 네트워크 모듈들(210, 220)이 공통의 RF 모듈(240)을 교대로 점유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무선 통신 단말(200)이 동시에 두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반대로, WiFi 모듈(210) 및 WiMAX 모듈(220)의 BPR이 서로 겹치는 경우에 무선 통신 단말(200)은 경쟁 모드로 동작한다. 경쟁 모드에서는 두 네트워크 모듈의 BPR이 겹치므로 둘 중 어느 하나만이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두 네트워크 모듈들(210, 220)이 사용자에게 끊김 없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모듈의 IPR들이 자주 스케줄링 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중재 모듈(230)이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모듈의 IPR를 감지하고 다른 하나의 네트워크 모듈이 이를 사용하도록 하는 세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busy peri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BPR) and an idle period (IPR) in WiFi and WiMAX as an example. Depending on whether the
첫 번째로, WiFi와 WiMAX의 절전 모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동 단말은 배터리 사용 시간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WiFi 및 WiMAX를 포함하는 무선 기술에서는 다양한 절전 기법들이 사용된다. WiFi 및 WiMAX는 절전 모드(power-saving mode)를 지원하는데, 절전 모드에서의 수면 구간(sleep interval)은 IPR 구간으로, 중재 모듈(230)은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iMAX 절전 모드의 수면 구간 동안, WiMAX 네트워크 모듈(220)은 BS와의 데이터 교환을 일시적으로 중지한다. 중재 모듈(230)은 WiMAX 절전 모드를 감지하고, WiMAX의 수면 구간 동안 WiFi 모듈(210)이 공통의 RF 모듈(240)을 이용하도록 통신 트래픽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방법은 긴 구간을 가지는 IPR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RF 모듈의 전환에 지연이 발생하여 스루풋(throughput)이 낮아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First, there are ways to use the power saving modes of WiFi and WiMAX. Since mobile terminals have limited battery life, various power saving techniques are used in wireless technologies including WiFi and WiMAX. WiFi and WiMAX support a power-saving mode. The sleep interval in the power saving mode is an IPR interval, and the
다음으로, 비절전 모드(non-power-saving mode)에서 IPR을 스케줄링 하는 방법이 있다. WiFi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의 경우, 중앙에서 RF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따라서 중재 모듈(230)이 언제 IPR이 발생할 지 여부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비절전 모드에서는 WiFi 모듈(210)의 IPR을 스케줄링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반면에, WiMAX의 경우, 중앙의 BS는 네트워크상의 모든 통신 트래픽을 스케줄링 하기 때문에, 이러한 스케줄링 정보로부터 WiMAX 모듈(220)의 IPR은 예측 가능하다. 비절전모드에서 WiMAX 모듈(220)의 IPR을 예측하는 일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there is a method of scheduling an IPR in a non-power-saving mode. In the case of a WiFi infrastructure, there is no way to centrally control RF access, and thus, the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프레임 구조 및 WiMAX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WiMAX TDD(Time Division Duplex) 모드에서는 프레임이 DL(downlink) 와 UL(uplink) 맵 정보로 시작하고 그 이후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이 뒤따르게 된다. WiMAX MAC(222)은 맵 정보를 복호화(decoding) 함으로써 사용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이 존재하는지 여부와, 만약에 존재한다면, 언제 이러한 서브프레임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중재 모듈(230)은 WiMAX MAC(222)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사용되지 않는 WiMAX 서브프레임을 WiFi 통신에 사용하도록 할당할 수 있다. 이는 다른 WiMAX 트래픽의 전송지연 없이, WiFi 모듈(210)에게 모든 WiMAX 프레임 마다 공통의 RF 모듈(240)에 액세스할 기회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WiMAX 네트워크에서 프레임 주기는 5msec 정도가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WiFi 통신을 위하여 다소 짧은 시간의 구간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WiFi 프레임 교환 시퀀스는 비교적 짧은 편이어서, WiMAX의 미사용 서브프레임 구간 내에 WiFi 통신이 완료될 수 있다. 예컨대, 802.11g WiFi 모듈(210)이 54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면, 1470 byte UDP 패킷은 약 0.4 msec 이내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WiMAX 모듈(220)이 RF에 대한 액세스를 한 프레임 내에서 다시 얻기 때문에 PHY 재동기화를 위한 추가적인 오버헤드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4 illustrates a WiFi frame structure and a WiMAX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4, in a WiMAX time division duplex (TDD) mode, a frame starts with downlink (DL) and uplink (UL) map information, followed by a plurality of subframes. The
비절전 모드(non-power-saving mode)에서 IPR을 스케줄링 하는 다른 일 실시예로, WiMAX의 MOB_SCN-REQ 메시지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WiMAX MAC(222)은 MOB_SCN-REQ 메시지를 이용하여 BS에게 근처의 가용 BS를 찾기 위한 특정 길이의 스캐닝 구간을 제공해 달라고 요청할 수 있다. MOB_SCN-REQ 메시지를 수신한 BS는 요청된 스캐닝 구간을 할당하고, 할당된 구간의 시작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MOB_SCN-RSP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스캐닝을 위하여 할당된 구간 동안 WiMAX 네트워크 모듈(220)은 BS와의 데이터 교환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기 때문에, 할당된 구간은 WiMAX MAC(222)의 IPR로 사용될 수 있다. WiMAX MAC(222)은 MOB_SCN-REQ를 이용하여 요청하는 스캐닝 구간의 길이를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IPR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WiMAX MAC에게 IPR을 할당할 때마다 MOB_SCN-REQ 및 MOB_SCN-RSP 메시지 교환에 따른 부하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of scheduling the IPR in the non-power-saving mode, there is a method using the MOB_SCN-REQ message of WiMAX. The
도 5는 RF 모듈의 액세스 제어를 위한 FSM(Finite State Machine)을 나타낸다. 중재 모듈(230)은 협력 모드와 경쟁 모드를 전환해 가며, WiFi MAC(212)과 WiMAX MAC(222)의 RF 모듈(240)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한다. 도 5의 FSM은 RF 모듈(240)을 제어하는 중재 모듈(230)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WiFi MAC(212)과 WiMAX MAC(222) 모두 RF 모듈(240)을 점유하지 않은 상태(BOTH_OFF)를 가정한다. 이때, WiFi MAC(212)이 중재 모듈(230)에게 RF 모듈(240)의 점유를 요청하면, WiFi MAC(212)은 RF 모듈(240)의 점유가 가능하며, RF 모듈(240)의 상태는 WF_ON이 된다. WF_ON 상태는 협력 모드에서 WiFi MAC(212)이 RF 모듈(240)에 액세스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WiFi MAC(212)이 패킷을 모두 전송하고 스스로 네트워크 연결을 해지하면, RF 모듈(240)의 상태는 BOTH_OFF가 된다. 반면에, WiFi MAC(212)은 연결을 유지하고자 하나, WiMAX MAC(222)이 RF 모듈(240)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RF 점유를 빼앗을 수 있다(BOTH_ON_WM). 예컨대, WiMAX 모듈(220)이 BS 스캐닝을 위하여 RF 모듈(240)의 점유를 빼앗을 수 있다. BOTH_ON_WM은 경쟁 모드에서 WiMAX MAC(222)이 RF 모듈(240)을 액세스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BOTH_ON_WM 상태는 실제 RF 모듈(240)을 점유하여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은 WiMAX 모듈(220)이나, WiFi 모듈(210)이 연결이 끊어졌다고 인식하지 않는 상태이다. BOTH_ON_WM 상태에서, 무선 통신 단말(200)은 WiFi 모듈(210)과 WiMAX 모듈(220)이 모두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WiFi가 연결된 채로 WiMAX 스캐닝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WiMAX 스캐닝이 완료되면, WiMAX MAC(222)은 RF 모듈(240)에 대한 점유를 WiFi MAC(212)에게 되돌려준다. 이때 RF 모듈(240)의 상태는 WF_ON이 된다. WF_ON 상태에서 WiFi MAC(212)이 RF 모듈(240)의 점유를 반환하면, RF 모듈(240)의 상태는 BOTH_OFF가 된다. 5 illustrates a finite state machine (FSM) for access control of an RF module. The
전술한 바와 반대로, BOTH_OFF 상태에서 WiMAX MAC(222)이 중재 모듈(230)에게 RF 모듈(240)의 점유를 요청하면, WiMAX MAC(222)은 WiFi MAC(212)과 마찬가지로, RF 모듈(240)을 점유할 수 있으며, 이때, RF 모듈(240)의 상태는 WM_ON이 된다. WM_ON 상태는 협력 모드에서 WiMAX MAC(222)이 RF 모듈(240)에 액세스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WM_ON 상태에서, WiMAX MAC(222)이 네트워크 연결을 해지하면, RF 모듈(240)의 상태는 BOTH_OFF가 된다. 반면에, WiMAX MAC(222)은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고자 하나, WiFi MAC(212)이 RF 모듈(240)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WiFi MAC(212)이 RF 점유를 빼앗을 수 있다(BOTH_ON_WF). 예컨대, WiFi 모듈(210)이 AP 스캐닝을 위하여 RF 모듈(240)의 점유를 빼앗을 수 있다. BOTH_ON_WF은 경쟁 모드에서 WiFi MAC(212)이 RF 모듈(240)을 액세스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BOTH_ON_WF 상태는 실제 RF 모듈(240)을 점유하여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은 WiFi 모듈(210)이나, WiMAX 모듈(220)이 연결이 끊어졌다고 인식하지 않는 상태로, 무선 통신 단말(200)은 WiFi 모듈(210)과 WiMAX 모듈(220)이 모두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WiMAX가 연결된 채로 WiFi 스캐닝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WiFi 스캐닝이 완료되면, WiFi MAC(212)은 RF 모듈(240)에 대한 점유를 WiMAX MAC(222)에게 되돌려준다. 이때 RF 모듈(240)의 상태는 WM_ON이 된다. WM_ON 상태에서 WiMAX MAC(222)이 RF 모듈(240)의 점유를 반환하면, RF 모듈(240)의 상태는 BOTH_OFF가 된다. 이와 같이, RF 모듈(240)은 각각의 이벤트에 따라, BOTH_OFF, WF_ON, BOTH_ON_WM, WM_ON, BOTH_ON_WF 사이에서 상태가 전환된다.Contrary to the above, if the
RF 모듈(240)의 제어를 위하여, 중재 모듈(230)은 WiFi MAC(212) 및 WiMAX MAC(222)과 IPR, BPR 등 스케줄링 정보를 교환한다. 이와 같은 스케줄링 정보 교환을 위하여, WiFi MAC(212)과 WiMAX MAC(222)이 중재 모듈(230)과 통신하는 수단으로, 이벤트 콜백(callback) 함수들을 포함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제공될 수 있다. WiFi MAC(212)과 WiMAX MAC(222)은 콜백 함수를 이용하여 중재 모듈(230)에게 RF 모듈(240)과의 접근을 요구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콜백 함수는 RF 액세스 기간, 우선순위, 선점가능성 등을 특정할 수 있다. 예컨대, WiMAX MAC(222)이 중재 모듈(230)에게 RF 모듈(240)의 점유를 요청하거나 점유 해지를 요청하는 함수로 Req_WiMAX_RF_ON(use_level, use_time,...,), Req_WiMAX_RF_OFF 등이, WiFi MAC(212)이 중재 모듈(230)에게 RF 모듈(240)의 점유를 요청하거나 점유 해지를 요청하는 함수로 Req_WiFi_RF_ON(use_level, use_time,...,), Req_WiFi_RF_OFF 등이 있다. 또한, WiFi MAC(212)과 WiMAX MAC(222)은 중재 모듈(230)로부터 이벤트 콜백 함수를 통하여 RF 모듈(240)의 점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때 사용되는 콜백 함수는 RF를 점유하고 있는 모듈이 WiFi 모듈(210)인지 WiMAX 모듈(220)인지 여부를 특정할 수 있다. 일례로, WiFi가 RF 모듈(240)의 점유를 획득한 경우 ind_WiFi_Acquire_RF, 점유를 해제한 경우 ind_WiFi_Release_RF, WiMAX가 RF 모듈(240)의 점유를 획득한 경우 ind_WiMAX_Acquire_RF, 점유를 해제한 경우 ind_WiMAX_Release_RF를 사용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For the control of the
도 6은 협력 모드에서의 RF 모듈 제어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협력 모드에서 WiMAX MAC(222) 및 WiFi MAC(212) 중 어느 하나의 MAC(이하, MAC 1)이 IPR 구간에 있을 때, 다른 하나의 MAC(이하, MAC 2)이 공통의 RF 모듈(240)에 대한 액세스를 획득한다. RF 모듈(240)에 대한 액세스를 획득한 MAC 2가 RF 모듈(240)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 이후, MAC 2는 MAC 1의 IPR 구간이 끝나기 이전에 RF 모듈(240)의 점유를 해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WiFi MAC(212)이 IPR인 동안, WiMAX MAC(222)이 RF 모듈(240)에 대한 액세스를 획득한다. WiMAX MAC(222)이 RF 모듈(240)을 점유하고 있는 구간은 TWM이라고 표시되며, FSM 상태는 WM_ON 상태가 된다. 이후, WiMAX MAC(222)은 BPR에서 IPR로 넘어갈 때, 중재 모듈(230)에게 RF 모듈(240)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Req_WiMAX_RF_Off)를 전송한다. 메시지를 수신한 중재 모듈(230)은 WiMAX MAC(222)의 RF 모듈(240)에 대한 액세스를 해제한다. RF 모듈(240)은 액세스가 해제된 이후부터 WiFi MAC(212) 또는 WiMAX MAC(222)이 다시 RF 모듈(240)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할 때까지(즉, WiFi 또는 WiMAX의 BPR 구간이 시작될 때 까지) 아무도 점유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WiMAX MAC(222)이 RF를 점유한 이후, WiFi MAC(212)이 RF를 점유하기까지 구간은 TMtoF로 표시되며, FSM 상태는 BOTH_OFF가 된다. TMtoF는 WiMAX MAC(222)과 WiFi MAC(212) 간에 RF 액세스를 스위치 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포함하는데, 일례로, 약 300μsec일 수 있다. WiFi가 IPR에서 BPR 구간으로 넘어가면, WiFi MAC(212)이 중재 모듈(230)에게 RF 모듈(240)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하는 RF 점유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Req_WiFi_RF_ON)를 전송한다. 메시지를 수신한 중재 모듈(230)은 WiFi MAC(212)의 RF 모듈(240)을 액세스하도록 제어한다. WiFi MAC(212)이 RF 모듈(240)을 점유하고 있는 구간은 TWF이라고 표시되며, FSM 상태는 WF_ON이 된다. 이후, WiFi MAC(212)은 WiMAX MAC(222)과 마찬가지로, BPR에서 IPR로 넘어갈 때, 중재 모듈(230)에게 RF 모듈(240)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Req_WiFi_RF_Off)를 전송한다. 메시지를 수신한 중재 모듈(230)은 WiFi MAC(212)의 RF 모듈(240)에 대한 액세스를 해제한다. RF 모듈(240)은 액세스가 해제된 이후부터 WiFi MAC(212) 또는 WiMAX MAC(222)이 다시 RF 모듈(240)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할 때까지(즉, WiFi 또는 WiMAX의 BPR 구간이 시작될 때 까지) 아무도 점유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WiFi MAC(212)이 RF를 점유한 이후, WiMAX MAC(222)이 RF를 점유하기까지 구간은 TFtoM으로 표시되며, FSM 상태는 다시 BOTH_OFF가 된다. TFtoM은 WiFi MAC(212)과 WiMAX MAC(222) 간에 RF 액세스를 스위치 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포함하는데, 일례로, 약 300μsec에서 수십 msec가 걸린다. WiMAX PHY가 한 프레임 이내에 RF 모듈(240)에 다시 액세스하지 못한 경우, BS와의 재동기화를 위한 추가적인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TFtoM은 TMtoF보다 더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TCycle은 RF 모듈(240)을 WiFi와 WiMAX가 번갈아 가며 사용하는 공유 주기(sharing cycle)에 소요되는 총 기간을 나타내며, TWM+TMtoF+TWF+TFtoM으로 산출된다. 도 6의 예와 같이, 번갈아 가며 어느 하나의 IPR이 다른 하나의 BPR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협력 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협력 모드에서 양 MAC은 번갈아 가며 RF에 액세스 함으로써 동시에 양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RF module control method in the cooperative mode by way of example. In the cooperative mode, when one of the
한편, 하나의 MAC이 여전히 BPR 구간에 있는 동안에도, 다른 하나의 MAC이 RF 모듈(240)을 사용하고자 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MAC이 모두 BPR 구간이어서 모두 RF 모듈(240)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재 모듈(240)은 경쟁 모드로 동작한다. 경쟁 모드에서는 먼저 RF 모듈(240)을 점유하고 있는 MAC이 있더라도, 다른 MAC이 RF 모듈(240)의 점유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경쟁 모드에서는 다른 MAC이 RF 모듈(240)의 점유를 회수하기 이전에 필요에 따라 RF 모듈(240)을 즉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자신이 송수신할 패킷을 모두 송수신하지 못하고 RF 모듈(240)의 점유를 빼앗긴 상대방에서는, 일시적인 패킷 전송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패킷 전송 오류는 RF 모듈(240)의 점유를 빼앗긴 경우 이외에도, 노이즈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전송 신호가 약한 경우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각 계층의 프로토콜에는 임의의 패킷 전송 오류에 대응하기 위한 오류 복구 메커니즘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무선 통신 단말(200)은 이를 사용하여 패킷 전송 오류를 복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Meanwhile, while one MAC is still in the BPR interval, the other MAC may want to use the
이러한 내부적인 복구 메커니즘에 더하여, 경쟁 모드는 패킷 전송 오류에 민감한 중요 데이터(critical data) 교환의 정확성을 보장하는 비선점구간(non-preemptible period)을 MAC에게 제공할 수 있다. 비선점구간에서 RF 모듈(240)을 점유하고 있는 MAC은 다른 MAC이 RF 모듈(240)에 액세스하는 것을 요청하더라도 계속하여 RF 모듈(240)을 점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WiFi MAC(212) 또는 WiMAX MAC(222)은 선점가능여부를 RF 점유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중재 모듈(230)에 전송할 수 있다. 패킷 전송 오류에 민감한 경우로는, 일부의 패킷 전송에 실패한 경우 전체의 절차를 다시 진행하는 경우를 들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연결 셋업 절차(connection setup procedure), 스캔 절차(scan procedure), 핸드오버 절차(handover procedure) 등이 있다. 이러한 구간에서는 다른 MAC이 중간에 끼어들어 RF 모듈(240)을 점유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경쟁 모드로 동작할 때, 비선점구간에 있는 MAC이 중재 모듈(230)에게 비선점구간의 시작과 끝을 알리면, 중재 모듈(230)은 다른 MAC이 비선점구간 동안 RF 모듈(240)에 액세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WiFi MAC(212) 또는 WiMAX MAC(222)은 패킷 전송 요류에 민감하지 않은 일반적인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려는 경우, 선점 가능여부를 "preemptible"로 설정하여 RF 점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패킷 전송 오류에 민감한 경우, 선점가능여부를 "non-preemptible"로 설정하여 RF 점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선점가능여부가 "preemptible"인 경우에는, 해당 MAC이 RF 모듈(240)을 점유하고 있는 동안에도, 다른 MAC이 RF 모듈(240)의 점유를 빼앗을 수 있으며, 선점가능여부가 "non-preemptible"인 경우에는, 해당 MAC이 RF 모듈(240)을 점유하고 있는 동안에는, 선점가능여부가 "preemptible"인 다른 MAC이 RF 모듈(240)의 점유를 빼앗을 수 없다. WiFi MAC(212)과 WiMAX MAC(222)이 모두 선점가능여부가 "non-preemptible"인 RF 점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일례로, RF 모듈(240)을 먼저 점유한 MAC에게 RF 모듈(240)을 계속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른 일례로, RF 점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우선순위가 높은 MAC에게 RF 모듈(240)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RF 점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우선순위는 패킷 전송 지연 또는 패킷 전송 오류 등에 민감한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우선순위 정보가 도 7에 개시되어 있다. 도 7은 WiFi 및 WiMAX의 패킷 종류에 따른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표이다.
In addition to this internal recovery mechanism, contention mode can provide the MAC with a non-preemptible period that ensures the accuracy of the exchange of critical data sensitive to packet transmission errors. The MAC occupying the
도 8은 경쟁 모드에서의 RF 모듈 제어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예에서는, WiFi 스캔이 WiMAX BPR 중간에서 발생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WiFi MAC(212)은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였으므로, RF 모듈(240)에 대한 액세스를 중재 모듈(230)에게 요청한다. 또한, 스캔 절차는 패킷 전송 오류에 민감한 절차이므로, WiFi MAC(212)은 중재 모듈(230)에게 비선점구간(NON-PREEMPTIBLE)을 요청하여 WiFi 모듈(210)이 RF를 점유하고 있는 동안, WiMAX 모듈(220)에게 RF 점유를 빼앗기는 것을 방지한다. 중재 모듈(230)은 WiFi MAC(212)의 요청에 따라, WiMAX의 RF 모듈(240) 점유를 일시적으로 회수하고, RF 모듈(240)을 WiFi MAC(212)에게 할당한다. 한편, WiMAX 모듈(220)은 의도하지 않은 RF 모듈(240) 점유 회수에 따라, WiMAX 통신에 지장이 생길 수 있다(Busy but blocked period). 그러나 WiFi 스캔이 완료되면, WiMAX MAC(222)은 RF 모듈(240)에 대한 액세스를 다시 획득하여 WiMAX 통신을 재개할 수 있다. 예컨대, WiFi 스캔이 완료되면, WiFi MAC(212)은 중재 모듈(230)에게 더 이상 RF 모듈(240)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Req_WiFi_RF_Off)를 전송한다. 메시지를 수신한 중재 모듈(230)은 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RF 점유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Ind_WiFi_Release_RF)를 WiMAX MAC(222)에게 전송하고, RF 모듈(230)에 대한 점유를 즉시 WiMAX MAC(222)에게 넘긴다. WiMAX 모듈(220)은 상대방과의 통신을 재개하고, RF 점유를 빼앗긴 동안 전송 오류가 발생하였으면 이를 복구할 수 있다.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for example, a method of controlling an RF module in a contention mode. In the example of FIG. 8, it is assumed that the WiFi scan occurred in the middle of the WiMAX BPR. Since the
한편 RF 모듈(240)의 점유 기간은 하나의 최소단위 동작(atomic operation)을 마칠 때까지는 유지될 수 있도록 최소 기간(Minimum Hold Time)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MAC이 RF 모듈(240)을 지나치게 오랫동안 점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RF 모듈(240)을 점유하는 최대 기간(Maximum Turnaround Time)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어느 하나의 MAC이 RF 모듈(240)을 계속하여 점유하면, RF 모듈(240)을 점유하지 못한 다른 모듈의 연결은 끊어진 것으로 보인다거나, 계속되는 패킷 재전송으로 인하여 쓰루풋이 상당히 낮아질 수 있다.
Meanwhile, the occupancy period of the
도 9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액세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WLAN(Wireless LAN)과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장치가 공통의 RF(Radio Frequency)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9의 방법은 도 2의 무선통신단말(200)를 시계열적으로 구현한 경우도 본 실시예에 해당하므로 무선통신단말(200)에 대하여 설명된 부분은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되며,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RF ac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9 illustrates a method in which a device suppor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ncluding a wireless LAN (WLAN) and a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communicates using a common radio frequency (RF) module. The method of FIG. 9 corresponds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0 of FIG. 2 is implemented in time series.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it is.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in FIG. 8 will be omitted.
S910 단계에서 중재 모듈(Arbitrator, 230)은 WiFi 모듈(210) 및 WiMAX 모듈(220)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부터 송신된 RF 점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In step S910, the
일 실시예에 따라, WiFi 모듈(210) 또는 WiMAX 모듈(220)은 송수신할 패킷이 있는 경우 RF 점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RF 점유 요청 메시지는, 점유 기간, 우선 순위, 또는 선점가능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WiFi 모듈(210) 또는 WiMAX 모듈(220)이 유휴 상태(idle state)가 되는 경우, 해당하는 모듈은 중재 모듈(230)에게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일례로, WiFi 모듈(210) 또는 WiMAX 모듈(220)의 유휴 상태는, WiFi 모듈(210) 또는 WiMAX 모듈(220)이 PS(Power Saving) 모드의 수면 구간(sleep interval)에 있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WiMAX 모듈(220)의 유휴 상태는, WiMAX 모듈(220)이 WiMAX 프레임 내에서 미할당된(unallocated) 서브 프레임 구간에 있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WiMAX 모듈(220)의 유휴 상태는, WiMAX 모듈(220)의 BS(Base Station) 스캐닝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920 단계에서 중재 모듈(230)은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WiFi 모듈(210) 및 WiMAX 모듈(220) 중 RF 모듈(240)을 사용할 모듈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중재 모듈(230)은 WiFi 모듈(210) 또는 WiMAX 모듈(220)이 요청하는 RF 점유 구간이 겹치지 않는 경우 협력 모드(Cooperative Mode)로 동작하고, WiFi 모듈(210)과 WiMAX 모듈(220)이 요청하는 RF 점유 구간이 겹치는 경우 경쟁 모드(Competitive Mode)로 동작한다. 협력 모드에서 중재 모듈(230)은, WiFi 모듈(210) 및 WiMAX 모듈(220) 중에서 RF 점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모듈을, RF 점유 요청 메시지를 통하여 요청한 기간 동안, RF 모듈(240)을 사용할 모듈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협력모드에서 중재 모듈(230)은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모듈의 유휴 구간(idle period) 내에서, RF 점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모듈을 RF 모듈(240)을 사용할 모듈로 결정할 수 있다. 경쟁 모드에서 중재 모듈(230)은, WiFi 모듈(210) 및 WiMAX 모듈(220) 중에서, WiFi 모듈(210)이 송신한 RF 점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우선순위와 WiMAX 모듈(220)이 송신한 RF 점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우선순위 중 높은 우선순위 값을 가지는 모듈을, RF 모듈(240)을 사용할 모듈로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920, the
S930 단계에서 중재모듈(230)은 RF 모듈(240)을 사용하도록 결정된 모듈에 대한 정보를 RF 모듈(240)에 제공한다. RF 모듈(240)을 사용할 모듈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면, S940 단계에서 RF 모듈(240)은 중재모듈(230)에서 결정된 모듈의 패킷을 송수신한다. 즉, RF 모듈(240)은 중재모듈(230)에서 결정된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을 송신하거나, 수신된 패킷을 중재모듈(230)에서 결정된 모듈에게 제공한다. In step S930, the
S950 단계에서 중재모듈(230)은 WiFi 모듈(210) 또는 WiMAX 모듈(220)에게 RF 모듈(240)을 점유하고 있는 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례로, 중재모듈(230)은 WiFi 모듈(210)에게는 WiMAX가 RF 모듈(240)을 점유하고 있다는 정보 또는 WiMAX가 RF 모듈(240)의 점유를 해제하였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WiMAX 모듈(220)에게는 WiFi가 RF 모듈(240)을 점유하고 있다는 정보 또는 WiFi가 RF 모듈(240)의 점유를 해제하였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step S950, the
도 10은 협력 모드에서 RF 액세스 시간에 따른 WiMAX와 WiFi의 쓰루풋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0의 그래프는 IEEE 802.16e Wave2(WiMAX)와 IEEE 802.11 b/g(WiFi)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을 사용하여 개시된 기술에 대한 성능 평가를 수행한 결과이다. TCP 쓰루풋을 측정하는 IxChariot와 UDP 쓰루풋을 측정하는 Iperf-Win32를 사용하여 각 네트워크 모듈들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RF 모듈에 대한 액세스는 WiFi 와 WiMAX의 절전모드를 사용하여 번갈아 가며 이루어졌으며, TCP DL 트래픽을 가지고 양 네트워크 모듈들의 throughput을 측정하였다. TMtoF는 300μsec, TFtoM은 WiMAX PHY의 안정적인 재동기화를 위하여 4.7msec로 설정하였다. 도 10의 그래프의 결과를 참조하면, 각각의 네트워크 모듈의 쓰루풋은 RF 액세스 시간(TWF, TWM)에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F 모듈(240)에 액세스할 수 있는 시간이 길수록 많은 양의 패킷을 전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10 is a graph comparing throughput of WiMAX and WiFi according to RF access time in cooperative mode. 10 is a result of performing a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disclosed technolog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ively using IEEE 802.16e Wave2 (WiMAX) and IEEE 802.11 b / g (WiFi).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each network module using IxChariot, which measures TCP throughput, and Iperf-Win32, which measures UDP throughput. Access to the RF module was alternated using the power saving modes of WiFi and WiMAX, and the throughput of both network modules was measured with TCP DL traffic. T MtoF was set to 300μsec and T FtoM was set to 4.7msec for stable resynchronization of the WiMAX PHY. Referring to the results of the graph of FIG. 10, it can be seen that the throughput of each network module is proportional to the RF access time T WF , T WM . This is because the longer the access time to the
도 11은 경쟁 모드에서의 전송 오버헤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의 그래프는 경쟁 모드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테스트가 이루어 졌다. WiFi 모듈은 활성 모드(active mode)에서 AP와 통신한다. WiMAX 모듈은 매 200msec 마다 끼어들어 공통의 RF 모듈에 액세스한다. 따라서 WiFi MAC은 WiFi가 BPR에 있는 경우에도, RF에 대한 액세스를 잃는다. WiMAX는 잠시 동안 RF에 액세스 한 이후, RF를 WiFi에게 다시 돌려준다. 이와 같이, 경쟁 모드에서 WiMAX가 일시적으로 RF에 액세스함에 따라 감소하는 TCP DL 트래픽에서의 WiFi 쓰루풋을 측정한다. WiMAX 모듈의 일시적인 RF 액세스로 인하여, WiFi는 RF 점유를 잃기 때문에, WiFi MAC에서는 패킷의 재전송이 발생할 수 있다. WiMAX MAC이 RF를 오래 점유할수록 WiFi MAC의 평균적인 재전송 횟수는 증가한다. 만약 재전송 횟수가 dotllLongRetryLimit 또는 dotllShortRetryLimit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패킷은 폐기되고, 이러한 임계 치 부근에서 쓰루풋은 상당히 하락한다. 도 10에서 회색 막대는 이상적인 스루풋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쓰루풋 하락은 WiMAX가 RF를 점유하고 있는 시간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도 11에서 검은 막대는 실제 실험 결과에 따른 스루풋을 나타낸다. 도 11에서는 스루풋은 WiMAX 액세스 시간이 30msec를 초과하는 때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재전송 제한 횟수(16번)까지의 재전송 실패(약 30msec 소요)로 인한 패킷의 폐기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만약 WiMAX가 WiFi 패킷 폐기을 야기하는 시간(예컨대, 30msec)보다 적은 시간 동안 RF를 점유한다면, 경쟁 모드에서 발생하는 오버헤드는 무시할만한 정도가 된다. 도11의 실험 결과는 개시된 기술이 특별한 어려움 없이 구현 가능하고, 허용 가능한 수준의 오버헤드만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11 is a graph illustrating transmission overhead in a contention mode. The graph of Figure 11 is for analyzing the efficiency of the competition mode, the test was made in the following environment. The WiFi module communicates with the AP in active mode. The WiMAX module interrupts every 200msec to access a common RF module. Thus, the WiFi MAC loses access to RF even when WiFi is in the BPR. WiMAX accesses RF for a while and then returns the RF back to WiFi. As such, Wi-Fi throughput in TCP DL traffic decreases as WiMAX temporarily accesses RF in contention mode. Due to the temporary RF access of the WiMAX module, WiFi loses its RF occupancy, so retransmission of packets can occur in the WiFi MAC. The longer the WiMAX MAC occupies RF, the average number of retransmissions of the WiFi MAC increases. If the number of retransmissions exceeds dotllLongRetryLimit or dotllShortRetryLimit, then the packet is discarded and throughput drops considerably near this threshold. Gray bars in FIG. 10 represent ideal throughput. Referring to FIG. 11, it can be seen that the throughput drop is proportional to the time WiMAX occupies RF. In Fig. 11, the black bars represent the throughput according to the actual experimental results. In FIG. 11, throughput appears to decrease dramatically when the WiMAX access time exceeds 30 msec. This is estimated to be due to the discarding of packets due to retransmission failure (takes about 30 msec) up to the retransmission limit number of times (16 times). Thus, if WiMAX occupies RF for less than the time that causes WiFi packet discard (eg, 30 msec), the overhead incurred in contention mode is negligible. The experimental results in FIG. 11 show that the disclosed technique can be implemented without particular difficulty and generates only an acceptable level of overhead.
이러한 개시된 기술인 시스템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system and apparatus disclosed herei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for purposes of clarity of understanding, they are illustrative onl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 will understand tha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8)
중재 모듈(Arbitrator)이 WLAN 모듈 및 WiMAX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부터 송신된 RF 점유 요청 메시지 또는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재 모듈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 상기 RF 모듈을 사용할 모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RF 모듈이 상기 결정된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을 송신하거나, 수신된 패킷을 상기 결정된 모듈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WLAN 모듈 또는 상기 WiMAX 모듈이 송수신할 패킷이 있는 경우 RF 점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WLAN 모듈 또는 상기 WiMAX 모듈이 유휴 상태(idle state)가 되는 경우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A device that support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ing Wireless LAN (WLAN) and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uses a common Radio Frequency (RF) module to communicate.
Receiving, by an arbitration module, an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or an RF de-occupation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f a WLAN module and a WiMAX module;
Determining, by the arbitration module, a module to use the RF module of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And
The RF module transmitting a packet provided from the determined module, or providing the received packet to the determined module,
Wherein the receiving comprises:
Transmitting an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when there is a packet to be transmitted or received by the WLAN module or the WiMAX module, and transmitting an RF release request message when the WLAN module or the WiMAX module is in an idle state. WLAN module and WiMAX module using a common RF module to communicate.
상기 WLAN 모듈 또는 상기 WiMAX 모듈이 PS(Power Saving) 모드의 수면 구간(sleep interval)에 있는 상태를 포함하는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The idle state of claim 2, wherein the WLAN module or the WiMAX module is idle.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including a state in which the WLAN module or the WiMAX module is in a sleep interval of a power saving (PS) mode, the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RF module.
상기 WiMAX 모듈이 WiMAX 프레임 내에서 미할당된(unallocated) 서브 프레임 구간에 있는 상태를 포함하는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The idle state of the WiMAX module according to claim 2,
And a WiMAX module using a common RF module, wherein the WiMAX module comprises a state in which the WiMAX module is in an unallocated subframe period within a WiMAX frame.
상기 WiMAX 모듈의 BS(Base Station) 스캐닝 구간을 포함하는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The idle state of the WiMAX module according to claim 2,
A WLAN module including a base station (BS) scanning interval of the WiMAX module and a WiMAX module communicate using a common RF module.
중재 모듈(Arbitrator)이 WLAN 모듈 및 WiMAX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부터 송신된 RF 점유 요청 메시지 또는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재 모듈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 상기 RF 모듈을 사용할 모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RF 모듈이 상기 결정된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을 송신하거나, 수신된 패킷을 상기 결정된 모듈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F 점유 요청 메시지는, 점유 기간, 우선 순위, 또는 선점가능여부를 포함하는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A device that support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ing Wireless LAN (WLAN) and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uses a common Radio Frequency (RF) module to communicate.
Receiving, by an arbitration module, an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or an RF de-occupation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f a WLAN module and a WiMAX module;
Determining, by the arbitration module, a module to use the RF module of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And
The RF module transmitting a packet provided from the determined module, or providing the received packet to the determined module,
The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is a WLAN module and a WiMAX module, including the occupancy period, priority, or preemption whether the common RF module communicates.
중재 모듈(Arbitrator)이 WLAN 모듈 및 WiMAX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부터 송신된 RF 점유 요청 메시지 또는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재 모듈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 상기 RF 모듈을 사용할 모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RF 모듈이 상기 결정된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을 송신하거나, 수신된 패킷을 상기 결정된 모듈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재 모듈이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에서 상기 RF 점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모듈을 상기 RF 점유 요청 메시지를 통하여 요청한 기간 동안 상기 RF 모듈을 사용할 모듈로 결정하는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A device that support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ing Wireless LAN (WLAN) and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uses a common Radio Frequency (RF) module to communicate.
Receiving, by an arbitration module, an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or an RF de-occupation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f a WLAN module and a WiMAX module;
Determining, by the arbitration module, a module to use the RF module of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And
The RF module transmitting a packet provided from the determined module, or providing the received packet to the determined module,
The determining step,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have a common RF that determines that the arbitration module transmits the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among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as a module to use the RF module during the request period through the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How to communicate using modules.
중재 모듈(Arbitrator)이 WLAN 모듈 및 WiMAX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부터 송신된 RF 점유 요청 메시지 또는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재 모듈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 상기 RF 모듈을 사용할 모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RF 모듈이 상기 결정된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을 송신하거나, 수신된 패킷을 상기 결정된 모듈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중재 모듈은,
상기 WLAN 모듈 또는 상기 WiMAX 모듈이 요청하는 RF 점유 구간이 겹치지 않는 경우 협력 모드(Cooperative Mode)로 동작하고, 상기 WLAN 모듈과 상기 WiMAX 모듈이 요청하는 RF 점유 구간이 겹치는 경우 경쟁 모드(Competitive Mode)로 동작하는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A device that support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ing Wireless LAN (WLAN) and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uses a common Radio Frequency (RF) module to communicate.
Receiving, by an arbitration module, an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or an RF de-occupation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f a WLAN module and a WiMAX module;
Determining, by the arbitration module, a module to use the RF module of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And
The RF module transmitting a packet provided from the determined module, or providing the received packet to the determined module,
In the determining step, the arbitration module,
If the RF occupied intervals requested by the WLAN module or the WiMAX module do not overlap, the device operates in a cooperative mode, and when the RF occupied intervals requested by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overlap, a competitive mode is provided. Operating WLAN module and WiMAX module using a common RF module to communicate.
상기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모듈의 유휴 구간(idle period) 내에서 상기 RF 점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모듈을 상기 RF 모듈을 사용할 모듈로 결정하는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in the cooperative mode, the arbitration module,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use a common RF module to determine a module that transmits the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as a module to use the RF module within an idle period of the module that transmits the RF release request message. How to communicate by.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에서, 상기 WLAN 모듈이 송신한 RF 점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우선순위와 상기 WiMAX 모듈이 송신한 RF 점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우선순위 중 높은 우선순위 값을 가지는 모듈을, 상기 RF 모듈을 사용할 모듈로 결정하는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in the contention mode, the arbitration module,
Among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a module having a higher priority value among the priority included in the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transmitted by the WLAN module and the priority included in the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transmitted by the WiMAX module.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which determine the module to use the RF module, communicate using a common RF module.
중재 모듈(Arbitrator)이 WLAN 모듈 및 WiMAX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부터 송신된 RF 점유 요청 메시지 또는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재 모듈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 상기 RF 모듈을 사용할 모듈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중재 모듈이 상기 WLAN 모듈 또는 상기 WiMAX 모듈에게 상기 RF 모듈을 점유하고 있는 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RF 모듈이 상기 결정된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을 송신하거나, 수신된 패킷을 상기 결정된 모듈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A device that support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ing Wireless LAN (WLAN) and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uses a common Radio Frequency (RF) module to communicate.
Receiving, by an arbitration module, an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or an RF de-occupation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f a WLAN module and a WiMAX module;
Determining, by the arbitration module, a module to use the RF module of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Providing, by the arbitration module, the WLAN module or the WiMAX module with information about the module occupying the RF module; And
The RF module transmitting a packet provided from the determined module, or providing a received packet to the determined module, wherein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communicate using a common RF module.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WiMAX 모듈;
상기 WLAN 모듈 또는 상기 WiMAX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을 송신하거나, 수신된 패킷을 상기 WLAN 모듈 또는 상기 WiMAX 모듈에게 저공하는 RF 모듈; 및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부터 송신되는 RF 점유 요청 메시지 또는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 상기 RF 모듈을 사용할 모듈을 결정하는 중재 모듈(Arbitrator)을 포함하고,
상기 WLAN 모듈 및 WiMAX 모듈은,
사용 상태(busy state)가 되는 경우 RF 점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유휴 상태(idle state)가 되는 경우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WLAN module supporting Wireless LAN (WLA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 WiMAX module supporting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 RF module for transmitting a packet provided from the WLAN module or the WiMAX module or storing a received packet to the WLAN module or the WiMAX module; And
Receives an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or an RF release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f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and uses the RF module of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It includes an arbitration module (Arbitrator) to determine the,
The WLAN module and WiMAX module,
A radio in which a WLAN module and a WiMAX modul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using a common RF module, which transmits an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when it is in a busy state, and transmits an RF release request message when it is in an idle state. Communication device.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WiMAX 모듈;
상기 WLAN 모듈 또는 상기 WiMAX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을 송신하거나, 수신된 패킷을 상기 WLAN 모듈 또는 상기 WiMAX 모듈에게 저공하는 RF 모듈; 및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부터 송신되는 RF 점유 요청 메시지 또는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 상기 RF 모듈을 사용할 모듈을 결정하는 중재 모듈(Arbitrator)을 포함하고,
상기 중재 모듈은,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에서 상기 RF 점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모듈을 상기 RF 점유 요청 메시지를 통하여 요청한 기간 동안 상기 RF 모듈을 사용할 모듈로 결정하는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WLAN module supporting Wireless LAN (WLA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 WiMAX module supporting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 RF module for transmitting a packet provided from the WLAN module or the WiMAX module or storing a received packet to the WLAN module or the WiMAX module; And
Receives an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or an RF release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f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and uses the RF module of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It includes an arbitration module (Arbitrator) to determine the,
The mediation module,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using the common RF module to determine a module that transmits the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among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as the module to use the RF module during the requested period through the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communicates.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WiMAX 모듈;
상기 WLAN 모듈 또는 상기 WiMAX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을 송신하거나, 수신된 패킷을 상기 WLAN 모듈 또는 상기 WiMAX 모듈에게 저공하는 RF 모듈; 및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부터 송신되는 RF 점유 요청 메시지 또는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 상기 RF 모듈을 사용할 모듈을 결정하는 중재 모듈(Arbitrator)을 포함하고,
상기 중재 모듈은,
상기 WLAN 모듈 또는 상기 WiMAX 모듈이 요청하는 RF 점유 구간이 겹치지 않는 경우 협력 모드(Cooperative Mode)로 동작하고, 상기 WLAN 모듈과 상기 WiMAX 모듈이 요청하는 RF 점유 구간이 겹치는 경우 경쟁 모드(Competitive Mode)로 동작하는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WLAN module supporting Wireless LAN (WLA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 WiMAX module supporting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 RF module for transmitting a packet provided from the WLAN module or the WiMAX module or storing a received packet to the WLAN module or the WiMAX module; And
Receives an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or an RF release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f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and uses the RF module of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It includes an arbitration module (Arbitrator) to determine the,
The mediation module,
If the RF occupying intervals requested by the WLAN module or the WiMAX module do not overlap, the device operates in a cooperative mode, and when the RF occupying intervals requested by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overlap, a competitive mod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n operating WLAN module and a WiMAX module communicate using a common RF module.
상기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모듈의 유휴 구간(idle period) 내에서 상기 RF 점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모듈을 상기 RF 모듈을 사용할 모듈로 결정하는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The mediation module of claim 15, wherein the arbitration module in the cooperative mode comprises: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use a common RF module to determine a module that transmits the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as a module to use the RF module within an idle period of the module that transmits the RF release request messa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에서, 상기 WLAN 모듈이 송신한 RF 점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우선순위와 상기 WiMAX 모듈이 송신한 RF 점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우선순위 중 높은 우선순위 값을 가지는 모듈을, 상기 RF 모듈을 사용할 모듈로 결정하는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5, wherein in the contention mode the arbitration module is:
Among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a module having a higher priority value among the priority included in the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transmitted by the WLAN module and the priority included in the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transmitted by the WiMAX module. And a WLAN module and a WiMAX module, which determine the module to use the RF module, communicate using a common RF module.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WiMAX 모듈;
상기 WLAN 모듈 또는 상기 WiMAX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을 송신하거나, 수신된 패킷을 상기 WLAN 모듈 또는 상기 WiMAX 모듈에게 저공하는 RF 모듈; 및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부터 송신되는 RF 점유 요청 메시지 또는 RF 점유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WLAN 모듈 및 상기 WiMAX 모듈 중 상기 RF 모듈을 사용할 모듈을 결정하는 중재 모듈(Arbitrator)을 포함하고,
상기 중재 모듈은,
상기 WLAN 모듈 또는 상기 WiMAX 모듈에게 상기 RF 모듈을 점유하고 있는 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WLAN 모듈과 WiMAX 모듈이 공통의 RF 모듈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WLAN module supporting Wireless LAN (WLA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 WiMAX module supporting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 RF module for transmitting a packet provided from the WLAN module or the WiMAX module or storing a received packet to the WLAN module or the WiMAX module; And
Receives an RF occupancy request message or an RF release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f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and uses the RF module of the WLAN module and the WiMAX module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It includes an arbitration module (Arbitrator) to determine the,
The mediation module,
And a WLAN module and a WiMAX module for providing the WLAN module or the WiMAX module with information about a module occupying the RF module using a common RF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41472510P | 2010-11-17 | 2010-11-17 | |
US61/414,725 | 2010-11-1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01952B1 true KR101101952B1 (en) | 2012-01-02 |
Family
ID=4561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3770A Expired - Fee Related KR101101952B1 (en) | 2010-11-17 | 2011-02-16 |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between WLAN module and RFID module using common RF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1952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6774A (en) * | 2002-07-15 | 2004-01-24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Method for fabricating capacitor of semiconductor device |
KR200406774Y1 (en) | 2005-10-18 | 2006-01-24 | (주)블루버드 소프트 | Handheld terminal with dual antennas for CDM / Wireless LAN |
KR20080095905A (en) * | 2006-02-16 | 2008-10-29 |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 Dual MAC arbitration |
KR20100067380A (en) * | 2008-12-11 | 2010-06-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Quad-band front-end module for wi-fi and wimax applications |
-
2011
- 2011-02-16 KR KR1020110013770A patent/KR10110195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6774A (en) * | 2002-07-15 | 2004-01-24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Method for fabricating capacitor of semiconductor device |
KR200406774Y1 (en) | 2005-10-18 | 2006-01-24 | (주)블루버드 소프트 | Handheld terminal with dual antennas for CDM / Wireless LAN |
KR20080095905A (en) * | 2006-02-16 | 2008-10-29 |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 Dual MAC arbitration |
KR20100067380A (en) * | 2008-12-11 | 2010-06-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Quad-band front-end module for wi-fi and wimax application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170960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handling power saving signals to improve power saving performance of UE | |
JP6743042B2 (en) | Discontinuous reception in LTE/LTE-A networks with contention-based frequency spectrum | |
US11729678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for switching between macro cell and small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221428B1 (en) | V2X message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 |
US860628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requesting uplink resour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 |
TWI558257B (en) | Small cell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es using the same | |
JP5100893B2 (en) |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section allocation method | |
JP5583793B2 (en) | Method and node for scheduling radio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extended adaptive time slot allocation (EFTA) | |
RU2672859C2 (en) | Method and device in telecommunication system | |
JP2020529158A (en) | How to select a carrier wave and devices that support it | |
RU2619066C1 (en) |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periodic resources | |
US10251084B2 (en) | Method for multi-rat scheduling and apparatus therefor in system in which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utilized | |
WO2017148403A1 (en) |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pplied to a super cell | |
US10531383B2 (en) | Communications system, infrastructure equipment,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 |
CN104507108A (en) | Method for indicating idle state of channel or reserving resources, system, terminal and base station | |
EP3476173A1 (en) | Communications devices and methods | |
JP2008263582A (en) |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DEVICE | |
US20080232393A1 (en) | Removal of ambiguities in forming new piconet controller (pnc) when the current pcn controller is suddenly unavailable | |
WO2018072844A1 (en) | Random access for nr | |
CN111656745B (en) | A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 |
EP4192065B1 (en) | Sidelink resource selection method and terminal | |
JP7347656B2 (en) | Communication devices, communication methods, and communication systems | |
CN114651493B (en) | System and method for reference signaling design and configuration | |
CN114258717B (en) | System and method for using resources in through link communications | |
US20240015649A1 (en) | Multi-link target wake time (tw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12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1228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