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0616B1 - On-lin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On-lin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616B1
KR101080616B1 KR1020080090240A KR20080090240A KR101080616B1 KR 101080616 B1 KR101080616 B1 KR 101080616B1 KR 1020080090240 A KR1020080090240 A KR 1020080090240A KR 20080090240 A KR20080090240 A KR 20080090240A KR 101080616 B1 KR101080616 B1 KR 101080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instructor
student
call
ser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2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1245A (en
Inventor
김유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상제이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상제이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상제이엘에스
Priority to KR1020080090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616B1/en
Publication of KR20100031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2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61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1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dictation recording and playback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생이 유선 전화기, 이동통신단말기, 소프트 폰 등의 통화수단을 통해 강사와 대화를 행하고, 강사는 학생과의 대화를 평가기초로 하여 예약된 수업 및 학생의 발화오류에 대한 강사의 음성 설명 등을 제공하여 학습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온라인 어학학습시스템 및 온라인 어학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학습자료의 제공에 따라 학생의 학습에 대한 효과 및 만족도가 높아질 뿐 아니라 강사가 학생과 1:1 대화하는 시간을 다른 유효한 학습시간으로 대체할 수 있어서 어학학습 제공업체의 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tudent to communicate with the instructor through a communication means such as a landline telephon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soft phone, and the instructor explains the voice of the instructor regarding the scheduled class and the student's speech error based on the evaluation with the stud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an online language learning method that can improve learning outcomes by providing such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various learning materials, not only the effect and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learning is increased, but also the instructor can replace the one-to-one conversation with the student with another valid learning time, thereby improving the yield of the language learning provider. It can increase.

온라인, 어학학습, 음성인식서버, 녹취서버, 음성편집, 통화학습녹음 Online, language learning, voice recognition server, recording server, voice editing, call learning recording

Description

온라인 어학학습시스템 및 온라인 어학학습방법 {On-lin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Onlin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On-lin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온라인 어학학습시스템 및 온라인 어학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학생이 유선 전화기, 이동통신단말기, 소프트 폰 등의 통화수단을 통해 강사와 대화를 행하고, 강사는 학생과의 대화를 평가기초로 하여 예약된 수업 및 학생의 발화오류에 대한 강사의 음성 설명 등을 제공하여 학습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온라인 어학학습시스템 및 온라인 어학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an online language learning method. In particular, a student communicates with an instructor through a communication means such as a landline telephon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soft phone, and the instructor evaluates the conversation with the student based on the evalu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an online language learning method that can enhance learning outcomes by providing a lecturer's voice explanation about a scheduled class and a student's speech error.

어학학습을 행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이 원어민과 직접 대면하여 대화하는 시간을 많이 가짐으로써 자연스럽게 언어를 습득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원어민 강사의 수가 부족할 뿐 아니라, 학생과 원어민 강사가 지역적으로 떨어져 있을 때에는 직접 대면하기 어렵기 때문에, 차선책으로 학습 내용을 인터넷 상에서 제공받는 인터넷 어학 학습, 강사와 학생이 전화를 통하여 학습하는 전화 어학학습 등의 온라인 어학학습이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온라인 어학학습이 상용화되고 있지만 전화 언어학습의 경우 강사와의 직접 통화를 통한 대화수준에 머물고 있고, 인터넷 언어학습의 경우 이미 제공되어 있는 학습 콘텐츠를 학생에게 기계적으로 다운로드받게 하여 학습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In language learning,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students naturally acquire language by having a lot of face-to-face conversations with native speakers. However, in reality, not only is there a shortage of native speakers, but it is difficult to meet face-to-face when the students and native speake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Online language learning such as telephone language learning is gaining much attention. Therefore, various online language learning is commercially available, but in case of telephone language learning, the level of dialogue is maintained through direct call with the instructor, and in the case of internet language learning, the learning contents that are already provided are mechanically downloaded to the students. Stay on.

그런데, 온라인 어학학습이 강사와 학생과의 직접 대화로만 이루어지는 경우, 온라인 어학학습 시간에 강사가 많은 시간을 빼앗기게 되므로, 온라인 어학학습 제공업체로서는 인건비 지출이 높아져서 비싼 강의료를 지불해야 하는 원인이 되게 된다. 또한, 이미 제공되어 있는 학습 콘텐츠를 학생에게 기계적으로 다운로드받게 하는 온라인 어학학습의 경우에는 학생의 수준에 무관하게 학습이 진행되므로 수준별 학습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인터넷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많은 어학교육기관에서 노력하고 있지만,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 결과를 합리적으로 피드백 받아 추가적인 학습을 함으로써 어학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에는 부족한 점들이 많다.However, when online language learning is conducted only by direct conversations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 the instructor takes a lot of time during the online language learning time, which causes a high labor cost for the online language learning provider, causing a high cost of tuition. . In addition, in the case of online language learning that allows a student to mechanically download the already provided learning conten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learning is difficult because the learning proceeds regardless of the level of the student. In other words, as the Internet develops rapidly, many 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are making efforts to provide various learning contents by using it, but students can increase their effectiveness by learning additionally by receiving their learning results reasonably. There are many things that are lacking.

이를 극복하고자, 한국특허 제329343호는 개인용 컴퓨터나 전화기 등을 이용하여 근거리통신망이나 인터넷이나 전화망을 통해 어학학습시스템에 접속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영어,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등을 학원에 가서 배우는 것과 유사하거나 그 이상의 학습효과를 얻으며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근거리통신망과 인터넷과 전화망을 이용한 어학학습체계 제공방법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이 한국특허에서는, 학습자가 청취한 학습내용을 음성으로 반복 발음하면 발음한 학습내용의 정확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정확도가 낮은 부분에 대한 학습자의 음성과 해당 부분에 대한 정확한 원음을 이용한 평가결과에 적합한 음성을 대화식으로 학습자에게 들려준다. 여기서 평가결과에 적합한 음성이란, 평가자가 판단 한 평가점수를 학습자가 음성으로 들을 수 있도록 변환하여 한 것을 말한다.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Korean Patent No. 329343 uses English language, Japanese language, Chinese language, Korean language, etc.,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by accessing language learning system through local area network, Internet or telephone network using personal computer or telephone. This paper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a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a local area network and the Internet and a telephone network that provide a method for learning with a learning effect similar to or higher than that of learning at. In this Korean patent, if the learner listens to the repeated learning by voice, the accuracy of the pronounced learning is measured in real time, which is suitable for the evaluation result using the learner's voice and the correct original sound for the part with low accuracy. The voice is spoken to the learner interactively. Here, the voice suitable for the evaluation result means that the evaluation score determined by the evaluator is converted so that the learner can hear the voice.

그러나, 상기 한국특허는 강사가 학생과 직접 대화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이 아니라 강사가 배제된 어학학습시스템이 우선이 되어 이에 의해 학생이 기계적인 학습을 하고, 학습에 대한 평가는 평가자로부터 점수로만 받기 때문에, 학생이 오류를 범해도 이를 효과적으로 수정하는 학습을 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강사와의 1:1 대화에 의한 수업을 기계적 장치에 의한 수업보다 더 선호하는 수요자에게는 맞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가진다.However, the Korean patent is not a system based on instructor talking directly with the student, but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without the instructor becomes a priority, whereby the student performs mechanical learning, and evaluation of the learning is received only as a score from the evaluator. Therefore, it is difficult not only to learn to correct the error effectively even if a student commits an error, but also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suitable for a consumer who prefers a one-to-one conversation with an instructor over a class by a mechanical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학생이 강사와 통화를 한 후, 강사의 판단에 기초한 학생에 대한 피드백이 점수 이외의 다양한 학습으로 제공될 수 있는 온라인 어학학습시스템 및 온라인 어학학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udent talks to the instructor, provides an onlin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online language learning method that can provide feedback to the student based on the instructor's judgment as a variety of learning other than the score It i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강사가 학생과 1:1 대화하는 시간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학습의 질을 유지하더라도 전체 학습 과정에서 강사가 차지하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어학학습 제공업체의 인건비 지출을 낮출 수 있는 온라인 어학학습시스템 및 온라인 어학학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labor cost of language learning providers by reducing the time occupied by the instructor during the entire learning process, even if the instructor maintains the quality of learning, including the time required for 1: 1 conversation with the student. It is to provide an onlin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an online language learning method.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라인 어학학습시스템은, 학생 통화 단말을 통해 강사와 통화를 함으로써 온라인으로 어학학습을 행하는 시스템으로서, An online language lear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ystem for performing language learning online by calling a lecturer through a student call terminal.

상기 학생 통화단말과 통화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통화망과;A communication network for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student call terminal;

상기 통화망에 의해 상기 학생 통화단말과 연결되는 강사 통화단말과;An instructor call terminal connected to the student call terminal by the call network;

회원등록된 학생의 정보, 강습 강사의 정보, 강습 스케줄을 포함하는 수강정보 DB와, 강사가 학생과의 대화를 위해 미리 준비해 둔 수업 목록 및 내용, 강사가 학생과의 대화 중 학생의 발화 오류에 대한 강사의 수정내용 및 상기 미리 준비해둔 수업목록 중 강사에 의해 선택된 수업목록의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관리 DB를 가지는 학습시스템 DB와;Course information DB, including information on registered students, information from class instructors, class schedules, the list and contents of classes prepared by the instructor for the conversation with the student, and the instructor regarding the student's speech error during the conversation with the student. A learning system DB having a learning management DB including information of a class list selected by an instructor among modifications of the previously prepared class list;

상기 수강정보 DB와 학습관리 DB의 정보를 강사에게 제공하고, 상기 학생 통화단말과 강사 통화단말 사이의 통화내용을 모니터링한 강사에 의해 학생의 발화 오류에 대한 강사의 수정내용 및 상기 미리 준비해둔 수업목록 중 강사에 의해 선택된 수업목록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학습 관리 DB에 저장하는 강사 컴퓨터 단말과;Providing the information of the course information DB and the learning management DB to the instructor and monitors the contents of the call between the student call terminal and the instructor call terminal by the instructor to correct the student's speech error and the prepared class An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generating information of a class list selected by an instructor from a list and storing the information in a class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상기 학습 시스템 DB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시스템 컴퓨터 단말과; A system computer terminal for updating the learning system DB;

상기 수강정보 DB를 기초로 상기 시스템 컴퓨터 단말 또는 강사 컴퓨터 단말이 강사 및 학생관리를 행하도록 해주며 강사가 상기 강사 컴퓨터 단말을 통해 수업 모니터링을 행하도록 해주는 웹서버와, 상기 학습시스템 DB에 대한 정보의 저장, 독출 등의 처리를 행하기 위한 DB서버와, 상기 학습관리 DB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학생 통화단말과 음성인식에 따른 통화를 행하여 학생의 추가 학습을 진행하는 음성인식서버와, 상기 강사 전화단말과 상기 학생 통화단말 사이에 발생 한 통화내용 뿐만 아니라 상기 음성인식서버와 상기 학생 통화단말 사이에 발생한 통화내용을 녹취하여 상기 학습관리 DB에 저장시킴으로써 학생의 학습자료로 만드는 녹취서버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와;A web server that allows the system computer terminal or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to perform instructor and student management based on the course information DB, and allows the instructor to monitor the class through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and the learning system DB. DB server for processing the storage, reading, and the like, a voice recognition server for conducting additional learning of the student by making a call according to voice recognition with the student call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It includes a recording server to record the contents of the call between the voice call server and the student call terminal, as well as the contents of the call between the telephone terminal and the student call terminal to store the learning data of the student by storing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A service server;

상기 웹서버와 상기 강사 컴퓨터 단말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망;An internet network for connecting the web server and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FIG.

이 때, 상기 강사 컴퓨터 단말이, 상기 녹취서버에 의한 통화학습녹음 시작부터 녹음파일의 생성시간 경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상기 녹음파일의 생성 중에 학생의 발화에 발음, 문법, 어휘 등의 오류가 있을 때 강사가 발화오류구간을 체크할 경우 발화오류구간이 체크된 녹음파일이 생성되게 해 줄 뿐 아니라, 상기 녹음파일의 상기 발화오류구간에 강사가 발화오류에 따른 음성설명을 녹음한 파일을 삽입하여 편집한 음성편집파일을 만들어내는 음성편집 프로그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visually shows the elapsed time of the recording file from the start of the call learning recording by the recording server, and errors in pronunciation, grammar, vocabulary, etc. in the student's speech during generation of the recording file. When the instructor checks the utterance error interval, the recording file not only makes the utterance error section checked but also inserts a file in which the instructor records the voice explanation according to the utterance error in the utterance error section of the recording fil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voice editing program for producing the edited voice editing file.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라인 어학학습방법은, 상기 강사 컴퓨터 단말에 음성편집 프로그램이 설치된 본 발명의 온라인 어학학습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어학학습을 행하는 방법으로서,An online language lear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method of performing language learning online using the online language lear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voice editing program is installed on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a) 상기 강사 통화단말과 상기 학생 통화단말 사이에 통화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a) forming a call channel between the instructor call terminal and the student call terminal;

(b) 상기 강사 통화단말과 상기 학생 통화단말 사이에 이루어지는 통화학습 내용을 상기 녹취서버에 의해 녹음하여 통화학습 녹음파일을 생성하는 동시에, 상기 강사 컴퓨터 단말에 수업목록, 상기 통화학습 녹음파일의 생성시간 경과를 시각 적으로 보여주는 수업 모니터링 화면을 표시하면서, 강사가 학생이 학습해야할 수업목록을 체크한 수업체크목록 데이터와 강사가 학생의 발화 오류구간을 체크한 발화오류구간이 체크된 녹음파일을 상기 DB 서버에 의해 상기 학습관리 DB에 업로드하는 단계와;(b) recording the call learning content between the instructor call terminal and the student call terminal by the recording server to generate a call learning recording file, and at the same time, create a class list and the call learning recording file on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Displaying the class monitoring screen visually showing the passage of time, recalling the manufacturer's checklist data in which the instructor checked the class list to be studied by the instructor and the recording file in which the instructor checked the speech error section of the student. Uploading to the learning management DB by a DB server;

(c) 상기 학습관리 DB에 저장된 수업체크 목록 데이터에 해당되는 수업내용을 상기 학습관리 DB에서 상기 음성인식서버로 가져오고, 상기 음성인식서버와 상기 학생 통화단말 사이에 통화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c) importing the class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vendors list stor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from the learning management DB to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and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and the student call terminal; ;

(d) 상기 음성인식서버와 상기 학생 통화단말 사이의 통화내용을 상기 녹취서버에 의해 녹음하여 음성인식학습 녹음파일을 형성하면서 상기 통화내용에서 나오는 학생의 발화에 대해 음성인식 성공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 및 상기 음성인식학습 녹음파일을 상기 학습관리 DB에 업로드하는 단계와; (d) recording the contents of the call between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and the student call terminal by the recording server to form a voice recognition learning recording file while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oice recognition is successful for the speech of the student coming out of the call content. Uploading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he voice recognition learning recording file to the learning management DB;

(e) 상기 발화오류구간이 체크된 녹음파일을 상기 음성편집 프로그램이 설치된 상기 강사 컴퓨터 단말에서 불러들이고, 상기 발화오류구간에 대해 강사가 음성설명을 녹음한 파일을 삽입하여 편집한 음성편집파일을 만들어 상기 학습관리 DB에 업로드하는 단계;(e) Recalling the edited voice edited file from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with the voice editing program installed, and inserting the file recorded by the instructor for the spoken error section. Creating and uploading to the learning management DB;

(f) 상기 학습관리 DB에 업로드된 음성편집파일을 상기 인터넷망에 접속한 상기 학생 컴퓨터 단말에 제공하여 학생으로 하여금 자신의 발화오류에 대한 학습을 하도록 해주는 단계;(f) providing a voice editing file upload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DB to the student computer terminal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so that a student can learn about his / her speech error;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having a.

본 발명에 의하면, 학생이 온라인 어학학습을 진행한 후에, 강사의 판단에 기초한 학생에 대한 피드백이 점수 이외의 다양한 학습자료로 제공되므로 학습에 대한 효과 및 만족도가 높아진다. 또한, 강사가 학생과 1:1 대화하는 시간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학습의 질을 유지하더라도 전체 학습 과정에서 강사가 차지하는 시간을 줄이고 음성인식서버와 학생 사이의 통화학습 또는 학생에 의한 통화학습 녹음파일, 음성인식통화학습 녹음파일, 음성편집파일 등의 오디오 파일 다운로드에 의한 학습으로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어학학습 제공업체의 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udent proceeds with the online language learning, the feedback to the student based on the judgment of the instructor is provided as a variety of learning materials other than the score, the effect and satisfaction on the learning is increased. In addition, even if the instructor maintains the quality of learning by including the time of 1: 1 conversation with the student, the instructor reduces the time occupied in the whole learning process, and the call learning between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and the student or the call learning recording file by the student, Voice recognition can be replaced by learning by downloading audio files, such as recording and voice editing files, which can increase the profitability of language learning providers.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many modification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se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어학학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온라인 어학학습시스템(100)은 학습시스템 DB(110)와, 서비스 서버(120)와, 인터넷망(130), 통화망(140), 강사 컴퓨터 단말(150), 시스템 컴퓨터 단말(152) 및 강사 통화 단말(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학생 측에서는 학생 컴퓨터 단말(170)과 학생 통화 단말(180)을 통해 본 온라인 어학학습시스템(100)의 통화망(140)과 인터넷망(130)에 접속하여 수업을 받게 된다. 학습시스템 DB(110)에는 학습 관리 DB(112)와 수강정보 DB(114)가 포함되는데, 수강정보 DB(114)에는 회원등록된 학생의 정보, 강습 강사의 정보, 강습 스케줄과 같이 강의 내용 자체와는 무관하지만 학생과 강사와의 강의연결을 가능하게 해주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학습 관리 DB(112)에는 강사가 학생과의 대화를 위해 미리 준비해 둔 수업 목록 및 내용이 수업 전에 저장되어 있는데, 강사가 학생과의 대화 중 학생의 발화 오류에 대한 강사의 수정내용 및 상기 미리 준비해둔 수업목록 중 강사에 의해 선택된 수업목록의 정보가 강사와 학생과의 통화 후에 강사 컴퓨터 단말(150)에 의해 이 학습 관리 DB(112)에 저장되게 된다. 학습시스템 DB(110) 내에 저장된 정보는 다수의 강사 컴퓨터 단말(150)과 학생 컴퓨터 단말(170)을 통해 조회되고, 강사 컴퓨터 단말(150)에 의해 업데이트되어야 하므로 데이터베이스 처리에 걸리는 부하를 고려하여 별도의 DB 서버(122)를 마련한다. 이러한 DB 서버(122)는 학습시스템 DB(110)에 대한 정보의 저장, 독출 등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웹서버(128)에서는 학생회원관리, 강사관리, 수업 관리 등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녹취서버(124)는 강사 통화단말(160)과 학생 통화단말(180)을 통한 학생과 강사의 통화 내용, 그리고 학생 통화단말(180)과 음성인식서버(126)를 통한 학생과 음성인식서버(126) 사이의 통화내용을 DB 서버(122)를 통해 학습관리 DB(112)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강사 컴퓨터 단말(150) 및 강사 통화 단말(160)은 강사가 대기하고 있는 어학학원 등의 콜 센터에 비치될 수도 있고, 강사의 집에 비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학생 통화 단말(180)에는 전화로 통용될 수 있는 모든 수단들, 예컨대 일반유선전화,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소프트 폰,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폰 등의 다양한 것들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서는 강사 통화단말(160)과 학생 통화단말(180) 사이의 연결이 통화망(14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표시하였는데, 이 통화망(140)에는 유무선 전화통신망, 인테넷폰을 위한 통신망 등이 모두 포함된다. 어학학원 등에 콜센터를 마련하여 강사 통화 단말(160)을 비치하고 학생 통화 단말(180)과 연결하여 통화할 경우에는, 상기 통화망(140)에 통화교환기 서버가 관여할 수 있는데, 그 구체적인 예로서 인터넷 사설교환망(Internet Protocol Private Branch Exchange; 이하 "IPPBX")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IPPBX에 의해 통화채널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 것이지만, 통화채널의 형성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시스템 컴퓨터 단말(152)은 웹서버(128)에 접속하여 학생회원관리, 강사관리, 수업 관리 등을 위한 데이터를 변경하거나 입력하는 역할을 하는데, 도 1에서는 시스템 컴퓨터 단말(152)이 강사 컴퓨터 단말(150)과 마찬가지로 인터넷망(130)에 의해 웹서버(128)에 접속된 구성으로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웹서버(128)에 직접 접속되어도 무방하다. 강사 컴퓨터 단말(150)은 인터넷망(130)에 의해 웹서버(128)와 접속되는데, 웹서버(128)는 학습시스템 DB(110) 내에 저장된 정보가 강사 컴퓨터 단말(150)에 표시되게 해주고, 강사 컴퓨터 단말(150)이 자체 내에 구비된 음성편집 프로그램에 의해 통화학습 시의 학생의 발화 오류에 대한 강사의 수정내용이 반영된 파일을 생성할 경우, 그리고 학습관리 DB(112)에 미리 준비해둔 수업목록 중 강사에 의해 선 택된 수업목록의 정보를 생성할 경우, 이 파일 및 정보를 학습 관리 DB(112)에 저장하게 해준다. 즉, 웹서버(128)는 수강정보 DB(114)를 기초로 시스템 컴퓨터 단말(152) 또는 강사 컴퓨터 단말(150)이 강사 및 학생관리를 행하도록 해주며 강사가 강사 컴퓨터 단말(150)을 통해 수업 모니터링을 행하도록 해준다. 여기서 "수업 모니터링"이란 강사가 학생과 통화를 하면서, 통화학습 시의 학생의 발화 오류에 대한 강사의 수정내용이 반영된 파일을 생성하거나 학습관리 DB(112)에 미리 준비해둔 수업목록 중 강사에 의해 선택된 수업목록의 정보를 생성하여 학생의 통화 후 학습자료를 준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통화학습 시의 학생의 발화 오류에 대한 강사의 수정내용이 반영된 파일을 강사 컴퓨터 단말(150)에 의해 생성하는 것은, 녹취서버(124)에 의한 통화학습녹음 시작부터 녹음파일의 생성시간 경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상기 녹음파일의 생성 중에 학생의 발화에 발음, 문법, 어휘 등의 오류가 있을 때 강사가 발화오류구간을 체크할 경우 발화오류구간이 체크된 녹음파일이 생성되게 해줄 뿐 아니라, 상기 녹음파일의 상기 발화오류구간에 강사가 발화오류에 따른 음성설명을 녹음한 파일을 삽입하여 편집한 음성편집파일을 만들어내는 음성편집 프로그램이 강사 컴퓨터 단말(15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생성된 음성편집파일은 웹서버(128)에 의해 학습관리 DB(112)에 저장되며, 학생이 자신의 학습에 대해 평가결과를 알고 싶거나 복습을 하고 싶어서 인터넷망(130)을 통해 학생 컴퓨터 단말(170)을 접속시킬 경우 웹서버(128)를 통해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음성인식서버(126)는 학습관리 DB(112)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학생 통화단말(180)을 통해 학생과 음성인식에 따른 통화를 행하 여 학생이 추가 학습을 진행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DB 서버(122), 녹취서버(124), 음성인식서버(126) 및 웹서버(128)를 서비스서버(120)라고 통칭하기로 한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nlin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online language learning system 100 includes a learning system DB 110, a service server 120, an internet network 130, a call network 140, an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and a system. It comprises a computer terminal 152 and the instructor call terminal 160. On the student side, the student computer terminal 170 and the student call terminal 180 are connected to the call network 140 and the internet network 130 of the online language learning system 100 to receive a class. The learning system DB 110 includes a learning management DB 112 and a course information DB 114. The course information DB 114 includes the contents of the lecture itself, such as the information of registered students, the information of the class lecturer, and the class schedule. This data is not associated with, but data is stored to enable lecture connections between students and instructors. In addition,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stores a list of lessons and contents prepared by the instructor in advance for the conversation with the student, and the instructor corrects the student's utterance error and the preparation in advance during the conversation with the student. The information of the class list selected by the instructor of the class list is stor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by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after the call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learning system DB 110 is inquired through a plurality of instructor computer terminals 150 and student computer terminals 170, and must be updated by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so that the load required for database processing is separately considered. The DB server 122 is prepared. The DB server 122 performs processing such as storing and reading information about the learning system DB 110. In the web server 128, student member management, lecturer management, class management and the like is performed. Recording server 124 is a student and voice call through the lecturer call terminal 160 and the student call terminal 180, the student and voice recognition server 126 through the student call terminal 180 and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126 The contents of the call between the DB server 122 serves to store and manage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and the instructor call terminal 160 may be provided in a call center, such as a language school, where the instructor is waiting, or may be provided in the instructor's home. The student call terminal 180 may include all means that can be used as a telephone, such as a general fixed line telephon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oft phone,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phone, and the like. Accordingly, in FIG. 1,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structor call terminal 160 and the student call terminal 180 is represented by the call network 140. The call network 140 includes a wired /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mmunication network for an Internet phone. Etc. are all included. When a call center is provided in a language school and the like, the instructor call terminal 160 is connected to the student call terminal 180 to make a call, a call exchanger server may be involved in the call network 140. Internet Protocol Private Branch Exchan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PPBX") may be included. Hereinafter, for example, the call channel is formed by the IPPBX, but the call channel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Meanwhile, the system computer terminal 152 connects to the web server 128 and changes or inputs data for student member management, instructor management, and class management. In FIG. 1, the system computer terminal 152 is an instructor. Like the computer terminal 150, the configuration is connected to the web server 128 by the Internet network 13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web server 128.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is connected to the web server 128 by the Internet network 130, the web server 128 allows information stored in the learning system DB 110 to be displayed on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When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generates a file reflecting the instructor's modifications to the utterance error of the student at the time of call learning by the voice editing program provided in the class, and the class prepared in advance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When generating information of the class list selected by the instructor of the list, this file and th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That is, the web server 128 allows the system computer terminal 152 or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to perform instructor and student management based on the course information DB 114 and the instructor through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Allow class monitoring. Here, "class monitoring" means that the instructor calls the student and creates a file reflecting the instructor's modifications to the student's utterance error during call learning or is selected by the instructor from the class list prepared in advance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This includes generating information from the class list and preparing the student's post-call learning materials. Here, the generation of the file reflecting the instructor's modifications to the student's utterance error during the call learning by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is the creation time of the recording file from the start of the call learning recording by the recording server 124. When the instructor checks the utterance error interval when there is an error such as pronunciation, grammar, vocabulary, etc. in the student's utterance during the creation of the recording file, the recording file is checked. It is possible because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has a voice editing program installed in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to create a voice editing file edited by inserting a file recorded by the lecturer in accordance with the speech error in the speech error section of the recording file. . The voice edit file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stor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by the web server 128, and the student wants to know or review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student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130. When the computer terminal 170 is connected, it can be downloaded through the web server 128. On the other hand,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126 makes a call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through the student call terminal 180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tion with the student to allow the student to proceed further learning. 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B server 122, the recording server 124,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126 and the web server 128 will be referred to collectively as a service server 120.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어학학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고, 도 3a 내지 도 3l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어학학습방법을 진행하는 각 단계에서의 강사 컴퓨터 단말 또는 학생 컴퓨터 단말에 표시되는 컴퓨터 화면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2A and 2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online language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A to 3L are instructor computers at each step of performing an online language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er screens displayed on the terminal or the student computer terminal.

[강사-학생 통화학습][Instructor-Student Call Learning]

도 2a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어학학습 시스템에서 어학학습을 진행하는 방법을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음성인식서버와 학생간의 통화학습(S228 단계)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및 도 2a를 참조하면, 강사가 강사 컴퓨터 단말(150)을 통하여 웹서버(128)의 강사 웹 페이지에 접속하면 상기 강사 웹 페이지에는 로그인 창(도 3a 참조)이 뜨면서 강사에게 로그인을 하도록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로그인 창에 강사(선생님) 뿐 아니라 관리자도 로그인을 하도록 안내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시스템 관리자의 시스템 컴퓨터 단말(152)이 강사 컴퓨터 단말(150)과 혼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강사가 로그인창에서 로그인을 하면(S200 단계), 서비스 서버에 포함된 웹서버(128)가 로그인을 수행하고(S202 단계), 웹서버(128)가 강사 컴퓨터 단말(150)에 강사 스케줄 화면(도 3b)을 전송하여 표시하게 하고, 강사가 원하는 스케줄(도 3c)을 선택하면 해당 스케줄에 대한 수업정보화면(도 3d)도 전송 하여 표시하게 해준다(S204 단계 및 S206단계). 이와 같은 강사 스케줄 화면 및 수업정보화면은 학습관리 DB(112) 또는 수강정보 DB(114)에 저장되어 있다가 DB 서버(122)를 거쳐 웹서버(128)에 의해 강사 컴퓨터 단말(150)에 표시되는 것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강사가 2008년 7월 3일 10:00 부터 10:15까지 "test en(15)"이라는 스케줄을 선택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d를 참조하면, 수업정보화면에는 통화해야 할 학생의 통화번호 정보, 강사의 수업정보, 학생의 출결상황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강사가 수업정보화면(도 3d 참조)에 있는 콜(call) 버튼을 클릭하면(S208 단계), 웹서버(128)가 강사-학생의 통화채널을 형성하게 해준다(S210 단계). 강사-학생 사이의 통화연결은, 통화교환기 서버로서 IPPBX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IPPBX가 강사 통화 단말(160)을 호출하여 IPPBX-강사 통화 단말 사이의 통화채널을 생성하고, 또한 IPPBX가 학생 통화 단말(180)을 호출하여 IPPBX-학생 사이의 통화채널을 생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강사 및 학생의 이름과 전화번호 등과 같은 강사 및 학생 정보는 기본적인 수강 정보로서 수강 정보 DB(114)에 저장되며, 웹서버(128)는 DB서버(122)를 통해 이러한 강사 및 학생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와 같은 강사-학생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Figure 2a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verall process of the language learning in the onlin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voice learning server and a student learning the call (step S228) shown in Figure 2a A more detailed flow chart is shown. 1 and 2A, when the instructor accesses the instructor web page of the web server 128 through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the instructor web page displays a login window (see FIG. 3A) to log in to the instructor. do. Referring to FIG. 3A, it can be seen that not only an instructor (teacher) but also an administrator are logged in to the login window, which can be mixed with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of the system administrator's system computer terminal 150. Because. When the instructor logs in from the login window (step S200), the web server 128 included in the service server performs the login (step S202), and the web server 128 displays the instructor schedule screen on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 3b) transmits and displays, and if the instructor selects the desired schedule (FIG. 3C), the instruction information screen (FIG. 3D) for the corresponding schedule is also transmitted and displayed (steps S204 and S206). Such instructor schedule screen and class information screen are stor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or the course information DB 114 and displayed on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by the web server 128 via the DB server 122. Will be. Referring to FIG. 3C, it can be seen that the instructor selected the schedule “test en (15)” from 10:00 to 10:15 on July 3, 2008.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3d, it can be seen that the class information screen includes the student's call number information, the lecturer's class information, and the student's attendance status information. When the instructor clicks the call button on the class information screen (see FIG. 3D) (step S208), the web server 128 allows the instructor-student to form a call channel (step S210).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 may be made using the IPPBX as a call exchange server, in which case, the IPPBX calls the instructor call terminal 160 to create a call channel between the IPPBX-instructor call terminals and also the IPPBX. Is made by calling the student call terminal 180 to create a call channel between the IPPBX-student. Lecturer and student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and telephone number of the instructor and student is stored in the course information DB 114 as basic course information, the web server 128 receives such instructor and student information through the DB server 122 The instructor-student call connection is made as described above.

위에서 수업이 강사의 로그인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학습시스템 DB(110)에 수업의 실시간 예약뿐만 아니라 강사가 학생의 수업 수행 결과 등을 보고 학습할 수업목록을 체크된 결과가 저장할 수 있으므로, 이것의 스케쥴링이 강사 컴퓨터 단말(150) 또는 시스템 컴퓨터 단말(152)을 통해 사전에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스케쥴된 음성학습수업목록에 따라 약속된 시간에 ippbx 등을 통한 통 화망을 형성하기 위해 강사 통화단말(160)과 학생 통화단말(180) 모두 통화신호가 도달하여, 마치 모닝콜과 같은 개념으로 통화연결을 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example, the class starts from the login of the instructor, but since the checked result can be stored in the learning system DB 110 as well as the real-time reservation of the class, the instructor can view the class performance result of the student and learn the class list. Its scheduling is possible in advance via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or system computer terminal 152. In this case, both the instructor call terminal 160 and the student call terminal 180 reach a call signal to form a call network through ippbx, etc. at the scheduled time according to the scheduled voice learning class list, such as a wake-up call. You can also make lessons by making a call.

강사-학생 사이의 통화연결이 이루어져서 강사 통화단말(160)과 학생 통화단말(180) 사이에 학습내용통화(S212 단계)가 시작되면, 통화학습 녹음이 녹취서버(124)에 의해 시작된다(S216 단계). 한편, 통화학습 녹음이 시작되면, 강사 컴퓨터 단말(150)에는 통화학습 녹음파일의 생성시간 경과를 통화학습 타이머(302)에 의해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수업 모니터링 정보가 전송되어(S218 단계), 수업 모니터링 화면(도 3e 참조)이 표시된다(S220 단계). 도 3e를 참조하면, 수업 모니터링 화면에는 통화학습 타이머(302) 이외에 수업목록(304) 및 음성인식학습 버튼(306)도 표시된다.When the instructor-student makes a call connection, the learning content call (step S212) between the instructor call terminal 160 and the student call terminal 180 is started, and the call learning recording is started by the recording server 124 (S216). step). On the other hand, when the call learning recording is started, the lecturer computer terminal 150 is transmitted to the class monitoring information visually showing the elapsed time of the call learning recording file generated by the call learning timer 302 (step S218), the class monitoring screen (See FIG. 3E) (step S220). Referring to FIG. 3E, the class monitoring screen also displays a class list 304 and a voice recognition button 306 in addition to the call learning timer 302.

[발화 오류구간 체크 및 수업 목록 체크][Check speech error section and check class list]

통화학습 중에 학생의 발화에 오류가 있는 경우, 예컨대 발음, 문법, 어휘 등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강사는 발화오류구간을 체크한다. 발화오류구간의 체크는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학습 타이머(302)에서 발화오류의 시작과 끝 지점을 클릭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렇게 체크된 발화오류구간 데이터는 웹서버(128)를 통해 DB 서버(122)를 거쳐 학습관리 DB(112)에 업로드된다. 또한, 학습시스템 DB(110)에는 모든 음성학습 수업에 필요한 발음, 예문, 따라하기 등의 학습 컨텐츠 리소스가 저장되어 있고 각각의 학습 컨텐츠에 대한 위치 및 자료 정보들은 하나 하나의 고유 수업으로 분류되어 인덱스 파일로 학습관리 DB(112)에 저장되어있다. 전체 수업 가능한 수업목록(304)은 강사가 클릭함으로써 체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수업체크목록 데이터 웹서버(128)를 통해 DB 서버(122)를 거쳐 학습관리 DB(112)에 업로드된다. 이 때, 학생별, 그룹별로 수업체크목록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며, 수업 목록이 서비스될 시간도 입력하여 학습 관리 DB로 업데이트 되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g에서와 같이 "dressed up as"이라는 숙어가 체크되면 이 수업목록에 대한 고유 인덱스 번호가 학습관리 DB(112)에 업로드 된다.If there is an error in the student's speech during call learning, for example, if there is a problem in pronunciation, grammar, or vocabulary, the instructor checks the speech error section. The check of the utterance error section is made by clicking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utterance error in the call learning timer 302 as shown in FIG. 3F. The checked utterance error interval data is upload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via the DB server 122 through the web server 128. In addition, the learning system DB 110 stores learning content resources, such as pronunciation, example sentences, and follow-up, necessary for all voice learning classes, and location and material information for each learning content is classified into one unique class and indexed. The file is stor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as a file. The class list 304 for the entire class can be checked by the instructor, and is upload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through the DB server 122 through the vendor list data web server 128.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reate a list of vendors for each student, group, and can also be updat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DB by entering the time the class list will be serviced. For example, if the idiom "dressed up as" is checked, as shown in Figure 3g, the unique index number for this class list is upload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강사에 의한 수업목록 학습내용 체크 및 발화오류구간 체크(S222 단계)는 시간의 선후와는 상관없이 동시에 행해질 수 있으며, 그 이후에 발화오류구간 체크 데이터 및 체크된 수업목록 학습내용을 업로드할 수 있다(S224 단계). The class list learning contents check and the speech error section check by the instructor (step S222)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regardless of the time later, and afterwards, the speech error section check data and the checked class list learning contents may be uploaded. (Step S224).

[음성인식학습][Voice recognition learning]

강사와 학생 사이의 통화학습이 모두 끝나면, 강사는 음성인식 학습버튼(13)을 클릭한다(S226 단계). 그러면, 강사-학생 사이의 통화채널이 소멸되고, 녹취서버(124)에서 만들어진 통화학습 녹음파일이 DB서버(122)를 통해 학습관리 DB(112)에 업로드된다. 이 때 통화학습 타이머(302)도 동작을 멈춘다. 그리고, IPPBX를 통하여 강사-학생 통화연결이 종료되면서 대신에 학생 통화단말(180)과 음성인식서버(126) 사이의 통화연결에 따른 학생-음성인식서버 음성인식통화학습이 시작되고(S228 단계), 이 음성인식통화학습의 녹음이 녹취서버(124)에 의해 시작된다(S230 단계). 음성인식통화학습이 종료되면 음성인식통화학습 녹음파일이 DB 서버(122)를 통해 학습관리 DB(112)에 업로드되고, IPPBX에 의해 학생-음성인식서버의 통화채널이 소멸된다.After all the call learning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 the instructor clicks the voice recognition learning button 13 (step S226). Then, the call channel between the instructor-student is extinguished, and the call learning recording file made by the recording server 124 is upload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through the DB server 122. At this time, the call learning timer 302 also stops working. Then, the instructor-student call connection is terminated through the IPPBX, instead, the student-voice recognition server voice recognition communication training is started according to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student call terminal 180 and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126 (step S228). The recording of the voice recognition communication chemo training is started by the recording server 124 (step S230). When the voice recognition communication training is finished, the voice recognition communication training recording file is upload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through the DB server 122, and the call channel of the student-voice recognition server is destroyed by the IPPBX.

한편, 음성인식서버와 학생간의 음성인식 통화학습 단계(S228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b를 참조하면, 음성인식서버(126)에서 학생의 학습내용을 생성하기 위한 절차(S300 단계 내지 S308 단계)가 우선 진행된다. 학습 시스템 DB(110) 중의 수강 정보 DB(114)를 음성인식서버(126)에서 받아들여 학생 통화번호(전화번호 등), 수업번호를 확인한다(S300 단계). 이어서, 학습 시스템 DB(110) 중의 학습관리 DB(112)에 저장되어 있던 "강사에 의해 체크된 수업목록" 을 음성인식서버(126)에서 받아들여 음성인식학습 목록으로 삼아서 강의리스트를 생성한다(S302 단계). 이어서 강의순번 변수를 초기화(S304 단계)하고, 강의리스트의 강의 순번을 다음 리스트의 번호로 옮기는 것(S306 단계)은 여러 개의 수업목록을 일련의 순번으로 놓고, 하나의 수업목록에 대한 강의학습이 완료되었을 때 새로운 순번의 수업목록에 대해 학습을 다시 받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절차에 의해 N번째 강의내용을 동적으로 생성하면(S308 단계), 음성인식서버와 학생 사이의 통화에 의한 학습을 진행하기 전에 그 학습내용을 생성하기 위한 절차가 완료된다. 이어서, 생성된 학습내용에 따라 음성인식서버(126)에서 학생 통화단말(180)로 학습내용이 음성으로 전달된다(S310 단계). 전달된 음성에 따라 학생은 발화음성을 학생 통화단말(180)을 통해 음성인식서버(126)에 입력하는데(S312 단계), 음성인식서버(126)에는 음성인식 프로그램 모듈이 내장되어 있어서 학생발화에 대한 음성인식의 성공여부를 판단하여(S314), 성공일 경우에는 음성인식 성공알림 사운드를 학생 통화단말(180)로 전달하여 피드백하고(S316 단계), 실패일 경우에는 음성인식 실패알림 사운드를 학생 통화단말(180)로 전달하여 피드백하고(S318 단계)한다. 물 론 성공 및 실패 시에 각각 피드백되는 사운드들은 서로 달라서 학생이 성공과 실패의 여부를 사운드로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음성인식서버(126)에 내장된 음성인식 프로그램 모듈은 이미 공지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voice recognition call learning step between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and the student (step S228) is shown in more detail in Figure 2b. Referring to FIG. 2B, a procedure (steps S300 to S308) for generating a student's learning content in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126 is first performed. The course information DB 114 of the learning system DB 110 is accepted by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126 to confirm the student call number (telephone number, etc.) and class number (step S300). Subsequently,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126 receives the " class list checked by the instructor " stor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in the learning system DB 110, and generates a lecture list using the voice recognition learning list as the voice recognition learning list ( Step S302). Subsequently, initializing the lecture sequence variable (step S304) and moving the lecture sequence number of the lecture list to the number of the next list (step S306) sets a plurality of class lists in a sequence and teaches a class list. When it is complete, it is intended to reacquire learning about a new class list. When the N-th lecture content is dynamically generated by this procedure (step S308), the procedure for generating the learning content is completed before proceeding by the call between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and the student. Subsequently, the learning contents are transmitted as voice from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126 to the student call terminal 180 according to the generated learning contents (step S310).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voice, the student inputs a spoken voice to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126 through the student call terminal 180 (step S312).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126 has a voice recognition program module built in the student's speech. Determin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voice recognition (S314), if successful, the voice recognition success notification sound is delivered to the student call terminal 180 (S316), in case of failure, the voice recognition failure notification sound student Transfer to the call terminal 180 to feed back (step S318). Of course, the sounds that are fed back on success and failure should be different so that the student can judge the success or failure by sound. On the other hand, the voice recognition program module built in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126 is already known and widely us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은 음성인식 결과는 학습 시스템 DB(110) 중의 학습관리 DB(112)에 저장되어(S320 단계), 다음 학습에 직접 쓰이거나 학생의 학습에 대한 분석 데이터로 이용된다. 이어서, 행해진 N번째 강의 학습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고(S322 단계), 아직 학습완료가 안되었을 때에는 음성인식서버(126)에서 학생 통화단말(180)로 학습내용을 음성으로 전달하는(S310 단계) 단계가 계속 진행되고, 학습완료가 되었을 때에는 N번째 강의 학습 완료여부를 업데이트하는 데이터를 학습 시스템 DB(110) 중의 학습관리 DB(112)에 저장시킨다(S324 단계). 그 이후, 강의리스트 상의 모든 강의학습을 완료했는지 판단하여(S326 단계), 아직 모든 강의학습을 완료하지 않은 상태라면 강의 리스트의 강의순번을 다음 리스트번호로 옮기고(S306 단계), 모든 강의학습을 완료했다면 음성인식학습을 종료한다.Such a voice recognition result is stor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of the learning system DB 110 (step S320), and is used directly in the next learning or used as analysis data for student learning. 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earning of the N-th lecture has been completed (step S322), and when learning is not completed,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126 transfers the learning contents to the student call terminal 180 by voice (step S310). Is continued, and when learning is completed, data for updating whether the N-th lecture is completed is stor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of the learning system DB 110 (step S324). After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all of the lecture learning on the lecture list is completed (step S326), and if the status of all lectures has not been completed yet, the lecture sequence number of the lecture list is moved to the next list number (step S306), and all the lecture learning is completed. If so, end voice recognition.

[음성편집][Voice editing]

음성인식학습이 종료된 후 강사는 강사 컴퓨터 단말(150)을 통해 웹서버(128)에 로그인하고(S232 단계), 웹서버(128)에서는 로그인을 수행한다(S234 단계). 그 다음 S224 단계에서 웹서버(128)를 통해 DB 서버(122)를 거쳐 학습관리 DB(112)에 업로드되었던 "음성편집할 통화학습 녹음파일 및 발화오류구간 체크 데 이터"를 반대방향으로 강사 컴퓨터 단말(150)에 불러온다(S236 단계; 도 3h 참조). 도 3h를 참조하면, 웨이브파일로 되어 있는 통화학습 녹음파일이 업로드 시점에 따라 리스트업되어 학습관리 DB(112)에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리스트업된 통화학습 녹음파일 중에서 강사가 음성편집하고자 하는 것을 선택하여 강사 컴퓨터 단말(150)에 불러오면 된다. "음성편집할 통화학습 녹음파일 및 발화오류구간 체크 데이터"는, 강사 컴퓨터 단말(150)에 자체 내에 구비된 음성편집 프로그램에 의해 음성편집화면(도 3i 참조)으로 컴퓨터 화면에 출력된다. 이러한 음성편집 단계는, 학생이 논술 등의 학습을 받을 때 논술 내용에 대해 강사의 수정을 거치는 것을 "첨삭"이라는 용어로 주로 표현되므로, 음성첨삭 단계라고도 불리우기도 한다. 그러나, 음성편집 단계에서 통화학습 녹음파일에 강사의 음성설명을 첨가하는 경우는 많으나, 통화학습 녹음파일에서 음성내용을 삭제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아래에서는 "음성편집"이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기로 한다. 따라서, 음성편집파일과 음성첨삭파일, 스피킹 첨삭파일은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용어이다. 도 3h에 도시된, 음성편집화면은 통화학습 녹음파일을 웨이브 파형으로 보여주며 발화오류구간이 오버랩되어 표시된다. 강사는 이러한 음성편집화면을 보면서 발화오류구간에 대한 음성설명을 녹음하고 녹음된 음성설명파일을 통화학습 녹음파일에 병합(merge)시켜서 음성편집파일을 생성한다(S238 단계).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음성편집파일을, 웹서버(128)를 통해 DB 서버(122)를 거쳐 학습관리 DB(112)에 업로드한다(S240 단계). 강사 컴퓨터 단말(150)에서 음성편집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강사 컴퓨터 단말(150)에 구비된 음성편집 프로그램은 확장자가 wav, mp3 등인 오디오 파일을 편집하는 용도로 이미 공지된 것을 사용하는데, 그 프로그램에서 오디오 파일의 전체 복제, 일부 복제, 부분 삭제, 부분 삽입, 원하는 위치에의 마킹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이러한 음성편집 프로그램은 매우 다양하며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fter the voice recognition learning is completed, the instructor logs in to the web server 128 through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step S232), and performs a login on the web server 128 (step S234). Then, in step S224, the instructor computer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voice learning recording file and speech error interval check data for voice editing" upload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via the DB server 122 through the web server 128. Called to the terminal 150 (step S236; see FIG. 3H). Referring to FIG. 3H, it can be seen that the call learning recording file which is a wave file is listed up according to the upload time and stor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The instructor selects a voice edit from the list of call learning recorded files, and loads them to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Call learning recording file and speech error section check data for voice editing" are output on the computer screen as a voice editing screen (see FIG. 3I) by a voice editing program provided in the lecturer computer terminal 150 itself. This voice editing step is also referred to as voice correction step, since the term "correction" is mainly expressed by the instructor about the content of the essay when the student is learning, such as essay writing. However, in many cases, the instructor's voice explanation is added to the call-learning recording file at the voice editing stage. However, since the voice content is rarely deleted from the call-learning recording file, the term "voice editing" is mainly used below. do. Accordingly, the voice edit file, the voice corrected file, and the speaker corrected file are terms having the same meaning. The voice edit screen shown in FIG. 3H shows the call learning recording file as a wave waveform and is displayed with overlapping speech error intervals. The instructor records the voice description of the utterance error section while viewing the voice edit screen and merges the recorded voice description file into the call learning recording file to generate a voice edit file (step S238). The voice edit file thus created is upload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via the web server 128 via the DB server 122 (step S240). The voice editing program provided in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150 in order to generate the voice editing file in the lecturer computer terminal 150 uses what is already known for editing audio files having an extension of wav, mp3, and the like. You can copy an audio file, copy it partially, delete it, insert a part of it, and mark it where you want it. Since these voice editing programs are very diverse and widely know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학생 청취][Student listening]

통화에 의한 학습이 완료된 후에 학생은 학생 컴퓨터 단말(170)을 이용하여 웹서버(128)에 접속, 로그인하고(도 3j 참조; S242 단계), 웹서버(128)에서는 로그인을 수행한다(도 S244 단계). 로그인이 되면, 학습관리 DB(112)에 저장되었던 학생의 학습 스케줄 및 학습내용이 적힌 학습 캘린더가 학생 컴퓨터 단말(170)에 표시된다(도 3k 참조). 표시된 학습 캘린더에서 복습하고자 하는 일자의 내용을 클릭하면, 학생은 학습관리 DB(112)에 업로드되어 있던 통화학습 녹음파일, 음성인식통화학습 녹음파일, 음성편집파일 등의 오디오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도 3l 참조) 들을 수 있다(S246 단계). 도 3l을 참조하면, 통화학습 녹음파일은 "수업녹취", 음성편집파일은 "스피킹 첨삭", 음성인식통화학습 녹음파일은 "음성인식학습"으로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학습관리 DB(112)에 저장되었던 음성인식학습 수행 결과가 "음성인식 수업 내용"으로 표시됨을 알 수 있다.After the study by the call is completed, the student accesses and logs in to the web server 128 using the student computer terminal 170 (see FIG. 3J; step S242), and performs login in the web server 128 (FIG. S244). step). When the user logs in, a learning calendar in which the student's learning schedule and learning contents are stor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is displayed on the student computer terminal 170 (see FIG. 3K). If you click the contents of the date you want to review in the displayed learning calendar, the student downloads or streams audio files such as call learning recording files, voice recognition communication training recording files, and voice editing files that have been upload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streaming) (see FIG. 3L), in operation S246. Referring to Figure 3l, it can be seen that the call learning recording file "class recording", the voice editing file is "speaking correction", the voice recognition communication learning recording file is displayed as "voice recognition learning".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result of performing voice recognition learning that was stor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112 is displayed as "voice recognition class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어학학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nlin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어학학습 시스템에서 어학학습을 진행하는 방법을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Figure 2a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verall process of the language learning in the onlin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음성인식서버와 학생간의 통화학습단계(S228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및Figure 2b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call learning step (step S228) between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and the student shown in Figure 2a; And

도 3a 내지 도 3l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어학학습방법을 진행하는 각 단계에서의 강사 컴퓨터 단말 또는 학생 컴퓨터 단말에 표시되는 컴퓨터 화면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3A to 3L are diagrams illustrating computer screens displayed on an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or a student computer terminal at each stage of an online language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참조번호 및 참조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and reference numera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온라인 어학학습시스템100: Online Language Learning System

110: 학습시스템 DB110: learning system DB

112: 학습 관리 DB112: learning management DB

114: 수강정보 DB114: Course Information DB

120: 서비스 서버120: service server

122: DB 서버122: DB server

124: 녹취서버124: recording server

126: 음성인식서버126: voice recognition server

128: 웹서버128: web server

130: 인터넷망130: Internet network

140: 전화망140: telephone network

150: 강사 컴퓨터 단말150: lecturer computer terminal

160: 강사 통화 단말160: lecturer call terminal

170: 학생 컴퓨터 단말170: student computer terminal

180: 학생 통화 단말180: student call terminal

Claims (7)

학생 통화단말을 통해 강사와 통화를 함으로써 온라인으로 어학학습을 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a system for learning a language online by calling a lecturer through a student call terminal, 상기 학생 통화단말과 통화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IPPBX 전화교환기 서버에 의한 통화망과;A call network by an IPPBX telephone exchange server to form a call channel with the student call terminal; 상기 통화망에 의해 상기 학생 통화단말과 연결되는 강사 통화단말과;An instructor call terminal connected to the student call terminal by the call network; 회원등록된 학생의 정보, 강습 강사의 정보, 강습 스케줄을 포함하는 수강정보 DB와, 강사가 학생과의 대화를 위해 미리 준비해 둔 수업 목록 및 내용과 상기 미리 준비해둔 수업목록 중 강사에 의해 선택된 수업목록의 정보를 포함하고, 음성인식학습을 위해 미리 준비해 둔 음성학습수업목록 및 내용과 상기 미리 준비해둔 음성학습수업 목록 중 강사에 의해 예약된 음성인식학습수업목록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학생 통화단말과 상기 강사 통화단말 사이의 통화내용을 모니터링한 강사에 의해 학생의 발화 오류 지점을 체크한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관리 DB를 가지는 학습시스템 DB와;Class information DB including the information of registered students, class instructor information, class schedule, class list and contents prepared by instructor for dialogue with student, and class list selected by the instructor among the prepared class list The voice call lesson list and contents prepared for the voice recognition lesson and the voice recognition lesson list reserved by the instructor among the prepared voice learning lesson list. A learning system DB having a learning management DB including information of checking a utterance error point of a student by an instructor who monitors the contents of a call between the instructor and a call terminal; 상기 수강정보 DB와 상기 학습관리 DB의 정보를 강사에게 제공하고, 상기 학생 통화단말과 강사 통화단말 사이의 통화내용을 모니터링한 강사에 의해 학생의 발화 오류에 대한 강사의 음성첨삭수정내용 및 상기 미리 준비해둔 수업목록 중 강사에 의해 선택된 수업목록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학습 관리 DB에 저장하며, 상기 IPPBX 전화교환기 서버에 의한 통화학습녹음 시작부터 녹음파일의 생성시간 경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상기 녹음파일의 생성 중에 학생의 발화에 발음, 문법, 어휘 등의 오류가 있을 때 강사가 발화오류구간을 체크할 경우 발화오류구간을 상기 학습관리 DB에 저장하고, 수업 종료 후 상기 강사 컴퓨터 단말에 설치된 음성 첨삭 프로그램에서는 상기 학습관리 DB에 저장된 발화오류구간 정보를 가져오고 동시에 녹취서버에 저장된 녹취파일을 다운받아 오류 구간이 체크된 녹음파일을 자동으로 생성되게 해줄 뿐만 아니라 상기 녹음파일의 상기 발화오류구간에 강사는 발화오류에 따른 음성설명을 녹음한 파일을 삽입하여 편집한 음성편집파일을 만들어내는 음성편집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강사 컴퓨터 단말과;Providing the information of the course information DB and the learning management DB to the instructor, and by the instructor monitoring the contents of the call between the student call terminal and the instructor call terminal, the teacher's voice correction correction and the preview of the student's speech error in advance Generates information of the class list selected by the instructor of the prepared class list and stores it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and visually shows the elapsed time of the recording file from the start of call learning recording by the IPPBX telephone exchange server, If an instructor checks an error interval when a student's speech has an error such as pronunciation, grammar, or vocabulary during the creation of a recording file, the speech error interval is stor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and the class is installed in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after the class ends. In the voice additive program, information on the utterance error interval stor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is stored at the same time as the recording server. Voice recording file edited by inserting a file recording the voice explanation according to the utterance error in the utterance error section of the utterance error section of the recording file by automatically downloading the recorded recording file and checking the error section. A lecturer computer terminal including a voice editing program for generating a voice; 상기 학습시스템 DB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시스템 컴퓨터 단말과; A system computer terminal for updating the learning system DB; 상기 수강정보 DB를 기초로 상기 시스템 컴퓨터 단말 또는 강사 컴퓨터 단말이 강사 및 학생관리를 행하도록 해주며 상기 IPPBX 전화교환기 서버를 통해 상기 학생 통화단말과 강사 통화단말 사이에 통화채널을 형성하도록 해주고 강사가 상기 강사 컴퓨터 단말을 통해 수업 모니터링을 행하도록 해주는 웹서버와, 상기 학습시스템 DB에 대한 정보의 저장, 독출 등의 처리를 행하기 위한 DB서버와, 상기 학습관리 DB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학생 통화단말과 음성인식에 따른 통화를 행하여 학생의 추가 학습을 진행하는 음성인식서버와, 상기 강사 전화단말과 상기 학생 통화단말 사이에 발생한 통화내용 뿐만 아니라 상기 음성인식서버와 상기 학생 통화단말 사이에 발생한 통화내용을 녹취하여 상기 학습관리 DB에 저장시킴으로써 학생의 학습자료로 만드는 상기 녹취서버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와;The system computer terminal or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to perform the instructor and student management on the basis of the course information DB and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student call terminal and the instructor call terminal through the IPPBX telephone exchange server and the instructor A web server for performing class monitoring through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a DB server for storing and reading information about the learning system DB, and the student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A voice recognition server for conducting additional learning of a student by making a call according to a call terminal and voice recognition, and a call occurring between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and the student call terminal as well as the contents of the call between the instructor telephone terminal and the student call terminal. Record the call and save it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to the student's learning materials. Lifting the service server comprising the recording server; 상기 웹서버와 상기 강사 컴퓨터 단말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망;An internet network for connecting the web server and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어학학습시스템.Online language le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서버 내에, 학생발화에 대한 성공여부를 판단하여 학생에게 사운드로 피드백해주는 음성인식 프로그램 모듈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어학학습시스템. The on-lin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voice recognition program module is provided in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to determine whether the student speaks success or to feed back to the student with sound. 제1항에 기재된 온라인 어학학습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어학학습을 행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performing language learning online using the onlin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 상기 강사 통화단말과 상기 학생 통화단말 사이에 통화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a) forming a call channel between the instructor call terminal and the student call terminal; (b) 상기 강사 통화단말과 상기 학생 통화단말 사이에 이루어지는 통화학습 내용을 상기 녹취서버에 의해 녹음하여 통화학습 녹음파일을 생성하는 동시에, 상기 강사 컴퓨터 단말에 음성인식학습수업목록, 상기 통화학습 녹음파일의 생성시간 경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수업 모니터링 화면을 표시하면서, 강사가 학생이 학습해야할 음성인식학습수업목록을 체크한 음성인식학습수업체크목록 데이터와 강사가 학생의 발화 오류구간을 체크한 발화오류구간이 체크된 녹음파일을 상기 DB 서버에 의해 상기 학습관리 DB에 업로드하는 단계와;(b) recording the call learning content between the instructor call terminal and the student call terminal by the recording server to generate a call learning recording file, and at the same time, a list of voice recognition learning lessons and the call learning recording on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A speech error that the instructor checked the speech error interval and the instructor checked the student's speech error interval while displaying the class monitoring screen visually showing the creation time of the file while the instructor checked the speech recognition lesson list for the student to learn. Uploading, by the DB server, the recorded file whose section is check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DB; (c) 상기 학습관리 DB에 저장된 음성인식학습수업체크 목록 데이터에 해당되는 음성인식학습수업내용을 상기 학습관리 DB에서 상기 음성인식서버로 가져오고, 상기 음성인식서버와 상기 학생 통화단말 사이에 통화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c) bringing the voice recognition learning lesson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tion learning company check list data stored in the learning management DB from the learning management DB to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and making a call between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and the student call terminal. Forming a channel; (d) 상기 음성인식서버와 상기 학생 통화단말 사이의 통화내용을 상기 녹취서버에 의해 녹음하여 음성인식학습 녹음파일을 형성하면서 상기 통화내용에서 나오는 학생의 발화에 대해 음성인식 성공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 및 상기 음성인식학습 녹음파일을 상기 학습관리 DB에 업로드하는 단계와; (d) recording the contents of the call between the voice recognition server and the student call terminal by the recording server to form a voice recognition learning recording file while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oice recognition is successful for the speech of the student coming out of the call content. Uploading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he voice recognition learning recording file to the learning management DB; (e) 상기 발화오류구간이 체크된 녹음파일을 상기 음성편집 프로그램이 설치된 상기 강사 컴퓨터 단말에서 불러들이고, 상기 발화오류구간에 대해 강사가 음성설명을 녹음한 파일을 삽입하여 편집한 음성편집파일을 만들어 상기 학습관리 DB에 업로드하는 단계;(e) Recalling the edited voice edited file from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with the voice editing program installed, and inserting the file recorded by the instructor for the spoken error section. Creating and uploading to the learning management DB; (f) 상기 학습관리 DB에 업로드된 음성편집파일을 상기 인터넷망에 접속한 상기 학생 컴퓨터 단말에 제공하여 학생으로 하여금 자신의 발화오류에 대한 학습을 하도록 해주는 단계;(f) providing a voice editing file upload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DB to the student computer terminal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so that a student can learn about his / her speech error;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어학학습방법.Online language learning method comprising th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사 통화단말과 상기 학생 통화단말 사이에 통화채널을 형성하는 (a) 단계 이전에,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prior to step (a) of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instructor call terminal and the student call terminal, 강사가 상기 강사 컴퓨터 단말을 통해 로그인하여 상기 웹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강사 스케줄 화면을 확인하는 단계와;Checking, by the instructor, a lecturer schedule screen provided by the web server by logging in through the instructor computer terminal; 상기 강사 스케줄 화면에서 진행될 수업정보를 선택하는 단계;Selecting class information to be performed on the instructor schedule screen;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어학학습방법. Online language lear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사 통화단말과 상기 학생 통화단말 사이에 통화채널을 형성하는 (a) 단계가 IPPBX 전화교환기 서버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어학학습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 (a) of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instructor call terminal and the student call terminal is implemented using an IPPBX telephone exchange server.
KR1020080090240A 2008-09-12 2008-09-12 On-lin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Active KR1010806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240A KR101080616B1 (en) 2008-09-12 2008-09-12 On-lin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240A KR101080616B1 (en) 2008-09-12 2008-09-12 On-lin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245A KR20100031245A (en) 2010-03-22
KR101080616B1 true KR101080616B1 (en) 2011-11-08

Family

ID=42180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240A Active KR101080616B1 (en) 2008-09-12 2008-09-12 On-lin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61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9658A (en) * 2020-03-11 2020-05-19 湖北文理学院 An English speech comprehensive train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306B1 (en) * 2018-01-15 2019-09-06 김민철 Method for Managing Language Speaking Class in Network, and Managing Server Used Therein
US11991421B2 (en) 2021-03-05 2024-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 input and recording in the same
KR20220125523A (en) * 2021-03-05 2022-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How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handle recording and voice inpu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9658A (en) * 2020-03-11 2020-05-19 湖北文理学院 An English speech comprehensive trai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245A (en) 2010-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26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nguage training
Eskenazi et al. Crowdsourcing for speech processing: Applications to data collection, transcription and assessment
US20030034999A1 (en) Enhancing interactive presentations
CN107220228A (en) One kind teaching recorded broadcast data correction device
CN106971635A (en) A kind of teaching, training method and system
KR102534275B1 (en) Teminal for learning language,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language using the same
US20080280269A1 (en) A Homework Assignment and Assessment System for Spoken Language Education and Testing
US20060121422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foreign language learning community
KR101080616B1 (en) On-lin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KR20090001801A (en) Educational community provision system and method
KR100613899B1 (en)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communication media
KR20100000276A (en) The support methodology on collective online multimedia education service for english essays
Jers et al. Assessment of situated orality: the role of reflection and revision in appropriation and transformation of research ethos
KR20040040979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anguage Training Service by Using Telecommunication Network
JP3590343B2 (en) Education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for education system
Olsson Jers et al. Assessment of situated orality: The role of reflection and revision in appropriation and transformation of new knowledge
US20080293021A1 (en) Foreign Language Voice Evaluating Method and System
JP2005031207A (en) Pronunciation practice support system, pronunciation practice support method, pronunciation practice support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the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574916B1 (en) English Learning Method using English Learning Materials based on Communication-centered Interaction
CN114077991A (en) Lesson prepar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regional network
KR100891386B1 (en) Mechanics-based Foreign Language Conversation Learn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Zhong et al. To use or not to use? Understanding the adoption of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mong interpreting postgraduates in China
KR101580552B1 (en) World list sharing system and method
JP2004061788A (en) Network system
KR100706357B1 (en) Network-based Portable Digital Language Learn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