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78800B1 -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device - Google Patents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800B1
KR101078800B1 KR1020100057681A KR20100057681A KR101078800B1 KR 101078800 B1 KR101078800 B1 KR 101078800B1 KR 1020100057681 A KR1020100057681 A KR 1020100057681A KR 20100057681 A KR20100057681 A KR 20100057681A KR 101078800 B1 KR101078800 B1 KR 101078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 program
data
tool
machining
in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6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성균
홍성옥
Original Assignee
(주)아하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하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아하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00057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8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800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3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5Nc in input of data, input till input file format
    • G05B2219/35216Program, generate nc program, code from cad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가공 기능을 구비한 수치제어 기계를 구동시키기 위한 파트프로그램을 대화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생성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외장형의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 및 터치패널이 일체화되어 있으며, 화면의 일정한 위치에 버튼입력 화면 및 데이터 입력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버튼을 터치하거나 터치패널 상의 키패드에서 입력한 변수값을 받아들여 파트프로그램을 생성하며, 생성된 파트프로그램을 수치제어 공작기계에 전송하거나 또는 수치제어 공작기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유무선통신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파트프로그램 작성기; 상기 파트프로그램 작성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를 공작기계에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점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part program cre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n external type that assists a user to easily and quickly create a part program for driving a numerical control machine having various processing functions through an interactive user interface. The part program prepa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ternal part program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screen and a touch panel are integrated, and a button input screen and a data input screen are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creen, and the user touches a button or a variable input from a keypad on the touch panel. A part program generator hav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receiving a value to generate a part program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art program to a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or for monitoring a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A cradle capable of fixing the part program creator;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means for mounting the cradle to a machine tool.

Description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External Device for generating the part programs} External device for generating the part programs

본 발명은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가공 기능을 구비한 수치제어 공작기계를 구동시키기 위한 파트프로그램을 대화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생성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외장형의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무실은 물론 가공현장에서 해당 공작기계의 수치제어장치와 통신을 하고, 가공 경로를 생성하고 신속하고 편리하게 생성하도록 하여, 긍극적으로 공작기계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ssist a user in easily and quickly creating a part program for driving a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having various machining functions through an interactive user interface. An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apparatus. By using the external part program cre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ommunicates with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of the machine tool at the office as well as the machining site, and generates a machining path and generates the machining path quickly and conveniently. Can increase the productivity.

오늘날 수많은 수치제어 공작기계가 대량 생산되고 있으며, 수치제어공작기계를 구동시키기 위한 명령어가 나열된 파트프로그램을 수동으로 수치제어장치 내에서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비숙련공의 증가로 인하여 수동으로 파트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작업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또한 복잡한 곡면형상을 가공하기 위한 파트프로그램을 가공자가 수동으로 작성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고가의 캐드캠(CAD/CAM) 시스템을 별도로 구비하여 개인용 컴퓨터 상에서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파트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Numerous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s are in mass production today, and it is common to manually create a part program in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that lists the commands for driving the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However,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unskilled workers, the task of manually creating part programs has not been made smoothly.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the manual creation of part programs for machining complex curved shapes. CAM) is provided separately to create a part program for a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on a personal computer.

하지만 대부분의 캐드캠 시스템은 가공 비숙련자용이기 보다는 고급 가공 기술자를 위한 경우가 많고, 특히 절삭에 필요한 많은 변수 - 이송량, 절삭속도, 절삭 깊이, 주축속도, 주축의 회전 방향, 공구 등- 선정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야 하고 또한 가공형상을 정의하는 캐드 방식이 복잡하여 캐드캠 시스템을 원활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훈련시간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유곡면을 갖는 금형가공을 위한 밀링용 파트프로그램의 경우 고가의 캐드캠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선반용 파트프로그램은 소수의 숙련공에 의해서 수동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선반가공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는 상태이다.However, most CADCAM systems are more often used for advanced machining technicians than for non-skilled workers. Especially, many variables needed for cutting-feed rate, cutting speed, cutting depth, spindle speed, direction of spindle rotation, tools, etc. It is necessary to input directly, and the CAD method that defines the machining shape is complicated, which requires a lot of training time to use the CADCAM system smoothly. Nevertheless, the milling part program for mold machining with free surface is generated by using expensive CAD cam system, but most lathe part programs are created manually by a few skilled workers, thus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urning. It is in a declining state.

또한 최근의 공작기계의 경향이 다축화, 복합화로 진행되고 있어, 비숙련자가 이러한 복합 공작기계를 운영하기 위한 파트프로그램을 지코드(G-code) 및 엠코드(M-code) 등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작성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우며, 수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수치제어 공작기계 사용자는 해당 기계에서 필요한 파트프로그램을 수치제어장치 상에서 해당 공작기계의 사양과 장착된 공구 등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파트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원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기계가 설치된 현장이 아닌 사무실에서 캐드캠 시스템을 이용한 파트프로그램의 작성이 이루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recent trend of machine tools has been progressing to multi-axis and complex, so that non-skilled people can operate part programs using G-code and M-code. It is very difficult to write by hand, and there are many time consuming problems. In addition, most users of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s want to create a part program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machine tool's specifications and installed tools on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In the office, the part program using the CADCAM system is being made.

따라서, 기존의 캐드캠 방식보다 간편하고 작업현장에서 가공자가 신속하게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대화방식을 지원하는 파트프로그램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계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상태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part program device that supports a conversational method that is simpler than the existing CADCAM method and allows a programmer to quickly create a program in the workpla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현장 애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동으로 파트프로그램 작성이 곤란한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가공용 파트프로그램을 편리하게 생성하며, 특히 사무실뿐만 아니라 작업장에 설치된 공작기계의 외부 커버 표면에 장착하여 현장에서 편리하고 신속하게 파트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외장형의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field trouble point, and it is convenient to generate the part program for machining of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which is difficult to create the part program manually, especially the outer cover surface of the machine tool installed in the workshop as well as the offi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device that can be mounted on the system so that the part program can be created conveniently and quickly in the fiel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성된 파트프로그램을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통해 다수의 수치제어 공작기계로 전송할 수 있는 외장형의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ternal part program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transmitting a created part program to a plurality of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또한 본 발명은, 공작기계에 장착된 수치제어장치 내의 각종 파라메터, 공구옵셋값, 공구위치 및 형상 정보 등을 읽어 들여, 파트프로그램을 생성함에 있어 상기의 정보들을 이용함으로써, 오프라인의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를 수치제어장치 내에 내장시켜 작성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reading the various parameters, tool offset value, tool position and shape information, etc. in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mounted on the machine tool, by using the above information in generating the part program, creating an external external part program It is to provide the same effect as the device is built in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 및 터치패널이 일체화되어 있으며, 화면의 일정한 위치에 버튼입력 화면 및 데이터 입력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버튼을 터치하거나 터치패널 상의 키패드에서 입력한 변수값을 받아들여 파트프로그램을 생성하며, 생성된 파트프로그램을 수치제어 공작기계에 전송하거나 또는 수치제어 공작기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유무선통신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파트프로그램 작성기; 상기 파트프로그램 작성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를 공작기계에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점을 특징으로 한다.External part program cre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isplay screen and the touch panel is integrated, the button input screen and the data input screen is displayed at a certain position of the screen and the user touches or touches the button A part program generator which receives a variable value input from a keypad on a panel to generate a part program,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art program to a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or is provided wit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monitoring the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A cradle capable of fixing the part program creator;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means for mounting the cradle to a machine tool.

또한 상기 파트프로그램 작성기는, 사용자 입력을 받아 들이는 입력부; 파트프로그램 작성기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부; 파트프로그램 작성기의 핵심 구동 모듈을 저장하는 시스템 메모리부; 수치제어장치 및 외부 인터넷에 연결되며 파트프로그램을 전송하는 통신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각 요소부와 연결되어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 및 전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조정회로가 포함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을 특징으로 한다.The part program generator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 user input; A data memory section for storing data used in the part program creator; A system memory unit which stores a core driving module of the part program maker;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and the external Internet and transmitting a part program;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screen for a user interface; A system control unit connected to each element unit to control an entire system; And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 voltage adjusting circu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entire system.

본 발명에 의하면,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 상에서 사용자가 그래픽 대화형 화면의 도움을 받아 프로그램 환경설정, 공구설정, 가공공정 설정, 최종 가공경로 확인 작업등 일련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자연스럽게 파트프로그램을 신속하게 정확하게 작성할 수 있어, 긍극적으로 작업장의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external part program creation device, the user naturally proceeds with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program environment setting, tool setting, machining process setting, and final machining path operation with the help of a graphic interactive screen, thereby naturally executing the part program. It can be written quickly and accurately, and ultimately, the productivity of the workplace is improved.

또한 하나의 파트프로그램 작성 장치에서 다수의 수치제어 공작기계를 위한 파트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이 파트프로그램을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통해 각각의 수치제어 공작기계로 전송할 수 있어, 하나의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장 내에 위치하는 유사한 다수의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가동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a part program for a number of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s in one part program creation device, and transmit the part program to each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t also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uptime of many similar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s located in the workplace.

더 나아가서 수치제어장치 내의 공구옵셋값, 공구위치 및 형상 정보 등을 비롯한 각종 파라메터 값을 읽어 들여 현장에서 파트프로그램을 작성함으로써, 현장이 아닌 사무실에서 작성하는 기존의 캐드캠 시스템의 문제점을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Furthermore, by reading various parameter values including tool offset value, tool position and shape information in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and creating part program in the field, it is possible to quickly solve the problem of the existing CAD Cam system that is created in the office rather than the field. It also ha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의 거치대를 공작기계의 외부면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수단의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트프로그램 작성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트프로그램 작성기의 공정입력화면의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구정보를 입력하는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트프로그램 작성기의 프로그램 작성방법의 흐름도,
도 7은 파트프로그램 작성기로부터 파트프로그램을 다수의 공작기계에 전송하는 실시예.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ternal part program c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the fixing means for attaching the cradle of the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devic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chine tool,
3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part program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mbodiment of a process input screen of a part program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mbodiment for inputting too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program creation method of a part program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mbodiment of transferring a part program from a part program creator to a plurality of machine tool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reference,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의 거치대를 공작기계의 외부면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수단의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fixing means for attaching the cradle of the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devic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chine tool.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는 파트프로그램 작성기(100), 거치대(200) 및 고정수단(210, 220, 230)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xternal part program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part program generator 100, a cradle 200, and fixing means 210, 220, and 230.

상기 파트프로그램 작성기(100)는 공작기계를 제어하는 수치제어장치의 외부에 존재하는 별개의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화면 및 터치패널이 일체화되어 있어, 화면의 일정한 위치에 버튼입력 화면 및 데이터 입력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터치하거나 터치패널 상의 키패드에서 입력한 변수값을 받아들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현한다. 또한 작성이 완료된 파트프로그램을 목표로 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에 전송하기 위한 RS-232C와 같은 유선통신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등의 근거리무선통신수단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치제어장치에 와이파이(Wi-Fi), 이더넷과 같은 유무선 형태로 연결되어 공작기계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수단도 구비될 수 있다. The part program creator 100 is a separate device existing outside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machine tool, and a display screen and a touch panel are integrated to display a button input screen and a data input scree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creen. The user interface is realized by accepting the variable value input by the user or by using the keypad on the touch panel. In addition, a wired communication means such as RS-232C for transmitting to a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aiming for a completed part program is provided,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Bluetooth or Zigbe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may also be provided. Can be. In addition,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for monitoring the state of the machine tool by being connected in a wired or wireless form such as Wi-Fi, Ethernet.

상기의 파트프로그램 작성기(100)는 거치대(200)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거치대에서 분리하여 사무실로 가져 갈 수 있는 이동형의 파트프로그램 작성기이다. 도 1에서는 파트프로그램 작성기(100)가 거치대(200)에 끼워지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으나, 파트프로그램 작성기의 후면에 형성된 홈에 소형의 거치대가 끼워지는 구조로도 실시될 수도 있다. 즉, 거치대(2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트프로그램 작성기(100)를 끼워서 상하 측면을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파트프로그램 작성기(100)의 배면에 형성된 홈에 거치대에 형성된 돌출부가 끼워지는 형태도 가능하다.The part program creator 100 may be mounted and fixed to the holder 200 and, if necessary, is a mobile type part program maker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holder and brought to the office. 1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art program composer 100 is fitted to the cradle 200, but may be implemented as a structure in which a small cradle is fit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rear of the part program composer. That is, the cradle 20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of fix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by inserting the part program creator 100 as shown in Figure 1, alternatively, the cradle in the groove formed on the back of the part program creator 100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projection formed in the fitting.

거치대(200)를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표면에 장착하는 고정수단으로는 간편하게 자석을 이용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자석홀더(220)가 볼트에 의하여 거치대(200)표면에 고정되고, 자석홀더(220) 내에는 레버(21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레버(210)를 좌우로 돌려서 거치대를 공작기계 표면에 장착 또는 탈착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아. 레버(210)는 자석홀더(220)의 경사홈을 따라 회전이동이 가능하며, 이때 레버(210)와 연결된 자석(230)은 상하로 직선이동하여 공작기계 표면과의 이격거리가 변동되어 결과적으로 거치대가 편리하게 부착 또는 탈착이 될 수 있는 구조가 특징이다. As a fixing means for mounting the cradle 200 on the surface of the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a method of simply using a magnet may be considered. The magnet holder 220 is fixed to the surface of the holder 200 by bolts, and a lever 210 is provided in the magnet holder 220. The holder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machine tool by turning the lever 210 left and right. Or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removable. That is, as shown in FIG. The lever 210 can be rotated along the inclined groove of the magnet holder 220. At this time, the magnet 230 connected to the lever 210 moves vertically up and down to change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machine tool. The stand features a structure that can be attached or detached convenient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파트프로그램 작성기를 상기와 같은 거치대(200) 및 거치대를 고정하는 자석홀더(220)로 고정하는 예를 들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볼트를 이용하여 공작기계 표면에 직접 거치대를 고정하는 방식, 공작기계 조작반 내에 거치대와 파트프로그램 작성기를 삽입하는 방식 등 유사방식으로 다양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 example of fixing the part program creator with the holder 200 and the magnet holder 220 for fixing the holder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directly to the surface of the machine tool using a bolt It can be fixed and install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the method of fixing the cradle, the method of inserting the cradle and the part program writer in the machine tool control pane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트프로그램 작성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트프로그램 작성기는, 사용자 입력을 받아 들이는 입력부(10), 파트프로그램 작성기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부(20), 파트프로그램 작성기의 핵심 구동 모듈을 저장하는 시스템 메모리부(30), 수치제어장치 및 외부 인터넷에 연결되며 파트프로그램을 전송하는 통신부(50),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60), 상기 입력부, 데이터 메모리부, 시스템 메모리부, 통신부, 및 표시부와 연결되어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70) 및 전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80)로 구성되어 있다.3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part program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art program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0 that accepts user input, a data memory unit 20 for storing data used in the part program generator, and a core driving module of the part program generator. Connected to the system memory unit 30,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and the external Internet, a communication unit 50 for transmitting a part program, a display unit 60 for outputting a screen for a user interface, the input unit, a data memory unit, a system memory unit And a system control unit 7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display unit to control the entire system, and a power supply unit 80 to supply power to the entire system.

상기의 입력부(10)는 파트프로그램 작성기(100)에 사용자의 선택사항 및 필수 데이터를 입력하는 구성이고, 표시부(60)는 사용자에게 파트프로그램 작성기의 상태를 나타내주는 구성요소이다. 입력부(10)는 일반적인 키보드 및 마우스의 입력을 받아 들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터치 인터페이스를 표시부(60)의 표면에 밀착 설치하여 표시부(60)에 표시되는 버튼 또는 입력란에 대화방식을 통해 간단히 사용자 입력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0 is a component for inputting a user's selection and essential data to the part program creator 100, and the display unit 60 is a component indicating a state of the part program creator to the user. The input unit 10 may receive input from a general keyboard and a mouse, and preferably, a touch interface may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60, and the user may simply input a button or input box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0 through an interactive method. Input can be input by touch.

또한 상기의 통신부(50)는 파트프로그램 작성기를 다른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부분으로, 작성된 파트프로그램을 해당 공작기계의 수치제어장치 내로 전송하기 위한 유선방식의 직렬통신수단(52), 무선방식의 근거리무선 통신수단(54), 또한 외부의 인터넷 접속 또는 수치제어장치에 직접 연결되는 유무선의 이더넷(56)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수단(54)이 구비된 파트프로그램 작성기는, 무선방식을 통해 근거리의 공작기계 수치장치에 구비된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 장치로 파트프로그램을 전송하거나 또는 수치제어장치로부터 파트프로그램 작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50 is an interface part for connecting the part program generator with another system, and the wired serial communication means 52 for transmitting the created part program into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of the corresponding machine tool, and the wireless metho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54, and also wired and wireless Ethernet 56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an external Internet connection or numerical control device may be optionally provided. For example, the part program creator equipped wit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54 such as Zigbee or Bluetooth transmits the part program to the ZigBee or Bluetooth device provided in the numerical machine tool of the local area via a wireless method or controls the numerical value. Data required to create a part program can be transmitted from the device.

상기의 데이터 메모리부(20)는 파트프로그램이 구동될 수치제어장치 및 공작기계와 관련된 변수를 저장하는 기계 데이터(21), 외경가공, 드릴가공, 탭가공 등과 같이 특정의 가공공정에 할당된 변수를 저장하는 공정 데이터(22), 가공용 공구와 관련된 공구재질, 치수, 옵셋량 등을 저장하는 공구데이터(23), 공구재질과 가공재질 그리고 공정에 따른 가공파라메터를 저장하는 절삭조건 데이터(24), 가공에 자주 사용되는 피가공물의 재질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소재재질 데이터(24), 각 공정에 따른 가공방법, 공구교환위치, 급속접근 또는 이탈방법 등의 최적의 공구 이동 전략을 저장하는 가공전략 데이터(26), 그리고 각각의 파트프로그램 작성시 사용되는 시스템 광역변수를 저장하는 광역 데이터(27)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The data memory unit 20 is a variable assigned to a specific machining process, such as machine data 21 for storing a numerical control device for driving a part program and variables related to a machine tool, outer diameter machining, drill machining, tap machining, and the like. Process data 22 for storing the data, tool data 23 for storing the tool materials, dimensions, and offsets associated with the machining tool, cutting condition data 24 for storing the tool materials, the machining materials, and machining parameters according to the process. , Material material data (24) for storing data related to the material of the workpiece frequently used for machining, and the optimal tool movement strategy such as machining method, tool change position, rapid approach or departure method according to each proces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machining strategy data 26 and wide-area data 27 for storing system-wide variables used in the creation of each part program.

또한 상기 시스템 메모리부(30)는, 공정관리 모듈(32), 공구관리 모듈(31), 파일관리 모듈(33), 형상정의 모듈(34), 절삭조건 모듈(35), 코드생성 모듈(36), 가공시간연산모듈(37), 모의가공모듈(38) 및 통신관리 모듈(39)로 구성되어 있다. 각 모듈들의 주요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system memory unit 30 includes a process management module 32, a tool management module 31, a file management module 33, a shape definition module 34, a cutting condition module 35, and a code generation module 36. ), A processing time calculation module 37, a simulation processing module 38, and a communication management module 39. The main functions of each module are as follows.

공정관리 모듈(32)은 모든 공정에 기본데이터를 최초로 선언하는 기본공정 루틴과, 공정별로 요구되는 상세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공정데이터 입력루틴 및 공정의 복사, 이동 또는 수정 등을 수행하는 공정조작 루틴이 포함된 모듈이다. The process control module 32 includes a basic process routine for firstly declaring basic data in all processes, a process data input routine for receiving detailed data required for each process, and a process operation routine for copying, moving, or modifying a process. This is the included module.

기본공정 루틴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광역변수를 비롯하여 좌표계(절대/증분), 프로그래밍 단위(인치/미터 또는 직경/반경), 주축 데이터 설정, 이송단위(mm/rev, m/min), 공구 후퇴점, 공구 후퇴방법, 피삭재의 재질, 또는 사용기계 등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적으로 설정 받는 루틴이다. 본 기본공정 루틴은 각 가공 공정에 들어가기 전에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 여기서 결정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20)의 광역 데이터(27)에 저장되어 시스템 메모리부(30)의 각 모듈들과 연계되어 구동된다. 또한 공정데이터 입력루틴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공 공정에서 요구되는 파라메터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대화 형태로 입력받는 루틴이다.The basic process routines include the global variables used in the system, including coordinate systems (absolute / incremental), programming units (inch / meter or diameter / radius), spindle data settings, feed units (mm / rev, m / min), tool retraction points. It is a routine that is selectively set by the user for the tool retraction method, the material of the workpiece, or the machine to be used. This basic process routine must be preceded before entering each machining process, wherein the determined data is stored in the wide area data 27 of the data memory unit 20 to be driven in association with each module of the system memory unit 30. do. In addition, the process data input routine is a routine that receives parameters required for the machining process selected by the user in an interactive form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트프로그램 작성기의 공정입력화면의 실시예를 보이는 것으로 공정데이터입력 루틴이 구동되는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반에서 밀링 가공을 위해 요구되는 가공형식, 가공방향, 형상번호, 가공깊이, 정삭여유량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이어서 사용되는 공구 번호를 지정하게 되면, 자동으로 회전수, 이송량, 절입량의 절삭조건 및 가공전략이 선정되어 표시됨으로 사용자가 가공 비숙련자일지라도 파트프로그램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특징점을 보여주고 있다.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rocess input screen of a part program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screen on which a process data input routine is driven. In this embodiment, the information on the type of machining required for milling on the lathe, machining direction, shape number, depth of machining, finishing allowance, and the like, and then specify the tool number to be used, the number of revolutions, feed rate, The cutting conditions and the cutting strategy of the depth of cut are selected and displayed, which shows the features that assist the user to easily and quickly create a part program even if the user is not skilled.

가공공정은 밀링 가공, 선삭 가공, 드릴 가공, 홈 가공, 탭 가공, 나사 가공 등의 공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황삭, 정삭, 드릴, 홈, 나사, 포켓 등의 가공 사이클이 포함되어 있어 가공 동작을 한개의 블록으로 지령하여 프로그램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Machining processes can be classified into milling, turning, drilling, grooving, tapping, threading, and other machining cycles, including machining cycles such as roughing, finishing, drilling, grooves, screws, and pockets. You can make a program simply and efficiently by commanding as one block.

한편 공정조작 루틴은 사용자가 가공공정을 입력하는 도중 언제라도 그때까지 입력된 가공 공정들을 알기 쉽게 보여주고 수정할 수 있게 하는 루틴이다. 즉 현재까지 입력된 가공공정들을 보여주고, 이전 가공공정에서 입력한 값을 알 수 있고, 입력된 가공공정의 파라메터를 수정할 수 있으며, 필요 없는 가공공정을 삭제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 입력된 가공공정 사이 어느 곳에라도 새로운 가공공정을 추가할 수 있으며, 가공공정의 순서를 바꿀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manipulation routine is a routine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display and modify the machining processes entered at any time while inputting the machining process. In other words, it shows the processes entered up to now, knows the values entered in the previous process, can modify the parameters of the entered process, delete unnecessary processes, and between the processes entered so far. You can add new machining processes anywhere and change the order of the machining processes.

공구관리 모듈(31)은 실제 공작기계에 장착되어 사용될 공구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가공에 사용될 공구 리스트를 이용하여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에서 공구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The tool management module 31 performs a function of set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n a tool to be mounted on an actual machine tool. To do this, tool information can be input from an external part program generator using a tool list to be used for machinin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구정보를 입력하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 종류(공구 타입), 공구 재질, 공구형상 파라메터를 대화형의 화면을 통해 입력받고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데이터는 데이터 메모리부(20)의 공구 데이터(23)에 저장된다. 5 shows an embodiment of inputting too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tool type (tool type), tool material, and tool shape parameters are received through an interactive screen. The data input in this manner is stored in the tool data 23 of the data memory unit 20.

한편, 공작기계의 수치제어장치 내에서도 장착되는 공구를 관리하기 위한 공구 데이터화면을 제공하고 있기에, 수치제어장치와 본 발명의 파트프로그램 작성기(100)가 서로 통신을 통하여 공구 데이터를 공유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입력과정 없이 수치제어장치 내의 공구 데이터를 가져와서 공구 데이터(23)에 저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a tool data screen for managing a tool mounted in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of a machine tool is provided,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and the part program cre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are the tool data through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ool data in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can be taken and stored in the tool data 23 without the input process shown in FIG.

파일관리 모듈(33)은 작성된 파트프로그램, 공구데이터 파일, 모의가공에서 생성된 궤적파일 등의 복사, 삭제, 저장 또는 이동 등을 관리하며, 각 파일의 수정을 위한 텍스트 편집기를 제공한다. The file management module 33 manages copying, deleting, storing, or moving a created part program, a tool data file, a trajectory file generated in a simulation, and provides a text editor for modifying each file.

형상정의 모듈(34) 가공물의 형상을 정의하는 모듈로서, 기존의 캐드와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지원되는데 이를 위해 선 및 원호를 비롯한 다종의 그래픽 메뉴로 구성된 표형식의 형상정의 방식이 적용된다. 특히 정삭시 각 구간의 표면 조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구간별 절삭 이송속도를 다르게 지정할 수 있으며, 모따기(chamfer, round) 등의 정의가 간편하게 처리되는 특징이 있다.Shape Definition Module 34 As a module for defining the shape of a workpiece, a user interfac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AD is supported. For this, a tabular shape definition method consisting of various graphic menus including lines and arcs is applied. In particular, when finishing, the surface roughness of each section can be set differently, and accordingly, the cutting feed rate of each section can be automatically designated, and the definition of chamfer (chamfer, round) is easily processed.

일반적으로 가공품의 기하학적 또는 가공상의 특징을 나타내는 형상을 정의하는 방법으로 대부분의 캠 시스템에서는 부품의 기하학적 형상정의를 위한 방대한 캐드 기능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는 사용자 입장에서 가장 불편한 공정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파트프로그램 작성기에서는 작업자가 가공도면을 직접 입력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기존의 캐드에서 생성된 데이터 파일(예를 들면, DWG, DXF, IGES 등)을 읽어들여 표시하면, 가공을 원하는 형상을 작업자가 터치화면에서 선택하도록 하여 간편하게 형상을 정의하는 방식도 지원한다. Generally, the cam system emphasizes the vast CAD function for defining the geometrical shape of the part as a way of defining the shape that represents the geometric or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the workpiece, but this is one of the most inconvenient processes for the user. In the part program cre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 method in which a worker directly inputs a machining drawing, but also a data file (for example, DWG, DXF, IGES, etc.) generated from an existing CAD card is read and displayed to display a shape desired for machining. It also supports a method of easily defining the shape by allowing the operator to select from the touch screen.

절삭조건 모듈(35)은 공구의 형상, 재질 등의 정보가 포함된 공구 데이터(23)와 소재재질 데이터(25)를 참조하여 절삭조건(주축속도, 이송량, 절삭깊이 등)을 선정하는 모듈이다. 선정된 절삭조건은 공정입력의 절삭조건 입력란에 자동으로 표시되어 비숙련 가공자도 쉽게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선정되었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정된 일부 데이터가 수정된 절삭조건 등은 절삭조건 데이터(24)에 저장되어 동일 조건의 공정, 공구, 소재가 선정되면 상기 수정된 데이터가 추천되도록 한다.The cutting condition module 35 is a module for selecting cutting conditions (spindle speed, feed amount, depth of cut, etc.) with reference to the tool data 23 and the material data 25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tool. . The selected cutting conditions are automatically displayed in the cutting conditions input field of the process input, making it easy for unskilled workers to program. In addition, the cutting conditions such as selected or modified by some data selected by the user are stored in the cutting condition data 24 so that the modified data is recommended when a process, a tool and a material under the same conditions are selected.

코드생성 모듈(36)은 상기 공정관리 모듈(32)에서 입력받은 사용자 입력요소를 바탕으로 데이터 메모리부(20)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절삭 공구가 이동하는 이동경로, 절삭 조건, 동기가공 여부 등의 정보를 가진 파트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기계 데이터(21)에 저장된 수치제어장치의 포스트 프로세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수치제어장치가 이해할 수 있는 코드체계를 갖는 파트프로그램을 생성한다. The code generation module 36 refers to the data of the data memory unit 20 based on the user input element input from the process management module 32, such as a movement path, cutting condition, synchronous processing, etc. Creates a part program with information. At this time, by using the post processor information of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stored in the machine data 21 to generate a part program having a code system that can be understood by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가공시간연산모듈(37)은 생성된 파트프로그램으로 가공을 실제 시행하는 경우에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파트프로그램상의 코드 종류, 해당 공작기계의 가감속 시간, 공구 교환시간, M 코드 동작시간 등을 고려하여 전체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연산하는 모듈로서, 공정관리 모듈(32)을 이용하여 공정순서, 가공전략 등을 변경하면서 최단시간의 가공시간을 찾아 낼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Machining time calculation module 37 provides a function for estimating the time required when the machining is actually performed with the generated part program. The module calculates the time required for the entire machining in consideration of the code type in the part program,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time of the corresponding machine tool, the tool change time, the M code operation time, and the like. It is characterized by finding the shortest machining time by changing machining strategy.

모의가공 모듈(38)은 사용자의 기본 입력에 기반하여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생성한 파트 프로그램의 공구궤적을 그래픽을 통한 모의실험으로 검증하는 모듈로서 고감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플 위하여 소재로부터 최종형상이 형성되는 과정을 동적으로 처리한다. 또한 공구의 이동에 따른 가공시간(절삭, 비절삭 시간)을 계속적으로 표시하여 공구궤적 최적화를 위한 도구로 사용한다. 또한 초기화 루틴에서 설정된 클램프와의 충돌여부도 검사하며, 가공물 초기형상에서 가공완료 형상까지의 절삭과정을 솔리드 그래픽 형태로 도시하여, 공구경로의 검증 외에도 가공중의 가공물의 형상변화 과정을 관찰할 수 있다. The simulation module 38 is a module that verifies the tool trajectory of the part program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system based on the user's basic input by simulation through the graphic process. The final shape is formed from the material for the high sensitivity user interface. Handles dynamically In addition, it continuously displays the machining time (cutting time, non-cutting tim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ool and is used as a tool for optimizing the tool trajectory. In addition, it checks the collision with the clamp set in the initialization routine, and shows the cutting process from the initial shape of the workpiece to the finished shape in solid graphic form. In addition to verifying the tool path,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hape of the workpiece during machining can be observed. .

통신관리 모듈(39)은 상기의 통신부(50)와 연계되어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를 외부의 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통신(52)을 이용하여 파트프로그램을 수치제어장치에 송신하는 디엔씨(DNC)기능, 이더넷(56)을 이용하여 수치제어장치 내의 데이터를 파트프로그램 작성기(100)로 읽어오는 모니터링 기능 등이 대표적인 기능이며, 이외에도 외부의 인터넷망에 연결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기능도 구비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anagement module 39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50 and performs a function of exchanging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external part program apparatus. For example, a DCC function for transmitting a part program to the numerical controller using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52, and the data in the numerical controller using the Ethernet 56 are read to the part program generator 100. The monitoring function is a representative function, and in addition,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Internet network may be provided.

한편, 상기 각 요소부와 연결되어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70)는 표시부(60)에 도시되는 그래픽을 관장하는 그래픽 제어모듈(62)과 시스템 메모리부(30) 내의 각 모듈을 수행하는 중앙연산장치(65)가 포함되어 있으며, 내부 메모리(67)가 포함되어 중앙연산장치가 연산 도중에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ystem control unit 7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elements to control the entire system to perform the graphics control module 62 and each module in the system memory unit 30 that manages the graphics shown on the display unit 60. A central computing device 65 is included, and an internal memory 67 may be included to provide a space for the central computing device to temporarily store data during the operation.

또한 전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80)는 입력전원을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전원으로 변경하는 전압조정회로가 포함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배터리를 포함하는 충전회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배터리 및 충전회로는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기(100)를 이동형의 장치로 사용하여 가공현장이 아닌 다른 곳으로 파트프로그램 작성기를 위치시켜 사용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80 for supplying power to the entire system includes a voltage adjusting circuit for changing the input power to the power required by the system, and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circuit including a battery, if necessary. The battery and the charging circuit are useful in the case where the external part program generator 100 is used as a mobile device by positioning the part program generator to a place other than a machining site.

이하, 첨부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트프로그램 작성기의 프로그램 작성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6 will be described a program creation method of the part program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파트프로그램 작성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체 시스템의 초기화면이 표시되고 난 후에 프로그램작성 화면이 나타난다. 최초의 입력은 사용자가 선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입력순서를 결정하는 단계(S100)이다.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part program maker, the program creation screen appears after the initial screen of the entire system is displayed. The first input is a step (S100) of determining the input order according to the priority selected by the user.

선삭(터닝)의 경우 가공 회전체의 내외경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가공형상의 정의가 필요하며, 밀링의 경우에도 가공물의 회전면 또는 단면을 일정한 형상으로 가공하는 공정이 요구되므로, 공정 입력전에 터닝 또는 밀링 공정에서 가공하기 원하는 형상을 우선적으로 정의하는 단계(S110)를 선택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urning,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machining shape in order to machine the inside and outside diameter of the machined rotating body. Step (S110) may be selected to first define the shape desired to be processed in the process.

또한 공작기계 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공구를 직접 입력하여 설정하거나 또는 통신부(50)를 통해 수치제어장치 내에 설정된 공구 데이터를 수신받아 가공에 실제로 사용될 공구를 관리하는 단계(S120)를 선택하도록 프로그램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gram device is set to select a step (S120) of directly inputting and setting a tool used in a machine tool or receiving a tool data set in a numerical contro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0 and managing a tool to be actually used for machining. Can be driven.

만일, 상기의 형상정의 단계(S110) 또는 공구관리 단계(S120)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즉시 기본공정 입력단계(S130)를 수행할 수 있으며, 물론 상기의 형상정의 단계(S110) 또는 공구관리 단계(S120)를 선택적으로 수행한 후에도 기본공정입력단계(S130)로 이동한다. 이 단계에서는 공정관리 모듈(32)의 기본공정 루틴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용 광역변수를 비롯하여 좌표계(절대/증분)설정, 프로그래밍 단위(인치/미터 또는 직경/반경)설정, 주축 데이터 설정, 이송단위설정, 공구 후퇴점, 공구 후퇴방법, 피삭재의 재질, 사용기계 정의 등의 데이터를 설정하여 데이터 메모리부(20)에 저장한다.If the shape definition step (S110) or the tool management step (S120) is not performed, the basic process input step (S130) may be performed immediately, and of course, the shape definition step (S110) or the tool management step. Even after selectively performing (S120), the process moves to the basic process input step (S130). In this step, the basic process routine of the process management module 32 is used to set up the global variables for programming, coordinate system (absolute / incremental) setting, programming unit (inch / meter or diameter / radius) setting, spindle data setting, feed unit Data such as a setting, a tool retraction point, a tool retraction method, a material of a workpiece, a machine definition, and the like are set and stored in the data memory unit 20.

기본 공정이 설정된 이후에는 터닝, 밀링, 드릴, 탭, 홈, 나사 등의 가공공정 중에서 설정하고자 하는 공정을 선택한 후에, 선택된 공정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및 공구정보를 입력하는 공정선택 및 데이터 입력단계(S140)를 수행한다. 본 단계는 공정관리 모듈(32)의 공정데이터 입력 루틴에 의해 수행된다. After the basic process is set, after selecting a process to be set among machining processes such as turning, milling, drilling, tapping, groove, and screw, a process selection and data input step of inputting data and tool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selected process (S140). ). This step is performed by the process data input routine of the process management module 32.

터닝 및 밀링의 일부 공정에서는 형상정의가 필요한데, 이를 S110 단계에서 수행하여 형상을 미리 정의한 경우에는 해당 형상을 불러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든 공정에서는 공구정보를 입력하여야 하는데, S120 단계에서 공구정보를 설정한 경우에는 그 정보를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만일 형상정의 및 공구정보를 선행적으로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각 필요 공정에서 각각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some processes of turning and milling, shape definition is required. If the shape is defined in advance by performing step S110, the shape may be called and used. In addition, the tool information must be input in all processes. If the tool information is set in step S120, the information can be called and used. If the shape definition and tool information have not been entered in advance, they can be defined and used in each required process.

가공공정에 대한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면 절삭조건 및 가공전략 입력 단계(S150)가 수행된다. 즉, 선정된 공구와 피가공물의 형상, 재질 등을 참조하여 가공에 필요한 절삭조건을 선정하여야 하며, 또한 가공의 방법을 지정하는 가공전략을 선택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드릴가공의 경우 칩을 제거하면서 가공할 것인지, 또는 칩을 끊어가면서 가공할 것인지 선택하여야 하고, 다른 예로는, 황삭의 경우 가공끝점에서 형상을 따라 가공한 후 복귀점으로 이동할 것인지 또는 가공끝점에서 바로 복귀점으로 이동할 것인지 등의 다양한 경우의 가공전략을 공정관리모듈(32)이 제공하는 대화형 화면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설정한다. When the data input for the machining process is completed, the cutting conditions and the machining strategy input step (S150) is performed. That is, the cutting conditions necessary for the machining should be selected by referring to the selected tool and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workpiece, and the machining strategy that specifies the method of machining should be select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drilling, it is necessary to select whether to process while removing the chip or to cut off the chip.In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roughing, whether the machining is performed along the shape at the machining end point and then moved to the return point, or The machining strategy in various cases, such as whether to move directly from the machining end point to the return point, is conveniently set using the interactive screen provided by the process management module 32.

다음의 단계는 현재까지 입력된 가공공정 데이터, 가공형상, 가공공구, 가공전략, 절삭조건 등을 기반으로 해당 수치제어장치가 이해할 수 있는 파트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S160)이다. 코드생성 모듈(36)이 사용자 입력요소를 바탕으로 데이터 메모리부(20)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절삭 공구가 이동하는 이동경로, 절삭 조건, 동기가공 여부 등의 정보를 가진 파트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해당 수치제어장치의 포스트 프로세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수치제어장치용 코드체계를 갖는 파트프로그램을 생성한다.  The next step is to generate a part program that can be understood by the numerical control apparatus based on the machining data, the machining shape, the machining tool, the machining strategy, the cutting conditions, etc. inputted to date (S160). The code generation module 36 generates a part program having information such as a movement path, cutting conditions, and whether synchronous machining is performed by the cutting tool by referring to the data of the data memory unit 20 based on a user input element. A part program having a code system for the numerical controller is generated using the post processor information of the numerical controller.

모의가공 단계(S170)는 모의가공 모듈(38)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생성한 파트 프로그램의 공구궤적을 그래픽을 통한 모의실험으로 검증하며, 공구와 공작물 또는 공구간의 충돌여부도 시험하여 실제 가공시의 문제점이 있는지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상기의 모의가공 단계(S170)는 하나의 가공공정에 대한 입력이 완료된 경우에 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모든 가공공정의 입력이 완료된 후에 전체의 공정에 대하여 모의가공을 실시할 수도 있다.Simulation step (S170) verifies the tool trajectory of the part program automatically generated using the simulation module 38 by simulation through graphics, and also tests the collision between the tool and the workpiece or the tool, You can check whether there is a problem. The simulation step (S170) may be performed when the input for one machining process is completed, and may also be performed for the entire process after the input of all the machining processes is completed.

상기의 단계를 통해 가공공정을 프로그램하여 공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80)을 거쳐 필요한 가공공정에 대한 입력을 순차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전체 가공공정에 대한 파드프로그램의 작성이 진행된다.Through the steps described above, the processing process is programmed to determine whether the process is completed (S180), and the input of the required processing process is sequentially performed to prepare the pod program for the entire processing process.

프로그램 종료부분(S190)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프로그램을 종료하기 전에 다음에 수행할 작업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공 개수를 세는 계수기 사용여부, 현 프로그램 이후에 실행될 프로그램 번호, 현 프로그램의 반복횟수, 자동화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M 코드의 호출여부 등의 옵션기능을 지정할 수 있다.The program terminating portion S190 may be optionally used, and may specify a task to be performed next before terminating the program.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pecify optional functions such as whether to use a counter that counts the number of machining operations, the number of programs to be executed after the current program,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current program, and whether to call an M code for connection with an automated device.

도 7은 파트프로그램 작성기로부터 파트프로그램을 다수의 공작기계에 전송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Fig. 7 shows an embodiment of transferring a part program from a part program creator to a plurality of machine tools.

상기 파트프로그램 작성기(100)는 자신이 설치된 공작기계용 파트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음은 물론, 주변의 공작기계용 파트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기에, 하나의 파트프로그램 작성기에서 작성된 파트프로그램은 다수의 공작기계에 전송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part program generator 100 may create a part program for a machine tool installed thereon, and may also create a part program for a nearby machine tool, so that a part program created in one part program generator may be used for a plurality of machine tools. Can be transmitted and used.

도 5의 각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완성된 파트프로그램은, 통신관리 모듈(39)이 관장하는 파트프로그램 송신 기능(디엔씨 기능)이 구동되어 통신부(50)의 근거리무선통신수단(54)과 무선으로 연결된 공작기계의 근거리무선통신수단(58)을 통해 공작기계의 수치제어장치로 전송된다. 물론 무선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유선 직렬통신 방식을 통해 각 공작기계에 파트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는 것은 주시의 사실이다.The part program finally completed through each step of FIG. 5 is driven by a part program transmission function (DC function) managed by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module 39 and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54 of the communication unit 50. It is transmitted to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of the machine tool throug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58 of the connected machine tool. Of cours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part programs can be transmitted to each machine tool using a conventional wired serial communication method without using wireless.

10 : 입력부 20 : 데이터 메모리부
30 : 시스템 메모리부 50 : 통신부
60 : 표시부 70 : 시스템 제어부
80 : 전원부 100 : 파트프로그램 작성기
200 : 거치대 210 : 레버
220 : 자석홀더 230 : 자석
10: input unit 20: data memory unit
30: system memory unit 50: communication unit
60: display unit 70: system control unit
80: power supply section 100: part program creator
200: holder 210: lever
220: magnet holder 230: magnet

Claims (12)

수치제어 공작기계용의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면 및 터치패널이 일체화되어 있으며, 화면의 일정한 위치에 버튼입력 화면 및 데이터 입력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버튼을 터치하거나 터치패널 상의 키패드에서 입력한 변수값을 받아들여 파트프로그램을 생성하며, 생성된 파트프로그램을 수치제어 공작기계에 전송하거나 또는 수치제어 공작기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유무선통신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파트프로그램 작성기; 상기 파트프로그램 작성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를 공작기계에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파트프로그램 작성기는,
터치 인터페이스가 하기 표시부의 표면에 밀착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들이는 입력부; 파트프로그램 작성기에서 사용되는 변수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부; 상기 입력부에서 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파트프로그램을 생성하고 모의가공 및 파일 송수신을 수행하는 모듈을 저장하는 시스템 메모리부; 유선방식의 직렬통신수단, 무선방식의 근거리무선통신수단 또는 이더넷을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수치제어장치 및 외부 인터넷에 연결되며 파트프로그램 또는 수치제어장치 모니터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그래픽 대화형의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입력부, 데이터 메모리부, 시스템 메모리부, 통신부, 및 표시부와 연결되어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 및 전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조정회로가 포함된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스템 메모리부는,
기본공정 설정, 공정별 데이터 입력 및 공정조작을 수행하는 공정관리 모듈;
실제 공작기계에 장착되어 사용될 공구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공구관리 모듈;
파트프로그램, 공구데이터 파일, 모의가공에서 생성된 궤적파일의 복사, 삭제, 저장 또는 이동을 관리하며, 텍스트 편집기를 구비한 파일관리 모듈;
가공물의 형상을 사용자가 직접 정의하거나, 또는 캐드 데이터를 읽어들여 사용자가 가공형상을 지정하는 형상정의 모듈;
절삭 공구 이동경로, 절삭 조건, 동기가공의 정보를 가진 파트프로그램을 수치제어장치의 포스트 프로세서 정보에 맞추어서 생성하는 코드생성 모듈;
생성한 파트 프로그램의 공구궤적을 그래픽을 통한 검증하며, 공구의 충돌여부도 검사하는 모의가공 모듈; 및
상기 통신부와 연계되어 외부의 기기와 파트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관리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된 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
In the part program generator for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s,
The display screen and the touch panel are integrated, and the button input screen and the data input screen are displayed at a certain position on the screen, and the part program is generated by the user touching the button or accepting the variable values input from the keypad on the touch panel. A part program generator provided wit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programmed part program to the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or for monitoring the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A cradle capable of fixing the part program creator; And fixing means for mounting the cradle to a machine tool.
The part program creator,
An input unit in which a touch interface is closely attached to a surface of a display unit to receive data from a user; A data memory unit for storing variable values used in the part program generator; A system memory unit for generating a part program us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and storing a module for performing simulation and file transmission / reception; A communication unit selectively provided with a wired serial communication means, a wireles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or Ethernet, connected to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and the external Interne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art program or numerical control device monitoring data;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graphic interactive screen for a user interface; A system controller connected to the input unit, the data memory unit, the system memory unit,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display unit to control the entire system; And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 voltage regulation circu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entire system,
The system memory unit,
A process management module for performing basic process setting, process-specific data input and process operation;
A tool management module for set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n a tool to be mounted on an actual machine tool;
A file management module which manages copying, deleting, storing or moving of a part program, a tool data file, and a trajectory file generated by simulation, and including a text editor;
A shape definition module in which a user directly defines a shape of a workpiece or reads CAD data to designate a shape of the workpiece;
A code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part program having a cutting tool movement path, cutting conditions, and synchronous machi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st processor information of the numerical controller;
A simulation module for verifying a tool trajectory of the generated part program through a graphic and checking a collision of a tool; And
A communication management modu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to exchange a part program or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ed point including a.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거치대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경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홀더;
상기 자석홀더의 경사홈을 따라 이동하는 레버; 및
상기 자석홀더 내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에 연결된 자석;
을 포함하여 구성된 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cradle. A magnet holder having an inclined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lever moving along the inclined groove of the magnet holder; And
A magnet provided in the magnet holder and connected to the lever;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ed point including a.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전원부는,
배터리 및 충전회로가 더 구비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and the charging circuit is further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는,
파트프로그램이 구동될 수치제어장치 및 공작기계와 관련된 변수를 저장하는 기계 데이터;
가공공정에 할당된 변수를 저장하는 공정 데이터;
가공용 공구와 관련된 공구재질, 치수, 옵셋량을 저장하는 공구데이터;
공구재질과 가공재질 및 공정에 따른 가공파라메터를 저장하는 절삭조건 데이터;
피가공물의 재질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소재재질 데이터;
각 가공공정에 따른 최적의 공구 이동 전략을 저장하는 가공전략 데이터; 및
파트프로그램 작성시 사용되는 시스템 광역변수를 저장하는 광역 데이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memory unit,
Machine data for storing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and the machine tool on which the part program is to be driven;
Process data for storing variables assigned to the process;
Tool data for storing tool materials, dimensions, and offset amounts associated with the tool for machining;
Cutting condition data for storing tool materials and processing parameters according to materials and processes;
Material data for storing data related to the material of the workpiece;
Machining strategy data for storing an optimal tool movement strategy for each machining process; And
Global data for storing system wide variables used in the part program creation;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메모리부는,
공구 데이터와 소재재질 데이터를 참조하여 절삭조건을 선정하는 절삭조건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ystem memory unit,
An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utting condition module for selecting cutting conditions with reference to tool data and material dat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관리 모듈은,
시스템 광역변수, 좌표계, 프로그래밍 단위, 주축 데이터, 이송단위, 공구 후퇴방법, 피삭재의 재질 또는 사용기계를 사용자로부터 선택적으로 설정 받는 기본공정 루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공 공정에서 요구되는 파라메터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대화 형태로 입력받는 공정데이터입력 루틴; 및
공정의 복사, 이동 또는 수정을 수행하는 공정조작 루틴;
을 포함하여 구성된 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cess management module,
Basic process routines to selectively set system wide variables, coordinate systems, programming units, spindle data, feed units, tool retraction methods, material of workpiece or machine used;
A process data input routine for receiving parameters required for a machining process selected by a user in an interactive form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Process manipulation routines for copying, moving or modifying a process;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ed point includ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관리 모듈은,
가공에 사용될 공구 리스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수치제어장치 내의 공구 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용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ool management module,
An external part program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tool list to be used for machining is input from a user, or tool data in a numerical control device is received and u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관리 모듈은,
통신부의 유선직렬통신, 이더넷,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를 매개로하여 파트프로그램을 전송하거나, 수치제어장치 내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파트프로그램 작성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module,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part program through the serial communication, Ethernet, Bluetooth or ZigBee of the communication unit, or to monitor the data in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KR1020100057681A 2010-06-17 2010-06-17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device Expired - Fee Related KR1010788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681A KR101078800B1 (en) 2010-06-17 2010-06-17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681A KR101078800B1 (en) 2010-06-17 2010-06-17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800B1 true KR101078800B1 (en) 2011-11-01

Family

ID=45396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68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78800B1 (en) 2010-06-17 2010-06-17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80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174A (en) * 2016-07-08 2018-01-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machine tool
KR20180006173A (en) * 2016-07-08 2018-01-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CAD System of machine too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11897292A (en) * 2020-09-21 2020-11-06 余明忠 A kind of industrial computer Internet of things intelligent system, control method and interface docking device
CN116748950A (en) * 2023-06-21 2023-09-15 海德盟数控技术(深圳)有限公司 CNC machine tools and methods of product processing using said CNC machine too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512A (en) * 2002-06-14 2004-01-22 Mori Seiki Co Ltd NC machine tool and machining program transmission system
JP2004306202A (en) * 2003-04-08 2004-11-04 Mori Seiki Co Ltd Automatic programm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512A (en) * 2002-06-14 2004-01-22 Mori Seiki Co Ltd NC machine tool and machining program transmission system
JP2004306202A (en) * 2003-04-08 2004-11-04 Mori Seiki Co Ltd Automatic programming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174A (en) * 2016-07-08 2018-01-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machine tool
KR20180006173A (en) * 2016-07-08 2018-01-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CAD System of machine too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867675B1 (en) * 2016-07-08 2018-06-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CAD System of machine too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864019B1 (en) * 2016-07-08 2018-06-2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machine tool
CN111897292A (en) * 2020-09-21 2020-11-06 余明忠 A kind of industrial computer Internet of things intelligent system, control method and interface docking device
CN116748950A (en) * 2023-06-21 2023-09-15 海德盟数控技术(深圳)有限公司 CNC machine tools and methods of product processing using said CNC machine too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82044B1 (en) Machining based on strategies selected from a database
US8380341B2 (en) NC program generating device and NC program generating method
EP2541355B1 (en) Machine control program creating device
JP6335925B2 (en) Machine tool controller
KR101889889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gear cutting machine and gear cutting machine
JP6150903B2 (en) Machin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tool path generation device
EP11956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control parameters of machining apparatus
JP6719790B1 (en) Automatic operation device for machining center based on CAD data
US7899574B2 (en) Machine-tool controller
EP1769296B1 (en) Method for generating a cnc machine tool control program
CN113950651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04375456A (en) Interference Checking Device
KR101078800B1 (en) External part program writing device
KR101108211B1 (en) Device for generating the part programs of multi-functional turning machines and method for generating the syncronizing program between multiful processes
CN101224562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oveable tool, input device and processing machine
US121587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ycle-based programming of a control program for a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US20190202017A1 (en) Selecting device, selecting method, and program
JP717790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JP2008149382A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nc data for boring
US20220342381A1 (en) Managing a machine tool method, for example method of mapping toolpath data and machine code, a control device, and a machine tool
CN117099061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WO202512671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generating nc program
WO202512671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generating nc program, and control program
WO2024090371A1 (en) Nc program cre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10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