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75665B1 -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rout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rou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665B1
KR101075665B1 KR1020040061647A KR20040061647A KR101075665B1 KR 101075665 B1 KR101075665 B1 KR 101075665B1 KR 1020040061647 A KR1020040061647 A KR 1020040061647A KR 20040061647 A KR20040061647 A KR 20040061647A KR 101075665 B1 KR101075665 B1 KR 101075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ce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rou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6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12927A (en
Inventor
박상호
문영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1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665B1/en
Publication of KR20060012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9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665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Landscapes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장소들 각각에 대응된 명칭 및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장소 검색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1 장소 정보가 포함된 제1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장소에 대응된 장소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제1 상세 장소 정보의 생성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장소 정보가 포함된 제2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장소에 대응된 장소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생성된 제1 상세 장소 정보 및 제2 상세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장소와 상기 제2 장소간의 경로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GPS 수신여부에 상관없이 각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장소간의 경로를 각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nd store place search information including a name and location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redetermined places, when the first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first plac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ting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using place sear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first place, transmitting a notification message informing of generation of the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to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firming the notification message When the second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second plac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ting second detailed place information by using place sear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lace; Using the detailed pla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detailed place information,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place and the second place is generated and the second moving passage is generated.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o the new termina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rovide a path between a specific place designated by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to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ardless of GPS reception.

경로 제공, 메시지Provide route, message

Description

경로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ROUTE} Path providing system and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ROU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제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ath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제공 서버의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path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경로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의 예를 나타낸 도.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rout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경로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장소 관련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상세 장소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들을 나타낸 예시도 들.5 (a) and 5 (b)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screens for a user to select a detailed place in a place related list received from a route providing server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제공 서버가 생성한 예정 장소의 디지털 지도의 예를 나타낸 도.6 (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gital map of a planned place generated by a rout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제공 서버가 생성한 디지털 지도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세 장소 위치를 확정한 예를 나타낸 도.6 (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a detailed place location by a user's selection in a digital map generated by a rout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받을 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7 (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puts a phone number of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ceive route guidance information.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제공 서버가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알림 메시지의 예를 나타낸 도.7 (b)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notification message transmitted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경로 제공 시스템의 경로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th providing process of a path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안내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oute guid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경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경로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ute provid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ut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roviding a rout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no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evice.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개인 정보 단말기, 개인 통신 서비스 폰(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hone), IMT-2000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단말기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말한다. In general,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cellular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hone (PCS), an IMT-2000 terminal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and a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It refers to a device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a terminal, to make a call or exchange data while moving.

최근 이동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통신 및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가 활성화 되고 있으며,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각종 부가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data communication, short message service (S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activated, an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well as communication service. Is also provided.                         

최근 통신 사업자에 의해 널리 제공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로는 교통 정보 서비스, 디지털 지도 다운로드 서비스, 위치 정보 서비스, 날씨 정보 서비스, 응급 서비스, 차량 항법 서비스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각종 부가 서비스를 위치기반 서비스라 한다. Recently, additional services using mobil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widely provided by communication providers include traffic information services, digital map download services, location information services, weather information services, emergency services, and vehicle navigation services. As described abov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provide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called location-based services.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는 차량에 탑재되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데이터를 이용한 경로 안내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CNS: Car Navigation Sysem) 및 개인이 휴대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항법 시스템(PNS: Personal Navigation System)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These location-based services are provided on a vehicle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a car navigation system (CNS) that provides route guidance services usin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and mobile terminals carried by individuals. It is used in the field of Personal Navigation System (PNS).

차량 항법 시스템과 개인 항법 시스템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와 GPS 엔진 모듈을 통해 측위되어 결정된 위치를 텔레메틱스(Telematics) 정보센터에 전송하여 이동체(차량 운전자 혹은 보행자)의 위치에 기반한 정보를 서비스를 제공 받았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시스템들은 GPS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었다.
The vehicle navigation system and the personal navigation system use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receiver and the GPS engine module to transmit the determined position to the Telematics Information Center to provide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vehicle driver or pedestrian). Received. However, such systems cannot be provided with the location-based service as described above if GPS information is not receiv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GPS 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경로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ut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no GPS device can receive route guidance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특정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상기 특정 장소간의 경로 안내 정보를 제1 또는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제1 또는 제2 이동 통신 단말기가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경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between the specific places generated by using the specific pla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o the first or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mit the first or second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ute system and a method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receive route guidance informa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1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한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과 무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경로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로 제공 시스템의 경로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소정 장소들 각각에 대응된 명칭 및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장소 검색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1 장소 정보가 포함된 제1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장소에 대응된 장소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상세 장소 정보의 생성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장소 정보가 포함된 제2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장소에 대응된 장소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제1 상세 장소 정보 및 제2 상세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장소와 상기 제2 장소간의 경로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digital map data, an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ing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y a wireless network, to provide a route providing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 route providing method of a route providing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nd storing place search information including a name and a location coordinate corresponding to each of predetermined places, and including first place information from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first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s receive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generate a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using place sear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lace, and a notification message for notifying generation of the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Second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secon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has checked the notification message; When the request message is received, generating second detailed place information using place sear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lace; and using the generated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and second detailed place information, the first place. And generating route guide information between the second location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1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 기를 포함한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과 무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경로 안내 제공 서버에 있어서, 소정 장소들 각각에 대응된 명칭 및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장소 검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제1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각각 특정 장소 정보가 포함된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특정 장소들간의 경로 안내 정보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특정 장소들 각각에 대응된 장소 검색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특정 장소별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경로 제공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와, 상기 서버 제어부로부터 상기 특정 장소별 상세 장소 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장소들간의 경로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경로 안내 정보 생성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oute guidance providing server that stores digital map data an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ing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rough a wireless network to provid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 storage unit for storing place search information including a name and a location coordinat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redetermined places, and a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specific place information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spectively. And a wireless unit for transmitti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between the specific places to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etecting the place sear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pecific places from the storage unit to obtain detailed place information for each specific place. A server controller for generating and controlling overall operations of the path providing server; When the detailed place information for each specific place is transmitted, a route guid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route guide information between the specific places is used.

그리고 본 발명은 무선망을 통해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로 제공 서버로부터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타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특정 지역에 대한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경로 제공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경로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 및 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생성된 경로 안내 정보가 전달되면 그 경로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경로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부 및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ceiv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from a route providing server that provides route guidance service through a wireless network, wherein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or guiding a route to a specific region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to transmit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if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of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is receiv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ceiv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operations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nd the display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제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ath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경로 제공 시스템은 경로 제공 서버(100),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를 포함한다.The illustrated route providing system includes a route providing server 100,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경로 제공 서버(100)는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기 저장하고 무선망(도시하지 않음)으로 연결된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에게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pre-stores digital map data and provid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connected to a wireless network (not shown).

경로 제공 서버(100)는 소정 장소들 각각에 대응된 명칭 및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장소 검색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이 때 상기 소정 장소는 영업소, 건물, 단위 지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경로 제공 서버(100)는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부터 각각 특정 장소 정보가 포함된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장소 검색 정보로부터 상기 각각의 특정 장소에 대응된 명칭 및 위치 좌표를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경로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generates and stores place search information including a name and a location coordinat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redetermined places.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place includes any one of a business office, a building, and a unit area. In addition, when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receives the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specific place information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respectively, the specific information from the place search information. Detects the name and location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place and generat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using the same.

그리고 경로 제공 서버(100)는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제1 이동 통신 단말기 (200) 또는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경로 제공 서버(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 도 2에서 하기로 한다.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transmits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r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will be given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제공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path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경로 제공 서버(100)는 저장부(110), 무선부(120), 서버 제어부(130) 및 경로 안내 정보 생성부(140)를 포함한다.The illustrated route providing server 100 includes a storage unit 110, a wireless unit 120, a server controller 130, and a route guid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4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110)는 경로 제공 서버(1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10)는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며, 소정 장소들 각각에 대응된 명칭 및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장소 검색 정보를 저장한다. 1 and 2, the storage unit 110 stores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ath providing server 10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10 stores digital map data and stores place search information including name and location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redetermined places.

무선부(120)는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부터 각각 특정 장소 정보(즉, 제1 장소 정보 및 제2 장소 정보)가 포함된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무선부(120)는 경로 안내 정보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상기 특정 장소들간(즉, 제1 장소와 제2 장소간)의 경로 안내 정보를 서버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 또는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 송신한다.The wireless unit 120 receives a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specific place information (ie, first place information and second place information)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respectively. do. In addition, the wireless unit 120 controls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between the specific places (that is, between the first place and the second place) generated by the route guid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40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er controller 130. It transmit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r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서버 제어부(130)는 경로 제공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요청에 응답하여 무선부(120) 및 경로 안내 정보 생성부(140)를 제어한다. The server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ath providing server 100. In addition, the server controller 130 controls the radio unit 120 and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40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서버 제어부(130)는 저장부(110)에서 검출한 상기 제1 장소 또는 제2 장소에 대응된 장소 검색 정보를 검출하여 장소 관련 리스트를 생성한다. The server controller 130 detects place sear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lace or the second place detected by the storage unit 110 and generates a place related list.

서버 제어부(130)는 상기 장소 관련 리스트를 무선부(120)를 통해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 또는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서버 제어부(130)는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 또는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부터 각각의 사용 자가 상기 장소 관련 리스트에서 선택한 제1 장소 또는 제2 장소의 명칭 및 위치 좌표를 상세 장소 정보로 확정하고 이를 저장부(110)에 저장한다.The server controller 130 transmits the place-related list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r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through the wireless unit 120. The server controller 130 stores detailed name information and location coordinates of the first place or the second place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r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in the place-related list. Confirm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110.

이 때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 또는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 사용자는 상기 장소 관련 리스트에 요청한 장소가 없을 경우, 상기 요청한 장소 근처에 있는 장소 중에서 상기 장소 관련 리스트에 포함된 장소(즉, 예정 장소)를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는 경로 제공 서버(100)로부터 상기 선택한 장소 근처의 디지털 지도를 전송받고, 그 디지털 지도를 보면서 장소 관련 리스트에 없는 특정 장소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r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does not have a requested place in the place related list, a place included in the place related list among places near the requested place (ie, , Planned place). Then, the user may receive a digital map near the selected place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and directly select a specific place that is not in the place related list while viewing the digital map.

이를 위해 서버 제어부(130)는 상기 장소 관련 리스트에 사용자가 선택할 장소가 없을 경우를 감안하여 하기 도 5b의 10a와 같이 "해당 장소 없음"이라는 항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the server controller 130 preferably includes an item "no applicable place" as shown in 10a of FIG.

예를 들어 서버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가 장소 관련 리스트에서 "해당 장소 없음" 항목을 선택한 후,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장소 근처에 있는 장소 중에서 상기 장소 관련 리스트에 포함된 장소를 선택하면, 저장부(110)에 저장된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한 장소 근처의 디지털 지도(즉, 예정 장소의 디지털 지도)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어 서버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송된 디지털 지도를 보면서 방향키 입력 등과 같은 키 조작을 통해 상세 장소를 직접 선택하면, 그 장소의 명칭 및 위치 좌표를 상세 장소 정보로 확정하고 이를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For example, the server controller 130 selects a place that is included in the place-related list from places near the place requested by the user after selecting the item “No applicable place” from the place-related list. The digital map data stored at 110 is used to generate a digital map near the selected place (ie, a digital map of a predetermined place) and to transmit the same to the user. Subsequently, when the user directly selects a detailed place through a key operation such as a direction key input while viewing the transmitted digital map, the server controller 130 determines the name and location coordinate of the place as detailed place information and stores the stored unit ( 110).

경로 안내 정보 생성부(14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한 서버 제어부(130)로 부터 상기 특정 장소들 각각에 대응된 상세 장소 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이용하여 경로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The route guide information generator 140 generates route guide information by using detailed pl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pecific places from the server controller 130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무선부(120)는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제1 상세 장소 정보가 생성되면 서버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상세 장소 정보의 생성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즉,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 사용자가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 사용자에게 제1 장소(예컨대, 약속 장소)에 대해 알리고자 하는 정보가 있음을 메시지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알림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가 될 수도 있고 문자 메시지도 될 수 있으나,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generated, the wireless unit 120 generates a notification message for notifying generation of the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er controller 130. Send to 300. That is, the user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ransmit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information to inform the user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about the first place (eg, an appointment place). In this case, the notification message may be a voice message or a text message, but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text message 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SMS).

상기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는 경로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제1 상세 장소 정보를 확인한다.After confirm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accesses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and checks the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무선부(120)는 상기 제1 상세 장소 정보를 확인한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제2 장소 정보가 포함된 제2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 때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 사용자가 제2 장소 정보를 요청하는 것은 상기 제1 장소(예컨대, 약속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받기 위해 출발지를 설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출발지는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가 될 수도 있고, 현재 위치가 아닌 다른 임의의 장소일 수도 있다. The wireless unit 120 receives a second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second plac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confirming the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user requesting the second place information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is because the starting point must be set in order to be provided with a route for moving to the first place (eg, the appointment place). The starting point may be a current location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or may be any place other than the current location.

서버 제어부(130)는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제2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장소에 대응된 장소 검색 정보를 저장부(110)에서 검출하여 제2 장소 관련 리스트를 생성한다. When the second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the server controller 130 detects place sear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lace in the storage 110 and generates a second place related list. do.                     

서버 제어부(130)는 상기 제2 장소 관련 리스트를 무선부(120)를 통해 제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 전송하고,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 사용자가 상기 제2 장소 관련 리스트에서 선택한 제2 장소의 명칭 및 위치 좌표를 제2 상세 장소 정보로 확정하고 저장부(110)에 저장한다.The server controller 130 transmits the second place related list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through the wireless unit 120, and a user selected from the second place related list by the user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The name and location coordinates of the second place are determined as the second detailed place information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경로 안내 정보 생성부(140)는 사용자 요청(예컨대,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한 서버 제어부(130)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상세 장소 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장소와 제2 장소간의 경로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The route guid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40 uses the first and second detailed place informa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detailed pla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ntroller 130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eg, a request of a user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Route guidance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place and the second place is genera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키입력부(210), 표시부(220), 제어부(230), 무선송수신부(240) 및 메모리(250)를 포함한다.The illust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key input unit 210, a display unit 220, a controller 230, a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240, and a memory 250.

키입력부(210)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문자키,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230)로 출력한다.The key input unit 210 has a key matrix structure (not shown) and includes a character key, a numeric key, and various function keys to output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by a user to the controller 230.

표시부(2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표시부(220)는 무선송수신부(240)로 수신되는 경로 안내 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들을 출력한다.The display unit 22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the like, and outputs various display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20 output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cluding route guid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240.

제어부(23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2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특정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를 무선송수신부(240)를 통해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230 controls to transmit the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specific place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240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제어부(230)는 상기 요청에 응답한 경로 제공 서버(100)로부터 장소 관련 리스트가 수신되면, 상기 장소 관련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상세 장소를 선택하도록 상기 장소 관련 리스트를 표시부(220)에 디스플레이 한다.When the place-related list is received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in response to the request, the controller 230 displays the place-related list on the display unit 220 so that the user selects a detailed place from the place-related list.

이 때 제어부(230)는 경로 제공 서버(100)가 상기 상세 장소 정보의 생성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타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같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에 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230 may control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to transmit the phone number of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gether so that the notification message informing the generation of the detailed plac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ever,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telephone number of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제어부(230)는 표시부(200)에 디스플레이 된 장소 관련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특정 장소를 선택하면 그 정보를 무선송수신부(240)를 통해 경로 제공 서버(1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230 controls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240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place from the place-related lis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0 .

또한 제어부(230)는 무선송수신부(240)를 통해 수신된 상기 장소 관련 리스트에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장소가 없을 경우,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장소 관련 리스트에 포함된 장소 중에서 상기 요청 장소 근처에 있는 예정 장소 정보를 경로 제공 서버(1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if there is no place requested by the user in the place related list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240, the controller 230 is located near the request place among places included in the place related lis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Control to transmit the scheduled place information in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그리고 제어부(230)는 경로 제공 서버(100)로부터 상기 예정 장소의 디지털 지도가 수신되면, 상기 디지털 지도에서 선택된 상기 요청 장소의 정보를 상기 경로 제공 서버(1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When the digital map of the predetermined place is received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the controller 230 controls to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request place selected from the digital map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한편, 제어부(230)는 경로 제공 서버(100)로부터 타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장소에 대해 알리고자 하는 정보(즉, 상세 장소 정보)가 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확인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경로 제공 서버(100)로 접속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unit 230 receives a notific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information (that is, detailed place information) that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wants to notify about the specific place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the request of the user who confirmed this By connecting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by.

이어 제어부(230)는 상기 상세 장소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특정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를 경로 제공 서버(100)에게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세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받기 위해 출발지를 설정해야 하기 때문이다.Subsequently, the controller 230 controls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to transmit a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specific pla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who has confirmed the detailed place information. This is because the user must set a starting point in order to be provided with a route for moving to the detailed place.

무선송수신부(240)는 RF(Radio Frequency)부로서, 고주파 처리부와 중간 주파수 처리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의 포괄적 구성부를 의미한다.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240 is a radio frequency (RF) unit, and refers to a comprehensive component of a high frequency processor, an intermediate frequency processor, and a baseband processor.

무선송수신부(240)는 제어부(23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240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text data, video data, and contro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경로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rout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경로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에서 사용자가 소정 장소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4의 화면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국민은행"이 입력된 후 확인키의 입력이 있으면 "국민은행"이라는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를 경로 제공 서버(100)로 전송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4, FIG. 4 illustrates a screen for a user to input a predetermined place in a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creen of FIG. 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Kookmin Bank”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when the “Kookmin Bank” is input by the user's key input and the confirmation key is input.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경로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장소 관련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요청할 장소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들을 나타낸 예시도 들이다. 5 (a) and 5 (b)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for selecting a place requested by a user from a place related list received from a route providing ser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장소 관련 리스트는 경로 제공 서버(100)가 상기 도 4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국민은행"에 대응된 다수의 명칭 및 위치 좌표들을 검출하고, 이를 장소 관련 리스트로 생성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 것이다.5 (a) and 5 (b), the place related list includes a plurality of route corresponding servers 100 corresponding to the "Kookmin Bank" in response to the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4. The name and location coordinates are detected and generated as a place-related list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5(a)를 참조하면, 도 5(a)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수신한 장소 관련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장소인 "국민은행"의 지역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5 (a), FIG. 5 (a) shows a screen for selecting a region of "Kookmin Bank", a place requested by a user, from a place related list receiv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5(a)의 장소 관련 리스트 "1.서울특별시", "2.대구광역시", "3.부산광역시", "4.광주광역시" 중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키 조작을 통해 "1.서울특별시"를 선택한 후 확인키의 입력이 있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국민은행"의 각 지점 명을 선택하기 위한 도 5(b)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The place-related list of FIG. 5 (a) "1. Seoul", "2. Daegu", "3. Busan", "4. Gwangju" b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key operation "1. Seoul If the confirmation key is input after selecting "Gu,"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the screen of Fig. 5 (b) for selecting each branch name of the "Kookmin Bank".

도 5(b)의 화면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2.국민은행(강남지점)"을 선택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 장소 정보인 "국민은행(강남지점)"을 경로 제공 서버(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경로 제공 서버(100)는 상기 "국민은행(강남지점)"의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도 5(b)에서 "5.해당장소 없음"(10a)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장소 관련 리스트에 사용자가 선택할 장소가 없을 경우를 감안하여 포함된 항목이다. 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s "2. Kookmin Bank (Gangnam branch)" on the screen of FIG. 5 (b),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fers the place information "Kookmin Bank (Gangnam branch)"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send. Then,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generates detailed place information using the location coordinates of the "Kookmin Bank (Gangnam branch)". In FIG. 5B, "5. No corresponding place" 10a is an item included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user does not have a place to select in the place related lis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제공 서버가 생성한 예정 장소의 디지털 지도의 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예정 장소의 디지털 지도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세 장소 위치를 확정한 예를 나타낸 도이다. 6 (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gital map of a planned place generated by a rout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b) is a digital map of a scheduled p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ed the example which confirmed the detailed place position by user's selection.

도 6(a)는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요청한 장소인 "국민은행(강남지점)"이 장소 관련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그 근처의 장소인 "역삼역"을 선택한 경우, 경로 제공 서버(100)가 상기 "역삼역"의 위치 좌표 및 기 저장된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래픽 정보로 가공한 디지털 지도의 화면의 예이다. FIG. 6 (a) shows that when a station request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Kookmin Bank (Gangnam branch)" is not included in a place-related list, and selects a place "Yeoksam Station",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is selected. An example of a screen of a digital map processed into graphic information using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Yeoksam Station" and pre-stored digital map data.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 지도가 수신되면 이를 도 6(a)와 같이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된 화면에서 방향키 입력 등과 같은 키 조작을 통해 세부 위치(A) 즉, "국민은행(강남지점)"을 요청 장소(즉, 상세 장소)로 선택하면 도 6(b)와 같은 상세 장소 정보가 경로 제공 서버(100)에 생성된다. When the digital map is receiv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the digital map as shown in FIG. If is selected as the request place (that is, the detailed place), detailed place information as shown in Figure 6 (b) is generated in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받을 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7A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s a phone number of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ceive route guid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를 참조하면, 도시된 화면은 경로 제공 서버(100)가 사용자가 요청한 "국민은행(강남지점)"에 대한 상세 장소 정보의 생성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타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016-555-5555"가 입력한 화면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7A, the illustrated screen may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ing the generation of detailed place information about the "Kookmin Bank (Gangnam branch)" requested by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The screen input by the user to the phone number "016-555-5555" of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제공 서버가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알림 메시지의 예를 나타낸 도로서, "016-444-4444님의 상세 장소 정보를 확인하시겠습니까?" 라는 메시지를 통해 상기 상세 장소 정보의 확인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확인키를 입력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경로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게 된다.FIG. 7 (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otific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a route providing server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you want to confirm detailed place information of 016-444-4444?” The screen for selecting whether to confirm the detailed place information through the message is shown. 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notification message inputs a confirmation ke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es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경로 제공 시스템의 경로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th providing process of a path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경로 제공 서버(100)는 소정 장소들 각각에 대응된 명칭 및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장소 검색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105).Referring to FIG. 8,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generates and stores place search information including a name and a location coordinat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redetermined places (S105).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제1 장소 정보가 포함된 제1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10). 상기 제1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세 장소 정보의 생성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의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ransmits a first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first pla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110). The first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es a phone number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so that a notification message for generating detailed plac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t is preferable to be.

경로 제공 서버(100)는 상기 제1 경로 안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1 장소에 대응된 장소 검색 정보를 검출한다(S115). 즉, 상기 제1 장소에 대응된 명칭 및 위치 좌표를 검출한다.When the first route guidance request message is received,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detects place sear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lace (S115). That is, the name and the position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lace are detected.

경로 제공 서버(100)는 상기 검출된 장소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장소 관련 리스트를 생성한다(S120). 이 때 상기 생성되는 제1 장소 관련 리스트는 상기 제1 장소에 대응된 다수의 명칭 및 위치 좌표들을 문자 리스트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generates a first place related list by using the detected place search information (S120). In this case, the generated first place-related list may generate a plurality of names and location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place as a character list.

경로 제공 서버(100)는 상기 과정(S120)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장소 관련 리스트를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게 전송한다(S125).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transmits the first place related list generated in the process S120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S125).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경로 제공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장소 관련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고, 디스플레이 된 제1 장소 관련 리스트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거하여 제1 장소를 선택한다(S130).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displays the first place related list transmitted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and selects the first place based on a user's key operation from the displayed first place related list ( S130).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선택된 정보를 경로 제공 서버(100)로 전송한다(S135).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ransmits the selected information to the path providing server 100 (S135).

경로 제공 서버(100)는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선택 정보(즉,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장소)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장소의 명칭 및 위치 좌표를 제1 상세 장소 정보로 생성하고 이를 저장한다(S140).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checks the sel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at is, the first place selected by the user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name and location coordinates of the first place selected by the user are generated as the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and stored (S140).

경로 제공 서버(100)는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제1 상세 장소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제1 상세 장소 정보의 생성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145). 즉,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 사용자가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 사용자에게 제1 장소(예컨대, 약속 장소)에 대해 알리고자 하는 정보가 있음을 메시지로 전송하는 것이다. When the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generated,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notifying the generation of the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S145). ). That is, the user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ransmit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information to inform the user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about the first place (eg, an appointment place).

이를 위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과정(S110)에서 상기 도 7(a)와 같이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preferably transmits the phone number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as shown in FIG. 7A in step S110.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여 경로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고, 상기 제1 상세 장소 정보를 확인한다(S150).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checks the notification message, accesses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and checks the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S150).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는 제2 장소 정보가 포함된 제2 경로 안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55). 이 때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 사용자가 제2 장소 정 보를 요청하는 것은 상기 제1 장소(예컨대, 약속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받기 위해 출발지를 설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출발지는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영업소, 건물 및 단위지역 등이 될 수 있으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장소의 명칭일 수도 있다.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transmits a second route guidance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second place information (S155). In this case, the user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requests the second place information because the starting point is set to receive the route for moving to the first place (eg, the appointment place). The starting point may be a business office, a building, a unit area, etc. in which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is currently located, or may be a name of a specific place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경로 제공 서버(100)는 상기 제2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장소에 대응된 장소 검색 정보를 검출한다(S160).When the second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s received,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detects place sear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lace (S160).

경로 제공 서버(100)는 상기 검출된 장소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장소 관련 리스트를 생성한다(S165).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generates a second place related list by using the detected place search information (S165).

경로 제공 서버(100)는 상기 생성된 상기 제2 장소 관련 리스트를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에게 전송한다(S170).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place related list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S170).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는 경로 제공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 장소 관련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고, 디스플레이 된 제2 장소 관련 리스트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거하여 제2 장소를 선택한다(S175).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displays the second place related list transmitted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and selects the second place based on a user's key operation from the displayed second place related list ( S175).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는 상기 선택된 정보를 경로 제공 서버(100)로 전송한다(S180).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transmits the selected information to the path providing server 100 (S180).

경로 제공 서버(100)는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선택 정보(즉,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 사용자가 선택한 제2 장소)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 사용자가 선택한 제2 장소의 명칭 및 위치 좌표를 제2 상세 장소 정보로 생성하고 이를 저장한다(S185).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checks the sel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that is, the second place selected by the user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The name and location coordinates of the second place selected by the user are generated as the second detailed place information and stored (S185).

경로 제공 서버(100)는 제1 및 제2 상세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장 소와 제2 장소간의 경로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S190). 상기 생성된 경로 안내 정보의 예는 도 9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안내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generates route guide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place and the second place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detailed place information (S190). An example of the generat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shown in FIG. 9.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oute guid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상기 제1 장소가 국민은행(강남지점)(A)이고 상기 제2 장소가 국민은행(서초지점)이라면, 도 9에 도시된 화면은 상기 제2 장소(즉, 현재 위치 국민은행(서초지점))로부터 상기 제1 장소인 국민은행(강남지점)(A)까지의 경로 안내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즉,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가 제2 장소인 국민은행(서초지점)이면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는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이동 통신 단말기가 선택한 상기 제 1장소인 국민은행(강남지점)(A)까지의 경로를 제공받을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place is Kookmin Bank (Gangnam branch) A and the second place is Kookmin Bank (Seocho branch), the screen shown in FIG. 9 displays the second place (ie, the current location Kookmin Bank ( Seocho branch)) shows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from the first place, Kookmin Bank (Gangnam branch) (A). That is,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is Kookmin Bank (Seocho branch), which is the second place,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selects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ed by using the route guide information. You can be provided with the route to the first place, Kookmin Bank (Gangnam branch) (A).

경로 제공 서버(100)는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195). 이 때 경로 제공 서버(100)는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 결과를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게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이동 통신 단말기(200) 또는 제2 이동 통신 단말기(300)는 경로 제공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추후 GPS가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로 전달하여 경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transmits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S195). At this time,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preferably notifies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f the result of transmitti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s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Accordingly,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r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may receive the route guidance by transferri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100 to a navigation device with GPS later.

상기와 같은 과정들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제공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GPS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각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장소간의 경로를 각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 다. Through the above processes, the rout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rovide a route between a specific place designated by a user of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ve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have a GPS device. have.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GPS 수신여부에 상관없이 각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장소간의 경로를 각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타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특정 장소를 지정하면 타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이 지정한 장소로부터 상기 특정 장소까지의 경로를 GPS 수신여부에 상관없이 제공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asily providing a path between a specific place designated by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to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ardless of GPS rece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designates a specific place to be transmitted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can receive a path from the place designated by the user to the specific place regardless of GPS reception. It has an effect.

Claims (28)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1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한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과 무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경로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로 제공 시스템의 경로 제공 방법에 있어서,A path providing method of a path providing system for storing digital map data and connecting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ing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ver a wireless network to provide a path providing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소정 장소들 각각에 대응된 명칭 및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장소 검색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과,Generating and storing place search information including a name and a location coordinat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redetermined places;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1 장소 정보가 포함된 제1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장소에 대응된 장소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Generating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using the place sear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lace when a first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first plac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제1 상세 장소 정보의 생성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Transmitting a notification message notifying generation of the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to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장소 정보가 포함된 제2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장소에 대응된 장소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Generating second detailed place information by using place sear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lace when a second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second plac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has confirmed the notification message; , 상기 생성된 제1 상세 장소 정보 및 제2 상세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장소와 상기 제2 장소간의 경로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시스템의 경로 제공 방법.Generat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place and the second place by using the generated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detailed plac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route guide information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route providing method of the route provid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of the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is performed.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장소에 대응된 장소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제1 장소 관련 리스트를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When the first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a first place related list generated using place sear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lace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제1 장소 관련 리스트에서 선택된 제1 장소의 정보를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제1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시스템의 경로 제공 방법.And generating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by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first place selected from the first place related list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claim 2, wherein the generating of the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is performed.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상세 장소 정보의 생성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시스템의 경로 제공 방법. And receiving a telephone number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 notification message informing the generation of the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of the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is performed.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장소에 대응된 장소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제1 장소 관련 리스트를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When the first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a first place related list generated using place sear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lace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제1 장소 관련 리스트에 상기 제1 장소가 없을 경우,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장소 관련 리스트에 포함된 장소 중 상기 제1 장소 근처에 있는 예정 장소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If the first place is not in the first place-related list, receiving information of a planned place near the first place among the places included in the place-related list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예정 장소 정보가 수신되면 기 저장된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예정 장소의 디지털 지도를 생성하고, 이를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Generating the digital map of the predetermined place by using the pre-stored digital map data when the predetermined place information is received,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digital map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지도에서 선택된 상기 제1 장소의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시스템의 경로 제공 방법.And receiving first information of the first place selected from the digital map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generate first detailed plac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of the second detailed place information is performed. 상기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장소에 대응된 장소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제2 장소 관련 리스트를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When the second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has confirmed the notification message, a second place related list generated by using the place sear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lac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상기 제2 장소 관련 리스트에서 선택된 제2 장소의 정보를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제2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시스템의 경로 제공 방법.And receiving second location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second location related list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generate second detailed plac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of the second detailed place information is performed.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장소에 대응된 장소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제2 장소 관련 리스트를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When the second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a second place related list generated using place sear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lace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제2 장소 관련 리스트에 상기 제2 장소가 없을 경우,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장소 관련 리스트에 포함된 장소 중 상기 제2 장소 근처에 있는 예정 장소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If the second place is not included in the second place related list, receiving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place near the second place among the places included in the place related list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예정 장소 정보가 수신되면 기 저장된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예정 장소의 디지털 지도를 생성하고, 이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Generating the digital map of the predetermined place by using the pre-stored digital map data when the predetermined place information is received,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digital map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지도에서 선택된 상기 제2 장소의 정보를 수신하여 제2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시스템의 경로 제공 방법.And receiving second location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digital map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generate second detailed loc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 결과를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시스템의 경로 제공 방법.And notifying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result of transmitti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시스템의 경로 제공 방법.And providi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장소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determined place 영업소, 건물, 단위지역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시스템의 경로 제공 방법.Route providing method of the rout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office, building, unit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ransmitting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장소 검색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장소에 대응된 명칭 및 위치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와,Detecting a name and a location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lace from the place search information; 상기 검출된 명칭 및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장소 관련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Generating the first place-related list using the detected name and location coordinates; 상기 생성된 제1 장소 관련 리스트를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시스템의 경로 제공 방법.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first place-related list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ransmitting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장소 검색 정보로부터 상기 제2 장소에 대응된 명칭 및 위치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와,Detecting a name and a location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lace from the place search information; 상기 검출된 명칭 및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장소 관련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Generating the second place-related list using the detected name and location coordinates; 상기 생성된 제2 장소 관련 리스트를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시스템의 경로 제공 방법.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cond place related list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1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한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과 무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게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경로 안내 제공 서버에 있어서,A route guidance providing server which stores digital map data an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ing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rough a wireless network to provid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소정 장소들 각각에 대응된 명칭 및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장소 검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A storage unit which stores place search information including a name and a location coordinat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redetermined places; 제1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각각 특정 장소 정보가 포함된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특정 장소들간의 경로 안내 정보를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부와,A wireless unit which receives a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specific place information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s route guidance information between the specific places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특정 장소들 각각에 대응된 장소 검색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특정 장소별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경로 제공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와,A server controller which detects place sear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pecific places from the storage to generate detailed place information for each specific place, and controls an overall operation of the route providing server; 상기 서버 제어부로부터 상기 특정 장소별 상세 장소 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장소들간의 경로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경로 안내 정보 생성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서버.And a route guide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route guide information between the specific places by using detailed place information for each specific place from the server controll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부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radio unit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전송할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서버.And receiving a phone number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to be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rver control unit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 결과를 상기 무선부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통보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서버.And providing a result of transmitti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notify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rver control unit 상기 경로 안내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상기 무선부를 통해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서버. And providi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rver control unit 상기 저장부에서 검출한 장소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장소 관련 리스트를 생성하고, 그 장소 관련 리스트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 장소의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서버.And generating a place related list by using the place search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torage unit, and generating detailed place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place selected by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place related lis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부는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radio unit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 상기 장소 관련 리스트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요청한 장소가 없을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장소 관련 리스트에 포함된 장소 중 상기 요청 장소 근처에 있는 예정 장소의 정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서버.When there is no place requested by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place related list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information of a planned place near the request place among the places included in the place related list. Route providing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erver control unit 상기 예정 장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예정 장소의 디지털 지도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무선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서버.When the predetermined plac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route providing server is configured to generate a digital map of the predetermined place by using digital map data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ransmit the digital map of the predetermined pla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unit.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erver control unit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지도에서 선택된 상기 요청 장소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세 장소 정보로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시스템의 경로 제공 서버.And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request place selected from the digital map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generate detailed place informa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부는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radio unit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세 장소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서버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를 확인한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장소 정보가 포함된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서버. When detailed place information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generated, a notification message informing of the first plac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er controller, and specific place information is includ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has confirmed this. Route providing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server control unit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장소 정보가 포함된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장소에 대응된 장소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장소 관련 리스트를 생성하고, 그 장소 관련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 장소의 상세 장소 정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제공 서버.When a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specific plac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lace related list is generated by using place sear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lace, and the predetermined place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place related list. Route providing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detailed place information of. 무선망을 통해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로 제공 서버로부터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from a route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route guidance service through a wireless network, 타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특정 지역에 대한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경로 제공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경로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 및 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생성된 경로 안내 정보가 전달되면 그 경로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와,Sending a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or guiding a route to a specific area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requesting a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lace information request of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When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message is delivered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상기 수신된 경로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receiv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상기 무선송수신부 및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radio transceiver and the display unit. 제2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는 특정 장소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es specific place information.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control unit 사용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특정 지역에 대한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경로 제공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And transmitting a phone number of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uiding a route to a specific region based on a user's request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radio transceive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의 송신에 응답한 상기 경로 제공 서버로부터 장소 관련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장소 관련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 장소의 정보를 상기 경로 제공 서버로 송신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receiving a place related list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of the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place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place related list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terminal.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장소 관련 리스트에 사용자가 요청한 장소가 없을 경우,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장소 관련 리스트에 포함된 장소 중에서 상기 요청 장소 근처에 있는 예정 장소 정보를 상기 경로 제공 서버로 송신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If there is no place requested by the user in the place related list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the route providing server displays information on the scheduled place near the request place among places included in the place related lis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o transmit.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경로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예정 장소의 디지털 지도가 수신되면 상기 디지털 지도에서 선택된 상기 요청 장소의 정보를 상기 경로 제공 서버로 송신하도 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when the digital map of the predetermined place is received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n the request place selected in the digital map to the route providing serve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경로 제공 서버로부터 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의한 상세 장소 정보의 생성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특정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장소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When a notification message indicating generation of detailed place information by the request of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route providing server, the controller transmits a plac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specific pla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40061647A 2004-08-05 2004-08-05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route Expired - Fee Related KR1010756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647A KR101075665B1 (en) 2004-08-05 2004-08-05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rou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647A KR101075665B1 (en) 2004-08-05 2004-08-05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rou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927A KR20060012927A (en) 2006-02-09
KR101075665B1 true KR101075665B1 (en) 2011-10-21

Family

ID=37122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647A Expired - Fee Related KR101075665B1 (en) 2004-08-05 2004-08-05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rou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66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9333A (en) 2000-11-06 2002-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Navigation device and its system
JP2003109175A (en) 2001-10-01 2003-04-11 Toru Hayashi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ncounter information
JP2003121194A (en) 2001-10-19 2003-04-23 Ttt Kk Meeting spot indicating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9333A (en) 2000-11-06 2002-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Navigation device and its system
JP2003109175A (en) 2001-10-01 2003-04-11 Toru Hayashi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ncounter information
JP2003121194A (en) 2001-10-19 2003-04-23 Ttt Kk Meeting spot indica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927A (en)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5440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se in navigation
US123320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estination in navigation terminal
US9252978B2 (en) Mobile terminal
KR100815524B1 (en) Scheduling method using portable terminal and navigation terminal
JP2015519023A (en) POSITION INFORMATION BASE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AND POSITION INFORMATION BASED COMMUNICATION APPLICATION APPARATUS
US20080010010A1 (en) Navigation system
KR100647941B1 (en) Parking lot guide service interwork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vehicle navigation
JP2017134569A (en) Vehicle allocation management system and vehicle allocation management method
US8706134B2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with directory assistance
GB2425858A (en) Map correction
KR200900020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756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route
KR20040003781A (en) Method for transmitt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09092A (en) Mobile Phone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 Magnetic sensor/Local Based Service
US201100044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3226174U (en) Vehicle dispatch management system for driving agency vehicles
KR10091719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JP2009141764A (en)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20040013701A (en) Method for notifying whether a mobile phone is in proximity using bluetooth
KR1007147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dress book including user's location information
KR100451198B1 (en) Position tracing method using gps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0089699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ller location transmission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0545493B1 (en) Telephone guidance system based on mobile location
KR100478851B1 (en) Mobile phone with gps function
KR20010059484A (en) Method for notifying position between portable radio terminal equipments hav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10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