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816B1 - Wheel input device and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with same - Google Patents
Wheel input device and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with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9816B1 KR101059816B1 KR1020050021919A KR20050021919A KR101059816B1 KR 101059816 B1 KR101059816 B1 KR 101059816B1 KR 1020050021919 A KR1020050021919 A KR 1020050021919A KR 20050021919 A KR20050021919 A KR 20050021919A KR 101059816 B1 KR101059816 B1 KR 1010598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
- input device
- sensor
- screen
- rot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 상의 커서를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고 조작하기 용이한 휠 입력장치 및 이를 갖춘 개인정보단말기를 개시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wheel input device that can easily move a cursor on a screen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s easy to operate, and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개시한 휠 입력장치는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의 검색 및 선택을 위한 휠 입력장치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휠과, 제1휠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제1휠의 회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휠에 설치되는 제2휠과, 제2휠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센서와, 제1 및 제2센서의 신호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disclosed wheel input device is a wheel input device for searching and selecting information displayed on a screen, comprising: a first wheel rotating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sensor sensing rotation of the first wheel, and a first wheel A second wheel installed on the first wheel to rotat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wheel, a second sens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wheel, and a cursor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mov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 입력장치가 적용된 개인정보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with a whee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휠 입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hee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 of FIG. 2.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 of FIG. 2.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휠 입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hee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휠 입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hee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6.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본체, 11: 화면,10: main body, 11: screen,
20,30,40: 휠 입력장치, 21,31,41: 제1휠,20,30,40: wheel input device, 21,31,41: first wheel,
22,32,42: 제2휠, 23,43: 제1센서,22, 32, 42: second wheel, 23, 43: first sensor,
24,44: 제2센서, 25,45: 제어부.24, 44: second sensor, 25, 45: control unit.
본 발명은 휠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정보단말기에 적용하기 용이하고 사용자가 정보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휠 입력장치 및 이를 갖춘 개인휴대정보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heel input device that is easy to apply to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and allows a user to easily input information, and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휴대전화나 PDA와 같은 개인정보단말기는 입력장치로 전화번호나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고, 입력한 정보, 내부에 저장된 정보, 외부로부터 전송된 정보 등을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 통상적인 개인정보단말기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방식을 채용하기 때문에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메뉴들을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검색하여 실행할 수 있다.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can input a phone number or a character as an input device, and can check the inpu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stored therein, 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screen. In addition, since a general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adopts a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method, a user can search and execute menus displayed on a screen through an input device.
이러한 개인정보단말기에 있어서 입력장치는 크기가 작으면서도 화면으로 표현되는 메뉴의 목록이나 정보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개인정보단말기의 입력장치로는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 목록을 통상적인 입력키 방식보다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휠 입력장치가 선호되고 있다. 휠 입력장치는 사용자가 휠을 상하로 회전시킴으로써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Cursor)를 빠르게 이동시켜 원하는 메뉴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such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the input device should be able to quickly search for a list or information of a menu represented by a screen while being small in size. For this reason, as a input device of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a wheel input device capable of searching a menu list displayed on a screen faster than a conventional input key method is preferred. This is because the wheel input device allows the user to quickly select a desired menu by quickly moving a cursor displayed on the screen by rotating the wheel up and down.
그러나 통상적인 휠 입력장치는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화면 상의 커서를 단지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커서를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별도의 입력키를 사용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wheel input device only moves the cursor on the screen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rotating the wheel, the user has to use a separate input key when moving the curso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따라서 개인정보단말기 중에는 화면의 커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휠 입력장치와,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휠 입력장치를 별도로 구비한 것도 있다. 일 본 공개특허공보 평10-163935호에 개시된 휴대전화장치가 그 예이다. 이 휴대전화장치는 커서를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기기 본체의 측면과 전면에 각각 마련된 제1휠 입력장치와 제2휠 입력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Therefore, som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s are provided with a wheel input device for moving the cursor on the scree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a wheel input device for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 example is the mobile telephone apparatu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163935. The mobile phone device is provided with a first wheel input device and a second wheel input devic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side and the front of the main body of the device so as to move the cursor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그러나 이러한 개인정보단말기는 제1휠 입력장치와 제2휠 입력장치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1 및 제2휠 입력장치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wheel input device and the second wheel input devic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use both hands to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wheel input devices.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할 뿐 아니라 화면 상의 커서를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휠 입력장치 및 이를 갖춘 개인정보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easy to operate the user, but also a wheel input device and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to easily move the cursor on the screen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o provid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휠 입력장치는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의 검색 및 선택을 위한 휠 입력장치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휠과, 상기 제1휠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1휠의 회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휠에 설치되는 제2휠과, 상기 제2휠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e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a wheel input device for the search and selection of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the first wheel to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the rotation of the first wheel is detected A first sensor, a second wheel installed on the first wheel to rotat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wheel, a second sensor detecting rotation of the second wheel, and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cursor displayed on the screen to mov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ccording to a signal of a second sens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휠이 상기 제1휠의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second wheel is install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wheel.
또한 상기 복수의 제2휠들은 상기 제1휠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wheels may be dispos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wheel.
또한 상기 제1센서는 상기 제1휠의 외면에 근접 설치되며 상기 제1휠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제1휠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제1휠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휠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제2휠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sensor is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wheel and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first wheel,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detect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wheel, the second sensor And a light emitting part installed inside the first wheel and radiating light to the second wheel, and a light receiving part sensing light reflected from the second whee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휠이 상기 제1휠의 회전방향을 따라 2열로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second wheel is installed in two rows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wheel.
또한 상기 제2휠들은 일부가 상기 제1휠의 외부에 노출되고 나머지가 상기 제1휠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wheels may be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wheel and the other wheels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whee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휠 입력장치는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의 검색 및 선택을 위한 휠 입력장치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휠과, 상기 제1휠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1휠과 근접하는 측방에 설치되며 상기 제1휠의 회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휠과, 상기 제2휠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hee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heel input device for the search and selection of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the first wheel to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sensor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wheel and A second wheel installed at a side adjacent to the first wheel and rotat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wheel,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second wheel,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wheel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move the cursor displayed on the screen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two senso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단말기는 화면을 갖춘 본체와,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의 검색 및 선택을 위해 상기 본체 설치되는 휠 입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휠 입력장치는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휠과, 상기 제1휠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1휠의 회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휠에 설치되는 제2휠과, 상기 제2휠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creen, and a wheel input device installed on the main body for searching and selecting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wherein the wheel input device is made of a first rotating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wheel, a first sensor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first wheel, a second wheel installed at the first wheel to rotat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wheel, and rotation of the second wheel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o move the cursor displayed on the screen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단말기는 화면을 갖춘 본체와,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의 검색 및 선택을 위해 상기 본체 설치되는 휠 입력장치를 갖춘 개인정보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휠 입력장치는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휠과, 상기 제1휠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1휠과 근접하는 측방에 설치되며 상기 제1휠의 회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휠과, 상기 제2휠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having a main body having a screen, and a wheel input device installed in the main body for the search and selection of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the wheel input device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wheel that rotates in a second direction, a first sensor that senses rotation of the first wheel, and a second wheel that is installed on a side adjacent to the first wheel and rotate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a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wheel And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second whee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ursor displayed on the screen to mov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It is don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단말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면에 마련되는 액정 화면(11),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거나 화면(11)을 통해 표현되는 정보를 검색 또는 실행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들(12), 화면(11)으로 표현되는 메뉴 목록을 빠르게 검색하여 선택하기 위한 휠 입력장치(20)를 포함한다. 또 본체(10)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CPU, 메모리, 무선통신모듈, 위치 정보시스템(GPS)모듈, 메인회로기판 등이 내장된다.As shown in FIG. 1,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trieves or executes the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 입력장치의 제1실시 예이다. 이 휠 입력장치(2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부가 본체(10) 전면의 개방부(13)를 통하여 노출되는 제1휠(21)과, 제1휠(21)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휠들(22)을 구비한다. 또 이 휠 입력장치(20)는 제1휠(21)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1센서(23), 제2휠들(22)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센서(24), 제1 및 제2센서(23,24)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화면(11)에 표시되는 커서를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5)를 포함한다.2 to 4 illustrate a first embodiment of a whee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제1휠(2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마련되며 양단의 회전축들(26a,26b)에 의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휠들(22)은 제1휠(21)의 회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휠(21)에 설치된다. 또 제2휠들(2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휠(21)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사용자가 제2휠들(2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부가 제1휠(21)의 슬롯들(21a)을 통하여 제1휠(21)의 외부에 노출되고 나머지가 제1휠(21) 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휠(21)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운데 필요에 따라 제2휠(22)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제1센서(23)는 제1휠(21)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1휠(21)의 외면과 근접하는 제1휠(21) 하부에 설치되며, 제1휠(21)의 외면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23a)와, 제1휠(21)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23b)를 포함한다. 이러 한 제1센서(23)는 발광부(23a)를 통해 조사된 빛이 제1휠(21)의 외면에서 반사된 후 수광부(23b)에 조사될 때 수광부(23b)가 이 빛을 감지하여 전류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제1휠(21)의 회전 및 회전 방향을 감지한다. 즉 제1휠(21)이 회전할 때 수광부(23b) 쪽으로 반사되는 빛의 변화를 수광부(23b)가 감지함으로써 제1휠(21)의 회전을 감지한다. The
제2센서(24)는 제2휠들(22)의 외주부와 근접하도록 제1휠(21)의 내측 중앙에 설치되며, 제1센서(23)와 마찬가지로 제2휠들(22)의 회전을 감지하는 발광부(24a)와 수광부(24b)를 구비한다. 또 제2센서(24)는 제1휠(21)의 한 쪽으로부터 제1휠(21)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축(26b)에 지지된다. 이때 제2센서(24)가 장착된 축(26b)은 제2센서(24)가 제1휠(21)의 거동을 감지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1휠(21)과 함께 회전한다. The
또 제2센서(24)를 지지하는 축(26b)에는 제2센서(24)를 통해 감지된 전류신호가 제어부(25) 쪽으로 전해질 수 있도록 전선들(27)이 매설되며, 제1휠(21)의 외측으로 연장된 축(26b)의 단부에는 회전하는 축(26b)의 전선들(27)과 접속을 위한 전원접속장치(28)가 마련된다. 전원접속장치(28)는 축(26b)의 외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접속링들(28a)과, 각 접속링들(28a)의 외면에 항상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복수의 브러시들(28b)을 포함한다.In addition,
제어부(25)는 제1센서(23) 및 제2센서(24)로부터 전달되는 전류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제1휠(21) 또는 제2휠(22)을 통해 입력한 상하 및 좌우방향의 이동정보를 인식하여 화면(11)에 표현되는 커서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한 다. 이때 제1 및 제2센서(23,24)를 통한 제1 및 제2휠(21,22)의 거동이 용이하게 감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휠(21)의 외면 및 제2휠들(22)의 외주부가 요철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The
이러한 휠 입력장치(20)는 화면(11) 상에 표현되는 커서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메뉴목록을 검색하고자 할 때 손가락을 이용해 제1휠(21)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화면(11) 상의 커서를 좌우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제1휠(21)의 회전을 멈춘 가운데 같은 손가락으로 제2휠들(22) 중 어느 하나를 좌우로 회전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2휠들(22)이 제1휠(21)에 결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으로 제1 및 제2휠(21,22)을 회전시킬 수 있어 휠 입력장치(20)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휠 입력장치(2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어 개인정보단말기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휠 입력장치의 제2실시 예이다. 이 휠 입력장치(30)는 제1휠(31)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휠들(32a,32b)이 제1휠(31)의 회전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된 것이다. 즉 제1휠의 외면을 따라 설치되는 1열의 제2휠들(32a)과 2열의 제2휠들(32b)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제2휠들(32a,32b)이 2열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11) 상의 커서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더욱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즉 제2휠들(32a,32b)을 조작할 때 사용자가 손가락을 횡방향으로 한번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2개의 제2휠(32a,32b)을 연속적으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화면(11) 상의 좌우방향 커서 이동을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5 is a second embodiment of a whee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휠 입력장치의 제3실시 예이다. 이 휠 입력장치(40)는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되는 개방부(13a)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제1휠(41)과, 제1휠(41)과 인접하는 측방에 배치되며 역시 개방부(13b)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제2휠(42)을 구비한다. 제2휠(42)은 제1휠(41)의 회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6 and 7 illustrate a third embodiment of a whee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 제1휠(41)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1센서(43)는 제1휠(41)의 하부에 제1휠(41) 외면과 근접하도록 설치되고, 제2휠(42)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센서(44)는 제2휠(42)의 하부에 제2휠(42)의 외면과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각 센서(43,44)의 구성 및 동작원리, 그리고 제어부(45)는 제1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In addition, the
이러한 휠 입력장치(40)는 화면(11) 상에 표현되는 커서를 상하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제1휠(41)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화면(11) 상의 커서를 좌우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제1휠(41)과 인접하는 제2휠(42)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회전방향이 다른 제1휠(41)과 제2휠(42)을 상호 근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으로 제1 및 제2휠(41,4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를 통해 휠 입력장치(40)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휠 입력장치는 제1휠에 제2휠이 회전하도록 설치되거나, 제1휠과 제2휠이 상호 근접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휠 입력장치를 조작하기 쉬울 뿐 아니라 화면 상의 메뉴를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whee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that the second wheel is rotated on the first wheel, or the first wheel and the second wheel are arranged to be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wheel input device. Not only is it easy to search the menu on the screen quickly up or down or left and right.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1919A KR101059816B1 (en) | 2005-03-16 | 2005-03-16 | Wheel input device and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with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1919A KR101059816B1 (en) | 2005-03-16 | 2005-03-16 | Wheel input device and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with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0952A KR20060100952A (en) | 2006-09-22 |
KR101059816B1 true KR101059816B1 (en) | 2011-08-26 |
Family
ID=3763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191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9816B1 (en) | 2005-03-16 | 2005-03-16 | Wheel input device and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with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981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6210B1 (en) | 2006-11-23 | 2008-09-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rotation of wheel in mobile termina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56011B1 (en) | 1997-12-03 | 2001-07-03 | Immersion Corporation | Multi-function control device with force feedback |
US20020158844A1 (en) | 2001-04-30 | 2002-10-31 | Mcloone Hugh | Input device including a wheel assembly for scrolling an image in multiple directions |
US20030098849A1 (en) | 2001-11-27 | 2003-05-29 | Yen Jzuhsiang | Double roller mouse structure |
-
2005
- 2005-03-16 KR KR1020050021919A patent/KR10105981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56011B1 (en) | 1997-12-03 | 2001-07-03 | Immersion Corporation | Multi-function control device with force feedback |
US20020158844A1 (en) | 2001-04-30 | 2002-10-31 | Mcloone Hugh | Input device including a wheel assembly for scrolling an image in multiple directions |
US20030098849A1 (en) | 2001-11-27 | 2003-05-29 | Yen Jzuhsiang | Double roller mouse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0952A (en) | 2006-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726963B1 (en) |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rchangeable user interfaces and method thereof | |
JP6194162B2 (en) |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 |
KR102024086B1 (en) | A laundry and a controlling method of a laundry | |
EP1963948B1 (en) | Wireless handheld device and method with gui control | |
US20080309621A1 (en) | Proximity based stylus and display screen, and device incorporating same | |
KR101339942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 |
JP2008517363A5 (en) | ||
JP6204324B2 (en) | Wear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charging system | |
JP2008517363A (en) | Electronic handheld device with back cover keypad and method for the device | |
WO2012145131A1 (en) | Multi-modal capacitive touchscreen interface | |
US20050190146A1 (en) | Track wheel with reduced space requirements | |
US20070205920A1 (en) |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method thereof | |
KR20150145729A (en) | Method for moving screen and selecting service through fingerprint input,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fingerprint sensor and computer program | |
JP4285740B2 (en) | Portable information input device | |
KR20150096905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in electonic device | |
KR101059816B1 (en) | Wheel input device and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with same | |
KR20130038523A (en) | Portable terminal having mouse function | |
KR20080079858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nput device | |
CN105138173A (en) | Control method for touch display screen | |
JP4847029B2 (en) | Input device | |
KR20080003547A (en) | Catapult Microminiature Input Devices | |
KR101179466B1 (en) | Mobile terminal and its object display method using approach recognition of touch mechanism | |
KR100612997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keypad arrangement switching function and keypad arrangement switching method | |
KR20100111139A (en) |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JP4996526B2 (en) | Remote contro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8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