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025B1 - Car Button Starter - Google Patents
Car Button Star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2025B1 KR101042025B1 KR1020090129595A KR20090129595A KR101042025B1 KR 101042025 B1 KR101042025 B1 KR 101042025B1 KR 1020090129595 A KR1020090129595 A KR 1020090129595A KR 20090129595 A KR20090129595 A KR 20090129595A KR 101042025 B1 KR101042025 B1 KR 1010420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board
- printed circuit
- bobbin
- vehicle
- butt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02N11/101—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푸쉬하여 차량의 시동을 거는 시동버튼(2); 상기 시동버튼(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조명링(16); 상기 조명링(16)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그 표면에 차량의 시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문자 또는 기호가 형성된 표시부(24); 상기 시동버튼(2)의 후단에 연결설치된 제 1 인쇄회로기판(8);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8)의 일측에 형성되어 표시부에 빛을 제공하는 LED(18);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8)의 후단에 연결설치된 보빈(4); 상기 보빈(4)에 권취된 안테나 코일(6); 상기 보빈(4)에 연결설치되는 제 2 인쇄회로기판(10);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조명링(16)에 빛을 제공하는 LED(18); 상기 보빈(4)을 관통하여 제 1 인쇄회로기판(8)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 사이에 서로 연결설치되는 터미널(20)을 포함하는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ushes the start button (2) that the driver pushes to start the vehicle; An illumination ring 16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rt button 2; A display unit 24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llumination ring 16 and having a letter or a symbol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to indicate a starting state of the vehicle;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8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tart button 2; An LED 18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8 to provide light to the display unit; A bobbin 4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8; An antenna coil 6 wound around the bobbin 4;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0 connected to the bobbin 4; An LED 18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0 to provide light to the illumination ring 16; It relates to a button-type starting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terminal 20 penetrating through the bobbin 4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8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0.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튼을 푸쉬함으로써 차량의 엔진을 시동하는 시동장치의 스타트/스톱/ACC/IGN 상태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개별적인 조명이 제공되는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type start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provides individual lighting so that a driver can easily recognize a start / stop / ACC / IGN state of a starter for starting an engine of a vehicle by pushing a button. It relates to a button-type starting device for a vehicle.
일반적인 차량은 운전석 일측에 구비된 인히비터 스위치에 키를 삽입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인히비터 스위치에 연결된 시동모터가 구동되어 시동이 켜지도록 구성된다.A typical vehicle is configured to rotate the engine in one direction while a key is inserted into an inhibitor switch provided at one side of a driver's seat, so that a starting motor connected to the inhibitor switch is driven to turn on the engin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동 방식에 따르면, 이미 시동이 걸린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운전자의 부주의나 미숙한 조작에 의해 키를 반복적으로 회전시켜 시동모터가 연속 동작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엔진룸에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엔진에 무리가 가해져 시동장치의 파손 및 차량의 고장을 유발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tarting method, even though the starting state is already started, the starting motor is continuously operated by repeatedly rotating the keys by the driver's carelessness or inexperienced operation, and thus the noise is generated in the engine room, Excessive pressure on the engine frequently causes breakage of the starter and vehicle failure.
아울러, 이러한 시동 방식에 따르면, 운전자가 항상 키를 소지하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키를 분실할 염려가 있고, 키가 없는 경우 차량 탑승 및 시동이 불가능한 불편함이 존재하였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starting method, there is a risk that the driver must carry a key at all times, and there is a risk of losing the key,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ride and start the vehicle without the key.
최근에는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시스템과 함께, 원터치식 푸시버튼을 이용한 버튼식 시동장치가 개발되어 위와 같은 불편은 어느 정도 해소가 되었다. Recently, with the system that can open and close the door of the vehicle by using a smart key, a button-type start device using a one-touch pushbutt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inconvenience to some extent.
도 1에는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button starter for a vehicle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버튼식 시동장치는 스타트/스톱/ACC/IGN의 상태 표시를 버튼(100)에 구비된 시동장치에 스타트/스톱 상태는 "START, STOP" 글자(110)에 조명, 예를 들면 청색 또는 적색 조명을 제공하여 표시하고, ACC/IGN 상태는 별도의 조명(110), 예를 들면 황색 또는 청색 조명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button type starter has a start / stop / ACC / IGN state indication of the starter / stop state in the starter provided in th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량의 스타트/스톱/ACC/IGN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버튼식 시동장치에 스타트/스톱/ACC/IGN를 각각 표시하고, 이를 부각시킬 수 있는 조명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the start / stop / ACC / IGN respectively on the button type start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tart / stop / ACC / IGN state of the vehicle, and to provide an illumination that can highlight it.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를 구성하는 보빈 및 신호를 전달하는 터미널을 인서트 사출을 통해 제조함으로써, 보빈 및 터미널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공수를 절감하여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manufacturing the bobbin constituting the button-type starter for the vehicle and the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signal through the injection molding, reducing the size of the bobbin and the terminal, reducing the labor cost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button-type starter for the vehicle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운전자가 푸쉬하여 차량의 시동을 거는 시동버튼; 상기 시동버튼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조명링; 상기 조명링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그 표면에 차량의 시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문자 또는 기호가 형성된 표시부; 상기 시동버튼의 후단에 연결설치된 제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표시부에 빛을 제공하는 LED;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후단에 연결설치된 보빈; 상기 보빈에 권취된 안테나 코일; 상기 보빈에 연결설치되는 제 2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조명링에 빛을 제공하는 LED; 상기 보빈을 관통하여 제 1 인쇄회로기판 및 제 2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서로 연결설치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sh button for starting the vehicle by the driver to push; An illumination ring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rt button; A display unit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llumination ring and having a letter or a symbol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to display a starting state of the vehicle;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tart button; An LED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to provide light to a display unit; A bobbin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 antenna coil wound around the bobbin;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bobbin; An LED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to provide light to an illumination ring; It provides a button-type start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terminal penetrating through the bobbin is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량의 스타트/스톱/ACC/IGN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start / stop / ACC / IGN status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를 구성하는 보빈 및 터미널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공구를 절감하여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ize of the bobbin and the terminal constituting the button starter for a vehicle, and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button starter for vehicles by reducing the tool.
본 발명은 운전자가 푸쉬하여 차량의 시동을 거는 시동버튼; 상기 시동버튼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조명링; 상기 조명링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그 표면에 차량의 시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문자 또는 기호가 형성된 표시부; 상기 시동버튼의 후단에 연결설치된 제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표시부에 빛을 제공하는 LED;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후단에 연결설치된 보빈; 상기 보빈에 권취된 안테나 코일; 상기 보빈에 연결설치되는 제 2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조명링에 빛을 제공하는 LED; 상기 보빈을 관통하여 제 1 인쇄회로기판 및 제 2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서로 연결설치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sh button for starting the vehicle by the driver to push; An illumination ring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rt button; A display unit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llumination ring and having a letter or a symbol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to display a starting state of the vehicle;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tart button; An LED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to provide light to a display unit; A bobbin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 antenna coil wound around the bobbin;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bobbin; An LED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to provide light to an illumination ring; It provides a button-type start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terminal penetrating through the bobbin is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여기서, 상기 터미널은 보빈과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can be injected with the bobbin and the insert.
또한,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제 2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된 LED로부터 발생된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 치.In addition, a button-type starting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formed on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the bobbi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ly for the purpose of specifically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를 나타내는 다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를 나타내는 다른 측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button sta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vehicle button sta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other view showing a vehicle button sta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demonstrates together as a side view.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는 운전자가 푸쉬하여 차량의 시동을 거는 시동버튼(2); 상기 시동버튼(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조명링(16); 상기 조명링(16)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그 표면에 차량의 시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문자 또는 기호가 형성된 표시부(24); 상기 시동버튼(2)의 후단에 연결설치된 제 1 인쇄회로기판(8);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8)의 일측에 형성되어 표시부에 빛을 제공하는 LED(18);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8)의 후단에 연결설치된 보빈(4); 상기 보빈(4)에 권취된 안테나 코일(6); 상기 보빈(4)에 연결설치되는 제 2 인쇄회로기판(10);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조명링(16)에 빛을 제공하는 LED(18); 상기 보빈(4)을 관통하여 제 1 인쇄회로기판(8)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 사이에 서로 연결설치되는 터미널(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button star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rt button (2) that the driver pushes to start the vehicle; An
본 발명에 따른 시동버튼(2)은 운전자가 푸쉬하여 차량의 시동을 거는 것으로서, 푸시 리턴(push return)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시동버튼(2)은 더블 접점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시동버튼(2)의 표면에는 차량의 작동상태, 특정적으로 엔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문자 또는 기호, 예를 들면 "ENGINE START STOP" 등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문자 또는 기호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그 하단에 조명, 특정적으로 LED(18) 등이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가 그 문자 또는 기호를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letter or symbol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transmit light, so that when the illumination, specifically
여기서, 상기 LED(18)는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Here, the
본 발명에 따른 조명링(16)은 상기 시동버튼(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조명링(16)은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LED(18) 등의 조명에 의해 발광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24)는 상기 조명링(16)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그 표면에 차량의 시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문자 또는 기호, 예를 들면 "OFF, ACC, IGN" 가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표시부(24)의 표면에 형성된 문자 또는 기호는 해당 문자 또는 기호의 하단에 LED(18)를 각각 설치하여 해당 문자 또는 기호에만 빛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letters or symbol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여기서, 표시부(24)에 형성된 문자 또는 기호의 하단에 위치하는 LED(18)는 제 1 인쇄회로기판(8)에 연결설치되며, 각각의 LED(18)는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Her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인쇄회로기판(8)은 상기 시동버튼(2), 특정적으로 시동버튼(2), 조명링(16) 및 표시부(24)의 후단에 구비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표시부(24)의 문자 또는 기호에 빛을 제공하도록 발광하는 LED(18)가 형성되어 있다.As such, the first printed
이때, 상기 표시부(24)의 문자 또는 기호에 빛을 제공하도록 발광하는 LED(18)는 복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본 발명에 따른 보빈(4)은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8)의 후단에 연결설치되는 것으로서, 안테나 코일(6)이 권취된다.The
여기서, 상기 안테나 코일(6)은 포브 키(미도시)의 트랜스폰더가 접근하는 경우 상기 트랜스폰더에 전자기력을 제공하여 트랜스폰더로부터 구동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테나 코일(6)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Here, the
여기서, 상기 포브 키는 평상시 차량의 운전자가 소지하며 차량의 시스템이 요구하는 신호, 예를 들면 차량의 잠금설정 또는 해제, 트렁크 오픈, 엔진시동 허가 신호 등을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Here, the fob key is usually carri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required by the system of the vehicle, for example, locking or releasing the vehicle, opening a trunk, an engine start permission signal, and the like.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빈(4)의 외주면에는 제 2 인쇄회로기판(10)상에 형성된 LED(18)로부터 발생된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홈(22)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As a specific aspect, a plurality of
본 발명에 따른 제 2 인쇄회로기판(10)은 상기 보빈(4)에 연결설치되며, 그 일측에 조명링(16)에 빛을 제공하는 LED(18)가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printed
이때, 상기 조명링(16)에 빛을 제공하는 LED(18)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20)은 제 1 인쇄회로기판(8)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0)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와 차량 사이의 신호를 상호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당업계의 통상적인 터미널(20)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20)은 상기 보빈(4)과 인서트 사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Specifically, the
이때, 상기 보빈(4)의 일측에는 터미널(20)과 인서트 사출되어 터미널(20)과 연결되는 보빈 홀더(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보빈 홀더(12)는 보빈(12)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button star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차량의 엔진시동이 걸려있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부(24)의 문자표시로서 "OFF"의 하단에 구비된 LED(18), 특정적으로 제 1 인쇄회로기판(8)에 형성된 LED(18)로부터 빛이 발생하여 운전자가 엔진시동이 걸리지 않았음을 표시한다.First, the
그 다음, 차량의 엔진시동을 위해 시동버튼(2)을 누르면, 시동버튼(2)의 누르는 정도에 따라 표시부(24)의 "ACC/IGN"에 순차적으로 조명이 제공된다.Then, when the
이때, 상기 조명은 해당 문자, 예를 들면 "ACC/IGN"의 하단에 구비된 LED(18), 특정적으로 제 1 인쇄회로기판(8)에 각각 형성된 LED(18)로부터 빛이 발생하여 엔진의 해당 상태를 표시한다.At this time, the illumination is generated by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그 다음, 엔진시동이 작동하면, 시동버튼(2)의 표면에 형성된 문자, 예를 들면 "ENGINE START STOP"에 조명이 제공되어 엔진이 작동하는 것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n, when the engine start is operated, a light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여기서, 상기 각각의 문자에 제공되는 빛은 서로 구별 가능하도록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ight provided to each of the letters may include a color so as to be distinguishable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시동버튼(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조명링(16)은 제 2 인쇄회로기판(10)에 형성된 LED(18)에 의해 빛이 제공되어, 운전자가 시동버튼(2)을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all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를 나타내는 도,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button start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utton star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를 나타내는 다른 구성도,3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button-type star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를 나타내는 다른 측면도이다.Figure 4 is another side view showing a button-type star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2 : 시동버튼 4 : 보빈2: start button 4: bobbin
6 : 안테나 코일 8 : 제 1 인쇄회로기판6
10 : 제 2 인쇄회로기판 12 : 보빈홀더10: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2: bobbin holder
14 : 터미널 16 : 조명링14 terminal 16: lighting ring
18 : LED 20 : 터미널18: LED 20: terminal
22 : 홈 24 : 표시부22: groove 24: display portion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9595A KR101042025B1 (en) | 2009-12-23 | 2009-12-23 | Car Button Star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9595A KR101042025B1 (en) | 2009-12-23 | 2009-12-23 | Car Button Star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42025B1 true KR101042025B1 (en) | 2011-06-16 |
Family
ID=44405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9595A Expired - Fee Related KR101042025B1 (en) | 2009-12-23 | 2009-12-23 | Car Button Star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2025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903555A (en) * | 2011-07-25 | 2013-01-30 | (株)新昌连接器 | Switch device for button start and stop of automobile |
KR101327020B1 (en) | 2012-09-21 | 2013-11-13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Button type starting apparatus for vehicle |
CN104021965A (en) * | 2013-02-28 | 2014-09-03 | 株式会社有信 | Switching device |
CN104197264A (en) * | 2014-09-29 | 2014-12-10 | 福州雅德驰光电科技有限公司 | Integrated device for fog lamp and LED daytime running lamp |
KR101550998B1 (en) | 2012-12-11 | 2015-09-07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Light source arrangement structure |
CN109664816A (en) * | 2017-10-13 | 2019-04-23 | 株式会社东海理化电机制作所 | Start switch equipmen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62142A (en) * | 2007-12-12 | 2009-06-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Back lighting of car start button |
KR20090126981A (en) * | 2008-06-05 | 2009-12-09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 Engine start button device of the car |
-
2009
- 2009-12-23 KR KR1020090129595A patent/KR10104202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62142A (en) * | 2007-12-12 | 2009-06-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Back lighting of car start button |
KR20090126981A (en) * | 2008-06-05 | 2009-12-09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 Engine start button device of the car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903555A (en) * | 2011-07-25 | 2013-01-30 | (株)新昌连接器 | Switch device for button start and stop of automobile |
KR101327020B1 (en) | 2012-09-21 | 2013-11-13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Button type starting apparatus for vehicle |
EP2913518A4 (en) * | 2012-09-21 | 2016-08-10 | Daesung Electric Co Ltd | BUTTON TYPE AUTOMOBILE IGNITION SYSTEM |
US9702331B2 (en) | 2012-09-21 | 2017-07-11 | Daesung Electric Co., Ltd. | Button-type car ignition system |
KR101550998B1 (en) | 2012-12-11 | 2015-09-07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Light source arrangement structure |
CN104021965A (en) * | 2013-02-28 | 2014-09-03 | 株式会社有信 | Switching device |
CN104197264A (en) * | 2014-09-29 | 2014-12-10 | 福州雅德驰光电科技有限公司 | Integrated device for fog lamp and LED daytime running lamp |
CN109664816A (en) * | 2017-10-13 | 2019-04-23 | 株式会社东海理化电机制作所 | Start switch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2025B1 (en) | Car Button Starter | |
KR100966498B1 (en) | Switch device | |
US8653390B2 (en) | Engine start/stop switch for a vehicle | |
KR100966733B1 (en) | Engine start and stop switch for automobile | |
US8111145B2 (en) | Starter control and indicator system | |
EP2001715B1 (en) | Vehicle start/stop button status feedback and lighting | |
KR20050024648A (en) | Emitting Apparatus Indicating Location of Door Outside Handle | |
US20150170850A1 (en) | Switch device | |
JP2004312621A (en) | Portable transmitter | |
JP5996109B2 (en) | Electronic key for vehicle | |
JP2004308369A (en) | Portable transmitter | |
KR20120097013A (en) | Engine start and stop switch foe automobile | |
US20050023902A1 (en) | System for controlling starting and stopping of engine | |
KR20160112184A (en) | Switch device for button start and stop of automobile | |
US7817018B2 (en) | Car antitheft system | |
JP5467533B2 (en) | Vehicle start system | |
US12227966B2 (en) | Key with a button for an electromechanical locking device | |
KR20120018483A (en) | Button type ignition device for vehicles | |
JP5001219B2 (en) | Portable machine | |
JP2009262605A (en) | Engine starting device | |
KR100836694B1 (en) | Button structure of the button start system | |
JP2010047051A (en) | Power source status switching device | |
KR20150098438A (en) | Switch device for button start and stop of automobile | |
JP2006164573A (en) | Vehicular switch | |
JP6649159B2 (en) | Electronic ke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6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