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909B1 - System through on-line - Google Patents
System through on-l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0909B1 KR100970909B1 KR1020090131814A KR20090131814A KR100970909B1 KR 100970909 B1 KR100970909 B1 KR 100970909B1 KR 1020090131814 A KR1020090131814 A KR 1020090131814A KR 20090131814 A KR20090131814 A KR 20090131814A KR 100970909 B1 KR100970909 B1 KR 1009709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code
- distribution
- module
- ass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5—Arrangements fo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e.g. for managing licenses at corporate level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의 정식 유통 확인 시스템은, 컨텐츠의 저작권 및 유통 인증을 수행하는 것으로, 컨텐츠 제작사에서 제작한 컨텐츠에 저작물 코드를 부여 및 저장하는 저작물 코드 생성모듈, 컨텐츠 유통사에서 유통되되 상기 저작물 코드가 부여된 컨텐츠에 유통 코드를 부여 및 저장하는 유통 코드 생성 모듈, 컨텐츠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특정 컨텐츠에서 상기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모듈을 포함한 저작물 관리 서버; 상기 저작물 관리 서버에서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를 부여받은 컨텐츠 및 개인 창작 컨텐츠를 저장한 컨텐츠 DB 서버를 포함하여 컨텐츠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유저의 인적사항을 회원 정보로 처리하여 회원 DB 서버에 전송하는 회원 정보 수집 모듈, 상기 회원 정보를 통합 회원 코드로 암호 처리하는 통합 회원 코드 생성모듈, 상기 컨텐츠 DB 서버에서 컨텐츠를 회원이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다운로드 제공모듈, 회원 간에서 컨텐츠를 거래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거래 모듈, 상기 다운로드 제공모듈 및 컨텐츠 거래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컨텐츠 거래 시 해당 컨텐츠가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상기 저작물 관리 서버의 인증 모듈에 요청하는 인증 모듈로 이루어진 컨텐츠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rmal distribution confirmation system of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copyright and distribution authentication of the content, the asset code generation module for assigning and storing the work code to the content produced by the content producer, the content code is distributed in the distribution company but the work code A distribution code generation module for assigning and storing a distribution code to the assigned content, and an asset management server including an authentication module for authenticating whether the asset code and the distribution code exist in specific content received from a content management server; The asset management server allows a content transaction including a content DB server storing a content and a personal creative content assigned an asset code and a distribution code, and processes a user's personal information as member information to a member DB server. A member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 integrated member code generation module for encrypting the member information with an integrated member code, a download providing module providing an interface through which a member can download content from the content DB server, and content among members When the content transaction is performed by any one of the content transaction module, the download providing module, and the content transaction module, which provides a transactional interface, the authentication module of the asset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content includes an asset code and a distribution code. Consist of a requesting authentication modu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su management serv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컨텐츠의 정식 유통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온라인에서 거래되는 컨텐츠의 합법적이고 정상적인 유통 및 거래를 도모하기 위하여 저작물 관리 서버에 저작권을 나타내는 저작권 코드와 유통사의 정식 유통 상태를 나타내는 유통 코드를 등록하고, 컨텐츠 관리 서버를 통한 컨텐츠의 온라인 거래 시 해당 코드의 결합 여부 내지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컨텐츠의 정식 유통 여부 내지 개인 창작물 여부를 판별하여 보다 건전한 컨텐츠 거래 문화를 창출하도록 하는 컨텐츠의 정식 유통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al distribution confirmation system of cont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indicate a legal distribution and the distribution status of a distributor and a copyright code indicating a copyright in a copyright management server in order to promote the legal and normal distribution and transaction of the contents traded online. By registering the code and checking whether or not the code is combined or existed in the online transaction of the content through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tent is officially distributed or whether it is a personal creation or not. It is about the identification system.
인터넷이 보급되기 전에 영화, 음원 등의 창작 미디어 컨텐츠는 국내외 컨텐츠 제작사가 직접 소비자를 대상으로 영화관 또는 음반 시장을 매개로 보급하거나, 특히 해외 유명 컨텐츠 제작사(영화 제작자 등)와 국내 유통업체가 판권 계약을 맺은 다음 흥행에 성공하거나 국내 정서에 맞을 것 같은 특정 컨텐츠만을 수입하여 지상파, 케이블, 유선 방송, 영화관, 비디오 시장 등에 배급하는 구조를 취하였다. Before the spread of the Internet, creative media contents such as movies and sound recordings can be distributed directly to domestic and overseas content producers through the movie theater or record market to consumers, and in particular, copyright contracts with overseas famous content producers (movie producers, etc.) After signing the agreement, the company took the structure of distributing it to terrestrial, cable, cable broadcasting, movie theater, and video markets by importing only certain contents that seemed to be successful or matched with domestic sentiment.
더불어 정식 유통 구조를 거치지 않고 컨텐츠가 불법 복제 상인들에 의하여 복제가 되어 음성 비디오 시장에서 불법적으로 유통되는 수준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the contents were illegally distributed in the voice and video market by being copied by pirated merchants without going through a formal distribution structure.
그런데 현재와 같이 인터넷 보급이 보편화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기존 소비자가 보다 빠르고 신속한 컨텐츠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는바, 예전보다 더욱 더 많은 정보와 컨텐츠를 요구하게 되었고 P2P 프로그램이 일반화됨과 아울러 수많은 포털 커뮤니티와 웹하드, UCC 업체가 형성되면서 미디어 컨텐츠의 불법 음성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되었지만, 정작 기존 미디어 컨텐츠 유통 구조는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지 못하여 불법 유통 시장에 의해 손실을 얻게 되거나 아예 서서히 붕괴되어 가고 있는 양상을 가지게 되었다.However, in today's widespread use of the Internet, existing consumers have an opportunity to access content faster and faster, requiring more information and content than ever before, and P2P programs have become commonplace and numerous portal communities and The illegal voice market of media contents exploded with the formation of Webhard and UCC companies, but the existing media content distribution structure could not cope with this situation, resulting in loss by the illegal distribution market or gradually decaying. Had
즉, 인터넷을 매개로 한 불법 유통 구조가 확산되면서 미디어 컨텐츠 제작사, 유통사, 소비자 모두 서로 피해를 얻게 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ther words, with the spread of the illegal distribution structure through the Internet, there is a problem that media contents producers, distributors, and consumers all suffer from each other.
따라서 영화, 음원 등의 미디어 컨텐츠를 제작하는 제작사가 컨텐츠의 불법 유통을 방지하면서 인터넷을 매개로 한 안전하고 신뢰도 있게 컨텐츠가 거래되기 위해서는 컨텐츠의 정상 유통 경로 및 구조가 선행적으로 마련이 되어야 하는바,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온라인을 통해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소비자에게 합법적으로 제공된 컨텐츠가 무단으로 복제, 배포되는 상황을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content from being illegally distributed by producers producing media content such as movies and sound recordings, the normal distribution channel and structure of the content must be prepared in advance in order to securely and reliably trade the content through the Internet.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clearly grasp the situation in which content legally provided to consumers through online streaming or download method is illegally copied and distributed.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하는 방식으로 현재 DRM(Digital Right Management) 방식, 인증코드 추적 방식과 같은 것들이 있다.There are currently methods such as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and authentication code tracking, which prohibit unauthorized copying and distribution.
DRM 방식은 저작권 보호를 위해 컨텐츠에 특정 암호화된 락(lock)이 걸려 있도록 하여 복사 방지 및 사용자의 특정 기기에서만 실행이 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는 컨텐츠 공급자 위주로 제작이 되어 컨텐츠 소비자가 여러 실행기기를 통해 실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소비자들에게 외면을 받았고 현재에는 급기야 DRM 해제 프로그램까지 개발되어 2000년대 초중반을 지나 유명무실해진 방법으로 전락하고 만 상태이다.In order to protect copyright, the DRM method allows a specific encrypted lock on a content so that copy protection and execution can be performed only on a specific device of a user. However, it was produced mainly by content providers, which made it difficult for content consumers to execute through multiple execution devices.It was dismissed by consumers, and now even DRM release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to be.
또한, 인증 코드 추적 방식은 컨텐츠에 합법적으로 정식 구매를 하였다는 인증코드를 암호화하여 삽입을 하고 이 인증 코드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한 방식인데, 이 경우 실제 불법 P2P 사이트에서 범람하는 컨텐츠마다 일일이 인증코드를 추적, 확인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인증코드를 추적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되는 예가 드물다고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code tracking method is to insert the authentication code that is legally purchased to the content to insert and track the authentication code, in this case, the authentication code for each content flooded from the actual illegal P2P site It is difficult to track and verify the data, and it is rare to use it because it has a limited scope to track authentication codes.
현재 국내외 특허공보를 살펴보면, 저작권을 보호하거나 컨텐츠의 정상 유통 거래를 도모하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불법 복제 분위기와 소비자의 불법 복제에 대한 인식이 성숙되어 있지 않다는 이유로 일부 음원을 제외한 적지 않은 종류의 컨텐츠들이 인터넷 시장을 매개로 컨텐츠 제작자가 소비자와 직거래를 하거나 컨텐츠 거래를 주요 업무로 하는 특정 유통사를 매개로 정삭 유통 구조를 실현하는 경우가 상당히 드물다 할 것이다.At pres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s show various techniques for protecting copyrights and promoting normal distribution of contents, but some sound sources are not available due to the fact that the piracy atmosphere and the consumer's perception of piracy have not matured. Except for a few kinds of contents, it is very rare for a content producer to realize a finishing distribution structure through a specific distributor whose direct transaction is directly with a consumer through a Internet market or a content transaction.
따라서 전문 제작자 내지 수익을 목적으로 한 컨텐츠가 창작되었을 때 이에 대한 저작권 관리를 함과 동시에 정상 유통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유통사 인증 방식을 통합함과 아울러 이러한 통합 확인 방식을 통해 UCC와 같은 개인 창작물 여부 도 쉽게 파악하여 별도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컨텐츠 정상 유통 구조 확인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when the contents for the purpose of professional producers or profits are created, the copyright management is managed at the same time, and the distributor authentication method that can identify the normal distribution status is also integrated, and through such integrated verification method, whether personal creations such as UCC are identified or not. There is a need for a new and advanced content normal distribution structure verification technology that can be easily identified and managed separately.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컨텐츠 제작자에서 공급하는 정품 컨텐츠에 코드 분산 삽입 방식으로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를 삽입하여 이를 인증하는 방식을 통해 컨텐츠의 정품 거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genuine transaction of the content by inserting the copyright code and distribution code in the code distributed insertion method to the authentic content supplied by the content producer to authenticate it Its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to ensure this is achiev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인이 창작한 컨텐츠의 경우에 별도의 코드를 분산 처리 방식으로 부여하도록 하여 개인 창작물에서도 인증 절차를 통해 보호를 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e code in the case of the content created by the individual in a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so that the individual creative can be protect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s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인이 창작한 컨텐츠에 부여된 복수 개의 창작 코드에 대한 개수 여부를 판별하여 편집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whether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creative codes assigned to the content created by the individual to determine the degree of editing.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편집이 된 개인 창작물의 경우 창작자에게 편집 여부를 승락받아 2차적 저작물의 유통을 허락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creator to decide whether or not to permit distribution of a secondary work in the case of an edited personal cre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컨텐츠 거래 시스템은, 컨텐츠의 정식 유통 확인 시스템으로서, 컨텐츠의 저작권 및 유통 인증 을 수행하는 것으로, 컨텐츠 제작사에서 제작한 컨텐츠에 저작물 코드를 부여 및 저장하는 저작물 코드 생성모듈, 컨텐츠 유통사에서 유통되되 상기 저작물 코드가 부여된 컨텐츠에 유통 코드를 부여 및 저장하는 유통 코드 생성 모듈, 컨텐츠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특정 컨텐츠에서 상기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모듈을 포함한 저작물 관리 서버; 상기 저작물 관리 서버에서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를 부여받은 컨텐츠 및 개인 창작 컨텐츠를 저장한 컨텐츠 DB 서버를 포함하여 컨텐츠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유저의 인적사항을 회원 정보로 처리하여 회원 DB 서버에 전송하는 회원 정보 수집 모듈, 상기 회원 정보를 통합 회원 코드로 암호 처리하는 통합 회원 코드 생성모듈, 상기 컨텐츠 DB 서버에서 컨텐츠를 회원이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다운로드 제공모듈, 회원 간에서 컨텐츠를 거래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거래 모듈, 상기 다운로드 제공모듈 및 컨텐츠 거래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컨텐츠 거래 시 해당 컨텐츠가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상기 저작물 관리 서버의 인증 모듈에 요청하는 인증 모듈로 이루어진 컨텐츠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nline content tra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formal distribution confirmation system of the content, by performing the copyright and distribution authentication of the content, granting the work code to the content produced by the content producer and An asset code generation module for storing, a distribution code generation module for distributing and storing a distribution code to the content to which the asset code is assigned, and whether the asset code and the distribution code exist in specific content transmitted from a content management server. Asset management server including an authentication module for authenticating whether or not; The asset management server allows a content transaction including a content DB server storing a content and a personal creative content assigned an asset code and a distribution code, and processes a user's personal information as member information to a member DB server. A member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 integrated member code generation module for encrypting the member information with an integrated member code, a download providing module providing an interface through which a member can download content from the content DB server, and content among members When the content transaction is performed by any one of the content transaction module, the download providing module, and the content transaction module, which provides a transactional interface, the authentication module of the asset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content includes an asset code and a distribution code. Consist of a requesting authentication modu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su management server.
또한, 상기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 및 통합 회원 관리 코드는 컨텐츠 파일 내에 복수 개로 분산 처리되어 삽입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저작물 관리 서버의 인증 모듈은, 특정 컨텐츠에 분산 포함된 복수 개의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가 모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스캐닝 처리하여 저작물 코드 및 유통 코드가 모두 포함되었을 때 해당 컨텐츠를 정품 컨텐츠로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sset code, distribution code, and integrated member management code may be distributed and stored in a plurality of content files in a content file, and the authentication module of the asset management serv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asset codes and distribution codes distributed in a specific cont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authenticated as genuine content when both the asset code and the distribution code are included by scanning to determine whether all are included.
더불어, 특정 컨텐츠가 유저에 의하여 상기 컨텐츠 DB 서버로 업로딩될 때 특정 컨텐츠에 상기 저작물 코드, 유통 코드, 통합 회원 코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특정 컨텐츠를 업로딩하는 회원의 신상 정보를 암호 처리한 창작 코드를 해당 컨텐츠에 통합하여 상기 컨텐츠 DB 서버에 업로딩 처리하는 창작물 업로딩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a specific content is uploaded by the user to the content DB server, when the specific content does not include the asset code, distribution code, or integrated member code, a creative code that encrypt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member uploading the specific cont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ploading management module for integrating the content in the uploading process to the content DB server.
특정 컨텐츠가 유저에 의하여 상기 컨텐츠 DB 서버로 업로딩될 때 특정 컨텐츠에 상기 통합 회원 코드 및 창작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컨텐츠 파일 전반을 스캔하여 해당 컨텐츠에 일정 데이터 간격을 두고 포함되어 있던 복수 개의 창작코드가 모두 구비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만일 복수 개의 창작코드가 모두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를 편집물로 인식하는 편집 여부 파악부; 해당 컨텐츠에 수록된 창작 코드를 분석하여 창작자에게 해당 편집물을 전송하여 편집물의 승인을 요청하는 승인 요청부; 창작자의 승인 및 반려 여부를 입력받는 승인 결정부; 일정 시간동안 창작자가 승인 여부를 결정하지 않았을 때 해당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개의 창작코드를 최초 컨텐츠에 포함되었던 창작코드 개수와 비교하여 존속하고 있는 창작코드의 개수를 파악하는 편집 범위 파악부; 상기 편집 범위 파악부에서 파악된 창작코드의 개수에 따라 해당 편집물의 승인 여부를 자동으로 결정 처리하는 자동 승인 처리부; 상기 자동 승인 처리부에서 승인된 편집물에 편집자의 신상 정보를 암호 처리하여 생성한 편집 코드를 통합 처리한 다음, 상기 컨텐츠 DB 서버에 업로딩을 하는 편집 코드 생성부;로 구성된 편집물 업로딩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 specific content includes the integrated member code and the creation code when the specific content is uploaded by the user to the content DB server, a plurality of creations included in the content at regular data intervals are scanned by scanning the entire content file. Grasping whether all the codes are provided, and if the plurality of creative codes are not provided, whether to edit the content recognition unit to recognize the corresponding content as an editable unit; Approval request unit for analyzing the creative code contained in the content to send the edit to the creator requesting the approval of the edit; Approval decision unit for inputting whether the creator's approval and return; An editing range grasping unit to determine the number of existing creative codes by comparing a plurality of creative codes included in the contents with the number of creative codes included in the original contents when the creator does not decide whether to approve the contents for a predetermined time; An automatic approval processing unit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approve the edited item according to the number of creative codes identified by the editing range determining unit; Editing upload management module consisting of; edit code generation unit for processing the integrated edit code generated by encryp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editor to the edit approved by the automatic approval processing unit, and uploading to the content DB server;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의 정식 유통 확인 시스템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formal distribution confirmation system of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컨텐츠 제작자 내지 유통사에 의하여 정식 배포, 유통되는 컨텐츠에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를 동시에 삽입함으로써 해당 코드 여부를 통해 정품 컨텐츠인지 여부를 편리하게 판별하고 정품 컨텐츠의 유통 문화를 추구하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으며,1) By inserting the work code and the distribution code into the content that is officially distributed and distributed by the content producer or distributor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 is genuine content and to create an atmosphere for pursuing the distribution culture of the genuine content. Can and
2) 개인 창작 컨텐츠에는 저작물 코드, 유통 코드와 별개의 창작 코드를 부여하여 창작 코드에 의해 개인 제작 컨텐츠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2) By giving a creative code separate from a work code and a distribution code to personal creative content, the personal code can be protected by the creative code.
3) 개인 창작 컨텐츠에서 편집을 한 경우 편집의 정도는 물론 편집한 2차적 저작물의 유통을 허락할지 여부를 창작자에게 요청함으로써 불법적인 컨텐츠 제작 환경을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3) When editing on personally created content, by asking the creator whether to permit the distribution of the edited secondary works as well as the degree of editing, the illegal content production environment can be blocked,
4) 각종 코드를 단일 컨텐츠에 복수 개로 분산 삽입하여 컨텐츠의 변형이 일어나도 정품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4) By distributing and inserting a plurality of codes into a single content in a plurality, it provides an effect of verifying genuineness even if the content chang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의 정식 유통 확인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system for confirming the formal distribution of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컨텐츠를 제작하는 제작사와 컨텐츠를 유통하는 유통사에 대한 관계를 기반으로 하거나 아니면 컨텐츠 제작사가 유통사 역할을 할 수 있는 상태까지 포함하고, 컨텐츠 제작사이던 유통사이던 간에 제작/유통 상태를 인증하기 위하여 저작물 관리 서버(50)에 해당 컨텐츠를 등록받아 특정 코드를 부여받으며, 컨텐츠 유통사는 컨텐츠 관리 서버(100)를 통해 유저를 대상으로 컨텐츠를 판매하되 상기 저작물 관리 서버(50)와 컨텐츠 관리 서버(100) 간의 연결 관계를 통해 특정 코드 내지 등록 결과를 송수신 처리하거나 특정 코드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의 정상 유통 과정 내지 정품 컨텐츠인지 여부를 간단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As can be seen from Figure 1,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er producing the content and the distributor who distributes the content or includes a state in which the content producer can act as a distributor, whether the content betwee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order to authenticate the production / distribution status, the content is registered in the
즉, 컨텐츠 제작자는 저작물 관리 서버(50)에 자신이 제작한 컨텐츠를 등록하면서 저작물 코드를 부여받고, 컨텐츠 유통사는 저작물 관리 서버(50)에 자신이 유통하는 컨텐츠를 등록하여 유통 코드를 부여받도록 하고, 저작물 관리 서버(50)는 특정 컨텐츠에 부여된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를 통합 처리하거나 컨텐츠 관리 서버(100)와의 연동을 통해 코드 송수신 내지 인증 절차를 거치도록 한다.That is, the content producer receives an asset code while registering the content produced by the
또한 컨텐츠 관리 서버(100)는 유저를 대상으로 컨텐츠를 거래 내지 다운로드를 할 수 있는 사이버 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저작물 관리 서버(50)와의 연동을 통해 거래되는 컨텐츠의 합법적인 거래 여부를 상기 코드 스캐닝(인증) 절차를 통 해 확인하도록 하여 건전한 컨텐츠 거래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즉, 컨텐츠 관리 서버(100)는 컨텐츠 거래를 목적으로 하는 전용 웹 사이트를 포함하여 이를 매개로 유저를 모집하고 회원 가입을 하여 정식 회원이 된 유저에게 컨텐츠를 판매하거나 회원 간 거래를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데, 유저는 컨텐츠 관리 서버(100)에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거나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컨텐츠를 공급받거나 공급할 수가 있다.In other words, the
유저가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때에는 무료, 유료로 구분이 가능한바, 특히 유료 다운로드일 경우에는 컨텐츠 관리 서버가 컨텐츠 다운로드 금액을 정산하여 정산 금액 중 일부를 컨텐츠 유통사 및 컨텐츠 제작사와 분배하는 방식을 추구할 수 있다.When the user downloads the content, it can be classified as free or paid. In the case of paid download,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can set the content download amount and distribute part of the settlement amount to the content distributor and the content producer. have.
이와 같은 원리, 즉 저작물 관리 서버(50)를 통한 코드 인증을 선행적으로 수행한 이후 정품 컨텐츠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식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사 및 컨텐츠 유통사는 인증 절차를 거친 양질의 컨텐츠의 거래 분위기를 통해 불법 다운로드를 통한 수익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소비자는 정식적인 컨텐츠의 손쉬운 접근성을 가져 다양한 컨텐츠를 즉각적이고 용이하게 접할 수가 있으며, 사회적으로는 컨텐츠의 불법 유통으로 인한 문화적 손실을 줄이면서 컨텐츠 유동 시장의 체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at is, after performing the code authentication through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컨텐츠 유통 모듈(40), 저작물 관리 서버(50), 컨텐츠 관리 서버(100), 컨텐츠 DB 서버(10), 회원 DB 서버(30)로 구성되어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ure 2,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컨텐츠 유통모듈(10)은 온라인을 매개로 하여 컨텐츠 제작사로부터 컨텐츠 유통사가 컨텐츠 공급 및 유통 판권 판매 계약을 맺고 컨텐츠 제작사가 제작한 컨텐츠를 컨텐츠 유통사에 유통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The
즉, 컨텐츠 유통사는 복수 개의 국내외 컨텐츠 제작사와 미리 컨텐츠를 유통하고자 하는 취지의 업무 제휴를 하여 컨텐츠 제작사가 컨텐츠를 제작할 시점에 즈음하여 컨텐츠 제작사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가 있고, 여기서 컨텐츠 유통모듈(10)은 전자 계약서의 자동 처리, 컨텐츠 수익 분배 및 정산, 컨텐츠 공급 가격 결정 및 조절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세부 역할은 미리 프로그램화되어 있는 유통 처리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일률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content distributor may be provided with content from the content producer at the time when the content producer produces the content in a business alliance with a plurality of domestic and overseas content producers to distribute the content in advance, wherein the
즉, 자동 계약서 처리 내지 컨텐츠 수익 정산 기능과 같은 것은 현재 온라인 계약 시스템 내지 정산 시스템과 같인 공지 기술에 의하여 충분히 실행 가능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at is, since the automatic contract processing or the content revenue settlement function can be sufficiently executed by the known technology such as the online contract system or the settlement system,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저작물 관리 서버(50)는 창작된 저작물, 주로 개인 창작물 이외에 중견 제작사에 의하여 창작된 창작물 컨텐츠에 인증 코드를 발급함과 동시에 컨텐츠 거래 시 인증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저작물 코드 생성모듈(60)과 유통 코드 생성모듈(70), 코드 전송 모듈(80), 인증 모듈(90)을 포함하고 있다.The
저작물 코드 생성모듈(60)은 컨텐츠 제작사가 저작물 관리 서버(50)에 자신이 제작한 컨텐츠를 업로딩할 때 저작물 코드 및 통합 회원 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다음 저작물 코드가 존재하지 않은 로우 파일(raw file) 형태일 때 해당 컨텐츠에 저작물 코드를 부여(컨텐츠 파일과 코드의 합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asset
즉, 본 발명에서는 중견 제작사가 컨텐츠를 창작할 경우에는 저작물 코드가 부여되고 개인 창작자가 컨텐츠를 창작한 경우에는 통합 회원 코드가 부여되는바, 이러한 2개의 코드 중 어느 하나도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새로운 창작물로 인식하여 저작물 코드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roduction company creates a content, a work code is given, and when an individual creator creates a content, an integrated member code is given. When none of these two codes is included, Recognize it as a work and provide the work code.
즉, 저작물 관리 서버(50)에 접근 권한이 있는 자격은 중견 제작사로서 중견 제작사가 아닌 경우, 즉 개인 창작자의 경우는 저작물 관리 서버(50)에 접근 권한이 차단되고 후술할 컨텐츠 관리 서버(100)에서 업로딩할 때 창작물인 경우 창작 코드를 개인 창작자의 컨텐츠에 부여하는 방식을 따르도록 한다.That is, if the qualification that has access to the
여기서, 중견 제작사인지 개인 창작자인지 여부는 미리 마련된 기준, 즉 회원의 경력, 자격, 사업자등록증 여부, 인지도 여부 등을 통해 판별을 하도록 한다.Here, whether it is a mid-sized producer or individual creator is determined based on a pre-set standard, that is, a member's career, qualification, business registration certificate, or not.
본 발명에서 중견 제작사와 개인 창작자를 상기와 같이 구분하는 이유는 개인 창작자에 의한 UCC가 현재 상당히 범람하고 있고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개인 창작자에 의한 컨텐츠가 중견 제작사의 컨텐츠보다 질적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일이 컨텐츠의 질적 수준을 판별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바, 이를 위하여 미리 중견 제작사와 개인 창작자를 구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 문이다. 물론 개인 창작자의 경우도 많은 작품 활동을 통해 인지도를 쌓은 경우 중견 제작사의 수준으로 인정받을 수도 있고 이를 위해 인지도 평가 내지 유저의 호응도를 평가하여 중견 제작사로 인정하기 위한 조건으로 제시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son for distinguishing the mid-sized producers from the individual creators is because the UCC by the individual creators is considerably flooded at present, but it is not necessarily the same, but the contents by the individual creators are often lower in quality than the contents of the mid-sized producers.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determine the quality level of the content, because it is desirable to separate the mid-range producers and individual creators in advance. Of course, even individual creators can be recognized as a mid-level producer if they have gained recognition through many work activities, or for this, they can be presented as a condition for recognition as a mid-range producer by evaluating recognition or user's response.
유통 코드 생성모듈(70)은 상기 저작물 코드가 부여된 컨텐츠를 컨텐츠 유통사가 저작물 관리 서버(50)에 업로딩할 때 정식 유통을 위한 인증 수단으로서 유통 코드를 생성하여 해당 컨텐츠에 합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distribution
즉, 컨텐츠 제작사가 특정 컨텐츠에 저작물 코드를 부여받은 다음 이를 컨텐츠 유통사에 넘겨주었을 때 컨텐츠 유통사는 다시금 저작물 관리 서버(50)에 등재하여 유통 코드를 발급받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a content producer receives an asset code for a specific content and then passes it to a content distributor, the content distributor is again registered on the
여기서, 컨텐츠 유통사가 컨텐츠 제작사의 임무(즉, 저작물 코드를 부여받는 임무)를 동시에 수행(주로 컨텐츠 제작사에 의한 위탁)하여 저작물 관리 서버(50)에 특정 컨텐츠를 등재할 때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를 동시에 부여받을 수도 있고, 컨텐츠 제작사가 동시에 컨텐츠 유통사인 경우에는 당연히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를 동시에 부여받게 될 것이다.Here, when the content distributor performs the task of the content producer (that is, the task of receiving the asset code) at the same time (mainly entrusted by the content producer) to register the specific content in the
이러한 저작물 코드 생성 모듈(60)과 유통 코드 생성 모듈(70)에서 이러한 코드를 컨텐츠 파일에 합체하는 방식은 반드시 컨텐츠 데이터 파일의 헤더(header)에만 저작물/유통 코드를 합체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컨텐츠 데이터의 여러 부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저작물/유통 코드를 분할하여 저장하는 방식을 따른다.In the asset
이러한 이유는 불법 유통자가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해 분할하거나 복수 개의 파일로 잘라서 압축 파일로 생성하였을 때 각 분할된 컨텐츠 데이터에서도 저작물 코드 및 유통 코드의 존재가 확인될 수 있도록 처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is that when the illegal distributor divides the content for editing or cuts it into a plurality of files and generates the compressed file, the distribution code is processed so that the existence of the asset code and the distribution code can be confirmed.
이와 같이 컨텐츠 파일(데이터)에서의 코드 위치 분산 처리 방식에 의하여 정식 컨텐츠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코드 위치 분산에 따른 컨텐츠 파일 스캐닝 절차는 후술할 인증 모듈에서 수행하도록 한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official content by the code location distribution processing method in the content file (data), and the content file scann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 code location distribution is performed by the authentication module to be described later.
코드 전송 모듈(80)은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가 부여된 컨텐츠를 대상으로 해당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를 컨텐츠 관리 서버(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이러한 코드 전송 모듈(80)은 선택적인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컨텐츠를 즐기고자 하는 회원이 컨텐츠 거래를 할 때 컨텐츠 관리 서버(100)에서 저작물 관리 서버(50)에 코드 존재 여부를 묻는 방식으로 정식 유통 여부를 가릴 수 있도록 하나 필요한 경우 컨텐츠 관리 서버(100) 자체에서 정식 유통 여부를 가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인증 모듈(90)은 컨텐츠 관리 서버(100)에서 회원이 컨텐츠 거래 또는 업로드를 할 때 해당 컨텐츠가 정식 유통 경로를 갖춘 것인지 여부를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가 동시에 구비되었는지 여부로서 판별하기 위하여 컨텐츠 관리 서버(100)에서 인증 요청을 할 때 해당 컨텐츠에서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를 동시에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를 통해 인증(즉 정식 유통 컨텐츠)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구체적으로 인증 모듈(90)은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가 컨텐츠에서 분산 처 리되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특정 컨텐츠에서의 코드 위치와 코드 식별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바, 컨텐츠 데이터(파일)를 스캔하면서 특정 위치에서 특정 저작물/유통 코드가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모두 확인하고 만일 어느 하나의 코드라도 누락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가 정품이 아닌 것으로 판정하도록 한다. 이후, 업로딩 제한 모듈 등과 연동되어 해당 컨텐츠의 업로딩 내지 거래가 불가능하도록 처리하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리 서버(100)는 회원이 정식(정품) 컨텐츠를 구매하거나 회원이 창작한 컨텐츠를 판매(다운로드 방식)함과 동시에 회원 간 정식 컨텐츠를 거래하도록 하는 컨텐츠 거래 관련 사이버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유저가 접속하여 컨텐츠 거래를 수행하도록 하는 컨텐츠 거래 사이트(20)를 포함하고 ,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보유 모듈(110), 회원정보 수집 모듈(121), 통합 회원 코드 생성 모듈(122), 인증 모듈(131), 다운로드 제공 모듈(132), 컨텐츠 거래 모듈(133)을 구비하고 추가적으로 창작물 업로딩 관리모듈(140) 및 편집물 업로딩 관리모듈(150)을 포함하며, 저작물 관리 서버(50)는 물론 컨텐츠 DB 서버(10), 회원 DB 서버(30)와 연동 처리되어 있다.The
컨텐츠 DB 서버(10)는 컨텐츠 관리 서버(100)에 전달, 업로딩된 다양한 컨텐츠(정품 컨텐츠와 개인 창작 컨텐츠를 모두 포함)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회원 DB 서버(30)는 회원으로 가입한 유저의 인적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The
컨텐츠 보유 모듈(110)은 컨텐츠 DB 서버(10)와 연동되어 저작물 관리 서버(50)를 통해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를 모두 부여받은 일명 정품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으로, 다양한 검색 방식 및 분류 방식에 의하여 유저가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는 기능도 지원한다.The
회원정보 수집 모듈(121)은 유저의 인적사항을 수집하여 회원 DB 서버(3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member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21 collects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personal information to the
여기서, 유저의 인적사항이라 함은 유저가 회원 가입을 할 때 기본적으로 기입하는 이름, 나이, 성별, 취미 등과 같은 것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특히 유저의 기본적 신상 정보(이름, 전화번호, 직업 등)및 유저의 IP 어드레스, 아이디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도록 한다.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things such as name, age, gender, hobbies, etc. that the user basically fills out when the user registers, but in particular, basic user information (name, phone number, occupation, etc.) and Be sure to include the user's IP address and ID.
즉, 회원정보 수집 모듈(121)은 회원 신상정보 및 유저의 IP 어드레스를 하나로 통합 처리하여 이를 '통합 회원 정보'로 인식한 다음 회원 DB 서버(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member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21 performs the function of integrating the mem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IP address into one and recognizing it as 'integrated member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ting it to the
통합 회원 코드 생성 모듈(122)은 상기 통합 회원 정보를 난수 처리 내지 암호 처리하여 일명 '통합 회원 코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The integrated member code generation module 122 serves to generate a so-called 'integrated member code' by randomly processing or encrypting the integrated member information.
이러한 통합 회원 코드는 후술하겠지만 컨텐츠에 암호화 방식으로서 결합되는 컨텐츠 구매 관련 정보, 컨텐츠(UCC) 창작 정보를 확인하는데 활용되어 추후 불법 복제 컨텐츠가 배포되었을 때 이러한 통합 회원 코드의 회원 정보를 통해서 불법 배포 여부 내지 개인 창작물에 관한 컨텐츠인지 여부를 보다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가진다.The integrated member code will be described later, but is used to confirm content purchase-related information and content (UCC) creation information that are combined as an encryption method in the content. It has a role to make it easier to know whether or not the content related to the personal creation.
더불어 상기 저작물 코드 및 유통 코드와 마찬가지로 통합 회원 코드 역시 반드시 컨텐츠 데이터 파일의 헤더(header) 부위에만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 데이터의 여러 부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어 저장될 수가 있어,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해 분할하거나 복수 개의 파일로 잘라서 압축 파일로 생성하였을 때 각 분할된 컨텐츠 데이터에서도 통합 회원 코드의 존재가 확인될 수 있도록 처리되도록 한다. 이러한 복수 개의 통합 회원 코드는 후술하겠지만 개인 창작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편집물의 자동 승인 판단의 기준을 제공하는 역할을 겸비하기도 한다.In addition, like the asset code and the distribution code, the integrated member code is not necessarily stored only in the header portion of the content data file, but can be divided and stored in at least one of several portions of the content data, thereby editing the content. When divided or cut into a plurality of files to create a compressed file to be processed so that the presence of the integrated member code in each of the divided content data. Although the plurality of integrated member code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lurality of integrated member codes may also serve to provid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utomatic approval of edit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personal crea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에 포함된 여러 코드 및 컨텐츠 목록을 예시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list of various codes and contents included in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의 컨텐츠는 저작물 코드, 유통 코드, 통합 회원 코드를 구비하고 있고 이 코드의 존재에 따라 서비스 진행 여부, 예를 들어 컨텐츠 거래 내지 컨텐츠 DB 서버(10)로의 업로딩 등의 행위를 허용할지 여부를 판가름할 수 있도록 한다.As can be seen from Figure 3, the conten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ork code, distribution code, integrated member code,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this code whether the service is in progress, for example, content transactions to the
인증 모듈(131)은 상기 저작물 관리 서버(50)의 코드 전송 모듈(80)과 연동되어 특정 컨텐츠의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를 저작물 관리서버(50)의 코드 전송모듈(80)로부터 전송 받아 이를 저장하고 컨텐츠 관리 서버(10) 차원에서 특정 컨텐츠의 정품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구체적인 기능은 저작물 관리 서 버(50)에서의 인증 모듈(90)과 동일하다 할 것이다.The
또한, 컨텐츠 관리 서버(100)의 인증 모듈(131)은 컨텐츠 거래 내지 (다운로드, 업로드 행위 포함)시 해당 컨텐츠가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를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를 상기 저작물 관리 서버(50)에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컨텐츠 관리 서버의 인증 모듈(90) 차원에서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를 저작물 관리 서버로부터 받지 않았을 경우 정품 컨텐츠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저작물 관리 서버(50)를 매개로 컨텐츠의 정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다운로드 제공 모듈(132)은 컨텐츠 DB 서버(10)에서 제공하는 정품 컨텐츠를 유저가 요청한 다운로드 대상물로 처리하여 유저에게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 때 다운로드 대상은 반드시 컨텐츠 제작자사 제작한 정품 컨텐츠 이외에 더 나아가 유저가 컨텐츠 DB 서버(10)에 업로딩한 정품 컨텐츠 내지 개인 창작 컨텐츠인 것도 가능하다.The
컨텐츠 거래 모듈(133)은 상기 다운로드 제공모듈(132)이 컨텐츠 유통사와 유저 간 거래 방식을 추구하는 것과 대비되어 회원 대 회원 간 컨텐츠를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예를 들어 판매를 위하여 컨텐츠 DB 서버(10)에 특정 컨텐츠를 업로딩하도록 하는 기능, 업로딩된 컨텐츠를 입찰 또는 기타 방식을 통하여 다른 회원에게 청약 내지 승낙 기능을 할 수 있는 환경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즉, 개인 창작 컨텐츠 내지 다른 경로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정품 컨텐츠를 특정 회원이 컨텐츠 DB 서버(10)에 업로딩한 경우 이를 다른 회원이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환경과 공간 및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That is, when a specific member uploads the genuine content downloaded from the personal creation content or another path to the
특히 이러한 컨텐츠 거래 모듈(133)에서 회원 간에 컨텐츠를 거래할 때 정품 컨텐츠를 판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바, 컨텐츠 거래 모듈(133)은 상기 저작물 관리 서버(50)의 인증 모듈(90)과 연동이 된다.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genuine content when trading content between members in the
구체적으로, 특정 유저가 판매할 컨텐츠를 컨텐츠 DB 서버(10)에 업로딩한 경우 컨텐츠 DB 서버(10)에서 컨텐츠 관리 서버(100)로 해당 컨텐츠의 업로딩 정보를 전송하고 컨텐츠 관리 서버(100)에서는 해당 컨텐츠를 저작물 관리 서버(50)의 인증 모듈(90)로 전송하거나 아니면 코드 전송모듈(80)에서 컨텐츠 관리 서버(100)에 전송한 코드값을 기준으로 한 컨텐츠 관리 서버(100) 자체의 인증 모듈(131)을 통해 해당 컨텐츠를 스캐닝하여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를 모두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구체적으로 분산 처리된 코드 파악을 위해 특정 위치에서의 복수 개의 코드를 모두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In detail, when a specific user uploads content to be sold to the
만일, 해당 컨텐츠가 인증 모듈(90,131)에서 정품 컨텐츠로 인정되지 못할 경우에는 업로딩 단계에서 컨텐츠 DB 서버에 저장 처리가 되지 않음과 동시에 불법 유통 컨텐츠임을 업로딩한 회원에게 알리도록 한다.I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not recognized as genuine content in the
그런데 개인 창작 컨텐츠인 경우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가 존재하지 않아 이 역시 불법 유통 컨텐츠로 인정될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하는바 이를 위해 통합 회원 코드 생성 모듈(122)과 창작물 업로딩 관리 모듈(140)이 존재하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personal creative cont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sset code and the distribution code do not exist, which may also be recognized as illegal distribution content. For this purpose, there is an integrated member code generation module 122 and a creation
통합 회원 코드 생성 모듈(122)은 유저가 정품 컨텐츠를 컨텐츠 DB 서버(10)로부터 다운로드 할 때 상기 통합 회원 코드를 특정 암호 처리 방식으로 결합하는 역할을 제공한다.The integrated member code generation module 122 provides a role of combining the integrated member code in a specific encryption process when the user downloads the genuine content from the
즉, 컨텐츠 관리 서버(10)를 통해 개인 회원이 다운로드를 받고 난 이후에는 반드시 통합 회원 코드가 해당 컨텐츠에 부여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after the individual member is downloaded through the
정리하면, 컨텐츠 관리 서버(100)(컨텐츠 DB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를 받은 컨텐츠에는 3가지의 코드가 존재할 수 있는바 구체적으로 저작물 코드, 유통 코드, 통합 회원 코드가 존재할 수 있다.In summary, three types of codes may exist in the content downloaded from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100 (content DB server). Specifically, an asset code, a distribution code, and an integrated member code may exist.
만일 어느 컨텐츠가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를 구비한 경우는 컨텐츠 유통사에서 배급한 정품 컨텐츠이고, 저작물 코드, 유통 코드, 통합 회원 코드 3가지를 모두 구비한 경우는 일반 회원이 배급(다른 정식 유통 경로를 통해 정품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은 것을 다시 판매하는 경우)하는 정품 컨텐츠를 의미하며, 만일 특정 컨텐츠가 통합 회원 코드만을 구비하거나 아무런 코드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정품이 아닌 불법 유통 컨텐츠가 되는 것이다.If a content has an asset code and a distribution code, it is genuine content distributed by a content distributor, and when all three pieces have an asset code, a distribution code, and an integrated member code, the general member distributes it. Through the download of the genuine content through the sale) means genuine content, and if the specific content has only an integrated member code or no code is a non-genuine distribution content.
여기서, 불법 컨텐츠와 개인 창작 컨텐츠를 구별하기 위해 통합 회원 코드와 구별이 되는 창작 코드를 제시하도록 하며 이러한 창작 코드는 창작물 업로딩 관리 모듈(140)에서 관리 및 제어한다.Here,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illegal content and personal creative content, it is suggested to present a creative code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integrated member code, and the creative code is managed and controlled by the creative uploa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작물 업로딩 관리모듈에서 제공하는 업로딩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업로딩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uploading screen provided by a creation uploading managemen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upload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컨텐츠 관리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거래 사이트(20)에서 는 회원이 반드시 컨텐츠 소비자의 지위만 갖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 공급자(즉, 컨텐츠 창작자)의 지위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회원 스스로 촬영하거나 작곡한 동영상, 음원을 업로딩하여 컨텐츠 DB 서버(10)에 등록할 수도 있고 아니면 이미 정식으로 다운로드 받은 인증 컨텐츠를 편집하여 다운로드하거나 아니면 상기 컨텐츠 DB 서버(10)에서 저장 기간 만료로 삭제되었던 추억의 컨텐츠를 다시금 업로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즉, 유저는 창작물, 편집물, 기존물(컨텐츠 제작자에서 제작한 컨텐츠)로 구별되는 컨텐츠를 업로딩할 수 있는바, 창작물 업로딩 관리모듈(140)에서 이러한 컨텐츠 중 특히 UCC와 같은 개인 창작 컨텐츠(즉, 창작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관리하도록 한다.That is, the user can upload content that is classified as a creation, an edit, or an existing object (content produced by a content producer). In the creation
창작물 업로딩 관리모듈(140)은 우선 유저에 의하여 특정 컨텐츠가 업로딩될 때 해당 컨텐츠에 저작물 코드와 유통 코드를 비롯하여 통합 회원 코드 내지 후술할 각종 코드(창작 코드, 편집 코드) 모두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개인 창작자에 의한 창작물로 인식하여 개인 창작자인 회원의 정보를 암호 처리한 일명 '창작 코드'를 발급하여 해당 컨텐츠와 암호화 방식으로 결합하여 일명 '개인 창작 컨텐츠'를 생성한 다음 컨텐츠 DB 서버에 업로딩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컨텐츠 DB 서버(10)는 상기 컨텐츠 제작사에서 제공한 컨텐츠와 구분된 저장 공간 또는 특정 분류 방식에 의거하여 유저가 업로딩한 컨텐츠를 저장 처리한다.When uploading a specific content by a user, the creation upload
즉, 해당 컨텐츠에서 저작물/유통 코드 및 통합 회원 코드가 모두 발견되지 않았을 경우에만 개인 창작물로서 인정을 하고 창작코드를 발급하도록 하며 더불어 개인 창작물은 정식으로 컨텐츠 제작사로부터 유통되는 컨텐츠와는 질적인 면, 저장 위치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창작코드 유무에 따라 개인 창작물인지 아니면 컨텐츠 제작사에서 배급한 컨텐츠인지 여부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only when the work / distribution code and the integrated member code are not found in the content, it is recognized as a personal work and issues the work code.In addition, the personal work is qualitatively related to the content that is formally distributed from the content producer, Sinc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orage locatio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it is a personal creation or content distributed by a content producer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a creative code.
여기서, 창작 코드라 함은 개인 창작자가 업로딩하는 당해 시간 및 웹 사이트에 회원 가입할 당시 기록하였던 개인 창작자의 신상정보 및 개인 창작자의 IP 어드레스를 암호화하여 하나로 통합 처리한 코드를 의미한다. 이러한 창작 코드 역시 상기 통합 회원 코드와 마찬가지로 컨텐츠 데이터의 여러 부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분산되어 저장 처리될 수가 있어 추후에 악의자에 의하여 불법 분할 편집이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Here, the creative code means a code in which the personal creato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personal creator's IP address recorded at the time of uploading the web site and uploaded by the individual creator and the IP address of the individual creator are integrated into one. Like the integrated member code, the creative code may be divided / distributed and stored in at least one or more parts of the content data to prevent illegal division editing by a malicious person later.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개인 창작 컨텐츠는 컨텐츠 제작사에서 공급한 정식적인 컨텐츠와는 저작물/유통 모드를 가지는지 아니면 창작 코드를 가지는지 여부에 의하여 구별이 되며, 만일 제 3의 유저가 개인 창작 컨텐츠를 다운로드받게 되면 상기 통합 회원 코드 생성 모듈(122)의 기능에 의하여 통합 회원 코드까지 결합이 되므로 하나의 개인 창작 컨텐츠 내에서 창작코드와 통합 회원 코드가 병존하게 될 수 있다.The personal creative conten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istinguished from the official content supplied by the content producer by the work / distribution mode or the creative code, and if a third user downloads the personal content When received, since the integrated member code is combined by the function of the integrated member code generation module 122, the creative code and the integrated member code may coexist in one personal creative content.
창작물 업로딩 관리모듈(140)은 만일 업로딩하는 컨텐츠에서 특정 코드가 발견되었을 때에는 창작 코드 발급 내지 업로딩 자체를 일시 중지하고 해당 코드를 식별하는 기능을 겸비하여 특정 코드의 존재에 따라 편집물 업로딩 관리 모듈(150) 등에 해당 컨텐츠를 전송하여 후속 절차를 밟도록 한다.Creation upload
즉, 컨텐츠 제작사에서 공급한 정품 컨텐츠에는 저작물 코드 및 유통 코드가 구비되고 개인 창작자가 공급한 컨텐츠에는 창작 코드가 결합되어 있는바, 이러한 코드의 존재를 통하여 보다 쉽게 기성 컨텐츠 제작사에서 공급한 정품 컨텐츠인지 아니면 개인 창작자가 공급한 개인 창작물인지 여부도 쉽사리 구분할 수가 있게 된다. 이로 인해, 개인 창작물이 정품 컨텐츠처럼 판매 내지 거래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That is, the genuine content supplied by the content producer is provided with the work code and distribution code, and the content provided by the individual creator is combined with the creative code. Or it can be easily distinguished whether it is a personal creation provided by individual creator. This may prevent personal creations from being sold or traded like genuine content.
본 발명에 따른 편집물 업로딩 관리 모듈(150)은 특정 유저가 업로딩한 컨텐츠에서 창작코드 및 통합 회원 코드가 발견되었을 경우, 즉 해당 컨텐츠는 개인 창작 컨텐츠를 누군가에 의하여 다운로드 받은 흔적이 남아 있다는 것이므로 제 3의 개인 회원에 의해 편집 처리된 일명 '편집물'인지 여부를 먼저 파악한 다음 편집물일 경우 편집 코드를 통합하여 편집물 등록을 허락할지 여부를 결정 처리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편집 여부 파악부(151), 승인 요청부(152), 승인 결정부(153), 편집 범위 파악부(154), 자동 승인 처리부(155), 편집 코드 생성부(156)로 구분되어 있다.Edit upload management module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f the creation code and the integrated member code is found in the content uploaded by a particular user, that is, the content is that the personal creative content downloaded by someone remains because the third First of all, whether the edit is processed by a personal member of the so-called 'edit' and then determine whether to allow editing registration by incorporating the edit code in the case of the edit, specifically, whether or not editing
즉, 특정 컨텐츠가 유저에 의하여 업로딩이 된 경우, 해당 컨텐츠가 창작코드 및 통합 회원 코드를 구비하고 있을 때 편집 여부 파악부(151)는 컨텐츠 파일 전반을 스캔하여 해당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던 복수 개의 창작코드(이 때, 통합 회원 코드의 스캔을 굳이 할 필요는 없음)가 모두 구비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바 만일 모두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편집된 것으로 인정을 한다.That is, when a specific content is uploaded by the user, when the corresponding content includes the creative code and the integrated member code, the editing
즉, 일부 발췌를 할 경우 복수 개의 창작코드 중 어느 하나라도 누락이 될 것이 예측되기 때문에 초기에 삽입하였던 창작코드에서 하나라도 누락이 되었을 때 이를 편집물로 인정을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f some excerpts are expected to be miss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reative codes, when one is missing from the original inserted creative code is recognized as an edit.
컨텐츠가 편집물인 것으로 인정이 되면, 곧바로 컨텐츠 DB 서버에 업로딩을 하는 것이 아니라 창작자에게 허락을 받는 절차를 밟도록 한다. 즉, 개인 창작 컨텐츠가 특정 유저에 의하여 새로이 편집이 된 경우, 편집이 된 상태 내지 원본의 변형 정도, 개인 창작 유저의 성향에 따라 최초 컨텐츠를 창작하였던 창작 유저가 자신의 개인 창작 컨텐츠의 변형을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If the content is recognized as an edit, it is not immediately uploaded to the content DB server, but the author is required to proceed with permission. That is, when a personal creative content is newly edited by a specific user, the creative user who created the original content according to the edited state, the degree of modification of the original, and the propensity of the personal creative user recognizes the modification of his personal creative content. Because you may not.
따라서 승인 요청부(152)는 특정 컨텐츠에 포함된 창작 코드에 수록되어 있는 신상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개인 창작 유저에게 이메일 내지 쪽지 등의 전자 매체를 통해 전송 처리하여 개인 창작 유저의 승인 여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refore, the
즉 컨텐츠를 창작한 개인 창작 유저(A)는 자신이 작성한 컨텐츠에 대한 기본적인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바, 이 컨텐츠를 편집 방식에 의하여 활용하고자 하는 B(또는 C의 경우 A 및 B/A 또는 B에게 승인을 받아야 함)가 컨텐츠를 수정/편집/추가/재배치할 경우 A에게 자동으로 승인 요청(쪽지, 이메일, SMS 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 individual creative user A who created the content has a basic copyright on the content he / she created, and he / she approves B (or C in the case of A and B / A or B) who wants to utilize the content by the editing method. If you modify / edit / add / redeploy the content, 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ask A for approval (note, e-mail, SMS, etc.).
승인 결정부(153)는 개인 창작 유저(A)에게 해당 편집물의 가공 상태를 승인 또는 반려할지 여부를 물어 편집물에 대한 업로딩 처리를 승인 또는 반려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승인이 된 경우에는 편집자의 정보가 수록된 편집 코드를 생성하여 해당 컨텐츠에 암호 처리하여 통합을 함과 동시에 업로딩을 허락하고, 반려가 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반려 사유가 무엇인지를 최초 창작 유저에게 물어 기록하고 것을 의무로 한 다음, 해당 편집물에 대한 업로딩을 반려 처리하도록 한다.If approved, the editor generates an edit code that contains the editor's information, encrypts the content, integrates it, permits uploading, and if returned, asks the original creative user what the specific reason for the return is. Then accept the uploading of the compilation.
그러나 일정기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개인 창작 유저가 편집 유저에 의한 승인 요청에 대한 답변(승인/반려)이 없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자동 승인 처리부(155)에서는 이를 자동 승인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However, even though a certain period has passed, when the individual creative user does not have an answer (approval / return) in response to the approval request by the editing user, the automatic
하지만, 무조건 자동 승인 처리를 하는 것보다는 자동 승인 여부 결정은 컨텐츠의 편집 범위에 따라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However, rather than performing automatic approval processing unconditionally, the automatic approval decision is made according to the editing scope of the content.
이 때, 우선적으로 컨텐츠가 편집(구체적으로는 일부 절단/변형/추가)이 되었는지 여부, 편집 범위가 어느 정도인지 여부를 기본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는바 이는 편집 범위 파악부(154)가 해당 컨텐츠에서 얼마나 많은 창작 코드를 보유하고 있는지 유무 판단을 함으로써 파악할 수가 있다. (즉, 창작 코드가 많을수록 편집 부분이 적다는 의미)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first understand whether the content has been edited (specifically, some cut / deformation / addition), and how much the edit range is. This is determined by the
구체적으로, 최초 개인 창작 컨텐츠가 가지고 있는 복수 개의 창작 코드를 편집 이후의 컨텐츠가 모두 포함하고 있는지 아니면 일부만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편집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In detail, the degree of editing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a plurality of creative codes included in the original personal creative content include all or only some of the post-editing content.
예를 들어, 최초의 개인 창작 컨텐츠에서 창작 코드를 7개로서 분할 삽입하였다 할 때, 편집물에서 7개의 창작 코드를 포함하고 있었다면 미리 준비된 기준에 의하여 어느 정도의 변형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식으로 각 코드의 포함 개수에 따라서 편집물의 편집된 수준이 어느 정도인가를 판단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For example, when inserting the creative code as seven pieces in the original personal creative content, if the edit includes seven creative code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degree of deformation is made according to the prepared criteria. This means that the edited level of the edi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des included.
편집 코드 생성부(156)는 상기 자동 승인 처리부(155) 내지 승인 결정부(153)에 의하여 편집물에 대한 업로딩 승인이 허락되었을 때 편집자의 신상 정보를 암호 처리하여 편집 코드를 생성한 다음, 이를 해당 컨텐츠에 암호화방식으로 통합 처리한 다음 상기 컨텐츠 DB 서버에 업로딩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edit
편집 코드는 상술한 창작코드와 유사한 방법으로 생성이 가능한데, 특히 편집 코드는 2차, 3차 편집과 같이 복수 회수의 편집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편집 코드가 생성되거나 기존 편집 코드에 부가되는 방식으로 신규 편집 코드를 생성할 수도 있고, 복수 회수의 편집이 이루어진 경우 복수 명의 창작자(편집자)에게 승인을 받게 될 수 있으며 특히 복수 명의 창작자/편집자에게 허락을 받게 될 경우에는 최종 편집된 컨텐츠에서 분할된 복수 개의 창작코드 내지 복수 회수의 편집 코드의 다량 포함 여부에 따라 해당 편집 코드 내지 창작 코드의 출처라 볼 수 있는 유저 1인에게만 승인을 받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Editing codes can be generated in a similar way to the above-described creative codes. In particular, editing codes can be edited a plurality of times such as secondary and tertiary editing, and thus a plurality of edit codes are generated or added to existing edit codes. It is possible to generate new editing code, or to receive approval from multiple creators (editors) when a plurality of edits have been made, especially when permission from multiple creators / editors is divided from the final edited content. Depending on whether a plurality of creative codes or a plurality of edit codes are included in a large amount, only one user who can be regarded as a source of the edit code or the creative code may be approved.
이러한 일련의 편집 단계를 거쳐, 편집이 승인된 컨텐츠는 2차적 저작물로서 자리매김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수익 분배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하여 창작 유저와 편집물을 제작한 편집자, 컨텐츠 유통사 사이에서 분배가 가능하다.Through this series of editing steps, the approved content can be positioned as a secondary work, and the revenue distribution can be set in various ways to be distributed between the creative user, the editor who produced the edit, and the content distributor. Do.
업로딩 제한 모듈(160)은 특정 컨텐츠에서 저작물 코드, 유통 코드가 없을 때 또는 창작 코드가 없을 때 해당 컨텐츠의 업로딩 자체를 제한하는 기능을 구비 한다.The uploading
즉,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에서 저작물 코드 및 유통 코드(또는 통합 회원 코드)가 있는 경우에는 컨텐츠 제작사에서 배급한 기성 컨텐츠, 창작코드가 있는 경우에는 개인 창작 컨텐츠로 구분하고 더 나아가 창작코드 및 통합 회원 코드가 있는 경우에는 이 컨텐츠가 편집물인지 여부를 파악하는바, 특히 창작코드는 있으나 통합 회원 코드가 없거나 저작물/유통 코드 내지 창작 코드가 없는 경우에만 불법 컨텐츠로 규정하여 업로딩 자체를 차단하도록 한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an asset code and distribution code (or integrated member code) in the content, it is classified into ready-made content distributed by the content producer and personal creative content if there is a creative code, and furthermore, the creative code and the integrated member code. If there is a content to determine whether this content is an edit, especially if there is a creative code but there is no integrated member code, or if there is no work / distribution code or creative code to define the illegal content to block uploading itself.
즉,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에서 창작코드, 통합 회원 코드가 모두 없는 경우를 저작물 코드 및 유통 코드를 받기 이전의 컨텐츠 제작/유통사 공급의 컨텐츠(결국 불법 컨텐츠임), 창작 코드가 없음과 동시에 저작물 코드 내지 유통 코드 중 어느 하나가 없는 경우에도 불법 컨텐츠, 저작물 코드/유통 코드가 있고 통합 회원 코드가 없는 경우에는 아직 다운로드 이전 상태의 컨텐츠 제작사에서 배급한 정품 컨텐츠, 창작코드가 있는 경우에는 개인 창작 컨텐츠, 창작 커드 및 통합 회원 코드가 모두 있는 경우에는 편집물인지 여부를 파악하는바, 이러한 다양한 코드는 단순히 코드 자체를 병렬적으로 단순하게 열거한 것이 아니라 컨텐츠 거래 시 복잡한 상황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엄격하게 정품 컨텐츠의 유통 인터페이스를 설립하는데 기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no creative code or integrated member code in the content, the content of the content production / distributor supply before receiving the work code and distribution code (which is illegal content in the end) and the work code are not included at the same time. If there is no distribution code, there is illegal content, asset code / distribution code, and there is no integrated membership code. If both the curd and unified member codes are present, they determine whether they are edits. These various codes are not simply a simple enumeration of the codes themselves in parallel, but more efficiently and strictly for the distribution of genuine content in complex situations when trading content.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rface To do this.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거나 아니면 스스로 제공할 수가 있고 특히 개인 창작 컨텐츠의 경우 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 건전한 자체 컨텐츠 창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Based o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ontents may be provided or provided on their own,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ersonally-created content, a foundation for protecting rights and interests may be provided to provide a sound environment for creating its own contents. can do.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의 정식 유통 확인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ormal distribution confirmation system of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의 정식 유통 확인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relationship for the formal distribution confirmation system of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에 포함된 여러 코드 및 컨텐츠 목록을 예시한 개념도.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list of various codes and content included i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작물 업로딩 관리모듈에서 제공하는 업로딩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ploading screen provided by the creation uploading managemen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업로딩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5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upload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컨텐츠 DB 서버 100: 컨텐츠 관리 서버 10: content DB server 100: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컨텐츠 거래 사이트 110: 컨텐츠 보유 모듈20: content trading site 110: content retention module
30: 회원 DB 서버 122: 통합 회원코드 생성 모듈30: member DB server 122: integrated member code generation module
40: 컨텐츠 유통 모듈 132: 컨텐츠 거래 모듈40: content distribution module 132: content transaction module
50: 저작물 관리 서버 140: 창작물 업로딩 관리 모듈50: asset management server 140: creation upload management module
60: 저작물 코드 생성모듈 150: 편집물 업로딩 관리 모듈60: asset code generation module 150: edit upload management module
70: 유통 코드 생성모듈 155: 자동 승인 처리부70: distribution code generation module 155: automatic approval processing unit
80: 코드 전송모듈 160: 업로딩 제한 모듈80: code transmission module 160: upload limiting module
90: 인증 모듈90: authentication modul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1814A KR100970909B1 (en) | 2009-12-28 | 2009-12-28 | System through on-line |
PCT/KR2010/005195 WO2011081273A1 (en) | 2009-12-28 | 2010-08-09 | System for verifying the legal distribution of cont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1814A KR100970909B1 (en) | 2009-12-28 | 2009-12-28 | System through on-li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70909B1 true KR100970909B1 (en) | 2010-07-16 |
Family
ID=4264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3181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70909B1 (en) | 2009-12-28 | 2009-12-28 | System through on-lin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970909B1 (en) |
WO (1) | WO2011081273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3922B1 (en) * | 2011-08-10 | 2013-05-13 | 한재철 | System for managing copyright using individual identifier code and method theref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2331A (en) * | 2003-02-12 | 2004-08-18 | 박재선 | Online approval method of between modifier and copyright holder about modification literary production |
KR20060121405A (en) * | 2005-05-24 | 2006-11-29 | (주) 솔빅스테크놀로지 | Content personal authentication tracking service system |
KR20080041168A (en) * | 2008-04-21 | 2008-05-09 | (주)엠아이티소프트 |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copyright information of contents and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78326A (en) * | 2006-10-02 | 2009-07-17 | 김영선 | Digital content registr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using UDL-based content identification system and its method |
-
2009
- 2009-12-28 KR KR1020090131814A patent/KR10097090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08-09 WO PCT/KR2010/005195 patent/WO201108127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2331A (en) * | 2003-02-12 | 2004-08-18 | 박재선 | Online approval method of between modifier and copyright holder about modification literary production |
KR20060121405A (en) * | 2005-05-24 | 2006-11-29 | (주) 솔빅스테크놀로지 | Content personal authentication tracking service system |
KR20080041168A (en) * | 2008-04-21 | 2008-05-09 | (주)엠아이티소프트 |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copyright information of contents and method thereof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3922B1 (en) * | 2011-08-10 | 2013-05-13 | 한재철 | System for managing copyright using individual identifier code and method theref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081273A1 (en) | 2011-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366022A1 (en) | Non-fungible token (nft) content identifier with split tracking | |
US20220374503A1 (en) | Non-fungible token (nft) authenticity protocol with fraud deterrent | |
US7765604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 |
US20100312810A1 (en) | Secure identification of music files | |
US20170116693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ecentralizing Commerce and Rights Management for Digital Assets Using a Blockchain Rights Ledger | |
US20060053080A1 (en) | Centralized management of digital rights licensing | |
US20060053079A1 (en) | User-defined electronic stores for marketing digital rights licenses | |
US20050004873A1 (en) | Distribution and rights management of digital content | |
US20200019677A1 (en) | Monitoring Playback of Media Content, Including Copyrighted Items | |
JP2008512752A (en) | User-only electronic store for buying and selling digital copyright licenses | |
CN105743903A (en) | Audio digital right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intelligent terminal and authentication server | |
US2005006054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ntent management and controlling copyright protection | |
US8386390B2 (en) | Right management device, terminal device, and right management system | |
KR100970909B1 (en) | System through on-line | |
Arnab et al. | Digital rights management-a current review | |
KR20190021887A (en) | Construction of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ing Big Data based database | |
US20240378602A1 (en)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reading payment fil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US20250173404A1 (en) | Systems and methods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 |
EP1643404A2 (en) | Distribution and rights management of digital content | |
De Filippi | Copyright Law in the Digital Environment: Private Ordering and the regulation of digital works | |
WO2024198042A1 (en) | Payment file generation and reading method and system, and storage medium | |
Son et al. | OTT Service Copyright Management Framework Using ODRL Based on Hyperledger Fabric | |
Ashtagi et al. | Blockchain-Based Music Streaming Services: A Novel Approach to Transparent Artist Control | |
Schmucker | Possibilities, Limitations, and the Future of Audiovisual Content Protection | |
HK1113608A (en) | Centralized management of digital rights licens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307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0713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