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647B1 -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male housing and female housing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male housing and female hous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5647B1 KR100955647B1 KR1020080028262A KR20080028262A KR100955647B1 KR 100955647 B1 KR100955647 B1 KR 100955647B1 KR 1020080028262 A KR1020080028262 A KR 1020080028262A KR 20080028262 A KR20080028262 A KR 20080028262A KR 100955647 B1 KR100955647 B1 KR 1009556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female
- male
- terminal
- connector assemb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31 signaling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수형 터미널(200)을 수용하는 수형 하우징(10)과, 암형 터미널(100)을 수용하는 암형 하우징(20)을 포함한다.
상기 수형 하우징(10)은, 외면에 제공되며 걸림부(150)를 포함하는 제1 외팔보 부재(15)를 포함한다. 상기 암형 하우징(20)은, 상기 외팔보 부재(15)의 걸림부(150)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피걸림부(27)를 포함하는 제2 외팔보 부재(25)를 포함한다.
커넥터 조립체, 리어 홀더, 외팔보 부재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le housing 10 for receiving the male terminal 200 and a female housing 20 for receiving the female terminal 100.
The male housing 10 includes a first cantilever member 15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and including a catching part 150. The female housing 20 includes a second cantilever member 25 including a caught portion 27 adapted to be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150 of the cantilever member 15.
Connector assembly, rear holder, cantilever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형 하우징과 암형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형 하우징과 암형 하우징을 손쉽게 착탈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male housing and a female hous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easily detachable male and female housings.
전기 신호를 연결하는 커넥터는, 수형 터미널이 수용되는 수형 하우징과, 암형 하우징이 수용되는 암형 하우징을 결합시켜서 수형 터미널과 암형 터미널이 서로 도전 가능하게 접속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electrical signal functions to couple the male housing in which the male terminal is accommodated and the female housing in which the female housing is accommodated so a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male terminal and the female terminal to each other.
그러나 수형 하우징과 암형 하우징을 서로 결합/해제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을 위해 해제했다가 결합할 때 불편한 점이 많이 있었다.However, the male housing and the female housing have a lot of inconveniences in that the coupling / disengagement structure of each other is complicated to release and combine for work.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결합 및 해제가 편리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such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which is easy to engage and disengage.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수형 터미널(200)을 수용하는 수형 하우징(10)과, 암형 터미널(100)을 수용하는 암형 하우징(20)을 포함한다.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수형 하우징(10)은, 외면에 제공되며 걸림부(150)를 포함하는 제1 외팔보 부재(15)를 포함한다. 상기 암형 하우징(20)은, 상기 외팔보 부재(15)의 걸림부(150)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피걸림부(27)를 포함하는 제2 외팔보 부재(25)를 포함한다.The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외팔보 부재(15) 및 제2 외팔보 부재(25)는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수형 하우징(10)의 배면에 장착되는 제1 리어 홀더(50)와 상기 암형 하우징(20)의 배면에 장착되는 제2 리어 홀더(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리어 홀더(50, 350)에는, 상기 수형 터미널(200) 및 암형 터미널(100)의 단부와 맞닿아 수형 터미널(200)과 암형 터미널(100)을 밀어 넣어 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돌기부(55, 56, 355, 35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상기 수형 하우징(10) 또는 암형 하우징(20)의 외벽에는 결합부(16, 17, 28, 2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리어 홀더(50, 350)에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피결합부(52, 53, 352, 353)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외팔보 부재와 제2 외팔보 부재가 서로 걸림 상태를 유지하고, 결합 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손쉽게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antilever member and the second cantilever member are held in a mutually locked state, and when the released state is released, the effect can be easily released.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1)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1)는 수형 하우징(10)과, 암형 하우징(20)과, 수형 하우징(10)에 수용되는 수형 터미널(200)과, 암형 하우징(20)에 수용되는 암형 터미널(100)과, 수형 하우징(10)의 배면에 장착되는 제1 리어 홀더(50) 및 암형 하우징(20)의 배면에 장착되는 제2 리어 홀더(350)를 포함한다. 제1 리어 홀더(50) 및 제2 리어 홀더(350)는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함께 설명할 때에는 리어 홀더(50, 350)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로 한다. 1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수형 하우징(10)은, 외벽부(11)와, 외벽부(11)의 내부에 제공되며 수형 터미널(200)이 수용되는 제1 수용부(12)로 구성된다. 외벽부(11) 중 상부에는 가이드부(14)와, 제1 외팔보 부재(15)와, 리어 홀더 결합 돌기(16, 17)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외팔보 부재(15)의 단부에는 걸림 후크(15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외팔보 부 재(15)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The
암형 하우징(20)은, 몸체부(21)와, 상기 수형 하우징(10)의 제1 수용부(12)로 삽입 가능한 복수 개의 제2 수용부(22)를 포함한다. 몸체부(21) 상부에는 제2 외팔보 부재(25)와, 리어 홀더 결합 돌기(28, 29)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외팔보 부재(25)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하는 연장암(26a, 26b)과 연장암(26a, 26b)의 끝에서 연장암을 연결하는 연결부(27)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외팔보 부재(25)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The
리어 홀더(50, 350)는, 홀더 몸체부(51, 351)와, 홀더 몸체부(51, 351)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며 슬롯(522, 533, 3522, 3533)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연장부(52, 53, 352, 353)와, 상기 홀더 몸체부(51, 351)로부터 연장하는 복수 개의 단자 접촉부(54, 354)를 포함한다. 각각의 단자 접촉부(54, 354)는 돌기(55, 355)를 포함한다.The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1)의 조립 상태에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in an assembled state of the
수형 하우징(10)과 암형 하우징(20)이 결합할 때에는, 암형 하우징(20)의 제2 수용부(22)가 수형 하우징(10)의 제1 수용부(12) 쪽으로 삽입되어, 수형 터미널(200)과 암형 터미널(10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가능하게 접촉한다. 그리고 암형 하우징(20)의 제2 외팔보 부재(25)가 수형 하우징(10)의 제1 외팔보 부재(15)에 닿으면서 아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다가, 연장부(27)이 걸림부(150)를 지나면 바로 상향으로 복원하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7)가 걸림부(150)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수형 하우징(10)과 암형 하우징(2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제1 외팔보 부재(15)를 위쪽으로 탄성 변형시키거나 제2 외팔보 부재(25)를 아래쪽으로 탄성 변형시켜서 연장부(27)와 걸림부(150) 사이의 결합 상태를 해제시킨 후에, 암형 하우징(20)을 뒤로 빼내면 간단하게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외팔보 부재(25)는 가이드부(14)를 따라서 안내된다.When the
리어 홀더(50, 350)의 단자 접촉부(54, 354)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암형 터미널(100)과 수형 터미널(200)의 단부에 접촉한다. 암형 터미널(100)에는 개구(120)이 형성되어 있는데, 암형 터미널(100)이 암형 하우징(20)에 수용될 때에는, 암형 하우징(20) 내부에 제공되는 랜스(24)가 이 개구(120)에 걸려서 암형 터미널(100)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수형 터미널(200)에도 개구(220)가 제공되며, 수형 터미널(200)이 수형 하우징(10)에 수용될 때에 수형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랜스(13)가 이 개구(220)에 걸려서 수형 터미널(200)의 위치를 유지시킨다.The
제2 리어 홀더(350)의 단자 접촉부(354)의 길이(l2)와 암형 터미널(100)의 단부에서 개구(120)까지의 거리 (l3)의 합이 암형 하우징(20)의 배면 단부에서 암형 터미널(100)의 개구(120)까지의 거리(l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거리 공식은 수형 하우징(10)쪽에 장착되는 제1 리어 홀더(50)에 대해서도 성립한다.The sum of the length l 2 of the
만약 암형 터미널(100)과 수형 터미널(200)이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지 않아서 접촉 상태가 불량하게 되더라도, 수형 하우징(10)과 암형 하우징(20)을 결합시킨 후에 리어 홀더(50, 350)를 끼워 넣어서 밀어 넣으면 리어 홀더(50, 350)의 단자 접촉부(54, 354)가 수형 터미널(200) 또는 암형 터미널(100)의 단부를 함께 밀어 넣기 때문에, 리어 홀더(50, 350)의 장착만으로도 자동적으로 암형 터미널(100)과 수형 터미널(200) 간의 안정적인 접촉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If the
리어 홀더(50, 350)가 수형 하우징(10)이나 암형 하우징(20)에 결합할 때에는, 연장부(52, 53, 352, 353)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522, 533, 3522, 3533)이 리어 홀더 결합 돌기(16,17,28,29)에 결합된다.When the
이상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개량, 변경 및/또는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 or drawings described above. And it should be clearly understood that improvements, modifications and / or modification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8262A KR100955647B1 (en) | 2008-03-27 | 2008-03-27 |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male housing and female hous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8262A KR100955647B1 (en) | 2008-03-27 | 2008-03-27 |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male housing and female hous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2963A KR20090102963A (en) | 2009-10-01 |
KR100955647B1 true KR100955647B1 (en) | 2010-05-06 |
Family
ID=41532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8262A Active KR100955647B1 (en) | 2008-03-27 | 2008-03-27 |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male housing and female hous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564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1653B1 (en) | 2015-08-24 | 2016-08-29 | 주식회사 신화콘텍 | Wire to wire connector assembl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47957B2 (en) * | 2014-01-14 | 2015-09-29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
KR102579303B1 (en) * | 2018-06-12 | 2023-09-1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nnector apparatus |
CN112310706B (en) * | 2019-07-23 | 2024-08-20 | 矢崎(中国)投资有限公司 |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
KR20220059757A (en) | 2020-11-03 | 2022-05-1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KR102736935B1 (en) * | 2023-09-19 | 2024-12-02 |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0849B1 (en) | 2004-01-05 | 2007-07-20 |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 A connector |
KR100790339B1 (en) | 2006-06-22 | 2008-01-0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Female connectors used in electric vehicles and male connectors connected to the female connectors |
-
2008
- 2008-03-27 KR KR1020080028262A patent/KR10095564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0849B1 (en) | 2004-01-05 | 2007-07-20 |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 A connector |
KR100790339B1 (en) | 2006-06-22 | 2008-01-0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Female connectors used in electric vehicles and male connectors connected to the female connector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1653B1 (en) | 2015-08-24 | 2016-08-29 | 주식회사 신화콘텍 | Wire to wire connector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2963A (en) | 2009-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736739B (en) | Connector with coupling device for stabilized latching | |
JP3121387U (en) | Connector and guide installation member | |
KR100955647B1 (en) |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male housing and female housing | |
US7128588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unlocking means | |
KR101072140B1 (en) | An electrical adapter for a connector having a retention latch | |
KR101337546B1 (en) | Connector terminal | |
CN212257885U (en) |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ing device | |
JP2008041664A (en) | connector | |
CN107017498A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CN103715571B (en) | Electric connector assembly | |
CN107492730B (en) | Terminal holding member for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
CN106887726B (en) | Clamping devices, electrical connectors and connector assemblies | |
EP2690717A1 (en) | Connector terminal | |
JP2011108576A (en) | Connector with holder | |
KR100966788B1 (en) | Rear holder used for connector assembly | |
CN104466472A (en) | Cable holder, plug typ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JP3168661U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215070740U (en) | connector assembly | |
WO2004105197A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atch means | |
CN115693267A (en) | Connector plug, butt joint structure thereof and electric connecting wire | |
KR101076153B1 (en) | Connector having an interlocking system | |
JP2015055732A (en) | Optical adapter and optical receptacle connector | |
CN219458191U (en) | Wire harness butt joint mechanism | |
TWI547026B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US10901154B2 (en) | Fiber optical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4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