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44151B1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synchronized website of wire, wireless internet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synchronized website of wire, wireless inter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151B1
KR100944151B1 KR1020080111204A KR20080111204A KR100944151B1 KR 100944151 B1 KR100944151 B1 KR 100944151B1 KR 1020080111204 A KR1020080111204 A KR 1020080111204A KR 20080111204 A KR20080111204 A KR 20080111204A KR 100944151 B1 KR100944151 B1 KR 100944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bile terminal
terminal
batch
pi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2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덕준
Original Assignee
(주) 민트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민트패스 filed Critical (주) 민트패스
Priority to KR1020080111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1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151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와 통상의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되는 PC 단말기가 동시에 접속되어, 모바일 단말기와 PC 단말기에서 생성된 데이터들을 하나의 서버, 웹사이트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에 의해 생성되는 그림파일을 중심으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PC 단말기는 물론 소형의 모바일 단말기에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제공하는 웹서비스에 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a server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a PC terminal connected to a server through a normal Internet ar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manage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C terminal in one server and a website.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b service for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providing various entertainment functions not only to a PC terminal but also to a small mobile terminal based on a picture file generated by a touch screen in a small mobile terminal. It is abou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소형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수작업으로 생성되는 그림파일 위주로 블로그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블로그에 각종 부가 데이터들이 그림 형식으로 업로드 되고 다운로드 되기에 적합하도록 하여, PC 단말기 뿐만 아니라, 별도의 키보드가 필요 없이 소형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용이하게 블로그에 정보를 업로드 하거나, 블로그의 정보를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웹사이트의 블로그를 소형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모바일 단말기에서 생성된 데이터들을 용이하게 업로드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작업으로 생성된 그림파일과, PC 단말기 등을 통해 직접 접속되어 입력되는 텍스트파일 모두가 하나의 웹사이트에서 관리되면서도, 모바일 단말기에서 별도의 키보드 없이도 모든 내용들을 용이하게 확인하고, 또한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 blog is formed mainly on a picture file generated by a user manually in a small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but also suitable for a variety of additional data uploaded and downloaded in a picture format to the blog, as well as a PC terminal Rather, it is possible to easily upload information to a blog or download information of a blog through a small mobile terminal without a separate keyboard.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heck the blog of the website in a small mobile terminal, and also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upload and arrange the data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heck all the content without a separate keyboard in the mobile terminal, even though all of the picture file manually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ext file that is directly input through the PC terminal, etc. are managed in one website It also has the effect of allowing uploads.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 생성 그림 기반 데이터의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Synchronized WebSite of Wire, Wireless Internet}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Mobile Device-Generated Picture-based Dat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Synchronized WebSite of Wire, Wireless Internet}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와 통상의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되는 PC 단말기가 동시에 접속되어, 모바일 단말기와 PC 단말기에서 생성된 데이터들을 하나의 서버, 웹사이트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에 의해 생성되는 그림파일을 중심으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PC 단말기는 물론 소형의 모바일 단말기에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제공하는 웹서비스에 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a server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a PC terminal connected to a server through a normal Internet ar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manage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C terminal in one server and a website.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b service for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providing various entertainment functions not only to a PC terminal but also to a small mobile terminal based on a picture file generated by a touch screen in a small mobile terminal. It is about.

최근 사용자가 직접 글, 사진, 동영상 등을 업로드 시켜 공유하는 블로그 사이트가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블로그 사이트는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자유롭게 컨텐츠를 저장하고 표출하는 웹사이트를 말한다. 최근의 블로그 사이트들은 사진, 동영상, 그림, 음성 등과 같이 그래픽 기반의 자료들을 중심으로 기능을 하고 있으 며, 통상 사용자는 촬영한 사진파일이나, 그린 그림파일을 PC 단말기를 통해 블로그 사이트에 접속하여 업로드 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PC 단말기의 특성상 블로그 사이트에는 다양한 파일과 함께 키보드를 이용하여 인쇄된 문자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업로드 시키고 있다.Recently, blog sites where users upload their own posts, photos, videos, etc., have gained great response. A blog site is a website that freely stores and expresses content according to its interests. Recent blog sites function mainly on graphic-based materials such as pictures, videos, pictures, and voices. In general, users upload and upload picture files or picture files drawn to blog sites through PC terminals. Was used. Due to the nature of PC terminals, blog sites upload data including various characters and printed characters using the keyboard.

최근에는 이러한 블로그 사이트를 PC 단말기 뿐만 아니라, 소형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 접속,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많아 지고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주로 휴대폰, PDA 등을 만히 사용하여 왔으며, PC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작은 미니기판이나, 가상의 화면 키보드를 이용하여, 각종 멀티미디어 자료의 검색과 함께 텍스트 등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access and utilize such blog sites through small mobile terminals as well as PC terminals. Mobile terminals have mainly used mobile phones, PDAs, and the like, and like a PC terminal, a small mini-substrate or a virtual screen keyboard is used to search for various multimedia data and input characters such as text.

그런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블로그 사이트의 접속이나 업로드, 다운로드 시에는, PC 단말기와 같이 여전히 텍스트 기반의 자료를 입력하게끔 하고 있다. 그렇다보니 소형의 모바일 단말기로서는 텍스트의 입력이 용이하지 않아,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접속을 통한 블로그 활용도는 겨우 블로그 내용을 확인하고 다운로드 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활발한 자료의 업로드와 같은 적극적인 활용은 미미한 수준이다.However, when accessing, uploading or downloading a blog site through a mobile terminal, text-based data is still input like a PC terminal. As a result, it is not easy to input text in a small mobile terminal. Therefore, blog utilization through wireless connection of mobile terminals is only at the level of checking and downloading blog contents, and active use such as active uploading of data is insignificant.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소형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수작업으로 생성되는 그림파일 위주로 블로그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각종 부가 데이터들이 그림 형식으로 업로드 되고 다운로드 되기에 적합한 모바일 단말기 생성 그림 기반 데이터의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log is formed around the picture file manually created by the user in a small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various additional data is uploaded in the picture forma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obile terminal-based data suitable for download.

본 발명은 소형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모바일 단말기에서 생성된 데이터들을 용이하게 업로드하여 배치될 수 있는 블로그 배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g layout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confirmed in a small mobile terminal, and can be easily uploaded and arranged in the data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작업으로 생성된 그림파일과, PC 단말기 등을 통해 직접 접속되어 입력되는 텍스트파일 모두가 모바일 단말기에서 보기 쉬운 구조로 저장, 배치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in which both a picture file manually generated in a mobile terminal and a text file directly input through a PC terminal and the like are stored and arranged in an easy-to-view structure in the mobil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모바일 단말기 및 PC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PC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접속모듈; 상기 단말기들의 정보를 인식하여 접속을 제어하는 인증모듈; 데이터 또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모듈; 주제가 되는 주 데이터와 상기 주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그림기반의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생성 데이터를 상기 인증모듈을 통한 인증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아 배치군으로 배치하고, 상기 생성 데이터에 대한 종 데이터 입력 시 상기 배치군으로 배치시켜 그림 기반 데이터를 생성하는 배치모듈; 및 모바일 단말기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 단말기를 통해 상기 생성 데이터에 종속하는 그림 또는 텍스트 형태의 종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가지는 웹사이트를 제공하며, 상기 생성 데이터 및 그림 기반 데이터를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모듈을 통해 저장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 단말기로 제공하는 관리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내에서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생성된 그림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생성 그림 기반 데이터의 통합 관리 시스템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C terminal connected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C terminal; An authentication module for controlling access by recogniz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s;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data or content; Aft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authentication module, the generated data including the main data to be the subject and the picture-based auxiliary data written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main data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arranged in a batch group, and A batch module for generating picture-based data by placing the batch data into the batch group when inputting slave data; And a web page having a web page corresponding to each of contents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web page capable of inputting the seed data in the form of a picture or text depending on the generated data through the mobile terminal or the PC terminal. And a management module for storing generated data and picture-based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hrough the storage module and providing the generated data and the picture-based data to the mobile terminal or the PC terminal, wherein the auxiliary data is a touch screen method within the mobile terminal. It is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mobile terminal-generated picture-based data, characterized in that the picture file generated by the user's manual.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생성되고, 상기 접속모듈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저장모듈을 통해 저장되는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내에서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생성된 그림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and received through the access module and stored through the storage module may be a picture file generated by a user's manual touch screen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상기 배치모듈은 배치군을 형성하며, 상기 하나의 배치군은: 주제가 되는 주 데이터가 표출되는 하나의 주 데이터부; 및 상기 주 데이터부에 종속된 데이터가 표출되는 보조 데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 데이터부 및 상기 보조 데이터부와 연계되어, 상기 주 데이터부와 상기 보조 데이터부를 중심으로 그림 또는 텍스트 형식의 종 데이터를 추가 입력받아 표출되는 종 데이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tch module forms a batch group, and the one batch group includes: one main data unit displaying main data as a subject; And an auxiliary data unit in which data dependent on the main data unit is displayed. The auxiliary data unit is connected to the main data unit and the auxiliary data unit and includes a picture or text type based on the main data unit and the auxiliary data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ecies data portion that is additionally received by the data expressed.

상기 배치모듈은: 상기 배치군의 주 데이터부 및 보조 데이터부에 따르는 종 데이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PC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종 데이터부에 순차적으로 상기 종 데이터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rrangement module may include: sequentially placing the slave data in the slave data unit when species data corresponding to the main data unit and the auxiliary data unit of the batch group is inpu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or the PC terminal. do.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접속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생성 데이터들을 상기 저장모듈로 업로드하여 저장시키고, 상기 배치모듈이 형성한 배치군에 상기 데이터들을 표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he generated data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is uploaded to the storage module and stored, and the data is displayed in a batch group formed by the batch module.

(1) 모바일 단말기의 접속시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를 받아 정당한 접속인지, 또는 등록된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인증단계; (2) 접속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새로운 배치군을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배치군의 주 데이터부 또는 보조 데이터부로 저장 및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생성 그림 기반 데이터의 통합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1) an authentication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pon conn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confirming whether the connection is valid or registered; (2)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nected mobile terminal to form a new batch group; (3) receiving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storing and displaying the data as a main data unit or an auxiliary data unit of the batch group; and providing the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generated picture-based data, comprising: do.

(1) 모바일 단말기의 접속시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를 받아 정당한 접속인지, 또는 등록된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인증단계; (2) 접속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기 형성된 배치군 중 요청된 배치군에 접속되는 단계; (3)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배치군에 포함된 데이터들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4)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기 형성된 상기 배치군 중 요청된 배치군에 포함된 종 데이터부로 저장 및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생성 그림 기반 데이터의 통합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1) an authentication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pon conn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confirming whether the connection is valid or registered; (2)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nected mobile terminal and accessing the requested batch group among the previously formed batch groups; (3) transmitting,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data included in the batch group to the mobile terminal; And (4) receiving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storing and displaying the data in a seed data unit included in the requested batch group among the previously formed batch groups. Provides an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상기 배치군에 저장 및 표출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내에서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생성된 그림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 of the mobile terminal stored and displayed in the batch group is a picture file generated by a user's manual operation in a touch screen manner in the mobile terminal.

PC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배치군을 형성하고, 상기 배치군에 주 데이터 또는 보조 데이터 또는 종 데이터를 입력하면, 배치모듈은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 및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necting to the server through a PC terminal to form a batch group, and when the main data or auxiliary data or species data are input to the batch group, the batch module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storing and displaying the input data. do.

PC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기 형성된 배치군을 로딩하고, 상기 배치군에 주 데이터 또는 보조 데이터 또는 종 데이터를 입력하면, 배치모듈은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 및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necting to the server via a PC terminal, loading the previously formed batch group, and inputting main data, auxiliary data or species data into the batch group, the batch module further includes storing and displaying the input data. It features.

선택된 배치군의 주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 데이터에 연결된 보조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 데이터에 연결된 종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ransmitting main data of the selected batch group to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auxiliary data connected to the main data to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longitudinal data connected to the main data to the mobile terminal; Each of the steps may be performed only when the corresponding data exists according to the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소형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수작업으로 생성되는 그림파일 위주로 블로그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블로그에 각종 부가 데이터들이 그림 형식으로 업로드 되고 다운로드 되기에 적합하도록 하여, PC 단말기 뿐만 아니라, 별도의 키보드가 필요 없이 소형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용이하게 블로그에 정보를 업로드 하거나, 블로그의 정보를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 blog is formed mainly on a picture file generated by a user manually in a small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but also suitable for a variety of additional data uploaded and downloaded in a picture format to the blog, as well as a PC terminal Rather, it is possible to easily upload information to a blog or download information of a blog through a small mobile terminal without a separate keyboard.

본 발명은 웹사이트의 블로그를 소형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모바일 단말기에서 생성된 데이터들을 용이하게 업로드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heck the blog of the website in a small mobile terminal, and also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upload and arrange the data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작업으로 생성된 그림파일과, PC 단말기 등을 통해 직접 접속되어 입력되는 텍스트파일 모두가 하나의 웹사이트에서 관리되면 서도, 모바일 단말기에서 별도의 키보드 없이도 모든 내용들을 용이하게 확인하고, 또한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heck all the contents without a separate keyboard on the mobile terminal, even though all of the picture file manually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ext file that is directly input through the PC terminal, etc. are managed in one website And also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upload.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조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200)은 서버와 통합관리 웹사이트를 포함하여, 이 시스템에는 모바일 단말기(100)와 PC 단말기(300)가 접속 가능하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WIFI, WIBRO와 같은 무선랜 접속 방식에 의해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며, PC 단말기는 통상의 인터넷을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이 가능하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system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website, and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PC terminal 300 can be connected to the system.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by a wireless LAN connection method such as WIFI and WIBRO, and the PC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a website through a normal Internet.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 구조를 블럭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은 접속모듈(210), 인증모듈(220), 관리모듈(230), 접속모듈(240), 저장모듈(250), 연결모듈(260), 배치모듈(270), 업로드모듈(280)을 포함한다.2 shows a block diagram of the system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2, the system is a connection module 210, authentication module 220, management module 230, connection module 240, storage module 250, connection module 260, batch module 270, The upload module 280 is included.

접속모듈(210)은 통신망으로 무선 모바일 단말기(100)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부분이고, 또 다른 접속모듈(240)은 PC 단말기(300)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The connection module 210 is a part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nother connection module 240 is a part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with the PC terminal 300.

인증모듈(220)은 무선 모바일 단말기(100)의 네트워크 접속시에, 단말기 정 보나 가입자 정보를 자동으로 체크하여 인증하는 기능을 하며, 인증이 된 경우에만 해당 시스템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authentication module 220 functions to automatically check and authenticate the terminal information or subscriber information when the wireless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authentication module 220 allows access to the corresponding system only when authentication is performed.

관리모듈(230)은 각 단말기로부터의 요청 신호에 따른 시스템의 각종 기능 제어를 하는 제어부분이다.The management module 230 is a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various functions of the system according to a request signal from each terminal.

저장모듈(250)은 데이터베이스에 자료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부분이다.The storage module 250 stores data in a database and downloads the stored data.

연결모듈(260) 접속된 단말기나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배치군 데이터의 연결정보를 보관하고, 이 연결정보에 따라 각 단말기로 연결된 배치군 데이터를 로딩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후술할 다수의 배치군 자료 정보 중, 연결모듈(260)에 의해 설정, 저장되어 있는 배치군을 리스트로 제공함으로써 용이한 접근,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connection module 260 stores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preset batch group data according to the connected terminal or user information, and loads batch group data connected to each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nection information. That is, among a plurality of batch group data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it provides a list of batch groups that are set and stored by the connection module 260 to enable easy access and verification.

배치모듈(270)은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배치군을 형성하고, 형성된 배치군에 주 데이터, 보조 데이터, 종 데이터(주 데이터, 보조 데이터 및 종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그림 기반 데이터" 또는 "배치군 데이터"라 한다) 등을 업로드 하는 역할을 한다.The batch module 270 receives data from the terminal to form a batch group, and includes the data including the main data, the auxiliary data, the species data (the main data, the supplementary data, and the species data in the formed batch group as "picture-based data" or " "Is called batch group data").

업로드모듈(280)은 모바일 단말기가 커넥터를 통해 유선 연결된 경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특정 데이터들을 업로드 받는 기능을 한다.The upload module 280 functions to receive specific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wired through the connecto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치군 형성 또는 배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다수의 데이터를 업로드 받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batch group formation or arrange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uploading a plurality of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모바일 단말기(100)를 PC 단말기(300)에 커넥터 등을 통해 연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들이 업로드모듈(280)을 통해 업로드 된다. 먼저 모바일 단말기(100)가 접속됨을 감지하면(S101), 인증모듈(220)은 모바일 단말기(100) 측으로 접속에 응답하는 동시에 인증정보를 요청한다(S102). 시리얼번호, 제품번호나 아이디, 비밀번호 등과 같은 인증정보가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면(S103) 인증모듈(220)은 이를 검증한 후, 인증결과를 전송하고(S104), 모바일 단말기(1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주제가 되는 주 데이터 및 상기 주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그림 기반의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생성 데이터들을 전송받는다(S106). 전송된 생성 데이터들은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여, 저장하면서, 배치모듈(270)에 의해 배치군을 형성하거나, 배치군 내에 특정 방식으로 배치되어, 저장, 표출된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PC terminal 300 through a connector or the like, data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s uploaded through the upload module 280. Firs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S101), the authentication module 220 request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to the mobile terminal 100 (S102). Whe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ch as serial number, product number or ID, password, etc.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S103), the authentication module 220 verifies this, and then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result (S104), the mobile terminal 100 Generation data including main data, which is a subject stored in the drawing, and auxiliary data based on drawings created by a user, are transmitted to the main data (S106). The generated generated data are stored by updating the existing database and forming a batch group by the batch module 270 or arranged in a specific manner in the batch group, and stored and displayed.

이 때 저장되는 데이터들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터치펜 등으로 긁어서 점, 선, 면 등을 조합하여 형성한 그림파일을 주로 포함하며, 이 그림파일들은 날짜별로 업로드 되어 날짜별 배치군에 따라 저장되고, 웹사이트에서 동시에 확인되도록 보여진다.At this time, the stored data mainly includes a picture file formed by combining dots, lines, and surfaces by a user scraping with a touch pen through a touch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picture files are uploaded by date Stored according to star batches and viewed simultaneously on the website.

모바일 단말기(100) 사용자는 시스템에 접속되어, 업로드된 자료들을 순차적으로 확인해 볼 수도 있다.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access the system and check the uploaded materials sequentially.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치군 형성 또는 배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증결과 전송 이전 단계(S201~S205) 까지는 이전과 동일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연결모듈(260)을 통해 미리 연결이 된 기설정 배치군 데이터나 그 대표명칭을 목록 방식으로 전송한다(S206). 4 is a view showing a batch group formation or arrangement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4, before the authentication result transmission step (S201 ~ S205) is the same as before, when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nection is made in advance through the connection module 260 The set batch group data and its representative name are transmitted in a list method (S206).

즉, 사용자가 시스템에서 다른 사람의 블로그를 미리 구독신청하면, 연결모듈(260)은 이 신청 사항을 기억하고 있다가, 해당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가 로그인되면, 연결모듈(260)은 이 블로그들의 제목이나, 사용자명 등을 리스트로 제공한다.That is, when a user subscribes to another person's blog in the system in advance, the connection module 260 remembers the application, and when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is logged in, the connection module 260 reads the request. It provides a list of blog titles and usernames.

이 때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0)에 표시된 블로그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블로그를 선택하면, 해당 블로그의 배치군에 포함된 주 데이터들이 우선적으로 표출된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의 조작에 따라, 주 데이터에 부속된 보조 데이터와, 해당 주 데이터와 보조 데이터에 부속된 종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06).At this time, if the user selects any one blog from the list of blog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ain data included in the batch group of the blog is displayed first. Furth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auxiliary data attached to the main data and the slave data attached to the main data and the auxiliary data are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S206).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해당 블로그 리스트의 배치군에, 주 데이터, 보조 데이터 또는 종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다(S208).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upload the main data, the auxiliary data or the slave data to the batch group of the blog list (S208).

이때 배치군은 하나의 주 데이터가 저장, 표출되는 주 데이터부, 하나의 보조 데이터가 저장, 표출되는 보조 데이터부를 구비하고, 이에 대해 본인 또는 제3자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 가능한 하나 이상의 종 데이터가 저장, 표출되는 종 데이터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데이터부의 3가지 분류는 터치 스크린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그림파일 위주로 쉽게 표출되고,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서 제공되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batch group includes a main data unit in which one main data is stored and displayed, and an auxiliary data unit in which one auxiliary data is stored and displayed, and one or more types of data that can be input through the terminal of a person or a third party are stored. And a seed data portion to be expressed. The three classifications of the data unit are provided as a structure for easily displaying and using picture files in the touch screen-based mobile terminal 100,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치군 데이터 저장 및 표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블로그가 선택되면, 해당 블로그의 최신 배치군에 포함된 주 데이터가 전송되거가 그 리스트가 전송되어 모바일 단말기(100)에 표출된다(S301). 주 데이터의 리스트가 전송된 경우에는 선택과정을 추가로 거쳐서(S302), 주 데이터가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되고, 모바일 단말기(100)의 조작에 따라, 주 데이터에 연결된 보조 데이터가 전송되거나(S304), 종 데이터가 전송된다(S305). 5 is a view showing a batch group data storage and display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when a specific blog is selec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ain data included in the latest batch group of the blog is transmitted or the list is transmitted and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S301). When the list of main data is transmitted, the selection process is further performed (S302), and the main data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uxiliary data connected to the main data is transmitted or (S304), the slave data is transmitted (S305).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사진을 찍거나, 터치 스크린으로 간단한 그림을 그리거나, 메모를 한 경우, 사진파일 또는 터치 스크린에 의한 그림파일은 주 데이터 또는 보조 데이터 또는 종 데이터로서 시스템으로 전송된다(S307).When taking a picture in the mobile terminal 100, drawing a simple picture on the touch screen, or taking a note, the picture file or the picture file by the touch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system as main data or auxiliary data or slave data (S307). ).

만약 신규의 주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것이면, 배치모듈은 새로운 배치군을 형성하여 주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순차적으로 보조 데이터와 종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If uploading new main data, the batch module forms a new batch group to upload the main data, and sequentially forms a space for uploading the auxiliary data and the species data.

만약 기존에 주 데이터와 보조 데이터가 저장된 상태의 배치군을 선택하여 종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것이라면, 기존의 배치군 중 종 데이터가 배치되는 종 데이터부에 해당 데이터를 업로드 한다.If uploading the seed data by selecting a batch group in which the main data and the auxiliary data are previously stored, upload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seed data portion in which the seed data is placed among the existing batch groups.

업로드 및 저장이 완료된 후에는, 저장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배치결과를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308).After uploading and storing is completed, the batch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so as to check the stored contents (S308).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치군을 형성하고 주 데이터, 보조 데이터를 배치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주 데이터 및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면(S401), 배치모듈(270)은 주 데이터부, 보조 데이터부 및 종 데이터부를 포함하는 배치군을 새로이 형성한다(S402, S403). 경우에 따라서는 주 데이터 업로드 요청을 먼저 입력받고 배치군을 먼저 형성한 후에, 주 데이터 및 보조 데이터를 업로드 받을 수도 있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batch group and arranging main data and auxiliar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when the main data and the auxiliary data ar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S401), the batch module 270 newly forms a batch group including the main data part, the auxiliary data part, and the slave data part ( S402, S403). In some cases, a primary data upload request may be input first, a batch group may be formed first, and then primary and auxiliary data may be uploaded.

배치군에는 업로드된 주 데이터 및 보조 데이터가 각각 주 데이터부 및 보조 데이터부에 배치된다. 이후 해당 배치군에서는 종 데이터를 입력받게 된다.In the batch group, uploaded main data and auxiliary data are arranged in the main data portion and the auxiliary data portion, respectively. The batch will then receive species data.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주 데이터와 보조 데이터가 수작업에 의해 그림파일로 생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해 촬영된 건물 사진 A는 사진파일로서 저장되고, 이 때 a 에서 a'와 같은 방향의 신호를 모바일 단말기(100)에 입력하면, 터치스크린(110) 상에는 그림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입력모드가 실행된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main data and auxiliary data are manually generated as a picture file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building picture A take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is stored as a picture file. At this time, when a signal in a direction such as a to a 'is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touch screen 110 is displayed. ), The input mode to create a picture file is executed.

사용자가 터치펜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점, 선, 면, 글씨 등을 가압하여 B와 같이 기재하면, 해당 내용은 그림파일 형식으로 저장된다.If a user presses a dot, line, face, or letter by hand using a touch pen and writes it as B, the content is stored in a picture file format.

이러한 사진파일은 주 데이터이고, 사진파일에 연계된 보조 내용은 보조 데이터로서, 주 데이터와 보조 데이터는 하나의 세트로 연동되어 움직인다.The photo file is main data, and the auxiliary content associated with the photo file is auxiliary data, and the main data and the auxiliary data move together in one set.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여, 새로운 주 데이터 업로드 요청 신호를 발송하면, 배치모듈(270)은 블로그 내에 새로운 배치군을 형성하고, 주 데이터인 사진파일은 주 데이터부에, 보조 데이터인 메모 그림파일은 보조 데이터부에 배치, 표출시킨다.When the user connects to the system via the mobile terminal 100 and sends a new main data upload request signal, the batch module 270 forms a new batch group in the blog, and the photo file as the main data is stored in the main data section. The memo picture file, which is auxiliary data, is placed and displayed in the auxiliary data section.

도 8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생성된 주 데이터와 보조 데이터가 업로드 되어 배치군이 형성되고, 주 데이터와 보조 데이터가 배치, 저장, 표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측 왼쪽에 주 데이터부 A에는 사진파일이 업로드 되어 있고, B에는 해당 사진파일에 연동되는 보조 데이터가 업로드 된다. 하측에는 상기 주 데이터와 보조 데이터에 대해 댓글 형식으로 입력이 가능하도록 종 데이터부(D)가 배치된다. 종 데이터부에는 PC 단말기를 통해 텍스트 댓글이 입력되거나,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해 마찬가지의 그림파일 등이 업로드 되도록 할 수도 있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tch group is formed by uploading main data and auxiliary data generated by a mobile terminal, and the main data and auxiliary data are arranged, stored, and displayed. Referring to FIG. 8, a picture file is uploaded to the main data unit A on the upper left side, and auxiliary data linked to the picture file is uploaded to B. FIG. At the lower side, the slave data unit D is arranged to enable input of the main data and the auxiliary data in the form of a comment. The text data may be input to the slave data unit through a PC terminal, or the same image file may be upload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도 9는 기 형성된 배치군에 종 데이터가 입력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종 데이터부에 3개의 종 데이터가 업로드 되어 있는데, C'은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해 접속한 제3자의 데이터가 업로드 된 것이고, C''는 제3자가 해당 블로그를 PC 단말기를 통해 웹사이트에 직접 접속하여 키보드로 입력한 데이터이다. C'''는 블로그 관리자가 마찬가지 방법으로 종 데이터를 형성하여 입력한 것이다. 비어 있는 D 부분은 종 데이터부에 종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이다. PC 단말기 사용자는 종 데이터부의 입력부 D를 클릭하면,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이 종료되면 종 데이터부에 저장된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species data is input to a previously formed batch group. Referring to Figure 9, three species data is uploaded to the servant data portion, C 'is the data of the third party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is uploaded, C' 'is a third party blog Data entered by the keyboard by directly accessing the website through a PC terminal. C '' 'is the blog manager's inputting the bell data in the same way. The empty part D i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species data into the species data portion. When the PC terminal user clicks on the input unit D of the slave data unit, the user can input text, and when the input is completed, the PC terminal user stores the text.

도 10은 2 이상의 배치군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나의 블로그에는 다수의 배치군이 계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림파일 기반의 블로그로서 소형의 모바일 단말기(100)에 용이하게 표출되기 위해서는, 각 배치군은 주 데이터부, 보조 데이터부 및 종 데이터부를 갖고, 각 데이터부는 그림파일 중심으로 업로드가 용이하도록 한다.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two or more placement groups. Referring to FIG. 10, a plurality of batch groups are continuously formed in one blog. In order to be easily displayed on the small mobile terminal 100 as a blog based on a picture file, each batch group has a main data part, an auxiliary data part, and a slave data part, and each data part is easy to upload around the picture file.

F1과 F2는 각각의 배치군이고, 각 배치군에는 주 데이터부(A), 보조 데이터부(B) 및 종 데이터부(C)가 구비된다. 각데이터부에는 그림파일이 업로드 되며, PC 단말기 접속자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도 있다.F1 and F2 are each batch group, and each batch group is provided with the main data part A, the auxiliary data part B, and the slave data part C. As shown in FIG. Picture files are uploaded to each data section, and PC terminal users can enter text.

이러한 구조의 블로그는, 모바일 단말기(100) 사용자가 접속하면, 먼저 주 데이터부(A)를 화면 전체에 보여주고, 추후 입력 신호에 따라 보조 데이터(B)나 종 데이터(C)의 그림파일, 텍스트파일들을 단말기의 전체 스크린에 하나씩 보여준다.The blog of such a structure, whe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first shows the main data portion (A) on the entire screen, and later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signal, a picture file of the auxiliary data (B) or species data (C), Display text files one by one on the entire screen of the terminal.

이러한 그림파일 위주의 간단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는 복잡한 텍스트 입력 절차 없이, 그때 그때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메모, 그림 등의 그림파일을 형성하고, 이는 각 배치군 별로 화면에 표현되도록 저장, 표출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쉽게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블로그를 운용할 수 있게 된다.Through such a simple file-oriented interface, the mobile terminal user forms a picture file such as a memo, a picture, etc. using a touch screen at that time without complicated text input procedure, which is stor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for each batch group. By being presented, the user can more easily manage the blog through the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조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 구조를 블럭도로 나타낸 것이다.2 shows a block diagram of the system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치군 형성 또는 배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batch group formation or arrange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치군 형성 또는 배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batch group formation or arrangement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치군 데이터 저장 및 표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batch group data storage and display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치군을 형성하고 주 데이터, 보조 데이터를 배치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batch group and arranging main data and auxiliar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주 데이터와 보조 데이터가 수작업에 의해 그림파일로 생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main data and auxiliary data are manually generated as a picture file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생성된 주 데이터와 보조 데이터가 업로드 되어 배치군이 형성되고, 주 데이터와 보조 데이터가 배치, 저장, 표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tch group is formed by uploading main data and auxiliary data generated by a mobile terminal, and the main data and auxiliary data are arranged, stored, and displayed.

도 9는 기 형성된 배치군에 종 데이터가 입력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species data is input to a previously formed batch group.

도 10은 2 이상의 배치군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two or more placement groups.

Claims (11)

모바일 단말기 및 PC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PC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접속모듈;A connection modul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and a PC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C terminal;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를 인식하여 접속을 제어하는 인증모듈;An authentication module for controlling access by recognizing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데이터 또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모듈;A storage module for storing data or content; 주제가 되는 주 데이터와 상기 주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그림기반 데이터를 포함하는 생성 데이터를 상기 인증모듈을 통한 인증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아 배치군을 생성 또는 배치군으로 배치하고, 상기 생성 데이터에 대한 종 데이터 입력 시 상기 배치군으로 배치시키는 배치모듈; 및After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main data to be the subject and the picture-based data created by the user for the main data through the authentication modul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generate or arrange the batch group to the batch group, the generation A batch module for placing the seed data into the batch group when inputting the seed data for the data; And 모바일 단말기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 단말기를 통해 상기 생성 데이터에 종속하는 그림 또는 텍스트 형태의 종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가지는 웹사이트를 제공하며, 상기 배치모듈에 의해 배치된 상기 생성 데이터 및 그림기반 데이터를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모듈을 통해 저장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 단말기로 제공하는 관리모듈과;And a web page having a web p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ntents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web page for inputting the seed data in the form of a picture or text depending on the generated data through the mobile terminal or the PC terminal. A management module for storing the generated data and the picture-based data arranged by the module through the storage module in correspondence to the corresponding contents and then providing the generated data and the picture-based data to the mobile terminal or the PC terminal;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되,Including; touch screen, 상기 그림기반 데이터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생성된 그림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생성 그림 기반 데이터의 통합 관리 시스템.The picture-based data is a mobile terminal generated picture-based data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icture file generated by the user's manual operation via the touch scre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치군은, 상기 주 데이터를 표출하는 주데이터부와, 상기 종 데이터를 표출하는 보조 데이터부를 포함하고,The batch group includes a main data portion for expressing the main data and an auxiliary data portion for expressing the seed data, 상기 배치모듈은, 상기 배치군의 주 데이터부에 종속된 종 데이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PC 단말기를 통해 추가 입력되는 경우,The batch module, when the slave data dependent on the main data portion of the batch group is additionally inpu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or the PC terminal, 상기 보조 데이터부에 순차적으로 상기 종 데이터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생성 그림 기반 데이터의 통합 관리 시스템.And the slave data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auxiliary data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1) 인증모듈이 접속모듈을 통한 모바일 단말기의 접속시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를 받아 등록된 가입자의 접속인지, 또는 등록된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인증단계;(1) an authentication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authentication module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t the time of access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access module and confirms whether or not the registered subscriber is connected or registered; (2) 배치모듈이 접속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주 데이터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생성된 그림 파일인 그림기반 데이터를 포함하는 생성 데이터를 접속모듈을 통해 입력받아 새로운 배치군을 형성하는 배치단계;(2) A batch forming a new batch group by receiving generated data including main data and picture-based data, which is a picture file generated by a user's manual operation, from a mobile terminal to which a batch module is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module. step; (3) 저장모듈이 상기 생성 데이터를 상기 배치군에 저장하는 저장단계;(3) a storage step of storing, by the storage module, the generated data in the batch group; (4) 관리모듈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배치군에 포함된 생성 데이터들을 상기 접속모듈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 단말기로 전송하는 표출단계; 및(4) an expression step of the management module transmitting the generated data included in the batch group to the mobile terminal or the PC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module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5) 상기 배치모듈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 데이터에 종속하는 종 데이터를 전송받아, 기 형성된 배치군들 중 상기 주 데이터가 배치된 배치군에 포함된 종 데이터부에 저장하는 그림 기반 데이터 저장단계;(5) The batch module receives the seed data dependent on the main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or the PC terminal, and stores the seed data in the seed data portion included in the batch group in which the main data is arranged among the previously formed batch groups. Based data storage step; (6) 상기 관리모듈이 상기 저장된 그림 기반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 단말기로 표출하는 그림 기반 데이터 표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생성 그림 기반 데이터의 통합 관리 방법.And (6) a picture-based data display step of displaying, by the management module, the stored picture-based data to the mobile terminal or a PC terminal.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배치모듈은,The batch module,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 단말기로부터 새로운 배치군에 대한 주 데이터 또는 보조 데이터 또는 종 데이터가 추가 입력되면,When the main data or auxiliary data or species data for a new batch group is additionally input from the mobile terminal or the PC terminal, 입력된 상기 데이터들을 상기 배치군으로 저장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PC 단말기로 저장된 다수의 배치군들을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생성 그림 기반 데이터의 통합 관리 방법.And storing the inputted data into the batch group, and then displaying a plurality of batch group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or the PC terminal.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그림 기반 데이터 표출 단계는,The picture-based data presentation step, 상기 기 형성된 배치군들 중 선택된 배치군의 주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main data of a selected batch group among the previously formed batch groups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주 데이터에 연결된 그림기반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picture-based data connected to the main data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주 데이터에 연결된 종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생성 그림 기반 데이터의 통합 관리 방법.And transmitting the slave data connected to the main data to the mobile terminal, wherein each step is transmitted only when the corresponding data exists according to a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How to manage integrated picture-based data.
KR1020080111204A 2008-11-10 2008-11-1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synchronized website of wire, wireless internet Expired - Fee Related KR1009441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204A KR100944151B1 (en) 2008-11-10 2008-11-1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synchronized website of wire, wireless inter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204A KR100944151B1 (en) 2008-11-10 2008-11-1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synchronized website of wire, wireless intern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4151B1 true KR100944151B1 (en) 2010-02-24

Family

ID=4208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20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4151B1 (en) 2008-11-10 2008-11-1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synchronized website of wire, wireless inter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15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929A (en) * 2003-11-24 2005-05-27 (주)포맨비즈 Multi media memory card transfer and printing system
KR20080019614A (en) * 2005-06-10 2008-03-04 티-모바일 유에스에이, 인크. Preferred Contact Group Centered Interfa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929A (en) * 2003-11-24 2005-05-27 (주)포맨비즈 Multi media memory card transfer and printing system
KR20080019614A (en) * 2005-06-10 2008-03-04 티-모바일 유에스에이, 인크. Preferred Contact Group Centered Inte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5125B2 (en) Distribution of dynamic structured content
CN104036161B (en) Manage the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of the User logs in of the application based on cloud
CN105849689B (en) For providing the system and method for cloud print service
CN101957856A (en) Authentication and personal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thereof and server
CN105142011A (en) Web-based television terminal multi-screen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KR20230003228A (en) Document sharing processing methods, devices, devices, media and systems
CN104702665A (en) Information sharing method and information sharing device
JP2008305104A (en) Comment distribution system, server, terminal equipment, comment distribution method, comment display method and program
CN113742601A (en) Content shar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17893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ion in virtual space
KR20120023691A (en) Automated content submission to a share site
US20130125023A1 (en)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application information
WO2014155548A1 (en) Terminal device, program, data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KR100926780B1 (en) Wired and wireless widget service system and method
US10021082B2 (en) Integration of form and file services
US11381616B2 (en) Multimedi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remotely hosted content
KR1009441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synchronized website of wire, wireless internet
JP2013164666A (en) Portlet processing device, portal server, portal system, portlet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9034689A (en) Correlating method, device and the storage medium of logistics information
JP2016040652A (en) Document output device and document output method
KR201201345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book shelf
JP6327551B2 (en) Data management device, data distribution system
JP72256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KR20170049739A (en) System and Application For Producing Electronic Catalog
JP6128503B1 (en) Program,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s related to electronic manu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2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