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547B1 - Surveillance system - Google Patents
Surveillanc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7547B1 KR100937547B1 KR1020047012782A KR20047012782A KR100937547B1 KR 100937547 B1 KR100937547 B1 KR 100937547B1 KR 1020047012782 A KR1020047012782 A KR 1020047012782A KR 20047012782 A KR20047012782 A KR 20047012782A KR 100937547 B1 KR100937547 B1 KR 1009375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entral processing
- processing unit
- alarm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4—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a single signalling line, e.g. in a closed loop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6—Network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WAN, LAN, Internet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08B13/19645—Multiple cameras, each having view on one of a plurality of scenes, e.g. multiple cameras for multi-room surveillance or for tracking an object by view hand-over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8—Telephone systems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PSTN, GSM, PO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91—Signalling events for better perception by user, e.g. indicating alarms by making display brighter, adding text, creating a soun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97—Arrangements wherein non-video detectors generate an alarm themselv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예로서, 주거에서의 범죄를 방지하기에 적합한 감시 시스템은, 소정의 감시점이 정상 상태인지 또는 비정상 상태인지를 감시하기 위한 복수의 단말기(31, 32, ...)와, 단말기(31, 32, ...)의 경계 동작의 설정/해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10)를 포함하고 있다. 중앙처리장치(10)는 단말기로부터 정상/비정상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단말기에 지령을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단말기는 중앙처리장치에 정상/비정상 상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와 복수의 단말기 간에 쌍방향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기(31, 32, ...)는, 긴급 시에 동작하여 호출하거나 통지하는 긴급 콜 유닛을 구비한 단말기와, 비정상 상태의 발생 통지가 소정의 피연락처에 의해서 접수된 것을 나타내는 통지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 monitoring system suitable for preventing crime in a residential area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31, 32, ... for monitoring whether a predetermined monitoring point is a normal state or an abnormal state, and a terminal 31, 32.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10 for controlling the setting / release operation of the boundary opera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is provided with communication means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normal / abnormal condition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including instructions to the terminal. Each terminal is provided with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normal / abnormal condition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lso receiv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us,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can be realized. The plurality of terminals 31, 32, ... are provided with a terminal having an emergency call unit which operates and calls or notifies in an emergency, and notification means indicating that an abnormal state occurrence notification has been received by a predetermined contact. It may also include a terminal having a.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앙처리장치 및 단말로써 비정상 상태의 발생을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주거 내에서의 범죄를 방지하는 데에 적합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occurrence of an abnormal state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nitoring system suitable for preventing crime in a residence.
최근, 증가하는 절도 범죄에 대처하기 위하여, 주거 내의 감시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침입 등을 감시하는 종래의 감시 시스템은 침입자를 탐지하는 복수의 센서 단말기와 경보를 발령하는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In recent years, in order to cop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theft crimes, the demand for a surveillance system in a residence is increasing. Conventional monitoring systems for monitoring intrusions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nsor terminals for detecting intruders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issuing an alarm.
예로서, 미국특허 USP 5,920,270에 나타나 있는 감시 시스템은 복수의 센서 단말기와 주택 정보판을 구비하고 있다. 감시 시스템은, 센서 단말기가 침입자를 탐지하면, 주택 정보판에 배치된 확성기로부터 경보를 발령한다. For example, the surveillance system shown in US Pat. No. 5,920,270 has a plurality of sensor terminals and a housing information board. When the sensor terminal detects an intruder, the monitoring system issues an alarm from the loudspeaker placed on the housing information board.
미국특허 USP 5,461,365에 나타나 있는 다른 감시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가 긴급 상황의 발생을 탐지하면, 긴급 상황 정보가 무선으로 중앙처리장치에 송신되고, 중앙처리장치로부터 경보를 발령한다.In another monitoring system shown in US Pat. No. 5,461,365, when a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detects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emergency information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n alarm is issued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02-16715호에 나타나 있는 또 다른 감시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정보 단말기와, 중앙처리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감시 유닛(촬영 장치)이 통신을 할 수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감시 유닛 부근의 장소의 상태를 감시하는 기능과, 정보 단말기로부터 송신되어서 증폭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In another monitoring system shown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2-16715, an information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and a monitoring unit (photographing device) serving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Has a function of monitoring a state of a place near the monitoring unit and a function of outputting an amplified sound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terminal.
미국특허 USP 5,920,270에 나타나 있는 감시 시스템에서는, 경보음이 발생되는 장소가 주택 정보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중앙처리장치의 장소에 해당하고, 단말기가 설치되고 또한 침입이 발생한 장소가 아니므로, 침입자에 대한 위협 효과가 불충분하다. In the monitoring system shown in US Pat. No. 5,920,270, the place where the alarm sound is generated corresponds to the place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erving as a housing information board, and because the terminal is not installed and the intrusion occurs, Threat effect is insufficient.
미국특허 USP 5,461,365에 나타나 있는 감시 시스템에서는, 긴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중앙처리장치 주위의 수신기에 의해서 긴급 상황 정보가 정확하게 접수되는지를, 중앙처리장치가 설치된 장소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신호를 송신하는 장소에서는, 사용자는 정보가 정확하게 접수되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다.In the monitoring system shown in US Pat. No. 5,461,365,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emergency information is correctly received by a receiver arou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nly at the place wher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the user transmits a signal, the user cannot easily recognize that the information is correctly received.
예로서,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02-16715호에 나타나 있는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중앙처리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감시 유닛이 배치된 장소로부터 떨어져 있는 장소에서 침입이 발생하는 경우 침입자의 음성을 감시하거나 위협하는 것이 어렵다.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monitoring system shown in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16715, when an intrusion occurs in a place away from a place where a monitoring unit serving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is arranged, Difficult to threaten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첫째 목적으로서 비정상 상태가 발생하는 장소에서 적절하게 경보를 발령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first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appropriately issuing an alarm at a place where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본 발명의 둘째 목적은, 비정상 상태가 발생한 장소에서 피연락자가 정보를 접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nitoring system that can confirm that a contact has received information at a place where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본 발명의 셋째 목적은, 중앙처리장치 및 외부 전화기로부터 비정상 상태가 발생한 장소에 음성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voice communication at a place where an abnormal state occurs from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n external telephone.
본 발명에 의한 감시 시스템은, 소정의 감시점(監視点)이 정상 상태인지 또는 비정상 상태인지를 감시하는 복수의 단말기와, 단말기의 경계 동작의 설정/해제를 제어하는 1대의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한다. 중앙처리장치는 단말기로부터 정상/비정상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단말기에 지령을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단말기는 중앙처리장치에 정상/비정상 상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중앙처리장치와 복수의 단말기 간에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감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for monitoring whether a predetermined monitoring point is in a normal state or an abnormal state, and one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setting / release of a boundary operation of the terminal. d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a normal / abnormal state from a terminal and also transmits predetermined information including instructions to the terminal. Each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normal / abnormal state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lso receives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By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상기 감시 시스템에서, 복수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는,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지령을 수신하여 자율적으로 경계 동작을 개시하는 제어기와, 비정상 상태 발생 시에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the monitoring syste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that receives a command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utonomously initiates alert operation, and an alarm unit that issues an alarm when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또한, 상기 감시 시스템에서, 복수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서 비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긴급 콜(emergency call) 유닛과, 시각적 방법과 청각적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써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앙처리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긴급 콜 유닛으로부터 비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그 단말기에 확인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단말기는, 중앙처리장치로부터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그 정보의 송신을 접수할 수 있는 것을 통지부를 통하여 통지할 수도 있다.Further, in the monitoring syste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s notified by an emergency call unit that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an abnormal state by a user's operation, and at least one of a visual method and an audio method. The notification unit may further be provided. In this case, wh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receives information indicating an abnormal state from the emergency call unit of at least one terminal, it may transmit a confirmation signal to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e terminal may notify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information can be accep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monitoring system by this invention.
도 2는 중앙처리장치의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as an example.
도 3은 침입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의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provided with an intrusion sensor as an example.
도 4는 긴급 콜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의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having an emergency call button as an example.
도 5는 중앙처리장치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5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도 6은 침입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provided with an intrusion sensor.
도 7은 긴급 콜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7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provided with an emergency call button.
도 8은 중앙처리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조작 유닛이 설치된 단말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central processing unit.
도 9는 침입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의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9 is a diagram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provided with an intrusion sensor;
도 10은 인체감지 센서(human sensor)를 구비한 단말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provided with a human sensor.
도 11은 중앙처리장치의 경계 동작의 플로차트.11 is a flowchart of the boundary operation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도 12는 긴급 콜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Fig. 12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provided with an emergency call button.
도 13은 침입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의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13 is a diagram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having an intrusion sensor;
도 14는 단말기의 동작(주로 경보 설정 데이터의 설정 동작)의 플로차트.Fig. 14 is a flow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mainly setting operation of alarm setting data).
도 15는 단말기의 경계 동작의 플로차트.Fig. 15 is a flowchart of the boundary operation of the terminal.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감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onitoring system by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제1실시형태) (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감시 시스템은 주거 내에서의 범죄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거 내의 사람의 침입을 탐지했을 때에 위협하고 또한 통보하는 기능과, 거주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에 소정의 통지처에 통지하는 기능 등을 구비한 보안(security) 시스템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threatening and notifying when an invasion of a person is detected in a dwelling to prevent crime in the dwelling, and a function of notifying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destination when an emergency occurs in a resident. It is a security system provided with the back.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시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10)와 복수의 단말기(31∼35)를 포함하고 있다. 중앙처리장치(10)와 단말기(31∼35)는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통신 수단으로서, 특정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ECHONET)를 이용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onitoring system includes a
중앙처리장치(10)는, 고정 전화기(71 및 73)와 휴대전화기(72) 등의 통신기기가 접속되는 공중 전화 회선망(100)과, 데이터 서버(75)가 접속되는 인터넷(11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0)는 주거 내의 전화기(61)에 접속되어 있다.The
단말기(31∼35)에서는,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송신된 지령에 의해서 경계 동작의 개시/정지의 제어 또는 파라미터의 설정이 실행된다. 이 경우, 단말기(31 및 32)는 침입 센서를 포함하여, 침입의 발생을 탐지할 수 있다. 단말기(33)는 인체감지 센서(human sensor)를 포함하여,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단말기(34)는 긴급 콜 수단을 포함하여, 그 단말기(34)의 휴대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을 통지할 수 있다. 단말기(35)는 중앙처리장치(1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조작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종류와 다른 종류의 상태를 탐지하는 기타의 단말기를 중앙처리장치(10)에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기(31∼35)를 총칭하여 참조 번호로서 "30"을 이용한다. In the
도 2는 중앙처리장치(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중앙처리장치(10)는, 단말기(30)와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데이터 통신부(11)와, 음성을 변조/복조하여 단말기(30)와 통신하는 음성 통신부(12)와, 공중 전화 회선에 접속되는 외선 접속부(13a)와, 인터넷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접속부(13b)와, 외부기기에 접속되는 외부 인터페이스(13c)와, 사용자가 중앙처리장치(10)에 대하여 각종 설정을 실행하는 조작부(14)와, 중앙처리장치(10)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를 구비하고 있다. 공중 전화 회선망(100)으로부터의 전화 회선은, 외선 접속부(13a)에 의해서 전화기(61)와 중앙처리장치(10)의 내부에 분기(分岐; branch)되어 있다. 따라서, 전화기(61)는 통상의 전화 통화를 실행할 수 있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음성 통신부(12)에는, 음성 통신부(12)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증폭하는 음성 출력부(12a)와,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단말기(30)에 음성을 송신하는 음성 입력부(12b)가 접속되어 있다.The
조작부(14)는 소정의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키)과,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조작부(14)의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예로서, 각각의 단말기의 상태(정상/비정상), 설정 정보 등이 표시된다.The
외부 인터페이스(13c)에는, 외부 단자(13d)를 통하여, 화상을 축적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62), 인터넷 접속 가능한 인터넷 카메라(63), 이상의 발생을 이웃에 통지하기 위한 플래시라이트(64) 등의 외부기기가 접속된다. 이러한 외부기기에 는, 무전압 접점 입력 단자가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외부 단자(13d)를 접속한다.The
중앙처리장치(10)는 중앙처리장치(1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기억하는 데이터 저장부(15b)를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 저장부(15b)에는, 비정상 상태 발생시의 연락처(전화번호), 비정상 상태의 종류에 따른 메시지에 관한 정보, 단말기의 장소의 정보, 및 위협 메시지 등을 저장한다. 비정상 상태 발생시의 연락처(전화번호)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15b)에는 경계 동작 중에 발생된, 동작 이력 정보 또는 단말의 정상/비정상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The
도 3은 침입 탐지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31)(또는 단말기(3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말기(31)는 침입의 발생을 탐지하는, 리드 스위치(reed switch)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단말기(31)를 창문 또는 문의 프레임에 부착하고, 또한, 가동(可動) 창문 유리 또는 문의 가동부에 이 리드 스위치에 대응하는 자석을 부착하여, 창문 또는 문의 개폐 상태를 탐지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 또는 문의 개폐 상태를 탐지하면, 침입의 발생을 탐지할 수 있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31 (or the terminal 32) having an intrusion detection function. The terminal 31 is provided with a reed switch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intrusion. The terminal 31 is attached to the window or door frame, and a magnet corresponding to this reed switch is attached to the movable window glass or the door movable part to detect the opening or closing state of the window or door. More specifically, the detection of the opening or closing state of a window or door can detect the occurrence of an intrusion.
단말기(31)는, 중앙처리장치(10)와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는 데이터 통신부(41)와, 중앙처리장치(10)와 음성 통신을 실행하는 음성 통신부(42)와, 단말기(3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단말기(31)는 침입의 발생을 탐지하는 침입 센서(43)와, 음성 통신부(42)에 의해서 수신되어 복조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음성 출력부(확성기 등)(4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단말기(31)는 외부의 음성을 입력하는 음성 입력부(마이크로폰 등)(45)를 구비하고 있다. 음성 입력부(45)에 의해서 수집된 단말기(31) 주변의 음성은, 음성 통신부(42)에 의해서 변조되어서 중앙처리장치(10)에 송신된다.The terminal 31 operates the
침입 센서(43)가 침입의 발생을 탐지하면, 비정상 상태 신호(즉, 침입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부(46)에 출력한다. 제어부(46)는 이 신호를 수신하면, 비정상 상태 정보로서, 비정상 상태의 발생(침입의 발생)을 나타내는 코드와 그 제어부(46)의 단말기 코드(어드레스 코드)를, 데이터 통신부(41)를 통하여 무선으로 중앙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When the
도 4는 긴급 상황 발생의 통지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34)의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말기(34)는,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의 침입 센서(43) 대신에 긴급 콜 버튼(47)을 구비하고 있다. 긴급 콜 버튼(47)은 푸시버튼 스위치이다. 사용자는 이 스위치를 눌러서 긴급 상황의 발생을 통지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긴급 콜 버튼(47)은, 스위치가 눌려지면, 비정상 상태 신호(즉,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처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부(46)에 출력한다. 제어부(46)는, 긴급 콜 버튼(47)으로부터 비정상 상태 신호를 수신하면, 비정상 상태의 발생(긴급 상황의 발생)을 나타내는 코드와, 그 제어부의 단말기 코드를, 데이터 통신부(41)를 통하여 무선으로 중앙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34 having a notification function of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The terminal 34 is provided with the
상기의 구성을 갖는 감시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이 감시 시스템의 경계 동작은 사용자가 경계 모드로 설정함으로써 개시된다. 경계 모드는 중앙처리장치(10)의 조작부(14)에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다. 경계 모드에는 2 종류의 경계 모드가 있어서, 하나는 사용자가 외출할 때에 설정되는 경계 모드(외출 경계 모드)이고, 다른 하나는 사용자가 집에 있을 때, 즉 사용자가 취침할 때에 설정되는 경계 모드(재택 경계 모드)이다. The alert operation of this monitoring system is initiated by the user setting the alert mode. The alert mode is set by the user on the
우선, 사용자가 외출할 때에 설정되는 경계 모드인 외출 경계 모드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outgoing alert mode, which is the alert mode set when the user goes out, will be described below.
사용자가 중앙처리장치(10)의 조작부(14)상에 외출 경계 모드를 설정하고 외출하면, 중앙처리장치(10)는 각각의 단말기(30)에 경계 동작 개시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단말기(30)는 개시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는 버저(buzzer) 음을 소정 시간(예로서, 1초) 동안 발생한다. 이 후, 경계 모드가 설정되고, 경계 동작을 개시한다. 이 때 발생하는 버저 음은, 침입을 탐지했을 때에 발생되는 경보음과는 상이하게 되어 있다.When the user sets the outgoing alert mode on the
경계 동작 중에, 예로서, 침입 탐지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31)가 설치되어 있는 창문 또는 문이 열리면(즉, 비정상 상태가 발생하면), 침입 센서(43)가 동작하여 제어부(46)에 비정상 상태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46)는 비정상 상태의 발생을 나타내는 코드와 자체의 단말기 코드의 어드레스 코드를 데이터 통신부(41)에 송신한다. 데이터 통신부(41)는 비정상 상태 정보로서, 자체의 단말기 코드의 어드레스 코드와, 침입의 발생을 나타내는 상태 코드를, 중앙처리장치(10)에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단말기(31)가 비정상 상태 정보를 송신한 후, 음성 통신부(42)는 제어부(46)에 의해서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During the alert operation, for example, when a window or a door in which the terminal 31 having an intrusion detection function is installed is opened (that is, when an abnormal state occurs), the
중앙처리장치(10)는, 데이터 통신부(11)에서, 단말기(3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15)에서 신호를 해석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특정 단말기를 판별하고, 또한, 침입이 발생한 것을 인식한다. 제어부(15)는, 외선 접속부(13a)를 동작시켜서, 외선 접속부(13a)를, 데이터 저장부(15b)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보용으로 등록된 전화기(71 또는 73) 또는 휴대전화기(72)에, 공중 전화 회선망(100)을 통하여 접속시킨다. 이어서, 제어부(15)는 침입이 발생한 장소 및 침입의 발생을 통지하는 음성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 경우에, 외선 접속부(13a)에 의해서 다이얼링된 연락처(전화기)에 회선이 접속되지 않을 때에는, 연락처에 회선이 접속될 때까지 데이터 저장부(15b)에 등록된 기타 연락처에 순차적으로 다이얼링한다. 모든 등록된 연락처를 다이얼링해도 연락처에 회선이 접속되지 않는 경우는, 소정의 횟수(예로서, 5회)만큼 접속을 시도한다. 소정 횟수의 시도에도 연락처에 회선이 접속되지 않는 경우는, 전화 통신을 설정할 수 없는 것을 이력 정보로서 중앙처리장치(10)의 소정의 기록 영역에 기록한다.The
전화기(71,...)에 의해서 통보를 받은 사용자는, 그 전화기(71,...)로부터 소정의 톤(tone) 신호를 송신한다. 중앙처리장치(10)가 외선 접속부(13a)를 통하여 외출 중인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톤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5)가 음성 통신부(12)를 동작시킨다. 중앙처리장치(10)는, 음성 통신부(12)를 통하여 복수의 단말기(30)에 공통의 호출 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 비정상 상태 정보를 송신한 단말기(31)에서는, 음성 통신부(42)가 미리 대기 상태로 되어 있어서, 중앙처리장치(10)의 음성 통신부(12)로부터 공통 호출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기(31)의 음성 통신부(42)가 동작하여, 중앙처리장치(10)를 통한 단말기(31)와 전화기(71,...) 간의 전화 통화 링크를 설정한다.The user who has been notified by the telephones 71, ... transmits a predetermined tone signal from the telephones 71, .... When the
상기의 동작에 의해서, 침입의 발생이 탐지된 단말기(31)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그 음성 입력부(45)를 통해서 전화기(71,...)로써 감시할 수 있어서, 침입 발생 장소의 주변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기(31)의 음성 출력부(44)로부터의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서 침입자에 대하여 위협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기가 전화기(71,...)를 통하여 소정의 톤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중앙처리장치(10)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예로서, 이후에 설명하는 단말기에서의 경보의 정지)을 실행할 수도 있다.By the above operation, the voice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terminal 31 where the occurrence of the intrusion is detected can be monitored by the telephones 71, ... through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기(31)는 음성 출력부(44)와 음성 입력부(45)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단말기(31)는 음성 출력부(44)와 음성 입력부(45)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해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31 includes both the
이하, 사용자가 집에 있을 때에 설정되는 경계 모드인 재택 경계 모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home alert mode, which is the alert mode set when the user is at home, will be described below.
재택 경계 모드는, 예로서, 사용자가 주거 내에 있고 야간에 취침할 때에 설정된다. 재택 경계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기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예로서, 사용자가 2층에서 취침하는 경우에, 1층의 단말기만을 동작시켜서 비정상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등, 일부의 단말기만이 비정상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재택 경계 모드 시의 경계 동작 중에, 단말기(31)가 침입의 발생을 탐지하는 경우, 외출 경계 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말기(31)로부터 중앙처리장치(10)에 비정상 상태 정보가 출력된다. 그러나, 재택 경계 모드 동안에는, 중앙처리장치(10)가 단말기(31)로부터 비정상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공중 전화 회선망(100)으로의 접속을 실행하지 않고 음성 통신부(12)를 동작시킨다.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31)로부터의 음성 신호는 외부 전화기(71,...)에 송신되지 않고, 중앙처리장치(10)의 음성 출력부(12a)로부터 증폭된 음성이 출력된다.The home alert mode is set,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in a residence and goes to bed at night. The terminal operating in the home alert mode may be arbitrarily selected and set by the user. In this way, for example, when the user goes to bed on the second floor, only some terminals may receive abnormal status information, such as operating only the terminal on the first floor to receive abnormal status information. When the terminal 31 detects the occurrence of intrusion during the boundary operation in the home alert mode, abnormal state information is output from the terminal 31 to the
상기 동작에 의해서, 중앙처리장치(10)에서, 침입 발생 장소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음성으로써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중앙처리장치(10)의 음성 입력부(12b)로부터 단말기(31)에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10)에 의해서 단말기(31)를 통하여 발생되는 음성으로써 침입자에 대하여 위협할 수 있다.By the above operation,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처리장치(10)에 음성 출력부(12a)와 음성 입력부(12b) 모두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중앙처리장치(10)에 음성 출력부(12a)와 음성 입력부(12b) 중 하나만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재택 경계 모드에서도, 재택 경계 모드 설정 시에, 소정 시간 동안, 단말기(30)로부터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버저 음이 발생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both the
경계 동작의 설정 조작 및 해제 조작에 관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데이터 저장부(15b)에 경계 동작의 설정/해제를 위한 개인 식별 번호 또는 패스워드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경계 동작을 설정/해제할 때는, 사용자에게 개인 식별 번호 또는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한 개인 식별 번호 또는 패스워드가 데이터 저장부(15b)에 기억되어 있는 입력 개인 식별 번호에 일치할 때에만, 경계 동작의 설정/해제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Regarding the setting operation and the release operation of the alert operation, th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password for setting / release the alert operation may be stored in the
또한, 단말기(30)가 전지로써 구동되는 경우, 단말기의 제어부는 그 전지의 전압을 감시하여, 전지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 이하일 때에 전압 저하를 나타내는 신호를 중앙처리장치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이 때, 중앙처리장치(10)는, 그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기가 전지를 모두 소진한 이상 상태를 조작부(14)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도 있다.When the terminal 30 is driven by a battery, the controller of the terminal may monitor the voltage of the battery and transmit a signal indicating the voltage drop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oltage. At this time, upon receiving the signal, the
또한, 중앙처리장치(10)는, 창문 또는 문의 개폐를 탐지하는 침입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31 또는 32)로부터 송신되는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15b)에 저장한다. 따라서, 조작부(14)로부터 경계 동작이 설정되어서 입력되고, 단말기(31 또는 32)의 상태가 "개방(open)"인 경우는, 도어록 점검이 이상(異常)인 것을 조작부(14)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도 있다. The
이어서, 긴급 콜에 관한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regarding an emergency call is described below.
사용자가 집에 있어도, 침입이 발생하여 긴급 조치가 필요한 경우, 또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가 급변하여 외부 연락이 필요한 경우에, 긴급 콜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34)를 휴대하는 사용자가 긴급 콜 버튼(47)을 누르면, 경계 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말기(34)의 어드레스 코드와, 긴급 상황의 발생을 나타내는 상태 코드를 중앙처리장치(10)에 송신할 수 있다.Even when the user is at home, when an intrusion occurs and an urgent action is required, or when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is suddenly changed and an external call is required, the user carrying the terminal 34 having an emergency call function is called an emergency call button ( When 47 is pressed, the address code of the terminal 34 and the status code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중앙처리장치(10)는, 데이터 통신부(11)를 통하여 단말기(34)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15)로써 수신 신호를 해석하여,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을 인식한다. 제어부(15)는, 외선 접속부(13a)를 동작시켜서, 외선 접속부(13a)를, 데이터 저장부(15b)에 통보용으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기(71 또는 73) 또는 휴대전화기(72)에, 공중 전화 회선망(100)을 통하여 접속시키고,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을 통지하는 음성 메시지를 송신한다. The
전화기(71,...)로써 메시지를 수신한 피연락자는, 그 전화기(71,...)로부터 소정의 톤 신호를 송신한다. 중앙처리장치(10)는, 소정의 톤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5)로써 음성 통신부(12)를 동작시킨다. 비정상 상태 정보를 송신한 단말기(34)에서는 음성 통신부(42)가 대기 상태로 설정되어 있어서, 단말기(34)가 중앙처리장치(10)의 음성 통신부(12)로부터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면, 음성 통신부(21)가 동작 개시한다.The callee who has received the message by the telephones 71, ... transmits a predetermined tone signal from the telephones 71, .... The
상기 동작에 의해서, 단말기(34)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의 음성을, 음성 입력부(45)를 통하여 전화기(71,...)로써 감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상황을 점검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전화기(71,...)를 통하여 음성 출력부(44)로부터 피연락자의 음성에 의해서 사용자를 호출할 수 있다.By the above operation, the voice of the user carrying the terminal 34 can be monitored by the telephones 71, ... through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기(34)에 음성 출력부(44)와 음성 입력부(45) 모두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단말기(34)에 음성 출력부(44)와 음성 입력부(45)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both the
또한, 데이터 저장부(15b)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침입 탐지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가 침입을 탐지한 경우 이용되는 통보처의 우선 순위와 긴급 콜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의 긴급 콜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이용되는 통보처의 우선 순위가 상이하도록, 별개로 설정할 수도 있다.Further, the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중앙처리장치는 통보용으로 등록된 전화기와 통신하지 않고, 동일한 주거 내의 동거자에게 통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단말기로부터의 음성 신호는 외부 전화기에 송신되지 않고, 중앙처리장치(10)의 음성 출력부(12a)로부터 증폭되어서 출력된다. 따라서, 단말기(34)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의 음성에 의한 상황 확인을 중앙처리장치(10)에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음성 신호를 중앙처리장치(10)의 음성 입력부(12b)로부터 단말기(34)에 출력한다. 따라서, 단말기(34)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를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음성으로써 호출할 수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may notify a co-worker in the same residence without communicating with a telephone registered for notification. In this case, the audio signal from the termi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lephone, but is amplified and output from the
또한, 중앙처리장치(10)는, 단말기(34)로부터 긴급 상황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기(34)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서 경보를 발령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경보는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설정한다. 따라서, 긴급 상황 발생에 대하여 동일한 주거 내의 동거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signal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from the terminal 34, the
내부에 음성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는, 중앙처리장치만이 음성 통신 기능을 구비한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이하의 이점이 있다. 외부에서 확인하고 싶은 상황은 어디까지나 침입 등의 비정상 상태가 발생한 장소 부근의 상황이고, 중앙처리장치 부근의 상황을 아는 것은 의미가 없다. 본 시스템에서는, 비정상 상태의 발생 장소에 대하여 위협 또는 호출을 직접 실행할 수 있으므로, 침입자가 주거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긴급 콜 송신자에게 부여하는 안심감(安心感)이 증대된다. 특히, 긴급 상황이 발생한 장소가 중앙처리장치로부터 멀리 있거나, 또는 문에 의해서 칸막이되어 있는 경우에, 본 발명은 매우 유리하다.A terminal having a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therei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over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in which onl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has a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The situation that you want to confirm externally is the situation near the place where an abnormal state such as an intrusion occurred to the last, and it is meaningless to know the situation nea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n this system, a threat or a call can be directly executed at a place where an abnormal state occurs, so that an effect of suppressing an intruder's invasion into a house can be realized, and the security that is given to an emergency call sender is increased. do.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advantageous when the place where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is far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r partitioned by a door.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단말기와 중앙처리장치, 또는 단말기와 외부 전화 등 통신기기는, 음성으로써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침입 탐지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의 음성 출력 수단을 통하여 단말기 주변의 침입자에 대하여 음성으로써 위협할 수 있고,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하여 단말기 주변의 상황을 음성으로써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음성 출력 수단을 통하여 긴급 콜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를 휴대하는 사용자를 호출할 수 있고,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terminal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 terminal and an external telephon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voice. In addition, the intruder around the terminal can be threatened with a voice through the voice output means of the terminal provided with the intrusion detection means, and the situation around the terminal can be monitored by the voice through the voice input means. In addition, the user carrying the terminal with the emergency call means can be called through the voice output means of the terminal, and the user's situa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voice input means.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기와 외부전화, 또는 단말기와 중앙처리장치가 음성으로써 서로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중앙처리장치와 외부전화가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침입자에 의한 단말기의 파괴, 단말기의 고장, 단말기의 전지의 전압 저하, 단말기와 중앙처리장치 간의 통신의 이상 등에 의해서, 단말기와 외부전화가 서로 통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가 외부전화와 통신하게 하도록 제어를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도 있고, 또는 외부전화로부터 소정의 톤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중앙처리장치로부터 경보를 발령하거나 또는 정지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telephone, or the terminal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voice. However, depending on the user's setting,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external telephone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telephone can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ue to the destruction of the terminal by an intruder, the failure of the terminal, the voltage drop of the battery of the terminal, o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external. The control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allow communication with the telephone, or an alarm may be issued or stopped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by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tone signal from an external telephone.
침입 또는 긴급 콜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5)는 외부 인터페이스(13c)를 동작시켜서, 감시 카메라(62), 인터넷 카메라(63) 및 플래시라이트(64) 등, 외부 단자(13d)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기기의 무전압 접점을 닫음으로써, 이들 외부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침입이 발생한 장소의 영상 장면을 감시 카메라(62)로써 포착하여 별도로 설치된 기록 장치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침입 장소 또는 긴급 상황이 발생한 장소를 인터넷 카메라(63)로써 촬영하여, 그 영상 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데이터 서버(75)(이하 "센터 서버"라고 한다)에 송신한다. 센터 서버는 그 정보를 내부의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그 정보를 WEB상에서 열람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하여 센터 서버에 접속하고, 그 WEB을 열람하여 현장의 영상 장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인터넷 카메라(63)로써 촬영한 장소의 영상 장면을 전자 메일로써 소정의 어드레스에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플래시라이트(64)를 점멸시켜서, 이상 발생을 이웃에 통지하거나, 침입자를 위협할 수 있다.When an intrusion or emergency call occurs, the
또한, 전화기(71,...)로부터 소정의 톤 신호를 송신하고, 중앙처리장치(10)가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중앙처리장치(10)는, 신호를 수신하면, 외부 단자(13d)에 접속된 감시 카메라(62), 인터넷 카메라(63) 및 플래시라이트(64) 등의 외부기기를 동작시키거나, 또는 동작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tone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the telephones 71, ..., and the
외부 단자(13d)에 접속하는 외부기기로서는 주거 내의 조명 장치 및 가전기기를 사용하고, 전화기(71,...)로부터 소정의 톤 신호를 송신하여, 중앙처리장치(10)가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중앙처리장치(10)는, 톤 신호를 수신하면, 외부 단자(13d)에 접속되어 있는 조명 장치 또는 가전기기를 동작시켜서, 침입의 통보에 따라서 침입자를 위협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집에 있는 것 같이 위장할 수도 있다.As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또한, 중앙처리장치(10)는,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단말기에 동작 확인 신호를 정기적으로 송신하고,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정상 동작 신호를 수신하면, 이 단말기가 정상인 것으로 판정한다.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정상 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중앙처리장치(10)는, 이 단말기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정하여, 그 이력을 데이터 저장부(15b)에 기록하고, 조작부(14)의 디스플레이에 그 이력을 표시한다.In addition, the
(제2실시형태)(2nd Embodiment)
도 5는, 감시 시스템에서의 중앙처리장치(10)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실시형태는 중앙처리장치와 단말기 간의 통신 방법에서 제1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실시형태(도 2 참조)에서는 데이터 통신부와 음성 통신부(11 및 12)가 별개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와 음성 신호의 다중화와 분리에 의해서 통신부가 통합되어 있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도 5에서, 본 발명에 의한 중앙처리장치(10a)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16)와, 음성 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는 음성 처리부(17)와, 데이터와 음성 신호를 다중화하는 혼합/분리(mixing/splitting) 통신부(18)를 구비하고 있다.In Fig. 5,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혼합/분리 통신부(18)는, 중앙처리장치(10a)로부터 데이터 및 음성 신호를 송신하면, 데이터와 음성 신호를 주파수 다중화에 의해서 혼합하여 송신한다. 데이터와 음성 신호를 단말기(30)로부터 수신하면, 혼합/분리 통신부(18)는 수신 신호를 데이터와 음성 신호로 분리한다. 다중화 방법으로서 주파수 다중화 방식을 사용하고 있지만, 시분할 다중화 방식 또는 부호화 다중화 방식 등, 어느 방식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다중화 및 분리를 실행함으로써, 무선 통신용 고주파 회로를 공용화할 수 있다. 기타의 구성 요소는 제1실시형태(도 2 참조)와 동일하다.
When the mixing / separating
도 6은 침입 탐지용 단말기(31)의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31a)는, 제1실시형태의 도 3에 나타내는 단말기(31)의 구성에 사용되는 데이터 통신부(41) 및 음성 통신부(42) 대신에,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48), 음성 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는 음성 처리부(49), 데이터와 음성 신호를 다중화하는 혼합/분리 통신부(50)를 구비하고 있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단말기(31a)에서 침입 센서(43)가 침입의 발생을 탐지하면, 비정상 상태의 발생(침입 발생)을 나타내는 코드와 단말기(31a)의 단말기 코드로 구성되는 비정상 상태 정보가, 데이터 처리부(48)를 통하여 혼합/분리 통신부(50)에 의해서 중앙처리장치(10a)에 무선으로 송신된다.When the
중앙처리장치(10a)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는, 단말기(31a)의 혼합/분리 통신부(50)에 의해서 분리되어서, 음성 처리부(49)에 의해서 음성 신호로서 복조된다. 복조된 음성 신호는 음성 출력부(44)에 의해서 증폭되어서 증폭된 음이 출력된다. 단말기(31a) 주변에서 발생하여 음성 입력부(45)에 의해서 수집된 음성은, 음성 처리부(49)에 의해서 변조되어서 혼합/분리 통신부(50)로부터 중앙처리장치(10a)에 송신된다.The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a is separated by the mixing / separating
본 실시형태의 구성은 또한 긴급 콜용의 단말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can also be applied to an emergency call terminal.
본 실시형태를 전화기 또는 공중 전화 회선망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개인용 컴퓨터 또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 등의 통신기기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전용 회선이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using a telephone or a public telephone line network,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or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may be used, or a dedicated line or the Internet may be used.
상기한 바와 같이, 발명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데이터 통신과 음성 통신 에 필요로 하는 고주파 회로를 공용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high frequency circuit required for data communication and voice communication can be shared.
(제3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단말기로부터의 긴급 상황 발생의 통지 또는 조작 지시가 외부 전화기 또는 중앙처리장치에 의해서 안전하게 접수되었는지 아닌지를 단말기측에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을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ystem configuration in which the terminal can confirm whether or not a notification or operation instruction of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ence from a terminal by a user has been safely received by an external telephone or a central processing unit.
도 7은 긴급 콜 버튼이 설치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단말기(34a)는, 데이터 통신부(41)와, 제어부(46)와, 긴급 콜 버튼(47)과, 표시부(51)와, 통지부(52)를 구비하고 있다. 긴급 콜 버튼(47)은 푸시버튼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 푸시버튼 스위치를 눌러서 긴급 상황의 발생을 통지할 수 있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provided with an emergency call button. As shown in FIG. 7, the terminal 34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제어부(46)가 긴급 콜 버튼(47)으로부터 비정상 상태 신호(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처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46)는 단말기 코드와 상태 코드를 포함하는 비정상 상태 정보를 데이터 통신부(41)를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10)에 무선으로 송신한다.When the
표시부(51)는 LED 등의 발광 수단으로 구성되어서, 점멸함으로써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통지부(52)는 음성을 발생하여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The
도 8은 중앙처리장치(10)를 원격 제어하는 조작부가 설치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말기(35)는, 데이터 통신부(41), 제어부(46), 표시부(51), 통지부(52) 및 원격 제어 가능한 조작부(53)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53)는 복수의 푸시버튼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는 이 푸시버튼 스위치를 눌러서 중앙처리장치(10)를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원격 조작"이라는 것은, 중앙처리장치(10)를 제어하여, 감시 구역에서의 감시 동작을 개시하거나, 또는 감시 동작을 해제하는 조작이다. 제어부(46)가 조작부(53)로부터 조작 신호(사용자가 중앙처리장치(10)의 감시 동작을 개시시키거나 또는 정지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46)는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코드를 자체의 단말기 코드와 함께 데이터 통신부(41)로부터 중앙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이하, 단말기(34a 및 35)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설명한다.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우선, 단말기(34a)를 이용한 긴급 콜에 관한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재택 시에 침입이 발생하여 긴급 조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가 급변하여 외부 연락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가 단말기(34a)의 긴급 콜 버튼(47)을 누르면, 단말기(34a)의 어드레스 코드와, 긴급 상황의 발생을 나타내는 상태 코드가 중앙처리장치(10)에 송신된다. 중앙처리장치(10)는, 수신한 긴급 상황 발생의 상태 코드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데이터 저장부(15b)로부터 판독하여, 그 음성 메시지를 외선 접속부(13a)를 통하여 통보용으로 등록된 전화기(71,...)에 송신한다.First, an operation relating to an emergency call using the terminal 34a will be described. When an intrusion occurs when the user is at home and needs urgent action, or when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changes suddenly and needs external contact, when the user presses the
전화기(71,...)로써 통지를 수신한 피연락자는, 피연락자가 침입의 발생을 확인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하여, 그 전화기(71,...)로부터 소정의 톤 신호를 송신한다. 중앙처리장치(10)는, 외선 접속부(13a)를 통하여 이 신호를 수신하여, 피연락자가 감시 구역 내에서의 긴급 상황의 발생을 확실하게 확인한 것을 나타내는 수신 확인 신호를, 데이터 통신부(11)로부터 단말기(34a)에 송신한다. 단말기(34a)는, 데이터 통신부(41)에서 이 수신 확인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확인 신호에 따라서 표시부(51)를 소정 시간 동안 점멸시키는 동시에, 통지부(52)가 음성을 발생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긴급 콜이 외출한 피연락자에 의해서 확인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The callee who receives the notification by the telephones 71, ... transmits a predetermined tone signal from the telephones 71, ... in order to notify the user that the contact has confirmed the intrusion.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기(34a)에 표시부(51)와 통지부(52) 모두가 설치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표시부(51)와 통지부(52)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해도 좋다. 피연락자는 톤 신호를 송신하여 긴급 상황의 발생 통지의 수신을 확인하지만, 외부 전화기에 접속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해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신의 확인을, 휴대전화기 등 다른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전자 메일의 송신으로써 실행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both the
상기와 같이, 단말기가, 비정상 상태의 발생 정보가 주거 외의 통신기기에 의해서 확인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이 단말기의 표시부가 소정 시간 동안 점멸하거나, 또는 통지부가 소정 시간 동안 음성을 발생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단말기의 사용자는, 비정상 상태 발생 정보가 주거 외의 통신기기에 의해서 안전하게 확인된 것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rminal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at abnormality occurrence information has been confirmed by a communication device other than a residence,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blink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the notification unit generates a voice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is way, the user of the terminal can know that abnormal state occurrence information has been securely confirmed by a communication device outside the residence.
이하, 단말기(35)를 이용하여 경계 동작을 설정/해제하는 원격 조작에 관한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단말기(35)의 조작부(53)로써, 경계 동작을 설정/해제하는 원격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35)의 조작부(53)로써 경계 동 작을 설정/해제하면, 조작 입력의 내용인 경계 동작의 설정/해제 지령에 대응하는 조작 코드와, 단말기(35)의 어드레스 코드가 중앙처리장치(10)에 송신된다.Hereinafter, an operation relating to a remote operation for setting / releasing a boundary operation using the terminal 35 will be described. The user can execute the remote operation of setting / releasing the alerting operation with the
중앙처리장치(10)는, 이러한 코드의 수신에 따라서, 조작 입력이 실행된 단말기(35) 이외의 모든 단말기에 경계 동작의 설정/해제 지령을 송신한다. 중앙처리장치(10)가 경계 동작을 설정/해제하는 처리를 완료하면, 데이터 통신부(11)로부터 단말기(35)에, 조작 코드에 대한 처리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조작 접수 확인 신호를 송신한다.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such a code, the
단말기(35)는, 이 신호를 수신하면, 표시부(51)를 소정 시간 동안 점멸시키고, 또한 동시에, 통지부(52)를 소정 시간 동안 음성을 발생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중앙처리장치(10)에 의해서 원격 조작이 수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Upon reception of this signal, the terminal 35 flashes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기(35)에 표시부(51)와 통지부(52) 모두가 설치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표시부(51)와 통지부(52)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해도 좋다. In this embodiment, although both the
또한, 이하의 응용도 실현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0)는 침입 센서를 포함하는 단말기(31)로부터 송신되는 상태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15b)에 저장한다. 조작부(53)를 구비한 단말기(35)로부터 경계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단말기(31)에 저장된 상태 정보가 "개방"을 나타내면, 중앙처리장치(10)는 도어록 점검 이상(異常)인 것을 조작부(14)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고, 조작부(53)를 구비한 단말기(35)에 도어록 점검 이상 신호를 송신한다. 단말기(35)가 도어록 점검 이상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기(35)는 도어록 점검 이상인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In addition, the following applications can also be realized. The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계 동작을 설정/해제하는 지령을 단말기로부터 원격 조작에 의해서 중앙처리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에 수신 확인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이하의 이점이 있다. 사용자가 실행한 조작이 접수된 사실을 확인하고 싶은 장소는 어디까지나 비정상 상태가 발생한 장소 또는 원격 조작을 실행한 장소이고, 그 사실을 중앙처리장치 부근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의미가 없다. 또한, 비정상 상태의 발생 장소에서 조작 접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긴급 콜 송신자에게 부여하는 안심감이 증대되고, 원격 조작을 실행하는 사용자에 대한 편리성이 향상된다. 특히, 본 발명은 원격 조작을 실행한 장소가 중앙처리장치로부터 멀리 있거나, 또는 문에 의해서 칸막이되어 있는 경우에 매우 유리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ommand for setting / releasing the alert operation can b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by remote operation. In addition, the following advantages are provided by providing the acknowledgment function to the terminal. The place where the user wants to confirm the reception of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user is the place where the abnormal state has occurred or the place where the remote operation is executed, and the fact that the fact can be confirmed nea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meaningless. In addition, since operation acceptance can be confirmed at the place where an abnormal state occurs, the security to be given to the emergency call sender is increased, and the convenience for the user who performs the remote operation is improved.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advantageous when the place where the remote operation is performed is far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r partitioned by a door.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격 조작은 중앙처리장치에 대하여 감시 동작을 설정하고 해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중앙처리장치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원격 조작 등 또 다른 원격 조작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에 관련되는 또 다른 기기의 동작을 무선 시스템 또는 유선 시스템으로써 제어하는 원격 조작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emote operation is to set and cancel the monitoring operation fo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However, another remote operation such as remote operation of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an realize the same effect as above. In addition, the remote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other apparatus rela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by a wireless system or a wired system can realize the same effect as abov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긴급 콜 수단 또는 조작 입력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에 표시 수단을 설치하여, 긴급 콜의 주거 외에서의 접수 또는 조작 입력의 적절한 완료를 근처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안심감이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긴급 콜 수단 또는 조작 입력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에 통지 수단을 설치하여, 긴급 콜의 주거 외에서의 접수 또는 조작 입력의 적절한 완료를 근처에서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안심감이나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표시 수단 및 통지 수단을, 사용자의 감각 기능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고령자에 대한 적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is invention, display means is provided in the terminal provided with the emergency call means or operation input means, and it can visually confirm appropriate completion of reception or operation input of the emergency call outside the residence, and is safe. Feel and operability are improved. In addition, by providing a notification means in a terminal provided with an emergency call means or an operation input means, an appropriate completion of reception or operation input of an emergency call outside the housing can be confirmed audibly near, thereby improving security and operability. . By appropriately selecting such display means and notification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sensory function, adaptability to the elderly can be improved.
(제4실시형태)(4th Embodiment)
본 실시형태에 의한 감시 시스템은, 비정상 상태의 발생 통지가 단말기로부터 중앙처리장치에 송신되는 경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서 단말기를 통하여 경보 및 위협 동작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nable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o execute alarm and threat operations through the terminal when the notification of occurrence of an abnormal state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침입 탐지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말기(31b)는, 데이터 통신부(41), 음성 통신부(42), 침입 센서(43), 음성 출력부(44), 음성 입력부(45), 제어부(46) 및 통지부(52)를 구비하고 있다. 통지부(52)는 음성 또는 LED의 점멸에 의해서 통지를 실행한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with an intrusion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31b includes a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인간의 존재를 탐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말기(33)는 데이터 통신부(41), 음성 통신부(42), 음성 출력부(44), 음성 입력부(45), 제어부(46), 통지부(52) 및 인체감지 센서(54)를 구비하고 있다. 인체감지 센서(54)는 초전형(焦電型)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어서, 단말기(33)가 인체 탐지 기능을 갖는다. 단말기(33)를 통로에 부착함으로써, 통로에 들어오는 침입자를 탐지할 수 있다. 인체감지 센서(54)가 침입자를 탐지하면, 비정상 상태 신호(침입자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부(46)에 출력한다. 제어부(46)는, 이 신호를 수신하면, 자체의 단말기 코드를 포함하는 비정상 상태 정보를 데이터 통신부(41)를 통하여 무선으로 중앙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having a function of detecting the presence of a huma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33 includes a
이하, 본 실시형태에 의한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도 11의 플로차트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11.
외출하는 사용자에 의해서 중앙처리장치(10)의 조작부(14)상에 경계 모드가 설정되면(S11, S12), 비정상 상태에 설정된 단말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요구 신호가 중앙처리장치(10)의 데이터 통신부(11)로부터, 각각의 단말기(31, 33,...)에 송신된다(S13).When the alert mode is set on the
각각의 단말기(31, 33,...)에서는, 각각의 단말기(31, 33,...)의 데이터 통신부(41)가 확인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46)에 의해서 침입 센서(43) 및 인체감지 센서(54)의 출력 상태가 확인된다. 감시 장소의 창문 또는 문이 닫혀 있거나 또는 통로에 이상이 없는 등, 정상 상태인 것을 단말기(30)가 확인하면, 단말기(30)의 제어부는 정상/비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확인 신호를 중앙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 중앙처리장치(10)는, 단말기로부터 상태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그 단말기에 통지 재설정(reset) 신호를 회신한다. 단말기는, 통지 재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상태 확인 신호의 송신을 완료한다. 단말기가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의 통지 재설정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단말기는 상태 확인 신호의 송신을 소정의 횟수만큼 반복한다.In each terminal 31, 33, ..., when the
중앙처리장치(10)가, 단말기(31, 33,...)로부터 수신한 상태 확인 신호에 의해서 모든 단말기(31, 33,...)가 정상 상태인 것을 확인하면(S13에서 No), 중앙처리장치(10)는 경계 동작을 개시한다(S15).If the
한편, 모든 단말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예로서, 감시 장소의 창문 또는 문이 열려 있거나, 바람이 불어서 커튼이 흔들리고 통로에 들어오는 경우, 비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확인 신호가 중앙처리장치(10)에 송신된다. 어떤 단말기가 비정상 상태인 것을 중앙처리장치(10)가 확인하면, 경계 동작의 개시가 보류된다. 중앙처리장치(10)는, 비정상 상태인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비정상 상태인 단말기에 통지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S14).Meanwhile, when at least one of all terminals is in an abnormal state, for example, when a window or a door of the monitoring place is open, or when the wind is blowing and the curtain shakes and enters a passage, a status check signal indicating an abnormal state is provided by the
단말기는,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통지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통지부(52)를 동작시켜서 경보를 발령하는 동시에, LED를 점멸시킨다. 사용자는 이 경보를 듣거나, 또는 LED의 점멸을 보고, 비정상 상태를 탐지한 창문을 확인하고, 창문을 닫는다. 이에 따라서, 비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확인 신호를 출력하고 있었던 단말기는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확인 신호를 출력하고, 이 감시 장소가 정상 상태로 설정된다. 상기 경보의 음량은, 경계 동작 중에 비정상 상태가 탐지된 경우에 발생되는 경보의 음량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든 단말기가 정상 상태로 되면(S13), 상기 순서에 따라서 단말기를 경계 동작에 설정하여 경계 동작을 개시한다(S15).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notific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경보음 또는 LED의 점멸에 의해서도 그 감시 장소를 알기 어려운 경우에도, 단말기(31, 33,...)의 음성 통신부(42)와 중앙처리장치(10)의 음성 통신부(12)에 의해서 단말기(31, 33,...)와 중앙처리장치(10) 간에 음성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10)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단말기의 설치 장소 정보에 따라서, 중앙처리장치(10)측에 있는 사람이 단말기측에 있는 사람과 통신하여, 단말기측에 있는 사람에게 그 단말기의 설치 장소를 통지할 수 있어서, 그 감시 장소를 확인할 수 있다.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know the monitoring place even by the alarm sound or the blinking of the LED, the terminal (by the
또한, 데이터 저장부(15b)에 등록된 단말기의 설치 장소 정보에 따라서, 비정상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설치 장소를 음성 데이터로서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단말기(31, 33,...)의 음성 통신부(42)에 송신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비정상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설치 장소 정보를 음성으로써 통지할 수 있다. 단말기측의 사람은 음성 통지 내용에 따라서 감시 장소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it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중앙처리장치(10)가, 모든 단말기가 정상 상태인 것을 확인하면, 중앙처리장치(10)는 경계 동작을 개시하기 위하여(S15), 단말기에 경계 동작의 설정 지령을 송신한다. 단말기는, 경계 동작의 설정 지령을 수신하면, 경계 상태로의 이행(移行)을 개시하고, 또한 단말기가 경계 상태로의 이행을 개시한 것을 나타내는 이행 확인 신호를 중앙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 중앙처리장치(10)는, 이행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경계 동작의 설정 지령의 송신을 완료한다. 이 때, 중앙처리장치(10)는, 이행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단말기에 경계 동작의 설정 지령의 송신을 소정 횟수 반복한다. 중앙처리장치(10)가 설정 지령의 송신을 소정 횟수 반복해도, 이행 확인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단말기가 있는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10)는 동작 이력을 기기 이상으로 하여 데이터 저장부(15b)에 저장한다.When the
경계 동작 중, 단말기에서 비정상 상태가 발생하면,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0)에 비정상 상태 정보를 송신한다. 예로서, 침입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는 창문 또는 문이 열리면, 그 단말기는 중앙처리장치(10)에 비정상 상태 정보를 송신한다. 중앙처리장치(10)는, 이 정보를 수신하면, 신호를 송신하는 특정 단말기를 판별하고, 침입 발생을 인식한다(S16). 중앙처리장치(10)는, 이 정보에 따라서, 위협용의 통지를 실행하도록 상기 특정 단말기에 통지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S17).If an abnormal state occurs in the terminal during the alert operation, the terminal transmits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to the
상기 특정 단말기는,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통지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통지부(52)를 동작시켜서 위협용의 통지를 실행한다. 위협 방법에서, 위협 시간의 길이, 위협 동작의 음량, 위협 내용 등을 미리 선택할 수 있다. 위협 내용으로서는, 통상적으로 사이렌을 울리지만, "누구냐!"하는 음성 데이터를 단말기 또는 중앙처리장치(10)에 저장하여, 통지할 때에 호출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Upon receiving the notific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중앙처리장치(10)는, 위협 통지 요구에 추가하여,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고정 전화기 등(71,...)에 접속하여, 사용자에게 침입이 발생한 장소명과 침입 발생 사실을 통지하는 음성 메시지를 송신한다(S17).In addition to the threat notification request, the
전화기(71,...)를 통하여 통지를 수신한 사용자는, 통지의 수신 확인을 나타내는 소정의 톤 신호를 전화기(71,...)로부터 중앙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 중앙처리장치(10)는 복수의 단말기에 공통 호출 신호를 송신한다. 비정상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기에서는, 음성 통신부가 미리 대기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음성 통신부가 중앙처리장치(10)의 음성 통신부로부터 공통 호출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기의 음성 통신부가 동작하여 단말기와 전화기(71,...) 간의 음성 통신 링크를 설정한다(S18). 따라서, 단말기의 주변의 음성을, 음성 입력부(24)를 통하여 전화기(71,...)로써 감시할 수 있고, 또한 단말기 주변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S19). 음성 통신 링크가 설정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단말기에 통지 정지 신호를 송신하고, 위협용의 통지를 종료시킨다(S19).
The user who receives the notification via the telephones 71, ... transmits a predetermined tone signal from the telephones 71, ... to the
또한,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전화기(71,...)를 통하여 단말기의 음성 출력부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으로써 침입자를 위협할 수 있다.Also, if necessary, the user can threaten the intruder with the voice of the user from the voice output of the terminal via the telephone 71...
상기 설명에서는, 음성 통신 링크를 설정함으로써 위협용 통지를 종료시키지만, 전화기(71,...)로부터 경보의 정지를 요구하는 톤 신호를 수신하면, 중앙처리장치(10)가 단말기에 통지 정지 신호를 송신하여, 위협용 통지를 종료시킬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hreat notification is terminated by setting the voice communication link, but upon receiving the tone signal requesting the stop of the alarm from the telephone 71, the
또한, 전화기(71,...)로부터 경보 개시를 요구하는 톤 신호를 수신하면, 중앙처리장치(10)는 단말기에 통지 개시 신호를 송신하여, 위협용 통지를 개시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 주변의 상황을 감시하면서 필요한 경우 소정의 톤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침입자를 위협할 수 있다.Further, upon receiving the tone signal requesting the alarm start from the telephones 71, ..., the
사용자가 주거 내에 있고 야간에 취침할 때에 재택 경계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침입이 발생한 경우, 단말기로부터의 음성 신호는 외부 전화기에 송신되지 않고, 중앙처리장치(10)의 음성 출력부(12a)로부터 증폭되어서 출력된다. 따라서, 단말기의 주변의 음성에 의한 상황을 중앙처리장치(10)에서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중앙처리장치(10)의 음성 입력부(12b)로부터 해당 단말기에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10)는 단말기에 대하여 침입자를 음성으로써 위협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위협용 통지는, 단말기와 중앙처리장치(10)와의 음성 통신이 설정될 때까지 단말기에 의해서 계속적으로 실행된다.When the home alert mode is set when the user is in the house and is sleeping at night, when an invasion occurs, the voice signal from the termi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lephone, but the
인체감지 센서(54)를 구비한 단말기(33)는 침입 센서(43)를 구비한 단말기(31b)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되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inal 33 with the
상기에서 경계 동작의 설정 동작에서의 동작을 설명했지만, 중앙처리장치(10)의 조작부(14)에 의해서 경계 동작을 또한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경계 동작의 해제를 설정하면,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단말기(30)에 경계 동작의 해제 지령이 송신된다. 단말기는, 해제 지령을 수신하면, 경계 해제 상태로 이행한다.Although the operation in the setting operation of the boundary opera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boundary operation can also be released by the
상기의 예에서는, 모든 단말기가 정상 상태로 설정되었을 때에 경계 모드가 개시되지만(단계 S13, S15 참조), 전지가 소진된 경우에 어떤 단말기는 정상 상태로 즉시 설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모든 단말기가 정상 상태로 설정되기 전에, 정상 상태에 있는 단말기에 대하여 경계 동작을 설정할 수도 있다. 경계 동작으로 설정할 수 없는 단말기의 상태는 소정의 시간 간격(예로서, 5분)으로 확인을 시도한다. 정상 상태로 설정되도록 소정 횟수(예로서, 3회) 시도해도, 단말기가 정상 상태로 되지 않는 경우, 기기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기기 이상의 이력 정보를 중앙처리장치(10)에 기록할 수도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력 정보를, 인터넷(110)을 통하여 중앙처리장치(10)에 접속된 소정의 서버에 기록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alert mode is started when all terminals are set to the normal state (see steps S13 and S15), but some terminals may not be immediately set to the normal state when the battery is exhausted. In this case, the alert operation may be set for the terminal in the normal state before all the terminals are set to the normal state. The state of the terminal that cannot be set as the alert operation attempts to be check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example, 5 minutes). If the terminal does not return to a normal state even aft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eg, three times) attempting to be set to the normal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evice is in an abnormal state and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device abnormality may be recorded in the
상기와 같이, 단말기가 비정상 상태를 탐지하면, 중앙처리장치는 단말기에 대하여 위협용 통지를 실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침입 발생 장소의 단말기로부터 침입자를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침입자에 대하여 침입 초기 단계에서 위협할 수 있고, 침입 억제 효과가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rminal detects an abnormal state, the CPU can control the terminal to execute the threat notification, thereby threatening the intruder from the terminal at the intrusion occurrence place. Therefore, the intruder can be threatened at the initial stage of intrusion, and the intrusion suppression effect is improved.
상기의 예에서는,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단말기(30)에 경계 동작의 해제 지령이 송신되면, 단말기(30)는, 경계 해제 지령에 응답하여 경계 해제 상태로 이행하고, 또한 단말기가 경계 해제 상태로 이행한 것을 나타내는 이행 확인 신호를 중앙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 중앙처리장치(10)는, 이행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경계 동작의 해제 지령의 송신을 완료한다. 그러나, 모든 단말기(30)와 상기의 방법으로 통신을 실행하면, 모든 단말기와의 통신을 완료하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몇몇 단말기는 그 경계 동작을 해제할 수 없다. 그러한 몇몇 단말기 중 하나의 단말기가, 예로서, 인체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단말기는, 사용자가 단말기에 접근하는 경우에 경보를 발령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10)가 경계 동작의 해제 지령을 내리는 경우, 단말기(30)의 경계 동작을 동시에 해제할 수 있고 또한 모든 단말기(30)가 일제히 경계 해제 상태로 이행하도록 지령의 동보(同報) 통신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단말기(30)로부터 중앙처리장치(10)에 이행 확인 신호를 회신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중앙처리장치(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단, 경계 해제의 동보 통신을 실행하여 단말기(30)를 경계 해제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어서, 단말기(30)에 대하여 상호 통신으로써 확인 동작을 실행하여, 각각의 단말기(30)가 경계 해제 상태로 이행한 것인지를 순차적으로 확인한다. 이로 인하여 경계 해제의 편리성과 신뢰성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when the release command of the alert oper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이어서, 긴급 콜에 관한 동작을 설명한다.Next, operation | movement regarding emergency call is demonstrated.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긴급 콜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말기(34b)는 긴급 콜 버튼(47), 데이터 통신부(41), 음성 통신부(42), 음성 출력부(44), 음성 입력부(45), 제어부(46) 및 통지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각부의 기능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with an emergency cal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34b includes an
도 12에 나타내는 단말기(34b)를 휴대하는 사용자가 긴급할 때에 단말기(34b)의 긴급 콜 버튼(47)을 누르면, 긴급 상황의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단말기(34b)의 어드레스 코드와 긴급 상황 발생을 나타내는 상태 코드가 중앙처리장치(10)에 송신된다. 단말기(34b)는 긴급 상황의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한 다음, 음성 통신부(42)를 대기 상태로 설정한다.When the user carrying the terminal 34b shown in FIG. 12 presses the
중앙처리장치(10)는, 단말기(34b)로부터 수신한 코드에 따라서, 데이터 저장부(15b)를 참조해서, 그 수신 코드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검색하여, 그 메시지를 통보용으로 등록된 전화기 등(71,...)에 송신한다.The
전화기(71,...)를 통하여 메시지를 수신한 피연락자는, 전화기(71,...)로써 소정의 톤 신호를 중앙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 긴급 상황의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한 단말기(34b)에서는, 음성 통신부(42)가 대기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단말기(34b)는, 중앙처리장치(10)의 음성 통신부(12)로부터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면, 자체의 음성 통신부(42)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단말기(34b)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의 음성을, 중앙처리장치(10)의 음성 통신부(12)를 통하여 전화기(71,...)로써 모니터할 수 있고, 피연락자가 현재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전화기(71,...)를 통하여 단말기(34b)의 음성 출력부(44)로부터 출력되는 피연락자의 음성으로써, 긴급 상황에 있는 사용자를 호출할 수 있다.The callee who has received the message via the telephones 71, ... transmits a predetermined tone signal to the
단말기(34b)가 긴급 상황의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한 후, 단말기(34b)는, 단말기(34b)와 중앙처리장치(10) 또는 전화기(71,...)와의 통신이 설정될 때까지, 통지부(52)의 LED를 점멸시키거나, 음성 출력부(44)에 대하여 음(경계음)을 발 생하게 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안심감을 부여하거나, 침입자를 위협할 수 있다. After the terminal 34b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the terminal 34b until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34b and the
중앙처리장치(10)는, 설정에 의해서 통보용으로 등록된 전화기뿐만 아니라, 동일한 주거 내의 동거자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단말기로부터의 음성 신호는 외부 전화기에 송신되지 않고, 중앙처리장치(10)의 음성 출력부(12a)에 의해서 증폭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단말기(34b)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의 음성에 의한 상황 확인을 중앙처리장치(10)에서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중앙처리장치(10)의 음성 입력부(12b)로부터 단말기(34b)에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단말기(34)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를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음성으로써 호출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이, 단말기는 중앙처리장치 또는 미리 등록된 전화기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기에 의해서 비정상 상태가 탐지되면, 단말기는, 단말기와 중앙처리장치 또는 전화기와 음성 통신 링크가 설정될 때까지, 위협용 통지를 실행함으로써, 중앙처리장치 또는 미리 등록된 외부 전화기로써 단말기 주변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장소로부터 현장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음성 통신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원격 장소로부터 음성으로써 침입자를 위협할 수 있다.As above, the terminal can communicate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r a pre-registered telephone. When an abnormal condition is detected by the terminal, the terminal executes a threat notification until the voice communication link is established with the terminal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r the telephone, so that the situation around the terminal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r a pre-registered external telephone is established. Can be monitored. Therefore, the situation of the site can be grasped from the remote location and voice communication can be executed, thereby threatening an intruder by voice from the remote location.
사용자가 원격 장소로부터 단말기로의 음성 통신에 의해서 사용자의 음성으로써 직접 위협하는 것을 주저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또는 중앙처리장치에 미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위협용 통지로서 이용하면, 사용자의 음성 대신에 미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If the user is reluctant to threaten directly with the user's voice by voice communication from a remote location to the terminal, using voice data stored in the terminal o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s the notification for threat, the user's voice is stored in advance instead of the user's voice. Since voice data can be used, the user can feel secure.
상기의 예에서 위협용으로 저장된 음성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방언(方言)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지역성을 고려하여 위협할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voice data stored for the threat may be expressed in at least one dialect. Thus, locality may be considered and threatened.
또한, 위협용으로 저장된 음성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외국어로 표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외국인 침입자를 효과적으로 위협할 수 있고, 상기 시스템을 외국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voice data stored for threats may be expressed in at least one foreign langua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threaten foreign intruders, and the system can be used in foreign countries.
또한, 위협용으로 저장된 음성 데이터는 전화상으로 누군가를 호출하는 음성 데이터일 수도 있다. 이 음성 데이터는 누군가가 주거 외부의 사람에게 연락하는 것을 침입자에게 통지하므로, 침입자를 효과적으로 위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ice data stored for threat may be voice data for calling someone on the telephone. This voice data notifies the intruder that someone is contacting someone outside the residence, and can effectively threaten the intruder.
또한, 단말기 주변의 음이나 침입자의 음성에 따라서 위협용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침입 상황에 따라서 위협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필요 없이 침입자를 흥분시키지 않는다.In addition, voice data for threats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sounds around the terminal or voices of intruders. Therefore, the threat can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intrusion situation, and it is not necessary to excite the intruder.
또한, 단말기가 비정상 상태를 탐지하면, 단말기가 단말기 주변의 음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침입 이력이 기록되므로, 경찰의 수사에 이력을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detects an abnormal state, the terminal may store the voice around the terminal. Therefore, since the intrusion history is recorded, the history can be utilized for police investigation.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단말기가 비정상 상태를 탐지하면, 중앙처리장치는 단말기에 대하여 위협용 통지를 실행하게 하거나, 또는 위협 시간의 길이, 위협 동작의 음량, 위협 내용 등을 제어하여, 침입 발생을 탐지한 단말기로부터 위협 동작을 직접 실행한다. 따라서, 침입의 초기 단계에서 침입자를 위협할 수 있고, 또한 침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erminal detects an abnormal stat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auses the terminal to execute threat notification, or the length of threat time, volume of threat operation, threat content, and the like. Control to directly execute a threat action from the terminal that detected the intrus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hreaten an intruder at an early stage of intrusion and also to effectively suppress the invasion.
(제5실시형태) (5th Embodiment)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기가 비정상 상태 검출 시에 자율적으로 경계 동작을 실행하는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system in which the terminal autonomously executes alert operation upon detecting an abnormal state will be described.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침입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말기(31c)는, 데이터 통신부(41), 침입 센서(43), 제어부(46), 경보부(54) 및 데이터 저장부(55)를 구비하고 있다.Fig.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provided with an intrusion sensor in this embodiment. The terminal 31c includes a
제어부(46)는, 데이터 통신부(41)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경계 동작을 시작하도록 지령을 수신하면, 단말기로서 자율적으로 경계 동작을 개시한다. 그래서, 제어부(46)는, 침입 센서(43)로부터 비정상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이후에 설명하는 순서에 따라서 경보부(54)를 통하여 스스로 경보를 발령하고, 또한, 중앙처리장치(10)에 자체의 단말기 코드와 비정상 상태의 발생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비정상 정보를 송신한다.When the
경보부(54)는 큰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버저(buzzer)로 구성되어 있다.The
데이터 저장부(55)에는 경보에 관한 각종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 저장부(55)에는, 경보 시간(지속 기간)의 설정치와, 침입 센서(43)에 의해서 침입의 발생이 탐지되었을 때부터 실제로 경보를 발할 때까지의 지연 시간의 설정치를 저장한다. 경보 지연 시간이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예로서, 침입 센서(43)가 현관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귀가할 때에 문을 열어도 침입으로서 탐지된다. 이 경우에, 경보 지연 시간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즉시 경보를 발하는 단점이 있다. The
또한, 데이터 저장부(55)에는, 경보부(54)의 음량의 설정치, 경보부(54)의 경보음의 종류(예로서 연속음 또는 단속음(斷續音))의 설정, 예비 경보의 설정 및 예비 경보의 지속 시간의 설정치를 저장한다. 이 경우에, 예비 경보의 설정이라는 것은, 침입 센서(43)가 침입 발생을 탐지하는 경우에, 즉시 주의를 환기시키는 예비 경보를 실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설정이다. 이 예비 경보를 침입 발생 후, 본격적인 경보 전에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만 발하여, 지연 시간 없이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침입자에 대하여 더욱 신속하게 작용하는 위협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예비 경보의 음량, 경보음의 종류 등은 통상의 경계 동작 시의 것과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이하, 단말기(31c)의 설정 동작 및 경계 동작을 도 14 및 도 15의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말기(31c)에 대한 설정치의 설정은, 단말기(31c)의 초기 설정 시 등에서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지정된 단말기에 무선 통신으로써 설정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실행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기(31c)가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S31), 단말기(31c)는 수신한 설정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설정치를 판독하여, 그 설정치(즉, 경보 시간, 경보 지연 시간, 경보 음량, 경보음의 종류, 예비 경보 설정, 예비 경보 시간의 설정치)를 데이터 저장부(55)의 소정의 영역에 저장한다(S32∼S44).Hereinafter, the setting operation and the boundary operation of the terminal 31c will be described using the flowcharts of FIGS. 14 and 15. The setting of the setting value for the terminal 31c is executed by transmi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by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단말기(31c)가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설정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단말기(31c)는 경계 동작 처리를 실행한다(S45).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경계 동작 처리를 설명한다. When the terminal 31c does not receive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경계 동작은, 사용자가 중앙처리장치(10)의 조작부(14)상에 설정하는 경우 개시된다. 조작부(14)상에 경계 동작이 설정되면,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중앙처리장치(10)가 경계 대상인 단말기에 경계 동작을 실행하도록 무선 통신으로써 지령을 송신한다. 경계 동작의 지령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단말기에 송신하는 이유는, 설정을 실행하는 사용자가 잘못 탐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경계 대상인 단말기가 지령을 수신하면(S51), 단말기는, 단말기 자체가 각종 판단을 실행하는 자율적인 경계 동작을 개시한다.The alerting operation is started when the user sets on the
예로서, 경계 동작에서, 단말기(31c)가 설치되어 있는 창문과 문 중 하나가 열리면, 침입 센서(43)가 비정상 상태를 탐지한다(S53). 이때, 데이터 통신부(41)에 비정상 상태의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된다. 데이터 통신부(41)는, 이 신호를 수신하면, 자체의 어드레스 코드와 침입의 발생을 나타내는 상태 코드를 중앙처리장치(10)에 순차적으로 송신한다(S54).For example, in the boundary operation, when one of the windows and doors on which the terminal 31c is installed is opened, the
중앙처리장치(10)는 이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를 송신하는 특정 단말기를 판별하여, 침입의 발생을 인식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0)는 미리 등록된 피연락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기 또는 휴대전화기에 접속하여, 침입이 발생한 장소와 침입 발생 사실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음성 메시지를 송신한다.The
단말기(31c)는, 중앙처리장치(10)와의 데이터 통신을 종료한 직후, 데이터 저장부(55)로부터 설정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한 설정치에 따라서 이하의 동작을 실행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31c)가 예비 경보를 실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S55), 단말기(31c)는 그 설정된 시간 동안 예비 경보를 발령한다(S56). 또한, 설정된 경보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S57), 설정된 경보 시간 동안, 설정된 음량 으로, 설정된 경보음의 종류로 경보를 발령한다(S58).Immediately after the end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단말기(31c)가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경계 동작의 해제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S52), 단말기(31c)는 자율적인 경계 동작 상태로부터 설정 대기 처리로 복귀한다.When the terminal 31c receives a request for releasing the alerting operation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S52), the terminal 31c returns to the setting waiting process from the autonomous alerting state.
이상에서는, 침입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 종류와 상이한 종류의 단말기에 대해서도 상기의 자율적인 경계 동작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terminal provided with an intrusion sensor was demonstrated, said autonomous alert operation | movement can be similarly applied also to the terminal of a kind different from the said kind.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기는 중앙처리장치로부터의 지령에 의해서 자율적인 경계 동작을 개시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일단 경계 동작을 개시하면, 단말기는 자율적인 경계 동작을 실행하고, 또한 단말기의 판단으로써 예비 경보를 포함하는 경보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침입의 발생을 나타내는 정보를 중앙처리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는 외부 전화기로의 메시지 송신을 포함하는 소정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중앙처리장치로부터 단말기로의 하류 방향과, 단말기로부터 중앙처리장치로의 상류 방향의 쌍방향 통신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can start or release the autonomous alert operation by the command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nce the alert operation is initiated, the terminal executes the autonomous alert action and may also execute an alert action including a preliminary alert at the judgment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can also transmit information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intrusion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may perform certain processing including sending a message to an external telephone. This series of operations can be realized by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n the downstream direction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o the terminal and in the upstream direction from the termi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상기와 같이, 단말기는 경보 동작을 포함하는 자율적인 경계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만이 경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시스템과 비교하면, 침입 발생 장소에 대하여 직접 경보함으로써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침입자가 주거에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장소가 중앙처리장치로부터 멀리 있거나, 또는 문 등에 의해서 칸막이되어 있는 경우에, 본 발명은 유리하다.As above, the terminal is configured to execute an autonomous alert operation, including an alert action.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ystem equipped with the alarm means, onl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an threaten by directly alerting the place of intrus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intruders from entering the hous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when the place is far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r partitioned by a door or the like.
경보부(54)는 큰 음량을 발생하는 버저 이외에, 확성기 또는 벨 등의 경보 발생 수단이라도 좋다. 또한, 플래시라이트 또는 회전등 등의 광학적인 경보 수단을 사용해도 좋고, 상기한 바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 자체가 경보 동작을 포함하는 자율적인 경계 동작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비정상 상태가 발생한 장소에서 직접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또한, 일단 경계 동작의 개시 지령을 수신하면, 무선 통신 상황이 잡음 등으로 인하여 열악하게 되어도, 그 장소에서 경보를 자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높은 감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경보에 관한 각종 설정치를 단말기 내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경보의 종류를, 중앙처리장치에서 집중적으로 각각의 단말기에 설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itself can execute an autonomous alert operation including an alert operation, and can also issue an alert directly at a place where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In addition, once the instruction to start the alerting operation is received, even i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tuation becomes poor due to noise or the like, an alarm can be generated autonomously at the place. Therefore, a highly reliable monitoring system can be configured. In addition, by storing various setting values related to the alarm in the terminal, the type of alarm desired by the user can be centrally set in each terminal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제6실시형태)(Sixth Embodiment)
도 1, 2, 및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0)를 네트워크 접속부(13b)를 통하여 인터넷(110)상의 센터 서버(75)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넷(110)상의 소정의 센터 서버(75)를 이용하는 이하의 응용을 고려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2, and 5, the
중앙처리장치(10)는, 단말기상에서 실행된 경보 동작의 이력을 순차적으로 센터 서버(75)에 송신한다. 센터 서버는 그 이력을 센터 서버 내의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또한 감시 시스템용으로 구성된 WEB(홈 페이지)상에서 그 이력을 열람 가능하게 설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서 센터 서버에 접속하여, 그 WEB을 열람함으로써, 경보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The
또한, 중앙처리장치(10)는 경계 동작을 설정하거나 또는 해제하는 경우, 인터넷을 통해서 센터 서버에 접속하여, 경계 동작의 설정/해제 정보를 센터 서버에 송신한다. 센터 서버는 그 정보를 센터 서버 내의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수단에 기록하고, 또한 WEB상에서 열람 가능하게 설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서 센터 서버에 접속하여, 그 WEB을 열람함으로써, 중앙처리장치의 경계 설정 상태 및 경계 해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setting or releasing the alerting operation, the
또한, 중앙처리장치(10)에 대한 경계 동작의 설정/해제 지시용 버튼이 센터 서버(75)의 WEB상에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이들 버튼을 누르면, 그 버튼에 대응하는 지령 데이터가 센터 서버(75)로부터 인터넷(110)을 통하여 중앙처리장치(10)에 송신된다. 중앙처리장치(10)는, 지령 데이터를 수신하면, 경계 동작의 설정/해제를 실행한다. WEB을 통하여 중앙처리장치(10)에 대하여 경계 설정을 실행할 때에, 도어록 점검 이상이 있는 경우는, 설정 실패의 사실을 WEB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button for instructing setting / release of a boundary operation for the
또한, 중앙처리장치(10)는 단말기로부터 창문 또는 문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여, 그 정보를 센터 서버(75)에 송신한다. 센터 서버(75)는 그 정보를 내부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수단에 기록하고, 또한 WEB상에서 열람 가능하게 설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서 센터 서버에 접속하여, 그 WEB을 열람함으로써, 창문 또는 문의 개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중앙처리장치(10)에 대한 WEB을 통한 경계 설정의 실행 또는 WEB 열람을 고려하여, 경계 설정의 실행 또는 WEB 열람을 위한 개인 식별 번호 또는 패스워 드를 센터 서버(75)에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경계 설정을 실행하거나 또는 WEB을 열람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개인 식별 번호 또는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구한다. 입력한 개인 식별 번호 또는 패스워드가 센터 서버(75)에 등록된 것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경계 설정의 실행 또는 WEB 열람을 실행하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execution of the boundary setting through the WEB or the WEB viewing of the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면, 어디에서도, 감시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또는 경계 동작의 설정/해제를 실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check the state of the surveillance system or set / cancel the alerting operation in any environment where the Internet can be used.
이상, 본 발명에 의한 감시 시스템의 6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 6개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특징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응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경계 동작 설정 시에 실행되는 동작을 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경계 동작의 해제 시의 동작에서의 통신 설정 및 지령 송신의 순서는 경계 동작 설정 시에 실행되는 순서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6 embodiment of the monitoring system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invention demonstrated by said 6 embodiment can be combined suitably, and can be appli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operations executed at the time of setting the boundary operation have been mainly described. However, the order of communication setting and command transmission in the operation at the time of release of the alert operation can be regarded as the same as the order executed at the alert operation setting.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감시 시스템은 범죄 방지 또는 긴급 통보용 시스템이다. 여기서 말하는 "비정상 상태"는, 침입이 발생한 상태, 또는 긴급 상황이 발생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감시 시스템은 방재 및 의료 서비스 등 기타 목적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동일한 시스템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방재용의 경우에, 비정상 상태에는, 화재, 지진, 가스 누설, 또는 유독 가스 발생 등의 상태가 포함된다. 이러한 상태에 대응하는 탐지 수단을 단말기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의료 시스템에서는, 비정상 상태에는, 혈압, 맥박, 호흡, 혈액 성분 등 생리적 지표의 급변 상태가 포함되고, 이러한 생리적 지표에 대응하는 탐지 수단을 마찬가지로 단말기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외부 통신 수단으로써 비정상 상태가 발생한 장소의 상황을 확인하거나, 또는 그 장소를 호출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system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is a system for crime prevention or emergency notification. The term "abnormal state" as used herein means a state in which an intrusion has occurred or a state in which an emergency has occurred. Surveillance systems can also be used for other purposes, such as disaster prevention and medical services. In this case, the same system configuration can be used.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disaster prevention, the abnormal state includes a state such as fire, earthquake, gas leakage, or toxic gas generation. Detection means corresponding to this condition may be provided in the terminal. In the medical system, the abnormal state includes a sudden change state of physiological indicators such as blood pressure, pulse rate, respiration, and blood components, and a detection means corresponding to such physiological indicators may be provided in the terminal as well. In such a case, it is a very effective means to confirm the situation of the place where the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or to call the place as an external communication means.
또한, 단말기의 수는 상기의 예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단말기의 어드레스 코드와 상태 코드를 특정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The number of terminals is not limited to that described in the above example, and can be arbitrarily set as long as the address code and status code of the terminal can be specified.
또한, 상기 예의 침입 감지 수단은 가동부의 자석의 움직임에 민감한 리드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초전기(pyroelectric) 적외선 센서 등 인체 센서를 이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the intrusion detecting means of the above example is composed of a reed switch sensitive to the movement of the magnet of the movable portion. However,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by using a human body sensor such as a pyroelectric infrared sensor.
또한, 상기 예의 긴급 콜 수단은 푸시버튼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지만, 쥐는 것(grip)에 의해서 접점이 닫히는 메커니즘 등, 또 다른 역학적 접점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생리적 지표를 측정하는 센서와 자동적으로 연동하여, 상태의 급변을 비정상 상태의 발생으로서 송신하는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emergency call means in the above example is composed of a pushbutton switch, a means using another mechanical contact mechanism such as a mechanism in which the contact is closed by a grip may be us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a means for automatically interlocking with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ological index and transmitting a sudden change of state as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state, the same effect as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또한, 상기 예의 단말기에, 단말기 주위의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설치할 수도 있다. 단말기가 침입 또는 긴급 상황의 발생을 탐지하면, 상기 카메라로써 그 장소의 상황을 촬영하여, 촬영한 영상 정보를 중앙처리장치(10)의 데이터 저장부(15b)에 저장하거나, 또는 그 영상 정보를 센터 서버(75)에 송신할 수도 있다. 센터 서버(75)는 그 정보를 내부의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수단에 기록하고, 또한 WEB상에서 열람 가능하게 설정한다.In addition,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situation around the terminal may be provided in the terminal of the above example. When the terminal detects the occurrence of an intrusion or emergency situation, the camera photographs the situation of the place and stores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in the
상기 예에서는, 통신 매체로서 무선 매체를 이용하고 있지만, 전용 회선에 의한 유선 통신, 전등선 반송 통신, 적외선 통신, 또는 광섬유 통신 등, 어떠한 통신 매체라도 이용할 수 있고,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a wireless medium is used as the communication medium, but any communication medium such as wired communication, light line carrier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or optical fiber communication by a dedicated line can be used, and the same effects as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또한, 본 실시예를 전화기나 공중 회선을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인용 컴퓨터 또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 등의 통신기기를 이용할 수도 있고, 또는 전용 회선이나 인터넷을 이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is embodiment was described using a telephone or a public li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or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may be used, or a dedicated line or the Internet may be used.
또한, 상기 예에서는, 전화기(71,...)와 단말기는,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한 인터넷 전화를 이용하여, 소정의 통보처로서의 음성 통신기기와 단말기와의 사이의 음성 통신을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에 인터넷 회선만을 접속하면 되므로, 장치를 합리화할 수 있고, 또한 통신 비용을 종래의 전화 회선에 의한 음성 통신의 비용에 비해서 더 낮게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시스템은 경제적 이점이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telephones 71, ... and the terminal ar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a telephone line.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set up voice communication between the voice communication device as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destination and the terminal by using an Internet telephone via the Internet. Therefore, since only the Internet line needs to be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e device can be rationalized and the communication cost can be reduced lower than the cost of voice communication by the conventional telephone line. Therefore, the system has an economic advantage.
본 발명을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는 많은 변형, 수정, 기타 이용이 있을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서 특정하여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ations, modifications, and other uses may be made. Accordingly,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what is specifically shown herein but may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3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2-00111682 | 2002-04-15 | ||
JPJP-P-2002-00111681 | 2002-04-15 | ||
JP2002111682 | 2002-04-15 | ||
JP2002111681 | 2002-04-15 | ||
JPJP-P-2002-00211324 | 2002-07-19 | ||
JP2002211324 | 2002-07-19 | ||
JP2002268524 | 2002-09-13 | ||
JPJP-P-2002-00268524 | 2002-09-13 | ||
PCT/JP2003/001909 WO2003088174A1 (en) | 2002-04-15 | 2003-02-21 | Monitor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96579A KR20040096579A (en) | 2004-11-16 |
KR100937547B1 true KR100937547B1 (en) | 2010-01-19 |
Family
ID=2925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1278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7547B1 (en) | 2002-04-15 | 2003-02-21 | Surveillance system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7385496B2 (en) |
JP (1) | JP3910178B2 (en) |
KR (1) | KR100937547B1 (en) |
CN (1) | CN100504943C (en) |
AU (1) | AU2003211245A1 (en) |
TW (1) | TWI284295B (en) |
WO (1) | WO2003088174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9659A (en) * | 2017-07-19 | 2019-0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ctivator, mobile device, and control device of activating reporting mode of doore sensing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26279A1 (en) * | 2004-07-28 | 2006-02-02 | Microsoft Corporation | Strategies for monitoring the consumption of resources |
JP4439364B2 (en) * | 2004-09-22 | 2010-03-24 |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 Machine security system |
JP4508860B2 (en) * | 2004-12-28 | 2010-07-21 | セコム株式会社 | Security equipment |
US20060178168A1 (en) * | 2005-02-07 | 2006-08-10 | Peter Roach | Methods and apparatus for alerting a wireless network administrator to the location or status of a wireless device |
KR100788433B1 (en) | 2006-04-04 | 2007-12-26 | (주)제이원 | Unmanned security system and device using both telephone line and internet network |
US7965171B2 (en) * | 2006-05-04 | 2011-06-21 | Shmuel Hershkovitz | Security system entry control |
US7456729B2 (en) * | 2006-05-22 | 2008-11-25 | Microsoft Corporation | Position based tactile reporting |
EP2055069B1 (en) * | 2006-06-13 | 2020-04-08 | NXP USA, Inc. | 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security breach indicative audio alert |
NZ574748A (en) * | 2006-07-12 | 2012-06-29 | Imprenditore Pty Ltd | Monitoring system with central facility receiving signal from remote sensor and notifying subscriber devices |
US8041655B2 (en) * | 2006-08-17 | 2011-10-18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 Otoacoustic protection in biologically-inspired systems |
US20080092610A1 (en) * | 2006-10-20 | 2008-04-24 | Chung-Yi Kuo | Protective lock structure |
US20080112571A1 (en) * | 2006-11-09 | 2008-05-15 | Thomas Michael Bradicich | Noise control in proximity to a computer system |
US8271310B2 (en) * | 2006-12-20 | 2012-09-18 | Microsoft Corporation | Virtualizing consumer behavior as a financial instrument |
JP2008193236A (en) * | 2007-02-01 | 2008-08-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Remote monitoring device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
JP5008438B2 (en) * | 2007-03-29 | 2012-08-22 | Dxアンテナ株式会社 | Sensor light |
WO2008134810A1 (en) * | 2007-05-04 | 2008-11-13 | Imprenditore Pty Limited | Monitoring apparatus and system |
US8135995B2 (en) * | 2007-10-19 | 2012-03-13 |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 Diagnostic data repository |
JP5127534B2 (en) * | 2008-03-31 | 2013-01-23 | セコム株式会社 | Security equipment |
JP4999755B2 (en) * | 2008-03-31 | 2012-08-15 | セコム株式会社 | Security equipment |
JP5107115B2 (en) * | 2008-03-31 | 2012-12-26 | セコム株式会社 | Security equipment |
WO2010079527A1 (en) * | 2009-01-06 | 2010-07-15 | オプテックス株式会社 | Security sensor system |
US20100217451A1 (en) * | 2009-02-24 | 2010-08-26 | Tetsuya Kouda | Energy usage control system and method |
US8417656B2 (en) * | 2009-06-16 | 2013-04-09 |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 Techniques for building an aggregate model for performing diagnostics |
US8140898B2 (en) * | 2009-06-16 | 2012-03-20 |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 Techniques for gathering evidence for performing diagnostics |
US8171343B2 (en) * | 2009-06-16 | 2012-05-01 |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 Techniques for determining models for performing diagnostics |
US8612377B2 (en) * | 2009-12-17 | 2013-12-17 |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 Techniques for generating diagnostic results |
US20120001755A1 (en) * | 2010-07-02 | 2012-01-05 | Richard Paul Conrady | Virtual Presence after Security Event Detection |
US20120169499A1 (en) * | 2010-12-31 | 2012-07-05 | Schneider Electric Buildings Ab |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hysical security via detecting potential intrusion |
KR101221490B1 (en) * | 2011-03-23 | 2013-01-11 | 송문석 | Sound guidance system using radio communication for emergency |
US8653818B2 (en) * | 2011-04-08 | 2014-02-18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Parallel transmission RF pulse design with local SAR constraints |
CN102411832B (en) * | 2011-07-22 | 2013-08-28 | 北京汉邦高科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 Intelligent tracking and detecting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monitoring equipment |
CN102385790A (en) * | 2011-10-19 | 2012-03-21 | 何进波 | Risk early warning system of multisensor acquisition control based on embedded system structure |
EP2822138B1 (en) * | 2012-02-27 | 2018-11-07 | Kyocera Corporation |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and storage cell control method |
JP5120906B1 (en) * | 2012-07-05 | 2013-01-16 | 株式会社 テクノミライ | Digital security network system and method |
US9353550B1 (en) * | 2012-09-13 | 2016-05-31 | Shelby G. Smith, III | Lock engagement status indicator system |
KR20200083663A (en) | 2013-10-14 | 2020-07-08 | 콩코드 아시아 피티이.엘티디. | A mobile control unit,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a mobile unit control system, a facility management method and a mobile unit control method |
KR101532911B1 (en) * | 2013-11-01 | 2015-07-01 | 김영애 | Infrared sensing device for watching activity of patient |
JP2015116956A (en) * | 2013-12-19 | 2015-06-25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Vehicle anti-theft system |
US9536406B2 (en) * | 2014-06-02 | 2017-01-03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System and method of motion detection and secondary measurements |
US9940797B2 (en) * | 2015-02-23 | 2018-04-10 | Ecolink Intelligent Technology, Inc. | Smart barrier alarm device |
US10692340B2 (en) | 2015-02-23 | 2020-06-23 | Ecolink Intelligent Technology, Inc. | Smart barrier alarm device |
PL3488432T3 (en) | 2016-07-22 | 2021-12-06 | Stylos Design Ab | Alarm triggering device and circuitry therefor |
US10223192B2 (en) | 2016-08-31 | 2019-03-05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Automated data storage library snapshot for host detected errors |
US10698615B2 (en) | 2016-08-31 | 2020-06-30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Trigger event detection for automatic log collection in an automated data storage library |
US10114708B2 (en) * | 2016-08-31 | 2018-10-30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Automatic log collection for an automated data storage library |
CN107833437B (en) * | 2017-11-17 | 2019-06-28 |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航空计算技术研究所 | Phonic warning method based on the multichannel multipriority control command with delay |
WO2019231391A1 (en) | 2018-05-29 | 2019-12-05 | Concorde Asia Pte. Ltd. | Mobile monitoring system, mobile monitoring unit and mobile monitoring method |
US11721187B2 (en) * | 2018-11-06 | 2023-08-08 | Motorola Solutions, Inc. |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video streams |
CN112071414A (en) * | 2019-05-21 | 2020-12-11 | 佳纶生技股份有限公司 | Event stat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
US10986555B1 (en) * | 2019-09-25 | 2021-04-20 | Dsbm, Llc | Analog and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for interfacing plain old telephone service devices with a network |
JP7433052B2 (en) * | 2020-01-06 | 2024-02-19 | Ntn株式会社 | Condition monitoring device and wind power generator equipped with condition monitoring device |
CN111885358B (en) * | 2020-07-24 | 2022-05-17 | 广东讯飞启明科技发展有限公司 | Examination terminal positioning and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
CN112837517A (en) * | 2021-01-04 | 2021-05-25 | 北京金山云网络技术有限公司 | Alarm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erver, client and alarm system |
TWI793806B (en) * | 2021-10-15 | 2023-02-21 | 蔡牧辰 | Smart home security service system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89597A (en) * | 1984-03-09 | 1985-09-27 | 三菱電機株式会社 | home security system |
JPH0816957A (en) * | 1994-07-01 | 1996-01-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Control device |
JP2001338372A (en) * | 2000-05-25 | 2001-12-07 | Creators' Union Co Ltd | Home security system and its recording medium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5898A (en) * | 1981-07-01 | 1983-01-13 | シャープ株式会社 | alarm device |
JPS60175199A (en) * | 1984-02-20 | 1985-09-09 | 三菱電機株式会社 | Home security system |
JPH02116393A (en) | 1988-10-26 | 1990-05-01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Reciprocative electric shaver |
JPH02116393U (en) * | 1989-03-01 | 1990-09-18 | ||
US5400246A (en) * | 1989-05-09 | 1995-03-21 | Ansan Industries, Ltd. | Peripheral data acquisition, monitor, and adaptive control system via personal computer |
JPH08322810A (en) * | 1995-04-27 | 1996-12-10 | Nippon Denshi Kogyo Kk | General control system for patient nursing institution |
CN1110028C (en) | 1997-01-05 | 2003-05-28 | 河南省科学院应用物理研究所 | Intelligent automatic multi-alarm accepting network system |
JPH116393A (en) | 1997-06-16 | 1999-01-12 | Houshiyou:Kk | Expansion type crushing cutter and earth-non-removing pipe jacking method using the same |
TW445377B (en) | 1998-06-19 | 2001-07-11 | United Telecomm Hi Tech Co Ltd | Security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global position system |
CN1125420C (en) | 1999-04-30 | 2003-10-22 | 北京华讯和达数据科技有限公司 | Wire and wireless integrated safety alarm system |
TW466461B (en) | 2000-01-18 | 2001-12-01 | Fan Shaing Electronics Co Ltd | Digital wireless video/audio security system |
JP3459902B2 (en) * | 2000-06-19 | 2003-10-27 | 神戸電子パーツ株式会社 | Remote monitoring system |
JP2002008166A (en) * | 2000-06-27 | 2002-01-11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Monitoring control system |
JP2002099975A (en) * | 2000-09-21 | 2002-04-05 | Yamatake Building Systems Co Ltd | Remote monitoring system |
JP2002109660A (en) * | 2000-09-26 | 2002-04-1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Hom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home security system, and home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
JP3666400B2 (en) | 2001-03-07 | 2005-06-29 | オムロン株式会社 |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security system |
JP2002298255A (en) | 2001-03-30 | 2002-10-11 | Sogo Keibi Hosho Co Ltd | Security device and security system |
-
2003
- 2003-02-21 JP JP2003585037A patent/JP391017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2-21 AU AU2003211245A patent/AU200321124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2-21 KR KR1020047012782A patent/KR10093754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2-21 US US10/510,986 patent/US738549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2-21 WO PCT/JP2003/001909 patent/WO200308817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3-02-21 CN CNB038048795A patent/CN100504943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3-12 TW TW092105398A patent/TWI284295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89597A (en) * | 1984-03-09 | 1985-09-27 | 三菱電機株式会社 | home security system |
JPH0816957A (en) * | 1994-07-01 | 1996-01-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Control device |
JP2001338372A (en) * | 2000-05-25 | 2001-12-07 | Creators' Union Co Ltd | Home security system and its recording medium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9659A (en) * | 2017-07-19 | 2019-0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ctivator, mobile device, and control device of activating reporting mode of doore sensing device |
KR101983449B1 (en) * | 2017-07-19 | 2019-05-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ctivator, mobile device, and control device of activating reporting mode of doore sens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0504943C (en) | 2009-06-24 |
TW200305115A (en) | 2003-10-16 |
US20050160325A1 (en) | 2005-07-21 |
WO2003088174A1 (en) | 2003-10-23 |
JPWO2003088174A1 (en) | 2005-08-25 |
CN1639750A (en) | 2005-07-13 |
TWI284295B (en) | 2007-07-21 |
AU2003211245A1 (en) | 2003-10-27 |
JP3910178B2 (en) | 2007-04-25 |
KR20040096579A (en) | 2004-11-16 |
US7385496B2 (en) | 2008-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37547B1 (en) | Surveillance system | |
US724816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security systems | |
US9154933B2 (en) | Cordless phone system with integrated alarm and remote monitoring capability | |
US20030104800A1 (en) | Telephone with alarm signalling | |
JPH11154292A (en) | Integrated warning system | |
KR200188880Y1 (en) | Security system for video transmission | |
JP2005056261A (en) | Home security system | |
WO1997048220A2 (en) | Programmed telephone security system | |
KR20050102541A (en) | Fire alarm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station | |
JP4590726B2 (en) | Remote monitoring device | |
JP2004070564A (en) | Security system | |
KR20010088971A (en) | New Tech Security System | |
KR20050005139A (en) | A security-system for communication to both | |
JP4540462B2 (en) | Power supply control device with monitoring function,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device, and electric device system | |
JP2005012510A (en) | Emergency information system | |
JP2005149478A (en) | Monitoring system | |
JP2001211269A (en) | Supervisory system for specific area | |
JP2009213182A (en) | Intercom system | |
JP2002183863A (en) | Safety confirmation system | |
JPH09198591A (en) | Reporting device for burglary prevention | |
JP4788692B2 (en) | Intercom system | |
JPH07334776A (en) | Automatic alarm system | |
JP2004056437A (en) | Monitoring system | |
KR20060060267A (en) | Telephone system with security function and alarm function | |
KR200239286Y1 (en) | Device for alarming with photographing intru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1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112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