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844B1 - Air mattress - Google Patents
Air mattres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5844B1 KR100935844B1 KR1020080033389A KR20080033389A KR100935844B1 KR 100935844 B1 KR100935844 B1 KR 100935844B1 KR 1020080033389 A KR1020080033389 A KR 1020080033389A KR 20080033389 A KR20080033389 A KR 20080033389A KR 100935844 B1 KR100935844 B1 KR 1009358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power
- pipe
- connector
- ce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4210 Pressure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4357 Electric shock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799 Para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9 lev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61H2201/0146—Mattr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6—Control means thereof pneumatically control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에어매트리스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에어매트리스는: 에어펌프에서 발생된 공압에 의하여 셀부재가 팽창되며 전원발생부에서 발생된 전원에 의하여 히팅부재가 가열되는 에어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와 상기 전원발생부가 내측에 구비된 컨트롤부와, 상기 컨트롤부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에어펌프에서 발생된 공압을 전달하는 내부관로가 내측에 연결되며 외측에는 상기 내부관로와 연통된 삽입안내구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발생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제1전원연결부가 일측에 구비된 제1멀티연결부와, 상기 제1멀티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안내구에 삽입되는 연결관로가 일측에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셀부재와 연결되는 에어관로가 설치되며, 상기 제1전원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발생부의 전원을 상기 히팅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제2전원연결부가 구비된 제2멀티연결부 및 상기 제1멀티연결부에 상기 제2멀티연결부가 탄성 결합에 의하여 착탈이 이루어지게 하는 탄성결합부를 포함한다.An invention for an air mattress is disclosed. The disclosed air mattress includes: an air mattress in which a cell member is expanded by pneumatic pressure generated in an air pump and a heating member is heated by a power generated from a power generator, wherein the air pump and the power generator are provided inside And an inner conduit mounted on the side of the control unit to transmit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ed from the air pump, the outer conduit having an insertion guid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conduit, and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ng unit. The first multi-connect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receiving the first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first multi-connecting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multi-connect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uide is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air pipe passage connected to the cell member on the other side Is installe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connection for transferring the power of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to the heating member It includes bidoen second multi-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multi-connection to the first multi-connecting the elastic coupling to be made removable by the elastic coupling part.
에어펌프, 셀부재, 에어매트리스, 탄성결합부, 에어관로 Air pump, cell member, air mattress, elastic coupling part, air pipe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터치 방식에 의하여 착탈이 이루어지는 제1,2연결부에 의하여 에어펌프의 공압을 셀부재에 공급하거나, 제1,2멀티연결부에 의하여 에어펌프의 공압을 셀부재에 공급하는 동시에 전원발생부의 전원을 히팅부재에 공급하기 위한 에어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mattress, and more particularly, to supply the pneumatic pressure of the air pump to the cell member by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arts detachable by a one-touch method, or the pneumatic pressure of the air pump by the first and second multi-connecting par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mattress for supplying power to a cell member while supplying power to a cell member.
일반적으로, 에어매트리스는 에어펌프에 의하여 발생된 공압을 셀부재에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안락한 쿠션감을 제공하게 된다.In general, the air mattress is connected to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ed by the air pump to the cell member to provide a comfortable cushioning to the user.
상기 에어펌프는 컨트롤부 내측에 설치되며 별도의 관로에 의하여 상기 셀부재와 연결된다.The air pump is installed inside the control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cell member by a separate pipe.
그러나,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된 관로와 상기 셀부재와 연결된 관로는 2개 이상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각 관로를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며,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된 관로와 상기 셀부재와 연결된 관로의 착탈 작업시 배선이 바뀌는 것과 개별적으로 끼우고 빼는 작업에 의하여 사용상 불편함 이 발생한다.However, two or more pipelines connected to the air pump and the cell member may be provided, and in this case, an operation of connecting the respective pipelines is essential, and the pipeline and the cell member connected to the air pump are necessary. Inconvenience in use occurs due to the change of wiring and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wires separately when the pipe is attached and detached.
그리고, 상기 셀부재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셀부재에 히팅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컨트롤부 내측에 전원발생부를 설치할 경우, 상기 히팅부재와 상기 전원발생부의 연결을 위해서도 별도의 배선 작업이 요구되는 것에 의하여 조립 생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In addition, when a heating member is installed in the cell memb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cell member and a power generation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control unit, a separate wiring work is required to connect the heating member and the power generation unit. Assembly productivity fall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에어펌프와 연결된 관로와 셀부재와 연결된 관로가 억지끼움에 의하여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과 배선의 방향이 다르게 조립되는 것에 의하여 불량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매트리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reated by the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the defect rate is reduced due to the workability is reduced by the fitting of the pipe connected to the air pump and the pipe connected to the cell member by the interference fit and the direction of the wiring is assembled different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mattress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은 셀부재로 공압을 제공하기 위하여 에어펌프와 연결된 관로의 연결작업과 히팅부재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발생부와 연결된 선로의 연결작업이 별도의 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조립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매트리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ssembly productivity is reduced by the connection work of the line connected to the air pump and the line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ng unit to supply power to the heating member in order to provide air pressure to the cell member is made of a separate opera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air mattress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리스는: 에어펌프에서 발생된 공압에 의하여 셀부재가 팽창되는 에어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가 내측에 구비된 컨트롤부와, 상기 컨트롤부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에어펌프가 내측에 연결되며 외측에는 이와 연통된 삽입안내구가 구비된 제1연결부와, 상기 삽입안내구에 삽입되는 연결관로가 일측에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셀부재와 연결되는 에어관로가 연결된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에 상기 제2연결부가 탄성 결합에 의하여 착탈이 이루어지게 하는 탄성결합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mattress may include: an air mattress in which a cell member is expanded by pneumatic pressure generated from an air pump, the air pump having a control unit provided inside, and mounted on a side of the control unit, the air The pump is connected to the inside and the outer side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ng portion having an insertion guide communicating with it, and a connecting pip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uide is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second connected to the air pipe connected to the cell member on the other side.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elastic coupling portion to be detachable by the elastic coupl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리스는: 에어펌프에서 발생된 공압에 의하 여 셀부재가 팽창되며 전원발생부에서 발생된 전원에 의하여 히팅부재가 가열되는 에어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와 상기 전원발생부가 내측에 구비된 컨트롤부와, 상기 컨트롤부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에어펌프에서 발생된 공압을 전달하는 내부관로가 내측에 연결되며 외측에는 상기 내부관로와 연통된 삽입안내구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발생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제1전원연결부가 일측에 구비된 제1멀티연결부와, 상기 제1멀티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안내구에 삽입되는 연결관로가 일측에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셀부재와 연결되는 에어관로가 설치되며, 상기 제1전원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발생부의 전원을 상기 히팅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제2전원연결부가 구비된 제2멀티연결부 및 상기 제1멀티연결부에 상기 제2멀티연결부가 탄성 결합에 의하여 착탈이 이루어지게 하는 탄성결합부를 포함한다.In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ir mattress in which the cell member is expanded by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ed in the air pump and the heating member is heated by the power generated in the power generating unit, the air pump and the power supply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on the inside and the inner passage for mounting the side of the control unit to deliver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ed by the air pump is connected to the inner side and the insertion guide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passage, The first multi-connecting part is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ng unit and is supplied with power, and the first multi-connecting part is provided at one side, and the connecting pipe is coupled to the first multi-connecting part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uide. An air duct connected to the cell member is installed and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connection part to transfer power of the power generation part to the heating member. And a second multi-connector provided with a second power connector, and an elastic coupler configured to attach or detach the second multi-connector to the first multi-connector by elastic coupling.
또한 상기 에어펌프에서 나오는 공압이 복수의 방향으로 분기되어 상기 셀부재에 공급되도록 상기 에어펌프에 연결된 공압제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pump may further include a pneumatic control member connected to the air pump such that the pneumatic pressure from the air pump is branch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supplied to the cell member.
또한 상기 공압제어부재에 의하여 분기된 공압에 의하여 상기 셀부재는 좌우교대셀과 교대부양셀이 독립적으로 팽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y the pneumatic branching by the pneumatic control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and right alternating cells and the alternating support cells are independently expanded.
또한 상기 공압제어부재는 상기 에어펌프를 통하여 공급된 공기가 내측을 따라 흐르도록 내측관로를 구비한 몸체부재와, 상기 내측관로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재의 외측으로 공압을 안내하는 분기관로와, 상기 분기관로를 따라 흐르는 공압을 개폐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neumatic control member is a body member having an inner conduit so that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pump flows along the inner side, and a branch conduit connected to the inner conduit to guide the pneumatic to the outside of the body memb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valve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neumatic flow along the branch pipe.
또한 상기 내측관로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부재로 공급된 공압이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or member mounted on one end of the inner pipe passage for detecting whether the pneumatic pressure supplied to the body member rises above a set pressure.
또한 상기 삽입안내구와 상기 연결관로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ertion guide and the connecting pip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삽입안내구와 상기 연결관로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ertion guide and the connecting pipe is preferably formed in a zigzag shape.
또한 상기 제1멀티연결부와 상기 제2멀티연결부의 결합면에는 방향성돌기와 방향성홈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rectional protrusion and the directional groove are selectively formed on the coupling surface of the first multi-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multi-connecting portion.
또한 상기 탄성결합부는 상기 제1멀티연결부의 외측에 절곡된 형상에 의하여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는며 측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탄성체결편과, 상기 탄성체결편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제2멀티연결부의 측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걸림홈이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shape bent on the outside of the first multi-connecting portion and the elastic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the engaging projection on the side, and the side of the second multi-connecting portion to guide the insertion of the elastic fastening piece It is preferred that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including a locking groove for inserting the locking projection.
또한 상기 삽입안내구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안내구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관로의 일단에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ertion guid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t is preferable to have a sealing member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ipe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uide.
또한 상기 삽입안내구에서 상기 연결관로가 분리된 이후에 상기 연결관로를 통하여 상기 셀부재의 공기가 외측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관로의 일단을 감싸는 캡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ap member surrounding one end of the connecting pipe in order to prevent the air of the cell member from coming out through the connecting pipe after the connecting pipe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uide.
또한 상기 제1전원연결부에는 전원삽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전원삽입홈에 삽 입되기 위한 전원삽입핀이 상기 제2전원연결부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power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power insertion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insertion pin for insertion into the power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with the second power connection por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매트리스는 종래 발명과 달리 에어펌프와 연결된 관로와 셀부재와 연결된 관로의 결합이 원터치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종래에 비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며, 복수의 관로를 연결함에 있어서 방향성을 갖으며 한번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조립 불량에 따른 동작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workability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by the one-touch method, in which the pipe line connected to the air pump and the pipe line connected to the cell member ar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directional and by the combination is made at one time it can be prevented that the operation failure due to the assembly failure.
또한, 본 발명은 에어펌프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압을 전달받기 위한 관로의 연결작업과 전원발생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원을 전달받기 위한 배선의 연결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종래에 비하여 조립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ssembly productivity compared to the prior art by the connection operation of the pipe for receiving the pneumatic pressure supplied through the air pump and the connection of the wire for receiving the power delivered through the power generating unit at the same time. hav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매트리스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리스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압제어부재를 상세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3 is illustrated in FIG. 1. Detailed illustration of the pneumatic control membe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리스는 에어펌프(3)에서 발생된 공압에 의하여 셀부재(50)가 팽창된다.1 to 3,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ands the
상기 에어매트리스는 상기 에어펌프(3)가 내측에 구비된 컨트롤부(1)와, 상기 컨트롤부(1)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에어펌프(3)가 내측에 연결되며 외측에는 이와 연통된 삽입안내구(12)가 구비된 제1연결부(10)와, 상기 삽입안내구(12)에 삽입되는 연결관로(22)가 일측에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셀부재(50)와 연결되는 에어관로(32)가 연결된 제2연결부(20) 및 상기 제1연결부(10)에 상기 제2연결부(20)가 탄성 결합에 의하여 착탈이 이루어지게 하는 탄성결합부(40)를 포함한다.The air mattress is inserted into the
상기 컨트롤부(1)에는 상기 에어펌프(3)에서 나오는 공압이 복수의 방향으로 분기되어 상기 셀부재(50)에 공급되도록 상기 에어펌프(3)에 연결된 공압제어부재(60)를 더 포함한다.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압제어부재(60)는 상기 에어펌프(3)를 통하여 공급된 공기가 내측을 따라 흐르도록 내측관로(66)를 구비한 몸체부재(64)와, 상기 내측관로(66)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재(64)의 외측으로 공압을 안내하는 분기관로(68)와, 상기 분기관로(68)를 따라 흐르는 공압을 개폐하는 밸브부재(6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 분기관로(68) 상측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밸브부재(62)의 차단부재가 삽입되어 작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분기관로(68)를 따라 흐 르는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분기관로(68)를 개폐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밸브부재(62)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상기 분기관로(68)는 상기 셀부재(50)로 공급되는 에어관로(32)의 개수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부재(50)가 서로 다르게 팽창되는 제1셀부재(52)와 제2셀부재(54)가 교차하여 설치된 교대부양셀(51)만 구비할 경우, 상기 에어관로(32)는 2개만 필요하게 되며, 이에 따른 분기관로(68)와 밸브부재(62)도 2개씩만 필요하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상기 공압제어부재(60)는 상기 셀부재(50)에 서로 다른 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할 것이며, 상기 공압제어부재(60)에 의하여 분기된 공압에 의하여 상기 셀부재(50)는 좌우교대셀이 2부분 이상으로 나뉘어져 독립적으로 팽창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대부양셀(51)은 일측의 공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1셀부재(52)와 타측의 공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2셀부재(54)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교차하며 설치된다.The
상기 제1셀부재(52)와 제2셀부재(54)에서 상기 공압제어부재(60)로 돌아온 공기는 배기공(282)을 통하여 외측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되거나 별도의 밸브부재(62)를 장착하여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Air returned from the
그리고, 상기 내측관로(66)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부재(64)로 공급된 공압이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부재(280)가 설치된다.A
에어매트리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셀부재(50)의 팽창 정도를 보통으로 원하는 경우, 상기 셀부재(50)로 공급되는 공압이 평균치로 설정된 공압보다 클 경우 상기 압력센서부재(280)는 이를 체크하여 상기 에어펌프(3)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장치로 이를 보내게 된다.When the user using the air mattress wants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상기 공압제어부재(60)에는 내부관로(3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관로(30)를 통과한 공압은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를 차례로 통과하여 에어관로(32)를 따라 상기 셀부재(50)로 공급된다.An
제1연결부(10)에는 내부관로(30)와 연결되기 위한 제1연결관(14)이 컨트롤부(1) 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The
제1연결관(14)이 외측에 돌출 형성된 제1몸체부재(16)의 내측에는 제1연결관(14)과 연통된 삽입안내구(12)가 구비된다.An
제1연결부(10)는 컨트롤부(1)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연결부(10)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20)는 원터치 방식에 의하여 상호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The
제2연결부(20)에는 삽입안내구(12)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관로(22)가 제2몸체부재(26)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삽입안내구(12)에 연결관로(22)가 삽입되어 고정이 이루어지며, 삽입안내구(12)의 일단에는 실링부재(24)가 설치되어 연결관로(22)가 삽입안내구(12)에 삽입될 때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The
삽입안내구(12)와 연결관로(22)는 상호 결합되어 공기를 전달하기 위한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삽입안내구(12)와 연결관로(2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셀부재(50)로 공급되는 독립적인 공압이 2개 필요한 것에 의하여 삽입안내구(12)와 이에 결합되는 연결관로(22)가 2개이나, 이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삽입안내구(12)와 상기 연결관로(22)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의 결합은 2개의 서로 다른 공압이 제공되는 것에 의하여 방향성을 갖는 결합이 요구되지 않으나, 필요에 따라서 방향성을 갖는 결합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제1연결부(10)와 상기 제2연결부(20)의 결합면에는 방향성돌기와 방향성홈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Coupling of the first connecting
제2연결부(20)에서 삽입안내구(12)의 반대 방향으로 제2연결관(28)이 돌출 형성되며, 제2연결관(28)은 에어관로(32)와 결합되어 셀부재(50)로 공기를 전달하게 된다.The second connecting
상기 제1연결부(10)에 상기 제2연결부(20)가 탄성 결합에 의하여 착탈이 이루어지게 하는 탄성결합부(40)를 포함한다.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20)가 제1연결부(10)에 탄성 결합에 의하여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제1연결부(10)에는 제2연결부(20)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길이방향으로 삽입홈(44)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second connecting
상기 삽입홈(44)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걸림홈(46)이 구비되어 체결 부(48)를 형성하게 된다.One side of the
제2연결부(20)의 외측에는 탄성체결편(42)이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체결편(42)의 외측에는 걸림돌기(43)가 돌출 형성된다.An
상기 체결부(48)와 상기 걸림돌기(43)와 탄성체결편(42)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탄성결합부(40)를 구성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삽입안내구(12)에서 상기 연결관로(22)가 분리된 이후에 상기 연결관로(22)를 통하여 상기 셀부재(50)의 공기가 외측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관로(22)의 일단을 감싸는 캡부재(7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fter the connecting
제2몸체부재(26)의 외측에는 고리부재(27)가 돌출 형성되며 캡부재(70)의 외측에도 고리부재(27)가 돌출 형성되어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호간 연결이 이루어진다.The outer side of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리스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An operating state of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에어펌프(3)에서 공압이 생성되면 공압제어부재(60)의 내측관로(66)를 따라 흐르게 되며, 밸브부재(62)의 작동에 의하여 분기관로(68)를 흐르는 공기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When pneumatic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이로 인하여, 공압제어부재(60)와 연결된 내부관로(30)에는 서로 다른 공압이 제공된다.Thus, different pneumatic pressures are provided to the
제1연결부(10)는 컨트롤부(1)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1연결부(10)에 결합되기 위한 제2연결부(20)는 연결관로(22)가 삽입안내구(12)에 삽입되는 방향으 로 체결이 이루어진다.The
제2연결부(20)의 탄성체결편(42)이 삽입홀을 따라 이동하며, 탄성체결편(42)의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43)가 걸림홈(46)에 체결됨으로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가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제1연결부(10)에는 내부관로(30)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2연결부(20)에는 에어관로(32)가 연결되며, 원터치방식에 의하여 제2연결부(20)가 제1연결부(10)에 결합되며, 결합을 해제할 경우에도 작업자가 탄성체결편(42)을 눌러 걸립돌기가 걸림홈(46)에서 이탈되도록 한 후에 제2연결부(20)를 제1연결부(10)에서 빼게 된다.An
그리고, 연결관로(22)를 통하여 셀부재(50)의 공기가 누설됨을 차단하기 위하여 연결관로(22)의 일단에 캡부재(70)를 결합하게 된다.Then, the
제2연결부(20)와 연결된 에어관로(32)는 제1셀부재(52)와 제2셀부재(54)에 각각 다른 공압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교대부양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환자의 욕창을 방지하게 된다.The
제1셀부재(52) 또는 제2셀부재(54)에 공압이 공급되지 않을 때, 셀부재(50)의 공기는 에어관로(32)와 내부관로(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공압제어부재(60)로 복귀한다.When no air pressure is supplied to the
이러한 공기는 별도의 밸브부재(62)의 작동에 의하여 컨트롤부(1)의 측벽에 구비된 배기공(282)으로 안내된다.This air is guided to th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에어매트리스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참조번호만 다르게 하고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hall be.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에어매트리스에서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n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제1연결부(110)에는 4개의 내부관로(30)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1연결부(110)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120)에도 4개의 에어관로(32)가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4, four
제1연결부(110)의 제1몸체부재(116) 일측에는 내부관로(30)와 연결되기 위한 제1연결관(114)이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제1연결관(114)과 연통된 삽입안내구(112)가 제1몸체부재(116)의 타측에 구비된다.One side of the
제1연결부(110)는 컨트롤부의 케이스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연결부(110)에 원터치 방식에 의하여 결합과 분리가 되는 제2연결부(120)가 구비된다.The
제2연결부(120)에는 삽입안내구(112)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관로(122)가 제2몸체부재(126)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second connecting
삽입안내구(112)에 연결관로(122)가 삽입되어 고정이 이루어지며, 삽입안내구(112)의 일단에는 실링부재(124)가 설치되어 연결관로(122)가 삽입안내구(112)에 삽입될 때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The
삽입안내구(112)와 연결관로(122)는 상호 결합되어 공기를 전달하기 위한 기 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삽입안내구(112)와 연결관로(12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셀부재(50)로 공급되는 독립적인 공압이 4개 필요한 것에 의하여 삽입안내구(112)와 이에 결합되는 연결관로(122)가 4개이나, 이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삽입안내구(112)와 상기 연결관로(122)는 동수로 가감되어 상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ur
그리고, 상기 삽입안내구(112)와 상기 연결관로(122)는 좁은 면적에서 배치가 이루어지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즉, 제1연결부(110)의 내측에 구비된 삽입안내구(112)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삽입안내구(112)에 결합되기 위한 연결관로(122)도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호 결합이 이루어짐으로, 상호 간섭을 최대한 배제하면서도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하게 된다.That is, the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제1연결부(110)와 제2연결부(120)의 결합은 4개의 서로 다른 공압이 제공되는 것에 의하여 방향성을 갖는 결합이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제1연결부(110)와 상기 제2연결부(120)의 결합면에는 방향성돌기(150)와 방향성홈(152)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Coupling of the
그리고, 제2연결부(120)에서 삽입안내구(112)의 반대 방향으로 제2연결관(미도시)이 돌출 형성되며, 제2연결관은 에어관로(32)와 결합된 셀부재(50)로 공기를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a second connecting tube (not show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connecting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셀부재(50)는 공압제어부재에 의하여 분기된 공압에 의하여 독립적인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좌우교대셀과 교대부양셀(51)이 구비된다.The
제1연결부(110)에 제2연결부(120)가 탄성 결합에 의하여 착탈이 이루어지게 하는 탄성결합부(140)를 포함한다.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120)가 제1연결부(110)에 탄성 결합에 의하여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제1연결부(110)에는 제2연결부(120)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길이방향으로 삽입홈(144)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second connecting
상기 삽입홈(144)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걸림홈(146)이 구비되어 체결부(148)를 형성하게 된다.One side of the
제2연결부(120)의 외측에는 탄성체결편(142)이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체결편(142)의 외측에는 걸림돌기(143)가 돌출 형성된다.The
상기 체결부(148)와 상기 걸림돌기(143)와 탄성체결편(142)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탄성결합부(140)를 구성하게 된다.The
즉, 탄성체결편(142)은 제2연결부(120)의 외측에 절곡된 형상에 의하여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며 측면에는 걸림돌기(143)가 돌출 형성된다.That is, the
그리고, 삽입안내구(112)에서 연결관로(122)가 분리된 이후에 연결관로(122)를 통하여 셀부재(50)의 공기가 외측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결관로(122)의 일단을 감싸는 차단관로(162)가 내측에 형성된 캡부재(16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fter the
캡부재(160)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제2몸체부재(126)의 외측에는 고리부재(미 도시)가 돌출 형성되며 캡부재(160)의 외측에도 고리부재(127)가 돌출 형성되어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호간 연결이 이루어진다.A ring member (not shown) protrudes from an outer side of th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에어매트리스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참조번호만 다르게 하고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hall be.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에어매트리스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shown in FIG. 5.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리스는 에어펌프(203)에서 발생된 공압에 의하여 셀부재(50)가 팽창된다.5 and 6,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ands the
그리고, 상기 에어매트리스는 상기 에어펌프(203)가 내측에 구비된 컨트롤부(201)와, 상기 컨트롤부(201)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에어펌프(203)가 내측에 연결되며 외측에는 이와 연통된 삽입안내구(212)가 구비된 제1연결부(210)와, 상기 삽입안내구(212)에 삽입되는 연결관로(222)가 일측에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셀부재(50)와 연결되는 에어관로(32)가 연결된 제2연결부(220) 및 상기 제1연결부(210)에 상기 제2연결부(220)가 탄성 결합에 의하여 착탈이 이루어지게 하는 탄성결합부(2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ir mattress is mounted to the
상기 컨트롤부(201)에는 상기 에어펌프(203)에서 나오는 공압이 복수의 방향으로 분기되어 상기 셀부재(50)에 공급되도록 상기 에어펌프(203)에 연결된 공압제 어부재(260)를 더 포함한다.The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공압제어부재(260)는 제1실시예와 같은 원리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The
공압제어부재(260)에는 내부관로(30)를 통하여 이동되는 공압의 공급과 차단을 위하여 밸브부재(262)가 추가로 구비되며, 4개의 내부관로(30)를 통하여 서로 다른 공압을 제공하게 된다.The
그리고, 공압제어부재(260)에는 압력센서부재(280)가 연결되어 공압제어부재(260)로 공급된 공압이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에어매트리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셀부재(50)의 팽창 정도를 보통으로 원하는 경우, 상기 셀부재(50)로 공급되는 공압이 평균치로 설정된 공압보다 클 경우 상기 압력센서부재(280)는 이를 체크하여 상기 에어펌프(203)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장치로 이를 보내는 것에 의하여 에어펌프(203)의 작동이 제어된다.When the user using the air mattress wants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상기 공압제어부재(260)에는 내부관로(3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관로(30)를 통과한 공압은 제1연결부(210)와 제2연결부(220)를 차례로 통과하여 에어관로(32)를 따라 셀부재(50)로 공급된다.An
그리고, 컨트롤부(201) 내측에는 별도의 보조펌프(204)가 구비되어 항상 일정한 공압을 내부관로(30)를 통하여 제1연결부(210)에 공급하게 된다.In addition, a separat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셀부재(50)는, 서로 다르게 팽창되는 제1셀부재(52)와 제2셀부재(54)가 교차하여 설치된 교대부양 셀(51)과, 상기 교대부양셀(51)의 상측에서 양측에 설치된 측면셀(56)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in the
상기 측면셀(56)은 상기 보조펌프(204)를 통하여 공급된 공압에 의하여 팽창이 이루어지며, 상기 교대부양셀(51)에 누운 사용자를 향하여 공기를 분사함으로 보다 쾌적한 사용환경을 제공하게 된다.The
상기 교대부양셀(51)의 하측에는 좌우교대셀(55)이 구비되며, 교대부양셀(51)의 일측 또는 타측이 부풀어 오르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몸이 좌우로 이동되어, 사용자가 신체마비 환자인 경우에 욕창을 방지하게 된다.The left and
교대부양셀(51)에는 2개의 다른 공압이 제공되며 좌우교대셀(55)에도 2개의 다른 공압이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공압제어부재(260)의 밸브부재(262)는 4개가 구비되며, 셀부재(50)에서 공압제어부재(260)로 돌아오는 공압을 배출하기 위하여 별도의 밸브부재(262) 1개가 추가 구비된다.To this end, four
즉, 교대부양셀(51)과 좌우교대셀(55)에서 공압제어부재(260)로 돌아온 공기는 배기공(282)을 통하여 외측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되거나 별도의 밸브부재(262)를 장착하여 배기공(282)으로 배출을 안내하게 된다.That is, the air returned to the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에어펌프(203)를 통하여 발생된 공압은 공압제어부재(260)에 의하여 4개의 공압으로 분기되어 내부관로(30)를 통해 제1연결부(210)에 전달된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ed through the
그리고, 보조펌프(204)를 통하여 공급된 공압도 2개의 내부관로(30)를 통하여 제1연결부(210)에 전달되어 총 6개의 내부관로(30)와 제1연결부(210)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pneumatic pressure supplied through the
즉, 공압제어부재(260)에 의하여 분기된 공압에 의하여 셀부재(50)는 좌우교대셀(55)과 교대부양셀(51)이 독립적으로 팽창된다.That is, by the pneumatic branching by the
제1연결부(210)에는 내부관로(30)와 연결되기 위한 제1연결관(214)이 컨트롤부(201) 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The
제1연결관(214)이 외측에 돌출 형성된 제1몸체부재(216)의 내측에는 제1연결관(214)과 연통된 삽입안내구(212)가 구비된다.An
제1연결부(210)는 컨트롤부(201)의 케이스 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연결부(210)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220)는 원터치 방식에 의해서 작동되어 제1연결부(210)와 제2연결부(220)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The
제2연결부(220)에는 삽입안내구(212)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관로(222)가 제2몸체부재(226)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삽입안내구(212)에 연결관로(222)가 삽입되어 고정이 이루어지며, 삽입안내구(212)의 일단에는 실링부재(224)가 설치되어 연결관로(222)가 삽입안내구(212)에 삽입될 때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The
삽입안내구(212)와 연결관로(222)는 상호 결합되어 공기를 전달하기 위한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삽입안내구(212)와 연결관로(22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셀부재(50)로 공급되는 공압의 배선이 6개 필요한 것에 의하여 삽입안내구(212)와 이에 결합되는 연결관로(222)가 6개이나, 이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삽입안내구(212)와 상기 연결관로(222)는 6개 이상 또는 이하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x pneumatic wires supplied to the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제1연결부(210)와 제2연결부(220)의 결합은 4개의 서로 다른 공압이 제공되는 것에 의하여 방향성을 갖는 결합이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제1연결부(210)와 제2연결부(220)의 결합면에는 방향성돌기(250)와 방향성홈(252)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Coupling of the first connecting
그리고, 제2연결부(220)에서 삽입안내구(212)의 반대 방향으로 제2연결관(228)이 돌출 형성되며, 제2연결관(228)은 에어관로(32)와 결합되어 셀부재(50)로 공기를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ng
그리고, 제1연결부(210)에 제2연결부(220)가 탄성 결합에 의하여 착탈이 이루어지게 하는 탄성결합부(2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220)가 제1연결부(210)에 탄성 결합에 의하여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제1연결부(210)에는 제2연결부(220)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길이방향으로 삽입홈(244)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second connecting
상기 삽입홈(244)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걸림홈(246)이 구비되어 체결부(248)를 형성하게 된다.One side of the
제2연결부(220)의 외측에는 탄성체결편(242)이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체결편(242)의 외측에는 걸림돌기(243)가 돌출 형성된다.An
상기 체결부(248)와 상기 걸림돌기(243)와 탄성체결편(242)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탄성결합부(240)를 구성하게 된다.The
그리고, 삽입안내구(212)에서 연결관로(222)가 분리된 이후에 연결관로(222)를 통하여 셀부재(50)의 공기가 외측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관로(222)의 일단을 감싸는 캡부재(27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fter the
제2몸체부재(226)의 외측에는 고리부재(227)가 돌출 형성되며 캡부재(270)의 외측에도 고리부재(227)가 돌출 형성되어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호간 연결이 이루어진다.The outer side of th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에어매트리스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3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참조번호만 다르게 하고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third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hall be.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에어매트리스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멀티연결부와 제2멀티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multi-connector and the second multi-connector shown in FIG. 7.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리스는, 에어펌프(303)에서 발생된 공압에 의하여 셀부재(50)가 팽창되며 전원발생부(390)에서 발생된 전원에 의하여 히팅부재(393)가 가열된다.7 and 8, the air matrix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by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ed by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리스는 상기 에어펌프(303)와 상기 전원발생부(390)가 내측에 구비된 컨트롤부(301)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301)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에어펌프(303)에서 발생 된 공압을 전달하는 내부관로(30)가 내측에 연결되며 외측에는 상기 내부관로(30)와 연통된 삽입안내구(312)가 제1멀티연결부(310)가 구비된다. 상기 제1멀티연결부(310)에는 상기 전원발생부(39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제1전원연결부(395)가 일측에 구비된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제1멀티연결부(310)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안내구(312)에 삽입되는 연결관로(322)가 일측에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셀부재(50)와 연결되는 에어관로(32)가 설치되는 제2멀티연결부(3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멀티연결부(320)에는 상기 제1전원연결부(395)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발생부(390)의 전원을 상기 히팅부재(393)로 전달하기 위한 제2전원연결부(397)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그리고, 상기 제1멀티연결부(310)에 상기 제2멀티연결부(320)가 탄성 결합에 의하여 착탈이 이루어지게 하는 탄성결합부(34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irst
상기 컨트롤부(301)에는 상기 에어펌프(303)에서 나오는 공압이 복수의 방향으로 분기되어 상기 셀부재(50)에 공급되도록 상기 에어펌프(303)에 연결된 공압제어부재(360)를 더 포함한다.The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공압제어부재(360)는 제1실시예와 같은 원리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The
공압제어부재(360)에는 내부관로(30)를 통하여 이동되는 공압의 공급과 차단을 위하여 밸브부재(362)가 추가로 구비되며, 4개의 내부관로(30)를 통하여 서로 다른 공압을 제공하게 된다.The
그리고, 공압제어부재(360)에는 압력센서부재(280)가 연결되어 공압제어부 재(360)로 공급된 공압이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Then, the
에어매트리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셀부재(50)의 팽창 정도를 보통으로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셀부재(50)로 공급되는 공압이 평균치로 설정된 공압보다 클 경우 상기 압력센서부재(280)는 이를 체크하여 상기 에어펌프(303)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장치로 이를 보내는 것에 의하여 에어펌프(303)의 작동을 제어한다.When the user using the air mattress wants the expansion degree of the
상기 공압제어부재(360)에는 내부관로(3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관로(30)를 통과한 공압은 제1멀티연결부(310)와 제2멀티연결부(320)를 차례로 통과하여 에어관로(32)를 따라 셀부재(50)로 공급된다.An
그리고, 컨트롤부(301) 내측에는 전원발생부(390)가 구비되어 상기 셀부재(50) 상측 또는 하측에 놓이는 히팅부재(393)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In addition, a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셀부재(50)는, 서로 다르게 팽창되는 제1셀부재(52)와 제2셀부재(54)가 교차하여 설치된 교대부양셀(5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교대부양셀(51)의 하측에는 좌우교대셀(55)이 구비되며, 교대부양셀(51)의 일측 또는 타측이 부풀어 오르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몸이 좌우로 이동되어, 사용자가 신체마비 환자인 경우에 욕창을 방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7, in the
교대부양셀(51)에는 2개의 다른 공압이 제공되며 좌우교대셀(55)에도 2개의 다른 공압이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공압제어부재(360)의 밸브부재(362)는 4개가 구비되며, 셀부재(50)에서 공압제어부재(360)로 돌아오는 공압을 배출하기 위하여 별도의 밸브부 재(362) 1개가 추가 구비된다.To this end, four
즉, 교대부양셀(51)과 좌우교대셀(55)에서 공압제어부재(360)로 돌아온 공기는 배기공(282)을 통하여 외측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되거나 별도의 밸브부재(362)를 장착하여 배기공(282)으로 배출을 안내하게 된다.That is, the air returned to the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하면, 에어펌프(303)를 통하여 발생된 공압은 공압제어부재(360)에 의하여 4개의 공압으로 분기되어 내부관로(30)를 통해 제1멀티연결부(310)에 전달된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ed through the
그리고, 전원발생부(390)에서 발생된 전원도 전선부재(391)를 통하여 제1멀티연결부(310)의 제1전원연결부(395)에 연결된다.The power generated by the
제1전원연결부(395)는 전선부재(391) 일단에 전원삽입홈이 구비된 제1단자(319)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1단자(319)는 제1내측커버(317)와 제2내측커버(318)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된다.The
제1전원연결부(395)와 연결되기 위한 제2전원연결부(397)는 제2멀티연결부(320)에 구비되며, 제2전원연결부(397)에는 전원삽입홈이 구비된 제1단자(319)에 삽입되기 위한 전원삽입핀으로 이루어진 제2단자(329)가 제2전원연결부(397)에 구비된다.The
제2단자(329)도 제1외측커버(327)와 제2외측커버(328)의 결합에 의하여 생긴 공간 내에 설치됨으로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The
즉, 공압제어부재(360)에 의하여 분기된 공압에 의하여 셀부재(50)는 좌우교대셀(55)과 교대부양셀(51)이 독립적으로 팽창되며, 전원발생부(390)를 통하여 전 달된 전원은 제1전원연결부(395)와 제2전원연결부(397)를 통하여 히팅부재(393)를 동작시킨다.That is, by the pneumatic branching by the
제1멀티연결부(310)에는 내부관로(30)와 연결되기 위한 제1연결관(314)이 컨트롤부(301) 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1연결관(314)이 외측에 돌출 형성된 제1몸체부재(316)의 내측에는 제1연결관(314)과 연통된 삽입안내구(312)가 구비된다.The first
제1멀티연결부(310)는 컨트롤부(301)의 케이스 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멀티연결부(310)에 결합되는 제2멀티연결부(320)는 원터치 방식에 의해서 작동되어 제1멀티연결부(310)와 제2멀티연결부(320)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The first multi-connector 310 is coupled to the case side of the
제2멀티연결부(320)에는 삽입안내구(312)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관로(322)가 제2몸체부재(326)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second
삽입안내구(312)에 연결관로(322)가 삽입되어 고정이 이루어지며, 삽입안내구(312)의 일단에는 실링부재(324)가 설치되어 연결관로(322)가 삽입안내구(312)에 삽입될 때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The
삽입안내구(312)와 연결관로(322)는 상호 결합되어 공기를 전달하기 위한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삽입안내구(312)와 연결관로(32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셀부재(50)로 공급되는 공압의 배선이 4개 필요한 것에 의하여 삽입안내구(312)와 이에 결합되는 연결관로(322)가 4개이나, 이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삽입 안내구(312)와 상기 연결관로(322)는 4개 이상 또는 이하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four pneumatic wires supplied to the
그리고, 공압의 전달과 함께 전원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제1멀티연결부(310)에는 제1전원연결부(395)가 구비되고 제2멀티연결부(320)에는 제2전원연결부(397)가 구비되어 전원의 전달도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multi-connector 310 is provided with a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제1멀티연결부(310)와 제2멀티연결부(320)의 결합은 4개의 서로 다른 공압이 제공되는 관로의 결합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단자(319)와 제2단자(329)의 결합이 방향성을 갖게 되며, 이를 위하여 제1멀티연결부(310)와 제2멀티연결부(320)의 결합면에는 방향성돌기(350)와 방향성홈(352)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The combination of the first
그리고, 제2멀티연결부(320)에서 삽입안내구(312)의 반대 방향으로 제2연결관(330)이 돌출 형성되며, 제2연결관(330)은 에어관로(32)와 결합되어 셀부재(50)로 공기를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ng pipe 330 protrudes from the second
그리고, 제1멀티연결부(310)에 제2멀티연결부(320)가 탄성 결합에 의하여 착탈이 이루어지게 하는 탄성결합부(3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멀티연결부(320)가 제1멀티연결부(310)에 탄성 결합에 의하여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제1멀티연결부(310)에는 제2멀티연결부(320)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길이방향으로 삽입홈(344)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8, the second
상기 삽입홈(344)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걸림홈(346)이 구비되어 체결부(348)를 형성하게 된다.One side of the
제2멀티연결부(320)의 외측에는 탄성체결편(342)이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체결편(342)의 외측에는 걸림돌기(343)가 돌출 형성된다.An
상기 체결부(348)와 상기 걸림돌기(343)와 탄성체결편(342)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탄성결합부(340)를 구성하게 된다.The
그리고, 삽입안내구(312)에서 연결관로(322)가 분리된 이후에 연결관로(322)를 통하여 셀부재(50)의 공기가 외측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관로(322)의 일단을 감싸는 캡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fter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또한, 에어매트리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에어매트리스 외에도 공압을 이용하여 셀부재를 팽창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매트리스에도 본 발명에 의한 에어매트리스의 기술사상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air mattress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various types of mattresses that expand the cell member using pneumatic pressure in addition to the air mattress.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리스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llustrated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압제어부재를 상세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pneumatic control member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에어매트리스에서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n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에어매트리스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illustrated in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에어매트리스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멀티연결부와 제2멀티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multi-connector and the second multi-connector shown in FIG. 7.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컨트롤부 3: 에어펌프1: control part 3: air pump
10: 제1연결부 12: 삽입안내구10: first connection portion 12: insertion guide
14: 제1연결관 16: 제1몸체부재14: first connector 16: the first body member
20 : 제2연결부 22: 연결관로20: second connecting portion 22: connecting pipe
24: 실링부재 26: 제2몸체부재24: sealing member 26: second body member
27: 고리부재 28: 제2연결관27: ring member 28: second connector
30: 내부관로 32: 에어관로30: internal pipeline 32: air pipeline
40: 탄성결합부 42: 탄성체결편40: elastic coupling portion 42: elastic fastening pieces
43: 걸림돌기 44: 삽입홈43: engaging projection 44: insertion groove
46: 걸림홈 48:체결부46: locking groove 48: fastening
50셀부재 51 교대부양셀50-
52: 제1셀부재 54: 제2셀부재52: first cell member 54: second cell member
55: 좌우교대셀 56: 측면셀55: left and right shift cell 56: side cell
60: 공압제어부재 62: 밸브부재60: pneumatic control member 62: valve member
64: 몸체부재 66: 내측관로64: body member 66: inner pipe
68: 분기관로 70: 캡부재68: branch pipe 70: cap member
110: 제1연결부 112: 삽입안내구110: first connection portion 112: insertion guide
114: 제1연결관 116: 제1몸체부재114: first connector 116: first body member
120: 제2연결부 122: 연결관로120: second connecting portion 122: connector
124: 실링부재 126: 제2몸체부재124: sealing member 126: second body member
127: 고리부재 140: 탄성결합부127: ring member 140: elastic coupling portion
142: 탄성체결편 143: 걸림돌기142: elastic fastening piece 143: locking projections
144: 삽입홈 146: 걸림홈144: insertion groove 146: locking groove
148:체결부 150: 방향성돌기148: fastening portion 150: directional projection
152: 방향성홈 160: 캡부재152: directional groove 160: cap member
162 : 차단관로 201: 컨트롤부162: blocking pipe 201: control unit
203: 에어펌프 204: 보조펌프203: air pump 204: auxiliary pump
210: 제1연결부 212: 삽입안내구210: first connector 212: insertion guide
214: 제1연결관 216: 제1몸체부재214: first connector 216: first body member
220: 제2연결부 222: 연결관로220: second connector 222: connector pipe
224: 실링부재 226: 제2몸체부재224: sealing member 226: second body member
227: 고리부재 228: 제2연결관227: ring member 228: second connector
240: 탄성결합부 242: 탄성체결편240: elastic coupling portion 242: elastic fastening pieces
243: 걸림돌기 248:체결부243: locking projection 248: fastening
244: 삽입홈 246: 걸림홈244: insertion groove 246: locking groove
250: 방향성돌기 252: 방향성홈250: directional projection 252: directional groove
260: 공압제어부재 262: 밸브부재260: pneumatic control member 262: valve member
270: 캡부재 280: 압력센서부재270: cap member 280: pressure sensor member
282: 배기공 301: 컨트롤부282: exhaust hole 301: control unit
303: 에어펌프 310: 제1멀티연결부303: air pump 310: first multi-connection
312: 삽입안내구 314: 제1연결관312: insertion guide 314: first connector
316: 제1몸체부재 317: 제1내측커버316: first body member 317: first inner cover
318: 제2내측커버 319: 제1단자318: second inner cover 319: first terminal
320: 제2멀티연결부 322: 연결관로320: second multi-connector 322: connector
324: 실링부재 326: 제2몸체부재324: sealing member 326: second body member
327: 제1외측커버 328: 제2외측커버327: first outer cover 328: second outer cover
329: 제2단자 330: 제2연결관329: second terminal 330: second connector
340: 탄성결합부 342: 탄성체결편340: elastic coupling portion 342: elastic fastening piece
343: 걸림돌기 344: 삽입홈343: locking projection 344: insertion groove
346: 걸림홈 348:체결부346: locking groove 348: fastening
350: 방향성돌기 352: 방향성홈350: directional projection 352: directional groove
360 : 공압제어부재 362: 밸브부재360: pneumatic control member 362: valve member
390: 전원발생부 391 : 전선부재390: power generating unit 391: wire member
393: 히팅부재 395: 제1전원연결부393: heating member 395: first power connection
397: 제2전원연결부397: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3389A KR100935844B1 (en) | 2008-04-10 | 2008-04-10 | Air mattres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3389A KR100935844B1 (en) | 2008-04-10 | 2008-04-10 | Air mattres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7876A KR20090107876A (en) | 2009-10-14 |
KR100935844B1 true KR100935844B1 (en) | 2010-01-08 |
Family
ID=41551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3389A Active KR100935844B1 (en) | 2008-04-10 | 2008-04-10 | Air mattres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584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7930B1 (en) | 2013-03-18 | 2013-12-09 | 텐진 대화 일렉트릭 머신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 Joint assembly equipped with valve |
KR20240160763A (en) | 2023-05-03 | 2024-11-12 | 주식회사 숙면연구소 | Air mattres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961240A (en) * | 2012-11-15 | 2013-03-13 | 绍兴福清卫生用品有限公司 | Air wave pressure therapeutic apparatus capable of judging auxiliary material and use method of air wave pressure therapeutic apparatu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9148A (en) * | 1997-06-30 | 1999-01-26 | Tec Corp | Air massage machine |
US20020188237A1 (en) | 2001-04-11 | 2002-12-12 | Homedics, Inc. | Air bubble massage bathtub mat system |
KR20070088955A (en) * | 2006-02-27 | 2007-08-30 | 정기은 | Air massage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
-
2008
- 2008-04-10 KR KR1020080033389A patent/KR10093584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9148A (en) * | 1997-06-30 | 1999-01-26 | Tec Corp | Air massage machine |
US20020188237A1 (en) | 2001-04-11 | 2002-12-12 | Homedics, Inc. | Air bubble massage bathtub mat system |
KR20070088955A (en) * | 2006-02-27 | 2007-08-30 | 정기은 | Air massage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7930B1 (en) | 2013-03-18 | 2013-12-09 | 텐진 대화 일렉트릭 머신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 Joint assembly equipped with valve |
KR20240160763A (en) | 2023-05-03 | 2024-11-12 | 주식회사 숙면연구소 | Air mattres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7876A (en) | 2009-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35844B1 (en) | Air mattress | |
KR970007022A (en) | Switching valve connector | |
CN109449329A (en) | Battery bracket for Vehicular battery module | |
CN102913705A (en) | Line connector and line set for fluid media | |
JP2013504426A (en) | Coupling equipment for hose packets and welding equipment | |
JP3219755U (en) | Vacuum holding type multistage vacuum generation and vacuum break valve | |
ATE291206T1 (en) | CLUTCH ARRANGEMENT | |
CN104583485A (en) | Ironing system with separable iron and machine body | |
CN220303936U (en) | Hydraulic module and heat pump system | |
CN106970551A (en) | The method and equipment for operating workpiece that are used to operate the equipment of workpiece for running pneumatic actuation | |
CN115929946A (en) | Fluid control valve | |
JP2017507304A (en) | Pilot valve assembly | |
US6082781A (en) | Pipe connecting device | |
CN107965487B (en) | Valve assembly | |
CN105074340A (en) | Multiple circuit heating or cooling systems with manifold mixing valve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and/or regulating multiple circuit heating or cooling systems | |
KR101123831B1 (en) | Electromagnet water supply valve | |
PL379167A1 (en) | Fuel and fuel cooler with lamellar inner structures for connecting to the air-conditioning system | |
HU217251B (en) | Control of valve block device | |
CN209197512U (en) | A kind of heat-exchanger rig | |
US20220325820A1 (en) | Coolant Valve with Integrated Sensors | |
ITTO940262U1 (en) | SYSTEM FOR THE HYDRAULIC AND ELECTRICAL CONNECTION OF A WATER SUPPLY DEVICE TO A WASHING MACHINE. | |
US20180112787A1 (en) | Valve assembly | |
CN209839240U (en) | Control valve and integrated pipeline with same | |
CN205350489U (en) | Solenoid valve, solenoid valve installation component and water purifier | |
CN108071886A (en) | For the coupling arrangement of medium conduction pipel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3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