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613B1 - Simulation method for planning culture tourism and method for serving information of culture touris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imulation method for planning culture tourism and method for serving information of culture tourism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5613B1 KR100935613B1 KR1020090051677A KR20090051677A KR100935613B1 KR 100935613 B1 KR100935613 B1 KR 100935613B1 KR 1020090051677 A KR1020090051677 A KR 1020090051677A KR 20090051677 A KR20090051677 A KR 20090051677A KR 100935613 B1 KR100935613 B1 KR 1009356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vent
- facility
- information
- facilities
- visi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 방법 및 문화관광 정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화관광 기획자가 기획한 행사장을 실제로 개장하기 전에 방문객들의 행사장 체험에 대해 시뮬레이션하고, 그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하여 행사장 시설물 배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행사장 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문화관광 정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문화관광 기획자가 기획한 행사장을 실제로 개장하기 전에 방문객들이 행사장을 체험할 것에 대해 시뮬레이션하고, 그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하여 행사장 시설물 배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문객의 만족도를 최대한 높이며, 최적의 행사기획을 할 수 있도록 시설물을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획한 최적의 행사장에 대한 정보를 행사장에 방문하고자 미리 인터넷에 접속하게 되는 접속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lture tourism planning simulation method and a cultur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in particular, before the actual opening of the event venue planned by the culture tourism planner, simulation of the visitor's experience of the event site, and the arrangement of the venue facility using the simulation result. It is about the culture tourism planning simulation method and the cultural tourism information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to enable setting up and to serve the venue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simulates the experience of the visitors before the actual opening of the venue planned by the culture tourism planner, and by using the simulation results to set the layout of the venue facilities, to maximize the satisfaction of the visitors, It has the effect of arranging the facilities for optimal event planning, and it has the effect of serving the visitor who connects to the Internet in advance to visit the event site for the information on the optimal event space planned through simul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 방법 및 문화관광 정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화관광 기획자가 기획한 행사장을 실제로 개장하기 전에 방문객들의 행사장 체험에 대해 시뮬레이션하고, 그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하여 행사장 시설물 배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행사장 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문화관광 정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lture tourism planning simulation method and a cultur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in particular, before the actual opening of the event venue planned by the culture tourism planner, simulation of the visitor's experience of the event site, and the arrangement of the venue facility using the simulation result. It is about the culture tourism planning simulation method and the cultural tourism information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to enable setting up and to serve the venue information.
일반적으로, 대중이 밀집하는 공공장소(예컨대, 행사장, 전시장, 놀이공원, 회의장, 세미나장, 컨벤션센터, 박물관 등)를 포함하는 특정 장소는 폐쇄된(예컨대, 입구 및/또는 출구가 구비된) 일정영역 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폐쇄성과, 동일한 관심사를 갖는 사람들이 같은 시간에 같은 장소에 밀집하는 집중성 등을 포 함하고 있다.In general, certain venues, including public venues crowded with the public (eg, venues, exhibition halls, amusement parks, conference halls, seminar halls, convention centers, museums, etc.) are closed (eg with entrances and / or exits). It includes the closedness that includes a certain area space and the concentration of people with the same interests in the same place at the same time.
상기와 같은 폐쇄성과 집중성 등에 의해 대중이 밀집하는 문화관광과 관련된 특정 장소로서, 행사장인 경우에는 시설물로서 특정 지역의 특산물을 홍보하거나, 특정 지역의 풍습, 놀이 등을 방문객들이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행사장 시설물의 유형을 갖을 수 있다.It is a specific place related to cultural tourism that is crowded by the public due to the above-mentioned closure and concentration, and in the case of an event venue, it promotes special products of a specific region as a facility, or allows visitors to experience customs and play in a specific region. It may have a type of venue facility.
이러한 행사장의 시설물의 배치는 행사장을 방문하는 방문객들의 만족도와 직결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행사장의 시설물을 최적의 상태에 배치하기 위한 행사장 기획을 위해 전적으로 행사장의 특성과 관련된 몇개 항목의 설문을 통해 획득되는 설문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시설물을 배치하였다.The layout of facilities in these venues is directly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who visit the venues. Conventionally, the planning of the venues for optimal placement of the facilities of the venue is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 of several item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nue. The facility was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survey results.
그러나, 종래의 문화관광과 관련된 행사장 기획방법은 단순히 설문지를 통해 획득되는 방문객의 정보를 이용하여 행사장의 시설물을 기획하므로, 방문객을 만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효율적으로 시간을 활용하여 행사장의 시설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방문객의 불만이 생길수 밖에 없었다. 또한 행사를 주체하는 주체측에서도 시설물을 통한 행사를 제대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vent venue planning method related to cultural tourism has a limitation in satisfying the visitor since the facility of the event venue is planned using information of the visitor obtained through a questionnaire. As a result, visitors were complained of not being able to efficiently use the facilities of the venue by effectively utilizing their time.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ain body of the event can not properly perform the event through the facility.
그래서, 행사장을 개장하기 이전에 방문객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위치에 시설물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행사장을 가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해야할 필요성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virtually experience the venue in order to be able to arrange the facilities in the optimal location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visitors before opening the venu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행사장 기획자가 기획한 행사장을 실제로 개장하기 전에 방문객들의 행사장 체험에 대해 시뮬레이션하고, 그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하여 행사장 시설물을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before the actual opening of the event venue planned by the event planner, a simulation of the visitor's experience of the event, and a culture to effectively arrange the event facility using the simulation result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ourism planning simulation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획한 최적의 행사장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 접속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관광 정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ltural tourism information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optimal event venue planned through simulation to the Internet accessor.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 방법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설계된 행사장 맵(map)에 기 배치된 행사 시설물을 가상으로 방문할 수 있도록 하여 가상 방문객의 유형과 인원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제어부는 가상 방문객의 연령 및 가상 방문객간의 관계(가족, 부부, 혼자, 그룹, 동아리, 여행사 단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방문객의 유형을 고려하여 미리 행사장을 고려한 설문조사의 질의 내용에 대한 답변을 기초로 파악되는 행동 패턴 정보와 각 행사 시설물에 대한 수용인원, 개장 및 폐장시간 및 입장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행사 시설물 정보 및 각 행사 시설물의 방문 우선순위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1 단계; 상기 컴퓨터의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행사장 맵에 적용하여 일정 반경내에 메인 행사 시설물과 함께 다른 행사 시설물이 존재하면 복수개의 메인 행사 시설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복수개의 메인 행사 시설물이 존재하면 거리가 가장 가까운 메인 행사 시설물로 가상 방문객을 이동시켜 방문하도록 하는 제2 단계; 상기 컴퓨터의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행사장 맵에 적용하여 상기 일정 반경내에 다른 행사 시설물과 메인 행사 시설물이 1개 존재하면, 해당 메인 행사 시설물로 가상 방문객을 이동시켜 방문하도록 하는 제3 단계; 상기 컴퓨터의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행사장 맵에 적용하여 상기 일정 반경내에 메인 행사 시설물이 존재하지 않고, 다른 행사 시설물이 존재하면, 상기 일정 반경내에 다른 행사 시설물의 개수가 복수개인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복수개이면 상기 방문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해당 행사 시설물로 가상 방문객을 이동시켜 방문하도록 하고, 상기 복수개의 행사 시설물에 대한 방문 우선순위가 동일하면, 거리가 가장 가까운 행사 시설물로 가상 방문객을 이동시켜 방문하도록 하는 제4 단계; 상기 컴퓨터의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행사장 맵에 적용하여 상기 일정 반경내에 메인 행사 시설물이 존재하지 않고, 다른 행사 시설물의 개수가 1개이면, 해당 행사 시설물로 가상 방문객을 이동시켜 방문하도록 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컴퓨터의 제어부는 상기 제2 단계 내지 제5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행사장의 개장시간부터 폐장시간동안 반복수행하여 기 배치된 행사 시설물을 재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대별과 가상 방문객 유형별로 각 행사 시설물을 방문한 가상 방문객 인원수 정보를 출력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방문 우선순위는 최우선 순위의 메인 행사 시설물, 시설물의 유형별 선호도, 가상 방문객의 시설물 방문횟수와 가상 방문객 유형에 따른 시설물 만족도 순으로 하고, 이를 고려하여 상기 다른 행사 시설물의 개수가 복수개인 경우, 방문 우선순위를 결정한다.Culture tourism planning sim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t is possible to virtually visit the event facilities pre-arranged on the event site map designed using a computer and the type of virtual visitors In the culture and tourism planning simulation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eople, the control unit of the computer i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f the age of the virtual visitor and the relationship (family, couple, alone, group, club, travel agency) of the virtual visitor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identified based on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of the survey considering the venue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virtual visitor, including the number of people, opening and closing times and entrance fees for each event facility. Database of event facilities information and priority of visits of each event facility A first step of; The controller of the computer determines whether a plurality of main event facilities exist if other event facilities exist together with the main event facilitie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by applying the event map to the event map based on the database information. A second step, if present, to move the virtual visitor to the main event facility closest to the distance; The controller of the computer is configured to apply a virtual visitor to the main event facility when the event facility is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radius by applying to the event map based on the database information. Three steps; The controller of the computer is applied to the venue map based on the database information, and if the main event facilities do not exist within the predetermined radius and other event facilities exist, the number of different event facilities within the predetermined radius is plur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lurality of event facilities having the highest priority, the virtual visitor is moved to the visited facility, and if the visit priority for the plurality of event facilities is the same, the distance to the nearest event facility is determined. A fourth step of moving the virtual visitor to visit; The controller of the computer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virtual visitor to the event facility if the main event facility does not exist within the predetermined radius and the number of other event facilities is 1 based on the database information. A fifth step of making a visit; And the control unit of the computer repeats at least one of the second to fifth steps from the opening time of the event hall to the closing time for each event facility for each time zone and virtual visitor type so as to rearrange the previously arranged event facilities. And a sixth step of outputting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virtual visitors who visited the visitor, and the priority of the visit is in order of the main event facility having the highest priority, preference by type of facility, facility visit frequency of the virtual visitor, and facility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virtual visitor type. In consideration of this, when the number of the other event facilities is plural, the visit priority is determin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문화관광 정보 서비스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 방법에 의해 각 행사 시설물이 재배치된 맵을 통해 웹상에서 사용자로부터 행사 시설물 검색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행사 시설물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여 각 행사 시설물간의 최소한의 동선을 서비스하고, 각 행사 시설물의 수용인원, 입장료 및 관람시간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ltur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event facility search information from a user on a web through a map in which event facilities are rearranged by the culture tourism planning sim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ing a minimum copper line between each event facility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on the event facility,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apacity, entrance fee, and viewing time of each event facility.
삭제delete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문화관광 기획자가 기획한 행사장을 실제로 개장하기 전에 방문객들이 행사장을 체험할 것에 대해 시뮬레이션하고, 그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하여 행사장 시설물 배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문객의 만족도를 최대한 높이며, 최적의 행사기획을 할 수 있도록 시설물을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means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simulates that visitors will experience the venue before actually opening the event site designed by the culture tourism planner, and uses the simulation result to set the layout of the event facility. It has the effect of arranging facilities to maximize the satisfaction and to plan the best event.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획한 최적의 행사장에 대한 정보를 행사장에 방문하고자 미리 인터넷에 접속하게 되는 접속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optimal venues planned through the simulation to those who access the Internet in advance to visit the venue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par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peration and 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문화관광 정보 서비스 방법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 방법에 따른 일련의 과정 및 동작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컴퓨터의 제어부(controller)를 통해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이므로, 이하 명세서에서는 컴퓨터라고 기재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은 기획자가 기획한 행사장에 대해서 실제로 개장하기 전에 방문객들이 어떻게 행사장을 체험하게 될지에 대해 사전에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필요한 알고리즘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of the culture tourism planning simulation method and the cultur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to provid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invention may be readily practic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series of processes and operations according to the culture tourism planning sim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by a computer, specifically, a series of processes performed by a controller of the computer, and thus, To be written.
Meanwhile, the culture tourism planning si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lgorithm required to simulate how visitors will experience the event venue before the event venue is actually opened.
삭제delete
이러한 본 발명의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 방법은 기업 업무 자원의 재사용과 관련 지식 공유, 방문객 참여를 통한 현장적용 예측의 정밀도 제고를 위한 것으로, 행사장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안정적 기획 구성과 예측결과의 모의적용, 사용자 피드백 확보 및 행사의 테마별 검색이 가능하고, 자료 조회 및 열람이 가능하며 각종 레포트 출력이 가능하도록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접속자가 희망하는 행사장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한다.The culture tourism planning simul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reusing corporate business resources, sharing related knowledge, and enhancing the accuracy of site application prediction through visitor participation. 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event venues that users access through the Internet so that they can be applied, secure user feedback, search by theme of the event, search and view data, and output various reports.
하기의 설명에서 GuideMe는 컴퓨터 상에서 행사장을 기획하고, 모의 적용후 편집할 수 있으며, 결과보고서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션 툴(tool)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GuideMe will be used to mean a simulation tool that allows you to plan an event venue on a computer, edit it after simulation, and output the result repor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1과 도 2는 인터넷에 접속환경에서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의 기능을 설명한다.1 and 2 are exemplary views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 culture tourism planning sim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illustrate the function of the culture and tourism planning simulation in the Internet connection environmen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도 1은 기획자와 관리자를 위해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이 서비스하는 것으로, 기획자가 관광지/행사장을 배치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고객 동선을 계획하고, 템플릿 제작하고 구매하며, 콘텐츠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개별 속성값을 저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first, FIG. 1 is a culture tourism planning simulation service for planners and managers. The planners can arrange tourist attractions / events, plan customer routes, create templates, and purchase them. It also provides services to save and upload individual property values as well as upload and download content.
또한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은 관리자가 결과 보고서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행사프로파일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며, 라이브러리 편집 및 생성을 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또한 업무관련 문서를 관리하고, 시연 동영상을 저장하고, 기본구상 및 의견을 기록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또한 데이터 통합 열람 및 다양한 보기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cultural tourism planning simulation allows the administrator to output the result report, create an event profile, and edit and create a library. It also manages work-related documents, stores demonstration videos, and records basic ideas and opinions. It also provides a data integration view and various viewing functions.
도 2는 주요고객과 일반 고객을 위해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이 서비스하는 것으로, 주요고객이 방문 관련 정보와 의견을 서버(GuideMe 엔진)에 업로드 하거나, 일반고객이 방문관련 정보를 입력하여 서버에 업로드하면, 서버는 라이브러리에 고객의견을 반영하여 이후 보정된 데이터를 서비스한다.2 is a culture tourism planning simulation service for the main customer and the general customer, if the main customer uploads the visit-related information and opinions to the server (GuideMe engine), or if the general customer enters the visit-related information and uploaded to the server The server then reflects the customer's opinions in the library and then services the revised data.
또한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은 서버를 통해 주요고객에게 현장 및 일정 정보를 제공하고, 그 현장 및 일정 정보에 대한 의견을 서비스하며, 일반고객에게 현장정보와 일정 정보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cultural tourism planning simulation provides site and schedule information to key customers through the server, provides feedback on the site and schedule information, and provides site and schedule information to general customers.
여기서 주요고객과 일반고객은 고객의 의견참여 여부와 서버로부터 의견을 제공받을 수 있는지의 여부에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Her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main customer and the general customer whether the customer participates in the opinion and whether the customer can receive the opinion from the server.
한편, 전술한 서버는 문화, 관광행사의 기존 기획자료를 불러오거나, 새로 디자인하여 "선호도, 만족도, 부가가치, 환경, 시간" 등의 정보를 분석하고, 기존 서비스를 개선하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추가하여 인간행동 패턴인 "선호도, 만족도, 부가가치, 수용용량" 등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수정, 실행의 순환적 작업을 통해 최적의 결과를 도출하게 만든다. 또한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을 기획자, 관리자 및 고객 등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디자인)부분, 분석부분, 시뮬레이션 부분, 웹페이지 부분 및 커뮤니티 부분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server is to retrieve the existing planning data of the culture, tourism events, or newly designed to analyze information such as "preference, satisfaction, value added, environment, time", etc., improve existing services or add new services to human The behavioral pattern "Preference, Satisfaction, Value-added, Capacity" is simulated and the optimal results are obtained through the cyclical work of correction and execution. In addition, the cultural tourism planning simulation is divided into design (design), analysis, simulation, web page and community for convenient use by planners, managers and customers.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우선, 설계부분은 서비스를 새로 디자인하거나, 개량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도구로서, 접근이 용이한 UML형식을 기본으로하며, 실제 배치는 3D기반의 지도위에 라이브러리에서 제공되어지는 행사 시설물 등을 편리한 직관적 구조를 가진 WIZWIG와 Drag&Drop 방식으로 설계하도록 되어있다.First of all, the design part is a tool designed to redesign or improve the service, and is based on the accessible UML format, and the actual layout is based on a 3D-based map and provides a convenient and intuitive structure for the event facilities provided in the library. It is designed to design with WIZWIG and Drag & Drop method.
이러한 시뮬레이션 툴인 GuideMe의 설계부분에 대한 상세기능은 1, 구동프로그램(GuideMe)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행사 시설물 배치, 2. 행사 시설물간 관계를 설정, 3. 행사 시설물간 이동경로 설정, 4. 행사 시설물의 속성 설정, 5. 행사 시설물의 선호도 및 만족도 설정, 6. 행사 시설물의 체류시간 설정, 7. 행사 시설물 편집(추가, 수정, 삭제), 8. 행사 시설물별 범위 설정 로직, 9. 방문자별 범위 설정 로직 등이 있다.Detailed functions of the design part of this simulation tool, GuideMe, include: 1, arrangement of event facilities in the data format used in the guide program, 2. setting relations between event facilities, 3. setting paths between event facilities, 4. events Setting properties of the facility, 5. setting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of the event facility, 6. setting the residence time of the event facility, 7. editing (adding, modifying, deleting) the event facility, 8. scope setting logic by event facility, 9. by visitor Ranging logic.
다음으로 분석부분은 문화, 관광행사의 과거 및 현재 자료를 기반으로 각 행사장의 필요한 요소(선호도, 만족도, 부가가치, 환경, 시간 등)를 분석한다. 분석된 자료는 가상의 지도위에 3D형태의 행사 시설물 등이 표현되는 공간에 직관적 표현을 위해 인디케이터 및 타이포그라피형으로 처리하며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Next, the analysis part analyzes the necessary elements (preference, satisfaction, value added, environment, time, etc.) of each venue based on past and present data of culture and tourism events. The analyzed data is processed in an indicator and typography form for intuitive expression in a space where 3D-type event facilities are displayed on a virtual map, and can be viewed on one screen.
이러한 GuideMe의 분석부분에 대한 상세기능은 1. 지정된 템플릿 파일 로드, 2. 각종 지표자료를 근거로 현재 로드된 행사 자료 리스트, 3. 5개 지표 리포트 기능, 4. 각 지표당 분포도 화면 처리, 5. 자료 검색기능(인터넷 이용가능시), 6. 통합 분석표 출력기능 등이 있다.Detailed functions of the analysis part of GuideMe include: 1. Loading a designated template file, 2. List of currently loaded event data based on various indicator data, 3. Five indicator report function, 4. Screen processing of each indicator, 5 6. Data search function (if internet available), 6. Integrated analysis table output function.
다음으로 시뮬레이션 부분은 고객의 행동패턴을 기반으로 공간의 적합함과 실제 이동에 따른 모습을 3D화면으로 표현하여 시간이라는 요소 아래 각 시간대별 예상 화면을 계산하여 실제 환경을 미리 경험해 보는 부분으로 설계되어 있다.Next, the simulation part is designed to express the fit of the space and the actual movement according to the customer's behavior pattern in 3D screen and calculate the expected screen for each time zone under the factor of time to experience the actual environment in advance. have.
이러한 GuideMe의 시뮬레이션 부분에 대한 상세기능은 1. 벡터 형식의 진행방향 충돌 체크 알고리즘, 2. 행사 시설물 선택적 알고리즘, 3. 객체간 충돌 알고리즘, 4. 포인트 투 포인트 목적지 및 이동포인트 자동화 기능, 5. 행사 시설물별 체류시간 및 관련 방문자 정보 기능, 6. 시뮬레이션 결과 출력기능 등이 있다.Detailed features of the simulation part of GuideMe include: 1. Progressive collision check algorithm in vector format, 2. Optional facility for event facility, 3. Collision algorithm between objects, 4. Point to point destination and moving point automation function, 5. Event Stay time and related visitor information by facility, and 6. simulation result output function.
다음으로 웹페이지 부분은 최종산출물을 기존의 제작방식인 약도, 홍보자료, 최적동선, 고객 맞춤 동선 등으로 제작되어 편리한 3분할식 리플렛으로 출력하고, 실제 방문시 방문에 도움을 주는 모습으로 설계되었으며, 웹페이지를 통하여 고객들에게 미리 행사의 모습이나 과거의 모습을 보여주고 행사 참여의 동기를 부여하며, 365일 24시간 전국 모든 행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Next, the web page part is designed in the form of a convenient three-part leaflet produced by the final production method such as map, promotional material, optimal line, and customized line, and helps to visit during actual visit. The website is designed to show customers the event in the past or the past, motivate them to participate in the event, and to express all events nationwide 24 hours a day, 365 days a year.
이러한 GuideMe의 웹페이지 부분에 대한 상세기능은 1. 고객의 방문형태에 따른 최적 동선 제공, 2. 검색과 목록중 선택을 통한 행사장 내의 요소(시설)정보를 제공, 3. 패널이 등록한 후기를 통하여 현장정보 습득, 4. 고객이 선택한 요소(시설)간 거리 정보 안내, 5. 맞춤 관리 정보를 인쇄하여 관람시 활용할 수 있는 리플렛 인쇄 기능, 6. 패널 서비스 참여를 유도하여 고객에게 혜택제공, 7. 타지역 관람정보 안내서비스를 이동하여 볼 수 있는 플래시 맵 제공 등이 있다.The detailed functions of the web page portion of GuideMe include: 1. providing the optimum moving route according to the type of visit by the customer, 2.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elements (facilities) in the venue by searching and selecting from the list, 3. and through the reviews registered by the panel. Acquisition of on-site information, 4. Information on distance between selected elements (facilities) by customer, 5. Leaflet printing function that can be used when viewing by printing customized management information, 6. Providing benefits to customers by encouraging participation in panel service, 7. There is a flash map that can be viewed by moving the viewing information service of other regions.
다음으로 커뮤니티 부분은 제작된 프로그램의 정밀도를 보정하기 위하여 고객 및 관련 종사자들은 커뮤니티를 통해 자료를 입력 및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자료들이 모여 더욱 정밀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하기 위한 설계로 구성되어 있다.Next, in order to calibrate the precision of the produced program, the community part can input and provide materials through the community, and these materials are gathered together to be designed for more precise and stable service.
이러한 GuideMe의 커뮤니티에 대한 상세기능은 1. 요소(시설)에 관련된 컨텐츠(댓글, 사진등록)참여, 2. 개인 블로그에 포스팅한 후기를 등록하여 3D 맵에 표시, 3. 사용자가 직접 동선을 편집하여 방문 계획에 활용할 수 있게 지원, 4. 방문 전/후 설문에 참여하게 하여 고객 피드백 데이터 확보, 5. 요소(시설)에 대한 오류정보를 접수할 수 있는 창구 제공, 6. 패널 활동을 통하여 쌓은 마일리지로 현장 관람시 할인 쿠폰 등을 구입할 수 있게 제공. 7. 유저 포럼과 헬프 데스크를 통하여 "GuideMe" 사용자를 지원 등이 있다.Detailed features of the community of GuideMe include: 1. Participation in content related to elements (facilities) (comment, photo registration), 2. Registering reviews posted on personal blogs, and displaying them on 3D maps, 3. User editing lines To be able to use it in planning visits, 4. Participate in pre- and post-visit surveys to obtain customer feedback data, 5. Provide a window to receive error information on elements (facilities), 6. Build up through panel activities You can purchase discount coupons when you visit the site with mileage. 7. Support "GuideMe" users through user forums and help desks.
이러한 GuideMe의 기능을 통해 행사장을 기획하는 시뮬레이션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imulation method of planning an event venue through the functions of GuideMe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3의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 방법을 수행하는 주체는 시뮬레이션 툴인 GuideMe가 되며, 이하 주체는 생략하도록 한다.3 is a flowchart showing a culture tourism planning sim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ubject performing the culture tourism planning simulation method of FIG. 3 becomes GuideMe, a simulation tool, and the following subject is omitted.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컴퓨터는 기획자에 의해 기 설계된 행사 시설물의 맵에서 GuideMe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3, first, the computer simulates using GuideMe on a map of event facilities pre-designed by the planner.
이러한 행사장 기획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위해 컴퓨터는 가상 방문객 데이터베이스(DB)와 행사 시설물 DB를 구축해야 하며 행사 시설물 우선순위를 DB화한다(S301).In order to simulate the event planning, the computer should construct a virtual visitor database (DB) and an event facility DB, and database the priority of the event facility (S301).
첫째, 축제 및 이벤트 행사장에 방문하는 가상 방문객들의 유형을 파악하고 이들 유형별 행동패턴(어떤 경로로 행사장을 체험하는지에 대한 패턴)을 조사하여 가상 방문객 DB를 구축해야 한다. 이때 가상 방문객의 유형별 행동패턴을 조사하는 방법으로는 설문조사방법 및 GPS를 이용하여 실제 행사장의 이동패턴(동선)을 파악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설문조사방법은 실제 행사장을 고려한 질의내용(연령, 체험한 행사장, 선호도별 행사장, 동행자와의 관계 등)에 대한 답변을 기초로 가상 방문객의 유형별 행동패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GPS를 이용하는 방법은 실제 행사장에 방문하는 방문객에게 GPS 수신기를 지급하여 GPS 수신기를 통한 방문객의 유형별 행동패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설문조사 방법과 대비했을때 구체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고자 할때 사용함이 바람직하다.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virtual visitor DB by identifying the types of virtual visitors who visit the festival and event venues, and investigate the patterns of behavior (patterns for how to experience the event venues) for each type. At this time, as a method of investigating behavior patterns of each type of virtual visitor, there may be a survey method and a method of identifying a movement pattern (moving line) of an actual event site using GPS. Here, the survey method acquires information on behavior patterns by type of virtual visitor based on answers to questions regarding the actual venues (ages, experienced venues, venues by preferences, relationships with companions, etc.). In addition, the method of using GPS i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behavior pattern of each type of visitor through the GPS receiver by paying a GPS receiver to visitors who visit the actual event site, and to obtain specific and accurate information when compared to the survey method. It is preferable to use it when
둘째, 행사장에 존재하는 행사 시설물(오브젝트)들을 일반화하여 행사 시설물 DB를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행사 시설물에 들어가는 속성값은 수용인원, 개장 및 폐장 시간, 입장료 등이 있다.Second, the event facilities DB should be established by generalizing the event facilities (objects) existing at the event site. Attribute values for these event facilities include capacities, opening and closing times, and entrance fees.
셋째, 행사장 출입구로부터 가상 방문객의 유형에 따라 방문할 행사 시설물(오브젝트)을 선택하게 되며, 이 선택 기준은 다음과 같은 우선순위에 따라 정해지게 된다.Third, the event facility (object) to be visited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virtual visitor from the entrance of the event hall, and the selection criteria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iorities.
-1순위: 기획자가 지정한 행사 시설물(메인 행사 시설물)-1st priority: Event facilities designated by the planner (main event facilities)
-2순위: 3depth weight(오브젝트의 유형에 따른 가중치 값)-2 rank: 3depth weight (weight value based on object type)
-3순위: 행사 시설물 가중치+가상 방문객 만족도Rank 3: Event Facility Weight + Virtual Visitor Satisfaction
여기서 1순위 내지 3순위의 요소에 대한 설명 테이블은 하기 표 1과 같다.Here, the description table for the elements of the first to third ranks is shown in Table 1 below.
컴퓨터는 이러한 가상 방문객의 유형별 행동 패턴 정보와 각 행사 시설물에 대한 행사 시설물 정보 및 각 행사 시설물의 우선순위를 DB화 한 이후에, 기 설계된 행사 시설물이 배치된 행사장 맵(map)에서 행사장 입구에서부터 시작(S303)하여 일정 반경내에 행사 시설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305).The computer starts from the entrance of the venue on the event site map where the designed event facilities are arranged after databaseting the behavioral pattern information of each type of virtual visitor, event facility information for each event facility, and priority of each event facility. In operation S303, it is determined whether an event facility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S305).
판단결과, 일정 반경내에 행사 시설물이 존재하면, 컴퓨터는 기획자가 지정한 메인 행사 시설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307).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event facilities exist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the computer determines whether the main event facilities designated by the planner exist (S307).
판단결과 메인 행사 시설물이 존재하면, 컴퓨터는 다른 행사 시설물보다 우선적으로 메인 행사 시설물로 가상 방문객을 이동시켜 방문할 수 있도록 하며(309), 전술한 305단계(S305)로 복귀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in event facility exists, the computer allows a virtual visitor to visit the main event facility prior to other event facilities (309), and returns to step 305 (S305) described above.
그러나, 판단결과 메인 행사 시설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컴퓨터는 방문할 일반 행사 시설물의 개수가 복수개이상인가를 판단한다(S311).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in event facility does not exist, the computer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of general event facilities to be visited is more than one (S311).
판단결과 일반 행사 시설물의 개수가 복수개가 아니면, 1개로 인식하여 가상 방문객을 해당 일반 행사 시설물로 이동시켜 방문하도록 한다(S13). 이후 전술한 305단계(S305)로 복귀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number of general event facilities is not plural, it is recognized as one and the virtual visitor is moved to the general event facilities to visit (S13). Thereafter, the process returns to step 305 (S305) described above.
그러나, 판단결과 일반 행사 시설물이 복수개이면, 컴퓨터는 일반 행사 시설물 개수가 2개인가를 판단한다(S313).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a plurality of general event facilities, the computer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of general event facilities is two (S313).
판단결과 일반 행사 시설물 개수가 2개이면, 컴퓨터는 2개의 행사 시설물간에 방문 우선순위를 비교한다(S315). 이때 행사 시설물의 방문 우선순위는 메인 행사 시설물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3depth weight가 높은 행사 시설물이며, 행사 시설물 가중치와 가상 방문객 만족도가 높은 행사 시설물 순서가 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general event facilities is two, the computer compares the priority of visit between the two event facilities (S315). In this case, the priority of visits to the event facilities is the event facility with the highest main event facility, the event facility with the highest 3depth weight, and the event facility with high event facility weight and virtual visitor satisfaction.
비교결과, 컴퓨터는 2개의 일반 행사 시설물간의 우선순위가 동일한가를 판단하고(S317), 판단결과 우선순위가 동일하지 않으면, 우선순위가 높은 해당 행사 시설물로 가상 방문객을 이동시킨 후 방문하도록 한다(S319).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computer determines whether the priorities between the two general event facilities are the same (S317). If the priority is not the same as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omputer moves the virtual visitor to the corresponding event facilities having a higher priority to visit (S319). ).
그러나, 판단결과 우선순위가 동일하면, 컴퓨터는 거리가 가까운 일반 행사 시설물로 가상 방문객을 이동시켜 방문하도록 한다(S321).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iority is the same, the computer moves the virtual visitor to the general event facility near the distance (S321).
한편, 313단계(S313)의 판단결과 일반 행사 시설물 개수가 2개가 아니면, 컴퓨터는 3개이상인 것으로 인식하고 3개이상의 행사 시설물간의 행사 시설물 방문 우선순위를 비교한다(S323). 이때 행사 시설물간의 우선순위 비교 기준은 전술한 315단계(S315)와 동일하다.Meanwhi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313 (S313), if the number of general event facilities is not two, the computer recognizes three or more and compares the priority of visits to event facilities among three or more event facilities (S323). At this time, the priority comparison criteria between the event facilities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step 315 (S315).
비교결과, 컴퓨터는 최대값을 갖는 행사 시설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S325), 판단결과 최대값을 갖는 행사 시설물이 존재하면 최대값을 갖는 행사 시설물로 이동하여 경험하고(S327), 최대값을 갖는 행사 시설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거리가 가장 가까운 일반 행사 시설물로 이동하여 경험한다(S321).As a result of comparison, the computer determines whether an event facility having a maximum value exists (S325), and if an event facility having a maximum value exists, the computer moves to the event facility having a maximum value and experiences it (S327) and has a maximum value. If the event facilities do not exist, go to the nearest general event facilities and experience (S321).
이후 319단계(S319)와 321단계(S321) 및 327단계(S329) 수행 후, 컴퓨터는 시뮬레이션 실행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판단하고(S329), 그 판단결과 시뮬레이션 실행시간이 경과되지 않으면, 305단계(S305)로 복귀하여 시뮬레이션 실행시간이 경과될때까지 전술한 과정을 반복수행한다.After performing steps 319 (S319), 321 (S321), and 327 (S329), the computer determines whether the simulation execution time has elapsed (S329), and as a result, if the simulation execution time has not elapsed, step 305 ( Returning to S305),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repeated until the simulation execution time has elapsed.
그러나, 시뮬레이션 실행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컴퓨터는 시뮬레이션을 종료한다. 여기서 시뮬레이션 실행시간은 개장시간에서부터 폐장시간까지의 관람시간이 될 수 있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mulation execution time has elapsed, the computer ends the simulation. Here, the simulation execution time may be a viewing time from opening time to closing time.
전술한 시뮬레이션 방법에 따라 도 4와 도 5와 같은 획득하게 되는 최종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계된 행사 시설물이 배치된 맵을 재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기획자는 각 시설물들을 재배치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imulation method, the map in which the pre-designed event facilities are arranged may be reconstructed by using the final information obtained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the planner rearranges the faciliti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방법에 의해 설계된 행사 시설물이 배치된 맵을 웹상에서 접속자들에게 도 6a 내지 도 6d와 같은 가상의 행사장 맵을 제공하게 되며, 웹상에서 접속자로부터 행사 시설물 검색정보(예컨대, 추천코스, 행사장 검색, 거리정보, 사용자 지정코스, 도움말 등)를 입력받으면, 그 행사장 시설물 검색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서비스한다.In addition, a map of the event facilities designed by the sim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the visitor on the web to the virtual venue map as shown in Figure 6a to 6d, event facility search information (for example, from the visitor on the web) If a recommendation course, event search, street information, custom course, help, etc. is input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acility search information of the event is provided.
즉, 시설물간의 최소 동선 및 거리정보를 서비스하고, 각 행사 시설물간의 수용인원, 입장료 및 관람시간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service the minimum moving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facilities, and servic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eople, entrance fees and viewing time between the event facilitie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1 and 2 is an exemplary view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 culture tourism planning sim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 방법을 보인 흐름도.3 is a flow chart showing a culture tourism planning sim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관광 기획 시뮬레이션을 통해 획득되는 결과 데이터를 보인 예시도.4 and 5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result data obtained through the culture tourism planning sim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상에서 서비스되는 행사장 정보와 관련된 화면데이터를 보인 예시도.6a to 6d are exemplary views showing screen data related to event hall information being serviced on the we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1677A KR100935613B1 (en) | 2009-06-10 | 2009-06-10 | Simulation method for planning culture tourism and method for serving information of culture tourism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1677A KR100935613B1 (en) | 2009-06-10 | 2009-06-10 | Simulation method for planning culture tourism and method for serving information of culture tourism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35613B1 true KR100935613B1 (en) | 2010-01-07 |
Family
ID=4180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167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5613B1 (en) | 2009-06-10 | 2009-06-10 | Simulation method for planning culture tourism and method for serving information of culture tourism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561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7769B1 (en) * | 2012-03-12 | 2013-06-24 | 주식회사 피오디 커뮤니케이션즈 | Unified solution system for organizing mice open site |
KR101831663B1 (en) * | 2017-07-14 | 2018-02-23 | ㈜ 한국공학기술연구원 | Display mehtod of ecotourism contents in smart device |
KR20240078814A (en) | 2022-11-28 | 2024-06-04 | 강규리 | Server,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stomized local event ser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1074A (en) * | 2000-09-13 | 2002-03-18 | 이마이 기요스케 |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three dimensional spatial design using network, and server for such system |
KR20060112960A (en) * | 2005-04-28 | 2006-11-02 | 유선기 | Virtual Reality Travel System and Method |
KR20080005467A (en) * | 2007-11-05 | 2008-01-14 | 주식회사 골든오일 | How to operate booth layout |
-
2009
- 2009-06-10 KR KR1020090051677A patent/KR10093561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1074A (en) * | 2000-09-13 | 2002-03-18 | 이마이 기요스케 |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three dimensional spatial design using network, and server for such system |
KR20060112960A (en) * | 2005-04-28 | 2006-11-02 | 유선기 | Virtual Reality Travel System and Method |
KR20080005467A (en) * | 2007-11-05 | 2008-01-14 | 주식회사 골든오일 | How to operate booth layout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7769B1 (en) * | 2012-03-12 | 2013-06-24 | 주식회사 피오디 커뮤니케이션즈 | Unified solution system for organizing mice open site |
KR101831663B1 (en) * | 2017-07-14 | 2018-02-23 | ㈜ 한국공학기술연구원 | Display mehtod of ecotourism contents in smart device |
KR20240078814A (en) | 2022-11-28 | 2024-06-04 | 강규리 | Server,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stomized local event ser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linkhardt et al. | Using OpenStreetMap as a data source for attractiveness in travel demand models | |
Marzuki et al. | Towards a public participation framework in tourism planning | |
Panagiotopoulou et al. | Smartening up participatory cultural tourism planning in historical city centers | |
Inversini et al. | Destination online communication: why less is sometimes more. A study of online communications of English destinations | |
Kellner et al. | Tracking tourist spatial-temporal behavior in urban places, a methodological overview and GPS case study | |
Kramer et al.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ntext‐driven, mobile tourist guide | |
Mrsic et al. | Technology-driven smart support system for tourist destination management organizations | |
Aouad et al. | Designing layouts for sequential experiences: Application to cultural institutions | |
KR100935613B1 (en) | Simulation method for planning culture tourism and method for serving information of culture tourism using the same | |
Angeloni et al. | Measuring and evaluating visitors' behaviors inside museums: the Co. ME. project | |
Sutresno et al. | Digital innovation design of tourism destination marketing website using design thinking method | |
Pizarro et al. | ABM RoutePlanner: An agent-based model simulation for suggesting preference-based routes in Spain | |
TW202316288A (en) | Automatic of collection destination travel planning and network evaluation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 |
Schaller et al. | Itinerary recommenders: how do users customize their routes and what can we learn from them? | |
Ismail et al. | User-centred Design and Evaluation of Web and Mobile based Travelling Applications | |
KR20200114907A (en) | Event Planning Simulation Method | |
Mincolelli et al. | Inclusive participation design methodologies for digital cultural heritage | |
US12190041B2 (en) | Portal and interface system and method | |
Sepehri et al. | Designing a mobile application for tourism in the architectural heritage of Tehran | |
Veldscholten | Spatial and temporal public transport data visualization: data analysis using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lternative public transport services | |
Akbar et al. | Implementation of SEO on Dusun Nusantara Web-based Application as Tourism Promotion Media | |
Swanepoel | Development of an architecture and web-based demonstrator for tourist itinerary planning | |
Rustam et al. | Digital Innovation Design of Tourism Destination Marketing Website Using Design Thinking Method | |
Cullen | Causes and effects of suburban traffic dynamics: A case study in a municipality close to Munich | |
Andreasson et al. | Applications and future developments: Future developments and research topic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212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123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