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488B1 - Local broadcasting device and PA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ocal broadcasting device and PA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23488B1 KR100923488B1 KR1020090017186A KR20090017186A KR100923488B1 KR 100923488 B1 KR100923488 B1 KR 100923488B1 KR 1020090017186 A KR1020090017186 A KR 1020090017186A KR 20090017186 A KR20090017186 A KR 20090017186A KR 100923488 B1 KR100923488 B1 KR 1009234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broadcasting
- control
- selection
- audio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관방송시스템의 방송구역에 설치되어 방송실의 출력선택장치와 연동하는 지역방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출력선택장치를 제어하거나, 방송구역에서 자체 방송이 가능한 지역방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관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l broadcasting apparatus installed in a broadcasting zone of an public address broadcasting system and interlocked with an output selecting apparatus of a broadcasting roo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l broadcasting apparatus controlling an output selecting apparatus or capable of self-casting in a broadcasting region, and a public address broadcasting including the same. It is about the system.
전관방송시스템은 빌딩 및 학교등 비상방송이 필요한 한정된 범위에 구축되는 방송시스템으로서, 한정된 범위인 출력지역에 복수 개로 구분된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스피커장치를 통해 음향을 방출하는 시스템이다. PA system is a broadcasting system that is constructed in a limited range requiring emergency broadcasting such as buildings and schools, and emits sound through a speaker device installed in each of a plurality of broadcasting zones in a limited output area.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관방송시스템(10)은, 방송제어장치(12), 출력선택장치(14), 오디오앰프장치(16), 스피커장치(18)를 구비한다. 여기서 방송제어장치(12)는 전반적인 방송을 제어하며, 외부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거나 생성하고, 이러한 오디오신호들을 출력선택장치(14)로 출력한다. 출력선택장치(14)는 방송제어장치(12)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들을 선택 및 제어하여 오디오앰프장치(16)로 출력한다. 오디오앰프장치(16)는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각 방송 구역('A1','A2','A3')들에 설치된 스피커장치(18)로 출력하고, 스피커장치(18)는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각 방송구역('A1','A2','A3')에 방출한다.As shown in FIG. 1, the prior
이와 같이, 종래의 전관방송시스템(10)은 방송제어장치(12)와 출력선택장치(14), 오디오앰프장치(16)와 같은 방송장치가 방송실('S')과 같은 특정장소에만 설치되어 있어, 각 방송지역('A1','A2','A3')에서는 스피커장치(18)를 통해 방송의 수신만이 가능한 일방향 방송시스템이다. 따라서, 종래의 전관방송시스템(10)은 방송을 수신하는 각 방송구역에서 방송채널을 선택하거나 음량을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각 방송구역 내에 유용한 미디어 정보가 있어도 별도의 미디어장치없이 이를 자체적으로 재생 및 출력하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관방송시스템의 각 방송구역으로부터 방송실에 설치된 출력선택장치의 방송채널의 변경, 음량레벨조절 기능과 같은 일부 기능을 허용된 범위에서 제어할 수 있고, 출력선택장치가 송신된 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오디오신호를 송신한 방송구역에 방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지역방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관방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t is possible to control some functions, such as the change of the broadcast channel, the volume level control function of the output sele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broadcasting room from each broadcasting zone of the public address system in the permitted rang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al broadcas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a selected apparatus to process a transmitted audio signal and broadcasting the audio signal to a broadcasting zone where the audio signal is transmitted, and a public address system including the same.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특징은, 전관방송시스템이 구축된 출력지역의 방송실에 설치된 출력선택장치와 연동되며, 상기 출력지역에 복수개로 구분된 방송구역들에 설치되는 지역방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역방송장치는, 상기 출력선택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사용자선택부; 및 상기 송수신부에 의해 상기 출력선택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허용하는 허용제어신호가 수신되어 제어권을 인가받은 경우, 상기 제어권의 범위내에서 상기 사용자선택부를 통해 상기 출력선택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선택하고 상기 선택에 대응하는 지역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출력선택장치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방송구역에서 상기 출력선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 방송구역의 방송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fea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is interlocked with an output selection device installed in a broadcasting room of an output area in which a public address system is constructed, and installed in a plurality of broadcasting zones divided into the output area. A local broadcast apparatus, the local broadcast apparatus,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output selection device; A user selection unit; And control the function of the output selection device through the user selection unit within the range of the control right when a permission control signal for allow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to control the function of the output selection device is received and the control right is grante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local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and transmit the local control signal to the output selection device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output selection device in the broadcasting zone to control the broadcasting of the corresponding broadcasting zone. It features.
여기서, 상기 사용자선택부는 상기 해당 방송구역에 방송될 오디오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채널선택부 및 상기 해당 방송구역에 방송될 오디오신호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레벨선택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지역제어신호는, 상기 채널선택부의 선택에 대응하는 채널선택신호 및 상기 음량레벨선택부의 선택에 대응하는 음량레벨선택신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user selector includes any one or both of a channel selector for selecting an audio signal to be broadcast in the corresponding broadcast zone and a volume level selector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audio signal to be broadcast in the corresponding broadcast zone. The local control signal may include one or both of a channel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the channel selection unit and a volume level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the volume level selection unit.
그리고, 상기 지역방송장치는 외부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권을 인가받은 상태에서 상기 신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출력선택장치로 송신한다.The local broadcas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audio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and the control unit may output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signal input unit through the transceiver to the output selector while receiving the control right. To send.
또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출력선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지역방송장치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하여 구동된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is supplied with power supplied from the output selection device, and the local broadcasting device is driven by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여기서, 상기 송수신부와 상기 출력선택장치는, UTP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 다. Here, the transceiver and the output selection device may be connected by a UTP cable.
또한, 상기 지역방송장치는, 건물의 벽체에 사전에 내설된 스위칭 박스와 결합이 가능한 외관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cal broadcasting devic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appearanc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switching box previously built in the wall of the building.
그리고, 상기 지역방송장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구역에 방송 중인 오디오신호의 채널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어권을 인가받은 경우 상기 표시부에 제어권을 인가받았음을 알리는 표시를 하고, 상기 사용자선택부를 통해 상기 해당 방송구역에 방송할 오디오신호의 채널을 변경한 경우 상기 변경된 오디오신호의 채널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다.The local broadcast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channel information of an audio signal broadcast in the broadcasting area on the display unit, and when the control right is granted, the control unit is granted the control right. When the channel of the audio signal to be broadcasted to the corresponding broadcast zone is changed through the user selection unit, the channel information of the changed audio sign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특징은, 방송제어장치, 스피커장치들, 오디오앰프장치를 구비하며, 한정된 범위인 출력지역 내의 복수 개로 구분된 방송구역들에 설치된 스피커장치를 통해 오디오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은, 방송할 오디오신호를 선택하거나 방송할 오디오신호를 조절하여, 상기 오디오앰프장치로 출력시키는 출력선택장치; 및 상기 출력선택장치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지역방송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지역방송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채널선택부 또는 음량레벨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선택장치로부터 상기 지역방송장치에 제어권을 허여하는 허용제어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채널선택부 또는 음량레벨선택부의 선택에 대응하여, 각각 채널선택신호 또는 음량레벨선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출력선택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출력선택장치는, 특정 지역방송장치로부터 상기 채널선택신호 또는 음량레벨선 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채널선택신호 또는 음량레벨선택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지역방송장치가 설치된 방송구역으로 방송할 오디오신호의 채널을 선택하거나, 상기 방송할 오디오신호의 음량 레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peaker device including a broadcast control device, speaker devices, and an audio amplifier device, and installed in a plurality of divided broadcast zones within a limited output area. The public address broadcasting system capable of audio broadcasting through the public address broadcasting system includes: an output selection device for selecting an audio signal to be broadcast or adjusting an audio signal to be broadcast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to the audio amplifier device; And a local broadcasting device which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hrough a cable connected to the output selection device, and is installed in each of the broadcasting zones. The local broadcasting device includes a channel selection unit or a volume level selection unit for user selection. When a permission control signal for granting control to the local broadcasting apparatus is applied from the output selection apparatus, a channel selection signal or a volume level selection signal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the channel selection unit or the volume level selection unit. The output selection device transmits to the output selection device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When the channel selection signal or the volume level selection signal is input from a specific local broadcasting device, the output selection device responds to the input channel selection signal or the volume level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ly, select a channel of an audio signal to be broadcasted to a broadcasting zone where the specific local broadcasting apparatus is installed; The volume level of the audio signal to be broadcast is adjusted.
여기서, 상기 지역방송장치는 외부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허용제어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입력부에 의해 입력받은 오디오신호를 상기 출력선택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출력선택장치는, 상기 지역방송장치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수신된 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오디오신호를 송신한 지역방송장치가 설치된 방송구역의 스피커장치를 통해 방출한다. Here, the local broadcast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ignal input unit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s the audio signal input by the signal input unit to the output selection device while the allowance control signal is applied. When the output selection device receives an audio signal from the local broadcasting device, the output selection device processes the received audio signal and emits the audio signal through a speaker device in a broadcasting area in which the local broadcasting device which has transmitted the audio signal is installed.
그리고, 상기 출력선택장치는 각 지역방송장치에 제어권을 허여하기 위한 제어선택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출력선택장치는 상기 특정 지역방송장치에 대한 제어선택키가 선택된 경우, 해당 지역방송장치로 허용제어신호를 송신한다. The output selec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control selection key for granting control to each local broadcasting device, and the output selection device is allowed to the local broadcasting device when the control selection key for the specific local broadcasting device is selected. Send the control signal.
이상 설 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역방송장치는, 각 방송구역으로부터 방송실에 설치된 출력선택장치의 오디오신호 채널의 변경, 음량레벨조절 기능과 같은 일부 기능을 제어할 수 있고, 출력선택장치가 송신된 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오디오신호를 송신한 방송구역에 방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 각 방송구역내에 추가적인 미디어장치를 설치하는 것 없이 자체적으로 오디오신호를 재생 및 출력할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cal broadc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some functions such as changing the audio signal channel and volume level adjusting function of the output select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broadcasting room from each broadcasting zone. By processing the transmitted audio signal can be controlled to broadcast the audio signal to the broadcast zone, it is possible to reproduce and output the audio signal itself without installing an additional media device in each broadcast z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역방송장치는 출력선택장치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전 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별도로 전원공급을 받을 필요가 없어, 장치를 컴팩트하고 설치가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l broadc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put selection device via a cable, there is no need to receive a separate power supply,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device compact and easy to install.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역방송장치는, 장치 외관의 크기 및 형태를 건물의 벽체에 내설된 스위칭 박스에 맞추어 제작함으로써, 건물 벽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스위칭박스와 연결된 연결배관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케이블의 배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l broadc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building wall by mak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device appearance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box in the wall of the building, it is to use a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the switching box.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wiring of the cab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방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관방송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local broadcasting apparatus and a public address broadcas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지역방송장치> <Local Broadcasting Equipment>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방송장치의 블록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방송장치와 출력선택장치 사이에 연동되는 신호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방송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local broadc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signal interworking between the local broadcasting apparatus and the output se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local broadc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역방송장치(100)는 송수신부(110), 사용자선택부(120), 신호입력부(130), 표시부(140),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이러한 지역방송장치(100)는 방송이 수신되는 방송구역에 설치되어 방송실에 설치된 출력선택장치(Z)와 연결되어 동작한다. 이하 각 구성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s shown in FIG. 2, the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부(110)는 출력선택장치(Z)와 케이블 을 통하여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케이블은 방송실에 위치한 출력선택장치(Z)와 방송구역들 각각에 설치된 지역방송장치(100)를 연결시킨다. 케이블은, 건물에 배선이 용이한 UTP 케이블을 사용하며, 여기서는, 전송특성 및 전송거리를 고려하여 CAT-5 형 케이블을 사용한다.First, as shown in Figure 3, the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부(110)는, 제어신호송수신단(111), 전원수신단(112), 오디오송신단(114)을 구비한다. 제어신호송수신단(111)은 출력선택장치(Z)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하고 제어부(150)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선택장치(Z)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송수신부(110)는 RS422 규격의 통신을 사용한다. CAT-5의 케이블의 경우, 4개의 선(TX(+),TX(-),RX(+),RX(-)을 사용하며, 2개의 선(TX(+),TX(-))은 송신, 2개의 선(RX(+),RX(-))은 수신을 위해 사용한다. 전관방송시스템이 구축된 출력지역의 구조 및 환경에 따라 다른 통신방식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그리고, 전원수신단(112)은 케이블의 8개의 선 중 2개의 선(+24V,GND)을 통해 출력선택장치(Z)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여기서, 전원수신단(112)을 통해 공급된 전원은 전원부(도시되지 않음)에 공급되며, 전원부(도시되지 않음)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역방송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에 해당 전원을 제공한다. 물론, 출력선택장치(Z)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원부(도시되지 않음)에 전원회로를 추가하는 것에 의해 지역방송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오디오송신단(114)은 케이블의 8개의 선 중 2개의 선(AUDIO(+),AUDIO(-))을 통해, 신호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출력 선택장치(Z)로 전달한다.The
사용자선택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방송할 채널의 선택을 위한 채널선택부(122), 방송의 음량을 조절하기위한 음량레벨선택부(124)를 케이스의 전면부에 배치하고 있으며, 선택된 값에 대응하는 각각의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제어부(150)는 전달된 각 신호를 토대로, 방송할 채널의 선택을 위한 제어신호 및 방송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지역제어신호"라 정의한다.The
신호입력부(130)는, 방송구역에 위치한 CDP, MP3, PMP와 같은 미디어기기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신호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마이크입력을 위한 마이크입력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오디오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라인입력단자(도시되지 않음)를 케이스의 전면부에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신호입력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입력된 각각의 오디오신호를 사전에 정해진 규격의 신호로 변환하여 송수신부(110)로 전달한다.The
표시부(140)는 채널선택부(122)를 통해 선택되는 오디신호의 채널정보를 표시하거나, 방송구역에 방송 중인 오디오신호의 채널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방송구역에 방송 중인 오디오신호의 채널정보를 표시부(140)에 표시하고, 출력선택장치(Z)로부터 제어권을 인가받은 경우 표시부(140)에 제어권을 인가받았음을 알리는 표시를 하고, 채널선택부(122)를 통해 해당 방송구역에 방송할 오디오신호의 채널을 변경한 경우 변경된 오디오신호의 채널정보를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한다.The
상기 송수신부(110)에 의해 상기 출력선택장치(Z)로부터 허용제어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채널선택부(122)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출력선택장치(Z)가 해당 방송구역에 방송될 오디오신호의 채널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채널선택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생성된 채널선택신호를 송수신부(110)의 제어신호송수신단(111)를 이용하여 출력선택장치(Z)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110)에 의해 상기 출력선택장치(Z)로부터 허용제어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음량레벨선택부(124)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출력선택장치(Z)가 해당 방송구역에 방송될 오디오신호의 음량 레벨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음향레벨선택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생성된 음향레벨선택신호를 송수신부(110)의 제어신호송수신단(111)을 이용하여 출력선택장치(Z)로 송신한다.When the
그리고, 제어부(150)는, 출력선택장치(Z)로부터 제어권을 인가받은 상태에서, 신호입력부(130)를 통해 오디오신호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송수신부(110)에 의하여 출력선택장치(Z)로 송신한다. 오디오신호는 오디오송신단(114)을 통하여 출력선택장치(Z)로 전달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역방송장치(10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출력선택장치(Z)는, 지역방송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신호를, 해당 오디오신호를 송신한 지역방송장치(100)가 설치된 방송구역에 설치된 스피커장치를 통해 방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선택장치(Z)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출력선택장치(Z)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지역방송장치(100)로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출력선택장치(Z)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허용제어신호"라 정의한다.When the audio signal is input through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역방송장치(100)의 외관을 건물의 벽체에 사전에 내설된 스위칭 박스와 결합이 가능한 크기 및 형태로 제작한다. 이에 의해 지역방송장치(100)를 건물 내부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스위칭 박스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스위칭 박스와 연결된 연결배관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배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역방송장치(100)는, 방송구역에서 방송실에 설치된 출력선택장치(Z)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주고, 방송구역으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출력선택장치(Z)로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역방송장치(100)는, 종래 방송실에 설치된 출력선택장치(Z)에 의해서만 가능하던 방송신호의 제어 및 송출을, 방송구역에서도 가능하게 해 준다.In this way, the
본 실시예에서는 방송실에 설치된 출력선택장치(Z)와의 연동만을 제시하였으나, 방송실에 설치된 방송제어장치와 같은 다른 방송장치와의 연동도 고려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interworking with the output selection device Z installed in the broadcasting room is presented, but interworking with other broadcasting devices such as the broadcasting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broadcasting room may be considered.
<전관방송시스템>PA system
이하에서는 도4를 참조하여 전관방송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의 블록도이다. Hereinafter, the PA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4 is a block diagram of an P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1)은 방송제어장치(410), 출력선택장치(420), 오디오앰프장치(430)가 방송실('S')에 설치되고, 스피커장치(440)와 지역방송장치(450)는 각 방송구역('A1','A2','A3')들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4, in the
방송제어장치(410)는 출력선택장치(420)와 오디오앰프장치(430)와 연동하여 전관방송시스템(1)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방송제어장치(410)는 오디오신호들을 출력선택장치(420)에 제공하며, 출력선택장치(420)는 방송제어장치(41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들 중 외부로 방송할 오디오신호의 채널을 선택하고, 방송할 오디오신호의 음량 레벨을 선택하며, 방송할 방송구역들을 선택한다. The
특히, 본 실시에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1)에 포함된 출력선택장치(420)는 방송구역('A1','A2','A3')들에 설치된 지역방송장치(450)와 연결되어 동작하기 위해서, 출력선택장치(420)의 일부 기능에 대한 제어권을 지역방송장치(450)로 넘기기 위한 제어선택키(422), 지역방송장치(450)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424), 오디오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오디오수신부(426),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428)를 구비한다. 통신부(424)는 지역방송장치(450)의 송수신부(도2의 110)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양방향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 전원공급부(428)는 직류전원을 케이블을 통해 송수신부(110)의 전원수신단(도2의 112)으로 전달한다. 오디오수신부(426)는 지역방송장치(450)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오디오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신호는 출력선택장치(420)에 의해 오디오앰프장치(430)로 전송된다.In particular, the
출력선택장치(420)는 제어선택키(422)가 인가된 경우, 출력선택장치(420)의 일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내장된 통신부(424)를 통해 지역방송장치(450)로 송신한다. 여기서, 출력선택장치(420)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허용제어신호"라 정의한다. 또한, 출력선택장치(420)는 통신부(424)를 통해 지역방송장치(450)로부터 지역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지역제어신호에 포함된 채널정보 또는 음량레벨정보에 따라 상기 지역방송장치가 방송구역에 방송할 오디오신호의 채널을 설정하거나, 방송할 오디오신호의 음량을 조절한다. 또한 출력선택장치(420)는 오디오수신부(426)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오디오신호를 송신한 방송구역에 대응하는 오디오앰프장치(430)로 출력한다. 오디오앰프장치(430)는 스피커장치(440)를 통해 오디오신호를 방출한다. 출력선택장치(420)와 연동하는 지역방송장치(450)에 대한 설명은 도2 및 도3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When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1)은 방송구역('A1','A2','A3')에 설치된 지역방송장치(450)를 이용하여 방송실('S')에 설치된 출력선택장치(420)의 오디오신호의 채널변경, 오디오신호의 음량조절과 같은 일부 기능을 제어하거나, 출력선택장치(420)가 상기 지역방송장치(450)로부터 송신된 오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지역방송장치(450)가 위치하는 방송구역으로 송출함으로써, 각 방송구역에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 각 방송구역에 추가적인 미디어장치를 설치하는 것 없이 자체적으로 오디오신호를 재생 및 출력할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에 따른 지역방송장치는 전관방송시스템과 같은 다수 방송구역에 방송을 송출하는 방송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local broadc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constructing a broadcasting system for transmitting a broadcast to a plurality of broadcasting zones such as public address broadcasting system.
도1은 종래의 전관방송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PA system.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방송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local broadc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방송장치와 출력선택장치를 연동하는 신호를 표시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interworking with a local broadcasting apparatus and an output se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public addres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전관방송시스템 100 : 지역방송장치1: PA system 100: Local broadcasting device
110 : 송수신부 120 : 사용자선택부110: transceiver unit 120: user selection unit
130 : 신호입력부 140 : 표시부130: signal input unit 140: display unit
150 : 제어부 410 : 방송제어장치150: control unit 410: broadcast control device
420 : 출력선택장치 430 : 오디오앰프장치420: output selection device 430: audio amplifier device
440 : 스피커장치 450 : 지역방송장치440: speaker device 450: local broadcasting device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7186A KR100923488B1 (en) | 2009-02-27 | 2009-02-27 | Local broadcasting device and PA system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7186A KR100923488B1 (en) | 2009-02-27 | 2009-02-27 | Local broadcasting device and PA system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23488B1 true KR100923488B1 (en) | 2009-10-27 |
Family
ID=4156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718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3488B1 (en) | 2009-02-27 | 2009-02-27 | Local broadcasting device and PA system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23488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0424B1 (en) | 2016-10-31 | 2017-02-13 | 가락전자 주식회사 |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signals to a speaker |
KR102174977B1 (en) * | 2020-06-10 | 2020-11-06 | 아카데미정보통신(주) | broadcasting equipment concurrent conne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user level difference |
KR102535144B1 (en) | 2022-11-29 | 2023-05-26 | 비에스원 주식회사 | Amplifiers capable of monitoring volume and outpu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2763B1 (en) | 2007-09-19 | 2008-04-03 | 주식회사 로보티어 | IP-based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with central control and local control |
-
2009
- 2009-02-27 KR KR1020090017186A patent/KR10092348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2763B1 (en) | 2007-09-19 | 2008-04-03 | 주식회사 로보티어 | IP-based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with central control and local control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0424B1 (en) | 2016-10-31 | 2017-02-13 | 가락전자 주식회사 |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signals to a speaker |
KR102174977B1 (en) * | 2020-06-10 | 2020-11-06 | 아카데미정보통신(주) | broadcasting equipment concurrent conne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user level difference |
KR102535144B1 (en) | 2022-11-29 | 2023-05-26 | 비에스원 주식회사 | Amplifiers capable of monitoring volume and outpu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484670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implified interconnection and control of audio components of an home automation system | |
KR100821501B1 (en) | Near Field Bidirectional Broadcasting System | |
US20160050493A1 (en) | Wireless speaker system and wireless data transmission method | |
US20140185842A1 (en) | Display apparatus and sou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923489B1 (en) | PA system capable of multiplexing audio / video | |
JP2018019205A (en) | Remote control system for water heater | |
US9807506B2 (en) | Method and system for audio broadcast using lighting devices | |
KR100764728B1 (en) | The wireless karaoke microphone which is having the audio processing function | |
KR100923488B1 (en) | Local broadcasting device and PA system including the same | |
US966142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modular on-demand audio processing, amplification and distribution | |
CN113301480A (en) | Distributed sound box, sound box pairing method and distributed sound system | |
JPH04347999A (en) | Acoustic device | |
US7024003B2 (en) | Wireless speaker system suitable for hard-wired audio system | |
KR102389693B1 (en) | Noise protection system usting a white silencer | |
US9967667B2 (en) | Method and system for audio broadcast using lighting devices | |
KR20100020506A (en) | The remote control method by communications of the indoor broadcasting speaker and amlifier controller | |
KR20120003139A (en) | Emergency broadcasting device for fire alarm system and emergency broadcas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080801B1 (en) | Sound and visual control system through three-dimensional matrix circuit | |
CN214799866U (en) | Distributed loudspeaker box and distributed sound system | |
KR101191313B1 (en) | Multi-channel broadcasting system controllable individual sound source output | |
JP4514540B2 (en) | Speaker device, digital audio reproducing device, and digital audio reproducing system | |
KR101049812B1 (en) | Indoor wireless audio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 |
KR20110065987A (en) |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 |
KR100989659B1 (en) | Intelligent local broadcasting system | |
KR200359120Y1 (en) | control system for broadcasting in apart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3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210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1020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